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907A - 코우크스 공장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를 위한 방법 및 설비 - Google Patents

코우크스 공장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를 위한 방법 및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907A
KR20140023907A KR20137025218A KR20137025218A KR20140023907A KR 20140023907 A KR20140023907 A KR 20140023907A KR 20137025218 A KR20137025218 A KR 20137025218A KR 20137025218 A KR20137025218 A KR 20137025218A KR 20140023907 A KR20140023907 A KR 20140023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reactor
wastewater
reaction zone
gas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25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003B1 (ko
Inventor
홀거 티엘레르트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우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우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우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23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1Sulfu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6Nitrogen compounds, e.g. ammonia
    • C02F2101/18Cya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2F2101/345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1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quarries or from mining activ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4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4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 C02F2103/36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from the manufacture of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4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 C02F2103/36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from the manufacture of organic compounds
    • C02F2103/365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from the manufacture of organic compounds from petrochemical industry (e.g. refin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1Aerobic and anaerobic treatment in the same rea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소 화합물, 시안화물, 페놀류 및 황화물을 포함하는 코우크스 공장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우크스 공장 폐수는 질산화 과정을 억제하는 유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바이오매스(biomass)를 포함하는 물질 스트림과 함께 가스 처리 영역과 반응 영역을 가진 소독 반응기에 공급된다. 소독 반응기에 공급된 혼합물은 가스 처리 영역에서 기상 산화제에 노출된다. 산화제로 농축된 물질 스트림은 반응 영역에 공급되고, 상기 영역에서 시안화물 및 질산화 과정을 억제하는 다른 유해 물질이 생물학적으로 분해된다. 반응 영역으로부터 물질 스트림이 배출되어 소독 반응기 내로 리턴된다. 또한, 소독 반응기로부터 배출된 폐수 스트림은 멤브레인 여과에 의해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비투과 스트림과 정화된 투과 스트림으로 분리된다. 비투과 스트림으로부터 잉여슬러지를 동반하는 서브 스트림이 제거된다. 비투과 스트림은 서브 스트림의 분리 후에 소독 반응기 내로 재순환된다. 투과 스트림은 질산화 과정 및 후속하는 탈질 과정에 의해 더 정화된다.

Description

코우크스 공장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를 위한 방법 및 설비{PROCESS AND PLANT F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COKING PLANT WASTEWATER}
본 발명은 질소 화합물, 시안화물, 페놀류 및 황화물을 포함하는 코우크스 공장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를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설비에 관한 것이다.
질산화 과정을 억제하는 유독성 함유 물질의 높은 농도로 인해 코우크스 공장 폐수는 특히 문제가 되는 산업 폐수이다. 종래의 생물학적 방법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콘크리트 침전지 구조의 경하중 대용량 생물 반응기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질산화 과정과 같은 민감한 생물학적 과정들은 예를 들어 시안화물 및 페놀류와 같은 위험 물질에 의한 부하 충격에 항상 취약하다. 유기 화합물의 분해, 가수분해 및 탈질 과정을 위한 제 1 생물학적 스테이지와 제 2 질산화 스테이지로 처리를 분리함으로써 그리고 질산 리턴 라인을 통해 2개의 스테이지를 연결함으로써 바이오 반응기를 위한 필요 체적이 감소하고, 민감하고 성장이 느린 독립 영양 박테리아는 시안화물, 페놀류 및 다른 억제 물질에 의한 악영향에 대해 보호된다.
이러한 방법 구상에 필요한 공간 및 콘크리트 공사의 규모는 매우 크고 따라서 극도로 비용 집약적이다. 코우크스 공장 내 대부분 한정된 공간으로 인해, 전술한 폐수 처리는 기존의 코우크스 공장에는 적합하지 않다.
DE 103 18 736 A1 에는 코우크스 공장 폐수를 정화하기 위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고, 상기 방법에서 정화될 폐수는 액체 순환계에 통합된 반응기를 관류하고, 상기 반응기는 기체 투과성 및 내측으로 산소 함유 가스가 관류하는 멤브레인 튜브를 포함한다. 멤브레인 튜브의 액체에 잠기는 외측면에서 바이오필름이 유지되고, 상기 바이오필름에서 폐수에 포함된 질소 함유 화합물이 질산염이 되는 선택적인 질산화 과정이 실시되고 동시에 바이오필름의 산소가 희박한 외부 영역에서는 질산염이 원소 질소가 되는 탈질 과정이 이루어진다. 실제로 이 방법은 실현될 수 없었다. 규정된 바이오필름의 형성과 유지가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질산화 과정과 탈질 과정에 필요한 교환면을 멤브레인 표면에 제공하는 것은 쉽지 않다.
