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1317A -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주차 보조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주차 보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1317A
KR20140021317A KR20120087584A KR20120087584A KR20140021317A KR 20140021317 A KR20140021317 A KR 20140021317A KR 20120087584 A KR20120087584 A KR 20120087584A KR 20120087584 A KR20120087584 A KR 20120087584A KR 20140021317 A KR20140021317 A KR 20140021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roach distance
distance
approaching
backward
approa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87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20120087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1317A/ko
Priority to US13/962,281 priority patent/US9123253B2/en
Priority to DE201310013788 priority patent/DE102013013788A1/de
Priority to CN201310349160.2A priority patent/CN103661370B/zh
Publication of KR20140021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8Driving aids for parking, e.g. acoustic or visual feedback on park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60W10/18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with wheel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7Parking aids, e.g. instruction means
    • B62D15/028Guided parking by providing commands to the driver, e.g. acoustically or op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7Parking aids, e.g. instruction means
    • B62D15/0285Parking performed auto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60W2550/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차 시에 후진과 전진에 따른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차량의 주차 시에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구동 장치에 의한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이미 설정된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감지부에서 감지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와; 제 1 판단부에서 판단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표시부에서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기반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될 때까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자 조향 구동 장치를 구동시키는 조향 구동부를 포함하는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주차 보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주차 보조 방법{Apparatus for assisting parking and method for assisting parking thereof}
본 발명은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주차 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주차 보조 장치는 주차시에 운전자에게 편리한 주차를 유도하도록 제공되었다.
그러나, 종래 주차 보조 장치는 주차시에 현재 주변 물체와의 접근 상황이 인접할 경우, 현재 주변 물체와의 접근 상황을 감지하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현재 주변 물체와의 접근 상황을 효율적으로 표시하여 현재 주변 물체와의 접촉에 의한 차량의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주차의 신뢰성과 주차의 편리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는 개선된 주차 보조 장치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주차 보조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차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주차 보조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주차 시에 후진과 전진에 따른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차량의 주차 시에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구동 장치에 의한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이미 설정된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감지부에서 감지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와; 제 1 판단부에서 판단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표시부에서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기반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될 때까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자 조향 구동 장치를 구동시키는 조향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 판단부에서 판단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접근 거리 상황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조향 구동부에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자 조향 구동 장치를 구동시킬 때에,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2 판단부에서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될 경우, 현재의 진입 상황을 식별시키는 제 2 식별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차량의 주차 시에 후진과 전진에 따른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를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감지 단계와; 감지부에서 감지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제어부에 이미 설정된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와;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표시부에서 표시하는 표시 단계; 및 표시부에서 표시한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기반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될 때까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조향 구동부에서 전자 조향 구동 장치를 구동시키는 조향 구동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 판단 단계 이후에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접근 거리 상황을 제 1 식별부에서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단계 이후에 조향 구동부에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자 조향 구동 장치를 구동시킬 때에,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되는지를 제 2 판단부에서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를 더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2 판단 단계 이후에 제 2 판단부에서 판단한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될 경우, 현재의 진입 상황을 제 2 식별부에서 식별시키는 제 2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주차 보조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주차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주차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에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구동 장치와 전자 조향 구동 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에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구동 장치와 전자 조향 구동 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의 주차 보조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의 주차 보조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에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구동 장치와 전자 조향 구동 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의 주차 보조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의 주차 보조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에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구동 장치와 전자 조향 구동 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의 주차 보조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의 주차 보조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에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구동 장치와 전자 조향 구동 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의 주차 보조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의 주차 보조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에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구동 장치와 전자 조향 구동 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에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구동 장치와 전자 조향 구동 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100)는 감지부(102), 제어부(104), 제 1 판단부(106), 표시부(108), 조향 구동부(110)를 포함한다.
감지부(102)는 차량의 주차 시에 후진과 전진에 따른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를 감지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감지부(102)는 광학 카메라,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 적외선 센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제어부(104)는 차량의 주차 시에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구동 장치(10)에 의한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이미 설정된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를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제 1 판단부(106)는 감지부(102)에서 감지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도록 제공된다.
일예로, 제 1 판단부(106)는 감지부(102)에서 감지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보다 먼 상태인지를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표시부(108)는 제 1 판단부(106)에서 판단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표시하도록 제공된다.
