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934A - 박리가능한 필름 - Google Patents

박리가능한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934A
KR20140031934A KR1020137032269A KR20137032269A KR20140031934A KR 20140031934 A KR20140031934 A KR 20140031934A KR 1020137032269 A KR1020137032269 A KR 1020137032269A KR 20137032269 A KR20137032269 A KR 20137032269A KR 20140031934 A KR20140031934 A KR 20140031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eelable film
adhesive layer
film
peel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니 말파이트
모레노 안나 페레스
갈리나 우리에바
Original Assignee
암코르 플렉시블스 트란스팍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암코르 플렉시블스 트란스팍 엔브이 filed Critical 암코르 플렉시블스 트란스팍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4003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3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with means for avoiding adhesion of the layers, e.g. for forming peelabl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65D77/2044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2Amorph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5/00Closures, end caps, stoppers
    • B32B2435/02Closures, end caps, stopper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79Contains 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79Contains 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 Y10T428/1383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is sandwiched between layers [continuous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52Polymer derived only from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6Release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기반 기재 상에 시일링될 박리가능한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박리가능한 필름은 - 폴리에스테르 기반의 파열가능한 실란트 층; - 파열가능한 실란트 층과 접촉하는 접착층으로서, 이오노머들,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 폴리올레핀, EVA, EBA, EMA 및 EAA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상기 접착층; - 접착층과 접촉하는 가스 장벽층으로서, EVOH 및 폴리아미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가스 장벽 폴리머를 포함하는, 상기 가스 장벽층을 구비하는 공동압출 다층 구조체를 포함하고, 접착층과 파열가능한 실란트 층 사이의 평균 박리 강도는, 180˚의 박리 기하학적 구조에서 측정되었을 때, 15 N/15 mm 보다 더 작고, 바람직하게는 13 N/15 mm 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박리가능한 필름{PEELABLE FILM}
본 발명은 가요성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리에스테르 기반 기재들 상에 뚜껑 필름으로서 시일링될 박리가능한 폴리머 기반 필름, 또는 일관작업 포장 (flow pack) 적용을 위해 자신 위에 시일링될 박리가능한 폴리머 기반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름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가요성 포장재에서 박리가능한 필름들의 목적은 칼, 가위의 사용에 의해 유발되는 팩 (pack) 의 물리적 손상 또는 최종 사용자에 의한 수동 찢음과 파단에 의해 유발되는 팩의 물리적 손상이 없는 팩의 용이한 개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고품질 박리 시스템들은 심 (seam) 의 개방 동안에 층의 분할 (layer split-offs), 화이버 리프팅 (fibre lifting), 비어딩 (bearding), 지핑 (zipping) 또는 박리 트레이스 중단들 (peel trace disruptions) 없는 부드러운 박리를 제공한다.
필름들 및 적층체들의 제조 동안에, 박리성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다. 전형적으로 하류 전환 작업들에서, 래커들 (lacquers) 및 핫 멜트들 (hot-melts) 이 적용된다. 예들은 스펀 본드 (spun bonded) 재료들 (예를 들어, 뒤퐁사 (Dupont) 로부터의 Tyvek) 과 같은 합성 종이 기재, 종이 기재 또는 알루미늄 기재 상의 박리가능한 코팅들이다.
비용의 관점에서, 박리가능한 필름들은 바람직하게는 일 단계 압출 (공압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다. 종래의 압출 방법들은 브로운 (blown), 캐스트 (cast) 및 압출 코팅이다. 이 방법들에 있어서, 폴리머들, 폴리머 조합물들 또는 폴리머 블렌드들은, 기재와 접촉하는 시일링가능한 측이 록 시일 (lock seal) 과 비교하여 시일 강도의 제어된 감소를 갖도록 하나 이상의 층들로 추가된다. 소위 이 박리력/박리 강도는 소비자가 편리하고 이용자 친화적 방식으로 팩을 개방하도록 한다. 또한,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비유기 충전제 재료들이 박리가능한 시일링재들을 얻기 위해서 폴리머 재료들 대신에 이용된다. 그러나, 필름 투명도가 중요한 파리미터가 될 때, 폴리머-블렌드 해결책들이 선호되는 접근법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들 (PE 또는 PP) 에 대한 박리가능한 시일을 얻기 위해서, 폴리올레핀 비상용성 블렌드들 (polyolefinic incompatible blends) 이 용이한 박리 거동을 얻도록 이용된다. 블렌드 성분들은 주요 폴레올레핀 성분들이 매트릭스 상을 형성하도록 선택되고, 즉 시일가능한 기재와 상용가능하도록 선택되고, 그리고 매트릭스와 부분적으로 비상용성인 하나 이상의 미량 성분들은 박리 거동을 생성한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다른 추가적인 성분들은 매트릭스의 분산 상과의 상용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첨가된다.