DE 198 42 332 A1 에 공지된 생물학적 폐수 정화 방법에서 반응기가 사용되고, 상기 반응기는 기상 산화제를 정화될 액체에 공급하기 위한 또는 바이오매스의 기질을 최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가스 처리 영역 및 불순물을 분해하기 위한 반응 영역을 포함한다. 액체 혼합물은 반응 영역으로부터 가스 처리 영역으로 재순환되고, 거기에서 다시 가스 및 기질로 농축된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가스가 액체에 공급되어 상기 액체와 혼합되는 가스 처리 영역과 불순물이 생물학적으로 분해되는 반응 영역 사이의 정확한 분리가 이루어진다. 이 방법은 생활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코우크스 공장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의 경우에, 코우크스 공장 폐수는 질산화 과정을 억제하는 유해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본 발명의 과제는, 콤팩트한 설비에서 실시될 수 있고, 기존의 코우크스 공장의 한정된 공간에서 이용될 수 있는 코우크스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대상인 청구범위 제 1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코우크스 공장 폐수는 질산화 과정을 억제하는 유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물질 스트림(stream)과 함께 가스 처리 영역과 반응 영역을 가진 소독 반응기에 공급된다. 소독 반응기에 공급된 혼합물은 가스 처리 영역에서 기상 산화제에 노출된다. 산화제로 농축된 물질 스트림은 반응 영역에 공급되고, 상기 영역에서 시안화물 및 질산화 과정을 억제하는 다른 유해 물질이 생물학적으로 분해된다. 반응 영역으로부터 물질 스트림이 배출되어 반응기 내로 리턴된다. 또한, 소독 반응기로부터 배출된 폐수 스트림은 멤브레인 여과에 의해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비투과 스트림과 정화된 투과 스트림으로 분리된다. 비투과 스트림으로부터 잉여슬러지를 동반하는 서브 스트림이 제거된다. 비투과 스트림은 서브 스트림의 분리 후에 소독 반응기 내로 재순환된다. 또한, 투과 스트림은 질산화 과정 및 후속하는 탈질 과정에 의해 정화된다.
소독 반응기는 액체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또는 바이오매스의 최적의 기질을 공급하기 위한 가스 처리 영역과 불순물의 분해를 위한 반응 영역으로 세분된다. 소독 반응기는 질산화 과정을 억제하는 유해 물질이 분해되는 제 1 정화 스테이지를 형성하므로, 상기 유해 물질로부터 부정적인 작용은 예상되지 않는다. 소독 반응기로부터 배출되어 멤브레인 여과에 공급되는 물질 스트림의 페놀류 및 시안화물 함량은 질화 박테리아의 억제 농도 아래로 감소할 수 있다. 거의 완전한 시안화물 분해와 거의 완전한 페놀류 분해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CSB-함량은 소독 반응기에서 생물학적 처리에 의해 60 내지 80% 감소한다. 유기 질소 화합물은 분해되므로, 소독 반응기의 배출구에서 전체 질소는 거의 NH4-질소로서 존재한다.
소독 반응기의 작동을 위한 바이오매스로서 생활 폐수 설비의 활성 슬러지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활성 슬러지는 수주의 적응기간에 걸쳐 코우크스 공장 폐수에 적응된다.
소독 반응기에서 배출된 폐수는 멤브레인 여과에 의해 후속 정화된다. 멤브레인 여과는 바이오매스의 분리와 농축에 이용된다. 바람직하게 멤브레인 여과는 한외 여과로 이루어지고, 이 경우 액체에 잠기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모듈이 사용된다. 멤브레인에서 유속은 순환계에 공급된 액체 유량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유입 및 유출의 제어에 의해 계속해서 배출되는 비투과 스트림 내 바이오매스의 함량은 규정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10 내지 30 g/l의 바이오매스 함량을 가진 비투과물은 소독 반응기 내로 재순환된다.
