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462A -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462A
KR20140002462A KR1020127022958A KR20127022958A KR20140002462A KR 20140002462 A KR20140002462 A KR 20140002462A KR 1020127022958 A KR1020127022958 A KR 1020127022958A KR 20127022958 A KR20127022958 A KR 20127022958A KR 20140002462 A KR20140002462 A KR 20140002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rubber
holding
locking
longitudinal direction
b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6526B1 (ko
Inventor
타카오 요시모토
나오키 토리이
Original Assignee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51906A external-priority patent/JP563891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7156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121367A/ja
Application filed by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2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1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a blade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79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placed in side grooves in the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86End caps
    • B60S1/3887Mounting of end caps
    • B60S1/3891Mounting of end caps with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60S1/3856Gripping the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60S1/3858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with protrusions cooperating with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7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backing strip to aid mounting of squeegee in support
    • B60S2001/38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backing strip to aid mounting of squeegee in support the backing strip being an essentially planar reinforcing strip, e.g.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2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to prevent longitudinal sliding of squeegee in support, e.g.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Ink Je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12)에 관한 것이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2)의 길이방향 중앙부는 와이퍼 암(11)의 선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2)는 그 길이방향 양단측(13a, 13b)에 각각 제공된 제1 및 제2 유지부(31, 32); 및 상기 제1 및 제2 유지부(31, 32)에 의해 블레이드 러버(14)의 베이스 부(41)를 유지하는 장척 홀더 부재(13)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 부재(13)는 상기 제1 및 제2 유지부(31, 3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추종 단부(X)의 양측면에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 벽부(51)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러버(14)의 단부에는 캡(43)에 록킹되는 제1 록킹부(52)가 구성되고, 블레이드 러버(14)의 단부에는 백킹에 길이방향으로 록킹되는 제2 록킹부(41e, 41f)가 구성된다. 상기 제1 록킹부(52)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록킹부(41e, 41f)와 길이방향으로 중첩하거나, 혹은 길이방향 내측에 중첩된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차량의 프론트 글라스를 닦아내기(wipe)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와이퍼는 와이퍼 모터의 구동에 의거하여 작동하는 와이퍼 암과, 그 와이퍼 암의 선단부에 지지된 와이퍼 블레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암의 선단부에 길이방향 중앙이 연결되는 홀더 부재, 그 홀더 부재에 유지되고 와이핑면을 닦아내는 블레이드 러버, 및 소정의 강성을 가지면서 중앙부가 와이핑면과는 반대측을 향해서 凸(볼록)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고, 블레이드 러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홈에 삽입된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백킹을 구비하고 있다.
홀더 부재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각각 폭 방향 (또는 와이핑 방향)에서 쌍을 이루는 한 쌍의 유지 클로(claw)를 갖는 유지부를 구비하며, 각 유지부의 유지 클로에 의해 블레이드 러버의 상부 베이스부가 폭 방향으로 파지되어 있다. 블레이드 러버는 각 유지부보다도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며, 그 돌출부분은 백킹의 탄성력에 의해 와이핑면의 만곡에 자유롭게 추종하는 추종 단부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와이퍼 블레이드에서는, 홀더 부재가 블레이드 러버와 동등한 길이인 경우에, 와이퍼 블레이드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어 운전 시계의 방해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품수를 저감하여 저가로 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 이와 같은 와이퍼 블레이드에서는, 백킹이 장착된 블레이드 러버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캡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 캡은 블레이드 러버에 설치된 피록킹부에 록킹되어, 블레이드 러버의 단부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캡 내에는 블레이드 러버의 길이방향 단부와 함께 백킹의 길이방향 단부도 수용되기 때문에, 백킹이 장착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특개 제2005-22632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의 와이퍼 블레이드에서는, 예를 들어 프론트 글라스의 와이핑시에 블레이드 러버의 추종 단부에서 걸림(catch)이 발생하여 그 추종 단부를 폭 방향으로 구부리는 것과 같은 힘이 가해진 경우, 그 하중을 홀더 부재의 양단부에 설치된 유지 클로에서 받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특히 홀더 부재가 수지제인 경우에는, 유지 클로의 강성을 충분히 높게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그 제약을 받아서 홀더 부재의 설계 자유도가 저하된다.
