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0863A - 종양 세포 및 조직 배양 - Google Patents

종양 세포 및 조직 배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0863A
KR20140020863A KR1020137020771A KR20137020771A KR20140020863A KR 20140020863 A KR20140020863 A KR 20140020863A KR 1020137020771 A KR1020137020771 A KR 1020137020771A KR 20137020771 A KR20137020771 A KR 20137020771A KR 20140020863 A KR20140020863 A KR 20140020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coculture
tumor
cel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스 선드스트롬
셀마 빅스
자넷 포어맨
Original Assignee
캡센트 뉴로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캡센트 뉴로테크놀로지스 엘티디 filed Critical 캡센트 뉴로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40020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8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93Tumour cells; Cancer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1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toxic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5Medicinal preparations ; Physical properties thereof, e.g. dissolubi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11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antineoplastic acti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On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험관 내 3차원적 기관형 세포 공배양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양물은 종양 세포와 구분되는 기질 세포의 기질 내에 3차원적으로 배치된 종양 세포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공배양물은 기저막을 포함하지 않는다. 배양물은 암 연구, 항종양제 효능의 시험, 및 후보 약물의 고효율 스크리닝에 유용하다.

Description

종양 세포 및 조직 배양{TUMOUR CELL AND TISSUE CULTURE}
본 발명은 시험관 내 종양 세포 및 조직 배양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공배양물(co-cultures), 즉 종양 세포 및 상기 종양 세포와 구분되는 세포를 포함하는, 혼합 세포 배양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은 3차원적 기관형(organotypic) 배양물이다. 본 발명은 분리된(dissociated) 세포들의 집합에 의한 공배양물의 형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 중 종양 세포는, 예로서 일차 종양 조직 또는 종양 세포주를 포함하는, 종양 세포들의 임의의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양물의 제조 방법도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배양물은 암 연구, 암치료 및 암 진단에 유용하다. 예로서, 본 발명의 배양물은 항암제 스크리닝 방법 및 항암제 효능 시험 방법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방법 및 배양물은 고효율형 적용에 적합하다.
공격적인 치료 프로토콜에도 불구하고, 많은 유형의 암에 대한 예후는 여전히 극히 부족하다. 신규 치료 섭생법의 확인이 긴급히 요구된다. 그러나, 제약 산업에 대한 주요한 도전은 화합물들을 프로파일(profile)하기 위한 적절한 모델 시스템의 개발이 남아있다는 것이다. 예로서, 다형성 교모세포종 (GBM: glioblastoma multiforme)은 인간에서 가장 일반적이고 가장 공격적인 유형의 일차적인 뇌 종양이지만, GMB에 대한 만족스러운 모델 시스템은 오늘날까지 이용가능한 것이 없다. 이와, 다른 중요한 인간 암에 대하여, 종양 내에서 적절한 생리학적 조건의 보다 충실한 복제를 허용하고, 항암제에 대한 스크린(screen)의 예측 값을 개선시키는 종양 모델을 제공하기 위하여, 종양 세포 배양에 대한 신규한 접근법을 개발하는 것이 긴급히 요구된다.
현재 확립된 실시방법에 따르면, 각종 암들이 어떻게 발생되는가에 대한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신규 치료의 효능을 시험하는데 불사화된 종양 세포주들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항암 화학치료에서의 잠재적 관련성이 있는 화합물들에 대한 초기 스크리닝은 현재, 이들이 2차원적 (2D) 배양 조건에서 "인증된(certified)" NCI 패널로부터의 60개의 잘 특징화된 확립된 종양 세포주들의 증식을 사멸시키거나 저해하는 능력에 근거한다 (Damia 2009). 2D 단일-배양(mono-culture)은 단일한 종양 세포 유형을 가지며, 96개 웰 플레이트에서 웰 당 약 20,000 세포들로, 표준 조작 절차를 이용하여 배양된 후, 24시간 동안 약물의 부재 하에 예비-인큐베이션된다. 그 후 시험 약제들을 첨가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인큐베이션 종료시, 설포로다민(sulforhodamin) B를 사용하여 세포의 단백질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표준화된 분석을 사용하여 오늘날까지 85,000개가 넘는 화합물들이 스크리닝되었다. 2D 배양에서 효과적인 것들 중, 단지 적은 비율만이 임상에서 성공적이었다. 대다수의 신규 항암제들이, 전통적인 시험관 분석에서 항암활성이 증명됨에도 불구하고, 임상에서는 실패한다.
성장하는 종양에 대한 생체 내 모델이 개발되어 왔다 (Rygaard and Povlsen 1969; Kelland L.R 2004). 그러나, 이들 모델은 비싸고, 시간을 소비하며, 살아있는 동물 실험을 필요로 한다. 이들은 종종 피하조직(subcutaneous)이며, 따라서 생체 내 세팅에도 불구하고, 종양이 유래된 기관에서 그 종양이 생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 못한다. 이러한 모델은 고효율형 방법에서의 이용에 적합하지도 않다.
Beaupain, 1999 및 Starzec, 2003은 종양세포와 다른 세포들의 공배양물에 관한 것이다. 이들 방법에서, 종양은 반고체 매질 중에서 결절(nodule)을 형성하도록 조장된다. 결절들은 암세포 사이에서 세포-세포 접촉(cell to cell contacts)을 형성하고, 이들이 다른 세포 유형들을 형성함에 따라, 결절 내로 통합된다. 이는 종양이 기존 비-종양 세포의 기질 내에서 형성되는, 생체 내 상태(situation)를 대표하지 못한다. 결절의 중심은 이들이 성장함에 따라 무산소성이 되는 경향도 있다. 따라서, 이들은 너무 자주 개질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이들 배양물의 용도는 제한된다. 나아가, 상이한 세포 유형들이 각 계대 상에 통합될 수 있으며, 이는 이들 배양물들간에 바람직하지 않은 수준의 변이를 일으킨다.
Ridky 등, (Nature Medicine (2010) 16(12):1450-1455)은 특정 유형의 상피 종양 세포들의 배양물을 설명하며, 여기에서 재조합적으로 형질전환된 상피 세포들은, 기저막 조제표본(prepartion)의 또다른 면 상에 섬유아세포를 갖는, 기저막 조제표본의 한 측면에서 배양된다. 이 모델은 특이적 상피 상태들에 제한되며, 상피세포의 재조합 형질전환 및 형질전환된 세포 및 섬유아세포의, 기저막 조제표본의 어느 한 면에서의 특정 공간 배치에 의존한다.
본 발명자들은 생리학적으로 적절한 기관형 종양 모델의 넓은 범위를 제공하는, 신규하며, 다능적인 종양 세포의 배양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종양 세포 배양은 현재 이용가능한 세포 배양의 많은 단점들을 극복하는 놀라운 성질을 갖는다. 본 발명의 기관형 종양 세포 배양은, 생체 내 실험에 대한, 신뢰성있고, 재현가능하며, 신속하고 저렴한 대체안을 제공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종양 세포 배양물, 보다 구체적으로 종양 세포와 구분되는 기질 세포의 기질 내에 3차원적으로 배치된 종양 세포를 포함하는 시험관 내 3차원적 기관형 세포 공배양물(organotypic cell co-culture)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배양물은, 기관(organ) 또는 고체 조직의 슬라이스 또는 조각, 또는 고체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부착세포(adherent cells)의 임의의 다른 샘플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본 발명의 공배양물은 분리된 세포들(dissociated cells)의 집합(aggregation), 즉, 현탁액 중의 세포들로부터, 분리된 형태의 집합에 의하여 형성된다. 배양물로부터 형성된 세포들이 부착세포 (예로서, 부착 세포 배양 또는 조직 또는 기관 샘플 또는 슬라이스)들을 포함하는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된 경우, 원래의 부착 (집합된) 세포는 본 발명의 공배양물의 형성 전에 분리된(성분으로 해체된(disaggregated)) 것일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분리된 세포들은 공배양물의 형성 동안 집합된다. 특히, 세포들은 세포 현탁액으로부터의 공배양된 세포들의 농도 및/또는 치밀화(compaction)에 따라 집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공배양물은 "집합된(aggregated)" 또는 "재-집합된(re-aggregated)" 공배양물로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은 반투과성 지지체 및 액체 배양 매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a) 공배양물은 기상(gas phase)과 마주하는 지지체의 제 1 표면 상에 배치되며;
b) 상기 지지체의 제 2 표면은 액체 배양 매질과 마주하며, 그와 접촉되어 있고; 그리고
c) 상기 액체 배양 매질은 표면 장력 및/또는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상기 지지체 및 배양물과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배양물은 기체-액체 계면에서 지지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기상은 세포 배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기상 또는 조성물, 예로서 공기일 수 있다. 따라서, 기체-액체 계면은 공기-액체 계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3차원적 기관형 세포 공배양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종양 세포들을 포함하는 제 1 세포 현탁액, 및 상기 종양 세포들과 구분되는 기질 세포들(matrix cells)을 포함하는 제 2 세포 현탁액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제 1 및 제 2 세포 현탁액을 조합하여, 액체 현탁 매질 중에 현탁된 혼합 세포들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혼합 세포들을 농축 및/또는 압축(compacting)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로부터 수득된 혼합 세포들을, 기상과 마주하고 있는 반투과성 지지체의 제 1 표면 상에서 인큐베이션하는 단계, 여기에서 인큐베이션 동안 상기 지지체의 제 2 표면은 액체 배양 매질과 마주하고 그와 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액체는 표면 장력 및/또는 모세관 작용에 의하여 상기 지지체 및 혼합 세포들과 접촉된 채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지지체의 제 2 표면은 제 1 표면에 대하여 반대측성(contralateral)이다.
본 발명의 성질 및 장점
기질 세포들은 그 안에서 종양 세포가 성장하는 기관형 환경을 형성한다. "기관형 배양"이라는 용어는, 배양물 안에 있는 세포들이, 그 세포들이 유래된 기관의 생화학적 및 생리학적 성질을 가능한 한 가장 가깝게 모사하는 방식으로 연합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공배양물"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구분되는 유형의 세포들이 함께 배양된다. 공배양된 세포들은 상이한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으나, 여전히 함께 연합하여 생체 내 상태를 모사할 수 있다. 공배양물은 그 공배양물 내의 모든 세포 유형 및, 세포들간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유래된 성질을 갖는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시험관 내 3D 기관형 종양 세포 배양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질 세포의 3D 기관형 배양이 배양물 내에서 종양 세포를 성장 및 유지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종양 세포 성장을 위한 골격(scaffold) 또는 기질은 일차적으로는 배양 동안 비-종양 세포들 자체에 의하여 제공된다. 놀랍게도, 분리된 기질 세포 및 분리된 종양 세포들 모두,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일단 혼합되면, 재조직화되어 본 발명의 기관형 공배양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기관형 종양 세포 배양물의 이러한 형성은 이전에는 나타난 적이 없었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의 장점은, 이들이 종양 세포와 생체 내 종양 성장 및 병리에 관련된 다른 세포 유형들과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질 세포들은 종양 세포에 생리학적으로 적절한 환경을 제공한다. 압축된 기질 세포들은 시간에 따라 복잡한 3D 기능성 실질조직(parenchyma) 내로 자발적으로 재조직화된다. 예로서, 압축된 뇌 세포들은, 온전한 중추 신경계 영역 중 적절한 시냅스 회로, 생리기능 및 신경전달 수용체 분포의 상당 부분이 존재하는 조직-유사 구조의 형성을 일으킬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배양물 중 뉴런의 기능 활성들은 뇌 및 기관형 슬라이스 배양물 중 이들의 대응물에 유사함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이전의 모델들, 특히 2D 배양물과 달리, 본 발명의 공배양물은 세포 상호작용에 대한 세포의 생리학적, 3차원적 네트워크를 허용한다. 상기 네트워크는, 나아가 종양 세포들간의 상호작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생체 내에서, 종양 세포들 및 비-종양 세포들을 둘러싼 이러한 상호작용은 여러 이유로, 치명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은 종양의 생리학적 환경에 기여하는 각종 세포들간의 신호화를 허용한다. 이는, 성장 인자, 시토카인, 케모카인 및 기질 분해 효소를 포함한, 그러한 신호들이 세포 사멸을 일으키고 따라서 적절한 치료 타겟인 신호화 경로들에 대한 양성 또는 음성의 효과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 중 세포들의 3차원적 환경은 세포외 기질의 자연적인 형성을 허용한다. 이는, 세포외 기질이 세포 거동의 중요한 조절제이며 및 항암제에 대한 반응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이러한 3차원적 환경에서의 종양 세포들은, 2D 단일층에서 성장된 세포들보다 임상에서 관찰되는 것에 더욱 가깝게 닮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이한 세포 유형들의 3차원적 네트워크가 결여된 기존의 2D 배양물, 또는 배양물에서, 세포외 기질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생체내에서 발견되는 것과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공배양된 세포들에 의해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세포외 기질은 세포 배양물에 첨가될 수 있는 인공적 또는 단순화된 단백질 기질 또는 골격에 비하여 우월하다. 이러한 외생의 기질 또는 골격은 생체 내 조직 기질에 대한 불완전한 대체물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콜라겐 단독만으로는 섬유의 느슨한 네트워크만을 생산하는 한편, 결합 조직은 공극 크기 및 섬유 두께의 이종성 구조를 갖는다. 기질 단백질을 이용하는 방법들은 일반적으로 비용 및 변이성이 높고, 그 기질을 제조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비되는 절차를 갖는 단점들이 있다. 세포 추출물들의 기질 상에서의은 추출물들이 변화될 수 있고, 생체 내에서 발견되는 것과 닮은 세포대 세포 상호작용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단점들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해 이들 단점들은 모두 회피되며, 본 발명에서 공배양된 세포들은 적절한 기질을 스스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현재까지 생체 내 생리학적 조건을 가깝게 복제하는 단 하나의 만족스러운 방법이었던, 전체 기관의 배양 또는 기관 및 조직 슬라이스의 기관형 배양보다 현저히 더 빠르고, 저렴하며 보다 유연한 생리학적으로 적절한 환경 내에서 종양 세포를 배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기관 및 조직 슬라이스 배양보다 재료 이용성에 의해 현저히 덜 제한된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에서 달성될 수 있는 세포들의 밀접한 3차원 패킹 역시 중요한데, 이는 생체 내 환경에서와 같이, 배양물에 적용된 강력한 항암제들이 밀접하게 패킹된 3차원적 실질조직을 투과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공배양 모델은 종양이 생체 내에서 거동하는 방식의 중요한 측면들을 충실하게 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예로서, 종양 세포들은 주변 세포 기질을 통하여 이동한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종양 세포들이, 2D 계에서와 같은 하나의 단층으로 성장하기 보다는, 적절한 생체 내 상태를 밀접하게 닮은 기관형 공배양물 내에서 종양-유사 집합물을 형성한다는 것을 놀랍게도 발견하였다. 따라서, 중요하게, 본 발명자들은 생체 내에서 그 종양이 유래된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기질 내, 시험관 내 기관형 공배양에서 종양-유사 구조물을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종양 세포들을 둘러싼 기질 또는 간질로부터의 특정 세포들은 항암제로부터 종양 세포들을 보호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은 약물 처리 동안 종양에 대한 다른 세포들의 이러한 영향 및 세포 환경을 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배양물은 그 작용이 주변 세포 기질에 의하여 영향 받을 수 있는 화합물들의 조사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예로서, 뇌 종양에 관련된 예로, 항종양 화합물로서 택솔의 효능을 무효화시키는 작용을 어느 정도 하는 성상세포의 보호 효과가 있다. 피부에서, 마크로파지는 종양 세포에 보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세포들은 기질 세포로서 본 발명의 공배양물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공배양물은 많은 상이한 세포 유형에 적응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들에 상이한 종양 유형 및 상이한 기질 세포 유형 및 기질 조직에 적응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법 및 공배양물은 원칙적으로 임의의 유형의 종양 세포의 배양에 사용될 수 있으며, 임의의 조직 유형을 모델화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이들은 각종 기타 세포 유형 (여기에서는 기질 세포로 언급됨)과 공배양되는 소정의 종양 세포에 대한 유연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양 세포와 함께 공배양물 내에 통합될 관심 대상의 임의의 세포들을 허용한다. 종양 세포들이 그 안에서 자랄 수 있는 기질의 조성 및 성질은 목적에 맞게 선택 및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은 비-종양세포의 존재 및 이들의 종양 세포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일어날 수 있는 복제 및 조사 또는 종양의 성질 및 생체 내 항암제의 효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추가의 인자들의 복제 및 조사를 가능하게 한다. 한 예는 일부 화합물들, 예로서 TMZ (테모졸라미드)의 효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세포내 및 세포간 pH이다. 또다른 인자는 산소 침투 및 가스 교환으로, 이는 생체 내 조직에 비하여 조직 배양에서 종종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공배양물이 기체-액체 계면에 위치함에 따라, 본 발명은 뛰어난 산소 침투 및 가스 교환을 허용한다.
