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9245A -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9245A
KR20140009245A KR1020137015078A KR20137015078A KR20140009245A KR 20140009245 A KR20140009245 A KR 20140009245A KR 1020137015078 A KR1020137015078 A KR 1020137015078A KR 20137015078 A KR20137015078 A KR 20137015078A KR 20140009245 A KR20140009245 A KR 20140009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unit
wiper
wiper arm
arm adapter
wip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헬무트 데폰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09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6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 B60S1/40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with means provided on the arm for locking the side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83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flat end
    • B60S1/408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flat end the end being provided with protrusions or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6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 B60S1/407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ng part of, or an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wiper bl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된 상태에서 형상 끼워맞춤 결합을 형성하는,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a-10c) 및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a-12c)을 포함하는 자동차 유리용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퍼 장치가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a-12o)에 가동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수단(14a-14o)을 포함하고, 상기 블로킹 수단은, 조립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16a-16c)을 벗어난 방향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a-10c)의 이동 자유를 제한하기 위해 제공된다.

Description

와이퍼 장치{WIPER DEVICE}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른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립된 상태에서 형상 끼워맞춤 결합을 형성하는,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 및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을 구비한 자동차 유리용 와이퍼 장치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과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이 확실하고 간단하게 결합되는 와이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립된 상태에서 형상 끼워맞춤 결합을 형성하는,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 및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을 구비한 자동차 유리용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와이퍼 장치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에 가동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블로킹 수단은, 조립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을 벗어난 방향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의 이동 자유를 제한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응하는 디자인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과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의 결합이 특히 확실하고 편리하게 달성된다.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은 이와 관련해서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 부품과의 접촉 영역을 포함하며 와이퍼 블레이드 부품과 분리 불가능하게 결합되고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과의 결합 및/또는 콘택팅을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 부품의 결합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는 어댑터 유닛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이 베이스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바디는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의 결합 및/또는 콘택팅을 위한 결합 면을 제공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은 이와 관련해서 특히 와이퍼 암 부품과의 접촉 영역을 포함하며 와이퍼 암 부품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과의 결합 및/또는 콘택팅을 위한 와이퍼 암 부품의 결합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는 어댑터 유닛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해서 "설계" 는 특별하게 장착되고 및/또는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조립된 상태"는 이와 관련해서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 및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의미한다. "길이 방향"은 이와 관련해서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의 메인 연장 방향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실질적으로"는 이와 관련해서 특히 10°보다 작은 편차를 의미한다.
블로킹 수단이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의 베이스 바디에 대해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면,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과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의 결합은 특히 간단히 달성될 수 있다.
선회 축이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면,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과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의 결합이 특히 확실히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선회 축은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의 횡 방향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의 특히 간단한 구성이 달성될 수 있다. "횡 방향"은 이와 관련해서 특히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이며 수직 방향에 대해 수직이고 와이핑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와이핑 평면"은 이와 관련해서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에 고정된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해 작동 상태에서 와이핑되는 이상적인 평면을 의미한다. "수직 방향"은 이와 관련해서 특히 와이핑 평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블로킹 수단이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의 베이스 바디에 대해 선형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면,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은 특히 안정하게 실시될 수 있다. "선형으로 이동 가능하게"는 이와 관련해서 특히 병진 운동 상태를 의미한다.
와이퍼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작동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의 베이스 바디에 대한 블로킹 수단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안전 수단을 포함하면, 와이퍼 장치의 작동 안전성이 바람직하게 증가될 수 있다. "안전 수단"은 이와 관련해서 특히 와이퍼 장치의 부품과 압력 끼워맞춤 및/또는 형상 끼워맞춤 결합을 형성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또한, 블로킹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의 가시 외부 면의 적어도 대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와이퍼 장치는 바람직하게 예컨대 물과 같은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대부분"은 이와 관련해서 특히 50% 보다 많은, 바람직하게는 70% 보다 많은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블로킹 수단은 맞물림 수단으로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과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의 신속한 결합이 달성될 수 있다. "맞물림 수단"은 이와 관련해서 특히 조립 과정시 탄성 변형되는 수단을 의미한다.
맞물림 수단이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의 베이스 바디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면,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은 특히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체형으로"는 예컨대 용접 프로세스 및/또는 접착 프로세스 등에 의해 특히 재료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의미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캐스팅 제조 및/또는 단일 성분 또는 다성분 제조에 의해 성형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해,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과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의 결합이 확실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다른 장점들은 하기 실시예 설명에 제시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시된다.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는 많은 특징들을 조합해서 포함한다. 당업자는 상기 특징들을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으로 고려하고, 바람직한 다른 조합으로 통합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c는 조립 과정에서 와이퍼 장치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조립 과정에서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조립 과정에서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조립 과정에서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조립 과정에서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조립 과정에서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조립 과정에서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조립 과정에서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c는 조립 과정에서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조립 과정에서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조립 과정에서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조립 과정에서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조립 과정에서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4a 및 도 14b는 조립 과정에서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5a 및 도 15b는 조립 과정에서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a는 개방된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a) 및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a)을 포함하는 자동차 유리용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12a)에는 가동 지지된 블로킹 수단(14a)이 배치되고, 상기 블로킹 수단은 보닛 부재(18a)에 의해 형성된다.
