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327U - 끼움식 선반 - Google Patents

끼움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327U
KR20180000327U KR2020160004250U KR20160004250U KR20180000327U KR 20180000327 U KR20180000327 U KR 20180000327U KR 2020160004250 U KR2020160004250 U KR 2020160004250U KR 20160004250 U KR20160004250 U KR 20160004250U KR 20180000327 U KR20180000327 U KR 201800003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lates
shelf
coupling
portions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형
Original Assignee
이승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형 filed Critical 이승형
Priority to KR2020160004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327U/ko
Publication of KR201800003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32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1Structural features of shelf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08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regularly perforated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건을 올려 수납할 수 있는 끼움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끼움식 선반은, 바닥으로부터 기립되는 제1, 제2 수직플레이트; 제1, 제2 수직플레이트에 높이를 달리하여 수평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선반;을 포함하고, 제1, 제2 수직플레이트는, 선반이 결합되는 위치에 결합구와 결합돌기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복수의 선반은, 제1, 제2 수직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위치에 결합구와 결합돌기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결합구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에 의해, 제1, 제2 수직플레이트로 선반을 지지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선반과 결합 가능하며, 이에 따라 설치 공간에 따라 형태를 변경할 수 있고,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Description

끼움식 선반{INSERT TYPE SHELF}
본 고안은 끼움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건을 올려 수납할 수 있는 끼움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선반은 물건을 얹어 두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는 목재 등으로 제작된 일체형의 선반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일체형 선반은 운반하거나 설치 후, 선반에 물건을 정리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선반의 전체 형태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설치 공간이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7978호는, 지면에 지지되는 바닥 지지구와, 바닥 지지구에 상부로 돌출 지지되게 조립되는 지주대와 지주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어 지주대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거치구와 거치구 둘레에 위성 형태로 고정되어 물품을 수납하는 하나 이상의 선반부를 포함하여, 각 구성부분이 용이하게 분리 및 조립될 수 있으며, 실내의 다양한 장소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다용도 선반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4764호는, 긴 막대 형태로 길이 방향을 따라 양 측면에 각각 가이드레일 홈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 홈이 형성된 지주와 상단에 선반을 올려놓는 받침대 형태의 몸체의 일측부에 지주의 가이드레일 홈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고정 레일부를 구비하며, 고정 레일부의 중심부에서 평시에는 고정 레일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있다가 몸체에 형성된 스위치에 압력을 가하는 동안만 탄성적으로 고정 레일부의 표면에서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되도록 하는 몸체 내의 탄성 어셈블리에 연결된 돌기를 구비하는 브라켓을 포함한 선반 높이 조절 구조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을 지주에 대해 적당한 위치로 슬라이딩하여 높이 조절하기 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7586호는, 2개의 주지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지주축을 중심으로 한 대칭 형상이며,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규칙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지주와 지주에 걸어 맞추는 제1 걸어맞춤부와 선반 부재에 걸어 맞추는 제2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지주의 폭 방향의 1/2의 영역을 이용하여 지주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지지하도록 부착되는 한 쌍의 결합 부재와 지주 중에 있어서 한 쌍의 결합부재와 선반 부재는 지주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1/2의 영역에 배치되는 조립 선반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선반들은, 수직 방향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나, 선반이 설치되는 공간을 변형할 수 없으므로, 여전히 설치 공간에 대한 제한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선반 조립 시, 나사로 체결하거나, 선반의 모서리와 4개의 지주를 결합시키기 위해 수평을 맞추는 등의 과정에서 조립이 까다롭고,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설치 공간에 제한 없이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한 끼움식 선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어 선반의 이동이 간편한 끼움식 선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끼움식 선반은, 바닥으로부터 기립되는 제1, 제2 수직플레이트;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에 높이를 달리하여 수평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는, 상기 선반이 결합되는 위치에 결합구와 결합돌기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선반은,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구와 상기 결합돌기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구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는, 후방이 내측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 양측으로 구분된 평탄면부와 절곡면부를 가지며, 상기 절곡부의 내각은 둔각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각은, 100°~150°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반은, 후방의 모서리부가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의 절곡부에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는, 상기 절곡면부에 결합구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선반의 모서리부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는, 수평 방향의 이격 거리가 전방이 크고, 후방이 작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는, 각각의 상기 절곡면부가 하나의 수직한 평면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반은, 후방의 모서리가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의 절곡부에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에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선반에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구는, 상부 폭이 하부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구의 상부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의 상부에 삽입된 뒤, 하강하여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구에 삽입되어 물체를 걸 수 있도록 걸이 형상을 갖는 수납 걸이;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는, 상부에 위치한 결합구 또는 결합돌기의 수평 방향 간격이 하부에 위치한 결합구 또는 결합돌기의 수평 방향 간격보다 작고, 상기 복수의 선반은, 상부에 위치한 선반의 크기가 하부에 위치한 선반의 크기보다 작다.
