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927B1 -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927B1
KR102308927B1 KR1020200187261A KR20200187261A KR102308927B1 KR 102308927 B1 KR102308927 B1 KR 102308927B1 KR 1020200187261 A KR1020200187261 A KR 1020200187261A KR 20200187261 A KR20200187261 A KR 20200187261A KR 102308927 B1 KR102308927 B1 KR 102308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mponent area
application
inpu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5832A (ko
Inventor
기예지
김주현
유가희
이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7067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0459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200187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927B1/ko
Publication of KR20210005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감지하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모바일 기기와의 연결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현재 구동 중인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내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과 분리시켜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외부에 배치시키고, 상기 컴포넌트 영역이 제거된 애플리케이션 화면과 상기 외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이 포함된 확장 화면을 출력하는 입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METHOD FOR OUTPUTTING SCREEN AND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THE SAME}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가속화됨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의 이용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경우 그 화면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사용자가 온라인 게임을 플레이하는 데 불편함이 있다. 특히, 많은 입력을 필요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경우, 이러한 불편함은 더욱 커지게 된다. 또한, 게임 화면 내에 메뉴창, 채팅창, 스킬창 등과 같은 컴포넌트 영역이 많을수록 사용자가 온라인 게임의 다양한 상황, 기능에 집중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3378호(2017.09.13)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감지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모바일 기기와의 연결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현재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내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을 애플리케이션 화면과 분리시켜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외부에 배치시키고, 컴포넌트 영역이 제거된 애플리케이션 화면과 외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이 포함된 확장 화면을 출력하는 입출력부를 포함하고, 입출력부는, 컴포넌트 영역이 제거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대응되는 제1 화면 레이아웃으로부터 확장 화면에 대응되는 제2 화면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제1 화면 레이아웃은, 설정된 제1 레이어 패널 상에 구비되며, 제2 화면 레이아웃은, 제1 레이어 패널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2 레이어 패널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입출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내부에 배치된 다수의 컴포넌트 영역 중 하나 이상을 선택 받고, 선택된 컴포넌트 영역 각각의 배치 위치 및 크기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제2 화면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다.
각 컴포넌트 영역별로 각 컴포넌트 영역의 배치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입출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명령에 의해 컴포넌트 영역의 배치 위치를 입력 받고, 입력된 컴포넌트 영역의 배치 위치가 미리 설정된 배치 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 입력된 컴포넌트 영역의 배치 위치를 미리 설정된 배치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입출력부는, 확장 화면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외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 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컴포넌트 영역 내 지점의 위치 정보를 모바일 기기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레이저 빔을 투사하여 외부에 스크린을 형성하고 내부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스크린 상에서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빔 프로젝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면 출력 방법으로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감지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모바일 기기와의 연결을 감지하는 동작; 현재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내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을 애플리케이션 화면과 분리시켜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외부에 배치시키는 동작; 및 컴포넌트 영역이 제거된 애플리케이션 화면과 외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이 포함된 확장 화면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컴포넌트 영역을 애플리케이션 화면과 분리시켜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외부에 배치시키는 동작은, 컴포넌트 영역이 제거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대응되는 제1 화면 레이아웃으로부터 확장 화면에 대응되는 제2 화면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화면 출력 방법이 제공된다.
제1 화면 레이아웃은, 설정된 제1 레이어 패널 상에 구비되며, 제2 화면 레이아웃은, 제1 레이어 패널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2 레이어 패널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컴포넌트 영역을 애플리케이션 화면과 분리시켜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외부에 배치시키는 동작은, 사용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내부에 배치된 다수의 컴포넌트 영역 중 하나 이상을 선택 받고, 선택된 컴포넌트 영역 각각의 배치 위치 및 크기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제2 화면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다.
