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355A -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355A
KR20140017355A KR1020120084281A KR20120084281A KR20140017355A KR 20140017355 A KR20140017355 A KR 20140017355A KR 1020120084281 A KR1020120084281 A KR 1020120084281A KR 20120084281 A KR20120084281 A KR 20120084281A KR 20140017355 A KR20140017355 A KR 20140017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flange
plate
drill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filed Critical 김인수
Priority to KR1020120084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7355A/ko
Publication of KR20140017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3/00Drilling machines or drilling devices; Equipment therefor
    • B27C3/04Stationary drill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3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bobbins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 광케이블과 같은 와이어 등을 권취하는 목재보빈의 좌판에 모터 및 실린더 구동을 통한 자동방식으로 플랜지를 간편하게 결합하기 위한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 광케이블과 같은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한 목재보빈의 제조공정에 앞서 원판 형태로 제작된 좌판에 플랜지를 고정하기 위해 4축드릴수단을 이요해 플랜지를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관통홀이 각각 드릴가동되면 플랜지조립수단의 실린더를 이용한 승,하강 작동을 통해 고정볼트가 결합된 플랜지가 좌판의 결합홀에 자동으로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됨에 따라 이를 통해 작업자가 플랜지를 결합하기 위해 좌판을 뒤집거나 하는 등의 작업이 불필요해 목재보빈의 생산효율이 높아짐과 동시에 무거운 좌판에 의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 { assembling device for timber bobbin }
본 발명은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 광케이블과 같은 와이어 등을 권취하는 목재보빈의 좌판으로 모터 및 실린더 구동을 통한 자동방식으로 플랜지를 결합함에 따라 목재보빈의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키는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보빈은 전선, 호스, 동파이프, 광케이블 등과 같이 와이어 형태로 연장되는 각종 구조물을 감아 권취하거나 쉽게 풀어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목재보빈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통체 형태로 드럼이 제작되면 상기 드럼의 양측으로 권취되는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좌판이 각각 결합되어 제작됨에 따라 상기 목재보빈의 둘레로 각종 와이어 형태로 제조되는 구조물을 감아 권취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목재보빈은 좌판의 내측 중앙으로 금속재로 제작되는 파이프를 관통삽입하여 목재보빈을 회전시키는 방식에 의해 권치된 각종 와이어를 풀어 사용하기 때문에 금속재 파이프에 의해 회전되는 목재보빈의 좌판이 파손됨에 따라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위치로 파이프를 지탱하여 목재보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가 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목재판재를 이용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통체 형태로 드럼(30)이 제작되며, 상기 드럼(30)의 양단으로 목재판재를 격자 형태로 접합하여 원형판재로 제작시킨 좌판(20)을 각각 덧댐과 동시에 다수의 조립볼트(50)를 상기 드럼(30) 측으로 관통하여 양단의 좌판(20)을 각각 고정하여 목재보빈(10)이 제작되되,