바람직하게,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 하단의 전,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받침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끼움식 선반에 의하면, 제1, 제2 수직플레이트로 선반을 지지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선반과 결합 가능하며, 이에 따라 설치 공간에 따라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결합구에 결합돌기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수직플레이트와 선반을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조립이 간편하다.
또한, 본 고안은 수직플레이트에 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선반을 더욱 견고히 지지할 수 있고, 선반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결합구에 수납 걸이를 결합함으로써, 선반에 물체를 올려 수납할 뿐 아니라, 물체를 걸어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결합구 또는 결합돌기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선반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수직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수직플레이트의 하단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끼움식 선반의 운반 시, 선반에 물건을 수납한 상태로 수직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하여 운반함으로써, 물건을 재정리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립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결합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결합돌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결합구와 결합돌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결합구에 결합돌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결합구에 결합돌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결합구에 결합돌기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결합구에 결합돌기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수납 걸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조립도.
도 1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끼움식 선반은 제1, 제2 실시예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기본적으로 동일하나, 일부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 중 동일한 기능과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상의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끼움식 선반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 선반(30), 받침대(40) 및 수납 걸이(50)로 이루어진다.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는 바닥으로부터 기립되며, 선반(30)과 결합되어 선반(30)을 지지한다.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는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실시예에서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는 각각, 평탄면부(11, 21), 절곡부(12, 22), 절곡면부(13, 23)로 구분될 수 있다.
평탄면부(11, 21)는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가 기립되는 수직한 면으로, 두 평탄면부(11, 21)는 평행하게 배치된다.
절곡부(12, 22)는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의 후방이 내측을 향하여 절곡된 부분으로, 평탄면부(11, 21)와 절곡면부(13, 23)를 구분한다. 이때, 도 4와 같이, 절곡부(12)의 내각(θ)은 둔각으로 이루어지며, 100°~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부(12)의 내각(θ)이 100° 미만이면, 제2 실시예와 같이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를 배치하였을 때,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 전, 후방의 수평 방향 이격 거리에 큰 차이가 없어 선반의 형태를 변경할 수 없거나, 선반(30) 후방의 형상이 요철구조로 형성되는 문제가 있고, 150°를 초과하면,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를 절곡시킨 효과가 미미하다. 특히, 절곡부(12)의 내각(θ)이 135°에 가까울수록 바람직하다.
절곡면부(13, 23)는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의 절곡부(12, 22) 후방의 면으로, 평탄면부(11, 21)에 비하여 내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이로써, 평탄면부(11, 21)와 절곡면부(13, 23)가 상이한 두 평면상에 위치하므로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의 기립 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와 선반(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는 선반(30)이 결합되는 위치에 결합구(14, 24)가 형성된다. 결합구(14, 24)는 수직 방향을 따라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되고, 각 높이의 수평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구(14, 24)는 높이에 따라 5단으로 구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3개씩 형성된다.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 3개의 결합구(14, 24) 중 2개는 평탄면부(11)에, 1개는 절곡면부(13)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높이가 상이한 결합구의 단수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 결합구의 개수는 조절 가능하다.
제1 수직플레이트(10)에 형성된 결합구(1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부 폭(W1)이 하부 폭(W2)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써, 결합구(14)의 상부로 선반(30)에 형성된 결합돌기(36)가 삽입되고, 결합구(14)의 하부에서 결합돌기(36)가 고정된다.
