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180A -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180A
KR20140008180A KR1020120075593A KR20120075593A KR20140008180A KR 20140008180 A KR20140008180 A KR 20140008180A KR 1020120075593 A KR1020120075593 A KR 1020120075593A KR 20120075593 A KR20120075593 A KR 20120075593A KR 20140008180 A KR20140008180 A KR 20140008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drug
extract
seed
pelle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9462B1 (ko
Inventor
우문제
윤병구
정재혁
홍남두
박찬성
최성원
Original Assignee
광동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동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5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462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93Tablet coating proc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구형의 주약물 씨드, 이를 이용하여 펠렛 제제의 전체 중량 대비 주약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인습성을 개선시킨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 펠렛 제제는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주약물 씨드를 사용함으로써, 펠렛 제제 전체 중량에 대한 주약의 함량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므로 환자가 펠렛 제제를 복용할 경우, 1회 복용량을 줄이므로 복용의 용이함이 있다. 또한, 주약물 씨드를 제조할 때, 고속회전에 의한 입자충돌을 통하여 구형을 이룸으로써, 생약 추출엑스가 수분에 노출되는 겉면적을 최소화하여 인습효과를 줄일 수 있고, 구형의 주약물 씨드 상에 주약물층 및 방습층를 균일하게 도포가 가능하다. 또한, 방습층의 균일한 도포로 인해 방습층의 두께가 일정해짐으로써, 수분이 닿는 접계면의 취약한 면을 최소화하여 수분의 흡수를 줄이는 효과가 우수하고, 주약물층 위에 방습제인 제피제를 균일하게 코팅하여 방습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종래의 생약 추출엑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제의 인습성 문제가 개선된 펠렛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Pellet containing the herbal extract Ex having improved madesc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구형의 주약물 씨드를 사용하여 펠렛 제제의 전체 중량 대비 주약의 함량이 증가되고,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한방에서 사용되고 있는 생약의 제제화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생약은 천연물로서 자연에서 채취한 것을 비롯하여 인위적으로 재배한 것을 모두 포함하며, 그 생육조건(기후, 토질, 환경 등)에 따라 품질이 다르다. 또한, 같은 장소에서 같은 조건에 자란 생약이라도 일정한 품질이 되지 못하여 채취시기, 생육연수, 가공조건(진품선별, 건조, 세약, 절단, 포제 등), 저장보관 등에 의하여 품질이 달라진다.
천연물인 생약은 천연물 자체의 생명유지를 위한 대사 산물을 인간이 이용하는 것으로, 약용으로서는 불필요한 섬유질, 지질 등이 상당량 포함되어 있어 인간이 생약을 통해 원하는 효과를 얻기란 어렵다.
이에, 생약을 의약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유효성분만을 추출하여 부피를 줄이고 복용에 편리한 추출엑스 제제를 제조하여야 한다.
생약 추출엑스 제제는 생약 중에 함유된 다종다양한 성분들 중에는 유효성분만을 분해되지 않도록 추출하여야 하며, 성분이 안정하게, 복용에 편리하게, 그리고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생약 추출엑스 제제는 유효성, 안정성, 안전성, 재현성을 확보하고 복용에 편리한 제제가 되어야 한다.
생약 추출엑스에는 제제화에 방해가 되고, 더불어 인습 작용을 하는 당, 수지, 탄닌, 검(gum)질, 셀룰로오스 등의 다양한 성분들이 혼재되어 있다. 생약 추출엑스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약리활성 성분들 중 배당체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성분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은 추출엑스 내에서 강한 인습성을 나타낸다.
특히, 복합생약 추출엑스 제제는 단일생약 추출엑스에 비하여 강한 인습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성분과 함께, 제제화에 방해가 되며 인습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당, 수지, 탄닌, 검(gum)질, 셀룰로오스 등의 성분들이 더욱 많이 함유되어 있어, 생약 추출엑스의 인습성을 개선시켜 의약품으로서의 제제화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2종 이상의 수용성 물질을 혼합할 때 그 임계속도는 각 성분의 임계습도의 적과 같다"는 에드워드(Edward) 가설과 같이 생약 추출엑스의 인습성은 생약 추출엑스에 함유된 인습성 성분의 개수에 비례하여 커지게 되므로, 단일생약뿐만 아니라 복합생약으로부터 추출된 생약 추출엑스의 경우 인습성으로 인하여 의약품으로서의 제제화가 매우 어렵다.
또한, 최근에는 조제 및 복용 편의성에 장점이 있는 과립제 제형이 생약 추출엑스 제제에도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생약 추출엑스를 과립제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부형제를 가하여 복용에 편리한 과립형태로 제제화를 하게 되는데, 생약 추출엑스의 강한 인습성으로 인해 부득이 부형제를 과다한 양으로 첨가하여 과립을 만들고, 만들어진 과립을 밀봉 상태로 포장하여 유통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생약 추출엑스 과립 중 유효성분의 함량을 허가 처방에 적합하도록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할 정도로 대단히 어려우며, 또한, 생약 추출엑스 과립의 포장 작업은 인습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내온도 15 ℃, 습도 45% 전후의 항온, 항습이 조절되는 실내에서 행하여야 하고, 포장은 은박 7 ㎛, 비닐 50 ㎛, 셀로판 80 ㎛ 이상으로 된 은박지에 감압하면서 기밀 포장하여야 하며, 제품의 저장은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하는 등, 상기 생약 추출엑스의 인습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장 공정에 비용이 많이 들고, 보관 시 제약이 많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습성으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 및 생약 추출엑스 과립 중 유효성분인 주약의 함량을 허가 처방에 적합하도록 높여 복용량을 줄이는 문제는 생약제제 개발은 물론 생약 추출엑스의 과립화에 중요한 해결과제로 대두되고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생약 추출엑스 함유 제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종래,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6719호는 홍삼 또는 인삼 정분을 함유하는 구형의 미세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특허문헌 1). 상기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구형의 미세캡슐은 미세캡슐 내의 주약물 함량이 높고, 미세캡슐화 되어 장기보관에 용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씨드에 직접적으로 인삼 엑기스를 분사하는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씨드에 적정량의 주약물을 붙이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인삼엑기스, 시간 등이 요구되는 결과 매우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코팅층이 불균일하게 도포되며, 코팅층에 단순한 HPMC 등의 폴리머 코팅제만을 사용하므로 크랙(crack)이 생겨 인습이 일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6326호에는 고농도의 인삼 성분을 함유하는 인삼 엑기스 그래뉼 및 환제의 제조방법으로, 구체적으로 유동층 공정기를 이용하여 인삼 엑기스의 함량을 높인 인삼 엑기스 그래뉼 및 환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특허문헌 2). 상기 인삼 엑기스 그래뉼 및 환제의 제조방법은 그래뉼 및 환제의 주약 함량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인삼 엑기스의 함량만을 높이는 것이 주목적이므로 인습성 방지를 위한 효과는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약 추출엑스에 대하여 주약 함량을 높이고 인습성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종래에는 시도되지 않았던 생약 추출엑스, 즉, 주약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구형의 씨드를 제조한 다음, 이를 유동층 공정기 내에서 주약물층으로 코팅하고, 제피제로 분무코팅을 수행하여 제조된 펠렛 제제가 생약 추출엑스의 인습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켰을 뿐만 아니라, 펠렛 제제의 전체 중량 대비 주약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671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632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주약물인 생약 추출엑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구형의 씨드를 이용하여, 주약의 함량이 높고 구형의 형태 및 방습층을 통해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펠렛 제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1) 생약 추출엑스를 주성분으로 하고, 결합제 및 부형제를 보조성분으로 포함하는 구형의 주약물 씨드와;
(2) 생약 추출엑스, 결합제, 가소제 및 활택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형의 주약물 씨드 상에 코팅되는 주약물층과; 및
(3) 상기 주약물층 상에 코팅되는 방습층을 포함하는 생약 추출엑스 펠렛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약 추출엑스 및 부형제에 결합액을 분사하면서 고속회전에 의한 입자충돌을 통해 구형의 과립을 형성시킨 후, 균일한 크기로 선별하여 구형의 주약물 씨드(seed)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구형의 주약물 씨드에 생약 추출엑스, 결합제, 가소제 및 활택제를 포함하는 주약물층 분무액을 분무하여 상기 구형의 주약물 씨드 상에 주약물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형성된 주약물층 상에 제피제를 포함하는 방습층 코팅액을 분무하여 방습층이 코팅된 펠렛 제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주약 함량이 높고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제1항의 펠렛 제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 펠렛 제제는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주약물 씨드를 사용함으로써, 펠렛 제제 전체 중량에 대한 주약의 함량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므로 환자가 펠렛 제제를 복용할 경우, 1회 복용량을 줄이므로 복용의 용이함이 있다. 또한, 주약물 씨드를 제조할 때, 고속회전에 의한 입자충돌을 통하여 구형을 이룸으로써, 주약물층 및 방습층을 균질하게 코팅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구형의 주약물층 상에 방습층을 균일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종래의 생약 추출엑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제의 인습성 문제가 개선된 펠렛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주약물 씨드의 형태를 비교한 도면이다.