폴리올레핀 기재들에 대한 많은 박리가능한 응용들은 이 원리를 기초로 하고 그리고 박리 동안에 소위 응집 파괴로 이어진다. 즉, 분할은 약해진 심에서 발생하며, 가시적인 박리 트레이스를 분리된 양 필름들 상에 남긴다. 완벽한 박리에 있어서, 이 메커니즘은 상당한 시일링-온도 범위에 걸쳐서 일정한 박리력들을 갖는 넓은 작동 윈도우 (operational window) 를 갖는 부드러운 개방을 제공한다.
알파-올레핀 타입들, 코-모노머 함량, 분지레벨, 분지 분포도, 입체규칙성 (isoactivity) 등의 관점에서 상이한 폴리올레핀 블렌드 파트너들의 특정한 선택은 최종 적용의 요건들: 포장 속도들, 기계적 특성들, 살균 저항성, 박리력의 크기, 박리력 윈도우의 폭 등에 크게 의존된다.
또한, 대안적인 폴리머 재료들이 폴리올레핀들 상의 시일을 위해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예들은 개방 동안에 소위 파열-박리 거동이 일어나게 하는 이오노머들과 같은 기능화된 폴리머들이다. 이 기술은, 예를 들어 시리얼 라이너들 (cereal liners) 과 같은 특정 응용들을 위해서, 또는 혼합 (contamination) 을 통한 시일을 위해서 잘 성립되어 있으나, 기본 폴리올레핀들과 비교하여 몇가지 내재된 공정 복잡성과 결합된 고가의 수지 가격의 단점을 갖는다.
비폴리올레핀 기재들에 대한 시일 및 박리를 위해서, 기능화된 폴리머들의 이용을 피하기는 어렵다. 폴리올레핀들의 비극성 특징 때문에, PE 및 PP 는 강성 비결정질 PET (APET) 및 PETG 바닥 웹 (bottom web) 과 같은 재료들에 대한 어떤 접착력도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EVA, EMA, EBA, EAA, 이오노머들, 그래프트 폴리머들의 블렌드들이 실란트 층들로서 이용된다. 이들의 예들은 뒤퐁사 및 아르케마사 (Arkema) 각각의 애필 (Appeel) 및 베스트필 (Bestpeel) 이다.
이 폴리머들의 판매 가격 이외에, 다른 단점은, 특히 더 높은 코-모노머 함량 레벨에 대해서 이들의 내재된 점착력 및 유연성이다. 따라서, 비폴리올레핀 기재들에 대한 이러한 시스템들의 박리는 정의에 의해 거의 접착제 같고, 그리고 기재의 표면과 실란트 층 사이의 경계에서 발생된다.
실질적으로, 이 재료들의 점착력 (tackiness) 및 감압성 (pressure sensitive nature) 은 거의 어떠한 기재에 대한 비선택적 시일을 제공한다. 그러나, 압출 공정에서 고 코-모노머 함량 폴리머들의 점착성 (stickness) 을 다루기가 어렵다. 일반적인 브로운 필름 공정에 있어서, 필름은 붕괴 (collapsing) 후에 분리되기 어렵고, 안내 롤러들에 달라붙는 것 때문에 주름들이 발생되고, 그리고 와인딩 동안에, 필름은 마스터 점보 릴들에서 가압되어 자체 부착되기 시작한다.
이 점착성은, 필름이 더 하류에서 적층되기 위해서 압출 동안에 코로나 (corona) 처리될 때 더욱더 두드러진다. 감긴 릴에서, 코로나 처리된 적층의 극성 표면은 박리가능한 시일 층의 극성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층들에서 블로킹 방지제들과 결합된 고 레벨들의 슬립은 블로킹된 릴들을 피할 것이 요구된다. 블로킹 방지 레벨이 불충분할 때, 적층 단계에서 릴들을 푸는 동안 고압이 요구된다. 따라서, 필름은 영구적으로 신장되거나 변형되는 위험이 있고, 이것은 적층 내 터널들을 야기한다. 열악한 작업 성능, 느린 속도 및 높은 스크랩 레벨과 결합되어, 블로킹 방지 시스템들의 존재는 최종 적층의 광학을 열악하게 한다.