보닛 부재(18a)는 힌지(20a)에서 선회 가능하게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a)의 베이스 바디(22a)에 지지된다. 베이스 바디(22a)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a)을 분리되어 형성된 와이퍼 블레이드(24a)에 연결한다. 물론, 이와 관련해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a)을 와이퍼 블레이드(24a)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a)은 와이퍼 암(26a)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와 관련해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a)을 와이퍼 암(26a)으로부터 분리하여 형성하고 적합한 연결 수단을 통해 서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a)은 2개의 후방 스토퍼(28a) 및 하나의 고정 노우즈(30a)를 포함한다. 후방 스토퍼들(28a)은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a)의 측벽들(32a)과 일직선으로 끝난다. 고정 노우즈(30a)는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a)의 단부에 돌출부로서 형성되고, 고정 리세스(34a)를 포함한다.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a)의 베이스 바디(22a)는 일체형으로 결합된 2개의 대응 스토퍼(36a)를 포함하고, 상기 대응 스토퍼들은 베이스 바디(22a)의 측벽들(38a)에 배치된다.
보닛 부재(18a)의 2개의 측면 내부 면(40a)에는 상기 내부 면(40a)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2개의 돌출부가 안전 수단(42a)으로서 배치된다. 안전 수단(42a)은 출발 위치로부터 변위될 수 있고 자동으로 다시 출발 위치로 되돌아간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a)은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a)과의 조립을 위해 수직 방향(44a)으로 베이스 바디(22a) 상으로 하강된다. 후방 스토퍼(28a)는 대응 스토퍼(36a)와 일직선으로 끝나므로, 길이 방향(16a)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도 1b)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a)에 대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a)의 길이 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a)은 형태 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베이스 바디(22a) 상에 놓인다. 베이스 바디(22a)에 대한 이동은 수직 방향(44a)으로만 가능하다. 이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보닛 부재(14a)가 힌지(20a)에 의해 실질적으로 횡방향(54a)으로 배치된 선회 축(46a)을 중심으로 선회하고,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a)을 형상 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둘러싼다.
안전 수단(42a)은 대응 스토퍼(36a) 아래로 맞물리고, 보닛 부재(18a)가 다시 개방 상태로 선회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a) 및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a)이 수직 방향(44a)으로 고정되고 조립된 상태로 된다(도 1c). 보닛 부재(14a)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a)의 가시 외부면의 대부분을 형성한다.
도 2 내지 도 15에는 본 발명의 14개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하기 설명들은 실질적으로 실시예들 간의 차이로 제한되며, 변함없는 부품들, 특징들 및 기능들과 관련해서는 제 1 실시예의 설명이 참고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구별을 위해, 도 1의 실시예의 도면 부호 내 문자 a는 도 2 내지 도 15의 실시예의 도면 부호 내 문자 b 내지 o 로 대체된다.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 부품들, 특히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진 부품과 관련해서, 기본적으로 제 1 실시예의 도면들 및/또는 설명이 참고될 수 있다.
도 2a는 개방된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b) 및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b)을 포함하는 와이퍼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b)은 제 1 실시예의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a)에 상응한다.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b)은 베이스 바디(22b) 및 블로킹 수단(14b)을 포함하고, 상기 블로킹 수단은 보닛 부재(18b)에 의해 형성되며 베이스 바디(22b) 상에 길이 방향(16b)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이스 바디(22b)는 2개의 대응 스토퍼(36b)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조립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16b)을 따라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b)에 대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b)의 이동을 방지한다. 또한, 베이스 바디(22b)는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b)의 지지부에 대한 지지 면(48b)을 포함한다.
도 2b는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b)이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b)의 지지 면(48b) 상에 놓이는 제 2 조립 단계에서의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b)의 2개의 후방 스토퍼(28b)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b)의 대응 스토퍼(36b)와의 형상 끼워맞춤 결합을 형성한다.
도 2c는 조립된 상태의 와이퍼 장치를 도시하며, 상기 조립된 상태에서는 보닛 부재(18b)가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b)의 고정 노우즈(30b) 위에 배치되고 따라서 길이 방향(16b) 및 수직 방향(44b)으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b)에 대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b)의 이동을 방지한다.
