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829A - 촬상 렌즈 - Google Patents

촬상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829A
KR20140035829A KR1020130107710A KR20130107710A KR20140035829A KR 20140035829 A KR20140035829 A KR 20140035829A KR 1020130107710 A KR1020130107710 A KR 1020130107710A KR 20130107710 A KR20130107710 A KR 20130107710A KR 20140035829 A KR20140035829 A KR 20140035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ocal length
conditional expression
imaging len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5740B1 (ko
Inventor
유호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3189951A priority Critical patent/JP5877183B2/ja
Priority to US14/027,090 priority patent/US9046672B2/en
Priority to TW102133268A priority patent/TWI525337B/zh
Priority to EP13184323.7A priority patent/EP2708929A3/en
Priority to CN201310570983.8A priority patent/CN104133283B/zh
Publication of KR20140035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상 렌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촬상 렌즈는, 양(+)의 파워를 갖는 제1 렌즈와, 양(+)의 파워를 갖는 제2 렌즈와, 양(+) 또는 음(-)의 파워를 갖는 제3 렌즈와, 양(+) 또는 음(-)의 파워를 갖는 제4 렌즈와, 양(+) 또는 음(-)의 파워를 갖는 제5 렌즈 및 음(-)의 파워를 갖는 제6 렌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촬상 렌즈{IMAGING LENS}
본 발명은 촬상 렌즈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 및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최근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한 전화기능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으로 멀티 컨버전스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멀티 컨버전스로의 전개를 이끌어 가는 것 중의 하나로서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이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CCM:COMPACT CAMERA MOUDULE)은 소형으로써 카메라폰이나 PDA,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와 토이 카메라(TOY CAMERA) 등의 다양한 IT 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 장착되는 렌즈의 경우 고화소를 구현하기 위하여 4매 또는 5매 구조의 렌즈가 사용되었으나, 픽셀 사이즈(pixel size)가 작아짐에 따라서 성능구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촬상 렌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양(+)의 파워를 갖는 제1 렌즈와, 양(+)의 파워를 갖는 제2 렌즈와, 양(+) 또는 음(-)의 파워를 갖는 제3 렌즈와, 양(+) 또는 음(-)의 파워를 갖는 제4 렌즈와, 양(+) 또는 음(-)의 파워를 갖는 제5 렌즈 및 음(-)의 파워를 갖는 제6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렌즈, 상기 제2 렌즈, 상기 제3 렌즈, 상기 제4 렌즈 상기 제5 렌즈 및 상기 제6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렌즈 또는 상기 제4 렌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아베수가 30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렌즈는 상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렌즈는 양(+)의 파워를 갖고 물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렌즈는 양(+)의 파워를 갖고 물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렌즈는 음(-)의 파워를 갖고, 물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렌즈는 상면측 면에 변곡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렌즈는 상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상기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0.95 < TTL/F < 1.45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상기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1.15 < TTL/F < 1.45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를 F12, 상기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0.5 < F/F12 < 2.5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렌즈와 상기 제4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를 F34, 상기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2.5 < F/F34 < -0.4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렌즈는 음(-)의 파워를 갖고, 상기 제4 렌즈는 양(+)의 파워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렌즈는 음(-)의 파워를 갖고, 상기 제4 렌즈는 음(-)의 파워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렌즈는 양(+)의 파워를 갖고, 상기 제4 렌즈는 음(-)의 파워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렌즈는 양(+)의 파워를 갖고, 상기 제4 렌즈는 양(+)의 파워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5 렌즈 중 어느 하나 보다 물체측 또는 상면측에 위치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개는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과 제3 렌즈의 물체측 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의 초점거리를 F1,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0< F/F1 < 1.5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3 렌즈의 초점거리를 F3,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0.2 < |F/F3| < 2.5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5 렌즈의 초점거리를 F5, 제6 렌즈의 초점거리를 F6,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0.3 < F/F5 + F/F6 < 6.0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이미지 하이트(Image height)를 ImgH 라 할 때, 0.35 < TTL/2ImgH < 0.95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촬상 렌즈의 시야각을 FOV라 할 때, 65 < FOV < 88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와 제2 렌즈의 아베수 평균을 v12, 제3 렌즈와 제4 렌즈의 아베수 평균을 v34라 할 때, 10 < v12-v34 < 45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3 렌즈의 초점거리를 F3, 제4 렌즈의 초점거리를 F4,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0< |F/F3|+|F/F4| < 3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0.95 < TTL/F < 1.35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이 r12,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0.15 < r12/F < 0.9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의 초점거리를 F1, 제3 렌즈의 초점거리를 F3 라 할 때, 0 < |F1/F3| < 25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5 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을 r9, 제5 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을 r10 라 할 때, 0 < |(r9-r10)/(r9+r10)| < 6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제1 렌즈의 초점거리를 F1, 제2 렌즈의 초점거리를 F2 라 할 때, 0.2 < |F/F1|+|F/F2| < 4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의 초점거리를 F1, 제2 렌즈의 초점거리를 F2, 제3 렌즈의 초점거리를 F3, 제4 렌즈의 초점거리를 F4 라 할 때, 0 < (|F1|+|F2|)/(|F3|+|F4|) < 30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제4 렌즈의 초점거리를 F4, 제5 렌즈의 초점거리를 F5, 제6 렌즈의 초점거리를 F6 이라 할 때, 0.20 < |F/F4|+|F/F5|+|F/F6| < 7.5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광축상에서 제1 렌즈의 물체측면과 제6 렌즈의 상측면 사이의 거리 DL 이라 할 때, 0.7 < DL/F < 1.2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4 렌즈(140)의 아베수를 v4, 제5 렌즈(150)의 아베수를 v5 라 할 때, 42 < v4+v5 < 115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5 렌즈는 물체측 면 또는 상면측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변곡점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렌즈는 음(-)의 파워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렌즈는 물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 렌즈를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도록 형성하여 높은 해상력을 갖고, 슬림하게 형성하기 용이하며, 색수차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 제1 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제4 렌즈(140), 제5 렌즈(150) 및 제6 렌즈(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는 상기 제1 렌즈(110) 내지 상기 제6 렌즈(160) 중 어느 하나 보다 물체측 또는 상면측에 위치되는 조리개(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물체(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물체의 영상 정보에 해당되는 광은 제1 렌즈(110), 조리개(105),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제4 렌즈(140), 제5 렌즈(150), 제6 렌즈(160) 및 필터(170)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수광 소자(180)에 입사된다.
여기서, 제1 렌즈(110)는 양(+)의 파워(power)를 갖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2 렌즈(120)는 양(+)의 파워를 갖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제3 렌즈(130)는 음(-)의 파워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4 렌즈(140)는 양(+)의 파워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3 렌즈(130) 및 제4 렌즈(14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아베수(V)(Abbe number)가 V < 30 의 범위로 형성되어 색수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3 렌즈(130) 및 제4 렌즈(14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아베수(V)가 20 < V < 30 의 범위로 형성되어 색수차를 보다 더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5 렌즈(150)는 양(+)의 파워를 갖고, 물체측 및 상면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5 렌즈(150)는 물체측 면 또는 상면측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변곡점을 갖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제6 렌즈(160)는 음(-)의 파워를 갖고, 상면측 면에 변곡점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제4 렌즈(140), 제5 렌즈(150) 및 제6 렌즈(160)는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조리개(105)는 제1 렌즈(110) 내지 제5 렌즈(150) 중 어느 하나 보다 물체측 또는 상면측에 배치되고, 입사광으로 부터 입사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수렴하여 초점거리를 조절한다. 이때, 일례로 조리개(105)는 제1 렌즈(110) 보다 물체측 또는 상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조리개(105)는 제1 렌즈(110)의 물체측 면과 제3 렌즈(130)의 물체측 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105)의 위치가 일례 및 다른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터(170)는 적외선 차단 필터(IR cut filter)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170)의 종류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적외선 차단 필터는 외부 빛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이 상기 수광소자(18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적외선 차단 필터는 가시광선은 투과시키고, 적외선은 반사시켜 외부로 유출되도록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像)이 맺히는 면을 포함하는 수광소자(180)는 피사체 영상에 대응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센서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수광소자가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는 다음의 표 1과 같은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굴절률 아베수 렌즈형상 비고
S1 infinite 0 - - Flat Stop
S2 2.169 0.437 1.544 56.1 Asphere L1
S3 5.712 0.201 Asphere
S4 11.693 0.499 1.553 48.6 Asphere L2
S5 -2.849 0.050 Asphere
S6 -7.308 0.300 1.615 25.3 Asphere L3
S7 2.926 0.381 Asphere
S8 -28.676 0.704 1.564 41.9 Asphere L4
S9 -8.715 0.329 Asphere
S10 4.465 0.586 1.544 56.2 Asphere L5
S11 -2.080 0.513 Asphere
S12 -1.874 0.380 1.526 53.1 Asphere L6
S13 2.780 0.300 Asphere
S14 infinite 0.300 1.516 64.2 Flat 필터
S15 infinite 0.600 Flat
S16 infinite - - - Flat 이미지
센서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의 상기 제1 렌즈(110, L1), 상기 제2 렌즈(120, L2), 상기 제3 렌즈(130, L3), 상기 제4 렌즈(140, L4), 상기 제5 렌즈(150, L5) 및 상기 제5 렌즈(160, L6)는 모든 면이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표 1에 기재된 "-" 값은 정의되지 않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S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렌즈(100)의 광량을 결정짓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S1의 비고란에 기재된 Stop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구경 조리개(105, S1)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개(105)는 제1 렌즈(110)의 물체측 면에 배치됐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105)의 위치는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촬상렌즈(100)가 조리개(105)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렌즈면
번호
K A B C D
S2 0 -8.01E-03 5.10E-03 -4.99E-03 -8.64E-03
S3 0 -7.52E-02 1.37E-02 -1.84E-02 -2.42E-02
S4 0 -1.48E-01 -1.69E-02 8.24E-03 -4.94E-02
S5 0 -7.87E-02 5.20E-03 -2.85E-02 4.59E-03
S6 0 -5.75E-02 2.89E-03 -3.86E-02 1.93E-02
S7 0 -4.51E-02 -7.10E-04 -5.09E-04 1.49E-03
S8 0 -5.02E-02 1.16E-02 2.83E-03 -2.63E-03
S9 0 -1.55E-01 3.70E-02 -4.89E-03 -2.37E-04
S10 0 -1.00E-01 2.13E-02 -4.42E-03 -1.30E-03
S11 0 1.04E-01 -1.42E-02 -1.63E-03 -2.29E-04
S12 0 1.02E-01 -5.59E-02 2.25E-02 -3.50E-03
S13 0 -7.11E-02 9.56E-03 -9.64E-04 -7.46E-06
상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S1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구경 조리개(105, S1)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또한, S14 및 S15는 필터(170)이고, S16는 수광소자(180)인 이미지 센서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은 다음의 수학식 1로부터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Z: 렌즈의 정점에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
c: 렌즈의 기본 곡률
Y: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거리
K; 코닉 상수(Conic Constant)
A, B, C, D, E: 비구면 계수(Aspheric Constant)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상 렌즈(1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제4 렌즈(140), 제5 렌즈(150) 및 제6 렌즈(160)의 초점거리를 각각 F1, F2, F3, F4, F5 및 F6 할 때, 각각의 값은 다음의 표 3과 같다.
항목
촬상렌즈의 전체 초점거리(F) 4.282
제1 렌즈의 초점거리(F1) 6.158
제2 렌즈의 초점거리(F2) 4.193
제3 렌즈의 초점거리(F3) -3.355
제4 렌즈의 초점거리(F4) 21.906
제5 렌즈의 초점거리(F5) 2.693
제6 렌즈의 초점거리(F6) -2.079
TTL 5.500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에서 제1 렌즈(110)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촬상 렌즈(1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95 < TTL/F < 1.35 (1)
상기의 조건식(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의 TTL과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을 만족함으로써, 텔레포토(Telephoto) 형태가 가능한 촬상렌즈(1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110)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촬상 렌즈(1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1.15 < TTL/F < 1.45 (2)
상기의 조건식(2)를 만족함으로써, 상품성이 보다 좋고, 광학적인 성능확보가 보다 용이하며, 보다 슬림(slip)한 촬상 렌즈(1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의 합성 초점거리를 F12, 촬상 렌즈(1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5 < F/F12 < 2.5 (3)
상기의 조건식(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110)와 상기 제2 렌즈(120)의 파워 관계식으로, 조건식(3) 보다 작거나 큰 값으로 촬상 렌즈(100)가 설계되면 축상 성능이 떨어져 상품성이 떨어지고, 광학적 성능확보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3)을 만족함으로써, 축상 성능이 향상되어 상품성이 좋고, 광학적인 성능확보가 용이한 촬상 렌즈(1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의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의 합성 초점거리를 F34, 촬상 렌즈(1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2.5 < F/F34 < -0.4 (4)
상기의 조건식(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의 파워(Power) 관계식으로, 조건식(4) 보다 작거나 큰 값으로 촬상 렌즈(100)가 설계되면 색수차 및 비축수차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4)를 만족함으로써, 색수차 및 비축수차를 보정할 수 있어 상품성이 좋고, 광학적인 성능확보가 용이한 촬상 렌즈(1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에서 제1 렌즈(110)의 초점거리를 F1, 촬상 렌즈(1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F/F1 < 1.5 (5)
상기의 조건식(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110)의 파워 관계식으로, 조건식(5) 보다 작거나 큰 값으로 촬상 렌즈(100)가 설계되면 굴절능을 축소되여 민감도를 저감된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5)를 만족함으로써, 굴절능을 축소를 방지하여 민감도가 좋은 촬상렌즈(1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에서 제3 렌즈(130)의 초점거리를 F3, 촬상 렌즈(1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2 < |F/F3| < 2.5 (6)
상기의 조건식(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3 렌즈(130)의 파워 관계식으로, 조건식(6) 보다 작거나 큰 값으로 촬상 렌즈(100)가 설계되면 굴절능을 분산시켜 민감도 저감된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6)을 만족함으로써, 굴절능의 분산을 방지하여 민감도가 좋은 촬상렌즈(1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에서 제5 렌즈(150)의 초점거리를 F5, 제6 렌즈(160)의 초점거리를 F6, 촬상 렌즈(1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3 < F/F5 + F/F6 < 6.0 (7)
상기의 조건식(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5 렌즈(150) 및 제6 렌즈(160)의 파워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7)을 만족함으로써, 텔레포토(Telephoto) 형태가 가능한 촬상렌즈(1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에서 제1 렌즈(110)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이미지 하이트(Image height)를 ImgH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35 < TTL/2ImgH < 0.95 (8)
상기의 조건식(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의 TTL과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8)을 만족함으로써, 슬림(Slim)한 형태로 촬상렌즈(1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촬상 렌즈(100)의 시야각을 FOV(Field OF View)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65 < FOV < 88 (9)
상기의 조건식(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촬상렌즈(100)의 시야각에 대한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9)를 만족함으로써, 슬림(Slim)한 형태 및 준광각 형태로 촬상렌즈(1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에서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의 아베수 평균(average)을 v12,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의 아베수 평균을 v34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10 < v12-v34 < 45 (10)
상기의 조건식(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 및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의 분산에 대한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0)을 만족함으로써, 색수차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에서 제3 렌즈(130)의 초점거리를 F3, 제4 렌즈(140)의 초점거리를 F4, 촬상 렌즈(1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F/F3|+|F/F4| < 3 (11)
상기의 조건식(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3 렌즈(130) 및 제4 렌즈(140)의 굴절능에 대한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1)을 만족함으로써, 수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에서 제1 렌즈(110)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이 r12, 촬상 렌즈(1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15 < r12/F < 0.9 (12)
상기의 조건식(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110)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에 대한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2)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1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에서 제1 렌즈(110)의 초점거리를 F1, 제3 렌즈(130)의 초점거리를 F3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 |F1/F3| < 25 (13)
상기의 조건식(1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110) 및 제3 렌즈(130)의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3)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1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에서 제5 렌즈(150)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을 r9, 제5 렌즈(150)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을 r10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 |(r9-r10)/(r9+r10)| < 6 (14)
상기의 조건식(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5 렌즈(150)의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4)를 만족함으로써, 양(+)의 파워를 갖는 제5 렌즈(15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에서 촬상 렌즈(1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제1 렌즈(110)의 초점거리를 F1, 제2 렌즈(120)의 초점거리를 F2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2 < |F/F1|+|F/F2| < 4 (15)
상기의 조건식(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100) 전체의 파워(Power)를 결정하는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5)를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1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에서 제1 렌즈(110)의 초점거리를 F1, 제2 렌즈(120)의 초점거리를 F2, 제3 렌즈(130)의 초점거리를 F3, 제4 렌즈(140)의 초점거리를 F4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 (|F1|+|F2|)/(|F3|+|F4|) < 30 (16)
상기의 조건식(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및 제4 렌즈(140)의 파워(Power)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6)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1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에서, 촬상 렌즈(1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제4 렌즈(140)의 초점거리를 F4, 제5 렌즈(150)의 초점거리를 F5, 제6 렌즈(160)의 초점거리를 F6 이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20 < |F/F4|+|F/F5|+|F/F6| < 7.5 (17)
상기의 조건식(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4 렌즈(140), 제5 렌즈(150) 및 제6 렌즈(160)의 파워(Power)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7)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1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에서, 촬상 렌즈(1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광축상에서 제1 렌즈(110)의 물체측면과 제6 렌즈(160)의 상측면 사이의 거리 DL 이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7 < DL/F < 1.2 (18)
상기의 조건식(18)을 만족함으로써, 컴팩트(compact)한 촬상렌즈(1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에서, 제4 렌즈(140)의 아베수를 v4, 제5 렌즈(150)의 아베수를 v5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42 < v4+v5 < 115 (19)
상기의 조건식(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4 렌즈(140)와 제5 렌즈(150)의 분산에 대한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9)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1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2 및 도 3은 다수의 파장을 다수의 컬러로 표시하여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와,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아울러,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마수차(Coma Aberra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면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각 파장에 따른 구면수차를 나타낸다. 여기서, 각 파장이 수직축에 인접하여 나타남으로서 구면수차의 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비점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수직축인 물체측에서 바라본 상면 높이(ANGLE) 및 수평축인 포커스(FOCUS) 위치에 따른 x축 빛의 방향성분(X)과 y축 빛의 방향 성분(Y)의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X,Y가 서로 인접하여 나타남에 따라 이미지가 퍼지지 않고, 해상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왜곡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물체측에서 바라본 상면 높이(ANGLE)에 따른 수평축인 왜곡(Distortion)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왜곡도가 수평축인 왜곡(Distortion)의 -1 ~ +1 사이에서 주로 위치하므로 실제적으로 왜곡이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마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상면의 높이에 따라 각 파장에 따른 탄젠셜(Tangential)과 새지털(Sagittal)의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이때, 각 파장이 수평축 상에 인접하여 나타남으로써 횡색수차가 작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 제2 실시예 >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 렌즈(210), 제2 렌즈(220), 제3 렌즈(230), 제4 렌즈(240), 제5 렌즈(250) 및 제6 렌즈(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는 상기 제1 렌즈(210) 내지 상기 제6 렌즈(260) 중 어느 하나 보다 물체측 또는 상면측에 위치되는 조리개(2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물체(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물체의 영상 정보에 해당되는 광은 제1 렌즈(210), 조리개(205), 제2 렌즈(220), 제3 렌즈(230), 제4 렌즈(240), 제5 렌즈(250), 제6 렌즈(260) 및 필터(270)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수광 소자(280)에 입사된다.