각 컴포넌트 영역별로 각 컴포넌트 영역의 배치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컴포넌트 영역을 애플리케이션 화면과 분리시켜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외부에 배치시키는 동작은, 사용자의 터치 명령에 의해 컴포넌트 영역의 배치 위치를 입력 받고, 입력된 컴포넌트 영역의 배치 위치가 미리 설정된 배치 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 입력된 컴포넌트 영역의 배치 위치를 미리 설정된 배치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화면 출력 방법은, 확장 화면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외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 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면 출력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컴포넌트 영역 내 지점의 위치 정보를 모바일 기기로 전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감지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모바일 기기와의 연결을 감지하고,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는, 현재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내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을 애플리케이션 화면과 분리시켜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외부에 배치시키고, 컴포넌트 영역이 제거된 애플리케이션 화면과 외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이 포함된 확장 화면을 출력하되, 컴포넌트 영역을 애플리케이션 화면과 분리시켜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외부에 배치시킴에 있어서, 컴포넌트 영역이 제거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대응되는 제1 화면 레이아웃으로부터 확장 화면에 대응되는 제2 화면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 출력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 및 컴포넌트 영역의 예시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출력 시스템의 예시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화면의 예시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출력 시스템의 예시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출력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에서 "게임"이란, 한 명 또는 그 이상의 게이머들이 게이밍 디바이스에 탑재되거나 연결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즐길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통상 플레이어 캐릭터를 직접 조작하거나, 게임 내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등의 방식으로 진행되며, 롤플레잉, 어드벤쳐, 아케이드 등으로 장르가 구분되기도 한다.
이하에서 "게이밍 디바이스"란 게임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되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며, 출력장치를 통해 결과를 출력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랩탑(Laptop Computer), 게임 콘솔(Game Console), 스마트폰(Smart Phone), 타블렛(Tablet) PC, 스마트 밴드(Smart Band)나 스마트 와치(Smart Watch)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의 형태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정의를 만족하는 하드웨어라면 게이밍 디바이스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하에서 "온라인 게임"이란, 게임의 플레이를 위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야 하는 게임을 의미한다. 통상 원격지의 둘 이상의 게이밍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거나, 서버를 통해 동기화되어 즐기는 게임을 의미한다. 상기의 정의를 만족하는 것이라면 게임을 실행하는 게이밍 디바이스의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개인용 컴퓨터나 게임 콘솔에서 실행되는 게임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에서 실행되는 게임, 또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게이밍 디바이스(서로 다른 종류의 게이밍 디바이스도 포함한다)가 연동되거나 클라우드에서 실행되는 게임 또한 상기 정의를 만족하는 것이라면 온라인 게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하에서 "입력장치(Input Device)"란, 게이밍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조이스틱, 마우스, 키보드, 터치스크린, 하드웨어 버튼 또는 스티어링 휠, 악기, 총, 장갑, 발판 등의 형태로 제조된 게임 조작 전용 입력장치를 들 수 있다. 이외에도 게이밍 디바이스에 탑재되거나 연동되는 각종 센서(온도 센서, 적외선 센서, 모션센서, 자이로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등)나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실내 위치 확인 시스템(Indoor Positioning System) 등의 위치 확인 수단 또한 입력장치의 일 예로 들 수 있다.
이하에서 "출력장치(OutputDevice)"란, 게이밍 디바이스의 연산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연산 결과는 인간의 오감을 이용하여 인지될 수 있는 형태로 표시된다. 반드시시각이나 청각적으로 표시되는 경우 로 한정되지 않으며 후각적, 촉각적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예컨대, 스피커나 모니터,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와 같은 전형적인 하드웨어가 상기 정의를 만족하지만, 이외에도 3D 프린터와 같이 촉각적 형태로 출력하거나, 진동이나 향기, 바람을 발생시키는 장치 또한 출력장치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상기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는 게이밍 디바이스의 일 요소로서 게이밍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도 있고, 게이밍 디바이스와별도의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100) 및 컴포넌트 영역(110)의 예시이다.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는 예를 들어, 온라인 게임 서비스,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Instant Message Service) 등이 될 수 있으나 상기 서비스의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서비스가 온라인 게임 서비스인 것으로 가정한다.