질산화 과정 및 후속하는 탈질 과정은 종래의 침전지 기술에서 2차 정화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질산화 반응기에서 질산화 과정이 실시되고, 상기 반응기는 마찬가지로 가스 처리 영역과 반응 영역을 포함하고, 이 경우 물질 스트림은 반응 영역으로부터 가스 처리 영역 내로 재순환되고, 거기에서 기상 산화제와 제공된 투과 스트림으로 농축된다. 다른 물질 스트림은 질산화 반응기의 반응 영역으로부터 정화 탱크에 공급되고, 상기 정화 탱크는 탈질 스테이지로서 작동된다. 바이오매스를 동반하는 물질 스트림은 탈질 스테이지로부터 질산화 반응기 내로 재순환된다. 또한, 생물학적으로 정화된 폐수 스트림은 탈질 스테이지로부터 배출된다.
생물학적으로 정화된 폐수 스트림은 바람직하게 멤브레인 여과에 의해 후속 정화된다. 이 경우 폐수 스트림은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비투과 스트림과 정화된 투과 스트림으로 분리된다. 비투과 스트림으로부터 잉여슬러지를 동반하는 서브 스트림이 제거된다. 비투과 스트림은 서브 스트림의 분리 후에 탈질 스테이지 내로 재순환된다. 탈질 후에 연결되는 멤브레인 여과는 바람직하게 한외여과(ultrafiltration)로서 작동되고, 이 경우 액체에 잠기는 멤브레인을 가진 모듈이 사용되고, 멤브레인에서 유속은 순환계에 공급된 액체 유량에 의해 설정된다.
소독 반응기 및 질산화 반응기의 반응 영역과 가스 처리 영역은 바람직하게 노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노즐에서 액체가 공급부로부터 가스 처리 영역 내로 공급된다. 노즐에서 형성된 흐름에 의해 반응 영역으로부터 배출된 액체가 혼입된다. 반응기는, 불순물이 생물학적으로 분해되는 반응 영역과 가스 처리 영역 사이의 정확한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작동된다. 가스 처리 영역과 반응 영역은 액체를 이송하도록 서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리턴 이음(return coupling)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액체의 일부는 항상 가스 처리 영역과 반응 영역 사이에서 순환하는 한편, 동시에 폐수와 바이오매스가 공급되고 정화된 물은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다.
멤브레인 여과 시 소독 반응기 후방에 생성되는 투과 스트림으로부터 서브 스트림이 분기되어 탈질 스테이지에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스트림은 탈질 과정에서 탄소원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상은 전술한 방법의 실시를 위한 청구범위 제 10항에 따른 설비이다. 설비는 질산화 과정을 억제하는 유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소독 반응기, 소독 반응기에서 예비 정화된 폐수 스트림의 멤브레인 여과를 위한 장치 및 질산화 과정 및 탈질 과정에 의해 멤브레인 여과시 생성되는 투과 스트림의 생물학적 폐수 정화를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소독 반응기는 전술한 구조를 갖고, 상부 반응 영역, 하부 가스 처리 영역 및 반응 영역으로부터 가스 처리 영역 내로 액체를 리턴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소독 반응기 후방에 배치된 생물학적 폐수 정화 장치는 바람직하게 질산화 반응기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기도 상부 반응 영역, 하부 가스 처리 영역, 기상 산화제를 위한 공급 장치 및 반응 영역으로부터 가스 처리 영역 내로 액체를 리턴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소독 반응기 및/또는 질산화 반응기의 반응 영역과 가스 처리 영역에 바람직하게 액체 순환을 제공하기 위한 각각의 루프 튜브가 배치된다. 2개의 영역 사이에 노즐이 배치되고, 상기 노즐에서 리턴 라인으로부터 배출된 액체와 소독 반응기로부터 배출된 코우크스 공장 폐수 또는 예비 정화된 폐수 스트림에 상부 루프 튜브로부터 배출된 액체가 혼입되어 가스 처리 영역 내로 이송된다.
