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530B1 -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4530B1 KR101934530B1 KR1020167028317A KR20167028317A KR101934530B1 KR 101934530 B1 KR101934530 B1 KR 101934530B1 KR 1020167028317 A KR1020167028317 A KR 1020167028317A KR 20167028317 A KR20167028317 A KR 20167028317A KR 101934530 B1 KR101934530 B1 KR 1019345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opening
- arm
- sliding member
- ra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3/00—Mechanisms operated by the movement or weight of a person or vehicle
- E05F13/04—Mechanisms operated by the movement or weight of a person or vehicle by platforms lowered by the weight of the use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05F1/025—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with rectilinearly-moving counterweight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미닫이의 수평한 개폐를 가벼운 가중으로 동작시키는 미닫이 개폐 장치를 제공한다. 정전시나, 재해시라도 항상 이용자의 답력을 이용하여, 전동식이 아닌 금속제 자동 개폐 도어의 등장이 기대되고 있었다.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1)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 레일(2)과, 도어(1)에 설치되며, 도어(1)의 개방 방향으로 상승 경사진 도어 개방 레일(3)과, 도어 개방 레일(3)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부재(4)와, 디딤판(5)과, 슬라이딩 부재(4)와 디딤판(5)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6)를 구비한다. 도어(1)는 닫힌 상태로 슬라이딩 부재(4)가 도어 개방 레일(3)의 상단측에 배치되고, 개방 동작시에 디딤판(5)에 작용한 답력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4)가 도어 개방 레일(3)에 대하여 하강하고, 도어(1)가 개방 방향으로 변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람의 체중을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는 개폐 기구를 구비한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용자의 체중이나 짐수레의 중량을 걸어줌에 따라 출입구의 미닫이를 여는 자동 도어 개방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한 출입구 자동 개폐 도어에 관한 것이다. 전동기/유압 모터 등의 동력원을 가지지 않고, 이용자나 짐수레의 답력만으로 작동하는 출입구 열림 미닫이 기구의 기술 분야에 속하며, 특히, 도어를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답력 작동의 무전원 자연 에너지 이용 추진구 부착 출입구 자동 개폐 도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런 종류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로서는 대표적으로는, 아래의 특허 문헌 1이 있다. 이러한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 하강 경사지며, 도어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 레일과,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하강 경사지며, 상기 도어에 고정된 도어 개방 레일과, 도어 개방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접촉시킨 슬라이딩 부재와, 디딤판에 가해진 하방향의 답력(踏力)을 지렛대를 통해 슬라이딩 부재의 상방향의 분력으로 변환하는 도어 개방 기구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특허 문헌 1에서는 미닫이의 전후 위치의 바닥 면에 설치한 디딤판의 침하량을 지렛대를 통해 소정의 변위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전달 기구를 설치하고, 전달 기구 및 조정 웨이트의 자중에 의한 침하로, 상기 지렛대를 통해 상기 디딤판의 부상 상태를 유지하도록 중량 밸런스가 설정되며, 상기 긴 전달 부재의 상하 동작에 의해, 도어 개방 레일로 구동 회전체를 눌러, 미닫이의 수평한 도어 개방을 가벼운 가중으로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기타, 주변 기술에 대하여 이하에 보충 설명을 한다.
종래로부터, 전동 모터 등의 부가 동력원을 이용하는 일 없이, 이용자, 짐수레의 몸하중에 의한 하중 변위를 동력원으로 하여 출입구의 미닫이를 개폐시키는 기구에 대해서는, 다수의 출원 특허가 존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스테핑에 의한 변위량을 이용하여, 링크 기구에 의해 미닫이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한 가이드 레일을 원하는 이동 방향으로 적당히 경사시켜서, 이 경사를 따라 미닫이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방식(경사 방식)의 것으로는, 아래의 특허 문헌 2 등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사 방식은 이동이 미닫이의 자중에 기인한 경사면 상의 자연 이동에만 의지하고 있기 때문에, 응답성이 좋은 민첩한 이동을 하기 어렵고, 빈번한 출입에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오랜 사용에 의한 가이드 레일에 쓰레기 등이 퇴적된 경우, 그 영향을 크게 받는 결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작동력 전달 기구에 어떠한 장해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수동에 의한 개폐가 불가능하거나, 또는 매우 곤란하다고 하는 결점도 있었다.
그 중에서도, 통행자의 답력을 작동원으로 한 출입구의 자동 개폐 기구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다수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3 참조).
예를 들면, 통행자의 답력에 의한 디딤판의 변위량(주로, 침하량)을 유압, 수압, 또는 기압 등의 유체압의 변화로 대체하고, 이에 따라 실린더/피스톤 기구를 작동시켜서 미닫이의 개폐 운동을 시키는 방식(유체압 이용 방식)의 것으로서 다수 건이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3 참조).
또한, 다른 기구의 것으로서, 스테핑에 의한 침하량을, 크랭크체나 도르래를 전달 수단으로 하여 미닫이를 수하 유지하는 가이드 레일로 전달하며, 이 레일을 이동 방향으로 경사시킴으로써 미닫이의 개폐 운동을 시키는 방식(경사 개폐 방식)의 것이 있다(특허 문헌 4 참조).
인체의 가중에 의해, 경사 개폐 방식은 특허 문헌 1 외, 다음과 같은 것이 제안되어 있다.
발 디딤판에 체중을 실으면서 지나는 것만으로 자연스럽게 도어가 개폐되고, 전기도 사용하지 않고 경제적인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랙의 상부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그 랙의 아래에 쇠사슬을 설치하며, 쇠사슬의 아래에 발 디딤판을 고정하여 랙에 톱니바퀴를 맞물리고, 이 톱니바퀴에 고정한 풀리와 또 하나의 풀리에 벨트를 설치하며, 레일에 휠을 실어 벨트의 한 쪽을 설치부에 고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5 참조).
개폐 가능하도록 지지되면서 폐쇄 방향으로 이동 탄성력을 부가한 미닫이와, 폐문 위치에 있는 미닫이의 전후 위치의 바닥 면에 각각 배치하고, 사람의 스테핑 압력에 의해 소정의 침하량이 생기도록 구성한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의 상하 이동량을 소정의 회전각으로 변환하고, 이 회전각에 따라 제1 암을 회동시키는 제1 작동 기구와, 상기 회동하는 제1 암의 선단부와 연계되고, 상기 선단부의 이동량을 확대하여 출력시키는 레버 기구와, 상기 레버 기구의 출력측과 미닫이를, 미닫이의 개방 방향으로 견인하도록 연계시킨 견인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테핑 압력을 이용한 자동 개폐 미닫이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6 참조).