종양세포의 그들의 환경과의 상호작용 효과는 규정된 방식으로 고려 및 연구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공배양물은 생체 내 상태에 더욱 관련된 효능 데이터가 수득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따라서 종종 약물 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보다 양호한 이해에 대한 문을 개방하는 것이다.
종양 세포 및 기질 세포들의 유전자형은 환자마다 다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공배양물도 개인화된 분석에서 이러한 변화의 효과가 연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유연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에서 연구자에 의해 선택된 종양 세포 및 비-종양 세포 모두의 존재 또한 후보 항암제의 효능 및 독성 모두를 동시에 조사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양물들은 주 또는 월 동안 기관형 특징들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배양물은, 예로서 적어도 6, 적어도 7, 적어도 10, 적어도 14, 적어도 17 또는 적어도 21일 동안 생존하거나 또는 기관형 특징들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배양물은, 예로서 6~56일, 예로서 7~, 8~, 9~, 10~, 14~, 21~, 28~, 35~, 42~, 49~56일, 예로서 7~49 또는 14~49일, 예로서 28~42일 동안 생존하거나 또는 기관형 특징들을 나타낼 수 있다. 당업자는 배양물이 생존하는 일정 기간이 사용된 종양 세포들의 공격성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 및 방법은, 제조가 힘들고 시간을 많이 소비하는, 특정 세포외 단백질 골격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수의 기관형 공배양물은 대규모로 동시에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은 용이하게 재생산가능한 방식으로 생산 및 유지된다. 따라서 이들은 고효율형 용도에 이상적이다. 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방법들, 예로서 후보 항암 약물들의 스크리닝 방법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 모델을 이용한 약물의 스크리닝은, 어떠한 화합물이 임상에서 성공적일지, 개발 사이클 중에서 일찍 인식될 수 있기 때문에, 현저한 재정적 이득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모델의 확고함 및 조작 용이성은 그러한 평가가 이전에 가능한 것에 비해 더욱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종양 단일 배양의 2D 모델에서 이전에 실패한 화합물들을, 생체 내 상태에 더욱 밀접하게 닮은 모델 내에서 이러한 약물들이 어떻게 거동하는지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본 발명의 3D 공배양에서, 효능에 대하여 재시험할 수 있다. 일부 치료 조합들이 약물 효능에 상승작용적인 효과를 갖는지의 여부를 확립하기 위하여, 신규 및/또는 확립된 약물들의 조합을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시험하는 것도 가능하다.
세포외 생물학적 골격 및 기질로부터의 독립성
본 발명의 공배양물은 반투과성 지지체의 한 표면 상에서 제조 및 성장되지만,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방법 및 공배양물은 외생의 골격 또는 세포외 기질 단백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구체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공배양물 및 방법은 외생 또는 예비형성된 무세포성(acellular) 단백질 골격, 예컨대 콜라겐을 포함하는 무세포성 골격의 이용을 포함하거나 또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러한 예비형성된 또는 외생의 무세포성 단백질 골격의 예들은 기저막, 또는 기저막을 포함하거나 또는 기저막으로부터 유래된 골격(예로서, 기저막을 포함하는 실활된(devitalized) 피부)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기저막이 세포외 섬유의 시트임을 이해할 것이다. 생리학적 상황에서, 이는 상피 또는 내피의 밑에 있다. 온전한 기저막은 기저 라미나 및 망상 라미나인, 두 개의 라미나(lamina)로 구성된다. 기저 라미나는 VII형 콜라겐을 포함한다. 망상 라미나는 미소원섬유(피브릴린(fibrillin))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들에서, 공배양은 기저막 또는 그의 유도체, 성분 또는 변이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들에서, 공배양은 임의의 예비형성된 무세포성 단백질 골격을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어떤 세포외 골격 단백질도 제 1 또는 제 2 세포 현탁액 또는 그의 혼합물에 첨가되지 않는다 (혼합 세포의 현탁액).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특정 구체예에서 반투과성 지지체가, 공배양물의 지지체로의 부착을 촉진시키는 재료로 코팅될 수 있음을 제외하고는, 어떤 세포외 골격 단백질도 그의 제조 동안 공배양물에 첨가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공배양물은, 특정 구체예에서 반투과성 지지체가, 공배양물의 지지체로의 부착을 촉진시키는 재료로 코팅될 수 있음을 제외하고는,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예비형성된 무세포성 단백질 골격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들에서, 반투과성 지지체는 공배양물의 지지체로의 부착을 촉진하는 재료로 코팅될 수 있지만, 공배양물은 기저막 또는 그의 임의의 유도체, 성분 또는 변이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공배양물의 지지체로의 부착을 촉진시키는 코팅재는, 예로서 콜라겐, 라미닌,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 또는 마트리겔(matrigel)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반투과성 지지체 그 자체는 세포외 골격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공배양물의 종양 세포들을 둘러싼 기질 내에 포함된 세포외 기질 단백질만이 공배양물의 세포들에 의해 분비될 수 있는 세포외 기질 단백질이다. 바람직하게는, 배양물은 천연 또는 인공 기저막 또는 기저막의 임의의 유도체, 또는 기저막으로부터의 무세포성 단백질 골격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투과성 지지체가 콜라겐, 라미닌, 파이브로넥틴 또는 마트리겔과 같이 공배양물의 지지체로의 부착을 촉진하는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는 것이 모두 언급된다 (특히 예로서 외생의 세포외 기질 단백질 또는 무세포성 단백질 골격들의 부재에 관련하여).
특정 구체예들에서, 본 발명의 방법 및 배양물들은 외생의 세포외 기질 단백질 또는 무세포성 단백질 골격과 같은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은 임의의 성분들을, 바람직한 경우 반투과성 지지체의 임의의 코팅에 추가하여,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에서의 기질 및 종양 세포들
본 발명에 따라, 기질 세포는 종양 세포들이 초기에 균일하게 분산된 기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종양 세포들은 이에 따라 기질 세포들의 기질 내에 3차원적으로 배치된다. 종양 세포들은 기질 내에서 배양된다. 종양 세포들은 일부 구체예들에서 기질을 통하여 이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종양 세포들은 종양-유사 집합물들을 형성한다. 이러한 집합물들은 일반적으로 기질 내에 형성되며, 예로서 기질 내에 3차원적으로 배치된다. 당업자는 종양-유사 집합물들이 예로서 적어도 5, 적어도 10, 적어도 15, 적어도 20, 적어도 30, 또는 적어도 50개의 종양 세포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로서, 종양 세포들은 적어도 10 개의 세포들의 집합물 형태롤 존재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들에서, 종양 세포들은 적어도 15 개의 세포들의 집합물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종양 세포들은 세포 기질 내에서 증식하지만 집합하지는 않는다. 사용된 종양 세포 유형에 따라, 세포들은 집합물을 형성하거나 또는 세포 기질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이는 세포 기질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세포들의 유형에 의하여 영향받을 수도 있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종양 세포들은 집합물을 형성하지 않고, 세포 기질의 외면으로 이동한다. 이는 예로서 쥐의 뇌 세포에서 성장된 포유동물 난소암 세포들의 경우에서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세포들 및 공배양물
일반사항
본 발명의 기관형 공배양물은 광범위한 각종 세포들, 광범위한 각종 기관들 및 조직들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과정 중 사용된 세포들의 성질은 원하는 기관형 종양 공배양물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공배양물 제조 방법에서 사용된 세포들은 분리된 세포이다. 즉, 종양 세포 및 기질 세포 모두, 배양물 형성 전에 분리된다. "분리된(dissociated)"이라는 표현은 세포들이 집합되지 않으며, 세포내 부착되지 않고 현탁액 중에서 낱낱이 개별화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공배양물 제조 방법에서 사용된 세포들은, 예로서 분리된 일차 세포 또는 조직 배양물로부터의 분리된 세포일 수 있으며, 예로서 세포주, 예로서 종양 세포주일 수 있다. "일차 세포(primary cell)"라는 표현은 생물의 기관 또는 조직으로부터 직접 단리된 세포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에서의 사용을 위한 세포들은 (종양 및/또는 기질 세포로서) 기관의 특정 영역으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예로서, 공급원이 되는 기관이 뇌인 경우, 세포들은 해마상 융기(hippocampus) 또는 대뇌피질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기관이 심장인 경우, 세포들은 심근으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된 세포들은 (기질 및/또는 종양 세포) 포유동물의 세포이다. 바람직한 구체예들에서, 세포들은 인간의 세포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공배양물에 사용된 세포들 (예로서, 종양 세포들)은 줄기 세포일 수 있다. 여기에서, "줄기 세포"라는 용어는 적어도 다능성(pluripotent)이고, 따라서 유도되어 하나 이상의 계통으로 분화될 수 있는 세포들을 의미한다. 일부 줄기 세포는 "다중의 세포 계통으로의 분화가 가능하다. 줄기 세포는 예로서, 성인 줄기 세포, 배아 생식 세포 (예로서, 인간이 아닌 포유동물, 예로서 인간이 아닌 영장류, 설치류 또는 마우스), 또는 배아 줄기 세포 (예로서, 인간이 아닌 포유동물, 예로서 예로서 인간이 아닌 영장류, 설치류 또는 마우스)일 수 있다. 배아 줄기 세포는 원칙적으로 임의의 세포 유형으로 분화할 수 있다. 배아 줄기 세포가 사용된 경우, 이들은, 법적 및 윤리적 문제가 다루어진 경우, 인간 배아 줄기 세포일 수 있다. 배아 줄기 세포, 예로서 인간 배아 줄기 세포는, 기존 배아 줄기 세포주, 예로서 NIH 인간 배아 줄기 세포 등록부에 열거된 세포주들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줄기 세포는 종양에서도 발견된다. 이러한 종양 줄기 세포 (암 줄기 세포로도 명명됨)는 본 발명에 따른 기관형 공배양물을 생성하기 위하여 단리되어 종양 세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세포들은 유전공학적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예로서 유전자이식 동물, 예로서 인간은 아닌 유전자이식 포유동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기질 세포
본 발명에 따라, 기질 세포는 본 발명의 종양 세포와 구분되는 세포들을 포함한다. 기질 세포는 본 발명의 종양 세포와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포 유형을 포함한다.
기질 세포는 단일 세포 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초과의 세포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기질 세포는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세포 유형, 또는 3, 4, 5, 6, 7, 8, 9 또는 10 개의 상이한 세포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기질 세포는 종양의 조직 유형에 존재하는 세포 유형이다. 다른 구체예들에서 (예로서, 종양 침습성 또는 종양 세포들에 대한 상이한 주변 세포 기질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질 및 종양 세포들은 상이한 기원일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조직 유형 또는 기관을 나타낼 수 있다. 원칙적으로, 기질 세포들은 관심 대상의 조직 유형 또는 기관에 존재하는 임의의 또는 모든 세포 유형 (예로서, 종양 세포의 조직 유형)을 포함하거나 또는 기질 세포들의 조성물은 이들을 나타낼 수 있다.