또, 상기 특허문헌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러버에서는, 예를 들어 적설(積雪) 등에 의해 캡을 블레이드 러버로부터 떼어내는 힘이 가해졌을 때, 캡에 록킹된 블레이드 러버의 단부가 캡째 길이방향 외측으로 끌려간다. 이때, 캡 내에 수용되어 있던 백킹의 단부가 캡으로부터 빠지는 위치까지 블레이드 러버의 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면, 백킹이 장착홈으로부터 튀어나와 빠질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홀더 부재의 유지부에 걸리는 하중을 작게 억제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킹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와이핑면을 닦아내는 블레이드 러버와, 그 블레이드 러버는 베이스부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홈을 갖고, 소정의 강성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와이핑면과는 반대쪽을 향해서 凸 형상으로 만곡 형성된 중앙부를 구비하며,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장착홈에 결합된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백킹과, 와이퍼 암의 선단부에 길이방향 중앙이 연결됨과 아울러, 길이방향 양쪽에 제1 단 및 제2 단과, 제1 단 및 제2 단의 사이드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유지부를 구비하며, 제1 유지부 및 제2 유지부로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베이스부를 유지하는 장척 형상의 홀더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블레이드 러버는 상기 홀더 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유지부보다도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와이핑면의 만곡을 추종하는 추종 단부를 구성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홀더 부재는 상기 제1 유지부 및 상기 제2 유지부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추종 단부의 양 측면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 벽부를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와이핑면을 닦아내는 블레이드 러버와, 그 블레이드 러버는 베이스부와 그 베이스부의 폭 방향 양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홈과, 단부를 갖고, 소정의 강성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와이핑면과는 반대쪽을 향해서 凸(볼록) 형상으로 만곡 형성된 중앙부를 구비하며,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대응하는 장착홈에 각각이 결합된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백킹과, 백킹에는 록킹부가 설치되고, 상기 백킹의 상기 장착홈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장착된 캡부와, 캡부에는 록킹부가 설치되고, 와이퍼 암의 선단부에 길이방향 중앙이 연결됨과 아울러,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병설되고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상기 베이스부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한 장척 형상의 홀더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블레이드 러버는 상기 홀더 부재의 상기 유지부보다도 길이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와이핑면의 만곡에 추종하는 추종 단부를 구성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상기 단부에는, 상기 캡에 설치된 록킹부에 록킹되는 제1 록킹부와, 상기 백킹에 설치된 록킹부에 길이방향으로 록킹되는 제2 록킹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록킹부는 제1 록킹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록킹부에 대해서 길이방향으로 중첩하거나, 혹은 제1 록킹부가 상기 제2 록킹부보다도 길이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홀더 부재의 유지부에 걸리는 하중을 작게 억제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백킹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차량용 와이퍼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일점쇄선으로 둘러싼 부분 1B의 확대도.
도 2a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평면도.
도 2b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측면도.
도 3a는 도 2b의 선 3A-3A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3b는 도 2b의 선 3B-3B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a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추종 단부에 하중이 걸렸을 때의 유지부 부근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b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추종 단부에 하중이 걸렸을 때의 유지부 부근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다른 예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해 사시도.
도 7a는 제2 실시형태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측면도.
도 7b는 도 7a의 점선으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7a의 선 8-8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9a는 블레이드 러버의 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b는 도 9a에 있어서 캡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캡의 단면도.
도 11은 블레이드 러버의 록킹 돌기와 록킹 凸부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a는 자동차의 프론트 글라스의 와이핑면 G에 부착된 빗방울 등을 닦아내는 차량용 와이퍼(10)를 나타낸다. 차량용 와이퍼(10)는 차량(도시 생략)에 연결된 와이퍼 암(11)과, 와이퍼 암(11)의 선단부에 지지되고 와이핑면 G에 접촉 배치되는 와이퍼 블레이드(12)를 구비한다. 와이퍼 블레이드(12)는 와이퍼 모터(도시 생략)의 구동에 의거하여 와이퍼 암(11)의 작동에 의해 왕복 요동되어, 와이핑면 G를 닦아낸다. 또, 와이퍼 블레이드(12)는 와이퍼 암(11)에 설치된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와이핑면 G에 가압된다.
도 1a 및 도 2a,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12)는 하나의 장척 형상의(elongated shape) 홀더 부재(13)와, 홀더 부재(13)에 유지된 블레이드 러버(14)를 구비하고 있다. 홀더 부재(13)는 수지재료로 형성되고, 블레이드 러버(14)는 고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 러버(14)는 장척 형상으로, 홀더 부재(13)보다도 길며, 와이핑면 G를 닦아내기 위한 것이다. 홀더 부재(13)는 블레이드 러버(14)를 블레이드 러버(14)의 길이방향 중간부에서 유지하고 있으며, 홀더 부재(13)의 길이방향 양단, 즉 제1 단(13a) 및 제2 단(13b)에서 블레이드 러버(14)가 돌출되어 있다.
