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457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457A
KR20140029457A KR1020137030873A KR20137030873A KR20140029457A KR 20140029457 A KR20140029457 A KR 20140029457A KR 1020137030873 A KR1020137030873 A KR 1020137030873A KR 20137030873 A KR20137030873 A KR 20137030873A KR 20140029457 A KR20140029457 A KR 20140029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indoor unit
ozone
air conditioner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카리 하타
다카시 하시다
사토시 오시로
기미야스 혼다
구미코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29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4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removing o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정화 장치(8)에 의해 발생된 오존에 의해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의 본체(1) 내를 정화한 후, 송풍팬(5)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오존을 외부에 배출한다. 이것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에 잔존하는 오존을 원인으로 하는 실내 유닛 내의 부재 열화를 경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 유닛의 내부를 살균하는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은, 그 본체의 전면 및 상면에 마련되어, 실내의 공기를 실내 유닛 내에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어, 실내 유닛 내의 공기를 실내에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갖는다. 또한, 실내 유닛은, 그 본체 내에, 에어 필터, 열교환기, 및 송풍팬을 갖는다. 흡입구를 거쳐 흡입된 공기는, 우선 에어 필터에 의해 제진(除塵)되고, 다음으로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되고, 그리고 송풍팬에 의해 배출구를 거쳐 실내에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은,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더스트) 등이 실내 공기와 함께 실내 유닛 내에 흡입되기 때문에, 먼지 등이 실내 유닛 내의 벽면, 송풍팬, 및 열교환기 등에 부착되기 쉽다. 또한, 이 부착된 먼지 등에 포함되는 잡균 또는 곰팡이 등의 미생물이 실내 유닛 내에서 번식하기 쉽다. 특히, 냉방 운전의 정지 후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표면에 응축(결로)된 응축수가 실내 유닛 내에서 증발하고, 그것에 의해 실내 유닛 내부의 습도가 높아지면, 미생물이 번식하기 쉽다.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기 위한 오존을 실내 유닛 내에 발생시키는 정화 장치가 마련된 공기 조화기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6-272888호 공보
그렇지만, 정화 장치에 의해 발생한 오존에 장기간 노출되면, 오존의 산화 작용에 의해,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 내의 부재가 열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오존(O3)은, 불안정한 기체이기 때문에, 상온에서는 서서히 분해되어 안정한 산소(O2)가 된다. 그런데, 저습도 또는 저온도의 환경 하에서는, 오존의 분해 속도가 저하한다. 따라서, 예컨대 동계의 건조한 시기에 있어서, 정화 장치에 의해 발생한 오존이, 거의 밀폐 상태인 실내 유닛 내에 장기간 잔존하기 쉽다. 그 결과, 실내 유닛 내의 부재가 장기간 오존에 노출된다.
특히, 정화 장치가 코로나 방전 등의 방전을 이용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저습도의 환경 하에서는, 오존 생성량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동계의 건조한 시기에, 이와 같은 정화 장치에 의해 오존을 발생시키면, 고농도의 오존이 실내 유닛 내에 장기간 잔존하기 쉽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실내 유닛 내에 잔존하는 오존을 원인으로 하는 실내 유닛 내의 부재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한다.
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송풍팬과, 방전에 의해 적어도 오존을 발생시키는 정화 장치를 내부에 구비하는 실내 유닛을 갖고, 상기 정화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에 의해 상기 실내 유닛 내를 정화하는 공기 조화기로서, 공조 운전을 정지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 경과하기까지 상기 정화 장치가 작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실내 유닛 내를 정화하고, 상기 정화 장치의 정지 후, 상기 송풍팬이 작동하여 상기 실내 유닛 내의 오존을 외부에 배출하는, 공기 조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화 장치의 정지 후에 송풍팬이 작동하는 것에 의해, 정화 장치에 의해 실내 유닛 내에 발생된 오존이 그 외부에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실내 유닛 내에 오존이 잔존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 내의 부재의 오존을 원인으로 하는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의 형태와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관련한 다음의 기술로부터 분명해진다. 이 도면에 있어서는,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의 횡단면도,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계의 블록도,
도 3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운전의 행정도,
도 4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실내 유닛 내의 잔존 오존 농도와 송풍팬의 ON/OFF 설정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운전의 행정도,
도 6은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실내 유닛 내의 상대 습도와 송풍팬의 ON/OFF 설정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실시의 형태 5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정화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 8은 실시의 형태 5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의 횡단면도,
도 9는 방전 전류 적분치와 방전 전극의 선단 곡률반경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오존 발생 속도, 이온 발생 속도, 및 방전 전극의 선단 곡률반경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방전 전극의 선단 곡률반경과 실내 유닛 내의 오존 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실시의 형태 5에 따른, 정화 장치의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누계의 방전 시간과 방전 전극의 선단 곡률반경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누계의 방전 시간과 방전 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실시의 형태 6에 따른, 정화 장치의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실시의 형태 7에 따른, 정화 장치의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실시의 형태 7의 개량 형태에 따른, 정화 장치의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실시의 형태 7의 다른 개량 형태에 따른, 정화 장치의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송풍팬과, 방전에 의해 적어도 오존을 발생시키는 정화 장치를 내부에 구비하는 실내 유닛을 갖고, 상기 정화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에 의해 상기 실내 유닛 내를 정화하는 공기 조화기로서, 공조 운전을 정지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 경과하기까지 상기 정화 장치가 작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실내 유닛 내를 정화하고, 상기 정화 장치의 정지 후, 상기 송풍팬이 작동하여 상기 실내 유닛 내의 오존을 외부에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화 장치의 정지 후에 송풍팬이 작동하는 것에 의해, 정화 장치에 의해 실내 유닛 내에 발생된 오존이 그 외부에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실내 유닛 내에 오존이 잔존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 내의 부재의 오존을 원인으로 하는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가, 실내로부터 상기 실내 유닛 내에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흡입 공기 온도 검출 수단을 더 갖고, 상기 흡입 공기 온도 검출 수단의 검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정화 장치의 정지 후의 상기 송풍팬의 작동 시간인 정화 후 작동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더라도 좋다.
오존은, 실내 온도가 고온인 경우, 즉 냉방 운전이 실시된 경우, 실내 유닛 내가 고습도이기 때문에, 실내 유닛 내의 오존의 분해 속도가 높다. 그 때문에, 정화 장치의 정지 후의 오존의 잔존량이 적다. 한편, 실내 온도가 저온인 경우, 즉 난방 운전이 실시된 경우, 실내 유닛 내가 저습도이기 때문에, 실내 유닛 내의 오존의 분해 속도가 낮다. 그 때문에, 정화 장치의 정지 후의 오존의 잔존량이 많다. 따라서, 흡입 공기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실내 공기의 온도에 근거하여, 실내 유닛 내의 잔존 오존을 외부에 배출하기 위해 필요한 송풍팬의 작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송풍팬을 필요 이상으로 작동시키는 일 없이, 정화 장치의 정지 후의 오존의 잔존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의 상기 정화 후 작동 시간이, 상기 정화 장치의 작동이 개시되기 전의 공조 운전 모드에 근거하여 결정되더라도 좋다.
공조 운전의 하나의 모드로서 냉방 운전이 실시된 경우, 실내 유닛 내가 고습도이기 때문에, 실내 유닛 내의 오존의 분해 속도가 높다. 그 때문에, 정화 장치의 정지 후의 오존의 잔존량이 적다. 한편, 공조 운전의 하나의 모드로서 난방 운전이 실시된 경우, 실내 유닛 내가 저습도이기 때문에, 실내 유닛 내의 오존의 분해 속도가 낮다. 그 때문에, 정화 장치의 정지 후의 오존의 잔존량이 많다. 따라서, 정화 장치의 작동이 개시되기 전의 공조 운전 모드에 근거하여, 실내 유닛 내의 잔존 오존을 외부에 배출하기 위해 필요한 송풍팬의 작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송풍팬을 필요 이상으로 작동시키는 일 없이, 정화 장치의 정지 후의 오존의 잔존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실내 유닛 내의 공기를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루버를 더 갖고, 상기 루버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정화 장치가 작동하고, 그 후 상기 루버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이 작동하도록 구성되더라도 좋다.
밀폐 혹은 거의 밀폐 상태의 실내 유닛 내에 오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실내 유닛 내에 단시간에 오존을 충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정화 장치의 작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루버에 의해 배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 상태에서 송풍팬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실내 유닛 내에 충만된 오존이 외부에 배출된다. 또한, 배출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린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송풍팬이 작동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공조 운전이 종료된 후에 송풍팬이 작동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위화감이 경감된다.
상기 정화 장치의 정지 후, 난방 운전을 실행하면서, 상기 송풍팬이 작동하더라도 좋다.
정화 장치의 정지 후에 난방 운전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실내 유닛 내가 고온 상태가 되고, 그것에 의해 오존의 분해가 활성화된다. 오존의 분해가 진행되면서, 송풍팬에 의해 오존이 실내 유닛의 외부에 배출되기 때문에, 실내 유닛 내의 오존 잔존량이, 난방 운전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빠르게 감소한다. 따라서, 송풍팬의 작동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냉방 운전을 정지한 후에, 상기 송풍팬이 작동하여 상기 실내 유닛 내를 건조시키고, 상기 송풍팬의 정지 후에, 상기 정화 장치에 의한 상기 실내 유닛 내의 정화를 개시하더라도 좋다.
