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2087A - 전립선암 치료용 항-알파-v 인테그린 항체 - Google Patents

전립선암 치료용 항-알파-v 인테그린 항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2087A
KR20140012087A KR1020137023946A KR20137023946A KR20140012087A KR 20140012087 A KR20140012087 A KR 20140012087A KR 1020137023946 A KR1020137023946 A KR 1020137023946A KR 20137023946 A KR20137023946 A KR 20137023946A KR 20140012087 A KR20140012087 A KR 20140012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di17e6
treatment
patients
prostate 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2533B1 (ko
Inventor
악셀 호프만
하인리히 란네르트
클라우스 브리슈바인
프레데릭 크리슈티안 피프
위르겐 라인들
카린 그롤
미하엘 췰스도르프
오트마르 파프
자비네 라브
울리케 다우
베누아 데스뜨나브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12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39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ntegrin super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8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tumor tissues, cells,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2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ex hormones
    • A61P5/28Antiandr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39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ntegrin superfamily
    • C07K16/284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ntegrin superfamily against integrin beta3-subunit-containing molecules, e.g. CD41, CD51, CD61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3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 C07K16/3069Reproductive system, e.g. ovaria, uterus, testes,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2Constant or Fc region; Isotype
    • C07K2317/53Hi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7Framework region [F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Microbiology (AREA)
  • Onc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Toxicology (AREA)
  • Diabetes (AREA)
  • Endocri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체를 수단으로 하는 전립선암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전립선암, 특히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CRPC) 으로서, 선택적으로는 림프절 및 뼈 조직 전이 (mCRPC) 를 동반하는 암을 앓고 있는 환자에 대한 항-알파-v 인테그린 수용체 항체의 투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항-혈관형성 항체 DI17E6 및 그의 구조 돌연변이를 수단으로 하는 상기 환자의 치료요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립선암 치료용 항-알파-v 인테그린 항체 {ANTI-ALPHA-V INTEGRIN ANTIBODY FOR THE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본 발명은 항체를 수단으로 하는 전립선암 치료에 관한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화학치료요법 없이 또는 그 이후에, 선택적으로는 림프절 및 뼈 조직 전이 (mCRPC) 를 동반하는 전립선암, 특히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CRPC) 을 앓고 있는 환자에 대한 항-알파-v 인테그린 (수용체) 항체의 투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항-혈관형성 항체 DI17E6 및 그의 구조 돌연변이를 수단으로 하는 상기 환자의 치료요법에 관한 것이다.
전립선암은 미국에서 피부암을 제외하고는 가장 빈발하는 암이며, 남성 암 사망의 두번째로 가장 흔한 원인이다.
전립선암은 4 개의 단계로 분류된다: 제 I 기 전립선암은 전립선에서만 발견되며, 직장 수지 검사 동안에는 느끼지 못하며, 영상으로도 보이지 않는다. 제 II 기 전립선암에서 종양이 전립선 내부로 성장하나 그 위로는 확장되어 있지 않지만, 제 III 기에서는 암이 전립선 밖으로까지 퍼지나, 최소의 정도로만 퍼져있다. 종종, 제 III 기 전립선암은 정낭과 같은 주변의 조직에만 퍼져 있다. 최종적으로 제 IV 기에서는, 암이 전립선의 밖으로부터 타 조직, 예컨대 림프절, 뼈, 간 및/또는 폐 또는 뇌로 퍼져 있다.
거세 수준의 테스토스테론에도 불구하고 진행되는 전립선암의 범주는 1 차적인 호르몬 치료에 대한 응답의 정도와 지속 시간이 다양한 종양들 및, 상승적 전립선 특이 항원 (PSA) 형, 뼈 및/또는 연부 조직 확산을 동반한 상승적 PSA, 또는 주로 내장 질병 패턴을 범위로 하는 임상 증상을 포함한다.
현재 승인된 전립선암의 치료법은 외과적 거세, 화학적 거세, 또는 외과적 및 화학적 거세의 병용을 포함한다. 1 차적인 테스토스테론 생산 기관인 고환의 제거는 순환하는 안드로겐의 수준을 정상 수준의 5% 미만까지 감소시킨다. 안드로겐 수준에서의 그러한 감소는 전립선 종양 성장을 방해한다. 외과적 거세의 항-종양 효과는 직접적이긴 하지만, 그 항-종양 효과가 일시적일 수가 있다. 외과적 거세는 종종 안드로겐과는 독립적인 전립선 종양 세포의 클론 선별을 유도한다. 이는 테스토스테론 또는 DHT 자극없이 증식하는 형태의 전립선 종양의 재성장을 야기하게 된다. 화학적 거세 (의학적 거세로도 지칭됨) 는 종종 최초 치료로서 외과적 거세를 대체한다. 그의 높은 점유율에도 불구하고, 전립선암을 가진 남성에 있어서의 치료 선택사항은 상대적으로 제한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암의 단계에 좌우된다.
치료 선택사항은 전립선을 완전히 제거해 버리는 근치적 전립선 적출술과 같은 외과적 치료 및, 체외로부터 전립선에 해당 투여용량을 전하게 되는 외부의 빔을 통해 또는 전립선 내에 이식되어 암 세포만을 국소적으로 죽이는 저-투여용량 방사활성 시드 (seed) 를 통해 적용되는 방사선조사를 포함한다. 항-안드로겐 호르몬 치료요법이 또한 단독으로 또는 외과수술 또는 방사선조사와 병용되어 전립선암의 치료에 이용된다. 호르몬 치료요법은 일반적으로 거세 또는 호르몬 유사체의 투여를 이용함으로써 테스토스테론 생산을 자극하는 호르몬을 생산하는 뇌하수체를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환자들은 그러한 호르몬 유사체를 장기간 주사맞아야 한다. 최종적으로, 화학치료요법적 접근법은 일반적으로 여타 접근법들이 실패했을 때 최종 보루로서 이미 진행된 전립선암 치료에 이용된다. 몇년 전부터 도세탁셀과 프레드니손의 병용은 안드로겐 박탈시 진행된 환자의 관리를 위한 새로운 기준으로 확립되었다.
상기 기재된 치료들 중 어느 것도 치유력이 없고, 처음에는 안드로겐 의존성이던 전립선암이 외과적 및 호르몬-기반의 치료요법에도 불구하고 진행하여, 시간이 갈수록 내성으로 되며, 종종 "호르몬 무반응 암 (hormone refractory cancer)" 또는 "거세 저항성 암" (CRPC) 으로 지칭되는 암 유형으로 된다.
CRPC 의 임상적인 질환 증상은 보통 뼈 전이와 관련되어 있고, 통증, 병적인 골절 및 척수 압박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골반 통증, 요관 압축에 의한 신장 기능장애, 방광 출구 폐색 및 성기능장애와 연관될 수 있는 국소적 재발이 있다. 나아가, 뼈 암이 CRPC 의 대표적인 결과이긴 하지만, 환자들에서 간, 폐, 뇌 및 여타 장기에서의 연조직 (림프절(들)) 전이 및 내장 전이로 발전할 수도 있다. CRPC 가 있는 환자들은 화학치료요법에 최소한으로 응답성이고, 대다수 환자들은 치료 개시 20 개월 내에 진행성 전립선암으로 인해 사망한다. 비스포스포네이트가 일반적으로 뼈 전이가 있는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에서 이용된다.
전립선 종양은 그들이 혈관형성 인자를 분비하고 혈관형성 억제제의 발현을 하향조절할 때까지는 휴면성이며 임상적으로 검출불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혈관형성이 전립선 종양의 발증에 중요하다고 언급될 수 있다. 따라서, 항-혈관형성제가 전립선암 세포 생장을 억제한다는 것은 별로 놀라운 일이 아니다.
전립선암에서, 종양 세포들은 비정상적인 인테그린 레퍼토리를 발현하고, 뚜렷하게 일탈적인 세포외 매트릭스 (ECM) 로 둘러싸여 있다. 그러한 변화들은 특이적인 세포 기능을 조절하는 각 인테그린의 주어진 능력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β3 및 β1 서브유닛의 발현은 특이적인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시키고, 특유의 암 세포 기능을 뒷받침한다. β3 는 cdc2 수준 뿐만 아니라 cdc2 키나아제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암 세포에 고유하게 필요하다. 그러한 효과는 β3 에 대해 특이적이며, β6 에 대해서는 관찰되지 않는다. β3 및 β6 인테그린 변이체들의 상향조절은 기재된 바 있다. Zheng 등 (Cancer Research 1999; 59, 1655-1664) 은 16 개의 외과 시편으로부터 단리된 인간 전립선암 세포를 이용하여, 상기 세포들이 αvβ3 를 발현하는 반면, 정상 전립선 상피 세포들은 그렇지 않음을 보여줬다. 유사하게, αvβ6 는 선암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Li et al.;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2007; 27, 4444).
인테그린 저해제의 이용은, 인테그린이 종양 세포 뿐만 아니라 상피 세포에 의해서도 발현되기 때문에 암 세포 생존 및 혈관형성의 두가지 모두에 영향을 줄 공산이 크다. 종양 성장에 대한 유효성 및 혈관형성에 대한 유효성을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저해제의 최대 응답성은 표적으로 한 인테그린이 종양 및 상피 세포의 두가지 모두에 의해 발현될 때 예측될 수 있다.
뼈는 전립선암에 대해 가장 빈번한 전이 부위이다. Bisanz 등 (Molecular Therapy 2005; 12, 634-643) 은 뼈에서의 전립선 종양 생존에 있어서 알파-v 인테그린의 결정적인 역할을 설명한다. 인간 전립선암 뼈 이종이식체의 분석에서, 리포좀에 캡슐화된 인간 알파-v siRNA 의 종양내 투여는 뼈에서의 PC3 종양의 성장을 현저히 억제하고, 전립선 종양 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추가의 연구들 (McCabe et al., Oncogene 2007; 26, 6238-6243) 은 종양 세포 상의 αvβ3 인테그린 활성화가 중요 뼈 특이적 매트릭스 단백질의 인식에 필수적이라는 점을 증명했다. 그러한 데이터는 αvβ3 인테그린이 원거리 전이에서 전립선암 성장을 조절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인테그린이 종양 세포와 뼈 미세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을 중재하고, 뼈에서의 성장을 촉진하기 때문에, 인테그린 저해제 이용의 잠재적인 적용은 전립선암 뼈 병변을 예방한다. 그러한 병변은 골아세포성 및/또는 용골성이고, 전립선암 환자에서 빈번하게 검출된다 (전립선암 환자 중 80% 초과에서 부검시 뼈 전이가 확립되어 있음).