여기서, 제1 렌즈(210)는 양(+)의 파워(power)를 갖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2 렌즈(220)는 양(+)의 파워를 갖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제3 렌즈(230) 및 제4 렌즈(240)는 각각 음(-)의 파워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3 렌즈(230) 및 제4 렌즈(240)가 각각 양(+)의 파워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렌즈(230) 및 제4 렌즈(24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아베수(V)가 V < 30 의 범위로 형성되어 색수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3 렌즈(230) 및 제4 렌즈(24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아베수(V)가 20 < V < 30 의 범위로 형성되어 색수차를 보다 더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5 렌즈(250)는 양(+)의 파워를 갖고, 물체측 및 상면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5 렌즈(250)는 물체측 면 또는 상면측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변곡점을 갖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제6 렌즈(260)는 음(-)의 파워를 갖고, 상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면측 면에 변곡점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렌즈(210), 제2 렌즈(220), 제3 렌즈(230), 제4 렌즈(240), 제5 렌즈(250) 및 제6 렌즈(260)는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조리개(205)는 제1 렌즈(210) 내지 제5 렌즈(250) 중 어느 하나 보다 물체측 또는 상면측에 배치되고, 입사광으로 부터 입사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수렴하여 초점거리를 조절한다. 이때, 일례로 조리개(205)는 제1 렌즈(210) 보다 물체측 또는 상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조리개(205)는 제1 렌즈(210)의 물체측 면과 제3 렌즈(230)의 물체측 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205)의 위치가 일례 및 다른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터(270)는 적외선 차단 필터(IR cut filter)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필터(270)의 종류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적외선 차단 필터는 외부 빛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이 상기 수광소자(28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적외선 차단 필터는 가시광선은 투과시키고, 적외선은 반사시켜 외부로 유출되도록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像)이 맺히는 면을 포함하는 수광 소자(280)는 피사체 영상에 대응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센서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수광소자가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는 다음의 표 4와 같은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굴절률 아베수 렌즈형상 비고
S1 infinite 0 - - Flat Stop
S2 4.993 0.421 1.553 48.7 Asphere L1
S3 -4.538 0.050 Asphere
S4 -362.542 0.634 1.544 56.1 Asphere L2
S5 -2.196 0.050 Asphere
S6 -4.304 0.300 1.615 25.9 Asphere L3
S7 8.241 0.503 Asphere
S8 -1.803 0.523 1.606 26.7 Asphere L4
S9 -3.616 0.166 Asphere
S10 5.827 0.837 1.544 55.9 Asphere L5
S11 -1.782 0.516 Asphere
S12 -2.055 0.300 1.519 55.6 Asphere L6
S13 2.814 0.300 Asphere
S14 infinite 0.300 1.516 64.2 Flat 필터
S15 infinite 0.600 Flat
S16 infinite - - - Flat 이미지
센서
상기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의 상기 제1 렌즈(210, L1), 상기 제2 렌즈(220, L2), 상기 제3 렌즈(230, L3), 상기 제4 렌즈(240, L4), 상기 제5 렌즈(250, L5) 및 상기 제6 렌즈(260, L6)는 모든 면이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표 4에 기재된 "-" 값은 정의되지 않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S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렌즈(200)의 광량을 결정짓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S1의 비고란에 기재된 Stop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구경 조리개(205, S1)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개(205)는 제1 렌즈(210)의 물체측 면에 배치됐지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205)의 위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200)가 조리개(205)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렌즈면
번호
K A B C D
S2 0 -8.50E-02 -3.61E-02 5.33E-03 6.32E-03
S3 0 -3.57E-02 8.73E-03 -2.41E-02 2.35E-02
S4 0 4.42E-02 1.27E-02 -3.10E-02 -1.44E-02
S5 0 -4.24E-02 -2.00E-02 1.05E-02 -1.16E-02
S6 0 -1.14E-01 2.37E-02 1.97E-02 4.28E-03
S7 0 -8.93E-02 1.04E-02 -4.13E-03 -1.42E-03
S8 0 -2.28E-02 -3.35E-03 2.52E-02 -7.85E-03
S9 0 -1.34E-01 8.55E-02 -7.49E-03 2.26E-03
S10 0 -1.38E-01 5.11E-02 -2.06E-02 3.73E-03
S11 0 1.21E-01 -7.42E-02 2.16E-02 -1.60E-03
S12 0 9.73E-02 -1.05E-01 4.25E-02 -5.73E-03
S13 0 -8.13E-02 8.91E-03 -1.78E-04 -8.58E-05
상기 표 4 및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S1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구경 조리개(205, S1)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또한, S14 및 S15는 필터(270)이고, S16는 수광 소자(280)인 이미지 센서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상 렌즈(2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제1 렌즈(210), 제2 렌즈(220), 제3 렌즈(230), 제4 렌즈(240), 제5 렌즈(250) 및 제6 렌즈(260)의 초점거리를 각각 F1, F2, F3, F4, F5 및 F6 할 때, 각각의 값은 다음의 표 6과 같다.
항목
촬상렌즈의 전체 초점거리(F) 4.280
제1 렌즈의 초점거리(F1) 4.367
제2 렌즈의 초점거리(F2) 4.058
제3 렌즈의 초점거리(F3) -4.555
제4 렌즈의 초점거리(F4) -6.651
제5 렌즈의 초점거리(F5) 2.609
제6 렌즈의 초점거리(F6) -2.241
TTL 5.499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에서 제1 렌즈(210)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촬상 렌즈(2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95 < TTL/F < 1.35 (1)
상기의 조건식(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의 TTL과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1)을 만족함으로써, 텔레포토(Telephoto) 형태가 가능한 촬상렌즈(2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210)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촬상 렌즈(2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1.15 < TTL/F < 1.45 (2)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2)를 만족함으로써, 상품성이 보다 좋고, 광학적인 성능확보가 보다 용이하며, 보다 슬림(slip)한 촬상 렌즈(2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210)와 제2 렌즈(220)의 합성 초점거리를 F12, 촬상 렌즈(2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5 < F/F12 < 2.5 (3)
상기의 조건식(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210)와 상기 제2 렌즈(220)의 파워 관계식으로, 조건식(3) 보다 작거나 큰 값으로 촬상 렌즈(200)가 설계되면 축상 성능이 떨어져 상품성이 떨어지고, 광학적 성능확보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3)을 만족함으로써, 축상 성능이 향상되어 상품성이 좋고, 광학적인 성능확보가 용이한 촬상 렌즈(2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의 제3 렌즈(230)와 제4 렌즈(240)의 합성 초점거리를 F34, 촬상 렌즈(2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2.5 < F/F34 < -0.4 (4)
상기의 조건식(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3 렌즈(230)와 제4 렌즈(240)의 파워(Power) 관계식으로, 조건식(4) 보다 작거나 큰 값으로 촬상 렌즈(200)가 설계되면 색수차 및 비축수차의 보정이 적절하지 않게 되어 상품성이 떨어지고, 광학적 성능 확보가 어려워 진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4)를 만족함으로써, 상품성이 좋고, 광학적인 성능확보가 용이한 촬상 렌즈(2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에서 제1 렌즈(210)의 초점거리를 F1, 촬상 렌즈(2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F/F1 < 1.5 (5)
상기의 조건식(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210)의 파워 관계식으로, 조건식(5) 보다 작거나 큰 값으로 촬상 렌즈(200)가 설계되면 굴절능을 축소되여 민감도를 저감된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5)를 만족함으로써, 굴절능을 축소를 방지하여 민감도가 좋은 촬상렌즈(2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에서 제3 렌즈(230)의 초점거리를 F3, 촬상 렌즈(2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2 < |F/F3| < 2.5 (6)
상기의 조건식(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3 렌즈(230)의 파워 관계식으로, 조건식(6) 보다 작거나 큰 값으로 촬상 렌즈(200)가 설계되면 굴절능을 분산시켜 민감도 저감된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6)을 만족함으로써, 굴절능의 분산을 방지하여 민감도가 좋은 촬상렌즈(2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에서 제5 렌즈(250)의 초점거리를 F5, 제6 렌즈(260)의 초점거리를 F6, 촬상 렌즈(2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3 < F/F5 + F/F6 < 6.0 (7)
상기의 조건식(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5 렌즈(250) 및 제6 렌즈(260)의 파워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7)을 만족함으로써, 텔레포토(Telephoto) 형태가 가능한 촬상렌즈(2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에서 제1 렌즈(210)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이미지 하이트(Image height)를 ImgH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35 < TTL/2ImgH < 0.95 (8)
상기의 조건식(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의 TTL과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8)을 만족함으로써, 슬림(Slim)한 형태로 촬상렌즈(2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촬상 렌즈(200)의 시야각을 FOV(Field OF View)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65 < FOV < 88 (9)
상기의 조건식(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촬상렌즈(200)의 시야각에 대한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9)를 만족함으로써, 슬림(Slim)한 형태 및 준광각 형태로 촬상렌즈(2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에서 제1 렌즈(210)와 제2 렌즈(220)의 아베수 평균을 v12, 제3 렌즈(230)와 제4 렌즈(240)의 아베수 평균을 v34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10 < v12-v34 < 45 (10)
상기의 조건식(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210)와 제2 렌즈(220) 및 제3 렌즈(230)와 제4 렌즈(240)의 분산에 대한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0)을 만족함으로써, 색수차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에서 제3 렌즈(230)의 초점거리를 F3, 제4 렌즈(240)의 초점거리를 F4, 촬상 렌즈(2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F/F3|+|F/F4| < 3 (11)
상기의 조건식(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3 렌즈(230) 및 제4 렌즈(240)의 굴절능에 대한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1)을 만족함으로써, 수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에서 제1 렌즈(210)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이 r12, 촬상 렌즈(2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15 < r12/F < 0.9 (12)
상기의 조건식(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210)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에 대한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2)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2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에서 제1 렌즈(210)의 초점거리를 F1, 제3 렌즈(230)의 초점거리를 F3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 |F1/F3| < 25 (13)
상기의 조건식(1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210) 및 제3 렌즈(230)의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3)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2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에서 제5 렌즈(250)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을 r9, 제5 렌즈(250)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을 r10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 |(r9-r10)/(r9+r10)| < 6 (14)
상기의 조건식(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5 렌즈(250)의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4)를 만족함으로써, 양(+)의 파워를 갖는 제5 렌즈(25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에서 촬상 렌즈(2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제1 렌즈(210)의 초점거리를 F1, 제2 렌즈(220)의 초점거리를 F2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2 < |F/F1|+|F/F2| < 4 (15)
상기의 조건식(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200) 전체의 파워(Power)를 결정하는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5)를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2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에서 제1 렌즈(210)의 초점거리를 F1, 제2 렌즈(220)의 초점거리를 F2, 제3 렌즈(230)의 초점거리를 F3, 제4 렌즈(240)의 초점거리를 F4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 (|F1|+|F2|)/(|F3|+|F4|) < 30 (16)
상기의 조건식(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210), 제2 렌즈(220), 제3 렌즈(230) 및 제4 렌즈(240)의 파워(Power)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6)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2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에서, 촬상 렌즈(2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제4 렌즈(240)의 초점거리를 F4, 제5 렌즈(250)의 초점거리를 F5, 제6 렌즈(260)의 초점거리를 F6 이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20 < |F/F4|+|F/F5|+|F/F6| < 7.5 (17)
상기의 조건식(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4 렌즈(240), 제5 렌즈(250) 및 제6 렌즈(260)의 파워(Power)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7)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2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에서, 촬상 렌즈(2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광축상에서 제1 렌즈(210)의 물체측면과 제6 렌즈(260)의 상측면 사이의 거리 DL 이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7 < DL/F < 1.2 (18)
상기의 조건식(18)을 만족함으로써, 컴팩트(compact)한 촬상렌즈(2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200)에서, 제4 렌즈(240)의 아베수를 v4, 제5 렌즈(250)의 아베수를 v5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42 < v4+v5 < 115 (19)
상기의 조건식(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4 렌즈(240)와 제5 렌즈(250)의 분산에 대한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9)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2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5 및 도 6은 다수의 파장을 다수의 컬러로 표시하여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와,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아울러,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마수차(Coma Aberra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면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각 파장에 따른 구면수차를 나타낸다. 여기서, 각 파장이 수직축에 인접하여 나타남으로서 구면수차의 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비점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수직축인 물체측에서 바라본 상면 높이(ANGLE) 및 수평축인 포커스(FOCUS) 위치에 따른 x축 빛의 방향성분(X)과 y축 빛의 방향 성분(Y)의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X,Y가 서로 인접하여 나타남에 따라 이미지가 퍼지지 않고, 해상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왜곡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물체측에서 바라본 상면 높이(ANGLE)에 따른 수평축인 왜곡(Distortion)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왜곡도가 수평축인 왜곡(Distortion)의 -1 ~ +1 사이에서 주로 위치하므로 실제적으로 왜곡이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마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상면의 높이에 따라 각 파장에 따른 탄젠셜(Tangential)과 새지털(Sagittal)의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이때, 각 파장이 수평축 상에 인접하여 나타남으로써 횡색수차가 작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 제3 실시예 >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 렌즈(310), 제2 렌즈(320), 제3 렌즈(330), 제4 렌즈(340), 제5 렌즈(350) 및 제6 렌즈(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는 상기 제1 렌즈(310) 내지 상기 제6 렌즈(360) 중 어느 하나 보다 물체측 또는 상면측에 위치되는 조리개(3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물체(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물체의 영상 정보에 해당되는 광은 제1 렌즈(310), 조리개(305), 제2 렌즈(320), 제3 렌즈(330), 제4 렌즈(340), 제5 렌즈(350), 제6 렌즈(360) 및 필터(370)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수광 소자(380)에 입사된다.