질산화 반응기 후방에 탈질 스테이지로서 작동되는 정화 탱크가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물질 스트림은 정화 탱크로부터 질산화 반응기 내로 재순환될 수 있다. 탈질 스테이지 후방에 바람직하게 정화 탱크로부터 배출된 정화된 폐수 스트림의 멤브레인 여과를 위한 장치가 배치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도면을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질소 화합물, 시안화물, 페놀류 및 황화물을 포함하는 코우크스 공장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를 위한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설비는 질산화를 억제하는 유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소독 반응기(1), 소독 반응기(1)에서 예비 정화된 폐수 스트림의 멤브레인 여과를 위한 장치(2) 및 질산화 과정 및 탈질 과정에 의해 멤브레인 여과 시 생성되는 투과 스트림(P)의 생물학적 폐수 정화를 위한 장치(3)를 포함한다. 소독 반응기(1)는 상부 반응 영역(4), 기상 산화제를 위한 공급 장치(6)를 가진 하부 가스 처리 영역(5) 및, 반응 영역(4)으로부터 가스 처리 영역(5) 내로 액체를 리턴시키는 수단(7)을 포함한다. 소독 반응기(1)의 반응 영역(4)과 가스 처리 영역(5)에 각각 액체 재순환을 제공하기 위한 루프 튜브(8, 8')가 배치된다. 또한, 2개의 영역(4, 5) 사이에 노즐(9)이 배치되고, 상기 노즐에서 리턴 라인으로부터 배출된 액체와 정화될 코우크스 공장 폐수에 상부 루프 튜브(8)로부터 배출된 액체가 혼입되어 가스 처리 영역(5) 내로 이송된다.
코우크스 공장 폐수는 시안화물, 페놀류 및 질산화 과정을 억제하는 기타 다른 유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물질 스트림과 함께 소독 반응기(1)에 공급된다. 소독 반응기(1)에 공급된 혼합물은 가스 처리 영역(5)에서 기상 산화제에 노출된다. 산화제로 농축된 물질 스트림은 소독 반응기(1)의 반응 영역(4)에 공급되고, 상기 영역에서 시안화물 및 질산화 과정을 억제하는 다른 유해 물질이 생물학적으로 분해된다. 반응 영역(4)으로부터 물질 스트림이 배출되어 소독 반응기(1) 내로 리턴된다. 또한, 소독 반응기(1)로부터 배출된 폐수 스트림(A)은 멤브레인 여과에 의해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비투과 스트림(R)과 정화된 투과 스트림(P)으로 분리된다. 비투과 스트림(R)으로부터 잉여슬러지를 동반하는 서브 스트림(T)이 제거된다. 상기 서브 스트림(T)의 분리 후에 비투과 스트림(R)은 소독 반응기(1) 내로 재순환된다. 투과 스트림(P)은 질산화 과정 및 후속하는 탈질 과정에 의해 정화된다.
소독 반응기(1) 후방에 배치된 생물학적 폐수 정화 장치(3)는 질산화 반응기(10)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기 또한 상부 반응 영역(4'), 기상 산화제를 위한 공급 장치(6')를 가진 하부 가스 처리 영역(5') 및, 반응 영역(4')으로부터 가스 처리 영역(5') 내로 액체를 리턴시키는 수단(7')을 포함한다. 반응 영역(4')으로부터 물질 스트림이 가스 처리 영역(5') 내로 재순환되고, 거기에서 기상 산화제 및 제공된 투과 스트림(P)으로 농축된다. 다른 물질 스트림은 질산화 반응기의 반응 영역으로부터 정화 탱크(11)에 공급되고, 상기 정화 탱크는 탈질 스테이지로서 작동된다. 바이오매스를 동반하는 물질 스트림은 탈질 스테이지로부터 질산화 반응기(10) 내로 재순환된다. 또한, 생물학적으로 정화된 폐수 스트림은 탈질 스테이지로부터 배출되어 후방에 배치된 멤브레인 여과(2')에 제공된다. 폐수 스트림은 멤브레인 여과(2')를 통해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비투과 스트림(R')과 정화된 투과 스트림(P')으로 분리된다. 비투과 스트림(R')으로부터 잉여슬러지를 동반하는 서브 스트림(T')이 제거된다. 이러한 서브 스트림(T')의 분리 후에 비투과 스트림(R')은 탈질 스테이지 내로 재순환된다.