제2 수직플레이트(20)에 형성된 결합구(24) 또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는 상부에 형성된 결합구(14, 24)의 수평 방향 간격이 하부에 위치한 수평 방향 간격보다 작게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의 전후 방향 길이는 상부가 하부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로써, 제1, 제2 수납플레이트 상부에 위치하는 선반의 크기가 하부에 위치하는 선반의 크기보다 작아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선반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선반(30)은 복수개가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에 높이를 달리하여 수평하게 결합되며, 바닥면(31), 측면(32), 전방면(33), 후방면(34) 및 모서리부(35)로 이루어진다.
바닥면(31)은 물건이 얹어지는 하부면으로, 제1 수직플레이트(10)로부터 제2 수직플레이트(20)까지 연결된다.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가 대향하여 배치되므로, 바닥면(31)은 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후방의 모서리가 절곡부(12, 22)에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바닥면(31)에는 바닥홀(3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선반(30)에 쏟아진 액체나 가루 등이 바닥홀(37)을 통해 쉽게 배출될 수 있다.
측면(32), 전방면(33), 후방면(34)은 바닥면(31)의 테두리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된 면으로, 바닥면(31)에 울타리를 형성한다.
측면(32)에는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와 접하여 결합되며, 양 측면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전방면(33)과 후방면(34)은 측면(32)과 수직하게 배치되며, 선반(30)에 얹어진 물건이 전, 후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전방면(33) 전체 또는 일부의 높이를 측면 또는 후방면(34)에 비해 낮게 형성하면, 사용자가 선반(30)에 물건을 수납하기 용이하고, 수납된 물건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모서리부(35)는 선반(30) 후방의 모서리가 절곡부(12, 22)에 상응하도록 형성된 면으로, 측면(32)과 후방면(34) 사이를 연결한다.
결합돌기(36)는 선반(30)이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와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결합구(14, 24)에 삽입되어 선반(30)을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에 결합시킨다.
결합돌기(36)는 결합구(14, 24)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도록 측면(32)과 모서리부(35)에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선반(30)에는 수평 방향으로 3개의 결합돌기(36)가 형성되며, 이 중 2개는 측면(32)에, 1개는 모서리부(35)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 결합구(14, 24)의 개수에 따라 결합돌기(36)의 갯수를 조절할 수 있다.
결합돌기(36)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36a)와 고정부(36b)로 이루어진다.
삽입부(36a)는 결합구(14, 24)의 상부에 삽입되는 부분이고, 고정부(36b)는 결합구(14, 24)의 하부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삽입부(36a)와 측면(32)을 연결한다.
이하에서는 제1 수직플레이트(10)의 결합구(14)와 결합돌기(36)의 결합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며, 이는 제2 수직플레이트(20)의 결합구(24)와 결합돌기(36)의 결합 과정은 후술할 제1 수직플레이트(10)와 결합돌기(36)의 결합 과정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결합구(14)와 결합돌기(36)의 크기를 비교하면,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36a)의 폭(W3)은 결합구(14)의 상부 폭(W1)보다 작게 형성되어 결합구(14)의 상부에 삽입되고, 하부 폭(W2) 보다 크게 형성되어 결합구(14)의 하부로부터 이탈을 방지한다. 고정부(36b)의 폭(W4)은 결합구(14)의 하부 폭(W2)보다 작게 형성되어 결합구(14)의 하부에 고정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36a)의 높이(h3)는 결합구(14)의 상부 높이(h1)보다 작게 형성되어 결합구(14)의 상부에 삽입된다. 고정부(36b)의 높이(h4)는 결합구(14)의 하부 높이(h2)보다 작게 형성되어 결합구(14) 하부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부(36b)가 결합구(14)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36b)의 길이(L4)는 결합구(14)의 두께(t1)보다 길게 형성된다.
결합구(14)와 결합돌기(36)의 결합 과정은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구(14)의 상부를 통해 삽입부(36a)가 삽입된다. 이후,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30)을 하강시키면, 고정부(36b)가 결합구(14)의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에 의해, 고정부(36b)는 제1 수직플레이트(10)를 관통한 상태로 고정되고, 삽입부(36a)와 선반(30)의 측면이 제1 수직플레이트(10)의 양측에 배치된다.
