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633B1 - 수납장 조립체 및 수납장 - Google Patents

수납장 조립체 및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633B1
KR101553633B1 KR1020130143259A KR20130143259A KR101553633B1 KR 101553633 B1 KR101553633 B1 KR 101553633B1 KR 1020130143259 A KR1020130143259 A KR 1020130143259A KR 20130143259 A KR20130143259 A KR 20130143259A KR 101553633 B1 KR101553633 B1 KR 101553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panel
holes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9537A (ko
Inventor
박정용
Original Assignee
박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용 filed Critical 박정용
Priority to KR1020130143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633B1/ko
Priority to JP2016555432A priority patent/JP2017500178A/ja
Priority to US15/038,184 priority patent/US20160286957A1/en
Priority to PCT/KR2014/011294 priority patent/WO2015076628A1/ko
Publication of KR20150059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6Supporting means received within an edge of the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8Very short brackets, quickly attachable or detachable to a vertical support surfac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된 물건의 이탈이 방지된 구조로 변형이 가능한 수납장 조립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1장축과 상기 장축과 수직인 단축을 갖고 물건이 얹힐 수 있는 수납패널과,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상기 수납패널과 결합될 시 상기 수납패널을 지지할 수 있는 두 개의 측면패널들과,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로부터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관통홀을 갖는 제1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수납패널의 상기 장축과 교차하는 단부면의 제1부분에 상기 제1플레이트가 대응하도록 상기 수납패널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수납패널에 고정될 시 상기 제1관통홀이 상기 단축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가 되도록 정렬되는 제1결합부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3관통홀을 갖는 제2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수납패널의 상기 단부면의 제2부분에 상기 제2플레이트가 대응하도록 상기 수납패널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수납패널에 고정될 시 상기 제3관통홀이 상기 단축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가 되도록 정렬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수납장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납장 조립체 및 수납장{Storage closet assembly and storage closet}
본 발명은 수납장 조립체 및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수납된 물건의 이탈이 방지된 구조로 변형이 가능한 수납장 조립체 및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장은 책과 같은 물건을 보관, 전시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물건을 떠받치는 받침대를 여러 구조로 배열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책과 같은 물건을 효과적으로 전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장식효과를 내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납장의 경우 지진 등의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수납된 책과 같은 물건들이 바닥으로 쉽게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납된 물건의 이탈이 방지된 구조로 변형이 가능한 수납장 조립체 및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1장축과 상기 장축과 수직인 단축을 갖고 물건이 얹힐 수 있는 수납패널과,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상기 수납패널과 결합될 시 상기 수납패널을 지지할 수 있는 두 개의 측면패널들과,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로부터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관통홀을 갖는 제1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수납패널의 상기 장축과 교차하는 단부면의 제1부분에 상기 제1플레이트가 대응하도록 상기 수납패널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수납패널에 고정될 시 상기 제1관통홀이 상기 단축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가 되도록 정렬되는 제1결합부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3관통홀을 갖는 제2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수납패널의 상기 단부면의 제2부분에 상기 제2플레이트가 대응하도록 상기 수납패널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수납패널에 고정될 시 상기 제3관통홀이 상기 단축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가 되도록 정렬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수납장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수납패널에 고정될 시 상기 제2관통홀이 상기 제1관통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수납패널에 고정될 시, 상기 제2관통홀이 상기 제1관통홀의 상기 단축 방향 끝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에 수직인 제1결합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플레이트에 수직인 제2결합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는 상기 수납패널의 상면 또는 하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에 수직인 제1결합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플레이트에 수직인 제2결합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수납패널은 상기 단부면에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기 제1관통홀 또는 상기 제2관통홀과,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기 제3관통홀을 통과하는 고정구들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개의 홀들이 상기 두 개의 측면패널들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관통홀, 상기 제2관통홀 및 상기 제3관통홀 내에서의 상기 고정구들의 상기 제1관통홀, 상기 제2관통홀 및 상기 제3관통홀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자유롭게 가변하도록, 상기 고정구들의 크기가 상기 제1관통홀, 상기 제2관통홀 및 상기 제3관통홀의 크기보다 작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일체(一體)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상술한 것과 같은 수납패널, 제1결합부, 제2결합부 및 두 개의 측면패널들 중 적어도 일부가 결합된, 