도면에 도시된 설비 도식에서, 멤브레인 여과 시 소독 반응기(1) 후방에서 발생하는 투과 스트림(P)으로부터 서브 스트림(T")이 분기되어, 탈질 스테이지에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서브 스트림(T")은 탈질 과정에서 탄소원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생물학적 폐수 정화 설비는 소독 반응기(1) 후방에 배치된 멤브레인 여과(2)와 탈질 스테이지로서 작동되는 정화 탱크(11)에 할당된 다른 멤브레인 여과(2')를 포함한다. 멤브레인 여과(2, 2')는 바람직하게 한외여과로서 작동되고, 이 경우 액체에 잠기는 멤브레인을 가진 모듈이 사용된다. 멤브레인에서 유속은 순환계에 공급된 액체 유량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유입 및 유출 조절은 농축, 즉 비투과 스트림(R, R') 내 바이오매스 함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 소독 반응기
2 멤브레인 여과를 위한 장치
3 생물학적 폐수 정화를 위한 장치
4, 4' 반응 영역
5, 5' 가스 처리 영역
8, 8' 루프 튜브
9 노즐
10 질산화 반응기

Claims (14)

  1. 질소 화합물, 시안화물, 페놀류 및 황화물을 포함하는 코우크스 공장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를 위한 방법으로서,
    코우크스 공장 폐수는 질산화 과정을 억제하는 유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물질 스트림과 함께 가스 처리 영역과 반응 영역을 포함하는 소독 반응기에 공급되고,
    상기 소독 반응기에 공급된 혼합물은 가스 처리 영역에서 기상 산화제에 노출되고, 상기 산화제로 농축된 물질 스트림은 반응 영역에 공급되고, 상기 반응 영역에서 시안화물 및 질산화 과정을 억제하는 다른 유해 물질이 생물학적으로 분해되고,
    상기 반응 영역으로부터 물질 스트림이 배출되어 상기 소독 반응기 내로 리턴되고,
    상기 소독 반응기로부터 배출된 폐수 스트림은 멤브레인 여과에 의해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비투과 스트림과 정화된 투과 스트림으로 분리되고,
    비투과 스트림으로부터 잉여슬러지를 동반하는 서브 스트림이 제거되고, 상기 비투과 스트림은 서브 스트림의 분리 후에 상기 소독 반응기 내로 재순환되고,
    상기 투과 스트림은 질산화 과정 및 후속하는 탈질 과정에 의해 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우크스 공장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를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 반응기의 작동을 위한 바이오매스로서 생활 폐수 설비의 활성 슬러지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활성 슬러지는 수주의 적응기간에 걸쳐 코우크스 공장 폐수에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우크스 공장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를 위한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가스 처리 영역과 반응 영역을 가진 질산화 반응기에서 질산화 과정이 실시되고, 물질 스트림이 상기 반응 영역으로부터 상기 가스 처리 영역 내로 재순환되고, 거기에서 기상 산화제와 투과 스트림으로 농축되고, 다른 물질 스트림이 질산화 반응기의 반응 영역으로부터 정화 탱크에 공급되고, 상기 정화 탱크는 탈질 스테이지로서 작동되고, 바이오메스를 동반하는 물질 스트림이 탈질 스테이지로부터 질산화 반응기 내로 재순환되고, 생물학적으로 정화된 폐수 스트림이 탈질 스테이지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우크스 공장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를 위한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 반응기 및/또는 상기 질산화 반응기의 반응 영역과 가스 처리 영역은 노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노즐에서 액체가 공급부로부터 가스 처리 영역 내로 공급되고, 상기 노즐에서 형성된 흐름에 의해 상기 반응 영역으로부터 배출된 액체가 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우크스 공장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를 위한 방법.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멤브레인 여과 시 상기 소독 반응기 후방에 생성되는 투과 스트림으로부터 서브 스트림이 분기되어 탈질 스테이지에 직접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우크스 공장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를 위한 방법.