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225B1 -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225B1
KR101478225B1 KR1020130077566A KR20130077566A KR101478225B1 KR 101478225 B1 KR101478225 B1 KR 101478225B1 KR 1020130077566 A KR1020130077566 A KR 1020130077566A KR 20130077566 A KR20130077566 A KR 20130077566A KR 101478225 B1 KR101478225 B1 KR 101478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reference position
torsion coil
coil spr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7746A (ko
Inventor
카즈시 가미야
타쿠로 나가마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40007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G05G1/06Details of their grip parts

Abstract

(과제) 높은 정밀도로 조작이 가능함과 함께, 우수한 조작 필링을 발휘 가능한 조작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섬 노브(1)는, 브라킷(5; bracket)과 노브(9; knob)와의 사이에 제1,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21, 25)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21)은, 노브(9)를 기준 위치(B)로부터 축심(O) 주위에서 좌방향으로 회동(回動)하는 것에 의해서는 변위하지 않고, 노브(9)를 기준 위치(B)로부터 우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기준 위치(B)에 되돌아오도록 노브(9)를 탄성지지한다.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25)은, 노브(9)를 기준 위치(B)로부터 우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서는 변위하지 않고, 노브(9)를 기준 위치(B)로부터 좌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기준 위치(B)로 되돌아오도록 노브(9)를 탄성지지한다.

Description

조작 장치{OPERATING DEVICE}
본 발명은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종래의 조작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조작 장치는, 포텐셔미터(potentiometer)와 노브(knob)를 구비하고 있다. 포텐셔미터는, 케이스에 대하여 축심(軸心) 주위에서 회동(回動) 가능한 검출부를 갖고, 검출부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회전 각도를 신호에 의해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포텐셔미터의 케이스는 브라킷(bracket)을 통하여 노브와 접속되어 있다. 노브는 포텐셔미터의 검출부를 동기 회전할 수 있다.
브라킷은 포크리프트를 전후로 주행하기 위한 레버 본체에 접속되고, 레버 본체에는 그립도 고정되어 있다. 사용자는, 그립을 파지(把持)하고 레버 본체를 전후로 조작하여, 포크리프트를 전후로 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그립을 파지한 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해 노브를 회동하여, 포크를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220196호
그런데, 포텐셔미터로서는, 탄성지지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검출부에 반력(反力)이 없는 것과, 탄성지지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음으로써, 검출부에 반력이 있는 것이 있다. 검출부에 반력이 없는 포텐셔미터를 조작 장치에 채용하면, 검출부가 캠면과의 사이에서 간극을 발생시켜,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해 버린다. 이 때문에, 높은 정밀도로 조작이 가능한 조작 장치를 얻기 위해서는, 검출부에 반력이 있는 포텐셔미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검출부에 반력이 있는 포텐셔미터를 채용한 조작 장치에서는, 노브 및 검출부가 기준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기 위해, 조작 장치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노브 및 검출부가 기준 위치에 복귀하도록 하는 것만을 위해 단일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추가하면, 포텐셔미터가 내장되는 탄성지지 스프링과, 추가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의 탄성지지력의 상이에 의해, 노브를 일방향으로 회동할 때의 조작력과, 노브를 타방향으로 회동할 때의 조작력이 결정되어 버린다. 이 경우, 노브의 일방향으로의 조작력과, 노브의 타방향으로의 조작력을 동일하게 하는 등, 이들의 조작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높은 정밀도로 조작이 가능함과 함께, 우수한 조작 필링을 발휘 가능한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조작 장치는, 케이스에 대하여 축심 주위에서 회동 가능한 검출부를 갖고, 당해 검출부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회전 각도를 검출 가능한 포텐셔미터와,
당해 케이스를 고정하는 브라킷과,
당해 브라킷에 고정되어, 당해 검출부와 동기 회전 가능한 노브를 구비한 조작 장치로서,
상기 포텐셔미터는,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축심 주위에서 일방향으로 상기 검출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 스프링을 갖고,
상기 브라킷과 상기 노브와의 사이에는, 당해 노브를 당해 기준 위치로부터 당해 축심 주위에서 타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서는 변위하지 않고, 당해 노브를 당해 기준 위치로부터 당해 일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당해 기준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당해 노브를 탄성지지하는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당해 노브를 당해 기준 위치로부터 당해 일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서는 변위하지 않고, 당해 노브를 당해 기준 위치로부터 당해 타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당해 기준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당해 노브를 탄성지지하는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1).