수납장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된 물건의 이탈이 방지된 구조로 변형이 가능한 수납장 조립체 및 수납장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조립체에 의해 구현된 수납장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납장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수납장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조립체에 의해 구현된 수납장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조립체에 의해 구현된 수납장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조립체에 의해 구현된 수납장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조립체의 일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조립체의 일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조립체의 일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한편,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전방은 +x방향을, 후방은 -x방향을, 상방은 +z방향을, 하방은 -z방향을 말한다. 그리고 수납장의 전면(前面)은 책과 같은 물건을 꺼내거나 넣기 위하여 사람과 대향하는 수납장의 면을 말하며, 도 1로 설명하면 수납장의 중심에서 +x축 방향에 위치한 면을 말한다. 그리고 수납장의 후면(後面)은 수납장의 전면의 반대편 편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조립체에 의해 구현된 수납장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납장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조립체는 수납패널(20), 두 개의 측면패널(30)들, 제1결합부(41) 및 제2결합부(42)를 구비한다. 물론 도시된 것과 같이 필요에 따라 수납장의 후면에 위치하며 측면패널(30)들에 결합되는 백패널(1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수납패널(20)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수납패널(20)은 제1장축(LA)과, 이 장축(LA)과 수직인 단축(SA)을 갖도록 일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수납패널(20)에는 책 등과 같은 다양한 물건이 얹힐 수 있다. 이러한 수납패널(20)의 경우 책을 얹는 면(이하 상면(20a))의 경사도가 가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수납패널(20)의 책이 얹힐 수 있는 상면(20a) 상에서 단축(SA, 예컨대 x축)이 수평으로 유지되거나 기울어질 수 있도록 경사도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납패널(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두께가 일정한 평판 형상이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갈수록 이 평판이 내려가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수납패널(20)의 경사도 조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두 개의 측면패널(30)들은 수납장의 측벽을 이루며 +z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측면패널(30)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z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두 개의 측면패널(30)들은 수납패널(20)이 복수개인 경우 그 사이사이에 배치되도록 단속적으로 +z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패널(30)들은 수납패널(20)과 결합될 시 수납패널(2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결합부(41)는 수납패널(2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제1플레이트(41a)와 제1결합플레이트(41b)를 갖는다. 제1결합부(41)의 제1플레이트(41a)는 제1관통홀(41a1)과 제2관통홀(41a2)을 갖는데, 제1관통홀(41a1)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관통홀(41a2)은 제1관통홀(41a1)로부터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결합플레이트(41b)는 제1플레이트(41a)에 수직이어서, 결과적으로 제1결합부(41)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결합부(4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납패널(20)에 결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수납패널(20)의 장축(LA)과 교차하는 단부면(ES; end surface)의 제1부분에 제1플레이트(41a)가 대응하도록 수납패널(2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플레이트(41a)가 수납패널(20)의 단부면(ES)에 대응한다는 것은, 제1플레이트(41a)가 수납패널(20)의 단부면(ES)에 컨택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제1플레이트(41a)가 수납패널(20)의 단부면(ES)과 소정 간격 이격되되 제1플레이트(41a)의 면이 수납패널(20)의 단부면(ES)을 향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납패널(20)의 단부면(ES)의 제1부분은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납패널(20)의 단부면(ES)의 후방 부분(-x 방향 부분)일 수 있다.
제1결합부(41)가 수납패널(20)에 고정되는 것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결합부(41)의 제1결합플레이트(41b)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를 통해 나사 등이 제1결합플레이트(41b)를 관통해 수납패널(20)의 하면(20b)에 체결됨으로써 제1결합부(41)가 수납패널(20)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제1결합부(41)가 제1결합플레이트(41b)를 갖지 않고 제1플레이트(41a)만을 가지며, 제1플레이트(41a)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를 통해 나사 등이 제1플레이트(41a)를 관통해 수납패널(20)의 단부면(ES)에 체결됨으로써 제1결합부(41)가 수납패널(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1결합부(41)가 수납패널(20)에 결합되면, 제1관통홀(41a1)은 수납패널(20)의 단축(SA)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고, 제2관통홀(41a2)은 제1관통홀(41a1)로부터 상방(+z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제2결합부(42)도 수납패널(2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제2플레이트(42a)와 제2결합플레이트(42b)를 갖는다. 제2결합부(42)의 제2플레이트(42a)는 제3관통홀(42a3)을 갖는데, 제3관통홀(42a3)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결합플레이트(42b)는 제2플레이트(42a)에 수직이어서, 결과적으로 제2결합부(42)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결합부(4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납패널(20)에 결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수납패널(20)의 장축(LA)과 교차하는 단부면(ES)의 제2부분에 제2플레이트(42a)가 대응하도록 수납패널(2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플레이트(42a)가 수납패널(20)의 단부면(ES)에 대응한다는 것은, 제2플레이트(42a)가 수납패널(20)의 단부면(ES)에 컨택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제2플레이트(42a)가 수납패널(20)의 단부면(ES)과 소정 간격 이격되되 제2플레이트(42a)의 면이 수납패널(20)의 단부면(ES)을 향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납패널(20)의 단부면(ES)의 제2부분은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납패널(20)의 단부면(ES)의 전방 부분(+x 방향 부분)일 수 있다.