출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한 미닫이와, 상기 출입구의 전후 위치의 바닥 면에 배치하고, 사람의 스테핑 압력에 따라 소정량의 침하가 생기도록 구성한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과 일단부가 연계하고, 상기 디딤판의 침하 이동에 따라 타단부가 소정 각도로 요동하는 요동체와, 상기 요동체의 타단부의 이동량을 거의 직선 운동량으로 확대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링크 기구와, 일단부를 셔터 박스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축지지함과 동시에, 타단부를 미닫이와 연계시킨 작동 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크 기구로부터의 출력을 작동 암의 중간 정도에 작용시켜서 작동 암을 요동시킴으로써, 미닫이를 개폐 이동시키는 자동 도어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7 참조).
전동적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 등의 메인터넌스가 불필요한 자동 개폐문에서, 개폐문과 일체로 행거 및 개폐 행거를 설치한다. 행거에 축 걸이한 호차를 행거 레일 상으로 주행시켜서 개폐문을 개폐 가능하도록 한다. 행거에는 개폐문을 폐쇄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저울추를 설치한다. 개폐 행거에는 몸체측 기본 테두리에 설치한 실린더 내의 유압에 의해 돌출되는 로드를 연결한다. 실린더 내의 유압은 발판의 하향 이동에 의해 발생된다. 상기 구성에 따라, 실린더의 압축 유체가 로드를 밀어내고, 개폐 행거를 통해 개폐문을 열도록 하고, 압축 유체력이 소실된 단계에서 저울추에 의해 개폐문을 닫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8 참조).
농업용 간이 온실 또는 이에 비슷한 각종 온실이나 건물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미닫이의 개방 동작을 스테핑 페달 등의 조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하게 하는 반자동 도어 개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9 참조).
간단한 구조로, 미닫이의 자동 개폐를 할 수 있는 미닫이의 개폐 장치에서, 미닫이 폭으로 한 가이드 레일을 개구부 상부에 배치하고, 그 가이드 레일에 계합되는 호이스트를 미닫이 상변의 도어 팁측에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도어 테일측을 축지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가이드 레일의 도어 팁측을 상하로 조작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미닫이 전개시의 호이스트 정지 위치를 가이드 레일의 도어 테일측 축지지 위치보다 도어 팁측에 위치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0 참조).
이상이, 주변 기술에 대하여 이하 보충 설명이다.
여기서, 대표적인 특허 문헌 1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하면, 디딤판에 가해진 하방향의 답력을 지렛대를 통해 슬라이딩 부재의 상방향의 분력으로 변환함으로써, 도어 개방 레일에서 슬라이딩 부재가 상방향으로 밀리고, 도어 개방 레일의 상승 경사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부재가 이동함으로써 도어가 개방 방향으로 동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에서는 도어 개방 레일에서 슬라이딩 부재를 상방향으로 밀었을 때에, 도어의 가중이 슬라이딩 부재에 걸리게 되고, 슬라이딩 부재에 과도한 부하가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도어를 개방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도어의 가중에 거슬러 도어 개방 레일의 경사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부재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고, 지렛대를 이용하였을 경우에도, 도어의 동작 스피드가 늦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본 발명은 슬라이딩 부재의 부하를 저감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준민한 도어의 동작을 실현한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주변 기술에 대해서는, 이하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디딤판에 걸리는 하중에 대한 도어 개폐의 민첩한 응답성의 불비, 복수의 동시 이용자에 의한 충격적인 답력에 대한 내구성, 디딤판에 걸리는 하중의 변화에 기인한 작동 속도의 차이를 해소하고, 나아가 디딤판 기구부 및 연결 부품에 대하여, 만일의 오류의 발생시에도, 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통상의 수동 미닫이와 마찬가지로, 무리없이 수동 개폐할 수 있는 자동 도어 개방 방법 및 도어 자동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선 등의 설비 공사가 불필요하면서, 설치 공사가 단시간에 끝나고, 보수 점검이 용이하여 실현성이 높은 하중식 도어 개방 방법 및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복수의 이용자에 의한 동시 사용의 충격력에 대해서는, 동력 전달 금구 및 도어 개방 레일의 기구를 위로부터의 끌어내리는 힘으로 바꾸는 것으로 설계하여, 충격력에 의한 도어의 튀어 오름, 지지 레일로부터의 탈륜 및 이탈 방지 금구 등의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어의 튀어 오름에 따른 일차적인 정지 상태나 도어 본체의 중량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분력이 없어지므로, 준민한 응답성과 부재의 내구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용자의 체중이나 짐수레의 중량으로 얻어지는 답력을 도어의 개폐력으로 직접적으로 발생시키는 기구는 아니므로, 가장 효율 좋게 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연결 금구 및 진보한 기술이 있다면, 더 효율이 좋아진다고 생각할 수 있는 연결 금구를 구비한 자동 도어 개방 방법 및 도어 자동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상기 과제에 착목하여 이루어 진 것이며,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답력 작동의 무전원 자연 에너지 이용 추진구 부착 출입구 자동 개폐 도어에 관한 신규하면서 실현성이 높은 답력 이용의 자동 개폐 미닫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발명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는 사람의 체중을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는 개폐 기구를 구비한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 레일과,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상승 경사진 도어 개방 레일과,
상기 도어 개방 레일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부재에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도어를 답력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디딤판을 구비하며,
상기 도어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도어 개방 레일의 상단측에 배치되며, 개방 동작시에 상기 디딤판에 작용한 답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도어 개방 레일에 대하여 하강하고, 상기 도어가 개방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발명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하면, 디딤판에 작용한 답력은 연결 부재를 통해 슬라이딩 부재가 도어 개방 레일을 하강시키도록 하방향으로 작용한다. 그 때문에, 도어의 가중이 슬라이딩 부재에 걸리는 일이 없어, 슬라이딩 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도어 개방 레일에는 연직 하방향으로만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복수의 동시 이용자에 의한 충격력에 대하여 도어 본체의 중량이 반발하지 않고, 아래로부터의 충격력을 받는 경우보다 각 부재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충격력이 전해지는 각 기구의 연결부도 내구성이 향상되고, 고장 빈도가 감소된다.
