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3401A -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박막 캡슐화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박막 캡슐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3401A
KR20140033401A KR1020137032795A KR20137032795A KR20140033401A KR 20140033401 A KR20140033401 A KR 20140033401A KR 1020137032795 A KR1020137032795 A KR 1020137032795A KR 20137032795 A KR20137032795 A KR 20137032795A KR 20140033401 A KR20140033401 A KR 20140033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tal
light emitting
oled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5920B1 (ko
Inventor
에드워드 펑
지안후아 장
Original Assignee
린데 악티엔게젤샤프트
상하이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데 악티엔게젤샤프트, 상하이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린데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033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6Multilayers, e.g. opaque mult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60Forming conductive regions or layers, e.g. 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LED 소자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저온 저비용의 캡슐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방법은, 플라즈마, UV-오존, 또는 습윤 화학물질 처리를 이용하여 금속 패시베이션 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금속 패시베이션 층은 습기 및 산소로부터 OLED를 캡슐화 및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 다른 방법은 OLED 상에 버퍼 층 및 금속 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금속 층을 플라즈마, UV-오존, 또는 습윤 화학물질 처리로 처리하여 금속 패시베이션 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 패시베이션 층은 습기 및 산소로부터 OLED를 캡슐화 및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박막 캡슐화{THIN FILM ENCAPSULATION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본 발명은 신규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캡슐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OLED는 발광 다이오드의 일 유형으로서, 여기서 방출성 전기발광 층은 전류에 반응하여 발광하는 유기 화합물의 막이다. 유기 물질은 2개의 전극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2개의 전극 중 하나 이상은 투명 전극이다. OLED는 고 휘도 및 고 효율을 보이고 낮은 구동 전압을 요구하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예컨대 텔레비젼, 컴퓨터 모니터, 휴대용 전화 스크린 등에서 사용하기에 우수한 후보물이다. OLED는 매우 높은 해상도를 갖는 대형 패널 면적 및 풀 컬러 디스플레이용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용 OLED의 사용은 특수한 처리를 필요로 한다. 특히, 습기 또는 산소에 대한 노출은 유기 전기발광 층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OLED의 캡슐화는 습기 및 산소로부터 소자를 보호하는 데에 중요하다. 캡슐화에 이용되는 몇몇 방법이 존재하지만, 이들 모두 단점을 갖는다. 특히, OLED 캡슐화 방법 중 하나는 에폭시 수지에 의해 고정되는 금속 또는 유리 층으로 소자를 덮는 것이다. 접착 부착식 금속 또는 유기 캡슐화 층을 사용하는 경우 건조제(desiccant material), 예컨대 칼슘 옥사이드 또는 바륨 옥사이드가 보통 소자 내에 포함된다. 이런 캡슐화 방법은 비용 면에서 높고 효능 면에서 매우 낮다. 이는 또한 비교적 높은 프로파일을 갖는 최종 소자를 제공한다.
또 다른 OLED 캡슐화 방법은 무기, 유기 또는 하이브리드 층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소자 상에 SiNx, SiOx 또는 Al2O3를 침착시킨다. 이런 층은 화학적 증착(CVD), 물리적 증착(PVD), 또는 원자 층 침착(ALD)을 비롯한 많은 표준 침착 기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침착될 수 있다. 이들 침착 기법은 모두 OLED 소자의 정상 한계점을 초과하는 온도를 필요로 하므로, 가공 동안에 소자, 특히 유기 전기발광 층을 손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런 침착에 요구되는 장치가 고가이고 침착 시간이 비교적 길어서 소자 제조에 상당한 비용을 부가시킨다.
그러므로, OLED 캡슐화 기법의 개선에 대한 요구가 당업계에 존재한다.
