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3558A - 수납장 - Google Patents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3558A
KR20140033558A KR20120095430A KR20120095430A KR20140033558A KR 20140033558 A KR20140033558 A KR 20140033558A KR 20120095430 A KR20120095430 A KR 20120095430A KR 20120095430 A KR20120095430 A KR 20120095430A KR 20140033558 A KR20140033558 A KR 20140033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anel
storage panel
storage
side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95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용
Original Assignee
박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용 filed Critical 박정용
Priority to KR20120095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3558A/ko
Priority to PCT/KR2013/007320 priority patent/WO2014035083A1/ko
Publication of KR20140033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0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47B57/1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the grooved or notched parts being the side walls or uprights themselve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된 물건의 이탈이 방지된 구조로 변형이 가능한 수납장을 위하여,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물건이 얹힐 수 있는 수납패널과 결합될 시 상기 수납패널을 지지할 수 있는 두 개의 측면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패널들의 마주보는 면 각각에는, 상기 측면패널들의 전면(前面)과 후면(後面) 중 상기 전면에 인접하되 상기 전면에서 상기 후면으로 연장된 제1그루브와, 상기 측면패널들의 상기 후면에 인접하되 상기 후면에서 상기 전면으로 연장된 제2그루브와, 상기 제2그루브에 연결되되 상기 제2그루브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3그루브가 형성된, 수납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납장{Storage closet}
본 발명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수납된 물건의 이탈이 방지된 구조로 변형이 가능한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장은 책과 같은 물건을 보관, 전시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물건을 떠받치는 받침대를 여러 구조로 배열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책과 같은 물건을 효과적으로 전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장식효과를 내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납장에는 책과 같은 물건을 꺼낼 때 옆 또는 위에 놓인 물건이 같이 떨어져 사람이 다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건을 보다 안정적으로 꺼내거나 보관, 전시 및 운반할 수 있는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물건이 얹힐 수 있는 수납패널과 결합될 시 상기 수납패널을 지지할 수 있는 두 개의 측면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패널들의 마주보는 면 각각에는, 상기 측면패널들의 전면(前面)과 후면(後面) 중 상기 전면에 인접하되 상기 전면에서 상기 후면으로 연장된 제1그루브와, 상기 측면패널들의 상기 후면에 인접하되 상기 후면에서 상기 전면으로 연장된 제2그루브와, 상기 제2그루브에 연결되되 상기 제2그루브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3그루브가 형성된, 수납장이 제공된다.
상기 측면패널들의 마주보는 면 각각에는, 상기 제1그루브에 연결되되 상기 제1그루브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제1보조그루브 또는 상기 제2그루브에 연결되되 상기 제2그루브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제2보조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그루브의 연장 길이와 상기 제2그루브의 연장 길이가 같을 수 있다.
상기 제3그루브는 상기 제2그루브의 상기 전면 방향 끝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그루브의 중심선은, 상기 제1그루브 내 일 지점을 중심으로 한 원호일 수 있다.