모바일 기기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은 예를 들어, 게임 화면일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의 내부에는 메뉴창, 채팅창, 스킬창, 상태창, 퀘스트(quest) 창 등과 같은 다수의 컴포넌트 영역(1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 영역(110)의 개수, 종류 등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 현재 출력 중인 애플리케이션 화면(100)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을 응시하면서 온라인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컴포넌트 영역(110)을 입력하여 상기 온라인 게임과 관련된 여러 부가적인 기능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컴포넌트 영역(110)을 터치하여 상기 컴포넌트 영역(110)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바일 기기의 경우 화면 크기가 작고 이로 인해 사용자 입력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상술한 애플리케이션 화면(100) 내에 다수의 컴포넌트 영역(110)이 존재함에 따라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에 온전히 집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의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화면 출력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출력 시스템의 예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출력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모바일 기기(30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300)는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모바일 기기(300)와 연동하여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화면을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레이저 빔을 투사하여 외부에 스크린을 형성하고 내부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상기 스크린 상에서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빔 프로젝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예를 들어, 레이저 빔을 투시하는 부분에 내장된 적외선 센서를 통해 초당 60프레임으로 스캐닝하면서 상기 스크린에서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방식으로 상기 스크린 상에서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레이저 빔에 의해 형성된 스크린을 응시하면서 상기 스크린을 직접 터치하여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부가적인 기능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의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에 애플리케이션 화면(100) 대신 확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현재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의 내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110)을 애플리케이션 화면(100)과 분리시켜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의 외부에 배치시키고, 컴포넌트 영역(110)이 제거된 애플리케이션 화면(100)과 상기 외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110)이 포함된 확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컴포넌트 영역(110)이 제거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에 대응되는 제1 화면 레이아웃으로부터 상기 확장 화면에 대응되는 제2 화면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으며, 스크린 출력시 상기 제1 화면 레이아웃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을 그대로 불러오지 않고 제2 화면 레이아웃에 대응되는 확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모바일 기기(300)와의 연결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확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모바일 기기(300)와의 연결을 감지함에 따라 제1 화면 레이아웃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화면 전환 명령에 따라 제1 화면 레이아웃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을 제2 화면 레이아웃에 대응되는 확장 화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스크린 상에서 컴포넌트 영역(110)의 배치 위치나 크기를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하여 제2 화면 레이아웃을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화면(120)의 예시이다. 여기서, 초기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즉, 제1 화면 레이아웃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내부에는 8개의 A 컴포넌트 영역(110) ~ H 컴포넌트 영역(110)이 배치된 것으로 가정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의 내부에 배치된 다수의 컴포넌트 영역(110) 중 하나 이상을 선택 받고, 선택된 컴포넌트 영역(110) 각각의 배치 위치 및 크기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제2 화면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스크린 상에서 특정 컴포넌트 영역(110)을 터치하여 선택하고, 상기 특정 컴포넌트 영역(110)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컴포넌트 영역(110)을 원하는 위치로 드래그(drag)함으로써 제2 화면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B 컴포넌트 영역, C 컴포넌트 영역 및 H 컴포넌트 영역을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의 외부로 각각 배치시키고 이들 컴포넌트 영역의 크기를 각각 조정하여 제2 화면 레이아웃을 구성하였다. 이 경우, 새롭게 구성된 제2 화면 레이아웃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의 내부에는 B 컴포넌트 영역, C 컴포넌트 영역 및 H 컴포넌트 영역이 제거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2 화면 레이아웃에 대응되는 확장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보다 큰 화면으로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을 응시함과 동시에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의 외부에서 컴포넌트 영역(110)을 조작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화면(100) 내 다양한 상황, 기능들에 보다 집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컴포넌트 영역(110)별로 상기 각 컴포넌트 영역(110)의 배치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의 터치 명령에 의해 컴포넌트 영역(110)의 배치 위치를 입력 받을 수 있으나, 입력된 컴포넌트 영역(110)의 배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상기 배치 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 입력된 컴포넌트 영역(110)의 배치 위치를 미리 설정된 상기 배치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화면 레이아웃과, 사용자에 의해 커스터마이징되거나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제2 화면 레이아웃들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내부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화면 레이아웃은 설정된 가상의 제1 레이어 패널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화면 레이아웃은 제1 레이어 패널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2 레이어 패널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화면 레이아웃과 제2 화면 레이아웃은 레이어(layer) 형태로 순차적으로 축적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레이어 패널로부터 새로운 제2 화면 레이아웃을 새롭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미 구성된 제2 레이어 패널로부터 제2 화면 레이아웃을 변경하거나 새롭게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화면 레이아웃에 대응되는 확장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확장 화면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의 외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110) 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예를 들어, 상기 확장 화면을 별도의 모바일 컨트롤러(미도시)와 연동시켜 상기 모바일 컨트롤러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컴포넌트 영역(110) 내 지점의 위치 정보를 모바일 기기(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3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컴포넌트 영역(110)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출력 시스템의 예시이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내부에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감지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화면을 출력한다. 앞선 실시예와 달리,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OS)를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어 모바일 기기(300)와의 연동이 불필요하다.