본 발명은 OLED 소자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는, 저온 저비용의 OLED 캡슐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OLED 소자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OLED 캡슐화 공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양태에 따른 OLED 캡슐화 공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OLED 소자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저온 저비용의 캡슐화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는, 플라즈마, UV-오존, 또는 습윤 화학물질 처리를 이용하여 금속 패시베이션 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때 상기 금속 패시베이션 층은 습기 및 산소로부터 OLED를 캡슐화 및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양태는, OLED 구조체 상에 버퍼 층 및 금속 층을 형성한 후, 상기 금속 층을 플라즈마, UV-오존, 또는 습윤 화학물질 처리로 처리하여 금속 패시베이션 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때 상기 금속 패시베이션 층은 습기 및 산소로부터 OLED를 캡슐화 및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OLED 소자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특히, 상기 OLED 소자는, 기판(1) 상에 형성된 애노드 층(2)을 갖는 기판(1)을 포함한다. 유기 전기발광 층(3)은 상기 애노드 층(2) 상에 형성되고, 캐쏘드 층(4)은 유기 층(3)을 덮어서 OLED 소자를 완성시킨다. 애노드 층(2)은 전형적으로 인듐 주석 옥사이드로부터 형성되고, 캐쏘드 층(4)은 보통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유기 층(3)은 3개의 별도의 층(정공 수송 층(HTL)(3a); 발광 층(EML)(3b); 및 전자 수송 층(ETL)(3c))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OLED의 캡슐화 공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층들, 즉 기판(1), 애노드 층(2), 유기 전기발광 층(3)(HTL(3a), EML(3b) 및 ETL(3c)을 포함) 및 캐쏘드 층(4)을 갖는 제작된(fabricated) OLED 소자(10)는 처리 수단(20)으로부터 처리되어 상기 캐쏘드 층(4)의 표면 상에 패시베이션 층(5)을 생성한다. 예컨대, 캐쏘드 층(4)이 알루미늄 층인 경우, 패시베이션 층(5)은 금속 알루미나 옥사이드 막일 것이다. 패시베이션 층(5)은 OLED(10)를 캡슐화하고, 이를 습기 및 산소로부터 보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처리 수단(20)은, OLED(10)에 유해하게 작용하지 않는 온도에서 캐쏘드 층(4)의 산화를 제공하는 임의의 수단일 수 있다. 예컨대, 처리 수단(20)은 플라즈마, UV-오존, 또는 습윤 화학물질 처리 수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처리 수단(20)은 UV 광원이고, OLED(10)는 UV 챔버 내에서 처리되고, 금속 캐쏘드(4)는 10 내지 30분 동안 UV 광에 노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OLED 캡슐화 공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층들, 즉 기판(1), 애노드 층(2), 유기 전기발광 층(3)(HTL(3a), EML(3b) 및 ETL(3c)을 포함) 및 캐쏘드 층(4)을 갖는 제작된 OLED 소자(10)는 버퍼 층(50), 및 그 위에 형성된 금속 층(60)을 갖는다. 이런 어셈블리는 이후 처리 수단(200)으로부터 처리되어 패시베이션 층(70)을 생성한다. 버퍼 층(50)은 ZnS 층일 수 있고, 금속 층(60)은 알루미늄 층일 수 있다. 이들 두 층은 모두 증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금속 층(60)이 알루미늄 층인 경우, 패시베이션 층(70)은 금속 알루미나 옥사이드 막일 것이다. 패시베이션 층(70)은 OLED(100)를 캡슐화하고, 이를 습기 및 산소로부터 보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처리 수단(200)은, OLED(100)에 유해하게 작용하지 않는 온도에서 금속 층(60)의 산화를 제공하는 임의의 수단일 수 있다. 예컨대, 처리 수단(200)은 플라즈마, UV-오존, 또는 습윤 화학물질 처리 수단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약 100 nm의 층 두께를 생성하는 증발에 의해 버퍼 층(50)을 제조하는 단계;
약 30 nm의 층 두께를 생성하는 증발에 의해 금속 층(60)을 제조하는 단계;
UV 챔버 내에 OLED 소자(100)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10 내지 30분 동안 UV 광에 금속 층(60)을 노출시키는 단계.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캡슐화 방법에 비해 몇몇 장점을 제공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패시베이션 층을 생성하는 공정 또는 버퍼 층 및 금속 층을 형성한 후 금속 패시베이션 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단순한 공정이고, 대량 생산에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공정 온도가 낮아서, OLED 소자에 대한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새로운 장치가 필요하지는 않다. 또한, 보다 적은 가공 및 수송 시간이 요구되므로, 보다 높은 생산량 및 이에 따른 보다 낮은 작업 비용이 성취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실시양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당업자는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변화 및 변형을 행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모든 변화 및 변형은 전술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가 조합되어 목적하는 결과는 제공할 수 있는 것과 같이, 개시된 모든 실시양태는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Claims (16)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애노드 층, 상기 애노드 층 상에 형성된 유기 전기발광 층, 및 상기 유기 전기발광 층 상에 형성된 캐쏘드 층을 갖는, 제작된(fabricated)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캐쏘드 층을, 상기 캐쏘드 층의 표면 상에 패시베이션 층을 생성하도록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캡슐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층이 인듐 주석 옥사이드 층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쏘드 층이 알루미늄 층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기발광 층이 정공 수송 층, 발광 층 및 전자 수송 층으로 구성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가 플라즈마, UV-오존 또는 습윤 화학물질(wet chemicals)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가 캐쏘드 층을 10분 내지 30분 동안 UV 광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애노드 층, 상기 애노드 층 상에 형성된 유기 전기발광 층, 및 상기 유기 전기발광 층 상에 형성된 캐쏘드 층을 갖는, 제작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캐쏘드 층 상에 버퍼(buffer)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퍼 층 상에 금속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층을, 상기 금속 층의 표면 상에 패시베이션 층을 생성하도록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캡슐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층이 인듐 주석 옥사이드 층인,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캐쏘드 층이 알루미늄 층인,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기발광 층이 정공 수송 층, 발광 층 및 전자 수송 층으로 구성되는,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층이 ZnS 층인,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층이 알루미늄 층인, 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층 및 상기 금속 층이 증발에 의해 생성되는, 방법.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가 플라즈마, UV-오존 또는 습윤 화학물질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가 금속 층을 10분 내지 30분 동안 UV 광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버퍼 층을 100 nm 두께로 증발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금속 층을 30 nm 두께로 증발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가 상기 금속 층을 10분 내지 30분 동안 UV 광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37032795A 2011-05-11 2011-05-11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박막 캡슐화 KR101835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1/073910 WO2012151744A1 (en) 2011-05-11 2011-05-11 Thin film encapsulation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401A true KR20140033401A (ko) 2014-03-18