다시 개방된 상태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보닛 부재(18b)에는 안전 수단(42b)이 제공되고, 상기 안전 수단(42b)은 맞물림 수단(56b)으로서 형성되며 고정 노우즈(30b)에 맞물린다. 물론, 이와 관련해서, 보닛 부재(18)가 다시 개방 상태로 의도치 않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당업자에게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난 다른 안전 수단도 가능하다.
도 3a는 개방된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c) 및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c)을 포함하는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c)은 제 1 실시예의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a)에 상응한다.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c)은 선회 축(46c)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블로킹 수단(14c)을 포함하고, 상기 블로킹 수단은 커버링 플랩(50c)으로서 형성된다. 선회 축(46c)은 길이 방향(16c)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c)은 또한 외부면(52c)을 가진 베이스 바디(22c)를 포함한다. 외부면(52c)은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c)을 외부에 대해, 즉 와이퍼 장치를 둘러싸는 공간에 대해 밀봉한다. 베이스 바디(22c)에는 또한 대응 스토퍼(36c)가 배치된다.
커버링 플랩(50c)은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c)에 측면으로 배치됨으로써, 횡 방향(54c)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선형 이동 상태에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c)의 수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3b는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c)이 베이스 바디(22c) 내로 삽입되는 제 2 조립 단계를 도시한다. 외부면(52c)은 수직 방향(44c)으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c)에 대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c)의 이동 자유를 제한한다.
대응 스토퍼(36c)는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c)의 후방 스토퍼(28c)와 형상 끼워맞춤 결합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c)의 이동 자유가 길이 방향(16c)으로 제한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c)의 이동은 횡 방향(54c)으로만 가능하다.
도 3c는 조립된 상태의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커버링 플랩(50c)은 폐쇄되어 있고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c)의 외부면(52c)과 일직선으로 끝난다. 이로 인해, 횡 방향(54c)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c)의 이동 자유가 제한된다.
도 4a는 개방된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d) 및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d)을 가진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d)은 제 1 실시예의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a)에 상응한다.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d)은 커버링 플랩(50d)으로서 형성된 블로킹 수단(14d)을 가진 베이스 바디(22d)를 포함한다. 커버링 플랩(50d)은 선회 축(46d)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선회 축(46d)은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d)의 횡방향(54d)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베이스 바디(22d)는 외부 면(52d)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면은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d)을 외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밀봉한다. 또한, 베이스 바디(22d)에는 대응 스토퍼(36d)가 배치된다.
커버링 플랩(50d)은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d)에 측면으로 배치됨으로써, 횡 방향(54d)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선형 이동 상태에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d)의 수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4b는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d)이 베이스 바디(22d) 내로 삽입되는 제 2 조립 단계의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외부면(52d)은 수직 방향(44d)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d)의 이동 자유를 제한한다.
대응 스토퍼(36d)는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d)의 후방 스토퍼(28d)와 형상 끼워맞춤 결합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d)의 이동 자유가 길이 방향(16d)으로 제한된다.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d)에 대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d)의 이동은 횡 방향(54d)으로만 가능하다.
도 4c는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커버링 플랩(50d)은 선회 축(46d)을 중심으로 선회되고,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d)의 외부 면(52d)과 일직선으로 끝난다. 커버링 플랩(50d)에 의해 횡 방향(54d)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d)의 이동 자유가 제한된다.
도 5a는 개방된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e) 및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e)을 가진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e)은 제 1 실시예의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a)에 상응한다.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e)은 블로킹 수단(14e)을 가진 베이스 바디(22e)를 포함한다. 블로킹 수단(14e)은 제 1 및 제 2 가요성 맞물림 수단(56e)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맞물림 수단(56e)은 각각 베이스 바디(22e)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맞물림 수단(56e)은 각각 결합 노우즈(58e)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노우즈 위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e)이 밀려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맞물림 수단(56e)은 변위력과 반대로 수직 방향(44e)으로 변위된다. 베이스 바디(22e)는 대응 스토퍼(36e)를 포함하고, 상기 대응 스토퍼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e)의 후방 단부에 배치된다.
도 5b는 조립된 상태의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e)은 베이스 바디(22e) 상으로 밀려져서 상기 베이스 바디와 형상 끼워맞춤 결합을 형성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e)의 후방 스토퍼들(28e)은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e)의 대응 스토퍼(36e)에 일직선으로 접촉한다. 이로 인해,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e)의 이동 자유가 길이 방향(16e)으로 제한된다.
제 1 및 제 2 맞물림 수단(56e)은 각각 변위력에 의해 구동되어 그 출발 위치에 있으므로, 횡 방향(54e)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e)의 이동 자유를 제한한다.