최근의 연구는 αvβ3 인테그린이 뼈로 전이되는 전립선암 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뼈 증량을 촉진한다는 점을 밝혔고, αvβ3 를 전립선암 골아세포성 병변을 차단하기 위한 잠재적인 치료 표적으로 지목했다.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은 많은 비율의 인간 전립선암 조직 시료에 αv 인테그린이 존재한다는 점을 증명했다.
상기 및 여타 결과들은 항-인테그린제가 직접적 및 간접적 항종양 활성을 모두 가질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펩티드 또는 비-펩티드 인테그린 저해제가 전립선암 치료요법에 유효하다는 것을 보고한 임상 시도는 오직 소수만이 있을 뿐이다.
따라서, 전립선암, 특히 뼈 전이가 발생한 거세-저항성 전립선암의 치료요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강력한 항-인테그린제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공지된 모노클로날 항-알파 v 항체 DI-17E6 (본원에서는 EMR62242 또는 EMD 525797 로도 지칭됨) 가 하기에서 매우 유효하다는 점을 하기에서 발견했다: 전립선암 치료에서의 (i) 단일요법 기반의 임상 현장, 및 (ii) 호르몬제 및/또는 화학치료요법제 및/또는 타이로신 키나아제 저해제 또는 여타 혈관형성 억제제와 함께 하는 병용 임상 현장.
본 발명의 첫번째 국면에서, 공지된 특이적으로 조작된 하이브리드 모노클로날 항-알파-v 항체 DI17E6 가, 4 개월 이상의 치료 기간 동안 주입 (infusion) 에 의해 2 주마다 각각 투여되는 500 mg mAb 이상의 투여용량으로는 심각한 부작용 없이 전립선 종양 환자에서 용인된다는 점이 임상 시도에서 나타났다 (도 3, 표 3).
본 발명의 두번째 국면에서, 2 주마다 각각 500 mg 이상의 투여용량으로 DI17E6 투여시 전립선암, 바람직하게는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CRPC) 의 치료에 유효하다는 점을 보여줬다. 그 결과, 상기 환자의 혈액 중의 전립선 유도성 순환 종양 세포 (CTC) 의 수가 치료 기간 내에는 현저히 감소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그 수가 본래 (치료 시작할 때) 매우 높았던 개체에서 더욱 그러했다 (도 1).
본 발명의 세번째 국면에서, 전립선 특이적 항원 (PSA) 의 값이 CRPC 환자에서 현저히 감소될 수 있음을 보였다. 상기 효과는 치료 기간 및 환자의 질환상태에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치료 후 5 개월 이상이 되면 PSA 값이 수득될 수 있는데, 이는 덜 진행성인 경우에서는 건강한 남성의 PSA 값에 해당하며, 여타 더욱 심한 경우에서는 PSA 값이 항체 치료 개시시 극적으로 높지만, 치료 후 그 PSA 값은 10 배 넘게 감소될 수 있다 (도 4, 5).
본 발명의 네번째 국면에서, 2 주마다 각각 투여되는 500 mg 이상의 투여용량의 DI17E6 에 의해 뼈 및 림프절의 전이 양상은 훨씬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추가 국면에서, DI17E6 는 전립선암 환자, 바람직하게는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CRPC) 환자에서 투여용량을 높힐수록 효능이 증가하는 투여용량-의존적 응답성인 것으로 밝혀질 수 있었는데, 여기서 2 주마다 각각 약 500 mg 이상인 투여용량은 유효한 반면, 약 250 mg DI17E6 이하인 투여용량은 전립선암, 바람직하게는 CRPC 환자에서 유효하지 않다 (도 3, 5).
DI17E6 는 바람직하게는 단일치료요법 현장에서 유효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하는데, 여기서 추가적인 세포독성 약물 (예컨대, 카바지탁셀, 도세탁셀, 독소루비신, 이리노테칸 등) 을 투여하지 않는다. 이는 화학치료요법제를 투여할 필요없이 조작된 모노클로날 항체가 종양 치료 접근법에서 유효하다는 최초의 것이다.
추가로, 상기 임상 시도에서의 최초 결과에 따르면 DI17E6 은 질환이 더 많이 진행될 수록 더욱더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그러한 외과수술 또는 심지어 화학치료제 및/또는 호르몬을 이용한 예비치료가 없었던 덜 진행된 질환 상태에 있는 환자에서보다도, 유효하지 않은 호르몬- 및/또는 화학치료요법 및 심지어 전립선절제와 같은 외과수술의 충격 후에도 환자에서 PSA 값, 순환 종양 세포 및 전이에 대해서 DI17E6 은 더욱 강력한 효과를 발휘한다. 요약하면, DI17E6 은 화학치료요법 치료 후 진행성인 또는 말기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무엇보다도 CRPC 의 치료에 있어서 매우 유망하다.
추가적인 결과는 DI17E6 가, 특히 화학치료요법 및/또는 방사선치료요법에는 내성인 고형 전립선 종양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종양 전이에서, 종양 수축 및 종양 병변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6).
나아가, DI17E6 (단일 치료요법에서) 가 전립선암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통증을 경감한다는 점이 명백하다. 따라서, 상기 약물은 통증 및 통증 간섭 스코어 측면에서 유익을 제공한다 (도 4B, 5B). 치료 동안 통증의 감소는 상기 환자에서의 PSA 수준의 감소와 상관관계가 있음이 관찰될 수 있다.
DI17E6 은 예비투약되는 약 없이도 용인성이 좋고, 약물-관련한 치료로 인한 이상 반응 (treatment emergent adverse events (TEAE)) 과 같은 평가된 안전성 파라미터에서 임상적으로 관련된 투여용량-관련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다 (표 3).
본 발명의 추가 국면에서, STC-1, ADAMTS-1, M30, M65, IL6 및 IL8 을 포함하는 뼈 대사 바이오마커와 투여용량 수준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 1500 mg 를 초과하는 높은 투여용량에서는 대다수의 CRCP 환자에서 오스테오포틴 (osteopontin) 의 상당한 급감이 관찰될 수 있다.
DI17E6 의 약력학적 프로파일은 1500 mg 투여용량 수준에서 약 250 시간의 반감기를 가진 단일 및 다중 투여용량투여 후의 투여용량에 좌우된다.
제 1 상의 안전성 결과, 오픈-라벨 스터디 (open-label study) 는 각각 4 회 투여용량 수준의 단일-약제 DI17E6 (EMD 525797) 의 반복적인 주입이 일반적으로 용인성이 좋음을 나타냈고, 바람직하게는 사전 화학치료요법 후 mCRPC 및 진행성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여용량-제한 독성 (DLT) 및 주입물 반응이 전혀 없었다. 투여용량에 관해, TEAE 의 분포, NCI-CTCAE (version 3.0) 등급 또는 약물 상호관계에 있어서 경향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추가로, 개별 코호트에서 임의의 특이적 이벤트의 누적 증거가 없었다. 11 명의 환자들은 약물과 관련된 것으로 간주된 TEAE 를 경험했다. 그와 관련하여, 소양증, 홍반 및 발진과 같은 피부 징후들이 총 4 명의 환자에서 보고되었는데, 그것은 인테그린이 상피 표현형의 유지를 담당하고 있으므로 DI17E6 (EMD 525797) 와 연관된 예측가능한 부작용 이벤트이다. 점막 염증 및 부어오른 혀의 징후가 또한 EMD 525797 의 작용 메커니즘의 특징일 수 있는데, 피로가 함께 온다면 기저 질환의 징후일 수 있다. 8 명의 환자에서 관찰된 간 및 생화학적 독성 변동이 또한 기저 질환 뿐만 아니라 병용 의약품에 의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연구 약물의 단일 및 다중 투여용량 투여 후 PK 평가는 DI17E6 (EMD 525797) 가 타 항체 표적 멤브레인-회합성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타 항체에 대해 기재된 것과 같은 수용체-매개성 청소율 모델에 따라 거동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건강한 자원자에서의 더 이른 시기에서의 연구의 발견사실과 일치하게, mCRPC 환자에서의 DI17E6 (EMD 525797) 의 PK 는 투여용량에 따라 결합되지 않은 수용체의 이용가능성에 의해 주로 결정되는 청소율과 상관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투여용량에서, 1000 mg 이상의 투여용량으로는 거의 모든 수용체들이 포화되고, 약물 청소율에 대한 기여가 미미하다는 점이 추정될 수 있다. DI17E6 에 대해 면역학적으로 촉발된 항체들이 일부 (16%) 환자에서 검출될 수 있으나; PK 또는 안전성에 대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사전 화학치료요법 후 뼈 전이가 있는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에서, 평균 무진행 생존 기간 (median progression free survival) 은 8 내지 10 주인 것으로 예측된다. 항종양 활성 평가는 단일-약제 치료 요법으로서의 DI17E6 (EMD 525797) 이 500 mg 코호트의 단일 환자에서 실재적인 부분적 종양 응답을 달성한다는 점을 보여줬다. 500 mg 이상의 투여용량으로 DI17E6 (EMD 525797) 를 수용한 18 명의 환자들 중 9 명 (50%) 에서, 16 주 이상 동안 방사선 사진 상에서 질환 진행이 관찰되지 않았다. 2 명의 환자에서, 500 mg 의 투여용량의 DI17E6 (EMD 525797) 를 이용한 장기간 치료가 PSA 수준에서의 현저한 감소 및 통증 간섭 (pain interference) 측면에서 임상적 유익과 관련되어 있다. 적어도 1 명의 환자가 또한 1 차적인 종양 수축 및 표적 림프절 크기의 정상화를 나타냈다. 따라서, DI17E6 (EMD 525797) 는 말기 mCRPC 환자들 중 적어도 일부에서 단일-약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단일 및 다중 투여용량으로 제공되는 단일-약제 EMD 525797 은 자연 관해 없이 사전 화학치료요법 후 뼈 전이가 있는 mCRPC 및 진행성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용인이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성에 대한 우려사항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많은 환자에서 임상적 유익의 예비적 증거가 있다. 그의 표적 및 안전성 프로파일로 인해, DI17E6 (EMD 525797) 는 병용 요법을 위한 유망한 약제이다.
취합하면, 본 발명의 대상은 하기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환자 치료용 또는 환자 치료용 의약 제조를 위한 항-αv 인테그린 항체 DI17E6 또는 그의 생물학적 활성 변이체 또는 개질체의 용도, 여기서 상기 환자는 전립선암, 바람직하게는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CRPC) 을 앓는 환자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CRPC 는 25 내지 10,000 ng/ml 의 범위, 더 구체적으로는 25 ng/ml 를 초과, 또는 50 ng/ml 초과, 또는 100 ng/ml 초과, 또는 250 mg/ml 초과, 또는 500 ng/ml 초과, 또는 1000 ng/ml 초과, 또는 2500 ng/ml 초과, 또는 5000 ng/ml 초과, 또는 7500 ng/ml 초과의 수준인 높은 수준의 혈청 PSA 를 동반함.
