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498B1 - 촬상 렌즈 - Google Patents

촬상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498B1
KR101853498B1 KR1020110056437A KR20110056437A KR101853498B1 KR 101853498 B1 KR101853498 B1 KR 101853498B1 KR 1020110056437 A KR1020110056437 A KR 1020110056437A KR 20110056437 A KR20110056437 A KR 20110056437A KR 101853498 B1 KR101853498 B1 KR 101853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bject side
imaging
refractive power
conditional ex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7107A (ko
Inventor
권덕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6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498B1/ko
Priority to CN201280028517.0A priority patent/CN103608711A/zh
Priority to EP12796267.8A priority patent/EP2718759B1/en
Priority to PCT/KR2012/004563 priority patent/WO2012169838A2/en
Priority to EP19196660.5A priority patent/EP3598191B1/en
Priority to US14/122,828 priority patent/US9383547B2/en
Publication of KR20120137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107A/ko
Priority to US15/189,804 priority patent/US982344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3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상 렌즈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촬상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 및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촬상 렌즈의 전체초점거리를 f, 상기 제3렌즈의 초점거리를 f3, 상기 제4렌즈의 초점거리를 f4이라 할 때, -0.5 < f/f3 < 0 및 -0.5 < f/f4 < 0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Description

촬상 렌즈 { Imaging lens }
본 발명은 촬상 렌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미지 픽업 시스템(Image Pick-up System)과 관련하여 통신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디지털 스틸 카메라(DSC; Digital Still Camera), 캠코더, PC 카메라(퍼스널 컴퓨터에 부속된 촬상장치)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미지 픽업 시스템과 관련된 카메라 모듈이 상(image)을 얻기 위해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는 상을 결상하는 촬상 렌즈이다.
종래 5매의 렌즈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촬상 렌즈를 구성하는 시도가 이루어진 바 있다. 5매의 렌즈는 각각 양(+)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와 음(-)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PNNPN(+--+-), PNPNN(+-+--) 또는 PPNPN(++-+-)의 구조로 촬상 렌즈를 구성하였다. 그런데, 위와 같은 구조의 촬상 모듈은 경우에 따라 만족스러운 광학 특성 혹은 수차 특성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새로운 파워 구조의 고해상도 촬상 렌즈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수차를 보정함과 동시에 선명한 화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컴팩트(Compact)한 소형 촬상 렌즈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 및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촬상 렌즈의 전체초점거리를 f, 상기 제3렌즈의 초점거리를 f3, 상기 제4렌즈의 초점거리를 f4이라 할 때,
-0.5 < f/f3 < 0 및 -0.5 < f/f4 < 0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1렌즈는 물체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된다.
또,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의 앞단에 별도의 조리개가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렌즈는 물체측면 및 상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양볼록의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게다가, 상기 제2렌즈는 상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더불어, 상기 제3렌즈는 상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또한, 상기 제4렌즈는 물체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또, 상기 촬상 렌즈의 전체초점거리를 f, 상기 제1렌즈의 초점거리를 f1이라 할 때, 0.5 < f1/f < 1.5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또, 상기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T라 할 때, 0.5 < ∑T/f < 1.5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또한, 상기 제1렌즈 내지 제4렌즈의 아베수를 v1,v2,v3,v4이라 할 때, 10 < [(v1+v3)/2-v2] < 20 및 v3 < 30 또는, 10 < [(v1+v4)/2-v2] < 20 및 v4 < 30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그리고, 상기 제2렌즈의 아베수를 V2라 할 때, 20 < V2 < 30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본 발명의 촬상 렌즈는 제1 내지 제4렌즈로 이루어진 4매의 렌즈로 구성하ㅇ여 수차를 보정함과 동시에 선명한 화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컴팩트(Compact)한 소형 촬상 렌즈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의 구성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마수차(Coma aberration)를 측정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의 구성도이다.
복수개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촬상 렌즈가 광축(Z0)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고, 도 1의 구성도에서, 렌즈의 두께, 크기, 형상은 설명을 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구면 또는 비구면 형상은 일 실시예로 제시되었을 뿐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메라 렌즈 모듈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렌즈(10), 제2렌즈(20), 제3렌즈(30), 제4렌즈(40), 필터(50) 및 수광소자(70)가 배치된 구성을 갖는다.
피사체의 영상 정보에 해당하는 광은 상기 제1렌즈(10), 제2렌즈(20), 제3렌즈(30), 제4렌즈(40) 및 필터(50)를 통과하여 상기 수광소자(70)에 입사된다.