상기 도 2에서 나타내는 부호는 하기와 같다.
(가): 비교예 2에 따른 주약물 씨드의 형태
(나): 비교예 3에 따른 주약물 씨드의 형태
(다): 실시예 1에 따른 주약물 씨드의 형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2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의 건조감량방식(LOD, Loss of Dry weight)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2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의 인습 정도를 동일 조건 하에서 시간에 따라 비교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제조 단계별 생성물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제제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Ⅰ. 펠렛 제제
본 발명에 따른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펠렛 제제는,
(1) 생약 추출엑스를 주성분으로 하고, 결합제 및 부형제를 보조성분으로 포함하는 구형의 주약물 씨드와;
(2) 생약 추출엑스, 결합제, 가소제 및 활택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형의 주약물 씨드 상에 코팅되는 주약물층과; 및
(3) 상기 주약물층 상에 코팅되는 방습층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제제의 구성성분을 상세히 설명한다.
1. 주약물 씨드(seed)
본 발명에 따른 구형의 주약물 씨드는 생약 추출엑스, 결합제 및 부형제를 포함하며,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의 고속 회전에 의한 입자 충돌을 통해 구형의 과립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고속회전은 생약 추출엑스에 결합액을 분사시켜 생성되는 구형의 주약물 씨드를 제조하기 위해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의 회전력을 가하거나 또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회전력을 동시에 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력은 구형의 주약물 씨드 제조를 위해 고속으로 회전시켜 구형의 주약물 씨드를 형성시킬 수 있는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지테이터 또는 초퍼를 포함하는 고속전단믹서(high shear mixer)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생약 추출엑스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제제에 있어서, 상기 씨드를 구성하는 주약물은 복합생약 추출엑스를 사용하나, 단일생약 추출엑스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합생약 추출엑스로는 삼소음, 갈근탕, 쌍화탕, 소청룡탕, 시호계지탕, 은교산, 반하사심탕, 평위산, 맥문동탕, 오적산, 방풍통성산, 당귀작약산, 구미강활탕, 가미소요산, 반하사심탕, 대시호탕, 시호청간탕, 소석적려, 십전대보탕, 영계출감망, 온경탕, 작약감초탕, 삼황사심망, 황련해독탕, 대황목단피탕, 인진호탕,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 소경활혈탕, 안중산, 계지탕, 시호계지건강탕, 생강사심탕, 탁리소독음, 갈근탕가천궁신이, 계지가용골모려탕, 시함탕, 향사평위산, 이중탕, 을자탕, 계지복령탕, 시호가용골모려탕, 감맥대조탕, 도핵승기탕, 계지가작약탕, 팔미원, 신비탕, 당귀작약산, 궁귀교애탕, 오림산, 사물탕, 배농산급탕, 용담사간탕, 연교패독산, 보중익기탕, 십미패독탕, 소반하가복령탕, 내소산, 계마각반탕, 반하후박탕, 자음강화탕, 삼출건비, 백출탕, 이진탕, 소시호탕, 자감초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삼소음, 갈근탕, 쌍화탕, 소청룡탕, 시호계지탕, 은교산, 반하사심탕, 평위산, 맥문동탕, 오적산, 방풍통성산, 당귀작약산 및 구미강활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결합제
본 발명에 따른 구형의 주약물 씨드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히프로멜로오스(HPM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폴리비닐알코올(PVA), 포비돈 등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제의 함량은 주약물 씨드에 포함되는 생약 추출엑스 중의 생약 건조분말 1 중량부에 대해 0.01-0.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5-0.15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3) 부형제
본 발명에 따른 구형의 주약물 씨드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는 유당, 전분,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양이온 교환수지, 말토오스, 아라비아 검, 메틸셀룰로오스, D-만니톨 등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유당 수화물, 옥수수 전분 또는 침강탄산칼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의 함량은 주약물 씨드에 포함되는 생약 추출엑스 중의 생약 건조분말 1 중량부에 대해 0.5-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7-6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펠렛 제제 제조 시 분무액이 서로 뭉치는 문제가 있다.
(4) 붕해제
본 발명에 따른 구형의 주약물 씨드에 있어서, 상기 주약물 씨드는 붕해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붕해제는 전분(D-glucose), 아르긴산(Alginic acid), 소듐스타르크글리콜레이트(sodium starchglycolate), 크로스포비돈(Crospovidone), 크로스카fm멜로즈 소듐(croscarmellpse sodium),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칼슘(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칼슘포스페이트 3염기(calcium phosphate tribasic) 또는 침강탄산칼슘 등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전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붕해제의 함량은 주약물 씨드에 포함되는 생약 추출엑스 중의 생약 건조분말 1 중량부에 대해 0.05-0.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12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주약물 씨드의 주약은 펠렛 제제의 전체 주약의 5 내지 60 %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으나 60 %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펠렛 제제의 주약물 씨드에 포함된 주약의 함량은 1 g으로 전체 주약 1.7 g의 약 60 %에 해당한다. 이러한, 주약물 씨드에 포함되는 주약의 함량은 종래에 제조되었던 펠렛 제제에서 해결할 수 없었던 주약 함량의 증가를 가능하게 함을 알 수 있다.
2. 주약물층
(1) 생약 추출엑스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제제에 있어서, 상기 씨드를 구성하는 주약물은 복합생약 추출엑스를 사용하나, 단일생약 추출엑스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합생약 추출엑스로는 삼소음, 갈근탕, 쌍화탕, 소청룡탕, 시호계지탕, 은교산, 반하사심탕, 평위산, 맥문동탕, 오적산, 방풍통성산, 당귀작약산, 구미강활탕, 가미소요산, 반하사심탕, 대시호탕, 시호청간탕, 소석적려, 십전대보탕, 영계출감망, 온경탕, 작약감초탕, 삼황사심망, 황련해독탕, 대황목단피탕, 인진호탕,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 소경활혈탕, 안중산, 계지탕, 시호계지건강탕, 생강사심탕, 탁리소독음, 갈근탕가천궁신이, 계지가용골모려탕, 시함탕, 향사평위산, 이중탕, 을자탕, 계지복령탕, 시호가용골모려탕, 감맥대조탕, 도핵승기탕, 계지가작약탕, 팔미원, 신비탕, 당귀작약산, 궁귀교애탕, 오림산, 사물탕, 배농산급탕, 용담사간탕, 연교패독산, 보중익기탕, 십미패독탕, 소반하가복령탕, 내소산, 계마각반탕, 반하후박탕, 자음강화탕, 삼출건비, 백출탕, 이진탕, 소시호탕, 자감초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삼소음, 갈근탕, 쌍화탕, 소청룡탕, 시호계지탕, 은교산, 반하사심탕, 평위산, 맥문동탕, 오적산, 방풍통성산, 당귀작약산 및 구미강활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생약 추출엑스의 농도는 35-75 브릭스(brix)인 것이 바람직하고, 40-60 브릭스(Brix)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2) 결합제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제제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히프로멜로오스(HPM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폴리비닐알코올(PVA), 포비돈 등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제의 함량은 주약물층에 포함되는 생약 추출엑스 중의 생약 건조분말 1 중량부에 대해 0.01-0.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0.15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3) 가소제
상기 가소제는 직접적으로 방습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나, 결합제가 감당할 수 있는 최대의 응력을 나타내는 인장강도를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하여, 결합제가 주약물층의 표면에 고르게 코팅되게 하거나, 장기간 보관 시, 결합제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균열로 인하여 틈새가 생기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틈새로 들어가는 수분을 차단하여 방습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가소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PEG-DMA)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소제의 함량은 상기 결합제의 1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0.0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4) 활택제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제제에 있어서, 상기 활택제는 탈크, 이산화규소, 규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아연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레이트 C, 마그네슘 라우릴 설페이트 또는 산화마그네슘 등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탈크 또는 이산화규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택제의 함량은 주약물층에 포함되는 생약 추출엑스 중의 생약 건조분말 1 중량부에 대해 0.0001-0.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1-0.05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5) 부형제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제제에 있어서, 상기 주약물층은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형제는 유당 수화물, 옥수수 전분,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양이온 교환수지, 말토오스, 아라비아 검, 메틸셀룰로오스 또는 D-만니톨 등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D-만니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의 함량은 주약물층에 포함되는 생약 추출엑스 중의 생약 건조분말 1 중량부에 대해 0.01-0.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0.05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펠렛 제제 제조 시 분무액이 서로 뭉치는 문제가 있다.