홀더 부재(13)는 상벽부(21)와, 폭 방향(즉 와이핑 방향으로서,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쌍을 이루는 측벽부(22)를 가지며, 상벽부(21)와 측벽부(22)가 홀더 부재(13)의 외관을 구성하고 있다. 홀더 부재(13)의 길이방향으로 수직인 단면은 상벽부(21)와 측벽부(22)로부터 와이핑면 G측으로 개구되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벽부(21)는 홀더 부재(13)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향해 감에 따라서 하방(와이핑면 G 측)으로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고, 홀더 부재(13)의 길이방항 양단부는 측면도에 있어서 끝이 좁아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홀더 부재(13)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도 2a에 나타낸 평면도에 있어서, 길이방향이 장변이 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개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3)를 규정하는 폭 방향의 대향벽부(23a) 사이에는, 원주 형상의 연결축(24)이 걸쳐지도록 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 대향 벽부(23a)는 홀더 부재(13)의 측벽부(22)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개구부(23)에는 와이퍼 암(11)의 선단부와의 연결을 꽤하기 위한 도 1a에 나타낸 연결 부재(25)가 끼워지고, 연결축(24)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와이퍼 암(11)의 선단부는 와이핑면 G를 향하는 면이 자유단인 U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는 개구부(23)에 장착된 연결 부재(25)를 통해서 연결축(24)에 록킹되고, 연결 부재(25)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퍼 암(11)은 홀더 부재(13)와 연결된 U후크 형상의 선단부로부터 와이퍼 블레이드(12)의 기단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홀더 부재(13)는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13a)의 근방에 제1 유지부(31)를, 제2 단(13b)의 근방에 제2 유지부(32)를 각각 갖고 있다. 제1 및 제2 유지부(31, 32)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쌍을 이루는 유지 클로(36)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유지부(31, 32)는 블레이드 러버(14)를 폭 방향으로 파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유지 클로(36)는 각 측벽부(22)로부터 하방으로(와이핑면 G를 향해서)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며, 폭 방향으로 쌍을 이루는 협지 벽부(33)와, 그 협지 벽부(33)의 선단으로부터 폭 방향 내측(및 블레이드 러버(14)의 유지홈(41c) 내)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유지편(34)을 구비하며, 단면이 L자 형상이다.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인 홀더 부재(13)의 내부에서, 각 유지부(31, 32)의 각 협지 벽부(33) 사이에는 가설(架設)부(35)가 폭 방향으로 걸쳐져 있다. 상기 상벽부(21) 및 각 측벽부(22)도 각 유지부(31, 32)의 일부를 구성한다. 가설부(35)는 홀더 부재(13)가 와이퍼 암(11)으로부터 받는 와이핑면 G측으로의 가압력을 블레이드 러버(14)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제1 및 제2 유지부(31, 32)에 있어서의 쌍을 이루는 각 유지 클로(36)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 홀더 부재(13)는 각 유지부(31, 32)로부터 블레이드 러버(14)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향해서 더 연장되어 있다.
한편, 블레이드 러버(14)의 상부(와이핑면과 반대쪽 부위)는 각 유지부(31, 32)의 유지 클로(36) 쌍에 유지되는 베이스부(41)이며, 베이스부(41)는 블레이드 러버(14)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베이스부(4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면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홈(5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각 장착홈(50)에는, 평판 형상의 스프링 재료로 이루어지는 백킹(42)이 끼워져 있다. 백킹(42)은 소정의 강성을 가지며, 그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와이핑면 G와는 반대쪽을 향해서 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백킹(42)은 홀더 부재(13)를 통해서 와이퍼 암(11)으로부터 받는 와이핑면 G로의 가압력을 길이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 블레이드 러버(14)의 양단부에는, 백킹(42)의 탈락 방지용 수지제의 캡(43)이 길이방향에서부터 각각 장착되어 있다.
블레이드 러버(14)의 베이스부(41)는 각 유지부(31, 32)의 가설부(35), 협지 벽부(33) 및 유지편(34)의 내측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41)의 상면(41b)은 가설부(35)와, 베이스부(41)의 폭 방향 측면은 쌍을 이룬 협지 벽부(33)와, 베이스부(41)의 하면은 유지편(34)과 각각 접촉하며, 그로 인해, 베이스부(41)가 각 유지부(31, 32)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유지된다. 또, 유지편(34)은 블레이드 러버(14)의 폭 방향 양측에서 장착홈(50)보다도 와이핑면 G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유지홈(41c)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블레이드 러버(140의 홀더 부재(13)로부터의 길이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부(41)의 상면(41b)에는 제1 유지부(31)(또는 제2 유지부(32))의 가설부(35)의 길이방향 양단측의 위치에서 두꺼워진 한 쌍의 돌출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또, 블레이드 러버(14)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41)의 하면으로부터 두꺼워진 형상의 넥크부(41d)를 통해서 연장되며 단면이 역삼각형상인 와이핑부(44)를 갖고 있다. 그리고, 와이핑부(44)의 하단이 와이핑면 G와 접촉되는 형태로 와이퍼 블레이드(12)가 동작함으로써 와이핑면 G를 닦아낸다.
