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867A -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 - Google Patents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867A
KR20140028867A KR1020120096161A KR20120096161A KR20140028867A KR 20140028867 A KR20140028867 A KR 20140028867A KR 1020120096161 A KR1020120096161 A KR 1020120096161A KR 20120096161 A KR20120096161 A KR 20120096161A KR 20140028867 A KR20140028867 A KR 20140028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center
block
tire
ground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훈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6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8867A/ko
Priority to CN201310169653.8A priority patent/CN103660802A/zh
Publication of KR20140028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1Shape of the shoulders between tread and sidewall, e.g. rounded, stepped or cantilev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 B60C11/03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by the void or net-to-gross ratios of the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핸들링 성능과 제동 성능을 확보하면서 웨트 그립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는 타이어 폭방향에 있어서 트레드의 전개폭을 TDW로 하고, 상기 TDW를 3등분 하여 중앙부분에는 센터부가 형성되며, 상기 센터부의 양측에는 숄더부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부에는 그루브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센터부 블록이 형성되며, 상기 숄더부에는 그루브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숄더부 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부 블록의 크기가 숄더부 블록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센터부의 평균 접지압력이 숄더부의 평균 접지압력보다 높다.

Description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tire improve wet grip}
본 발명은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젖은 노면에서 타이어의 미끌림에 의한 사고의 주요 원인은 젖은 노면에서의 하이드로 플래닝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트레드 고무 조성물에 반응성 레진으로서 α-메틸스티렌, 스티렌 및 인덴을 포함하여 인덴 부위가 반응성기인 말레인산으로 말레인화된 레진을 첨가함으로써, 회전 저항성능을 저하하지 않으면서 웨트 그립성능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타이어의 그루브 형상을 사다리꼴 형태로 모델링하여 배수성이 향상되는 그루브의 형상으로 설계함에 따라 빗길이나 젖은 노면에서 차량의 제동 및 제어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을 적용할 경우 타이어의 웨트 성능을 어느 정도 개선할 수는 있지만 그 효과가 크지는 않았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트레드 고무조성물에 불소수지 30~60부피%를 적용하여 배합 후, 그린케이스에 적용하였다. 하지만, 상기의 방법을 적용할 경우 트레드 전체 표면적의 30~60%를 마찰계수가 낮은 불소수지 조성물이 차지하기 때문에, 주행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05735호 (2005.07.26) 등록특허공보 제10-0284386호 (2000.12.1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핸들링 성능과 제동 성능을 확보하면서 웨트 그립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는 타이어 폭방향에 있어서 트레드의 전개폭을 TDW로 하고, 상기 TDW를 3등분 하여 중앙부분에는 센터부가 형성되며, 상기 센터부의 양측에는 숄더부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부에는 그루브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센터부 블록이 형성되며, 상기 숄더부에는 그루브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숄더부 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부 블록의 크기가 숄더부 블록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센터부의 평균 접지압력이 숄더부의 평균 접지압력보다 높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는 타이어 폭방향에 있어서 트레드의 전개폭을 TDW로 하고, 상기 TDW를 3등분 하여 중앙부분에는 센터부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부의 양측에는 숄더부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부에는 그루브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센터부 블록이 형성되며, 상기 숄더부에는 그루브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숄더부 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숄더부 블록의 크기가 센터부 블록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숄더부의 평균 접지압력이 센터부의 평균 접지압력보다 높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는, 타이어 트레드에 형성되는 센터부 블록의 크기를 숄더부 블록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여 센터부에 평균 접지압력을 집중시키므로서 핸들링 성능과 제동 성능을 확보하면서 타이어가 젖은 노면을 지나갈 때 센터부에서 수막이 빨리 부서지면서 물이 센터부의 그루브를 통해 빠른 속도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센터부의 그루브를 통해 배수되는 물이 숄더부의 그루브를 타고 빠른 속도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는, 타이어 트레드에 형성되는 숄더부 블록의 크기를 센터부 블록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여 