일 예시로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터치 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상술한 확장 화면을 출력하고, 내부에 구비된 터치 센서를 통해 상기 확장 화면 상에서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확장 화면을 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출력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감지부(202), 입출력부(204) 및 인터페이스부(206)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감지부(202), 입출력부(204) 및 인터페이스부(206)는 물리적으로 구분된 하나 이상의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되거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도시된 예와 달리 구체적 동작에 있어 명확히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감지부(202)는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감지하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모바일 기기(300)와의 연결을 감지한다. 일 예시로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OS)를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경우, 감지부(202)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모바일 기기(30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경우, 감지부(202)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모바일 기기(300)와의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입출력부(204)는 현재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의 내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110)을 애플리케이션 화면(100)과 분리시켜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의 외부에 배치시키고, 컴포넌트 영역(110)이 제거된 애플리케이션 화면(100)과 상기 외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110)이 포함된 확장 화면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입출력부(204)는 컴포넌트 영역(110)이 제거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에 대응되는 제1 화면 레이아웃으로부터 상기 확장 화면에 대응되는 제2 화면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으며, 스크린 출력시 상기 제1 화면 레이아웃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을 그대로 불러오지 않고 제2 화면 레이아웃에 대응되는 확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입출력부(204)는 상기 제1 화면 레이아웃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을 출력한 뒤 사용자의 화면 전환 명령에 따라 제1 화면 레이아웃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을 제2 화면 레이아웃에 대응되는 확장 화면으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모바일 기기(300)와의 연결을 감지함에 따라 제2 화면 레이아웃에 대응되는 확장 화면을 곧바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스크린 상에서 컴포넌트 영역(110)의 배치 위치나 크기를 커스터마이징하여 제2 화면 레이아웃을 직접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출력부(204)는 사용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의 내부에 배치된 다수의 컴포넌트 영역(110) 중 하나 이상을 선택 받고, 선택된 컴포넌트 영역(110) 각각의 배치 위치 및 크기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제2 화면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각 컴포넌트 영역별로 각 컴포넌트 영역의 배치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입출력부(204)는 사용자의 터치 명령에 의해 컴포넌트 영역(110)의 배치 위치를 입력 받고, 입력된 컴포넌트 영역(110)의 배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상기 배치 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 입력된 컴포넌트 영역(110)의 배치 위치를 미리 설정된 상기 배치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204)는 상기 확장 화면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의 외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110) 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6)는 모바일 기기(300)와 연동하여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한다. 인터페이스부(206)는 블루투스 모듈, 와이파이 모듈 등과 같은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모바일 기기(300)와 연결되어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인터페이스부(206)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모바일 기기(300)와 연결되는 경우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정보(예를 들어, 현재 모바일 기기(300)에서 출력되는 화면 정보, 화면 내 각 컴포넌트 영역의 위치 정보 등)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204)가 상기 확장 화면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의 외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110) 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206)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컴포넌트 영역(110) 내 지점의 위치 정보를 모바일 기기(3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출력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동작으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동작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동작과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동작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동작이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602 동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모바일 기기(300)와의 연결을 감지한다. 만약,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OS)를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내부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감지할 수 있다.
