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2109A - 용융염 전지 - Google Patents

용융염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2109A
KR20140012109A KR1020137025212A KR20137025212A KR20140012109A KR 20140012109 A KR20140012109 A KR 20140012109A KR 1020137025212 A KR1020137025212 A KR 1020137025212A KR 20137025212 A KR20137025212 A KR 20137025212A KR 20140012109 A KR20140012109 A KR 20140012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alt
separator
battery
salt battery
nega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5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 닛타
신지 이나자와
쇼이치로 사카이
아츠시 후쿠나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2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6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 H01M10/39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working at high temperature
    • H01M10/399Cells with molten sa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H01M50/434Ceram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48Molten electrolytes used at high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용융염 전지에 사용하는 세퍼레이터는, 용융염 전지 특유의 사용 방법에 의해, 기계적, 열적이나 화학적인 스트레스를 받아, 균열이나 파단이 발생하며, 내부 쇼트 등의 전지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용융염 전지는, 금속 산화물, 특히 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산화지르코늄을 75% 이상 함유하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한다. 세퍼레이터는 기계적, 열적, 화학적으로 내성이 향상되어, 세퍼레이터에 기인하는 내부 쇼트가 발생하기 어렵고,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용융염 전지를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는 열안정성이 높아, 용융염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용융염 전지{MOLTEN SALT BATTERY}
본 발명은 전해질로서 용융염을 이용한 용융염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태양광 또는 풍력 등의 자연 에너지의 이용이 진행되고 있다. 자연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을 행한 경우는 발전량이 변동되기 쉽기 때문에, 발전된 전력을 안정 공급하기 위해서는, 축전지를 이용한 충전·방전에 의해, 공급 전력을 평준화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이 때문에, 자연 에너지의 이용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고에너지 밀도·고효율의 전력 저장용의 축전지가 불가결하다. 이러한 전력 저장용의 축전지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나트륨-황 전지나 납 축전지 외에, 용융염 전지가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용융염 전지는, 전해질에 용융염을 이용한 전지이며, 용융염이 용융한 상태로 동작한다. 용융염으로서는, 예컨대, 나트륨 이온을 양이온으로 하고, FSA(비스플루오로술포닐아미드; (FSO2)2N-)를 음이온으로 한 NaFSA가 이용된다. 이러한 용융염의 융점은 실온 이상이며, 상기 용융염을 이용한 용융염 전지는 실온보다 높은 온도의, 예컨대 100℃ 부근의 온도에서 동작한다. 용융염 전지의 내부에는, 전해질 이외에 정극, 부극 및 세퍼레이터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부재에는 내열성이 요구된다.
세퍼레이터는, 정극과 부극을 이격하는 시트형의 부재이며, 활물질의 이온을 포함하는 용융염을 내부에 유지하고 있다. 종래의 용융염 전지에서는, 유리 크로스 등을 이용한 유리제의 세퍼레이터나 리튬 이온 2차 전지 등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세퍼레이터가 이용되고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7329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92474호 공보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리튬 이온 2차 전지나 니켈 수소 축전지 등은 상온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용융염 전지는, 온도가 80℃∼100℃ 정도의, 상온보다 높은 온도에서 동작하는 전지이다. 따라서, 전지를 동작시키는 경우는, 전지의 전해질이 액체 상태가 되도록 전지 전체의 온도를, 전해질인 용융염의 융점 이상의 온도가 되도록 가열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전지 정지 시는, 전지의 가열을 정지하여 전해질의 온도를 융점 이하로 하면, 전해질은 고화하여 전해질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용융염 전지는, 전지의 운전과 정지의 반복에 의해, 전해질이 액체 상태와 고체 상태를 교대로 반복하게 된다. 이 전해질의 고체-액체의 상태 변화에 의해, 특히 세퍼레이터 중에 존재하는 전해질에 의해, 종래의 세퍼레이터 재료는 기계적인 스트레스, 열이나 화학적인 스트레스를 받는다. 그 결과, 균열이나 파단이 발생하여, 내부 쇼트 등의 전지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전지의 운전과 정지의 반복에 의해, 전해질이 액체 상태와 고체 상태를 반복하는 경우라도 안정적으로 기능하는 용융염 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전해질로서 용융염을 이용하는 용융염 전지로서, 정극과, 부극과, 상기 정극과 상기 부극 사이에 있으며 양극을 상호 격리하고, 금속 산화물 재료를 75 질량% 이상 함유하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산화지르코늄을 75 질량% 이상 함유하는 세퍼레이터가 바람직하다.