기질 세포는 일차 조직으로부터 또는 세포 또는 조직 배양 또는 세포주로부터 유도된 세포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질 세포들은 비-암성일 수 있다. 기질 세포는 암세포성 또는 불사화된 세포들일 수 있다. 즉, 기질 세포는 일부 구체예들에서 암성 세포 또는 종양 세포들도 포함할 수 있으며, 단 기질 세포들은 본 발명의 공배양의 종양 세포들과 구별된다. 기질 세포들은 바람직하게는 비-암성 세포들, 즉 비-종양 세포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들에서, 기질 세포들은 비-암성 세포들로 이루어진다.
기질 세포들은 임의의 세포, 조직 또는 기관 유형일 수 있다. 기질 세포들은 줄기 세포, 일차 세포, 간질 세포, 또는 동물 조직, 인간 생검, 인간 시신의 조직, 인간 조직 유래 세포주, 및 인간 줄기 세포, 중추신경계, 뇌, 척수, 골수, 혈액(예로서, 단핵구), 비장, 망막, 흉선, 심장, 유선(mammary gland), 간, 췌장, 갑상선, 골격근, 신장, 폐, 장, 난소, 방광, 정소, 자궁 또는 결합조직으로부터 선택된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된 세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종양 세포
종양 세포들은 유사하게 임의의 세포, 조직 또는 기관 형태일 수 있다. 이들은, 특히 기질 세포들에 대하여 상기 열거된 임의의 유형일 수 있다. 이들은 세포주들로부터 또는 일차 암 세포들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들은 암 줄기 세포들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종양 세포들은 줄기 세포들, 췌장, 혈액, 자궁경부, 결장, 장, 신장, 뇌, 유선, 난소, 전립선, 피부, 간, 폐 또는 비장의 종양으로부터의 종양들로부터 선택 또는 유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측면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 (d)에서 기상에 마주하는 반투과성 지지체의 표면 상에서 혼합 세포들의 인큐베이션 동안, 종양 세포들은 기질 세포에 의하여 형성된 기질 내에 3차원적으로 배치되어 성장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 1 및 제 2 세포 현탁액 중의 세포들은 분리된 세포들이다.
본 발명의 방법들은 제 1 및/또는 제 2 세포 현탁액들을 제공하는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들은 고체 조직 공급원으로부터 세포들을 분리하는 (즉, 성분으로 분해)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제 1 및/또는 제 2 세포 현탁액은 분리된 (즉, 성분으로 분해된) 세포들을 포함한다. 고체 조직 공급원은 예로서 생물(즉, 환자)로부터 수득된 조직 샘플일 수 있거나, 또는 고체 조직 배양물일 수 있다.
기관으로부터 분리된 세포를 단리하는 방법은 당 업계에서 공지이다. 분리된 세포는 조직의 기계적 또는 효소적, 또는 이들 모두에 의한 분리에 의하여 관심 대상의 기관으로부터 단리될 수 있다. 예로서, 분리된 세포는, 칼슘 및 마그네슘 이 없는 행크 균형 염 용액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HBSS) 중 단백분해 효소 트립신 0.25% (중량/중량)을 이용한 기관의 분리에 의하여 수득될 수 있다. 효소적 분리를 중단하기 위하여 트립신 저해제를 첨가한 후, 세포들을 현탁액 중에 잠시 인큐베이션하여 미분리된 세포들은 바닥으로 가라앉고, 분리된 세포들은 현탁액 중에 남도록 한다. 세포들은 또한 분쇄 및 내경 크기가 감소하는 매끄러운 유리 피펫을 통한 조직 조각들의 반복된 흡기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으며, 결과의 세포들은 세포 여과 체를 통하여 파편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결과의 세포 현탁액은 효소 분리된 조직의 경우로 제조된 것이다.
종양 세포 현탁액도, 원하는 종양 세포주를 플라스크 내에서 배양한 후, 부착세포에 대한 트립신화에 의하여 또는 비-부착된 세포들을 따라냄에 의하여 세포들을 수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생검 재료로부터의 종양 세포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세포들은 트립신화 및/또는 분쇄에 의하여 분산될 수 있다. 제거된 세포들을 그 후 현탁액 매질로 세척한 후 계수하고 원심분리에 의하여 압축하였다. 종양 세포들의 결과의 펠렛을 그 후 현탁 매질 중에 기질 세포와 동일한 농도로 재현탁시켜 세포 비율의 단순한 계산을 가능하게 한다.
살아있는 세포들은 단단한 형체로서 거동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압축할 수 없는 형체로서 거동한다. 이들은 서로 부착하기 위하여 그들의 형태를 변형시키고 적응시키지만, 이들이 유체를 손실하지 않는다면 그 부피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충분한 압축력이 적용된다면, 100% 밀집된 패킹될 것이며, 즉, 세포들이 인접 세포들의 세포막과 접촉되어 모든 세포막들로 완전히 치밀하게 패킹될 것이다. 100% 밀집된 패킹은 이들이 유체를 손실하는 지점까지 가압하지 않으면서 소정의 세포 크기에 대한 단위 부피 당 세포들의 최대 수이다. 세포들의 배양물은,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성분들간의 밀집된 패킹의 평균 정도가 적어도 약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5%인 경우, 기관형 배양물로서 작용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분리된 세포들은 바람직한 정도의 밀집된 패킹을 달성하기 위하여 임의의 알려진 수단에 의하여 압축될 수 있다. 적용된 압축력은 세포 손상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원하는 수준의 밀집된 패킹을 달성하도록, 세포들을 밀접하게 접촉시키기에 충분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분리된 세포들에 적용된 압축력은, 세포들에 대한 손상을 피하기 위하여 2×10-3다인(dyne)/세포 미만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다인/세포 내지 5×10-4다인/세포이다.
세포 현탁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세포들은 침강, 수력학적(hydrodynamic) 또는 정수적(hydrostatic) 힘에 의하여 압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포들은 원심분리에 의하여 적용된 중력장에 의하여 압축된다. 세포들은 흡기에 의해서도 압축될 수 있다. 압축의 메카니즘의 하나 초과의 조합도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세포들은 원심분리에 의하여, 그 후 이어서 흡기에 의하여 압축될 수 있다. 세포들은 중력에 의해 침강될 수도 있다. 원심분리는 신속하고, 매질 중 무산소 조건으로 인한 세포 손상의 위험이 덜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결과의 펠렛은 상등액으로부터, 예로서 상등액을 따라냄으로써 단리된다. 펠렛은 적당한 액체 배양 매질 중에 바람직한 세포 농도로 재현탁될 수 있다. 종양 세포 현탁액은 표준 방법을 이용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두 배양물들 모두에 존재하는 세포들을 그 후 계수하여, 원하는 비율로 비-종양 세포들 대 종양 세포들을 갖는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세포들이 원심분리에 의해 압축된 경우, 현탁액 중 세포들은 바람직하게는, 10-5다인/세포 내지 5×10-4다인/세포의 바람직한 범위의 힘을 인가하는, 100~500g에서 원심분리되어 압축된다.
세포들은 개별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펠렛들은 매질 중에서 각각 재현탁되어 원하는 세포 비를 제공할 수 있다. 종양 세포 현탁액 (제 1 세포 현탁액) 기질 및 기질 세포 현탁액 (제 2 세포 현탁액)을 그 후 필요한 양으로 조합하고, 지지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는, 혼합 세포 현탁액은 약하게 원심분리되어, 지지체 상에 배치하기 전에 특정 밀도로 재집합시킬 수 있다.
인큐베이션 전 기질 세포 대 종양 세포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당업자는 적당한 세포 비율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구체예들에서, 인큐베이션 전 혼합 세포 현탁액은 99.999% 내지 0.001% 기질 세포 대 0.001% 내지 99.999% 종양 세포의 비로 세포들을 포함한다. 다르게는, 대부분의 구체예들에서 기질 세포 대 종양 세포의 비는 104 내지 10-4의 범위로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포들의 비율은 99.5% 내지 70% 기질 세포와 0.5% 내지 30% 종양 세포 사이, 99% 내지 80% 기질 세포 및 1% 내지 20% 종양 세포 사이, 99% 내지 90% 기질 세포 및 1% 내지 10% 종양 세포 사이, 또는 98% 내지 92% 기질 세포 및 2% 내지 8% 종양 세포 사이이다. 다르게는, 기질 세포 대 종양 세포의 바람직한 비율은 200:1 내지 2:1; 또는 100:1 내지 10:1; 또는 50:1 내지 10:1의 범위로서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들에 따라, 인큐베이션 전 혼합된 세포들은 기질 및 종양 세포들을, 100:1 내지 10:1의 기질: 종양세포 비율로 포함한다. 기질 세포의 비율은 예로서 25:1 내지 15:1의 범위이며, 예로서 22:1 내지 18:1, 예로서, 21:1 내지 19:1, 예로서 95% 기질 세포 대 5% 종양 세포들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혼합된 세포들은 임의의 적당한 수단, 예로서 모세관 작용, 증발, 원심분리, 중력, 흡입 또는 흡기에 의하여, 압축 및/또는 농축(예로서, 방법 중 단계 (c))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단계 (c)는 혼합된 세포들의 원심분리 및 상등액 현탁액 매질의 제거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혼합된 세포들은 단계 (c)의 원심분리 및 상등액 현탁액 매질의 제거 후, 단계 (d)의 지지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혼합된 세포들은 원심분리에 의하여 단계 (d)의 지지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원심분리는 단계 (c)에 사용된 원심분리와 동일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들에서, 단계 (d)는 세포들이 지지체 상에 더욱 압축되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지지체 상에의 추가적인 압축은 예로서 증발 및/또는 모세관 작용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예로서, 단계 (d)의 모세관 작용은 혼합된 세포들을 더욱 압축할 수 있다. 단계 (d)의 모세관 작용도 단계 (c)에서의 혼합된 세포들을 압축 및/또는 농축할 수 있다.
즉, 혼합된 세포들의 압축은 제 2 표면 (예로서, 지지체의 반대측 면) 상에서의 모세관 작용에 의해 유지된 액체 매질에 의하여 나타나는 모세관력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세관 작용은, 본 발명의 혼합 세포들이 현탁된 액체 현탁액 매질의 부피에서의 감소를 일으킬 수 있으며, 따라서 기관형 공배양물의 액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포들이 더욱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한다.
세포들이 흡입 또는 흡기에 의하여 농축 및/또는 압축된 경우, 종양 세포 및 비-종양 세포들을 포함하는 혼합된 세포 현탁액은 지지체의 제 1 면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체의 제 2(예로서, 반대쪽) 면 (표면)에 흡입이 적용될 수 있다. 이는 혼합된 세포들의 농축 및/또는 압축을 일으킬 수 있다. 세포들이 배치되는 지지체는, 지지체의 한 면에 적용된 흡입이 지지체의 다른 면 상에 세포들을 압축시키는데 유효하도록 적합화되어야만 한다.
혼합된 세포들은, 유체 흐름을 지지체를 통해 일으킴으로써 수력학적 힘을 세포들에 적용하는 펌프의 작용에 의하여 압축될 수도 있다. 펌프는 그 후 압축될 혼합된 세포들과 동일한 지지체 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단일 세포 유형 또는 단일 기관으로부터 기관형 배양물의 제조 방법은 WO 2006/136953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서 통합된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배양물의 인큐베이션은 세포 유형에 적합한 표준 조건의 온도, 습도 및 CO2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인큐베이션은 20~42℃, 예로서 22~41℃, 26~40℃, 30~40℃, 32~39℃, 34~39℃, 또는 36~38℃, 또는 30~37℃, 또는 32~37℃ 또는 34~37℃에서 실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큐베이션은 34~38℃, 예로서 37℃에서 실시된다.
본 발명의 방법들은 공급원으로부터 세포들을 수득하는 단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원은 조직 또는 기관 샘플일 수 있다. 상기 공급원은 일정 대상, 예로서 인간 및/또는 비-인간 대상, 예로서 인간 및/또는 비-인간 포유동물일 수도 있다. 원하는 조직 또는 기관 샘플은 희석된 포유동물, 외과 수술 동안의 생검 재료 또는 시체 물질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들은 기관형 공배양물을 저온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온저장은 스크리닝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도록 배양물들의 축적 및 저장을 가능하게 한다. 전형적으로 저온 저장은 액체 질소의 온도에서 동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수득가능한 시험관 내 3차원성 기관형 세포 공배양물을 제공한다.