냉방 운전의 정지 후, 또한 정화 장치의 작동을 개시하기 전에, 송풍팬에 의해 실내 유닛 내를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을 원인으로 하는 오존의 분해가 억제된다. 그 결과, 정화 장치에 의해 발생한 오존은, 실내 유닛 내 전체로 확산되고, 실내 유닛 내 전체를 살균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실내 유닛 내에 배치된 열교환기와, 실내로부터 상기 실내 유닛 내에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흡입 공기 온도 검출 수단과, 상기 열교환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열교환기 온도 검출 수단을 더 갖고, 냉방 운전을 정지하고 나서 상기 정화 장치에 의한 정화가 개시되기까지의 상기 송풍팬의 작동 시간인 정화 전 작동 시간이, 상기 흡입 공기 온도 검출 수단의 검출 온도와 상기 열교환기 온도 검출 수단의 검출 온도에 근거하여 결정되더라도 좋다.
실내 공기의 온도와 열교환기의 온도에 근거하여, 실내 유닛 내의 습도가 오존 살균에 최적인 습도가 되는 송풍팬의 작동 시간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공기 조화기의 냉방 운전의 상세한 설정과 관계없이, 실내 유닛 내를 충분히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가, 실외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외 온도 검출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실외 온도 검출 수단의 검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송풍팬의 정화 전 작동 시간을 증감하더라도 좋다.
실외 온도의 값에 근거하여,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내의 압축기의 작동 상태 및 실내 유닛 내의 열교환기에 부착되는 응축수의 양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실내 유닛 내를 적절한 습도로 하기 위해 필요한 송풍팬의 작동 시간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실내 유닛 내의 공기를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루버를 더 갖고, 상기 공기 조화기의 냉방 운전 정지 후에, 상기 루버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이 작동하고, 그 후 상기 루버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정화 장치가 작동하도록 구성되더라도 좋다.
밀폐 혹은 거의 밀폐 상태의 실내 유닛 내에 오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실내 유닛 내에 단시간에 오존을 충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정화 장치의 작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루버에 의해 배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 상태에서 송풍팬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실내 유닛 내가 건조된다. 또한, 배출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린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송풍팬이 작동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냉방 운전이 종료된 후에 송풍팬이 작동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위화감이 경감된다.
상기 정화 장치가, 뾰족한 선단을 구비하는 방전 전극에 의해 적어도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전을 실행하는 방전부와, 방전부의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전 전극의 선단의 곡률반경에 근거하여, 소정의 범위 내의 오존량이 발생하도록, 상기 방전부의 방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더라도 좋다.
방전 전극의 선단의 곡률반경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더라도, 방전 전극의 선단의 곡률반경에 근거하여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전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범위 내의 양의 오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오존을 원인으로 하는 실내 유닛 내의 부재의 열화가 보다 억제된다.
상기 방전 전극의 선단의 곡률반경을, 상기 방전부의 누계의 방전 시간에 의해 결정하더라도 좋다.
누계의 방전 시간에 의해 방전 전극의 선단의 곡률반경을 간단히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방전 전극의 선단의 곡률반경을, 방전 전류의 적분치에 의해 결정하더라도 좋다.
방전 전류의 적분치는 방전 전극의 선단의 마모량과 대응하기 때문에, 방전 전류의 적분치에 의해 정확하게 방전 전극의 선단의 곡률반경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전부의 구동률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오존 발생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더라도 좋다.
구동률에 의해 방전부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방전 전극으로의 인가 전압을 제어하는 경우에 비하여, 저렴하게 오존 발생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방전 전극의 선단의 곡률반경이 소정의 한계 선단 곡률반경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방전부의 구동률을 제로로 하도록 구성되더라도 좋다.
방전 전극의 선단의 곡률반경이 소정의 한계 선단 곡률반경에 도달했을 때에, 방전부의 구동률을 제로로 하는, 즉 방전을 정지하는 것에 의해, 실내 유닛 내의 부재에 치명적인 열화가 생기는 양의 오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에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정화 장치가, 상기 방전부의 방전 전류가 흐르고, 상기 방전 전류의 적분치가 소정의 한계 방전 전류 적분치에 도달하면 단선되는 퓨즈를 더 갖고, 상기 퓨즈가 단선되면, 상기 방전부의 구동률이 제로가 되도록 구성되더라도 좋다.
퓨즈에 의해 방전부의 방전을 기계적으로 정지하기 때문에, 정화 장치(즉 공기 조화기)의 신뢰성이 높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방전부의 방전 시간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오존 발생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더라도 좋다.
방전 시간에 의해 방전부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간단히 오존 발생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방전 전극의 선단의 곡률반경이 소정의 한계 선단 곡률반경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방전부의 방전 시간을 제로로 하도록 구성되더라도 좋다.
방전 전극의 선단의 곡률반경이 소정의 한계 선단 곡률반경에 도달했을 때에, 방전부의 방전 시간을 제로로 하는, 즉 방전을 정지하는 것에 의해, 실내 유닛 내의 부재에 치명적인 열화가 생기는 양의 오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에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는, 상기 방전부에 의해 발생한 이온을 실내에 방출하는 집진 운전(dust-collecting operation)을 실행하더라도 좋다.
이온에 의해 실내의 공기 중의 먼지가 대전하고, 대전한 먼지를 실내 유닛 내에 포집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가 집진 운전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방전부는 통풍로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화 장치의 방전부에 의해 발생한 오존이, 통풍로를 거쳐 실내 유닛 내에 용이하게 확산될 수 있다. 또한, 정화 장치의 방전부에 의해 발생한 이온이 통풍로를 거쳐 실내에 방출되기 때문에, 많은 이온이 실내에 방출된다.
상기 방전부가, 음전위가 인가된 상기 방전 전극과, 상기 방전 전극의 선단과 대향하고, 양전위가 인가된 대향 전극으로 구성되고, 상기 방전부에 의해 발생하는 이온풍이 상기 통풍로를 거쳐 상기 실내 유닛 내에 흐르도록, 상기 대향 전극이 상기 방전 전극에 비하여 상기 통풍로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더라도 좋다.
방전부의 대향 전극이 방전 전극에 비하여 통풍로측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방전 전극으로부터 대향 전극을 향해 흐르는 이온풍을 이용하여, 방전부에 의해 발생한 오존을 실내 유닛 내에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실내 유닛 내 전체에 오존이 확산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의 횡단면도이다. 우선, 본 실시의 형태 1의 공기 조화기의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의 본체(1)는, 그 전면으로부터 상면에 걸쳐 형성된, 실내의 공기를 본체(1) 내에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2)와, 그 하부에 형성된, 본체(1) 내의 공기를 실내에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를 갖는다. 흡입구(2)와 배출구(3)를 연결하는 공기의 통풍로에, 흡입구(2)를 거쳐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더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에어 필터(4)와, 팬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5)과, 공기와 열교환하기 위한 열교환기(6)가 마련되어 있다.
공기 조화기의 공조 운전의 실행 중, 본체(1)의 흡입구(2)를 거쳐 흡입된 공기는, 에어 필터(4)를 통과한다. 이때, 에어 필터(4)는,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포집한다. 에어 필터(4)는, 흡입구(2)와 열교환기(6)의 사이에, 또한, 열교환기(6)의 흡입구(2)측의 부분을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에어 필터(4)를 통과한 공기는, 열교환기(6)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열교환기(6)와의 사이에서 열교환된다. 즉, 공기는, 열교환기(6)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다. 열교환 후의 공기는, 송풍팬(5)에 의해 배출구(3)를 거쳐 실내에 배출된다. 배출되는 공기는, 루버(7)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가이드된다. 이와 같이 하여, 공조 운전이 실행된다. 또, 루버(7)는, 실내 유닛의 배출구(3)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기 조화기는 또한, 실내 유닛의 본체(1) 내를 제균하기 위한 정화 장치(8)를 갖는다. 정화 장치(8)는, 코로나 방전 등의 방전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를 제균하기 위한 오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 1의 정화 장치(8)는, 코로나 방전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오존이 발생 가능하면 된다.
본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정화 장치(8)는, 열교환기(6)의 상부와 흡입구(2)를 따라 배치된 에어 필터(4)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정화 장치(8)는, 예컨대 배출구(3) 또는 송풍팬(5) 근방 등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정화 장치(8)는, 배출구(3) 근방의 통풍로 내에 배치되더라도 좋다. 그러나, 공기에 비하여 비중이 높은 오존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 필터(4)를 제균하기 위해서는, 정화 장치(8)는,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위쪽에 에어 필터(4)의 근방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송풍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정화 장치(8)와 송풍팬(5)의 사이의 거리를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화 장치(8)를 열교환기(6)의 상부와 에어 필터(4)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공기 조화기의 송풍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 1의 정화 장치(8)의 공기 조화기의 긴 쪽 방향(좌우 방향)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계의 블록도이다.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9)는, 실내 유닛 내에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흡입 공기 온도 검출 수단(10)과, 공조 운전을 전환하는 운전 전환 수단(11)으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여, 송풍팬(5), 루버(7), 정화 장치(8), 압축기(12) 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입 공기 온도 검출 수단(10)은, 실내로부터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에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검출한다. 그 때문에, 흡입 공기 온도 검출 수단(10)은, 예컨대, 에어 필터(4)를 통과한 공기가 흐르는 위치인 에어 필터(4)와 열교환기(6)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흡입 공기의 온도는, 거의 실내의 온도에 상당한다.
다음으로, 실시의 형태 1의 공기 조화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공기 조화기의 운전의 행정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공조 운전의 종료 후, 제어부(9)는, 루버(7)에 의해 배출구(3)를 닫은 상태에서 정화 장치(8)를 작동시키는 클린 운전을 개시한다. 정화 장치(8)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오존이 발생한다. 오존은, 공기에 비하여 비중이 높기 때문에,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위쪽에 배치된 정화 장치(8)로부터, 흡입구(2)로부터 배출구(3)에 이르는 통풍로를 거쳐, 열교환기(6)와 송풍팬(5)의 주위에 충만된다. 이것에 의해, 오존에 의한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살균이 행해진다.