한편, 세퍼레이터의 성분의 잔부는, 예컨대 그 외의 금속 산화물로 구성되고, 유기 화합물을 실질적으로 제외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것과는 다르게, 세퍼레이터의 성분의 잔부는, 유기 화합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유기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아미드가 적합하다.
최근, 유기 전해질을 이용하는 리튬 이온 2차 전지용의 세퍼레이터로서, 예컨대 폴리올레핀제의 미다공막에 무기 미립자층을 구비한 안전성을 높이는 내열 세퍼레이터가 각종 제안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전해질로서 용융염을 이용하는 용융염 전지에는 전술한 특유의 운전 방법이 이용된다. 그 때문에, 세퍼레이터는, 용융염 전지 특유의 재료가 이용되고, 더구나, 양호하게 이 전지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세퍼레이터에는 종래에 없는 기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용융염 전지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는, 금속 산화물, 특히, 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산화지르코늄을 75 질량% 이상 함유한다. 이에 의해, 전지의 운전과 정지의 반복에 의해 전해질이 액체 상태와 고체 상태를 반복하여도, 기계적 및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세퍼레이터의 기능을 지속할 수 있다. 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산화지르코늄을 75 질량% 이상 함유한 세퍼레이터는, 열 싸이클에 의한 기계적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높은 동작 온도에 있어서도 전해질에 대하여 화학적 안정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의 용융염 전지는, 만약 내부 단락 등의 이상 사태에 조우하여도, 불연성의 전해질 재료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발열·발화 등의 위험성이 매우 낮다고 하는, 안정성이 높은 특징을 갖고 있다. 그 이유는, 불연성의 전해질 재료가 본 용융염 전지의 정극, 부극, 세퍼레이터 등의 발전 요소 부분 전체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만약 사고 등으로 본 전지의 외부로부터 물 등이 진입하여도, 또한 전지 내부에서 단락이 발생하여도, 불연성의 전해질 재료가, 이상 발생의 가능성이 있는 부분을 프로텍트하고 있어, 국부적인 이상 발열의 발현을 방지하고 있다. 이것이, 용융염 전지가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및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세퍼레이터의 기능을 지속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용융염 전지의 과제였던 전지의 운전과 정지의 반복에 의해, 전해질이 액체 상태와 고체 상태를 반복하는 경우라도 안정적으로 기능하는 용융염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만약 내부 단락 등의 이상 사태에 조우하였다고 해도, 발열·발화 등의 위험성이 매우 낮은, 안정성이 높은 용융염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융염 전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융염 전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에는, 용융염 전지를 세로로 절단한 모식적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용융염 전지는, 상면이 개구한 직육면체의 상자형의 전지 용기(51) 내에, 정극(1), 세퍼레이터(3) 및 부극(2)을 나란히 배치하고, 전지 용기(51)에 덮개부(52)를 고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지 용기(51) 및 덮개부(52)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있다.
정극(1) 및 부극(2)은 직사각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세퍼레이터(3)는 시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퍼레이터(3)는 정극(1) 및 부극(2)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정극(1)과 부극(2)이 단락하지 않도록 양극을 상호 격리하고 있다. 정극(1), 세퍼레이터(3) 및 부극(2)은, 상호 중첩되고, 통상, 전지 용기(51)의 바닥면에 대하여 세로로 배치되어 있다.
부극(2)과 전지 용기(51)의 내측벽 사이에는, 골판형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41)이 배치되어 있다. 평판형의 누름판(42)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비가요성을 갖는다. 스프링(41)은, 누름판(42)을 압박하여 부극(2)을 세퍼레이터(3) 및 정극(1)측에 압박시킨다. 이 압박에 대한 반력으로, 정극(1)은, 스프링(41)과는 반대측의 내측벽으로부터 세퍼레이터(3) 및 부극(2)측에 압박된다. 또한, 스프링(41)은, 금속제의 스프링 등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고무 등의 탄성체여도 좋다. 충방전에 의해 정극(1) 또는 부극(2)이 팽창 또는 수축한 경우는, 스프링(41)의 신축에 의해 정극(1) 또는 부극(2)의 체적 변화가 흡수된다.
