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939A - 흡수 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흡수성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 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흡수성 착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939A
KR20140006939A KR1020137023061A KR20137023061A KR20140006939A KR 20140006939 A KR20140006939 A KR 20140006939A KR 1020137023061 A KR1020137023061 A KR 1020137023061A KR 20137023061 A KR20137023061 A KR 20137023061A KR 20140006939 A KR20140006939 A KR 20140006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structure
absorbent
thickness
zone
debo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9122B1 (ko
Inventor
교 기쿠치
게이 와카스기
나오토 오하시
오사무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6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specific fibre orientation or wea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Abstract

본 발명은, 불균일한 두께를 갖고 전체로서 일반적으로 동일한 강성을 갖는 구조체를 성형함으로써 높은 흡수 효율이 확보된 흡수 구조체, 및 이 흡수 구조체를 이용한 흡수성 착용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 구조체(17)는 제1 구역(51), 제2 구역(52) 및 상기 제1 및 제2 구역(51, 52)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구역(5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51)과 상기 중앙 구역(53)의 일부에 후육부(55)가 형성된다. 상기 제2 구역(52)에는 후육부(55)의 두께 치수보다 작은 두께 치수를 갖는 박육부(57)가 형성된다. 상기 후육부(55)와 박육부(57) 사이에는, 제1 구역측으로부터 제2 구역으로 갈수록 두께 치수가 점차 줄어드는 두께 구배부(56)가 있고, 상기 박육부(57) 및 두께 구배부(56)의 적어도 상기 박육부(57)와 인접하는 구역은 디보스 가공된다.

Description

흡수 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흡수성 착용 물품{ABSORBENT STRUCTURE AND ABSORBENT WEARING ART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흡수성 착용 물품용 흡수 구조체, 더 구체적으로는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및 실금 패드와 같은 일회용 착용 물품용 흡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두께가 불균일한 형상을 갖는 흡수 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흡수성 물품은 잘 알려져 있다. 예컨대, JP 2004-65929 A(특허 문헌 1)에는, 비교적 두꺼운 부분과 비교적 얇은 부분을 갖는 흡수 구조체 및 이러한 흡수 구조체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JP 2004-65929 A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흡수성 물품은 비교적 두꺼운 부분에서 국소적으로 높은 흡수 용량을 갖는 흡수 구조체를 구비하며, 이러한 비교적 두꺼운 부분을 비교적 많은 양의 체액이 배설되는 영역에 배치할 수 있어 이 영역의 흡수 성능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비교적 얇은 부분은 비교적 적은 양의 체액이 배설되는 영역에 배치하여 구조체의 전체적인 흡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적 두꺼운 부분과 비교적 얇은 부분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고 이러한 단차 경계는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다가 국소적으로 갈라져 체액의 누설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불균일한 두께를 갖고 전체적으로 거의 동일한 강성을 갖는 구조체를 형성함으로써 흡수 효율이 높고 흡수 구조체 및 이 흡수 구조체를 이용한 흡수성 착용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종방향 및 이것에 직교하는 횡방향을 갖고 적어도 체액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성 착용 물품용 흡수 구조체가 제공되며, 상기 체액 흡수성 코어는 후육부, 상기 후육부의 두께 치수보다 작은 두께 치수를 갖는 박육부, 및 상기 후육부와 상기 박육부 사이에 후육부에서 박육부로 갈수록 점차 두께 치수가 줄어드는 두께 구배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께 구배부 중 적어도 상기 박육부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복수의 디보스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톱시트, 백시트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흡수 구조체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착용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흡수성 착용 물품은, 상기 본체에 앞 허리 영역, 뒤 허리 영역, 및 이들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이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흡수 구조체가 상기 앞 허리 영역에서부터 상기 뒤 허리 영역까지 연장되어 있고, 앞 허리 영역측에 흡수 구조체의 제1 구역이 위치하며, 뒤 허리 영역측에 제2 구역에 위치하며, 가랑이 영역에 중앙 구역이 대응한다.
도 1은 일회용 기저귀의 형태로 예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 구조체를 이용한 흡수성 착용 물품의 제1 실시양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양태에 따른 기저귀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라 취한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흡수 구조체의 평면도로서, 기저귀의 외형이 가상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흡수 구조체의 제조 공정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기저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흡수 구조체를 형성하는 디보스 롤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양태에 따른 흡수 구조체를 도시하는 도 4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선을 따라 취한 흡수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기저귀(10)는 종축(P-P), 종축에 직교하는 횡축(Q-Q), 종축(P-P)에 평행한 종방향(Y)과 횡축(Q-Q)에 평행한 횡방향(X)을 갖고, 상기 앞 허리 영역(11), 뒤 허리 영역(12), 앞뒤 허리 영역(11, 12)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13)을 형성하는 본체(14)를 포함한다.
본체(14)는 전단부(14a), 후단부(14b), 가랑이 영역(13)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는 양쪽 측연(14c, 14d),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톱시트(15), 및 기저귀(10)의 외형을 이루고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백시트(16)를 포함하고, 톱시트(15)와 백시트(16) 사이에 흡수 구조체(17)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톱시트(15)와 흡수 구조체(17) 사이에 중간 시트(18)가 개재되어 있고 기저귀(10)의 피부 대향면측에는 종축(P-P)에 대하여 대칭인 한 쌍의 샘 방지 시트(20)가 배치되어 있다.
톱시트(15)는, 예컨대 단위면적당 질량이 약 15 g/m2 내지 약 45 g/m2 범위인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와 같은 불투액성 섬유 부직포, 또는 다공 플라스틱 필름 또는 이들의 라미네이트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백시트(16)는 각각 단위면적당 질량이 약 10 g/m2 내지 약 40 g/m2 범위인 스펀본드 부직포, 포인트본드 부직포, SMS(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부직포와 같은 공지의 불투액성 섬유 부직포,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 또는 이들의 라미네이트 시토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시트(18)는 예컨대 단위면적당 질량이 약 15 g/m2 내지 약 45 g/m2 범위인 에어스루 부직포와 같은 통기성이며 액투과성인 공지된 섬유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쿠션성을 향상시키면서 체액이 의도하지 않게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톱시트(15)와 흡수 구조체(17)를 서로 이격함으로써 체액이 의도하지 않게 톱시트(15)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기저귀(10)는 중간 시트(18)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샘 방지 시트(20)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 투습성 플라스틱 필름, 이들의 라미네이트 시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단위면적당 질량이 약 10 g/m2 내지 약 30 g/m2 범위인 SMS 섬유 부직포 또는 스펀본드 섬유 부직포가 이 목적을 위한 섬유 부직포로서 유용하다.