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수 스트림은 멤브레인 여과에 의해 후속 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우크스 공장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를 위한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 스트림은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비투과 스트림과 정화된 투과 스트림으로 분리되고, 이 경우 상기 비투과 스트림으로부터 잉여 슬러지를 동반하는 서브 스트림이 제거되고, 상기 비투과 스트림은 상기 서브 스트림의 분리 후에 탈질 스테이지 내로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우크스 공장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를 위한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멤브레인 여과를 위해 액체에 잠기는 멤브레인을 가진 모듈이 사용되고, 상기 멤브레인에서 유속은 순환계에 공급된 액체 유량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우크스 공장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를 위한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여과를 위해 한외여과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우크스 공장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를 위한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설비로서,
    질산화 과정을 억제하는 유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소독 반응기(1),
    상기 소독 반응기(1)에서 예비 정화된 폐수 스트림(A)의 멤브레인 여과를 위한 장치(2) 및
    질산화 과정 및 탈질 과정에 의해 멤브레인 여과시 생성되는 투과 스트림(P)의 생물학적 폐수 정화를 위한 장치(3)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소독 반응기(1)는 상부 반응 영역(4), 기상 산화제를 위한 공급 장치(6)를 가진 하부 가스 처리 영역(5) 및, 상기 반응 영역(4)으로부터 상기 가스 처리 영역(5) 내로 액체를 리턴시키는 수단(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 반응기(1) 후방에 배치된 생물학적 폐수 정화 장치(3)는 질산화 반응기(10)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기는 상부 반응 영역(4'), 기상 산화제를 위한 공급 장치(6')를 가진 하부 가스 처리 영역(5') 및, 상기 반응 영역(4')으로부터 상기 가스 처리 영역(5') 내로 액체를 리턴시키는 수단(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 반응기(1) 및/또는 상기 질산화 반응기(10)의 반응 영역(4, 4')과 가스 처리 영역(5, 5')에 액체 재순환을 제공하기 위한 각각의 루프 튜브(8, 8')가 배치되고, 상기 2개의 영역(4, 5, 4', 5') 사이에 노즐(9)이 배치되고, 상기 노즐에서 리턴 라인으로부터 배출된 액체와 상기 소독 반응기(1)로부터 배출된 코우크스 폐수 또는 예비 정화된 폐수 스트림(A)에 상부 루프 튜브(8)로부터 배출된 액체가 혼입되어 상기 가스 처리 영역(5, 5') 내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질산화 반응기(10) 후방에 탈질 스테이지로서 작동되는 정화 탱크(11)가 배치되고, 이 경우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물질 스트림이 상기 정화 탱크(11)로부터 상기 질산화 반응기(10) 내로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탈질 스테이지 후방에 상기 정화 탱크(11)로부터 배출된 정화된 폐수 스트림(A')의 멤브레인 여과를 위한 장치(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KR1020137025218A 2011-04-11 2012-04-02 코우크스 공장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를 위한 방법 및 설비 KR101967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110001962 DE102011001962A1 (de) 2011-04-11 2011-04-11 Verfahren und Anlage zur biologischen Reinigung von Kokereiabwasser
DE102011001962.6 2011-04-11
PCT/EP2012/055986 WO2012139917A2 (de) 2011-04-11 2012-04-02 Verfahren und anlage zur biologischen reinigung von kokereiabwas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907A true KR20140023907A (ko) 2014-02-27
KR101967003B1 KR101967003B1 (ko) 2019-04-08

Family

ID=4597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218A KR101967003B1 (ko) 2011-04-11 2012-04-02 코우크스 공장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를 위한 방법 및 설비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9284204B2 (ko)
EP (1) EP2697173B1 (ko)
JP (1) JP5902800B2 (ko)
KR (1) KR101967003B1 (ko)
CN (1) CN103717539B (ko)
AR (1) AR085993A1 (ko)
BR (1) BR112013024737A2 (ko)
CA (1) CA2832927A1 (ko)
CL (1) CL2013002759A1 (ko)
DE (1) DE102011001962A1 (ko)
MX (1) MX2013011117A (ko)
PL (1) PL2697173T3 (ko)
RU (1) RU2013143412A (ko)
TW (1) TWI558673B (ko)
UA (1) UA113511C2 (ko)
