KR20140036459A -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6459A
KR20140036459A KR1020120102401A KR20120102401A KR20140036459A KR 20140036459 A KR20140036459 A KR 20140036459A KR 1020120102401 A KR1020120102401 A KR 1020120102401A KR 20120102401 A KR20120102401 A KR 20120102401A KR 20140036459 A KR20140036459 A KR 20140036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game
control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영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20102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6459A/ko
Priority to PCT/KR2013/008368 priority patent/WO2014042484A1/ko
Publication of KR20140036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4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3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 A63F13/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using wireless networks, e.g. cellular phone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63F13/355Performing operations on behalf of clients with restricted processing capabilities, e.g. servers transform changing game scene into an encoded video stream for transmitting to a mobile phone or a thin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외부단말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게임을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은,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외부단말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컨트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외부단말에서의 게임 컨텐츠의 실행과 장치와 이동통신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이동통신단말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이고,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인터페이스인 컨트롤 인터페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기저장된 명령 테이블로부터, 실행되고 있는 게임 컨텐츠에서의 게임 플레이를 위해 명령 테이블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 중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제어명령에 따라서 게임 플레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선택된 제어명령을 게임 컨텐츠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AM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 이동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하여, PC 등의 외부전자기기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단말에 표시되는 가상의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외부전자기기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다.
최근 하드웨어의 발달과 게임 컨텐츠 기술의 발달에 의해,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증가하고 있다. 세밀한 그래픽 및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들은 재미있는 게임을 즐기면서 여가 생활을 즐길 수 있으며, 게임 컨텐츠의 다양화로 인해 사회 전반적으로 게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서 게임 컨텐츠 간의 경쟁 역시 더욱 치열해지고 있으며, 사용자들을 게임에 안착시키고 이로 인한 수익을 증대하기 위한 게임 개발사 및 퍼블리셔들의 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게임은 컨트롤러를 통해 게임 상의 캐릭터를 조작하거나, 게임에서 이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것을 통해 플레이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들은 일정한 컨트롤러를 통해 게임을 조작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PC의 키보드, 마우스 등이 일반적인 컨트롤러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체감형 게임 등 새로운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필요한 게임 등에서는, 일반적인 컨트롤러는 사용자들에게 제한된 컨트롤 방식을 제공하고 있어, 새로운 방식의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대한 기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일반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하여 게임을 컨트롤할 수 있는 새로운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서 사용자들이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외부의 PC에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재미를 선사하고, 이에 따라서 사용자들의 게임 이용률을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은,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외부단말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컨트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상기 외부단말에서의 게임 컨텐츠의 실행과 상기 장치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이고,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인터페이스인 컨트롤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기저장된 명령 테이블로부터, 실행되고 있는 상기 게임 컨텐츠에서의 게임 플레이를 위해 상기 명령 테이블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 중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어명령에 따라서 상기 게임 플레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상기 선택된 제어명령을 상기 게임 컨텐츠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저장된 명령 테이블은 상기 외부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게임 컨텐츠들마다 생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임 컨텐츠들마다 생성된 상기 명령 테이블 중, 실행되고 있는 상기 게임 컨텐츠에 매칭되는 명령 테이블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명령 테이블로부터 상기 명령 테이블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 중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명령 테이블마다 서로 같거나 다르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 인터페이스는 상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에서 상기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감지하는 단계; 기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 중, 상기 이동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를 로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인터페이스마다 저장된 상기 명령 테이블 중, 상기 로드된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에 매칭되는 명령 테이블을 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는, 상기 컨트롤 인터페이스마다 할당된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는, 상기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내장된 센서가 감지하는 센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은,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외부단말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컨트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상기 외부단말에서의 게임 컨텐츠의 실행과 상기 장치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서 상기 실행되고 있는 게임 컨텐츠의 게임 