이로써, 삽입부(36a)는 결합부(14)의 하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선반(30) 측으로 이탈될 수 없으므로 제1 수직플레이트(10)와 선반(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36)를 결합구(14)에 삽입하여 선반(30)을 내려놓는 간단한 과정으로 결합 과정이 매우 쉽고 간단하다.
상술한 결합 과정은 제2 수직플레이트(20)의 결합구(24)와 결합돌기(36)가 결합하는 과정과 동일하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바와 반대로 제1, 제2 수직플레이트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선반에 결합구가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결합구의 상부 폭이 하부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복수의 선반(30)은 너비가 동일하나 전후방향의 폭이 상이하도록 다양한 크기의 선반(3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상부에 위치한 선반의 크기가 하부에 위치한 선반의 크기보다 작게 배치하여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받침대(40)는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 하단의 전, 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바닥으로부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의 하단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보호할 수 있다.
수납 걸이(50)는 도 12와 같이, 결합구(14, 24)에 삽입되는 걸이 형상의 부재로, 모자, 스카프, 가방, 수건 등의 물건을 걸어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수납 걸이(50)는 선반(30)이 결합되지 않은 단의 결합구(14, 24)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납 걸이(50)는 걸이부(51), 삽입부(52) 및 고정부(53)로 이루어진다.
걸이부(51)는 물건이 걸리는 부재로, 제1, 제2 수직플레이트 외측에 배치된다.
삽입부(52)는 결합돌기(36)의 삽입부(36a)와 동일한 기능을 하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 내측에 배치된다.
고정부(53)는 결합돌기(36)의 고정부(36b)와 동일한 기능을 하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의 결합구(14, 24)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된다.
수납 걸이(50)를 구비함으로써, 본 고안의 끼움식 선반은 선반(30)에 물건을 올려 수납할 뿐 아니라 걸어서 수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대비하여 제1, 제2 수직플레이트의 배치와 선반의 형태에 있어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차이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는 수평 방향의 이격 거리가 전방이 크고, 후방이 작게 배치된다. 이로써, 실내의 코너부에도 끼움식 선반을 설치할 수 있도록 선반의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 각각의 절곡면부(13, 23)는 하나의 수직한 평면 상에 배치되어 선반(30)의 후방면(34)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절곡부(12, 22)의 내각(θ)이 135°라면, 각 평탄면부(11, 21)는 수직하게 배치된다.
절곡부(12, 22)의 내각(θ)이 너무 작은 경우, 절곡면부(13, 23)를 하나의 평면 상에 배치하면,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의 수평 방향 이격 거리가 전방과 후방에서 차이가 크지 않아 선반의 형태가 제1 실시예와 크게 다르지 않고, 전, 후방에서의 수평 방향 이격 거리를 차이 나게 배치하면, 선반(30) 후방면이 하나의 평면 상에 배치되지 않아 요철구조로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절곡부(12, 22)의 내각(θ)이 너무 큰 경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를 절곡시킨 효과가 미미하다.
선반(30)은 바닥면(31), 측면(32), 전방면(33) 및 후방면(34)으로 이루어진다.
바닥면(31)은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가 전, 후방에서 수평 방향 이격 거리가 상이하게 배치되므로, 바닥면(31)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측면(32)은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의 평탄면부(11, 21)와 접하여 결합되며, 전방면(33)은 노출되고, 후방면(34)은 절곡면부(13, 23)와 접하여 결합된다.