제2결합부(42)가 수납패널(20)에 고정되는 것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2결합부(42)의 제2결합플레이트(42b)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를 통해 나사 등이 제2결합플레이트(42b)를 관통해 수납패널(20)의 하면(20b)에 체결됨으로써 제2결합부(41)가 수납패널(20)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제2결합부(42)가 제2결합플레이트(42b)를 갖지 않고 제2플레이트(42a)만을 가지며, 제2플레이트(42a)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를 통해 나사 등이 제2플레이트(42a)를 관통해 수납패널(20)의 단부면(ES)에 체결됨으로써 제2결합부(42)가 수납패널(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2결합부(42)가 수납패널(20)에 결합되면, 제3관통홀(42a3)은 수납패널(20)의 단축(SA)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제1결합부(41)와 제2결합부(42)가 수납패널(20)에 결합되면, 제1고정구(51)가 제1결합부(41)의 제1관통홀(41a1)이나 제2관통홀(41a2)을 통과해 측면패널(20)의 홀에 삽입되고, 제2고정구(52)가 제2결합부(42)의 제3관통홀(42a3)을 통과해 측면패널(20)의 홀에 삽입됨으로써, 수납패널(20)은 측면패널(20)들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두 측면패널(20)들의 상호 마주보는 면들에는 제1고정구(51)와 제2고정구(52)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개의 홀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수납장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조립체에 조립된 수납장의 경우, 평상시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고정구(51)가 제1결합부(41)의 제1관통홀(41a1) 내에 위치하고 제2고정구(52)가 제2결합부(42)의 제3관통홀(42a3)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납패널(20)의 상면(20a)은 수평인 상태, 즉 xy평면 내에 위치한 상태일 수 있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납패널(20)을 책장의 전방(+x 방향)으로 움직이면, 제1고정구(51)의 제1관통홀(41a1)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제1관통홀(41a1) 내에서 제1관통홀(41a1)의 후방(-x 방향)이 되고, 이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고정구(51)가 제1관통홀(41a1)과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제2관통홀(41a2)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수납패널(20)이 후방(-x 방향)으로 갈수록 내려가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도 4에서는 마치 수납패널(20)의 전방(+x 방향) 부분이 상방(+z 방향)으로 들려진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도시의 편의상 그와 같이 도시한 것일 뿐, 실제로는 수납패널(20)의 후방(-x 방향) 부분이 하방(-z 방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경우 수납패널(20)을 간단히 조작함으로써 수납패널의 배치 형태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수납패널(20)이 대략 수평인 상태로 측면패널(30)들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통상의 수납장처럼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고, 수납패널(20)이 후방(-x 방향)으로 갈수록 내려가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측면패널(30)들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변형된 수납장처럼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후자의 상태의 경우, 책을 수납패널(20)의 상면(20a)에 세워두면 책은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책이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책장에서 전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책들을 수납패널(20)의 상면(20a) 상에 세워두고 그 책들의 상면 상에 다른 책을 눕혀둔 경우, 그 위에 놓인 책 역시 수납장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하부에 있는 책을 꺼낼 시 그 위의 책이 수납장 전방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물론 수납패널(20)의 상면(20a) 상에 세워진 책들 중 꺼내고자 하는 책을 꺼낼 시 그 바로 옆에 인접한 책들이 꺼내고자 하는 책과 컨택하여 함께 전방으로 움직이거나 떨어지는 것 역시 기울어진 수납패널(20)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패널(20)이 대략 수평인 상태로 측면패널(30)들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통상의 수납장처럼 사용되도록 할 경우, 수납패널(20)이 책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납패널(20)의 +x 방향의 길이가 책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납패널(20)이 후방으로 갈수록 내려간다면, 중력에 의해 책이 후방으로 쏠리기 때문에 수납패널(20)의 +x 방향의 길이가 책에 비해 짧더라도 책은 안정적으로 수납장에 꽂혀있을 수 있다. 