상기 좌판(20)의 중앙으로 관통된 플랜지결합홀(21)에는 목재보빈(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40)가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결합되어 왔으며, 상기 플랜지(40)가 좌판(20) 중앙에 형성된 플랜지결합홀(21)로 삽입되면 작업자가 고정볼트(41)를 좌판(20)에 관통된 볼트관통홀(22)에 직접 삽입하여 너트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목재보빈(10)이 제작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에는 목재보빈의 좌판에 플랜지를 결합하기 위해 작업자가 좌판의 플랜지결합홀에 플랜지를 삽입하면 상기 플랜지와 좌판으로 고정볼트를 관통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좌판을 작업자가 직접 뒤집어 고정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등의 수작업을 통해 상기 플랜지를 고정하기 때문에 목재보빈의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며, 일반적으로 목재보빈은 송전탑의 전선 또는 광케이블을 권취함에 따라 크기 및 무게가 대형화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플랜지를 결합하기 위해 좌판을 뒤집거나 이동하는 등의 작업중에 무게가 무거운 좌판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작업자들이 플랜지 결합에 대한 작업을 기피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선, 광케이블과 같은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한 목재보빈의 제조공정에 앞서 원판 형태로 제작된 좌판으로 플랜지를 고정하기 위해 4축드릴수단을 이용해 플랜지를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관통홀을 각각 드릴가공하면 플랜지조립수단의 실린더를 이용한 승,하강 작동으로 고정볼트가 결합된 플랜지를 좌판의 결합홀에 자동으로 삽입하여 너트로 고정함으로써, 이를 통해 작업자가 플랜지를 결합하기 위해 좌판을 뒤집거나 하는 등의 불필요한 작업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여 목재보빈의 생산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무거운 좌판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작업자가 플랜지 결합에 대한 작업을 기피하지 않도록 하는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랜지 조립장치의 본체 내측으로 목재보빈의 좌판 축과 4축드릴수단의 중심을 맞추기 위한 레이져표시기를 구비함에 따라 이를 통해 상기 레이져표시기에서 발산되는 레이져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좌판의 중심축과 4축드릴수단의 중심을 간편하게 맞추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선, 광케이블과 같은 와이어 등을 권취하는 목재보빈의 좌판에 플랜지를 결합하기 위한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목재보빈의 좌판이 이송되되, 바닥프레임과 몸체프레임을 통해 구성요소의 하중을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전면에 승,하강 작동되게 결합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은 다수의 드릴비트를 이용해 상기 좌판에 볼트관통홀를 각각 드릴가공하여 형성시키는 4축드릴수단과; 상기 본체의 하부 전면으로 플랜지조립판이 승,하강 작동되게 결합되며, 상기 플랜지조립판의 승강작동을 이용해 상기 좌판의 중앙에 플랜지를 삽입합과 동시에 다수의 고정볼트를 상기 플랜지와 함께 볼트관통홀로 관통삽입하여 상기 플랜지를 결합하는 플랜지조립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 광케이블과 같은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한 목재보빈의 제조공정에 앞서 원판 형태로 제작된 좌판에 플랜지를 고정하기 위해 4축드릴수단을 이요해 플랜지를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관통홀이 각각 드릴가동되면 플랜지조립수단의 실린더를 이용한 승,하강 작동을 통해 고정볼트가 결합된 플랜지가 좌판의 결합홀에 자동으로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됨에 따라 이를 통해 작업자가 플랜지를 결합하기 위해 좌판을 뒤집거나 하는 등의 작업이 불필요해 목재보빈의 생산효율이 높아짐과 동시에 무거운 좌판에 의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랜지 조립장치의 본체 내측으로 목배보빈의 좌판 축과 4축드릴수단의 중심을 맞추기 위한 레이져표시기가 구비됨에 따라 이를 통해 상기 레이져표시기에서 발산되는 레이져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좌판의 중심축과 4축드릴수단의 중심을 간편하게 맞출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목재보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의 측 단면도.