정극(1)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 판형의 정극 집전체(11) 상에, NaCrO2 등의 정극 활물질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정극재(12)를 도포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극 활물질은 NaCrO2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극(2)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 판형의 부극 집전체(21) 상에, 주석 등의 부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부극재(22)가, 도금이나 증착법 등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부극 집전체(21) 상에 부극재(22)를 도금할 때에는, 징케이트 처리로서 하지에 아연을 도금한 후에 주석 도금을 실시한다. 부극 활물질은 주석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주석을 금속 나트륨, 탄소, 규소 또는 인듐으로 대체하여도 좋다. 부극재(22)는, 예컨대 부극 활물질의 분말에 결착제를 포함시켜 부극 집전체(21) 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하여도 좋다. 세퍼레이터(3)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지 용기(51) 내에서는, 정극(1)의 정극재(12)와 부극(2)의 부극재(22)를 마주 보게 하여, 정극(1)과 부극(2) 사이에 세퍼레이터(3)를 개재하고 있다. 정극(1), 부극(2) 및 세퍼레이터(3)에는, 용융염으로 이루어지는 전해질을 함침시키고 있다. 전지 용기(51)의 내면은, 정극(1)과 부극(2)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성의 수지로 피복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절연성의 구조로 되어 있다.
덮개부(52)의 외측에는, 외부에 접속하기 위한 정극 단자(53) 및 부극 단자(54)가 마련되어 있다. 정극 단자(53)와 부극 단자(54) 사이는 절연되어 있고, 또한 덮개부(52)의 전지 용기(51) 내에 대향하는 부분도 절연 피막 등에 의해 절연되어 있다. 정극 집전체(11)의 일단부는, 정극 단자(53)에 리드선(55)으로 접속되고, 부극 집전체(21)의 일단부는, 부극 단자(54)에 리드선(56)으로 접속된다. 리드선(55) 및 리드선(56)은, 덮개부(52)로부터 절연되어 있다. 덮개부(52)는, 용접에 의해 전지 용기(51)에 고착되어 있다.
용융염 전지의 전해질은, 용융 상태로 도전성 액체가 되는 용융염이다. 용융염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염은 용융하여 전해액이 되고, 용융염 전지는 2차 전지로서 동작한다. 융점을 저하시키기 위해, 전해질은, 복수 종류의 용융염이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전해질은, 나트륨 이온을 양이온으로 하며 FSA를 음이온으로 한 NaFSA와, 칼륨 이온을 양이온으로 하며 FSA를 음이온으로 한 KFSA의 혼합염이다.
또한, 전해질인 용융염은, TFSA(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미드) 또는 FTA(플루오로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미드) 등의 다른 음이온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유기 이온 등의 다른 양이온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형태에서는, 전해질 중에서 나트륨 이온이 전하의 캐리어가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용융염 전지의 구성은 모식적인 구성이며, 용융염 전지 내에는, 내부를 가열하는 히터, 또는 온도 센서 등, 도시하지 않는 그 외의 구성물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에는 정극(1) 및 부극(2)을 한쌍 구비하는 원리적인 형태를 나타내었지만, 보다 실용적인 본 발명의 용융염 전지는, 복수의 정극(1) 및 부극(2)이 교대로 배열되며, 인접하는 양극 사이에는 세퍼레이터(3)를 사이에 두고 상호 중합된 형태여도 좋다.
다음에, 세퍼레이터(3)의 상세를 설명한다. 세퍼레이터(3)는, Al2O3(산화알루미늄) 또는 ZrO2(산화지르코늄)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트형의 부재이다. 또한 세퍼레이터(3)는, 내부에 용융염을 함침시켜, 정극(1)과 부극(2) 사이에서 전하의 캐리어를 이동시키기 위해, 다공질의 구조로 되어 있다.
예컨대, 세퍼레이터(3)는, Al2O3을 주성분으로 하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포 혹은 부직포, 또는 ZrO2를 주성분으로 하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포 혹은 부직포이다. 또한, 세퍼레이터(3)는, Al2O3을 주성분으로 하는 섬유와, ZrO2를 주성분으로 하는 섬유가 혼합된 부직포 등, Al2O3 및 ZrO2의 양방을 성분으로 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세퍼레이터(3)는, Al2O3 또는 ZrO2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섬유질의 시트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3)에 포함되는 Al2O3 및/또는 ZrO2의 함유량은, 질량%로 75% 이상이다. 세퍼레이터(3) 중의 Al2O3의 단독의 함유량이 75 질량% 이상이어도 좋고, ZrO2의 함유량의 단독의 함유량이 75 질량%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Al2O3 및 ZrO2의 합계의 함유량이 75 질량% 이상이어도 좋다.