본 발명의 조작 장치는, 포텐셔미터가 검출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 스프링을 갖는 점에서, 검출부가 캠면과의 사이에서 간극을 발생시키지 않아,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이 조작 장치는, 브라킷과 노브와의 사이에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노브를 기준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회동하면, 기준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노브를 탄성지지한다. 이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노브를 기준 위치로부터 타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서는 변위하지 않는다. 또한,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노브를 기준 위치로부터 타방향으로 회동하면, 기준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노브를 탄성지지한다. 이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노브를 기준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서는 변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포텐셔미터의 탄성지지 스프링에 기초하여, 제1,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지지력을 조정하면, 노브를 일방향으로 회동할 때의 조작력과, 노브를 타방향으로 회동할 때의 조작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작 장치는, 높은 정밀도로 조작이 가능함과 함께, 우수한 조작 필링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작 장치는, 일방향으로의 조작력과 타방향으로의 조작력을 동일하게 해도 좋고, 일부러 상이하게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이 조작 장치가 포크리프트에 이용되는 경우, 포크를 상승시킬 때에는 약간 큰 조작력이 필요하고, 포크를 하강시킬 때에는 약간 작은 조작력으로 충분하도록 해도 좋다.
탄성지지 스프링은, 자유 상태에서는, 축심 주위의 초기 위치에 검출부를 위치시키고, 장착 상태에서는, 초기 위치로부터 타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한 기준 위치에서 일방향으로 검출부를 탄성지지하는 기준 탄성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장착 상태에서는, 기준 탄성지지력보다 크고, 기준 위치에서 타방향으로 노브를 탄성지지하는 제1 탄성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장착 상태에서는, 제1 탄성지지력보다 작고, 기준 위치에서 일방향으로 노브를 탄성지지하는 제2 탄성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 기준 탄성지지력, 제1 탄성지지력 및 제2 탄성지지력은, 노브를 기준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회동시킬 때의 조작력과, 노브를 기준 위치로부터 타방향으로 회동시킬 때의 조작력이 동일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청구항 2). 이 경우, 일방향으로의 조작력과 타방향으로의 조작력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동일하다」란, 근소한 오차에 의한 상이는 포함하지 않는 의미이다.
브라킷에는, 노브를 향하여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브에는, 브라킷을 향하여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고, 기준 위치에서 고정부와 지름 방향으로 정렬하는 회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일단(一端)이 브라킷에 고정되고, 타단이 고정부 및 회동부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일단이 노브에 고정되고, 타단이 고정부 및 회동부에 걸릴 수 있다(청구항 3). 이 경우,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 및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청구항 1과 같이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브라킷에는 축심 주위에 축공(shaft hole)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축공에는, 노브와 검출부를 동기 회전시키는 플러그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4). 이 경우, 본 발명의 조작 장치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케이스 및 브라킷 중 적어도 한쪽에는, 기준 위치를 결정 가능하고, 축심 주위로 연장되는 긴구멍(elongate hole)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5). 이 경우, 탄성지지 스프링의 기준 탄성지지력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브라킷과 노브와의 사이에는,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구획하는 좌금(washer)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6). 이 경우,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 및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 중 한쪽의 변형이 다른 한쪽에 영향을 주지 않아, 조작 필링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조작 장치는, 산업 차량에 있어서,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해 승강 장치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7). 이 경우, 조작력의 상이를 엄지 손가락에 의해 민감하게 느끼면서, 산업 차량의 승강 장치를 승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작 장치는, 높은 정밀도로 조작이 가능함과 함께, 우수한 조작 필링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섬(thumb) 노브를 이용한 조작 핸들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의 섬 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의 섬 노브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의 섬 노브에 관한 것으로, 도 4(a)는 자유 상태의 포텐셔미터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장착 상태의 포텐셔미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의 섬 노브에 관한 것으로, 도 5(a)는 플러그의 이면도(裏面圖)이고, 도 5(b)는 플러그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의 섬 노브에 관한 것으로, 브라킷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의 섬 노브에 관한 것으로,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의 섬 노브에 관한 것으로,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예의 섬 노브에 관한 것으로, 노브의 이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의 섬 노브에 관한 것으로, 탄성지지 스프링,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 및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지지력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의 섬 노브에 관한 것으로, 표준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의 섬 노브에 관한 것으로, 표준 위치로부터 노브를 우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의 섬 노브에 관한 것으로, 표준 위치로부터 노브를 좌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의 조작 장치는, 산업 차량인 피킹 리프트의 하역 레버에 구체화되어 있다. 이 하역 레버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장치로서의 섬 노브(1)와, 그립(3)을 갖고 있다. 또한, 이하, 도 1의 우방향으로부터 본 경우를 섬 노브(1)의 평면도로 한다.