조향 구동부(110)는 표시부(108)에서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기반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될 때까지,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전자 조향 구동 장치(30)를 구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표시부(108)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을 포함하여 "자동 조향 중! 후진 접근 거리가 86cm입니다. 전진 기어를 넣어 주십시오" 또는 "자동 조향 중! 전진 접근 거리가 86cm입니다. 후진 기어를 넣어 주십시오"라는 HMI 변속 메시지를 일예로 표시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100)를 이용하여 주차를 보조하는 주차 보조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3 및 도 4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의 주차 보조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의 주차 보조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도 1 및 도 2의 100)의 주차 보조 방법(300, 400)은 감지 단계(S302), 제 1 판단 단계(S304), 표시 단계(S306), 조향 구동 단계(S308)를 수행한다.
먼저, 감지 단계(S302)는 차량의 주차 시에 후진과 전진에 따른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를 감지부(도2의 102)에서 감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감지 단계(S302)는 감지부(도2의 102)에 광학 카메라,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 적외선 센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시켜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 후, 제 1 판단 단계(S304)는 감지부(도2의 102)에서 감지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제어부(도2의 104)에 이미 설정된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도2의 104)의 제어에 따라 제 1 판단부(도2의 106)에서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판단 단계(S404)는 감지부(도2의 102)에서 감지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제어부(도2의 104)에 이미 설정된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보다 먼 상태인지를 제어부(도2의 104)의 제어에 따라 제 1 판단부(도2의 106)에서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후, 표시 단계(S306)는 제 1 판단부(도2의 106)에서 판단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표시부(도2의 108)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조향 구동 단계(S308)는 표시부(도2의 108)에서 표시한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기반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될 때까지, 제어부(도2의 104)의 제어에 따라 조향 구동부(도2의 110)에서 전자 조향 구동 장치(도1 및 도2의 30)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표시 단계(S306)는 표시부(도2의 108)에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을 포함시켜 "자동 조향 중! 후진 접근 거리가 86cm입니다. 전진 기어를 넣어 주십시오" 또는 "자동 조향 중! 전진 접근 거리가 86cm입니다. 후진 기어를 넣어 주십시오" 라는 HMI 변속 메시지를 일예로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100) 및 그 주차 보조 방법(300, 400)은 감지부(102), 제어부(104), 제 1 판단부(106), 표시부(108), 조향 구동부(11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100) 및 그 주차 보조 방법(300, 400)은 표시부(108)에서 표시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또는 현재 주변 물체와의 전진 접근 거리를 인지할 수가 있으므로, 주차시에 현재 주변 물체와의 접촉에 의한 차량의 충돌을 방지할 수가 있어 주차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에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구동 장치와 전자 조향 구동 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5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100)와 동일하게 감지부(102), 제어부(104), 제 1 판단부(106), 표시부(108), 조향 구동부(1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5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 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500)는 제 1 식별부(512)를 더 포함한다.
즉, 제 1 식별부(512)는 제 1 판단부(106)에서 판단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접근 거리 상황을 식별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식별부(51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량용 스피커(미도시)와 발광 부재(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여 차량용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과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으로 현재의 접근 거리 상황을 식별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500)를 이용하여 주차를 보조하는 주차 보조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6 및 도 7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의 주차 보조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의 주차 보조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도5의 500)의 주차 보조 방법(600, 700)은 감지 단계(S302), 제 1 판단 단계(S304), 제 1 식별 단계(S605, S705), 표시 단계(S306), 조향 구동 단계(S308)를 수행한다.
먼저, 감지 단계(S302)는 차량의 주차 시에 후진과 전진에 따른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를 감지부(도5의 102)에서 감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감지 단계(S302)는 감지부(도5의 102)에 광학 카메라,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 적외선 센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시켜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 후, 제 1 판단 단계(S304)는 감지부(도5의 102)에서 감지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제어부(도5의 104)에 이미 설정된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도5의 104)의 제어에 따라 제 1 판단부(도5의 106)에서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일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판단 단계(S404)는 감지부(도5의 102)에서 감지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제어부(도5의 104)에 이미 설정된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보다 먼 상태인지를 제어부(도5의 104)의 제어에 따라 제 1 판단부(도5의 106)에서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후, 제 1 식별 단계(S605, S705)는 제 1 판단부(도5의 106)에서 판단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접근 거리 상황을 제 1 식별부(도5의 512)에서 식별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제 1 식별 단계(S605, S705)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식별부(도5의 512)를 차량용 스피커(미도시)와 발광 부재(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여 차량용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과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으로 현재의 접근 거리 상황을 식별시키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 후, 표시 단계(S306)는 제 1 판단부(도5의 106)에서 판단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표시부(도5의 108)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조향 구동 단계(S308)는 표시부(도5의 108)에서 표시한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기반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될 때까지, 제어부(도5의 104)의 제어에 따라 조향 구동부(도5의 110)에서 전자 조향 구동 장치(도5의 30)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표시 단계(S306)는 표시부(도5의 108)에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을 포함시켜 "자동 조향 중! 후진 접근 거리가 86cm입니다. 전진 기어를 넣어 주십시오" 또는 "자동 조향 중! 전진 접근 거리가 86cm입니다. 후진 기어를 넣어 주십시오" 라는 HMI 변속 메시지를 일예로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500) 및 그 주차 보조 방법(600, 700)은 감지부(102), 제어부(104), 제 1 판단부(106), 표시부(108), 조향 구동부(110), 제 1 식별부(512)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500) 및 그 주차 보조 방법(600, 700)은 표시부(108)에서 표시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또는 현재 주변 물체와의 전진 접근 거리를 인지할 수가 있으므로, 주차시에 현재 주변 물체와의 접촉에 의한 차량의 충돌을 방지할 수가 있어 주차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500) 및 그 주차 보조 방법(600, 700)은 제 1 식별부(512)에서 주차시에 현재의 접근 거리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주차의 편리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에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구동 장치와 전자 조향 구동 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8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100)와 동일하게 감지부(102), 제어부(104), 제 1 판단부(106), 표시부(108), 조향 구동부(1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8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 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800)는 제 2 판단부(812)를 더 포함한다.