본 발명의 촬상렌즈(Image lens)는 상기 제1렌즈(10), 제2렌즈(20), 제3렌즈(30) 및 제4렌즈(40)을 포함하는 4매의 렌즈로 구성되어, 후술된 바와 같이, 수차를 보정함과 동시에 선명한 화상을 구현할 수 있고, 컴팩트(Compact)한 소형 촬상 렌즈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촬상렌즈는 렌즈의 해상력을 향상시키고 수차특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각 렌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물체측면"이라 함은 광축을 기준으로 하여 물체측을 향하는 렌즈의 면을 의미하며, "상측면"이라 함은 광축을 기준으로 하여 촬상면을 향하는 렌즈의 면을 의미한다.
상기 제1렌즈(10)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면(S1)이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렌즈(10)의 물체측면(S1)의 앞단에는 별도의 조리개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렌즈(10)의 상측면(S2)도 볼록하게 형성되어, 제1렌즈(10)는 양볼록의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또, 상기 제2렌즈(20)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면(S4)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상기 제3렌즈(30)과 상기 제4렌즈(40)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3렌즈(30)는 상측면(S6)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메니스커스 형상이고, 상기 제4렌즈(40)는 물체측면(S7)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메니스커스 형상이다.
참고로, 도 1의 'S2'는 제1렌즈(10)의 상측면이고, 'S3'은 제2렌즈(20)의 물체측면이고, 'S5'는 제3렌즈(30)의 상측면이고, 'S8'은 제4렌즈(40)의 상측면이고, 'S9'와 'S10'은 필터(50)의 물체측면과 상측면이다.
상기 필터(50)는 적외선 필터, 커버 글래스 등의 광학적 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필터이다. 필터(50)로서, 적외선 필터가 적용되는 경우, 외부 빛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이 수광소자(7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또한, 적외선 필터는 가시광선은 투과시키고, 적외선은 반사시켜 외부로 유출시킨다.
상기 수광소자(7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이미지 센서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조건식 및 실시예는 작용효과를 상승시키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반드시 이하의 조건들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되는 조건식들 중 일부의 조건식들만을 만족하는 것으로도 본 발명의 렌즈 구성은 상승된 작용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조건식 1] 0.5 < f1/f < 1.5
[조건식 2] -0.5 < f/f3 < 0
[조건식 3] -0.5 < f/f4 < 0
[조건식 4] 0.5 < ∑T/f < 1.5
[조건식 5] 10 < [(v1+v3)/2-v2] < 20 및 v3 < 30
[조건식 6] 10 < [(v1+v4)/2-v2] < 20 및 v4 < 30
[조건식 7] 20 < V2 < 30
여기서, f : 촬상 렌즈의 전체초점거리
f1 : 제1렌즈의 초점거리
f3 : 제3렌즈의 초점거리
f4 : 제4렌즈의 초점거리
∑T : 제1렌즈의 물체측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
v1,v2,v3,v4 : 제1, 제2, 제3, 제4렌즈의 아베수
조건식 1은 제1렌즈(10)의 굴절력을 규정하고, 조건식 2는 제2렌즈(20)의 굴절력을 규정하며, 조건식 3은 제4렌즈(40)의 굴절력을 규정한다. 제1렌즈(10), 제2렌즈(20) 및 제4렌즈(40)는 조건식 1 내지 3에 의해 적절한 구면수차의 보정과 적절한 색수차를 갖는 굴절력을 갖는다. 조건식 4는 전체 광학계의 광축방향의 치수를 규정하는 것으로서, 초소형 렌즈에 대한 조건과 적절한 수차 보정에 대한 조건이다.
조건식 5는 제1렌즈(10),제2렌즈(20) 및 제3렌즈(30)의 아베수의 관계를 규정하고, 조건식 6은 제1렌즈(10),제2렌즈(20) 및 제4렌즈(40)의 아베수의 관계를 규정하며, 조건식 7은 제2렌즈(20)의 아베수를 규정한다. 각 렌즈의 아베수의 규정은 색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하기 위한 조건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비구면은 공지의 수학식 1로부터 얻어지며, 코닉(Conic) 상수 k 및 비구면 계수 A, B, C, D, E, F에 사용되는 'E 및 이에 이어지는 숫자'는 10의 거듭제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E+01은 101을, E-02는 10-2를 나타낸다.
Figure 112011043925199-pat00001
여기서, z :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
c : 렌즈의 기본 곡률
Y :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거리
K : 코닉(Conic) 상수
A, B, C, D, E, F : 비구면 계수
[실시예]
다음 표 1은 상술한 조건식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실시예
f 4.70
f1 2.66
f2 -5.30
f3 -100
f4 -26.86
v1 56
v2 23
v3 23
v4 23
표 1을 참조하면, f1/f가 0.566로서 조건식 1에 부합되고, f/f3가 -0.047로서 조건식 2에 부합되고, f/f4가 -0.175로서 조건식 3에 부합됨을 알 수 있다.