대량 신선 식품 시장에 있어서, 예를 들어 치즈 및 육류의 포장을 위해서와 같이, 포장재의 최종 품질은 중요한 요소이다. 이 제품들에 있어서, 장벽, 박리 거동 및 광학 성능은 최고 레벨로 결합되어야 한다. 이 시장 영역에서 높은 가격 압력에 의해서 유발되어, 최종 포장업자는 실란트 PE 기반 뚜껑을 갖고, 그리고 하단 또는 상단에 박리가능한 시스템들을 갖는 전통적인 열성형 강성 PE/APET 바닥 웹으로부터 APET 에 대한 박리가능한 뚜껑을 가진 순수한 고투명성 APET 시스템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위에서 설명된 기술적 이유들 때문에, 기능화된 폴리머들에 기초한 접착 시스템들은 이 시장 경향을 따르기 위한 경제적으로 그리고 기술적으로 가치있는 해결책을 제공하지 않는다.
다른 예는 의료 장비 시장이고, 여기서 수정같이 투명한 PETG 트레이 (tray) 들에 기초한 현재의 박리가능한 뚜껑 필름들은, 팩이 개방된 후 포장된 제품이 뚜껑 필름 상에 달라붙는 잠재적인 위험과 결합하여, 높게 블로킹 방지 포뮬레이팅된 EVA 박리성 재료들의 이용에 의해서 이들의 투명도가 감소된다.
문헌 EP 1 312 470 A 는 기능성 폴리머들이 블로킹 위험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PET-기반 기재들 상에 시일링되는 박리가능한 뚜껑 필름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 개봉확인용 (tamper-evident) 필름은 투명하지 않다.
문헌 EP 1 685 954 는 재시일링성 (resealability) 을 제공하면서 점착화된 (tackified) 감압 접착층을 이용하여 PET 기재들 상에 시일링될 다른 박리가능한 뚜껑 필름을 개시한다. 일부 특정 적용들에 있어서 비바람직할 수도 있는 개시된 포장재가 재시일링가능하다는 사실뿐만 아니라, 또한 점착화 수지들의 사용은, 파단가능한 얇은 실란트 층을 통한 저분자량 종 (species) 의 이동 위험성과 같은 일부 단점들을 야기한다. 이러한 저분자량 종은, 예를 들어 포장 내용물의 관능적 특성들 또는 현재의 독소 문제점들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분산된 PE 및/또는 기능화된 PE 폴리머, 예를 들어 EVA, EMA, EBA, EAA, 이오노머들, 그래프트 폴리머들을 갖는 PETG 매트릭스에 기초한 점착식 박리가능한 해결책들도 시장에 제안되어 왔으나, 그러나 이 블렌드들은 2 개의 상들 사이의 상용가능성에 있어서 불충분한 밸런스로부터 어려움을 겪는다. 결과적으로, 긴 압출 작동 시간후 상당한 재료 배출 및 다이-침전물이 발생해 다이-립들 또는 다이-헤드를 빈번하게 청소해야 하고, 그래서 비경제적 작동이 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기반 기재들 상에 또는 일관작업 포장 적용들의 경우에 그 자체 위에 시일링되는 다층 박리가능한 필름 및 상기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기반 기재 상에 시일링될 박리가능한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박리가능한 필름은,
- 폴리에스테르 기반의 파열가능한 실란트 층;
- 파열가능한 실란트 층과 접촉하는 접착층으로서, 이오노머들,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 (grafted) 폴리올레핀, EVA, EBA, EMA 및 EAA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상기 접착층;
- 접착층과 접촉하는 가스 장벽층으로서, EVOH 및 폴리아미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가스 장벽 폴리머를 포함하는, 상기 가스 장벽층을 구비하는 공동압출 다층 구조체를 포함하고,
접착층과 파열가능한 실란트 층 사이의 평균 박리 강도는, 180˚의 박리 기하학적 구조에서 측정되었을 때, 15 N/15 mm 보다 더 작고, 바람직하게는 13 N/15 mm 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한다:
- 접착층과 파열가능한 실란트 층 사이의 제 1 파단 강도는, 180˚의 박리 기하학적 구조에서 측정되었을 때, 18 N/15 mm 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16 N/ 15 mm 보다 작다;
- 제 1 파단 강도와 평균 박리 강도 사이의 비율은 1.6 과 1.1 사이이다;
- 폴리에스테르 기반의 실란트 층의 두께는 10 ㎛ 보다 작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 ㎛ 보다 작다;
- 폴리에스테르 기반의 실란트 층은 PET, PETG 및 APET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 접착층은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 폴리올레핀이다;
- 장벽층은 EVOH 를 포함한다;
- 장벽층은 23 ℃ 및 50 % 에서 측정된, 1000 cc/m2.atm.day 보다 더 작은 산소 투과율, 바람직하게는 DIN 53380 에 따라 측정된 500 cc/m2.atm.day 보다 더 작은 산소 투과율을 갖는다;
- 접착층은 EVA, EBA, EMA 및 EAA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머를 포함한다;