3. 방습층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제제에 있어서, 상기 방습층은 주약물층 내의 생약 추출엑스의 인습을 방지하기 위해 주약물층 상에 방습물질인 제피제로 코팅하여 제조된다.
(1) 제피제
상기 제피제는 소수성으로서, 주약물층 상에 코팅되어 인습 작용을 억제하는 안티모이스쳐블라커(anti-moisture blocker)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제제는 상기 제피제를 코팅하여, 펠렛 제제에 직접적으로 방습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종래의 펠렛 제제에 비해 방습 효과가 상당히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2 참조).
이때, 상기 제피제는 OY-C-7000A 또는 AMB-오파드라이(AMB-opadry)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피제의 함량은 펠렛 제제 전체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1인 것이 바람직하다.
Ⅱ. 펠렛 제제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제제의 제조방법은 생약 추출엑스 및 부형제에 결합액을 분사하면서 고속회전에 의한 입자충돌을 통해 구형의 과립을 형성시킨 후, 균일한 크기로 선별하여 구형의 주약물 씨드(seed)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구형의 주약물 씨드에 생약 추출엑스, 결합제, 가소제 및 활택제를 포함하는 주약물층 분무액을 분무하여 상기 구형의 주약물 씨드 상에 주약물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형성된 주약물층 상에 방습층 코팅액을 분무하여 방습층이 코팅된 펠렛 제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계 1: 주약물 씨드의 제조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1은,
생약 추출엑스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A);
결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B);
상기 단계 1-A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 및 부형제를 기기 내에 주입한 다음, 상기 단계 1-B에서 제조된 결합액을 분무하면서 과립을 형성시키는 단계(단계 1-C); 및
상기 단계 1-C에서 제조된 과립을 크기가 균일한 입도분포의 주약물 씨드를 선별하는 단계(1-D)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A의 생약 추출엑스는 생약 추출액을 농축하여 고형분으로 만든 것으로서, 생약 건재를 추출기에 넣고, 추출한 추출액을 농축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생약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생약 건재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식힌 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생약 건재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방법으로는 여과법, 열수추출, 침출, 환류냉각추출 및 초음파추출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열수추출 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회 내지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는 생약 건재 중량에 5 내지 20배 첨가할 수 있으며, 5 내지 10배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6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 내지 5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엑스가 생약 추출 건조엑스를 물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액에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되는 경우,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씨드를 구성하는 주약물은 복합생약 추출엑스를 사용하나, 단일생약 추출엑스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합생약 추출엑스는 삼소음, 갈근탕, 쌍화탕, 소청룡탕, 시호계지탕, 은교산, 반하사심탕, 평위산, 맥문동탕, 오적산, 방풍통성산, 당귀작약산, 구미강활탕, 가미소요산, 반하사심탕, 대시호탕, 시호청간탕, 소석적려, 십전대보탕, 영계출감망, 온경탕, 작약감초탕, 삼황사심망, 황련해독탕, 대황목단피탕, 인진호탕,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 소경활혈탕, 안중산, 계지탕, 시호계지건강탕, 생강사심탕, 탁리소독음, 갈근탕가천궁신이, 계지가용골모려탕, 시함탕, 향사평위산, 이중탕, 을자탕, 계지복령탕, 시호가용골모려탕, 감맥대조탕, 도핵승기탕, 계지가작약탕, 팔미원, 신비탕, 당귀작약산, 궁귀교애탕, 오림산, 사물탕, 배농산급탕, 용담사간탕, 연교패독산, 보중익기탕, 십미패독탕, 소반하가복령탕, 내소산, 계마각반탕, 반하후박탕, 자음강화탕, 삼출건비, 백출탕, 이진탕, 소시호탕, 자감초탕 등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삼소음, 갈근탕, 쌍화탕, 소청룡탕, 시호계지탕, 은교산, 반하사심탕, 평위산, 맥문동탕, 오적산, 방풍통성산, 삼소음 및 구미강활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1-B는 결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결합액은 히프로멜로오스(HPM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폴리비닐알코올(PVA) 및 포비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결합제를 물,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액에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1-C는 상기 단계 1-A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 및 부형제를 기기 내에 주입한 다음, 상기 단계 1-B에서 제조된 결합액을 분무하면서 고속회전에 의한 입자의 충돌을 통해 구형의 과립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고속회전은 생약 추출엑스에 결합액을 분사시켜 생성되는 구형의 주약물 씨드를 제조하기 위해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의 회전력을 가하거나 또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회전력을 동시에 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력은 구형의 주약물 씨드 제조를 위해 고속으로 회전시켜 구형의 주약물 씨드를 형성시킬 수 있는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지테이터 또는 초퍼를 포함하는 고속전단믹서(high shear mixer)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1-D는 상기 단계 1-C에서 제조된 구형의 과립을 균일한 크기의 주약물 씨드를 선별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1-D는 단계 1-C에서 제조된 구형의 과립의 크기를 균질하게 하여 균일성을 줄뿐 아니라, 주약물층 도입시, 균일하게 코팅될 수 있도록 결합액의 용매로 인해 서로 뭉친 씨드를 분리하는 단계이다.