흡수 구조체(17)는,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SAP), 펄프 섬유 및 임의로 열가소성 합성 섬유(스테이플 파이버)의 혼합물을 소정 형상으로 부형하여 얻은 흡액성 코어, 및 흡액성 코어를 감싸 흡액성 코어의 보형성 및 액확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투액성 섬유 부직포 시트로 제조된 액확산성 시트를 포함한다. 흡수 구조체(17)의 하면에는 불투액성 또는 액저항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된 배리어 시트(25)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액성 코어만으로 형성된 흡수 구조체(17)로 달성될 수 있다.
배리어 시트(25)는 통기성 플라스틱 필름, 단위면적당 질량이 약 10 g/m2 내지 약 30 g/m2 범위인 액저항성 SMS(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섬유 부직포, 스펀본드 섬유 부직포 또는 이들의 라미네이트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4)는, 흡수 구조체(17)의 전단부와 후단부(17a, 17b)의 외측에, 각각 횡방향(X)으로 연장되는 전단 및 후단 플랩(27, 28)을, 횡방향(X)으로 흡수 구조체(17)의 양쪽 측연(17c, 17d)의 외측에, 각각 한 쌍의 사이드 플랩(29, 30)을 구비한다. 전단 및 후단 플랩(27, 28)은 흡수 구조체(17)의 전단부와 후단부(17a, 17b)를 넘어 종방향(Y) 외측으로 연장되고 서로 적층된 샘 방지 시트(20), 톱시트(15), 배리어 시트(25) 및 백시트(16)의 각 연장부로 형성된다. 사이드 플랩(29, 30)은 각각 흡수 구조체(17)의 양쪽 측연(17c, 17d)을 넘어 횡방향(X) 외측으로 연장되고 서로 적층된 톱시트(15), 샘 방지 시트(20), 배리어 시트(25) 및 백시트(16)의 각 연장부로 형성된다.
후단 플랩(28) 및 각 사이드 플랩(29, 30) 사이의 교차 부위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 후방 측부 플랩(32)에서, 한 쌍의 테이프 파스너 탭(34) 중 각 하나의 근위 세그먼트는 샘 방지 시트(20)와 백시트(16)의 각 측부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시트(16, 20)의 내면에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하여 이들 사이에 부착된다. 각 측연(즉, 뒤 허리 영역(12)의 측연)으로부터 횡방향(X) 외측으로 연장되는 이들 테이프 파스너 탭(34)의 각 원위 세그먼트(34b)에는, 메카니컬 파스너의 후크를 구비한 제1 파스닝 요소(35)가 제공된다. 기저귀(10)가 착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제1 파스닝 요소(35)는 앞 허리 영역(11)의 외면에서 횡방향(X)으로 연장되고 메카니컬 파스너의 루프를 갖는 제2 파스닝 요소(36)에 이탈 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허리 개구(37)와 한 쌍의 다리 개구부(38)가 규정된다(도 1 참조).
전단 및 후단 플랩(27, 28)의 일부를 형성하는 톱시트(15)와 배리어 시트(25) 사이에, 연속 기포를 갖는 우레판 폼 등으로 제조된 탄성 벨트로 형성된 허리 밴드(40)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플랩(29, 30)의 일부를 형성하는 샘 방지 시트(20)와 백시트(16) 사이에는, 탄성 스트랜드 또는 스트링으로 형성된 2개의 다리 탄성 요소(41)가 개재되어 종방향(Y)으로 수축 가능하게 신장된 상태로 이들 시트(16, 20)의 각 내면에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다.
상기 샘 방지 시트(20)는 각각 측연(29, 30)의 일부를 형성하는 근위 연부(42), 앞뒤 허리 영역(11, 12)에서 톱시트(15)의 피부 대향면측 및 톱시트(15)의 측연을 넘어 횡방향(X) 외측으로 연장되는 백시트(16)의 연장부의 피부 대향면측에 핫멜트 접착제로 접합된 전단 및 후단 세그먼트(43, 44), 및 상기 전후 고정단 세그먼트(43, 44) 사이에서 종방향(Y)으로 연장되고 각 샘 방지 시트(20)의 내부 측연을 내측으로 접음으로써 형성된 원위 연부(45)를 구비한다. 원위 연부(45)에는 각각 종방향(Y)으로 연장되는 탄성 스트랜드 또는 스트링으로 형성되고 종방향(Y)으로 수축 가능하게 신장 상태로 부착된 복수의 탄성 요소(46)가 제공된다. 기저귀가 착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원위 연부(45)는 탄성 요소(46)의 수축 작용에 의하여 톱시트(15)의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위로 이격되어, 체액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배리어를 형성한다.
가랑이 영역(13)에서, 흡수 구조체(17)의 피부 비대향면측과 대향하는 배리어 시트(25)의 내면에는, 종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라인형 인디케이터 수단(50)이 제공된다. 인디케이터 수단(50)은 소변과 같은 체액으로 젖을 때 변색하고 이러한 변색이 외부로부터 시인될 수 있는 잉크 층으로 형성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인디케이터 수단(50)과 배리어 시트(25) 사이에 필요량의 계면활성제를 함침시킨 피복 시트를 개재하여 인디케이터 수단(50)의 시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흡수 구조체는 앞 허리 영역(11)측에 위치하는 전방 영역(제1 구역)(51)과, 후방 영역(제2 구역)(52)과, 전방 영역(51)과 후방 영역(52) 사이에서 연장되며 양쪽 측연(17c, 17d)의 내측으로 만곡한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 구역(53)을 구비한다. 이 흡수 구조체(17)에서, 전방 영역(51)은 후방 영역(52)보다 두꺼운데, 더 구체적으로, 흡수 구조체(17)는 전방 영역(51)으로부터 중앙 구역(53)까지 연장되는 비교적 두꺼운 부분(55), 상기 비교적 두꺼운 부분(55)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흡수 구조체(17)의 저면측을 향해 경사져서 연장되는 두께 구배부(56), 및 두께 구배부(56)로부터 후단부(17b)까지 연장되는 비교적 얇은 부분(57)를 구비한다. 이 실시양태에서 흡수 구조체(17)는 종방향(Y)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단층으로 형성되지만, 비교적 두꺼운 부분(55)를 나머지 부분보다 더 두꺼워지도록 2층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비교적 얇은 부분(57)를 포함하는 흡수 구조체(17) 전체를 복수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예시된 실시양태에 따라 전체가 단층으로 형성된 흡수 구조체(17)가, 펄프 섬유 및 임의로 첨가되는 열가소성 섬유가 혼섬되어 있으므로 보형성 면에서, 복수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에 비하여 더 유리하다.