여기서, 제1 렌즈(310)는 양(+)의 파워(power)를 갖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2 렌즈(320)는 양(+)의 파워를 갖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제3 렌즈(330)는 양(+)의 파워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4 렌즈(340)는 음(-)의 파워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3 렌즈(330) 및 제4 렌즈(34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아베수(V)가 V < 30 의 범위로 형성되어 색수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3 렌즈(330) 및 제4 렌즈(34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아베수(V)가 20 < V < 30 의 범위로 형성되어 색수차를 보다 더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5 렌즈(350)는 양(+)의 파워를 갖고, 양(+)의 파워를 갖고, 물체측 및 상면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5 렌즈(250)는 물체측 면 또는 상면측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변곡점을 갖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제6 렌즈(360)는 음(-)의 파워를 갖고, 상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면측 면에 변곡점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렌즈(310), 제2 렌즈(320), 제3 렌즈(330), 제4 렌즈(340), 제5 렌즈(350) 및 제6 렌즈(360)는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조리개(305)는 제1 렌즈(310) 내지 제5 렌즈(350) 중 어느 하나 보다 물체측 또는 상면측에 배치되고, 입사광으로 부터 입사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수렴하여 초점거리를 조절한다. 이때, 일례로 조리개(305)는 제1 렌즈(310) 보다 물체측 또는 상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조리개(305)는 제1 렌즈(310)의 물체측 면과 제3 렌즈(330)의 물체측 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305)의 위치가 일례 및 다른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터(370)는 적외선 차단 필터(IR cut filter)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필터(370)의 종류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적외선 차단 필터는 외부 빛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이 상기 수광소자(38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적외선 차단 필터는 가시광선은 투과시키고, 적외선은 반사시켜 외부로 유출되도록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像)이 맺히는 면을 포함하는 수광 소자(380)는 피사체 영상에 대응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센서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수광소자가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는 다음의 표 7과 같은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 표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굴절률 아베수 렌즈형상 비고
S1 infinite 0 - - Flat Stop
S2 2.191 0.430 1.544 56.1 Asphere L1
S3 2.819 0.111 Asphere
S4 2.199 0.420 1.544 56.1 Asphere L2
S5 5.717 0.156 Asphere
S6 -12.830 0.520 1.544 56.1 Asphere L3
S7 -2.070 0.192 Asphere
S8 -1.216 0.467 1.639 23.3 Asphere L4
S9 -5.562 0.212 Asphere
S10 6.132 0.677 1.569 39.5 Asphere L5
S11 -1.858 0.736 Asphere
S12 -2.869 0.380 1.507 60.1 Asphere L6
S13 2.820 0.300 Asphere
S14 infinite 0.300 1.516 64.2 Flat 필터
S15 infinite 0.600 Flat
S16 infinite - - - Flat 이미지
센서
상기 표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의 상기 제1 렌즈(310, L1), 상기 제2 렌즈(320, L2), 상기 제3 렌즈(330, L3), 상기 제4 렌즈(340, L4), 상기 제5 렌즈(350, L5) 및 상기 제6 렌즈(360, L6)는 모든 면이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표 7에 기재된 "-" 값은 정의되지 않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S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렌즈(300)의 광량을 결정짓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S1의 비고란에 기재된 Stop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구경 조리개(305, S1)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개(305)는 제1 렌즈(310)의 물체측 면에 배치됐지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305)의 위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300)가 조리개(305)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렌즈면
번호
K A B C D
S2 0 -2.54E-02 4.60E-03 1.25E-03 -3.08E-02
S3 0 -2.43E-01 1.14E-01 -1.09E-01 -3.37E-03
S4 0 -2.83E-01 -1.43E-02 6.02E-03 -6.49E-02
S5 0 -1.51E-01 -2.01E-01 1.72E-01 -4.90E-02
S6 0 -9.45E-02 -1.82E-01 1.25E-01 1.03E-02
S7 0 -6.47E-02 -9.26E-02 9.60E-02 -1.96E-02
S8 0 8.71E-03 6.02E-02 2.96E-02 -3.56E-03
S9 0 -1.21E-01 7.85E-02 -1.44E-02 -1.28E-03
S10 0 -1.03E-01 -1.49E-02 -2.08E-02 1.15E-02
S11 0 1.12E-01 -8.26E-02 1.17E-02 3.70E-03
S12 0 4.79E-02 -9.02E-02 4.16E-02 -6.45E-03
S13 0 -8.36E-02 1.05E-02 -4.27E-04 -8.43E-05
상기 표 7 및 표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S1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구경 조리개(305, S1)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또한, S14 및 S15는 필터(370)이고, S16은 수광 소자(380)인 이미지 센서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상 렌즈(3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제1 렌즈(310), 제2 렌즈(320), 제3 렌즈(330), 제4 렌즈(340), 제5 렌즈(350) 및 제6 렌즈(360)의 초점거리를 각각 F1, F2, F3, F4, F5 및 F6 할 때, 각각의 값은 다음의 표 9와 같다.
항목
촬상렌즈의 전체 초점거리(F) 4.283
제1 렌즈의 초점거리(F1) 14.575
제2 렌즈의 초점거리(F2) 6.302
제3 렌즈의 초점거리(F3) 4.461
제4 렌즈의 초점거리(F4) -2.541
제5 렌즈의 초점거리(F5) 2.583
제6 렌즈의 초점거리(F6) -2.741
TTL 5.499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에서 제1 렌즈(310)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촬상 렌즈(3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95 < TTL/F < 1.35 (1)
상기의 조건식(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의 TTL과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을 만족함으로써, 텔레포토(Telephoto) 형태가 가능한 촬상렌즈(3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310)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촬상 렌즈(3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1.15 < TTL/F < 1.45 (2)
상기의 조건식(2)를 만족함으로써, 상품성이 보다 좋고, 광학적인 성능확보가 보다 용이하며, 보다 슬림한 촬상 렌즈(3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310)와 제2 렌즈(320)의 합성 초점거리를 F12, 촬상 렌즈(3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5 < F/F12 < 2.5 (3)
상기의 조건식(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310)와 제2 렌즈(320)의 파워 관계식으로, 조건식(3) 보다 작거나 큰 값으로 촬상 렌즈(300)가 설계되면 축상 성능이 떨어져 상품성이 떨어지고, 광학적 성능 확보가 어려워 진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3)을 만족함으로써, 축상 성능이 향상되어 상품성이 좋고, 광학적인 성능확보가 용이한 촬상 렌즈(3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의 제3 렌즈(330)와 제4 렌즈(340)의 합성 초점거리를 F34, 촬상 렌즈(3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2.5 < F/F34 < -0.4 (4)
상기의 조건식(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제3 렌즈(330)와 제4 렌즈(340)의 파워(Power) 관계식으로, 조건식(4) 보다 작거나 큰 값으로 촬상 렌즈(300)가 설계되면 색수차 및 비축수차가 발생되어 상품성이 떨어지고, 광학적 성능 확보가 어려워 진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4)를 만족함으로써, 색수차 및 비축수차를 보정할 수 있어 상품성이 좋고, 광학적인 성능확보가 용이한 촬상 렌즈(3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에서 제1 렌즈(310)의 초점거리를 F1, 촬상 렌즈(3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F/F1 < 1.5 (5)
상기의 조건식(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310)의 파워 관계식으로, 조건식(5) 보다 작거나 큰 값으로 촬상 렌즈(300)가 설계되면 굴절능을 축소되여 민감도를 저감된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5)를 만족함으로써, 굴절능을 축소를 방지하여 민감도가 좋은 촬상렌즈(3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에서 제3 렌즈(330)의 초점거리를 F3, 촬상 렌즈(3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2 < |F/F3| < 2.5 (6)
상기의 조건식(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제3 렌즈(330)의 파워 관계식으로, 조건식(6) 보다 작거나 큰 값으로 촬상 렌즈(300)가 설계되면 굴절능을 분산시켜 민감도 저감된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6)을 만족함으로써, 굴절능의 분산을 방지하여 민감도가 좋은 촬상렌즈(3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에서 제5 렌즈(350)의 초점거리를 F5, 제6 렌즈(360)의 초점거리를 F6, 촬상 렌즈(3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3 < F/F5 + F/F6 < 6.0 (7)
상기의 조건식(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제5 렌즈(350) 및 제6 렌즈(360)의 파워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7)을 만족함으로써, 텔레포토(Telephoto) 형태가 가능한 촬상렌즈(3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에서 제1 렌즈(310)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이미지 하이트(Image height)를 ImgH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35 < TTL/2ImgH < 0.95 (8)
상기의 조건식(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의 TTL과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8)을 만족함으로써, 슬림(Slim)한 형태로 촬상렌즈(3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촬상 렌즈(300)의 시야각을 FOV(Field OF View)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65 < FOV < 88 (9)
상기의 조건식(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촬상렌즈(300)의 시야각에 대한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9)를 만족함으로써, 슬림(Slim)한 형태 및 준광각 형태로 촬상렌즈(3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에서 제1 렌즈(310)와 제2 렌즈(320)의 아베수 평균을 v12, 제3 렌즈(330)와 제4 렌즈(340)의 아베수 평균을 v34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10 < v12-v34 < 45 (10)
상기의 조건식(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310)와 제2 렌즈(320) 및 제3 렌즈(330)와 제4 렌즈(340)의 분산에 대한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0)을 만족함으로써, 색수차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에서 제3 렌즈(330)의 초점거리를 F3, 제4 렌즈(340)의 초점거리를 F4, 촬상 렌즈(3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F/F3|+|F/F4| < 3 (11)
상기의 조건식(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제3 렌즈(330) 및 제4 렌즈(340)의 굴절능에 대한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1)을 만족함으로써, 수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에서 제1 렌즈(310)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이 r12, 촬상 렌즈(3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15 < r12/F < 0.9 (12)
상기의 조건식(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310)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에 대한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2)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3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에서 제1 렌즈(310)의 초점거리를 F1, 제3 렌즈(330)의 초점거리를 F3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 |F1/F3| < 25 (13)
상기의 조건식(13)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310) 및 제3 렌즈(330)의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3)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3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에서 제5 렌즈(350)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을 r9, 제5 렌즈(350)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을 r10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 |(r9-r10)/(r9+r10)| < 6 (14)
상기의 조건식(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5 렌즈(350)의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4)를 만족함으로써, 양(+)의 파워를 갖는 제5 렌즈(35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에서 촬상 렌즈(3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제1 렌즈(310)의 초점거리를 F1, 제2 렌즈(320)의 초점거리를 F2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2 < |F/F1|+|F/F2| < 4 (15)
상기의 조건식(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300) 전체의 파워(Power)를 결정하는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5)를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3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에서 제1 렌즈(310)의 초점거리를 F1, 제2 렌즈(320)의 초점거리를 F2, 제3 렌즈(330)의 초점거리를 F3, 제4 렌즈(340)의 초점거리를 F4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 (|F1|+|F2|)/(|F3|+|F4|) < 30 (16)
상기의 조건식(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310), 제2 렌즈(320), 제3 렌즈(330) 및 제4 렌즈(340)의 파워(Power)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6)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3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에서, 촬상 렌즈(3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제4 렌즈(340)의 초점거리를 F4, 제5 렌즈(350)의 초점거리를 F5, 제6 렌즈(360)의 초점거리를 F6 이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20 < |F/F4|+|F/F5|+|F/F6| < 7.5 (17)
상기의 조건식(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4 렌즈(340), 제5 렌즈(350) 및 제6 렌즈(360)의 파워(Power)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7)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3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에서, 촬상 렌즈(3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광축상에서 제1 렌즈(310)의 물체측면과 제6 렌즈(360)의 상측면 사이의 거리 DL 이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7 < DL/F < 1.2 (18)
상기의 조건식(18)을 만족함으로써, 컴팩트(compact)한 촬상렌즈(3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300)에서, 제4 렌즈(340)의 아베수를 v4, 제5 렌즈(350)의 아베수를 v5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42 < v4+v5 < 115 (19)
상기의 조건식(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제4 렌즈(340)와 제5 렌즈(350)의 분산에 대한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9)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3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8 및 도 9는 다수의 파장을 다수의 컬러로 표시하여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와,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아울러,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마수차(Coma Aberra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면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각 파장에 따른 구면수차를 나타낸다. 여기서, 각 파장이 수직축에 인접하여 나타남으로서 구면수차의 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비점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수직축인 물체측에서 바라본 상면 높이(ANGLE) 및 수평축인 포커스(FOCUS) 위치에 따른 x축 빛의 방향성분(X)과 y축 빛의 방향 성분(Y)의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X,Y가 서로 인접하여 나타남에 따라 이미지가 퍼지지 않고, 해상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왜곡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물체측에서 바라본 상면 높이(ANGLE)에 따른 수평축인 왜곡(Distortion)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왜곡도가 수평축인 왜곡(Distortion)의 -1 ~ +1 사이에서 주로 위치하므로 실제적으로 왜곡이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마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상면의 높이에 따라 각 파장에 따른 탄젠셜(Tangential)과 새지털(Sagittal)의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이때, 각 파장이 수평축 상에 인접하여 나타남으로써 횡색수차가 작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 제4 실시예 >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 렌즈(410), 제2 렌즈(420), 제3 렌즈(430), 제4 렌즈(440), 제5 렌즈(450) 및 제6 렌즈(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는 상기 제1 렌즈(410) 내지 상기 제6 렌즈(460) 중 어느 하나 보다 물체측 또는 상면측에 위치되는 조리개(4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물체(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물체의 영상 정보에 해당되는 광은 제1 렌즈(410), 조리개(405), 제2 렌즈(420), 제3 렌즈(430), 제4 렌즈(440), 제5 렌즈(450), 제6 렌즈(460) 및 필터(470)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수광 소자(480)에 입사된다.