나아가, 도어를 개방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하여 (도어의 가중에 거슬러 도어 개방 레일을 상승 경사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부재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이), 도어 개방 레일의 하강 경사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부재를 도어 개방 레일의 상단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되, 도어의 동작 스피드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발명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딩 부재의 부하를 저감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준민한 도어의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제2 발명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는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디딤판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동작하는 제1 연결체와,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이 지면에 접촉하며,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상기 제1 연결체에 축지지된 제2 연결체를 구비하는 팬터그래프식과,
일단이 상기 디딤판에 연결된 제1 암과,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연결된 제2 암과,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을 각각 독립적으로 축지지하며,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을 서로 역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기어부를 구비하는 기어식과,
일단이 상기 디딤판에 연결된 제1 암과,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연결된 제2 암과, 공유의 회전축에 축지지된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을 서로 역방향으로 동작시키는 한 쌍의 캠 기구를 구비하는 캠식과,
상기 디딤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디딤판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에 슬라이딩 부재가 설치된 연결봉인 직접 누름 방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발명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하면, 우선, 연결 부재를 팬터그래프식의 상기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제2 연결체의 타단(접지점)을 지점으로 하여 답력이 슬라이딩 부재를 도어 개방 레일에 대하여 하강시키도록 작용한다.
이에 따라, 연결 부재를 팬터그래프식으로 하였을 경우에, 슬라이딩 부재의 부하를 저감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준민한 도어의 동작 성능을 가지는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다음, 연결 부재를 기어식으로 하고, 제1 암과 제2 암을 기어부에 의해 역방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제1 암의 일단에 작용한 답력이 제2 암의 타단의 하방향의 분력이 되고, 슬라이딩 부재를 도어 개방 레일에 대하여 하강시키도록 작용한다.
이에 따라, 연결 부재를 기어식으로 하였을 경우에, 슬라이딩 부재의 부하를 저감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준민한 도어의 동작 성능을 가지는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다음, 연결 부재를 캠식으로 하고, 제1 암과 제2 암을 한 쌍의 캠 기구에 의해 역방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제1 암의 일단에 작용한 답력이 제2 암의 타단의 하방향의 분력이 되고, 슬라이딩 부재를 도어 개방 레일에 대하여 하강시키도록 작용한다.
이에 따라, 연결 부재를 캠식으로 하였을 경우에, 슬라이딩 부재의 부하를 저감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준민한 도어의 동작 성능을 가지는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나아가, 연결 부재를 직접 누름 방식으로 하고, 연결봉에 의해 디딤판과 슬라이딩 부재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답력이 슬라이딩 부재를 도어 개방 레일에 대하여 하강시키도록 작용한다.
이에 따라, 연결 부재를 직접 누름 방식으로 하였을 경우에, 슬라이딩 부재의 부하를 저감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준민한 도어의 동작 성능을 가지는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제3 발명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는 제1 또는 제2 발명에 있어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3 발명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하면, 도어 개방 레일의 상승 경사 각도를 바꿈으로써, 슬라이딩 부재가 도어 개방 레일에 작용하는 작용력의 도어 개방 레일 방향의 분력을 바꿀 수 있다. 여기서, 도어 개방 레일의 상단측의 상승 경사 각도를 크게 함으로써, 도어 개방 레일에 작용하는 슬라이딩 부재의 작용력의 도어 개방 레일 방향의 분력을 크게 할 수 있고, 도어의 개방 동작 개시를 준민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의 부하를 저감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준민한 도어의 동작 성능을 가지는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제4 발명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는 제1 발명~제3 발명의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연결된 와이어의 권취력에 따라 상기 도어를 폐쇄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권취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발명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하면, 도어가 폐쇄 방향으로 변위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 부재가 도어 개방 레일을 밀어 올리도록 작용한다. 그 때문에, 도어를 폐쇄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권취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도어의 폐쇄 방향의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의 부하를 저감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준민한 도어의 개폐 동작 성능을 가지는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의 상세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의 변경예를 나타낸 상세 설명도이다.
도 5a는 도 1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의 다른 변경예를 나타낸 상세 설명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의 다른 변경예를 나타낸 상세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낸 실시예 1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낸 실시예 2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의 상세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의 변경예를 나타낸 상세 설명도이다.
도 5a는 도 1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의 다른 변경예를 나타낸 상세 설명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의 다른 변경예를 나타낸 상세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낸 실시예 1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낸 실시예 2의 설명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에 대하여, 도 1~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1)를 개폐시키는 개폐 기구를 구비한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로서, 도어(1)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 레일(2)과, 도어(1)에 설치된 도어 개방 레일(3)과, 도어 개방 레일(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4)와, 디딤판(5)과, 슬라이딩 부재(4)와 디딤판(5)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6)를 구비한다.