이때, 분리된 구형의 주약물 씨드의 입자는 14 내지 30 mesh의 입도 분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약물 씨드의 선별은 적절한 입도분포를 갖는 입자만을 선별할 수 있는 장치, 예를 들면 코밀(COMIL) 등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2: 주약물층 코팅 단계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2는,
생약 추출엑스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2-A);
결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B);
가소제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C);
상기 단계 2-A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 단계 2-B에서 제조된 결합액; 및 단계 2-C에서 제조된 분산액을 혼합하여 주약물층 분무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D); 및
유동층 공정기 내에 씨드를 넣고, 상기 단계 2-D에서 제조된 주약물층 분무액을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구형의 주약물 씨드에 분무하여 주약물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단계 2-E)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A의 생약 추출엑스는 생약 추출액을 농축하여 물엿과 같은 농도로 만든 것으로서, 생약 건재를 추출기에 넣고, 추출한 추출액을 농축한 농축액을 사용하거나, 생약 건조 추출엑스를 물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액에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생약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생약 건재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식힌 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생약 건재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방법으로는 여과법, 열수추출, 침출, 환류냉각추출 및 초음파추출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열수추출 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회 내지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는 생약 건재 중량에 5 내지 20배 첨가할 수 있으며, 5 내지 10배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6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 내지 5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엑스가 생약 건조 추출엑스를 물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액에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되는 경우,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약물층을 구성하는 주약물은 복합생약 추출엑스를 사용하나, 단일생약 추출엑스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합생약 추출엑스는 삼소음, 갈근탕, 쌍화탕, 소청룡탕, 시호계지탕, 은교산, 반하사심탕, 평위산, 맥문동탕, 오적산, 방풍통성산, 당귀작약산, 구미강활탕, 가미소요산, 반하사심탕, 대시호탕, 시호청간탕, 소석적려, 십전대보탕, 영계출감망, 온경탕, 작약감초탕, 삼황사심망, 황련해독탕, 대황목단피탕, 인진호탕,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 소경활혈탕, 안중산, 계지탕, 시호계지건강탕, 생강사심탕, 탁리소독음, 갈근탕가천궁신이, 계지가용골모려탕, 시함탕, 향사평위산, 이중탕, 을자탕, 계지복령탕, 시호가용골모려탕, 감맥대조탕, 도핵승기탕, 계지가작약탕, 팔미원, 신비탕, 당귀작약산, 궁귀교애탕, 오림산, 사물탕, 배농산급탕, 용담사간탕, 연교패독산, 보중익기탕, 십미패독탕, 소반하가복령탕, 내소산, 계마각반탕, 반하후박탕, 자음강화탕, 삼출건비, 백출탕, 이진탕, 소시호탕, 자감초탕 등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삼소음, 갈근탕, 쌍화탕, 소청룡탕, 시호계지탕, 은교산, 반하사심탕, 평위산, 맥문동탕, 오적산, 방풍통성산 및 구미강활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생약 추출엑스의 농도는 35-75 브릭스(brix)인 것이 바람직하고, 40-60 브릭스(Brix)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농도가 진할 경우에는 유동성이 적어지기 때문에 분무액이 유동층 공정기의 분무조립기 내부로 잘 이송되지 않거나, 노즐을 막아 공급이 중단되거나, 씨드에 도포된 후 용매가 휘발되지 않아서 씨드끼리 서로 뭉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농도가 낮을 경우에는 유동성은 좋아지지만, 분무조립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분무되는 액의 농도가 낮기 때문에 씨드에 피복되기 전에 분말화되어 수율이 떨어지거나, 씨드에 피복된 주약물층의 물성이 불량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2-B는 결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결합액은 히프로멜로오스(HPM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폴리비닐알코올(PVA) 및 포비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결합제를 물,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액에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2-C는 가소제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산액은 가소제 및 활택제를 물,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액에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산액에는 부형제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소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PEG-DMA)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택제는 탈크, 이산화규소, 규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아연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레이트 C, 마그네슘 라우릴 설페이트 또는 산화마그네슘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탈크 또는 이산화규소를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부형제는 유당 수화물, 옥수수 전분,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양이온 교환수지, 말토오스, 아라비아 검, 메틸셀룰로오스 또는 D-만니톨 등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D-만니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은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2-D는 상기 단계 2-A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 및 상기 단계 2-B에서 제조된 결합액과 상기 단계 2-C에서 제조된 분산액을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주약물층 분무액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2-E는 상기 단계 2-D에서 제조된 주약물층 분무액을 상기 주약물 씨드에 분무코팅하여 주약물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주약물층 분무액을 상기 씨드에 분무코팅하여 주약물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씨드를 유동층 공정기 용량의 2/5-1/2 정도 넣고, 주입구 온도를 70-85 ℃까지 올린다. 이때, 유동층 공정기 내부온도(Material Temp.)는 40-60 ℃로 설정한다.
주입구의 온도가 안정화되면, 송풍기를 켜고 송풍속도를 100-150 m3/h(설비용량 400-600 g의 경우)로 하여 상기 씨드를 유동시킨다.
상기 설비용량이 40-60 kg인 경우에는 약 1000-1600 m3/h 사이에서 조정한다.
유동층 공정기 외부의 컬럼 조절기(상, 하)를 이용하여, 씨드의 유동이 가장 잘되는 위치에 컬럼을 고정한 뒤, 유동층 공정기의 주입구 온도가 70 내지 85 ℃에 안정화되고, 내부온도는 45 ℃이상이 되면 분무액을 5-6 rpm 속도로 분무하며, 내부온도가 50 ℃ 이상이 되고, 유동층 공정기 내부의 분무액이 피복된 씨드가 서로 붙지 않고, 피복 및 유동이 잘 되면 분무액 속도를 서서히 올려준다(최대 12 rpm).
피복 중인 씨드의 중량이 증가하면, 유동이 잘 일어나는 위치로 컬럼을 재조정하고, 유동층 조립 공정이 완료되면(분무액의 분무 완료), 약 5 내지 15분간 유동을 더 실시한 후, 유동층 공정기의 조작키를 차례대로 정지시키고, 내부온도가 30 내지 40 ℃ 이하로 떨어지면, 주약물층으로 코팅된 과립을 꺼낸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무액이 씨드에 반복적으로 피복되면, 피복 중인 씨드의 중량이 서서히 증가한다. 이때, 송풍속도, 주입구 온도, 내부온도 및 분무속도는 조립 공정에 있어 중요한 파라미터이며, 서로 상관관계를 가지므로, 각각 조절하여 조건을 최적화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 공정기의 송풍속도, 주입구 온도, 내부온도 및 분무속도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1개 입자를 일정한 크기로 조립할 수 없고, 2 내지 3개 입자가 서로 결합하여 얻고자하는 입자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실패의 가능성이 높고, 각 입자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단계 3: 방습층 코팅 단계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3은
방습층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A);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과립의 주약물층 상에 제피제로 이루어진 방습층 코팅액을 분무코팅하여 펠렛 제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B)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3-A의 방습층 코팅약은 제피제를 물과 알코올을 혼합한 용액에 혼합하여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피제로는 OY-C-7000A 또는 AMB-오파드라이(AMB-opadry)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피제의 함량은 펠렛 제제 전체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1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3-B는 유동층 공정기 내에서 상기 단계 2에서 형성된 주약물층 상에 방습층 코팅액을 분무코팅하여 펠렛 제제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유동층 공정기 내에서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주약물층이 코팅된 과립을 송풍기를 이용하여 상부로 유동시킨 다음, 상기 단계 3-A에서 제조된 방습층 코팅액을 분무함으로써 주약물층을 코팅하며, 이를 실시하여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코팅된 펠렛 제제가 제조된다.
이때, 유동층 공정기의 운전 조건은 상기 단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펠렛 제제의 주약 함량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제제는 주약물 씨드에 유효성분인 주약이 약 5 내지 60 % 함유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환자에게 처방되기 위한 허가처방 주약 함량인 1.7 g을 맞추면, 실제 복용량은 약 2.5 내지 3 g이 된다. 하지만, 종래의 과다한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의 경우, 실제로 환자에게 처방이 되기 위해 허가 처방에 적합한 약 1.7 g의 주약 함량을 맞추면, 환자에게 처방되는 양은 약 8 g으로 상당히 많은 복용량이 요구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제제의 실제 복용량인 2.5 내지 3 g에 비해 상당히 많은 양임을 알 수 있다(표 1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주약물 씨드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는 유효성분인 주약을 함유하는 주약물 씨드을 사용함으로써, 펠렛 제제 중량 대비 전체 주약의 함량을 높여 1회 실제 복용량을 줄이는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약물 씨드에 주약물층 및 방습층이 차례로 코팅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펠렛 제제의 기초가 되는 주약물 씨드는 고속회전에 의한 입자의 충돌을 통해 구형을 이룸으로써, 생약 추출엑스가 수분에 노출되는 겉면적을 최소화하여 인습효과를 줄일 수 있고, 구형의 주약물 씨드 상에 주약물층 및 방습층를 균일하게 도포가 가능하다. 또한, 방습층의 균일한 도포로 인해 방습층의 두께가 일정해짐으로써, 수분이 닿는 접계면의 취약한 면을 최소화하여 수분의 흡수를 줄이는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고, 방습 물질로 코팅된 방습층으로 인한 방습 효과가 상당히 뛰어나므로 펠렛 내부로의 수분 침투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약물 씨드의 제조에 있어서 주약물 씨드의 제조방법에 따른 구형화 형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제조된 주약물 씨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단계 1에서 제조된 주약물 씨드를 육안으로 비교한 결과,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 제조되는 주약물 씨드는 구형으로 제조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주약물 씨드는 씨드를 만드는 과정에서 이미 수분을 많이 흡수하여 덩어리로 뭉치는 경향을 나타나 구형으로 제조할 수 없었으며,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주약물 씨드는 구형이 아닌 봉상형의 과립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1 참조).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주약물 씨드는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된 주약물 씨드에 비해 씨드의 형태가 구형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약물 씨드의 제조방법을 통해, 구형의 주약물 씨드를 제조함으로써, 생약 추출엑스가 수분에 노출되는 겉면적을 최소화할 뿐 아니라, 구형의 주약물 씨드 상에 주약물층 및 방습층의 균일한 도포가 가능하므로 수분이 닿는 접계면의 방습층 두께가 전체적으로 일정하여 인습에 취약한 면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써 수분의 흡수를 줄이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의 방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 제조된 펠렛을 각각 페트리디쉬에 저장하여 온도 40±2 ℃, 사대습도 75±5%의 조건에서 16시간 동안 방치한 뒤, 건조감량방식(LOD, Loss of Dry weight)을 측정하고, 육안 및 용기를 기울임으로써 인습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표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삼소음 펠렛 제제는 수분 침투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종래의 삼소음 펠렛은 수분 침투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실험예 2 참조).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는 종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의 펠렛에 비해 인습을 상당히 지연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삼소음 펠렛의 제조
단계 1: 주약물 씨드의 제조
단계 1-A: 삼소음 건조 추출엑스(5 .6:1) 분말의 제조
자소엽 317 g, 지실 425 g, 길경 425 g, 진피 425 g, 갈근 425 g, 전호 425 g, 반하 634 g, 복령 634 g, 인삼 951 g, 대추 317 g, 건강 0.209 g, 목향 317 g 및 감초 209 g,을 추출기에 넣고, 물을 약 57.12 L를 가하여 95 내지 100 ℃에서 4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식힌 후, 여과하여 삼소음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건조하여 삼소음 건조 추출엑스 분말(5.6:1, 1,020 g)을 제조하였다.