섬 노브(1)는, 포텐셔미터(5)와 브라킷(7)과 노브(9)를 구비하고 있다. 포텐셔미터(5)의 케이스(5a)는, 한 쌍의 나사(11)에 의해 브라킷(7)에 접속되어 있다. 브라킷(7)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13)에 의해 노브(9)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라킷(7)은 피킹 리프트를 전후로 주행하기 위한 레버 본체(15)에 접속되어 있다. 레버 본체(15)에는 아암(17)이 접속되어 있고, 아암(17)에 그립(3)이 고정되어 있다. 노브(9)와 그립(3)은 동심(同心)으로 되어 있다.
포텐셔미터(5)는,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5a)로부터 축심(O) 방향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는 볼록부(5g)를 갖고 있다. 볼록부(5g)에는 케이스(5a)에 대하여 축심(O) 주위에서 회동 가능한 검출부(5b)가 형성되어 있다. 포텐셔미터(5)는, 도시하지 않은 탄성지지 스프링을 내장하고 있고, 검출부(5b)는 이 탄성지지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게 되어 있다. 탄성지지 스프링은,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유 상태에서는, 축심(O) 주위의 초기 위치(A)에 검출부(5b)를 위치시킨다. 또한, 케이스(5a)에는 암커넥터(5c)가 형성되고, 암커넥터(5c)에는 도시하지 않은 수커넥터가 끼워맞춤되게 되어 있다. 수커넥터에 의해,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부(5b)의 기준 위치(B)로부터의 회전 각도가 신호로서 제어 장치에 송신되게 되어 있다.
포텐셔미터(5)의 검출부(5b)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축심(O)을 중심으로 하는 끼워맞춤구멍(5d)을 갖고 있다. 이 끼워맞춤구멍(5d)은, 내주면(內周面)의 서로 대향하는 2개소가 서로 축심(O)에 가까워지도록 돌출되는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포텐셔미터(5)의 케이스(5a)에는 각각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5e)가 형성되어 있고, 양 플랜지(5e)에는 축심(O) 주위로 연장되는 긴구멍(5f)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양 긴구멍(5f)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나사(11)를 삽입통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섬 노브(1)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19)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19)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심(O)과 동심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원기둥부(19a)와, 원기둥부(19a)의 포텐셔미터(5)측에 형성된 제1 볼록부(19b)와, 원기둥부(19a)의 노브(9)측에 형성된 제2 볼록부(19c)를 갖고 있다. 제1 볼록부(19b)는, 캠면에 상당하고, 포텐셔미터(5)의 끼워맞춤구멍(5d)과 정합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2 볼록부(19c)의 외주면은 축심(O)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의 일부에는 사각기둥의 모서리부를 모따기한 위치 결정면(19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볼록부(19c)에는, 축심(O)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나사(19e)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라킷(7)에는 축심(O) 주위에 동심의 제1∼제3 축공(7a∼7c)이 형성되어 있다. 포텐셔미터(5)측에 위치하는 제1 축공(7a)은 포텐셔미터(5)의 볼록부(5g)와 끼워맞춤되게 되어 있다. 중앙에 위치하는 제2 축공(7b)은, 제1, 제3 축공(7a, 7c)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19)의 원기둥부(19a)가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브라킷(7)에는, 노브(9)측에 축심(O) 주위에서 환상을 이루는 제1 스프링홈(7d)이 오목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프링홈(7d)의 저면(底面)에는, 제1 고정구멍(7e)이 오목 형성되어 있다. 브라킷(7)의 하단에서는, 노브(9)를 향하여 축심(O)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7f)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구멍(7e)은 고정부(7f)의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라킷(7)의 포텐셔미터(5)측에는, 축심(O) 방향으로 연장되고, 포텐셔미터(5)의 긴구멍(5f)과 정합하는 위치에 2개의 둥근구멍(7g)이 오목 형성되어 있다. 양 둥근구멍(7g)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나사(11)를 나사맞춤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브라킷(7)의 하방에는, 축심(O)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둥근구멍(7h)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양 둥근구멍(7h)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레버 본체(15)를 접속하기 위한 볼트를 삽입통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섬 노브(1)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21), 좌금(23) 및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25)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21)보다도,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25)의 쪽이 큰 탄성지지력을 발휘 가능하다.