또한, 도 1a는 동작전의 상태(도어(1)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도 1b는 동작후의 상태(도어(1)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어(1)는 1매의 미닫이(외미닫이 미닫이)로서, 그 상측의 양단에 서스펜션 훅(11, 11)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서스펜션 훅(11, 11)에는 슬라이딩 지지 레일(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12,12)가 축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딩 지지 레일(2)은 샷시 테두리체(F) 또는 건물(미도시)에 수평 방향으로 지지된 레일로서, 롤러(12,12)를 통해 도어(1)가 슬라이딩 지지 레일(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서스펜션 훅(11, 11)에는 롤러(12,12)에 더하여, 보조 롤러(13, 13)가 설치되어 있고, 보조 롤러(13, 13)는 슬라이딩 지지 레일(2)의 양단에 설치된 보조 레일(14, 14)로 동작 스피드를 안정시키도록 기능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딩 지지 레일(2)를 수평으로 하여 정하중 스프링(15)(본 발명의 권취 장치에 해당됨)에 의해 와이어(16)를 통해 도어(1)의 폐쇄 방향으로 서스펜션 훅(11)을 탄성 가압(도어(1)의 중량 20~100kg에 대하여, 와이어(16)의 권취력을 2~10N 능력으로서 탄성 가압)하고 있지만, 이에 추가하여, 또는 대체하여, 도어(1)의 개방 방향으로 조금 상승 경사(폐쇄 방향으로 조금 하강 경사)시켜도 무방하다. 어느 경우에도, 도어(1)의 폐쇄 동작을 어시트하여 폐쇄 동작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도어 개방 레일(3)은 도어(1)의 하측에서 개방 방향으로 상승 경사진 레일로서, 슬라이딩 부재(4)가 결합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어 개방 레일(3)의 상승 경사 각도는 상기 도어 개방 레일의 상단측이 크고, 하단측이 작아지도록 단계적으로 경사 각도가 변화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승 경사 각도를 3단계로, 초기 단계의 기울기에 있어서는 15~6°, 다음 단계에서는 6~4°, 최종 단계에서는 4~2°로 하여, 초기 단계의 폭을 레일의 길이의 1/3 이내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2단계 또는 4단계 이상이어도 무방하고, 초기 단계인 상단측이 크고, 최종 단계인 하단측이 작으면, 연속적으로 각도를 변경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어 개방 레일(3)은 도어(1)의 하측에 내장되고, 그 외측을 덮는 커버(도어 하단측을 덮는 화장 커버)에 의해,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는 유저가 볼 수 없게 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4)는 도어 개방 레일(3)에 결합한 상태로 슬라이딩하는 롤러로서, 연결 부재(6)의 일단에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4)와 연결 부재(6)의 관계는 상세를 후술한다.
디딤판(5)은 도 2에 평면도(도어(1) 및 슬라이딩 지지 레일(2)은 생략)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에 의해 나누어진 내측과 외측에 걸친 평판으로서, 사람의 스테핑 량에 따라 가라앉도록 되어 있다.
또한, 디딤판(5)은 디딤판(5)의 하면(도면 중, 디딤판(5)의 외측의 하면)에 접촉하는 복귀용 슬라이딩 부재(40)를 통해, 디딤판(5)에 사람이 타지 않은 상태로 부상한다. 구체적으로는, 일단에 복귀용 슬라이딩 부재(40)가 축지지됨과 동시에 타단에 무게추(41)가 설치된 암(42)이 축부(43)에 의해 지면에 축지지된다. 이에 따라, 암(42)은 축부(43)를 지점으로 하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디딤판(5)에 사람이 타지 않은 상태에서는 무게추(41)에 의해, 복귀용 슬라이딩 부재(40)가 디딤판(5)의 하면을 밀어 올리고, 슬라이딩 부재(4)의 개방 동작과 반대의 폐쇄 동작을 행한다. 또한, 이에 추가하여, 또는 대체하여, 디딤판(5)을 상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부세(付勢) 수단 등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연결 부재(6)는, 디딤판(5)의 하면에 축지지되고, 디딤판(5)의 상하 동작에 수반하여 상하 방향으로 동작하는 제1 연결체(61)와, 일단이 슬라이딩 부재(4)를 축지지함과 동시에 타단이 디딤판(5)의 아래의 지면(GL)에 접촉한 제2 연결체(62)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제1 연결체(61)는 디딤판의 하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결 설치하여 디딤판(5)과 일체로 상하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제1 연결체(6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이 디딤판(5)에 연결(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지지)되고, 타단에서 제2 연결체(62)를 축지지한다.
제2 연결체(6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중앙부(상하 이동에 제한을 갖게 하는, 일단과 타단 간의 소정의 비율의 위치)에서 제1 연결체(61)에 축지지되고, 제2 연결체(62)의 타단(지면(GL)와 접지점)에는 접지 롤러(63)가 축지지되어 있고, 접지 롤러(63)를 지점으로 하여 동작한다.
슬라이딩 부재(4)는 연결봉(60)을 통해, 제2 연결체(62)와 접속되어 있다. 연결봉(60)은 제2 연결체(62)와의 접속 위치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정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4)는 도어 개방 레일(3)에 결합하도록 위치 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하면, 우선, 디딤판(5)에 사람이 타지 않은 상태에서는 디딤판(5)이 부상하고, 이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부재(4)가 수직 방향에서 가장 높은 위치(도어 개방 레일(3)의 상단 위치)에서 도어 개방 레일(3)에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사람이 디딤판(5)에 올라 타면, 디딤판(5)에 생긴 답력은 디딤판(5)과 일체의 제1 연결체(61)를 통해 제2 연결체(62)의 하방향의 분력이 된다. 이에 따라, 제2 연결체(62)는 접지 롤러(63)를 지점으로 하여 연결봉(60)측이 하강하고, 연결봉(60)에 축지지된 슬라이딩 부재(4)가 도어 개방 레일(3)의 하면을 하강시키도록 작용한다.
이에 따라, 도어(1)는 도어 개방 레일(3)의 경사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부재(4)를 통해 작용한 분력을 놓아주도록 개방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 때, 도어(1)의 가중이 슬라이딩 부재(4)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딩 부재(4)의 부하를 경감하여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어(1)를 개방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하여, 도어 개방 레일(3)의 하강 경사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부재(4)를 도어 개방 레일(3)의 상단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되고, 도어의 동작 스피드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어 개방 레일(3)의 상단측의 상승 경사 각도가 커져 있기 때문에, 도어 개방 레일(3)에 작용하는 슬라이딩 부재(4)의 하방향의 작용력의 도어 개방 레일 방향의 분력을 크게 할 수 있고, 도어(1)의 개방 동작 개시를 준민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딩 부재(4)의 부하를 저감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준민한 도어(1)의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다른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로서 연결 부재(6)로서 기어부(70)을 이용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 대상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 연결 부재(6)는 일단이 디딤판(5)에 연결한 제1 암(71)과, 타단측에 슬라이딩 부재(4)가 연결된 제2 암(72)과, 제1 암(71)과 제2 암(72)의 사이에 설치되며, 이것들을 서로 역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기어부(70)로 구성된다.
기어부(70)는 제1 기어(70a)와 제2 기어(70b)를 구비한다. 제1 기어(70a)는 제1 연결축(71a)에 의해 제1 암(71)과 일체로 회전 동작한다. 제2 기어(70b)는 제2 연결축(72a)에 의해 제2 암(72)과 일체로 회전 동작한다.