여기서, 제1 렌즈(410)는 양(+)의 파워(power)를 갖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2 렌즈(420)는 양(+)의 파워를 갖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제3 렌즈(430) 및 제4 렌즈(440)는 양(+) 또는 음(-)의 파워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렌즈(430) 및 제4 렌즈(44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아베수(V)가 V < 30 의 범위로 형성되어 색수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3 렌즈(430) 및 제4 렌즈(44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아베수(V)가 20 < V < 30 의 범위로 형성되어 색수차를 보다 더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5 렌즈(450)는 양(+)의 파워를 갖고, 물체측으로 오목하고, 상면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5 렌즈(450)는 물체측 면 또는 상면측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변곡점을 갖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제6 렌즈(460)는 음(-)의 파워를 갖고, 상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면측 면에 변곡점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렌즈(410), 제2 렌즈(420), 제3 렌즈(430), 제4 렌즈(440), 제5 렌즈(450) 및 제6 렌즈(460)는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조리개(405)는 제1 렌즈(410) 내지 제5 렌즈(450) 중 어느 하나 보다 물체측 또는 상면측에 배치되고, 입사광으로 부터 입사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수렴하여 초점거리를 조절한다. 이때, 일례로 조리개(405)는 제1 렌즈(410) 보다 물체측 또는 상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조리개(405)는 제1 렌즈(410)의 물체측 면과 제3 렌즈(430)의 물체측 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405)의 위치가 일례 및 다른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터(470)는 적외선 차단 필터(IR cut filter)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필터(470)의 종류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적외선 차단 필터는 외부 빛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이 상기 수광소자(48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적외선 차단 필터는 가시광선은 투과시키고, 적외선은 반사시켜 외부로 유출되도록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像)이 맺히는 면을 포함하는 수광 소자(480)는 피사체 영상에 대응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센서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수광소자가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는 다음의 표 10과 같은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굴절률 아베수 렌즈형상 비고
S1 infinite 0 - - Flat Stop
S2 1.647 0.356 1.544 56.1 Asphere L1
S3 3.020 0.104 Asphere
S4 2.721 0.477 1.544 56.1 Asphere L2
S5 -5.437 0.089 Asphere
S6 -5.549 0.205 1.640 23.3 Asphere L3
S7 3.552 0.225 Asphere
S8 15.136 0.428 1.640 23.3 Asphere L4
S9 -5.886 0.491 Asphere
S10 -2.328 0.442 1.640 23.3 Asphere L5
S11 -2.275 0.149 Asphere
S12 8.035 0.712 1.534 55.7 Asphere L6
S13 1.572 0.174 Asphere
S14 infinite 0.270 1.517 64.2 Flat 필터
S15 infinite 0.580 Flat
S16 infinite - - - Flat 이미지
센서
상기 표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의 상기 제1 렌즈(410, L1), 상기 제2 렌즈(420, L2), 상기 제3 렌즈(430, L3), 상기 제4 렌즈(440, L4), 상기 제5 렌즈(450, L5) 및 상기 제6 렌즈(460, L6)는 모든 면이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표 10에 기재된 "-" 값은 정의되지 않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S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렌즈(400)의 광량을 결정짓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S1의 비고란에 기재된 Stop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구경 조리개(405, S1)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개(405)는 제1 렌즈(410)의 물체측 면에 배치됐지만,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405)의 위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400)가 조리개(405)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렌즈면
번호
K A B C D E
S2 -5.46E-01 -2.54E-02 1.33E-02 -7.10E-02 8.54E-02 -3.80E-02
S3 0 -8.30E-02 9.92E-02 -1.13E-01 1.98E-01 -1.01E-01
S4 0 -5.45E-02 8.93E-02 -4.35E-02 9.85E-02 -7.15E-02
S5 -1.48E+01 2.60E-02 -1.20E-01 2.44E-02 7.79E-02 -4.72E-02
S6 -3.77E+01 6.86E-02 -1.50E-01 1.29E-01 1.60E-03 1.90E-03
S7 1.26E+01 -1.72E-02 -5.99E-02 1.43E-01 -1.03E-01 3.23E-02
S8 0 -1.06E-01 3.66E-02 -8.80E-02 2.84E-01 -2.02E-01
S9 0 -4.49E-02 1.14E-02 -6.06E-02 1.88E-01 -9.38E-02
S10 0 1.84E-01 -3.30E-01 2.14E-01 -6.47E-02 5.44E-03
S11 -4.44E+00 2.06E-01 -2.88E-01 1.67E-01 -4.92E-02 5.83E-03
S12 -2.63E+02 -7.38E-02 -3.81E-02 2.99E-02 -6.06E-03 4.04E-04
S13 -9.73E+00 -5.82E-02 1.20E-02 -2.22E-03 2.10E-04 -6.28E-06
상기 표 10 및 표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S1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구경 조리개(405, S1)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또한, S14 및 S15는 필터(470)이고, S16는 수광 소자(480)인 이미지 센서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상 렌즈(4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제1 렌즈(410), 제2 렌즈(420), 제3 렌즈(430), 제4 렌즈(440), 제5 렌즈(450) 및 제6 렌즈(460)의 초점거리를 각각 F1, F2, F3, F4, F5 및 F6 할 때, 각각의 값은 다음의 표 12와 같다.
항목
촬상렌즈의 전체 초점거리(F) 4.141
제1 렌즈의 초점거리(F1) 6.071
제2 렌즈의 초점거리(F2) 3.388
제3 렌즈의 초점거리(F3) -3.323
제4 렌즈의 초점거리(F4) 6.612
제5 렌즈의 초점거리(F5) 36.112
제6 렌즈의 초점거리(F6) -3.788
TTL 4.703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에서 제1 렌즈(410)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촬상 렌즈(4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95 < TTL/F < 1.35 (1)
상기의 조건식(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의 TTL과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을 만족함으로써, 텔레포토(Telephoto) 형태가 가능한 촬상렌즈(4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410)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촬상 렌즈(4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1.15 < TTL/F < 1.45 (2)
상기의 조건식(2)를 만족함으로써, 상품성이 보다 좋고, 광학적인 성능확보가 보다 용이하며, 보다 슬림한 촬상 렌즈(4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410)와 제2 렌즈(420)의 합성 초점거리를 F12, 촬상 렌즈(4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5 < F/F12 < 2.5 (3)
상기의 조건식(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410)와 상기 제2 렌즈(420)의 파워 관계식으로, 조건식(3) 보다 작거나 큰 값으로 촬상 렌즈(400)가 설계되면 축상 성능이 떨어져 상품성이 떨어지고, 광학적 성능확보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3)을 만족함으로써, 축상 성능이 향상되어 상품성이 좋고, 광학적인 성능확보가 용이한 촬상 렌즈(4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의 제3 렌즈(430)와 제4 렌즈(440)의 합성 초점거리를 F34, 촬상 렌즈(4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2.5 < F/F34 < -0.4 (4)
상기의 조건식(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제3 렌즈(430)와 제4 렌즈(440)의 파워(Power) 관계식으로, 조건식(4) 보다 작거나 큰 값으로 촬상 렌즈(400)가 설계되면 색수차 및 비축수차의 보정이 적절하지 않게 되어 상품성이 떨어지고, 광학적 성능 확보가 어려워 진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4)를 만족함으로써, 상품성이 좋고, 광학적인 성능확보가 용이한 촬상 렌즈(4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에서 제1 렌즈(410)의 초점거리를 F1, 촬상 렌즈(4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F/F1 < 1.5 (5)
상기의 조건식(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410)의 파워 관계식으로, 조건식(5) 보다 작거나 큰 값으로 촬상 렌즈(400)가 설계되면 굴절능을 축소되여 민감도를 저감된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5)를 만족함으로써, 굴절능을 축소를 방지하여 민감도가 좋은 촬상렌즈(4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에서 제3 렌즈(430)의 초점거리를 F3, 촬상 렌즈(4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2 < |F/F3| < 2.5 (6)
상기의 조건식(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제3 렌즈(430)의 파워 관계식으로, 조건식(6) 보다 작거나 큰 값으로 촬상 렌즈(400)가 설계되면 굴절능을 분산시켜 민감도 저감된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6)을 만족함으로써, 굴절능의 분산을 방지하여 민감도가 좋은 촬상렌즈(4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에서 제5 렌즈(450)의 초점거리를 F5, 제6 렌즈(460)의 초점거리를 F6, 촬상 렌즈(4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3 < F/F5 + F/F6 < 6.0 (7)
상기의 조건식(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제5 렌즈(450) 및 제6 렌즈(460)의 파워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7)을 만족함으로써, 텔레포토(Telephoto) 형태가 가능한 촬상렌즈(4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에서 제1 렌즈(410)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이미지 하이트(Image height)를 ImgH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35 < TTL/2ImgH < 0.95 (8)
상기의 조건식(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의 TTL과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8)을 만족함으로써, 슬림(Slim)한 형태로 촬상렌즈(4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촬상 렌즈(400)의 시야각을 FOV(Field OF View)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65 < FOV < 88 (9)
상기의 조건식(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촬상렌즈(400)의 시야각에 대한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9)를 만족함으로써, 슬림(Slim)한 형태 및 준광각 형태로 촬상렌즈(4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에서 제1 렌즈(410)와 제2 렌즈(420)의 아베수 평균을 v12, 제3 렌즈(430)와 제4 렌즈(440)의 아베수 평균을 v34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10 < v12-v34 < 45 (10)
상기의 조건식(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410)와 제2 렌즈(420) 및 제3 렌즈(430)와 제4 렌즈(440)의 분산에 대한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0)을 만족함으로써, 색수차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에서 제3 렌즈(430)의 초점거리를 F3, 제4 렌즈(440)의 초점거리를 F4, 촬상 렌즈(4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F/F3|+|F/F4| < 3 (11)
상기의 조건식(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제3 렌즈(430) 및 제4 렌즈(440)의 굴절능에 대한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1)을 만족함으로써, 수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에서 제1 렌즈(410)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이 r12, 촬상 렌즈(4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15 < r12/F < 0.9 (12)
상기의 조건식(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410)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에 대한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2)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4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에서 제1 렌즈(410)의 초점거리를 F1, 제3 렌즈(430)의 초점거리를 F3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 |F1/F3| < 25 (13)
상기의 조건식(13)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410) 및 제3 렌즈(430)의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3)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4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에서 제5 렌즈(450)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을 r9, 제5 렌즈(450)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을 r10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 |(r9-r10)/(r9+r10)| < 6 (14)
상기의 조건식(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5 렌즈(450)의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4)를 만족함으로써, 양(+)의 파워를 갖는 제5 렌즈(45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에서 촬상 렌즈(4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제1 렌즈(410)의 초점거리를 F1, 제2 렌즈(420)의 초점거리를 F2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2 < |F/F1|+|F/F2| < 4 (15)
상기의 조건식(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400) 전체의 파워(Power)를 결정하는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5)를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4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에서 제1 렌즈(410)의 초점거리를 F1, 제2 렌즈(420)의 초점거리를 F2, 제3 렌즈(430)의 초점거리를 F3, 제4 렌즈(440)의 초점거리를 F4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 (|F1|+|F2|)/(|F3|+|F4|) < 30 (16)
상기의 조건식(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410), 제2 렌즈(420), 제3 렌즈(430) 및 제4 렌즈(440)의 파워(Power)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6)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4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에서, 촬상 렌즈(4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제4 렌즈(440)의 초점거리를 F4, 제5 렌즈(450)의 초점거리를 F5, 제6 렌즈(460)의 초점거리를 F6 이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20 < |F/F4|+|F/F5|+|F/F6| < 7.5 (17)
상기의 조건식(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4 렌즈(440), 제5 렌즈(450) 및 제6 렌즈(460)의 파워(Power)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7)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4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에서, 촬상 렌즈(4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광축상에서 제1 렌즈(410)의 물체측면과 제6 렌즈(460)의 상측면 사이의 거리 DL 이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7 < DL/F < 1.2 (18)
상기의 조건식(18)을 만족함으로써, 컴팩트(compact)한 촬상렌즈(4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400)에서, 제4 렌즈(440)의 아베수를 v4, 제5 렌즈(450)의 아베수를 v5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42 < v4+v5 < 115 (19)
상기의 조건식(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제4 렌즈(440)와 제5 렌즈(450)의 분산에 대한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9)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4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11 및 도 12는 다수의 파장을 다수의 컬러로 표시하여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와,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아울러,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코마수차(Coma Aberra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면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각 파장에 따른 구면수차를 나타낸다. 여기서, 각 파장이 수직축에 인접하여 나타남으로서 구면수차의 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비점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수직축인 물체측에서 바라본 상면 높이(ANGLE) 및 수평축인 포커스(FOCUS) 위치에 따른 x축 빛의 방향성분(X)과 y축 빛의 방향 성분(Y)의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X,Y가 서로 인접하여 나타남에 따라 이미지가 퍼지지 않고, 해상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왜곡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물체측에서 바라본 상면 높이(ANGLE)에 따른 수평축인 왜곡(Distortion)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왜곡도가 수평축인 왜곡(Distortion)의 -1 ~ +1 사이에서 주로 위치하므로 실제적으로 왜곡이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마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상면의 높이에 따라 각 파장에 따른 탄젠셜(Tangential)과 새지털(Sagittal)의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이때, 각 파장이 수평축 상에 인접하여 나타남으로써 횡색수차가 작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 제5 실시예 >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 렌즈(510), 제2 렌즈(520), 제3 렌즈(530), 제4 렌즈(540), 제5 렌즈(550) 및 제6 렌즈(5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는 상기 제1 렌즈(510) 내지 상기 제6 렌즈(560) 중 어느 하나 보다 물체측 또는 상면측에 위치되는 조리개(5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물체(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물체의 영상 정보에 해당되는 광은 제1 렌즈(510), 조리개(505), 제2 렌즈(520), 제3 렌즈(530), 제4 렌즈(540), 제5 렌즈(550), 제6 렌즈(560) 및 필터(570)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수광 소자(580)에 입사된다.
여기서, 제1 렌즈(510)는 양(+)의 파워(power)를 갖고, 물체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2 렌즈(520)는 양(+)의 파워를 갖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제3 렌즈(530) 및 제4 렌즈(540)는 양(+) 또는 음(-)의 파워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렌즈(530) 및 제4 렌즈(54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아베수(V)가 V < 30 의 범위로 형성되어 색수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3 렌즈(530) 및 제4 렌즈(54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아베수(V)가 20 < V < 30 의 범위로 형성되어 색수차를 보다 더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5 렌즈(550)는 음(-)의 파워를 갖고, 물체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5 렌즈(550)는 물체측 면 또는 상면측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변곡점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6 렌즈(560)는 음(-)의 파워를 갖고, 상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면측 면에 변곡점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렌즈(510), 제2 렌즈(520), 제3 렌즈(530), 제4 렌즈(540), 제5 렌즈(550) 및 제6 렌즈(560)는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조리개(505)는 제1 렌즈(510) 내지 제5 렌즈(550) 중 어느 하나 보다 물체측 또는 상면측에 배치되고, 입사광으로 부터 입사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수렴하여 초점거리를 조절한다. 이때, 일례로 조리개(505)는 제1 렌즈(510) 보다 물체측 또는 상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조리개(505)는 제1 렌즈(510)의 물체측 면과 제3 렌즈(530)의 물체측 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505)의 위치가 일례 및 다른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터(570)는 적외선 차단 필터(IR cut filter)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필터(570)의 종류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적외선 차단 필터는 외부 빛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이 상기 수광소자(58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적외선 차단 필터는 가시광선은 투과시키고, 적외선은 반사시켜 외부로 유출되도록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像)이 맺히는 면을 포함하는 수광 소자(580)는 피사체 영상에 대응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센서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수광소자가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는 다음의 표 13과 같은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굴절률 아베수 렌즈형상 비고
S1 infinite 0 - - Flat Stop
S2 1.648 0.377 1.5441 56.1 Asphere L1
S3 3.662 0.093 Asphere
S4 3.309 0.458 1.5441 56.1 Asphere L2
S5 -5.055 0.080 Asphere
S6 -5.260 0.205 1.6398 23.3 Asphere L3
S7 3.603 0.223 Asphere
S8 15.574 0.429 1.6398 23.3 Asphere L4
S9 -5.840 0.446 Asphere
S10 -2.448 0.346 1.6398 23.3 Asphere L5
S11 -2.685 0.194 Asphere
S12 7.975 0.840 1.5343 55.7 Asphere L6
S13 1.775 0.161 Asphere
S14 infinite 0.270 1.5168 64.2 Flat 필터
S15 infinite 0.580 Flat
S16 infinite - - - Flat 이미지
센서
상기 표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의 상기 제1 렌즈(510, L1), 상기 제2 렌즈(520, L2), 상기 제3 렌즈(530, L3), 상기 제4 렌즈(540, L4), 상기 제5 렌즈(550, L5) 및 상기 제6 렌즈(560, L6)는 모든 면이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표 13에 기재된 "-" 값은 정의되지 않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S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렌즈(500)의 광량을 결정짓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S1의 비고란에 기재된 Stop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구경 조리개(505, S1)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개(505)는 제1 렌즈(510)의 물체측 면에 배치됐지만,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505)의 위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500)가 조리개(505)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렌즈면
번호
K A B C D E
S2 -5.46E-01 -2.29E-02 -7.67E-04 -5.68E-02 8.04E-02 -3.66E-02
S3 0 -9.98E-02 8.09E-02 1.27E-02 6.78E-02 -5.59E-02
S4 0 -7.31E-02 8.43E-02 1.18E-01 -9.79E-02 1.49E-03
S5 -1.48E+01 3.21E-02 -1.01E-01 -3.42E-02 1.31E-01 -6.02E-02
S6 -3.77E+01 8.14E-02 -1.63E-01 4.79E-02 1.52E-01 -6.53E-02
S7 1.30E+01 -1.13E-02 -8.18E-02 1.26E-01 -3.84E-02 4.79E-03
S8 0 -1.05E-01 3.59E-02 -8.59E-02 2.76E-01 -1.94E-01
S9 0 -3.19E-02 -2.04E-02 -1.24E-03 1.39E-01 -8.00E-02
S10 0 2.27E-01 -4.00E-01 2.98E-01 -1.08E-01 1.23E-02
S11 -4.16E+00 2.01E-01 -3.13E-01 2.10E-01 -7.19E-02 9.72E-03
S12 -2.63E+02 -1.02E-01 -3.94E-02 4.10E-02 -9.53E-03 7.15E-04
S13 -9.73E+00 -5.69E-02 1.10E-02 -2.05E-03 2.02E-04 -6.41E-06
상기 표 13 및 표 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S1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구경 조리개(505, S1)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또한, S14 및 S15는 필터(570)이고, S16는 수광 소자(580)인 이미지 센서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상 렌즈(5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제1 렌즈(510), 제2 렌즈(520), 제3 렌즈(530), 제4 렌즈(540), 제5 렌즈(550) 및 제6 렌즈(560)의 초점거리를 각각 F1, F2, F3, F4, F5 및 F6 할 때, 각각의 값은 다음의 표 15와 같다.