루버(7)에 의해 배출구(3)가 닫혀 있기 때문에, 실내 유닛의 본체(1) 내는 밀폐 혹은 거의 밀폐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오존을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본체(1) 내 전체에 충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정화 장치(8)의 작동 시간(클린 운전의 실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클린 운전이 소정의 시간 실시되면, 제어부(9)는 정화 장치(8)를 정지하여 클린 운전을 종료한다. 그리고, 제어부(9)는, 루버(7)에 의해 배출구(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 상태에서 송풍팬(5)을 작동시키는 송풍 운전을 개시한다.
클린 운전의 종료 후에 송풍팬(5)이 작동될 때, 배출구(3)는, 루버(7)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린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송풍팬(5)이 작동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공조 운전이 종료된 후에 송풍팬(5)이 작동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위화감이 경감된다.
정화 장치(8)가 정지한 후(클린 운전이 종료된 후)에, 루버(7)에 의해 배출구(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 상태에서 송풍팬(5)이 작동하는 것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에 충만된 오존은 외부로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부재가 오존에 장시간 노출되는 것이 억제되고, 오존에 의한 부재의 열화를 경감할 수 있다.
클린 운전의 종료 후에 송풍팬(5)을 작동시키는 시간(정화 후 작동 시간)은, 흡입 공기 온도 검출 수단(10)에 의해 검출된 흡입 공기의 온도(실내의 온도)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흡입 공기의 온도에 근거하여, 정화 장치(8)의 운전 종료 후의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잔존 오존의 농도를 예측할 수 있다. 이 잔존 오존이 완전히 실내 유닛의 본체(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송풍팬(5)의 작동 시간(정화 후 작동 시간)을 산출한다.
정화 장치(8)는 그 방전 방식 및 구성에 따라 오존의 발생량이 다르지만, 예컨대, 코로나 방전 방식으로서, 실내 온도 20℃의 환경 하에서 2시간 작동한 후에 있어서 실내 유닛 내의 잔존 오존의 농도가 약 0.1ppm이 되도록 구성된 정화 장치(8)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하계에 있어서(예컨대 실내 온도가 25~30℃인 환경 하에 있어서), 공조 운전, 즉 냉방 운전의 종료 후에 이와 같은 정화 장치(8)를 2시간 작동시킨 경우, 정화 장치(8)의 정지 후의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잔존 오존 농도는, 약 0.03ppm이다. 이 경우, 정화 장치(8)의 정지 후에, 예컨대 5분간 송풍팬(5)을 작동시키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잔존 오존은 완전히 외부로 배출된다. 또, 냉방 운전을 정지한 후에 있어서는, 열교환기(6)의 표면에 응축(결로)된 응축수가 증발하고, 그것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습도가 비교적 높다. 고습도의 환경 하에서는 오존의 분해가 촉진되기 때문에, 오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5)의 작동 시간은 비교적 짧아진다.
한편, 동계에 있어서(예컨대 실내 온도가 10~15℃인 환경 하에 있어서), 공조 운전, 즉 난방 운전의 종료 후에 이와 같은 정화 장치(8)를 2시간 작동시킨 경우, 정화 장치(8)의 정지 후의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잔존 오존 농도는, 약 0.2ppm이다. 이 경우, 정화 장치(8)의 정지 후에, 예컨대 10분간 송풍팬(5)을 작동시키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잔존 오존은 완전히 외부로 배출된다. 또, 난방 운전을 정지한 후에 있어서는, 실내 유닛의 본체(1) 내가 고온이기 때문에 본체(1) 내가 건조되고, 그것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습도가 비교적 낮다. 저습도의 환경 하에서는 오존의 분해가 느리기 때문에, 오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5)의 작동 시간은 비교적 길어진다.
도 4는 흡입 공기 온도(실내 온도)에 근거하여 예측되는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잔존 오존 농도와, 송풍팬(5)의 ON/OFF 설정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공기 온도(실내 온도)가 낮은 경우, 잔존 오존 농도(C1)는 비교적 높다고 예측된다. 따라서, 흡입 공기 온도(실내 온도)가 낮을수록, 송풍팬(5)의 ON 시간은 길게 설정된다. 한편,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공기 온도(실내 온도)가 높은 경우, 잔존 오존 농도(C2)는 비교적 낮다고 예측된다. 따라서, 흡입 공기 온도(실내 온도)가 높을수록, 송풍팬(5)의 ON 시간은 짧게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흡입 공기 온도(실내 온도)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잔존 오존 농도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예측되는 잔존 오존 농도에 근거하여 정화 장치(8)의 정지 후의 송풍팬(5)의 작동 시간을 적절히 설정하는 것에 의해, 정화 장치(8)의 정지 후에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에 오존이 잔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오존을 원인으로 하는 실내 유닛 내의 부재의 열화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5)이 적절한 운전 시간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송풍팬(5)을 필요 이상으로 작동시키는 일이 없어지고, 그 결과,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에너지 절약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정화 장치(8)의 정지 후에 작동시키는 송풍팬(5)의 회전수를 본 발명은 한정하지 않지만, 회전수가 높을수록 송풍팬(5)의 작동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즉 실내 유닛의 본체(1) 내로부터 오존을 배출하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본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정화 장치(8)의 정지 후의 송풍팬(5)의 작동 시간(정화 후 작동 시간)을 정화 장치의 작동이 개시되기 전의 공기 조화기의 공조 운전 모드에 근거하여 결정하는 점에서, 실시의 형태 1과 다르다.
이하,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공기 조화기의 공조 운전의 종료 후, 제어부(9)는, 루버(7)에 의해 배출구(3)를 닫은 상태에서 정화 장치(8)를 작동시키는 클린 운전을 개시한다. 정화 장치(8)에 의해 발생한 오존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가 살균된다.
클린 운전이 소정의 시간 행해지면, 제어부(9)는, 정화 장치(8)를 정지하고, 클린 운전을 종료한다. 그 후, 루버(7)에 의해 배출구(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한 상태에서 송풍팬(5)을 작동시키는 송풍 운전을 제어부(9)는 실행한다. 송풍팬(5)을 작동시키는 시간(정화 후 작동 시간)은, 운전 전환 수단(11)에 의해 전환된 공기 조화기의 공조 운전 모드, 구체적으로는 정화 장치(8)의 작동이 개시되기 전의 공조 운전 모드, 예컨대 난방 운전 혹은 냉방 운전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예컨대, 정화 장치(8)의 운전이 개시되기 전(클린 운전 개시 전)의 공조 운전이 냉방 운전인 경우, 그 냉방 운전 정지 후에 있어서, 열교환기(6)의 표면에 응축(결로)된 응축수가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에서 증발하고, 그것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습도가 높다. 이 실내 유닛 내의 높은 습도에 의해 오존의 분해가 촉진된다. 따라서, 클린 운전이 개시되기 전의 공조 운전이 냉방 운전인 경우에는, 짧은 시간 송풍팬(5)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잔존 오존을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정화 장치(8)의 운전이 개시되기 전(클린 운전 개시 전)의 공조 운전이 난방 운전인 경우, 난방 운전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가 고온이기 때문에 본체(1) 내가 건조되고, 그것에 의해 본체(1) 내의 습도가 낮다. 습도가 낮으면 오존의 분해가 느리다. 따라서, 정화 장치(8)의 운전이 개시되기 전의 공조 운전이 난방 운전인 경우에는, 충분히 긴 시간 송풍팬(5)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잔존 오존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상과 같이, 정화 장치(8)의 작동을 개시하기 전의 공기 조화기의 공조 운전 모드에 근거하여 정화 장치(8)의 정지 후의 송풍팬(5)의 작동 시간을 적절히 설정하는 것에 의해, 정화 장치(8)의 정지 후에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에 오존이 잔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오존을 원인으로 하는 실내 유닛 내의 부재의 열화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을 필요 이상으로 운전시키는 일이 없어지고, 에너지 절약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본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정화 장치(8)의 정지 후에, 난방 운전을 실행하는 점에서, 실시의 형태 1과 다르다.
이하,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공기 조화기의 운전 종료 후, 제어부(9)는, 루버(7)에 의해 배출구(3)를 닫은 상태에서 정화 장치(8)를 작동시키는 클린 운전을 개시한다. 정화 장치(8)에 의해 발생한 오존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가 살균된다.
클린 운전이 소정의 시간 행해지면, 제어부(9)는, 정화 장치(8)를 정지하고, 클린 운전을 종료한다. 그 후, 루버(7)에 의해 배출구(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한 상태에서, 난방 운전을 실시한다. 즉, 송풍팬(5)을 작동시키면서, 압축기(12)를 작동시킨다. 난방 운전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가 고온 상태가 되면, 본체(1) 내의 잔존 오존의 분해가 활성화된다. 오존의 분해가 진행되면서, 송풍팬(5)에 의해 오존이 실내 유닛의 본체(1)의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실내 유닛 내의 오존 잔존량이, 난방 운전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빠르게 감소한다.
이상과 같이, 정화 장치(8)의 정지 후에 난방 운전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정화 장치(8)의 정지 후에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에 오존이 잔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오존을 원인으로 하는 실내 유닛 내의 부재의 열화를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5)의 작동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본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공기 조화기의 냉방 운전의 종료 후에, 또한 정화 장치(8)에 의한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정화(클린 운전)를 개시하기 전에, 송풍팬(5)을 작동시켜 실내 유닛의 본체(1) 내를 건조시키는 송풍 운전을 실시하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의 형태와 다르다.
