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5426A -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5426A
KR20140025426A KR1020137028947A KR20137028947A KR20140025426A KR 20140025426 A KR20140025426 A KR 20140025426A KR 1020137028947 A KR1020137028947 A KR 1020137028947A KR 20137028947 A KR20137028947 A KR 20137028947A KR 20140025426 A KR20140025426 A KR 20140025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vehicle
actuating
sealing
sealing 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인홀드 야롤림
페터 옛징거
Original Assignee
크노-브램스 게셀샤프트 미트 베슈렌크터 하프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노-브램스 게셀샤프트 미트 베슈렌크터 하프퉁 filed Critical 크노-브램스 게셀샤프트 미트 베슈렌크터 하프퉁
Publication of KR20140025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60J10/86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arranged on the opening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3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 B61D19/005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sli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특히 레일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에 관한 것이며, 슬라이딩 도어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일이 슬라이딩 도어(1)의 상단 영역 및/또는 하단 영역(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일은 슬라이딩 도어의 횡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밀봉 립(3, 15)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밀봉 립은 슬라이딩 도어(1)의 이동 도중에 적어도 하나의 작동 수단 특히 작동 롤러(5)에 대한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밀봉 표면(7, 16)에 대해 상승한 또는 하강한 위치로 이동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SLIDING DOO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특히 레일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로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단 영역 및/또는 하단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슬라이딩 도어의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일이 배치되는, 슬라이딩 도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가 상단 영역 또는 하단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슬라이딩 도어의 높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일을 포함하는 차량, 특히 레일 차량에 관한 것이다.
승객의 쾌적성 요구가 커짐에 따라, 레일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의 소음 투과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도어 윙의 횡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 또는 상부 가장자리 영역을 밀봉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전술한 방식의 슬라이딩 도어 또는 레일 차량은 예컨대 DE 20 2008 003 774 U1에 개시되어 있다. 차량 도어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시일을 가진 슬라이딩 도어의 단점은 특히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도중에 시일의 마찰(drag)로 인해 슬라이딩력이 커지고, 그에 따라 마모가 커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슬라이딩 도어의 기능을 떨어뜨리거나 또는 슬라이딩력 및 마모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및/또는 하부 가장자리 영역의 양호한 밀봉을 보장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전술한 방식의 슬라이딩 도어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시일이 슬라이딩 도어의 횡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슬라이딩 도어에 배치되는 밀봉 립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밀봉 립이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수단, 특히 작동 롤러에 대한 슬라이딩 도어의 횡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밀봉 표면에 대해 상승한 또는 하강한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달성된다. 밀봉 립은 예컨대 슬라이딩 도어의 측벽에 배치될 수 있고,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시 함께 움직일 수 있거나 또는 차량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밀봉 립은 예컨대 차량의 케이싱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은, 밀봉 립과 작동 수단이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시 상대적인 운동을 하며, 상기 상대적인 운동은 밀봉 표면에 대해 밀봉 립의 상승 또는 하강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은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운동시 시일 또는 밀봉 립이 간단한 방식으로 그리고 자동으로 차량의 밀봉 표면으로부터 상승할 수 있어서 슬라이딩 운동을 방해하지 않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라, 밀봉 립의 길이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그리고 상기 밀봉 립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수단, 특히 적어도 하나의 작동 롤러용 가이드 링크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밀봉 립은 가이드 링크와 작동 수단의 상호 작용에 의해, 특히 가이드 링크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롤러의 롤링에 의해, 밀봉 표면에 대해 상승한 또는 하강한 위치로 이동된다. 롤러로서, 예컨대 슬라이딩 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는 작동 수단과 선회 가능한 가이드 링크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밀봉 립의 고장 없고 확실한 작동이 이루어진다.
매우 강하고 고장 없는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가이드 링크는 힌지형 조인트를 통해 장착 면, 특히 슬라이딩 도어의 측벽 또는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운동시 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차량 부품과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라, 가이드 링크에 복원력, 특히 스프링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가이드 링크가 작동 수단과 맞물리지 않거나 또는 상기 작동 수단과 접촉하지 않는 경우 규정된 출발 위치로 밀봉 립의 복원을 가능하게 한다.
