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096A - 핸들 장치 - Google Patents

핸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096A
KR20140005096A KR1020130076899A KR20130076899A KR20140005096A KR 20140005096 A KR20140005096 A KR 20140005096A KR 1020130076899 A KR1020130076899 A KR 1020130076899A KR 20130076899 A KR20130076899 A KR 20130076899A KR 20140005096 A KR20140005096 A KR 20140005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aft
moving member
moving
rotation
r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시 가미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40005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3Hand wheels with a device allowing single-hand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6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vehicle vibration dampe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Handcart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내구성이 우수한 핸들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실시예의 핸들 장치는, 프레임(1), 회전축(3), 조작 부재(5), 이동 부재(7), 제1, 2 안내 로드(9a, 9b), 요동 부재(11), 포텐셔미터(13) 및 제1, 2 스프링 핀(37a, 37b)을 구비하고 있다. 이동 부재(7)에는, 제1, 2 스토퍼면(7d, 7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2 스프링 핀(37a, 37b)은, 회전축(3)의 축 방향의 양단(兩端)에 각각 식설(植設)되어 있다. 이 핸들 장치에서는, 이동 부재(7)가 작동 공간(25) 내를 상방향으로 계속 이동함으로써, 제1 스토퍼면(7d)과, 제1 스프링 핀(37a)이 맞닿는다. 또한, 이동 부재(7)가 작동 공간(25) 내를 하방향으로 계속 이동함으로써, 제2 스토퍼면(7f)과, 제2 스프링 핀(37b)이 맞닿는다. 이에 따라, 이 핸들 장치에서는, 이동 부재(7)와 제1, 2 지지부(15, 17)가 간섭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Description

핸들 장치{STEERING DEVICE}
본 발명은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종래의 핸들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핸들 장치는, 프레임, 회전축, 조작 부재, 이동 부재, 안내 부재, 요동 부재(swing member) 및 포텐셔미터(potentiometer)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은 한 쌍의 지지부를 갖고 있으며, 각 지지부가 작동 공간(operating space)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은 양(兩)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동 부재는, 회전축의 수나사와 정합하는 암나사를 갖고 있으며, 작동 공간 내에서 회전축에 나사 맞춤하고 있다. 안내 부재는 한 쌍의 판재이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안내 부재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며, 회전축의 회전에 수반하는 이동 부재의 회전을 금지하면서 이동 부재에 있어서의 작동 공간 내에서의 축 방향의 이동을 허용한다.
요동 부재는, 일단측(一端側)이 핀에 의해 이동 부재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으며, 이동 부재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핀은 이동 부재와 고정되며, 안내 부재의 안내홈에 삽통(揷通)되어 있다. 포텐셔미터에는, 요동 부재의 타단측이 접속되어 있으며, 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는 요동 부재의 요동 각도를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핸들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조작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회전축이 회전한다. 이에 따라, 이동 부재가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요동 부재가 이동하는 점으로부터, 포텐셔미터는 조작 부재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핸들 장치에서는, 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핀이 안내 부재의 안내홈 내를 이동하여, 핀이 안내홈의 단부와 맞닿으면, 이동 부재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렇게 하여, 이 핸들 장치에서는, 작동 공간 내를 이동한 이동 부재가 양지지부와 간섭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224815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핸들 장치에서는, 프레임에 대한 안내 부재의 장착 오차에 의해, 이동 부재가 지지부와 맞닿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핀이 아직 안내홈의 단부와 맞닿고 있지 않은 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이 핸들 장치에서는, 안내홈 내를 핀이 이동하는 범위에 따라, 작동 공간 내에 있어서의 이동 부재의 이동 범위를 간접적으로 규제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아, 프레임에 대한 안내 부재의 장착 오차가 발생하는 것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 핸들 장치에서는 지지부와 이동 부재가 간섭한 상태라도 더욱 이동 부재가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가 있어, 이 경우에는, 이동 부재나 프레임에 대한 부하가 커진다. 이 때문에, 이 핸들 장치에서는 내구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내구성이 우수한 핸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핸들 장치는, 한 쌍의 지지부가 작동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도록 형성된 프레임과,
양 당해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회전축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당해 회전축을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와,
당해 수나사와 정합하는 암나사를 갖고, 당해 작동 공간 내에서 당해 회전축에 나사 맞춤하는 이동 부재와,
당해 프레임에 설치되고, 당해 회전축의 회전에 수반하는 당해 이동 부재의 회전을 금지하면서 당해 이동 부재에 있어서의 당해 작동 공간 내에서의 축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안내 부재와,
일단측이 당해 이동 부재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요동 부재와,
당해 요동 부재의 타단측이 접속되고, 당해 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는 당해 요동 부재의 요동 각도를 검출 가능한 포텐셔미터를 구비한 핸들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축 방향의 양단측에서 양 상기 지지부와 이간하여 배치되고, 당해 축 방향의 양단측에서 상기 이동 부재와 맞닿음으로써, 당해 이동 부재와 양 당해 지지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규제 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1).