상기 제2그루브의 상기 전면 방향 끝단이 상기 제2그루브의 상기 후면 방향 끝단보다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그루브의 상기 전면 방향 끝단이 상기 제1그루브의 상기 후면 방향 끝단보다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루브, 상기 제2그루브 및 상기 제3그루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측면패널들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건을 보다 안정적으로 꺼내거나 보관, 전시 및 운반할 수 있는 수납장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납장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납장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전방은 +x방향을, 후방은 -x방향을, 상방은 +z방향을, 하방은 -z방향을 말한다. 그리고 수납장의 전면(前面)은 책과 같은 물건을 꺼내거나 넣기 위하여 사람과 대향하는 수납장의 면을 말하며, 도 1로 설명하면 수납장의 중심에서 +x축 방향에 위치한 면을 말한다. 그리고 수납장의 후면(後面)은 수납장의 전면의 반대편 편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의 일 예로서 책장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납장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수납장의 일부인 수납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책장은 물건인 책이 얹히는 수납패널(20)과, 수납패널(20)을 지지하는 두 개의 측면패널(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수납패널(20)은 측면패널(30)들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납패널(20)이 제거된 측면패널(30)들을 갖는 구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이들 외에도 책장의 후면에 구비되며 측면패널(30)들에 결합될 수 있는 백패널(1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수납패널(20)에는 책을 얹을 수 있다. 수납패널(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예컨대 +y방향)으로 연장되고 책이 얹히는 면(23)이 평편할 수 있다. 또한, 수납패널(20)은 책을 얹는 면(이하 제1면(23))이 후방(-x 방향)으로 갈수록 내려가도록 경사질 수 있고, 이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수납패널(20)의 책이 얹힐 수 있는 제1면(23) 상에서 상기 일 방향(+y 방향)에 수직인 단축(예컨대 x축)이, 수평으로 유지되거나 기울어질 수 있도록 경사도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납패널(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두께가 일정한 판재이고, 이 판재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갈수록 내려가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수납패널(20)의 경사도 조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책장은 수납패널(20)을 지지하는 두 개의 측면패널(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측면패널(30)들은 책장의 측벽을 이루며 +z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측면패널(30)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z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두 개의 측면패널(30)들은 수납패널(20)이 복수개인 경우 그 사이에 배치되도록 단속적으로 +z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측면패널(30)들의 마주보는 면 각각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그루브(31), 제2그루브(32) 및 제3그루브(33)가 형성되어 있다.
제1그루브(31)는 측면패널(30)들의 전면(前面, 30a)과 후면(後面, 30b) 중 전면(30a)에 인접하되, 전면(30a)에서 후면(30b)으로 연장된다. 제2그루브(32)는 측면패널(30)들의 후면(30b)에 인접하되 후면(30b)에서 전면(30a)으로 연장된다. 제3그루브(33)는 제2그루브(32)에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그루브를 형성하되, 제2그루브(32)에서 하방(-z 방향)으로 연장된다.
수납패널(20)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출부들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수납패널(20)의 +y 방향 끝단과 -y 방향 끝단 각각에는 두 개의 돌출부들(21, 22)을 갖는다. 예컨대 돌출부(21)는 측면패널(30)의 제1그루브(31) 내에 삽입될 수 있고, 돌출부(22)는 측면패널(30)의 제2그루브(32) 또는 제3그루브(33)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들(21, 22)은 수납패널(20)과 일체(一體)일 수도 있고, 별도로 만들어져 수납패널(20)에 고정된 것일 수도 있다. 