가이드 링크와 작동 수단의 가능한 양호한 상호 작용을 보장하기 위해, 가이드 링크는 하나의 단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작동 수단, 특히 적어도 하나의 작동 롤러를 위한 도움닫기 구간(run-up phas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간단히 실시되는 변형예에 따라, 가이드 링크는 비틀림 강성을 갖는 막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변형예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시일의 양호하고 확실한 기능이 보장될 수 있다.
작동 수단에 의한 밀봉 표면에 대항한 밀봉 립의 가압을 허용하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라, 가이드 링크가 비틀림 강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직선으로 연장되는, 밀봉 립에 의해 커버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치우치게 되며 측벽으로부터 제1 영역보다 더 떨어져 있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작동 롤러용 도움닫기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경사진 전이면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전술한 방식의 차량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폐쇄 가능한 도어 개구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 측 영역에 밀봉 립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수단 특히 적어도 하나의 작동 롤러가 고정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밀봉 립이 도어 개구의 영역에 슬라이딩 도어의 횡방향으로 고정 배치되고, 밀봉 립을 위한 작동 수단이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되고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시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함께 이동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라, 작동 수단은,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 도중에, 밀봉 립과 연결되는 그리고 선회 가능하게 슬라이딩 도어의 측벽에 또는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운동시 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차량 부품에 고정되는, 가이드 링크의 밀봉 립으로부터 떨어진 측면과 접촉하고, 밀봉 립은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 상태에서 레일 차량의 밀봉 표면에 놓이고 개방 상태에서 밀봉 표면으로부터 상승하며 슬라이딩 도어의 측벽 방향으로 이동된다. 특히, 작동 수단은 작동 롤러로서 형성되고, 작동 롤러는 그의 롤링 도중에 밀봉 립으로부터 떨어진 가이드 링크의 측면과 접촉한다. 밀봉 립은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 상태에서 레일 차량의 밀봉 표면에 놓이며 개방 상태에서 밀봉 표면으로부터 상승하여 슬라이딩 도어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다른, 매우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라, 밀봉 립은, 슬라이딩 도어의 측벽에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는 또는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운동 도중에 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차량 부품에 고정되는, 가이드 링크 및 작동 수단, 특히 적어도 하나의 작동 롤러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밀봉 립은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 도중에 작동 수단, 특히 작동 롤러에 의해 레일 차량의 밀봉 표면에 대항하도록 이동된다.
본 발명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의 기능을 떨어뜨리거나 또는 슬라이딩력 및 마모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및/또는 하부 가장자리 영역의 양호한 밀봉이 보장된다.
이하, 본 발명이 다른 장점들과 함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되지만, 이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일을 구비한 개방된 또는 이동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 가장자리 영역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폐쇄된 상태의 도 1의 슬라이딩 도어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일을 구비한 개방된 또는 이동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가장자리 영역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폐쇄된 상태의 도 3의 슬라이딩 도어의 개략도.
