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101A - Suction table - Google Patents

Suction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101A
KR20140031101A KR1020130087141A KR20130087141A KR20140031101A KR 20140031101 A KR20140031101 A KR 20140031101A KR 1020130087141 A KR1020130087141 A KR 1020130087141A KR 20130087141 A KR20130087141 A KR 20130087141A KR 20140031101 A KR20140031101 A KR 20140031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elevating
lifting
suppor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85966B1 (en
Inventor
쥰 시라토
타카요시 쿠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Publication of KR20140031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1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9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sorption table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a display panel on an adsorption surface when taking and giving the display panel without causing complication in configuration or a locally strong tension to the display panel. The adsorption table is an adsorption table maintaining a display panel, which comprises a support stand maintaining an adsorption surface, in which a negative pressure opening is open; multiple lifting bars arranged to cross the absorption surface; multiple recessions mutually in parallel with the absorption surface to receive the lifting bars without projecting the lifting bars from the adsorption surface within the supporting stand; a supporting device supporting to lift and lower the lifting bars on the side of the supporting stand, in which multiple recessions are open; and an elevation device installed with the supporting device so as to ascend and descend between an ascending position projecting the lifting bars from recessions, and a descending position accommodating the lifting bars in recessions. The supporting device has a pillar for supporting the lifting bar on both sides, a guide pin supported by the pillar, and a slot prepared in a lifting bar to allow passing-through of the guide pin.

Description

흡착 테이블 {suction table}Suction table {suction tabl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패널이나 유기 발광 패널과 같은 표시판의 유지에 적합한 흡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sorption table suitable for holding a display panel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an organic luminescent panel.

유리 기판상에 전기 회로가 형성된 액정 표시 패널과 같은 표시판은, 예를 들면 제조 공정 중에 프로버(prober)를 이용해서 전기적 검사를 받는다. 이 시험에서는 일반적으로 프로버에 끼워진 흡착 테이블 상에 부압(negative pressure)을 이용하여 피검사체인 액정 표시 패널이 유지된다. A display panel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n which an electric circuit is formed on a glass substrate is subjected to electrical inspection using, for example, a probe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this test,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o be inspected is held by using a negative pressure on a suction table which is generally fitted to a prober.

검사를 받은 피검사체를 흡착 테이블로부터 안전하고 신속하게 떼어내기 위해 흡착 테이블에는 그 흡착 면으로부터 피검사체를 부상시키는 복수의 승강 핀이 흡착 면에서 돌출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In order to safely and quickly detach the inspected object from the suction table, a plurality of lift pins for lifting the object from the suction surface are provided on the suction table so as to protrude from the suction surface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

돌출 위치에 있는 승강 핀은 흡착 면의 위쪽에서 반송 로봇으로부터 피검사체를 받으면, 흡착 면 아래로 하강한다. 이 승강 핀의 하강에 따라 상기 흡착 면 위로 피검사체가 이동하면, 흡착 테이블에 끼워진 부압 기구에 의해 상기 흡착 면에 부압이 작용한다. 상기 피검사체가 검사를 받는 동안, 그 피검사체가 상기 부압에 의해 확실하게 상기 흡착면에 유지된다. 검사 후, 승강 핀의 상승에 수반하여 피검사체가 흡착 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진다. 상기 승강 핀에 의해 흡착 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진 상기 피검사체는, 흡착면과 피검사체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靜電氣)의 강한 영향을 받는 일이 없이 반송 로봇에 의해 흡착 테이블로부터 제거된다.The lift pin at the protruding position descends below the attracting surface when the object is received from the conveying robot above the attracting surface. When the subject moves onto the attracting surface in accordance with the descent of the elevating pin, a negative pressure acts on the attracting surface by a negative pressure mechanism fitted to the attracting table. While the subject is being inspected, the subject is reliably held on the suction surface by the negative pressure. After the inspection, the object to be inspected is lifted up from the adsorption surface with the lift of the lift pin. The subject to be lifted from the adsorption surface by the lifting pin is removed from the adsorption table by the carrier robot without being strongly influenced by the static electricity acting between the adsorption surface and the subject.

그러나, 상술한 승강 핀과 피검사체와의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피검사체의 대형화에 따른 중량 증가에 수반하여 피검사체가 승강 핀과의 접촉부에서 받는 국소적인 응력은 커진다. 이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피검사체의 국소적인 응력 집중은 피검사체에 큰 왜력을 주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However, sin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lift pin and the object to be inspected is small, the local stress that the object undergoes at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lift pin increases with the increase in weight due to the enlargement of the inspection object. The local stress concentration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including the glass substrate is not desirable because it gives a large force to the object.

따라서, 다수의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고정 유지 부재와, 각 고정 부재 사이에서 그 고정 부재에 관하여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띠 모양의 승강 부재로 흡착 면을 구성하고, 그 흡착면으로 피검사체를 주고 받을 때에에 상기 승강 부재를 상기 고정 유지 부재에 관해서 하강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Therefore, a plurality of fixed holding member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band-shaped lifting members arranged so as to be capable of elevating with respect to the holding members between the holding members, It has been proposed to lower the elevat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fixed holding member when the subject is transferre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장치에 따르면, 상기 승강 부재는, 그 상승 위치에서 상기 고정 유지 부재와 공동으로 평탄한 흡착 면을 구성한다. 흡착 면과 로봇 아암이 피검사체를 주고 받을 때에는 다수의 띠 모양의 상기 승강 부재가 하강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에 로봇 아암이 삽입 가능하기 때문에 로봇 아암과 흡착 면이 간섭하지 않고 게다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고정 유지 부재가 넓은 띠 모양 면적에서 피검사체를 지지하므로 피검사체에 강한 국부적인 응력을 작용시키는 일 없이 적합하게 피검사체를 취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pparatu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the elevating member forms a flat adsorbing surface in a cavity with the fixed holding member at the elevated position. The robot arm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descending of the plurality of band-like elevation members when the attracting surface and the robot arm exchange the test subject, so that the robot arm and the attracting surface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 object to be inspected can be suitably handled without exerting a strong local stress on the object to be inspected.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피검사체를 흡착 유지하기 위한 부압을 작용시키는 흡착면은 다수의 고정 유지 부재와, 그 고정 유지 부재 사이에서 각각 승강 가능한 승강 부재로 구성된다. 그 때문에 흡착 면을 형성하는 지지대의 구성이 복잡해지면서, 다수의 승강 부재를 동시적으로 승강시키는 기구를 지지대의 내부에 설치할 필요가 생겨 지지대의 구성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흡착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져 고가가 되는 결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pparatu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the adsorption surface for applying a negative pressure for adsorbing and holding the object to be inspecte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xed holding members and a lift member capable of being lifted and lowered between the fixed holding members. As a result, the structure of the supporting table for forming the adsorption surface becomes complicated,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mechanism for simultaneously raising and lowering the plurality of elevating members inside the supporting table,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supporting table becomes complicated, There was a drawback.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2-246450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246450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11-29565호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2956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의 복잡화를 초래하는 일이 없이 피검사체인 표시 패널에 국부적으로 강한 응력을 작용시키지 않고 그 표시 패널을 그 주고 받을 때에 흡착면 상에서 승강시킬 수 있는 흡착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sorption table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the display panel when the display panel is exchanged without applying a strong local stress to the display panel to be inspected without complicating the structure will be.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을 유지하는 흡착 테이블로서, 부압 개구(negative pressure opening)가 개방되는 흡착면을 가지는 지지대(support)와, 상기 흡착면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복수의 승강 바(lifting bar)와, 상기 승강 바를 상기 흡착면에서 돌출하는 일이 없이 상기 지지대 내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흡착면에 서로 병행해서 설치되는 복수의 오목부(recess)와, 상기 복수의 오목부가 개방되는 상기 지지대의 측부에서 상기 승강 바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와, 상기 승강 바를 상기 오목부에서 돌출하는 상승 위치와,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는 하강 위치 사이에서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기구와 관련해서 설치되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승강 바를 그 승강 바의 양단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주와, 그 지주 및 상기 승강 바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된 가이드 핀과, 그 가이드 핀의 관통을 허용할 수 있도록 상기 지주 및 상기 승강 바의 다른 쪽에 마련된 슬롯을 구비한다. A suction table for holding a display panel, comprising: a support having an adsorption surface on which a negative pressure opening is opened; a plurality of lifting bars disposed across the adsorption surface; A plurality of recesses provided in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attracting surface so as to be able to be accommodated in the support without projecting the elevating bar from the attracting surface; And a lifting device installed in relation to the supporting mechanism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etween a lifting position where the lifting bar is projected from the recess and a lowering position where the lifting bar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 Wherein the support mechanism comprises a pair of supports for supporting the elevator bar at both ends of the elevator bar, A guide pin supported on the one and, to allow the penetration of the guide pin is provided with the holding and the other side provided with slots of the lifting bar.