Al2O3 및/또는 ZrO2의 함유량이 75 질량% 이상임으로써, 세퍼레이터(3)는 기계적 및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세퍼레이터의 기능을 지속할 수 있어, 지금까지의 용융염 전지의 과제였던 전지의 운전과 정지의 반복에 의해, 전해질이 액체 상태와 고체 상태를 반복하는 경우라도 안정적으로 기능하는 용융염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만약 내부 단락 등의 이상 사태에 조우하여도, 발열·발화 등의 위험성이 매우 낮은, 안정성이 높은 용융염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3)에 포함되는 Al2O3 및/또는 ZrO2의 함유량은, 기본적으로는 100 질량%가 바람직하다. 단, 세퍼레이터의 저가격화나 형상의 유지의 관점에서는, 25 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Al2O3, ZrO2 이외의 다른 금속 산화물이나 유기 화합물을 세퍼레이터(3)의 성분(잔부)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도, 순수한 Al2O3, ZrO2로 구성한 세퍼레이터와 유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Al2O3, ZrO2 이외의 다른 금속 산화물로서는, 실리카(SiO2)나, 이트리아(Y2O3), 티타니아(TiO2), 세리아(CeO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기 화합물로서는, 리튬 이온 2차 전지용의 세퍼레이터로서 다용되고 있는 것이 사용 가능하다. 이것은 예컨대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이나, 나일론이나 아라미드 등의 폴리아미드 등의 유기 화합물이다.
Al2O3, ZrO2를 주성분으로 하는 세퍼레이터에는, 이들 섬유를 펠트(부직포), 클로스(직포) 등의 시트형으로 일체화한 것이나, 이들 파우더(입자)를, 시트형으로 일체화한 것이 있다. 그리고, Al2O3, ZrO2 이외의 다른 금속 산화물은, 이들 시트형으로 일체화하기 위한 바인더로서 작용한다.
한편,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아미드 등의 유기 화합물은, 마찬가지로 세라믹 섬유나 파우더의 바인더로서 작용한다. 또한, 이들 유기 화합물을 재료로 하여, 리튬 이온 2차 전지용의 세퍼레이터와 같이, 부직포 또는, 미다공막을 갖는 다공성의 유기물 시트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이 유기물 시트와 Al2O3 및/또는 ZrO2 재료 등의 세라믹 시트의 2층을 접합시켜 일체화하고, 본 용융염 전지의 세퍼레이터로 할 수도 있다. 이 2층 접합은, 열 압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는, 100℃ 전후에서 사용하는 전해질 중에서도, 기계적, 열적 그리고 화학적인 내성이 우수하다. 기계적, 열적 그리고 화학적인 내성이 우수한 결과, 세퍼레이터에 기인하는 내부 단락의 발생 확률이 매우 낮다. 또한 만약 내부 단락 등의 이상 사태에 조우하였다고 해도, Al2O3 및/또는 ZrO2를 주성분으로 하는 세퍼레이터는, 발열·발화 등의 위험성이 매우 낮으며, 안전성이 높다고 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3)의 두께는, 0.02 ㎜∼0.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3)의 두께가 0.02 ㎜ 미만인 경우는, Al2O3 또는 ZrO2를 주성분으로 하는 세퍼레이터(3)의 강도가 낮아져, 파손되기 쉬워진다. 또한 세퍼레이터(3)의 두께가 0.5 ㎜를 초과하는 경우는, 용융염 전지의 내부 저항이 증대하고, 또한 용융염 전지의 체적 에너지 밀도가 저하한다. 또한, 세퍼레이터(3)의 기공률은, 2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3)의 기공률이 20% 미만인 경우는, 용융염 전지의 내부 저항이 증대한다. 또한 세퍼레이터(3)의 기공률 80%를 초과하는 경우는, 정극(1)과 부극(2)이 직접 접촉하는 단락이 발생할 위험성이 증대한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정극 집전체(11) 및 부극 집전체(21)는 알루미늄제인 것으로 하였지만, 다른 도전체제여도 좋다. 또한, 용융염 전지의 형상은 직육면체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외의 형상이어도 좋다. 예컨대, 용융염 전지의 형상은, 원기둥형이어도 좋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세퍼레이터와, 비교예로서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각종의 세퍼레이터에 대해서, 용융염 전지용 세퍼레이터로서의 내구성 평가를 행하였다. 그 평가의 대상이 된 세퍼레이터의 성분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또한, 내구성 평가에 이용하는 용융염 전지는, 도 1과 유사한 구성이며, 전해질, 정극, 부극은 전부 공통이다. 그리고, 세퍼레이터만 상이한, 표 1에 나타낸 A∼J의 10종류의 용융염 전지를 구성하였다. A∼G의 세퍼레이터로 구성한 전지는 모두, 금속 산화물 재료인 Al2O3 및/또는 ZrO2를 75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속한다. 한편, H∼J의 세퍼레이터로 구성한 전지는 종래부터 공지의 비교예이며, H 및 I는 모두, Al2O3, ZrO2 중 어느 것도 포함하지 않는다. J는, Al2O3을 포함하지만, 그 비율은 30%에 머문다.