또, (v1+v3)/2-v2 및 (v1+v4)/2-v2가 16.5로 조건식 5와 조건식 6에 부합됨을 알 수 있다.
다음 표 2의 실시예는 표 1의 실시예에 비해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여준다.
면 번호 곡률반경(R) 두께 또는 거리(d) 굴절률(N)
1* 2.59 1.13 1.53
2* -2.67 0.08
3* 18.73 0.40 1.63
4* 5.63 0.73
5* -1.42 0.59 1.63
6* -1.69 0.24
7* 2.05 0.80 1.63
8* 1.55 0.56
11 Infinity 0.30 1.52
12 Infinity 0.92
Image Infinity -0.01
상기 표 2 및 이하 표 3에서 면 번호 옆에 병기된 *는 비구면을 나타낸다.
다음 표 3은 상기 표 2의 실시예에서 각 렌즈의 비구면 계수의 값은 나타낸다.
면 번호 k A B C D E
1* -1.285829 -0.190966E-01 -0.394819E-02 -0.385693E-01 0.355996E-01 -0.182937E-01
2* 0.000000 -0.259418E-02 -0.714423E-01 0.622356E-01 -0.203601E-01 0.000000
3* 0.000000 0.491874E-01 -0.101676E+00 0.105635E+00 -0.325552E-01 0.401520E-02
4* 0.000000 0.467012E-01 -0.61884E-01 0.438876E-01 -0.256322E-01 0.853345E-02
5* -6.244302 -0.153530E+00 0.397260E-01 0.825494E-02 -0.138099E-01 -0.296371E-02
6* -0.213250 -0.733944E-01 0.859338E-01 -0.402740E-01 0.168417E-01 -0.194191E-02
7* -8.564513 -0.153708E+00 0.752687E-01 -0.229787E-01 0.406615E-02 -0.333722E-03
8* -5.768881 -0.782733E-01 0.263653E-01 -0.619759E-02 0.802089E-03 -0.472815E-04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마수차(Coma aberration)를 측정한 그래프로서, 도 2 및 3은 상면의 높이(field hight)에 따라 각 파장의 탄젠셜(tangential) 수차와 새저틀(sagittal) 수차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 및 3에서는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가 양의 축과 음의 축에서 각각 X축에 근접할수록 코마수차 보정기능이 좋은 것으로 해석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좌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종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에서 Y축은 이미지의 크기를 의미하고, X측은 초점거리(mm 단위) 및 왜곡도(% 단위)를 의미한다. 도 2에서는 곡선들이 Y축에 접근될수록 수차 보정기능이 좋은 것으로 해석된다. 도시된 수차도에서는 거의 모든 필드에서 상들의 값이 Y축에 인접하게 나타나므로, 구면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가 비교적으로 우수한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즉, 종구면수차의 범위는 -0.014㎜ ~ +0.020㎜이고, 비점수차의 범위는 -0.032㎜ ~ +0.013㎜이며, 왜곡수차의 범위는 0.00㎜ ~ +1.70㎜이므로, 본 발명의 촬상 렌즈는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의 특성을 보정할 수 있고, 렌즈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3)

  1.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 및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2렌즈는 물체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메니스커스 형상이고,
    촬상 렌즈의 전체초점거리를 f, 상기 제3렌즈의 초점거리를 f3, 상기 제4렌즈의 초점거리를 f4이라 할 때,
    -0.5 < f/f3 < 0 및 -0.5 < f/f4 < 0 의 조건식을 만족하며,
    상기 제1렌즈 내지 제4렌즈의 아베수를 v1, v2, v3, v4이라 할 때,
    10 < [(v1+v4)/2-v2] < 20 및 v4 < 30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물체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촬상 렌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의 앞단에 별도의 조리개가 위치되어 있는 촬상 렌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양볼록의 메니스커스 형상인 촬상 렌즈.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는,
    상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메니스커스 형상인 촬상 렌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렌즈는,
    물체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메니스커스 형상인 촬상 렌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렌즈의 전체초점거리를 f, 상기 제1렌즈의 초점거리를 f1이라 할 때,
    0.5 < f1/f < 1.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를 f,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T라 할 때,
    0.5 < ∑T/f < 1.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내지 제4렌즈의 아베수를 v1, v2, v3, v4이라 할 때,
    10 < [(v1+v3)/2-v2] < 20 및 v3 < 30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의 아베수를 V2라 할 때,
    20 < V2 < 30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는,
    물체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촬상 렌즈.