제1 기어(70a)와 제2 기어(70b)는 제1 암(71)과 제2 암(72)은 서로 역방향의 회전이 되도록 서로 맞물린 톱니바퀴로서, 그 직경 비율은 제1 암(71)의 동작을 배증시키도록 1배를 넘는 값으로 되어 있다(예를 들면, 2~3배).
또한, 기어부(70)는 디딤판(5) 아래의 공간에 내장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받침대에 고정된다.
제1 암(71)은 일단에 축지지된 디딤판측 롤러(50)를 통해 디딤판(5)에 접촉함으로서 연결됨과 동시에, 연결 설치된 타단에 무게추(71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암(71)은 그 중앙 위치에서 제1 연결축(71a)에 축지지된다.
제2 암(72)은 일단이 제2 연결축(72a)에 축지지되고, 타단에서 슬라이딩 부재(4)가 연결된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4)가 연결되는 기구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연결봉(60)에 의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하면, 디딤판(5)에 사람이 타지 않은 상태에서 사람이 디딤판(5)에 올라 타면, 디딤판(5)에 생긴 답력은 디딤판측 롤러(50)를 통해 제1 암(71)의 일단에 작용하고, 제1 암(71)이 제1 연결축(71a)을 중심으로 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공통의 제1 연결축(71a) 상의 제1 기어(70a)를 통해, 제2 기어(70b)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연결축(72a) 상의 제2 암(72)이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제2 암(7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연결봉(60)측이 하강하고, 연결봉(60)에 축지지된 슬라이딩 부재(4)가 도어 개방 레일(3)의 하면을 하강시키도록 작용한다.
이하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어(1)는 도어 개방 레일(3)의 경사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부재(4)를 통해 작용한 분력을 놓아주도록 개방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 때, 도어(1)의 가중이 슬라이딩 부재(4)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딩 부재(4)의 부하를 경감하여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어(1)를 개방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하여, 도어 개방 레일(3)의 하강 경사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부재(4)를 도어 개방 레일(3)의 상단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되고, 도어의 동작 스피드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딩 부재(4)의 부하를 저감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준민한 도어(1)의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디딤판(5)에 사람이 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암(71)의 무게추(71c)에 의해, 제1 암(71)이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디딤판측 롤러(50)를 통해 디딤판(5)이 부상한 상태로 복귀한다.
[제3 실시 형태]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기타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 대상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 연결 부재(6)는 일단이 디딤판(5)에 연결한 제1 암(81)과, 타단측에 슬라이딩 부재(4')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슬라이딩 부재가 한쪽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의 슬라이딩 부재(4)와 구별하고 있다. 이하 같음)가 연결된 제2 암(82)과, 제1 암(81)과 제2 암(82)의 사이에 설치되며, 이것들을 서로 역방향으로 동작시키는 한 쌍의 캠 기구(83)로 구성된다.
제1 암(81) 및 제2 암(82)은 각각 소정의 위치에서 축체(80)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제1 암(81)은 일단에 축지지된 디딤판측 롤러(50)를 통해 디딤판(5)에 접촉함으로서 연결됨과 동시에, 연결 설치된 타단에 무게추(81c)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암(82)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타단에서 슬라이딩 부재(4’)가 연결봉(60)을 통해 연결 지지된다.
한 쌍의 캠 기구(83)는 축체(80)의 양측에 배치된 타원 형상의 제1 캠(83a) 및 제2 캠(83b)으로서, 각 캠(83a, 83b)로부터 제1 암(81)측 및 제2 암(82)측에 암(81a, 82a 및 81b, 82b)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1 캠(83a) 및 제2 캠(83b)은 도시하지 않은 받침대 상에 설치된 프레임에 지지된 축체에 장착되고, 축체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캠(83a)은 제1 캠(83a)로부터 제1 암(81)의 하측면에 접촉하도록 돌출된 암(81a)과, 제1 캠(83a)로부터 제2 암(82)의 하측면에 접촉하도록 돌출된 암(82a)을 가진다.
제2 캠(83b)은 제2 캠(83b)로부터 제1 암(81)의 하측면에 접촉하도록 돌출된 암(81b)과, 제2 캠(83b)로부터 제2 암(82)의 하측면에 접촉하도록 돌출된 암(82b)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하면, 디딤판(5)에 사람이 타지 않은 상태에서 사람이 디딤판(5)에 올라 타면, 디딤판(5)에 생긴 답력은 디딤판측 롤러(50)를 통해 제1 암(81)의 일단에 작용하고, 제1 암(81)이 축체(80)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 제2 캠(83b)의 암(81b)이 하강함과 동시에, 암(82b)이 상승한다. 이에 따라, 제2 암(8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회동 동작 후의 암(81a, 82a 및 81b, 82b)의 위치를 암(81a', 82a' 및 81b', 82b')으로 나타낸다.
제2 암(8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연결봉(60)측이 하강하고, 연결봉(60)에 축지지된 슬라이딩 부재(4')가 도어 개방 레일(3)의 하면을 하강시키도록 작용한다.
이하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어(1)는 도어 개방 레일(3)의 경사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부재(4')를 통해 작용한 분력을 놓아주도록 개방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 때, 도어(1)의 가중이 슬라이딩 부재(4')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딩 부재(4')의 부하를 경감하여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어(1)를 개방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하여, 도어 개방 레일(3)의 하강 경사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부재(4')를 도어 개방 레일(3)의 상단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되고, 도어의 동작 스피드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딩 부재(4')의 부하를 저감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준민한 도어(1)의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디딤판(5)에 사람이 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암(81)의 무게추(81c)에 의해, 제1 암(8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 제1 캠(83a)의 암(81a)이 하강함과 동시에, 암(82a)이 상승한다. 이에 따라, 제2 암(82)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제1 암(8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디딤판(5)이 부상한 상태로 복귀함과 동시에, 제2 암(82)이 슬라이딩 부재(4')의 초기 위치(도어 개방 레일(3)의 상단)로 복귀한다.
[제4 실시 형태]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기타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 대상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디딤판(5)을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용 슬라이딩 부재(40), 무게추(41), 암(42) 및 축부(43)의 구성도 생략한다(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40~43)을 생략한다).