매질
편리하게,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매질은 액체 형태, 예로서 액체 현탁액 매질 또//는 액체 배양 매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양 매질은 바람직하게는 공배양되는 모든 세포 유형의 성장을 지지하는 완전 성장 매질을 포함한다. 가장 적합한 매질은, 배양물 내 세포가 유래되어진 기관 (또는 기관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질은 기관형 성장에 필요한 영양성분들을 제공한다. 뇌조직에 적합한 액체 매질의 예는, 예로서 Stoppini L. 등 (1991) 및 Muller 등 (2001)에 설명되어 있다. 기타 기관에 적합한 기타 매질들도 간행되어 있거나 또는 이들 기관들로부터 유래된 세포들의 배양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사용되기 적합한 배양 매질은 조직 배양물 기술 분야에서의 당업자의 지식 내에 속하는 것이다. 성장 조건 및 사용된 매질은, 기질 세포들에 의해 선호되는 것들이 일반적이며, 종양 세포들은 매질 조성에 영향을 덜 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반투과성 지지체들 및 이들의 이용
임의의 적합한 지지체가 혼합된 세포 공배양물을 성장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단 지지체는 반투과성이다. 이에 따라 지지체는 다공성 또는 반다공성이다. 지지체는 반투과성 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투과성 지지체는 친수성 P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DuPont 상표명 Teflon®), 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산화 알루미늄 (예로서, Anopore™, Whatman Corp.)을 포함한다. 지지체는 또한 친수성 PTFE, PET 또는 산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체는 일부 구체예들에서 광학적으로 투명한 것일 수 있다. 이는 대물렌즈를 갖는 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의 어느 한 면으로부터의 세포들을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지지체는 부착을 촉진하는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코팅은 콜라겐, 라미닌, 파이브로넥틴 또는 마트리겔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체는 생체 분자성, 세포성 또는 무세포성 골격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부착성 코팅외에 세포외 골격 단백질 또는 세포외 기질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들에서, 지지체는 기저막을 포함하지 않는다. 지지체는 바람직하게는 천연 또는 인공 기저막을 포함하지 않는다. 지지체는 바람직하게는 기저막을 포함하거나 또는 기저막으로부터 유래된 임의의 골격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들에 따라, 공배양물은 기체 상을 마주하는 지지체의 제 1 표면 상에 배치되며, 지지체의 제 2 표면은 액체 배양 매질을 마주하고 그와 접촉한다. 액체 배양 매질은 표면 장력 및/또는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지지체 및 배양물과 접촉된 채로 유지된다. 따라서, 지지체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매질이 지지체를 침투하여 반대 표면 상의 공배양물에 도달하기에 충분한 기공성을 갖는다. 액체 배양 매질은 바람직하게는 표면 장력 및/또는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지지체 및 배양물과 접촉된 채로 유지된다. 지지체 상에서의 공배양물은, 액체 배양 매질 내에 침지되지는 않지만, 단지 배양 매질의 얇은 막에 의해서만 덮인다. 이는 매질과 공배양물 간의 더욱 양호한 가스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유전공학적 처리
기질 세포들 및/또는 종양 세포들은 유전공학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예로서, 기질 세포들 및/또는 종양 세포들은 유전자이식 또는 그렇지 않으면 유전공학적 처리된 동물 (예로서, 인간이 아닌 포유동물, 인간이 아닌 영장류, 설치류 또는 마우스)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유전자이식 또는 그렇지 않으면 유전공학적으로 처리된 동물은 재조합 게놈을 갖는다. 이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것보다는, 게놈에 만들어진 의도적인 변경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공배양물의 종양 또는 기질 세포들 중 어느 하나는 유전공학 처리될 수 있다. 즉, 이들은 재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전공학 처리된(genetically engineered)" 및 "재조합"이라는 용어는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정한 바람직한 구체예들에서, 종양 세포들은 유전공학처리된다. 종양 세포들은 유전공학처리에 의하여 형질전환될 수 있으며, 즉, 암 성질이 유전공학 처리에 의하여 종양 세포 상에 부여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추가적으로, 종양 세포들은 상이한 측면에서 공학적 처리되어, 이들이 종양 세포에 암 성질을 부여하는 유전적 특징들에 추가하여 유전적 변경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특정의 바람직한 구체예들에서, 종양 세포들은 리포터 시스템으로 표지된다.
기질 및/또는 종양 세포들은 기관형 배양물을 세팅하기 전에 유전공학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유전공학적 처리는 예로서, 이들 세포들의 분리된 현탁액들 상에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이식유전자들이 형질 감염 또는 형질유도에 의하여 적절한 벡터 내로 도입될 수 있다. siRNA를 발현하는 백터가 도입될 수도 있다.
공배양물 내의 세포의 유전공학적 처리는 다양한 측면의 모델 적용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로서 세포들은 약물 타겟 또는 생체마커(biomarker)의 발현을 조저라기 위하여 유전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생체마커는 분자 마커로, 이의 일정 수준 또는 일정 분자 형태로의 존재는 질병 상태의 존재를 나타낸다. 약물 타겟은 질병 과정에 영향을 미치도록 조절될 수 있는 분자 종, 즉 이를 통하여 약물이 작용하는 분자이다. 약물 개발에서, 약물 타겟의 기능의 성질 또는 수준의 변화는 질병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져야만 하며, 타겟은 조절에 따를 수 있는 분자 유형이어야만 한다. 많은 경우들에서, 약물 타겟들에 대한 정보는 유전학적 및 기타 생물학적 연구로부터 수득되며, 이러한 타겟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화합물들의 부류가 이용가능하다. 생물학적 계 내에서 이들 생체 마커 및 약물 타겟들의 수준을 조절하는 것, 그리고 생물학적 결과를 연구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때때로, 동일한 타겟에 작용하거나 또는 다수의 세포 유형 및/또는 인접 세포 유형에서 몇몇 상이한 타겟들에 대해 작용할 수 있는 약물 조합들이 사용될 수 있다.
종양 세포들은, 세포들이 시각적으로 추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형광 마커와 같은 시각적 마커를 발현하도록 유전학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는 종양 세포가 살아있는 영상화(live imaging) 동안 즉각적으로 확인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클론된 유전자들을 발현시키고, 클론된 또는 내생의 유전자들의 발현을 제거하는 기술들은 당 분야에 알려져 있다. 이들 기술들은,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된 세포들 중에서, 약물 타겟 또는 생체 마커와 같은 마커의 발현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약물 타겟의 발현은, 세포들이 압축되고 기관형 배양물이 제조되기 전에 선발된 분리된 세포들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는 최종 기관형 배양물 중에서 약물 타겟의 발현을 변경시키고자 하는 시도보다 훨씬 더 효과적인데, 이는 단일한 분리된 세포들이 더욱 손쉽게 조작될 수 있기 때문이다.
클로닝된 또는 내생의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술들은 이종성 DNA의 세포 발현 시스템을 보충하는 형태 내로의 도입에 근거하며, 많은 상이한 시도들이 당업자들에 공지되어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네이키드 DNA는 친지성 형질감염 시약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DNA는 발현될 유전자와 동일-선형(co-linear)인 강한 프로모터 및 도입된 DNA의 세포질성 복제를 가능하게 하는 복제 기원을 포함한다. 다른 경우들에서, 바이러스성 벡터가 DNA 도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당업자에게 공지된 유전자 발현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은 안티센스 DNA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펩티드 핵산 및 이중가닥 RNA 간섭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네이키드 핵산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특히 작은 간섭 RNA의 이용을 위하여, 발현 벡터를 자가-조립하는 헤어핀 형태로 분자를 발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단백질이 세포의 외부에서 내부로의 수송을 격려하는 독립체(entity)에 부착된 경우, 단백질이 세포 내로 직접 도입될 수 있다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의 Tat 단백질이 이러한 한 독립체이며, 수송되는 단백질들은 HIV-Tat와 함께 융합 단백질로서 생산되어 세포 내로 도입될 수 있다 (Becker-Hapak M. 등, 2001).
또한, 상기 기재된 것과 같은 기질 세포들을 형질전환 또는 형질감염하는 대신,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기관 유래된 세포들이 유전자이식 동물로부터의 것일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예로서, 기관 유래된 세포들은 형광 마커와 같은 시각적 마커를 발현하는 유전자이식 동물로부터의 것이거나, 특정 약물 타겟 또는 생체마커의 발현이 증가 또는 감소된 유전자이식 동물로부터의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 및 방법의 특정의 바람직한 구체예들에서, 종양 세포들은 유전공학적으로 처리되지 않는다. 예로서, 종양 세포들이 일차 종양 세포들로부터 유래되거나 또는 유전공학적 단계 없이 형질전환된 암세포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기질 세포는 유전공학적 처리되지 않은 것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종양 세포나 기질 세포 중 어느 것도 유전공학적 처리되지 않은 것이다.
본 발명의 적용, 용도, 키트 및 장치
본 발명의 공배양물은 항암제에 대한 스크리닝 방법에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공배양물을 시험 약제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시험약제가 공배양물의 종양 세포들의 성장, 증식, 생육, 생존 또는 이동에 미치는 저해 효과는 그 시험 약제가 항암제 후보가 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암 생체마커 및/또는 암 약물 타겟을 동정 및/또는 확인하는 방법에서 본 발명의 공배양물의 이용을 제공한다.
이러한 스크리닝, 동정 또는 확인 방법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들에 따른 공배물의 제조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공배양물 및 방법들은 높은 처리량 형식, 예로서 항암 화합물들의 스크리닝 (또는 이차 스크리닝)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공배양물을 포함하는 분석 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공배양물을 포함하는 화합물의 스크리닝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방법들에서의 이용을 위해 변경될 수 있는 적합한 장치가 WO 2006/134432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의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통합된다.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다수의 배양물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한쪽은 개방된 말단 및 본 명세서에 기재된 공배양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공배양물이 그 위에서 성장할 수 있는 반투과성 지지체 (예로서, 다공성 막)에 의하여 막힌 한 말단을 갖는 중간 도관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은 지지체의 제 1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체의 제 2 표면 상에는 중간 도관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그 공배양물이 기상을 마주할 수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중간 도관에는, 공배양물에 영양성분들을 공급하기 위하여, 액체 배양 매질이 공급될 수 (또는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배양 매질은 중간 도관 중에 보유될 수 있으며, 표면 장력 및/또는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지지체 및 공배양물과 접촉될 수 있다.
각 배양물은 별개의 표면 상에 또는 넓은 표면의 별개의 섹션 상에서 유지되고 개별적으로 육성된다. 장치는 장치 당 다수의 대등 (parallel) 공배양물, 바람직하게는 장치 당 2, 4, 8, 16, 24, 96, 384, 1536 이상의 대등 공배양물을 수용하도록 적합화될 수 있으며, 또는 개별적인 공배양물을 각각 갖는 다수의 장치, 바람직하게는 2, 4, 8, 16, 24, 96, 384, 1536 장치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공배양물 또한 예상되는 항암 화합물의 효능을 시험하는 것과 같은 암 연구에서 각종 인자의 시험을 위한 분석 키트 내에 통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 장치 또는 분석 키트는 본 발명의 공배양물에서, 전기생리학적 파라미터 또는 세포 대사와 같은 생리학적 또는 환경적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특히 임의의 세포 생육 또는 생존 표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세포 환경이, 예로서 공배양물의 성장 또는 유지 동안,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스크리닝, 동정 또는 확인 방법 동안, 예로서 후보 항암제의 스크리닝 또는 시험 동안 모니터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에서 생리학적 또는 환경적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은 전기생리학적 파라미터 또는 반응 (예로서, 전극) 및 바이오센서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바이오센서는 공배양물 내에서 세포 대사 및 세포외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로서, 하나 이상의 바이오센서들은 본 발명의 공배양물 내 하나 이상의 대사 파라미터 및/또는 대사산물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대사 파라미터 및/또는 대사산물들은 세포내 또는 세포외성일 수 있다. 예로서, 바이오센서는 락테이트, 글루코오스, 글루타민 및 pH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대사 파라미터 또는 대사산물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바이오센서는 세포 생육성 또는 생존의 임의의 표시기를 모니터링할 수 도 있다. 세포 생육 또는 생존의 표시기는 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예로서, 바이오센서는 세포 생존의 표시기로서 락테이트 탈수소화제 (LDH)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배양물은, 종양세포들이 비-종양 세포 기질 중에서 성장함에 따라, 종양 세포들의 환경에서의 생리학적 변화를 모니터링하거나, 또는 종양 세포들의 성장, 구조, 생육 또는 생존에 대한 세포 환경의 조절의 효과를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집합체의 형성 및 세포들의 이동도 물론 모니터링될 수 있다. 가스 침투 및/또는 가스 교환, 예로서 산소압(oxygen tension)도 모니터링될 수 있다. 배양물들이 얇기 때문에, 배양물을 통한 산소압을 조작하여 저산소증 정도의 변화의 배양물에 대한 효과를 연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양 내 저산소증의 정도는 종양 형성, 침입 및 성장에 중요한 인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은 이용, 유지 및 조작이 간단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모니터링 및 측정은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모니터링 및 측정은 침입 절차없이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공배양물은 예로서 손상없이 영상화에 의하여 시간에 따라 모니터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 모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재료 수확을 용이하게 한다. 배양물들의 단일 배치로부터의 샘플은 몇 주의 기간에 걸쳐 RNA, DNA 및 단백질 및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을 위하여 수확될 수 있다. 이는, 조직 수확에 일반적으로 각 시점에서 동물을 희생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는 이종이식에 비하여 장점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물 실험의 축소, 순화 및 대체를 가능하게 하여, 많은 연구들에 요구되는 비용을 감소시키고, 윤리적 고려사항들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의 추가의 적용은 세포대 세포 상호작용 또는 약물 처리에 관련되는 경로들을 더욱 상세하게 조사하는 능력이다. 본 발명자들은, 조직 내에서 세포들의 클론적 확장에 대조적으로, 동일한 종양 세포주의 적색 및 녹색 발현 세포들을 이용하고 이들을 균등한 비율로 뇌세포의 동일한 공배양물 내로 혼합함으로써, 종양이 종양 세포들의 이동에 의하여 발생된다는 것을 본 명세서에서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참조). 세포들이 클론적으로 확장하는 경우, 세포들은 다수의 단일 착색된 집합물들을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집합물들이 최초 접종에 비해 수가 적다는 것과, 적색 및 녹색 세포들 모두가 결과의 집합물들 중에 존재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관찰은 기질세포들로부터의 세포 신호에 반응한, 기질 내 세포들의 이동을 강하게 제안한다. 이들 이동에 관련된 경로는 그 저해가 이동에 어떤 효과를 갖는지를 알기 위하여 분석될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분석은 RNAi 또는 관심 대상의 세포 과정을 저해하기 위한 다른 특이적 저해제 화합물들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DNA, RNA 및 단백질 분석의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은들은 어느 유전자들이 세포 및 종양 상호작용 동안 발현되는지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들은 조작이 강건하고 용이하며, 따라서 이들 분석방법들 모두에 매우 따를 수 있다.