도 6a는 개방된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f) 및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f)을 가진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f)은 외부면(52f) 및 블로킹 수단(14f)을 가진 베이스 바디(22f)를 포함한다. 상기 블로킹 수단은 선회 축(46f)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커버링 플랩(50f)에 의해 형성된다. 선회 축(46f)은 길이 방향(16f)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 6b는 제 2 조립 단계의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f)은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f)의 베이스 바디(22f) 내로 삽입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f)의 이동 자유가 외부 면(52f)에 의해 수직 방향(44f) 및 길이 방향(16f)으로 제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f)의 이동이 횡 방향(54f)으로만 가능하다.
도 6c는 조립된 상태의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커버링 플랩(50f)은 베이스 바디(22f)로 선회되고 외부 면(52f)과 일직선으로 끝난다. 커버링 플랩(50f)에 배치된 안전 수단(42f)은 베이스 바디(22f)에 맞물리고, 개방된 상태로 커버링 플랩(50f)의 재선회를 방지한다.
도 7a는 개방된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g) 및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g)을 가진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g)은 고정 리세스(34g)를 가진 와이퍼 암(26g)을 포함한다.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g)은 블로킹 수단(14g)을 가진 베이스 바디(22g)를 포함한다. 블로킹 수단(14g)은 맞물림 수단(56g)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 수단은 베이스 바디(22g)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베이스 바디(22g)는 또한 커버링 플랩(50g) 및 고정 핀(60g)을 포함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g)의 외부 단부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g)의 베이스 바디(22g)의 내부 면(40g)에 접촉한다.
도 7b는 제 2 조립 단계의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g)은 수직 방향(44g)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수직 축(62g)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g)의 외부 단부는 수직 방향(44g) 및 횡 방향(54g)으로 그 이동 자유가 제한된다.
도 7c는 제 3 조립 단계의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g)은 횡 방향(54g)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횡축(64g)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와이퍼 암(26g)의 고정 리세스(34g)는 고정 핀(60g)과 일직선으로 끝난다. 이로 인해, 고정 핀(60g)은 길이 방향(16g)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g)의 이동을 방지한다.
맞물림 수단(56g)은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g)의 조립시 출발 위치로부터 나와 변위력과 반대로 변위된다. 제 3 조립 단계에서, 맞물림 수단(56g)은 변위 후 다시 출발 위치에 있다. 커버링 플랩(50g)은 조립된 상태에서 베이스 바디(22g)의 외부면(52a)과 일직선으로 끝난다.
도 8a는 개방된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h)과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h)을 가진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h)은 와이퍼 암(26h) 내에 고정 리세스(34h)를 포함한다.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h)은 선형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블로킹 수단(14h)을 포함한다. 블로킹 수단(14h)은 보닛 부재(18h)에 의해 형성된다. 보닛 부재(18h)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h)의 베이스 바디(22h)의 가이드 레일(66h)을 따라 길이 방향(16h)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다.
도 8b는 제 2 조립 단계의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h)은 가이드 레일(66h) 내에 배치된다. 고정 리세스(34h)는 고정 핀(60h)과 일직선으로 끝남으로써, 길이 방향(16h)으로의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h)의 이동 자유를 제한한다.
가이드 레일(66h)은 횡 방향(54h)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h)의 이동을 방지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h)의 이동은 수직 방향(44h)으로만 가능하다. 수직 방향(44h)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h)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보닛 부재(18h)는 가이드 레일(66h)을 따라 이동된다.
도 8c는 조립된 상태의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보닛 부재(18h)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h)의 가시 외부면의 대부분을 형성한다. 보닛 부재(18h)의 의도치 않은 재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보닛 부재(18h)는 내부면에 맞물림 부재를 포함한다(도시되지 않음).
도 9a는 개방된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i) 및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i)을 가진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i)은 와이퍼 암(26i) 내에 배치된 고정 리세스(34i)를 포함한다.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i)은 가이드 레일(66i) 및 블로킹 수단(14i)을 가진 베이스 바디(22i)를 포함한다. 블로킹 수단(14i)은 베이스 바디(22i)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맞물림 수단(56i)으로서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66i)의 단부에는 돌출부(68i)가 배치된다.
도 9b는 제 2 조립 단계의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i)의 단부는 돌출부(68i) 하부로 삽입된다. 횡축(64i)을 중심으로 하는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i)의 회전은 조립된 상태(도 9c)의 와이퍼 장치를 제공한다. 맞물림 수단(56i)은 먼저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i)으로부터 변위된 다음, 고정 리세스(34i) 내로 맞물린다.
조립된 상태에서 횡방향(54i)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i)의 이동 자유가 제한된다. 맞물림 수단(56i)은 길이 방향(16i) 및 수직 방향(44i)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i)을 제한한다.