도 1a 및 도 2a,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 러버(14)는 홀더 부재(13)의 각 유지부(31, 32)보다도 더욱 길이방향 외측을 향해서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그 돌출 부분은 장착홈(50)에 끼워진 백킹(42)과 함께 와이핑면 G의 만곡에 자유롭게 만곡되어 추종하는 추종 단부 X를 구성하고 있다. 즉, 블레이드 러버(14)의 각 추종 단부 X는 홀더 부재(13)에 의해 유지되지 않는 자유단이지만, 백킹(42)의 탄성력에 의해 와이핑면 G의 만곡에 추종한다. 또, 각 유지부(31, 32)는 블레이드 러버(14)의 길이방향을 대략 3 등분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홀더 부재(13)에 설치되어 있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 부재(13)의 길이방향 중간 부분에 있어서, 측벽부(22)와 블레이드 러버(14)의 베이스부(41)의 상면(41b) 사이에는 간극 S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백킹(42)이 장착된 블레이드 러버(14)의 추종 단부 X가 만곡되어 와이핑면 G에 추종했을 때에, 블레이드 러버(14)의 중앙부 상면이 측벽부(22) 사이로 들어가서 凸 형상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추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간극 S가 담당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와이퍼 블레이드(12)에 있어서, 홀더 부재(13)는 제1 유지부(31)보다도 제1 단(13a)에 가까운 위치와, 제2 유지부(32)보다도 제2 단(13b)에 가까운 위치에 접촉 벽부(51)를 각각 갖고 있다. 즉, 접촉 벽부(51)는 제1 유지부(31), 제2 유지부(32)보다도 길이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제1 단(13a)에 가까운 접촉 벽부(51)와 제2 단(13b)에 가까운 접촉 벽부(51)는 동일한 형상을 이룬다. 각 접촉 벽부(51)는 홀더 부재(13)의 측벽부(22)를 공유해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으로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접촉 벽부(51)는 제1 및 제2 유지부(31, 32)의 각 협지 벽부(33)로부터 길이방향 외측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되며, 홀더 부재(13)의 외관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쌍을 이루는 접촉 벽부(51)는 블레이드 러버(14)의 베이스부(4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면과 각각 접촉해 있고, 그 베이스부(41)를 폭 방향으로 협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유지부(31) 및 제2 유지부(32)의 상벽부(21) 및 각 측벽부(22)는 폭 방향으로 쌍을 이루는 접촉 벽부(51)를 서로 잇도록 길이방향 외측으로 더욱 연장되며, 접촉 벽부(51)와, 연장된 상벽부(21) 및 각 측벽부(22)가 와이핑면 G로 개구되는 대략 U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와이퍼 블레이드(12)에서는, 와이핑면 G의 와이핑시에, 예를 들어 블레이드 러버(14)의 길이방향 단부(추종 단부 X의 단부)에 걸림이 생기면, 그 단부가 폭 방향(와이핑면 G를 따르는 방향)으로 만곡되도록 힘이 가해진다. 이때, 그 하중은 블레이드 러버(14)와 폭 방향으로 접촉되어 있는 홀더 부재(13)의 부위 중, 블레이드 러버(14)의 길이방향 단부와 가장 가까운 부위인(제1 및 제2 유지부(31, 32)보다도 더욱 단부에 위치하는) 접촉 벽부(51)에 주로 걸리게끔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홀더 부재(13)의 제1 및 제2 유지부(31, 32)에 폭 방향으로 걸리는 하중이 작게 억제되며, 그 결과, 홀더 부재(13)의 설계 자유도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제1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작용 효과를 기재한다.
(1)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척 형상의 홀더 부재(13)가 블레이드 러버(14)의 길이방향 양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제1 단(13a) 및 제2 단(13b) 쪽의 부위에 각각 설치된 제1 유지부(31) 및 제2 유지부(32)에 의해 블레이드 러버(14)의 베이스부(41)를 유지하고, 블레이드 러버(14)가 홀더 부재(13)의 제1 및 제2 유지부(31, 32)보다도 길이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며, 그 돌출 부분이 와이핑면 G의 만곡에 추종하는 추종 단부 X를 구성하고 있다. 홀더 부재(13)는 각 유지부(31, 32)로부터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추종 단부 X의 양 측면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 벽부(51)를 갖는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와이핑면 G의 와이핑시에 백킹(42)이 장착된 블레이드 러버(14)의 추종 단부 X에 걸림이 생겨서 그 추종 단부 X를 폭 방향으로 만곡하도록 힘이 가해졌을 때에, 그 하중은 주로 홀더 부재(13)의 제1 유지부(31)(또는 제2 유지부(32))보다도 길이방향 외측, 즉 제1 단(13a) 측(또는 제2 단(13b) 측)에 위치하는 접촉 벽부(51)에 가해진다. 