세포 신호들에 대한 반응은 세포들의 정상적인 기능에 따라 달라진다. 일부 경우들에서, 이러한 신호들에 반응하는 세포들은, 뉴런의 신경돌기 과정과 같은 세포 과정의 신장에 따라 반응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세포들은 배양물을 통하여 신호를 생산하는 세포 또는 세포들을 향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세포 움직임을 일으키는 세포 과정들에 따라 반응할 수 있다. 다르게는, 반응하는 세포들은 세포 분열 또는 저해되지 않으면 진행될 수 있는 세포 분열의 저해에 따라 반응할 수 있다. 반응하는 세포들은 또한 최초 신호에 초기적으로는 비반응성이었던 세포들에서 2차 반응들을 일으키는 다른 신호들을 생산함으로써 반응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포 수, 기능 및 분포에서의 각종 변화들이 배양 기간 동안 배양물 내에서 일어날 수 있으며, 이는 배양물의 기관형 거동을 반영한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은 일차 종양 세포들이, 그들이 유래된 조직의 기질 세포 내에서 거동하는 방식 및 그 기질 세포와 상호작용하는 방식, 그리고 그들이 전이된 조직의 기질 세포 내에서 거동하는 방식 및 그 기질 세포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연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이는 하나의 조직에서 발생한 종양들이 다른 조직 유형으로 이동하고 그를 침입하는 과정이다. 예로서, 유방종양은 유방 조직에서 발생하지만 다른 기관들, 예로서 뇌로 전이될 수 있다. 세포들, 특히 종양 세포들의, 본 발명의 공배양물에서의 거동 및 성질에서의 차이점들은 전이 과정에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배양 모델은 종양 감소 또는 종양 세포 사멸에 유효할 수 있는 화합물들 또는 처리 섭생을 시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종양이 모델 내에서 형성된 후에 종양 감소를 모니터링하거나 또는 화합물의 종양 세포 수의 감소에서의 효능을 시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시험은 하나의 화합물들 상에 또는 상승작용적 효과가 일어날 수 있는 경우 일단의 화합물들을 이용한 치료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이한 농도 및 상이한 조합의 다수의 화합물들이 신속히 시험될 수 있다. 세포대 세포 상호작용 또한 시험될 비종양 기질 세포에 대한 화합물의 독성의 동시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 종양 세포와 기질 세포의 상호작용은 암환자에서 발견되는 것을 보다 명확히 나타내는 모델 중 화합물들의 시험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유형의 분석은 2D 또는 3D 중 어느 하나에서 종양 세포들의 단일배양에 대하여는 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생체 내에서는 무효한 화합물들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단일배양에서는 무효하지만 생체 내에서는 유효한 화합물들을 나타낼 수 있다. 종양 퇴화에 대한 화합물들의 효과를 보기 위하여, 화합물들의 첨가 전에 종양 세포들이 집합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화합물들을 시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외과수술적으로 절제할 수 없는 종양 치료에 중요하다.
질병 상태 또는 대응 비-질병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기관형 배양에서, 단백질 및 지질과 같은 몇몇 분자 군의 스크리닝은 생체마커를 동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확인된 생체마커는 현재 질병 상태의 담체의 동정 및 약물로서 치료 섭생에 의하여 보조될 수 있는 정상상태를 향한 그의 점진을 모니터링하는데에 모두 사용된다. 임상 시험에서의 용도를 위한 생체마커를 확인하기 위한 후보 생체마커와 질병 상태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기관형 배양은, 이들이 기관 기능 및 생리학을 복제한다는 사실로 인하여, 생체마커 개발 및 확인에 이상적으로 적합하며, 본 발명의 방법들에 의하여 이들이 높은 처리량 분석에 적합가능하도록 신속하고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관형 배양물은 따라서 생체마커의 동정 및 확인에 현재 사용되는 전체 동물보다 훨씬 더 신속하고 저렴할 수 있다.
종양 세포 공배양물은 생체마커 및/또는 약물 타겟을 동정 및/또는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암 생체마커 및/또는 암 약물 타겟). 생체마커 및/또는 약물 타겟을 동정하기 위한 분석은 전사 프로파일링,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질량 분광학, 겔 전기영동,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및 당업자에에 알려진 분자 프로파일링에 대한 기타 방법들의 이용을 포함한다. 대리(surrogate) 마커는 질병 상태의 존재 또는 진전을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생체마커들의 하위군이지만, 질병의 임상적 결과를 직접적으로 측정하지 않는다. 이들 대리 마커들이 약물 처리와 상관되는 반응을 나타내는 경우, 이들이 약물동력학적 마커로서 언급된다. 본 발명의 기관형 종양 공배양물은, 예로서 암연구에서, 다른 생체마커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이들 약물동력학적 마커를 동정 및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구체예들을, 하기 실시예들에서 단지 예시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공배양물의 생산 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기질 세포들의 분리된 현탁액을 제조하고, 예로서 종양 세포들을 기질 세포들에 첨가함으로써 종양 세포들과 혼합한다. 혼합된 세포들을, 세포들이 모세관 작용에 의하여 압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체 액체 계면에서 지지체 상에 배치한다. 도 1b는 접종한지 20일 후, 분리된 뇌 세포들로부터의 기관형 배양물의 횡단 섹션을 나타낸다. 뉴런 및 성상세포들을 탐지하는데 각각 베타-튜불린 (녹색) 및 GFAP (적색) 항체들을 이용하였다. 핵들을 DAPI (4',6-다이아미디노-2-페닐인돌) 염색에 의하여 청색으로 표지하였다. 뇌 세포 배양물은 콜린 아세틸전이효소 (ChAT; 도 1c), 성상세포들 (GFAP; 도 1d) 및 뉴런들 (베타-튜불린; 도 1e)에 대하여 양성이다. 도 1f는 GFAP 및 베타-튜불린 검출의 융합된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1g는 자발적이며 야기된 전기 작용이 14 DIV(시험관 내 일 수)에서 최적 활성을 갖는 공배양물에서 관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2는 세포주 LN-18로부터의 인간 종양 세포들의 쥐 뇌세포 기질에서, 시험관 일자 (DIV) 0일 및 상이한 농도(1%, 5% 및 10%)의 쥐 뇌세포 기질 내 종양 세포들로 제조한 후 DIV 4일에서의 성장을 보여주는 현미경사진을 포함한다. GFP(녹색 형광 단백질)을 발현하는, 종양 세포들은 현미경 사진에서 흰색으로 나타나며, 10% 종양 세포 대 90% 쥐 뇌세포에서 DIV 4일까지, 종양 세포들의 집합물들 또는 덩어리들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더욱 낮은 농도에서 보다 적은 덩어리가 관찰된다.
도 3: 도 3a는 공배양물의 제조 후 DIV 1, DIV3 및 DIV 14일에, 쥐 뇌세포 기질 중 LN-18 종양 세포의 성장을 보여주는 현미경 사진을 포함한다. 종양 세포들은 GFP를 발현하고, 뇌세포 기질에서 흰색으로 나타난다. 종양 세포들은 DIV 3일에 어느 정도의 집합을 나타내었으며, DIV 14일에 집합된 채로 유지되었다. 도 3b, c, d: eGFP-표지된 GL-15 (B), A172 (C), U87 (D) 세포들은 본 발명에 따른 뇌세포 기질들을 갖는 공배양물 중에서 성장되었다.
도 4a는 공배양물의 제조 후 6일에, 쥐 뇌세포 기질에서 SKOV 3 인간 난소 종양 세포들의 성장을 보여주는 현미경 사진이다. SKOV3 세포들은 GFP를 발현하고, 뇌세포 기질에서 흰색으로 나타난다. 세포들은 기관형 공배양물의 가장자리에서 농축된다.
도 4b는 상이한 기질 세포들 중에서 1, 3 및 7일에 SKOV3 세포들의 증식을 보여준다. 세포들은, 쥐 뇌 기질 (흑색 블럭)내에서보다, 섬유아세포 및 내피 세포의 기질(흰색 블럭)에서 더욱 빠른 속도로 확장되었다.
도 5는 제조 후 1일 및 2일에 쥐 뇌세포 기질에서 종양 기질 세포들의 성장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세포들은 기질 내에서 분화되고 과정들을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도 6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3D 기관형 종양 공배양물에 비교하여, 종양 세포 단독의 2D 단층 배양물에 대한 테모졸로미드 (TMZ)의 효능에서의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포함한다. 결과들은, 미처리된 대조구 세포들에 비하여 2D 배양물 중 10μM 이하의 수준에서 화합물에 대한 종양 세포 수의 감소 측면에서 약한 반응이 있던 반면 (도 6a), 3D 모델에서는 IC50 (세포 수가 절반으로 되는 TMZ 농도)이 5μM 미만 (도 6b)인 것으로 나타났음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3D 기관형 종양 공배양물에 비교하여, 종양 세포 단독의 2D 단층 배양물에 대한 파클리탁셀 (택솔)의 효능에서의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포함한다. 세포 수의 거의 0으로의 감소는 2D 배양물에서는 20nM의 택솔 농도로 달성되지만 (도 7a), 3D 모델에서는 IC50 (세포 수가 절반으로 되는 택솔 농도)이 약 25nM 미만 (도 7b)인 것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3D 기관형 종양 공배양물(도 8b)에 비교하여, 종양 세포 단독의 2D 단층 배양물(도 8a)에 대한 시토신 아라비노사이드 (Ara-C)의 효능에서의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종양 공배양물에, 접종시 (A 및 B) 또는 세포 접종한지 3일 후 (C 및 D), 공배양물 및 종양 세포 집합물들이 확립된 때에 적용된 경우, 택솔 및 테모졸로미드의 효과를 비교한다.
실시예 1 - 인간 종양 세포의 제조
인간 교모세포종 종양 세포주 LN-18 (ATCC #CRL2610)을 배양하고, 플라스미드를 발현하는 녹색 형광 단백질 (GFP) 또는 플라스미드를 발현하는 적색 형광 단백질 (RFP)로 형질감염시켰다. 세포들을 배양하여 6개 웰 플레이트들 상에 1×105 세포/웰로 도말하고, 하룻밤 동안 성장시키고, 약 75% 컨플루언스(confluence)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세포들을 Gene Juice (Novagen 카탈로그 번호 70967-EA)를 제조자 프로토콜에 따라 이용하여 pEGFP-N3 (BD Biosciences 카탈로그 번호 6080-1)로 형질감염시켰다. 형질감염한지 24시간 후, 세포들을 Geneticin (GIBCO 카탈로그 번호 10131-019)을 이용하여 선발하여, 선발된 세포들의 개체군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선발된 세포들의 개체군을, 형질감염된 세포들의 개체군 유지를 위하여 때때로 선발하면서, 연장된 기간에 걸쳐 배양하였다. 종양 세포들에 의한 형광 단백질의 발현은 증식 및 형태학적 변화에 대한 종양 세포들의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였다. 형질감염된 종양 세포들 (LN-18)을 트립신/EDTA (sigma #T4299)로 처리하여 플라스크로부터 이들을 제거하고, 배양 매질 중에 재현탁시켰다. 생육 세포들을 트립판 블루 배제법을 이용하여 계수하였다. 현탁액을 1000rpm/3분으로 원심분리하고, 결과의 세포 펠렛을 50,000 세포/㎕으로 재현탁하였다.
실시예 2 - 단리된 쥐 대뇌피질로부터의 쥐 뇌세포의 제조
기관형 배양물들을, 단리된 쥐 대뇌피질로부터 분리된 세포들을 제조하여 기관형 배양물들을 생산하였다. P0 위스터(Wistar) 쥐를 희생시키고, 뇌를 제거하였다. 대뇌피질들을 페트리 접시 내로 절개해내고, 작은 조각들로 다져서 차가운 EBSS (GIBCO 카달로그 번호 24010) 내에 넣었다. 조직 조각들을 그 후 매우 부드럽게 분쇄하였다. 결과의 세포 현탁액을 50ml 팔콘(falcon) 튜브에 장착된 100㎛ 메쉬 필터를 통하여 여과시켰다. 현탁액을 1000 rpm/3분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생육성 세포를 트립판 블루 배제법을 이용하여 계수하고 세포 펠렛을 50,000 세포/㎕로 재현탁하였다.
실시예 3 - 분리된 뇌세포로부터의 3D 기관형 배양물의 수립
분리된 쥐 뇌 대뇌비질이 공기-액체 계면의 반-다공성 막 상에서 재-집합되도록 하였다 (도 1, 오른 편). 쥐 배로부터 새롭게 분리된 뇌 세포들을 매질 상에 배치된 친수성 PFTE 막 상에 플레이트시키고 20일 동안 성장되도록 하였다. 수득된 세포의 횡단 섹션을 뉴런 (베타-튜불린) 및 활성화된 성상세포들 (신경교섬유질 산성 단백질(glial fibrillary acid protein: GFAP)에 대한 마커를 이용하여 면역형광에 대해 가공하였다. 도 1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염색은 뉴런 및 성상세포들 모두가 이러한 3D 배양물들 중에 존재하였으며, 이들의 생리학적 구조는 보존되었음(도 1 d, e, f도 참조)을 밝혔다. 콜린성(Cholinergic) 뉴런 및 신경 말단들이 이어서, 콜린 아세틸전이효소 (ChAT; 도 1c)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항체를 사용하여 가시화되었다. 예측된 것과 같이, ChAT 염색은 신경 말단에서의 특이적 부유함을 갖는 전뇌 공배양을 통하여 분포되었다. 결합을 수립하는 성숙한 뉴런들의 존재는 전기생리학적 파라미터들의 측정에 의하여 더욱 연구되었다. 뇌 공배양 접종 후 4주까지, 자발적이면서 야기된 전기 활성은 실험 시작한지 14일 후 최적 활성을 갖는 것으로 관찰될 수 있었다 (도 1g). 이러한 전기 신호의 전달은 서로연결된 뉴런들의 군에 전형적인 것이다.