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21)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부(21a)와, 코일부(21a)로부터 브라킷(7)측에서 축심(O) 방향으로 돌출되는 일단(21b)과, 코일부(21a)로부터 노브(9)측에서 지름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단(21c)으로 이루어진다.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25)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부(25a)와, 코일부(25a)로부터 노브(9)측에서 축심(O) 방향으로 돌출되는 일단(25b)과, 코일부(25a)로부터 브라킷(7)측에서 지름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단(25c)으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브(9)에는,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을 거는 것이 가능한 손가락 걸이(9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브(9)는, 브라킷(7)의 제3 축공(7c)과 끼워맞춤하는 볼록부(9b)를 갖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9b) 내에는, 축심(O)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사각기둥 형상의 오목부(9e)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9e)의 내주면의 일부에는, 플러그(19)의 위치 결정면(19d)과 정합하는 피(被)위치 결정면(9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9e) 내에는, 축심(O)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구멍(9g)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브(9)에는, 브라킷(7)측에 축심(O) 주위에서 환상을 이루는 제2 스프링홈(9c)이 오목 형성되어 있다. 제2 스프링홈(9c)의 저면에는, 제2 고정구멍(9d)이 오목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브(9)의 하단에서는, 브라킷(7)을 향하여 축심(O)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부(9h)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고정구멍(9d)은 회동부(9h)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제2 스프링홈(9c)과 회동부(9h)와의 사이에는, 브라킷(7)의 고정부(7f)의 선단을 수납 가능한 긴홈(9i)이 오목 형성되어 있다.
이 섬 노브(1)는, 이하와 같이 장착되어 있다. 우선, 도 6에 나타내는 브라킷(7)의 제1 스프링홈(7d)에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21)의 코일부(21a)를 수납하고, 그 일단(21b)을 제1 고정구멍(7e)에 삽입하고, 그 타단(21c)을 고정부(7f)의 좌측에 건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노브(9)의 제2 스프링홈(9c)에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25)의 코일부(25a)를 수납하고, 그 일단(25b)을 제2 고정구멍(9d)에 삽입하고, 그 타단(25c)을 회동부(9h)의 우측에 건다. 이때, 제1,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21, 25)은, 코일부(21a, 25a)에 대한 일단(21b, 25b)의 위치가 상이하기 때문에, 서로 바뀌는 일이 방지되고 있다.
브라킷(7)의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21)과, 노브(9)의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25)과의 사이에 좌금(23)을 형성하고, 브라킷(7)과 노브(9)를 조합한다. 이에 따라, 브라킷(7)의 고정부(7f)의 선단이 노브(9)의 긴홈(9i)에 수납된다. 그리고, 노브(9)의 오목부(9e)에 플러그(19)의 제2 볼록부(19c)를 삽입한다. 이때, 제2 볼록부(19c)에 위치 결정면(19d)이 형성되고, 오목부(9e)에 피위치 결정면(9f)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브(9)에 대하여 플러그(19)가 반드시 일정한 관계로 형성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노브(9)로부터 볼트(13)를 플러그(19)의 암나사(19e)에 나사맞춤한다. 이렇게 하여, 제1 장착체를 얻는다.
이 제1 장착체에서는, 제1,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21, 25)의 타단(21c, 25c)은 고정부(7f) 및 회동부(9h)에 걸려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21)보다도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25)의 쪽이 큰 탄성지지력을 발휘 가능하기 때문에, 브라킷(7)에 대하여 노브(9)를 우방향으로 조작하는 조작력이 브라킷(7)에 대하여 노브(9)를 좌방향으로 조작하는 조작력보다 강하다.