이하,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냉방 운전의 종료 후에 또한 정화 장치(8)의 작동을 개시하기 전에, 송풍팬(5)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를 건조시키는 이유를 설명한다.
냉방 운전의 종료 후는, 열교환기(6)의 표면에 응축(결로)된 응축수가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에서 증발하고, 그것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습도가 높다. 습도가 높은 환경 하에서는, 정화 장치(8)에 의해 발생된 오존은, 실내 유닛의 본체(1) 내 전체로 확산되기 어렵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존은 물에 용해되면, 수산화물 이온을 촉매로 하여 그 분해가 촉진된다. 오존은, 최종적으로 산소로 분해된다. 오존에 의한 살균은, 오존의 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라디칼의 강력한 산화력을 이용한다. 이 라디칼은 불안정해서 수명이 짧다. 그 때문에, 오존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 전체를 살균하기 위해서는, 오존의 분해가 시작되기 전에, 실내 유닛의 본체(1) 내 전체에 오존을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고습도의 환경 하에서는, 정화 장치(8)에 의해 발생된 오존이 공기 중의 수분과 반응하는 것에 의해, 오존의 분해가 촉진된다. 그 때문에, 실내 유닛의 본체(1) 전체에 오존이 확산되기 어렵다.
또한, 정화 장치(8)가 코로나 방전 등의 방전을 이용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 고습도의 환경 하에서는 방전에 의한 오존의 발생이 방해받기 때문에, 오존 발생량 그 자체가 저하된다. 그 때문에, 발생한 오존이, 정화 장치(8) 근방에 머물 뿐이고, 실내 유닛의 본체(1) 내 전체로 확산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 4의 공기 조화기는, 냉방 운전의 종료 후, 정화 장치(8)가 오존을 발생시키기 전에, 실내 유닛의 본체(1) 내를 송풍팬(5)에 의해 건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9)는, 본 실시의 형태 4의 공기 조화기의 운전의 행정도인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방 운전의 종료 후, 정화 장치(8)의 작동을 개시하기 전에, 송풍팬(5)을 작동시키는 송풍 운전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냉방 운전의 종료 후, 제어부(9)는, 루버(7)에 의해 배출구(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 상태에서, 송풍팬(5)을 작동시킨다.
냉방 운전의 종료 후에 송풍팬(5)이 작동될 때, 배출구(3)는, 루버(7)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린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송풍팬(5)이 작동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냉방 운전이 종료된 후에 송풍팬(5)이 작동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위화감이 경감된다.
냉방 운전을 정지하고 나서 정화 장치(8)에 의한 정화가 개시되기 전까지의 송풍팬(5)의 작동 시간(정화 전 작동 시간), 즉 건조에 소비하는 시간은, 흡입 공기 온도 검출 수단(10)에 의해 검출된 흡입 공기 온도(실내 온도)와, 열교환기 온도 검출 수단(13)에 의해 검출된 열교환기(6)의 온도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흡입 공기 온도(실내 온도)와 열교환기(6)의 온도에 근거하여, 냉방 운전의 종료 후의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습도를 예측한다. 그리고, 예측한 습도가 정화 장치(8)를 작동시키기에 적합한 최적 습도(즉, 정화 장치(8)에 의해 발생한 오존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 전체로 확산될 수 있는 습도)가 되도록, 송풍팬(5)의 정화 전 작동 시간을 산출한다.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상대 습도는, 흡입 공기 온도(실내 온도)와 열교환기(6)의 온도 사이의 온도차로부터 예측할 수 있다.
예컨대, 실온 27℃, 상대 습도 47%의 실내에서 공기 조화기를 설정 온도 16℃로 1시간의 냉방 운전을 실시한 경우, 냉방 운전의 종료시의 흡입 공기 온도(실내 온도)와 열교환기(6) 온도 사이의 온도차는 10℃ 이상이고, 또한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상대 습도는 대략 100%이다. 이 1시간의 냉방 운전의 종료 후에 송풍팬(5)을 예컨대 30분간 작동시키면, 흡입 공기 온도(실내 온도)와 열교환기(6) 온도 사이의 온도차는 2~3℃가 되고,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상대 습도는 80%로 저하한다. 한편, 송풍팬(5)을 작동시키지 않는 경우, 냉방 운전의 종료 후의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상대 습도는 대략 100%로 유지된다.
도 6은 흡입 공기 온도(실내 온도)와 열교환기(6)의 온도에 근거하여 예측되는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상대 습도와, 송풍팬(5)의 ON/OFF 설정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공기 온도(실내 온도)와 열교환기(6) 온도의 온도차가 작은 경우, 열교환기(6)의 표면에 응축(결로)된 응축수는 비교적 적고,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상대 습도(H1)는 비교적 낮다고 예측된다. 따라서, 흡입 공기 온도(실내 온도)와 열교환기(6) 온도 사이의 온도차가 작을수록, 송풍팬(5)의 ON 시간은 짧게 설정된다. 한편,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공기 온도(실내 온도)와 열교환기(6) 온도 사이의 온도차가 큰 경우, 열교환기(6)의 표면에 응축(결로)된 응축수는 비교적 많고,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상대 습도(H2)는 비교적 높다고 예측된다. 따라서, 흡입 공기 온도(실내 온도)와 열교환기(6) 온도 사이의 온도차가 클수록, 송풍팬(5)의 ON 시간은 길게 설정된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도시하지 않음)에, 실외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외 온도 검출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마련하고, 실외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실외 온도에 근거하여 송풍팬(5)의 정화 전 작동 시간을 증감(보정)하더라도 좋다.
실외 온도에 근거하여,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내의 압축기(12)의 작동 상태 및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열교환기(6)에 부착되는 응축수의 양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설명하면, 압축기(12)의 작동 상태, 구체적으로는 압축기(12)의 주파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 실내 온도와 실제의 실내 온도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시의 형태 4의 공기 조화기의 경우, 압축기(12)의 주파수를, 실외 온도에 근거하여 증감(보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외로부터 실내로의 열의 이동을 고려한 주파수로 압축기(12)를 운전할 수 있고, 실제의 실내 온도를 설정 실내 온도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제의 실내 온도를 설정 실내 온도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압축기(12)의 주파수(작동 상태)에 근거하여,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열교환기(6)의 온도를 보다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 산출한 열교환기(6)의 보다 정확한 온도와 실내 온도에 근거하여, 열교환기(6)에 부착되는 응축수의 양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6)에 부착되는 보다 정확한 응축수의 양에 근거하여, 실내 유닛의 본체(1) 내를 적절한 습도로 하기 위한 송풍팬(5)의 정화 전 작동 시간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외 온도, 압축기(12)의 주파수, 열교환기(6)의 온도, 열교환기(6)에 부착되는 응축수의 양, 및 송풍팬(5)의 정화 전 작동 시간의 관계에 근거하여,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9)는, 실외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실외 온도로부터 송풍팬(5)의 정화 전 작동 시간을 보다 적절히 보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를 적절한 습도로 건조시키기 위해 필요한 송풍팬(5)의 정화 전 작동 시간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송풍팬(5)에 의한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건조가 종료되면, 제어부(9)는, 루버(7)에 의해 배출구(3)를 닫은 상태에서 정화 장치(8)를 작동시키는 클린 운전을 개시한다.
이상과 같이, 냉방 운전의 정지 후에 또한 정화 장치(8)의 작동을 개시하기 전에, 송풍팬(5)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를 건조시킨다. 그것에 의해, 정화 장치(8)에 의해 발생한 오존은, 실내 유닛의 본체(1) 내 전체로 확산되고, 본체(1) 내 전체를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정화 장치(8)가 방전에 의해 오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정화 장치(8)의 오존의 발생량의 저하가 억제된다. 그 때문에, 정화 장치(8)에 의해 발생한 오존은, 정화 장치(8) 근방에 머무는 일 없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 전체로 확산될 수 있다.
또, 냉방 운전의 정지 후와 달리, 난방 운전의 정지 후는,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습도는 비교적 낮다. 따라서, 난방 운전의 정지 후는, 정화 장치(8)의 작동을 개시하기 전에, 송풍팬(5)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를 건조시킬 필요성은 낮다.
(실시의 형태 5)
본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기는, 정화 장치(8)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여 정화 장치(8)를 제어하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의 형태와 다르다.
이하, 실시의 형태 5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정화 장치(8)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여 정화 장치(8)를 제어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화 장치(8)는, 그 구성에 따라서는, 단위 시간당 오존 발생량(오존 발생 속도)이 시간에 따라 증가한다. 오존 발생 속도가 증가하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오존 농도가 과도하게 상승하고, 그것에 의해, 실내 유닛 내의 부재의 열화를 촉진하거나 또는 실내 유닛 근방에 오존 냄새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오존 발생 속도가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여, 정화 장치(8)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내 유닛 내의 부재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실내 유닛 근방에 오존 냄새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실내 유닛의 본체(1) 내를 충분히 살균할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의 오존량이 발생하도록 정화 장치(8)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발명자는, 뾰족한 선단을 구비하는 방전 전극을 이용하여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전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정화 장치에 있어서, 방전 전극의 선단 형상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의해 오존 발생 속도가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다양한 실험 등으로부터 발견했다.
도 7은 오존 발생 속도가 시간에 따라 증가할 수 있는, 본 실시의 형태 5의 정화 장치(8)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 5의 정화 장치(8)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전 전극(31)과 이 방전 전극(31)의 선단(31a)과 대향하는 대향 전극(32)으로 이루어지는 방전부(33)와, 방전부(33)의 전극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 장치(34)를 갖는다.
