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277A - 스트로우 파우치 - Google Patents

스트로우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277A
KR20140008277A KR1020130160207A KR20130160207A KR20140008277A KR 20140008277 A KR20140008277 A KR 20140008277A KR 1020130160207 A KR1020130160207 A KR 1020130160207A KR 20130160207 A KR20130160207 A KR 20130160207A KR 20140008277 A KR20140008277 A KR 20140008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termediate layer
pouch
straw
endothel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4545B1 (ko
Inventor
김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명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명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명팩
Priority to KR1020130160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545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7/00Portable flexible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하게 빨대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음용 하는 경우에 빨대 만으로 쉽게 관통할 수 있는 스트로우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2매의 파우치원단이 내부에 공간을 가지도록 접합되고, 상기 파우치원단 중 적어도 1매는, 최외측에 배치되는 외피층; 상기 외피층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중간층; 상기 제1중간층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중간층; 상기 제2중간층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3중간층; 및 상기 제3중간층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피층을 가지며, 상기 외피층과 상기 제1중간층에는 스트로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파우치이다.

Description

스트로우 파우치{Straw pouch}
본 발명은 스트로우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빨대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음용 하는 경우에 빨대 만으로 쉽게 관통할 수 있는 스트로우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 포장용기는 그 소재에 따라 크게 페트(PET)병, 알루미늄캔, 종이팩, 유리병, 파우치 팩 등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음료제품 용기의 소재에 다양한 디자인이 도입되어 소비자의 호기심과 구매욕구를 더욱 더 자극시키고 있다.
여기서 음료 포장용 파우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팩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담아 밀폐한 후 장기간 또는 휴대를 목적으로 보관하는데 이용된다.
페트 소재의 파우치 팩 용기는 캔 용기와 같이 일그러지거나 내부의 부식이 없어 장기 보관이 가능하며, 종이팩과 같이 쉽게 찢어지거나 마모되어 내용물이 유출될 염려가 없고, 유리병과 같이 파열되거나 금이 갈 위험이 없다. 또한 캔 식품에 비해 부드럽고 가벼워 운반하기 편하다.
이와 같이 밀봉상태의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며 휴대하기 쉽고 가벼운 장점을 가지고 있어 널리 애용되고 있는 페트 소재의 파우치 팩은 상기와 같이 대부분 단순하게 합성수지의 합지로 된 팩에 내용물을 담아 밀폐시켜 보관하도록 되어 있어, 음용 시에는 일측단을 가위 또는 칼로 절단하여 개방시킨 후 음용 하거나 개방된 부위에 빨대(스트로우)를 꽂아 음용 하거나, 컵에 따라서 음용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우치는 생산 및 유통 측면에서 볼 때, 내용물을 밀폐하여 보관하기에는 더할 수 없이 유용한 것이었으나, 사용자 측면에서는 절취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쏟아지거나 튀겨 사용자의 옷이나 피부 또는 주변을 오염시키는 등 사용자에게 있어서 취급상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음료용 파우치에서는 빨대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페트 소재의 파우치는 페트의 특성상 빨대만으로는 쉽게 절취되지 않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파우지 일부를 절개하여 빨대를 삽입하거나, 강제로 빨대의 첨예한 부분을 이용하여 파우치에 창공하게 된다.