도 5는 작동 수단을 도시하지 않은 도 1 내지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 가장자리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일을 구비한 개방된 또는 이동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변형예의 하부 가장자리 영역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슬라이딩 도어의 가이드 링크 및 작동 롤러의 확대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상이하게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전체 명세서에 포함된 공개 내용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진 동일한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선택된 위치 표시, 예컨대 상부, 하부, 측면 등은 직접 설명된 또는 도시된 도면에 관련되고 위치 변동시 새로운 위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및 설명된 상이한 실시예들에 나타나는 개별 특징들 또는 특징 조합들은 독자적인, 진보적인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특히 레일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는 슬라이딩 도어의 하단 영역(2)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일을 포함할 수 있다. 시일은, 슬라이딩 도어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슬라이딩 도어(1)의 측벽에 배치되는, 밀봉 립(3: sealing lip)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밀봉 립(3)은,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 도중에, 고정 장착된 고정 수단, 예컨대 고정 장착되는 작동 롤러(5)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밀봉 표면(7)을 향해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밀봉 표면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시된 변형예는 밀봉 립(3)이 차량에 고정 장착되는 작동 부재, 예컨대 롤러 블록(6)과 그 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작동 롤러(5)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실시예와 관련되지만,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작동 부재가 슬라이딩 도어(1)에 고정되며 밀봉 립(3)은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방향으로 차량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즉, 밀봉 립(3)은 예컨대 차량의 케이싱 내에 통합될 수 있는 한편, 작동 롤러(5)는 슬라이딩 도어(1)에 장착되어 개방 및 폐쇄시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기초가 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사상은 모든 변형예에서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은, 이 경우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방향으로 함께 움직이는 작동 수단(롤러 블록)에 대한 차량의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밀봉 립의 상대 운동에 의해 주어진다. 슬라이딩 도어(1)의 도어 윙은 이 경우 밀봉 립(3)을 위한 밀봉 표면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밀봉 립(3)이 작동 롤러(5)용 가이드 링크(4)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작동 롤러(5) 대신 다른 작동 수단, 예컨대 고정 슬라이딩 표면을 가진 블록이 제공될 수도 있다. 작동 롤러들(5)은 고정 롤러 블록(6)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링크(4)는 밀봉 립(3)의 길이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슬라이딩 도어(1)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변형예에 따르면, 가이드 링크(4)는 힌지형 조인트를 통해 슬라이딩 도어(1)의 측벽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크(4)는 밀봉 립(3)과 슬라이딩 도어(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 링크(4)는 비틀림 강성을 갖는 막대로서 형성된다.
밀봉 립(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 링크 상에서 작동 롤러(5)의 롤링에 의해 밀봉 표면(7)에 대해 상승한 또는 하강한 위치로 이동된다. 밀봉 표면(7)은 예컨대 차량의 바닥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된 또는 이동된 위치가 도시된다. 이 위치에서 작동 롤러(5)는 가이드 링크(4)의 작동 면 상에서 작동하거나 또는 상기 작동 면과 접촉함으로써 밀봉 립(3)은 밀봉 표면(7)으로부터 상승한다.
도 2에는 작동 롤러(5)가 가이드 링크(4)의 작동 면에 놓이지 않거나 또는 상기 작동 면과 접촉하지 않는,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된 위치가 도시된다. 이 위치에서, 밀봉 립(3)은 복원력에 의해 밀봉 표면(7)에 대항하도록 가압된다. 이는, 예컨대 밀봉 립(3)의 자중에 의해 또는 밀봉 립에 추가로 제공되는 중량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밀봉 립(3)을 밀봉 표면(7)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스프링력이 가이드 링크(4)에 가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인장 스프링은, 스프링의 자유 단부가 조인트의 레그들(8, 9)과 연결되도록, 가이드 링크가 고정되는 힌지 조인트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이 실시예에서, 작동 롤러(5)가 가이드 링크(4)의 작동 면과 접촉하지 않으면, 밀봉 표면(7)의 방향으로 밀봉 립(3)의 운동을 일으키는, 스프링의 임의의 다른 배치도 가능하다.
밀봉 립(3)은 슬라이딩 도어(1)의 개방시 밀봉 표면(7)으로부터 상승하고 슬라이딩 도어(1)의 폐쇄시 밀봉 표면(7)에 대항하도록 가압된다.
슬라이딩 도어(1)는 적어도 그 하부 자리에서 개방 및 폐쇄 과정 동안 가이드(10) 내에서, 예컨대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 홈 내에서 안내될 수 있다. 작동 롤러(5) 또는 상응하는 가이드 링크(4)용 작동 부재는 슬라이딩 도어(1)에 의해 폐쇄 가능한 도어 개구의 가장자리 측 영역 내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슬라이딩 도어(1)의 상부 영역(11)을 도시한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부 영역(11)은 가이드 링크(12) 및 이것과 상호 작용하는 작동 롤러(13) 또는 상응하는 작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동 롤러(13)는 고정 블록(14)에 장착된다. 도 1 및 도 2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이, 밀봉 립(15)은 가이드 링크(12)의 작동 면 상에서 작동 롤러(13)의 롤링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작동 롤러와 가이드 링크의 작동 면의 접촉은 슬라이딩 도어(1)의 횡방향 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작동 롤러와 가이드 링크(12)의 상호 작용이 나타난다.