돌출부들(21, 22)의 형태는 물론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y 방향이나 -y 방향으로 단순 돌출된 형태일 수도 있고, 그 외에 고리 형상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수납패널(20)의 돌출부(21)가 측면패널(30)의 제1그루브(31) 내에 삽입되어 제1그루브(31)의 후면(30b) 방향 끝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고, 수납패널(20)의 돌출부(22)가 측면패널(30)의 제2그루브(32)의 후면(30b) 방향 끝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할 경우, 수납패널(20)은 대략 수평인 상태로 측면패널(30)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납패널(20)을 책장의 전방(+x 방향)으로 움직이면, 수납패널(20)의 돌출부(21)가 측면패널(30)의 제1그루브(31)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그루브(31)의 전면(30a) 방향 끝 또는 그 근방으로 움직이게 되고, 수납패널(20)의 돌출부(22) 역시 측면패널(30)의 제2그루브(32)의 전면(30a) 방향 끝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수납패널(20)의 돌출부(22)는 제2그루브(32)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제3그루브(33) 내로 움직일 수 있다. 그 결과 수납패널(20)의 돌출부(21)가 측면패널(30)의 제1그루브(31) 내에 삽입되어 제1그루브(31)의 전면(30a) 방향 끝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고, 수납패널(20)의 돌출부(22)가 측면패널(30)의 제3그루브(33)의 하방 끝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게 되면, 수납패널(20)이 후방(-x 방향)으로 갈수록 내려가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경우 수납패널(20)을 간단히 조작함으로써 수납패널의 배치 형태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수납패널(20)이 대략 수평인 상태로 측면패널(30)들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통상의 책장처럼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고, 수납패널(20)이 후방(-x 방향)으로 갈수록 내려가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측면패널(30)들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변형된 책장처럼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후자의 상태의 경우, 책을 수납패널(20)의 제1면(23)에 세워두면 책은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책이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책장에서 전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책들을 수납패널(20)의 제1면(23) 상에 세워두고 그 책들의 상면 상에 다른 책을 눕혀둔 경우, 그 위에 놓인 책 역시 책장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하부에 있는 일 책을 꺼낼 시 그 위의 책이 책장 전방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물론 수납패널(20)의 제1면(23) 상에 세워진 책들 중 꺼내고자 하는 책을 꺼낼 시 그 바로 옆에 인접한 책들이 꺼내고자 하는 책과 컨택하여 함께 전방으로 움직이거나 떨어지는 것 역시 기울어진 수납패널(20)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패널(20)이 대략 수평인 상태로 측면패널(30)들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통상의 책장처럼 사용되도록 할 경우, 수납패널(20)이 책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납패널(20)의 +x 방향의 길이가 책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납패널(20)이 후방으로 갈수록 내려간다면, 중력에 의해 책이 후방으로 쏠리기 때문에 수납패널(20)의 +x 방향의 길이가 책에 비해 짧더라도 책은 안정적으로 책장에 꽂혀있을 수 있다. 즉 수납패널(20)을 필요에 따라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수납패널(20)의 +x 방향의 길이보다 큰 책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도 있고, 수납패널(20)의 +x 방향의 길이가 종래에 비해서 짧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책장은 책을 꽂지 않았을 때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수납패널(20)이 대략 수평인 상태에서 후방(-x 방향)으로 갈수록 내려가도록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수납패널(20)의 돌출부(21)가 측면패널(30)의 제1그루브(31)의 후면(30b) 방향 끝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고 수납패널(20)의 돌출부(22)가 측면패널(30)의 제2그루브(32)의 후면(30b) 방향 끝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납패널(20)의 돌출부(21)가 측면패널(30)의 제1그루브(31)의 전면(30a) 방향 끝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고 수납패널(20)의 돌출부(22)가 측면패널(30)의 제2그루브(32)의 전면(30a) 방향 끝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그루브(31)의 연장 길이와 제2그루브(32)의 연장 길이가 같도록 할 수도 있다.