단계 1-B: 결합액의 조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6 g에 99 %의 에탄올 57.05 g을 넣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100 내지 500 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분산시킨 후, 혼합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액에 정제수 30 g을 첨가하며 용해시켰다. 용해된 액을 80 mesh의 채로 여과하여 결합액을 조제하였다.
단계 1-C: 구형의 주약물 과립의 제조
상기 단계 1-A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 600 g, 부형제 210 g 및 붕해제 24 g을 고속전단믹서 내에 주입하였다. 그 후, 고속전단믹서의 내부온도는 약 25 ℃로 유지시키고, 고속전단믹서(SM-5C, 세종파마텍사) 내의 아지테이터의 회전속도는 120 rpm, 초파의 회전 속도는 2000 rpm으로 설정한 다음, 상기 단계 1-B에서 조제한 결합액을 연합하여 구형의 주약물 과립을 제조하였다.
단계 1-D: 구형의 주약물 씨드의 제조
상기 단계 1-C에서 제조된 과립을 1500 rpm으로 설정된 코밀을 사용하여 제립한 다음, 트레이(tray) 건조기에서 60 내지 65 ℃의 온도에서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과립을 다시 1500 rpm으로 설정된 코밀(QuadroConmil-1437, Quadro)에 주입하여 14 내지 30 mesh의 크기가 균일화된 구형의 주약물 씨드(840 g)를 제조하였다.
단계 2: 주약물층 코팅 공정
단계 2-A: 삼소음 추출엑스의 제조
상기 단계 1-A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삼소음 건조추출엑스 분말을 제조한 다음, 정제된 정제수 525 g와 에탄올 428 g의 혼합용액에, 삼소음 건조 추출엑스 분말 420 g을 넣고 교반기로 교반시켜 삼소음 추출엑스를 조제하였다(삼소음 추출엑스의 농도: 48 브릭스).
단계 2-B: 결합액의 조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24 g을 99 %의 에탄올 100 g에 용해시킨 다음, 100 내지 500 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혼합된 히드록시프로필실룰로오스액에 정제수 100 g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된 결합액을 조제하였다.
단계 2-C: 분산액의 제조
에탄올 287 g과 정제수 375 g의 혼합용액에 가소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PEG6000) 12 g, 활택제로서 탈크 6 g 및 부형제로 D-만니톨 18 g을 넣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단계 2-D: 주약물층 분무액의 제조
상기 단계 2-A에서 제조된 삼소음 추출엑스 1,373 g에 상기 단계 2-B에서 제조된 결합액을 224 g 및 단계 2-C에서 제조된 분산액 698 g을 넣고, 균질하게 될 때까지 교반하여 주약물층 분무액을 제조하였다.
단계 2-E: 주약물층 분무액의 코팅
유동층 공정기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구형의 주약물 씨드를 1140 g을 주입하고, 주입구 온도는 80 ℃, 송풍속도는 110 m3/h, 분무압력은 1.6 bar, 액체펌프 속도는 4 내지 6 g/min, 재료온도는 55 ℃로 유동층 공정기의 설정조건에 맞추어 안정화시킨 후, 유동층 공정기에서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구형의 주약물 씨드를 진공압을 이용하여 유동시키면서 상기 단계 2-D에서 제조된 주약물층 분무액을 주약물 씨드에 분사하여 도포하였다.
단계 3: 방습층 코팅 공정
단계 3-A: 방습층 코팅액의 제조
1차 방습 제피제인 오파드라이 OY-C-7000A 90 g을 정제수 270 g과 에탄올 513 g의 혼합용액에 용해시켜, 1차 방습층 코팅액을 제조하고, 2차 방습 제피제인 AMB-오파드라이(AMB-opadry) 90 g을 정제수 600 g에 따로 용해시켜 2차 방습층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단계 3-B: 방습층 코팅
주약물 씨드 대신에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주약물층이 코팅된 과립을 사용하고, 주약물층 분무액 대신에 1차 방습층 코팅액을 사용하여 1회 코팅 후, 2차 방습층 코팅액을 사용하여 추가 1회 코팅을 더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삼소음 펠렛 제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과정 용 도 실시예 1
성 분 분 량 (g)
단계 1 주성분 삼소음 건조 추출엑스 분말 600
결합제 히드록싶로필셀룰로오스 6
부형제 옥수수 전분 210
붕해제 침강탄산칼슘 24
단계 2 주성분 삼소음 건조 추출엑스 분말 420
결합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24
가소제 폴리에틸렌글리콜 12
활택제 탈크 6
부형제 D-만니톨 18
단게 3 제피제 OY-C-7000A 90
제피제 AMB-오파드라이 90
합 계 1,500
< 실시예 2> 갈근탕 펠렛의 제조
주약물 씨드 및 주약물층에 사용하는 삼소음 대신 갈근탕(작약 200 g, 계피 200 g, 감초 134 g, 갈근 534 g, 마황 266 g, 대추 266 g을 함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갈근탕 펠렛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쌍화탕 펠렛의 제조
주약물 씨드 및 주약물층에 사용하는 삼소음 대신 쌍화탕(1포 중 작약 3.13 g, 감초 0.94 g, 대추 0.67 g, 천궁 1.25 g, 당귀 1.25 g, 계피 0.94 g, 건강 0.50 g, 황기 1.25 g, 숙지황 1.25 g을 함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쌍화탕 펠렛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소청룡탕 펠렛의 제조
주약물 씨드 및 주약물층에 사용하는 삼소음 대신 소청룡탕(1포 중 반하 2.00 g, 감초 1.00 g, 계지 1.00 g, 오미자 1.00 g, 세신 1.00 g, 작약 1.00 g, 마황 1.00 g, 건강 1.00 g을 함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소청룡탕 펠렛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시호계지탕 펠렛의 제조
주약물 씨드 및 주약물층에 사용하는 삼소음 대신 시호계지탕(1포 중 인삼 0.67 g, 감초 0.67 g, 대추 0.67 g, 시호 1.67 g, 계지 1.00 g, 건강 0.33 g, 반하 1.33 g, 작약 1.00 g, 황금 0.67 g을 함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시호계지탕 펠렛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6> 은교산 펠렛의 제조
주약물 씨드 및 주약물층에 사용하는 삼소음 대신 은교산(1포 중 금은화 1.42 g, 연교 1.42 g, 박하 0.8220 g, 길경 0.852 g, 감초 0.852 g, 담죽엽 0.568 g, 형개 0.568 g, 두시 0.712 g, 우방자 0.712 g, 영양각 0.044 g을 함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은교산 펠렛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7> 반하사심탕 펠렛의 제조
주약물 씨드 및 주약물층에 사용하는 삼소음 대신 반하사심탕(1포 중 반하 1.67 g, 황금 1.00 g, 건강 0.83 g, 인삼 1.00 g, 감초 1.00 g, 대추 1.00 g, 황련 0.33 g을 함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반하사심탕 펠렛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8> 평위산 펠렛의 제조
주약물 씨드 및 주약물층에 사용하는 삼소음 대신 평위산(1포 중 창출 1.33 g, 후박 1.00 g, 진피 1.00 g, 대추 0.67 g, 감초 0.33 g, 건강 0.33 g을 함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평위산 펠렛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9> 맥문동탕 펠렛의 제조