이것에 의해, 홀더 부재(13)의 제1 및 제2 유지부(31, 32)에 걸리는 하중을 작게 억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홀더 부재(13)의 설계 자유도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 판면이 와이핑면 G를 향하는 평판 형상의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백킹(42)은 블레이드 러버(14)의 베이스부(41)의 폭 방향 양측으로 개구 형성된 장착홈(50)에 끼워지며, 그 베이스부(41)를 홀더 부재(13)의 각 유지부(31, 32)에 의해 유지함으로써, 백킹(42)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접촉 벽부(51)가 없는 경우에는, 홀더 부재(13)의 단부에 각 유지부(31, 32)가 위치하게 되므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 러버(14)의 추종 단부 X에 폭 방향 하중 또는 힘 F가 가해지면 유지부(31, 32)에서 국소적으로 큰 하중을 받아들이게 되며, 블레이드 러버(14)의 베이스부(41)가 백킹(42)과 함께 크게 변형되어 유지편(34)으로부터 백킹(42)이 이탈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유지부(31, 32)보다도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접촉 벽부(51)가 추종 단부 X의 양 측면에 각각 접촉해서 하중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31, 32)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러버(14)의 베이스부(41)의 변형이 억제되며, 백킹(42)의 장착홈(50)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즉, 블레이드 러버(14)의 추종 단부 X에 걸리는 폭 방향 양측으로의 하중에 각각 대응해서 한 쌍의 접촉 벽부(5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홀더 부재(13)의 각 유지부(31, 32)에 걸리는 하중을 보다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2) 본 실시형태에서, 접촉 벽부(51)는 추종 단부 X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러버(14)의 베이스부(41)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즉, 블레이드 러버(14)의 추종 단부 X에 폭 방향 하중이 가해졌을 때, 접촉 벽부(51)의 추종 단부 X와의 접촉은 고무재인 블레이드 러버(14)와의 접촉이기 때문에, 접촉 벽부(51)를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백킹(42)에 접촉시키는 구성에 비해서 접촉시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3) 본 실시형태에서, 제1 및 제2 유지부(31, 32)는 블레이드 러버(14)의 베이스부(41)의 상면(41b)과 (가설부(35)를 통해서) 대향하는 상벽부(21)와, 그 상벽부(21)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와이핑면 G를 향해서 연장되고 서로 대향으로 형성된 측벽부(22)와, 각 측벽부(22)로부터 더욱 와이핑면 G를 향해서 연장되고 블레이드 러버(14)의 베이스부(41)를 폭 방향 양측에서 협지하는 협지 벽부(33)와, 블레이드 러버(14)의 장착홈(50)보다도 와이핑면 G측에 형성된 유지홈(41c) 내를 향해서 각 협지 벽부(33)의 선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유지편(34)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블레이드 러버(14)는 그 베이스부(41)가 제1 및 제2 유지부(31, 32)의 각 협지 벽부(33)에 의해 폭 방향 양측에서 협지됨과 아울러, 그 블레이드 러버(14)의 유지홈(41c)에는 제1 및 제2 유지부(31, 32)의 각 유지편(34)이 삽입되는 구성으로 된다. 이 때문에, 홀더 부재(13)에 대해서 블레이드 러버(14)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 본 실시형태에서, 제1 및 제2 유지부(31, 32)는 각 협지 벽부(33)를 연결함과 아울러 블레이드 러버(14)의 베이스부(41)의 상면(41b)과 접촉하는 가설부(35)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대향하는 협지 벽부(33) 및 유지편(34)의 간극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유지편(34)이 유지홈(41c)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가설부(35), 협지 벽부(33) 및 유지편(34)으로 블레이드 러버(14)의 베이스부(41)를 둘러싸도록 지지하기 때문에, 그 베이스부(41)의 자세를 유지하기가 쉬워지며, 그 결과, 블레이드 러버(14)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5) 본 실시형태에서, 각 유지부(31, 32)의 상벽부(21) 및 각 측벽부(22)가 길이방향 외측을 향해서 연장되며, 그 연장 부분에 의해 한 쌍의 접촉 벽부(51)가 서로 연결된다. 즉, 각 유지부(31, 32)의 길이방향 외측 부위는 상벽부(21), 각 측벽부(22) 및 그 측벽부(22)와 이어지는 접촉 벽부(51)로 이루어지며, 와이핑면 G로 개구되고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을 이룬다. 이 때문에, 접촉 벽부(51)는 강도가 더욱 향상됨과 아울러, 홀더 부재(13)의 외장도 향상될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ㆍ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유지부(31, 32)의 협지 벽부(33)와 접촉 벽부(51)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구성하였으나, 이것에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협지 벽부(33)와 접촉 벽부(51) 사이에 간극을 설치해도 된다.
ㆍ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백킹(42)이 장착되는 장착홈(50)과 베이스부(41)의 상면(41b) 간의 두께는 길이방향에 걸쳐서 똑같이 형성하였으나, 접촉 벽부(51)가 접촉하는 부위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두껍게 해서, 접촉 벽부(51)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해도 된다.
ㆍ도 3b에 있어서, 양측의 접촉 벽부(51)가 더욱 하방으로 연장되어, 백킹(4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에지에 접촉해도 된다.