본 발명에 관한 상기 흡착 테이블에는 상기 지지대에 상기 승강 바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오목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기 흡착면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에 수용 가능한 상기 승강 바는 상기 지지대의 측부에 설치된 상기 지지기구에 의해서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는 후퇴위치와 상기 흡착면에서 돌출하는 돌출위치 사이에서 승강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를 종래와 같이 다수의 고정부재 및 가동부재의 집합체로서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또한 상기 흡착 테이블로의 상기 표시 패널의 주고 받기를 위해서 그 표시 패널을 복수의 상기 승강 바로 상기 흡착면 위를 승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흡착 테이블의 구성의 복잡화를 초래하지 않고 대형의 표시 패널이라 해도 그 표시 패널에 국부적으로 강한 응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suction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ave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elevating bar is formed on the supporting base across the adsorption face of the supporting base. The lift bar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ss is raised and lowered between a retracted position,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concave portion, and a protruded position, which protrudes from the attracting surface, by the support mechanism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support as an aggregate of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and movable members as in the prior art, and in order to send / receive the display panel to / from the suction tabl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trong local stress from acting on the display panel even if the display panel is a large display panel without complicating the structure of the suction table.

상기 한 쌍의 지주 또는 상기 승강 바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슬롯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승강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가늘고 긴 슬롯으로 할 수 있다. 이 가늘고 긴 슬롯에 의해 상기 승강 바의 길이방향으로의 경사가 허용되기 때문에 그 승강 바의 양단부에서의 승강 동작의 어긋남을 보상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pair of pillars or a pair of slot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evating bar may be an elongated slo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ing bar. Since the sla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ing bar is allowed by the elongated slot,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devia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at both ends of the lifting bar.

상기 슬롯을 상기 승강 바에 마련할 수 있고, 상기 슬롯은 상기 승강 바를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시키면서 그 승강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신장시킬 수 있다.The slot may be provided in the elevating bar, and the slot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ing bar while penetrating the elevating bar in its thickness direction.

상기 지지기구에 상기 가이드 핀에 관련해서 대응하는 상기 승강 바에 그 승강 바의 길이방향 바깥을 향한 장력을 부여하는 스프링 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이 스프링 부재의 장력에 의해 상기 승강 바의 휘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The support mechanism may be provided with a spring member for imparting a tensile force to the lift bar corresponding to the guide p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bar. And the warp of the lifting bar can be suppressed by the tension of the spring member.

상기 승강 바에 그 승강 바의 상기 슬롯이 마련된 위치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단부 근방에 상기 가이드 핀과 평행한 대응하는 걸림 핀(engaging pin)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로서 상기 가이드 핀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걸림 핀에 양단이 걸린 인장 코일 스프링(herical tension spring)을 사용할 수 있다.Wherein a corresponding engaging pin parallel to the guide pin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an end of the lifting bar located inwardly of the position of the slot of the lifting bar, A herring tension spring with both ends tied to the retaining pin can be used.

상기 승강 바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 완화 기구를 상기 지지기구에 설치할 수 있다. 이 충격 완화 기구에 의해, 예를 들면 로봇 아암과의 사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주고 받을 때, 그 표시 패널에 충격이 작용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로봇 아암의 작동을 종전처럼 현저하게 감속시킬 필요는 없다. 그래서, 로봇 아암의 완만한 움직임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택트 타임(takt time)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A shock-absorbing mechanism for relieving the impact acting on the elevating bar can be provided on the supporting mechanism. With this shock-absorbing mechanism,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panel is exchanged with the robot arm, it is not necessary to significantly decelerate the operation of the robot arm as before to avoid the impact on the display panel. Therefore, since the gentle movement of the robot arm is not requir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akt time.

상기 충격 완화 기구는, 상기 지지대에 지지되어 상기 승강 바를 상하방향으로 안내 가능하게 받아들이는 안내 홈이 꼭대기부에 형성된 지주와, 상기 안내 홈의 바닥부와 상기 승강 바 사이에 배치된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Wherein the shock absorbing mechanism comprises a strut formed on a top portion of a guide groove which is supported by the support and receives the lift bar so as to guide the lift bar in a vertically guidable manner, and a compression coil spring disposed between the bottom portion of the guide groove and the lift bar Can be configured.

상기 승강 바에는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단부에 맞닿아서 그 코일 스프링의 압축 양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나사를 마련할 수 있다. 이 조정 나사에 의한 압축량의 조정에 의해, 취급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크기 즉 중량 변화에 따라서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변위량이 거의 일정해지도록 그 압축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적정하게 조정할 수 있다.The elevating bar may be provided with an adjusting screw for adjusting the amount of compression of the coil spring by abutting against the end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By adjusting the amount of compression by the adjusting screw,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so that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becomes substantially constant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r weight change of the display panel to be handled.

각 지주에는 그 지주의 길이 방향 치수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 조정 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각 지주에 마련된 각 높이 조정 기구는 상기 승강 바마다 그 승강 바의 경사 및 높이 위치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Each pillar can be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ing mechanism for adjusting the lengthwise dimension of the pillar. Each of the height adjustment mechanisms provided on each support allows adjustment of the inclination and height position of the lift bar for each lift bar.

상기 지지기구에는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서 그 지지대를 따라서 배치되는 한 쌍의 빔(梁) 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그 한 쌍의 빔 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지대에 지지되고, 상기 승강장치의 작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빔 부재에 상기 지주를 통해서 대응하는 상기 승강 바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ing mechanism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beam member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base along the supporting base. The pair of beam members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lift device. In this case, each beam member can support the corresponding end of the lifting bar through the struts.

또한, 상기 빔 부재와 각 지주 사이에 그 지주 높이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상기 높이 조정 기구가 마련된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ing mechanism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illar height is provided between the beam member and each support.

각 승강 바에, 그 승강 바 상의 상기 표시 패널의 테두리에 맞닿아서 그 표시 패널의 탈락을 방지하는 어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어깨부의 스토퍼 기능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승강 바에서의 불의의 탈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A shoulder portion that abuts against the rim of the display panel on the lift bar and prevents the display panel from falling off can be formed on each lift bar. By this stopper function of the shoulder por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unauthorized removal of the lift bar of the display panel.