특히, 빨대를 이요하여 창공하는 경우에 빨대가 파우치의 표면에서 쉽게 미끄러져 버려 창공작업을 실패하게 되고, 이러한 실패를 몇 번 반복하다보면 빨대의 첨예한 부분이 마모되거나 더욱 심하게는 빨대가 부러지게 된다.
따라서, 한국특허공개 제10-2004-0006755호와 같이 빨대를 삽입하는 관통홀을 미리 형성하고, 시일(seal)을 붙여 관통홀을 막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관통홀 부분이 취약하여 외부에서 압력을 받을 경우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04-0006755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게 빨대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음용 하는 경우에 빨대 만으로 쉽게 관통할 수 있는 스트로우 파우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2매의 파우치원단이 내부에 공간을 가지도록 접합되고, 상기 파우치원단 중 적어도 1매는, 최외측에 배치되는 외피층; 상기 외피층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중간층; 상기 제1중간층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중간층; 상기 제2중간층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3중간층; 및 상기 제3중간층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피층을 가지며, 상기 외피층과 상기 제1중간층에는 스트로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파우치이다.
상기 외피층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이고, 상기 제1중간층 및 상기 제2중간층은 PE(Polyethylene)이며, 상기 제3중간층은 알루미늄호일이며, 상기 내피층은 LDPE(저밀도폴리에틸렌, Low Density Polyethylen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내피층은 LLDPE(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또는 CPP(무연신폴리프로필렌, Cast Polypropylene)이고, 상기 내피층과 상기 제3중간층은 DL(Dry lamination)의 부착방법으로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내피층을 상기 제3중간층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내피층과, 상기 제1내피층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내피층으로 구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제1내피층은 PE(폴리에틸렌)이고, 상기 제2내피층은 LLDP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제2중간층 및 제3중간층에의 스트로우홀을 동일한 영역에는 스트로우에 의한 창공이 용이하도록 가압흔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통하여, 사용자는 스트로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파우치의 몸체를 관통하여 내부의 음료를 취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음료의 외부유출을 막을 수 있어서 파우치의 취급이 용이하므로,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고객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스트로우 파우치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스트로우 파우치의 원단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스트로우 파우치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파우치를 지시한다. 상기 파우치(1)는 2매의 파우치원단(3,4)가 서로 접합하여 이루어지며, 그 중 일방의 파우치원단(3)에 스트로우홀(14)이 형성된다. 상기 파우치원단(3,4)의 접합은 초음파접합 등 열융착에 의해 3개 모서리(24,26)의 테두리만 접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가지게 된다. 이 상태가, 상기 파우치(1)를 제조하는 공정에서의 최종상태이며, 이후에 상기 공간에 음료 등을 장입한 후에 나머지 1개 모서리를 접합하여 최종제품을 완성하게 된다.
스트로우홀이 형성되지 않은 파우치원단(4)은 공지된 구조를 가지거나, 상기 파우치원단(3)과 스트로홀(14)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파우치원단(4)이 공지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일예로 상기 파우치원단(4)은 외피층(40)과, 중간층(42), 및 내피층(4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피층(40)으로는 PET를 사용할 수 있고, 중간층(42)으로는 알루미늄포일(42)을 사용하며, 내피층(44)으로는 PE를 사용할 수 있다. PET는 외부의 공기와의 차단성이 우수하며, 내열성 및 인쇄성이 우수하여 포장재의 표면재질로 쓰이며, 알루미늄포일은 공기와의 차단성이 우수하여 중간재로 사용되고, PE는 파우지의 내산화성이 강해 내부물질에 상관없이 변형이 없을 뿐 아니라 열 봉합 특성도 우수하여 파우치의 내부재료로 사용된다.