이들 A∼J의 세퍼레이터로 구성한 용융염 전지 A∼J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즉, 구성한 전지 A∼J를 90℃로 가열하였다. 이 90℃에서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고, A∼J의 모든 전지가 정상적으로 초기의 전지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후, 전지의 가열을 정지하여 각 전지를 실온까지 강온시켰다.
이 상태로부터, 다음 온도 사이클 시험을 개시하였다.
(1) 실온에서부터 90℃까지 5시간으로 전지를 가열한다.
(2) 90℃에서 5 시간율(0.2 C)에서의 3.5 V까지의 정전압 충전과 충전 방치 1시간을 실행한다.
(3) 5 시간율(0.2 C)에서의 종지 전압 2.8 V까지의 정전류 방전과 방전 방치 1시간에서의 충방전 시험을 실행한다.
(4) 여기까지 종료하면 전지의 가열을 정지하여, 전지를 실온까지 강온시킨다.
이상의 (1)∼(4)의, 승온, 충방전, 강온의 일련의 단계를 반복하는 온도 사이클 시험을 실시하면서 충방전 특성 데이터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H∼J의 비교예의 전지는, A∼G의 전지와 비교하여 비교적 적은 온도 사이클 시험 횟수로 전지의 성능 저하가 관찰되었다. 구체적인 성능 저하는, 전지의 방전 용량의 저하나 충전·방전 후의 방치 시의 개로 전압(OCV)의 저하 등이다. 그리고 한번 그 성능 저하가 보여진 전지는, 그 후의 온도 사이클 시험에서 가속적으로 성능이 저하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A∼G의 전지는, H∼J의 비교예의 전지의 온도 사이클 시험 횟수로 약 2배의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고 있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및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세퍼레이터의 기능을 지속할 수 있기 때문에, 전지의 운전과 정지의 반복에 의해, 전해질이 액체 상태와 고체 상태를 반복하는 경우라도 안정적으로 기능하는 용융염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시험 후, 성능 저하한 H∼J의 전지의 세퍼레이터를 해체하여 관찰한 바, 세퍼레이터의 일부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현저한 경우는 파단하고 있는 상황이 보여졌다. 즉, 이와 같은 전지의 성능 저하는, 세퍼레이터를 통한 전지의 내부 단락이 그 원인이라고 해석된다.
본 발명의 용융염 전지는, 전력 저장용을 비롯하여, 또한, 범용의 2차 전지로서도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1 정극
11 정극 집전체
12 정극재
2 부극
21 부극 집전체
22 부극재
3 세퍼레이터

Claims (5)

  1. 전해질로서 용융염을 이용하는 용융염 전지로서,
    정극과,
    부극과,
    상기 정극과 상기 부극 사이에 있으며 양극을 상호 격리하고, 금속 산화물 재료를 75 질량% 이상 함유하는 세퍼레이터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염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산화지르코늄을 75 질량% 이상 함유하는 용융염 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성분의 잔부는, 그 외의 금속 산화물로 구성되고, 유기 화합물을 실질적으로 제외하고 있는 용융염 전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성분의 잔부는, 유기 화합물로 구성되는 용융염 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화합물은,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에서 선택되는 용융염 전지.