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게임 플레이 도중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중 어느 한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단계; 기저장된 이벤트 효과 테이블에 저장된 효과 컨텐츠 중,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이벤트에 매칭되는 효과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효과 컨텐츠가 상기 이동통신단말에서 실행되도록 상기 선택된 효과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효과 컨텐츠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을 진동시키는 효과,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효과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음성출력모듈을 이용해 출력되는 음성 효과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 신호는, 상기 게임 플레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내장된 센서가 감지하는 센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게임 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서로 같거나 다르게 매칭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 중, 상기 실행되고 있는 게임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을 로드하는 단계; 상기 로드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 중,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어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게임 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장치는, 외부단말에서의 게임 컨텐츠의 실행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과의 네트워크 연결을 감지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이고,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인터페이스인 컨트롤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신호 수신부; 기저장된 명령 테이블로부터, 실행되고 있는 상기 게임 컨텐츠에서의 게임 플레이를 위해 상기 명령 테이블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 중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제어명령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제어명령에 따라서 상기 게임 플레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상기 선택된 제어명령을 상기 게임 컨텐츠에 전송하는 제어명령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저장된 명령 테이블은 상기 외부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게임 컨텐츠들마다 생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명령 선택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임 컨텐츠들마다 생성된 상기 명령 테이블 중, 실행되고 있는 상기 게임 컨텐츠에 매칭되는 명령 테이블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명령 테이블로부터 상기 명령 테이블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 중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는, 상기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내장된 센서가 감지하는 센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게임 플레이 도중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중 어느 한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경우, 기저장된 이벤트 효과 테이블에 저장된 효과 컨텐츠 중,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이벤트에 매칭되는 효과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효과 컨텐츠가 상기 이동통신단말에서 실행되도록 상기 선택된 효과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전송하는 효과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효과 컨텐츠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을 진동시키는 효과,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효과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음성출력모듈을 이용해 출력되는 음성 효과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을 게임 컨트롤러, 예를 들어 조이패드로 알려진 컨트롤러로서 사용할 수 있거나, 단말의 움직임을 통해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게임마다 다른 조작 패턴 및 조작 입력을, 명령 테이블의 선택을 통해 하나의 이동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게임의 통합 컨트롤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들은 게임 플레이의 새로운 재미를 느낄 수 있고, 특히 사용자들 대부분이 소유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체감형 게임 등에 적합한 컨트롤러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게임에 대한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구체적인 흐름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흐름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12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이동통신단말 또는 외부단말에 제공되는 서비스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기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단말은, 기본적으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있으며, 유무선, 원거리 또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터치 스크린은 이미지 또는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에 감압 방식 또는 정전 방식의 터치 감응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스크린을 터치 시 그 위치에서의 입력이 되는 모듈 전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터치 스크린이라 함은, 이미지와 영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고, 터치 여부와 함께 터치 위치를 인식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터치 반응 모듈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모듈을 의미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에는 스크린 등 영상 표시 장치 이외에, 스피커를 통해 음성이 출력될 수 있으며, 진동 모터가 내장되어 진동 효과가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외부 단말은 본 발명에서의 게임 컨텐츠가 실행될 수 있는 모든 단말을 의미한다. 또한 외부 단말은 이동통신단말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단말에는 게임 컨텐츠가 실행되면서, 게임의 플레이 영상이 표시되거나, 플레이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수단이 설치되어 일반적으로 게임을 실시할 때 조작 입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게임 컨텐츠는, 입력 수단을 통해 캐릭터를 조작하거나 게임 상의 오브젝트를 조작할 수 있는 모든 컨텐츠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게임이라고 지칭되는 모든 실행 가능한 클라이언트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보드 게임, 체감형 게임, 롤플레잉 게임, 슈팅 게임, 어드벤처 게임, 일인칭 슈팅 게임 등 현재 외부 단말에서 실행 가능한 모든 게임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에 있어서, 외부단말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컨트롤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외부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하드웨어 내지 소프트웨어가 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단말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장치는, 먼저 외부단말에서 게임 컨텐츠가 실행되는지 여부와 이동통신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단말 또는 해당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0, S20)를 수행한다.