도 10a는 개방된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j) 및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j)을 가진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j)은 와이퍼 암(26j) 내에 배치된 고정 리세스(34j)를 포함한다.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j)은 가이드 레일(66j) 및 블로킹 수단(14j)을 가진 베이스 바디(22j)를 포함한다. 블로킹 수단(14j)은 가이드 레일(66j)과 일체형으로 결합된 맞물림 수단(56j)으로서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66j)의 단부에는 돌출부(68j)가 배치된다.
도 10b는 제 2 조립 단계의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j)의 단부는 돌출부(68j) 하부로 삽입된다. 횡축(64j)을 중심으로 하는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j)의 회전은 조립된 상태(도 10c)의 와이퍼 장치를 제공한다. 맞물림 수단(56j)은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j)으로부터 먼저 횡 방향(54j)으로 변위된 다음, 와이퍼 암(26j) 위로 맞물린다. 고정 리세스(34j)는 베이스 바디(22j)의 지지면(48j) 상에 배치된 고정 핀(60j)과 일직선으로 끝난다.
조립된 상태에서 횡 방향(54j)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j)의 이동 자유가 제한된다. 맞물림 수단(56j)은 수직 방향(44j)으로만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j)을 제한한다. 길이 방향(16j)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j)의 이동은 고정 핀(60j)과 고정 리세스(34j)의 형상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방지된다.
도 11a는 개방된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k) 및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k)을 가진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k)은 고정 부재(70k) 및 지지 플레이트(72k)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70k)는 실린더형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k)의 횡 방향(54k)으로 연장된다. 지지 플레이트(72k)는 먼저 횡 방향(54k)으로 연장된 다음, 수직 방향(44k)과 반대로 꺽인다.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k)은 실질적으로 u-형 프로파일을 가진 자유 이동 가능한 블로킹 수단(14k) 및 실질적으로 c-형인 2개의 맞물림 리세스(74k)를 포함한다.
도 11b는 제 2 조립 단계의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k)의 지지 플레이트(72k)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k)의 베이스 바디(22k) 상에 놓인다. 고정 부재(70k)는 베이스 바디(22k)의, 수직 방향(44k)으로 연장되는 오목부(76k) 내에 형상 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배치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k)의 이동 자유는 길이 방향(16k)으로 제한된다. 횡방향(54k)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k)의 이동 자유는 꺽인 지지 플레이트(72k) 및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k)과 결합된 와이퍼 암(26k)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k)에 대해 제한된다.
도 11c는 조립된 상태의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블로킹 수단(14k)은 베이스 바디(22k) 위로 이동되고 베이스 바디 내로 삽입됨으로써, 수직 방향(44k)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고정 부재(70k)가 맞물림 리세스(74k) 내로 맞물려 스냅 연결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블로킹 수단(14k)은 수직 방향(44k)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k)의 이동 자유를 제한한다.
도 12a는 개방된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l) 및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l)을 가진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l)은 고정 리세스(34l) 및 후방 스토퍼(28l)를 포함한다.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l)은 블로킹 수단(14l)을 포함하고, 상기 블로킹 수단은 선회 축(46l)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며 보닛 부재(18l)에 의해 형성된다. 선회 축(46l)은 횡 방향(54l)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l)은 또한 실질적으로 사각형 횡단면을 가진 고정 핀(60l)을 가진 베이스 바디(22l)를 포함한다. 베이스 바디(22l)에는 측벽(38l)에 대응 스토퍼(36l)가 배치된다.
도 12b는 제 2 조립 단계의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l)은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l)의 베이스 바디(22l) 상에 놓인다. 고정 리세스(34l)는 고정 핀(60l)과 형상 끼워맞춤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길이 방향(16l) 및 횡방향(54l)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l)의 이동을 방지한다. 추가로 길이 방향(16l)으로 이동 자유가 대응 스토퍼(36l)와 후방 스토퍼(28l)의 형상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방지된다.
수직 방향(44l)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l)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블로킹 수단(14l)은 선회 축(46l)을 중심으로 선회된다. 이 경우, 보닛 부재(18l)의 일부가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l) 위로 맞물리고, 수직 방향(44l)으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l)에 대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l)의 이동 자유를 제한한다.
도 12c는 조립된 상태의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개방된 상태로 보닛 부재(18l)의 재선회는 보닛 부재(18l)의 리세스(78l) 내에 배치된 맞물림 수단(56l)에 의해 방지된다. 맞물림 수단(56l)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식으로 베이스 바디(22l)와 맞물린다.
도 13a는 보닛 부재(18m)로서 형성되며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m)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배치된 블로킹 수단(14m)을 가진 도 12a 내지 도 12c의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보닛 부재(18m)는 핀으로서 형성된 안전 수단(42m)을 포함한다.