본 발명의 핸들 장치에서는, 회전축의 축 방향의 양단측에 규제 부재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핸들 장치에서는,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작동 공간 내를 이동한 이동 부재는, 이들 규제 부재와 맞닿는다. 이에 따라, 이 핸들 장치에서는, 작동 공간 내에 있어서의 이동 부재의 이동 범위가 규제 부재에 의해 직접적으로 규정됨으로써, 장착시의 오차에도 불구하고, 작동 공간 내를 이동하는 이동 부재와 양 지지부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이 핸들 장치에서는, 이동 부재나 프레임에 큰 부하가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이 핸들 장치에서는, 규제 부재가 양 지지부와 이간한 상태에서 회전축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규제 부재 자신도 양 지지부와 간섭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핸들 장치에서는, 규제 부재에도 큰 부하가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핸들 장치는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한다.
각 규제 부재로서는, 회전축에 있어서의 수나사보다도 외경을 크게 하거나, 수나사보다도 둘레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면, 여러 가지의 부재를 채용할 수 있다. 특히, 각 규제 부재는, 회전축에 있어서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식설(植設)된 핀인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2). 이 경우에는, 각 규제 부재를 간소화함으로써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핸들 장치의 장착도 용이해진다.
회전축에 대하여 핀을 식설하는 시기로서는, 회전축과 이동 부재를 나사 맞춤시킨 후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 외에, 한쪽의 핀을 회전축에 식설한 후에 회전축과 이동 부재를 나사 맞춤시켜, 마지막에 다른 한쪽의 핀을 회전축에 식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 핸들 장치에서는, 장착시에 있어서의 자유도도 높아진다.
핀은, 스프링 핀인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3). 이 경우, 스프링 핀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 부재와의 맞닿음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동 부재에는, 각 규제 부재와 각각 맞닿음으로써, 회전축의 회전을 금지하는 스토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4). 이 경우에는, 스토퍼부와 각 규제 부재가 맞닿음으로써,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이 핸들 장치에서는, 이동 부재와 양 지지부와의 간섭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회전축의 회전이 금지됨으로써, 작동 공간 내에 있어서 이동 부재가 이동 한계에 도달해 있는 상태, 즉, 포텐셔미터가 검출 가능한 요동 부재의 요동 각도가 상한에 도달해 있는 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핸들 장치에 있어서, 안내 부재는, 양 지지부에 양단이 고정되고,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로드일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부재에는, 각 로드와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5). 이 경우에는, 안내 부재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져,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면이 각 로드와 슬라이딩함으로써, 회전축의 회전에 수반하는 이동 부재의 회전을 적합하게 금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핸들 장치는, 산업 차량의 조타를 행하기 위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6). 이에 따라, 산업 차량의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핸들 장치는 내구성이 우수하다.