숄더부에 평균 접지압력을 집중시키므로서 타이어가 젖은 노면을 지나갈 때 숄더부에서 수막이 빨리 부서지면서 물이 숄더부의 그루브를 통해 빠른 속도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는 타이어(1) 폭방향에 있어서 트레드(10)의 전개폭을 TDW로 하고, 상기 TDW를 3등분 하여 중앙부분에는 센터부(100)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부(100)의 양측에는 숄더부(1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센터부(100)에는 그루브(100a)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센터부 블록(101)들이 형성되고, 상기 숄더부(110)에는 그루브(110a)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숄더부 블록(111)들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센터부 블록(101)의 크기는 숄더부 블록(11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센터부 블록(101)의 높이는 숄더부 블록(111)과 동일하고 센터부 블록(101)의 폭은 숄더부(110)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타이어(1)가 주행하게 되면 상기 숄더부 블록(111)보다 작은 폭을 갖는 센터부 블록(101)은 숄더부 블록(111)보다 큰 접지압력을 받게되며, 이로 인해 센터부(100)에 접지압력이 집중되어 센터부(100)의 평균 접지압력이 숄더부(110)의 평균 접지압력보다 높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센터부(100)에 평균 접지압력을 집중시키는 이유는 센터부(100)가 숄더부(110) 대비 웨트 성능에 영향을 더 미치기 때문인데, 센터부(100)에 웨트 효과가 집중되면 타이어(1)가 젖은 노면을 지나갈때 센터부(100)에서 수막이 빨리 부서지면서 물이 센터부(100)의 그루브(100a)를 통해 빠른 속도로 배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센터부(100)의 그루브(100a)를 통해 배수되는 물은 숄더부(110)의 그루브(110a)를 타고 빠른 속도로 배수될 수 있다. 이를 하기 식 1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 1은 타이어가 젖은 노면을 지나갈 때 물 수심변화에 따른 시간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식 1을 참조하면 시간 t는 수심변화에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수심변화에 걸리는 시간이 짧을수록 웨트 그립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센터부 블록(101)의 크기가 숄더부 블록(111)의 크기보다 작을수록, 센터부(100)의 평균 접지압력이 숄더부(110)의 평균 접지압력보다 높을수록 시간 t가 짧아지게 되어 웨트 그립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센터부(100)의 평균 접지압력은 숄더부(110)의 평균 접지압력보다 1.01 ~ 2배 높게 설정되는데, 이는 상기 센터부(100)의 평균 접지압력이 숄더부(110)의 평균 접지압력의 1.01배 미만이 되면 웨트 그립 성능 개선에 대한 접지압 효과가 미비하고, 상기 센터부(100)의 평균 접지압력이 숄더부(110)의 평균 접지압력의 2배를 초과하면 센터부(100)에 조기마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센터부 블록(101)의 면적은 숄더부 블록(111) 면적의 0.2 ~ 1배의 범위 내로 설정되는데, 이는 상기 센터부 블록(101)의 면적이 숄더부 블록(111) 면적 대비 0.2배 미만이 되면 웨트 성능은 확보할 수 있으나 강성이 저하되어 수막을 깨는 힘이 저하되고, 상기 센터부 블록(101)의 면적이 숄더부 블록(111) 면적 대비 1배를 초과하면 수막을 깨는 효과가 감소하고 센터부(100)의 그루브(100a)의 면적이 작아져 물을 효율적으로 배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는 타이어(1) 폭방향에 있어서 트레드(10)의 전개폭을 TDW로 하고, 상기 TDW를 3등분 하여 중앙부분에는 센터부(100)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부(100)의 양측에는 숄더부(1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센터부(100)에는 그루브(100a)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센터부 블록(101)들이 형성되고, 상기 숄더부(110)에는 그루브(110a)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숄더부 블록(111)들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숄더부 블록(111)의 크기는 센터부 블록(10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숄더부 블록(111)의 높이는 센터부 블록(101)과 동일하고 숄더부 블록(111)의 폭은 센터부 블록(10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타이어(1)가 주행하게 되면 상기 센터부 블록(101)보다 작은 폭을 갖는 숄더부 블록(111)은 센터부 블록(101)보다 큰 접지압력을 받게되며, 이로 인해 숄더부(110)에 접지압력이 집중되어 결과적으로 숄더부(110)의 평균 접지압력이 센터부(100)의 평균 접지압력보다 높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숄더부(110)에 평균 접지압력을 집중되면 타이어(1)가 젖은 노면을 지나갈때 숄더부(110)에서 수막이 빨리 부서지면서 물이 숄더부(110)의 그루브(110a)를 통해 빠른 속도로 배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식과 같이 숄더부 블록(111)의 크기가 센터부 블록(101)의 크기보다 작을수록, 숄더부(110)의 평균 접지압력이 센터부(100)의 평균 접지압력보다 높을수록 시간 t가 짧아지게 되어 웨트 그립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숄더부(110)의 평균 접지압력은 센터부(100)의 평균 접지압력보다 1.01 ~ 2배 높게 설정되는데, 이는 상기 숄더부(110)의 평균 접지압력이 센터부(100)의 평균 접지압력의 1.01배 미만이 되면 웨트 그립 성능 개선에 대한 접지압 효과가 미비하고, 상기 숄더부(110)의 평균 접지압력이 센터부(100)의 평균 접지압력의 2배를 초과하면 숄더부(110)에 조기마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숄더부 블록(111)의 면적은 센터부 블록(101) 면적의 0.2 ~ 1배의 범위 내로 설정되는데, 이는 상기 숄더부 블록(111)의 면적이 센터부 블록(101) 면적 대비 0.2배 미만이 되면 웨트 성능은 확보할 수 있으나 강성이 저하되어 수막을 깨는 힘이 저하되고, 상기 숄더부 블록(111)의 면적이 센터부 블록(101) 면적 대비 1배를 초과하면 수막을 깨는 효과가 감소하고 숄더부(110)의 그루브(110a)의 면적이 작아져 물을 효율적으로 배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트레드 100 : 센터부
101 : 센터부 블록 100a,110a : 그루브
110 : 숄더부 111 : 숄더부 블록