도 13b는 제 2 조립 단계의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보닛 부재(18m)는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m)용 측면 가이드를 형성한다.
도 13c는 조립된 상태의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보닛 부재(18m)는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m) 상으로 선회되고, 이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과 형상 끼워맞춤 결합을 형성한다. 안전 수단(42m)은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m)의 베이스 바디(22m)의 리세스(78m) 내로 맞물린다. 리세스(78m)는 베이스 바디(22m)의 고정 핀(60m)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개방된 상태로 보닛 부재(18m)의 재선회가 방지된다.
도 14a는 개방된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n) 및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n)을 가진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n)은 고정 리세스(34n)를 포함한다.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n)은 블로킹 수단(14n)을 포함하고, 상기 블로킹 수단은 자유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보닛 부재(18n)에 의해 형성된다.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n)은 또한 실질적으로 사각형 횡단면을 가진 고정 핀(60n)을 가진 베이스 바디(22n)를 포함한다.
고정 리세스(34n)는 고정 핀(60n)과 함께 형상 끼워맞춤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길이 방향(16n) 및 횡 방향(54n)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n)의 이동을 방지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n)의 이동은 수직 방향(44n)으로만 가능하다.
도 14b는 조립된 상태의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보닛 부재(18n)는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n) 위로 밀려지고, 베이스 바디(22n) 내에 배치된 2개의 오목부(76n) 내로 맞물린다. 보닛 부재(18n)의 재이동은 베이스 바디(22n)에 배치된 맞물림 수단(56n)에 의해 방지된다. 맞물림 수단(56n)은 보닛 부재(18n)의 리세스 내로 맞물린다.
도 15a는 개방된 상태의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o) 및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o)을 가진 와이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o)은 고정 리세스(34o) 및 후방 스토퍼(28o)를 포함한다.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o)은 블로킹 수단(14o)을 가진 베이스 바디(22o)를 포함한다. 블로킹 수단(14o)은 베이스 바디(22o)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맞물림 수단(56o)으로서 형성된다. 베이스 바디(22o)는 대응 스토퍼(36o)를 포함한다.
도 15b는 조립된 상태의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o)은 베이스 바디(22o)와 형상 끼워맞춤 결합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횡 방향(54o)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o)의 이동이 방지된다. 베이스 바디(22o)의 대응 스토퍼(36o)는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o)의 후방 스토퍼(28o)와 일직선으로 끝남으로써, 길이 방향(16o)으로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o)에 대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o)의 이동을 방지한다.
맞물림 수단(56o)은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o)의 고정 리세스(34o) 내로 맞물린다. 이로 인해, 수직 방향(44o)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o)의 이동 자유가 제한된다.
10a-10o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
12a-12o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
14a-14o 블로킹 수단
16a-16o 길이 방향
22a-22m 베이스 바디
46a-46m 선회 축
56e-56o 맞물림 수단

Claims (11)

  1. 조립된 상태에서 형상 끼워맞춤 결합을 형성하는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a-10o)과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a-12o)을 포함하는 자동차 유리용 와이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a-12o)에 가동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수단(14a-14o)이 제공되고, 상기 블로킹 수단은, 조립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16a-16o)으로부터 벗어난 방향으로 상기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a-10o)의 이동 자유를 제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수단(14a; 14c; 14d; 14f; 14l; 14m)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a; 12c; 12d; 12f; 12l; 12m)의 베이스 바디(22a; 22c; 22d; 22f; 22l; 22m)에 대해 선회 축(46a; 46c; 46d; 46f; 46l; 46m)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축(46c; 46f)은 상기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c; 10f)의 길이 방향(16c; 16f)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축(46a; 46d; 46l; 46m)은 상기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a; 10d; 10l; 10m)의 횡 방향(16a; 16d; 16l; 16m)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수단(14b; 14h; 14k; 14h)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b; 12h; 12k; 12n)의 베이스 바디(22b; 22h; 22k; 22n)에 대해 선형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안전 수단(42a; 42b; 42m)이 제공되고, 상기 안전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상태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a; 12b; 12m)의 베이스 바디(22a; 22bl 22m)에 대한 상기 블로킹 수단(14a; 14b; 14m)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수단(14a; 14f; 14h; 14m)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상태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12a; 12f; 12h; 12m)의 가시 외부 면의 적어도 대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수단(14e; 14g; 14i; 14j; 14o)은 맞물림 수단(56e; 56g; 56i; 56j; 56o)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수단(56e; 56g; 56i; 56j; 56o)은 상기 와이퍼 암 어댑터 유닛(10e; 10g; 10i; 10n; 10o)의 베이스 바디(22e; 22g; 22i; 22n; 22o)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