실시예 4 - 분리된 기질 및 종양 세포들로부터의 3D 기관형 공배양물의 제조
실시예 1 및 2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제조된 형질감염된 종양 세포 및 쥐 일차 세포를 함께 혼합하여 50,000 세포/㎕의 세포 현탁액을 형성하였다.
이 세포 현탁액의 5㎕를 6개 웰 플레이트 (NUNC)에서 1ml 대뇌피질 매질 (DMEM 중 10% Hams F12, 20% FCS, 5% 말 혈청, 10mM Hepes, 2mM 글루타민) 중에 배치된 0.4 미크론 Millipore 배양 삽입물 (Millipore 카달로그 번호 PICM0350)의 최상부에 첨가하였다. 그 후 플레이트를 5% CO2와 함께 37℃에 인큐베이션하였다 (도 1a). 이 인큐베이션의 첫 시간 동안, 반투과성 막 지지체를 거친 모세관 작용을 통하여 5㎕ 세포 현탁액으로부터 액체를 제거함으로써 세포들은 압축되어 보다 밀도높은 배양물을 형성하였다 (도 1a).
실시예 5 - 기관형 공배양물 중 기질 및 종양 세포들의 농도 및 비율의 최적화
너무 낮은 농도에서는 세포들이 종양-유사 집합물의 형성하지 못할 수 있으며, 너무 높은 농도에서는 세포들은 너무 빨리 집합물들을 형성하여 세포 이동 과정이 관찰될 수 없기 때문에, 최적화가 바람직하였다. 세포들이 적절한 농도 및 비율로 혼합되는 경우, 종양들은 3~4일에 걸쳐 형성되며, 쥐 뇌 기질의 파괴를 일으키지 않았다.
쥐 뇌 세포들을, 조직을 통한 최적 산소 침투를 가능하게 하는 세포 수 및 모세관 압축 후 압축 기관형 구조의 형성에 대하여 최적화하였다. 세포들을 25, 50, 75 및 100 ×1000 세포들/㎕의 농도로 재현탁하고, 이들 현탁액 5㎕를 실시예 4에 설명된 것과 같이 플레이트하였다. 결과의 배양물들을, 배양물 및 압축 기관형 외관에서 어두운 영역으로 나타나는 혈중산소감소(hypoxic) 손상의 징후에 대하여 현미경으로 모니터링하였다. 이들 배양물들에 대한 최적 세포 수는 50,000 세포/㎕였으며, 각 배양물에 대하여 5㎕를 사용하였다. 쥐 뇌 외의 기질 조직을 이용한 기관형 공배양물의 제조는 요구되는 세포 수에 대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최적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LN-18 종양 세포들은 1, 5 및 10% (세포들의 총 수 중 %)의 농도에서 종양들을 형성하는 능력에 대하여 시험되었다. 1%에서, 세포들은 종양-유사 덩어리들로 이동하는 것 같지 않았다 (아마도, 약한 경사의 케모카인 농도로 인하여). 5% 농도에서 세포들은 약 3~4일에 덩어리를 형성하였다. 10% 농도에서, 덩어리짐은 더욱 신속하였으며, 덩어리들은 더욱 압축성이었고, 쥐 뇌 기질에 약간의 파괴를 일으켰다 (도 2). 덩어리짐은 세포주에 따라 변화되었다. 일부 세포주들은 매우 신속하고 강력하게 덩어리졌으며, 어떤 덩어리는 더욱 느렸고, 그러한 덩어리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산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된 각 세포주에 대하여 종양 및 쥐 세포들의 비율을 최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들 최적화 실험을 이용하여, 세포들을 95% 쥐 뇌세포 및 5%의 LN-18 종양 세포의 비율로 혼합하였으며, 이들 모두는 50,000 세포/㎕로 재현탁되었다.
실시예 6 - 기관형 공배양물 중 쥐의 뇌 및 종양 세포들의 공배양물의 형태학
한 실험에서, 쥐 세포에 대하여 5% 내지 95% 종양의 최적 농도를 이용하여 기관형 공배양물내에서 LN-18 종양 세포의 성장을 13일의 기간에 걸쳐 현미경으로 모니터링하였다 (도 3). 시험관 내 3일까지 (DIV), 세포들은 일차 쥐 조직 내에서 종양-유사 집합물을 형성하였다. 이들 종양-유사 집합물들은 시험관 내 13일 (DIV) 후에도 여전히 존재하였다.
추가의 실험에서, eGFP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벡터로 안정하게 형질감염된 LN18 세포들이 쥐 뇌 기질 세포 내에서 성장하도록 두었으며, 13일을 초과해서도 관찰되었다. 접종한지 1일 후, 개별적인 LN18-eGFP 세포들이 공배양물 전체에 퍼져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3일 후, eGFP 양성 집중부들(foci)의 수는 감소한 한편, 집중부들의 크기("세포 집합물들")는 증가하였다. 7일에, eGFP 양성 집중부들의 수는 단지 약간 감소된 한편, 집중부의 크기는 여전히 확장되었다. 집중부들의 크기는 8일에 최대에 도달하였다. 통합한지 14일 후, 세포들은 여전히 집합되었다. 집합물들은 적어도 25일까지 존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시예 7 - 교모세포종 세포주를 더 갖는 종양 공배양물의 형성
교모세포종 세포주들 GL15, A172 (ATCC#CRL1620) 및 U87 (ATCC#HTB-14)을 이용하여 유사한 효과들이 나타났다. 이들 세포주들 각각은 eGFP-표지되고 쥐 뇌세포와 혼합되어 3D 기관형 공배양물을 형성하였다. eGFP 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바와 같이, 모든 뇌-유래된 종양 세포주들은, LN18 세포들과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성장하고, 공배양물 내에서 종양 세포들의 단괴를 형성하였다 (도 3b, c 및 d).
실시예 8 - 쥐 뇌 및 LN-18 종양 세포들의 공배양물 중 종양 세포 이동 및 집합의 특징화.
기관형 공배양물 중 종양-유사 덩어리들이 세포들의 클론성 확장으로부터 또는 세포 기질을 통한 세포의 이동으로부터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보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간 뇌 종양 세포주 LN-18을 형질감염시켜 eGFP 또는 RFP 중 하나를 생산하였다. LN18 RFP 발현 세포들 및 LN18 eGFP 발현 세포들을 서로 혼합한 후, 5% LN-18 대 95% 쥐 뇌세포 의 비율로서 분리된 쥐 대뇌피질 세포들과 혼합하고, 다공성 막 상에 플레이트하여 앞서 설명된 것과 같이, 압축 3D 기관형 공배양물을 형성하였다. 이들 배양물들을 14일간에 걸쳐 모니터링하였다. 공배양물 내로 통합시킨지 24시간 후, 세포들은 녹색 및 적색 세포들의 균일한 혼합물로서 나타났다. 통합한지 이르게는 48시간 후, 일부 세포 단괴들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통합한지 4일 후, 세포들은 혼합된 적색 및 녹색 세포들의 집합물을 명확히 형성하였다. 적색 및 녹색 세포들이 공동배치된다는 사실은 단일 종양 세포들의 클론성 확장보다는 종양 세포들의 활발한 단괴화를 증명한다. 따라서 세포들은 이동하여 종양-유사 집합물들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였다. 그 효과가 세포들의 클론성 확장으로 인한 경우, 관찰된 혼합된 적색 및 녹색 종양들보다는 개별적인 적색 및 녹색 종양들이 발생되었을 것으로 예측될 것이다. 이는, 세포 기질이 종양 세포들의 그리고 종양 세포들과의 상호작용이 생체 내 상태에 더욱 가깝게 나타내는 방식으로 허용하는 환경을 제공함을 증명한다.
실시예 9 - 기관형 공배양 중 쥐 뇌세포 및 기타 종양 유형의 공배양물의 형태학
인간 난소 암세포, SKOV3 (ATCC# HTB77)는 쥐 뇌세포 기질에서 종양을 형성하지 않았다 (도 4a). 이는 실시예 4에서 교모세포종 세포들에 대하여 기재된 것과 같이, 형질감염된 SKOV3-GFP 세포들을 쥐 뇌세포와 혼합함으로써 시험하였다. SKOV3 세포들 모사된 난소 조직 내에서도 집합되지 않았지만, 세포들은 두 세포 기질들 모두에서 성장하였다.
내피 세포 (ATCC# CRL 2299) 및 인간 섬유아세포 (Promocell# HPF-c #12360)를 공급자에 의하여 설명된 표준 조작 프로토콜에 따라 성장시키고, 세포들을 Trypsin (Sigma#T4299)을 이용하여 플라스크에서 제거한 후 트립신 저해제 (Sigma#T6414)를 이용하여 중성화하였다. 세포 현탁액을 1000 rpm/3분에서 원심분리시켰다. 생육성 세포들을 트립판 블루 배제를 이용하여 계수하고 세포 펠렛을 50,000 세포/㎕로 재현탁시켰다. 이 세포 현탁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4에 설명된 것과 같은 기관형 공배양물의 생산에서 쥐 뇌 조직을 대체하는데 사용되었다. 이들 배양물들을, 세포들의 부착을 돕는 라미닌으로 처리된, 콘페티(confetti) (지지막 상에 놓여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막의 작은 원들) 상에서도 성장시켰다. 이들 세포들은 일차 비종양 세포 기질의 주변에 집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이들 세포들의 성장의 분석 (도 4b) 및 대사 경로의 상세한 분석을 여전히 허용한다. 이는 이 모델이, 고형 종양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도, 교모세포종 종양 유형외의 종양 유형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경로 및 약물 감수성의 분석이 여전히 가능하다.
실시예 10 - 쥐 뇌세포 및 쥐 줄기세포로부터 형성된 기관형 공배양물
종양 줄기 세포들을 생검 재료 (W. Gray로부터 기증)로부터 단리하고, 세포들을 플라스크 내에 배양한 후, 세포들을 렌티바이러스성 벡터 rHIV PPT-PGK-GFP-WPRE (VSVg) (Genethon)로 형질유도하였다. 10㎕의 벡터 (~20×106의 감염성 입자)를 50㎕의 현탁된 줄기 세포 (~10×106 세포들)에 첨가하여 MOIof 2:1를 제공하고, 세포를 그 후 1주 동안 배양하고 GFP 발현에 대하여 모니터링하였다. 이들 형질유도된 종양 줄기 세포들을 종양세포주 대신 사용하여 실시예 4에 기재된 것과 같이, 기관형 공배양물을 생산하였다. 기관형 공배양물 중에서의 배양 동안, 세포들은 미분화되고, 과정들을 내보내었다 (도 5).
실시예 11 - 기관형 종양 공배양의 면역조직화학적 검사
기관형 공배양물은, 기질 및 종양 세포들의 상호작용 및 관련된 대사 경로들의 복합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면역화학적 분석을 위하여 용이하게 제조되었다. 기관형 공배양물들을 채집하고 4% 파라포름알데히드 (Sigma#P6148) 중에 고정시킨 후, 0.001%-Tween (Sigma#P5927)를 갖는 Tris 버퍼화 식염수(TBS) (TBS_T) 중에서 3×5분 세척하였다. 비특이적 결합 자리들은 5%의 정상 당나귀 혈청 중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 후 이어서 TBS-S 중에서 3×5분 세척하여 차단시켰다. 마우스 중 생산된 일차 항체 GFAP (Sigma#G3893) 1:200를 TBS-T 중에서 희석시키고, 기관형 공배양물에 첨가하고, 4℃에서 하룻밤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TBS-T 중에서 3×5분 세척 후, 1in 500에서 2차 항체인 알렉사플루오르(Alexfluor) 염소 항-마우스 568 (적색) (Invitrogen # A11031)을 어둠 중에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기관형 공배양물을 TBS-T 중에서 3×5분 동안 세척한 후, 유리 현미경 슬라이드 상에 탑재 유체와 함께 배치하였다 (Sigma#F4680). 커버 슬립을 위에 위치시키고 손톱용 매니큐어액으로 밀봉시켰다. 슬라이드를 영상화까지 어둠 속에서 4℃에 유지시켰다. 제조된 슬라이드를 Becton Dickenson CARV 공초점 세포 영상화 시스템이 부착된 Olympus1X70 현미경 상에서 영상화하였다.
실시예 12 - 본 발명의 공배양물 중 활성화된 성상세포들의 특징화
다형성 교모세포종 (GBM)의 구분되는 특징은, 뇌 종양들을 둘러싼 반응성 성상세포증식(astrogliosis)의 존재이다. 실시예 4에 기재된 것과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공배양물이 인간 종양의 이러한 특징을 발생반복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활성화된 성상세포의 마커인, 신경교섬유질 산 단백질 (GFAP)의 발현을, GFAP 항체를 이용하여 GBM/뇌 공배양물 중에 평가하였다.
증가된 GFAP 염색은 종양 세포 덩어리 주변 및 그 안에서 특이적으로 관찰될 수 있으며, 이는 종양 세포들에 밀접하게 접촉하고 있는 성상세포들이 활성되었음을 나타낸다. GFAP 양성 세포들과 종양의 이러한 연합은, 일부 화합물들의 작용이 이러한 구경꾼(bystander) 세포들의 보호 효과에 의하여 영향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생리학적으로 관련된 종양 모델의 생산에 중요하다.
실시예 13 - 본 발명의 공배양물이 5-ALA 염색
5-아미노류불린산 (5-ALA)은 신경외과학적 절차 동안 종양성 조직을 시각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도(guiding) 방법의 외과수술적 이용은 종양의 잔여 부피를 감소시키고, 뇌종양으로 앓고 있는 환자에서 진행이 없는 생존을 연장시킬 수 있다. 실시예 4에서 제조된 것과 같은 GBM(LN18-eGFP)/뇌 공배양물을, 인간 종양에서 5-ALA가 종양 세포들을 특이적으로 염색시킬 수 있는 것과 같이, 5-ALA로 염색하였다.