그리고,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텐셔미터(5)의 끼워맞춤구멍(5d)을 미리 일정 각도 α만큼 회전시키고, 제1 장착체에 있어서의 플러그(19)의 제1 볼록부(19b)에 끼워맞춤구멍(5d)을 끼운다. 이때, 끼워맞춤구멍(5d) 및 제1 볼록부(19b)가 특수한 형상이기 때문에, 포텐셔미터(5)에 대하여 제1 장착체가 반드시 일정한 관계로 형성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포텐셔미터(5)의 긴구멍(5f)에 나사(11)를 삽입통과하고, 나사(11)를 브라킷(7)의 둥근구멍(7g)에 나사맞춤한다. 이때, 암커넥터(5c)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의해, 각도 α를 조정한다. 이렇게 하여, 제2 장착체를 얻는다.
이 제2 장착체에서는, 포텐셔미터(5)의 탄성지지 스프링은, 초기 위치(A)로부터 좌방향으로 회전한 기준 위치(B)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검출부(5b)를 기준 탄성지지력(F0)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준 위치의 섬 노브(1)가 얻어진다. 표준 위치의 섬 노브(1)에서는, 포텐셔미터(5)의 검출부(5b)는, 도 4(b) 및 도 10에 나타내는 기준 위치(B)에 있다.
섬 노브(1)의 브라킷(7)의 둥근구멍(7h)에는 볼트가 삽입통과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킹 리프트를 전후로 주행하기 위한 레버 본체(15)가 양 볼트에 의해 접속된다. 사용자는, 그립(3)을 파지하여 레버 본체(15)를 전후로 조작하여, 피킹 리프트를 전후로 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그립(3)을 파지한 손의 엄지 손가락을 손가락 걸이(9a)에 걸어 노브(9)를 회동하여, 포크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크를 상승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표준 위치로부터 노브(9)를 우회전으로 각도 β 회전시키면, 회동부(9h)도 우회전으로 각도 β만큼 회전하지만, 고정부(7f)는 움직이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21)은, 일단(21b)이 브라킷(7)의 제1 고정구멍(7e)에 삽입된 상태에서, 타단(21c)이 회동부(9h)에 의해 우회전으로 각도 β만큼 회전하기 때문에, 비틀림량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21)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 위치(B)에서 좌방향으로 노브(9)를 탄성지지하여, 기준 위치(B)로 되돌아오려고 하는 제1 탄성지지력(F1)을 갖게 된다. 이 제1 탄성지지력(F1)은 기준 탄성지지력(F0)보다 크다. 한편,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25)은, 일단(25b)이 노브(9)의 제2 고정구멍(9d)에 삽입되어 우회전으로 각도 β만큼 회전하고, 그리고 타단(25c)도 회동부(9h)에 의해 우회전으로 각도 β만큼 회전하기 때문에, 변화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조작력(F)에 의해 포크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크를 하강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표준 위치로부터 노브(9)를 좌회전으로 각도 β 회전시키면, 회동부(9h)도 좌회전으로 각도 β만큼 회전하지만, 고정부(7f)는 움직이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21)은, 일단(21b)이 브라킷(7)의 제1 고정구멍(7e)에 삽입되고, 그리고 타단(21c)도 고정부(7f)에 걸려 함께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변화하지 않는다. 한편,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25)은, 타단(25c)이 고정부(7f)에 걸린 상태에서, 일단(25b)이 노브(9)의 제2 고정구멍(9d)에 삽입되어 좌회전으로 각도 β만큼 회전하기 때문에, 비틀림량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25)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 위치(B)에서 우방향으로 노브(9)를 탄성지지하여, 기준 위치(B)로 되돌아오려고 하는 제2 탄성지지력(F2)을 갖게 된다. 이 제2 탄성지지력(F2)은, 기준 탄성지지력(F0)보다 작고, 또한 제1 탄성지지력(F1)보다 작다. 기준 탄성지지력(F0), 제1 탄성지지력(F1) 및 제2 탄성지지력(F2)은, 노브(9)를 기준 위치(B)로부터 우방향으로 회동시킬 때의 조작력(F)과, 노브(9)를 기준 위치(B)로부터 좌방향으로 회동시킬 때의 조작력(F)이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조작력(F)에 의해 포크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섬 노브(1)에서는, 노브(9)를 우방향으로 회동할 때의 조작력(F)과, 노브(9)를 좌방향으로 회동할 때의 조작력(F)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작력(F)이 동일한 것을 엄지 손가락에 의해 민감하게 느끼면서, 피킹 리프트의 승강 장치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 동안, 이 섬 노브(1)에서는, 포텐셔미터(5)가 검출부(5b)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 스프링을 갖는 점에서, 검출부(5b)가 제1 볼록부(19b)와의 사이에서 간극을 발생시키지 않아,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섬 노브(1)는, 높은 정밀도로 조작이 가능함과 함께, 우수한 조작 필링을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이 섬 노브(1)에서는,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21)과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25)을 구획하는 좌금(23)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21) 및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25) 중 한쪽의 변형이 다른 한쪽에 영향을 주지 않아, 조작 필링이 우수하다.