도 1은 실시예의 핸들 장치의 좌측면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의 핸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의 Ⅱ-Ⅱ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의 핸들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의 핸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 부재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A)는 이동 부재의 상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B)는 이동 부재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실시예의 핸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축을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개략도이다. (A)는, 제1 스토퍼면과 제1 스프링 핀이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장치의 좌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B)는, 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요동 부재의 일단측이 요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핸들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의 핸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축을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개략도이다. (A)는, 제2 스토퍼면과 제2 스프링 핀이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B)는, 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요동 부재의 일단측이 요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핸들 장치의 정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핸들 장치는, 프레임(1), 회전축(3), 조작 부재(5), 이동 부재(7), 제1, 2 안내 로드(9a, 9b), 요동 부재(11), 포텐셔미터(13) 및 제1, 2 스프링 핀(37a, 37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2 안내 로드(9a, 9b)가 각각 로드에 상당(相當)하고 있다(제2 안내 로드(9b)에 대해서는, 도 2 참조). 이 핸들 장치는, 산업 차량인 피킹 리프트(도시 생략)의 조타 장치로서 채용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은, 수평으로 설치된 제1 지지부(15) 및 제2 지지부(17)와,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결 로드(19)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지지부(15)에는, 제1 삽통공(15a) 및 제2 삽통공(15b)이 형성되어 있는 것 외에, 볼트공(15c, 15d)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지지부(17)에는, 제1 삽통공(17a) 및 제2 삽통공(17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기는 하지만, 제1, 2 지지부(15, 17)에는, 각각 제1, 2 안내 로드(9a, 9b)를 삽통하기 위한 삽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조작 부재(5) 및 포텐셔미터(13)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1 지지부(15)의 제1 삽통공(15a)에는, 베어링(21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지지부(17)의 제1 삽통공(17a)에는, 베어링(21b)이 설치되어 있는 것 외에, 시일재(21c)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지지부(15)의 제2 삽통공(15b)에는, 연결 로드(19)의 상단측이 삽통되어 있으며, 제2 지지부(17)의 제2 삽통공(17b)에는, 연결 로드(19)의 하단측이 삽통되어 있다. 이 연결 로드(19)의 양단은 각각 너트(23a, 23b)에 의해, 각각 제1, 2 지지부(15, 17)와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부(15)와 제2 지지부(17)가 일정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하에 배치되어, 서로 대면하는 상태가 되어 있다. 이 제1 지지부(15)와 제2 지지부(17)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작동 공간(25)이 되어 있다.
회전축(3)은, 상단측이 베어링(21a)에 삽통되어 있음과 함께, 하단측이 베어링(21b) 및 시일재(21c)에 삽통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3)은, 제1, 2 지지부(15, 17)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3)의 외주면이며, 작동 공간(25) 내에 위치하는 개소에는 수나사(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나사(3a)의 양단측은 각각 일부가 평면 형상으로 가공되고, 이들 부분에는, 회전축(3)의 축심(O)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공(3b, 3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지지부(15)로부터 돌출하는 회전축(3)의 상단측은, 그 선단(先端)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도록 테이퍼 가공이 시행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3)의 상단측에는, 후술하는 조작 부재(5)의 아암(51)과 연결되는 연결부(3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부(3d)에는 널링(knurling) 가공이 시행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3)의 상단측의 선단(3e)은, 연결부(3d)보다도 소경(小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너트(23c)와 나사 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 부재(5)는, 아암(51)과, 휠(52)과, 노브(knob; 53)로 구성되어 있다. 아암(51)에는, 중앙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보스부(boss; 510)가 형성되어 있는 것 외에, 폭 방향의 단부에서 상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접속축(511)이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510) 내에는 삽통공(510a, 510b) 및 축공(510c)이 형성되어 있다. 삽통공(510a, 510b)은, 축공(510c)을 통하여 서로 연통되어 있다. 삽통공((510a)에는 회전축(3)의 연결부(3d)가 끼워 맞춰져 있고, 축공(510c)에는, 회전축(3)의 선단(3e)이 삽통되어 있다. 이 선단(3e)은, 삽통공(510b)에 돌출되어 있고, 삽통공(510b) 내에서 너트(23c)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보스부(510)를 통하여 아암(51)과 회전축(3)이 연결되어 있다.
휠(52)은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아암(5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휠(52)의 주연(周緣)에는, 노브(53)와의 접속을 행하는 접속 돌기(5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휠(52)의 하면에는, 아암(51)을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면(521)이 형성되어 있다. 보유지지면(521)에는 접속 돌기(520) 내에 연장되는 삽통공(5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휠(52)에서는, 보유지지면(521)에서 아암(51)을 보유지지함으로써, 아암(51)의 접속축(511)이 삽통공(522)에 삽통되고, 그 선단은 접속 돌기(520)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된다.