WO (1) WO201213991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7775B (zh) 2012-12-20 2017-03-01 奥加尼卡有限责任公司 用于液体处理尤其是用于盘式废水过滤器设备的过滤器板
DE102013006289A1 (de) 2013-04-12 2014-10-16 Thyssenkrupp Industrial Solutions Ag Verfahren zur verbesserten Reinigung von Abwässern aus einer Koksofenanlage
CN103553282B (zh) * 2013-11-18 2016-01-20 攀枝花钢城集团瑞天安全环保有限公司 焦化废水深度处理工艺
DE102015114888A1 (de) 2015-09-04 2017-03-09 Thyssenkrupp Ag Anlage zur biologischen Flüssigkeitsreinigung
DE102015114881A1 (de) 2015-09-04 2017-03-09 Thyssenkrupp Ag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organische Verbindungen enthaltendem Industrieabwasser
CN105439391B (zh) * 2015-12-29 2017-10-13 天津凯英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含氰化工废水的生物强化治理方法
CN108117232B (zh) * 2017-12-13 2021-04-06 长春黄金研究院有限公司 黄金行业提金工艺生物氧化液处理含氰尾矿浆无害化方法
CN113024026B (zh) * 2021-03-10 2023-01-24 河北协同水处理技术有限公司 一种焦化废水的高效生物脱氮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0611A (ja) * 1994-03-21 1998-01-20 オテヴェ・オムニオム・ドゥ・トレトマン・エ・ドゥ・ヴァロリザシオン 特に固体残留物の内部再循環を伴う湿式酸化によって有機物を含む排水を処理する方法と設備、およびそのための浄化設備
JP2001070470A (ja) * 1999-09-09 2001-03-21 Shukuji Asakura 有害有機化合物の分解・無害化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0562A (en) * 1976-12-06 1978-06-23 Mitsubishi Heavy Ind Ltd Method of treating coke-oven gas liquid
US4271013A (en) * 1979-02-21 1981-06-02 Republic Ste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biodegradable compounds from wastewater
US4537682A (en) * 1982-01-29 1985-08-27 Environmental Research & Technology Activated sludge wastewater treating process
JPS62286596A (ja) * 1986-06-06 1987-12-12 Nippon Kokan Kk <Nkk> 窒素含有廃水の生物学的処理方法
JPH02245296A (ja) * 1989-03-17 1990-10-01 Ebara Infilco Co Ltd 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
RU2049740C1 (ru) * 1993-05-25 1995-12-10 Восточ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глехим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Система оборотного водоснабжения коксохимическ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JPH07112194A (ja) * 1993-10-20 1995-05-02 Kyushu Kankyo Kanri Kyokai 産業廃水の活性汚泥処理方法
JPH07214093A (ja) * 1994-02-01 1995-08-15 Kubota Corp Cod・窒素除去方法
JP3385306B2 (ja) * 1997-02-28 2003-03-10 株式会社クラレ 排水処理装置
DE19842332B4 (de) 1998-09-16 2011-08-11 A.S.T. Abwassersysteme Systemtechnologie GmbH, 28359 Vorrichtung zur biologischen Reinigung von Abwasser
US6706189B2 (en) * 1998-10-09 2004-03-16 Zenon Environmental Inc. Cyclic aeration system for submerged membrane modules
JP2000117273A (ja) * 1998-10-19 2000-04-25 Osaka Gas Co Ltd 廃水の処理方法
JP3732025B2 (ja) * 1998-11-10 2006-01-05 シャープ株式会社 排水処理方法および排水処理装置
US6433055B1 (en) 2000-09-13 2002-08-13 Dow Corning Corporation Electrically conductive hot-melt silicone adhesive composition
DE10318736A1 (de) 2003-04-25 2004-11-11 Thyssenkrupp Encoke Gmbh Verfahren zur Reinigung von Kokereiabwasser
CN101215047B (zh) * 2007-12-28 2010-12-08 安徽工业大学 一种处理焦化废水的a/o/a分支直流生物脱氮方法
DE102008041920A1 (de) 2008-09-09 2010-03-11 Evonik Degussa Gmbh Neue Katalysatoren für die Vernetzung von funktionellen Silanen oder funktionellen Siloxanen, insbesondere mit Substraten
EP2343341B1 (en) 2008-10-23 2014-08-27 Mie University Polyorganosiloxane composition and cured product thereof