도 6의 개폐 장치에서는 디딤판(5)에 연결봉(60)을 직접 연결시킨다. 즉, 연결 부재(6)를 디딤판(5)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하여 설치되며, 일단이 디딤판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에 슬라이딩 부재(4')가 설치된 연결봉(60)만에 의해 구성한다.
이에 따라, 디딤판(5)의 답력을 디딤판(5)과 일체의 연결봉(60)을 통해 다이렉트로 슬라이딩 부재(4')에 전달하고, 슬라이딩 부재(4')가 도어 개방 레일(3)의 하면을 하강시키도록 작용한다.
이하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어(1)는 도어 개방 레일(3)의 경사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부재(4')를 통해 작용한 분력을 놓아주도록 개방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 때, 도어(1)의 가중이 슬라이딩 부재(4')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딩 부재(4')의 부하를 경감하여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어(1)를 개방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하여, 도어 개방 레일(3)의 하강 경사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부재(4')를 도어 개방 레일(3)의 상단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되고, 도어의 동작 스피드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딩 부재(4')의 부하를 저감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준민한 도어(1)의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참고를 위해 본 실시 형태의 하중식 개폐 장치의 설치예를 실시예로서 나타낸다.
실시예 1
JISH4100에 규정하는 A6063S-T5 알루미늄 합금 압출형재를 사용하여, 도 7의 Ⅱ에 나타낸 알루미늄 합금제 창호: 유효 개구 W=800mm, H=2000mm이면서 외측 프레임 치수 W=1600mm, H=2200mm의 외미닫이 미닫이를 제작하였다. 또한, 도 7의 Ⅲ에 나타낸, 저면이 가로 556mm, 세로 956mm, 높이 70mm의 상하 방향을 자유롭게 변동할 수 있는 천판을 가진 디딤판 기구부를 제작하였다. 이것들을 도 7의 Ⅰ에 나타낸, 건물의 벽 개구 및 바닥 뚫음부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였다.
이 때, 레이저를 사용하여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레벨을 정확하게 잡고, 고정하였다. 상기 알루미늄 합금제 창호의 마중 여밈 멀리언과 상기 디딤판 기구부의 결합부에, 상기 디딤판 기구부의 답력을 전달하는 연결 금구를 마중 여밈 멀리언으로부터의 떨어짐, 디딤판 기구부 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0.5mm의 범위가 되는 정밀도로 설치 고정하였다. 상기 연결 금구에 병렬로, 디딤판 천판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추를 붙인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형태의 복귀 철물을 설치 고정하였다.
디딤판 천판의 20mm~30mm의 상하 운동을 확인 후, 상기 알루미늄 합금제 도어를 지지 레일에 걸어 넣고, 상기 도어의 하단은 솥부에 부착되어 있는 1~3단계의 기울기를 가지는 도어 개방 레일에 대하여, 슬라이딩 부재인 푸시다운 러너 롤러를 높이 조정하면서, 상기 연결 금구의 선단부에 고정하였다. 답력의 전달 상황, 상기 도어의 개구 치수 및 개폐 스피드를 조정하고, 소정의 성능이 나와 있는 것을 확인하여 작업을 종료하였다. 복수의 동시 이용자에 의한 충격력에 대하여, 도어의 튀어 오름도 없고, 문제없는 응답으로 작동하며, 고장도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2
J I S G 3 3 0 2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판 두께 0.8mm, 1.6mm 및 2.3mm의 재료를 사용하며, 조립 상태로 내측 치수 0.95m×0.2m의 직사각형이 되는 외미닫이 강제 경량 도어의 테두리 및 도어의 전개도를 작성하였다. 더욱이 절단 가공, 프레스 가공, 휨 가공, 도어 조립 가공, 테두리 조립 가공, 방청 도장/마무리 도장, 가조립 검사, 외관 및 치수 검사를 거쳐 제품화하고, 또한 저면이 가로 556mm, 세로 956mm, 높이 70mm의 상하 방향을 자유롭게 변동할 수 있는 천판을 가진 디딤판 기구부를 제작하며, 제품의 포장, 금구를 출하표와 함께 발송하였다.
시공 현장에서, 도 8의 전체 구성도 대로의 설치 시공에 앞서, 벽 개구부 치수 및 바닥 뚫음 치수의 확인을 행하였다. 벽 개구부 및 바닥 뚫음부에 구성 경량 창호 및 디딤판 기구부를 설치하고, 레이저를 사용하여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레벨을 정확하게 잡고, 고정하였다.
상기 강제 경량 창호의 마중 여밈 멀리언과 상기 디딤판 기구부의 결합부에, 상기 디딤판 기구부의 답력을 전달하는 연결 금구를 마중 여밈 멀리언으로부터의 떨어짐, 디딤판 기구부 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0.5mm의 범위가 되는 정밀도로 설치 고정하였다. 상기 연결 금구에 병렬로, 디딤판 천판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추를 붙인 지렛대형의 복귀 철물을 설치 고정하였다.
디딤판 천판의 20mm~30mm의 상하 운동을 확인 후, 상기 강제 경량 도어를 지지 레일에 서스펜션을 행하고, 상기 강제 경량 도어의 하보강부에 부착되어 있는 도어 개방 레일에 대하여 푸시다운 핀을 높이 조정하면서, 상기 연결 금구의 선단부에 고정하였다. 답력의 전달 상황, 상기 도어의 개구 치수 및 개폐 스피드를 조정하고, 소정의 성능이 나와 있는 것을 확인하여 작업을 종료하였다. 복수의 동시 이용자에 의한 충격력에 대하여, 도어의 튀어 오름도 없고, 문제없는 응답으로 작동하며, 고장도 확인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와 같이, 도어 개방 레일에 대하여 연직 하방향으로 답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디딤판의 스테핑 작동에 신속히 응답하여 미닫이를 재빠르게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미닫이의 폐쇄 방향의 이동은 권취 장치를 사용하고, 더욱이 누름기 의해 가속적으로 이동 탄성력이 부가되어 있기 때문에, 재빠르게 개폐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넓은 개방 폭을 확보하는 것이 손쉽게 할 수 있다.