그 후, 수납패널(20)의 돌출부(21)가 측면패널(30)의 제1그루브(31)의 전면(30a) 방향 끝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납패널(20)의 돌출부(22)가 측면패널(30)의 제3그루브(33)를 따라 그 하방 끝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한 상태가 되도록 하면, 수납패널(20)이 후방(-x 방향)으로 갈수록 내려가도록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이때, 수납패널(20)의 돌출부(22)가 측면패널(30)의 제3그루브(33)를 따라 움직이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그루브(33)의 중심선(점선)이 제1그루브(31) 내 일 지점(P)을 중심으로 한 원호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일 지점(P)은 제1그루브(31) 내의 임의의 지점이 될 수 있는데, 예컨대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그루브(31)의 전면(30a) 방향 끝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한 지점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인 책장의 경우, 측면패널(30)들의 마주보는 면 각각에는, 제1그루브(31)에 연결되되 제1그루브(31)에서 상방(+z 방향)으로 연장된 제1보조그루브(31a) 및/또는 제2그루브(32)에 연결되되 제2그루브(32)에서 상방(+z 방향)으로 연장된 제2보조그루브(32a)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수납패널(20)을 측면패널(30)들에 결합할 시, 수납패널(20)의 돌출부(21, 22)들이 측면패널(30)들의 그루브 내에 삽입되도록 결합해야 한다. 이 경우 수납패널(20)의 돌출부(21, 22)들을 제외한 y축 방향 길이가 두 측면패널(30)들의 마주보는 면들 사이의 거리와 대략 비슷하기에, 수납패널(20)의 돌출부(21, 22)들 모두를 측면패널(30)들의 그루브 내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경우 제1그루브(31)에 연결되되 제1그루브(31)에서 상방(+z 방향)으로 연장된 제1보조그루브(31a) 및/또는 제2그루브(32)에 연결되되 제2그루브(32)에서 상방(+z 방향)으로 연장된 제2보조그루브(32a)가 형성되어 있기에, 수납패널(20)의 일측의 돌출부(21, 22)들을 측면패널(30)들 중 하나의 제1보조그루브(31a), 제2보조그루브(32a), 제1그루브(31) 또는 제2그루브(32)에 삽입하고, 수납패널(20)의 타측의 돌출부(21, 22)들을 측면패널(30)들 중 다른 하나의 제1보조그루브(31a), 제2보조그루브(32a), 제1그루브(31) 또는 제2그루브(32)에 삽입함으로써, 수납패널(20)이 용이하게 측면패널(30)들에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책장의 경우 제3그루브(33)의 중심선(점선)이 제1그루브(31) 내 일 지점(P)을 중심으로 한 원호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인 책장의 경우, 제3그루브(33)가 제2그루브(32) 내 일 지점에서 하방(-z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된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경우, 수납패널(20)의 돌출부(21)가 측면패널(30)의 제1그루브(31) 내에 삽입되고 수납패널(20)의 돌출부(22)가 측면패널(30)의 제2그루브(32) 내에 삽입되면, 수납패널(20)은 대략 수평인 상태로 측면패널(30)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납패널(20)의 돌출부(21)가 측면패널(30)의 제1그루브(31) 내 다른 곳에 위치하고 수납패널(20)의 돌출부(22)가 측면패널(30)의 제3그루브(33)의 하방 끝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게 되면, 수납패널(20)이 후방(-x 방향)으로 갈수록 내려가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이때, 수납패널(20)의 돌출부(22)가 측면패널(30)의 제2그루브(32) 내에서 제3그루브(33)의 하방 끝 또는 그 근방으로 움직이는 동안, 수납패널(20) 돌출부(21)의 측면패널(30) 제1그루브(31) 내 위치는 일 지점으로 고정되지 않고 변경되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그루브(33)가 제2그루브(32) 내의 양 끝단이 아닌 중간의 일 지점에서 하방(-z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된 형상인 경우에는 제1그루브(31)의 연장된 길이와 제2그루브(32)의 연장된 길이 사이에 특별한 관계가 없을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제3그루브(33)가 제2그루브(32) 내의 후방(-x 방향) 끝단에서 하방(-z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된 형상일 경우에는, 제1그루브(31)의 연장 길이(L1)가 제2그루브(32)의 연장 길이(L2)보다 길도록 할 필요가 있다. 수납패널(20)의 돌출부(22)가 제3그루브(33) 상부에 위치할 경우의 돌출부(21)의 제1그루브(31) 내에서의 위치보다, 돌출부(22)가 제3그루브(33) 하부에 위치할 경우의 돌출부(21)의 제1그루브(31) 내에서의 위치가 후방(-x 방향)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 이전의 실시예들에 따른 책장들의 경우, 제3그루브(33)는 제2그루브(32)의 전면(30a) 방향 끝단에서 하방(-z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한다.
수납패널(20)의 돌출부(22)가 제3그루브(33) 하방(-z 방향) 끝 부분이나 그 인접 부분에 위치하여 수납패널(20)이 기울어진 경우, 사용자가 책을 수납패널(20) 상에 놓거나 빼내더라도 수납패널(20)은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나 수납패널(20)의 돌출부(22)가 제2그루브(32) 내에 위치하여 수납패널(20)의 대략 수평인 경우, 사용자가 책을 수납패널(20) 상에 놓거나 빼낼 시 수납패널(20)이 +x 방향이나 -x 방향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있다.