Figure pct00002
DI17E6 항체의 각 용도에 있어서, 암이 바람직하게는 뼈 및/또는 림프절 조직으로 전이되고 있는 용도.
Figure pct00003
DI17E6 항체의 각 용도에 있어서, 전립선-특이적 항원 (PSA) 값이 항체 치료 시작 전의 값에 비해 5-배, 10-배, 20-배, 바람직하게는 10-배 넘게 감소하는 용도.
Figure pct00004
DI17E6 항체의 각 용도에 있어서, PSA 값의 감소는 치료 4 내지 8 개월 이내에, 바람직하게는 4 개월 후에, 더욱 바람직하게는 6 개월 후에 달성되는 용도.
Figure pct00005
DI17E6 항체의 각 용도에 있어서, 순환 종양 세포 (CTC) 의 갯수가 항체 치료 동안 감소하는 용도.
Figure pct00006
DI17E6 항체의 각 용도에 있어서, 전립선을 제거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방사선으로 치료받은 CRPC 환자에서의 용도.
Figure pct00007
DI17E6 항체의 각 용도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뼈 전이가 동반된, 전립선암, 바람직하게는 CRPC 에서 나타나는 통증의 감소를 위한 용도.
Figure pct00008
DI17E6 항체의 각 용도에 있어서, 환자를 화학치료요법 및/또는 호르몬제로 예비치료하고, 바람직하게는 암이 화학치료요법 및/또는 호르몬제로 예비치료한 후 암이 진행성일 때의 용도.
Figure pct00009
DI17E6 항체의 각 용도에 있어서, 항체의 유효 투여용량이 2 주 마다 500 mg 내지 1500 mg, 바람직하게는 2 주 마다 500 내지 1000 mg, 또는 매 월 1000 내지 2000 mg 인 용도.
Figure pct00010
DI17E6 항체의 각 용도에 있어서, 500 내지 1000 mg 의 유효 투여용량이 단일 주입에 의해 투여되는 용도.
Figure pct00011
DI17E6 항체의 각 용도에 있어서, 항체가 추가적인 화학치료요법 없이 단독치료요법 현장에서 투여되는 용도.
Figure pct00012
DI17E6 항체의 각 용도에 있어서, 항체가 순차적 또는 동시적으로 세포독성제/세포분열억제제 또는 호르몬제와의 병용 현장에서 투여되는 용도.
Figure pct00013
DI17E6 항체의 각 용도에 있어서, 상기 병용 현장에서 세포분열억제 또는 세포독성제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화학치료요법제, 방사선조사, 타이로신 키나아제 저해제 및 혈관형성 억제제; 상기 타이로신 키나아제 저해제는 항-EGFR 항체, 항-Her2 항체 및 항-Her3 항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항-ErbB 항체이고, 상기 혈관형성 억제제는 알파-v 인테그린 저해제, 바람직하게는 RGD 펩티드, 예컨대 실렌지타이드 (cilengitide) 임.
Figure pct00014
DI17E6 항체의 각 용도에 있어서,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변이체 또는 개질체는 DI17E6 의 가변 영역과 아미노산 서열이 80% 내지 95% 동일한 CDR 영역 및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용도.
Figure pct00015
DI17E6 항체의 각 용도에 있어서,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변이체 또는 개질체는 DI17E6 의 불변 영역과 아미노산 서열이 적어도 80% 내지 98% 동일한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용도.
Figure pct00016
DI17E6 항체의 각 용도에 있어서, 항체가 하기의 중쇄 프레임워크 영역 내에 하나 이상의 개질을 포함하는 용도:
FR1: QVQLQQSG A ELA E PGASVK M SCKASGYTFS (서열 식별 번호 16)
FR2: WV K Q R PGQGLEWIG (서열 식별 번호 17)
FR3: KATMT A DTS S STAYM Q LS G L T SED S AVYYCAS (서열 식별 번호 18)
FR4: WGQGT S VTVSS (서열 식별 번호 19),
여기서, 하나 이상의 진한 글자 또는 밑줄친 글자 위치에서 돌연변이화되고, 본래 각 서열과 상이함.
Figure pct00017
인간 IgG2 대신 인간 IgG1 불변 영역을, 인간 IgG1 힌지 (hinge) 대신 인간 IgG2 힌지 영역을 포함하는 개질된 DI17E6 항체의 각 용도.
Figure pct00018
항-αv 인테그린 항체 DI17E6 또는 그의 생물학적 활성 변이체 또는 개질체를 2 주 마다 각각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 mg 의 투여용량으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개월의 기간 동안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뼈 전이를 동반하는 환자에서의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CRPC) 의 치료 방법.
Figure pct00019
해당 환자에게 하이브리드 모노클로날 항체 DI17 를 2 주마다 각각 500 mg 이상인 유효 투여용량으로, 또는 매월 1000mg 이상의 유효 투여용량으로 투여하여 전립선암, 바람직하게는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CRPC) 을 앓는 환자의 병리학적으로 증가된 PSA 혈청 수준을 5-배 넘게, 바람직하게는 10-배 넘게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항체 치료 시작 전에 상기 병리학적으로 증가된 PSA 혈청 수준이 25 ng/ml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ng/ml 이상인 방법.
Figure pct00020
각 방법에 있어서, 암이 뼈 및/또는 림프절 조직에 전이되어 있는 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투여용량 수준 (1) 250 mg, (2) 500 mg, 및 (3) 1000 mg 의 6 명의 선별된 CRPC 환자에서의 순환 종양 세포 (CTC) 의 측정 결과를 요약해 높은 표를 제시함. X-축은 치료 경과일수를 나타냄. Y-축은 순환 종양 세포 (CTC) 를 나타냄.
도 2: 각각 4 주마다 투여된 250 mg, 500 mg, 1000 mg 및 1500 mg Ab 에 대한 DI17E6 (EMD 525797) 의 투여용량-의존적 약동학적 프로파일을 제시함. X-축은 첫번째 주입 후 경과시간을 나타내고 (h); Y-축은 혈청 농도를 나타냄 (㎍/ml).
도 3: DI17E6 로 치료 후 CRPC 환자의 코호트의 치료 기간을 나타냄; X-축: 치료 경과 주 수; Y-축: 투여용량 수준 (투여용량 수준 1: 250 mg, 투여용량 수준 2: 500 mg, 투여용량 수준 3: 1000 mg, 투여용량 수준 4: 1500 mg)
도 4: (A) 는 DI17E6 를 이용한 치료 동안 뼈 전이를 나타낸, 전립선절제를 하지 않은 특정 CRPC 환자 (2001) 에서의 PSA 수준 (ng/ml 혈청) 의 변화를 보여줌 (치료 시작 2009 년 8 월 24 일). (A) X-축은 치료 기간을 나타냄 (경과일); Y-축은 PSA 수준 (ng/ml) 을 나타냄. (B) 는 (A) 의 동일 환자의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평균 통증 간섭 스코어를 나타냄. X-축은 치료 기간 (경과일) 을 나타냄; Y-축은 평균 통증 간섭 스코어를 나타냄.
도 5: (A) 화학치료요법 후 진행성 질환이 있으며, DI17E6 를 이용한 치료 동안 뼈 전이를 나타내고, 전립선절제를 한 제 2 의 CRPC 환자의 PSA 과정을 보여줌 (치료 시작 2009 년 9 월 1 일). (A) X-축은 치료 기간을 나타냄 (경과일); Y-축은 PSA 수준 (ng/ml) 을 나타냄. (B) 는 (A) 와 동일한 환자의 하기에 정의된 평균 통증 간섭 스코어를 나타냄. X-축은 치료 기간을 나타냄 (경과일); Y 축은 평균 통증 간접 스코어를 나타냄.
도 6: 원발 종양 병변의 현저한 수축을 나타내는 500 mg 코호트 유래의 환자의 CT 스캔을 보여줌: (a) DI-17E6 로 치료 전, (b) DI-17E6 로 17 번째 치료 후 (4 개월 후).
도 7: DI17E6 를 이용한 치료 후 뼈 마커/순환 뼈 마커의 출현을 나타냄. 1 = 투여용량 수준 1; 2 = 투여용량 수준 2
발명의 상세한 설명
DI17E6 은 알파-v 인테그린 (수용체) 에 대한 조작된 특별 맞춤 IgG2 하이브리드 모노클로날 항체이다. 상기 항체를 수단으로 한 암 치료요법은 그러한 유형의 치료요법과 관련된 부작용, 무엇보다도 면역 반응을 감소시켜, 면역원성을 감소시킨다. 상기 항체는 WO 2009/010290 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그의 과가변성 영역 (CDR) 은 쥐과동물 mAb 17E6 (EMD 73034) 로부터 유도된다. 상기 부모 마우스 IgG1 항체는 예를 들어 문헌 [Mitjans et al. (1995; J.Cell Sci. 108, 2825)] 및 특허 US 5,985,278 및 EP 719 859 에 기재되어 있다. 마우스 mAb 17E6 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272-17E6 에 의해 생산되고, 접근 번호 DSM ACC2160 로 기탁되었다.
그의 경쇄 도메인은 인간화된 모노클로날 항-EGFR 항체 425 (matuzumab) 로부터 유도되었다. 상기 항체는 예를 들어 EP 0 531 472B1 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고, 그의 쥐과동물 카운터파트 425 (마우스 MAb 425, ATCC HB9629) 로부터 유도되었다. 그 항체는 인간 A431 암종세포주에서 발생시키고, 인간 표피 생장 인자 수용체 (EGFR) 의 외부 도메인 상의 폴리펩티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atuzumab 은 임상 시도에서 높은 효능의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DI17E6 는 하기를 함유한다:
(i)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αv 인테그린 항체 17E6 로부터 유도된 CDR 경쇄 및 중쇄 영역
(ii) 인간화된 모노클로날 항-EGFR 항체 425 로부터 취해진 경쇄 프레임워크 영역,
(iii)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αv 인테그린 항체 17E6 로부터 유도되고, 선택적으로는 특정 위치의 아미노산들 중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중쇄 프레임워크 영역, 및
(iv) 인간 IgG2 로부터 유도된 중쇄 불변 영역 및 인간 불변 카파 경쇄 영역, 여기서 상기 IgG2 도메인에서 IgG2 힌지 영역은 인간 IgG1 힌지 도메인으로 대체됨, 및;
여기서, 선택적으로는 IgG2 내에서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가 실시됨.