장치가 외부단말에 내장되어 있을 때는, 외부단말의 프로세서를 통해 게임 컨텐츠가 실행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외부단말 또는 장치의 통신 모듈에 이동통신단말이 연결을 시도하고, 적법한 사용자로 인증되는 순간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통해 장치와 이동통신단말이 연결되기 위해서, 이동통신단말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등에서 구입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자동으로 이동통신단말과 장치가 연결되거나, 연결 메뉴를 선택 시 연결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이동통신단말의 통신사 및 종류에 따라서 적어도 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 서로 같거나 다른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다르게 표시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는,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에 사용자가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버튼의 조합 및 구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10 및 S20 단계가 수행되면, 장치는 이동통신단말에 저장된 상기 언급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서 제공 및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인터페이스인 컨트롤 인터페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상기 언급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되면, 장치와 이동통신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동시에, 이동통신단말의 표시부(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에는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컨트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조이패드와 같이, 방향키와 액션 입력키 등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버튼 중 하나 이상을 터치하는 선택 입력을 수행하게 되면,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가 생성된다. 입력 신호는 표시되는 버튼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장치는 어떤 버튼들이 선택 입력되었는지에 대하여 수신하게 된다.
S30 단계가 수행되면, 장치는 장치에 기저장된 명령 테이블로부터, 실행되고 있는 게임 컨텐츠에서의 게임 플레이를 위한 제어명령으로서, 명령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 중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명령은 게임 플레이를 위한 명령으로서, 캐릭터를 조작하거나, 게임 화면에서 표시되어 조작 가능한 것으로 설정된 가상의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모든 명령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캐릭터를 이동하거나, 캐릭터가 액션을 취하도록 하거나, 인벤토리 창을 열거나, 아이템을 사용하는 등의 모든 행위에 대한 명령이 제어명령에 포함될 수 있다.
게임 컨텐츠는 해당 컨텐츠가 실행되고 있는 외부단말의 입력수단을 통해 조작 가능한 것이 일반적이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이 설정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이동통신단말에서 표시되는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입력 신호마다, 하나 이상의 제어명령이 매칭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명령 테이블은, 이동통신단말에 표시되는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마다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이 저장된 데이터테이블을 의미한다.
명령 테이블은 장치 또는 외부단말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는 장치 자체 또는 외부에 저장된 명령 테이블을 게임의 실행을 감지 시 미리 로드하여 임시 저장공간에 저장하면서 실시간으로 입력 신호를 수신 시마다 입력 신호에 매칭되는 제어명령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컨트롤 인터페이스는 이동통신단말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게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같은 어플리케이션이라도 이동통신단말에 대한 설정에 따라서 서로 같거나 다른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신호는 이동통신단말에 표시되는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따라서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입력 신호에 따라서 매칭되는 제어명령 역시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도 2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명령 테이블은 컨트롤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따라서 다른 테이블이 각각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외부단말에서 실행되는 게임이 적어도 한 게임일 수 있다. 각 게임마다 서로 다른 제어명령이 존재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입력 신호가 필요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게임 컨텐츠가 실행되고 이동통신단말과의 연결이 감지된 후 제어 명령을 선택 시, 장치는 각 게임 컨텐츠들마다 생성된 제어명령 테이블을 로드할 수 있다. 즉, 명령 테이블은 게임 컨텐츠들마다 각각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명령 테이블에 저장된 제어명령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이 서로 같거나 다르도록 설정 및 저장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명령 테이블은 게임마다 존재하는 동시에,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따라서 존재할 수 있다. 명령 테이블은 선택하는 것은 제어 명령을 선택 시마다 선택할 수도 있으나, 게임 컨텐츠가 실행됨을 감지할 때 선택하여 임시 저장 공간에 저장함으로써 시스템 상의 로드를 줄일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컨트롤 인터페이스 및 실행되는 게임 컨텐츠에 매칭되는 명령 테이블이 저장될 것이며, 장치는 명령 테이블로부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선택한다.