  13.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청구항 제1항의 촬상렌즈;
    상기 제4렌즈 다음에 배치되는 필터;
    상기 필터 다음에 배치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KR1020110056437A 2011-06-10 2011-06-10 촬상 렌즈 KR101853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437A KR101853498B1 (ko) 2011-06-10 2011-06-10 촬상 렌즈
CN201280028517.0A CN103608711A (zh) 2011-06-10 2012-06-08 成像镜头
EP12796267.8A EP2718759B1 (en) 2011-06-10 2012-06-08 Imaging lens
PCT/KR2012/004563 WO2012169838A2 (en) 2011-06-10 2012-06-08 Imaging lens
EP19196660.5A EP3598191B1 (en) 2011-06-10 2012-06-08 Imaging lens
US14/122,828 US9383547B2 (en) 2011-06-10 2012-06-08 Imaging lens
US15/189,804 US9823440B2 (en) 2011-06-10 2016-06-22 Imaging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437A KR101853498B1 (ko) 2011-06-10 2011-06-10 촬상 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107A KR20120137107A (ko) 2012-12-20
KR101853498B1 true KR101853498B1 (ko) 2018-06-04

Family

ID=47296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437A KR101853498B1 (ko) 2011-06-10 2011-06-10 촬상 렌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383547B2 (ko)
EP (2) EP3598191B1 (ko)
KR (1) KR101853498B1 (ko)
CN (1) CN103608711A (ko)
WO (1) WO201216983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498B1 (ko) * 2011-06-10 2018-06-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TWI556005B (zh) * 2014-11-25 2016-11-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攝影透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KR101778071B1 (ko) * 2015-05-14 2017-09-13 오사카 가스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촬영 렌즈계
TWI725283B (zh) * 2018-01-22 2021-04-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TWI717161B (zh) 2019-12-20 2021-01-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鏡頭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KR102448469B1 (ko) * 2020-09-24 2022-09-28 (주)코아시아옵틱스 고화소 모바일 소형 망원 광학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4030B2 (ja) 2001-01-31 2003-07-0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レンズ
CN100394241C (zh) 2005-04-15 2008-06-11 富士能株式会社 摄像透镜
KR100703469B1 (ko) 2005-07-07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용 광학계
WO2008078709A1 (ja) * 2006-12-22 2008-07-03 Seiko Precision Inc. 撮像レンズ、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JP5022172B2 (ja) 2007-10-18 2012-09-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4枚構成小型撮像レンズ、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ならびに撮像装置
KR100966990B1 (ko) 2007-10-30 2010-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촬상 광학계
TWI361914B (en) 2007-11-16 2012-04-11 Largan Precision Co Ltd Optical lens system for taking image
TWI379102B (en) * 2008-11-20 2012-12-11 Largan Precision Co Ltd Optical lens system for taking image
TWI408409B (zh) * 2009-09-04 2013-09-11 Largan Precision Co Ltd 取像光學鏡組
KR101853498B1 (ko) * 2011-06-10 2018-06-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98431A1 (en) 2014-04-10
EP3598191A1 (en) 2020-01-22
CN103608711A (zh) 2014-02-26
KR20120137107A (ko) 2012-12-20
EP3598191B1 (en) 2023-01-25
WO2012169838A3 (en) 2013-04-04
WO2012169838A2 (en) 2012-12-13
EP2718759B1 (en) 2019-11-06
EP2718759A4 (en) 2015-01-28
US20160299318A1 (en) 2016-10-13
US9823440B2 (en) 2017-11-21
US9383547B2 (en) 2016-07-05
EP2718759A2 (en)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025B1 (ko) 촬상 렌즈
KR101709641B1 (ko) 촬상 렌즈
KR101710991B1 (ko) 촬상 렌즈
KR101964297B1 (ko) 촬상 렌즈
KR102094040B1 (ko) 촬상 렌즈
KR101980642B1 (ko) 촬상 렌즈
KR20100040357A (ko) 촬상 렌즈
KR20100043667A (ko) 촬상 렌즈
KR20100001525A (ko) 촬상 렌즈
KR101933960B1 (ko) 촬상 렌즈
KR101980660B1 (ko) 촬상 렌즈
KR101340669B1 (ko) 촬상 렌즈
KR101899037B1 (ko) 촬상 렌즈
KR101853498B1 (ko) 촬상 렌즈
KR20100000132A (ko) 촬상 렌즈
KR101281368B1 (ko) 촬상 렌즈
KR101892299B1 (ko) 촬상 렌즈
KR20100041384A (ko) 촬상 렌즈
KR102014454B1 (ko) 촬상 렌즈
KR101676425B1 (ko) 촬상 렌즈
KR20150004774A (ko) 촬상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292743B1 (ko) 촬상 렌즈
KR101791180B1 (ko) 촬상 렌즈
KR101586024B1 (ko) 촬상 렌즈
KR101866897B1 (ko) 촬상 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