- 본 발명에 따른 박리가능한 필름은 장벽층에 인접한 결합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본 발명에 따른 박리가능한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재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박리가능한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박리가능한 필름의 제조를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이 방법은,
- 박리가능한 필름을 각 측상에 대칭적 구성으로하여 폴리올레핀 라이너를 압출하는 단계;
- 폴리올레핀 라이너로부터 박리가능한 필름을 분리하는 단계;
- 선택적으로, 기재에 대한 박리가능한 필름의 추가적인 적층 단계를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박리가능한 필름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2 는 뚜껑 필름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박리가능한 필름의 개방 방법을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박리가능한 필름의 시일의 전형적인 박리 테스트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PETG 또는 APET 열성형 트레이들의 실란트 표면들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기반 표면들 상에, 또는 일관작업 포장 적용들의 특정한 경우에 있어서 자신 위에 시일링되는 박리가능한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매우 얇은 폴리에스테르 층 (1), 예를 들어 PETG 또는 APET 는 장벽층 (3) 상에 접착층 (2) 과 함께 공동압출 (coextrude) 된다.
바람직하게는, 장벽층 (3) 은 폴리아미드, EVOH, 특정 폴리에스테르 타입들 및 이들이 블렌드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장벽층 (3) 은 폴리아미드 및/또는 EVOH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접착층 (2) 은 일반적으로 공동압출 결합층들로서 이용되는 타입의 층이다. 바람직하게는, 공동압출 결합층들은 이오노머들,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 폴리올레핀들,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들, 에틸렌 비닐 아크릴레이트 코포리머들, 예를 들어 EMA, EBA 및 EAA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결합층들로서 이용될 때, 코폴리머 조성의 그래프팅 레벨이 결합층의 인접 층들에 대한 영구적인 접착을 보장하기 위해서 선택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있어서, 이 접착 (층간박리 (delamination) 강도) 은 수용가능한 박리 강도를 얻기 위해서 감소될 것이다.
이 감소는, 접착 수지와 상용할 수 있으나 인접 층에 대해서 열악하게 접착을 하는 폴리머 (예를 들어, LLDPE 희석 EVA 또는 말레산무수물 그패프트 PE) 로 접착 수지를 희석하여, 주어진 인접 층에 접착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일반적으로 간주되는 결합 수지 등급을 이용함으로써 얻어질 수도 있다.
박리 강도는 또한, 접착 수지 공급자들에 의해서 제안된 압출 파라미터들과 상이한 압출 파라미터들을 이용함으로써 감소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압출 온도를 감소시키는 것은 접착력 감소를 야기하고 바람직한 박리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결합층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은 접착 강도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박리성은 먼저 파열가능한 층을 파단하고 (도 3 에 도시된 최고 강도), 다음으로 접착층 (2) 과 파열가능한 층 (1) 사이 경계에서 파열을 전달시키는 것에 의해서 얻어지고, 이 전달은 도 3 에 도시된 평균 박리 강도 (10) 에 대응하고 트레이 (8) 상에 층간박리된 심 (7) 을 남긴다. 다음으로, 파열가능한 층의 제 2 파단이 트레이로부터 뚜껑을 분리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2차적 파단).
바람직하게는, 약 300 mm/min 의 크로스-헤드 스피드의 박리 테스트에서 180 ˚로 측정되었을 때, 폴리에스테르 실란트 층 (1) 과 접착층 (2) 사이 접착력은 15 N/15 mm 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6 N/ 15 mm 사이에 포함된다. 접착 강도는 실란트 층을 파단한 후 시일 상에서 관찰되는 평균 박리 강도 (10) 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이러한 파단은 박리 공정의 시작에서 높은 피크 (9) 로서 박리 테스트 다이어그램 상에 도시된다 (도 3 참조).