S40 단계가 수행되면, 서버는 선택된 제어명령을 게임 컨텐츠에 전송하여 게임 플레이를 조작하도록 하는 단계(S50)를 수행한다. S50 단계가 수행되면, 사용자는 외부단말에 표시되는 게임 화면에서, 자신이 이동통신단말의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한 신호에 따라서 게임이 조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외부단말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플레이하는 것을 조작할 수 있으며, 하나의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다양한 게임을 효율적으로 조작할 수 있어, 일종의 게임 컨트롤러로서 이동통신단말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구체적인 흐름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게임 컨텐츠가 실행되고 이동통신단말과 장치가 서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됨을 감지하는 단계(S10, S20)를 수행한 뒤, 이동통신단말에서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실행 및 표시됨을 감지하는 단계(S31)를 수행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과 장치가 연결되는 것은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자동으로 감지하거나,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상의 메뉴를 선택 시 감지하고 있다.
이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표시되는 메뉴 중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메뉴가 존재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바로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즉, S31 단계는 S20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거나, 어플리케이션 상의 메뉴를 선택 시 수행될 수 있다.
S31 단계가 수행되면, 장치는 상기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 중, 이동통신단말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를 로드하는 단계(32)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는, 컨트롤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가능한 입력 신호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대한 일종의 식별 번호를 포함하여, 이후 명령 테이블 선택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명령 테이블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컨트롤 인터페이스마다 서로 같거나 다른 명령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관한 식별 번호를 통해,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매칭되는 명령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다.
즉, S32 단계가 수행된 후, 장치는 로드된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에 매칭되는 명령 테이블을 로드하는 단계(S33)를 수행한다.
S33 단계를 통해 명령 테이블이 로드되면, 제어명령을 선택하여 게임 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는 준비가 된 상태로 인식되며, 이후 장치는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4)를 수행하여, 이후의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도 2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 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게임을 하나의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통해 조작할 수 있는 효과와 유사한 효과, 즉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다양한 종류로 존재하더라도 이를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 OS와 안드로이드 OS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컨트롤 인터페이스 역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만을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과, 터치스크린과 버튼 식 입력 수단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에서는 제공되는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메뉴는 서로 다르게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서 생성되는 입력신호 역시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명령 테이블을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따라서 로드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이동통신장치에서 하나의 외부단말에 접속하여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흐름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장치는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과, 이동통신단말에 내장된 센서를 통한 센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5)를 수행한다.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은, 상기 도 1 및 2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등에 의해 표시되는 조이패드 등의 형식의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표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상에 조이패드 형식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을 파지하고, 조이패드를 이용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버튼 메뉴를 터치하게 된다. 이때 각 터치되는 버튼 메뉴에 대응하도록 입력 신호가 생성된다.
한편, 센서 입력은 이동통신단말마다 내장될 수 있는 센서에 의한 출력값을 의미한다. 즉 센서가 센서의 종류에 따라서 이동통신단말 자체에서 감지하는 모든 센싱 결과가 센서 입력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지자계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등 이동통신단말의 충격, 위치 이동, 상하 회전, 흔들기 등의 모션을 인식하는 센서들의 출력값이 센서 입력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센서 입력은 자이로 센서, 지자계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등 센서의 종류에 따라서 출력되는 방위각, 각속도, 가속도, 중력값 등의 아날로그 값이거나, 컨버터에 의해 전환된 디지털 신호가 될 수 있다.