구체적으로, 상기 및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청구한 치료 및 임상 시도에 사용된 바와 같은 DI17E6 ("DI-17E6γ2h(N297Q)" 또는 "MD 525797" 로 정해짐) 는 하기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i) 가변 및 불변 경쇄 서열 (서열 식별 번호 1):
Figure pct00021
(ii) 가변 및 불변 중쇄 서열 (서열 식별 번호 2):
Figure pct00022
밑줄친 서열은 CDR (굵은 글자, 부모 마우스 항체와 동일) 이 있는 가변 영역을 나타낸다. 개질된 IgG1 힌지 영역은 EPKSSDKTHTCPPCP (서열 식별 번호 3) 로 나타내고, AQ 는 IgG2 도메인 내의 치환이다.
그러나, WO 2009/010290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DI17E6 의 변이체도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중쇄 프레임워크 영역 내에 하나 이상의 개질을 포함하는 DI17E6 변이체가 기재된 바와 같은 전립선암 환자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FR1: QVQLQQSG A ELA E PGASVK M SCKASGYTFS (서열 식별 번호 16)
FR2: WV K Q R PGQGLEWIG (서열 식별 번호 17)
FR3: KATMT A DTS S STAYM Q LS G L T SED S AVYYCAS (서열 식별 번호 18)
FR4: WGQGT S VTVSS (서열 식별 번호 19),
여기서, 하나 이상의 진한 글자 및 밑줄 위치에서는 돌연변이화되어 있음.
더욱 상세하게는, 하기 위치의 중쇄 프레임워크 영역 중 하나 이상 또는 전부에서 돌연변이화될 수 있다: A9, E13, M20, K38, R40, A72, S76, Q82, G85, T87, S91 및 S113. 상기 변이체들은 상기 그의 서열로 정의된 DI17E6 과 동일하거나 또는 매우 유사한 생물학적 활성 및 효능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또한 비개질 DI17E6 과 기능적으로 및/또는 약제학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DI17E6 항체의 개질체 및 변이체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CDR 영역 및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은 그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DI17E6 의 각 가변 영역과 비교해 80% 이상, 또는 85% 이상, 또는 90% 이상, 또는 95% 이상 동일하다. 추가로, 본 발명은 또한 비개질 DI17E6 과 기능적으로 및/또는 약제학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DI17E6 항체의 개질체 및 변이체를 포함하며, 상기 불변 영역은 그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DI17E6 의 각 불변 영역과 비교해 80% 이상, 또는 85% 이상, 또는 90% 이상, 또는 95% 이상 동일하다. 변화는 항체의 IgG 사슬의 불변 영역에 있고, 면역원성, ADCC 등과 같은 특별한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추가 국면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DI17E6 항체는 세포독성제, 바람직하게는 싸이토카인, 예컨대 IL2, IL8, IFNb, IFNa, TNFa, GM-CSF, G-CSF, 또는 하기에 기재된 것에 융합될 수 있다. 싸이토카인은 그의 N-말단을 통해 항체 중쇄의 C-말단에 또는 그의 C-말단을 통해 항체의 중쇄 및 경쇄의 N-말단에 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DI17E6 은 전립선암을 앓는 환자, 무엇보다도 화학치료요법 및/또는 호르몬 치료요법 및/또는 전립선절제와 같은 전립선 외과수술 후 종양이 진행성인 환자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기재된 DI17E6 또는 그의 개질체의 효능을 강화 또는 지속하고자, 세포독성제 또는 세포분열억제제와의 병용 요법이 적용가능하다. 세포분열억제제 또는 세포독성제는 암의 임상적 치료에서 꽤 일반적이고 편리한 투여용량으로 항체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한 세포독성제/세포분열억제제는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되는 항-혈관형성제, 항-EGFR 또는, Herceptin®(trastuzmab), Erbitux®(cetuximab) 또는 파니투무맙 (panitumumab) 과 같은 각각의 항체를 포함하는 항-Her3 제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세툭시맙 (cetuximab) 과 함께 하는 DI17E6 의 병용 요법은 본 발명에 따라 전립선암, 특히 CRPC 에 유효하다.
동일한 목적을 위해, DI17E6 는 공지된 투여계획에 따라 호르몬제와 함께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거세저항성" 또는 "거세저항적" 은 일반적으로 50 ng/100 ml 미만인 거세 수준 미만으로 통제되는 혈청 테스토스테론으로도 질환이 진행성인 전립선암의 상태를 지칭한다. 상기 용어는 "호르몬-내성" 또는 "호르몬-무반응성" 또는 "안드로겐-독립적" 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용어 "통증 간섭 (전체) 스코어" 는 유효한 약물의 투여 동안 일어나는 질환의 결과로서의 통증에 대한 스코어를 의미한다. 통증 간섭은 Brief Pain Inventory (BPI) 를 이용하여 평가된다. BPI 는 하기와 같이 통증 간섭 평가에 이용된다: (a) 일반적인 활성, (b) 기분, (c) 도보 능력, (d) 정상적인 작업, (e) 타인과의 관계, (f) 수면, 및 (g) 삶의 향유. 통증 간섭에 대한 전체 스코어를 다음과 같이 산출한다: (비-미달 질문의 평균 스코어) x (7/비-미달 질문의 갯수). 4 개 이상의 질문이 미달인 경우, 통증 간섭 전체 스코어는 미달인 것으로 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세포독성제 " 는 세포 파괴를 야기함으로써 세포의 기능을 억제 또는 예방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상기 용어는 방사활성 동위원소, 화학치료요법제 및 독소, 예컨대 효소적으로 활성인 박테리아, 진균, 식물 또는 동물 기원의 독소, 또는 그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로 한다. 상기 용어는 또한 싸이토카인 패밀리, 바람직하게는 IFNγ 뿐만 아니라 세포독성 활성을 가진 항신생물제의 구성원들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세포분열억제제" 는 세포를 파괴하지 않고 세포 생장 및 증식을 저해 또는 억제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용어 " 싸이토카인 " 은 세포간 매개자로서 또다른 세포 상에 작용하는 한가지 세포 집단에 의해 방출되는 단백질에 대한 포괄적인 용어이다. 그러한 싸이토카인의 예시는 림포카인, 모노카인 및 전통적인 폴리펩티드 호르몬이다. 싸이토카인에 포함되는 것들 중에는 성장 호르몬, 예컨대 인간 성장 호르몬, N-메티오닐 인간 성장 호르몬 및 소 성장 호르몬; 파라티로이드 호르몬; 티록신; 인슐린; 프로인슐린; 렐락신; 프로렐락신; 당단백질 호르몬, 예컨대 여포 자극 호르몬 (FSH), 흉선 자극 호르몬 (TSH), 및 황체형성 호르몬 (LH); 간 성장 호르몬;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프로락틴; 태반 락토겐; 마우스 성선자극호르몬-관련 펩티드; 인히빈; 액티빈; 혈관 내피 성장 인자 (VEGF); 인테그린; 트롬보포이에틴 (TPO); 신경 성장 인자, 예컨대 NGFβ 혈소판-성장 인자; 형질전환 생장 인자 (TGF), 예컨대 TGFα 및 TGFβ; 에리트로포이에틴 (EPO); 인터페론, 예컨대 IFNα 및 IFNβ 및 IFNγ; 집락 자극 인자, 예컨대 M-CSF, GM-CSF 및 G-CSF; 인터류킨, 예컨대 IL-1, IL-1a, IL-2, IL-3, IL-4, IL-5, IL-6, IL-7, IL-8, IL-9, IL-10, IL-11, IL-12; 및 TNFα 또는 TNFβ 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한 싸이토카인은 인터페론 및 TNFα 이다.
"항- 혈관형성제 " 는 혈관의 발생을 어느 정도까지는 차단 또는 간섭하는 천연 또는 합성 화합물을 지칭한다. 항-혈관형성 분자는 예를 들어 혈관형성 성장 인자 또는 성장 인자 수용체에 결합하여 차단하는 생물학적 분자일 수 있다. 바람직한 항-혈관형성 분자는 본원에서 수용체, 바람직하게는 인테그린 수용체 또는 VEGF 수용체에 결합한다. 상기 용어는 본 발명에 따르면 인테그린 (수용체) 저해제를 포함한다.
용어 "인테그린 저해제" 또는 " 인테그린 수용체 저해제" 는 인테그린 수용체를 차단하고 저해하는 천연 또는 합성 분자를 지칭한다. 일부의 경우, 상기 용어는 상기 인테그린 수용체의 리간드에 대한 안타고니스트를 포함한다 (예컨대, αvβ3 에 대해서는: 비트로넥틴, 피브린, 피브리노겐, 본 뷜레브랜즈 인자 (von Willebrand's factor), 트롬보스포딘, 라미닌; αvβ5 에 대해서는: 비트로넥틴; αvβ1 에 대해서는: 피브로넥틴 및 비트로넥틴; αvβ6 에 대해서는: 피브로넥틴). 인테그린 수용체에 대한 안타고니스트는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다. 인테그린 (수용체) 안타고니스트는 천연 또는 합성 펩티드, 비-펩티드, 펩티드모방체, 면역글로불린, 예컨대 항체 또는 그의 기능성 단편, 또는 면역컨쥬게이트 (융합 단백질)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인테그린 저해제는 αv 인테그린의 수용체 (예를 들어, αvβ3, αvβ5, αvβ6 및 서브-클래스) 에 대한 것이다. 바람직한 인테그린 저해제는 αv 안타고니스트, 특히 αvβ3 안타고니스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αv 안타고니스트는 RGD 펩티드, 펩티드모방체 (비-펩티드) 안타고니스트 및 항-인테그린 수용체 항체, 예컨대 αv 수용체를 차단하는 항체이다. 예시적인, 비-면역학적 αvβ3 안타고니스트는 US 5,753,230 및 US 5,766,591 의 교시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한 안타고니스트는 선형 및 고리형 RGD-포함 펩티드이다. 고리형 펩티드는 본래 더욱 안정하며, 증강된 혈청 반감기를 이끌어 낸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인테그린 안타고니스트는 인테그린 수용체 αvβ3, αvβ1, αvβ6, αvβ8, αIIbβ3 를 차단함에 있어서 효능이 있는 시클로-(Arg-Gly-Asp-DPhe-NMeVal) (EMD 121974, Cilengitide®, Merck KgaA, 독일; EP 0770 622) 이다. 전립선암 및 바람직하게는 CRPC 환자에서의 DI17E6 의 실렌지타이드 (Cilengitide) 와의 병용 요법이 본 발명에 유효하다.