방전 전극(31)은 뾰족한 선단(31a)을 구비한다. 이 선단(31a)에 강전계가 집중되는 것에 의해 방전이 발생한다. 대향 전극(32)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는 판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방전 전극(31)은, 단면에서 볼 때 그 선단(31a)으로부터 대향 전극(32)의 표면 위의 임의의 부분까지의 거리가 거의 같아지도록 대향 전극(32)에 대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에 전계가 집중되고, 효율적인 방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 방전 전극(31)은, 예컨대, 스테인리스강, 니켈, 알루미늄, 구리, 텅스텐 등으로 제작된다. 가공성을 고려하면, 방전 전극(31)의 재료는, 스테인리스강이 바람직하다.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이 뾰족할수록, 오존 발생 속도가 낮다(단위 시간당 오존 발생량이 적다). 방전 전극(31)의 본체는, 지름이 0.3㎜ 이상, 1㎜ 이하이면 된다. 0.3㎜ 미만이면, 선단과 본체의 차가 너무 작다. 또한, 1㎜보다 크면, 가공이 어렵다.
또한, 대향 전극(32)은, 스테인리스강, 니켈, 알루미늄, 구리, 텅스텐 등으로 제작된다. 가공성을 고려하면, 대향 전극(32)의 재료는, 스테인리스강이 바람직하다. 대향 전극(32)의 두께는, 0.3㎜ 이상, 2㎜ 이하이면 된다. 0.3㎜ 미만이면, 강도가 약하고, 예컨대 제조 중에 그 형상이 변형되기 쉽다. 또한, 1㎜보다 크면, 가공이 어렵다.
고전압 발생 장치(34)는, 방전 전극(31)과 대향 전극(32)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예컨대, 고전압 발생 장치(34)는, 방전 전극(31)에 음전위를 인가하고, 대향 전극(32)에 양전위를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전압 발생 장치(34)가 방전부(33)의 전극 사이에 인가하는 인가 전압은, 전극 사이의 단락이 생기지 않는, 예컨대 8㎸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가 전압이 예컨대 10㎸인 경우, 안전을 고려하여 절연 공간 거리 및 절연 연면 거리를 충분히 길게 할 필요가 있고, 그것에 의해 정화 장치(8)가 대형화된다.
고전압 발생 장치(34)는, 제어부(9)에 의해 제어된다. 즉, 제어부(9)는, 고전압 발생 장치(34)를 통해, 방전부(33)의 방전을 제어한다.
또, 고전압 발생 장치(34)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예컨대, 과잉 전류가 흐르는 것을 제한하는 등의 보호 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전 전극(31)에 양전위를 인가하고, 또한 대향 전극(32)에 음전위를 인가하도록 고전압 발생 장치(34)를 구성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은,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전이 일어나는 것이면, 방전 전극(31) 및 대향 전극(32) 각각에 인가하는 전위의 극성은 제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정화 장치(8)에 있어서, 방전 전극(31)에 음전위를 인가하면서 대향 전극(32)에 양전위를 인가하면,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에서 방전, 구체적으로는 코로나 방전이 일어난다. 즉,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으로부터 대향 전극(32)을 향해 전자가 방출된다.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는, 전계에 의해 가속된다. 이 전자가 기체 분자와 충돌하면, 이 기체 분자에 운동 에너지가 주어진다. 그것에 의해, 기류가 발생한다. 또한, 전자가 산소 분자에 충돌하면, 그 분자 결합이 끊어지고, 그것에 의해 산소 원자가 생성된다. 이 산소 원자와 산소 분자로부터 오존이 생성된다. 또한, 전자가 기체 입자에 트랩되면, 마이너스로 대전한 마이너스 이온 입자가 생성된다. 따라서, 마이너스 이온 입자를 포함하는 이온풍이 발생한다. 방전 전극(31)과 대향 전극(32)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생기는 이온풍은, 방전 전극(31)으로부터 대향 전극(32)을 향해 흐른다.
또, 공기 조화기는, 정화 장치(8)에 의해 발생된 마이너스 이온에 의해 실내 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 운전을 실행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 집진 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집진 운전은, 루버(7)에 의해 배출구(3)를 연 상태에서 송풍팬(5)을 작동시킴과 아울러, 정화 장치(8)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실시된다. 또,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을 행하면서, 정화 장치(8)를 작동시키더라도 좋다.
집진 운전시, 정화 장치(8)에 의해 발생된 마이너스 이온은, 송풍팬(5)에 의해 배출구(3)를 거쳐 실내 공간에 공급된다. 마이너스 이온은 실내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킨다. 대전된 먼지는, 흡입구(2)를 거쳐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에 흡입되고, 에어 필터(4)에 포집된다. 또, 포집 효율을 올리기 위해, 에어 필터(4)를, 전압 인가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대전 상태의 먼지의 극성과 반대의 극성으로 대전시키더라도 좋다.
또한, 집진 운전시, 정화 장치(8)에 의해 생성된 이온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에서 중화되기 전에, 송풍팬(5)의 회전수를 올리는 것에 의해, 실내 공간에 이온을 급속히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집진이 강하게 요구되는 경우에도, 송풍팬(5)의 회전수를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송풍팬(5)의 회전수를 올리면, 실내 공간으로의 이온 방출량이 증가함과 아울러, 실내 유닛의 본체(1) 내로의 실내 공기의 흡입량도 증가한다.
또한, 정화 장치(8)에 의해 발생된 이온을 이용하여 집진 운전을 실시하는 경우, 정화 장치(8)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구(2)와 배출구(3)를 연결하는 통풍로 또는 그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화 장치(8)는, 배출구(3)의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정화 장치(8)에 의해 발생된 오존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로 확산되도록, 즉 오존을 포함하는 이온풍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에 흐르도록, 대향 전극(32)이 방전 전극(31)(선단(31a))에 비하여 통풍로측에 배치되도록 정화 장치(8)를 실내 유닛의 본체(1)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방전 전극(31)에 음전위가 인가되고, 대향 전극(32)에 양전위가 인가되는 경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온풍은 통풍로를 거쳐 실내 유닛의 본체(1)의 중심을 향해 흐르고, 이온풍에 포함되는 오존이 본체(1) 내로 확산된다. 그것에 의해, 오존에 의해, 송풍팬(5), 열교환기(6), 및 에어 필터(4)를 충분히 살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이온풍의 흐름이 위쪽을 향하도록 정화 장치(8)를 배출구(3) 근방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공기에 비하여 비중이 높은 오존을, 실내 유닛의 본체(1) 내의 위쪽에 배치된 에어 필터(4) 근방까지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정화 장치(8)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술한 바와 같이, 발명자는,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형상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의해 오존 발생 속도가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구체적으로는,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마모를 원인으로 하는, 선단(31a)의 곡률반경의 변화에 의해 오존 발생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발명자는 발견했다. 따라서,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에 근거하여, 소정의 범위 내의 오존량이 발생하도록 정화 장치(8)의 방전부(33)의 방전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에 근거하여, 소정의 범위 내의 오존량이 발생하도록 정화 장치(8)의 방전부(33)의 방전을 제어하기 위해, 발명자는, 오존 발생 속도, 이온 발생 속도, 및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의 관계를 다양한 실험에 의해 발견했다.
도 9는 방전 전류의 적분치와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그래프의 수평축은 방전 전류의 적분치를 나타내고, 수직축은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을 나타내고 있다. 방전 전류는, 방전시에 흐르는 전류로서, 그 값은, 예컨대 방전 전극(31)과 고전압 발생 장치(34)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치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은, 방전 전류의 적분치가 증가함에 따라서 단조적으로 증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초기 단계, 즉 방전 전류 적분치가 Q0.1에 도달하기까지는, 곡률반경은, 급격히 0.1㎜ 정도로 증가한다. 그 이후는, 곡률반경은 완만하게 증가한다. 이것은, 방전에 의해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이 마모되고, 선단(31a)의 곡률반경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곡률반경이 작은 초기 단계에서는 약간의 마모에 의해 곡률반경이 크게 변화한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내는 관계를 보면,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마모량이 방전 전류의 적분치에 대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관계를 이용하면, 방전 전류 적분치에 근거하여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방전부(33)로부터 발생한 단위 시간당 오존 발생량(즉 오존 발생 속도), 단위 시간당 이온 발생량(즉 이온 발생 속도), 및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그래프의 수평축은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을 나타내고, 좌측의 수직축은 오존 발생 속도를 나타내고, 우측의 수직축은 이온 발생 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존 발생 속도(실선)는,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이 0.1㎜에 도달하기까지는, 비교적 급격히 증가한다. 그 이후는,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이 rend1에 도달하기까지, 완만하게 증가한다.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이 rend1을 넘으면, 오존 발생 속도는 급격히 감소한다.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이 rend2가 되면, 오존 발생 속도는 0이 된다.
오존 발생 속도의 상승은, 방전에 의해 진행되는 마모에 의해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이 증가하고, 그것에 의해 선단(31a) 근방의 방전장(discharge field)이 확대되기 때문에 일어난다고 생각된다. 또한,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이 rend1보다 커지면, 전계가 과도하게 약해지기 때문에 방전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고 생각된다.
한편, 이온 발생 속도(점선)는,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이 remd1에 도달하기까지는,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이 rend1보다 커지면, 이온 발생 속도는 급격히 감소한다. 선단(31a)의 곡률반경이 rend2가 되면 이온 발생 속도는 0이 된다. 이 이온 발생 속도의 급격한 감소는, 오존 발생 속도의 급격한 감소와 마찬가지로, 방전 전극(31)의 선단(31a) 근방의 전계가 약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이 증가함에 따라서, 이온 발생 속도는 거의 변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오존 발생 속도는 단조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오존 발생 속도 및 이온 발생 속도의 양쪽이, 방전 전극(31)의 선단(31a) 곡률반경이 rend1을 넘으면, 급격히 감소한다.