포장재의 효율적이고 부드러운 박리를 위해서, 파단 박리 강도 (9) 와 평균 박리 강도 (10) 의 비율은 약 2 내지 1 의 어떤 범위 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1 사이에 있어야 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비율 값들은 1.4 내지 1.2 사이에 있다.
박리성은 접착층과 실란트 층 사이 경계의 층간박리에 의해서 얻어진다. 이 실란트 층은 가능한 얇아야 한다. 따라서, 실란트 층은 바람직하게는 15 ㎛ 미만, 유리하게는 10 ㎛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미만의 두께를 가진다.
유리하게는, 실란트 층의 두께는, 박리전 실란트 층의 파단이 18 N/ 15 mm 보다 큰 피크 박리 강도를 유발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16 N/ 15 mm 보다 큰 박리 강도를 유발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일반적 장벽층들은 5 ㎛ 미만의 매우 얇은 EVOH 층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장벽층들은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인 지지 층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 지지 층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에 기초한 폴리올레핀 층일 수도 있다.
추가적인 결합층 (4) 은, 예를 들어 후속 적층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다른 층들과 함께 공동압출될 수도 있다. 만약 필요하다면, 추가적인 결합층 (도시 안됨) 이 장벽층 (3) 과 결합층 (4) 사이에 있어야 할 수도 있다.
공동압출된 박리가능한 구조체는 폴리에스테르 층과 같은 추가적인 층 (6) 위에, 바람직하게는 PET-기반 층 위에 적층될 수도 있다. 이 적층은 일반적 접착층 (5) 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공동압출된 구조체는 매우 얇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참조에 의해서 여기에 포함되는 WO 2009/130070 에 설명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 문헌은 중앙 폴리올레핀 라이너에 의해서 지지되는 대칭 구조체의 압출을 구체적으로 개시한다. 이 라이너는 각 측상에서 본 발명의 박리가능한 필름을 지지하고, 전체 구조체는 나중에 기재 상에 적층되고, 다음으로 이 라이너로부터 최종적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필름은 모노층 폴리에스테르 기반 트레이를 폐쇄하기 위한 뚜껑 필름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폴리에스테르 기반 표면들 상에 이용될 수도 있고 또는 다양한 일관작업 포장 응용들에서 자신 위에 시일링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들에 있어서, 폴리머 타입들은 단지 도해적 실시예들이고, 그리고 시장에서 이용가능한 균등물에 의해서 또는 유사한 특징들을 갖는 폴리머들에 의해서 당연히 대체될 수 있다.
실시예들
실시예 1
폴리에틸렌 라이너의 각 측상에 공동압출된 대칭 구조체가 먼저 하기 층들에 의해서 제조되었다:
- 10 ㎛ 의 LLDPE Escorene LL 1001 KI (엑손모빌)
- 3 ㎛ 의 결합층-무수물 그래프트 에틸렌 코폴리머, Admer AT1955E. (미츠이 화학)
- 3 ㎛ 의 EVOH (EVAL F171B) (Eval Europe)
- 3 ㎛ 의 결합층 (Admer AT1955E)
- 3 ㎛ 의 PETG (Eastar 6763) (Eastman)
- 18 ㎛ PE 라이너 ( Escorene LD 150 BW )
- 3 ㎛ 의 PETG (Eastar 6763) (Eastman)
- 3 ㎛ 의 결합층 (Admer AT1955E)
- 3 ㎛ 의 EVOH (EVAL F171B)
- 3 ㎛ 의 결합층-무수물 그래프트 에틸렌 코폴리머, Admer AT1955E. (미츠이 화학)
- 10 ㎛ Escorene LL 1001 KI (엑손모빌)
다음으로, 추가적인 23 ㎛ 두께의 PET 층이 얻어진 공동압출된 구조체의 양쪽 측상에 적층되었다. 다음으로, WO 2009/130070 에 개시된 바와 같이, 최종 구조체 PET//PE/결합층/EVOH/결합층/PETG 를 갖는 2 개의 필름들은 PE 라이너로부터 분리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 는, PETG 층의 두께가 5 ㎛ 이었다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실시예 3
실시예 3 은, PETG 층의 두께가 7 ㎛ 이었다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실시예 4
실시예 4 는, Admer AT1955E 가 Bynel 22E780 에 의해서 교체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실시예 5
실시예 5 에서, EVOH 는 폴리아미드 Akulon F132E 에 의해서 교체되었고 그리고 PETG 층의 두께는 5 ㎛ 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6 에서, EVOH 층은 15 ㎛ 의 폴리아미드 B/UBE 5033B 에 의해서 교체되었고, 그리고 PETG 층의 두께는 7 ㎛ 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7 에서, 어떠한 후속하는 적층이 행해지지 않았고 그리고 공동압출 구조체는 아래와 같았다:
- 18 ㎛ 의 폴리아미드 Akulon F132E
- 3 ㎛ 의 EVOH (EVAL F171B) (Eval Europe)
- 3 ㎛ 의 결합층 (Admer AT1955E)
- 3 ㎛ PETG (Eastar 6763)(Eastman)
- 18 ㎛ PE 라이너 (Escorene LD 150 BW)
- 3 ㎛ PETG (Eastar 6763)(Eastman)
- 3 ㎛ 의 결합층 (Admer AT1955E)
- 3 ㎛ 의 EVOH (EVAL F171B)
- 18 ㎛ 의 폴리아미드 Akulon F132E
다음으로, 얻어진 공동압출 구조체는 라이너로부터 분리되었고 그리고 APET 트레이들에 직접 시일링되었다.