항목
촬상렌즈의 전체 초점거리(F) 4.141
제1 렌즈의 초점거리(F1) 5.145
제2 렌즈의 초점거리(F2) 3.732
제3 렌즈의 초점거리(F3) -3.279
제4 렌즈의 초점거리(F4) 6.626
제5 렌즈의 초점거리(F5) -100.854
제6 렌즈의 초점거리(F6) -4.467
TTL 4.703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에서 제1 렌즈(510)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촬상 렌즈(5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95 < TTL/F < 1.35 (1)
상기의 조건식(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의 TTL과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1)을 만족함으로써, 텔레포토(Telephoto) 형태가 가능한 촬상렌즈(5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510)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촬상 렌즈(5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1.15 < TTL/F < 1.45 (2)
상기의 조건식(2)를 만족함으로써, 상품성이 보다 좋고, 광학적인 성능확보가 보다 용이하며, 보다 슬림한 촬상 렌즈(5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510)와 제2 렌즈(520)의 합성 초점거리를 F12, 촬상 렌즈(5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5 < F/F12 < 2.5 (3)
상기의 조건식(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510)와 상기 제2 렌즈(520)의 파워 관계식으로, 조건식(3) 보다 작거나 큰 값으로 촬상 렌즈(500)가 설계되면 축상 성능이 떨어져 상품성이 떨어지고, 광학적 성능확보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3)을 만족함으로써, 축상 성능이 향상되어 상품성이 좋고, 광학적인 성능확보가 용이한 촬상 렌즈(5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의 제3 렌즈(530)와 제4 렌즈(540)의 합성 초점거리를 F34, 촬상 렌즈(5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2.5 < F/F34 < -0.4 (4)
상기의 조건식(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제3 렌즈(530)와 제4 렌즈(540)의 파워(Power) 관계식으로, 조건식(4) 보다 작거나 큰 값으로 촬상 렌즈(500)가 설계되면 색수차 및 비축수차의 보정이 적절하지 않게 되어 상품성이 떨어지고, 광학적 성능 확보가 어려워 진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4)를 만족함으로써, 상품성이 좋고, 광학적인 성능확보가 용이한 촬상 렌즈(5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에서 제1 렌즈(510)의 초점거리를 F1, 촬상 렌즈(5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F/F1 < 1.5 (5)
상기의 조건식(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510)의 파워 관계식으로, 조건식(5) 보다 작거나 큰 값으로 촬상 렌즈(500)가 설계되면 굴절능을 축소되여 민감도를 저감된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5)를 만족함으로써, 굴절능을 축소를 방지하여 민감도가 좋은 촬상렌즈(5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에서 제3 렌즈(530)의 초점거리를 F3, 촬상 렌즈(5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2 < |F/F3| < 2.5 (6)
상기의 조건식(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제3 렌즈(530)의 파워 관계식으로, 조건식(6) 보다 작거나 큰 값으로 촬상 렌즈(500)가 설계되면 굴절능을 분산시켜 민감도 저감된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식(6)을 만족함으로써, 굴절능의 분산을 방지하여 민감도가 좋은 촬상렌즈(5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에서 제5 렌즈(550)의 초점거리를 F5, 제6 렌즈(560)의 초점거리를 F6, 촬상 렌즈(5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3 < F/F5 + F/F6 < 6.0 (7)
상기의 조건식(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제5 렌즈(550) 및 제6 렌즈(560)의 파워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7)을 만족함으로써, 텔레포토(Telephoto) 형태가 가능한 촬상렌즈(5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에서 제1 렌즈(510)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이미지 하이트(Image height)를 ImgH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35 < TTL/2ImgH < 0.95 (8)
상기의 조건식(8)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의 TTL과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8)을 만족함으로써, 슬림(Slim)한 형태로 촬상렌즈(5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촬상 렌즈(500)의 시야각을 FOV(Field OF View)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65 < FOV < 88 (9)
상기의 조건식(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촬상렌즈(500)의 시야각에 대한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9)를 만족함으로써, 슬림(Slim)한 형태 및 준광각 형태로 촬상렌즈(5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에서 제1 렌즈(510)와 제2 렌즈(520)의 아베수 평균을 v12, 제3 렌즈(530)와 제4 렌즈(540)의 아베수 평균을 v34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10 < v12-v34 < 45 (10)
상기의 조건식(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510)와 제2 렌즈(520) 및 제3 렌즈(530)와 제4 렌즈(540)의 분산에 대한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0)을 만족함으로써, 색수차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에서 제3 렌즈(530)의 초점거리를 F3, 제4 렌즈(540)의 초점거리를 F4, 촬상 렌즈(5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F/F3|+|F/F4| < 3 (11)
상기의 조건식(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제3 렌즈(530) 및 제4 렌즈(540)의 굴절능에 대한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1)을 만족함으로써, 수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에서 제1 렌즈(510)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이 r12, 촬상 렌즈(5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15 < r12/F < 0.9 (12)
상기의 조건식(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510)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에 대한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2)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5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에서 제1 렌즈(510)의 초점거리를 F1, 제3 렌즈(530)의 초점거리를 F3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 |F1/F3| < 25 (13)
상기의 조건식(13)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510) 및 제3 렌즈(530)의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3)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5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에서 제5 렌즈(550)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을 r9, 제5 렌즈(550)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을 r10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 |(r9-r10)/(r9+r10)| < 6 (14)
상기의 조건식(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5 렌즈(550)의 파워(Power)의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4)를 만족함으로써, 양(+)의 파워를 갖는 제5 렌즈(55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에서 촬상 렌즈(5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제1 렌즈(510)의 초점거리를 F1, 제2 렌즈(520)의 초점거리를 F2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2 < |F/F1|+|F/F2| < 4 (15)
상기의 조건식(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500) 전체의 파워(Power)를 결정하는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5)를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5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에서 제1 렌즈(510)의 초점거리를 F1, 제2 렌즈(520)의 초점거리를 F2, 제3 렌즈(530)의 초점거리를 F3, 제4 렌즈(540)의 초점거리를 F4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 < (|F1|+|F2|)/(|F3|+|F4|) < 30 (16)
상기의 조건식(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510), 제2 렌즈(520), 제3 렌즈(530) 및 제4 렌즈(540)의 파워(Power)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6)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5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에서, 촬상 렌즈(5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제4 렌즈(540)의 초점거리를 F4, 제5 렌즈(550)의 초점거리를 F5, 제6 렌즈(560)의 초점거리를 F6 이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20 < |F/F4|+|F/F5|+|F/F6| < 7.5 (17)
상기의 조건식(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4 렌즈(540), 제5 렌즈(550) 및 제6 렌즈(560)의 파워(Power)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7)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5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에서, 촬상 렌즈(500)의 전체 초점거리를 F, 광축상에서 제1 렌즈(510)의 물체측면과 제6 렌즈(560)의 상측면 사이의 거리 DL 이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0.7 < DL/F < 1.2 (18)
상기의 조건식(18)을 만족함으로써, 컴팩트(compact)한 촬상렌즈(5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500)에서, 제4 렌즈(540)의 아베수를 v4, 제5 렌즈(550)의 아베수를 v5 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42 < v4+v5 < 115 (19)
상기의 조건식(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제4 렌즈(540)와 제5 렌즈(550)의 분산에 대한 관계식으로, 상기의 조건식(19)을 만족함으로써, 광학특성이 우수한 촬상렌즈(5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14 및 도 15는 다수의 파장을 다수의 컬러로 표시하여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와,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아울러,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코마수차(Coma Aberra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면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각 파장에 따른 구면수차를 나타낸다. 여기서, 각 파장이 수직축에 인접하여 나타남으로서 구면수차의 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비점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수직축인 물체측에서 바라본 상면 높이(ANGLE) 및 수평축인 포커스(FOCUS) 위치에 따른 x축 빛의 방향성분(X)과 y축 빛의 방향 성분(Y)의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X,Y가 서로 인접하여 나타남에 따라 이미지가 퍼지지 않고, 해상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왜곡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물체측에서 바라본 상면 높이(ANGLE)에 따른 수평축인 왜곡(Distortion)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왜곡도가 수평축인 왜곡(Distortion)의 -1 ~ +1 사이에서 주로 위치하므로 실제적으로 왜곡이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마수차를 측정한 그래프는 상면의 높이에 따라 각 파장에 따른 탄젠셜(Tangential)과 새지털(Sagittal)의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이때, 각 파장이 수평축 상에 인접하여 나타남으로써 횡색수차가 작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 제6 실시예 >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600)는 다음의 표 16과 같은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굴절률 아베수 렌즈형상 비고
S1 infinite 0 - - Flat Stop
S2 2.524 0.442 1.543 56.1 Asphere L1
S3 5.794 0.158 Asphere
S4 4.189 0.538 1.544 56.1 Asphere L2
S5 -4.328 0.070 Asphere
S6 -5.028 0.300 1.616 25.2 Asphere L3
S7 6.085 0.586 Asphere
S8 -4.288 0.633 1.562 43.1 Asphere L4
S9 -4.308 0.197 Asphere
S10 3.766 0.601 1.544 56.1 Asphere L5
S11 -2.290 0.476 Asphere
S12 -1.933 0.300 1.541 49.4 Asphere L6
S13 2.776 0.300 Asphere
S14 0.000 0.300 1.516 64.2 Flat 필터
S15 0.000 0.600 Flat
S16 infinite - - - Flat 이미지
센서
상기 표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600)의 상기 제1 렌즈(610, L1), 상기 제2 렌즈(620, L2), 상기 제3 렌즈(630, L3), 상기 제4 렌즈(640, L4), 상기 제5 렌즈(650, L5) 및 상기 제6 렌즈(660, L6)는 모든 면이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표 16에 기재된 "-" 값은 정의되지 않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S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렌즈(600)의 광량을 결정짓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S1의 비고란에 기재된 Stop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구경 조리개(605, S1)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개(605)는 제1 렌즈(610)의 물체측 면에 배치됐지만,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605)의 위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600)가 조리개(605)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렌즈면
번호
K A B C D
S2 0 -3.98E-02 -1.66E-02 -1.73E-02 -1.24E-02
S3 0.00E+00 -1.37E-01 -1.05E-03 -4.71E-02 3.07E-02
S4 0 -1.15E-01 -7.97E-03 -2.85E-02 2.25E-02
S5 0 -9.25E-02 1.64E-02 -2.70E-02 2.40E-03
S6 0 -9.66E-02 3.55E-02 -1.94E-02 1.30E-02
S7 0 -2.54E-02 -8.60E-03 7.55E-03 2.52E-03
S8 0 -2.47E-02 -6.86E-02 2.34E-02 -2.25E-02
S9 0 -1.49E-01 2.06E-02 3.52E-04 -5.19E-03
S10 0 -1.29E-01 3.74E-02 -6.41E-03 1.76E-04
S11 0 8.83E-02 -1.97E-02 2.81E-03 -4.31E-04
S12 0 8.88E-02 -4.29E-02 1.49E-02 -1.97E-03
S13 0 -6.37E-02 6.97E-03 -5.35E-04 -2.43E-05
상기 표 16 및 표 17에 기재된 바와 같이, S1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구경 조리개(605, S1)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또한, S14 및 S15는 필터(670)이고, S16는 수광 소자(680)인 이미지 센서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17은 다수의 파장을 다수의 컬러로 표시하여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와,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 제7 실시예 >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700)는 다음의 표 18과 같은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굴절률 아베수 렌즈형상 비고
S1 infinite 0 - - Flat Stop
S2 3.138 0.397 1.544 56.1 Asphere L1
S3 22.353 0.142 Asphere
S4 6.911 0.622 1.544 56.1 Asphere L2
S5 -3.570 0.322 Asphere
S6 -3.004 0.300 1.632 23.4 Asphere L3
S7 7.594 0.150 Asphere
S8 22.855 0.650 1.581 33.0 Asphere L4
S9 -13.856 0.227 Asphere
S10 3.219 0.804 1.553 48.6 Asphere L5
S11 -2.050 0.386 Asphere
S12 -1.720 0.300 1.509 59.1 Asphere L6
S13 2.727 0.300 Asphere
S14 infinite 0.300 1.516 64.2 Flat 필터
S15 infinite 0.600 Flat
S16 infinite - - - Flat 이미지
센서
상기 표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700)의 상기 제1 렌즈(710, L1), 상기 제2 렌즈(720, L2), 상기 제3 렌즈(730, L3), 상기 제4 렌즈(740, L4), 상기 제5 렌즈(750, L5) 및 상기 제6 렌즈(760, L6)는 모든 면이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표 18에 기재된 "-" 값은 정의되지 않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S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렌즈(700)의 광량을 결정짓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S1의 비고란에 기재된 Stop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구경 조리개(705, S1)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개(705)는 제1 렌즈(710)의 물체측 면에 배치됐지만,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705)의 위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700)가 조리개(705)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렌즈면
번호
K A B C D
S2 0 -5.83E-02 -2.06E-02 -2.80E-02 2.04E-02
S3 0.00E+00 -1.02E-01 2.62E-02 -4.09E-02 4.87E-02
S4 0 -6.15E-02 1.56E-02 6.37E-03 -1.79E-02
S5 0 -9.14E-02 -1.10E-02 -1.14E-02 -3.57E-03
S6 0 -1.81E-01 4.09E-02 6.62E-04 1.91E-02
S7 0 -4.64E-02 -1.47E-02 -4.32E-03 8.88E-03
S8 0 4.98E-02 -3.74E-02 -1.56E-02 8.96E-03
S9 0 -1.78E-01 1.09E-01 -3.39E-02 5.96E-03
S10 0 -1.67E-01 1.98E-02 -8.87E-03 2.48E-03
S11 0 1.35E-01 -1.28E-01 4.47E-02 -5.92E-03
S12 0 1.35E-01 -1.45E-01 6.35E-02 -9.17E-03
S13 0 -8.66E-02 1.26E-02 -1.07E-03 -2.98E-05
상기 표 18 및 표 19에 기재된 바와 같이, S1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구경 조리개(705, S1)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또한, S14 및 S15는 필터(770)이고, S16는 수광 소자(780)인 이미지 센서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19는 다수의 파장을 다수의 컬러로 표시하여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와,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 제8 실시예 >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800)는 다음의 표 20과 같은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굴절률 아베수 렌즈형상 비고
S1 infinite 0 - - Flat Stop
S2 3.331 0.683 1.544 56.1 Asphere L1
S3 1062.253 0.121 Asphere
S4 4.049 0.583 1.544 56.1 Asphere L2
S5 -2.988 0.050 Asphere
S6 -3.646 0.300 1.623 24.4 Asphere L3
S7 10.421 0.503 Asphere
S8 -1.419 0.523 1.612 25.8 Asphere L4
S9 -1.536 0.166 Asphere
S10 63.096 0.837 1.544 56.1 Asphere L5
S11 -1.744 0.516 Asphere
S12 -1.903 0.300 1.549 47.2 Asphere L6
S13 2.802 0.300 Asphere
S14 infinite 0.300 1.516 64.2 Flat 필터
S15 infinite 0.600 Flat
S16 infinite - - - Flat 이미지
센서