아미노류불린산 염산염 (ALA) (Sigma 제품번호 A3785)을 10mg/ml로 물에 용해시켰다. 배양물과 함께 인큐베이션하기 위하여, 웰 내 매질 중에 희석하여, 100㎍/ml의 최종 농도를 제공하고, 24시간 동안 배양물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배양물을,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에 대하여 설명된 CARV 공초점 시스템을 이용하여 현미경 관찰하였다.
도 4a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강한 특이적인 5-ALA 염색이 직경 약 100μm 가 넘는 LN18-eGFP 단괴 중에 관찰될 수 있었다. 종양은 종양 세포에 의한 GFP의 발현으로 인해 녹색으로 나타났으며, 5-ALA는 이들 세포들과 함께 국재화되었으며, 영상화시에 적색으로 나타났다. 직경이 약 100μm 미만의 종양 세포 단괴들은 보다 약하게 염색되고 성긴 세포들은 음성으로 유지되었다.
5-ALA 염색 특징은 생체 내에서 관찰되는 것에 유사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들은 본 발명의 공배양물이 생체 내 종양들의 현저한 성질들을 재현하는 추가의 증거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본 시스템의 2차원 세포 단층의 배양에 대한 장점들을 더욱 강조한다.
실시예 14 - 기관형 종양 공배양물 내에서의 pH 측정
악성 신경교종 마진(margin) 조직은 대사적으로 극히 활성으로, 높은 주순의 젖산을 생산하며, 종양 가장자리 주변에서 정상 조직 세포외 무세포성 산성화라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특성이 본 발명의 종양 공배양물에 의하여 재생산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기 위하여, pH 염료 염색이 간섭받지 않도록, eGFP를 발현하지 않는 비형질감염된 LN18 종양 세포들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기관형 GBM/뇌 공배양물은 상기 기재된 것과 같이 제조되었다 (예로서, 실시예 4). 배양물들은 3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삽입물들을 배양 매질로부터 제거하고, 멸균 행크 버퍼화 염 용액 (HBSS)을 포함하는 웰들 내에 배치하였다. 최초 15분 후에, 삽입물을 HBSS 및 그의 형광 방사가 pH 민감성인 염료인, 1㎕의 10mM BCECF 산 (2',7'-비스-(2-카르복시에틸)-5-(앤드-6)-카르복시플루오레세인, 혼합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웰들로 옮겼다. 514nm에서 여기된 경우, 그의 방사 최대치는 염기성 환경에서는 630nm에서이고 (녹색 염색), 산성인 경우는 570nm였으며 (적색 염색), 즉 이는 세포들이 보다 산성인 조건에서는 적색으로 나타나는 반면, 중성 pH는 녹색으로 나타난다. 배양물들을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적색 (방사 파장 610) 및 녹색 스펙트럼(방출 파장 525)에서의 이미지화 전에, HBSS에서 2회 세척하였다.
강한 산성 pH (적색 염색)는 비-라벨화된 종양 세포들 주변에서 검출될 수 있던 반면, 뇌 공배양의 전체는 염기성 (녹색 염색)이었다. LN18 세포들의 부재 하에서, 산성 pH는 뇌 공배양물 내에서 검출될 수 없었을 것이다. 따라서, LN18 세포들은, 뇌 공배양물 중에서 성장되는 경우, 그들의 폐쇄 환경을 산성화한다. 이들 데이터는 다시 본 발명의 공배양물이 생체 내 종양의 중요한 특징들을 재현한다. 이들 pH 변화는 일부 항종양 화합물의 활성화에 중요한 영향을 갖고, 일부 시험 화합물의 임상적 효능을 결정하는데 있어 치명적일 수 있다.
실시예 15 - TMZ 에 대한 종양 세포의 반응의 측정. 3D 기관형 종양 공배양물과 종양 세포들의 2D 단층 배양물과의 비교.
기관형 공배양물은 종양 세포들의 항종양 화합물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는데 사용되엇다. 교모세포종에 대한 표준은 방사요법 동안 및 후의 테모졸로미드 (TMZ) 화학요법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자들은, LN-18-GFP 세포의 표준 2D 배양물에 비하여 기관형 공배양물 중 TMZ (Sigma#T2577)의 효능을 시험하였다.
기관형 공배양물을 앞서 설명된 것과 같이 제조하였다. 제조한지 2시간 후, TMZ를 각종 농도의 배양 매질 내에 첨가하였다 - 도 6 참조. 배양물은 14일 이하 동안 매질이 변화됨에 따라 갱신되는 화합물과 함께 배양 매질 + TMZ 내에 인큐베이션하였다. 이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TMZ의 효과의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였다.
종양 세포들 단독의 단층 배양물의 경우 (2D), LN-18 _GFP 세포들을 104세포/웰의 농도로 24웰 플레이트 내로 플레이트하였으며, 2시간 후에 기관형 공배양물로서 동일 농도의 TMZ로 처리하였다. 대조구 기관형 공배양물 및 2D 배양물도, 종양세포의 정상 성장을 TMZ 첨가후의 성장을 비교하기 위하여 모니터링하였다. 형광 분석 동안, 영상들을 한벌의 Leica 응용프로그램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Leica DM1L 현미경 상에서 찍었다. 수집된 영상들을 BD IPLAB 영상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Graphpad Prism5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오차 막대는 평균 표준 오차이다 (SEM). 각 데이터 지점에 대하여, 24개의 영상이 사용되었다.
TMZ는 미처리된 대조구 세포들에 비하여 2D 모델 중 종양 세포들의 성장 중에서 약간의 감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보였다. 시험관 내에서의 일자들이 늘어날수록 , 3일까지는 세포들은 그 수가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며 (평균 % 형광에 의해 표시됨), 3일에는 세포 수에서의 급속한 상승이 이후 9일까지 가파르게 계속되고, 그 후 13일까지 수준이 저하되기 시작하였다. 1, 5 및 10μM의 TMZ 농도에서, 성장 곡선은 대조구 세포들의 것과 매우 유사하였다 (도 6a).
기관형 공배양물 (3D)에서, 종양 세포 성장에서의 현저한 감소가 있었으며 이는 대조구 배양물 미만이었다(평균 % 형광으로 표시된 바와 같음). 모든 조건들은 3일까지 세포 수에서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대조구 세포들 및 1μM TMZ 처리된 배양물들 은 계속하여 세포 수에서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5 및 10μM TMZ에서, 세포수는 3일부터 약간 떨어졌으며 (도 6b) IC50 은 약 4μM 였고, 즉 4μM에서 세포 성장의 약 절반이 저해되었다 (50% 감소에 대한 IC50 저해 농도).
이는 실시예 14에서 관찰된 pH에서의 변화와 연결될 수 있다. TMZ 약물은 pH 의존 방식으로 활성 분해 생성물로 가수분해되며, 이는 종양 세포들이 2D 시스템에서의 단리에서 배양되는 경우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 16 - 택솔에 대한 종양 세포들의 반응의 측정. 3D 기관형 종양 공배양물과 종양 세포들의 2D 단층 배양물과의 비교.
파클리탁셀 (택솔 Sigma#T7402)은 단리된 2D 배양물 중에서 교모세포종 세포주에 대하여 독성을 나타내었으나, 임상시험에서 사용된 경우 무효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실시예 14에서와 동일한 실험 조건을 이용하여, 본 발명자들은 기관형 공배양물 (3D) 및 종양 세포들만의 단층 배양물 (2D) 중에서 택솔의 세포독성을 비교하였다.
종양 세포들만의 단층 배양물들에서 (2D), 대조구 배양물은 2일까지 서서히 성장한 후 8일간에 걸쳐 서서히 증가하였다 (평균 % 형광으로 표시됨). 5nM 택솔을 이용한 경우, 세포 수에서의 작지만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20nM 및 50nM을 이용하여, 전체 실험동안 세포수에서의 증가는 없었다 (도 7a).
기관형 공배양물 (3D)에서, 대조구 배양물 수준 이하로의 세포 성장에서의 현저한 감소 (평균 % 형광으로 표시됨)가 모든 농도 25, 50 및 100nM의 택솔에서 있었다. 그러나, 100nM 택솔만이 세포 수를 기본 수준으로 감소시켰으며, IC50은 약 25nM 이었다 (도 7b). 이 IC50은 2D 모델 중에서 모든 세포들을 완전히 사멸시키는데 요구되는 것보다 훨씬 더 높은 수준이다.
이는 아마도 실시예 12에 기재된 기관형 공배양물 (3D) 중 성상세포들의 보충 및 활성화로 인한 것이다. 성상세포 보충 및 활성화는 택솔의 작용으로부터 교모세포종을 보호한다.
실시예 17 - 시토신 아라비노사이드 (Ara-C)에 대한 종양 세포들의 반응의 측정: 3D 기관형 종양 공배양물과 종양 세포들의 2D 단층 배양물과의 비교.
본 발명자들은, 2D 배양물에서 교모세포종 세포주의 증식을 저해하지만 임상 시험에서는 실패한 것으로 알려진 추가의 화합물인 시토신 아라비노사이드 (Ara-C)도 시험하였다: 도 8a에 나타난 것과 같이, Ara-C는 2D 배양물 중에서 항-증식성 활성을 나타내었다 (AraC에 대한 100nM 성장 저해). GBM/뇌 공배양물에 사용된 경우, 1μM의 Ara-C가 종양 세포 증식을 감소시키는데 요구되었으며, 이는 2D 배양물에서 필요한 투여량보다 10배 높은 투여량이다 (도 8b). 10μM에서, GBM 세포들은 효과적으로 사멸되었다.
실시예 18 - 각종 세포주들로부터 형성된 종양들에 대한 택솔 또는 테모졸로미드의 영향
유사한 측정들을 그 후, 2D에서 또는 뇌세포 기질을 갖는 공배양물에서 성장하는 3개의 다른 교모세포종 세포주 (GL-15, A172 및 U87)를 이용하여 수행하고, 택솔 또는 테모졸로미드로 처리하였다. 성장 저해 IC50을 각 세포주 중 각 화합물에 대하여 결정하였으며, 결과를 표 I에 요약하였다. 전체적으로, 2D의 통상적인 배양물에 비하여, 6배에서 25배로의 택솔 활성의 감소가 공배양물 중에서 성장하는 세포들 중에서 관찰되었다. LN-18 세포에서 관찰된 것과 유사하게, 테모졸로미드의 효능은 뇌-공배양물 중에서 2.5배에서 12배로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배양물은 각종 교모세포종 세포주에 대한 2D 배양물보다 더욱 밀접한 임상적 상태를 반영한다.
세포 유형 IC50 택솔 2D IC50 택솔 3D IC50 TMZ 2D IC50 TMZ 3D
LN-18 ~7nM ~25nM >10μM ~4μM
GL-15 ~4nM 100nM >50μM ~20μM
A172 ~7nM ~50nM ~25μM ~5μM
U87 ~10nM ~60nM ~12μM ~1μM
실시예 19 - GBM /뇌 본 발명의 공배양물 중 종양 퇴화의 특징화
화학치료를 확립된 종양을 갖고 효과가 약한 환자에게 제공하였다. 테모졸로미드 또는 택솔이 본 발명의 공배양물 중에서 성장하는 확립된 교모세포종에 대한 종양 퇴화를 일으킬 수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GBM/뇌 공배양 접종 시기 (상기와 같음) 또는 종양 세포 단괴가 이미 존재하는 3일 후에 치료를 시작하였다 (도 9). 상기 관찰된 것과 같이, 실험 시작시에 택솔 처리를 시작한 경우, 처음 3일동안 종양 세포의 성장 속도는 감소되었다. 25nM의 택솔에서, 세포 성장은 중단되었으며 이전에 관찰된 바와 같이, 종양 단괴 수축을 달성하는데 100nM의 택솔이 필요하였다.
GBM/뇌 공배양 접종한지 3일 후, 택솔 처리를 시작하였고, 큰 종양 세포 단괴가 이미 형성된 경우, 25nM의 택솔은 형광 강도에 대한 영향이 없었으며, 100nM 및 50nM는 약간의(marginal) 효과를 가졌다 (도 9a 및 9c 비교). 효과적인 종양 수축에 요구되는 택솔 농도는, 인간 뇌 종양에서 도달될 수 있는 농도에 비하여 매우 높았으며, 치료 범위를 크게 벗어났다. 흥미롭게도, 세포 접종에 사용된 경우, 2개의 유효한 투여량, 5μM 또는 10μM의 테모졸로미드 (도 6b 및 9b)는, 이들이 단지 약하게 종양 세포 확장을 감소시킨 바와 같이 (도 9b 및 9d 비교), 수립된 GMB/뇌 공배양물에 대한 활성이 약하였다. 따라서, 종양 퇴화면에서도, 본 발명의 공배양물의 성질은 임상적 상태를 대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주어진 실험 데이터는 본 발명의 3D 기관형 종양 공배양물의 유리한 성질을 증명한다. 특히, 이들 공배양물을 이용하여 수행된 항종양 약물 및 종양-퇴화 분석의 시험을은 표준 2D 모델보다 생체 내에서 항종양 약물의 작용을 더욱 밀접하게 반영한다. 본 발명의 공배양물은, 현재 치료에 강하게 저항성인 종양들을 포함한, 잠재적인 항암제의 효과를 연구하는데 예측도가 높다.
참고문헌
Beaupain, R., (1999) Methods in Cell Sciences, 21: 25~30
Becker-Hapak M. , (2001), Methods Vol 24 pp247~56.
Damia, G., Maurizio D,Incalci, (2009) European Journal of Cancer, 45, 2768~2781
Kelland, L. R., (2004), European Journal of Cancer, 40, 827~836.