즉 수납패널(20)을 필요에 따라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수납패널(20)의 +x 방향의 길이보다 큰 책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도 있고, 수납패널(20)의 +x 방향의 길이가 종래에 비해서 짧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납장은 +x 방향으로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수납장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수납장이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수납패널(20)이 수평 상태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바뀌는 것이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수납패널(20)이 평소 수평 상태로 있다가 지진 등의 외부 충격이 발생할 경우 그 충격에 의해 자동으로 수납패널(20)이 기울어진 상태로 바뀌어, 수납패널(20)에 수납된 책 등의 물건이 전방(+x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수납장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외부에서 충격이 발생할 시 그 충격에 의해 수납장 및/또는 수납패널(20)이 흔들림에 따라 제1고정구(51)가 제1관통홀(41a1) 내에서 제2관통홀(41a2) 내로 이동하여 수납패널(20)이 수평 상태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자동으로 바뀌도록 함으로써, 수납패널(20)에 수납된 책 등의 물건이 전방(+x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의 경우, 제1결합부(41)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납패널(20)에 고정될 시, 제2관통홀(41a2)이 제1관통홀(41a1)의 단축(SA) 방향 끝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제1관통홀(41a1)의 후방(-x 방향) 끝단에서 제2관통홀(41a2)이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한다.
책을 수납패널(20)에서 빼낼 시에는 책을 수납패널(20)과 컨택시킨 상태에서 빼내기 보다는 책이 수납패널(20)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빼내지는 것이 대부분이기에, 이 과정에서 수납패널(20)이 움직일 가능성은 높지 않다. 그러나 책을 수납패널(20)에 놓을 시에는 통상적으로 책의 하면 등이 수납패널(20)과 컨택된 상태에서 밀어 넣어지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수납패널(20)에 힘이 인가되어 수납패널(20)이 움직일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책을 수납패널(20)에 넣을 때 수납패널(2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은 후방(-x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관통홀(41a2)이 만일 제1관통홀(41a1)의 전방(+x 방향) 끝단에서 시작하여 상방으로 연장된 형상이라면, 제1고정구(51)가 제1관통홀(41a1) 내에 위치하여 수납패널(20)이 수평을 유지하다가 수납패널(20)이 후방(-x 방향)으로 밀림에 따라 제1고정구(51)가 제2관통홀(41a2) 내로 이동하게 되어 수납패널(20)이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기울어져버릴 수 있다. 그러나 제1관통홀(41a1)의 후방(-x 방향) 끝단에서 제2관통홀(41a2)이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그러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결합부(41)와 제2결합부(42)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로만 수납패널(20)에 고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조립체에 의해 구현된 수납장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고정구(51)와 제2고정구(52)가 수납패널(20)의 상방(+z 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하방(-z 방향)에 위치하여, 제1고정구(51)가 제1관통홀(41a1) 또는 제2관통홀(41a2)을 통과하고, 제2고정구(52)가 제3관통홀(41a3)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제2관통홀(41a2)은 일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관통홀(41a1)의 후방(-x 방향) 끝단에서 상방(+z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1고정구(51)가 제1관통홀(41a1) 내에 위치할 시에는 수납패널(20)이 수평인 상태가 되고, 제1고정구(51)가 제2관통홀(41a2) 내에 위치할 시에는 수납패널(20)의 후방(-x 방향)이 전방(+x 방향)보다 하방(-z 방향)에 위치하는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제1고정구(51)의 일부와 제2고정구(52)의 일부는 제1결합부(41)의 제1플레이트(41a)와 제2결합부(42)의 제2플레이트(42a)에서 수납패널(20)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고정구(51)와 제2고정구(52)가 수납패널(20)의 상방(+z 방향)에 위치한다면, 수납패널(20)에 수납된 물건과 컨택하여 수납된 물건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제1고정구(51)와 제2고정구(52)가 수납패널(20)의 상면(20a) 인근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조립체의 경우, 제1고정구(51)의 일부와 제2고정구(52)의 일부가 제1결합부(41)의 제1플레이트(41a)와 제2결합부(42)의 제2플레이트(42a)에서 수납패널(20) 방향으로 돌출되더라도, 수납된 물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조립체의 경우 조립된 수납장에 있어서 제1고정구(51)와 제2고정구(52)는 수납패널(20)의 하방(-z 방향)에 위치한다. 이때, 제1고정구(51)와 제2고정구(52)는 수납패널(20)의 하면(20b) 인근에 위치한다. 