단층 흡수 구조체(17)는 공지된 방법 또는 장비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별법으로 이하에 개시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 후육부(55), 두께 구배부(56) 및 박육부(57)의 제조 방법>
펄프 섬유 및/또는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와 같은 흡수성 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덕트 및 상기 덕트의 하방에 위치하여 기계 방향으로 운반되는 복수의 집적용 오목부를 갖도록 형성된 회전 드럼을 포함하는 제조 장치(도시되지 않음)에서, 상기 흡수성 물질은 덕트로부터 집적용의 오목한 주형 안으로 공급되어, 각 주형에 집적되어 집적체(또는 매스)(즉, 흡액성 코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흡수성 물질을 주형 안으로 흡인하여 그 안에 축적시킬 수 있는 복수의 개공이 각 주형의 저부에 형성된 메쉬형 구조이다. 각 집적용 주형의 깊이 치수(각 주형의 상면으로부터 각 집적용 주형의 바닥까지의 길이 치수)는, 각 주형이 후육부(55), 두께 구배부(56) 또는 박육부(57)의 형성에 이용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더 구체적으로, 흡수 구조체(17)의 후육부(55)는 각각 깊이 치수가 비교적 작은 주형에서 형성되며, 박육부(57)는 각각 깊이 치수가 비교적 큰 주형에서 형성되고, 두께 구배부(56)는 후육부(55)와 박육부(57) 사이에 배치되고 구배 깊이를 갖는 1군의 주형에서 형성된다. 각각 깊이 치수가 큰 주형을 포함하는 부위에서의 메쉬 개공 공간을, 각각 깊이 치수가 작은 주형을 포함하는 부위에서보다 더 크도록 조절하여, 더 작은 바람직한 양의 흡수성 물질이 그 안에 축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구배부(56)의 형성에 이용되는 저면 경사부를 각각 갖는 주형을 포함하는 부위에서는, 각 주형의 매쉬 개공 공간을 계속해서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흡수 구조체(17)는 전체로서 두께가 불균일한 특이한 형상을 가지며, 착용자가 배설하는 체액, 주로 소변이 앞 허리 영역(11)에서 필요한 흡수 용량을 갖는 후육부(55)에 확실히 흡수될 수 있다. 배설되는 체액의 양이 보통 앞 허리 영역(11)에서보다 적은 뒤 허리 영역(12)은 박육부(57)로 형성되므로 흡수 구조체(17) 전체에서 실질적으로 모든 부분이 체액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흡수 구조체는 흡수 용량이 균일하도록 형성되고 구성된 종래의 흡수 구조체보다 흡수 효율이 높다. 또한, 흡액성 코어의 흡수성 물질의 양이 필요 최소량으로 감소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두께 구배부(56) 및 박육부(57)의 형성으로, 흡수 구조체(17)의 두께가 가랑이 영역(13)으로부터 뒤 허리 영역(12)을 향해 점차 감소하고 그 결과 뒤 허리 영역(12)이 착용자의 신체 형상에 따라 부드럽게 변형되므로, 뒤 허리 영역(12)이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하여 장착감이 개선된다. 또한, 기저귀(10) 전체의 두께가 감소하고 개개의 기저귀(10)가 부피를 차지하지 않고 앞뒤 허리 영역(11, 12)이 중첩되게 둘로 접힐 수 있으므로 기저귀(10) 세트를 깔끔하게 포장할 수 있다.
후육부(55)와 박육부(57)가 직접 인접하여 서로 연속되는 종래의 흡수 구조체(17)에서, 두께 방향으로의 급격한 변화는 후육부(55)와 박육부(57) 간에 현저한 강성차와 단차를 유발한다. 그 결과, 이러한 단차는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발생시킬 수 있고, 게다가 흡수 구조체(17)의 일부가 구부러지거나 및/또는 꼬여 채액을 새게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양태에 따르면, 후육부(55)와 박육부(57) 사이에 두께 구배부(56)가 형성됨으로써 두께 치수가 완만하게 변화하여 두께 치수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현저한 강성차와 단차가 방지된다. 따라서, 이 구조는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구부러지거나 및/또는 꼬여 각 부분(55, 56, 57)의 경계 근방에서 체액 누설이 유발되는 일이 없다.
박육부(57)는 다량의 배설된 체액에 노출되지 않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흡수 구조체(17)의 박육부는 이 박육부(57)가 흡수 구조체(17)의 총 면적의 35∼45%를 차지할 수 있도록 뒤 허리 영역(12)으로부터 연장되는 기저귀(10)의 S 구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현저한 강성차와 단차가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발생시키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흡수 구조체(17)의 종방향(Y) 길이 치수(L1)가 약 320 내지 약 450 mm 범위라고 가정하면, 두께 구배부(56)의 종방향(Y) 길이 치수(L2)는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150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110 mm 범위이다. 약 20 mm 미만이면, 두께 구배부(56)의 종방향(Y) 길이 치수(L2)는, 후육부(55)와 박육부(57) 사이에서 완만한 경사를 형성하여 이들 두 부분 사이에서 두께 차이를 경감시키기에 불충분하다. 그 결과, 후육부(55)와 두께 구배부(56)간 경계 근방에서 단이 생겨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두께 구배부(56)의 종방향(Y) 길이 치수(L2)가 150 mm를 초과하면, 흡수 구조체(17) 전체에서 후육부(55)의 면적이 본 실시양태의 효과를 달성하기에, 구체적으로는, 실질적으로 후육부(55)에 의한 바람직한 체액 흡수 용량을 확보하기에 불충분해질 수 있다.