도 4는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의 작동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목재보빈용 플랜지조립장치(1)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전선, 광케이블과 같은 와이어 등을 권취하는 목재보빈(10)의 좌판(20)에 플랜지(40)를 결합하기 위한 목재 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목재보빈(10)의 좌판(20)이 이송되되, 바닥프레임(120)과 몸체프레임(110)을 통해 구성요소의 하중을 지지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 전면에 승,하강 작동되게 결합되며, 구동모터(230)의 동력을 전달받은 다수의 드릴비트(250)를 이용해 상기 좌판(20)에 볼트관통홀(22)를 각각 드릴가공하여 형성시키는 4축드릴수단(200)과; 상기 본체(100)의 하부 전면으로 플랜지조립판(310)이 승,하강 작동되게 결합되며, 상기 플랜지조립판(310)의 승강작동을 이용해 상기 좌판(20)의 중앙에 플랜지(40)를 삽입합과 동시에 다수의 고정볼트(41)를 상기 플랜지(40)와 함께 볼트관통홀(22)로 관통삽입시키는 플랜지조립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목재보빈(10)의 좌판(20)이 생산라인을 통해 이송되면 상기와 같이 이송된 좌판(20)을 가공하기 위한 플랜지조립장치(1)의 구성요소들 즉, 4축드릴수단(200), 플랜지조립수단(300), 축공고정수단(400) 등을 설치하면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0)는 사각 판 형태로 금속재로 제작되는 바닥프레임(120)이 하부에 구비되면 상기 바닥프레임(120)의 상부로 4축드릴수단(200), 플랜지조립수단(300)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치되기 위한 몸체프레임(110)이 " ㄷ "자 형태의 함체로 금속재를 이용해 제작됨에 따라 플랜지조립장치(1)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기 본체(100)에 볼트 및 용접에 의한 체결방식으로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중앙으로 전면 측에는 좌판(20)을 연속적으로 이송하여 플랜지조립장치(1)에 안착시키기 위한 좌판이송레일(130)이 결합되며, 목재보빈(10)의 좌판(20)이 원형 판재 형태로 제작되는 선 공정을 거친 후 상기 좌판이송레일(130)을 통해 플랜지조립장치(1)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좌판(20)에 플랜지(40)를 결합시키기 위한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목재보빈(10)의 대량생산을 위한 자동공정라인을 구축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좌판이송레일(130)의 경우 프레임의 상단에 다수의 롤러 또는 벨트가 결합된 형태로 일반적으로 생산라인에서 사용되는 이송레일과 구조가 동일한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상기 4축드릴수단(200)은 구동모터(230)의 동력을 전달받은 다수의 드릴비트(250)를 이용해 플랜지(40)의 결합을 위한 고정볼트(41)를 삽입하기 위한 볼트관통홀(22)을 좌판(20)의 중앙에 각각 드릴가공하여 형성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4축드릴수단(200)은 본체(100)의 몸체프레임(110)의 상부 전면으로 드릴이송레일(240)을 통해 승,하강 작동되는 드릴이송부재(220)가 볼트체결방식 내지 용접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드릴이송부재(220)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금속재를 이용해 제작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단 전면측에 결합된 드릴승하강실린더(260)의 로드(미도시) 끝단이 상기 드릴이송부재(220)의 상측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드릴승하강실린더(260)의 로드(미도시)가 별도로 연결되는 유공압라인을 통해 길이가변작동되어 상기 드릴이송부재(220)가 승,하강작동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드릴이송레일(240)의 경우 원통 형태로 제작되는 드릴이송라인(241)의 양 끝단이 드릴결합블럭(243)을 통해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전면으로 일정거리가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드릴이송라인(241)의 내측에는 상기 드릴이송부재(220)에 결합되는 드릴이송블럭(242)이 상기 드릴이송라인(241)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결합되어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드릴이송레일(240)은 