용어 "화학치료요법제" 또는 "항신생물제" 는 본 발명의 이해에 따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세포독성제" 의 클래스의 일원으로 간주되며, 항-신생물 효과를 발휘하는, 즉 생물학적 응답 변화와 같은 메커니즘을 통한 간접적인 것이 아닌, 직접적으로 종양 세포 상의 신생물성 세포의 발생, 성숙화 또는 만연을 방지하는 화학 약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화학치료요법제는 바람직하게는 천연 또는 합성 화학적 화합물이나, 생물학적 분자, 예컨대 단백질, 폴리펩티드 등이 표현상으로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시판 중인, 임상 평가 중 및 전임상 개발 중 단계에서 이용가능한 수많은 항신생물제가 있는데, 이들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TNFα 및 항-혈관형성제와의 병용에 의한 종양/신생물 치료를 위한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화학치료요법제는 선택적으로는 상기 언급된 항체 약물과 함께 투여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화학치료제 또는 약제의 예시는 알킬화제, 예를 들어 질소 머스타드, 에틸렌이민 화합물, 알킬 술포네이트 및 알킬화 작용이 있는 기타 화합물, 예컨대 니트로소우레아, 시스플라틴 및 다카르바진; 항대사약물, 예를 들어 엽산, 퓨린 및 피리미딘 안타고니스트; 유사분열 억제제, 예를 들어 빈카 알칼로이드 및 포도필로톡신의 유도체; 세포독성 항생제 및 캄포테신 유도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화학치료요법제 또는 화학치료요법은 아미포스틴 (에티올), 카바지탁셀, 시스플라틴, 다카르바진 (DTIC), 닥티노마이신, 도세탁셀, 메클로레타민, 스트렙토조신, 시클로포스파미드, 카르누스틴 (BCNU), 로무스틴 (CCNU), 독소루비신 (아드리아마이신), 독소루비신 리포 (독실), 겜시타빈 (겜자르), 다우노루비신, 다우노루비신 리포 (다우녹솜), 프로카르바진, 케토코나졸, 미토마이신, 시타라빈, 에토포사이드, 메토트렉세이트, 5-플루오로우라실 (5-FU),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블레오마이신, 파클리탁셀 (택솔), 도세탁셀 (택소테레), 알데스류킨, 아스파라기나아제, 부술판, 카르보플라틴, 클라드리빈, 캄포테신, CPT-11, 10-히드록시-7-에틸-캄포테신 (SN38), 다카르바진, 플록수리딘, 플루다라빈, 히드록시우레아, 이포스파미드, 이다루비신, 메스나, 인터페론 알파, 인터페론 베타, 이리노테칸, 미톡사트론, 토포테칸, 류프롤라이드, 메게스트롤, 멜팔란, 머캅토퓨린, 플리카마이신, 미토탄, 페가스파르가아제, 펜토스타틴, 피포브로만, 플리카마이신, 스트렙토조신, 타목시펜, 테니포사이드, 테스토락톤, 티오구아닌, 티오테파, 우라실 머스타드, 비노렐빈, 클로르암부실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DI17E6 와 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장 바람직한 화학치료요법제는 카바지탁셀, 시스플라틴, 도세탁셀, 겜시타빈, 독소루비신, 파클리탁셀 (택솔), 이리노테칸 및 블레오마이신이다.
DI17E6 은 일반적으로 정맥내 주사로 투여되나, 항체/단백질 약물에 대한 업계에 통상적인 타 투여 형태도 적용가능하다. 리포좀 제형물을 포함하여, WO 2005/077414 또는 WO 2003/053465 에 기재된 바와 같은 모든 표준 주입 용액 및 제형물이 적용가능하다. 추가로, DI17E6 및 선택적으로는 (세포독성 증가를 위해) 화학치료 약물을 담지한 인간 혈청 알부민 나노입자를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Biomaterials 2010, 8, 2388-98; Wagner et al.).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 및 그의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 연구 디자인
제 I 상 시도를 개시하여 전립선-특이적 항원, 순환 종양 세포 (CTC), 및 연질 조직 및 뼈 전이에 대한 효과를 포함하여, DI17E6 로 치료한 CRPC 환자의 안전성, 약동학 및 항종양 활성을 결정했다. 모든 환자들은 화학치료요법 후 진행성 질환을 앓고 있었다. 환자는 1 시간에 걸쳐 제공된 250, 500, 1000 또는 1500 mg DI17E6 의 iv-주입으로 치료했다.
적격 환자는 18 세 이상이고, 사전의 화학치료요법 후 혈액학적으로 또는 세포학적으로 뼈 전이의 증거가 있는 전립선암으로 밝혀진 바 있는 자이다. 환자는 양쪽 고환 절제술을 했거나 또는 성선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 아고니스트 또는 안타고니스트를 이용한 지속적인 안드로겐 결핍 치료요법을 받는 중에 있었으며, 참여하기 전 적어도 4 주 동안 항-안드로겐 치료요법을 중단했다. 필요조건으로서, 환자들은 안정한 (즉, 적어도 3 개월간)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요법 진행 중에 있거나 또는 임의의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요법을 거치지 않았고, 전체 혈청 테스토스테론 수준은 50 ng/dL 미만이다. 모든 환자는, 스크리닝 전 최소 2 주째에 결정된 각 10% 의 최소 증가가 있는 개별 최하점 수준을 상회하는 적어도 2 개의 전립선-특이적 항원 (PSA) 값으로 정해지는 진행성 질환의 증거를 갖고 있었으며; PSA 와는 독립적으로 포함 대상이 되기에 결절 또는 내장 진행이 충분했다. 추가로, 환자들은 0 내지 2 의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스코어, 3 개월 이상의 여명, 적절한 혈액학적, 신장 및 간 기능을 갖고 있어야 했다. 각 연구 센터에서의 기관감사위원회는 연구 프로토콜을 승인했고, 모든 환자에게는 서면 동의서를 제공했다.
상기 제 1 상에서의, 다중심성의, 오픈-라벨, 투여용량-상승형 연구에서, mCRPC 환자들에게 EMD 525797 을 2 주 마다 1 시간에 걸쳐 250, 500, 1000, 또는 1500 mg 의 투여용량으로 해 3 회 정맥내 주입으로 투여한 후, 제 6 주째에 응답성 평가를 후속했다. 진행성 질환의 증거가 없는 환자들은 질환 진행 또는 허용불가한 독성이 나올 때까지 추가로 격주로 투여용량을 제공하는 대상이 되었다. 투여용량-제한 독성 (DLT) 을 처음 6 주간 평가하고, EMD 525797 의 최종 투여 후 4 주가 될 때까지 안전을 위해 환자를 추적관찰했다. 환자들은 4 가지의 연쇄적 투여용량 코호트로 모집했고; 1 개 투여용량 코호트 내 마지막 6 명의 환자가 6 주의 종결에 도달한 후에는 Safety Monitoring Committee 가 후속 투여용량 증가를 결정했다.
43 내지 80 세 (중간값 연령, 66 세) 의 26 명의 남성 환자가 참여했고, 안전성 집단을 구성하며 EMD 525797 의 적어도 1 회의 정맥내 주입을 제공했다. 모든 환자들은 백인이었다. 일반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4 가지의 투여용량 코호트 (표 1a) 에서 비교했고, 최초 진단으로부터의 시간 중간값은 5.2 년 (범위, 2 내지 8 년) 이었고, 진단으로부터 최초 전이 질환의 진단까지 걸린 시간 중간값은 0.1 년 (범위, 0 내지 6 년) 이었다. DLT 기간의 종료 전에 2 명의 환자가 중퇴했으며, 후속하여 재배치되었고, 24 명이 6 주의 치료 기간 동안 3 회의 투여용량의 EMD 525797 를 수용했다.
표 1a. 환자 기준선 인구통계값 (안전성 집단).
Figure pct00023
개요 (표 1b):
Figure pct00024
상기 제 I 상 임상 시도로부터의 임상 결과는 독일에서 세 곳, 벨기에에서 한 곳에서 실시되었고, 거세-저항성 전립선암이 있는, 화학치료요법 후 뼈 전이가 있는 진행성 질환이 있는 대상체에서의 단일 약제 및 생물학적 활성을 보여준다.
실시예 2: 치료 기간
제 6 주 종결시 응답성 평가 전 24 명의 환자 (43 내지 80 세) 에게 3 회의 투여용량 투여 (제 1, 3 및 5 주째) 을 제공했다. 진행성 질환이 없는 환자들은 2 주마다 추가 투여용량을 제공받을 수 있었다. 투여용량-제한 독성 (DLT) 을 첫 6 주간 평가했고, 환자들은 DI17E6 의 최종 투여 후 4 주가 될 때까지 안전성에 대해 후속관찰했다.
표 2 는 각 코호트에서 환자마다 약물 노출에 대해 요약한다. 환자들의 평균 EMD 525797 노출 기간이 117.5 일 (중간값, 74.5 일; 범위, 14 내지 34 일) 이었다. 24 명의 환자들 중 13 명이 예상보다 더 긴 노출 기간에 있었고 (84 일 초과), 500 mg 코호트에서 2 명은 297 및 534 일째에도 치료 중에 있었으며, 1000 mg 코호트에서 1 명은 310 일 동안 치료를 받았다. 6 주의 DLT 기간 내에 DLT 는 보고되지 않았다. 모든 환자들은 적어도 하나의 TEAE 를 경험했고, TEAE 에서 투여용량-의존적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표 2a: 각 투여용량 코호트에서의 환자에 대한 DI17E6 노출
Figure pct00025
본 연구 프로토콜에서는 대상체들이 격주로 적어도 3 회의 투여용량 (250, 500, 1000 mg/각 2 주) 의 DI17E6 를 제공받고, 진행성 질환의 증거가 없는 대상체들은 2 주 마다 추가 치료 투여용량을 제공받도록 했다.
모든 4 개의 코호트에서의 치료 기간 (진술: 2010 년 8 월). 500 mg/각 2 주의 코호트 2 에서는 말기 (기대 여명 12 개월 미만) 의 2 명의 환자 (2001 년 및 2002 년) 가 치료시 예상외의 종양 응답성이 있어 10 개월을 초과해 생존했다.
Figure pct00026
표 2b: 이 표는 치료 기간의 값들을 보여준다 (진술: 2010 년 8 월). 투여용량 수준 1: 250 mg DI17E6; 투여용량 수준 2: 500 mg DI17E6; 투여용량 수준 3: 1000 mg DI17E6, 및 투여용량 수준 4: 1500 mg DI17E6.
실시예 3 : 안전성/부작용
표 3 은 약물-관련 TEAE 을 요약한다. 11 명의 환자 (42.3%) 가 약물-관련 TEAE 를 경험했는데, 이는 전신 장기 클래스 "피부 및 피하 조직 장애" (전부 4 명의 환자; 일반 소양증, 발진), " 일반적인 장애 및 투여 부위 상태" (전부 3 명의 환자; 피로, 점막 염증, 감각 장애), ? "위장관 장애" (전부 2 명의 환자; 구강 건조증, 혀 부어오름, 상부 위장관 출혈), 및 "감염 및 감염증" (전부 2 명의 환자; 비염, 패혈증) 에서 가장 널리 보고되었다. 오직 2 명의 환자 (7.7%) 만이 약물-관련 등급 3 또는 4 TEAE 가 있었고: 500 mg 코호트에서의 1 명의 환자가 감마-글루타밀트랜스퍼라아제 (GGT) 의 등급 3 증가를 경험했으며, 1000 mg 코호트에서 단 1 명의 환자가 등급 3 패혈증을 경험했다.