산소 투과율은 23 ℃, 50 % R.H. 에서 모든 필름들에 대해서 측정되었다. 결과들은 cc/m2.atm.day 단위로 표 1 에 보고된다.
다음으로, 실시예들의 필름들의 PETG 층은 Multivac 포장 장치에서 제조된 APET 트레이 (베이스 웹) (6 x 13 cm, 1.5 cm 깊이의 팩들) 상에 열적으로 시일링되고, 그리고 다층 뚜껑 필름이 하기 조건들을 이용하여 베이스 웹 상에 시일링 되었다:
테스트 설정 조건들 (Multivac 형성 라인을 위해 추천되는 설정 범위)
시일링 압력*: 0.3 ~ 0.5 MPa
시일링 온도*: 140 ~ 180 ℃.
시일링 시간*: 1.1 ~ 1.6 초.
시일 영역 폭: 최소 4 mm.
*(최적화된 설정은 일반적 조건/수명 (age)/Multivac 형성 라인의 레퍼런스에 의존된다)
다음으로, 얻어진 시일은 다음의 설정에 따라서 박리 테스트되었다.
인장 테스터기를 이용한 박리 테스트: 하운스필드 (Hounsfield) 모델 H5KS.
로드 셀: 100 N 의 것
그립들: 2.5 cm 의 폭을 갖는 가동의 상측 그립 및 고정된 하측 그립
그립 분리율: 300 mm/min
박리 테스트 각도: 약 180˚
샘플 폭: 15 mm
실온 (20 ~ 25 ℃)
- A: N/15 mm 단위의 제 1 파단 강도 (도 3 의 도면부호 9 참조)
- B: N/15 mm 단위의 박리 강도 (평균 값, 도 3 의 도면부호 10 참조)
결과들은 표 1 에 정리된다.
실시예 산소 투과율 cc/m2.atm.day (*)
A B
1 1 15 11.5
2 0.2 15.2 12
3 1 15 13
4 3 15.7 12
5 400 15.6 12
6 75 15 12.5
7 0.8 15.4 11.3
(*) DIN 53380 에 따라서 측정되고, 23 ℃ 및 50 % 에서 측정된 1000 cc/m2.atm.day 보다 작은 O2 장벽.
본 발명의 박리가능한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뚜껑으로서 이용되나, 또한, 본 발명의 박리가능한 필름은 일관작업 포장 적용들을 위해서 자신 위에 시일링될 수 있다.