또한, 상기 어깨부와 관련해서 상기 승강 바의 상면에 상기 어깨부와 근접해서 상기 승강 바 상의 상기 피검사체의 기울기에 의한 그 피검사체의 테두리와 상기 상면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클리어런스 그루부(逃溝)을 마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피검사체를 상기 승강 바 상에 배치하거나 혹은 그 승강 바 상에서 제거할 때에 상기 피검사체가 상기 승강 바에 관해서 경사져도 그 피검사체의 테두리와 상기 승강 바의 상면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접촉에 의한 피검사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in relation to the shoulder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bar, a clearance crush portion (for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rim of the test subject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test subject on the lifting bar close to the shoulder portion (Escape groove) can be provided.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edge of the inspection object from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bar even when the inspection object is tilted with respect to the elevating bar when the inspection object is placed on the elevating bar or removed on the elevating ba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bject from being damaged by the contact.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다수의 고정 부재 및 가동 부재의 집합체로서 지지대를 형성할 필요는 없고, 상기 지지대를 상기 승강 바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오목부를 가지는 일체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승강 바를 상기 지지대의 측방에 설치된 상기 승강 장치로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착 테이블의 구성의 복잡화를 초래하지 않고 대형의 표시 패널이라도 그 표시 패널에 국부적으로 강한 응력을 작용시키는 일이 없이 그 표시 패널을 취급할 수 있는 흡착 테이블을 비교적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support as an aggregate of a plurality of fixed members and movable members as in the prior art, and the support base can be formed as an integral structure having the recess for accommodating the lift bar, And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elevating devic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Therefore, even if a large display panel does not cause complic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adsorption tabl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adsorption table capable of handling the display panel relatively inexpensively without exerting a strong local stress on the display panel .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한 흡착 테이블을 반송 로봇과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흡착 테이블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흡착 테이블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선Ⅳ-Ⅳ을 따라서 얻어진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선Ⅴ-Ⅴ을 따라서 얻어진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선Ⅵ-Ⅵ을 따라서 얻어진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에 부호A로 나타내어진 동그라미로 둘러싼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부호B로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본 지주의 높이 조정 기구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1에 나타낸 흡착 테이블의 정면도로서, (a)는 승강 바가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b)는 승강 바가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본 발명에 관련한 다른 실시 형태를 그 일부를 파단해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관련한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ction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a carrier robot,
Fig. 2 is a plan view of the adsorption table shown in Fig. 1,
3 is a side view of the adsorption table shown in Fig. 1,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shown in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shown in Fig. 3,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shown in Fig. 3,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surrounded by circles denoted by A in Fig. 3,
8 is a front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of the strut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dicated by B in Fig. 6,
Fig. 9 is a front view of the attraction table shown in Fig. 1, wherein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bar is in the lifted position,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bar is in the lifted posi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관련된 흡착 테이블(10)은,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이나 유기 발광 패널과 같은 표시판(12)을 검사하기 위한 프로버(미도시)에 끼워져 사용된다. 도 1에는 반송 로봇(14)과의 사이에서 피검사체(12)를 주고 받는 예가 나타내어져 있다.The adsorption table 1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prober (not shown) for inspecting a display panel 12 such as a liquid crystal panel or an organic luminescent panel as shown in Fig. Fig. 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ubject 12 is exchanged with the carrying robot 14. Fig.

반송 로봇(14)은 종래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베이스(16) 위를 흡착 테이블 (10)을 향해서 및 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대(18)와, 그 가동 대 위에 설치된 지주(post)(20)에 동축으로 지지되고, 축선의 둘레로 회전 동작하며, 또한 상기 축선을 따라서 지주(20)에 관해서 신축 동작하는 축 부재(22)를 구비한다. 이 회전 및 신축 동작이 가능한 축 부재(22)에는 종래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피검사체(12)를 올리기 위한 포크 모양의 로봇 아암(24)이 고착되어 있다.The transfer robot 14 includes a movable base 18 movable on a base 16 in a direction toward and away from the suction table 10 and a post 20 And is provided with a shaft member 22 which rotates about the axis and which extends and operate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20 along the axis. As is well known in the art, the shaft member 22 capable of rotating and expanding and contracting is fixed to a fork-shaped robot arm 24 for raising the test object 12. [

반송 로봇(14)은, 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는 카세트(cassette)로부터 그 카세트에 수용된 표시판(表示板) 즉 피검사체(12)를 로봇 아암(24) 위에 수취하면, 축 부재(22)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로봇 아암(24)을 흡착 테이블(10) 위를 향해서 이동하도록 가동대(18)를 작동시킨다. 그 후 축 부재(22)가 수축 동작되어, 피검사체(12)가 흡착 테이블(10)로 옮겨지면, 이 수축 상태에서 로봇 아암(24)이 흡착 테이블(10)에서 멀어지도록 가동대(18)가 작동된다.The carrying robot 14 receives the display panel (the display panel), that is, the subject 12, on the robot arm 24 from a cassette, not shown, for example, The movable arm 18 is operated to move the robot arm 24 toward the top of the suction table 10. The robot arm 24 is moved away from the suction table 10 in the contracted state when the shaft member 22 is contracted and the subject 12 is moved to the suction table 10, Lt; / RTI >

또한, 흡착 테이블(10) 상의 피검사체(12)의 전기적 혹은 시각적인 검사가 종료되면, 반송 로봇(14)은 축 부재(22)를 수축시킨 상태에서 로봇 아암(24)이 흡착 테이프(10) 상의 피검사체(12) 아래에 삽입되도록 가동대(18)를 흡착 테이블(10)을 향해 작동시킨다. 그 뒤 축 부재(22)가 신장 동작됨으로써 흡착 테이블(10) 상의 피검사체(12)가 로봇 아암(24) 상으로 옮겨지면, 반송 로봇(14)은 이 신장 상태에서 로봇 아암(24)이 흡착 테이블(10)에서 멀어지도록 가동대(18)를 작동시킨다. 이 반송 로봇(14)의 동작에 의해 피검사체(12)가 흡착 테이블(10)에서 반송 로봇(14)을 거쳐 상기 카세트로 옮겨진다. When the electric or visual inspection of the inspection object 12 on the suction table 10 is completed, the transport robot 14 moves the robot arm 24 to the suction tape 10 in a state in which the shaft member 22 is contracted, The movable table 18 is operated toward the suction table 10 so as to be inserted under the object 12 on the table. When the subject 12 on the suction table 10 is moved onto the robot arm 24 by extension of the shaft member 22, the carrying robot 14 moves the robot arm 24 in the extended state, The movable base 18 is operated to move away from the table 10. The subject 12 is moved from the suction table 10 to the cassette through the carrying robot 14 by the operation of the carrying robot 14. [

반송 로봇(14)과의 사이에서 피검사체(12)를 주고 받는 흡착 테이블(10)은, 흡착면(26a)을 가지는 지지대(26)를 구비한다. 흡착 테이블(10)의 지지대(26)는 도 1에서 나타내는 예에서는 종래 잘 알려진 XYZθ 스테이지(28) 상에 올려진다. 따라서, 지지대(26)는 종래에서와 마찬가지로 수직축인 Z축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며, 또한 Z축에 직각인 XY면 위에서 각각 X축 및 Y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The suction table 10 for transferring the subject 12 between the transfer robot 14 and the suction table 10 has a support table 26 having a suction surface 26a. The support table 26 of the suction table 10 is placed on a well-known XYZ? Stage 28 in the example shown in Fig. Thus, the support table 26 is rotatable around a vertical Z axis, as in the prior art, and is movable along the X and Y axes, respectively, on an XY plane perpendicular to the Z axis.