이제, 흡수 구조체(17)의 각 부분(55, 56, 57)의 형성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후육부(55)의 두께 치수는 약 2.7 내지 약 3.3 mm 범위이고 이 세그먼트(55)에서 흡액성 코어는 단위면적당 질량이 약 220 내지 약 260 g/m2인 펄프 섬유와 단위면적당 질량이 약 140 내지 약 180 g/m2인 SAP(초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박육부(57)의 두께 치수는 약 2.2 내지 약 2.8 mm 범위이고 이 부분(57)에서 흡액성 코어는 단위면적당 질량이 약 180 내지 약 220 g/m2인 펄프 섬유와 단위면적당 질량이 약 140 내지 약 180 g/m2인 SAP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단위면적당 질량이 후육부(55)에서보다 박육부(57)에서 더 낮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박육부(57)에서 흡액성 코어의 단위면적당 질량은 후육부(55)의 단위면적당 질량의 약 50 내지 약 85%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구조체(17)에서 각 부분의 두께 치수는 PEACOCK 두께 계측기(측정 압력: 12.5 g/cm2)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흡수 구조체(17)를 기저귀(10)에서 빼내고, 이어서 각각 후육부(55) 및 박육부(57)에 상당하는 구조체(17) 부분을 종방향(Y)으로 약 50 mm 및 횡방향(X)으로 약 50 mm의 크기로 컷팅하여 시험편을 얻고, 각 시험편의 중앙 구역의 두께를 두께 계측기로 측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 구조체(17)의 후방 영역(52)에서는, 박육부(57)에, 복수의 디보스가 흡수 구조체(17)의 종방향(Y)으로 보아 대략 지그재그 패턴으로 배열된 제1 디보스 가공부(61)가 형성되고, 두께 구배부(56)의 상기 박육부(57)에 인접하는 부분(62)에, 복수의 디보스가 흡수 구조체(17)의 종방향(Y)으로 보아 지그재그 패턴으로 배열된 제2 디보스 가공부(63)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디보스 가공부(61, 63)의 효과에 의하여, 상기 박육부(57) 및 상기 두께 구배부(56))의 상기 박육부(57)에 인접하는 부분(62)은 각각 이들이 디보스 가공되지 않은 경우의 강성보다 더 높은 강성을 가진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양태에 따르면, 흡수 구조체(17)의 두께는 서로 다른 흡수 용량을 갖는 세그먼트를 형성하도록 적절히 구배되는데, 적절한 대응을 하지 않으면 이러한 구성은 각 쌍의 인접 부분들 사이에 강성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강성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후육부(55)와 박육부(57) 사이에 두께 구배부를 형성하며, 또한 제1 및 제2 디보스 가공부(61, 63)를 형성하여 상기 박육부(57) 및 상기 두께 구배부(56)의 상기 박육부(57)에 인접하는 부분(62)의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그 부분적인 균열로 인한 흡수 구조체(17)의 변형 및/또는 형상 붕괴를 확실히 더 방지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박육부(57)를 포함하는 흡수 구조체에서는, 이 흡수 구조체의 이용 동안, 이 박육부의 형상이 쉽게 붕괴하여 채액이 누설되게 된다. 그러나, 박육부(57)에 미리 디보스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이러한 불이익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디보스 가공부(61, 63)를 형성하는 복수의 디보스(60)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크기의 원형상이며 제1 디보스 가공부(61)에서는 조밀하게 그리고 제2 디보스 가공부(63)에서는 덜 조밀하게 배치된다. 그 결과, 제1 디보스 가공부(61) 전체에서 디보스(60)의 총 점유 면적 퍼센트는 제2 디보스 가공부(63) 전체에서 디보스(60)의 총 점유 면적 퍼센트보다 높다. 구체적으로, 제1 디보스 가공부(61) 전체에서 디보스(60)의 총 점유 면적 퍼센트는 약 12 내지 약 18% 범위인 반면, 제2 디보스 가공부(63) 전체에서 디보스(60)의 총 점유 면적 퍼센트는 약 5.0 내지 약 9.0% 범위이다. 두께 방향(Z)으로 각 디보스(60)의 길이 치수(즉, 두께)는 약 0.2 내지 약 0.5 mm 범위이다. 상기 상관관계가 보장될 수 있는 한, 총 점유 면적 퍼센트의 구체적인 값은 적절히 변경될 수 있고, 디보스 패턴은 지그재그 패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패턴으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디보스(60)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마름모형 및 단책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박육부(57)에서 발생하는 강성 변화와 두께 구배부(56)의 박육부(57)에 인접하는 부분(62)에서 발생하는 강성 변화를 구분하여 박육부(57) 및 두께 구배부(56)의 상기 박육부(57)에 인접하는 부분(62)의 강성치를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하도록 조절할 수 있기 위하여,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디보스(60)는 제2 디보스 가공부(63)에서보다 제1 디보스 가공부(61)에서 더 조밀하게, 이에 따라 더 높은 총 점유 면적 퍼센트로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박육부(57) 및 두께 구배부(56)의 상기 박육부(57)에 인접하는 부분(62)에 형성된 제1 및 제2 디보스 가공부(61, 63)는 각각 흡수 구조체(17) 전체의 강성치를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저귀(10)가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흡수 구조체(17)는 가랑이 영역(13)이 착용자의 다리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주름지는 경우일지라도 주름져 변형되거나 꼬이는 것에 대한 저항성이 더 크다.
제1 및 제2 디보스 가공부(61, 63)가 형성되는 영역은 각각 두께 구배부(56) 및 박육부(57)의 각각의 강성치 및/또는 이들 두 부분과 후육부(55) 사이의 강성차에 따라 적절히 설계될 수 있으나, 제1 및 제2 디보스 가공부(61, 63) 중 어느 하나는 가랑이 영역(13)과 뒤 허리 영역(12) 사이의 경계선(65) 근방에 이 경계선(65)을 종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가랑이 영역(13)에 위치하는 흡수 구조체(17) 부분은 항상 착용자의 대퇴부 및 서혜부와 접촉하여 착용자의 신체 움직임으로 인한 외력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흡수 구조체(17)는 상기 언급한 부분과 뒤 허리 영역(12) 사이의 경계선(65) 근방에서 가장 변형되기 쉽거나 또는 꼬이기 쉽다. 따라서, 두께 구배부(56) 및/또는 박육부(57)가 경계선(65) 근방에서 변형되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흡수 구조체(17)의 상기 규정한 부분에 디보스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흡수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디보스 가공의 실시에 사용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흡수 구조체(17)에 해당하는 연속 흡수 구조체(71)가 운반 롤(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기계 방향(MD)으로 운반된다. 연속 흡수 구조체(71)는 단층 또는 다층 흡액성 코어를 흡액성 코어 랩핑 시트로 피복함으로써 형성되며 각 부분(71a)은 박육부(57)에 해당하고 각 부분(71b)은 후육부(55)에 해당한다.