상기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일반적으로 직선이송장치에 널리 사용되는 LM가이드레일(미도시)과 같은 장치들을 대체하여 사용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드릴이송부재(220)의 하부에는 4개의 드릴비트(250)가 각각 결합되어 좌판(20)에 볼트관통홀(22)을 드릴가공하기 위한 드릴구동부재(210)가 결합되며, 상기 드릴구동부재(210)는 상측부가 상기 드릴이송부재(220)에 결합되고, 드릴구동부재(210)의 하측부는 다수의 드릴비트(25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드릴이송부재(220)의 전면으로 볼트 및 용접에 의한 체결방식을 통해 상기 드릴구동부재(210)의 상측부가 결합됨에 따라 다수의 드릴비트(250)가 결합된 드릴구동부재(210)의 하측부는 상기 드릴이송부재(220)의 하부로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드릴구동부재(210)의 하단에는 4개의 드릴비트(250)가 각각 결합됨에 따라 좌판(20)에 볼트관통홀(22)을 드릴가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상기 드릴비트(250)의 경우 플랜지(40)의 크기 및 고정볼트(41)의 결합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드릴이송부재(220)에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드릴비트(250)는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내부 상측에 결합된 구동모터(230)의 동력을 통해 회전작동하게 되며, 상기 구동모터(230)의 회전축(미도시)은 상기 드릴구동부재(210)의 상측부 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축(211)과 구동벨트(231)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30)의 동력을 드릴비트(250) 측으로 전달하게 되며, 상기 회동축(211)의 하단과 상기 드릴비트(250)의 상단은 다수의 기어(미도시)를 통해 유기적으로 상호 연결됨에 따라 상기 회동축(211)에 전달된 구동모터(230)의 회전력이 상기 드릴비트(250)로 전달되어 좌판(20)에 볼트관통홀(22)을 드릴가공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4축드릴수단(200)의 경우 하나의 구동모터(230)를 통해 다수의 드릴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 및 기구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4축드릴수단(200)의 내부 구조 및 상기 드릴비트(250)와 회동축(211)을 상호 연결시키는 기어(미도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조립수단(300)은 승각작동을 통해 좌판(20)의 중앙에 형성된 플랜지결합홀(21)에 플랜지(40)를 삽입함과 동시에 다수의 고정볼트(41)를 상기 플랜지(40)와 함께 볼트관통홀(22)로 관통삽입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플랜지조립수단(300)은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하부 전면으로 조립판이송레일(330)을 통해 승,하강 작동되는 플랜지조립판(310)이 볼트체결방식 내지 용접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플랜지조립판(310)은 금속재의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되는 좌,우측판(311.312)과 상측판(313)이 각각 연결되어 볼트 및 용접과 같은 체결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플랜지조립판(310)의 좌,우측판(311.312)이 상기 조립판이송레일(330)에 고정결합됨에 따라 상기 조립판이송레일(330)을 따라 플랜지조립판(310)이 승,하강 작동되어 플랜지(40)를 좌판(20)에 삽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립판이송레일(330)의 경우 원통 형태로 제작되는 조립판이송라인(331)의 양 끝단이 조립판결합블럭(333)을 통해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전면으로 일정거리가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조립판이송라인(331)의 내측에는 상기 플랜지조립판(310)의 좌측판(311)과 우측판(312)에 각각 결합되는 조립판이송블럭(332)이 상기 조립판이송라인(331)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결합되어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조립판이송레일(330)은 상기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일반적으로 직선이송장치에 널리 사용되는 LM가이드레일(미도시)과 