즉, 제 2 판단부(812)는 조향 구동부(110)에서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전자 조향 구동 장치(30)를 구동시킬 때에,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되는지를 판단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800)를 이용하여 주차를 보조하는 주차 보조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9 및 도 10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의 주차 보조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의 주차 보조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도8의 800)의 주차 보조 방법(900, 1000)은 감지 단계(S302), 제 1 판단 단계(S304), 표시 단계(S306), 제 2 판단 단계(S907, S1007), 조향 구동 단계(S308)를 수행한다.
먼저, 감지 단계(S302)는 차량의 주차 시에 후진과 전진에 따른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를 감지부(도8의 102)에서 감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감지 단계(S302)는 감지부(도8의 102)에 광학 카메라,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 적외선 센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시켜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 후, 제 1 판단 단계(S304)는 감지부(도8의 102)에서 감지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제어부(도8의 104)에 이미 설정된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도8의 104)의 제어에 따라 제 1 판단부(도8의 106)에서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일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판단 단계(S404)는 감지부(도8의 102)에서 감지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제어부(도8의 104)에 이미 설정된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보다 먼 상태인지를 제어부(도8의 104)의 제어에 따라 제 1 판단부(도8의 106)에서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후, 표시 단계(S306)는 제 1 판단부(도8의 106)에서 판단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표시부(도8의 108)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후, 제 2 판단 단계(S907, S1007)는 조향 구동부(도8의 110)에서 제어부(도8의 104)의 제어에 따라 전자 조향 구동 장치(도8의 30)를 구동시킬 때에,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되는지를 제 2 판단부(도8의 812)에서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조향 구동 단계(S308)는 표시부(도8의 108)에서 표시한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기반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될 때까지, 제어부(도8의 104)의 제어에 따라 조향 구동부(도8의 110)에서 전자 조향 구동 장치(도8의 30)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표시 단계(S306)는 표시부(도8의 108)에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을 포함시켜 "자동 조향 중! 후진 접근 거리가 86cm입니다. 전진 기어를 넣어 주십시오" 또는 "자동 조향 중! 전진 접근 거리가 86cm입니다. 후진 기어를 넣어 주십시오" 라는 HMI 변속 메시지를 일예로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800) 및 그 주차 보조 방법(900, 1000)은 감지부(102), 제어부(104), 제 1 판단부(106), 표시부(108), 조향 구동부(110), 제 2 판단부(812)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800) 및 그 주차 보조 방법(900, 1000)은 제 2 판단부(812)에서 판단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또는 현재 주변 물체와의 전진 접근 거리가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 또는 기준 주변 물체와의 전진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될 때에, 표시부(108)에서 표시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진입 상황 또는 현재 주변 물체와의 전진 접근 거리 진입 상황을 인지할 수가 있으므로, 주차시에 현재 주변 물체와의 접촉에 의한 차량의 충돌을 더욱 방지할 수가 있어 주차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4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에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구동 장치와 전자 조향 구동 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1100)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800)와 동일하게 감지부(102), 제어부(104), 제 1 판단부(106), 표시부(108), 조향 구동부(110), 제 2 판단부(812)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1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8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 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1100)는 제 2 식별부(1114)를 더 포함한다.