이후 장치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단계(S40)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사익 언급한 바와 같이 게임 컨텐츠에 따라서 서로 다른 명령 테이블이 존재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게임 컨텐츠에 따라서 서로 다른 입력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게임에서는 버튼 입력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제2 게임에서는 이동통신단말의 회전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게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게임과 제2 게임에 매칭되는 명령 테이블에는, 각 입력 신호마다 제어명령이 저장될 때, 서로 다른 입력 신호가 제어명령에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게임에 매칭되는 명령 테이블에는, 버튼 메뉴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에 매칭되는 제어명령만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제2 게임에 매칭되는 명령 테이블에는 버튼 메뉴 이외에, 이동통신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입력에 매칭되는 제어명령이 저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게임 컨텐츠마다 서로 같거나 다르게 필요로 하는 입력 신호에 따라서 유연한 제어가 가능하며, 이동통신단말을 외부단말에서 실행되는 게임 컨텐츠에 대한 컨트롤러로서 사용 가능한 범위를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장치는 외부단말에서 게임 컨텐츠가 실행됨을 감지하고, 장치와 이동통신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감지한 후,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의 실시예에 따라서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 컨텐츠의 게임 플레이를 제어하게 된다. 게임 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 또는 센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 및 이에 매칭되는 제어명령을 통해 게임을 조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게임 플레이 도중, 장치는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중 어느 한 이벤트가 게임 플레이에 따라서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단계(S60)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이벤트는, 게임 플레이 도중 중요한 상황이 되거나, 게임 플레이 시 일정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 또는 개발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서 설정된 모든 상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축구 게임에서는 골을 넣거나 태클을 당하는 상황, 롤플레잉 게임에서는 캐릭터의 레벨이 상승하거나 캐릭터가 죽는 상황, 퍼즐 게임에서는 퍼즐이 완성되어 해당 퍼즐이 사라지는 등의 모든 상황이 이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에는 게임 데이터에 따라서 이벤트 효과가 각각 매칭될 수 있다. 장치는 장치 또는 게임 컨텐츠 데이터에 기저장된 이벤트 효과 테이블에 저장된 효과 컨텐츠 중, 발생한 것으로 S60 단계에서 감지된 이벤트에 매칭되는 효과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S70)를 수행한다.
효과 컨텐츠는 각 이벤트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릭터가 죽는 이벤트에서는 영상, 진동 및 음성 효과가 동시에 발생하거나, 이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발생될 수 있다.
S70 단계에 의해 효과 컨텐츠가 선택되면, 장치는 선택된 효과 컨텐츠가 이동통신단말에서 실행되도록 선택된 효과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80)를 수행한다.
S80 단계가 수행됨에 따라서 효과 컨텐츠는 이동통신단말에서 일련의 프로세스를 거쳐 수행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상의 효과 컨텐츠 실행 모듈이 효과 컨텐츠의 실행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효과 컨텐츠는 이동통신단말에 전달되며, 이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이 효과 컨텐츠를 실질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의 수행 결과,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에서 외부단말에서 실행되는 게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대한 효과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캐릭터가 죽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영상, 음성 및 진동 컨텐츠가 이동통신단말에서 실행되어, 사용자는 자신이 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의 표시부에서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깜박인다거나, 음성 효과가 재생되고, 이동통신단말이 기설정된 기간 동안 진동하는 것을 체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효과 컨텐츠는, 이동통신단말의 진동 모터를 작동하여 진동시키는 효과, 표시부 등 이동통신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효과 및 이동통신단말의 스피커 등 음성출력모듈을 이용하여 출력되는 음성 효과 등에 대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체감형 게임 등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효과 컨텐츠의 재생이 필수적인 게임에 있어서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을 외부단말에서 실행되는 게임 컨텐츠의 컨트롤러로 활용하는 동시에,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자신이 직접 게임 상에서 활동하는 것과 같은 체감을 느낄 수 있어, 게임 이용률의 향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이를 생략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20)을 통한 게임 컨트롤 장치(10)(이하 장치라 한다.)는, 입력신호 수신부(11), 제어명령 선택부(12) 및 제어명령 송신부(13)를 포함하며, 도 4의 실시예에 대응하여 효과 제공부(14)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동통신단말(20) 및 게임 컨텐츠가 실행되는 프로세서로서 게임 컨텐츠 실행 모듈(3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담당하는 통신 수단은 당연히 포함될 것이다.