흡착 테이블(10)은, 그 지지대(26)의 흡착면(26a)에서, 반송 로봇(14)에서의 피검사체(12)를 유지한다. 이 흡착면(26a)은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내는 예에서는 XY면 상에서 긴 변 및 짧은 변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또한, 도 2에 명확하게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흡착면(26a)에는 그 긴 변을 따라 신장되고, 지지대(26)의 양측에 양단이 개방하는 종래 잘 알려진 복수의 좁은 홈(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흡착면(26a) 상에서 직사각형을 띠는 부압(負壓) 홈(30b)이 형성되어 있다. The suction table 10 holds the test object 12 in the transfer robot 14 on the attracting surface 26a of the support table 26. [ The adsorption surface 26a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long sides and short sides on the XY plane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2, a plurality of conventionally well-known narrow grooves 30a extending along the long side of the adsorption surface 26a and both ends of which are open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table 26 are formed And a negative pressure groove 30b having a rectangular shape is formed on the adsorption surface 26a.

부압 홈(30b)에는, 종래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흡착면(26a)에 피검사체(12)를 유지할 때, 그 피검사체를 흡착하기 위한 부압이 부압원(미도시)으로부터 도입된다. 좁은 홈(30a)은 대전 방지용 홈이다. 좁은 홈(30a)은 피검사체(12)를 흡착 면 (26a)으로부터 떨어뜨릴 때, 종래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피검사체(12)와 흡착 면(26a) 사이에 공기를 안내함으로써 양자(12,26a) 간에 생기는 공기 흐름을 약하게 하고, 이를 통해 이 공기 흐름에 따라 피검사체(12)에 도입되는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한다.In the negative pressure groove 30b, a negative pressure for adsorbing the test object is introduced from a negative pressure source (not shown) when the test target 12 is held on the attracting surface 26a, as is well known in the art. The narrow groove 30a is an antistatic groove. The narrow groove 30a guides the air between the subject 12 and the attracting surface 26a when the subject 12 is dropped from the attracting surface 26a so that the proton 12 and 26a ), Thereby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introduced into the subject 12 along the airflow.

그리고 또한, 흡착면(26a)에는 도 2에서와 같이 그 긴 변을 따라서 직선 형태로 신장하는 복수의 오목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32)는 도 3에 명확하게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지지대(26)의 양측에 이르고, 그 양측에서 개방한다. 또한, 각 오목부(32)에 대응해서, 흡착면(26a)을 그 긴 변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승강 바(34)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32)는 대응하는 승강 바(34)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폭 치수를 가지고, 또한 수용된 승강 바(34)의 상면이 흡착면(26a)에 일치하는 깊이 치수를 가진다. 2,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32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form along the longer side thereof are formed on the attracting surface 26a. Each recess 32 reaches both sides of the support 26, as is clearly shown in Fig. 3, and opens on both sides thereof. Corresponding to the recesses 32, there is provided a lifting bar 34 which traverses the suction surface 26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cave portion 32 has a width dimension sufficient to accommodate the corresponding lifting bar 34 and has a depth dimension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bar 34 accommodated therein coincides with the attracting surface 26a.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대(26)의 양측에는 승강 바(34)의 지지기구(36) 및 승강장치(38)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지지기구(36)는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대(26)의 측방에서 그 지지대를 따라서 거의 수평으로 배치된 빔 부재(40)와, 그 빔 부재를 Z축을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 장치(42)(도 3 참조)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a supporting mechanism 36 and an elevating device 38 of the elevating bar 34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table 26, respectively. 2 and 3, the support mechanism 36 includes a beam member 40 dispos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along its support on the side of the support member 26, and a beam member 40 for guiding the beam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Z- And a plurality of guide devices 42 (see Fig. 3).

각 가이드장치(42)는 도 4에 명확하게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지지대(26)에서 아래로 신장하도록 그 지지대에 고정된 장착판(44)과, 그 장착판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신장되는 가이드레일(46)과, 빔 부재(40)에 고정되어 가이드레일(46)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안내되는 슬라이드 부재(48)를 구비한다. 가이드 레일(46)의 양단에는 슬라이드 부재(48)에 맞닿아서 그 이동범위를 구속하는 스토퍼(46a,46a)가 마련되어 있다.Each guide device 42 includes a mounting plate 44 fixed to its support so as to extend downwardly from the support plate 26 as clearly shown in Fig. 4, A guide rail 46 and a slide member 48 fixed to the beam member 40 and guided in a vertical direction by the guide rail 46. Both ends of the guide rail 46 are provided with stoppers 46a and 46a which come in contact with the slide member 48 and restrain the movement range thereof.

따라서, 지지대(26)의 양쪽에 배치된 한 쌍의 빔 부재(40)는, 각 가이드 장치(42)에 의해 지지대(26)의 양측에서 두 스토퍼(46a,46a)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대(26)에 유지되어 있다.A pair of beam members 4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table 26 ar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two stoppers 46a and 46a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table 26 by the respective guide devices 42 As shown in Fig.

승강 장치(38)는 한 쌍의 빔 부재(40)를 양 스토퍼(46a,46a) 사이에서 승강시키도록 지지대(26)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치(38)는, 도 3 및 도 5에서 나타내는 예에서는 지지대(26)에 장착판(50)을 통해서 고정된 실린더 본체(38a)와, 그 실린더 본체에서 돌출하는 피스톤 로드(38b)를 구비하는 유체 실린더 장치(38)로 이루어진다. 실린더 장치(38)는 공기압 혹은 유압으로 작동한다. 실린더 장치(38)는 그 축선을 수직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으며, 피스톤 로드(38b)의 선단이 빔 부재(40)에 고정된 결합 부재(52)에 고정되어 있다. The elevating device 38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table 26 so as to raise and lower the pair of beam members 40 between the both stoppers 46a and 46a. 3 and 5, the lifting device 38 includes a cylinder body 38a fixed to a support base 26 through a mounting plate 50 and a piston rod 38b protruding from the cylinder body And a fluid cylinder device (38). The cylinder device 38 is operated by air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The cylinder device 38 is dispos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its axis and the tip of the piston rod 38b is fixed to the engaging member 52 fixed to the beam member 40. [

따라서, 지지대(26)의 양쪽에 배치된 한 쌍의 유체 실린더 장치(38)를 동기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지지대(26)의 양측에서 그 지지대를 따라서 배치된 한 쌍의 빔 부재(40)를 동기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Therefore, a pair of beam members 40 arranged along the support at both sides of the support 26 can be synchronously moved by synchronously operating a pair of fluid cylinder devices 38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26, .

상기 지지기구(36)는, 도 3에서와 같이 각 승강 바(34)에 대응하는 빔 부재(40)에 결합하는 지주(54)를 더 구비한다. 각 지주(54)의 상단부에는 도 6 및 도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격 완화 기구(56)가 마련되어 있으며, 각 승강 바(34)의 단부는 각 충격 완화 기구(56)를 통해서 대응하는 지주(54)의 상단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다.3, the supporting mechanism 36 further includes a strut 54 which engages with the beam member 4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elevating bars 34.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upper end of each strut 54 is provided with a shock absorbing mechanism 56. The end of each of the elevating bars 34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trut 54 As shown in Fig.

각 충격 완화 기구(56)는, 지주(54)의 상단에 개방해서 대응하는 승강 바(34)의 단부를 헐겁게 받아들이는 오목부(58)와, 승강 바(34)를 가로질러 형성되어 그 승강 바(34)의 단부를 거의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롯(60)과, 그 슬롯 내를 관통하여 양단이 오목부(58)의 수직벽(58a)에 지지되는 가이드 핀(62)과, 승강 바(34)의 단부와 오목부(58)의 바닥벽(58b) 사이에 배치된 압축 코일 스프링(64)을 구비한다. Each of the shock absorbing mechanisms 56 includes a concave portion 58 which is open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54 to receive the corresponding end portion of the elevating bar 34 loosely and is formed across the elevating bar 34, A guide pin 62 extending through the slot and supported at both ends by the vertical wall 58a of the concave portion 58, And a compression coil spring 64 disposed between the end of the recess 34 and the bottom wall 58b of the recess 58.