여기까지는 정화 장치(8) 단독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여기부터는, 정화 장치(8)를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에 설치한 경우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과 실내 유닛 내의 오존 농도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그래프의 수평축은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을 나타내고, 수직축은 실내 유닛 내의 오존 농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 유닛 내의 오존 농도는,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의 변화에 대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오존 발생 속도와 마찬가지로 변화한다. 그러나, 초기의 오존 농도 CuniO30에 대한 오존 농도의 증가의 정도는, 도 10에 나타내는 초기 오존 발생 속도 VO30에 대한 오존 발생 속도의 증가의 정도에 비하여 크다. 이것은, 실내 유닛 내로부터 외부로의 오존의 누출이 발생하고, 방전부(33)의 오존 발생 속도가 상승하면, 오존 누출의 오존 농도 저하로의 기여가 상대적으로 저하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내는 정화 장치(8)의 오존 발생 속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보다, 실내 유닛 내의 오존 농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그 때문에, 실내 유닛 근방에 오존 냄새가 발생하거나, 공기 조화기가 장기 사용되면 실내 유닛 내의 부재가 열화되는 일이 있다.
오존에 의해 열화되기 쉬운 실내 유닛 내의 부재는, 특히 고무로 제작된 부재이다. 이중결합을 갖는 고무로 작성된 부재는, 오존에 노출되는 것에 의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송풍팬(5)의 제진 고무가 크랙의 발생 등에 의해 열화되면, 소음, 진동 등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실내 유닛 내의 부재에 사용되는 고무 재료로서, 예컨대, 부틸 고무, 니트릴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등이 있다.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및 실리콘 고무는, 오존에 대한 내성을 구비하지만, 전자는 제진성의 관점에서, 후자는 비용의 관점에서 사용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오존에 대한 내성의 첨가제가 가해진 부틸 고무, 니트릴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가 사용된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고무 재료로 제작된 부재라도, 오존에 과잉 노출되면 열화가 생긴다.
또한, 금속 재료로 제작된 부재는, 오존에 의해 그 표면이 부식될 가능성이 있다. 예컨대, 전기 접점이 부식되면, 그 전기 저항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예컨대, 모터 등의 구동원의 슬라이딩 부분이 부식되면, 그 구동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까지 설명한, 방전 전류의 적분치와,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과, 실내 유닛 내의 오존 농도의 관계에 근거하여, 제어부(9)는, 소정의 범위 내의 오존량이 발생하도록 정화 장치(8)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면서, 제어부(9)가 실행하는 정화 장치(8)의 제어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흐름은, 클린 운전 중에 실행되는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 S1에 있어서, 제어부(9)는, 우선, 방전 전류의 적분치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방전 전류를 정기적으로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방전 전류의 값을 시간 적분하는 것에 의해 방전 전류의 적분치가 산출된다. 또, 전류치의 변화는 작기 때문에, 1초~수 분의 범위 내의 시간 간격의 샘플링으로 충분하다.
다음으로, 단계 S2에 있어서, 제어부(9)는, 도 9에 나타내는 방전 전류의 적분치와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의 관계에 근거하여, 단계 S1에서 산출한 방전 전류의 적분치에 대응하는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을 결정한다. 예컨대, 방전 전류의 적분치 Qx에 대응하는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 rx가 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현재의 곡률반경을 알 수 있다.
계속하여, 단계 S3에 있어서, 제어부(9)는, 도 11에 나타내는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과 실내 유닛 내의 오존 농도의 관계에 근거하여, 단계 S3에서 결정된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에 대응하는 실내 유닛 내의 오존 농도를 결정한다. 예컨대,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 rx에 대응하는 실내 유닛 내의 오존 농도 CuniO3x가 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현재의 오존 농도를 알 수 있다.
단계 S4에 있어서, 제어부(9)는, 단계 S3에서 결정된 실내 유닛 내의 오존 농도에 근거하여, 클린 운전에 있어서의 정화 장치(8)의 방전부(33)의 구동률을 결정한다.
제어부(9)는, 고전압 발생 장치(34)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방전부(33)의 방전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정화 장치(8)에 의해 실내 유닛의 본체(1) 내를 정화할 때(클린 운전 중), 제어부(9)는, 고전압 발생 장치(34)를 통해, 방전부(33)의 방전의 실행(ON)과 정지(OFF)를 교대로 반복하여 실행한다. 구동률은, 단위 시간당 ON의 시간으로서, 예컨대, 듀티비이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S3에서 결정된 실내 유닛 내의 오존 농도의 증가에 대응하여, 방전부(33)의 구동률을 감소시킨다. 예컨대, 현재의 오존 농도 CuniO3x가 초기의 오존 농도 CuniO30에 대하여 α배로 증가하여 있으면, 구동률을 초기의 구동률에 대하여 1/α배로 저감한다.
구동률=초기 구동률×(CuniO30/CuniO3x)
상술한 식을 이용하여 구동률은 결정된다. 이 식에 근거하면, 정화 장치(8)로부터 발생하는 오존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단, 구동률의 값에 따라 방전시의 오존 발생 속도가 변화하는 경우, 구동률의 보정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오존의 발생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동률을 설정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실내 유닛 내의 부재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실내 유닛 근방에 오존 냄새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실내 유닛의 본체(1) 내를 충분히 살균할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의 오존량이 발생하도록 구동률을 설정하면 된다. 소정의 범위의 오존량은, 방전부(33)의 크기, 인가 전압, 실내 유닛의 크기 및 구조 등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오존 냄새나 부재 열화의 정도를 실제로 확인하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단계 S5에 있어서, 제어부(9)는, 단계 S4에서 결정된 구동률을 이용하여 고전압 발생 장치(34)를 거쳐 방전부(33)의 방전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9)는, 구동률에 근거하여, 고전압 발생 장치(34)에 방전부(33)로의 전압 인가를 단속적이고 주기적으로 실행시킨다. 단속적인 전압 인가의 주기는, 수 초로부터 수 10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흐름에 있어서, 단계 S2에 나타내는 제어는 생략 가능하다. 단계 S1에서 산출되는 방전 전류의 적분치와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명하게 대응하고, 또한, 선단(31a)의 곡률반경과 단계 S3에서 결정되는 오존 농도도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명하게 대응한다. 그 때문에, 방전 전류의 적분치와 오존 농도도 분명하게 대응한다. 따라서, 미리 실험적으로 구해진 방전 전류의 적분치와 오존 농도의 대응관계와, 단계 S1에서 산출되는 방전 전류의 적분치에 근거하여, 오존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더라도,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에 근거하여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전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범위 내의 양의 오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오존을 원인으로 하는 실내 유닛 내의 부재의 열화가 보다 억제된다. 또한, 구동률에 의해 방전부(33)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방전부(33)의 인가 전압을 제어하는 경우에 비하여, 저렴하게 오존 발생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인가 전압을 제어하는 경우, 고전압 발생 장치(34)를 출력 전압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실시의 형태 6)
본 실시의 형태 6은, 누계의 방전 시간을 이용하여 방전 전극의 선단의 곡률반경을 결정하는 점과, 방전 시간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실내 유닛 내의 오존 농도를 제어하는 점에서, 실시의 형태 5와 다르다.
이하, 실시의 형태 6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방전부(33)의 누계의 방전 시간(방전 시간의 합계)과,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그래프의 수평축은 누계의 방전 시간을 나타내고, 수직축은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계의 방전 시간의 증가에 따라서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이 단조적으로 증가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누계의 방전 시간과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의 관계와, 도 9에 나타내는 방전 전류의 적분치와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 관계가, 거의 같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누계의 방전 시간으로부터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을 결정할 수 있다.
이 이유는, 도 14에 나타내는 누계의 방전 시간과 방전 전류의 관계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전 전류(수직축)는, 누계의 방전 시간(수평축)의 증가에 따라서 단조적으로 감소한다. 이와 같이, 누계의 방전 시간에 대하여 방전 전류가 분명하게 대응하기 때문에, 누계의 방전 시간에 대하여 방전 전류의 적분치도 분명하게 대응한다. 따라서, 도 13에 나타내는 관계를 이용하여, 방전 전류의 적분치 대신에 누계의 방전 시간으로부터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의 형태 6의 방전부(33)의 제어를,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흐름은, 클린 운전 중에 실행되는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단계 S11에 있어서, 누계의 방전 시간을, 제어부(9)는 산출한다. 누계의 방전 시간은, 예컨대, 정기적으로 방전 전류의 유무를 검출하고, 방전 전류가 흐르고 있는 시간을 적산하는 것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또, 정기적으로 행하는 방전 전류의 검출 간격은, 방전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고 나서 끝나기까지의 사이의 시간의 1/100 정도 이하의 시간인 것이, 정확도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단계 S12에 있어서, 제어부(9)는, 도 13에 나타내는 누계의 방전 시간과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의 관계와, 단계 S11에서 산출된 누계의 방전 시간에 근거하여,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을 결정한다. 누계의 방전 시간이 tx인 경우, 대응하는 곡률반경 rx가 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현재의 곡률반경을 알 수 있다.
단계 S13에 있어서, 제어부(9)는, 도 11에 나타내는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과 실내 유닛 내의 오존 농도의 관계와, 단계 S12에서 결정된 곡률반경에 근거하여, 오존 농도를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실내 유닛 내의 현재의 오존 농도를 알 수 있다.