ㆍ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블레이드 러버(14)의 홀더 부재(13)로부터 길이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블레이드 러버(14)의 베이스부(41)의 상면(41b)에는 가설부(35)의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해서 두꺼워진 한 쌍의 돌출부를 형성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출부(61a, 61b) 중 길이방향 외측의 돌출부(61a)를 홀더 부재(13)의 접촉 벽부(51)의 길이방향 외측에 설치해서 상벽부(21)와 연속되는 슬로프를 이루도록 구성하고, 그 돌출부(61a)의 길이방향 내측 단면이 홀더 부재(13)의 접촉 벽부(51)의 길이방향 외측 단면(홀더 부재(13)의 제1 단(13a) 또는 제2 단(13b))과 접촉해서, 블레이드 러버(14)의 길이방향 이동을 규제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홀더 부재(13)의 길이방향 단부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러버(14)와의 간극을 작게 구성해서 홀더 부재(13)의 외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도 5에 나타낸 일예에서는, 제1 유지부(31)의 가설부(35)로 블레이드 러버(14)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제2 유지부(32)의 가설부(35)로 블레이드 러버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ㆍ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홀더 부재(13)의 상벽부(21)를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해서 폭 방향으로 쌍을 이루는 각 접촉 벽부(51)를 잇도록 구성하였으나, 각 접촉 벽부(51)를 각 유지부(31, 32)의 각 협지 벽부(33)로부터 길이방향 외측을 향해서 연속적으로 연장해서 상벽부(21)로 이어지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킹(42)은 백킹(42a, 42b)을 구비하며, 백킹(42a, 42b)은 소정의 강성을 가짐과 아울러, 와이핑면 G와는 반대측을 향해서 凸 형상으로 만곡 형성된 길이방향 중앙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블레이드 러버(14)의 선단부와 기단부가 닦아내는 와이핑면 G의 만곡 형상은 다르기 때문에, 각 백킹(42a, 42b)의 선단부와 기단부의 만곡 형상도 다르다. 즉, 백킹(42a, 42b)의 선단부와 기단부의 만곡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비대칭이다. 이 때문에, 각 백킹(42a, 42b)의 오조립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서는, 각 백킹(42a, 42b)이 길이방향 양단측의 폭 방향 내측 에지에 사각 형상으로 절결된 록킹 凹(오목)부(42c, 42d)를 각각 가지며, 추가로 도 6에 있어서의 앞쪽의 백킹(42a)에 형성된 각 록킹 凹부(42c)가 안쪽의 백킹(42b)에 형성된 각 록킹 凹부(42d)보다도 길이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록킹 凹부(42c, 42d)는 백킹(42)에 설치된 록킹부이다. 이것에 대응해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 양단부에 있어서의 각 장착홈(50a, 50b) 내에 각각 록킹 凸부(41e, 41f)(제2 록킹부)가 형성되며, 추가로 백킹(42a)이 장착되는 장착홈(50a)(도 11에서 앞쪽의 장착홈)에 형성되는 각 록킹 凸부(41e)가 안쪽의 장착홈(50b)에 형성되는 각 록킹 凸부(41f)보다도 길이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백킹(42a)이 장착홈(50a)에 장착되고, 또 하나의 백킹(42b)이 장착홈(50b)에 장착된 정규(normal) 장착 상태에서, 각 록킹 凸부(41e, 41f)가 각 록킹 凹부(42c, 42d) 내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백킹(42a)을 반대로 장착홈(50b)에 장착할 수 없어, 각 백킹(42a, 42b)의 오조립을 방지하고 있다.
도 7a는 제2 실시형태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측면도, 도 7b는 도 7a의 점선으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서 도 7a의 선 8-8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도 8에서, 베이스부(41)와 와이핑부(44) 사이에는 폭 방향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연장부(45)가 형성되어 있다. 각 유지부(31, 32)의 유지 클로(36)의 하단 굴곡 부분(유지편(34))은 베이스부(41)와 연장부(45)로 형성되는 홈부분(유지홈(41c))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각 유지 클로(36)(유지편(34))의 하측(와이핑면 G 측)에는 연장부(45)가 위치한다. 연장부(45)는 각 유지부(31, 32)에 유지되는 곳에 대응해서 도 7b에 나타낸 측면에서 보아 두 곳에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블레이드 러버(14)의 각 유지부(31, 32)에 유지되는 곳에 대응하는 부분 이외의 길이방향의 대부분이 연장부(45)보다도 연장 길이가 줄어든 비연장부(46)(도 7b의 확대도를 참조)로 되어 있다.