KR101835920B1 KR101835920B1 (ko) 2018-03-07

Family

ID=47138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795A KR101835920B1 (ko) 2011-05-11 2011-05-11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박막 캡슐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53794B2 (ko)
KR (1) KR101835920B1 (ko)
CN (1) CN103688347B (ko)
TW (1) TWI559589B (ko)
WO (1) WO20121517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9646B4 (de) * 2013-09-04 2021-12-02 Pictiva Displays International Limited Organisches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CN103985826A (zh) * 2014-05-30 2014-08-1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基板的封装方法及oled结构
CN106463649B (zh) 2015-02-17 2018-11-13 株式会社Lg化学 包封薄膜
CN107785501B (zh) * 2017-10-17 2019-12-2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oled面板的封装方法及封装结构
CN110854300A (zh) * 2019-11-27 2020-02-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CN113451474B (zh) * 2020-08-11 2022-04-19 重庆康佳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Led芯片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1356B1 (en) * 1989-05-26 2001-12-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atterns of electrically conducting polymers and their application as electrodes or electrical contacts
US7061175B2 (en) * 2002-08-16 2006-06-1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Efficiency transparent cathode
JP2004134397A (ja) * 2002-09-20 2004-04-30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の作製方法
TWI232693B (en) * 2002-10-24 2005-05-11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Hygroscopic passivation structure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US7121912B2 (en) * 2004-01-26 2006-10-17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improving stability in OLED devices
KR20070076860A (ko) * 2006-01-20 2007-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13672A (ko) 2006-05-25 2007-11-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el소자 및 유기전자소자
JP2008108515A (ja) * 2006-10-24 2008-05-08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有機el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KR100908472B1 (ko) * 2007-11-20 2009-07-21 주식회사 엔씰텍 박막트랜지스터, 그의 제조방법, 그를 포함하는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483222A (zh) * 2008-01-11 2009-07-15 上海广电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顶发光器件的阴极及其制造方法
JP2009199957A (ja) 2008-02-22 2009-09-03 Seiko Epson Corp 有機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I381569B (zh) * 2008-12-30 2013-01-01 Ind Tech Res Inst 有機發光二極體裝置及其封裝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88347B (zh) 2017-03-29
TW201251169A (en) 2012-12-16
US20150125975A1 (en) 2015-05-07
US9153794B2 (en) 2015-10-06
WO2012151744A1 (en) 2012-11-15
KR101835920B1 (ko) 2018-03-07
TWI559589B (zh) 2016-11-21
CN103688347A (zh)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2586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58354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5759633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63733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8981362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35920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박막 캡슐화
US20120068169A1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10092582A (ko) 유기 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450206B2 (en) Organic light-emi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20319553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ith conducting cover
JP4346459B2 (ja) 発光装置
TW201507133A (zh) 製造有機發光顯示設備之方法
KR20180047421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JP6322380B2 (ja) 表示装置
JP2013187019A (ja)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50108442A1 (en) Organic light-emi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18888A (ko) 유기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2093467A1 (ja)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10031B1 (ko) 유기 발광 소자, 그의 제조방법, 및 유기 발광 소자를 구비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20150059884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제조방법
JP2008186778A (ja) 照明装置
WO2017085068A1 (de) Organische leuchtdiod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organischen leuchtdiode
KR2008001417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TWM493159U (zh) 具有阻水層之有機發光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