1. 파열가능한 층
2. 접착층
3. 장벽층
4. 결합층
5. 적층 접착층
6. 적층된 층
7. 박리 후 시일 심
8. 폴리에스테르 트레이
9. 피크 박리 강도 (파단 강도)
10. 평균 박리 강도

Claims (14)

  1. 폴리에스테르 기반 기재 상에 시일링될 박리가능한 필름으로서,
    - 폴리에스테르 기반의 파열가능한 실란트 층 (1);
    - 상기 파열가능한 실란트 층과 접촉하는 접착층 (2) 으로서, 이오노머들,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 (grafted) 폴리올레핀, EVA, EBA, EMA 및 EAA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상기 접착층;
    - 상기 접착층 (2) 과 접촉하는 가스 장벽층 (3) 으로서, EVOH 및 폴리아미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가스 장벽 폴리머를 포함하는, 상기 가스 장벽층을 구비하는 공동압출 다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상기 박리가능한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2) 과 상기 파열가능한 실란트 층 (1) 사이의 평균 박리 강도 (10) 는, 180˚의 박리 기하학적 구조에서 측정되었을 때, 15 N/15 mm 보다 더 작고, 바람직하게는 13 N/15 mm 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가능한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2) 과 상기 파열가능한 실란트 층 (1) 사이의 제 1 파단 강도 (9) 는, 180˚의 박리 기하학적 구조에서 측정되었을 때, 18 N/15 mm 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16 N/ 15 mm 보다 작은, 박리가능한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단 강도 (9) 와 상기 평균 박리 강도 (10) 사이의 비율은 1.6 과 1.1 사이인, 박리가능한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가능한 실란트 층 (1) 의 두께는 10 ㎛ 보다 작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 ㎛ 보다 작은, 박리가능한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가능한 실란트 층 (1) 은 PET, PETG 및 APET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박리가능한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2) 은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 폴리올레핀인, 박리가능한 필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 (3) 은 EVOH 를 포함하는, 박리가능한 필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 (3) 은 23 ℃ 및 50 % 에서 측정된, 1000 cc/m2.atm.day 보다 더 작은 산소 투과율, 바람직하게는 DIN 53380 에 따라 측정된, 500 cc/m2.atm.day 보다 더 작은 산소 투과율을 갖는, 박리가능한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2) 은 EVA, EBA, EMA 및 EAA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박리가능한 필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에 인접한 결합층 (4) 을 더 포함하는, 박리가능한 필름.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박리가능한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박리가능한 필름 또는 제 11 항에 따른 적층체를 포함하는, 포장재.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박리가능한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박리가능한 필름을 각 측상에 대칭적 구성으로하여 폴리올레핀 라이너를 압출하는 단계;
    - 상기 폴리올레핀 라이너로부터 상기 박리가능한 필름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박리가능한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가능한 필름의 기재에 대한 적층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박리가능한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0137032269A 2011-06-30 2012-06-14 박리가능한 필름 KR201400319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72212.0 2011-06-30
EP11172212A EP2540492A1 (en) 2011-06-30 2011-06-30 Peelable film
PCT/EP2012/061272 WO2013000719A1 (en) 2011-06-30 2012-06-14 Peelable fil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934A true KR20140031934A (ko) 2014-03-13

Family

ID=46397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269A KR20140031934A (ko) 2011-06-30 2012-06-14 박리가능한 필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40127437A1 (ko)
EP (2) EP2540492A1 (ko)
KR (1) KR20140031934A (ko)
CN (1) CN103459136B (ko)
AU (1) AU2012278073B2 (ko)
BR (1) BR112013030027A2 (ko)
CA (1) CA2830144A1 (ko)
DE (1) DE202012013266U1 (ko)
RU (1) RU2584202C2 (ko)
WO (1) WO20130007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913B1 (ko) 2020-01-03 2021-06-08 율촌화학 주식회사 이지필 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20533B4 (de) * 2012-10-19 2017-10-12 Wipak Walsrode Gmbh & Co. Kg Eine wiederverschließbare Verpackung
ES2688287T3 (es) * 2012-12-19 2018-10-31 Amcor Flexibles Kreuzlingen Ag Envase flowpack
JP6251981B2 (ja) * 2013-01-25 2017-12-27 東レ株式会社 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5004134A1 (en) 2013-07-10 2015-01-15 Amcor Flexibles Gas and light proof, double-shell blister packs for medicinal contents
JP6604947B2 (ja) * 2014-07-23 2019-11-13 共同印刷株式会社 イージーピール性の包装袋
KR101966869B1 (ko) * 2014-10-28 2019-04-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형필름 박리안정성 측정방법 및 이형필름 적층체
JP6497068B2 (ja) * 2014-12-25 2019-04-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蓋材
GB201507547D0 (en) * 2015-05-01 2015-06-17 Dupont Teijin Films Us Ltd Peelable adhesive polymeric film