수납패널(20)의 상면(20a) 상에 수납된 물건은 통상적으로 그 상부의 수납패널(20)의 하면(20b) 근방에 까지 이르지는 않는 것이 일반적이기에, 제1고정구(51)와 제2고정구(52)가 수납패널(20)에 수납된 물건과 컨택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되고, 따라서 수납된 물건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조립체에 의해 구현된 수납장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조립체의 경우, 수납패널(20)이 단부면(ES)에 제1결합부(41)의 제1결합플레이트(41b) 및 제2결합부(42)의 제2결합플레이트(42b)가 삽입될 수 있는 홈들(ES1, ES2)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41)와 제2결합부(42)가 수납패널(20)에 고정될 시, 제1결합플레이트(41b)가 수납패널(20)의 홈(ES1)에 삽입되고 제2결합플레이트(42b)가 수납패널(20)의 홈(ES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결합부(41)의 제1관통홀(41a1)과 제2관통홀(41a2), 그리고 제2결합부(42)의 제3관통홀(42a3)이 수납패널(20)의 상면(20a)의 상방(+z 방향)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조립체에 의해 구현된 수납장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인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결합부(41)의 제1관통홀(41a1)과 제2관통홀(41a2), 그리고 제2결합부(42)의 제3관통홀(42a3)이 수납패널(20)의 하면(20b)의 하방(-z 방향)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두 경우의 제1관통홀(41a1)과 제2관통홀(41a2) 등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유사하므로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제1결합부(41)와 제2결합부(42)가 수납패널(20)에 고정될 시, 단순히 제1결합플레이트(41b)가 수납패널(20)의 홈(ES1)에 삽입되고 제2결합플레이트(42b)가 수납패널(20)의 홈(ES2)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나사 등을 이용하는 방식에 비해 수납장 조립체의 조립을 획기적으로 단순화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는 제1결합부(41)와 제2결합부(42)가 서로 분리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조립체의 일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인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결합부(41)의 제1결합플레이트와 제2결합부(42)의 제2결합플레이트가 일체(一體)화된 결합플레이트(412b)를 갖는 결합부(412)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결합부(412)가 제1플레이트(41a)와 제2플레이트(42a)를 갖고, 제1플레이트(41a)에는 전술한 것과 같은 제1관통홀(41a1)과 제2관통홀(41a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플레이트(42a)에는 전술한 것과 같은 제3관통홀(42a3)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제1플레이트(41a)와 제2플레이트(42a)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합플레이트(412b)로부터 하방(-z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상방(+z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만일 제1플레이트(41a)와 제2플레이트(42a)가 상방(+z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더라도, 제2관통홀(41a2)은 제1관통홀(41a1)의 끝단에서 상방(+z 방향)으로 연장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1결합부(41)와 제2결합부(42)를 일체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조립을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조립체의 일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인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도 일체화된 플레이트(412a)를 갖는 결합부(412)를 이용할 수도 있다. 물론 플레이트(412a)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합플레이트(412b)로부터 하방(-z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상방(+z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조립체의 일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인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체화된 결합플레이트(412b)의 x축 방향 길이가 일체화된 플레이트(412a)의 x축 방향 길이보다 짧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유사하게 수납패널(20)의 단부면(ES)에 홈을 형성하여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결합부(412)를 수납패널(20)에 고정할 시, 일체화된 결합플레이트(412b)의 x축 방향 길이가 일체화된 플레이트(412a)의 x축 방향 길이보다 짧기에, 수납패널(20)의 단부면(ES)에 형성할 홈의 x축 방향 길이 역시 짧게 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플레이트(412a)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합플레이트(412b)로부터 하방(-z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상방(+z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함에 있어서 제1고정구(51)가 제1관통홀(41a1)과 제2관통홀(41a2) 내에서 움직일 수 있고 제2고정구(52)가 제3관통홀(42a3)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고 하였는바, 제1관통홀(41a1), 제2관통홀(41a2) 및 제3관통홀(42a3) 내에서의 제1고정구(51)와 제2고정구(52)의 제1관통홀(41a1), 제2관통홀(41a2) 및 제3관통홀(42a3)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자유롭게 가변하도록, 제1고정구(51)와 제2고정구(52)의 크기가 제1관통홀(41a1), 제2관통홀(41a2) 및 제3관통홀(42a3)의 크기보다 작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제1고정구(51)와 제2고정구(52)의 크기는 예컨대 제1고정구(51)와 제2고정구(52)의 제1관통홀(41a1), 제2관통홀(41a2) 및 제3관통홀(42a3)을 통과하는 부분의 최대 두께를 의미하고, 제1관통홀(41a1), 제2관통홀(41a2) 및 제3관통홀(42a3)의 크기는 각 관통홀의 연장된 방향(예컨대 도 10의 경우 x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예컨대 도 10의 경우 z축 방향)으로의 홀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수납장이 책장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은 어린이들의 놀이기구를 수납하는 수납장일 수 있다. 