또한, 이 섬 노브(1)에서는, 노브(9)와 검출부(5b)를 동기 회전시키는 플러그(19)를 채용하고 있는 점에서, 장착도 용이하다.
또한, 이 섬 노브(1)에서는, 포텐셔미터(5)의 긴구멍(5f)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지지 스프링의 기준 탄성지지력(F0)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은, 산업 차량 등의 차량 등에 이용 가능하다.
5a : 케이스
O : 축심
5b : 검출부
B : 기준 위치
5 : 포텐셔미터
7 : 브라킷
9 : 노브
1 : 섬 노브(조작 장치)
21 :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
25 :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
A : 초기 위치
F0 : 기준 탄성지지력
F1 : 제1 탄성지지력
F2 : 제2 탄성지지력
F : 조작력
7f : 고정부
9h : 회동부
21b, 25b : 일단
21c, 25c : 타단
7b : 축공
19 : 플러그
5f : 긴구멍
23 : 좌금

Claims (7)

  1. 케이스에 대하여 축심 주위에서 회동(回動) 가능한 검출부를 갖고, 당해 검출부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회전 각도를 검출 가능한 포텐셔미터(potentiometer)와,
    당해 케이스를 고정하는 브라킷(bracket)과,
    당해 브라킷에 고정되어, 당해 검출부와 동기 회전 가능한 노브(knob)를 구비한 조작 장치로서,
    상기 포텐셔미터는,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축심 주위에서 일방향으로 상기 검출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 스프링을 갖고,
    상기 브라킷에는, 상기 노브를 향하여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브에는, 당해 브라킷을 향하여 당해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준 위치에서 당해 고정부와 지름 방향으로 정렬하는 회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킷과 상기 노브와의 사이에는, 일단이 당해 브라킷에 고정되고 타단이 당해 고정부 및 회동부에 걸리도록 형성된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일단이 당해 노브에 고정되고 타단이 당해 고정부 및 회동부에 걸리도록 형성된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당해 노브를 당해 기준 위치로부터 당해 축심 주위에서 타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서는 변위하지 않고, 당해 노브를 당해 기준 위치로부터 당해 일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당해 기준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당해 노브를 탄성지지하고, 상기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당해 노브를 당해 기준 위치로부터 당해 일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서는 변위하지 않고, 당해 노브를 당해 기준 위치로부터 당해 타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당해 기준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당해 노브를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 스프링은, 자유 상태에서는, 상기 축심 주위의 초기 위치에 상기 검출부를 위치시키고, 장착 상태에서는, 당해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타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한 상기 기준 위치에서 상기 일방향으로 당해 검출부를 탄성지지하는 기준 탄성지지력을 갖고,
    상기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장착 상태에서는, 당해 기준 탄성지지력보다 크고, 당해 기준 위치에서 당해 타방향으로 상기 노브를 탄성지지하는 제1 탄성지지력을 갖고,
    상기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장착 상태에서는, 당해 제1 탄성지지력보다 작고, 당해 기준 위치에서 당해 일방향으로 당해 노브를 탄성지지하는 제2 탄성지지력을 갖고,
    당해 기준 탄성지지력, 당해 제1 탄성지지력 및 당해 제2 탄성지지력은, 상기 노브를 당해 기준 위치로부터 당해 일방향으로 회동시킬 때의 조작력과, 당해 노브를 당해 기준 위치로부터 당해 타방향으로 회동시킬 때의 조작력이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조작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킷에는 상기 축심 주위에 축공(shaft hole)이 형성되고,
    당해 축공에는, 상기 노브와 상기 검출부를 동기 회전시키는 플러그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조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브라킷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기준 위치를 결정 가능하고, 상기 축심 주위로 연장되는 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조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킷과 상기 노브와의 사이에는, 상기 제1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상기 제2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구획하는 좌금(washer)이 형성되어 있는 조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산업 차량에 있어서,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해 승강 장치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것인 조작 장치.