EP3544804A1 (en) * 2016-11-24 2019-10-02 Amcor Flexibles Transpac BVBA Peelable seal layer
CA3094089A1 (en) * 2018-03-29 2019-10-03 Huhtamaki Molded Fiber Technology B.V. Packaging unit from a moulded pulp material with peelable laminated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packaging unit
BR112021017240A2 (pt) * 2019-03-05 2021-11-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rtigos multicamadas coextrudados incluindo camada contínua e camada descontínua
CN110137226B (zh) * 2019-05-05 2021-04-2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被动式电致有机发光二极管的基板、制造方法和剥离板
EP3831593A1 (de) * 2019-12-06 2021-06-09 AR Packaging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verpackungen aus einem flachmaterial aus karton und einer barrierefoli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6755A1 (de) * 1984-05-07 1985-11-07 Nyffeler, Corti AG, Kirchberg Kalt- oder heisssiegelbare mehrschichtfolie fuer wiederverschliessbare verpackungen
US4704314A (en) * 1984-07-20 1987-11-03 American Can Company Film and package having strong seals and a modified ply-separation opening
US4946827A (en) * 1989-12-11 1990-08-07 Eastman Kodak Company Glass-to-polycarbonate adhesive for color filter array
JP2901324B2 (ja) * 1990-08-10 1999-06-07 株式会社サンエー化研 易剥離性フィルム
US5800885A (en) * 1996-09-18 1998-09-01 Kuraray Co., Ltd. Blow molded polyalcohol container
US6503549B1 (en) * 1998-09-30 2003-01-07 Cryovac, Inc. Polyester tray package with lidding film having glycol-modified copolyester sealant layer
FR2793777B1 (fr) * 1999-05-21 2001-06-22 Soplaril Sa Emballage refermable dont le contenant comprend une couche soudante dechirable, son procede de fabrication
GB2362587A (en) * 2000-05-26 2001-11-28 Abdul Aziz Okhai Sheet materials for resealable packages
JP4806843B2 (ja) * 2000-11-24 2011-11-02 住友化学株式会社 易剥離性フィルム
EP1312470A1 (en) 2001-11-20 2003-05-21 Amcor Flexibles Transpac Peelable seal film
US7422782B2 (en) 2005-02-01 2008-09-09 Curwood, Inc. Peelable/resealable packaging film
GB2438178A (en) * 2006-05-19 2007-11-21 Innovia Films Ltd Sealable peelable film
CN200995872Y (zh) * 2006-09-10 2007-12-26 大连大富塑料彩印有限公司 纸铝塑复合材料用密封条
EP2111982A1 (en) 2008-04-25 2009-10-28 Amcor Flexibles Transpac N.V.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in polymer fil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913B1 (ko) 2020-01-03 2021-06-08 율촌화학 주식회사 이지필 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30144A1 (en) 2013-01-03
DE202012013266U1 (de) 2015-10-15
BR112013030027A2 (pt) 2017-12-05
WO2013000719A1 (en) 2013-01-03
RU2584202C2 (ru) 2016-05-20
CN103459136B (zh) 2015-12-23
US20140127437A1 (en) 2014-05-08
EP2726279A1 (en) 2014-05-07
AU2012278073A1 (en) 2013-10-03
RU2014102489A (ru) 2015-08-10
AU2012278073B2 (en) 2015-05-28
EP2540492A1 (en) 2013-01-02
CN103459136A (zh)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1934A (ko) 박리가능한 필름
EP2746048B1 (en) Flow pack
US8329276B2 (en) Easy-open reclosable films having an interior frangible interfac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6660676B2 (ja) 再密封性を改善した再密封可能な包装用多層フィルム
JP6749921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再封可能なフィルムパッケージ
US10899522B2 (en) Closure for container
JP2014525856A5 (ko)
CZ20001878A3 (cs) Vícevrstvá struktura získatelná smačkáváním souběľně vytlačovaného dutého polotovaru
JP2020109024A (ja) 多層フィルム及び再封可能なフィルムパッケージ
AU2008201647A1 (en) Easy-open/reclosable bag and package
JP2008080543A (ja) 共押出多層フィルム、並びに該フィルムを用いた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包装材
CN108367552B (zh) 具有可剥离和不可剥离热密封件的包装
JP2020108972A (ja) 多層フィルム及び再封可能なフィルムパッケージ
US20160101908A1 (en) Container closure
JP6150687B2 (ja) 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
JP6315798B2 (ja) 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
JP6195789B2 (ja) 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
KR101154590B1 (ko) 폴리프로필렌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4084968B2 (ja) イージーピール性多層複合フィルム
CN112313077A (zh) 多层膜及包装体
JPH106450A (ja) 易開封性多層フィルム
JP2017171306A (ja) 易開封性包装体の製法及びその製法により形成された易開封性包装体
EP3763522A1 (en) Multilayer reclosable film
JP6435643B2 (ja) 商品展示用再シール性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よりなる商品展示体
JP2023526966A (ja) 平坦シート共押出成形によって得られるポリエチレン層を含む再閉可能な包装用の多層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