노브(53)에는, 삽통공(530, 531) 및 축공(532)이 형성되어 있다. 삽통공(530, 531)은, 축공(532)을 통하여 서로 연통되어 있다. 삽통공(530)에는 접속 돌기(520)가 삽통되어 있다. 축공(532)에는 접속축(511)이 삽통되어 있고, 이 접속축(511)의 선단은 삽통공(531) 내에 돌출되어 있다. 이 삽통공(531) 내에 있어서, 접속축(511)의 선단은, 너트(23d)에 의해 노브(53)와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이 조작 부재(5)에서는, 사용자가 노브(53)를 통하여 휠(52)을 회전시킴으로써, 그 회전이 아암(51)에 의해 회전축(3)에 전달된다.
도 4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부재(7)는 대략 직사각형체이고, 상면(700), 하면(701), 전단면(702), 후단면(703), 우단면(704) 및 좌단면(705)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 부재(7)의 상면(700)의 중앙에는, 하면(701)까지 연장되는 삽통공(7a)이 형성되어 있다. 삽통공(7a) 내에는, 회전축(3)의 수나사(3a)와 정합하는 암나사(7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통공(7a)에 회전축(3)을 삽통시킴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부재(7)는, 작동 공간(25) 내에서 회전축(3)에 나사 맞춤된다. 이 이동 부재(7)는, 회전축(3)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축(3)과 나사 맞춤하면서 회전축(3)의 축 방향에서 작동 공간(25) 내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부재(7)의 상면(700)에는, 삽통공(7a)의 주위에서 삽통공(7a)을 둘러싸는 상면측 가이드(7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면측 가이드(7c)는, 상면(700)의 좌측 후방을 정점(頂点)으로 하여, 나선상으로 하강하면서 삽통공(7a)까지 연장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면측 가이드(7c)의 정점측은 상면(700)보다도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상면측 가이드(7c)의 정점측에는, 이동 부재(7)의 전방측을 향하면서, 상면(700)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스토퍼면(7d)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면(701)에 있어서의 삽통공(7a)의 주위에도, 하면(701)의 우측 후방을 정점으로 하여, 나선상으로 상승하면서 삽통공(7a)까지 연장되는 하면측 가이드(7e)가 형성되어 있다. 하면측 가이드(7e)의 정점측은 하면(701)보다도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하면측 가이드(7e)의 정점측에는, 이동 부재(7)의 전방측을 향하면서, 하면(701)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스토퍼면(7f)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2 스토퍼면(7d, 7f)이 스토퍼부에 상당한다.
이동 부재(7)의 우단면(704) 및 좌단면(705)에 있어서의 이동 부재(7)의 전후 방향의 중앙에는, 각각 슬라이딩면(7g, 7h)이 반원 형상으로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동(同) 도면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부재(7)의 전단면(702)에는, 전단면(702)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수평하고 그리고 평행하게 돌출되는 한 쌍의 안내벽(7i, 7j)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벽(7i)과 안내벽(7j)과의 사이에는 오목부(7k)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안내 로드(9a)는, 연결 로드(19)와 동일하게 제1 지지부(15) 및 제2 지지부(17)에 삽통되어 있고, 너트(23e, 23f)에 의해 제1 지지부(15) 및 제2 지지부(17)에 고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제2 안내 로드(9b)도, 제1 안내 로드(9a)와 동일하게, 도시하지 않은 너트를 통하여 제1 지지부(15) 및 제2 지지부(17)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안내 로드(9a, 9b)는, 회전축(3)을 좌우 방향에서 사이에 끼우면서, 서로 대향한 상태에서 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안내 로드(9a)는 이동 부재(7)에 있어서의 슬라이딩면(7h)과 맞닿은 상태가 되어 있고, 제2 안내 로드(9b)는 슬라이딩면(7g)과 맞닿은 상태가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2 안내 로드(9a, 9b)는, 이동 부재(7)가 회전축(3)의 회전에 수반하여 작동 공간(25) 내를 상하동할 때에, 이동 부재(7)가 회전축(3)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금지한다.
요동 부재(11)는, 일단측에 볼록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11a)가 이동 부재(7)의 오목부(7k)에 삽입됨으로써, 요동 부재(11)의 일단측은, 이동 부재(7)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요동 부재(11)의 타단측은, 고정 핀(27)에 의해 후술하는 전달 장치(29)의 후단측에 고정되어 있다.