  11. 제 10 항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 유닛을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KR1020137015078A 2010-12-13 2011-11-11 와이퍼 장치 KR201400092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62940.5 2010-12-13
DE102010062940A DE102010062940A1 (de) 2010-12-13 2010-12-13 Wischvorrichtung
PCT/EP2011/069902 WO2012079866A1 (de) 2010-12-13 2011-11-11 Wisch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245A true KR20140009245A (ko) 2014-01-22

Family

ID=44925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078A KR20140009245A (ko) 2010-12-13 2011-11-11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30333144A1 (ko)
EP (1) EP2651718A1 (ko)
JP (1) JP5730404B2 (ko)
KR (1) KR20140009245A (ko)
CN (1) CN103459212B (ko)
BR (1) BR112013014732A2 (ko)
DE (1) DE102010062940A1 (ko)
RU (1) RU2013132360A (ko)
WO (1) WO20120798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163400U (zh) 2011-07-29 2012-03-14 杨志铭 具有连接元件的雨刷
US9533655B2 (en) * 2012-12-04 2017-01-03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EP2815932B1 (en) * 2013-06-19 2019-04-10 Valeo Systèmes d'Essuyage Wiper blade for cleaning vehicle windows, wiper arm for a wiper blade and wiper device
FR3031712B1 (fr) * 2015-01-16 2018-10-12 Valeo Systemes D'essuyage Capot d’essuie-glace configure pour recouvrir une partie terminale d’un bras d’essuie-glace
CN204845878U (zh) * 2015-03-24 2015-12-09 美途汽配实业(厦门)有限公司 n形刮臂用一体式连接器
FR3037903B1 (fr) * 2015-06-26 2017-07-14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un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et ensemble comportant un tel adaptateur
DE102015215706A1 (de) * 2015-08-18 2017-02-23 Robert Bosch Gmbh Wischblattadapter
DE102015222156A1 (de) 2015-11-11 2017-05-11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ITUA20162268A1 (it) * 2016-04-04 2017-10-04 Cartix S R L Elemento connettore di accoppiamento relativo tra spazzole di tergicristallo a bracci di azionamento delle stesse
FR3055861B1 (fr) * 2016-09-14 2019-07-12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la connexion d'un balai d'essuyage a un bras d'entrainement d'un systeme d'essuyage pour vehicule automobile
KR101908551B1 (ko) 2017-02-22 2018-12-19 에이디엠이십일(주)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연결장치
FR3066457B1 (fr) * 2017-05-19 2019-07-12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destine a relier un balai d'essuyage a un bras d'entrainement d'un systeme d'essuyage
US11529931B2 (en) * 2018-02-19 2022-12-20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arm adapter, coupler and assembly
CN215475006U (zh) * 2021-06-11 2022-01-11 丹阳镇威汽配有限公司 雨刮连接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41186A2 (de) * 1983-09-13 1985-05-15 Equipements Automobiles Brevetés PAUL JOURNEE S.A. Scheibenwischerhalterung
JP2006525903A (ja) * 2003-05-09 2006-11-16 フオルクスヴアーゲ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ウインドウワイパ装置のワイパアームに設けられるワイパブレードのための接続装置
JP2010018273A (ja) * 2008-07-11 2010-01-28 Adm 21 Co Ltd フラットワイパーブレードとワイパーアームとの連結装置
JP2010525988A (ja) * 2007-05-07 2010-07-29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ワイパブレードをワイパアームにヒンジ式に結合するための接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2463A (en) * 1957-08-23 1963-03-26 Swf Spezinlfabrik Fur Autozube Securing device for windshield wiper blades
US3056160A (en) * 1959-05-14 1962-10-02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wiper
DE2136958A1 (de) * 1970-08-13 1972-02-17 Karlschloss Anstalt, Vaduz Vorrichtung zur Verbindung eines Wischerblatts mit dem hin- und hergehenden Wischerarm eines Scheibenwischers
FR2171470A5 (ko) * 1972-02-01 1973-09-21 Ducellier & Cie
DE2352777C3 (de) * 1973-10-20 1978-06-29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Lösbare Verbindung zwischen dem Wischblatt und dem Wischarm einer Scheibenwaschanlage
US3900916A (en) * 1974-09-23 1975-08-26 Anderson Co Double latch connector
JPS6164564A (ja) * 1984-09-06 1986-04-02 Nissan Motor Co Ltd ワイパ−ブレ−ド
FR2600291A1 (fr) * 1986-06-18 1987-12-24 Marchal Equip Auto Dispositif d'attache reliant un bras d'essuie-glace et un etrier portant une lame racleuse
FR2692387B1 (fr) * 1992-06-10 1994-07-29 Schlumberger Ind Sa Dispositif pour eliminer la buee formee sur la face interieure d'une vitre de totalisateur.