책을 수납패널(20)에서 빼낼 시에는 책을 수납패널(20)과 컨택시킨 상태에서 빼내기 보다는 책이 수납패널(20)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빼내지는 것이 대부분이기에 이 과정에서 수납패널(20)이 움직일 가능성은 높지 않다. 그러나 책을 수납패널(20)에 놓을 시에는 통상적으로 책의 하면 등이 수납패널(20)과 컨택된 상태에서 밀어 넣어지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수납패널(20)에 힘이 인가되어 수납패널(20)이 움직일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책을 수납패널(20)에 넣을 때 수납패널(2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은 후방(-x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3그루브(33)가 만일 제2그루브(32)의 후면(30a) 방향 끝단에서 하방(-z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면, 수납패널(20)의 돌출부(22)가 제2그루브(32) 내 끝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위치하여 수평을 유지하다가 수납패널(20)이 후방(-x 방향)으로 밀려 돌출부(22)가 제3그루브(33) 내로 이동하게 되어 수납패널(20)이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기울어져버릴 수 있다. 그러나 제3그루브(33)가 제2그루브(32)의 전면(30a) 방향 끝단에서 하방(-z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그러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수납패널(20)의 움직임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인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그루브(31)의 전면(30a) 방향 끝단(31a)이 제1그루브(31)의 후면(30b) 방향 끝단(31b)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책을 수납패널(20)에서 빼낼 시에는 책을 수납패널(20)과 컨택시킨 상태에서 빼내기 보다는 책이 수납패널(20)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빼내지는 것이 대부분이기에 이 과정에서 수납패널(20)이 움직일 가능성은 높지 않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수납패널(20)이 혹시라도 전방(+x 방향)으로 움직여 수납패널(20)의 돌출부(22)가 제3그루브(33)로 진입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인 책장에서와 같이 제1그루브(31)의 전면(30a) 방향 끝단(31a)이 제1그루브(31)의 후면(30b) 방향 끝단(31b)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납패널(20)의 돌출부(21)가 제1그루브(31) 내에서 전방(+x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수평이 아닌 상방(+z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1그루브(31) 내를 움직여야 하기에, 그와 같은 움직임이 발생하는 것을 중력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인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그루브(31)가 아닌 제2그루브(32)의 전면(30a) 방향 끝단이 제2그루브(32)의 후면(30b) 방향 끝단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하여, 동일/유사한 효과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제1그루브(31)와 제2그루브(32) 모두 그와 같이 기울어진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의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책장들에 있어서, 제1그루브(31), 제2그루브(32) 및 제3그루브(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측면패널(30)들을 관통하는 것일 수 있다. 물론 관통하지 않은 측면패널(30) 상의 홈 형상일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책장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은 어린이들의 놀이기구를 수납하는 수납장일 수 있다. 어린이들이 놀이기구를 꺼낼 시 수납패널이 수평인 종래의 수납장의 경우 인접한 놀이기구가 맞물려 같이 전방으로 나오다가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수납패널이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세팅된다면, 어린이들이 놀이기구를 꺼낼 시, 인접한 놀이기구는 후방으로 기울어진 수납패널에 의해 꺼내지는 놀이기구에 의해 전방으로 함께 꺼내지지 않게 되므로, 어린이들의 생활안정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놀이기구 외의 다양한 물건의 수납에 활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납패널(20)과 측면패널(30)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는 물론, 수납패널(20)과 측면패널(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패널(20)과 측면패널(30)의 분리된 한 벌의 세트인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고정구들이 수납패널(20)이나 측면패널(30)에 결합되지 않은, 수납패널(20), 측면패널(30) 및 고정구의 분리된 한 벌의 세트인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한편, 지금까지는 수납패널(20)이 수평 상태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바뀌는 것이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수납패널(20)이 평소 수평 상태로 있다가 지진 등의 외부 충격이 발생할 경우 그 충격에 의해 자동으로 수납패널(20)이 기울어진 상태로 바뀌어, 수납패널(20)에 수납된 책 등의 물건이 전방(+x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수납장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백패널 20: 수납패널