압축 코일 스프링(64)의 하단은 오목부(58)의 바닥벽(58b)에 마련된 구멍(66)에 받아들여져, 압축 코일 스프링(64)의 상단은 홈붙이 머리의 고정 나사부재(68)에 맞닿는다. 고정 나사 부재(68)는 승강 바(34)의 단부에서 그 승강 바의 상방에서 승강 바(34)에 나사 결합하고, 하단을 승강 바(34)의 하면에서 돌출시킨다. 압축 코일 스프링(64)은, 이 홈붙이 머리의 고정 나사 부재(68)의 하단에 맞닿음으로써 승강 바(34) 및 바닥벽(58b) 사이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슬롯(60)은 압축 코일 스프링(64)의 압축 변형을 수반하는 승강 바(34)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허가하도록 상하(Z축) 방향으로 신장한다. 따라서, 압축 코일 스프링(64)의 스프링 힘에 의해 승강 바(34)의 각 단부는 중력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서 지주(54)에 탄성 지지되어 있다.The lower end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64 is received in the hole 66 provided in the bottom wall 58b of the recess 58 and the upper end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64 is fixed to the fixing screw member 68 It touches. The fixing screw member 68 is screwed to the elevating bar 34 at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bar 34 and at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bar 34 at the end of the elevating bar 34. The compression coil spring 64 is positioned between the lift bar 34 and the bottom wall 58b by abutting agains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screw member 68 of the groove head. The slot 60 also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so as to allow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ifting bar 34 accompanied by compressive deformation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64. Therefore, each end of the lifting bar 34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trut 54 against an external force acting in the direction of gravity by the sp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64.

슬롯(60)과 그 슬롯에 받아들여진 가이드 핀(62)과의 간섭에 의해 승강 바(34) 및 오목부(58)의 바닥벽(58b) 사이의 거리가 규제되어 있어서 고정 나사부재(68)의 상단에서의 회전 조작에 의해 압축 코일 스프링(64)을 압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압축 코일 스프링(64)의 스프링 힘을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고정 나사부재(68)는 압축 코일 스프링(64)의 압축량을 조정하는 조정 나사로서 기능한다. The distance between the lift bar 34 and the bottom wall 58b of the concave portion 58 is restricted by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slot 60 and the guide pin 62 received in the slot, The compression coil spring 64 can be compressed by the rotation operation at the upper end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64 so that the sp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64 can be adjusted. As a result, the fixing screw member 68 functions as an adjusting screw for adjusting the amount of compression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64.

또한, 각 승강 바(34)의 단부에는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 바(34a)의 상면에 피검사체(12)가 올려졌을 때, 그 피검사체의 테두리에 맞닿아서 피검사체(12)가 승강 바(34)의 단부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어깨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 바(34)의 상면(34a)의 어깨부(34b)에 근접하는 영역에는 피검사체(12)의 승강 바(34) 상에서의 기울기에 의해 피검사체(12)의 테두리부가 승강 바(34)의 상면(34a)에 맞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 형상의 클리어런스 그루브(70)가 형성되어 있다.6, when the test object 12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bar 34a, the test object 1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test subject, And a shoulder portion 34b is formed to prevent it from protruding from the end portion of the lifting bar 34. [ The rim of the test object 12 is inclined by the inclination of the test object 12 on the elevating bar 34 in the vicinity of the shoulder portion 34b of the upper surface 34a of the elevating bar 34 A clearance groove 70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to prevent the upper surface 34a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34a.

각 지주(54)는 그 하부에 마련된 높이 조정 기구(72)를 통해서 대응하는 빔 부재(40)에 지지되어 있다. 각 높이 조정 기구(72)는 도 6 및 도 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지주(54)의 하부에 고정 나사(74)로 고정된 앵커부재(anchor member)(76)와, 그 지지대를 대응하는 빔 부재(40)에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구(78)와, 체결구(78)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빔 부재(40)에 대한 앵커부재(76)의 높이부재를 조정하기 위한 홈붙이 머리의 고정나사(80)를 구비한다. Each strut 54 is supported by a corresponding beam member 40 through a height adjusting mechanism 72 provided thereunder. Each height adjusting mechanism 72 includes an anchor member 76 fixed to a lower portion of each strut 54 by a fixing screw 74 as shown in Figs. 6 and 8, A fastener 78 for releasably engaging the member 40 and a threaded head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nchor member 76 relative to the beam member 40 with the fastener 78 loosened And a fixing screw (80).

앵커부재(76)에는 체결구(78)의 삽입 통과를 허가하기 위하여 앵커부재(76)를 빔 부재(40)를 향해서 관통하는 한 쌍의 슬롯(82)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82)은 도 6에 명확하게 나타내져 있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체결구(78)를 상하방향으로 헐겁게 받아들이도록 앵커부재(76)를 상하방향으로 신장한다. 각 슬롯(82)을 관통하는 체결구(78)는 선단이 빔 부재(40)에 형성된 나사 홀(84)에 나사 결합하는 볼트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볼트부재(78)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는 앵커부재(76) 및 그 지지대에 하단이 고정된 지주(54)의 높이 위치를 슬롯(82)의 상하방향의 길이 치수의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다.The anchor member 76 is formed with a pair of slots 82 which penetrate the anchor member 76 toward the beam member 40 in order to permit the insertion of the fastener 78. The slot 82 extends upwardly and downwardly so that the corresponding fastener 78 is loosely recei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clearly shown in Fig. The fastener 78 passing through each slot 82 is formed by a bolt member whose tip end is screwed to the screw hole 84 formed in the beam member 40.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bolt member 78 is loosened, the height position of the anchors 76 and the pillars 54 to which the lower ends thereof are fixed can be adjusted in the range of the length of the slots 82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 앵커부재(76)의 높이 위치 즉 지주(54)의 높이 위치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고정나사(80)는 빔 부재(40)에 고정된 나사대(86)의 나사 홀(86a)에서 상단을 돌출 가능하게 나사 결합한다. 나사 홀(86a)은 나사대(86)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그 나사 홀에서 돌출하는 고정나사(80)의 상단은 앵커부재(76)의 바닥면에 맞닿는다. The fixing screws 80 are formed in the screw hole 86a of the screw base 86 fixed to the beam member 40 so as to facilitate adjustment of the height position of the anchor member 76, In a projecting manner. The threaded hole 86a penetrates the screw base 86 vertically and the upper end of the fixing screw 80 protruding from the screw hole abuts the bottom face of the anchor member 76. [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볼트(78)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고정 나사(80)를 회전 조작함에 따라, 그 고정 나사의 상단에서 앵커부재(76)를 예를 들면 밀어 올릴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지주(54)의 높이 위치를 슬롯(82)의 상기 길이 치수의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다. 이 고정 나사(80)에 의한 높이 위치의 조정 후, 볼트(78)로 앵커부재(76)를 빔 부재(40)에 단단히 조임에 따라 각 지주(54)의 높이 조정작업이 종료한다. Accordingly, as the bolt 78 is loosened, the anchor member 76 can be pushed up from the upper end of the fixing screw 80 by rotating the fixing screw 80, Can be adjusted in the range of the length dimension of the slot 82. [ After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position by the fixing screw 80, the anchoring member 76 is tightly fastened to the beam member 40 with the bolts 78, and the height adjustment work of each support 54 ends.