가이드 링크(4 또는 12) 상에서 작동 롤러(5 또는 13)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가이드 링크(4 또는 12)는 각각 하나의 도움닫기 구간, 즉 작동 롤러(5 또는 13)용 경사진 작동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 링크(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변형예에서와 같이 힌지 조인트를 통해 측벽에 연결된다. 상부 밀봉 표면(1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밀봉 립(15)을 향한, 휘어진 프로파일의 전방 면에 의해 형성된다.
도 5에는 슬라이딩 도어(1)의 개방 또는 폐쇄 도중의 가이드(10)를 따르는 밀봉 립(3)의 운동이 도시된다. 밀봉 립(3)의 운동을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도 5에는 롤링 블록 또는 작동 롤러가 도시되지 않는다.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구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슬라이딩 도어(1)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개의 윙-도어의 각각의 윙은 본 발명의 의미에서 슬라이딩 도어를 형성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도 5의 가장자리 영역이 상세히 도시되며, 롤러(5) 및 롤러 블록(6)이 도시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밀봉 립(3)은 블록(17)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작동 롤러(5)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1)의 폐쇄 상태에서 밀봉 표면(7)에 대항하도록 가압된다. 밀봉 립(3)은 가이드 링크(18)와 연결된다. 가이드 링크(18) 상에서 작동 롤러(5)의 롤링에 의해, 가이드 링크(18)와 작동 롤러(5)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 립(3)이 밀봉 표면(7)에 대항하도록 가압된다.
밀봉 립(3)의 작동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고정 장착된 작동 롤러(5)에 대한 슬라이딩 도어(1) 이동 및 그에 따른 가이드 링크(18)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비틀림 강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링크(18)는 작동 롤러(5)에 의해, 그 사이에 있는 밀봉 립(3)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접촉된다. 반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링크(3)의 작동 면이 롤러(5)에 의해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립(3)은 작동 롤러(5) 또는 다른 적합한 작동 부재의 간접 또는 직접 접촉에 의해 밀봉 표면(7)으로부터 상승한 또는 하강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가이드 링크(18)는 도 8에 더 양호하게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직선으로 연장되는, 밀봉 립(3)에 의해 커버되는 제1 영역(19) 및 상기 제1 영역(19)으로부터 치우치게 되며 슬라이딩 도어(1)의 측벽으로부터 제1 영역보다 더 떨어져 있는 제2 영역(2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영역(20)은 작동 롤러(5)의 도움닫기 면을 형성한다. 제1 영역(19)과 제2 영역(20) 사이에 경사진 전이면(21)이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크(18)는 힌지 조인트(22)를 통해 슬라이딩 도어(1)의 측벽과 연결될 수 있다. 힌지 조인트(22)의 레그들(23, 24)은 나선형 스프링(25)에 의해 하중을 받을 수 있고, 상기 스프링의 단부는 레그들(23, 24)에 지지되며 힘을 힌지 조인트(22)의 개방 방향으로 가한다.
작동 롤러(5)는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1)의 폐쇄 상태에서 밀봉 립(3)을 스프링(25)의 힘에 대항해서 밀봉 표면(7)에 대항하도록 가압한다. 슬라이딩 도어(1)의 개방시 가이드 링크(18)는 스프링(25)의 힘에 의해 힌지 조인트(22)의 개방 방향으로 이동되고, 밀봉 립(3)이 밀봉 표면(7)으로부터 상승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시일이 슬라이딩 도어(1)의 하단 영역(2)에 관련되지만, 슬라이딩 도어(1)의 상단 영역(11)에서도 이러한 배치가 가능하다.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가능한 변형예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특별하게 도시된 변형예에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개별 변형예들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며, 상기 변형 가능성은 기술적 동작을 위한 원칙으로 인해, 상기 기술적 분야의 당업자의 능력 내에 있다. 도시되고 설명된 변형예의 개별 세부 사항의 조합에 의해 가능한 모든 변형예들도 포함된다.