604 동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현재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의 내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110)을 애플리케이션 화면(100)과 분리시켜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의 외부에 배치시키고, 컴포넌트 영역(110)이 제거된 애플리케이션 화면(100)과 상기 외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110)이 포함된 확장 화면을 출력한다.
606 동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상기 확장 화면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의 외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110) 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다.
608 동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컴포넌트 영역(110) 내 지점의 위치 정보를 모바일 기기(300)로 전달한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모바일 기기(3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의 내부에 존재하는 컴포넌트 영역(110)을 애플리케이션 화면(100)의 외부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컴포넌트 영역(110)이 제거된 애플리케이션 화면(100)과 상기 외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110)이 포함된 확장 화면(120)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애플리케이션 화면(100) 내 다양한 상황, 기능들에 집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컴퓨팅 환경
12: 컴퓨팅 장치
14: 프로세서
16: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8: 통신 버스
20: 프로그램
22: 입출력 인터페이스
24: 입출력 장치
26: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
100: 애플리케이션 화면
110: 컴포넌트 영역
120: 확장 화면
200: 디스플레이 장치
202: 감지부
204: 입출력부
206: 인터페이스부
300: 모바일 기기

Claims (15)

  1.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감지하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모바일 기기와의 연결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현재 구동 중인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내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과 분리시켜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외부에 배치시키고, 상기 컴포넌트 영역이 제거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대응되는 제1 화면 레이아웃으로부터 상기 컴포넌트 영역이 제거된 애플리케이션 화면과 상기 외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이 포함된 확장 화면에 대응되는 제2 화면 레이아웃을 구성하고, 상기 확장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확장 화면 상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외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 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입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상기 컴포넌트 영역 내 지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 레이아웃은, 설정된 제1 레이어 패널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화면 레이아웃은, 상기 제1 레이어 패널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2 레이어 패널 상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내부에 배치된 다수의 컴포넌트 영역 중 하나 이상을 선택 받고, 선택된 상기 컴포넌트 영역 각각의 배치 위치 및 크기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제2 화면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 컴포넌트 영역별로 상기 각 컴포넌트 영역의 배치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명령에 의해 상기 컴포넌트 영역의 배치 위치를 입력 받고, 입력된 상기 컴포넌트 영역의 배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상기 배치 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 입력된 상기 컴포넌트 영역의 배치 위치를 미리 설정된 상기 배치 위치로 보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레이저 빔을 투사하여 외부에 스크린을 형성하고 내부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상기 스크린 상에서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빔 프로젝터인,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인, 디스플레이 장치.