디보스 가공 공정은, 연속 흡수 구조체(71)의 상방에 위치하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디보스 롤러(72), 및 상기 디보스 롤러(72)와 대향 배치되고 평활한 외주면을 가지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닙롤(73)로 구성된다. 디보스 롤러(72)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그 둘레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로 증가하는 융기부(74)가 형성되고, 이 융기부(74)의 표면에는 복수의 디보스 핀(75)이 돌출되어 있다. 디보스 핀(75)은 개개의 흡수 구조체(17)의 제1 디보스 가공부(61)에 해당하는 융기부(74)의 두꺼운 부위(76)에 형성된 제1 군의 디보스 핀(77) 및 개개의 흡수 구조체(17)의 제2 디보스 가공부(63)에 해당하는 융기부(74)의 얇은 부위(78)에 형성된 제2 군의 디보스 핀(80)으로 나뉘며, 제2 군의 디보스 핀(80)은 제1 군의 디보스 핀(77)보다 더 성기게 배치된다. 연속 흡수 구조체(71)에 디보스(60)를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연속 흡수 구조체(71)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가 디보스 핀(75) 주위에서 융착하지 않을 정도로 적절히 제어된 온도로 디보스 핀(75)을 가열할 수 있다.
디보스 롤러(72)의 회전 속도 및 연속 흡수 구조체(71)의 반송 속도가 제어가능하게 서로 동기하여, 융기부(74)가 두께 구배부(56) 및 박육부(57)에 해당하는 연속 흡수 구조체(71)의 각 부분(71a)에 확실히 대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융기부(74)의 두꺼운 부위(76)에 배치된 제1 군의 디보스 핀(77)은 박육부(57)에 해당하는 부위를 프레스하여 제1 디보스 가공부(61)를 형성하고, 얇은 부위(78)에 배치된 제2 군의 디보스 핀(80)은 두께 구배부(56)에 상당하는 부위를 프레스하여 제2 디보스 가공부(63)를 형성한다. 디보스 롤러(72)와 닙롤(73)이 서로 이격되는 치수는, 융기부(74)가 형성되지 않은 디보스 롤러(72) 외주면 부분이 후육부(55)에 해당하는 연속 흡수 구조체(71)의 부분(71b)과 접촉하지 않도록 조절된다.
본 실시양태에 따르면, 하나의 동일한 디보스 롤러(72)에 융기부(74)를 형성하여, 패턴이 상이한 제1 및 제2 디보스 가공부(61, 63)가 동시에 형성됨으로써 2개의 디보스 롤러가 각 디보스 가공부(61, 63)에 대하여 사용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 공정이 간략화될 수 있다. 또한, 융기부(74)의 두께는 프레스되는 연속 흡수 구조체(71)의 각 부위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므로 두께 구배부(56)가 비교적 고압에서 프레스되어 필요 이상의 높은 강성을 갖게 될 우려가 없다. 박육부(57)는 융기부(74)의 두꺼운 부위(76)에 의하여 프레스되므로 박육부(57)가 원하는 강성을 가질 수 있고 원하는 작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디보스 가공 공정은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은 디보스 롤러와 다른 구성의 디보스 롤러로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군 및 제2군의 디보스 핀(77, 80)은 디보스 핀(75)의 총 점유 면적 퍼센트가 비슷하나 디보스 핀의 길이 치수가 서로 상이한 디보스 롤러, 더 구체적으로는, 제1 군의 디보스 핀(77)에서의 디보스 핀(75)이 제2 군의 디보스 핀(80)에서의 디보스 핀(75)의 길이 치수보다 큰 길이 치수를 가지고 제2 군의 디보스 핀(80)에서의 디보스 핀(75)에 의하여 발생되는 강성보다 더 높은 강성을 발생시키는 디보스 롤러를 이용할 수 있다. 각각 상이한 디보스 패턴을 갖는 2개의 디보스 롤러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디보스 가공부(61, 63)에 대응하는 범위를 디보스 롤러 중 하나에 의하여 디보스 가공한 후 제1 디보스 가공부(61)에 대응하는 영역을 다른 디보스 롤러로 더 디보스 가공할 수 있다.
<흡수 구조체(17)의 각 부분(55, 57)의 굽힘 강성의 측정 방법>
흡수 구조체(17)에서 각 세그먼트(55, 57)의 굽힘 강성을 테이퍼식 굽힘 강성 시험기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수 구조체(17)를 기저귀(10)로부터 빼내고, 이어서 각각 후육부(55) 및 박육부(57)에 해당하는 구조체(17) 부위로부터, 각각 종방향(Y)으로 약 70 mm 그리고 횡방향(X)으로 약 38.1 mm 크기의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조각을 잘라내어 시험편을 얻는다. 시험기를 이용하여, 시험편을 횡방향(X)으로 구부림으로써 각 세그먼트의 테이퍼 굽힘 강성을 측정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후육부(55) 및 박육부(57)의 강성치(N), 흡수 구조체(17)에서 펄프 섬유와 SAP의 구성비를 변화시켜 측정한 상기 강성치 사이의 강성차(N), 및 흡수 구조체에서 균열 및/또는 인열의 발생 정도에 기초한 보형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 1∼3에 따른 흡수 구조체(17)는, 펄프 섬유 및 SAP의 단위면적당 질량(g/m2)이 후육부(55)와 박육부(57)에서 각각 서로 상이하다. 비교예 1에 따른 흡수 구조체(17)는 그 조성에 관한 한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른 흡수 구조체(17)와 유사하나 두께 구배부(56) 및 박육부(57) 모두 디보스 가공을 하지 않았다. 비교예 2에 따른 흡수 구조체(17)는 그 조성에 관한 한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른 흡수 구조체(17)와 유사하나 두께 구배부(56) 및 박육부(57)가 비교적 고압에서 디보스 가공되어 강성치가 비교적 높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보형성 측정 방법>
테스트 샘플로서 각각 본 발명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2에 따른 흡수 구조체를 사용한 기저귀를 10인의 피험자에게 착용시키고 배뇨후 흡액성 코어에서 균열 및/또는 인열 부분의 발생과 같은 형상 붕괴 정도를 관찰하였다. 약 6 내지 약 11 kg 범위의 평균 체중을 갖고 남녀 비율이 1:1일 수 있도록 5명의 여아 및 5명의 남아로 구성된 10명의 아기에 대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를 다음과 같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일부 균열도 일부 인열도 시인되지 않는 흡액성 코어를 "양호"로 평가하고, 일부 균열 및/또는 일부 인열이 관찰된 흡액성 코어를 "평균"으로 평가하며, 균열 및/또는 인열이 횡방향(X)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코어가 실질적으로 분단된 흡액성 코어를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 1∼3에서, 펄프 섬유와 SAP의 단위면적당 질량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도 후육부(55) 및 박육부(57) 사이의 강성차가 0.01 N, 실질적으로 제로였고, 보형성 시험 결과도 "양호"하였다. 비교예 1에서는, 박육부(57)에 디보스 가공을 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후육부(55)와 박육부(57) 사이의 강성차가 0.05 N으로 크고, 형태 유지 시험 결과도 "불량"이었다. 비교예 2에서는, 박육부(57)의 제1 디보스 가공부(61)가 비교적 고압에서 처리되어 박육부(57)의 강성치가 후육부(55)의 강성치를 초과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후육부(55)와 박육부(57) 사이의 강성차가 -0.04 N으로 컸다(다른 본 발명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경우와 대조적으로, 이 마이너스 강성차 값은 박육부(57)의 강성치로부터 후육부(55)의 강성치를 차감하여 얻어진 값으로 나타낸 것임). 보형성 시험 결과는 "평균"이었다.