상기 표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8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800)의 상기 제1 렌즈(810, L1), 상기 제2 렌즈(820, L2), 상기 제3 렌즈(830, L3), 상기 제4 렌즈(840, L4), 상기 제5 렌즈(850, L5) 및 상기 제6 렌즈(860, L6)는 모든 면이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표 20에 기재된 "-" 값은 정의되지 않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S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렌즈(800)의 광량을 결정짓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S1의 비고란에 기재된 Stop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구경 조리개(805, S1)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개(805)는 제1 렌즈(810)의 물체측 면에 배치됐지만,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805)의 위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800)가 조리개(805)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 2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렌즈면
번호
K A B C D
S2 0 -5.10E-02 -2.21E-02 -2.08E-02 -3.24E-03
S3 0 -2.02E-01 2.35E-02 1.99E-03 6.14E-03
S4 0 -1.47E-01 -1.04E-02 5.56E-03 1.17E-02
S5 0 -2.68E-02 -5.32E-02 1.13E-02 -1.27E-03
S6 0 -7.19E-02 7.07E-03 3.52E-02 -1.77E-02
S7 0 -5.04E-02 -3.03E-04 -8.97E-03 6.62E-03
S8 0 1.09E-01 -3.97E-02 3.93E-02 1.35E-03
S9 0 -2.17E-02 5.87E-02 2.86E-02 -6.30E-03
S10 0 -1.35E-01 7.57E-04 1.98E-02 -1.33E-02
S11 0 1.72E-01 -2.07E-01 9.90E-02 -1.87E-02
S12 0 1.58E-01 -2.15E-01 1.07E-01 -1.93E-02
S13 0 -9.03E-02 1.55E-02 -1.77E-03 2.88E-05
상기 표 20 및 표 21에 기재된 바와 같이, S1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구경 조리개(805, S1)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또한, S14 및 S15는 필터(870)이고, S16는 수광 소자(880)인 이미지 센서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21은 다수의 파장을 다수의 컬러로 표시하여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2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와,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 제9 실시예 >
도 2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900)는 다음의 표 22와 같은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굴절률 아베수 렌즈형상 비고
S1 infinite 0 - - Flat Stop
S2 2.524 0.442 1.543 56.1 Asphere L1
S3 5.794 0.158 Asphere
S4 4.189 0.538 1.544 56.1 Asphere L2
S5 -4.328 0.070 Asphere
S6 -5.028 0.300 1.616 25.2 Asphere L3
S7 6.085 0.586 Asphere
S8 -4.288 0.633 1.562 43.1 Asphere L4
S9 -4.308 0.197 Asphere
S10 3.766 0.601 1.544 56.1 Asphere L5
S11 -2.290 0.476 Asphere
S12 -1.933 0.300 1.541 49.4 Asphere L6
S13 2.776 0.300 Asphere
S14 0.000 0.300 1.516 64.2 Flat 필터
S15 0.000 0.600 Flat
S16 infinite - - - Flat 이미지
센서
상기 표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9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0)의 상기 제1 렌즈(910, L1), 상기 제2 렌즈(920, L2), 상기 제3 렌즈(930, L3), 상기 제4 렌즈(940, L4), 상기 제5 렌즈(950, L5) 및 상기 제6 렌즈(960, L6)는 모든 면이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표 22에 기재된 "-" 값은 정의되지 않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S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렌즈(900)의 광량을 결정짓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S1의 비고란에 기재된 Stop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구경 조리개(905, S1)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개(905)는 제1 렌즈(910)의 물체측 면에 배치됐지만,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905)의 위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900)가 조리개(905)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 2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렌즈면
번호
K A B C D
S2 0 -8.50E-02 -3.61E-02 5.33E-03 6.32E-03
S3 0 -3.57E-02 8.73E-03 -2.41E-02 2.35E-02
S4 0 4.42E-02 1.27E-02 -3.10E-02 -1.44E-02
S5 0 -4.24E-02 -2.00E-02 1.05E-02 -1.16E-02
S6 0 -1.14E-01 2.37E-02 1.97E-02 4.28E-03
S7 0 -8.93E-02 1.04E-02 -4.13E-03 -1.42E-03
S8 0 -2.28E-02 -3.35E-03 2.52E-02 -7.85E-03
S9 0 -1.34E-01 8.55E-02 -7.49E-03 2.26E-03
S10 0 -1.38E-01 5.11E-02 -2.06E-02 3.73E-03
S11 0 1.21E-01 -7.42E-02 2.16E-02 -1.60E-03
S12 0 9.73E-02 -1.05E-01 4.25E-02 -5.73E-03
S13 0 -8.13E-02 8.91E-03 -1.78E-04 -8.58E-05
상기 표 22 및 표 23에 기재된 바와 같이, S1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구경 조리개(905, S1)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또한, S14 및 S15는 필터(970)이고, S16는 수광 소자(980)인 이미지 센서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23은 다수의 파장을 다수의 컬러로 표시하여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2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와,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 제10 실시예 >
도 2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0)는 다음의 표 24와 같은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굴절률 아베수 렌즈형상 비고
S1 infinite 0 - - Flat Stop
S2 7.298 0.300 1.611 27.6 Asphere L1
S3 8.599 0.050 Asphere
S4 3.054 0.762 1.544 56.1 Asphere L2
S5 -2.459 0.293 Asphere
S6 -2.119 0.300 1.630 23.5 Asphere L3
S7 -17.090 0.381 Asphere
S8 -17.285 0.303 1.640 23.3 Asphere L4
S9 -17.793 0.284 Asphere
S10 7.126 0.915 1.547 53.1 Asphere L5
S11 -1.786 0.412 Asphere
S12 -1.780 0.300 1.512 57.9 Asphere L6
S13 2.904 0.300 Asphere
S14 0.000 0.300 1.516 64.2 Flat 필터
S15 0.000 0.600 Flat
S16 infinite - - - Flat 이미지
센서
상기 표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0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000)의 상기 제1 렌즈(1010, L1), 상기 제2 렌즈(1020, L2), 상기 제3 렌즈(1030, L3), 상기 제4 렌즈(1040, L4), 상기 제5 렌즈(1050, L5) 및 상기 제6 렌즈(1060, L6)는 모든 면이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표 24에 기재된 "-" 값은 정의되지 않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S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렌즈(1000)의 광량을 결정짓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S1의 비고란에 기재된 Stop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구경 조리개(1005, S1)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개(1005)는 제1 렌즈(1010)의 물체측 면에 배치됐지만,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1005)의 위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1000)가 조리개(1005)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 25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렌즈면
번호
K A B C D
S2 0 -5.42E-02 -6.47E-03 8.94E-03 -1.12E-02
S3 0 -3.74E-02 2.81E-02 -1.38E-02 7.56E-03
S4 0 -2.35E-03 1.23E-02 -2.44E-02 -3.17E-03
S5 0 -4.76E-02 -1.67E-02 1.11E-02 -1.01E-02
S6 0 -5.17E-02 1.07E-02 4.24E-03 1.24E-02
S7 0 -2.77E-02 -6.49E-03 -1.15E-02 6.18E-03
S8 0 -2.01E-02 -5.16E-03 8.27E-03 -9.12E-03
S9 0 -7.88E-02 4.09E-02 -4.60E-03 9.17E-04
S10 0 -9.75E-02 3.07E-02 -1.93E-02 3.23E-03
S11 0 8.85E-02 -3.33E-02 8.16E-03 -1.78E-03
S12 0 5.70E-02 -6.04E-02 3.17E-02 -6.38E-03
S13 0 -9.34E-02 1.78E-02 -2.38E-03 8.48E-05
상기 표 24 및 표 25에 기재된 바와 같이, S1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구경 조리개(1005, S1)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또한, S14 및 S15는 필터(1070)이고, S16는 수광 소자(1080)인 이미지 센서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25는 다수의 파장을 다수의 컬러로 표시하여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25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와,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 제11 실시예 >
도 26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100)는 다음의 표 26과 같은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굴절률 아베수 렌즈형상 비고
S1 infinite 0 - - Flat Stop
S2 2.973 0.527 1.544 56.1 Asphere L1
S3 9.332 0.130 Asphere
S4 6.719 0.542 1.544 56.1 Asphere L2
S5 -2.780 0.050 Asphere
S6 -27.423 0.300 1.632 23.4 Asphere L3
S7 3.557 0.511 Asphere
S8 -2.283 0.346 1.566 35.7 Asphere L4
S9 -3.757 0.236 Asphere
S10 4.702 0.894 1.544 56.1 Asphere L5
S11 -1.727 0.463 Asphere
S12 -1.783 0.300 1.514 57.1 Asphere L6
S13 2.788 0.300 Asphere
S14 0.000 0.300 1.516 64.2 Flat 필터
S15 0.000 0.600 Flat
S16 infinite - - - Flat 이미지
센서
상기 표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100)의 상기 제1 렌즈(1110, L1), 상기 제2 렌즈(1120, L2), 상기 제3 렌즈(1130, L3), 상기 제4 렌즈(1140, L4), 상기 제5 렌즈(1150, L5) 및 상기 제6 렌즈(1160, L6)는 모든 면이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표 26에 기재된 "-" 값은 정의되지 않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S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렌즈(1100)의 광량을 결정짓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S1의 비고란에 기재된 Stop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구경 조리개(1105, S1)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개(1105)는 제1 렌즈(1110)의 물체측 면에 배치됐지만,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1105)의 위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1100)가 조리개(1105)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 27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렌즈면
번호
K A B C D
S2 0 -4.33E-02 -1.23E-02 -1.90E-02 -1.56E-03
S3 0 -1.52E-01 1.33E-02 -3.43E-02 2.34E-02
S4 0 -1.46E-01 -9.41E-03 -1.04E-02 -2.19E-03
S5 0 -6.21E-02 2.66E-03 -2.16E-02 -3.05E-04
S6 0 -7.53E-02 2.47E-02 -2.54E-02 1.66E-02
S7 0 -4.17E-02 4.04E-03 8.16E-03 1.45E-03
S8 0 -2.57E-02 1.06E-02 3.79E-02 -8.44E-03
S9 0 -1.79E-01 8.09E-02 -1.06E-02 4.04E-03
S10 0 -1.55E-01 3.10E-02 -1.51E-02 -3.37E-04
S11 0 1.12E-01 -7.70E-02 2.17E-02 -2.36E-03
S12 0 1.09E-01 -9.86E-02 4.06E-02 -5.41E-03
S13 0 -7.97E-02 1.19E-02 -1.06E-03 -1.66E-05
상기 표 26 및 표 27에 기재된 바와 같이, S1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구경 조리개(1105, S1)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또한, S14 및 S15는 필터(1170)이고, S16는 수광 소자(1180)인 이미지 센서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27은 다수의 파장을 다수의 컬러로 표시하여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27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와,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 제12 실시예 >
도 28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200)는 다음의 표 28과 같은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굴절률 아베수 렌즈형상 비고
S1 infinite 0 - - Flat Stop
S2 5.427 0.347 1.549 51.5 Asphere L1
S3 -68.568 0.050 Asphere
S4 5.313 0.657 1.544 56.1 Asphere L2
S5 -2.910 0.114 Asphere
S6 -29.572 0.475 1.622 24.6 Asphere L3
S7 2.811 0.504 Asphere
S8 -4.759 0.547 1.562 43.1 Asphere L4
S9 -6.888 0.135 Asphere
S10 4.476 0.802 1.544 56.1 Asphere L5
S11 -1.734 0.369 Asphere
S12 -1.678 0.300 1.516 56.5 Asphere L6
S13 2.752 0.300 Asphere
S14 0.000 0.300 1.516 64.2 Flat 필터
S15 0.000 0.600 Flat
S16 infinite - - - Flat 이미지
센서
상기 표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200)의 상기 제1 렌즈(1210, L1), 상기 제2 렌즈(1220, L2), 상기 제3 렌즈(1230, L3), 상기 제4 렌즈(1240, L4), 상기 제5 렌즈(1250, L5) 및 상기 제6 렌즈(1260, L6)는 모든 면이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표 28에 기재된 "-" 값은 정의되지 않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S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렌즈(1200)의 광량을 결정짓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S1의 비고란에 기재된 Stop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구경 조리개(1205, S1)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개(1205)는 제1 렌즈(1210)의 물체측 면에 배치됐지만,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1205)의 위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1200)가 조리개(1205)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 29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렌즈면
번호
K A B C D
S2 0 -8.48E-02 -1.95E-02 1.69E-02 -3.81E-03
S3 0 -4.49E-02 9.46E-03 -1.23E-03 6.68E-03
S4 0 4.70E-02 6.21E-03 -1.89E-02 -2.56E-04
S5 0 -3.31E-02 -1.19E-02 6.37E-03 -5.06E-03
S6 0 -1.08E-01 1.22E-02 1.30E-02 2.36E-03
S7 0 -5.82E-02 2.22E-02 -5.86E-04 1.22E-03
S8 0 -1.63E-04 -1.84E-02 1.08E-02 -8.06E-03
S9 0 -1.69E-01 6.33E-02 -1.42E-02 -1.77E-03
S10 0 -1.63E-01 5.26E-02 -2.18E-02 2.19E-03
S11 0 1.27E-01 -7.47E-02 2.19E-02 -2.26E-03
S12 0 8.82E-02 -1.00E-01 4.70E-02 -7.01E-03
S13 0 -1.01E-01 1.84E-02 -2.16E-03 4.82E-05
상기 표 28 및 표 29에 기재된 바와 같이, S1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구경 조리개(1205, S1)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또한, S14 및 S15는 필터(1270)이고, S16는 수광 소자(1280)인 이미지 센서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29는 다수의 파장을 다수의 컬러로 표시하여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29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와,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 제13 실시예 >
도 30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300)는 다음의 표 30과 같은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굴절률 아베수 렌즈형상 비고
S1 infinite 0 - - Flat Stop
S2 2.373 0.431 1.544 56.1 Asphere L1
S3 5.456 0.151 Asphere
S4 3.291 0.435 1.544 56.1 Asphere L2
S5 7.298 0.130 Asphere
S6 -11.917 0.486 1.544 56.1 Asphere L3
S7 -1.881 0.153 Asphere
S8 -1.322 0.399 1.632 23.4 Asphere L4
S9 -8.220 0.254 Asphere
S10 6.739 0.980 1.583 34.3 Asphere L5
S11 -1.743 0.581 Asphere
S12 -2.388 0.300 1.555 45.7 Asphere L6
S13 2.818 0.300 Asphere
S14 0.000 0.300 1.516 64.2 Flat 필터
S15 0.000 0.600 Flat
S16 infinite - - - Flat 이미지
센서
상기 표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300)의 상기 제1 렌즈(1310, L1), 상기 제2 렌즈(1320, L2), 상기 제3 렌즈(1330, L3), 상기 제4 렌즈(1340, L4), 상기 제5 렌즈(1350, L5) 및 상기 제6 렌즈(1360, L6)는 모든 면이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표 30에 기재된 "-" 값은 정의되지 않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S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렌즈(1300)의 광량을 결정짓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S1의 비고란에 기재된 Stop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구경 조리개(1305, S1)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개(1305)는 제1 렌즈(1310)의 물체측 면에 배치됐지만,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1305)의 위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1300)가 조리개(1305)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 31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렌즈면
번호
K A B C D
S2 0 -1.72E-02 8.04E-03 -9.18E-03 -1.63E-02
S3 0 -1.46E-01 1.03E-01 -1.01E-01 -1.92E-03
S4 0 -2.31E-01 6.13E-02 -5.76E-02 -4.18E-02
S5 0 -2.26E-01 -4.47E-02 3.97E-02 -7.93E-04
S6 0 -1.25E-01 -6.46E-02 3.39E-02 2.02E-02
S7 0 7.66E-03 -1.40E-02 -7.64E-03 6.38E-03
S8 0 1.13E-01 3.36E-02 4.54E-03 5.67E-05
S9 0 -3.05E-02 5.26E-02 -1.59E-04 -3.91E-03
S10 0 -8.25E-02 7.05E-03 -3.65E-03 2.73E-04
S11 0 9.91E-02 -6.56E-02 2.19E-02 -2.89E-03
S12 0 3.49E-02 -9.59E-02 4.51E-02 -7.24E-03
S13 0 -1.02E-01 1.68E-02 -1.61E-03 6.67E-06