외피층(40)과, 중간층(42), 및 내피층(44)는 각 층의 특성을 이용하기 위해 합지를 하며, 합지방법은 접착제를 이용해 붙이는 DL(Dry Lamination)방법이나, 필름성형과정에서 용융 상태에서 붙이기도 하는데 이 때는 접착제 대신 코팅용 PE가 이용된다.
그리고, 스트로우홀(14)이 형성되는 파우치원단(3)은 공지기술과 달리 스트로우홀(14)을 형성하기 위한 특유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파우치원단(3)은 최외측에 배치되는 외피층(10)과, 상기 외피층(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중간층(12)과, 상기 제1중간층(12)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중간층(16)과, 상기 제2중간층(16)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3중간층(18)과, 상기 제3중간층(18)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내피층(20)과, 상기 제1내피층(2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내피층(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파우치원단(3)의 개략적인 제조과정과 각층의 특징 및 결합관계를 도 2를 통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공급롤(100)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상기 외피층(10)은 외부의 공기와의 차단성과, 내열성 및 인쇄성을 고려하여 PET를 사용한다. 그리고, 제1내피층(12)은 PE를 사용하며, 상기 외피층(10)에 접착제롤(102)에 의해 접착제(11)를 도포한 상태에서 제1부착롤(104)를 지나면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외피층(10) 및 상기 제1중간층(12)은 천공기(106)를 지나면서 스트로우홀(14)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중간층(12)의 상측으로 제2중간층(16)과 제3중간층(18)이 공급되면서 제2부착롤(108)을 지나면서 스트로우홀(14)을 가지는 상기 제1중간층(12) 및 상기 외피층(10)에 부착된다. 상기 제2중간층(16)은 상기 제1중간층(12)과 부착성이 좋은 PE를 사용하고, 상기 제3중간층(18)은 공기와의 차단성이 우수한 알루미늄호일이 사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중간층(16)과 상기 제3중간층(18)의 스트로우홀(14)을 커버하는 영역에 가압기(110)에 의해 스트로우에 의한 창공이 용이하도록 가압흔(15)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기(110)에 작창된 가압흔블럭을 상기 스트로홀(14)의 주위로 눌러주는 것에 의해 상기 가압흔블럭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상기 제2중간층(16)과 상기 제3중간층(18)의 스트로우홀(14)을 커버하는 영역에 눌린 자국이 생기게 된다. 이 결과, 스트로우가 상기 제2중간층(16)에 맞닿을 때, 상기 가압흔(15)에 의해 쉽게 파열되도록 상기 스트로우의 첨예한 부분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중간층(18)의 표면으로 제1내피층(20)과 제2내피층(22)의 순으로 공급하여 제3부착롤(112)에 의해 상기 제3중간층(18)의 표면으로 제1내피층(20)과 제2내피층(22)이 차례로 부착된다.
상기 제1내피층(20)은 PE를 사용하고, 상기 제2내피층(22)으로는 LLDPE를 사용할 수 있다. PE는 상기 제3중간층(18)과의 부착성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이고, LLDPE는 상기 PE와 부착성이 좋고, 내산화성이 강해 내부물질에 상관없이 변형이 없을 뿐 아니라 열 봉합 특성도 우수하므로 채택된다.
또, 도 3에 도시된 실시예2의 파우치원단(5)과 같이, 하나의 내피층(23)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3중간층(18)에 접착제를 바르고 DL방법으로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피층(23)은 LLDPE(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또는 CPP(무연신폴리프로필렌, Cast Polypropylene)을 사용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건조기(114)를 통과시켜 회수롤(116)에 권취하면 상기 파우치원단(3)의 준비는 종료된다.
이후에, 상기 파우치원단(4)과 함께 상기 회수롤(116)에 권취된 파우치원단(3)을 공급하면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원단(3,4)의 공급방향으로 모서리(24)를 열융착하여 부착시키고, 일정길이마다 공급방향에 수직방향인 모서리(26)를 융착하면서 절단하면 최종적인 파우치(1)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 파우치 3,4,5: 파우치원단
10: 외피층 11: 접착제
12: 제1중간층 14: 스트로우홀
15: 가압흔 16: 제2중간층
18: 제3중간층 20: 제1내피층
22: 제2내피층 23: 내피층
24,26: 모서리 40: 외피층
42: 중간층 44: 내피층
100: 공급롤 102: 접착제롤
104: 제1부착롤 106: 천공기
108: 제2부착롤 110: 가압기
112: 제3부착롤 114: 건조기
116: 회수롤