입력신호 수신부(11)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게임 컨텐츠의 실행 및 이동통신단말(20)과의 네트워크 연결을 감지하는 동시에, 컨트롤 인터페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신호 수신부(11)는 상기 도 1 및 2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게임 컨텐츠 실행 모듈(30) 및 이동통신단말(20)로부터, 게임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대한 식별 번호 등을 함께 수신하여, 명령 테이블의 선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명령 선택부(12)는 기저장된 명령 테이블로부터, 명령 테이블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들 중, 입력신호 수신부(11)가 수신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명령 선택부(12)에는 게임 컨텐츠 및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따라서 복수의 명령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명령 선택부(12)는 입력신호 수신부(11)로부터 게임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대한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이에 매칭되는 명령 테이블을 로드하여 임시 저장 공간에 저장한 뒤, 입력 신호에 매칭되는 제어명령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명령 송신부(13)는, 제어명령 선택부(12)에 의해 선택된 제어명령을 게임 컨텐츠 실행 모듈(30)에 전달하여, 게임 플레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한다. 즉 게임 컨텐츠 내에 제어명령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20)을 통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 표시되는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단말의 게임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20)을 통해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신호에는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따라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과, 이동통신단말(20)에 내장된 상기 언급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감지하는 센서 입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효과 제공부(14)는, 게임 플레이 도중,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중 어느 한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경우, 효과 제공부(14) 등에 기저장된 이벤트 효과 테이블에 저장된 효과 컨텐츠 중 이벤트에 매칭되는 효과 컨텐츠를 선택하여 이동통신단말(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효과 컨텐츠 역시 게임 컨텐츠에 따라서 서로 같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게임 컨텐츠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효과 테이블이 각각 저장될 수 있다. 효과 제공부(14)는 입력 신호 수신부(11)로부터 게임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매칭되는 이벤트 효과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다.
효과 제공부(14)는 통해 이동통신단말(20)에는 이동통신단말(20)을 진동시키는 효과, 이동통신단말(20)이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효과 및 이동통신단말(20)의 음성출력모듈을 이용해 출력되는 음성 효과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컨텐츠가 전달될 것이다.
도 6 내지 12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이동통신단말 또는 외부단말에 제공되는 서비스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6에는 상기 언급한 게임 컨트롤을 위해 이동통신단말에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0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실행 화면(100)에서 사용자는 실행 메뉴(101)를 터치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실행 메뉴(101)가 터치됨을 감지하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동통신단말은 외부단말에 설치되거나 별도의 단말로 존재하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을 시도하게 된다.
도 7은 상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도가 성공될 때의 화면(11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화면(110)에는 외부단말에 저장된 장치, 즉 PC와의 연결이 성공되었음을 알리는 정보가 표시됨과 동시에,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하는 컨트롤러 실행 메뉴(111)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러 실행 메뉴(111)를 터치하여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는 컨트롤 인터페이스(12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컨트롤 인터페이스(120)에는 조이패드 형식의 화면이 표시된다. 즉, 방향 버튼(121)과 액션 버튼(122)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을 파지하고, 각 버튼(121, 122)를 터치함으로써, 마치 이동통신단말을 조이패드와 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에는 센서 입력이 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조이패드 형식의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는 이동통신단말을 좌우로 흔드는 모션(130)을 취할 수 있으며, 게임에 따라서 모션(130)의 입력이 가능한 게임의 경우, 모션(130)에 대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등이 감지한 센서 입력을 수신하여 게임 플레이를 제어하게 된다.