일단이 디딤판 기구부와 연결하고, 다른 일단에 슬라이딩 부재인 러너 롤러를 부착되어 있는 누름 작동봉 부착 연결 금구는 용이하게 탄성력을 설정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 등의 낮은 가중이어도, 자동 개폐 가능하게 되고, 또한, 잠금 때도 수동으로 무리없이 폐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현저한 효과를 가지는 개폐 미닫이 장치는 사람의 디딤판대에서의 스테핑 시의 몸하중에 의해 개방 이동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동 모터용의 전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곳, 예를 들면, 온실 등의 옥외 간이 건물 등에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을 가진다. 중량을 가지는 도어에 있어서의 도어 자동 개폐 장치는 에너지 효율이 좋기 때문에, 체중이 가벼운 사용자라도 동작시킬 수가 있다.
또한, 강제 경량 도어 등은 스커트부 치수를 자유롭게 잡으므로, 도어 개방 레일의 경사각 및 레일 폭을 적당히 설정하여 제작할 수 있고, 또한 러너 롤러의 지름을 50mm에서 60mm로 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탄성력을 설정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무거운 도어에서도 응답성이 좋고, 고장이 없는 신뢰성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1 : 문
2 : 슬라이딩 지지 레일
3 : 도어 개방 레일
4, 4' : 슬라이딩 부재
5 : 디딤판
6 : 연결 부재
11 : 서스펜션 훅
12 : 롤러
15 : 정하중 스프링(권취 장치)
40 : 복귀용 슬라이딩 부재
50 : 디딤판측 롤러
60 : 연결봉
61 : 제1 연결체
62 : 제2 연결체
63 : 접지 롤러
70 : 기어부
70a : 제1 기어
70b : 제2 기어
71, 81 : 제1 암
72, 82 : 제2 암
41, 71c, 81c : 무게추
83 : 캠 기구
83a, 86 : 제1 캠
83b, 87 : 제2 캠
2 : 슬라이딩 지지 레일
3 : 도어 개방 레일
4, 4' : 슬라이딩 부재
5 : 디딤판
6 : 연결 부재
11 : 서스펜션 훅
12 : 롤러
15 : 정하중 스프링(권취 장치)
40 : 복귀용 슬라이딩 부재
50 : 디딤판측 롤러
60 : 연결봉
61 : 제1 연결체
62 : 제2 연결체
63 : 접지 롤러
70 : 기어부
70a : 제1 기어
70b : 제2 기어
71, 81 : 제1 암
72, 82 : 제2 암
41, 71c, 81c : 무게추
83 : 캠 기구
83a, 86 : 제1 캠
83b, 87 : 제2 캠
Claims (4)
- 사람의 체중을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는 개폐 기구를 구비한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 레일과,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상승 경사진 도어 개방 레일과,
상기 도어 개방 레일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부재에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도어를 답력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디딤판을 구비하며,
상기 도어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도어 개방 레일의 상단측에 배치되며, 개방 동작시에 상기 디딤판에 작용한 답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도어 개방 레일에 대하여 하강하고, 상기 도어가 개방 방향으로 변위하고,
상기 도어 개방 레일은 도어의 개방 방향의 상승 경사 각도가 상기 도어 개방 레일의 상단측이 크고, 하단측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디딤판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동작하는 제1 연결체와,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이 지면에 접촉하며,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상기 제1 연결체에 축지지된 제2 연결체를 구비하는 팬터그래프식과,
일단이 상기 디딤판에 연결된 제1 암과,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연결된 제2 암과,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을 각각 독립적으로 축지지하며,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을 서로 역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기어부를 구비하는 기어식과,
일단이 상기 디딤판에 연결된 제1 암과,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연결된 제2 암과, 공유의 회전축에 축지지된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을 서로 역방향으로 동작시키는 한 쌍의 캠 기구를 구비하는 캠식과,
상기 디딤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디딤판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에 슬라이딩 부재가 설치된 연결봉인 직접 누름 방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연결된 와이어의 권취력에 따라 상기 도어를 폐쇄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권취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086640 | 2014-04-18 | ||
JP2014086640A JP5799358B1 (ja) | 2014-04-18 | 2014-04-18 | 荷重式扉開閉装置 |
PCT/JP2015/056822 WO2015159609A1 (ja) | 2014-04-18 | 2015-03-09 | 荷重式扉開閉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8453A KR20160138453A (ko) | 2016-12-05 |
KR101934530B1 true KR101934530B1 (ko) | 2019-01-02 |
Family
ID=54323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28317A KR101934530B1 (ko) | 2014-04-18 | 2015-03-09 |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10006238B2 (ko) |
EP (1) | EP3133233B1 (ko) |
JP (1) | JP5799358B1 (ko) |
KR (1) | KR101934530B1 (ko) |
CN (1) | CN106232928B (ko) |
MY (1) | MY183135A (ko) |
SG (1) | SG11201608302XA (ko) |
TW (1) | TWI604121B (ko) |
WO (1) | WO201515960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399490B2 (ja) * | 2015-03-13 | 2018-10-03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走行補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引戸装置 |
KR101939050B1 (ko) * | 2017-04-04 | 2019-01-16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 |
KR101970160B1 (ko) | 2017-09-13 | 2019-04-17 | 이선재 | 족동식 미닫이도어 개폐장치 |
JP7202517B2 (ja) * | 2018-10-19 | 2023-01-12 | 株式会社miimo | 非電動式自動扉装置 |
TWI710999B (zh) * | 2019-07-09 | 2020-11-21 | 中華學校財團法人中華科技大學 | 智慧多功能安全感應電動門禁系統 |
CN111129976B (zh) * | 2020-01-19 | 2021-03-12 | 东营市南方电器有限责任公司 | 一种具有安全防护功能的改进型配电柜 |