이 지주(54)의 높이 위치의 조정에 의해 각 지주(54)에 단부가 지지된 승강 바(34)의 경사나 높이 위치의 불균일을 수정할 수 있으며, 승강 바(34)의 상면(34a)을 지지대(26)의 흡착면(26a)에 평행한 가상 평면에 일치시킬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unevenness of the inclination or the height position of the elevation bar 34 supported at the ends of the support pillars 54 by adjusting the height position of the pillars 54 an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34a of the elevation bar 34 Can be made to coincide with an imaginary plane parallel to the attracting surface (26a) of the support table (26).

상기한 앵커부재(76)를 지주(54)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정 기구(72)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The anchor member 76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ort 54. [ Further, the height adjusting mechanism 72 may not be required.

한 쌍의 유체 실린더 장치(38)(도 5 참조)는, 도 9(a)에서와 같이, 모든 승강 바(34)가 지지대(26)의 흡착면(26a)의 오목부(32)에서 돌출해서 흡착면(26a)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승 위치와, 도 9(b)에서와 같이 승강 바(34)가 오목부(32)에 수용되어서 그 상면(34a)이 흡착면(26a) 이하에 있는 하강 위치와의 사이에서 모든 승강 바(34)를 동기적으로 작동시키도록 동기(同期)하여 작동된다. 9A, all the lifting and lowering bars 34 protrude from the concave portion 32 of the attracting surface 26a of the support table 26, as shown in Fig. 9 (a) The lifting bar 34 is received in the concave portion 32 and the upper surface 34a thereof is positioned below the attracting surface 26a as shown in Fig. 9 (b) Synchronized so as to synchronously operate all the lifting bars 34 between the lifting position and the lifting position.

도 9(a)에서 나타내는 상승 위치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반송 로봇(14)의 로봇 아암(24) 상의 피검사체(12)가 승강 바(34) 상으로 옮겨진다. 이때, 반송 로봇(14)의 축 부재(22)의 수축 동작에 의한 로봇 아암(24)의 하강 동작에 수반되어서 피검사체(12)의 중량에 따른 충격이 승강 바(34)에 작용한다. 그러나, 피검사체(12)가 승강 바(34)에 이동될 때, 각 승강 바(34)와 지주(54) 사이에 마련된 충격 완화 기구(56)의 탄성 지지 작용에 의해 피검사체(12)가 충격을 받는 일은 없다. The object 12 on the robot arm 24 of the carrying robot 14 is transferred onto the lifting bar 34 at the elevated position shown in Fig. At this time, a shock due to the weight of the test object 12 is caused to accompany the descending operation of the robot arm 24 by the shrinking operation of the shaft member 22 of the conveying robot 14, acting on the lifting bar 34. However, when the test object 12 is moved to the elevating bar 34, the test object 12 is moved by the elastic supporting action of the impact reducing mechanism 56 provided between the elevating bar 34 and the supporting column 54 There is no shock.

또한, 충격 완화 기구(56)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로봇 아암(24)의 하강 동작을 종래와 같이 감속하는 일 없이 피검사체(12)에 작용하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로봇 아암(24)의 완만한 움직임을 필요로 하지 않고, 택트 타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ock absorbing mechanism 56 is provided, the robot arm 24 can be prevented from impacting on the subject 12 without decelerat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robot arm 24 as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act time without requiring a gentle movement of the tact time.

충격 완화 기구(56)는 상기한 바와 같이 취급할 피검사체(12)의 중량의 증감에 따른 고정 나사 부재(68)의 회전 조작에 따라 피검사체(12)의 중량의 증감에 구애되지 않고 피검사체(12)의 중량에 의한 압축 코일 스프링(64)의 변형량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피검사체(12)의 중량에 따른 고정 나사 부재(68)의 회전 조작에 의해 충격 완화 기구(56)에 의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The shock absorbing mechanism 56 is not limited to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weight of the subject 12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ixing screw member 68 due to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weight of the subject 12 to be handled,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64 due to the weight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2 can be kept substantially constant. Therefore, the impact can be effectively absorbed by the shock-absorbing mechanism 56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fixing screw member 68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object 12 to be inspected.

로봇 아암(24)에서 각 승강 바(34)로 피검사체(12)가 이동할 때, 그 피검사체가 아무리 승강 바(34)의 길이방향에 관해 경사가 발생되어도 각 승강 바(34)의 양단부에는 어깨부(34b)에 근접해서 클리어런스 그루부(7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검사체(12)의 하방으로 경사지는 테두리가 승강 바(34)의 상면(34a)에 맞닿는 경우는 없다. 이에 의해 피검사체(12)는 승강 바(34)와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받지 않고 그 승강 바로 옮겨지고, 승강 바(34) 상으로 옮겨진 피검사체(12)는 승강 바(34)의 어깨부(34b)에 의해 승강 바(34)로부터의 탈락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Even when the subject 12 moves from the robot arm 24 to each of the elevation bars 34 regardless of the inclination of the subje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ion bar 34, Since the clearance grooved portion 70 is formed close to the shoulder portion 34b, the edge inclined downwardly of the test object 12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34a of the lifting bar 34. [ The object 12 to be inspected is moved to the elevation bar 34 without being damaged by the contact with the elevation bar 34 and the object 12 to be moved onto the elevation bar 34 is moved to the shoulder portion of the elevation bar 34 34b are reliably prevented from falling off from the lifting bar 34. [

피검사체가(12)가 승강 바(34) 상에 옮겨지고, 로봇 아암(24)이 지지대(26) 상에서 후퇴하면, 한 쌍의 유체 실린더 장치(38)는 동기적으로 수축 동작하고, 이에 의해 승강 바(34)는 도 9(b)에 나타낸 하강 위치에 유지된다. When the test object 12 is transferred onto the lifting bar 34 and the robot arm 24 is retracted on the support table 26, the pair of fluid cylinder devices 38 are synchronously operated to contract, The lifting bar 34 is held at the lowered position shown in Fig. 9 (b).

승강 바(34)가 하강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부압 홈(30b)에 작용하는 부압에 의해 피검사체(12)가 확실히 지지대(26)에 유지되고, 피검사체(12)가 소정의 검사를 받는다. When the lifting bar 34 moves to the lowered position, the subject 12 is surely held on the supporting table 26 by the negative pressure acting on the negative pressure groove 30b as described above, I get a test.

피검사체(12)의 상기 검사가 종료되면, 한 쌍의 유체 실린더 장치(38)의 작동에 의해 승강 바(34)가 도 9(a)에 나타낸 상승 위치를 향해서 이동한다. 이 유체 실린더 장치(38)에 수반하여 지지대(26) 상의 피검사체(12)가 승강 바(34)에 의해 지지대(26)의 흡착면(26a)으로부터 부상하려고 할 때, 상기한 바와 같이 가는 홈(30a)의 공기 안내 작용에 의해 피검사체(12)에서의 정전기의 발생이 억제된다. When the inspection of the inspection object 12 is completed, the lift bar 34 moves toward the raised position shown in Fig. 9 (a) by the operation of the pair of fluid cylinder devices 38. [ When the subject 12 on the support table 26 tries to rise from the attracting surface 26a of the support table 26 by the lifting bar 34 in conjunction with the fluid cylinder device 38, The generation of the static electricity in the subject 12 is suppressed by the air guiding action of the air passage 30a.