전달 장치(29)는, 후단측에서 요동 부재(11)의 타단측이 접속되어 있는 것 외에, 전단측에서 포텐셔미터(13)와 접속되어 있다. 전달 장치(29)는, 내부에 샤프트(도시 생략) 등이 설치되어 있고, 요동 부재(11)의 일단측의 요동 각도를 포텐셔미터(13)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전달 장치(29)는, 볼트(31a, 31b)에 의해 브래킷(33)에 고정되어 있다. 이 브래킷(33)은, 볼트(31c, 31d)에 의해 제1 지지부(15)에 고정되어 있다. 각 볼트(31c, 31d)는, 도 3에 나타내는 전술된 볼트공(15c, 15d)에 각각 삽통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텐셔미터(13)는, 케이스(13a)와, 케이스(13a)에 대하여 회전 축심(P)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검출부(13b)를 갖고 있다. 포텐셔미터(13)에서는, 전달 장치(29)에 의해 전달된 요동 부재(11)의 일단측의 요동 각도에 따라서, 검출부(13b)가 회전 축심(P) 주위에서 회전한다. 이때의 검출부(13b)의 회전 방향 및 그 회전량에 따라, 포텐셔미터(13)는, 이동 부재(7)의 이동에 수반하는 요동 부재(11)의 요동 각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3a)의 하방에는, 암커넥터(13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암커넥터(13c)에는, 케이블(35a)을 갖는 수커넥터(35)의 일단측이 접속되어 있다. 이 수커넥터(35)의 타단측은, 도시하지 않은 피킹 리프트의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포텐셔미터(13)와 제어 장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검출한 요동 부재(11)의 요동 각도를 전기 신호로서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프링 핀(37a)은 핀공(3b)에 압입되어, 작동 공간(25)에 있어서의 회전축(3)의 상단측에 식설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스프링 핀(37b)도 핀공(3c)에 압입되어, 작동 공간(25)에 있어서의 회전축(3)의 하단측에 식설되어 있다. 이때, 제1 스프링 핀(37a)은, 베어링(21a)과의 사이에 공간(α)이 형성되는 정도로 제1 지지부(15)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식설되어 있다. 제2 스프링 핀(37b)은, 베어링(21b)과의 사이에 공간(α)이 형성되는 정도로 제2 지지부(17)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식설되어 있다. 또한, 제1, 2 스프링 핀(37a, 37b)에서는, 각각에 형성된 핀의 갈라진 틈을 회전축(3)의 축심(O) 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회전축(3)에 식설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3)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스프링 핀(37a)과 제2 스프링 핀(37b)과의 간격(β)은, 요동 부재(11)가 요동했을 때, 포텐셔미터(13)가 그 요동 각도를 검출 가능한 범위와 동등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3)에 대하여 제1, 2 스프링 핀(37a, 37b)이 식설됨으로써, 제1, 2 스프링 핀(37a, 37b)은, 회전축(3)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수나사(3a)보다도 외측, 즉, 도 4의 (A)에 나타내는 이동 부재(7)에 있어서의 삽통공(7a)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 핸들 장치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노브(53)에 의해 조작 부재(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1, 2 스프링 핀(37a, 37b)도 회전축(3)과 함께 회전한다. 또한, 이동 부재(7)에서는, 각 슬라이딩면(7g, 7h)과, 제1, 2 안내 로드(9a, 9b)가 각각 슬라이딩한다. 이 때문에, 회전축(3)이 우회전함으로써, 이동 부재(7)는, 회전축의(3) 축 방향에서 작동 공간(25) 내를 상방을 향하여 이동한다(도 5의 (A) 참조). 이와 같이, 이동 부재(7)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동 도면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부재(11)에서는, 전달 장치(29)에 고정된 타단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그 일단측이 타단측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요동한다.