Claims (7)

  1. 2매의 파우치원단이 내부에 공간을 가지도록 접합되고,
    상기 파우치원단 중 적어도 1매는,
    최외측에 배치되는 외피층;
    상기 외피층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중간층;
    상기 제1중간층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중간층;
    상기 제2중간층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3중간층; 및
    상기 제3중간층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피층을 가지며,
    상기 외피층과 상기 제1중간층에는 스트로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파우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층은 PET이고, 상기 제1중간층 및 상기 제2중간층은 PE이며, 상기 제3중간층은 알루미늄호일이며, 상기 내피층은 LLP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파우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층은 PET이고, 상기 제1중간층 및 상기 제2중간층은 PE이며, 상기 제3중간층은 알루미늄호일이며, 상기 내피층은 LLDPE이고, 상기 내피층과 상기 제3중간층은 DL의 부착방법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파우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층은 PET이고, 상기 제1중간층 및 상기 제2중간층은 PE이며, 상기 제3중간층은 알루미늄호일이며, 상기 내피층은 CPP이고, 상기 내피층과 상기 제3중간층은 DL의 부착방법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파우치.
  5. 2매의 파우치원단이 내부에 공간을 가지도록 접합되고,
    상기 파우치원단 중 적어도 1매는,
    최외측에 배치되는 외피층;
    상기 외피층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중간층;
    상기 제1중간층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중간층;
    상기 제2중간층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3중간층; 및
    상기 제3중간층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내피층;
    상기 제1내피층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내피층을 가지며,
    상기 외피층과 상기 제1중간층에는 스트로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파우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층은 PET이고, 상기 제1중간층 및 상기 제2중간층은 PE이며, 상기 제3중간층은 알루미늄호일이며, 상기 제1내피층은 PE이고, 상기 제2내피층은 LLDP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파우치.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간층 및 제3중간층에의 스트로우홀을 동일한 영역에는 스트로우에 의한 창공이 용이하도록 가압흔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파우치.
KR1020130160207A 2013-12-20 2013-12-20 스트로우 파우치 KR101544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207A KR101544545B1 (ko) 2013-12-20 2013-12-20 스트로우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207A KR101544545B1 (ko) 2013-12-20 2013-12-20 스트로우 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277A true KR20140008277A (ko) 2014-01-21
KR101544545B1 KR101544545B1 (ko) 2015-08-21

Family

ID=50142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207A KR101544545B1 (ko) 2013-12-20 2013-12-20 스트로우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5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731A (ko) * 2019-01-15 2020-07-23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식품 포장용 파우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91615A (ko) 2020-01-14 2021-07-22 주식회사 삼영특수인쇄 친환경 생분해 파우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725Y1 (ko) 2005-11-08 2006-01-23 조흥묵 음료용 포장용기
KR101043022B1 (ko) 2010-06-08 2011-06-21 플레어 플렉시블 패키징 코포레이션 직선형 절취특성을 갖는 파우치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파우치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731A (ko) * 2019-01-15 2020-07-23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식품 포장용 파우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91615A (ko) 2020-01-14 2021-07-22 주식회사 삼영특수인쇄 친환경 생분해 파우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545B1 (ko) 201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1558B2 (ja) ジッパー付包装袋
JP4787833B2 (ja) チャックテープ付き袋の製造装置、製造方法
JP2012025453A (ja) 包装袋
JP5659824B2 (ja) 包装袋
JP6111537B2 (ja) 紙容器の製造方法
JP6051899B2 (ja) カップ型紙容器の製造方法及びカップ型紙容器
KR20140008277A (ko) 스트로우 파우치
JP6819145B2 (ja) 包装袋及びその開封方法
KR20070049495A (ko) 음료용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물
KR200406725Y1 (ko) 음료용 포장용기
JP4489515B2 (ja) ミシン目
JP2019112093A (ja) 液体用紙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6688666B2 (ja) ガゼット袋、及びガゼット袋の製造方法
JP6626317B2 (ja) スパウト付きガゼット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25472A (ja) 紙容器
JP2014088215A (ja) カップ型紙容器
JP6136125B2 (ja) カップ型紙容器
JP2014005002A (ja) 口栓付き紙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95068U (ja) 包装袋
JP7175056B1 (ja) 折り曲げ開封包装体
JP6303489B2 (ja) 包装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069704B2 (ja) パウチ
JP7031162B2 (ja) 自立性包装袋
JP4287252B2 (ja) 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体の製造方法
JP2017214131A (ja) 包装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