2 명의 환자는 치료와 관련있을 것으로 간주되는 심각한 TEAE 를 겪었다. 이들은 250 mg 코호트에서의 한 환자에서 등급 1 의 상부 위장관 출혈 및 1000 mg 코호트에서의 한 환자에서 등급 3 의 패혈증이었다. 스크리닝시, 상기 패혈증 환자는 요로감염 및 패혈증 재발이 진행 중인 것으로 진단되었고, 상기 재발은 DI17E6 (EMD 525797) 와 관련있을 것으로 간주되었다. 4 명의 환자가 사망했고, 연구원들은 모든 사망자가 EMD 525797 와 타당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라고 평가했다.
250 mg 코호트의 4 명의 환자 (12 일째에 상부 위장관 출혈이 있던 환자, 53 일째에 근육 무력화가 있던 환자, 46 일째에 양측 하지 마비가 있던 환자, 30 일째에 요관 장애가 있던 환자) 및 500 mg 코호트의 1 명 (534 일째에 등급 3 의 GGT 증가가 있던 환자) 및 1500 mg 코호트의 1 명 (85 일째에 중추신경계에 전이가 있던 환자) 을 포함하여 6 명의 환자들 (23.1%) 은 TEAE 때문에 치료를 영구적으로 중단했다. 투여 부위 피부 반응은 전혀 보고되지 않았다. 8 명의 환자에서 기준선을 넘는 혈액학적 변동 및 등급 3 또는 4 로의 생화학적 독성 변동이 일어났다. 그러나, 검사결과, 활력 징후 또는 심전도 기록에 뚜렷한 경향성은 없었다. 전체적으로, 65.4% 의 환자들이 기준선과 비교시 치료에 있어서 동일한 최악의 일반 활동성능 상태 (ECOG performance status) 를 가졌다.
표 3. 약물-관련 치료로 인한 이상 반응* (TEAEs).
Figure pct00027
관찰된 부작용의 예시:
(i) 62 세 남성은 최초의 그리고 유일한 DI17E6 (250 mg) 의 주입 후 13 일 째에 등급 1 상부 위장관 출혈을 경험했다. 그 대상체는 심하지 않은 출혈을 나타냈고, 입원했다. 위내시경은 식도 말단에 병변을 보여줬다. 활동성 출혈이 배제되었고, 대상체는 오메프라졸로 치료했으며, 그 일은 해결되었다.
(ii) 79 세 환자에서 최근 주입 후 1 일 째에 그리고 DI17E6 (EMD 525797) (1000 mg) 의 최초 주입 후 9 주째에 엔테로코코시 파에칼리스 (e. faecalis) 로 인한 패혈증 (등급 2) 이 발생했다. 환자는 입원했고, 회복을 추진했다. 1 개월 후, 가장 최근 주입 후 4 일째에 및 최초 주입 후 2.5 개월째에 환자에서 다시금 엔테로코코시 파에칼리스로 인한 2 차 패혈증 에피소드 (등급 3) 가 발생했다. 환자는 입원했고, 회복을 추진했다. 다시 1 개월 후, 최근 주입 후 4 일째에 및 최초 주입 후 3.5 개월째에 환자에서 세번째 패혈증 에피소드 (등급 3) 가 발생했는데 이는 EMD 525797 로 인한 것이다.
요약하면:
ㆍ누적 안전성 데이터는 모든 4 SMC 에서 검토되었음
ㆍ전체적으로 DLT 는 관찰되지 않음: DLT 는 알러지/과민감성 반응 및 7 일 이내에 가역적인 임상적 상관관계가 없는 임의의 범위 밖 실험실 값을 제외하고는 연구자 및/또는 후원자에 의한 연구 성과와 타당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제 6 주의 종결시까지 일어나는 등급 3 또는 4 의 혈액학적 또는 비-혈액학적 독성으로 정의됨.
ㆍ이제까지 MTD 에 도달하지 않음
ㆍ연구 의약과 관련하여 전체적으로 오직 2 가지 SAE 만이 관찰된 바 있음.
실시예 4 : 약동학 및 약력학
단독 및 다중 투여용량 후, EMD 525797 은 투여용량에 좌우되는 비선형적 PK 프로파일을 나타냈다 (도 2). 첫번째 1-시간 정맥내 주입 후, DI17E6 (EMD 525797) 의 Cmax 는 일반적으로 투여용량투여 개시 후 1 내지 2 시간 내에 도달했다. EMD 525797 청소율의 결과가 투여용량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 제거 반감기는 투여용량에 따라 증가하는 반면, 평균 분포 용적은 투여용량 범위를 초월하여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표 4).
도시된 도 2 (표 4) 에서와 같이, 코호트 2 CRPC 환자에 2 주마다 각각 500 mg 를 투여하여 IC95 의 혈청 수준에 도달한 반면, 2 주마다 각각 250 mg 를 제공한 코호트 1 의 환자들은 실패했다. 코호트 2 에서, 2 주마다 각각 500 mg 씩의 EMD 525797 의 혈청 저점 농도가 IC95 를 상회하고, 비선형적 CL 경로의 IC99 에 도달한다 (2 주마다 각각 250 mg 씩 제공한 것은 실패함).
표 4:
Figure pct00028
다중 투여용량투여 후, DI17E6 (EMD 525797) 최대 혈청 농도 및 노출은 1500 mg 에서 각각 1.33 및 1.70 의 최대 값 (투여 기간 3/투여 기간 1) 까지 투여용량에 좌우되어 누적되었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CTC 농도는 기준선 부근에서 안정하게 남아 있었다 (데이터는 나타내지 않음). 2 명의 환자에서, CTC 농도에서의 상당한 감소가 치료 개시 후 각각 약 14 일 및 42 일 후에 관찰되었다.
항-EMD 525797 항체는 25 명의 평가가능한 환자들 중 4 명 (16.0%) 에서 검출되었다. 4 명의 환자는 모두 250 mg 코호트에 있었고; 2 명은 2 주 후에 혈청반응 음성 상태로 되돌아갔고, 1 명의 환자는 후속관찰하지 않았으며, 1 명의 환자는 전체 연구 기간 내내 혈청반응 양성 상태로 유지되었다.
실시예 5 : 순환 종양 세포 ( CTC )
CellSearch 를 이용한 순환 종양 세포 (CTC) 의 평가는 전이성 전립선암을 가진 환자에 대한 예후 인자로서 식약청에 의해 승인되었다. 몇몇 그룹은 CTC 가 CRPC 에서 높은 빈도로 검출되며, 임상 결과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 (de Bono et al. 2008, Clin Cancer Res, Scher et al. The Lancet 2009).
1 에, 순환 종양 세포 (CTC) 에 대한 DI17E6 의 효과가 도시되어 있다. 각 2 주 당 500 mg 의 투여용량을 제공한 코호트로부터의 환자 번호 2002 는 CTC 에서 감소를 나타낸다. 다른 환자들은 본래 낮은 수준의 CTC 를 갖고 있었으며, 따라서 7 주 째에 3 회의 주입 후 현저한 변화가 없었다. 그러한 효과는 2 주마다 각각 250 mg 를 제공한 코호트 1 에서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7 주째에 7 명의 환자들 중 5 명에서 급격한 증가가 관찰될 수 있다.
실시예 6: 마커
뼈 재흡수는 전립선암에서 주된 이환의 원인이 되고 있다. 골격 이벤트는 전립선암의 진행에 있어서 중요하다. 뼈 재흡수 및 뼈 형성을 평가할 마커들을 본 연구에서 평가했다. 코호트마다 모든 마커에 대해 짝을 맞춰 상관관계를 수행했고, 코호트 II 에 대한 잠재적 투여용량 효과를 관찰했다.
뼈 마커는 코호트 I 이 아닌 코호트 II 에서 무리지어 모여 있다. 생물학적인 의미는 완전하지 않으나, 이는 DI-17E6 를 이용한 전립선암의 치료에서 뼈 마커와 상관있는 투여용량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DI-17E6 가 뼈 활성을 "정규화" 하여, 뼈 재흡수 마커 및 뼈 형성 마커가 질환 상태보다는 정상 상태에 더 가깝도록 더욱 균형을 이루게 조절된다고 볼 수 있다. mCRPC 뼈 재흡수 마커가 종종 과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DI17E6 의 투여와 관련하여 관찰될 수 있는 괄목할 바이오마커는 ADAMTS-1, STC1, IL6 및 IL8 이다.
도시된 7 에서와 같이, 두가지 투여용량 수준 (250 mg 및 500 mg) 을 비교한다. 500 mg 투여용량은 짝을 이룬 상관관계의 3 개의 클러스터 (투여용량 수준 2=500 mg 의 박스 우측) 를 나타낸다.
실시예 7: DI17E6 를 이용한 치료에 의한 PSA 수준 및 통증 스코어에서의 변화
도 4A 및 5A 는 매 2 주 당 500 mg 의 DI17E6 를 이용한 치료 동안 2 명의 환자에서 혈청 PSA 수준의 변화를 보여준다.
PSA 의 수준은 종양 성장과 상관있고, 종양 부담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기준선과 비교시 PSA 수준에 있어서 50% 를 초과하는 감소가 생물학적 응답성 기준으로서 제안된 바 있다.
임상 실시에서, PSA 는 정확하고 용이하게 측정된다. 대부분의 내과의들은 환자 안녕의 일반적인 인상 및 환자의 PSA 동역학을 근거로 치료를 계속해야 할 지 결정한다.
500 mg 투여용량 코호트의 2 명의 환자 (대상체 2001 및 2002 로부터의 챠트 참조) 는 기준선 값에 비해 치료 동안 PSA 값이 8 배 넘게 감소함을 나타낸다 (도 4A, 5A).
Figure pct00029
표 5 제 7 주까지의 스크리닝에서 모든 대상체로부터의 PSA 값
통증 간섭은 Brief Pain Inventory (BPI) 를 이용하여 평가했다. BPI 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통증 간섭을 평가했다: (a) 일반적인 활성, (b) 기분, (c) 도보 능력, (d) 정상적인 작업, (e) 타인과의 관계, (f) 수면, 및 (g) 삶의 향유. 통증 간섭에 대한 전체 스코어를 다음과 같이 산출한다: (비-미달 질문의 평균 스코어) x (7/비-미달 질문의 갯수). 4 개 이상의 질문이 미달인 경우, 통증 간섭 전체 스코어는 미달인 것으로 한다.