다른 한편, 사용자가 조작 부재(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3)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부재(7)는, 각 슬라이딩면(7g, 7h)이 각각 제1, 제2 안내 로드(9a, 9b)와 슬라이딩하면서, 회전축(3)의 축 방향에서 작동 공간(25) 내를 하방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동 부재(7)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동 도면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부재(11)에서는, 전달 장치(29)에 고정된 타단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그 일단측이 타단측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요동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의 (A)에서는, 설명을 위해 제1 안내 로드(9a) 및 포텐셔미터(13)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의 (B)에서는, 설명을 위해, 전달 장치(29)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요동 부재(11)의 요동이 전달 장치(29)를 통하여 포텐셔미터(13)의 검출부(13b)에 전달된다. 그리고, 검출부(13b)가 상기와 같이, 회전 축심(P) 주위에서 회전함으로써, 요동 부재(11)의 요동 각도가 검출된다. 이 요동 각도가 제어 장치에 전달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 부재(5)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양에 따라서 피킹 리프트를 우선회 또는 좌선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사이, 이 핸들 장치에서는, 회전축(3)의 축 방향의 양단측에 제1, 2 스프링 핀(37a, 37b)이 고정되어 있는 점에서, 이동 부재(7)가 제1, 2 스프링 핀(37a, 37b)과 맞닿는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조작 부재(5)를 오른쪽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여,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부재(7)가 작동 공간(25) 내를 상방향으로 계속 이동함으로써, 이동 부재(7)에 있어서의 제1 스토퍼면(7d)과, 제1 스프링 핀(37a)이 맞닿는다. 이때, 제1 스프링 핀(37a)과 베어링(21a)과의 공간(α)보다도, 이동 부재(7)에 있어서의 상면측 가이드(7c)의 정점과 베어링(21a)과의 공간이 커지는 위치에서, 제1 스토퍼면(7d)은 제1 스프링 핀(37a)과 맞닿는다. 이에 따라, 이 핸들 장치에서는, 이 이상으로 회전축(3)이 우회전을 하는 것이 불가능해져, 이동 부재(7)가 작동 공간(25) 내를 더욱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이 제1 스토퍼면(7d)과 제1 스프링 핀(37a)이 맞닿는 위치는, 이동 부재(7)가 상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포텐셔미터(13)에 의해 검출 가능한 요동 부재(11)의 요동 각도의 상한이 되는 위치이다.
이동 부재(7)가 작동 공간(25) 내를 하방향으로 계속해서 이동하는 경우도 동일하며,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부재(7)에 있어서의 제2 스토퍼면(7f)과, 제2 스프링 핀(37b)이 맞닿는다. 이때, 제2 스프링 핀(37b)과 베어링(21b)과의 공간(α)보다도, 이동 부재(7)에 있어서의 하면측 가이드(7e)의 정점과 베어링(21b)과의 공간이 커지는 위치에서, 제2 스토퍼면(7f)은 제2 스프링 핀(37b)과 맞닿는다. 이에 따라, 이 핸들 장치에서는, 이 이상으로 회전축(3)이 좌회전을 하는 것이 불가능해져, 이동 부재(7)가 작동 공간(25) 내를 더욱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이 제2 스토퍼면(7f)과 제2 스프링 핀(37b)이 맞닿는 위치는, 이동 부재(7)가 하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포텐셔미터(13)에 의해 검출 가능한 요동 부재(11)의 요동 각도의 상한이 되는 위치이다.
이와 같이, 제1, 2 스토퍼면(7d, 7f)과, 제1, 2 스프링 핀(37a, 37b)이 각각 맞닿음으로써, 이 핸들 장치에서는, 작동 공간(25) 내에 있어서의 이동 부재(7)의 상하 방향의 이동 범위가 제1, 2 스프링 핀(37a, 37b)에 의해 직접적으로 규제되어 있다. 즉, 이 핸들 장치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 공간(25) 내이고, 그리고, 제1 스프링 핀(37a), 제2 스프링 핀(37b)과의 간격(β)의 범위 내에 있어서, 이동 부재(7)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핸들 장치에서는, 제1, 2 안내 로드(9a, 9b) 등의 장착시의 오차에도 불구하고, 작동 공간(25) 내를 이동하는 이동 부재(7)와 제1, 2 지지부(15, 17)와의 간섭이 확실하게 방지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부재(7)에 대해서, 작동 공간(25) 내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제1 지지부(15)에 설치된 베어링(21a)과 이동 부재(7)의 상면(700)이 간섭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고 있고, 다른 한편, 이동 부재(7)를 작동 공간(25) 내에서 하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제2 지지부(17)에 설치된 베어링(21b)과 이동 부재(7)의 하면(701)이 간섭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핸들 장치에서는, 이동 부재(7), 프레임(1) 및 베어링(21a, 21b)에 큰 부하가 작용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핸들 장치에서는, 제1, 2 스프링 핀(37a, 37b)이 제1, 2 지지부(15, 17)와 이간된 상태에서 회전축(3)에 식설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스프링 핀(37a)과 베어링(21a)과의 사이와, 제2 스프링 핀(37b)과 베어링(21b)과의 사이에 대해서, 각각 공간(α)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핸들 장치에서는, 제1, 2 스프링 핀(37a, 37b) 자신도, 각 베어링(21a, 21b), 나아가서는 제1, 2 지지부(15, 17)와 간섭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이 핸들 장치에서는, 제1, 2 스프링 핀(37a, 37b)을 규제 부재로서 채용하고 있는 점에서, 규제 부재를 간소화하여 저비용화를 실현하고 있음과 함께, 핸들 장치의 장착도 용이해져 있다. 또한, 이 핸들 장치에서는, 제1, 2 스프링 핀(37a, 37b)의 탄성력을 이용함으로써, 핀공(3b, 3c)으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을 뿐 아니라, 이동 부재(7)의 제1, 2 스토퍼면(7d, 7f)과의 맞닿음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때, 이 핸들 장치에서는, 회전축(3)의 축 방향, 즉, 제1, 2 스프링 핀(37a, 37b)의 갈라진 틈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 2 스토퍼면(7d, 7f)이 맞닿기 때문에, 맞닿음시의 충격이 적합하게 완화되어 있다. 이들 때문에, 이 핸들 장치에서는, 제1, 2 스프링 핀(37a, 37b)에도 큰 부하가 작용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핸들 장치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나아가서는, 이 핸들 장치를 채용한 피킹 리프트는, 내구성이 우수하다.