이상의 측정 결과로부터, 흡액성 코어의 일부 균열 및/또는 인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육부(55)와 박육부(57) 사이의 캔틸레버 굽힘 내성 차는 0.04 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육부(55)와 박육부(57) 사이의 캔틸레버 굽힘 내성 차를 0.04 N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기저귀(10) 사용시 흡액성 코어가 부분적으로 균열 및/또는 인열될 염려가 없어 박육부(57)가 형상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착용자가 강성차를 느끼는 일이 없으므로 두께가 실질적으로 균일한 흡수 구조체(17)를 착용하고 있는 것 같은 감각을 부여할 수 있다. 착용자는 박육부(57)의 얇음으로 인한 흡수 구조체(17)의 흡수 성능 저하 및/또는 변형의 불안감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 흡수 구조체(17)의 각 세그먼트(55, 56, 57)로의 분단 >
흡수 구조체(17)를 분단하여 후육부(55), 두께 구배부(56) 및 박육부(57)를 형성하는 방법을 이하에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된 방법은 흡수 구조체(17)를 디보스 가공하기 전에 각 세그먼트의 두께 치수에 대해서가 아니라 단위면적당 질량에 대하여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의 효과는, 디보스 가공 전후에 각 부분(55, 56, 57)의 단위면적당 질량에 변화가 없고, 또한 단위면적당 질량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께 치수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에 의하여 지지된다.
먼저, 종방향 길이 치수가 약 360 mm인 흡수 구조체(17)를 각각 종방향(Y) 길이 치수가 약 20 mm인 18개의 섹션으로 나눈다. 이어서, 상기 각 18개의 섹션에 대하여 단위면적당 질량(g/m2)을 측정한다. 가장 높은 단위면적당 질량을 갖는 섹션의 단위면적당 질량을 1로 설정하고 최대 단위면적당 질량값 1에 대한 다른 섹션의 단위면적당 질량값의 비를 계산하고 이들 계산된 값을 섹션 1∼18이 순서대로 정렬되도록 표에 플롯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롯된 각 점들 중에서, 특정 점과 이 점의 양측에 있는 이웃하는 점들을 연결하는 선이 모두 하강 구배가 되는 경우, 이들 두 점을 경계점으로 표시한다. 후육부측(최대 단위면적당 질량값에 대한 단위면적당 질량비가 비교적 높은 측)에 있는 경계점을 후육부(55)와 두께 구배부(56) 사이에 형성된 제1 경계점으로서 표시하고 박육부측(최대 단위면적당 질량값에 대한 단위면적당 질량비가 비교적 낮은 측)에 있는 경계점을 제2 경계점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흡수 구조체(17)는, 각 경계점을 규정하는 각 섹션간 길이 치수를 갖는 부분들로 규정되는 두께 구배부(56), 제1 경계점으로부터 두꺼운 측을 향해 연장되는 후육부(55), 및 제2 경계점으로부터 얇은 측을 향해 연장되는 박육부(57)로 분단될 수 있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양태에 따른 기저귀(10)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양태의 기본 구성과 유사하므로 제1 실시양태와 다른 특징들만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 실시양태에 따르면, 흡수 구조체(17)는 전방 영역(51)으로부터 중앙 구역(53)의 후방부까지 연장되는 제1 후육부(55A), 후방 영역(52)에 형성된 박육부(57), 제1 후육부(55A)로부터 박육부(57) 사이에서 연장되는 두께 구배부(56) 및 박육부(57)와 흡수 구조체(17)의 후단부(17b)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후육부(55B)를 포함한다.
제2 후육부(55B)는, 두께 치수가 제1 후육부(55A)의 두께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박육부(57)의 두께 치수의 적어도 1.1배 이상이고, 제1 디보스 가공부(61)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후육부(55B)의 두께 치수를 후방 영역(52)의 후단부(17b)측에 형성된 제1 후육부(55A)의 두께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함으로써, 제2 후육부(55B)의 근방에서 박육부(57)에 의해 적절히 흡수되지 않은 체액의 양이 제2 후육부(55B)에 의해 흡수 및 유지되어 후단부(17b)를 넘어 체액이 누설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 구조체는 일회용 기저귀에 뿐만 아니라 생리대, 실금 패드 및 배변 훈련용 팬츠와 같은 다른 여러 유형의 체액 흡수성 물품에 이용될 수 있다. 기저귀(10)의 구성 부재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른 다양한 유형의 소재가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1" 및 "제2"는 단지 유사 요소, 유사 위치 또는 다른 유사 수단을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이하의 특징들로 구성될 수 있다:
(1) 종방향 및 이것에 직교하는 횡방향을 갖고 적어도 체액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성 착용 물품용 흡수 구조체로서,
상기 체액 흡수성 코어가, 후육부, 상기 후육부의 두께 치수보다 작은 두께 치수를 갖는 박육부, 및 상기 후육부와 박육부 사이에 후육부에서 박육부로 갈수록 점차 두께 치수가 줄어드는 두께 구배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께 구배부 중 적어도 상기 박육부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복수의 디보스스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 구조체.
(1)에 개시된 본 발명의 양태는 적어도 이하의 실시양태를 포함할 수 있다:
(i) 박육부에는 복수의 디보스를 포함하는 제1 디보스 가공부가 형성되고, 두께 구배부에는 복수의 디보스를 포함하는 제2 디보스 가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디보스는 제2 디보스 가공부에서보다 제1 디보스 가공부에서 더 조밀하게 배치된다.
(ii) 체액 흡수성 코어는 단층 체액 흡수성 코어이다.
(iii) 단층 체액 흡수성 코어는 액확산성 시트로 피복된다.
(iv) 횡방향으로 소정 치수를 따르는 후육부의 테이퍼 굽힘 강성치와 횡방향으로 소정 치수를 따르는 박육부의 테이퍼 굽힘 강성치 사이의 차이는 0.04 N 이하이다.