상기 표 30 및 표 31에 기재된 바와 같이, S1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구경 조리개(1305, S1)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또한, S14 및 S15는 필터(1370)이고, S16는 수광 소자(1380)인 이미지 센서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31은 다수의 파장을 다수의 컬러로 표시하여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31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와,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 제14 실시예 >
도 32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400)는 다음의 표 32와 같은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굴절률 아베수 렌즈형상 비고
S1 infinite 0 - - Flat Stop
S2 3.766 0.442 1.544 56.1 Asphere L1
S3 -8.268 0.050 Asphere
S4 6.263 0.340 1.544 56.1 Asphere L2
S5 6.596 0.180 Asphere
S6 28.489 0.593 1.544 56.1 Asphere L3
S7 -3.734 0.180 Asphere
S8 -1.718 0.324 1.632 23.4 Asphere L4
S9 -10.508 0.242 Asphere
S10 9.953 1.002 1.563 42.4 Asphere L5
S11 -1.666 0.647 Asphere
S12 -2.366 0.300 1.501 63.0 Asphere L6
S13 2.706 0.300 Asphere
S14 0.000 0.300 1.516 64.2 Flat 필터
S15 0.000 0.600 Flat
S16 infinite - - - Flat 이미지
센서
상기 표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400)의 상기 제1 렌즈(1410, L1), 상기 제2 렌즈(1420, L2), 상기 제3 렌즈(1430, L3), 상기 제4 렌즈(1440, L4), 상기 제5 렌즈(1450, L5) 및 상기 제6 렌즈(1460, L6)는 모든 면이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표 32에 기재된 "-" 값은 정의되지 않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S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렌즈(1400)의 광량을 결정짓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S1의 비고란에 기재된 Stop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구경 조리개(1405, S1)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개(1405)는 제1 렌즈(1410)의 물체측 면에 배치됐지만,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1405)의 위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1400)가 조리개(1405)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 33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렌즈면
번호
K A B C D
S2 0 -2.60E-02 -2.17E-02 1.73E-02 -4.18E-02
S3 0 -2.08E-02 -2.15E-02 -3.71E-02 -3.03E-02
S4 0 -5.91E-02 -6.89E-03 -5.04E-02 -3.83E-02
S5 0 -1.45E-01 1.97E-02 -1.32E-02 1.03E-02
S6 0 -7.81E-02 -1.49E-02 3.98E-02 -8.35E-03
S7 0 -7.86E-02 -5.10E-02 1.29E-02 9.75E-03
S8 0 -5.08E-02 3.96E-02 3.87E-02 -9.19E-03
S9 0 -7.34E-02 6.40E-02 -3.70E-03 3.18E-03
S10 0 -6.76E-02 -3.23E-02 1.08E-02 -1.33E-02
S11 0 9.95E-02 -5.77E-02 1.65E-02 -2.90E-03
S12 0 2.54E-02 -9.10E-02 4.33E-02 -7.28E-03
S13 0 -1.05E-01 1.58E-02 -1.28E-03 -3.77E-05
상기 표 32 및 표 33에 기재된 바와 같이, S1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구경 조리개(1405, S1)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또한, S14 및 S15는 필터(1470)이고, S16는 수광 소자(1480)인 이미지 센서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33은 다수의 파장을 다수의 컬러로 표시하여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33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와,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 제15 실시예 >
도 34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500)는 다음의 표 34와 같은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굴절률 아베수 렌즈형상 비고
S1 infinite 0 - - Flat Stop
S2 1.876 0.531 1.544 56.1 Asphere L1
S3 4.445 0.200 Asphere
S4 6.117 0.513 1.544 56.1 Asphere L2
S5 -4.294 0.050 Asphere
S6 -12.193 0.300 1.633 23.4 Asphere L3
S7 2.871 0.336 Asphere
S8 393.388 0.714 1.573 33.8 Asphere L4
S9 -12.431 0.216 Asphere
S10 18.829 0.600 1.551 49.9 Asphere L5
S11 -1.700 0.390 Asphere
S12 -1.961 0.450 1.531 54.5 Asphere L6
S13 2.739 0.300 Asphere
S14 0.000 0.300 1.516 64.2 Flat 필터
S15 0.000 0.600 Flat
S16 infinite - - - Flat 이미지
센서
상기 표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5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500)의 상기 제1 렌즈(1510, L1), 상기 제2 렌즈(1520, L2), 상기 제3 렌즈(1530, L3), 상기 제4 렌즈(1540, L4), 상기 제5 렌즈(1550, L5) 및 상기 제6 렌즈(1560, L6)는 모든 면이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표 34에 기재된 "-" 값은 정의되지 않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S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렌즈(1500)의 광량을 결정짓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S1의 비고란에 기재된 Stop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구경 조리개(1505, S1)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개(1505)는 제1 렌즈(1510)의 물체측 면에 배치됐지만,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1505)의 위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1500)가 조리개(1505)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 35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렌즈면
번호
K A B C D
S2 1.42E-02 -5.71E-03 5.46E-04 4.95E-03 -4.39E-03
S3 0 -7.00E-02 1.73E-02 1.26E-03 -9.24E-03
S4 0 -1.29E-01 -1.80E-03 2.15E-02 -1.98E-02
S5 -1.69E-02 -8.17E-02 1.88E-02 -2.05E-02 4.69E-03
S6 0 -5.71E-02 1.06E-02 -3.83E-02 1.85E-02
S7 5.39E-01 -3.87E-02 2.98E-03 1.12E-03 4.25E-03
S8 0 -5.01E-02 1.88E-02 4.36E-03 1.49E-04
S9 0 -1.59E-01 4.25E-02 -4.90E-03 4.17E-04
S10 0 -1.28E-01 2.31E-02 -8.72E-03 -4.37E-04
S11 -2.51E-01 1.13E-01 -3.91E-02 2.94E-03 1.05E-03
S12 1.02E-01 6.56E-02 -6.31E-02 2.61E-02 -3.69E-03
S13 -1.13E+01 -4.56E-02 4.97E-03 -1.48E-04 -5.01E-05
상기 표 34 및 표 35에 기재된 바와 같이, S1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구경 조리개(1505, S1)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또한, S14 및 S15는 필터(1570)이고, S16는 수광 소자(1580)인 이미지 센서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35는 다수의 파장을 다수의 컬러로 표시하여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35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와,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 제16 실시예 >
도 36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600)는 다음의 표 36과 같은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굴절률 아베수 렌즈형상 비고
S1 infinite 0 - - Flat Stop
S2 3.295 0.585 1.544 56.1 Asphere L1
S3 18.239 0.100 Asphere
S4 3.628 0.555 1.537 56.0 Asphere L2
S5 -3.984 0.100 Asphere
S6 -4.571 0.300 1.640 23.3 Asphere L3
S7 11.772 0.497 Asphere
S8 -1.528 0.380 1.616 25.2 Asphere L4
S9 -1.570 0.160 Asphere
S10 7.418 0.642 1.541 56.1 Asphere L5
S11 -2.511 0.171 Asphere
S12 -2.609 0.750 1.546 44.6 Asphere L6
S13 2.494 0.300 Asphere
S14 0.000 0.300 1.516 64.2 Flat 필터
S15 0.000 0.665 Flat
S16 infinite - - - Flat 이미지
센서
상기 표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6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600)의 상기 제1 렌즈(1610, L1), 상기 제2 렌즈(1620, L2), 상기 제3 렌즈(1630, L3), 상기 제4 렌즈(1640, L4), 상기 제5 렌즈(1650, L5) 및 상기 제6 렌즈(1660, L6)는 모든 면이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표 36에 기재된 "-" 값은 정의되지 않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S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렌즈(1600)의 광량을 결정짓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S1의 비고란에 기재된 Stop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구경 조리개(1605, S1)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개(1605)는 제1 렌즈(1610)의 물체측 면에 배치됐지만,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1605)의 위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1600)가 조리개(1605)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 37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렌즈면
번호
K A B C D
S2 -9.52E-01 -5.59E-02 -2.36E-02 -2.86E-02 -8.20E-03
S3 0 -2.18E-01 1.34E-02 7.30E-03 5.61E-03
S4 0 -1.49E-01 -1.04E-02 1.46E-02 7.11E-03
S5 -7.14E-01 -2.46E-02 -4.43E-02 7.00E-03 -1.44E-03
S6 0 -7.10E-02 3.68E-03 4.21E-02 -1.41E-02
S7 1.96E+01 -4.70E-02 -2.62E-03 -2.09E-03 6.05E-03
S8 0 8.49E-02 -3.50E-02 4.32E-02 -4.41E-03
S9 0 -9.26E-03 4.55E-02 2.63E-02 -3.40E-03
S10 0 -9.71E-02 9.16E-03 6.15E-03 -4.35E-03
S11 -2.84E+00 1.90E-01 -2.31E-01 1.04E-01 -1.73E-02
S12 -1.45E-01 1.67E-01 -2.13E-01 9.93E-02 -1.63E-02
S13 -8.01E-01 -8.48E-02 1.48E-02 -1.52E-03 3.54E-05
상기 표 36 및 표 37에 기재된 바와 같이, S1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구경 조리개(1605, S1)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또한, S14 및 S15는 필터(1670)이고, S16는 수광 소자(1680)인 이미지 센서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37은 다수의 파장을 다수의 컬러로 표시하여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37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와,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 제17 실시예 >
도 38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700)는 다음의 표 38과 같은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굴절률 아베수 렌즈형상 비고
S1 infinite 0 - - Flat Stop
S2 1.910 0.513 1.543 56.1 Asphere L1
S3 4.234 0.269 Asphere
S4 5.685 0.586 1.537 56.0 Asphere L2
S5 -3.600 0.100 Asphere
S6 -6.723 0.300 1.632 23.4 Asphere L3
S7 2.779 0.285 Asphere
S8 27.415 0.636 1.614 25.6 Asphere L4
S9 -7.276 0.344 Asphere
S10 8.534 0.629 1.544 56.0 Asphere L5
S11 -1.838 0.293 Asphere
S12 -1.829 0.350 1.544 56.0 Asphere L6
S13 2.664 0.300 Asphere
S14 0.000 0.300 1.516 64.2 Flat 필터
S15 0.000 0.600 Flat
S16 infinite - - - Flat 이미지
센서
상기 표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7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700)의 상기 제1 렌즈(1710, L1), 상기 제2 렌즈(1720, L2), 상기 제3 렌즈(1730, L3), 상기 제4 렌즈(1740, L4), 상기 제5 렌즈(1750, L5) 및 상기 제6 렌즈(1760, L6)는 모든 면이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표 38에 기재된 "-" 값은 정의되지 않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S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렌즈(1700)의 광량을 결정짓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S1의 비고란에 기재된 Stop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구경 조리개(1705, S1)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개(1705)는 제1 렌즈(1710)의 물체측 면에 배치됐지만,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1705)의 위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1700)가 조리개(1705)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 39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렌즈면
번호
K A B C D
S2 -2.44E-01 -1.66E-03 -1.55E-03 4.87E-03 -6.57E-03
S3 0 -4.88E-02 6.74E-03 -1.05E-02 -1.14E-03
S4 0 -1.06E-01 -2.14E-02 -1.55E-03 -1.35E-03
S5 5.02E+00 -1.02E-01 4.56E-02 -1.49E-02 -2.29E-03
S6 0 -9.70E-02 4.99E-02 -2.24E-02 5.42E-04
S7 3.37E-01 -2.49E-02 2.13E-03 -4.85E-03 2.59E-03
S8 0 -4.16E-03 1.94E-02 -1.81E-03 -1.92E-05
S9 0 -8.26E-02 3.25E-02 -4.79E-03 2.96E-03
S10 0 -8.42E-02 1.32E-02 -1.52E-02 2.24E-03
S11 -7.04E-03 1.53E-01 -5.74E-02 5.30E-03 1.10E-03
S12 -6.71E-01 9.70E-02 -6.01E-02 1.78E-02 -2.02E-03
S13 -1.60E+01 -2.97E-02 1.02E-03 3.02E-04 -6.47E-05
상기 표 38 및 표 39에 기재된 바와 같이, S1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구경 조리개(1705, S1)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또한, S14 및 S15는 필터(1770)이고, S16는 수광 소자(1780)인 이미지 센서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39는 다수의 파장을 다수의 컬러로 표시하여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39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와,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 제18 실시예 >
도 40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800)는 다음의 표 40과 같은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굴절률 아베수 렌즈형상 비고
S1 infinite 0 - - Flat Stop
S2 3.364 0.442 1.541 56.1 Asphere L1
S3 -7.839 0.103 Asphere
S4 -22.146 0.509 1.538 56.0 Asphere L2
S5 -2.756 0.100 Asphere
S6 17.811 0.421 1.635 23.9 Asphere L3
S7 2.399 0.509 Asphere
S8 -3.032 0.400 1.618 26.3 Asphere L4
S9 -3.476 0.207 Asphere
S10 6.937 0.633 1.543 50.5 Asphere L5
S11 -1.722 0.229 Asphere
S12 -1.759 0.738 1.556 46.3 Asphere L6
S13 3.379 0.300 Asphere
S14 0.000 0.300 1.516 64.2 Flat 필터
S15 0.000 0.600 Flat
S16 infinite - - - Flat 이미지
센서
상기 표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8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800)의 상기 제1 렌즈(1810, L1), 상기 제2 렌즈(1820, L2), 상기 제3 렌즈(1830, L3), 상기 제4 렌즈(1840, L4), 상기 제5 렌즈(1850, L5) 및 상기 제6 렌즈(1860, L6)는 모든 면이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표 40에 기재된 "-" 값은 정의되지 않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S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렌즈(1800)의 광량을 결정짓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S1의 비고란에 기재된 Stop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구경 조리개(1805, S1)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개(1805)는 제1 렌즈(1810)의 물체측 면에 배치됐지만,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1805)의 위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1800)가 조리개(1805)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 41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렌즈면
번호
K A B C D
S2 9.48E-01 -7.74E-02 -3.60E-02 -5.24E-03 -6.18E-04
S3 0 -4.77E-02 1.60E-02 -1.72E-02 -8.97E-03
S4 0 4.79E-02 2.29E-02 -2.19E-02 -2.19E-02
S5 -1.07E+00 -2.19E-02 -1.85E-02 3.17E-03 -6.83E-03
S6 0 -1.20E-01 2.05E-02 2.57E-02 7.18E-03
S7 -9.51E-02 -8.62E-02 3.16E-02 8.94E-03 -2.02E-03
S8 0 -1.25E-03 -8.27E-03 2.93E-02 -6.41E-03
S9 0 -1.39E-01 8.31E-02 -1.09E-02 4.23E-03
S10 -2.65E+01 -1.51E-01 7.36E-02 -2.29E-02 7.46E-04
S11 -2.54E-02 1.60E-01 -7.20E-02 2.23E-02 -2.25E-03
S12 -4.61E-01 1.41E-01 -1.03E-01 3.97E-02 -5.37E-03
S13 -6.71E-01 -5.65E-02 6.14E-03 -3.62E-04 -8.63E-06
상기 표 40 및 표 41에 기재된 바와 같이, S1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구경 조리개(1805, S1)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또한, S14 및 S15는 필터(1870)이고, S16는 수광 소자(1880)인 이미지 센서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41은 다수의 파장을 다수의 컬러로 표시하여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41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와,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 제19 실시예 >
도 42는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900)는 다음의 표 42와 같은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면
번호
곡률
반경(mm)
두께(mm) 굴절률 아베수 렌즈형상 비고
S1 infinite 0 - - Flat Stop
S2 1.638 0.365 1.544 56.1 Asphere L1
S3 3.058 0.090 Asphere
S4 2.717 0.461 1.544 56.1 Asphere L2
S5 -6.816 0.089 Asphere
S6 -6.985 0.205 1.639 23.3 Asphere L3
S7 3.564 0.234 Asphere
S8 23.122 0.399 1.639 23.3 Asphere L4
S9 -7.182 0.491 Asphere
S10 -4.465 0.486 1.639 23.3 Asphere L5
S11 -4.657 0.140 Asphere
S12 5.645 0.732 1.534 55.7 Asphere L6
S13 1.700 0.161 Asphere
S14 0.000 0.270 1.516 64.2 Flat 필터
S15 0.000 0.580 Flat
S16 infinite - - - Flat 이미지
센서
상기 표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9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1900)의 상기 제1 렌즈(1910, L1), 상기 제2 렌즈(1920, L2), 상기 제3 렌즈(1930, L3), 상기 제4 렌즈(1940, L4), 상기 제5 렌즈(1950, L5) 및 상기 제19 렌즈(1960, L6)는 모든 면이 비구면이다.