특히, 이 핸들 장치에서는, 이동 부재(7)에 대하여 제1, 2 스토퍼면(7d, 7f)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핸들 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 2 스토퍼면(7d, 7f)과, 제1, 2 스프링 핀(37a, 37b)이 맞닿음으로써, 회전축(3)을 회전시키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이 핸들 장치에서는, 포텐셔미터(13)가 검출 가능한 요동 부재(11)의 요동 각도가 상한에 도달하여, 피킹 리프트에 있어서의 최대 우선회량 및 최대 좌선회량에 도달해 있는 것에 대해서, 사용자에 대하여 적합하게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핸들 장치에서는, 안내 부재로서, 회전축(3)을 좌우 방향에서 사이에 끼우면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2 안내 로드(9a, 9b)를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동 부재(7)에는, 제1, 2 안내 로드(9a, 9b)와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면(7g, 7h)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핸들 장치에서는, 안내 부재를 간소화하여 저비용화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이 핸들 장치에서는, 이동 부재(7)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각 슬라이딩면(7g, 7h)이 제1, 2 안내 로드(9a, 9b)와 각각 슬라이딩함으로써, 회전축(3)의 회전에 수반하는 이동 부재(7)의 회전을 적합하게 금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에 있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입각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프레임(1)에 대해서, 상기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쌍의 지지부가 작동 공간(25)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고, 그리고, 회전축(3)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 가능하면, 여러 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조작 부재(5)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상기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일은 없으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회전축(3)이 회전 가능하면, 여러 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요동 부재(11)의 일단측과 이동 부재(7)는, 예를 들면 핀 등을 삽통시킴으로써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산업 차량 등의 핸들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1 : 프레임
3 : 회전축
3a : 수나사
5 : 조작 부재
7 : 이동 부재
7b : 암나사
7d : 제1 스토퍼면(스토퍼부)
7f : 제2 스토퍼면(스토퍼부)
7g, 7k : 슬라이딩면
9a : 제1 안내 로드(안내 부재, 로드)
9b : 제2 안내 로드(안내 부재, 로드)
11 : 요동 부재
13 : 포텐셔미터
15 : 제1 지지부
17 : 제2 지지부
25 : 작동 공간
37a : 제1 스프링 핀(규제 부재, 핀)
37b : 제2 스프링 핀(규제 부재, 핀)

Claims (6)

  1. 한 쌍의 지지부가 작동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도록 형성된 프레임과,
    양(兩) 당해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회전축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당해 회전축을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와,
    당해 수나사와 정합하는 암나사를 갖고, 당해 작동 공간 내에서 당해 회전축에 나사 맞춤하는 이동 부재와,
    당해 프레임에 설치되고, 당해 회전축의 회전에 수반하는 당해 이동 부재의 회전을 금지하면서 당해 이동 부재에 있어서의 당해 작동 공간 내에서의 축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안내 부재와,
    일단측(一端側)이 당해 이동 부재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요동 부재와,
    당해 요동 부재의 타단측이 접속되고, 당해 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는 당해 요동 부재의 요동 각도를 검출 가능한 포텐셔미터를 구비한 핸들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축 방향의 양단측에서 양 상기 지지부와 이간하여 배치되고, 당해 축 방향의 양단측에서 상기 이동 부재와 맞닿음으로써, 당해 이동 부재와 양 당해 지지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규제 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있어서의 상기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식설(植設)된 핀인 핸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스프링 핀인 핸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에는, 양 상기 규제 부재와 각각 맞닿음으로써,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금지하는 스토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핸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양 상기 지지부에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로드이고,
    상기 이동 부재에는, 각 당해 로드와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면이 형성되어 있는 핸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산업 차량의 조타를 행하기 위한 것인 핸들 장치.