(v) 후육부에서의 체액 흡수성 코어의 단위면적당 질량은 박육부에서의 체액 흡수성 코어의 단위면적당 질량보다 크고, 두께 구배부에서의 체액 흡수성 코어의 단위면적당 질량은 두께 경사의 구배에 따라 달라진다.
(vi) 흡수 구조체의 종방향 길이 치수는 약 320 내지 약 450 mm 범위이고, 두께 구배부의 종방향 길이 치수는 약 20 내지 약 150 mm 범위이다.
(vii) 박육부의 단위면적당 질량은 후육부의 단위면적당 질량의 50 내지 85% 범위이다.
(viii) 체액 흡수성 코어는 박육부로부터 종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후육부를 더 포함하고, 제1 후육부의 두께 치수는 제2 후육부의 두께 치수와 동일하다.
(ix) 박육부는 체액 흡수성 코어의 총 면적의 35∼45%를 차지한다.
(x) 두께 구배부의 종방향 길이가 20∼150 mm이다.
(xi) 두께 구배부의 종방향 길이가 50∼110 mm이다.
(xii) 흡수 구조체는 길이가 320∼450 mm이다.
(xiii) 흡수 구조체는 양쪽 측연에서 내측으로 만곡된 부분을 가지며,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구역은 양쪽 측연의 내측으로 만곡된 부분 사이의 영역으로서 규정되며,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중앙 구역의 일부에 후육부가 형성되고 두께 구배부는 상기 중앙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으로 연장된다.
(2)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이하의 특징들로 구성될 수 있다:
흡수성 착용 물품은 톱시트, 백시트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흡수 구조체를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성 착용 물품은, 상기 본체에 앞 허리 영역, 뒤 허리 영역, 및 이들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이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흡수 구조체가 상기 앞 허리 영역에서부터 상기 뒤 허리 영역까지 연장되어 있고, 앞 허리 영역측에 흡수 구조체의 제1 구역이 위치하며, 뒤 허리 영역측에 제2 구역에 위치하며, 가랑이 영역에 중앙 구역이 대응한다.
상기 개시된 양태 및/또는 실시양태는 이하의 효과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한다.
(a) 두께 구배부가 후육부와 박육부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두께 치수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단차의 형성이 회피될 수 있다. 두께 구배부의 일부 및 박육부가 디보스 가공되어 이들 구역에서 강성이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전체적으로 현저한 강성차가 발생하지 않아, 흡수 구조체가 그 사용시 구부러지는 경우에도, 단차 발생 또는 강성 변화로 인한 일부 균열 및/또는 인열이 흡수 구조체에 생기지 않는다.
(b) 흡수 구조체의 후육부는 흡수 구조체가 그 흡수 성능을 완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배뇨가 일어나는 앞 허리 영역에 위치한다. 뒤 허리 영역에 위치하는 박육부는 착용자의 엉덩이에 대한 피트성을 개선하고 흡수 구조체 전체의 흡수 효율 개선에도 기여한다.
각 실시양태의 추가의 유리한 효과는 각 관련 설명 부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얻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은 일본 출원 2011-019253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이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Claims (15)

  1. 종방향 및 이것에 직교하는 횡방향을 갖고 체액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성 착용 물품용 흡수 구조체로서,
    상기 체액 흡수성 코어가, 후육부(thick segment), 상기 후육부의 두께 치수보다 작은 두께 치수를 갖는 박육부(thin segment), 및 상기 후육부와 상기 박육부 사이에 후육부에서 박육부로 갈수록 점차 두께 치수가 줄어드는 두께 구배부(thickness-sloped segment)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두께 구배부의 상기 박육부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복수의 디보스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육부에는 복수의 디보스를 포함하는 제1 디보스 가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두께 구배부에는 복수의 디보스를 포함하는 제2 디보스 가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디보스는 제2 디보스 가공부에서보다 제1 디보스 가공부에서 더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는 흡수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흡수성 코어가 단층 체액 흡수성 코어인 흡수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 체액 흡수성 코어가 액확산성 시트로 피복되어 있는 흡수 구조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의 횡방향 소정 치수를 따른 테이퍼 굽힘 강성치와 상기 박육부의 횡방향 소정 치수를 따른 테이퍼 굽힘 강성치 사이의 차이가 0.04 N 이하인 흡수 구조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에서의 상기 체액 흡수성 코어의 단위면적당 질량이 상기 박육부에서의 상기 체액 흡수성 코어의 단위면적당 질량보다 크고, 상기 두께 구배부에서의 상기 체액 흡수성 코어의 단위면적당 질량은 두께 치수의 구배에 따라 달라지는 흡수 구조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흡수 구조체의 종방향 길이 치수가 약 320 내지 약 450 mm 범위이고, 두께 구배부의 종방향 길이 치수가 약 20 내지 약 150 mm 범위인 흡수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박육부의 단위면적당 질량이 상기 후육부의 단위면적당 질량의 50 내지 85% 범위인 흡수 구조체.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흡수성 코어는 상기 박육부로부터 종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후육부를 더 포함하고, 제1 후육부의 두께 치수가 상기 제2 후육부의 두께 치수와 동일한 흡수 구조체.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육부가 상기 체액 흡수성 코어의 총 면적의 35∼45%를 차지하는 흡수 구조체.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구배부의 종방향 길이가 20∼150 mm인 흡수 구조체.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구배부의 종방향 길이가 50∼110 mm인 흡수 구조체.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길이가 320∼450 mm인 흡수 구조체.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흡수 구조체는 양쪽 측연에서 내측으로 만곡된 부분을 가지며,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구역은 양쪽 측연의 내측으로 만곡된 부분 사이의 영역으로서 규정되며,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중앙 구역의 일부에 후육부가 형성되고 상기 두께 구배부는 상기 중앙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으로 연장되는 흡수 구조체.
  15. 톱시트, 백시트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흡수 구조체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앞 허리 영역, 뒤 허리 영역, 및 이들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이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흡수 구조체가 상기 앞 허리 영역에서부터 상기 뒤 허리 영역까지 연장되어 있고, 앞 허리 영역측에 흡수 구조체의 제1 구역이 위치하며, 뒤 허리 영역측에 제2 구역에 위치하며, 가랑이 영역에 중앙 구역이 대응하는 흡수성 착용 물품.