같은 장치들을 대체하여 사용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플랜지조립판(310)의 하부 양측에는 조립판승하강실린더(320)가 상기 본체(100)의 바닥프레임(120) 전면으로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판승하강실린더(320)의 로드(미도시)가 상기 플랜지조립판(310)의 하단에 결합됨에 따라 별도로 연결되는 유공압라인을 통해 상기 조립판승하강실린더(320)의 로드(미도시)가 길이가변작동되어 상기 플랜지조립판(310)을 승,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플랜지조립수단(300)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좌판(20)의 플랜지결합홀(21)로 축공고정부재(420)가 삽입되어 상기 좌판(20)의 중심축을 고정하기 위한 축공고정수단(400)이 결합되며, 상기 축공고정수단(400)은 상기 본체(100)의 바닥프레임(120) 전면으로 축공승하강실린더(410)가 결합되면 상기 축공승하강실린더(410)의 로드(미도시) 끝단에 원통쐐기 형태로 제작되는 축공고정부재(420)가 결합되며, 상기 축공고정부재(420)는 상기 좌판(20)의 플랜지결합홀(21) 직경에 대응되어 외경이 제작됨에 따라 상기 좌판(20)의 플랜지결합홀(21)로 삽입되어 상기 좌판(20)이 좌판이송레일(130)을 따라 이송되면 상기 축공고정수단(400)을 통해 상기 좌판(20)이 본체(100)에서 유동되지 않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전면에는 좌판고정판(511)의 승,하강 작동을 통해 상기 좌판(20)을 본체(10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좌판고정수단(500)이 결합되며, 상기 좌판고정수단(500)은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전면 양측으로 유공압에 의해 길이가변작동되는 좌판고정실린더(510)가 결합되며, 상기 좌판고정실린더(510)의 로드(미도시) 끝단으로 상기 좌판(20)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해 원판형태로 제작되는 좌판고정판(511)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좌판고정실린더(510)의 길이가변작동을 통해 좌판고정판(511)이 본체(100) 측으로 이송된 좌판(20)의 상면을 가압시켜 4축드릴수단(200)을 통해 좌판(20)에 드릴 가공시 좌판(20)이 유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내부 중앙에는 발산되는 레이져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좌판(20)의 중심축과 4축드릴수단(200)의 중심을 맞추는 레이저표시기(600)가 결합되며, 상기 레이저표시기(600)는 십자 형태로 4축드릴수단(200)의 중심위치와 동일한 레이저를 본체(100)로 이송된 좌판(20)의 상면에 발산시킴에 따라 상기 레이저표시기(600)에서 발산되는 레이저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4축드릴수단(200)의 중심과 좌판(20)의 중심축을 대략적으로 맞추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에 따르면, 도 4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플랜지조립장치(1)로 좌판(20)이 이송되면 상기 좌판고정수단(500)과 레이저표시기(600)를 통해 좌판(20)을 가공위치로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본체(100)의 좌판이송레일(130)로 원판 형태로 가공된 좌판(20)이 이송되면 작업자가 상기 레이저표시기(600)에서 발산되는 레이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4축드릴수단(200)의 중심과 좌판(20)의 중심을 대략적으로 맞추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레이저표시기(600)를 통해 4축드릴수단(200)의 중심과 좌판(20)의 중심으로 대략적으로 맞추면 상기 조립판승하강실린더(320)의 중앙으로 구비된 축공고정수단(400)을 작동함에 따라 상기 축공고정수단(400)의 축공승하강실린더(410)의 로드가 신장되는 길이가변작동을 통해 상기 축공승하강실린더(410)의 로드 끝단에 결합된 축공고정부재(420)가 승강되어 상기 좌판(20)의 중앙에 형성된 플랜지결합홀(21)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4축드릴수단(200)의 중심과 좌판(20)의 중심축을 동일 선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볼트관통홀(22)의 작업 및 플랜지(40) 조립작업에 좌판(2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축공고정수단(400)을 통해 고정된 좌판(20)을 좌판고정수단(500)을 통해 완전히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축공고정수단(400)을 통해 