JP2000255387A (ja) * 1999-03-04 2000-09-19 Maruenu Kk ワイパーとアームとの連結具
DE10065014A1 (de) * 2000-12-23 2002-07-04 Bosch Gmbh Robert 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FR2830823B1 (fr) * 2001-10-15 2004-02-27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fermoir de securite
FR2844492B1 (fr) * 2002-09-12 2005-06-10 Valeo Systemes Dessuyage Agencement de fixation d'un balai d'essuie glace sur un bras
GB0311960D0 (en) * 2003-05-23 2003-06-25 Trico Ltd Wiper arm connecting clip
JP2005042770A (ja) * 2003-07-24 2005-02-17 Sumitomo Wiring Syst Ltd クランプの係止構造
DE102004016016A1 (de) * 2004-04-01 2005-10-20 Bosch Gmbh Robert Gelenkfreies Wischblatt
DE102004019541A1 (de) * 2004-04-22 2005-11-10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DE102009000762B4 (de) * 2009-02-11 2020-07-23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mit einer Adaptereinheit zur Befestigung an einem Wischarm
US20100205763A1 (en) * 2009-02-18 2010-08-19 Chin Pech Co., Ltd. Universal Adaptors for Connecting Wiper Blades to Wiper Arms
DE102009002764A1 (de) * 2009-04-30 2010-11-04 Robert Bosch Gmbh Anschluss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mit einem Wischarm fest verbundenen Verbindungsele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41186A2 (de) * 1983-09-13 1985-05-15 Equipements Automobiles Brevetés PAUL JOURNEE S.A. Scheibenwischerhalterung
EP0141186B1 (de) * 1983-09-13 1987-08-12 Equipements Automobiles Brevetés PAUL JOURNEE S.A. Scheibenwischerhalterung
JP2006525903A (ja) * 2003-05-09 2006-11-16 フオルクスヴアーゲ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ウインドウワイパ装置のワイパアームに設けられるワイパブレードのための接続装置
JP2010525988A (ja) * 2007-05-07 2010-07-29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ワイパブレードをワイパアームにヒンジ式に結合するための接続装置
JP2010018273A (ja) * 2008-07-11 2010-01-28 Adm 21 Co Ltd フラットワイパーブレードとワイパーアームとの連結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6-525903호(2006.11.16.) 1부. *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0-525988호(2010.07.29.)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33144A1 (en) 2013-12-19
JP5730404B2 (ja) 2015-06-10
CN103459212A (zh) 2013-12-18
JP2013545666A (ja) 2013-12-26
CN103459212B (zh) 2016-03-16
WO2012079866A1 (de) 2012-06-21
BR112013014732A2 (pt) 2016-10-04
EP2651718A1 (de) 2013-10-23
DE102010062940A1 (de) 2012-06-14
RU2013132360A (ru) 201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9245A (ko) 와이퍼 장치
KR100692887B1 (ko) 자동차의 윈드실드용 와이퍼 장치
US10266152B2 (en) Wiper blade and wiper arm
EP2465739B1 (en) Wiper device
US6643889B1 (en) Wiper apparatus including pivot limiting means
KR101360330B1 (ko) 와이퍼 블레이드에 와이퍼 암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장치
CN104228770B (zh) 挡风玻璃雨刮器、雨刮系统及雨刮系统组件
CN107878404B (zh) 将擦拭器刮片连接到机动车辆擦拭器系统驱动臂的适配器
SK1152001A3 (en) Wiper device for motor vehicle windows
US10040427B2 (en) Wiper arm fitted with a spray nozzle
US20150135463A1 (en) Wiper blade adapter system
US9545898B2 (en) Connector or adaptor for a windscreen wiping system, in particular of a motor vehicle
US10150451B2 (en) Top-lock wiper blade adapter
CN105209305A (zh) 擦拭器刮片和驱动臂之间的连接器
US9821773B2 (en) Connecting assembly for a windscreen wiper blade
CN107000697B (zh) 具有洗涤水喷嘴的刮水臂装置
US20080313844A1 (en) Blade Components Fitting System
CN108791200A (zh) 用于擦拭系统的适配器
US20180265044A1 (en) Device for connecting a windscreen wiper blade to a drive arm
EP2704927A1 (en) Device for supplying a washing fluid to a wiper arm
CN209757053U (zh) 刮水组件
US20150059115A1 (en) Adapter comprising flexible tongues for a wiping system
US10246057B2 (en) Adaptor for connecting a windscreen wiper unit to a driving arm
WO2007122572A2 (en) A bracket for windshield wipers of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