KR1020130076899A 2012-07-04 2013-07-02 핸들 장치 KR201400050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50740 2012-07-04
JP2012150740A JP5861576B2 (ja) 2012-07-04 2012-07-04 ハンドル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096A true KR20140005096A (ko) 2014-01-14

Family

ID=50108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899A KR20140005096A (ko) 2012-07-04 2013-07-02 핸들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861576B2 (ko)
KR (1) KR20140005096A (ko)
TW (1) TWI52904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54556A1 (en) * 2017-08-15 2019-02-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for bonding a cylinder liner within a cylinder bore of a vehicle engine block
KR20200034343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만도 조향휠 회전 제한부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9713B (zh) * 2014-05-17 2018-05-25 青岛科技大学 锥齿轮式车辆线控转向方向盘装置
CN104787109B (zh) * 2015-03-12 2018-05-01 青岛科技大学 凸轮式车辆线控转向方向盘装置
CN106741118A (zh) * 2016-12-30 2017-05-31 杭州昱透实业有限公司 一种可变阻尼装置
CN111246817B (zh) * 2017-11-02 2023-06-27 奥林巴斯株式会社 弯曲机构及医疗用机械手
WO2019138789A1 (ja) * 2018-01-11 2019-07-18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JP6957397B2 (ja) * 2018-01-11 2021-11-02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9387Y2 (ko) * 1985-07-30 1990-10-23
JPH07259949A (ja) * 1994-03-24 1995-10-13 Ricoh Co Ltd 送り装置
JPH09329210A (ja) * 1996-06-12 1997-12-22 Kawasaki Steel Corp 自動往復移動機械
JP4641432B2 (ja) * 2005-02-17 2011-03-02 日本輸送機株式会社 ハンド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54556A1 (en) * 2017-08-15 2019-02-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for bonding a cylinder liner within a cylinder bore of a vehicle engine block
KR20200034343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만도 조향휠 회전 제한부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29043B (zh) 2016-04-11
JP5861576B2 (ja) 2016-02-16
TW201408453A (zh) 2014-03-01
JP2014012461A (ja)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5096A (ko) 핸들 장치
US8662240B2 (en) Steering system
US8831835B2 (en) Steering system
KR20150065843A (ko) 접속 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도통 검사 기구
EP2578429B1 (en) Support structure for gearshift lever
CN210691142U (zh) 杆输入装置
KR102340956B1 (ko) 리밋 스위치
JP2010030507A (ja) ボールジョイントおよびラック軸の固定構造
JP2014118042A (ja) 位置検出スイッチ及び回転スイッチ
KR101507932B1 (ko) 핸들 장치
US10444784B2 (en) Electric lever device
KR101478225B1 (ko) 조작 장치
JP6866864B2 (ja) リミットスイッチ
JP2007085429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位置検出装置
JP2020082796A (ja) パークロック装置
WO2023188909A1 (ja) 複合操作入力装置
KR101374518B1 (ko) 연료 센서
JP2013171615A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2007131272A (ja) 車高センサ
CN106003015B (zh) 机器人
JP2012117186A (ja) 横編機の駆動制御装置
JP2015051675A (ja) 位置検出スイッチおよび回転検出スイッチ
JP2009117119A (ja)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JP2008200088A (ja) 針棒の振り幅規制機構付ミシン
KR20100004374A (ko) 스티어링 감지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515

Effective date: 2016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