4축드릴수단(200)의 중심과 좌판(20)의 중심을 고정하면 본체(100)의 전면 양측으로 결합된 좌판고정수단(500)을 작업자가 가동시켜 좌판고정실린더(510)의 로드가 좌판 측으로 신장되는 길이가변작동을 함에 따라 상기 좌판고정실린더(510)의 로드 끝 단에 결합된 좌판고정판(511)이 상기 좌판(20)의 상면을 가압하여 좌판(20)을 4축드릴수단(200)의 가공위치로 상기 좌판(20)이 본체(100) 상에 완전히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좌판고정수단(500)을 통해 좌판(20)이 고정되면 4축드릴수단(200)을 이용해 좌판(20)의 중앙으로 볼트관통홀(22)을 형성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좌판고정수단(500)을 통해 좌판(20)이 본체(100)의 좌판이송레일(130)에 고정되면 작업자가 상기 4축드릴수단(200)을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4축드릴수단(200)의 구동모터(230)가 회전되며, 상기 구동모터(230)의 회전력을 드릴비트(250)와 상호 연결된 회동축(211)으로 구동벨트(231)를 통해 전달하여 상기 4축드릴수단(200)의 드릴구동부재(210) 하단에 결합된 4개의 드릴비트(250)가 회전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230)의 동력을 통해 드릴비트(250)가 회전되면 작업자가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된 드릴승하강실린더(260)를 작동시키게 되며, 상기 드릴승하강실린더(260)의 로드 끝단이 상기 드릴이송부재(220)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드릴승하강실린더(260)의 로드가 드릴이송부재(220) 측으로 신장되는 길이가변작동을 통해 상기 드릴이송부재(220)가 드릴이송레일(240)을 이용해 하강작동됨에 따라 상기 드릴이송부재(220)에 결합된 드릴구동부재(210)가 하강작동되어 상기 구동모터(230)를 통해 회전되는 드릴비트(250)를 통해 좌판(20)에 고정볼트(41)가 삽입되기 위한 볼트관통홀(22)이 드릴가공되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4축드릴수단(200)의 드릴비트(250)를 이용해 좌판(20)의 중앙에 볼트관통홀(22)을 드릴가공하여 형성시키면 상기 좌판(20)의 중앙에 관통된 플랜지결합홀(21)에 플랜지조립수단(300)을 이용해 플랜지(40)를 삽입함과 동시에 다수의 고정볼트(41)를 상기 플랜지(40)와 함께 볼트관통홀(22)로 관통삽입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좌판(20)에 4축드릴수단(200)을 이용해 볼트관통홀(22)이 각각 형성되면 상기 플랜지조립수단(300)의 플랜지조립판(310) 상면으로 상기 볼트관통홀(22)의 위치에 대응되게 고정볼트(41)가 각각 결합된 플랜지(40)를 작업자가 안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플랜지조립수단(300)의 조립판승하강실린더(320)를 작동시켜 상기 플랜지(40)를 좌판(20)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상기 플랜지조립수단(300)을 작동시키면 상기 조립판승하강실린더(320)의 로드가 신장되는 길이가변작동을 통해 상기 조립판승하강실린더(320)의 로드 끝단이 결합된 플랜지조립판(310)이 조립판이송레일(330)을 통해 승강작동됨에 따라 상기 플랜지(40)가 좌판(20) 중앙에 형성된 플랜지결합홀(21)로 삽입되면 상기 플랜지(40)에 미리 결합된 고정볼트(41) 역시 좌판(20)의 볼트관통홀(22)로 삽입됨에 따라 좌판(20)에 플랜지(40)가 자동으로 조립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친 좌판(20)에 너트(60)를 결합하여 플랜지(40)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좌판(20)의 플랜지결합홀(21)과 볼트관통홀(22)로 플랜지(40)와 고정볼트(41)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면 상기 고정볼트(41)의 끝단으로 별도로 구비되는 너트(60)를 작업자가 직접 체결하여 상기 고정볼트(41)를 고정하며, 상기 너트(60)를 통해 고정볼트(41)가 고정됨에 따라 상기 플랜지(40)가 좌판(20)에 완전히 고정되어 플랜지(40)의 조립공정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선, 광케이블과 같은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한 목재보빈(10)의 제조공정에 앞서 원판 형태로 제작된 좌판(20)에 플랜지(40)를 고정하기 위해 4축드릴수단(200)을 이요해 플랜지(40)를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관통홀이 각각 드릴가동되면 플랜지조립수단(300)의 실린더를 이용한 승,하강 작동을 통해 고정볼트(41)가 결합된 플랜지(40)가 좌판(20)의 플랜지결합홀에 자동으로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됨에 따라 이를 통해 작업자가 