주약물 씨드 및 주약물층에 사용하는 삼소음 대신 맥문동탕(1포 중 맥문동 3.33 g, 반하 1.67 g, 갱미 3.33 g, 대추 1.00 g, 인삼 0.67 g, 감초 0.67 g을 함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맥문동탕 펠렛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0> 오적산 펠렛의 제조
주약물 씨드 및 주약물층에 사용하는 삼소음 대신 오적산(1포 중 마황 0.67 g, 향부자 0.40 g, 진피 0.67 g, 반하 0.67 g, 지실 0.67 g, 대추 0.67 g, 당귀 0.67 g, 천궁 0.67 g, 백지 0.67 g, 감초 0.67 g, 건강 0.67 g, 작약 0.67 g, 후박 0.67 g, 길경 0.67 g, 계지 0.67 g, 복령 0.67 g, 창출 1.33 g을 함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오적산 펠렛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1> 방풍통성산 펠렛의 제조
주약물 씨드 및 주약물층에 사용하는 삼소음 대신 방풍통성산(1포 중 당귀 0.2 g, 작약 0.20 g, 천궁 0.20 g, 연고 0.20 g, 박하 0.20 g, 방풍 0.20 g, 마황 0.20 g, 대황 0.25 g, 망초 0.25 g, 길경 0.67 g, 황금 0.67 g, 석고 1.00 g, 생강 0.40 g, 치자 0.40 g, 형개 0.40 g, 백출 0.67 g, 감초 0.67 g, 활석 1.67 g을 함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방풍통성산 펠렛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2> 당귀작약산 펠렛의 제조
주약물 씨드 및 주약물층에 사용하는 삼소음 대신 당귀작약산(1포 중 복령 1.33 g, 택사 1.67 g, 당귀 1.00 g, 백출 1.33 g, 백작약 2.00 g, 천궁 1.00 g을 함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당귀작약산 펠렛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3> 구미강활탕 펠렛의 제조
주약물 씨드 및 주약물층에 사용하는 삼소음 대신 구미강활탕(1포 중 강활 1.88 g, 방풍 1.88 g, 천궁 1.50 g, 백지 1.50 g, 창출 1.50 g, 황금 1.50 g, 생지황 1.50 g, 세신 0.63 g, 감초 0.63 g, 생강 0.50 g, 대추 0.67 g을 함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구미강활탕 펠렛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삼소음 펠렛의 제조-2
단계 1 : 주약물층 코팅 공정
단계 1-A: 삼소음 건조 추출엑스 (5.6:1) 분말의 제조
자소엽 93 g, 지실 125 g, 길경 125 g, 진피 125 g, 갈근 125 g, 전호 125 g, 반하 186 g, 복령 186 g, 인삼 280 g, 대추 93 g, 건강 62 g, 목향 93 g 및 감초 62 g,을 각각 추출기에 넣고, 물을 약 16.7 ℓ를 가하여 95-100 ℃에서 4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식힌 후, 여과하여 삼소음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건조하여 약 300g의 삼소음 건조 추출엑스 분말을 제조하였다.
정제수 200 g에 에탄올 80 g을 넣어 혼합한 후, 삼소음 건조 추출엑스 분말 300 g을 넣고, 교반기로 교반시켜 삼소음 추출엑스를 조제하였다(삼소음 추출엑스의 농도: 45 Brix).
단계 1-B : 결합액의 조제
히프로멜로오스(HPMC, 15 g)에 99 %의 에탄올 80 g을 넣어 교반기를 이용하여 100 내지 500 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분산시킨 후, 교반, 분산된 히프로멜로오스액에 정제수를 80 g 첨가하며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용해된 액을 80 mesh의 채로 여과하여 결합액을 조제하였다.
단계 1-C : 분산액의 제조
에탄올 20 g에 부형제로서 유당 3 g 및 활택제로서 탈크 6 g을 넣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분산시켜 분산액을 29 g 제조하였다.
단계 1-D : 주약물층 분무액의 제조
상기 단계 1-A에서 제조된 삼소음 추출엑스 580 g에 상기 단계 1-B에서 제조된 결합액을 175 g 넣고, 교반하여 균질화시켰다. 상기 혼합물이 균질화가 되었을 때, 상기 단계 1-C에서 제조된 분산액을 29 g 가하여 균질하게 될 때까지 교반하여 주약물층 분무액을 제조하였다.
단계 1-E : 주약물층 분무액의 코팅
유동층 공정기에 구형백당을 200 내지 300 g을 넣고, 주입구 온도는 80 ℃, 송풍속도는 110 m3/h, 분무압력은 1.6 bar, 액체 펌프속도는 4 내지 6 g/min, 재료온도는 55 ℃로 유동층 공정기의 설정조건에 맞추어 안정화시킨 후, 유동층 공정기에서 구형백당을 진공압을 이용하여 유동시키면서 상기 단계 1-D에서 제조된 주약물층 분무액 784 g을 구형백당에 분사하여 도포하였다.
단계 2 : 방습층 코팅 공정
단계 2-A : 방습층 코팅액의 제조
정제수 및 에탄올을 혼합한 용액에 결합제로서 히프로멜로오스 9 g, 가소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15 g, 및 증점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Na-CMC) 15 g을 용해시켜 방습층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단계 2-B : 방습층 코팅
상기 단계 1과 같은 유동층 공정기의 설정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상기 단계 2-A에서 제조된 방습층 코팅액을 주약물층에 코팅하여 삼소음 펠렛 제제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삼소음 펠렛의 제조-3
단계 1: 주약물 씨드의 제조
단계 1: 주약물 씨드의 제조
단계 1-A: 삼소음 건조 추출엑스 (5.6:1) 분말의 제조
자소엽 317 g, 지실 425 g, 길경 425 g, 진피 425 g, 갈근 425 g, 전호 425 g, 반하 634 g, 복령 634 g, 인삼 951 g, 대추 317 g, 건강 0.209 g, 목향 317 g 및 감초 209 g,을 추출기에 넣고, 물을 약 57.12 L를 가하여 95 내지 100 ℃에서 4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식힌 후, 여과하여 삼소음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건조하여 삼소음 건조 추출엑스 분말(5.6:1, 1,020 g)을 제조하였다.
단계 1-B: 결합액의 조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9 g에 99 %의 에탄올 28.5 g을 넣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100 내지 500 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그 후, 혼합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액에 정제수 15 g을 첨가하며 용해시켰다. 용해된 액을 80 mesh의 채로 여과하여 결합액을 조제하였다.
단계 1-C: 구형의 주약물 과립제의 제조
상기 단계 1-A에서 제조된 삼소음 추출엑스 600 g, 부형제 459 g 및 붕해제 72 g을 연합기(kneader, Kneader, 제일기공사)에 투입하였다. 그 후, 연합기의 임펠러(impeller) 회전속도를 10 rpm으로 설정한 다음, 상기 단계 1-B에서 조제한 결합액을 5분 동안 연합하여 구형의 주약물 과립을 제조하였다.
단계 1-D: 구형의 주약물 씨드의 제조
상기 단계 1-C에서 제조된 과립을 회전속도는 5 rpm, 제립망은 0.7 Ф으로 설정된 오실레이터(osillator, 남주기계사)를 사용하여 제립한 후, 스페로나이져(QJ-230T-1, FUJI PAUDAL)에 투입하여 500 내지 1500 rpm의 조건에서 1 내지 2분간 회전 충돌을 시켰다. 형성된 구형의 주약물 씨드를 트레이(tray) 건조기에서 60 내지 65 ℃의 조건의 온도로 건조하고, 1500 rpm으로 설정된 코밀(COMIL)에 주입하여 크기가 균일화된 구형의 주약물 씨드(1,140 g)를 제조하였다.
단계 2: 주약물층 코팅 공정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주약물 씨드 상에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주약물층을 코팅된 구형의 과립을 제조하였다.