어린이들이 놀이기구를 꺼낼 시 수납패널이 수평인 종래의 수납장의 경우 인접한 놀이기구가 맞물려 같이 전방으로 나오다가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수납패널이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세팅된다면, 어린이들이 놀이기구를 꺼낼 시, 인접한 놀이기구는 후방으로 기울어진 수납패널에 의해 꺼내지는 놀이기구에 의해 전방으로 함께 꺼내지지 않게 되므로, 어린이들의 생활안정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놀이기구 외의 다양한 물건의 수납에 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의 충격이 수납장에 인가되더라도 수평으로 유지되던 수납패널(20)이 자연스럽게 후방이 하방으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놀이기구 등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전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통상적인 마트 진열대의 경우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으로 인해 수납된 물건이 낙하함에 따라 인적/물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을 이용할 경우에는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수평으로 유지되던 수납패널(20)이 자연스럽게 후방이 하방으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수납된 물건이 전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그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납패널(20), 측면패널(30), 제1결합부(41) 및 제2결합부(42) 등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된 수납장은 물론, 수납패널(20), 측면패널(30), 제1결합부(41) 및 제2결합부(42) 등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패널(20), 측면패널(30), 제1결합부(41) 및 제2결합부(42) 등의 분리된 한 벌의 세트인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백패널 20: 수납패널
30: 측면패널 41: 제1결합부
41a: 제1플레이트 41a1: 제1관통홀
41a2: 제2관통홀 41b: 제1결합플레이트
42: 제2결합부 42a: 제2플레이트
42a3: 제3관통홀 42b: 제2결합플레이트
412a: 플레이트 412b: 결합플레이트
51: 제1고정구 52: 제2고정구

Claims (9)

  1. 제1장축과, 상기 장축과 수직인 단축을 갖고, 물건이 얹힐 수 있는, 수납패널;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상기 수납패널과 결합될 시 상기 수납패널을 지지할 수 있는, 두 개의 측면패널들;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로부터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관통홀을 갖는 제1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수납패널의 상기 장축과 교차하는 단부면의 제1부분에 상기 제1플레이트가 대응하도록 상기 수납패널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수납패널에 고정될 시 상기 제1관통홀이 상기 단축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가 되도록 정렬되는, 제1결합부; 및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3관통홀을 갖는 제2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수납패널의 상기 단부면의 제2부분에 상기 제2플레이트가 대응하도록 상기 수납패널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수납패널에 고정될 시 상기 제3관통홀이 상기 단축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가 되도록 정렬되는, 제2결합부;
    를 구비하는, 수납장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수납패널에 고정될 시 상기 제2관통홀이 상기 제1관통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납장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수납패널에 고정될 시, 상기 제2관통홀이 상기 제1관통홀의 상기 단축 방향 끝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납장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에 수직인 제1결합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플레이트에 수직인 제2결합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는 상기 수납패널의 상면 또는 하면에 고정될 수 있는, 수납장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에 수직인 제1결합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플레이트에 수직인 제2결합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수납패널은 상기 단부면에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갖는, 수납장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기 제1관통홀 또는 상기 제2관통홀과,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기 제3관통홀을 통과하는 고정구들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개의 홀들이 상기 두 개의 측면패널들에 형성된, 수납장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홀, 상기 제2관통홀 및 상기 제3관통홀 내에서의 상기 고정구들의 상기 제1관통홀, 상기 제2관통홀 및 상기 제3관통홀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자유롭게 가변하도록, 상기 고정구들의 크기가 상기 제1관통홀, 상기 제2관통홀 및 상기 제3관통홀의 크기보다 작은, 수납장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일체(一體)인, 수납장 조립체.