1: 슬라이딩 도어 2: 하단 영역
3: 밀봉 립 4: 가이드 링크
5: 작동 롤러 6: 롤러 블록
7: 밀봉 표면 8: 레그
9: 레그 10: 가이드
11: 상부 영역 12: 가이드 링크
13: 작동 롤러 14: 블록
15: 밀봉 립 16: 밀봉 표면
17: 블록 18: 가이드 링크
19: 제1 영역 20: 제2 영역
21: 전이면 22: 힌지 조인트
23: 레그 24: 레그
25: 스프링

Claims (10)

  1. 차량, 특히 레일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1)로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1)의 상단 영역 및/또는 하단 영역(2)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슬라이딩 도어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일이 배치되는, 슬라이딩 도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일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횡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밀봉 립(3, 15)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밀봉 립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1)의 이동 도중에 적어도 하나의 작동 수단, 특히 작동 롤러(5)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횡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밀봉 표면(7, 16)에 대해 상승한 또는 하강한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립(3, 15)의 길이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그리고 상기 밀봉 립(3)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수단 특히 적어도 하나의 작동 롤러(5)을 위한, 가이드 링크(4, 12, 18)가 제공되고, 상기 밀봉 립(3, 15)은 상기 가이드 링크(4, 12, 18)와 상기 작동 수단의 상호 작용에 의해, 특히 상기 가이드 링크(4, 12, 18) 상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 롤러(5)의 롤링에 의해, 밀봉 표면(7, 16)에 대해 상승한 또는 하강한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크(4, 12, 18)는 힌지형 조인트(22)를 통해 장착 면과, 특히 상기 슬라이딩 도어(1)의 측벽 또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의 개방 또는 폐쇄 운동시 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차량 부품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크(4, 12, 18)에 복원력, 특히 스프링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크(4, 12, 18)는 하나의 단부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수단 특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롤러(5)를 위한, 도움닫기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크(4, 12)는 비틀림 강성을 갖는 막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크(18)는 비틀림 강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직선으로 연장되는 상기 밀봉 립(3)에 의해 커버되는 제1 영역(19) 및 상기 제1 영역(19)으로부터 치우치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1)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1 영역(19)보다 더 떨어져 있는 제2 영역(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작동 롤러(5)를 위한 도움닫기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경사진 전이면(21)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8. 차량, 특히 레일 차량으로서, 슬라이딩 도어(1)가 상단 영역(11) 또는 하단 영역(2)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1)의 높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일을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1)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폐쇄 가능한 도어 개구의 적어도 가장자리 측 영역에 밀봉 립(3, 15)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수단 특히 적어도 하나의 작동 롤러가 고정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밀봉 립(3, 15)이 상기 도어 개구의 영역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횡 방향으로 고정 배치되고, 상기 밀봉 립(3, 15)을 위한 상기 작동 수단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1)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1)의 개방 또는 폐쇄시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1)의 이동 도중에, 상기 밀봉 립(3, 15)과 연결되는 그리고 선회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딩 도어(1)의 측벽에 또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의 개방 또는 폐쇄 운동 도중에 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차량 부품에 고정되는, 가이드 링크(4, 12, 18)의 상기 밀봉 립(3, 15)으로부터 떨어진 측면과 접촉하고, 상기 밀봉 립(3)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1)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밀봉 표면(7, 16)에 놓이고 개방 상태에서 상기 밀봉 표면(7, 16)으로부터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립(3, 15)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1)의 측벽에 선회 가능하게 또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의 개방 또는 폐쇄 운동 도중에 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차량 부품에 고정되는, 가이드 링크(18) 및 상기 작동 수단 특히 적어도 하나의 작동 롤러(5)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밀봉 립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 동안 상기 작동 수단 특히 상기 작동 롤러(5)에 의해 상기 레일 차량의 밀봉 표면(7, 16)에 대항하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137028947A 2011-04-12 2012-04-10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KR201400254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20/2011A AT511249B1 (de) 2011-04-12 2011-04-12 Schiebetür für ein fahrzeug