단계 S14에 있어서, 제어부(9)는, 단계 S13에서 결정된 실내 유닛 내의 오존 농도에 근거하여, 클린 운전의 실시 시간(클린 운전 시간)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실내 유닛 내의 오존 농도의 증가에 대응하여, 방전부(33)의 방전 시간을 감소시킨다. 예컨대, 실내 유닛 내의 오존 농도 CuniO3x가 초기의 오존 농도 CuniO30에 대하여 α배로 증가하여 있으면, 방전 시간을 초기에 대하여 1/α배로 저감한다.
클린 운전 시간=초기 클린 운전 시간×(CuniO30/CuniO3x)
상술한 식을 이용하여 클린 운전 시간은 결정된다. 이 식에 근거하면, 정화 장치(8)로부터 발생하는 오존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단, 클린 운전 시간의 값에 의해 방전시의 오존 발생 속도가 변화하는 경우, 클린 운전 시간의 보정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오존의 발생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클린 운전 시간을 설정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실내 유닛 내의 부재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실내 유닛 근방에 오존 냄새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실내 유닛의 본체(1) 내를 충분히 살균할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의 오존량이 발생하도록 클린 운전 시간을 설정하면 된다.
최후의 단계 S5에 있어서, 제어부(9)는, 단계 S4에서 결정된 클린 운전 시간, 방전부(33)를 제어하여 계속 방전한다(오존을 계속 발생시킨다).
또, 방전부(33)의 제어에, 시간(클린 운전 시간)을 이용했지만, 아울러서 구동률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의 결정에 방전 전류의 적분치를 이용하고, 방전부(33)의 제어에 시간을 이용할 수도 있다. 혹은,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의 결정에 누계의 방전 시간을 이용하고, 방전부(33)의 제어에 구동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의 형태 5와 마찬가지로,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더라도,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에 근거하여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전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범위 내의 양의 오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오존을 원인으로 하는 실내 유닛 내의 부재의 열화가 보다 억제된다. 또한, 방전 전류의 적분치가 아닌, 누계의 방전 시간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을, 간단히 결정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7)
본 실시의 형태 7은, 실시의 형태 5 및 6을 개량한 형태이다.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이, 한계의 곡률반경(한계 선단 곡률반경)에 도달했을 때에, 방전부(33)의 방전을 정지시키는 점에서 실시의 형태 5 및 6과 다르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 7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은 본 실시의 형태 7에 따른, 제어부(9)가 실행하는 정화 장치(8)의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정화 장치(8)의 제어의 흐름은, 도 15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 6에 따른 정화 장치(8)의 제어의 흐름과 유사하다. 따라서, 다른 부분만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5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 6의 단계 S11과 마찬가지로, 단계 S21에 있어서, 제어부(9)는, 누계의 방전 시간을 산출한다.
단계 S22에 있어서, 도 15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 6의 단계 S12와 마찬가지로, 제어부(9)는, 단계 S21에서 산출한 누계의 방전 시간에 근거하여,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을 결정한다.
단계 S23에 있어서, 제어부(9)는, 단계 S22에서 결정한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이, 한계 선단 곡률반경에 비하여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말하는 「한계 선단 곡률반경」은, 실내 유닛 내의 부재에 치명적인 열화가 생기는 양의 오존을 발생시킬 수 있는, 미리 실험 등에 의해 도출되고, 실내 유닛 내의 구성에 따라 다른,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이다. 따라서,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이 한계 선단 곡률반경을 넘은 상태에서 클린 운전이 실시되면, 실내 유닛 내의 부재에 치명적인 열화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단계 S22에서 결정한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 rx가 한계 선단 곡률반경 rlimit에 비하여 작은 경우(아니오의 경우), 단계 S24로 진행한다. 한편, 그렇지 않은 경우(예의 경우), 단계 S27로 진행한다.
단계 S24에 있어서, 도 15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 6의 단계 S13과 마찬가지로, 제어부(9)는, 단계 S22에서 결정한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에 근거하여, 실내 유닛 내의 오존 농도를 결정한다.
단계 S25에 있어서, 도 15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 6의 단계 S14와 마찬가지로, 제어부(9)는, 단계 S24에서 결정한 오존 농도에 근거하여, 클린 운전 시간을 결정한다. 그리고, 단계 S26에 있어서, 제어부(9)는, 단계 S24에서 결정한 클린 운전 시간에 근거하여 방전부(33)를 제어한다.
한편, 단계 S23에서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 rx가 한계 선단 곡률반경 rlimit에 비하여 크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7에 있어서, 제어부(9)는, 클린 운전 시간을 제로로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9)는, 단계 S26에 있어서, 제로의 클린 운전 시간에 근거하여 방전부(33)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방전부(33)가 방전을 정지한다. 바꿔 말하면 클린 운전이 중단되거나 또는 개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에 근거하여, 실내 유닛 내의 부재에 치명적인 열화가 생기는 양의 오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에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7은 본 실시의 형태 7의 개량 형태에 따른, 제어부(9)가 실행하는 정화 장치(8)의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정화 장치(8)의 제어의 흐름은, 도 16에 나타내는 정화 장치(8)의 제어의 흐름과 유사하다. 따라서,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단계 S24에 계속되는 단계 S25'에 있어서, 제어부(9)는, 도 12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 5의 단계 S4와 마찬가지로, 단계 S24에서 결정한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에 근거하여, 방전부(33)의 구동률을 결정한다. 그리고, 다음의 단계 S26'에 있어서, 단계 S25'에서 결정한 구동률에 근거하여 방전부(33)를 제어한다.
한편, 도 17에 나타내는 단계 S23에 있어서,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 rx가 한계 선단 곡률반경 rlimit에 비하여 크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7'에 있어서, 제어부(9)는, 방전부(33)의 구동률을 제로로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9)는, 단계 S26'에 있어서, 제로의 구동률에 근거하여 방전부(33)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방전부(33)가 방전을 정지한다. 바꿔 말하면 클린 운전이 중단되거나 또는 개시되지 않는다.
이 개량 형태에 있어서도,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에 근거하여, 실내 유닛 내의 부재에 치명적인 열화가 생기는 양의 오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에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방전 전류의 적분치가, 한계의 방전 전류의 적분치(한계 방전 전류 적분치)에 도달했을 때도, 방전부(33)를 정지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말하는 「한계 방전 전류 적분치」는, 「한계 선단 곡률반경」에 대응하는 방전 전류의 적분치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전 전류의 적분치가 결정되면,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도 분명하게 결정된다. 따라서, 한계 선단 곡률반경 rlimit에 대응하는 한계 방전 전류 적분치 Qlimit가 존재한다. 이 한계 방전 전류 적분치는, 미리 실험 등에 의해 도출되고, 실내 유닛 내의 구성에 따라 다르다.
도 18은 실시의 형태 7의 개량 형태로서, 한계 방전 전류 적분치를 이용하는, 제어부(9)가 실행하는 정화 장치(8)의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정화 장치(8)의 제어의 흐름은, 도 12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 5의 정화 장치(8)의 제어의 흐름과 유사하다. 따라서, 다른 부분만 상세히 설명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9)는, 도 12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 5의 단계 S1과 마찬가지로, 단계 S31에 있어서, 방전 전류의 적분치를 산출한다.
단계 S32에 있어서, 제어부(9)는, 단계 S31에서 산출한 방전 전류의 적분치 Qx가 한계 방전 전류 적분치 Qlimit에 비하여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작은 경우(아니오의 경우), 단계 S33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예의 경우), 단계 S37로 진행한다.
단계 S33에 있어서, 제어부(9)는, 도 12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 5의 단계 S2와 마찬가지로, 단계 S31에서 산출한 방전 전류의 적분치에 근거하여,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을 결정한다.
단계 S34에 있어서, 제어부(9)는, 도 12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 5의 단계 S3과 마찬가지로, 단계 S33에서 결정한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에 근거하여, 실내 유닛 내의 오존 농도를 결정한다.
단계 S35에 있어서, 제어부(9)는, 도 12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 5의 단계 S4와 마찬가지로, 단계 S33에서 결정한 실내 유닛 내의 오존 농도에 근거하여 방전부(33)의 구동률을 결정한다. 그리고, 단계 S36에 있어서, 제어부(9)는, 단계 S35에서 결정한 구동률에 근거하여 방전부(33)를 제어한다.
한편, 단계 S32에서 방전 전류의 적분치 Qx가 한계 방전 전류 적분치 Qlimit에 비하여 크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37에 있어서, 제어부(9)는, 방전부(33)의 구동률을 제로로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9)는, 단계 S36에 있어서, 제로의 구동률에 근거하여 방전부(33)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방전부(33)가 방전을 정지한다. 바꿔 말하면 클린 운전이 중단되거나 또는 개시되지 않는다.