투여 동안의 통증 스코어 진행은 도 4B, 5B 에 도시했다. 이는 PSA 진행 (도 4A, 5A) 을 비교하여 DI17E6 를 이용한 치료 동안 통증 개선이 PSA 수준의 감소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제 276 일 및 제 296 일 사이의 도 4B 에서의 통증 스코어 증가는 약물 효과와는 독립적인 관절통 이벤트 (arthralagia event) 로 인한 것이다.
실시예 8: 원발 종양 및 연질 종양 병변 (림프절) 의 감소
뼈 스캔 및 컴퓨터 단층 촬영 (CT) 을 수행하여 안정/응답성 질환을 검출했다. 뼈 또는 CT 스캔에서 PCWG2 및 RECIST 기준을 이용해 진행이 있는 대상체는 치료를 중단했다.
일부 환자들은 원발 종양 (전립선) 및 표적 병변 (림프절) 에서 임상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원발 및 표적 병변의 두가지 모두에서 수축을 나타낸 CT 스캔은 도 6 에 제시된다.
표 6 : 환자 2001, 500mg/q2w, 원발 종양 및 CT 스캔에서 평가되어 측정가능한 병변에서의 부분적인 차도.
Figure pct00030
응답성은 CT/MRI 스캔으로 평가했고, Solid Tumors (RECIST) 기준에서의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에 따라 기록했다. 기준선에서, 종양 병변은 한가지 이상의 치수에서 정확하게 병변을 측정하는 능력을 바탕으로 측정가능 또는 측정불가로 분류했다. 질환 진행은 최하점과 비교한 측정가능한 병변의 최장 직경 또는 신규 병변의 출현의 총합에서의 20% 이상의 증가로 정의되었다.
2 차적인 효능 측정은 스크리닝시 그리고 연구 도중에 (PSA 및 통증 간섭 전체 스코어) 또는 6 주 째에 (응답성 평가), 및 6 주 지나서 치료를 계속하는 환자에 대해서는 이후에 4- 또는 12-주 간격으로 평가했다.
SEQUENCE LISTING <110> Merck Patent GmbH <120> Anti-Aplpha-V Integrin Antibody for the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130> EP11001135.0 <140> PCT/EP2012/000548 <141> 2012-02-07 <150> EP11001135.0 <151> 2011-02-11 <160> 7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2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ositions 24-34 CDR1, Positions 50-56 CDR2, Positions 89-97 CDR3, Positions 1-107 variable regions with the CRDs of the light chain <400> 1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n Asp Ile Ser Asn Tyr 20 25 30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Tyr Thr Ser Lys Ile His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Tyr Thr Phe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Il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Gly Asn Thr Phe Pro Tyr 85 90 95 Thr Phe Gly Gln Gly Thr Lys Val Glu Ile Lys Arg Thr Val Ala Ala 100 105 110 Pro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Asp Glu Gln Leu Lys Ser Gly 115 120 125 Thr Ala Ser Val Val Cys Leu Leu Asn Asn Phe Tyr Pro Arg Glu Ala 130 135 140 Lys Val Gln Trp Lys Val Asp Asn Ala Leu Gln Ser Gly Asn Ser Gln 145 150 155 160 Glu Ser Val Thr Glu Gln Asp Ser Lys Asp Ser Thr Tyr Ser Leu Ser 165 170 175 Ser Thr Leu Thr Leu Ser Lys Ala Asp Tyr Glu Lys His Lys Val Tyr 180 185 190 Ala Cys Glu Val Thr His Gln Gly Leu Ser Ser Pro Val Thr Lys Ser 195 200 205 Phe Asn Arg Gly Glu Cys 210 <210> 2 <211> 44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ositions 31 - 35 CDR1, Positions 50 - 53 CDR2, Positions 99 - 107 CDR3, Positions 217 - 231 IgG1 hinge region, Positions 296 - 297 substitution within the IgG2 region, Positions 1 - 118 represent the variable regions with the CDRs of the heavy chain <400> 2 Gln Val Gln Leu Gln Gln Ser Gly Gly Glu Leu Ala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Ser Ser Phe 20 25 30 Trp Met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Tyr Ile Asn Pro Arg Ser Gly Tyr Thr Glu Tyr Asn Glu Ile Phe 50 55 60 Arg Asp Lys Ala Thr Met Thr Thr Asp Thr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Ser Phe Leu Gly Arg Gly Ala Met Asp Tyr Trp Gly Gln Gly Thr 100 105 110 Thr Val Thr Val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115 120 125 Leu Ala Pro Cys Ser Arg Ser Thr Ser Glu Ser Thr Ala Ala Leu Gly 130 135 140 Cys Leu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145 150 155 160 Ser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165 170 175 Ser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Ser 180 185 190 Asn Phe Gly Thr Gln Thr Tyr Thr Cys Asn Val Asp His Lys Pro Ser 195 200 205 Asn Thr Lys Val Asp Lys Thr Val Glu Pro Lys Ser Ser Asp Lys Thr 210 215 220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Pro Val Ala Gly Pro Ser Val 225 230 235 240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245 250 255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Pro Glu 260 265 270 Val Gln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275 280 285 Thr Lys Pro Arg Glu Glu Gln Ala Gln Ser Thr Phe Arg Val Val Ser 290 295 300 Val Leu Thr Val Val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305 310 315 320 Cys Lys Val Ser Asn Lys Gly Leu Pro Ala Pro Ile Glu Lys Thr Ile 325 330 335 Ser Lys Thr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340 345 350 Pro Ser Arg Glu Glu Met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355 360 365 Val Lys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370 375 380 Gly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Met Leu Asp Ser 385 390 395 400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Arg 405 410 415 Trp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420 425 430 His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Lys 435 440 445 <210> 3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o comment <400> 3 Glu Pro Lys Ser Ser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1 5 10 15 <210> 4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osition 6 - one or more positions are mutated <400> 4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 5 10 <210> 5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ositions 9, 13, 20 - one or more positions are mutated <400> 5 Gln Val Gln Leu Gln Gln Ser Gly Ala Glu Leu Ala Glu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Met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Ser 20 25 30 <210> 6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ositions 3, 5 - one ore more positions are mutated <400> 6 Trp Val Lys Gln Arg Pro Gly Gln Gly Leu Glu Trp Ile Gly 1 5 10 <210> 7 <211> 3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ositions 6, 10, 16, 19, 21, 25 - one or more positions are mutated <400> 7 Lys Ala Thr Met Thr Ala Asp Thr Ser Ser Ser Thr Ala Tyr Met Gln 1 5 10 15 Leu Ser Gly Leu Thr Ser Glu Asp Ser Ala Val Tyr Tyr Cys Ala Ser 20 25 30

Claims (27)

  1.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CRPC) 을 앓고 있는 환자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항-αv 인테그린 항체 DI17E6 또는 그의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변이체 또는 개질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암이 전이 중인 DI17E6 항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암이 림프절 전이와 관련되어 있는 DI17E6 항체.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암이 뼈 전이와 관련되어 있는 DI17E6 항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립선-특이적 항원 (PSA) 값이 항체 치료 시작 전의 값에 비해 치료 동안 10 배 넘게 감소하는 DI17E6 항체.
  6. 제 5 항에 있어서, PSA 값의 감소가 치료 4 내지 6 개월 내에 달성되는 DI17E6 항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환 종양 세포 (CTC) 의 갯수가 항체 치료 동안 감소하는 DI17E6 항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의 전립선이 치료 전에 제거되어 있는 DI17E6 항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를 화학치료요법 및/또는 방사선 치료요법으로 예비치료한 DI17E6 항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의 유효 투여용량이 2 주마다 500 mg 내지 1000 mg 인 DI17E6 항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유효 투여용량이 단일 투여용량으로 투여되는 DI17E6 항체.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단일치료요법으로 투여되는 DI17E6 항체.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변이체 또는 개질체가 DI17E6 의 CDR 영역 및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고, 이들은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DI17E6 의 가변 영역에 80% 이상 동일한 DI17E6 항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하기의 중쇄 프레임워크 영역 내에 하나 이상의 개질을 포함하는 DI17E6 항체:
    FR1: QVQLQQSG A ELA E PGASVK M SCKASGYTFS (서열 식별 번호 16)
    FR2: WV K Q R PGQGLEWIG (서열 식별 번호 17)
    FR3: KATMT A DTS S STAYM Q LS G L T SED S AVYYCAS (서열 식별 번호 18)
    FR4: WGQGT S VTVSS (서열 식별 번호 19),
    여기서, 하나 이상의 진한 글자 및 밑줄 위치에서 돌연변이화되어 본래 각 서열과 상이함.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변이체 또는 개질체가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DI17E6 의 불변 영역과 80% 이상 동일한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DI17E6 항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인간 IgG1 불변 영역을 인간 IgG2 대신, 또는 인간 IgG2 힌지 (hinge) 영역을 인간 IgG1 힌지 대신 포함하는 DI17E6 항체.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의 CRPC 가 화학치료요법 후 진행성인 DI17E6 항체.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가 전립선절제 또는 기타 전립선암 관련 수술 또는 방사선치료요법 후에 치료되는 DI17E6 항체.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치료가 호르몬제의 순차적 또는 동시적 투여를 포함하는 DI17E6 항체.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치료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세포분열억제제 또는 세포독성제와의 순차적 또는 동시적 투여를 포함하는 DI17E6 항체: 화학치료요법제, 방사선조사, 타이로신 키나아제 저해제, 및 혈관형성 억제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로신 키나아제 저해제가 항-EGFR 항체, 항-Her2 항체 및 항-Her3 항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항-ErbB 항체이고, 상기 혈관형성 억제제가 알파-v 인테그린 저해제인 DI17E6 항체.
  22. 치료 기간 동안 전립선암 환자에서 항체 투여 개시 전 PSA 수준에 비해 PSA 수준을 10-배 넘게 감소시키기 위한 항-αv 인테그린 항체 DI17E6 또는 그의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변이체 또는 개질체로서, 2 주마다 각각 투여되는 항체의 유효 투여용량이 500 내지 1500 mg 인 항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유효 투여용량이 단일 투여용량으로 투여되는 DI17E6 항체.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환자가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CRPC) 을 앓는 DI17E6 항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암이 뼈 및/또는 림프절 조직에서 전이 중인 DI17E6 항체.
  26. 2 주마다 각각 투여되는 항체의 유효 투여용량이 500 내지 1500 mg 인, 뼈 및/또는 림프절 전이를 동반한 CRPC 에서 일어나는 통증 감소를 위한 항-αv 인테그린 항체 DI17E6 또는 그의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변이체 또는 개질체.