상승 위치에 있는 승강 바(34) 상의 검사 완료된 피검사체(12)는, 반송 로봇(14)의 로봇 아암(24)이 승강 바(34)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축부재(22)가 신장 동작됨에 따라서 로봇 아암(24)으로 이동되고, 그 후 반송 로봇(14)에 의해 상기 카세트로 되돌려진다. The inspected object 12 on the ascending bar 34 at the elevated position is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shaft member 22 is extended in the state in which the robot arm 24 of the conveying robot 14 is inserted between the elevating bars 34 And is then returned to the cassette by the transport robot 14. The robot arm 24 is then returned to the cassette.

본 발명과 관련된 흡착 테이블(10)에 따르면, 승강 바(34)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32)를 지지대(26)에 형성하고, 승강바(34)를 지지대(26)의 측방에 마련된 승강 장치(38)로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흡착 테이블(10)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지 않고, 대형의 표시 패널(12)이라 해도 그 표시 패널에 국부적으로 강한 응력을 작용시키지 않고 그 표시 패널을 취급할 수 있는 흡착 테이블(10)을 비교적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uction table 1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ave portion 32 for receiving the lift bar 34 is formed in the support base 26 and the lift bar 34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base 26 And can be raised and lowered to the apparatus 38.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suction table 10 is not complicated, and even if the large display panel 12 is provided with the suction table 10 capable of handling the display panel without exerting a locally strong stress on the display panel And can be provided at relatively low cost.

상기한 바에서는 오목부(32)를 흡착면(26a)의 긴 변에 평행하게 형성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를 대신하여 오목부(32)가 흡착면(26a)의 긴 변과 각을 이루며 신장하도록 복수의 오목부(32)를 병행해서 형성할 수 있다. The concave portion 32 is formed at an angle to the long side of the adsorption surface 26a and the elongation of the adsorption surface 26a is not limited to the elongation of the adsorption surface 26a,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32 can be formed in parallel.

또한, 이 오목부(32)의 깊이 치수를 승강 바(34)의 높이 치수보다도 크게 하여서 승강 바(34)의 하강 위치에서 그 승강 바의 상면을 흡착면(26a) 아래에 설정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depth dimension of the recess 32 to be larger than the height dimension of the lifting bar 34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bar 34 can be set below the lifting bar 26 at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lifting bar 34. [

승강장치(38)에는 상기한 유체 실린더 장치를 대신해서 전동 모터 및 랙 피니언 혹은 리니어 모터 등 여러 가지의 승강장치를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The elevating device 38 can be suitably used with various types of elevating devices such as an electric motor and a rack pinion or a linear motor in place of the fluid cylinder device.

도 10에서와 같이 지주(54)에 지지되는 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가이드 핀(62)을 받아들이도록 피검사체(12)를 받는 승강 바(34)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슬롯(60)을 승강 바의 길이(X축) 방향으로 신장하는 가로 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롯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충격 완화 기구(56)의 압축 코일 스프링(64)은 기능하지 않아서 마련되지 않는다. 가로 방향으로 신장하는 가늘고 긴 슬롯(60)은 승강 바(34)의 경사를 허가함으로써 승강 바(34)의 양단 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승강 장치(38) 사이의 동기(同期)의 어긋남을 보상한다. The slot 6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ift bar 34 receiving the test object 12 to receive the guide pin 62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supported by the column 54 as shown in Fig. (X-axis) direction. In this case, the compression coil spring 64 of the shock-absorbing mechanism 56 does not function and is not provided. The elongated slot 60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permits the inclination of the elevating bar 34 to allow the synchronization of the pair of elevating devices 38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evating bar 34 Compensate.

승강 바(34)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슬롯(60)을 가로방향으로 신장하는 상기한 가로 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롯으로 하는 것을 대신하여 한 쌍의 슬롯(50) 중 한쪽을 상기한 가로 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롯으로 하고, 다른 쪽을 가이드 핀(62)을 받아들이는 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슬롯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도 승강 바(34)의 경사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한 쌍의 승강장치(38) 사이의 동기의 어긋남을 보상할 수 있다.A pair of slots 6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ifting bar 34 may be formed in the transversely elongated slot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other can be a slot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urface for receiving the guide pin 62. [0050] This makes it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deviation of th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pair of elevating devices 38 since the elevating bar 34 can be inclined.

도 11에서와 같이 가이드 핀(62)의 양단을 지주(54)의 외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승강 바(34)의 상기한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슬롯(60)의 위치보다도 승강 바(34)의 안쪽 위치에서 근방의 가이드 핀(62)과 평행한 걸림핀(88)을 승강 바(34)의 양측에 마련하고, 대응하는 가이드 핀(62) 및 걸림 핀(88) 사이에 인장력을 미치는 한 쌍의 스프링 부재(90)를 승강 바(34)의 양측에 배치할 수 있다. 도 11에서 나타내는 예에서는 각 스프링 부재(90)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Both ends of the guide pin 62 can be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54 as shown in Fig. The engaging pin 88 parallel to the guide pin 62 in the vicinity of the inner position of the lifting bar 34 is positioned above the position of the slot 6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lifting bar 34, And a pair of spring members 90 having tensile force between the corresponding guide pins 62 and the engaging pins 88 can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bar 34. [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1, each spring member 90 is formed of a tension coil spring.

대응하는 가이드 핀(62) 및 걸림 핀(88)에 양단이 걸린 한 쌍의 인장 코일 스프링(90)은, 승강 바(34)에 그 길이방향 바깥을 향한 장력을 부여한다. 이 장력에 의해 승강 바(34)의 휘어짐 변형이 억제된다. 따라서, 경량화를 위하여 승강바(34)를 비교적 강성이 낮은 알루미늄의 평각 봉으로 형성한 경우, 인장 코일 스프링(90)의 장력에 의해 승강 바(34)의 휘어짐을 억제하고, 그 승강 바 상의 피검사체의 휘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승강 바(3)가 강성이 높은 고강성의 CFRP재로 형성되는 경우, 인장 코일 스프링(90)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A pair of tension coil springs 90 having both ends thereof engaged with the corresponding guide pin 62 and the engaging pin 88 impart tension to the lifting bar 3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warp deformation of the lifting bar 34 is suppressed by this tension. Therefore, when the lifting bar 34 is made of a flat rod of aluminum having a relatively low rigidity for reducing the weight, the buckling of the lifting bar 34 is suppressed by the tension of the tension coil spring 9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warping of the carcass. When the lifting bar 3 is formed of a high rigidity CFRP material having high rigidity, the tension coil spring 90 may not be required.

그리고 또한, 도 10 및 도 11에는 가이드 핀(62)을 지주(54)에 설치하고, 가이드 핀(62)을 받아들이는 가로 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롯(60)을 승강 바(34)에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를 대신하여 가이드 핀(62)을 승강 바(34)에 설치하고 또 가로 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롯(60)을 지주(54)에 마련할 수 있다. 10 and 11 show examples in which the guide pin 62 is provided on the support 54 and the slot 6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receiving the guide pin 62 is installed on the lifting bar 34 The guide pin 62 may be provided in the elevating bar 34 and the slot 54 in the transverse direction may be provided in the support 54 instead.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흡착 테이블
12; 피검사체(표시 패널)
26; 지지대
26a; 흡착면
32; 오목부
34; 승강 바
36; 지지기구
38; 승강 장치
40; 빔 부재
54; 지주
56; 충격 완화 기구
58; 지주의 오목부
58b; 오목부의 바닥벽(底壁)
60; 슬롯
62; 가이드 핀
64; 압축 코일 스프링
68; 고정 나사 부재(조정 나사)
70; 클리어런스 그루브(逃溝)
72; 높이 조정 기구
88; 걸림 핀
90; 스프링 부재(인장 코일 스프링)
10; Absorption table
12; The object (display panel)
26; support fixture
26a; Adsorption surface
32; Concave portion
34; Lift bar
36; Support mechanism
38; Lifting device
40; Beam member
54; landlord
56; Shock-absorbing mechanism
58; Recess
58b; The bottom wall (bottom wall)
60; slot
62; guide pin
64; Compression coil spring
68; Fixing screw member (adjusting screw)
70; Clearance groove
72; Height adjustment mechanism
88; Hook pin
90; Spring member (tension coil spring)