CN111520033B (zh) * | 2020-04-30 | 2022-07-22 | 日月峰(厦门)自动化设备有限公司 | 一种移门装置 |
CN112145008A (zh) * | 2020-09-27 | 2020-12-29 | 芯叶(广州)网络科技有限公司 | 一种厨房推拉门用方便开门机构 |
KR102297518B1 (ko) * | 2020-12-11 | 2021-09-02 | 최인재 | 무동력 도어 개폐장치 |
CN113279650B (zh) * | 2021-05-21 | 2022-08-23 | 马小云 | 一种环保型装配式钢结构建筑 |
USD1038743S1 (en) * | 2021-12-27 | 2024-08-13 | Klein Iberica, S.A.U. | Holding device for sliding doors |
CN114414263B (zh) * | 2022-01-25 | 2024-02-20 | 鑫源汽车有限公司 | 滑门关闭速度的测量装置和最小关闭速度测试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263287A1 (en) | 2007-09-28 | 2010-10-21 | Yasuo Nakano | Method for automatically opening door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door |
JP2012251420A (ja) * | 2011-05-11 | 2012-12-20 | Yasuo Nakano | 扉開閉装置用踏み板機構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593845A (en) * | 1923-11-10 | 1926-07-27 | Holm Roy | Door-control mechanism |
FR1543942A (fr) * | 1967-02-21 | 1968-10-31 | Mécanisme pour fermeture parallèle au plan de l'ouverture | |
JPH0637482A (ja) | 1992-04-23 | 1994-02-10 | Toutan Seimitsu Kk | 電子部品組立用治具及びその製造方法 |
JPH0637482U (ja) | 1992-10-24 | 1994-05-20 | 日本建鐵株式会社 | 自動開閉扉 |
JPH07208016A (ja) | 1994-01-24 | 1995-08-08 | Koji Yabuki | 足踏扉開閉装置 |
JPH07286476A (ja) | 1994-04-16 | 1995-10-31 | Masaki Hamada | 重力自然ドア装置 |
JPH11324480A (ja) | 1998-05-07 | 1999-11-26 | Cosmo Tec:Kk | 踏込圧利用の自動開閉引戸装置 |
JP2000220343A (ja) | 1999-01-29 | 2000-08-08 | Tateyama Alum Ind Co Ltd | 自動開閉戸 |
JP2000274139A (ja) | 1999-03-24 | 2000-10-03 | Cosmo Tec:Kk | 踏込圧利用の自動開閉引戸装置 |
JP2010019041A (ja) | 2008-07-14 | 2010-01-28 | Toto Kogyo Co Ltd | 簡易温室の半自動開ドア装置 |
JP2010037921A (ja) | 2008-08-04 | 2010-02-18 | Kadonaka Kogyo:Kk | 引戸の開閉装置 |
KR20120057761A (ko) | 2010-11-27 | 2012-06-07 | 마영수 | 출입자의 체중을 이용한 무전원 자동문 |
JP5985470B2 (ja) * | 2011-05-11 | 2016-09-06 | 中野 泰雄 | 扉開閉装置用踏み板機構 |
CN202659019U (zh) * | 2012-04-16 | 2013-01-09 | 田祥鑫 | 一种简易自动门 |
JP6332675B2 (ja) * | 2014-04-25 | 2018-05-30 | 株式会社ブラザーエンタープライズ | 扉開閉装置 |
-
2014
- 2014-04-18 JP JP2014086640A patent/JP5799358B1/ja active Active
-
2015
- 2015-03-09 CN CN201580020340.3A patent/CN106232928B/zh active Active
- 2015-03-09 MY MYPI2016703766A patent/MY183135A/en unknown
- 2015-03-09 WO PCT/JP2015/056822 patent/WO201515960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3-09 KR KR1020167028317A patent/KR10193453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3-09 US US15/303,921 patent/US10006238B2/en active Active
- 2015-03-09 SG SG11201608302XA patent/SG11201608302XA/en unknown
- 2015-03-09 EP EP15779661.6A patent/EP3133233B1/en active Active
- 2015-03-10 TW TW104107563A patent/TWI604121B/zh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263287A1 (en) | 2007-09-28 | 2010-10-21 | Yasuo Nakano | Method for automatically opening door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door |
JP2012251420A (ja) * | 2011-05-11 | 2012-12-20 | Yasuo Nakano | 扉開閉装置用踏み板機構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SG11201608302XA (en) | 2016-11-29 |
MY183135A (en) | 2021-02-15 |
US10006238B2 (en) | 2018-06-26 |
EP3133233A1 (en) | 2017-02-22 |
KR20160138453A (ko) | 2016-12-05 |
JP5799358B1 (ja) | 2015-10-21 |
TWI604121B (zh) | 2017-11-01 |
TW201544672A (zh) | 2015-12-01 |
JP2015206189A (ja) | 2015-11-19 |
WO2015159609A1 (ja) | 2015-10-22 |
US20170037670A1 (en) | 2017-02-09 |
CN106232928A (zh) | 2016-12-14 |
EP3133233A4 (en) | 2017-12-27 |
CN106232928B (zh) | 2018-04-06 |
EP3133233B1 (en) | 2020-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4530B1 (ko) | 하중식 도어 개폐 장치 | |
KR100955119B1 (ko) | 도어 자동개방방법 및 도어 자동개폐장치 | |
JP2019515163A (ja) | スライドドア用シール装置 | |
KR101984325B1 (ko) | 문 개폐 장치용 발판 기구 | |
KR101067878B1 (ko) | 문틈 차단장치 | |
CN205012894U (zh) | 一种改进的磁控内置百叶中空玻璃 | |
KR101965653B1 (ko) | 높이 조절 책상 | |
CN219733182U (zh) | 提升传动机构及提升推拉门 | |
JP3151861U (ja) | 機械式自動開閉引き戸装置 | |
JP3227424U (ja) | 扉自動開閉装置 | |
CN219471874U (zh) | 滑动提升结构、提升传动机构及提升推拉门 | |
CN214396732U (zh) | 升降装置、轨道车辆用司机台升降装置 | |
CN215169275U (zh) | 棉花糖机的自动门结构 | |
JP3879925B2 (ja) | 窓のバランサー装置 | |
CN221440224U (zh) | 一种剪叉举升装置及移动搬运设备 | |
KR101063190B1 (ko) | 파이프의 엠보싱 성형장치 | |
KR102010371B1 (ko) | 슬라이딩 창호용 완충장치 | |
JP2017031738A (ja) | 無電源荷重式扉開閉装置 | |
JP3214545U (ja) | 機械式自動開閉引き戸装置 | |
CN2319552Y (zh) | 手摇式上下滑动门中门 | |
CN117208702A (zh) | 一种老旧小区建筑改造结构 | |
US451947A (en) | Hatch-door | |
JP2017043882A (ja) | 開閉補助力具付き荷重式扉開閉装置 | |
ITPD20060364A1 (it) | "ferramenta per serramenti ad alzante scorrevole" | |
ITVE20070071A1 (it) | Porta sezionale perfezionat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