  27. 제 26 항에 있어서, 환자의 PSA 수준이 항체 투여 개시 전 환자의 PSA 수준에 비해 치료 기간 동안 10-배 넘게 감소되는 항-αv 인테그린 항체 DI17E6.
KR1020137023946A 2011-02-11 2012-02-07 전립선암 치료용 항-알파-v 인테그린 항체 KR101972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001135.0 2011-02-11
EP11001135 2011-02-11
PCT/EP2012/000548 WO2012107211A1 (en) 2011-02-11 2012-02-07 Anti-alpha-v integrin antibody for the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392A Division KR102103701B1 (ko) 2011-02-11 2012-02-07 전립선암 치료용 항-알파-v 인테그린 항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087A true KR20140012087A (ko) 2014-01-29
KR101972533B1 KR101972533B1 (ko) 2019-08-26

Family

ID=455695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392A KR102103701B1 (ko) 2011-02-11 2012-02-07 전립선암 치료용 항-알파-v 인테그린 항체
KR1020137023946A KR101972533B1 (ko) 2011-02-11 2012-02-07 전립선암 치료용 항-알파-v 인테그린 항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392A KR102103701B1 (ko) 2011-02-11 2012-02-07 전립선암 치료용 항-알파-v 인테그린 항체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3) US9555110B2 (ko)
EP (2) EP3415162A1 (ko)
JP (2) JP6320042B2 (ko)
KR (2) KR102103701B1 (ko)
CN (1) CN103347540B (ko)
AU (2) AU2012216145B2 (ko)
CA (1) CA2827052C (ko)
DK (1) DK2672994T3 (ko)
EA (1) EA032117B1 (ko)
ES (1) ES2683347T3 (ko)
HK (1) HK1190094A1 (ko)
HR (1) HRP20181212T1 (ko)
HU (1) HUE037212T2 (ko)
IL (1) IL227687B (ko)
LT (1) LT2672994T (ko)
MX (1) MX352025B (ko)
PL (1) PL2672994T3 (ko)
PT (1) PT2672994T (ko)
RS (1) RS57524B1 (ko)
SG (1) SG192667A1 (ko)
SI (1) SI2672994T1 (ko)
TR (1) TR201810294T4 (ko)
WO (1) WO2012107211A1 (ko)
ZA (1) ZA2013068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I2672994T1 (sl) 2011-02-11 2018-09-28 Merck Patent Gmbh Protitelo proti alfa-v integrinu za zdravljenje raka prostate
MX2017003015A (es) 2014-09-17 2017-05-23 Merck Patent Gmbh Metodo para tratar canceres solidos y/o metastasis de los mismos, medicamentos para los mismos, y metodo para predecir el resultado clinico para tratar canceres solidos y/o metastasis de los mismos.
ES2897782T3 (es) * 2014-09-17 2022-03-02 Merck Patent Gmbh Método de tratamiento de las enfermedades de la metástasis ósea, medicamentos para el tratamiento y método para predecir el resultado clínico del tratamiento de las enfermedades causadas por metástasis ósea
MX2018006269A (es) * 2015-11-23 2018-09-05 Merck Patent Gmbh Anticuerpo anti-alfa-v-integrina para el tratamiento de fibrosis y/o trastornos fibroticos.
US20190144547A1 (en) 2015-11-23 2019-05-16 Merck Patent Gmbh Anti-alpha-v integrin antibody for the treatment of fibrosis and/or fibrotic disord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0290A2 (en) * 2007-07-17 2009-01-22 Merck Patent Gmbh Engineered anti-alpha v- integrin hybrid antibodie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82160C (en) 1991-03-06 2003-05-06 Mary M. Bendig Humanised and chimeric monoclonal antibodies
US5753230A (en) 1994-03-18 1998-05-19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Methods and compositions useful for inhibition of angiogenesis
DK0719859T3 (da) * 1994-12-20 2003-10-20 Merck Patent Gmbh Anti-alfa V-integrin monoklonalt antistof
DE19534177A1 (de) 1995-09-15 1997-03-20 Merck Patent Gmbh Cyclische Adhäsionsinhibitoren
EP0983303B1 (en) 1997-05-21 2006-03-08 Biovation Limite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non-immunogenic proteins
DE19842415A1 (de) 1998-09-16 2000-03-23 Merck Patent Gmbh Pharmazeutische Zubereitung
WO2000034317A2 (en) 1998-12-08 2000-06-15 Biovation Limited Method for reducing immunogenicity of proteins
US7163681B2 (en) * 2000-08-07 2007-01-16 Centocor, Inc. Anti-integrin antibodies, compositions, methods and uses
EP1998266A3 (en) 2001-02-19 2009-02-11 Merck Patent GmbH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T-cell epitopes and use for preparing molecules with reduced immunogenicity
DE10163459A1 (de) 2001-12-21 2003-07-03 Merck Patent Gmbh Lyophilisierte Zubereitung enthaltend Antikörper gegen EGF-Rezeptor
KR20110140143A (ko) 2002-11-26 2011-12-30 애보트 바이오테라퓨틱스 코포레이션 혈관형성을 조절하는 α5β1 인테그린에 대한 키메라성 및 인간화 항체
US8147832B2 (en) 2003-08-14 2012-04-03 Merck Patent Gmbh CD20-binding polypeptide compositions and methods
RU2390353C2 (ru) 2004-02-12 2010-05-27 Мерк Патент Гмбх Высококонцентрированные жидкие композиции анти-egfr антител
KR20060002667A (ko) 2004-07-03 2006-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댐퍼와 디스크 프로텍터를 구비한 하드 디스크드라이브
US8202465B2 (en) 2004-11-03 2012-06-1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eferential curing technique in compression molding of fiber reinforced composites
US20070025889A1 (en) 2005-07-28 2007-02-01 Pcbu Business Services, Inc. Reactors, reactor assemblies and production processes
DE102005062440B4 (de) 2005-12-27 2011-02-24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Proteinbasiertes Trägersystem zur Resistenzüberwindung von Tumorzellen
CA2635623C (en) 2005-12-30 2015-02-17 Michael Super Anti-cd19 antibodies with reduced immunogenicity
WO2007084670A2 (en) 2006-01-18 2007-07-26 Merck Patent Gmbh Specific therapy using integrin ligands for treating cancer
WO2008008435A2 (en) 2006-07-14 2008-01-17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Methods, systems, and compositions for extracellular matrix production
US20110177155A1 (en) 2007-08-21 2011-07-21 Immune Disease Institute, Inc. Methods of delivery of agents to leukocytes and endothelial cells
EA020764B1 (ru) 2008-12-23 2015-01-30 Мерк Патент Гмбх Биомаркеры для ингибиторов с антиангиоген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CA2771441C (en) 2009-08-19 2016-10-11 Merck Patent Gmbh Antibodies for the detection of integrin complexes in ffpe material
KR20120106952A (ko) 2009-11-13 2012-09-27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화학요법제가 로딩된 나노입자와 연결된 항 인테그린 항체
WO2011162933A1 (en) * 2010-06-04 2011-12-29 Immunogen, Inc. Anti-integrin immunoconjugate dosing regimens
SI2672994T1 (sl) 2011-02-11 2018-09-28 Merck Patent Gmbh Protitelo proti alfa-v integrinu za zdravljenje raka prostate
JP6035716B2 (ja) 2011-08-26 2016-11-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WO2014143383A1 (en) 2013-03-13 2014-09-18 Agilent Technologies, Inc. Transposome tethered to a gene delivery vehicle
AU2014318017B2 (en) 2013-09-05 2020-02-06 Amgen Inc. Fc-containing molecules exhibiting predictable, consistent, and reproducible glycoform profi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0290A2 (en) * 2007-07-17 2009-01-22 Merck Patent Gmbh Engineered anti-alpha v- integrin hybrid antibodi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linicalTrials.gov archive. ClinicalTrials identifier: NCT00958477(2010.12.2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37212T2 (hu) 2018-08-28
HRP20181212T1 (hr) 2018-10-05
IL227687B (en) 2019-02-28
KR20190044696A (ko) 2019-04-30
CN103347540A (zh) 2013-10-09
AU2017200998A1 (en) 2017-03-09
KR102103701B1 (ko) 2020-04-23
EP2672994B1 (en) 2018-05-09
MX352025B (es) 2017-11-07
AU2012216145A1 (en) 2013-09-26
AU2017200998B2 (en) 2018-08-09
US20140086908A1 (en) 2014-03-27
JP2014510047A (ja) 2014-04-24
JP6488273B2 (ja) 2019-03-20
WO2012107211A1 (en) 2012-08-16
KR101972533B1 (ko) 2019-08-26
SG192667A1 (en) 2013-09-30
DK2672994T3 (en) 2018-07-16
EA201391147A1 (ru) 2014-01-30
PL2672994T3 (pl) 2018-11-30
CA2827052A1 (en) 2012-08-16
EP2672994A1 (en) 2013-12-18
AU2012216145B2 (en) 2016-11-17
SI2672994T1 (sl) 2018-09-28
US20170218070A1 (en) 2017-08-03
JP2017066156A (ja) 2017-04-06
JP6320042B2 (ja) 2018-05-09
RS57524B1 (sr) 2018-10-31
HK1190094A1 (zh) 2014-06-27
US9555110B2 (en) 2017-01-31
CA2827052C (en) 2022-08-16
CN103347540B (zh) 2016-05-25
ZA201306807B (en) 2014-05-28
PT2672994T (pt) 2018-10-22
EA032117B1 (ru) 2019-04-30
US20190263913A1 (en) 2019-08-29
LT2672994T (lt) 2018-07-25
ES2683347T3 (es) 2018-09-26
EP3415162A1 (en) 2018-12-19
TR201810294T4 (tr) 2018-08-27
IL227687A0 (en) 2013-09-30
MX2013009062A (es) 201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4510B2 (ja) 受容体型チロシンキナーゼ阻害剤および血管新生阻害剤を用いる併用療法
US9522956B2 (en) Combination therapy using anti-EGFR and anti-HER2 antibodies
AU2017200998B2 (en) Anti-alpha-v integrin antibody for the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KR20080089489A (ko) 인테그린 리간드를 사용하는 암치료용 특이적 요법
AU2002219221A1 (en) Combination therapy using 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s and angiogenesis inhibitors
TW201002346A (en) Combination of HGF inhibitor and EGF inhibitor to treat cancer
KR20080089645A (ko) 암의 적출 장기 관류 병용 요법
EP3444272A1 (en) Treatment of ck8 positive cancers in relation with k-ras gene status
US20230062308A1 (en) Treatment of ck8 positive cancers in relation with k-ras gene status
WO2024052831A1 (en) Method of treating cancer with an anti tmeff2xcd3 bispecific anti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