Claims (6)

  1. 타이어 폭방향에 있어서 트레드의 전개폭을 TDW로 하고, 상기 TDW를 3등분 하여 중앙부분에는 센터부가 형성되며, 상기 센터부의 양측에는 숄더부가 형성된 타이어에서,
    상기 센터부에는 그루브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센터부 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숄더부에는 그루브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숄더부 블록이 형성되며,
    상기 센터부 블록의 크기가 숄더부 블록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센터부의 평균 접지압력이 숄더부의 평균 접지압력보다 높은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
  2. 제1항에서,
    상기 센터부의 평균 접지압력이 숄더부의 평균 접지압력보다 1.01 ~ 2배 높게 설정되는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
  3. 제1항 또는 2항에서,
    상기 센터부 블록의 면적이 숄더부 블록 면적의 0.2 ~ 1배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는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
  4. 타이어 폭방향에 있어서 트레드의 전개폭을 TDW로 하고, 상기 TDW를 3등분 하여 중앙부분에는 센터부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부의 양측에는 숄더부가 형성된 타이어에서,
    상기 센터부에는 그루브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센터부 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숄더부에는 그루브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숄더부 블록이 형성되며,
    상기 숄더부 블록의 크기가 센터부 블록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숄더부의 평균 접지압력이 센터부의 평균 접지압력보다 높은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
  5. 제4항에서,
    상기 숄더부의 평균 접지압력이 센터부의 평균 접지압력보다 1.01 ~ 2배 높게 설정되는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
  6. 제4항 또는 제5항에서,
    상기 숄더부 블록의 면적이 센터부 블록 면적의 0.2 ~ 1배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는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







KR1020120096161A 2012-08-31 2012-08-31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 KR20140028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161A KR20140028867A (ko) 2012-08-31 2012-08-31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
CN201310169653.8A CN103660802A (zh) 2012-08-31 2013-05-09 提高湿地抓力的轮胎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161A KR20140028867A (ko) 2012-08-31 2012-08-31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867A true KR20140028867A (ko) 2014-03-10

Family

ID=5030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161A KR20140028867A (ko) 2012-08-31 2012-08-31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28867A (ko)
CN (1) CN103660802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9395B2 (ja) * 1994-05-13 1999-08-0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3797757B2 (ja) * 1997-07-23 2006-07-1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4505515B2 (ja) * 2008-03-04 2010-07-21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106209B2 (ja) * 2008-03-28 2012-12-26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957786B2 (ja) * 2009-02-12 2012-06-20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141719B2 (ja) * 2010-06-02 2013-02-1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60802A (zh)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9846B2 (en) Tread for heavy vehicle tire
WO2015190273A1 (ja) タイヤ
JP5478284B2 (ja) タイヤ
JP2012101745A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加硫用金型
JP2007186121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7168628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9226976A (ja) 冬用タイヤ
KR101943484B1 (ko) 중장거리 안내 바퀴 타이어 패턴
EP3323639B1 (en) Tire tread
KR20140028867A (ko) 웨트 그립을 향상시킨 타이어
KR101878324B1 (ko) 중장거리 안내 바퀴 타이어 패턴
CN106183647B (zh) 冰雪路面轿车轮胎
JPWO2013015375A1 (ja) タイヤ
KR101190163B1 (ko) 종그루브를 개량하여서 된 스노우 타이어
KR101401314B1 (ko) 자동차용 타이어
CN203046760U (zh) 轿车子午线轮胎
CN104015570A (zh) 载重汽车全轮位轮胎胎面花纹
CN107074035B (zh) 在部分磨损状态下具有改进的湿地抓地性的轮胎
JP3210413B2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CN211617336U (zh) 一种越野车轮胎
JP5766541B2 (ja) タイヤ
CN215590407U (zh) 电动车轮胎花纹
JP5797965B2 (ja) タイヤ
CN107415597B (zh) 一种子午线轮胎胎面花纹结构的设计方法
KR101855596B1 (ko) 향상된 배수성능을 구비한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