KR1020137025212A 2011-04-01 2012-03-26 용융염 전지 KR201400121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82049 2011-04-01
JPJP-P-2011-082049 2011-04-01
PCT/JP2012/057703 WO2012137618A1 (ja) 2011-04-01 2012-03-26 溶融塩電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109A true KR20140012109A (ko) 2014-01-29

Family

ID=46969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212A KR20140012109A (ko) 2011-04-01 2012-03-26 용융염 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234685A1 (ko)
JP (1) JPWO2012137618A1 (ko)
KR (1) KR20140012109A (ko)
CN (1) CN103460500A (ko)
TW (1) TW201304249A (ko)
WO (1) WO20121376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3087A (ja) * 2012-04-17 2014-06-05 Sumitomo Electric Ind Ltd ナトリウム二次電池
WO2015148305A1 (en) 2014-03-22 2015-10-01 Hollingsworth & Vose Company Battery separators having a low apparent density
DE102014008740A1 (de) 2014-06-12 2015-12-17 Daimler Ag Elektrochemischer Energiespeicher und Batterie
EP3259790A4 (en) 2015-02-19 2019-01-16 Hollingsworth & Vose Company BATTERY SEPARATORS COMPRISING CHEMICAL ADDITIVES AND / OR OTHER CONSTITUENTS
JP7129644B2 (ja) 2017-06-19 2022-09-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および乗り物
JP7236662B2 (ja) * 2018-07-05 2023-03-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バッテリーパック、および乗り物
CN109273778B (zh) * 2018-09-26 2021-01-22 天津力神电池股份有限公司 呼吸式方形固态电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8096A (en) * 1973-06-11 1975-08-05 Rockwell International Corp Lithium-molten salt cell with transition metal chalcogenide positive electrode
US4069372A (en) * 1976-11-30 1978-01-17 Battelle Development Corporation Electric accumulator with a solid electrolyte
US8313853B2 (en) * 2002-06-06 2012-11-20 Kaun Thomas D Flexible, porous ceramic composite film
EP1862452A1 (en) * 2005-03-23 2007-12-05 Kyoto University Molten salt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100659854B1 (ko) * 2005-04-28 2006-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CN100505407C (zh) * 2005-12-23 2009-06-2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锂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JP5319947B2 (ja) * 2008-03-25 2013-10-16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60500A (zh) 2013-12-18
TW201304249A (zh) 2013-01-16
US20140234685A1 (en) 2014-08-21
WO2012137618A1 (ja) 2012-10-11
JPWO2012137618A1 (ja) 201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Liquid metal electrodes for energy storage batteries
KR20140012109A (ko) 용융염 전지
CN109935747B (zh) 用于高温反应性材料装置的密封件
KR101822217B1 (ko) 용융염 전지
KR101229902B1 (ko) 세퍼레이터용 다공질막, 전지용 세퍼레이터, 전지용 전극 및 그것들의 제조방법, 및 리튬 2차전지
CN103730684B (zh) 一种高安全性全固态锂离子电池及其生产方法
EP2618402B1 (en) Electricity supply element and ceramic separator thereof
KR20140021547A (ko) 용융염 전지
KR20160077063A (ko) 셀프 힐링 액체/고체 상태 배터리
WO2012114966A1 (ja) 電池用電極および電池
KR20130130715A (ko) 용융염 전지
WO2014021044A1 (ja) 耐熱電池およびその充放電方法
US10361420B2 (en) Methods for making lead-carbon couplings, lead-carbon electrode sheets and lead-carbon batteries
KR20150090074A (ko) 용융염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2355603B1 (ko) 전기화학 장치용 전극 유닛
JP5617746B2 (ja) 閉鎖型溶融塩組電池
JP5471905B2 (ja) 溶融塩電池
JPH11144697A (ja) 非水電解質電池
KR20220156571A (ko) 고체 상태 리튬 이온 배터리를 위한 고에너지밀도 리튬 금속 기반 애노드
JP2012243417A (ja) 溶融塩電池
JP2015041433A (ja) ナトリウム溶融塩電池
JP2014107142A (ja) ナトリウムイオン電池用負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ナトリウムイオン電池
JP2013143335A (ja) 充電方法及び電源装置
JP2012195105A (ja) 溶融塩電池
WO2013161526A1 (ja) 溶融塩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