단계 3: 방습층 코팅 공정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주약물층이 코팅된 구형의 과립 상에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방습층이 코팅된 삼소음 펠렛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삼소음 펠렛의 제조-4
단계 1: 주약물 씨드의 제조
단계 1-A: 삼소음 건조 추출엑스 (5.6:1) 분말의 제조
상기 비교예 2의 단계 1-A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삼소음 건조 추출엑스 분말(5.6:1, 1,020 g)을 제조하였다.
단계 1-B: 결합액의 조제
상기 비교예 2의 단계 1-B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결합액을 조제하였다.
단계 1-C: 구형의 주약물 과립의 제조
상기 비교예 2의 단계 1-C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구형의 주약물 과립을 제조하였다.
단계 1-D: 구형의 주약물 씨드의 제조
압출기의 스크류 회전속도를 10 내지 50 rpm 범위로 설정하여 상기 단계1-C에서 제조된 과립을 투입하였다. 이때, 사출망의 크기로는 0.5 내지 1.0 Ф으로 설정하여 봉상형 과립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봉상형 과립을 스페포나이져에 투입하여 500 내지 1500 rpm의 조건에서 1 내지 2분간 회전 충돌을 시켰다. 형성된 구형의 주약물 씨드를 트레이(tray) 건조기에서 60 내지 65 ℃의 조건의 온도로 건조하고, 1500 rpm으로 설정된 코밀(COMIL)에 주입하여 크기가 균일화된 구형의 주약물 씨드(1,140 g)를 제조하였다.
단계 2: 주약물층 코팅 공정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주약물 씨드 상에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주약물층을 코팅된 구형의 과립을 제조하였다.
단계 3: 방습층 코팅 공정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주약물층이 코팅된 구형의 과립 상에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방습층이 코팅된 삼소음 펠렛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제조 공정에 따른 주약물 씨드의 구형화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주약물 씨드의 제조에 있어서, 주약물 씨드의 구형 형성은 수분이 닿는 접계면의 방습층 두께가 전체적으로 일정하여 인습에 취약한 면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요하므로, 주약물 씨드의 제조방법에 따른 구형화 형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각 단계 1에서 제조되는 주약물 씨드를 육안으로 형태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제조된 주약물 씨드와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단계 1에서 제조된 주약물 씨드를 육안으로 비교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제조되는 주약물 씨드는 구형으로 제조되는 반면에, 비교예 2의 단계 1에서 제조된 주약물 씨드는 덩어리로 뭉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비교예 3의 단계 1에서 제조된 주약물 씨드는 구형이 아닌 선형의 과립제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약물 씨드의 제조방법은 고속 회전에 의해서 혼합물 입자들이 서로 충돌을 일으키게 되고, 이 충돌로 인하여 주약물 씨드의 형태는 구형을 형성하게 된다. 반면에, 비교예 2의 주약물 씨드의 제조방법은 씨드 등의 구형의 입자를 제조할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입자 형성 과정에서 열과 압력이 높게 발생하게 된다. 생약 추출엑스는 열과 압력에 의한 인습성 상승 효과가 크므로 비교예 2의 경우, 주약물 씨드를 만드는 과정에서 이미 상당량의 수분을 흡수하여 구형의 씨드를 형성하지 못하고 뭉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비교예 3의 주약물 씨드의 제조방법은 미리 고안되어 있는 구멍으로 압력을 가하여 혼합물을 통과시킴으로써 원하는 형태로 제조하는 방식으로 과립를 제조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약물 씨드의 제조시 비교예 3의 제조방법을 적용할 경우, 비교예 2에서와 같은 인습성 상승 효과는 일어나지 않으나,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구형이 아닌 봉상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구형의 입자 내지 구형의 과립의 제조시, 본 발명에 따른 주약물 씨드의 제조방법은 종래의 일반적인 제조공정에 비해 구형으로 형성하는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는 고속회전으로 인한 입자충돌을 유도하여 구형의 주약물 씨드를 제조함으로써, 펠렛 제제의 주약함량을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생약 추출엑스가 수분에 노출되는 겉면적을 최소화하여 인습효과를 줄일 수 있고, 구형의 주약물 씨드 상에 주약물층 및 방습층를 균일하게 도포가 가능하며, 이로 인한 일정한 두께의 방습층을 가짐으로써, 수분이 닿는 접계면의 취약한 면을 최소화하여 수분의 흡수를 줄이는 효과가 우수함으로, 주약 함량이 높고,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실험예 2> 삼소음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의 방습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삼소음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의 인습성을 방지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펠렛을 메시(mesh)채를 이용하여 크기별로 선별하고, 대한약전에 의거한 품질관리시험을 수행한 다음 페트리디쉬에 저장하여 도도 40±2 ℃, 상대습도 75±5 %의 조건에서 16 시간동안, 시간별로 육안 및 용기를 기울여 흐름성을 관찰하고, 건조감량방식(LOD, Loss of Dry weight)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0 시간 2.56 2.3 2.86 1.04
1 시간 3.41 3.75 4.51 4.72
2 시간 4.64 4.6 5.45 6.91
4 시간 4.94 6.44 7.35 8.23
8 시간 5.27 7.99 8.56 10.41
16 시간 5.29 8.1 12.24 13.92
표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삼소음 펠렛은 가혹조건에서 16시간이 경과한 후, 수분함량이 2.67 %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는 반면에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삼소음 펠렛은 5.8 %,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삼소음 펠렛은 9.38 %,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삼소음 펠렛은 12.88 %의 수분 함량이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삼소음 펠렛의 시간에 따른 흐름성 평가를 비교해 보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삼소음 펠렛은 16시간이 경과하여도 큰 변화가 없었으나,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삼소음 펠렛은 4시간 이후부터 그 흐름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삼소음 펠렛은 구형의 표면에 균일하게 방습 물질인 제피제로 코팅함으로써, 삼소음 펠렛의 수분 침투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결합제, 가소제 및 증점제을 포함하는 방습층을 사용하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펠렛의 경우, 구형을 이룸으로써 인습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지만 일정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방습층에 의한 방습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 및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삼소음 펠렛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삼소음 펠렛과 동일하게 방습 물질인 제피제로 코팅하여 방습층을 이루고 있지만, 삼소음 펠렛이 구형을 이루고 있지 않아 수분이 닿는 접계면의 방습층 두께가 전체적으로 불균질하므로 펠렛 내의 수분 침투가 일어나 수분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삼소음 펠렛은 그 형태가 구형을 이루고, 방습 물질로 코팅된 방습층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제조방식으로 제조된 펠렛에 비해 방습 효과가 현저히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제제는 구형의 형태를 가짐으로써, 생약 추출엑스가 수분에 노출되는 겉면적을 최소화하여 인습효과를 줄일 수 있고, 구형의 주약물 씨드 상에 주약물층 및 방습층를 균일하게 도포가 가능하다. 또한, 방습층의 균일한 도포로 인해 방습층의 두께가 일정해짐으로써, 수분이 닿는 접계면의 취약한 면을 최소화하여 수분의 흡수를 줄이는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고, 방습 물질로 코팅된 방습층으로 인한 방습 효과가 상당히 뛰어나므로, 주약 함량이 높고,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실험예 3> 복합생약 추출엑스 종류에 따른 펠렛의 방습성 평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의 생약 추출엑스 종류에 따른 인습성을 방지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예 2에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펠렛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내지 13에서 제조된 펠렛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0 시간 1 시간 4 시간 8 시간 16 시간
실시예 2 2.61 3.43 4.86 5.14 5.25
실시예 3 2.67 3.45 4.79 5.15 5.24
실시예 4 2.54 3.50 4.91 5.18 5.26
실시예 5 2.87 3.41 4.88 5.20 5.28
실시예 6 2.62 3.33 4.82 5.23 5.29
실시예 7 2.59 3.53 4.76 5.25 5.30
실시예 8 2.70 3.47 4.93 5.19 5.24
실시예 9 2.71 3.49 4.85 5.26 5.31
실시예 10 2.49 3.58 4.81 5.16 5.26
실시예 11 2.55 3.40 4.92 5.29 5.35
실시예 12 2.68 3.52 4.86 5.24 5.37