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 러버(14)의 베이스부(41)의 상면(41b)에는 제1 유지부(31)의 가설부(35)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록킹 凸부(47)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블레이드 러버(14)의 홀더 부재(13)로부터의 길이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 제2 유지부(32)의 가설부(35)와 대응하는 곳에는 록킹 凸부(47)가 없으며, 그 제2 유지부(32)의 가설부(35)는 블레이드 러버(14)와 길이방향으로 록킹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와이퍼 블레이드(12)에 있어서, 블레이드 러버(14)의 베이스부(41)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캡(43)을 장착하기 위한 캡 장착부(5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9a,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 장착부(55)의 상면(55a)은 베이스부(41)의 길이방향 중간부(캡 장착부(55) 이외의 부위)의 상면(41b)으로부터 길이방향 외측에 걸쳐서 내려오는 경사면(41g)을 경유해서 단차 형상으로 오목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것에 의해, 캡 장착부(55)는 베이스부(41)의 길이방향 중간 부위보다도 상하 방향(와이핑면 G로부터의 높이 방향)의 두께가 얇게 되어 있다. 또, 캡 장착부(55)의 상면(55a)에는 평면에서 보아 사다리꼴 형상의 록킹 돌기(52)가 형성되어 있다. 록킹 돌기(52)는 길이방향 외측을 향해 감에 따라서 경사지며,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캡 43은 도 9a, 도 9b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 장착부(55)의 상면(55a)을 덮는 상부(43a)와, 상부(43a)의 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베이스부(41)의 폭 방향 양단면을 덮는 측부(43b)를 갖고 있다. 각 측부(43b)의 하단부에는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부(fitting portion)(43d)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결합부(43d)는 블레이드 러버(14)의 유지홈(41c) 내에 끼워진다. 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43)의 상부(43a), 측부(43b), 결합부(43d) 및 양벽부(43e)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공간(도 10에서, 길이방향의 길이 D를 갖는 내부 공간)은 캡 장착부(55)를 수용하는 수용부(43f)이다.
캡(43)의 상부(43a)에는 캡(43)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43c)이 형성되어 있고, 그 관통공(43c)에는 캡 장착부(55)의 록킹 돌기(52)(제1 록킹부)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관통공(43c)은 캡(43)에 설치된 록킹부이다. 이것에 의해, 캡(43)이 캡 장착부(55)의 록킹 돌기(52)에 길이방향으로 록킹되어, 캡 장착부(55)로부터 캡(43)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록킹 돌기(52)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부가 장착홈(50a)의 록킹 凸부(41e)에서 길이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록킹 돌기(52)는 상하 방향의 투영의 일부가 장착홈(50a)의 록킹 凸부(41e)와 중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캡(43)의 관통공(43c)이 캡 장착부(55)의 록킹 돌기(52)에 록킹된 상태에서는, 장착홈(50a, 50b)에 결합된 백킹(42a, 42b)의 단부가 캡(43)의 수용부(43f) 내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 장착부(55)의 상면(55a)과 베이스부(41)의 길이방향 중간부(캡 장착부(55) 이외의 부위)의 상면(41b)과의 고저차 H는 캡(43) 상부(43a)의 상하 방향의 두께 T와 대략 동일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캡(43)의 상부(43a)의 상면과 베이스부(41)의 길이방향 중간부의 상면(41b)이 동일 평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 상기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의 와이퍼 블레이드(12)에서는, 적설 등에 의해서 캡(43)에 길이방향 외측으로의 하중이 걸렸을 때에, 블레이드 러버(14)의 캡 장착부(55)는 캡(43)에 록킹된 록킹 돌기(52)를 작용점으로 해서 길이방향 외측으로 끌려간다.
블레이드 러버(14)에 있어서 백킹(42a)에 록킹된 각 록킹 凸부(41e)(길이방향 외측의 2개)로부터 내측 부위는 평판 형상의 금속성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백킹(42a, 42b)의 강성에 의해서 길이방향으로 거의 연신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각 록킹 凸부(41e)보다도 외측 부위는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러버(14) 자체가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신되기 때문에, 비교적 연신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블레이드 러버(14)의 록킹 돌기(52)는 그의 적어도 일부가 록킹 凸부(41e)에 대해서 길이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록킹 돌기(52)에 길이방향 외측으로의 하중이 걸렸을 때, 그 하중이 록킹 凸부에도 많이 걸린다. 이때, 록킹 凸부(41e)는 백킹(42a)의 록킹 凹부(42c)에 대한 록킹에 의해서 길이방향 외측으로의 연신이 규제되고 있기 때문에, 록킹 돌기(52)를 갖는 캡 장착부(55)가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신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캡(43)에 길이방향 외측으로의 하중이 걸렸을 때의, 블레이드 러버(14)의 록킹 돌기(52)와 록킹 凸부(41e, 41f)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대한 변화가 작게 억제된다.
이 때문에, 백킹(42a, 42b)의 길이방향 단부가 캡(43) 내의 수용부(43f)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며, 그 결과, 백킹(42a, 42b)이 장착홈(50a, 50b)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억제된다.