Claims (5)

표시 패널을 유지하는 흡착 테이블로서,
부압 개구가 개방되는 흡착면을 가지는 지지대와,
상기 흡착면을 가로 질러서 배치되는 복수의 승강 바와,
상기 승강 바를 상기 흡착면에서 돌출하는 일 없이 상기 지지대 내에 수용하도록 상기 흡착면에 서로 병행해서 마련되는 복수의 오목부와,
상기 복수의 오목부가 개방되는 상기 지지대의 측부에서 상기 승강 바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와,
상기 승강 바를 상기 오목부에서 돌출하는 상승 위치와,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는 하강 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상기 지지기구와 관련해서 마련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승강 바를 그 승강 바의 양단에서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주와, 그 지주 및 상기 승강 바 중 어느 한쪽에 지지된 가이드 핀과, 그 가이드 핀의 관통을 허가하도록 상기 지주 및 상기 승강 바의 다른 쪽에 마련된 슬롯을 구비하는 흡착 테이블.
An adsorption table for holding a display panel,
A support having an adsorption surface on which a negative pressure opening is opened,
A plurality of elevating bars disposed across the adsorption surface,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provided on the attracting surface in parallel with each other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support frame without protruding from the attracting surface;
A supporting mechanism for vertically supporting the elevating bar on a side portion of the support base from which the plurality of recesses are opened;
And a lift device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mechanism so as to raise and lower the lift bar between a raised position where the lift bar protrudes from the concave portion and a lowered position that is accommodated in the concave portion,
The support mechanism includes a pair of struts for supporting the elevating bar at both ends of the elevating bar, a guide pin supported on either one of the strut and the elevating bar, and the strut and the support to permit penetration of the guide pin. A suction table having a slo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evating ba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주 또는 상기 승강 바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슬롯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승강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신장하는 가늘고 긴 슬롯인 흡착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pair of struts or the pair of slot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evating bar, respectively, is an elongated slot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ing ba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승강 바에 마련되고 그 승강 바를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며 그 승강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흡착 테이블.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lot is provided in the lifting bar and extend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lifting bar and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ing ba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에는, 상기 가이드 핀에 관련해서 대응하는 상기 승강 바에 그 승강 바의 길이방향 바깥을 향한 장력을 부여하는 스프링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흡착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pport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spring member for imparting a t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ing bar to the elevating bar corresponding to the guide pi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바에는, 그 승강 바의 상기 슬롯이 마련된 위치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단부 근방에 상기 가이드 핀과 평행한 대응하는 걸림 핀이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가이드 핀과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걸림 핀에 양단이 걸린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흡착 테이블.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ift bar is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engagement pin in parallel with the guide pin in the vicinity of an end located inwardly of the position of the slot of the lift bar and the spring member is provided with the guide pin, And a tension coil spring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pin.
KR20130087141A 2012-09-04 2013-07-24 suction table KR10148596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93716 2012-09-04
JP2012193716A JP5956877B2 (en) 2012-09-04 2012-09-04 Suction 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101A true KR20140031101A (en) 2014-03-12
KR101485966B1 KR101485966B1 (en) 2015-01-23

Family

ID=50318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7141A KR101485966B1 (en) 2012-09-04 2013-07-24 suction tabl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56877B2 (en)
KR (1) KR101485966B1 (en)
CN (1) CN103681436B (en)
TW (1) TWI505401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3017A (en) * 2021-02-05 2022-08-12 주식회사 야스 Split-type substrate holding device capable of multi-model correspondence with front-end contactless substrat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7156B (en) * 2018-08-16 2023-10-27 武汉精测电子集团股份有限公司 Perpendicular crimping pogo switching on device
CN114967189B (en) * 2021-02-22 2024-02-06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Attach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7900B2 (en) * 1998-11-18 2003-10-2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Substrate heat treatment apparatus and substrate heat treatment method
KR100519369B1 (en) * 2002-03-05 2005-10-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bonding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2005165015A (en) * 2003-12-03 2005-06-23 Seiko Epson Corp Mask for film deposition, film deposition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CN100485874C (en) * 2004-04-16 2009-05-06 东京毅力科创株式会社 Processing equipment for object to be processed
CN100510874C (en) * 2004-11-24 2009-07-08 喜开理株式会社 Floating unit and floating device with tilting function
JP2006201330A (en) * 2005-01-19 2006-08-03 Fujitsu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onded substrate
JP2007086186A (en) * 2005-09-20 2007-04-05 Sharp Corp Substrate heating device
JP2010016053A (en) * 2008-07-01 2010-01-21 Tokyo Electron Ltd Transfer mechanism for target object to be inspected
JP4964861B2 (en) * 2008-12-03 2012-07-04 アドヴァンスド・ディスプレイ・プロセス・エンジニアリング・コーポレーション・リミテッド Substrate support device
JP2011029565A (en) * 2009-07-29 2011-02-10 Toppan Printing Co Ltd Substrate holding device
KR101130969B1 (en) * 2009-09-17 2012-04-03 주성엔지니어링(주) Supporting member for substrate, and substrate h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upporting member for substrate
TWI447846B (en) * 2011-12-23 2014-08-01 Au Optronics Corp Substrate-secur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3017A (en) * 2021-02-05 2022-08-12 주식회사 야스 Split-type substrate holding device capable of multi-model correspondence with front-end contactless substr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966B1 (en) 2015-01-23
CN103681436B (en) 2016-08-17
TWI505401B (en) 2015-10-21
CN103681436A (en) 2014-03-26
JP2014049703A (en) 2014-03-17
TW201411771A (en) 2014-03-16
JP5956877B2 (en) 201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966B1 (en) suction table
KR20200127960A (en) Test head to be maintained and wafer inspection apparatus
KR20130097668A (en) Probe apparatus and parallelism adjustment mechanism of a probe card
KR100878211B1 (en) Probe station, and testing method of wafer using the same
KR20190088888A (en) Wafer prober
JP6006538B2 (en) Suction table
JP2008311313A (en) Semiconductor testing device
KR102189352B1 (en) Automatic insertion apparatus of magnet for motor core
KR101741094B1 (en) Manipulator
KR20210128784A (en) Unit for fixing cassett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WO2014103479A1 (en) Universal holding jig
KR102096906B1 (en) Automatic test machine for burn-in board
KR102295340B1 (en) Magnet Buffering Type Probe Pin Array Unit
KR101631693B1 (en) Testing device for a long pitch type roller chain assembly
JP3339608B2 (en) IC test equipment
KR102501619B1 (en) A bending test apparatus for pcb
JPH0829499A (en) Inspection device for circuit board
CN108709806B (en) Loading box assembly for side guard plate test and hydraulic support test bed
CN212513546U (en) Falling test device
CN213779457U (en) Display panel test bench
CN111735597B (en) Drop interaction test stand suitable for nuclear power equipment anti-seismic safety inspection
CN213398658U (en) Alignment device for panel
CN218950925U (en) Supporting platform
KR100317819B1 (en) Apparatus for Locking Aligner Block of Handler
JP4163477B2 (en) Support device for substrate to be inspec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