즉, 제 2 식별부(1114)는 제 2 판단부(812)에서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될 경우, 현재의 진입 상황을 식별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식별부(111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량용 스피커(미도시)와 발광 부재(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되어 차량용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과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으로 현재의 진입 상황을 식별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1100)를 이용하여 주차를 보조하는 주차 보조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12 및 도 13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의 주차 보조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의 주차 보조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도11의 1100)의 주차 보조 방법(1200, 1300)은 감지 단계(S302), 제 1 판단 단계(S304), 표시 단계(S306), 제 2 판단 단계(S907, S1007), 제 2 식별 단계(S1207, S1307), 조향 구동 단계(S308)를 수행한다.
먼저, 감지 단계(S302)는 차량의 주차 시에 후진과 전진에 따른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를 감지부(도11의 102)에서 감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감지 단계(S302)는 감지부(도11의 102)에 광학 카메라,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 적외선 센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시켜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 후, 제 1 판단 단계(S304)는 감지부(도11의 102)에서 감지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제어부(도11의 104)에 이미 설정된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도11의 104)의 제어에 따라 제 1 판단부(도11의 106)에서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일예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판단 단계(S404)는 감지부(도11의 102)에서 감지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제어부(도11의 104)에 이미 설정된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보다 먼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1의 104)의 제어에 따라 제 1 판단부(도11의 106)에서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후, 표시 단계(S306)는 제 1 판단부(도11의 106)에서 판단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표시부(도11의 108)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후, 제 2 판단 단계(S907, S1007)는 조향 구동부(도11의 110)에서 제어부(도11의 104)의 제어에 따라 전자 조향 구동 장치(도11의 30)를 구동시킬 때에,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되는지를 제 2 판단부(도11의 812)에서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후, 제 2 식별 단계(S1207, S1307)는 제 2 판단부(도11의 812)에서 판단한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될 경우, 현재의 진입 상황을 제 2 식별부(도11의 1114)에서 식별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제 2 식별 단계(S1207, S1307)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2 식별부(1114)를 차량용 스피커(미도시)와 발광 부재(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여 차량용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과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으로 현재의 진입 상황을 식별시키는 단계를 수행할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조향 구동 단계(S308)는 표시부(도11의 108)에서 표시한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기반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될 때까지, 제어부(도11의 104)의 제어에 따라 조향 구동부(도11의 110)에서 전자 조향 구동 장치(도11의 30)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표시 단계(S306)는 표시부(도11의 108)에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을 포함시켜 "자동 조향 중! 후진 접근 거리가 86cm입니다. 전진 기어를 넣어 주십시오" 또는 "자동 조향 중! 전진 접근 거리가 86cm입니다. 후진 기어를 넣어 주십시오" 라는 HMI 변속 메시지를 일예로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1100) 및 그 주차 보조 방법(1200, 1300)은 감지부(102), 제어부(104), 제 1 판단부(106), 표시부(108), 조향 구동부(110), 제 2 판단부(812), 제 2 식별부(1114)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1100) 및 그 주차 보조 방법(1200, 1300)은 제 2 판단부(812)에서 판단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또는 현재 주변 물체와의 전진 접근 거리가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 또는 기준 주변 물체와의 전진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될 때에, 표시부(108)에서 표시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진입 상황 또는 현재 주변 물체와의 전진 접근 거리 진입 상황을 인지할 수가 있으므로, 주차시에 현재 주변 물체와의 접촉에 의한 차량의 충돌을 더욱 방지할 수가 있어 주차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1100) 및 그 주차 보조 방법(1200, 1300)은 현재의 접근 거리 진입 상황이 기준 주변 물체와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될 때에 제 2 식별부(1114)에서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현재의 접근 거리 진입 상황이 기준 주변 물체와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될 때까지 조향 구동부(110)에서 전자 조향 구동 장치(30)를 구동시켜 차량을 주차시킬 수가 있으므로, 주차의 편리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차량의 주차 시에 후진과 전진에 따른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차량의 주차 시에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구동 장치에 의한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이미 설정된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상기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와;
    상기 제 1 판단부에서 판단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상기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서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될 때까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자 조향 구동 장치를 구동시키는 조향 구동부를 포함하는 주차 보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단부에서 판단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상기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접근 거리 상황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주차 보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구동부에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 조향 구동 장치를 구동시킬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주차 보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단부에서 판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될 경우, 현재의 진입 상황을 식별시키는 제 2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주차 보조 장치.