KR1020137023061A 2011-01-31 2012-01-27 흡수 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흡수성 착용 물품 KR1018691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19253A JP5703043B2 (ja) 2011-01-31 2011-01-31 吸収構造体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着用物品
JPJP-P-2011-019253 2011-01-31
PCT/JP2012/000551 WO2012105211A1 (en) 2011-01-31 2012-01-27 Absorbent structure and absorbent wearing articl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939A true KR20140006939A (ko) 2014-01-16
KR101869122B1 KR101869122B1 (ko) 2018-07-19

Family

ID=46602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061A KR101869122B1 (ko) 2011-01-31 2012-01-27 흡수 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흡수성 착용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18436B2 (ko)
JP (1) JP5703043B2 (ko)
KR (1) KR101869122B1 (ko)
CN (1) CN102762179B (ko)
AU (1) AU2012212939B2 (ko)
TW (1) TWI577355B (ko)
WO (1) WO20121052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9604B2 (ja) * 2011-11-30 2015-08-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構造体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着用物品
JP5291213B1 (ja) * 2012-03-30 2013-09-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DE102012208395A1 (de) * 2012-05-18 2013-11-21 Paul Hartmann Ag Inkontinenzartikel in Höschenform
US20130317467A1 (en) * 2012-05-25 2013-11-28 Justgogirl, Llc Active Female Incontinence Pad
JP5969104B2 (ja) * 2014-12-18 2016-08-10 花王株式会社 吸収体の製造方法
JP5965979B2 (ja) * 2014-12-18 2016-08-10 花王株式会社 吸収体の製造装置
RU2664339C1 (ru) * 2014-12-18 2018-08-16 Као Корпорейшн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питывающих издел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впитывающих изделий
JP6380454B2 (ja) * 2016-04-27 2018-08-2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812153B2 (ja) * 2016-07-19 2021-01-13 花王株式会社 吸収体の製造装置及び吸収体の製造方法
CN106510967A (zh) * 2016-11-23 2017-03-22 乐澄(中国)生活用品有限公司 一种抗菌柔软易降解纸尿裤及其制备方法
BR112020017250B1 (pt) * 2018-03-28 2023-11-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rtigo absorvente
US11229241B2 (en) * 2019-01-29 2022-01-25 Nika Maria Adams Lower garment gusset reinforcement system for preventing frontal ri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6664B2 (ja) * 1988-01-22 2000-01-11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低い密度と坪量の獲得帯を有する改良吸収性部材
JP2004065929A (ja) 2002-06-10 2004-03-04 Kao Corp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JP2006280468A (ja) * 2005-03-31 2006-10-19 Daio Paper Corp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10125199A (ja) * 2008-11-28 2010-06-10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5915A (en) * 1984-04-06 1987-08-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density and basis weight profiled absorbent core
US5047023A (en) * 1986-07-18 1991-09-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members having low density and basis weight acquisition zones
US4834735A (en) * 1986-07-18 1989-05-30 The Proctor & Gamble Company High density absorbent members having lower density and lower basis weight acquisition zones
FR2636522A1 (fr) * 1988-09-21 1990-03-23 Kaysersberg Sa Serviette periodique
US5019063A (en) * 1989-10-30 1991-05-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ntaining mechanical pulp and polymeric gelling material
JP3091374B2 (ja) * 1994-10-27 2000-09-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3748002B2 (ja) * 1998-12-25 2006-02-2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616728B2 (ja) * 1999-01-19 2005-02-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
SE9904835L (sv) * 1999-12-29 2001-06-30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ad formningsförmåga
US20020177829A1 (en) * 2001-03-01 2002-11-28 Fell David Arthur Disposable underpants and method
US8314286B2 (en) * 2003-05-23 2012-11-20 Mcneil-Ppc, Inc. Flexible liquid absorbing structure
EP1885315A1 (en) * 2005-06-02 2008-02-1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traverse reinforcing element
US20060276766A1 (en) * 2005-06-07 2006-12-07 Glenda Kentolall Pad for use with thong garment
JP4652911B2 (ja) * 2005-07-01 2011-03-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S2368352T3 (es) * 2007-05-25 2011-11-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ículo de higiene femenina con un diseño impreso y un diseño estampado.
US8394316B2 (en) * 2010-08-12 2013-03-12 Johnson & Johnson Do Brasil Industria E Comercio Produtos Para Saude Ltda. Rodovia Method for making a fibrous article
JP5800520B2 (ja) * 2010-09-16 2015-10-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
JP5618740B2 (ja) * 2010-09-30 2014-11-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3298437B (zh) * 2010-11-30 2016-05-11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提供功能提示的非对称印刷图案的吸收性物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6664B2 (ja) * 1988-01-22 2000-01-11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低い密度と坪量の獲得帯を有する改良吸収性部材
JP2004065929A (ja) 2002-06-10 2004-03-04 Kao Corp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JP2006280468A (ja) * 2005-03-31 2006-10-19 Daio Paper Corp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10125199A (ja) * 2008-11-28 2010-06-10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2212939A1 (en) 2013-05-23
US9018436B2 (en) 2015-04-28
TWI577355B (zh) 2017-04-11
TW201244703A (en) 2012-11-16
US20130296819A1 (en) 2013-11-07
CN102762179A (zh) 2012-10-31
JP5703043B2 (ja) 2015-04-15
WO2012105211A1 (en) 2012-08-09
KR101869122B1 (ko) 2018-07-19
AU2012212939B2 (en) 2015-07-16
JP2012157528A (ja) 2012-08-23
CN102762179B (zh)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6939A (ko) 흡수 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흡수성 착용 물품
EP2645976B1 (en) Disposable diaper
US9271881B2 (en) Absorbent layer for disposable wearing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RU2670383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одержащее вспененный материал
CN105263452A (zh) 一次性吸收制品
GB2559705A (en) Absorbent article
US11026849B2 (en) Male incontinence gu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le incontinence guard
JP2007089818A (ja) 吸収性物品
CN109982668B (zh) 包括三种或更多种不同尺寸的吸收性物品系列
JP5769604B2 (ja) 吸収構造体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着用物品
EP3459511B1 (en) Undershort pants-type absorbent article
CN217391048U (zh) 吸收制品
CN116157103A (zh) 吸收性物品
BR112018007940B1 (pt) Artigo absorvente, núcleo absorvente e método para fabricar um núcleo absorvente para uso em um forro para incontinência
WO2024075197A1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2019103712A (ja) 吸収性物品
WO2015015970A1 (ja) 吸収性物品
US20220031530A1 (en) Absorbent article
RU2435558C1 (ru) Поглощающее изделие определенной формы с краевыми эластич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JP2023021832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CN117295476A (zh) 用于可穿戴吸收性物品的吸收芯以及包括所述吸收芯的可穿戴吸收性物品
CN116916865A (zh) 短裤型吸收性物品
JP2018187497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