CN101486511B (zh) * 2009-03-03 2011-07-20 大连交通大学 气升式间歇内循环反硝化除磷污水处理工艺及装置
JP2011011527A (ja) 2009-07-06 2011-01-20 Shinshu Univ コーティング層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製品
JP5464480B2 (ja) 2009-07-06 2014-04-09 国立大学法人信州大学 コーティング液及びハードコート構造
DE202009013628U1 (de) * 2009-10-07 2011-03-10 Enveko Gmbh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Verunreinigungen enthaltendem Abwasser
JP2011121111A (ja) 2009-12-14 2011-06-23 Tamura Seisakusho Co Ltd リフロー装置
JP5592677B2 (ja) * 2010-03-12 2014-09-1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アンモニア含有廃水の生物学的窒素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0611A (ja) * 1994-03-21 1998-01-20 オテヴェ・オムニオム・ドゥ・トレトマン・エ・ドゥ・ヴァロリザシオン 特に固体残留物の内部再循環を伴う湿式酸化によって有機物を含む排水を処理する方法と設備、およびそのための浄化設備
JP2001070470A (ja) * 1999-09-09 2001-03-21 Shukuji Asakura 有害有機化合物の分解・無害化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17539B (zh) 2016-11-09
CN103717539A (zh) 2014-04-09
PL2697173T3 (pl) 2019-05-31
WO2012139917A2 (de) 2012-10-18
TW201249755A (en) 2012-12-16
US20140048480A1 (en) 2014-02-20
CA2832927A1 (en) 2012-10-18
EP2697173A2 (de) 2014-02-19
AR085993A1 (es) 2013-11-13
BR112013024737A2 (pt) 2016-12-27
RU2013143412A (ru) 2015-04-10
DE102011001962A1 (de) 2012-10-11
EP2697173B1 (de) 2018-11-21
UA113511C2 (xx) 2017-02-10
JP5902800B2 (ja) 2016-04-13
JP2014510632A (ja) 2014-05-01
TWI558673B (zh) 2016-11-21
CL2013002759A1 (es) 2014-02-07
US9284204B2 (en) 2016-03-15
MX2013011117A (es) 2014-03-27
KR101967003B1 (ko) 2019-04-08
WO2012139917A3 (de)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7003B1 (ko) 코우크스 공장 폐수의 생물학적 정화를 위한 방법 및 설비
KR101304396B1 (ko) 폐활성 슬러지의 포스포러스 및 마그네슘을 스트립하는 프로세스와 스트루바이트 생산 시스템
KR20150085990A (ko) 하·폐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SK60597A3 (en) Wastewater treatment method and plant
KR101294489B1 (ko) 유기 황 화합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KR20120079899A (ko) 혐기조 및 반송라인과 결합된 2단탈질 방식의 엠비알 폐수처리 장치
JP2014510632A5 (ko)
KR20170009155A (ko) 고농도 질소 함유 반류수의 질소제거 시스템
WO2017052167A1 (ko) 생물여과공정을 단축질소제거 공정의 전처리로 채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KR20150079068A (ko) 아크릴로니트릴 폐수의 재이용 시스템
CN109231486A (zh) 一种光反应-mbr一体化脱氮除磷设备
CA2300719A1 (en) Membrane supported biofilm process
KR100783789B1 (ko)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KR20130001066A (ko) 생물막 부착 멤브레인 공정을 이용한 생물학적 탈질·탈인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KR100381298B1 (en) Apparatus for treating high concentrated nitrogen contained wastewater (landfill site leachate) including membrane separation process
KR100783790B1 (ko) 다단탈질여과를 이용한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CN206232573U (zh) 一种有机废水处理系统
KR200283062Y1 (ko) 오.폐수 및 하수의 질소, 인 제거를 위한 고도처리장치
KR100327095B1 (ko) 지하수원으로부터 질산성 질소 이온의 제거방법
KR20140037382A (ko) 폐수 처리 장치
KR20180059705A (ko) 분리막을 이용한 고도 수처리장치
KR20190033317A (ko)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CN105314788B (zh) 综合多区废水处理系统和方法
KR101291230B1 (ko) 반송 슬러지 분할유입을 이용한 하수고도처리시스템 및 하수고도처리시스템 운영방법
KR20120080457A (ko) 고도하폐수처리장치와 병합한 비점원오염원 제거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