  9.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면 출력 방법으로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감지하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모바일 기기와의 연결을 감지하는 동작;
    현재 구동 중인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내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과 분리시켜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외부에 배치시키되, 상기 컴포넌트 영역이 제거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대응되는 제1 화면 레이아웃으로부터 상기 컴포넌트 영역이 제거된 애플리케이션 화면과 상기 외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이 포함된 확장 화면에 대응되는 제2 화면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동작;
    상기 확장 화면을 출력하는 동작;
    상기 확장 화면 상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외부에 배치된 컴포넌트 영역 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상기 컴포넌트 영역 내 지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화면 출력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 레이아웃은, 설정된 제1 레이어 패널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화면 레이아웃은, 상기 제1 레이어 패널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2 레이어 패널 상에 구비되는, 화면 출력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 영역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과 분리시켜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외부에 배치시키는 동작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내부에 배치된 다수의 컴포넌트 영역 중 하나 이상을 선택 받고, 선택된 상기 컴포넌트 영역 각각의 배치 위치 및 크기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제2 화면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화면 출력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각 컴포넌트 영역별로 상기 각 컴포넌트 영역의 배치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컴포넌트 영역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과 분리시켜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외부에 배치시키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 명령에 의해 상기 컴포넌트 영역의 배치 위치를 입력 받고, 입력된 상기 컴포넌트 영역의 배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상기 배치 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 입력된 상기 컴포넌트 영역의 배치 위치를 미리 설정된 상기 배치 위치로 보정하는, 화면 출력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00187261A 2018-12-27 2020-12-30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8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261A KR102308927B1 (ko) 2018-12-27 2020-12-30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676A KR102204599B1 (ko) 2018-12-27 2018-12-27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187261A KR102308927B1 (ko) 2018-12-27 2020-12-30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676A Division KR102204599B1 (ko) 2018-12-27 2018-12-27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832A KR20210005832A (ko) 2021-01-15
KR102308927B1 true KR102308927B1 (ko) 2021-10-05

Family

ID=74126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261A KR102308927B1 (ko) 2018-12-27 2020-12-30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9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0054A (ko) * 2022-10-11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97292A1 (en) 2011-05-16 2012-11-22 Microsoft Corporation Informed partitioning of data in a markup-based document
US20140068520A1 (en) 2012-08-29 2014-03-06 Apple Inc. Content presentation and interaction across multiple displays
US20140223490A1 (en) 2013-02-07 2014-08-07 Shanghai Powermo Information 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tuitive user interaction between multiple devices
US20170078504A1 (en) 2015-09-15 2017-03-16 Ricoh Company, Ltd. Display input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257A (ko) * 2001-10-19 2003-05-01 주식회사 눈앤누브시스템 다수개의 모니터를 갖는 컴퓨터를 통한 컴퓨터 프로그램의동시 다중 작업 연결 구동 방법
KR101869095B1 (ko) * 2011-08-23 201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40117919A (ko) * 2013-03-27 2014-10-08 이창제 스마트폰 도킹 장치
KR20170103378A (ko) 2016-03-04 2017-09-13 주식회사 이노스파크 모바일 게임에서의 화면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97292A1 (en) 2011-05-16 2012-11-22 Microsoft Corporation Informed partitioning of data in a markup-based document
US20140068520A1 (en) 2012-08-29 2014-03-06 Apple Inc. Content presentation and interaction across multiple displays
US20140223490A1 (en) 2013-02-07 2014-08-07 Shanghai Powermo Information 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tuitive user interaction between multiple devices
US20170078504A1 (en) 2015-09-15 2017-03-16 Ricoh Company, Ltd. Display input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832A (ko)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30119B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470111B2 (ja) メッセージ送信機能を備えたゲームプログラム、メッセージ送信方法及びメッセージ送信機能付きコンピュータ端末
JP5953418B1 (ja) ユーザ入力の操作性を向上させるプログラム、電子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80078856A1 (en) Program, game system,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game control method for improving operability for user input
EP2538308A2 (en) Motion-based control of a controllled device
KR102308927B1 (ko)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16220847A (ja) メッセージ送信機能を備えたゲームプログラム、メッセージ送信方法及びメッセージ送信機能付きコンピュータ端末
US9665232B2 (en)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storage medium,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processing system for enlarging or reducing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KR20200113834A (ko) 애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04599B1 (ko)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60409B1 (ko) 게임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20190078196A (ko) 게임 객체 선택 장치 및 방법
KR102609293B1 (ko) 게임 동작 결정 장치 및 방법
CN113797527B (zh) 一种游戏处理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KR102557808B1 (ko)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메모 공유 방법
KR20210078141A (ko)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69251B1 (ko)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KR102369256B1 (ko)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KR102268743B1 (ko) 게임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703521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キャラクタ移動制御プログラム
KR20190131673A (ko) 타겟 객체 선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게이밍 디바이스
KR102595353B1 (ko)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66311B1 (ko) 동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40149146A1 (en) Infinite drag and swipe u turn
US20240149155A1 (en) Virtual automatic ai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