ATA520/2011 2011-04-12
PCT/EP2012/056434 WO2012140004A1 (de) 2011-04-12 2012-04-10 Schiebetür für ein fahrze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426A true KR20140025426A (ko) 2014-03-04

Family

ID=45976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947A KR20140025426A (ko) 2011-04-12 2012-04-10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697085A1 (ko)
KR (1) KR20140025426A (ko)
CN (1) CN103492206A (ko)
AT (1) AT511249B1 (ko)
BR (1) BR112013026214A2 (ko)
RU (1) RU2013150214A (ko)
WO (1) WO20121400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7343A1 (de) * 2014-08-29 2016-03-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iebetür
DE202018103171U1 (de) * 2017-08-02 2018-11-07 Gebr. Bode Gmbh & Co. Kg Passive Dichtung für eine Schiebetür
CN110406358B (zh) * 2018-04-28 2022-09-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导轨组件和车辆
US11225201B2 (en) * 2018-12-10 2022-01-18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DE102019128311A1 (de) * 2019-10-21 2021-04-2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ewegbares Karosserieelement für eine Kraftfahrzeugkarosserie
CN114014700B (zh) * 2021-12-02 2022-11-08 深圳市复绿生物环保科技有限公司 污泥处理设备、用污泥获得的生物有机营养土、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83704C3 (de) * 1967-10-24 1985-01-24 Geze Gmbh, 7250 Leonberg Vorrichtung zur Betätigung und Abdichtung von schiebbaren oder kipp- und/oder schwenkbaren Flügeln von Fenstern oder Türen
US4805345A (en) * 1987-07-10 1989-02-21 Nankai Kogyo Kabushiki Kaisha Sealing device for a door
JP3216547B2 (ja) * 1996-10-09 2001-10-0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グライドスライドドアのシール構造
DE29817747U1 (de) * 1998-10-05 1999-01-28 Karosseriebau Spermann Gmbh Isoliertrennwand mit Schiebetür
CN2925941Y (zh) * 2006-07-20 2007-07-25 王贵栋 城市客车乘客门下翻板密封装置
DE202008003774U1 (de) * 2008-03-18 2009-08-13 Gebr. Bode Gmbh & Co. Kg Gummielastisches Türdichtungsprofil
ES2354318B1 (es) * 2008-06-20 2012-01-19 Masats, S.A. Dispositivo de actuación de un burlete para cantos inferiores de puertas basculantes.
SI2305938T1 (sl) * 2009-09-23 2012-08-31 Roto Frank Ag Izvedba tesnjenj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511249B1 (de) 2013-01-15
EP2697085A1 (de) 2014-02-19
RU2013150214A (ru) 2015-05-20
AT511249A1 (de) 2012-10-15
CN103492206A (zh) 2014-01-01
WO2012140004A1 (de) 2012-10-18
BR112013026214A2 (pt)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5426A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CA2637080A1 (en) Sliding door with lateral sealing movement
KR101077227B1 (ko)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KR101520253B1 (ko) 이동가능한 문짝 안내기구를 구비하는 승강 문
KR101934530B1 (ko)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
US9266415B1 (en) Roof assembly for a vehicle
JP5546634B2 (ja) フラットブレード構造のワイパブレード
JP6126824B2 (ja) 鉄道車両、および、鉄道車両用プラグドア、押さえ装置
JPH01282019A (ja) 特に、車両のスライドルーフのためのすべりシュー
EP1232888B1 (en) Protective cover for guide rail of a vehicle open roof construction
JP4338693B2 (ja) 冷蔵庫等の扉装置
RU272038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лотнени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й дверной створки для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и рельс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JP6155753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CN104843564A (zh) 电梯用轿厢地坎间附设装置
JP3080348B2 (ja) 引き違い扉装置
WO2014080735A1 (ja) 鉄道車両、および、鉄道車両用プラグドア
JP3174625U (ja) 回帰緩衝装置
GB2176533A (en) Friction supporting stay
JP6335134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195464B2 (ja) 折戸システム
KR200471670Y1 (ko)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JP514904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3001482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敷居溝閉塞装置
JP5014102B2 (ja) 鉄道車両における引き戸装置
JP6400901B2 (ja) 鉄道車両の引戸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