  9. 삭제
KR1020130143259A 2013-11-22 2013-11-22 수납장 조립체 및 수납장 KR101553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259A KR101553633B1 (ko) 2013-11-22 2013-11-22 수납장 조립체 및 수납장
JP2016555432A JP2017500178A (ja) 2013-11-22 2014-11-22 収納タンス組立体および収納タンス
US15/038,184 US20160286957A1 (en) 2013-11-22 2014-11-22 Storage closet assembly and storage closet
PCT/KR2014/011294 WO2015076628A1 (ko) 2013-11-22 2014-11-22 수납장 조립체 및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259A KR101553633B1 (ko) 2013-11-22 2013-11-22 수납장 조립체 및 수납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537A KR20150059537A (ko) 2015-06-01
KR101553633B1 true KR101553633B1 (ko) 2015-09-16

Family

ID=5317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259A KR101553633B1 (ko) 2013-11-22 2013-11-22 수납장 조립체 및 수납장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286957A1 (ko)
JP (1) JP2017500178A (ko)
KR (1) KR101553633B1 (ko)
WO (1) WO20150766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111683A1 (it) * 2017-10-05 2019-04-05 Antonello Briosi Struttura portante per scaffalature
CN109247730B (zh) * 2018-11-02 2020-06-05 佛山市名美轩家具实业有限公司 用于节能环保的便捷床头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9857A (ja) 2002-03-13 2003-09-25 Sanyo Electric Co Ltd 家庭用冷蔵庫
US7607744B2 (en) 2005-05-17 2009-10-27 Whirlpool Corporation Domestic refrigerator provided with shelv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0714A (ja) * 1994-03-14 1995-10-03 Sekisui Chem Co Ltd 収納棚
JP3097242U (ja) * 2003-04-17 2004-01-22 光貞 公二 ダボ用棚外れ防止具
US20080224004A1 (en) * 2007-03-13 2008-09-18 Hangman Products, Inc. Shelf mounting system
KR200456943Y1 (ko) * 2008-11-18 2011-11-28 신동철 휴대품의 낙하 방지를 위한 교실용 책상
JP5093861B2 (ja) * 2009-04-09 2012-12-12 金剛株式会社 収納棚
KR20130122037A (ko) * 2012-04-27 2013-11-07 박정용 수납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9857A (ja) 2002-03-13 2003-09-25 Sanyo Electric Co Ltd 家庭用冷蔵庫
US7607744B2 (en) 2005-05-17 2009-10-27 Whirlpool Corporation Domestic refrigerator provided with shel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00178A (ja) 2017-01-05
US20160286957A1 (en) 2016-10-06
KR20150059537A (ko) 2015-06-01
WO2015076628A1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0580B1 (en) Wall mount cabinet assembly
KR101553633B1 (ko) 수납장 조립체 및 수납장
JP6047376B2 (ja) 物品収納容器及び机
US20120255923A1 (en) Modular display and storage tray system
JP5432058B2 (ja) 配電盤
JP2010022621A (ja) 上棚付きデスク装置
KR20140033558A (ko) 수납장
JP4976946B2 (ja)
KR20130122037A (ko) 수납장
KR101830369B1 (ko) 책상몸체 프레임
JP5231261B2 (ja) 什器における棚板支持構造
JP6422374B2 (ja) 天板付き家具
JP2014036208A (ja) 小型携帯機器
JP3174841U (ja) 張り出し棚板付きキャビネット
JP7258547B2 (ja) 収納什器
JP3173574U (ja) 紙芝居収納具
JP2020103842A (ja) 収納什器
JP2010022670A (ja) 棚装置、および棚装置と机との組み合わせ家具
JP2008301960A (ja) 什器ユニットおよび什器
JP5306893B2 (ja) 測定装置
KR20140000778U (ko) 서랍 장착용 레일
JP2018108273A (ja) キャビネット構成
KR20120124557A (ko) 책꽂이
JP2022157260A (ja) パーティション
JP2024055402A (ja) 什器システム、および物品載置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