30: 측면패널

Claims (8)

  1.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물건이 얹힐 수 있는 수납패널과 결합될 시 상기 수납패널을 지지할 수 있는, 두 개의 측면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패널들의 마주보는 면 각각에는,
    상기 측면패널들의 전면(前面)과 후면(後面) 중 상기 전면에 인접하되 상기 전면에서 상기 후면으로 연장된 제1그루브;
    상기 측면패널들의 상기 후면에 인접하되 상기 후면에서 상기 전면으로 연장된 제2그루브; 및
    상기 제2그루브에 연결되되 상기 제2그루브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3그루브;
    가 형성된, 수납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들의 마주보는 면 각각에는, 상기 제1그루브에 연결되되 상기 제1그루브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제1보조그루브 또는 상기 제2그루브에 연결되되 상기 제2그루브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제2보조그루브가 형성된, 수납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루브의 연장 길이와 상기 제2그루브의 연장 길이가 같은, 수납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그루브는 상기 제2그루브의 상기 전면 방향 끝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수납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그루브의 중심선은, 상기 제1그루브 내 일 지점을 중심으로 한 원호인, 수납장.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루브의 상기 전면 방향 끝단이 상기 제2그루브의 상기 후면 방향 끝단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수납장.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루브의 상기 전면 방향 끝단이 상기 제1그루브의 상기 후면 방향 끝단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수납장.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루브, 상기 제2그루브 및 상기 제3그루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측면패널들을 관통하는, 수납장.
KR20120095430A 2012-08-30 2012-08-30 수납장 KR20140033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5430A KR20140033558A (ko) 2012-08-30 2012-08-30 수납장
PCT/KR2013/007320 WO2014035083A1 (ko) 2012-08-30 2013-08-14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5430A KR20140033558A (ko) 2012-08-30 2012-08-30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558A true KR20140033558A (ko) 2014-03-19

Family

ID=50183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95430A KR20140033558A (ko) 2012-08-30 2012-08-30 수납장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33558A (ko)
WO (1) WO20140350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1735B1 (en) * 2018-09-26 2020-01-14 Liberty Procurement Co. Inc. Double storage shoe rack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9649B2 (ja) * 2004-01-29 2009-10-21 株式会社エーエス 対象物設置機構
JP4489574B2 (ja) * 2004-12-17 2010-06-23 株式会社エーエス 対象物支持機構
JP2006289015A (ja) * 2005-04-11 2006-10-26 Shinichi Omiya 地震対策用の本棚
WO2010116711A1 (ja) * 2009-04-09 2010-10-14 金剛株式会社 収納棚
JP5387494B2 (ja) * 2010-04-26 2014-01-15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棚用落下防止具、及びそれを備えた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5083A1 (ko)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44176A1 (en) Vehicle seat
US8910580B1 (en) Wall mount cabinet assembly
KR101476618B1 (ko) 어메니티 시스템 가구
JP6391548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20140033558A (ko) 수납장
KR101553633B1 (ko) 수납장 조립체 및 수납장
JP2008124708A (ja) 薄型ディスプレイ載置台
JP6627119B2 (ja) 什器
JP3216747U (ja) 紙製装飾棚
KR20180000327U (ko) 끼움식 선반
KR101793556B1 (ko) 브릿지 구조의 선반
US11969659B2 (en) Mount for holding a handheld device
JP2020000333A (ja) 対象物設置機構
JP5231261B2 (ja) 什器における棚板支持構造
JP6829338B1 (ja) 可動棚
WO2013162320A1 (ko) 수납장
CN111380315B (zh) 搁物架组件及具有其的冰箱
US20160059789A1 (en) Article holder system and vehicle console including the same
KR20180067805A (ko) 다용도 수납책장
IT202000006599U1 (it) Struttura di contenimento per dispositivi informatici sostanzialmente planari
JP3208173U (ja) 受け金具
JP6796947B2 (ja) 組み付け商品陳列台及びその組み付け方法
JP2021153969A (ja) 什器とこれに使用する転倒防止装置及びベースユニット
JP2016055124A (ja) キャビネット
KR101548258B1 (ko) 경사 선반을 구비한 도서용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