실시예 13 2.69 3.53 4.94 5.26 5.36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은 가혹조건에서 1시간 경과한 후에는 3.41 내지 3.58 %, 4시간 경과한 후에는 4.76 내지 4.94 %, 8시간 경과한 후에는 5.14 내지 5.29 %, 16시간 경과한 후에는 5.24 내지 5.37 %의 수분함량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으며, 8시간 이후에는 수분함량의 증가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는 구형을 이룸으로써, 생약 추출엑스가 수분에 노출되는 겉면적을 최소화하여 인습효과를 줄일 수 있으며, 구형의 표면에 균일하게 방습 물질인 제피제를 코팅함으로써, 뛰어난 방습효과를 나타내며, 이로 인해 생약 추출엑스의 종류에 상관없이 방습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은 본 발명에 따른 주약물 씨드를 사용하여 주약의 함량이 높을 뿐 아니라, 구형의 형태를 가짐으로써, 생약 추출엑스가 수분에 노출되는 겉면적을 최소화하여 인습효과를 줄일 수 있고, 구형의 주약물 씨드 상에 주약물층 및 방습층를 균일하게 도포가 가능하다. 또한, 방습층의 균일한 도포로 인해 방습층의 두께가 일정해짐으로써, 수분이 닿는 접계면의 취약한 면을 최소화하여 수분의 흡수를 줄이는 효과가 우수하고, 방습 물질로 코팅된 방습층으로 인한 방습 효과가 상당히 뛰어나며 나아가, 생약 추출엑스의 종류에 상관없이 다양한 종류의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주약 함량이 높고,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6)

  1. (1) 생약 추출엑스를 주성분으로 하고, 결합제 및 부형제를 보조성분으로 포함하는 구형의 주약물 씨드와;
    (2) 생약 추출엑스, 결합제, 가소제 및 활택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형의 주약물 씨드 상에 코팅되는 주약물층과; 및
    (3) 상기 주약물층 상에 코팅되는 방습층을 포함하는, 주약 함량이 높고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엑스는 삼소음, 갈근탕, 쌍화탕, 소청룡탕, 시호계지탕, 은교산, 반하사심탕, 평위산,맥문동탕, 오적산, 방풍통성산, 당귀작약산 및 구미강활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약 함량이 높고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약물 씨드의 생약 추출엑스의 농도는 10 내지 50 브릭스(bri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약 함량이 높고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약물 씨드의 결합제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L)이고, 부형제는 유당 수화물, 옥수수 전분 또는 침강탄산칼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약 함량이 높고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약물 씨드의 결합제 및 부형제의 함량은 주약물 씨드에 포함되는 생약 추출엑스 중의 생약 건조분말 1 중량부에 대해 각각 0.01 내지 0.3 중량부 및 0.5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약 함량이 높고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약물 씨드는 붕해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약 함량이 높고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붕해제는 전분(D-glucose), 아르긴산(Alginic acid), 소듐스타르크글리콜레이트(sodium starchglycolate), 크로스포비돈(Crospovidone), 크로스카르멜로즈 소듐(croscarmellpse sodium),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칼슘(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칼슘포스페이트 3염기(calcium phosphate tribasic) 및 침강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약 함량이 높고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붕해제의 함량은 주약물 씨드에 포함되는 생약 추출엑스 중의 생약 건조분말 1 중량부에 대해 0.05 내지 0.1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약 함량이 높고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약물 씨드의 주약 함량은 펠렛 제제의 전체 주약 함량의 5 내지 60 %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약 함량이 높고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약물층의 결합제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이고, 가소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6000)이고, 활택제는 탈크(Tal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약 함량이 높고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약물층은 부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약 함량이 높고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는 유당, 전분,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양이온 교환수지, 말토오스, 아라비아 검, 메틸셀룰로오스 및 D-만니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약 함량이 높고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습층은 제피제를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약 함량이 높고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습층의 제피제는 OY-C-7000A 또는 AMB-오파드라이(AMB-opad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약 함량이 높고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15. 생약 추출엑스 및 부형제에 결합액을 분사하면서 고속회전에 의한 입자충돌을 통해 구형의 과립을 형성시킨 후, 균일한 크기로 선별하여 구형의 주약물 씨드(seed)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구형의 주약물 씨드에 생약 추출엑스, 결합제, 가소제 및 활택제를 포함하는 주약물층 분무액을 분무하여 상기 구형의 주약물 씨드 상에 주약물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형성된 주약물층 상에 방습층 코팅액을 분무하여 방습층이 코팅된 펠렛 제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주약 함량이 높고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제1항의 펠렛 제제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회전은 구형의 주약물 씨드를 제조하기 위해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의 회전력을 가하거나 또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회전력을 동시에 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약 함량이 높고 인습성이 개선된 제1항의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의 제조방법.
KR1020120075593A 2012-07-11 2012-07-11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9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593A KR101419462B1 (ko) 2012-07-11 2012-07-11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593A KR101419462B1 (ko) 2012-07-11 2012-07-11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180A true KR20140008180A (ko) 2014-01-21
KR101419462B1 KR101419462B1 (ko) 2014-07-14

Family

ID=5014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593A KR101419462B1 (ko) 2012-07-11 2012-07-11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4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136B1 (ko) * 2019-08-21 2020-03-11 구태훈 단미약재 또는 복합약재 추출물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펠렛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326B1 (ko) 2006-06-09 2009-05-07 (주)일품인삼 고농도의 인삼 성분을 함유하는 인삼 엑기스 그래뉼 및환제의 제조방법
KR100869444B1 (ko) 2007-07-11 2008-11-18 주식회사 중외제약 유비데카레논을 함유하는 다층정 비타민 복합제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136B1 (ko) * 2019-08-21 2020-03-11 구태훈 단미약재 또는 복합약재 추출물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펠렛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402390A (zh) * 2019-08-21 2021-02-26 具泰勳 包含高浓度的单味药材或复合药材提取物的微丸制剂及其制备方法
CN112402390B (zh) * 2019-08-21 2023-03-28 具泰勳 包含高浓度的单味药材或复合药材提取物的微丸制剂及其制备方法
TWI808337B (zh) * 2019-08-21 2023-07-11 具泰勳 包含高濃度的一味藥材或複合藥材提取物的微丸製劑及其製備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9462B1 (ko) 201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31377B (zh) 冬虫夏草冻干纳米粉片及其制备方法
CN108136032A (zh) 包含糖或糖醇、溶胀型粘合剂、崩解剂及高吸收性赋形剂的复合化造粒物及其制造方法
JP2016539955A (ja) 薬物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使用
CN109420161A (zh) 含有sod的组合物
KR101419462B1 (ko) 인습성이 개선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316056B (zh) 一种板蓝根包衣分散片及其制备方法
KR102095536B1 (ko) 천연물 추출물의 용출률 및 붕해성이 개선된 경구용 제제
CN102048765B (zh) 一种防止中药浸膏粉吸潮结块的方法
CN104138376A (zh) 一种提高缺氧耐受力的缓释剂
CN100348221C (zh) 一种治疗气虚阳脱的参附片剂及其制备方法
CN104224728B (zh) 一种埃索美拉唑肠溶微丸及其制备方法
CN113827570A (zh) 一种基于药物载体技术制备中药微丸制剂的方法及其应用
CN102579536A (zh) 三七总皂苷肠溶制剂及其制备方法
CN1284590C (zh) 天麻头风灵制剂及其制备工艺和质量控制方法
CN107811991B (zh) 含巴戟天低聚果糖的肠溶制剂的制备方法及制备得到的制剂
CN102309488A (zh) 一种伊曲康唑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081227B (zh) 甘草酸二铵的组合物
KR101326024B1 (ko) 인습성을 개선한 생약 추출엑스를 포함하는 펠렛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331491C (zh) 一种治疗气虚阳脱的参附大输液及其制备方法
CN103494894A (zh) 一种具有降低血糖功效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0360119C (zh) 治疗气虚阳脱的参附缓释包衣微孔膜包衣片及其制备方法
CN1772234A (zh) 治疗妇科疾病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672703A (zh) 一种治疗过敏性鼻炎的药物辛芩片及其制备方法
CN100360118C (zh) 治疗气虚阳脱的参附骨架缓释亲水凝胶骨架片及其制备方法
CN100391442C (zh) 治疗气虚阳脱的参附缓释包衣制剂膜控小丸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