또, 방전 전류가 흐르고, 방전 전류의 적분치가 소정의 한계 방전 전류 적분치에 도달하면 단선되는 퓨즈를 정화 장치(8)에 마련하더라도 좋다. 퓨즈가 단선되면, 방전부(33)의 구동률이 제로가 된다. 즉 방전부(33)로의 전류 공급이 정지되고, 방전이 정지된다. 퓨즈에 의해 방전부(33)의 방전을 기계적으로 정지시키기 때문에, 소정의 한계 방전 전류 적분치를 검출하여 방전부(33)의 방전이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경우에 비하여, 정화 장치(8)(즉 공기 조화기)의 신뢰성이 높다. 또한, 방전부(33)의 방전이, 퓨즈에 의해 기계적으로, 또한 제어에 의해 정지하도록 정화 장치(8)를 구성하면, 더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방전 전극(31)의 선단(31a)의 곡률반경이 한계 선단 곡률반경을 넘었을 때에 또는 방전 전류의 적분치가 한계 방전 전류 적분치를 넘었을 때에, 방전부(33)의 방전을 정지하는 것에 의해, 실내 유닛 내의 부재에 치명적인 열화가 생길 수 있는 양의 오존의 발생이 억제된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에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복수의 실시의 형태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술한 복수의 실시의 형태 중 임의의 실시의 형태를 적절히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는 열교환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이지만, 본 발명은,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공기 조화기, 이른바 공기 청정기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이 숙련된 사람들에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따른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그 안에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2011년 6월 1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1-134885호, 2012년 2월 2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2-033720호, 및 2012년 2월 2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2-033724호 각각의 명세서, 도면, 및 특허청구범위의 개시 내용은, 전체적으로 참조되어 본 명세서의 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산업상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정화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에 의해 실내 유닛 내를 정화한 후, 송풍팬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실내 유닛 내에 잔존하는 오존을 효과적으로 외부에 배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오존을 원인으로 하는 실내 유닛 내의 부재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 및 정화 장치를 갖는 공기 조화기이면, 가정용, 업무용을 불문하고,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1 : 본체 2 : 흡입구
3 : 배출구 4 : 에어 필터
5 : 송풍팬 6 : 열교환기
7 : 루버 8 : 정화 장치
9 : 제어부 10 : 흡입 공기 온도 검출 수단
11 : 운전 전환 수단 12 : 압축기
13 : 열교환기 온도 검출 수단

Claims (20)

  1. 송풍팬과, 방전에 의해 적어도 오존을 발생시키는 정화 장치를 내부에 구비하는 실내 유닛을 갖고, 상기 정화 장치에 의해 발생된 오존에 의해 상기 실내 유닛 내를 정화하는 공기 조화기로서,
    공조 운전을 정지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 경과하기까지 상기 정화 장치가 작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실내 유닛 내를 정화하고,
    상기 정화 장치의 정지 후, 상기 송풍팬이 작동하여 상기 실내 유닛 내의 오존을 외부에 배출하는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실내로부터 상기 실내 유닛 내에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흡입 공기 온도 검출 수단을 더 갖고,
    상기 흡입 공기 온도 검출 수단의 검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정화 장치의 정지 후의 상기 송풍팬의 작동 시간인 정화 후 작동 시간이 결정되는
    공기 조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상기 정화 후 작동 시간이, 상기 정화 장치의 작동이 개시되기 전의 공조 운전 모드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공기 조화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루버
    를 더 갖고,
    상기 루버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정화 장치가 작동하고, 그 후 상기 루버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이 작동하는
    공기 조화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장치의 정지 후, 난방 운전을 실행하면서, 상기 송풍팬이 작동하는 공기 조화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방 운전을 정지한 후에, 상기 송풍팬이 작동하여 상기 실내 유닛 내를 건조시키고,
    상기 송풍팬의 정지 후에, 상기 정화 장치에 의한 상기 실내 유닛 내의 정화가 개시되는
    공기 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 내에 배치된 열교환기와,
    실내로부터 상기 실내 유닛 내에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흡입 공기 온도 검출 수단과,
    상기 열교환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열교환기 온도 검출 수단
    을 더 갖고,
    냉방 운전을 정지하고 나서 상기 정화 장치에 의한 정화가 개시되기까지의 상기 송풍팬의 작동 시간인 정화 전 작동 시간이, 상기 흡입 공기 온도 검출 수단의 검출 온도와 상기 열교환기 온도 검출 수단의 검출 온도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공기 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실외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외 온도 검출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실외 온도 검출 수단의 검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송풍팬의 정화 전 작동 시간을 증감하는
    공기 조화기.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루버
    를 더 갖고,
    상기 공기 조화기의 냉방 운전 정지 후에, 상기 루버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이 작동하고, 그 후 상기 루버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정화 장치가 작동하는
    공기 조화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장치가, 뾰족한 선단을 구비하는 방전 전극에 의해 적어도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전을 실행하는 방전부와, 방전부의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전 전극의 선단의 곡률반경에 근거하여, 소정의 범위 내의 오존량이 발생하도록, 상기 방전부의 방전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전극의 선단의 곡률반경을, 상기 방전부의 누계의 방전 시간에 의해 결정하는 공기 조화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전극의 선단의 곡률반경을, 방전 전류의 적분치에 의해 결정하는 공기 조화기.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방전부의 구동률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오존 발생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유지하는 공기 조화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전 전극의 선단의 곡률반경이 소정의 한계 선단 곡률반경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방전부의 구동률을 제로로 하는 공기 조화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의 방전 전류가 흐르고, 상기 방전 전류의 적분치가 소정의 한계 방전 전류 적분치에 도달하면 단선되는 퓨즈를 더 갖고,
    상기 퓨즈가 단선되면, 상기 방전부의 구동률이 제로가 되는
    공기 조화기.
  16.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방전부의 방전 시간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오존 발생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유지하는 공기 조화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전 전극의 선단의 곡률반경이 소정의 한계 선단 곡률반경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방전부의 방전 시간을 제로로 하는 공기 조화기.
  18. 제 10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에 의해 발생한 이온을 실내에 방출하는 집진 운전을 실행하는 공기 조화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가 통풍로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가, 음전위가 인가된 상기 방전 전극과, 상기 방전 전극의 선단과 대향하고, 양전위가 인가된 대향 전극으로 구성되고,
    상기 방전부에 의해 발생하는 이온풍이 상기 통풍로를 거쳐 상기 실내 유닛 내에 흐르도록, 상기 대향 전극이 상기 방전 전극에 비하여 상기 통풍로측에 배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
KR1020137030873A 2011-06-17 2012-06-14 공기 조화기 KR201400294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34885 2011-06-17
JP2011134885 2011-06-17
JP2012033724 2012-02-20
JPJP-P-2012-033720 2012-02-20
JP2012033720 2012-02-20
JPJP-P-2012-033724 2012-02-20
PCT/JP2012/003893 WO2012172807A1 (ja) 2011-06-17 2012-06-14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457A true KR20140029457A (ko) 2014-03-10

Family

ID=47356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873A KR20140029457A (ko) 2011-06-17 2012-06-14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991679B2 (ko)
KR (1) KR20140029457A (ko)
CN (1) CN103582784A (ko)
BR (1) BR112013030534A2 (ko)
WO (1) WO20121728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3449B (zh) * 2013-11-11 2016-03-30 王云锋 空气除臭杀菌装置及其方法
KR101554722B1 (ko) * 2015-01-23 2015-09-21 황용희 풍량 가변장치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N109114734B (zh) * 2018-08-13 2020-03-0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装置、空调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876969B1 (ja) * 2019-12-12 2021-05-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およびその室内カビ繁殖抑制方法
US20210222898A1 (en) * 2020-01-17 2021-07-22 Inceptus Incorporated Cover assembly for disinfecting an air conditioner
CN113819573B (zh) * 2021-10-27 2022-05-06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等离子杀菌模式下臭氧的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916A (ja) * 2000-08-11 2002-02-28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4237946B2 (ja) * 2001-01-31 2009-03-11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476514B2 (ja) * 2001-04-25 2010-06-09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490007B2 (ja) * 2001-08-28 2010-06-23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3106600A (ja) * 2001-09-28 2003-04-09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WO2003092752A1 (en) * 2002-05-01 2003-11-13 Smart Air Inc. Air sterilizer using ozone
JP2004020118A (ja) * 2002-06-19 2004-01-22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4114573B2 (ja) * 2003-08-13 2008-07-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オン発生部品、イオン発生ユニットおよびイオン発生装置
WO2007091366A1 (ja) * 2006-02-09 2007-08-16 Murata Manufacturing Co., Ltd. イオン発生器
WO2007091625A1 (ja) * 2006-02-09 2007-08-16 Murata Manufacturing Co., Ltd. イオン発生器及びそのオゾン量調整方法
JP2008045822A (ja) * 2006-08-17 2008-02-28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396688B2 (ja) * 2006-10-31 2010-01-1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5180489B2 (ja) * 2007-02-20 2013-04-10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2009127979A (ja) * 2007-11-27 2009-06-11 Toshiba Carrier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72807A1 (ja) 2012-12-20
JPWO2012172807A1 (ja) 2015-02-23
CN103582784A (zh) 2014-02-12
BR112013030534A2 (pt) 2017-03-01
JP5991679B2 (ja) 201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9457A (ko) 공기 조화기
JP4396688B2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4023512B1 (ja) 液処理装置、空気調和装置、及び加湿器
CN103109136B (zh) 产生臭氧和离子风的臭氧/离子发生装置和具有其的空气调节机
WO2006090659A1 (ja) 空気調和装置
WO2007074732A1 (ja) 自動フィルタ清掃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JP4668649B2 (ja) イオン発生装置を備えた電気機器
JP2020109350A (ja) 空気清浄機
JP4866225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H11325548A (ja) 空気清浄機能を有する空気調和機
JP4944230B2 (ja) イオン発生装置を備えた電気機器
JP2010063947A (ja) 空気清浄機
JP2007333365A (ja) 空気調和機
JP4803165B2 (ja) 自動フィルタ清掃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JP2009295359A (ja) イオン発生装置
JP2004286384A (ja) 給気口構造及び換気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建物
KR101297138B1 (ko)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JP5472494B2 (ja) 空気調和装置
JP2010071631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366924B2 (ja) 空気調和装置
WO2007043184A1 (ja) 空気調和機
JP2005207675A (ja) 空気調和機
JPH1163621A (ja) 空気調和機
JP2010276335A (ja) イオン発生装置を備えた電気機器
JP2011067500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