또한, 상기 표 42에 기재된 "-" 값은 정의되지 않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S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렌즈(1900)의 광량을 결정짓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S1의 비고란에 기재된 Stop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구경 조리개(1905, S1)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개(1905)는 제1 렌즈(1910)의 물체측 면에 배치됐지만,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1905)의 위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에 따른 촬상렌즈(1900)가 조리개(1905)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 43은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렌즈면
번호
K A B C D E
S2 -5.55E-01 -2.15E-02 -5.21E-05 -4.99E-02 6.47E-02 -2.90E-02
S3 0 -9.03E-02 5.29E-02 3.63E-03 1.02E-01 -8.15E-02
S4 0 -5.75E-02 6.12E-02 3.41E-02 8.28E-02 -1.03E-01
S5 -1.48E+01 3.24E-02 -1.57E-01 1.41E-01 -3.03E-02 -2.39E-02
S6 0 7.95E-02 -2.20E-01 3.53E-01 -2.81E-01 1.28E-01
S7 1.29E+01 -2.14E-02 -1.10E-01 3.09E-01 -3.20E-01 1.42E-01
S8 0 -9.36E-02 -2.68E-02 6.95E-02 1.13E-01 -1.32E-01
S9 0 -4.92E-02 -7.57E-03 1.40E-03 1.34E-01 -8.01E-02
S10 0 8.68E-02 -2.15E-01 1.30E-01 -3.43E-02 1.41E-03
S11 -1.89E+00 1.24E-01 -1.81E-01 9.97E-02 -2.77E-02 3.10E-03
S12 -1.48E+02 -9.45E-02 -2.53E-02 2.77E-02 -6.11E-03 4.37E-04
S13 -9.57E+00 -6.18E-02 1.28E-02 -2.32E-03 2.26E-04 -7.54E-06
상기 표 42 및 표 43에 기재된 바와 같이, S1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구경 조리개(1905, S1)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또한, S14 및 S15는 필터(1970)이고, S16는 수광 소자(1980)인 이미지 센서로서 평면(flat)이기 때문에 비구면 계수 값은 없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43은 다수의 파장을 다수의 컬러로 표시하여 수차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43은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에 따른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와,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촬상 렌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200,300,400,500 : 촬상 렌즈
105,205,305,405,505 : 조리개
110,210,310,410,510 : 제1 렌즈
120,220,320,420,520 : 제2 렌즈
130,230,330,430,530 : 제3 렌즈
140,240,340,440,540 : 제4 렌즈
150,250,350,450,550 : 제5 렌즈
160,260,360,460,560 : 제6 렌즈
170,270,370,470,570 : 필터
180,280,380,480,580 : 수광 소자

Claims (36)

  1. 양(+)의 파워를 갖는 제1 렌즈;
    양(+)의 파워를 갖는 제2 렌즈;
    양(+) 또는 음(-)의 파워를 갖는 제3 렌즈;
    양(+) 또는 음(-)의 파워를 갖는 제4 렌즈;
    양(+) 또는 음(-)의 파워를 제5 렌즈; 및
    음(-)의 파워를 갖는 제6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렌즈, 상기 제2 렌즈, 상기 제3 렌즈, 상기 제4 렌즈 상기 제5 렌즈 및 상기 제6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는 촬상 렌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촬상 렌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 또는 상기 제4 렌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아베수가 30 이하로 형성되는 촬상 렌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 렌즈는 상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촬상 렌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 렌즈는 양(+)의 파워를 갖고 물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촬상 렌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 렌즈는 양(+)의 파워를 갖고 물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촬상 렌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 렌즈는 음(-)의 파워를 갖고, 물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촬상 렌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 렌즈는 물체측 면 또는 상면측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변곡점을 갖도록 형성되는 촬상렌즈.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6 렌즈는 상면측 면에 변곡점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촬상 렌즈.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6 렌즈는 상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촬상 렌즈.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상기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0.95 < TTL/F < 1.4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상기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1.15 < TTL/F < 1.4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를 F12, 상기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0.5 < F/F12 < 2.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와 상기 제4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를 F34, 상기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2.5 < F/F34 < -0.4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는 음(-)의 파워를 갖고,
    상기 제4 렌즈는 양(+)의 파워를 갖도록 형성되는 촬상 렌즈.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는 음(-)의 파워를 갖고,
    상기 제4 렌즈는 음(-)의 파워를 갖도록 형성되는 촬상 렌즈.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는 양(+)의 파워를 갖고,
    상기 제4 렌즈는 음(-)의 파워를 갖도록 형성되는 촬상 렌즈.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는 양(+)의 파워를 갖고,
    상기 제4 렌즈는 양(+)의 파워를 갖도록 형성되는 촬상 렌즈.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5 렌즈 중 어느 하나 보다 물체측 또는 상면측에 위치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하는 촬상 렌즈.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는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과 제3 렌즈의 물체측 면 사이에 위치되는 촬상 렌즈.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렌즈의 초점거리를 F1,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0< F/F1 < 1.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3 렌즈의 초점거리를 F3,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0.2 < |F/F3| < 2.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5 렌즈의 초점거리를 F5, 제6 렌즈의 초점거리를 F6,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0.3 < F/F5 + F/F6 < 6.0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2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렌즈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이미지 하이트(Image height)를 ImgH 라 할 때,
    0.35 < TTL/2ImgH < 0.9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25. 청구항 1에 있어서,
    촬상 렌즈의 시야각을 FOV라 할 때,
    65 < FOV < 88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2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렌즈와 제2 렌즈의 아베수 평균을 v12, 제3 렌즈와 제4 렌즈의 아베수 평균을 v34라 할 때,
    10 < v12-v34 < 4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2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3 렌즈의 초점거리를 F3, 제4 렌즈의 초점거리를 F4,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0< |F/F3|+|F/F4| < 3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28.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렌즈의 물체측 입사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를 TTL,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0.95 < TTL/F < 1.3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29.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이 r12,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라 할 때,
    0.15 < r12/F < 0.9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30.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렌즈의 초점거리를 F1, 제3 렌즈의 초점거리를 F3 라 할 때,
    0 < |F1/F3| < 2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31. 청구항 1에 있어서,
    제5 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을 r9, 제5 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을 r10 라 할 때,
    0 < |(r9-r10)/(r9+r10)| < 6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32. 청구항 1에 있어서,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제1 렌즈의 초점거리를 F1, 제2 렌즈의 초점거리를 F2 라 할 때,
    0.2 < |F/F1|+|F/F2| < 4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3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렌즈의 초점거리를 F1, 제2 렌즈의 초점거리를 F2, 제3 렌즈의 초점거리를 F3, 제4 렌즈의 초점거리를 F4 라 할 때,
    0 < (|F1|+|F2|)/(|F3|+|F4|) < 30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34. 청구항 1에 있어서,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제4 렌즈의 초점거리를 F4, 제5 렌즈의 초점거리를 F5, 제6 렌즈의 초점거리를 F6 이라 할 때,
    0.20 < |F/F4|+|F/F5|+|F/F6| < 7.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35. 청구항 1에 있어서,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광축상에서 제1 렌즈의 물체측면과 제6 렌즈의 상측면 사이의 거리 DL 이라 할 때,
    0.7 < DL/F < 1.2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3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4 렌즈의 아베수를 v4, 제5 렌즈의 아베수를 v5 라 할 때,
    42 < v4+v5 < 11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렌즈.
KR1020130107710A 2012-09-14 2013-09-09 촬상 렌즈 KR101505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89951A JP5877183B2 (ja) 2012-09-14 2013-09-13 撮像レンズ
US14/027,090 US9046672B2 (en) 2012-09-14 2013-09-13 Imaging lens
TW102133268A TWI525337B (zh) 2012-09-14 2013-09-13 成像透鏡
EP13184323.7A EP2708929A3 (en) 2012-09-14 2013-09-13 Imaging lens
CN201310570983.8A CN104133283B (zh) 2012-09-14 2013-09-14 成像镜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380 2012-09-14
KR20120102380 2012-09-14
KR1020130093090 2013-08-06
KR1020130093090A KR20140035810A (ko) 2012-09-14 2013-08-06 촬상 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829A true KR20140035829A (ko) 2014-03-24
KR101505740B1 KR101505740B1 (ko) 2015-03-25

Family

ID=506455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090A KR20140035810A (ko) 2012-09-14 2013-08-06 촬상 렌즈
KR1020130107710A KR101505740B1 (ko) 2012-09-14 2013-09-09 촬상 렌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090A KR20140035810A (ko) 2012-09-14 2013-08-06 촬상 렌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20140035810A (ko)
CN (1) CN104133283B (ko)
TW (1) TWI525337B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4138A (zh) * 2015-09-08 2015-12-30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摄像镜头
KR101690479B1 (ko) * 2016-03-07 2016-12-28 주식회사 세코닉스 고해상도 촬상 렌즈 시스템
KR20170051080A (ko) * 2015-11-02 201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초점 렌즈 광학계 및 그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US9759893B2 (en) 2015-07-24 2017-09-1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devic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optical devices having different fields of view
KR20170136486A (ko) 2015-11-26 2017-12-11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US10133030B2 (en) 2014-06-17 2018-11-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High resolution lens module
KR20190052590A (ko) * 2017-11-08 2019-05-16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US10761300B2 (en) 2014-11-17 2020-09-0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system
US10778922B2 (en) 2014-11-11 2020-09-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system
US10935759B2 (en) 2017-11-08 2021-03-0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imaging system
US10976521B2 (en) 2015-11-26 2021-04-1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imaging system
KR20210109495A (ko) 2017-12-04 2021-09-06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US12124107B2 (en) 2014-06-17 2024-10-2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High resolution lens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41535B (zh) 2014-07-16 2016-07-1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六片式成像鏡頭組
TWI559028B (zh) * 2014-07-21 2016-11-2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系統
KR102342281B1 (ko) * 2014-11-03 2021-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681383B1 (ko) 2014-11-18 2016-11-30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KR102009431B1 (ko) * 2014-12-05 2019-10-21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CN104808321B (zh) * 2015-01-23 2017-05-10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及应用此镜头的电子装置
CN108983397B (zh) * 2015-09-23 2020-11-27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影像撷取镜组及取像装置
TWI664461B (zh) * 2016-02-15 2019-07-0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系統
KR20170109468A (ko) * 2016-03-21 2017-09-29 주식회사 에이스솔루텍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901698B1 (ko) * 2016-05-11 2018-09-27 삼성전기 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101914041B1 (ko) * 2016-08-03 2018-11-02 주식회사 코렌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TWI616676B (zh) * 2016-08-22 2018-03-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影像鏡片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KR20180040262A (ko) * 2016-10-12 2018-04-20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CN106405796B (zh) * 2016-11-15 2019-08-09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光学成像系统及摄像装置
TWI612329B (zh) * 2016-11-21 2018-01-21 新鉅科技股份有限公司 六片式顯微鏡鏡片組
JP6815210B2 (ja) * 2017-01-26 2021-01-20 株式会社タムロン 結像光学系及び撮像装置
CN106646832B (zh) * 2017-02-17 2022-11-22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摄像镜头
US11262537B2 (en) 2017-02-17 2022-03-01 Zhejiang Sunny Optical Co., Ltd Camera lens assembly including six lenses each having refractive power
TWI629531B (zh) * 2017-10-25 2018-07-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取像透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KR101933422B1 (ko) * 2017-10-27 2018-12-28 삼성전기 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102067455B1 (ko) * 2017-12-04 2020-01-20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CN108363174B (zh) * 2018-03-13 2020-06-16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08363176B (zh) * 2018-03-13 2020-07-17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08445605B (zh) * 2018-03-13 2020-07-17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08267847B (zh) * 2018-03-13 2020-07-17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08319001B (zh) * 2018-03-13 2021-09-24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09613680B (zh) * 2018-12-31 2020-11-27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KR102126412B1 (ko) * 2019-08-26 2020-06-24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CN110658608B (zh) * 2019-08-29 2021-08-03 福建福光股份有限公司 一种12mm大孔径、昼夜两用定焦镜头
CN111025561B (zh) * 2019-12-23 2021-09-28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11367048A (zh) * 2020-03-31 2020-07-03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
CN113126260B (zh) * 2021-04-30 2022-09-20 广东旭业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清成像镜头及摄像装置
WO2023279362A1 (zh) * 2021-07-09 2023-01-12 欧菲光集团股份有限公司 光学系统、取像模组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717A (ja) * 1985-07-26 1987-02-03 Asahi Optical Co Ltd 広域色収差補正レンズ系
JP2008250136A (ja) * 2007-03-30 2008-10-16 Fujinon Corp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CN101377566B (zh) * 2007-08-29 2011-01-12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变焦镜头
JP5426313B2 (ja) * 2009-10-15 2014-02-2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撮像レンズ系
CN102109662A (zh) * 2009-12-25 2011-06-29 佛山普立华科技有限公司 取像镜头
TWI432823B (zh) * 2011-06-10 2014-04-01 Largan Precision Co Ltd 影像拾取透鏡組
TWI460465B (zh) * 2012-04-20 2014-11-11 Largan Precision Co Ltd 光學影像鏡頭系統組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3030B2 (en) 2014-06-17 2018-11-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High resolution lens module
US12124107B2 (en) 2014-06-17 2024-10-2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High resolution lens module
US11520121B2 (en) 2014-06-17 2022-12-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High resolution lens module
US10545317B2 (en) 2014-06-17 2020-01-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High resolution lens module
US10778922B2 (en) 2014-11-11 2020-09-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system
US11914104B2 (en) 2014-11-17 2024-02-2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system
US10761300B2 (en) 2014-11-17 2020-09-0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system
US9759893B2 (en) 2015-07-24 2017-09-1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devic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optical devices having different fields of view
CN105204138A (zh) * 2015-09-08 2015-12-30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摄像镜头
KR20170051080A (ko) * 2015-11-02 201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초점 렌즈 광학계 및 그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KR20170136486A (ko) 2015-11-26 2017-12-11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US10976521B2 (en) 2015-11-26 2021-04-1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imaging system
KR101690479B1 (ko) * 2016-03-07 2016-12-28 주식회사 세코닉스 고해상도 촬상 렌즈 시스템
KR20210063307A (ko) * 2017-11-08 2021-06-01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20210113116A (ko) * 2017-11-08 2021-09-15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20220128325A (ko) * 2017-11-08 2022-09-20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US10935759B2 (en) 2017-11-08 2021-03-0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imaging system
KR20200062153A (ko) * 2017-11-08 2020-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US11921353B2 (en) 2017-11-08 2024-03-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imaging system
KR20190052590A (ko) * 2017-11-08 2019-05-16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20210109495A (ko) 2017-12-04 2021-09-06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20220103671A (ko) 2017-12-04 2022-07-22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20230061306A (ko) 2017-12-04 2023-05-08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25337B (zh) 2016-03-11
CN104133283A (zh) 2014-11-05
KR101505740B1 (ko) 2015-03-25
TW201418759A (zh) 2014-05-16
KR20140035810A (ko) 2014-03-24
CN104133283B (zh)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740B1 (ko) 촬상 렌즈
JP5877183B2 (ja) 撮像レンズ
US11204483B2 (en) Imaging lens
US20200333565A1 (en) Optical image lens system
US12019210B2 (en) Optical lens assembly and image capturing device
KR101321276B1 (ko) 촬상 렌즈
US10302909B2 (en) Six-piece optical lens system
CN202041705U (zh) 取像用光学系统
KR20180060132A (ko) 촬상 광학계
KR101980642B1 (ko) 촬상 렌즈
KR20100001525A (ko) 촬상 렌즈
US11137571B2 (en) Camera lens assembly
KR20140089004A (ko) 촬상 렌즈 시스템
KR20130043998A (ko) 촬상 렌즈
KR101853498B1 (ko) 촬상 렌즈
KR20150044681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50044679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00041384A (ko) 촬상 렌즈
KR20220079953A (ko) 광학 렌즈 시스템, 카메라 및 단자
KR101676425B1 (ko) 촬상 렌즈
KR102287664B1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292743B1 (ko) 촬상 렌즈
KR101791180B1 (ko) 촬상 렌즈
KR20160081315A (ko) 구면 렌즈를 갖는 촬상 렌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