선반(30)의 전방면(33)과 후방면(34)은 평행하게 배치되며, 측면(32)과 후방면(34)이 이루는 선반(30) 후방의 모서리는 절곡부(12, 22)에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끼움식 선반은 제1, 제2 수직플레이트의 배치에 따라 사각 형태, 사다리꼴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선반과 결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치 공간에 따라 형태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끼움식 선반을 운반하는 경우, 선반에 물건이 수납된 상태에서 제1, 제2 수직플레이트와 선반을 분리하여 운반하고, 다시 재조립함으로써, 수납된 물건을 선반에 재 정리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중심으로 그 변형물 또는 균등물에까지 미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20 : 제1, 제2 수직플레이트
11, 21 : 평탄면부
12, 22 : 절곡부
13, 23 : 절곡면부
14, 24 : 결합구
30 : 선반
31 : 바닥면
32 : 측면
33 : 전방면
34 : 후방면
35 : 모서리부
36 : 결합돌기
37 : 바닥홀
40 : 받침대
50 : 수납 걸이

Claims (14)

  1. 바닥으로부터 기립되는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에 높이를 달리하여 수평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선반(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는, 상기 선반(30)이 결합되는 위치에 결합구(14, 24)와 결합돌기(36)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선반(30)은,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와 결합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구(14, 24)와 상기 결합돌기(36)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36)가 상기 결합구(14, 2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식 선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는, 후방이 내측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12, 22)와 상기 절곡부(12, 22) 양측으로 구분된 평탄면부(11, 21)와 절곡면부(13, 23)를 가지며, 상기 절곡부(12, 22)의 내각(θ)은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식 선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각(θ)은, 10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식 선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식 선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선반(30)은, 후방의 모서리부(35)가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의 절곡부(12, 22)에 상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식 선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는, 상기 절곡면부(13, 23)에 결합구(14, 24) 또는 결합돌기(36)가 형성되어 상기 선반(30)의 모서리부(35)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식 선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는, 수평 방향의 이격 거리가 전방이 크고, 후방이 작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식 선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는, 각각의 상기 절곡면부(13, 23)가 하나의 수직한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식 선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선반(30)은, 후방의 모서리가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의 절곡부(12, 22)에 상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식 선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에 결합구(14, 24)가 형성되고, 상기 선반(30)에 결합돌기(3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식 선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14, 24)는, 상부 폭이 하부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36)는, 상기 결합구(14, 24)의 상부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14, 24)의 상부에 삽입된 뒤, 하강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식 선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14, 24)에 삽입되어 물체를 걸 수 있도록 걸이 형상을 갖는 수납 걸이(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식 선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는, 상부에 위치한 결합구(14, 24) 또는 결합돌기(36)의 수평 방향 간격이 하부에 위치한 결합구(14, 24) 또는 결합돌기(36)의 수평 방향 간격보다 작고,
    상기 복수의 선반(30)은, 상부에 위치한 선반의 크기가 하부에 위치한 선반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식 선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제2 수직플레이트(10, 20) 하단의 전,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받침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식 선반.
KR2020160004250U 2016-07-22 2016-07-22 끼움식 선반 KR201800003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50U KR20180000327U (ko) 2016-07-22 2016-07-22 끼움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50U KR20180000327U (ko) 2016-07-22 2016-07-22 끼움식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27U true KR20180000327U (ko) 2018-01-31

Family

ID=6128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250U KR20180000327U (ko) 2016-07-22 2016-07-22 끼움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32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215A (ko) * 2020-07-30 2022-02-08 박갑석 캠핑용 트레일러의 외부선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215A (ko) * 2020-07-30 2022-02-08 박갑석 캠핑용 트레일러의 외부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19494A (ko) 조립식 선반
US20060243177A1 (en) Bookcase with sloping shelves
KR200474283Y1 (ko) 선반 지지장치
WO2016115937A1 (zh) 拼接式多功能塑料托盘
JP5780873B2 (ja) 収納箱兼用折り畳み陳列台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80000327U (ko) 끼움식 선반
KR101300631B1 (ko) 테이블
KR20100001317U (ko) 선반 고정장치
JP3983368B2 (ja) 収納棚等における平板部材の補強構造
JP4388507B2 (ja) 収納棚
JP6800643B2 (ja) 棚板用支柱
KR200337046Y1 (ko) 턱선반을 구비한 서가
JP2010148628A (ja) 什器とブラケット
JP3980981B2 (ja) 入れ子式ラック及び連結ラック
JP2017023520A (ja) 物品収納用構造およびこの構造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JP2001037600A (ja) 商品陳列ユニット
JP5360395B2 (ja) ラックの棚板支持構造
US3343853A (en) Knock down cabinet assembly clip
JP5578741B2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用引き出し
JP6018371B2 (ja) 板材を使用した収納ラック
JP2010154991A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用引き出し
JPH0620423Y2 (ja) ラック
KR200401464Y1 (ko) 조립식 선반
JP4202893B2 (ja) スタンドボード
JP2889539B2 (ja) 整理棚、整理棚の押入収納方法及び整理棚による収納空間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