  5. 차량의 주차 시에 후진과 전진에 따른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를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감지 단계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제어부에 이미 설정된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와;
    상기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상기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표시부에서 표시하는 표시 단계; 및
    상기 표시부에서 표시한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와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될 때까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조향 구동부에서 전자 조향 구동 장치를 구동시키는 조향 구동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보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단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와 전진 접근 거리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상기 기준 주변 물체와의 후진 접근 거리 범위와 전진 접근 거리 범위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접근 거리 상황을 제 1 식별부에서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하는 주차 보조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 이후에,
    상기 조향 구동부에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 조향 구동 장치를 구동시킬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되는지를 제 2 판단부에서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를 더 수행하는 주차 보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단 단계 이후에,
    상기 제 2 판단부에서 판단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근 거리 범위 내로 진입될 경우, 현재의 진입 상황을 제 2 식별부에서 식별시키는 제 2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하는 주차 보조 방법.
KR20120087584A 2012-08-10 2012-08-10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주차 보조 방법 KR20140021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7584A KR20140021317A (ko) 2012-08-10 2012-08-10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주차 보조 방법
US13/962,281 US9123253B2 (en) 2012-08-10 2013-08-08 Parking assistance apparatus and parking assistance method thereof
DE201310013788 DE102013013788A1 (de) 2012-08-10 2013-08-09 Einparkhilfevorrichtung und einparkhilfeverfahren für diese
CN201310349160.2A CN103661370B (zh) 2012-08-10 2013-08-12 驻车辅助设备及其驻车辅助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7584A KR20140021317A (ko) 2012-08-10 2012-08-10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주차 보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317A true KR20140021317A (ko) 2014-02-20

Family

ID=4999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87584A KR20140021317A (ko) 2012-08-10 2012-08-10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주차 보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23253B2 (ko)
KR (1) KR20140021317A (ko)
CN (1) CN103661370B (ko)
DE (1) DE102013013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4121B2 (ja) * 2015-07-31 2019-07-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JP6623602B2 (ja) * 2015-07-31 2019-12-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US9971352B1 (en) * 2016-11-17 2018-05-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utomated co-pilot control for autonomous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3571B2 (ja) * 1998-01-22 2007-04-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輌の自動駐停車装置
DE10343174A1 (de) * 2003-09-18 2005-04-14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gelung der Geschwindigkeit eines Fahrzeugs beim Rangieren/Einparken des Fahrzeugs
KR101125385B1 (ko) 2005-01-18 2012-04-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주차 보조 시스템
DE102005044270A1 (de) * 2005-09-16 2007-03-2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nterstützung eines Einparkvorgangs eines Fahrzeugs
JP4386082B2 (ja) * 2007-02-20 2009-12-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走行支援装置
JP4386083B2 (ja) * 2007-02-27 2009-12-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KR20090036794A (ko) * 2007-10-10 2009-04-15 주식회사 만도 후진 직각 주차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주차 보조 장치
US20110006916A1 (en) * 2009-07-07 2011-01-13 Salvador Toledo Assistance in Parking a Vehicle Between Front and Rear Objects
KR101253153B1 (ko) 2011-01-28 2013-04-10 주식회사 티지오 서지 보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013788A1 (de) 2014-02-13
CN103661370A (zh) 2014-03-26
US9123253B2 (en) 2015-09-01
US20140046544A1 (en) 2014-02-13
CN103661370B (zh)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027B1 (ko) 주차 지원 장치
KR101480602B1 (ko) 주차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1478067B1 (ko) 차량의 주차 조향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40067207A1 (en) Smart parking assist system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541891B (zh) 车辆的停车引导装置和方法
US9254843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assisting parking
US20180334189A1 (en) Method for assisting a parking procedure of a motor vehicle, electronic parking assistance system, and motor vehicle
KR20170102192A (ko) 차량 외부정보를 활용한 주차보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50057870A1 (en) Parking assist apparatus and parking assist method thereof
KR20140094794A (ko)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주차 보조 방법
JP2011126337A (ja) 運転支援装置
KR20130072709A (ko) 영상인식 및 초음파 센서 기술 융합기반 주차 지원 시스템
KR20140021317A (ko)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주차 보조 방법
KR20140020424A (ko) 주차 보조 시스템 및 방법
CN112141083A (zh) 车辆的停车控制设备及其方法
KR101198534B1 (ko) 차량의 타이어위치 표시방법
WO2014083825A1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KR101470101B1 (ko)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20170041521A (ko) 차량 외부정보를 활용한 주차보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99786B1 (ko) 자동 주차 장치 및 그 트래픽 시그널 경고 방법
KR101577660B1 (ko)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주차 보조 방법
KR101625406B1 (ko) 주차와 출차를 위한 보조 장치 그 보조 방법
JP2012061989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20140092025A (ko) 차선 보조 장치 및 그 보조 방법
KR101337230B1 (ko)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주차 보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