KR1020130077566A 2012-07-10 2013-07-03 조작 장치 KR101478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54344A JP5900202B2 (ja) 2012-07-10 2012-07-10 操作装置
JPJP-P-2012-154344 2012-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746A KR20140007746A (ko) 2014-01-20
KR101478225B1 true KR101478225B1 (ko) 2014-12-31

Family

ID=50111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566A KR101478225B1 (ko) 2012-07-10 2013-07-03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00202B2 (ko)
KR (1) KR101478225B1 (ko)
TW (1) TWI5400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6911A1 (ja) * 2020-02-03 2021-08-12 元田技研株式会社 荷重取扱装置の操作部ユニット
TWI796554B (zh) * 2020-03-24 2023-03-21 日商元田技研股份有限公司 載重處理裝置的操作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7633A (ja) * 1997-05-08 1998-11-17 Konami Co Ltd 多方向切替操作装置
JP2002220196A (ja) * 2001-01-23 2002-08-06 Toyota Industries Corp フォークリフトの操作レバー及びフォークリフト
JP2005346544A (ja) * 2004-06-04 2005-12-15 Toyota Industries Corp 操作レバ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0922A (en) * 1979-10-24 1981-05-26 Hitachi Ltd Control operating device
JPH0419761Y2 (ko) * 1987-07-10 1992-05-06
JP3455320B2 (ja) * 1995-02-28 2003-10-14 三菱農機株式会社 作業車輌の位置検出装置
JP3751418B2 (ja) * 1997-06-11 2006-03-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0198925A (ja) * 2009-02-25 2010-09-0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7633A (ja) * 1997-05-08 1998-11-17 Konami Co Ltd 多方向切替操作装置
JP2002220196A (ja) * 2001-01-23 2002-08-06 Toyota Industries Corp フォークリフトの操作レバー及びフォークリフト
JP2005346544A (ja) * 2004-06-04 2005-12-15 Toyota Industries Corp 操作レバ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00202B2 (ja) 2016-04-06
TW201408578A (zh) 2014-03-01
KR20140007746A (ko) 2014-01-20
TWI540091B (zh) 2016-07-01
JP2014016848A (ja) 201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9407B2 (ja) 操舵角センサ
US8831835B2 (en) Steering system
US20140246267A1 (en) Steering angle sens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employing the same
US20170259841A1 (en) Adjus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US8662240B2 (en) Steering system
US9932082B2 (en) Bicycle handlebar
KR101478225B1 (ko) 조작 장치
JP2006131221A (ja) 改良された運転者制御装置
JP2017206232A5 (ko)
US20180056950A1 (en) Hand operated electronic parking brake system with an adjustable load simulator
JP2014012461A (ja) ハンドル装置
US10693267B2 (en) Rotary structural body
US9035666B2 (en) Torsion angle and rotation angle measurement device
US9090124B2 (en) Bicycle hub axle adapter
US9665119B2 (en) Control interface assembly
JP6069254B2 (ja) ペダル装置
US2641939A (en) Tip up extension for air brake levers
JP2014135156A (ja) スイッチ装置
TWI540092B (zh) 操縱裝置
WO2018105385A1 (ja) 操作レバー装置
KR101966485B1 (ko) 지게차용 조향장치
JP6767502B2 (ja) 操作レバー装置
JP7336317B2 (ja) スロットルグリップ装置
CN215155357U (zh) 平衡车的转向装置和平衡车
JP2010120465A (ja) 操舵角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