도 10에는 이벤트 효과가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외부 단말(200)의 표시부(201)에는 사용자의 캐릭터가 죽었음을 알리는 내용이 표시되고 있다. 이때 장치는 이동통신단말에 이동통신단말을 진동시키는 효과(140)에 대응하는 효과 컨텐츠를 전송하게 되며, 효과 컨텐츠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은 자신의 진동 모터를 작동하여 이동통신단말을 진동시키는 효과(140)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파지한 이동통신단말이 진동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도 11 및 12에는 컨트롤 안내 화면(210, 220)의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1의 컨트롤 안내 화면(210)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에 표시되는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이를 확인하여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에 표시되는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게임을 컨트롤하는 방법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2의 컨트롤 안내 화면(220)에는 이동통신단말을 움직이는 것을 통해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을 좌우로 회전하여 캐릭터가 이동하는 방향을 컨트롤할 수 있으며, 상하로 흔들어서 캐릭터가 점프하는 액션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기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게임 정보에 따라서 게임 A에 대응하는 명령 테이블(310)을 확인할 수 있다.
명령 테이블(310)에는, 입력신호(311)와 입력신호(311)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명령(312)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명령 테이블(310)이 로딩되면, 장치는 명령 테이블(310)을 참조하여 수신한 입력 신호(311)에 매칭되는 제어명령(312)을 선택하여 외부단말의 게임 컨텐츠 실행 모듈에 전달하게 된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외부단말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컨트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상기 외부단말에서의 게임 컨텐츠의 실행과 상기 장치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이고,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인터페이스인 컨트롤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기저장된 명령 테이블로부터, 실행되고 있는 상기 게임 컨텐츠에서의 게임 플레이를 위해 상기 명령 테이블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 중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어명령에 따라서 상기 게임 플레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상기 선택된 제어명령을 상기 게임 컨텐츠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장된 명령 테이블은 상기 외부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게임 컨텐츠들마다 생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임 컨텐츠들마다 생성된 상기 명령 테이블 중, 실행되고 있는 상기 게임 컨텐츠에 매칭되는 명령 테이블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명령 테이블로부터 상기 명령 테이블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 중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명령 테이블마다 서로 같거나 다르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인터페이스는 상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에서 상기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감지하는 단계;
    기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 중, 상기 이동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를 로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인터페이스마다 저장된 상기 명령 테이블 중, 상기 로드된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에 매칭되는 명령 테이블을 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는,
    상기 컨트롤 인터페이스마다 할당된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는,
    상기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내장된 센서가 감지하는 센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
  7.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외부단말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컨트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상기 외부단말에서의 게임 컨텐츠의 실행과 상기 장치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서 상기 실행되고 있는 게임 컨텐츠의 게임 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게임 플레이 도중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중 어느 한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단계;
    기저장된 이벤트 효과 테이블에 저장된 효과 컨텐츠 중,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이벤트에 매칭되는 효과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효과 컨텐츠가 상기 이동통신단말에서 실행되도록 상기 선택된 효과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 컨텐츠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을 진동시키는 효과,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효과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음성출력모듈을 이용해 출력되는 음성 효과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는,
    상기 게임 플레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내장된 센서가 감지하는 센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서로 같거나 다르게 매칭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 중, 상기 실행되고 있는 게임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을 로드하는 단계;
    상기 로드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 중,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어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게임 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
  11. 외부단말에서의 게임 컨텐츠의 실행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과의 네트워크 연결을 감지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이고,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인터페이스인 컨트롤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신호 수신부;
    기저장된 명령 테이블로부터, 실행되고 있는 상기 게임 컨텐츠에서의 게임 플레이를 위해 상기 명령 테이블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 중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제어명령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제어명령에 따라서 상기 게임 플레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상기 선택된 제어명령을 상기 게임 컨텐츠에 전송하는 제어명령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장된 명령 테이블은 상기 외부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게임 컨텐츠들마다 생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명령 선택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임 컨텐츠들마다 생성된 상기 명령 테이블 중, 실행되고 있는 상기 게임 컨텐츠에 매칭되는 명령 테이블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명령 테이블로부터 상기 명령 테이블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 중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는,
    상기 컨트롤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내장된 센서가 감지하는 센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플레이 도중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중 어느 한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경우, 기저장된 이벤트 효과 테이블에 저장된 효과 컨텐츠 중,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이벤트에 매칭되는 효과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효과 컨텐츠가 상기 이동통신단말에서 실행되도록 상기 선택된 효과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전송하는 효과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 컨텐츠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을 진동시키는 효과,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효과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음성출력모듈을 이용해 출력되는 음성 효과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장치.