Muller, (2001), Protocols for Neural Cell Culture, 3rd Ed. pp13~27, S. Fedoroff and A. Richardson eds, Humana Press, Inc., Totowa, NJ. Interface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Ridky (2010) Nature Medicine 16(12):1450-1455)
Rygaard J, Povlsen CO., Acta Pathology Microbiol. Scand, 1969, 77, 758~760
Starzec (2003), Biology of Cells, 95, 257~264
Stoppini L., (1991), Neurosci Methods, Vol 37 pp173~82.
Vaira (2010), PNAS, 107:8352
van der Kuip (2006) BMC Cancer, , 6:86
WO 2006/134432
WO 2006/136953

Claims (36)

  1. 종양 세포와 구분되는 기질 세포의 기질 내에 3차원적으로 배치된 종양 세포를 포함하고, 기저막은 포함하지 않은, 시험관 내 3차원적 기관형 세포 공배양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배양물은 반투과성 지지체 및 액체 배양 매질을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a) 상기 공배양물은 기상과 마주하는 지지체의 제 1 표면 상에 배치되고;
    b) 상기 지지체의 제 2 표면은 액체 배양 매질과 마주하며, 그와 접촉되어 있으며; 그리고
    c) 상기 액체 배양 매질은 표면 장력 및/또는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상기 지지체 및 배양물과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배양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 세포는 적어도 5개의 세포들의 집합체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배양물.
  4.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3차원적 기관형 세포 공배양물의 제조방법:
    a) 종양 세포들을 포함하는 제 1 세포 현탁액, 및 상기 종양 세포와 구분되는 기질 세포들을 포함하는 제 2 세포 현탁액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제 1 및 제 2 세포 현탁액을 조합하여, 액체 현탁 매질 중에 현탁된 혼합 세포들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혼합 세포들을 농축 및/또는 압축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로부터 수득된 혼합 세포를 기상과 마주하고 있는 반투과성 지지체의 제 1 표면 상에서 인큐베이션하는 단계, 여기에서 인큐베이션 동안 지지체의 제 2 표면은 액체 배양 매질과 마주하고 그와 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액체는 표면 장력 및/또는 모세관 작용에 의하여 상기 지지체 및 혼합 세포들과 접촉된 채로 유지된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인큐베이션 동안, 상기 종양 세포들은 기질 세포들에 의하여 형성된 기질 내에 3차원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세포 현탁액의 제공은 고체 조직 공급원으로부터 세포들을 분해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큐베이션 전의 혼합 세포들은 기질 및 종양 세포들을, 기질: 종양 세포의 비율이 100:1 내지 10:1인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제 4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세포들은 모세관 작용, 증발, 원심분리, 침강, 정수압의 적용, 펌핑, 흡입, 또는 흡기에 의하여 단계 (c)에서 압축되는 것인 방법.
  9. 제 4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혼합 세포들의 원심분리 및 상등액 액체 현탁액 매질의 제거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세포들은 단계 (c)의 원심분리 및 상등액 액체 현탁액 매질의 제거 후에, 단계 (d)의 지지체 상에 배치되는 것인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세포들은 원심분리에 의하여 단계 (d)의 지지체 상에 배치되는 것인 방법.
  12. 제 4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세포들이 지지체 상에서 추가적으로 압축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압축은 증발 및/또는 모세관 작용에 의한 것인 방법.
  14. 제 4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모세관 작용은 혼합 세포들을 더욱 압축하는 것인 방법.
  15. 제 4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모세관 작용은 또한 단계 (c)에서 혼합 세포들을 압축하는 것인 방법.
  16. 제 4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형 공배양물을 저온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2항 또는 제 3항, 또는 제 4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제 2 표면이 제 1 표면의 반대측인 공배양물 또는 방법.
  1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7항, 또는 제 4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질 세포들이 비-암성 세포인 공배양물 또는 방법.
  1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7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4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질 세포들이 하나 이상의 세포 유형을 포함하는 것인 공배양물 또는 방법.
  2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7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4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질 세포들이 단일한 세포 유형으로 구성된 것인 공배양물 또는 방법.
  21.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7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4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 세포들이 유전공학적으로 처리되지 않은 것인 공배양물 또는 방법.
  22.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7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4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 세포들 및/또는 기질 세포들이 포유동물의 것인 공배양물 또는 방법.
  23.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7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4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 세포들 및/또는 기질 세포들이 인간의 것인 공배양물 또는 방법.
  2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7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4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질 세포들은 줄기 세포, 일차 세포, 간질 세포, 또는 생검, 시신의 조직, 포유동물 또는 인간 조직-유래 세포주, 중추신경계, 뇌, 골수, 혈액, 비장, 망막 흉선, 심장, 유선, 간, 췌장, 갑상선, 골격근, 신장, 폐, 장, 난소, 방광, 정소, 자궁 또는 결합조직으로부터 선택된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된 세포들을 포함하는 공배양물 또는 방법.
  2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7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4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 세포는 암 줄기 세포인 공배양물 또는 방법.
  2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 제 17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4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 세포들은 줄기 세포, 췌장, 혈액, 자궁경부, 결장, 장, 신장, 뇌, 유선, 난소, 전립선, 피부, 간, 폐 또는 비장의 종양으로부터 유래된 것인 공배양물 또는 방법.
  27. 제 2항 또는 제 3항, 또는 17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4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친수성 PTFE, PET 또는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인 공배양물 또는 방법.
  28. 제 2항 또는 제 3항, 또는 17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4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것인 공배양물 또는 방법.
  29. 제 2항 또는 제 3항, 또는 17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4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지지체에 대한 상기 공배양물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재료로 코팅된 것인 공배양물 또는 방법.
  30. 제 2항 또는 제 3항, 또는 17항 내지 제 29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4항 내지 제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를 코팅하는 재료는 콜라겐, 라미닌 또는 파이브로넥틴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공배양물 또는 방법.
  31. 제 4항 내지 제 3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수득가능한 시험관 내 3차원 기관형 세포 공배양물.
  32. 항암제의 스크리닝 방법으로서,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7항 내지 제 3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배양물을 시험 약제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공배양물 중의 종양 세포들의 성장, 증식, 생육 또는 이동에 대한 시험 약제의 저해 효과는 그 시험 약제가 후보 항암제임을 나타내는 것인 방법.
  33.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7항 내지 제 3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배양물의, 항암제 스크리닝 방법에서의 용도.
  3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7항 내지 제 3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배양물의, 암 생체마커 및/또는 암 약물 타겟을 동정 및/또는 확인하는 방법에서의 용도.
  3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7항 내지 제 3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배양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분석 키트.
  3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7항 내지 제 3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배양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 스크리닝용 장치.
KR1020137020771A 2011-01-06 2012-01-06 종양 세포 및 조직 배양 KR201400208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100180.7 2011-01-06
GBGB1100180.7A GB201100180D0 (en) 2011-01-06 2011-01-06 Tumour cell and tissue culture
PCT/EP2012/050194 WO2012093173A1 (en) 2011-01-06 2012-01-06 Tumour cell and tissue cul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863A true KR20140020863A (ko) 2014-02-19

Family

ID=4366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771A KR20140020863A (ko) 2011-01-06 2012-01-06 종양 세포 및 조직 배양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154735A1 (ko)
EP (1) EP2661490A1 (ko)
JP (1) JP2014502847A (ko)
KR (1) KR20140020863A (ko)
CN (1) CN103415616A (ko)
GB (1) GB201100180D0 (ko)
WO (1) WO20120931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13356B2 (ja) * 2013-08-02 2021-01-13 ユニバーシティ・オブ・サウス・フロリダ 細胞培養のための3次元繊維状スキャフォールド
WO2016048299A1 (en) * 2014-09-24 2016-03-31 National Taiwan University Cancer-associated fibroblasts in maintaining stemness of cancer stem cells
US20180209959A1 (en) * 2015-07-31 2018-07-26 Swedish Health Service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haracterization of glioblastoma multiforme tumors and cancer stem cells
US11499972B2 (en) 2015-09-15 2022-11-15 Swedish Health Services Methods and panels of compounds for characterization of glioblastoma multiforme tumors and cancer stem cells thereof
WO2017136508A1 (en) * 2016-02-02 2017-08-10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Dissociation of human tumor to single cell suspension followed by biological analysis
JP7112957B2 (ja) * 2016-03-09 2022-08-04 ベイジン パーカンズ オンコ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腫瘍細胞懸濁培養及び関連方法
WO2017160147A1 (en) * 2016-03-15 2017-09-21 Academisch Ziekenhuis Leiden H.O.D.N. Lumc Organotypic culture system
JP2019513418A (ja) * 2016-04-04 2019-05-30 フメルティス がん治療における患者特有の治療決定のための診断方法
WO2018071797A1 (en) * 2016-10-14 2018-04-19 Wake Forest University Health Sciences Compositions, cell construc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10462028A (zh) * 2016-11-21 2019-11-15 北京智康博药肿瘤医学研究有限公司 上皮肿瘤细胞培养物
US20180275027A1 (en) * 2017-03-22 2018-09-27 Slmp, Llc Cell yield for synthetic tissue controls and synthetic tissue microarray controls
ES2963461T3 (es) * 2017-04-05 2024-03-27 Yeda Res & Dev Sistema de cultivo ex vivo y métodos de utilización del mismo
US11629329B2 (en) 2017-10-11 2023-04-18 Wake Forest University Health Sciences Bioink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CN110373445B (zh) * 2019-06-21 2023-04-07 南通大学 一种抗肿瘤药物快速药效测试试剂盒的制备方法及使用方法
EP4187245A1 (en) 2021-11-29 2023-05-31 Institut Curie Methods for assessing the toxicity and efficacity of radiation therapy
WO2023201047A1 (en) * 2022-04-14 2023-10-19 University Of Cincinnati Recapitulating tissue-native architectures in bio-printable hydrogel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355A (ja) * 1991-09-19 1993-03-30 Shizu Kubota 初代培養癌細胞集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83619B2 (ja) * 2001-10-15 2008-11-19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正常再生組織の形成方法と正常再生組織並びに感受性等の検定方法
EP1506998B1 (en) * 2003-08-14 2008-03-1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n in vitro tumor angiogenesis model
JP2007537759A (ja) * 2004-05-19 2007-12-27 マサチューセッツ・インスティテュート・オブ・テクノロジー 灌流三次元細胞/組織疾患モデル
ITRM20040273A1 (it) * 2004-06-03 2004-09-03 Farmigea Spa Metodo per l'isolamento e l'espansione ex vivo di cellule staminali corneali umane e loro relativi usi.
US7687263B2 (en) * 2005-05-11 2010-03-3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 vitro tumor angiogenesis model
GB0512216D0 (en) * 2005-06-15 2005-07-27 Capsant Neurotechnologies Ltd Device
GB0512214D0 (en) 2005-06-15 2005-07-27 Capsant Neurotechnologies Ltd Method
CN101157908B (zh) * 2007-01-04 2011-11-09 南京大学医学院附属鼓楼医院 一种肿瘤血管新生体外共培养模型
US7806366B2 (en) * 2007-07-10 2010-10-05 Insitu,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controlling post-recovery motion of unmanned aircraft
US8679836B2 (en) * 2007-10-01 2014-03-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ethods of monitoring angiogenesis and metastasis in three dimensional co-cultures
JP2011522515A (ja) * 2008-04-10 2011-08-04 マサチューセッツ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癌幹細胞を標的とする薬剤を同定する方法およびその使用
GB0815427D0 (en) * 2008-08-22 2008-10-01 Capsant Neurotechnologies S A Device
ES2707852T3 (es) * 2008-09-25 2019-04-05 Univ Texas Sistemas y métodos para el guiado magnético y diseño (patterning) de células y materiales
CN101833611B (zh) * 2010-04-27 2012-07-25 复旦大学附属中山医院 一种体外肝癌肝侵袭转移实验模型及其构建方法
CN101892285A (zh) * 2010-06-23 2010-11-24 西安交通大学 一种三维细胞芯片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3173A1 (en) 2012-07-12
GB201100180D0 (en) 2011-02-23
US20140154735A1 (en) 2014-06-05
JP2014502847A (ja) 2014-02-06
EP2661490A1 (en) 2013-11-13
CN103415616A (zh)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0863A (ko) 종양 세포 및 조직 배양
Vatine et al. Human iPSC-derived blood-brain barrier chips enable disease modeling and personalized medicine applications
KR102534195B1 (ko) 암 모델링 플랫폼 및 그를 사용하는 방법
US11180734B2 (en) Single cell-derived organoids
CN101268184B (zh) 制备器官型细胞培养物的方法
EP2450707B1 (en) Lung tissue model
CA2817712A1 (en) Immortalization of epithelial cells and methods of use
Wang et al. Paper supported long-term 3D liver co-culture model for the assessment of hepatotoxic drugs
US20140147831A1 (en) Methods for forming normal regenerated tissues, the normal regenerated tissues and methods for assessing sensitivities and so on
CN110121555B (zh) 包含工程化内皮细胞的血脑屏障
KR20190035524A (ko) 나노섬유 기반 장기간 초대 간세포 3차원 배양시스템 및 배양방법
JP5405824B2 (ja) 前駆細胞及びその使用
KR102238518B1 (ko) 장 유래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장 오가노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Takahashi et al. 3D in vitro co-culture disc for spatiotemporal image analysis of cancer–stromal cell interaction
EP3991797A1 (en) Cell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DK2597952T3 (en) A process for the isolation of a cancer cell having stem cell properties, wherein the cancer cell is resistant to chemotherapeutic agent
AU2014202491B2 (en) Method for isolating a chemotherapeutic agent resistant cancer cell with stem cell properties
JP2023553869A (ja) ディッシュでの器官形成を促進するオルガノイド培養のエンジニアリング
OA17846A (en) Method for isolating a chemotherapeutic agent resistant cancer cell with stem cell properties.
WO2005071400A2 (en) Screening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