플랜지(40)를 결합하기 위해 좌판(20)을 뒤집거나 하는 등의 작업이 불필요해 목재보빈(10)의 생산효율이 높아짐과 동시에 무거운 좌판(20)에 의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특징적인 장점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랜지조립장치(1)의 본체(100) 내측으로 목배보빈()의 좌판(20) 축과 4축드릴수단(200)의 중심을 맞추기 위한 레이져표시기()가 구비됨에 따라 이를 통해 상기 레이져표시기()에서 발산되는 레이져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좌판(20)의 중심축과 4축드릴수단(200)의 중심을 간편하게 맞출 수 있는 또 다른 특징적인 장점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플랜지조립장치 100.본체
110.몸체프레임 120.바닥프레임
130.좌판이송레일 200.4축드릴수단
210.구동부재 211.회동축
220.드릴이송부재 230.구동모터
231.구동벨트 240.드릴이송레일
250.드릴비트 260.드릴승하강실린더
300.플랜지조립수단 310.플랜지조립판
320.조립판승하강실린더 330.조립판이송레일
400.축공고정수단 410.축공승하강실린더
420.축공고정부재 500.좌판고정수단
510.좌판고정실린더 511.좌판고정판
600.레이저표시기

Claims (7)

  1. 전선, 광케이블과 같은 와이어 등을 권취하는 목재보빈(10)의 좌판(20)에 플랜지(40)를 결합하기 위한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목재보빈(10)의 좌판(20)이 이송되되, 바닥프레임(120)과 몸체프레임(110)을 통해 구성요소의 하중을 지지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 전면에 승,하강 작동되게 결합되며, 구동모터(230)의 동력을 전달받은 다수의 드릴비트(250)를 이용해 상기 좌판(20)에 볼트관통홀(22)를 각각 드릴가공하여 형성시키는 4축드릴수단(200)과;
    상기 본체(100)의 하부 전면으로 플랜지조립판(310)이 승,하강 작동되게 결합되며, 상기 플랜지조립판(310)의 승강작동을 이용해 상기 좌판(20)의 중앙에 플랜지(40)를 삽입합과 동시에 다수의 고정볼트(41)를 상기 플랜지(40)와 함께 볼트관통홀(22)로 관통삽입하여 상기 플랜지(40)를 결합하는 플랜지조립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구성요소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사각 판 형태로 하부에 구비되는 바닥프레임(120)과;
    상기 바닥프레임(120)의 상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설치되기 위해 " ㄷ "자 형태의 함체로 제작되는 몸체프레임(110)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중앙 일측에는 좌판(20)을 연속적으로 이송 및 안착시키기 위한 좌판이송레일(130)이 결합되어 상기 좌판이송레일(130)을 통해 목재보빈(10)의 대량생산을 위한 자동공정라인이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축드릴수단(200)은 몸체프레임(110)의 상부 전면으로 드릴이송레일(240)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단에 구비된 드릴승하강실린더(260)의 길이가변작동을 통해 상기 드릴비트(250)를 승,하강시키는 드릴이송부재(220)와;
    상기 드릴이송부재(220)의 하부로 결합되어 4개의 드릴비트(250)를 하단에 각각 고정결합하며,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내부 일측으로 구비된 구동모터(230)의 동력을 상기 드릴비트(250)에 전달하여 드릴비트(250)를 회전시키는 드릴구동부재(2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조립수단(300)은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하부 전면으로 조립판이송레일(330)을 이용해 승,하강 작동되게 결합되며, 상기 조립판이송레일(330)을 이용한 승,하강작동을 통해 상기 플랜지(40)와 고정볼트(41)를 좌판(20)에 삽입하는 플랜지조립판(310)과;
    상기 플랜지조립판(310)의 하부 양측으로 결합되어 유공압에 의한 길이가변작동을 통해 상기 플랜지조립판(310)을 승,하강시키는 조립판승하강실린더(3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조립수단(300)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좌판(20)의 중심축을 축공고정부재(420)의 승,하강 작동을 통해 고정하는 축공고정수단(4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전면에는 좌판고정판(511)의 승,하강 작동을 통해 상기 좌판(20)을 고정하는 좌판고정수단(5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내부 일측에는 발산되는 레이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좌판(20)의 중심축과 4축드릴수단(200)의 중심을 맞추는 레이저표시기(6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