  16.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외부단말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컨트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상기 외부단말에서의 게임 컨텐츠의 실행과 상기 장치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이고,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인터페이스인 컨트롤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기저장된 명령 테이블로부터, 실행되고 있는 상기 게임 컨텐츠에서의 게임 플레이를 위해 상기 명령 테이블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명령 중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어명령에 따라서 상기 게임 플레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상기 선택된 제어명령을 상기 게임 컨텐츠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7.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외부단말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컨트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상기 외부단말에서의 게임 컨텐츠의 실행과 상기 장치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서 상기 실행되고 있는 게임 컨텐츠의 게임 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게임 플레이 도중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중 어느 한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단계;
    기저장된 이벤트 효과 테이블에 저장된 효과 컨텐츠 중,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이벤트에 매칭되는 효과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효과 컨텐츠가 상기 이동통신단말에서 실행되도록 상기 선택된 효과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102401A 2012-09-14 2012-09-14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 및 장치 KR201400364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401A KR20140036459A (ko) 2012-09-14 2012-09-14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 및 장치
PCT/KR2013/008368 WO2014042484A1 (ko) 2012-09-14 2013-09-16 게임 제공 방법, 단말, 서버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401A KR20140036459A (ko) 2012-09-14 2012-09-14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459A true KR20140036459A (ko) 2014-03-26

Family

ID=50645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401A KR20140036459A (ko) 2012-09-14 2012-09-14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64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4062A1 (en) * 2015-10-28 2017-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ing user interface of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remote control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4062A1 (en) * 2015-10-28 2017-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ing user interface of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remote control device
US10194190B2 (en) 2015-10-28 2019-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ing user interface of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remote control device
US11044510B2 (en) 2015-10-28 2021-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ing user interface of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remote contro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46938B (zh) 触摸屏的配置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0362158B2 (en)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3357177A (zh) 使用便携式游戏装置来记录或修改在主游戏系统上实时运行的游戏或应用
CN105854295B (zh) 一种利用便携数码设备实现多人游戏的方法、装置及系统
KR20200113834A (ko)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TWI798499B (zh) 遊戲控制方法及裝置
CN113797527B (zh) 一种游戏处理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CN111325597A (zh) 一种应用程序推荐方法及电子设备
KR20140036459A (ko)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게임 컨트롤 방법 및 장치
KR102308927B1 (ko)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04599B1 (ko)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TWI729323B (zh) 互動式遊戲系統
KR102584901B1 (ko) 이벤트 정보 송신 장치 및 방법, 이벤트 정보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2557808B1 (ko)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메모 공유 방법
TWM449618U (zh) 用於互動遊戲的可設定手持式電子系統
KR102268743B1 (ko) 게임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11564B1 (ko)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20110352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1389352B1 (ko)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을 입력으로 하는 게임방법, 게임장치 및 기록매체
KR102369256B1 (ko)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KR102369251B1 (ko)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TW201321051A (zh) 棒球遊戲的投球方法及系統
KR102170825B1 (ko) 게임 제어 장치 및 방법
JP6553228B2 (ja) プログラム、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20180027208A (ko) 위치기반 게임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