KR1020120084281A 2012-08-01 2012-08-01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 KR20140017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281A KR20140017355A (ko) 2012-08-01 2012-08-01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281A KR20140017355A (ko) 2012-08-01 2012-08-01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355A true KR20140017355A (ko) 2014-02-11

Family

ID=50266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281A KR20140017355A (ko) 2012-08-01 2012-08-01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735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1196A (zh) * 2018-04-28 2018-08-10 佛山市佛大华康科技有限公司 一种法兰自动加工生产线
CN109227770A (zh) * 2018-09-20 2019-01-18 安徽荣明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板材的多功能打孔装置
CN110696107A (zh) * 2019-10-29 2020-01-17 郭沙 一种柜体板材制造加工对位定位打孔一体机及加工方法
CN116372529A (zh) * 2023-04-19 2023-07-04 东莞永昆电机有限公司 一种马达减速箱自动装配设备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1196A (zh) * 2018-04-28 2018-08-10 佛山市佛大华康科技有限公司 一种法兰自动加工生产线
CN108381196B (zh) * 2018-04-28 2024-04-30 佛山市佛大华康科技有限公司 一种法兰自动加工生产线
CN109227770A (zh) * 2018-09-20 2019-01-18 安徽荣明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板材的多功能打孔装置
CN110696107A (zh) * 2019-10-29 2020-01-17 郭沙 一种柜体板材制造加工对位定位打孔一体机及加工方法
CN110696107B (zh) * 2019-10-29 2021-04-27 杭州天盛卫浴洁具有限公司 一种柜体板材制造加工对位定位打孔一体机及加工方法
CN116372529A (zh) * 2023-04-19 2023-07-04 东莞永昆电机有限公司 一种马达减速箱自动装配设备
CN116372529B (zh) * 2023-04-19 2023-12-01 东莞永昆电机有限公司 一种马达减速箱自动装配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7355A (ko) 목재보빈용 플랜지 조립장치
JPWO2010032277A1 (ja) 回転電機の分解装置および分解方法
CN215919599U (zh) 一种方向可调整的矿山机械筒体环缝自动焊接装置
WO2017094811A1 (ja) 巻上機
CN202028864U (zh) 多功能摆架式辊系列自动埋弧焊机
CN113510410B (zh) 辅助定位装置、焊接定位系统及钢筋笼加工机器人
KR101585858B1 (ko) 크레인
CN102554611B (zh) 机床组装装置和利用该机床组装装置组装机床的方法
CN111810935A (zh) 大型垃圾锅炉外置式省煤器模块的制造方法
KR102367030B1 (ko) 대형 덕트 이송유닛, 대형 덕트 설치 장치 및 대형 덕트 설치 방법
KR102179790B1 (ko) 중량물 이송장치
JP6504946B2 (ja) 流体機材搬出設備及び流体機材搬出方法
CN105499649B (zh) 一种钻孔机专用动力头回复系统
CN108149912A (zh) 一种室内用自动化脚手架
JP7009037B2 (ja) 杭打機の作業装置着脱方法
KR101931640B1 (ko) 원통형 구조물 밀링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링 가공 방법
CN211115843U (zh) 一种电动遥控钻具拉送装置
JPWO2015128931A1 (ja) エレベータ、エレベータの追加連結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6250107B1 (ja) エレベーター改修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ー改修用ガイドレール支持装置
JP4928960B2 (ja) 共穴加工装置
CN110844746A (zh) 一种主机安装架
KR101536967B1 (ko) 하프 코드 직진도 교정장치
CN212475024U (zh) 自动上下料系统
CN216542145U (zh) 一种辊轴生产用大型深孔镗床
NL1044424B1 (en) Movable bolting tool for manipulating nut and bolt assemblies of a bolted flang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