다음에, 제2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효과를 기재한다.
(1)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레이드 러버(14)의 장착홈(50a, 50b)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된 록킹 凸부(41e, 41f)가 백킹(42a, 42b)에 설치된 록킹 凹부(42c, 42d)와 길이방향으로 록킹된다. 이 때문에, 블레이드 러버(14)에 있어서 장착홈(50a)의 록킹 凸부(41e)로부터의 길이방향 내측 부위는 그 각 록킹 凸부(41e)보다도 길이방향 외측 부위와 비교해서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신되기 어렵다. 그리고, 블레이드 러버(14)에 있어서 캡(43)의 관통공(43c)에 록킹되는 록킹 돌기(52)는 록킹 凸부(41e)에 대해서 적어도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적설 등에 의해서 캡(43)에 길이방향 외측으로의 하중이 걸려도, 백킹(42a, 42b)의 길이방향 단부가 캡(43) 내에 끼워진 상태를 쉽게 유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백킹(42a, 42b)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2) 본 실시형태에서, 백킹(42a, 42b)의 록킹되는 록킹 凸부(41e, 41f)는 블레이드 러버(14의 장착홈(50a, 50b)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기 때문에, 블레이드 러버(14)의 각 록킹 凸부(41e, 41f) 간의 부위가 백킹(42a, 42b)의 강성에 의해서 길이방향으로 거의 연신되지 않는 구성으로 된다. 이 때문에, 블레이드 러버(14)의 록킹 돌기(52)의 적어도 일부가 록킹 凸부(41e)에 대해서 길이방향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되거나, 혹은 일부가 록킹 凸부(41e)보다도 길이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백킹(42a, 42b)의 이탈 억제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3) 본 실시형태에서, 한 쌍의 백킹(42a, 42b)은 하나의 백킹(42a)과 다른 하나의 백킹(42b)에 있어서 길이방향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위치에 각각 록킹 凹부(42c, 42d)를 가지며, 그 각 록킹 凹부(42c, 42d)는 장착홈(50a, 50b)에 대해서 백킹(42a, 42b)이 정규로 장착된 상태에서만 록킹 凸부(41e, 41f)에 록킹된다. 이 때문에, 백킹(42a, 42b)의 길이방향의 베이스단과 선단이 역방향으로 장착홈(50a, 50b)에 장착된다고 하는 각 백킹(42a, 42b)의 오조립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 본 실시형태에서, 캡(43)이 장착되는 베이스부(41)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캡 장착부(55)는 그 상면(55a)이 오목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캡(43)을 베이스부(41)의 상면(41b)보다도 상방으로 돌출시키지 않는 구성, 또는 캡(43)의 상방으로의 돌출량이 적게 억제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5) 본 실시형태에서, 록킹 돌기(52)는 블레이드 러버(14)의 베이스부(41)의 상면(41b)에 설치된다. 베이스부(41)의 상면(41b)은 블레이드 러버(14)의 폭 방향 측부와 비교하여 설계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록킹 돌기(52)를 폭 방향으로 크게 설정해서 관통공(43c)과의 록킹 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이 용이해지고, 그 결과, 블레이드 러버(14)에 대해서 캡(43)을 견고하게 록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6) 본 실시형태에서, 제1 록킹부는 베이스부(41)의 상면(41b)에 돌출 형성된 록킹 돌기(52)이며, 그 록킹 돌기(52)에 록킹되는 캡측의 록킹부는 관통공(43c)이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부(41)의 상면(41b)에 록킹 凹부를 형성할 경우에 필요로 하는 슬라이드 몰드 등의 복잡하고 고가인 금형이 불필요해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성형 몰드에 소요되는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관통공(43c)은 캡(43)의 내측에 관통공이 아닌 凹부와 비교하여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7) 본 실시형태에서, 캡 장착부(55)의 상면(55a)과 베이스부(41)의 길이방향 중간부(캡 장착부(55) 이외의 부위)의 상면(41b)과의 고저차 H가 캡(43)의 상부(43a)의 상하 방향의 두께 T와 대략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캡(43)의 상부(43a)의 상면과 베이스부(41)의 길이방향 중간부의 상면(41b)이 동일 평면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그 결과, 캡(43)에 대한 걸림의 억제 및 와이퍼 블레이드(12)의 외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제2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서, 블레이드 러버(14)의 록킹 돌기(52)는 록킹 凸부(41e)에 대해서 길이방향으로 중첩하도록 설치되었지만, 이것에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록킹 凸부(41e)보다도 길이방향 내측에 설치해도 된다. 특히, 또 하나의 백킹(42b)에 록킹된 록킹 凸부(41f)에 대해서 길이방향으로 중첩하거나, 혹은 그 록킹 凸부(41f)보다도 길이방향 내측에 설치하면, 캡 장착부(55)는 길이방향 외측으로 더욱 더 연신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블레이드 러버(14)의 제1 록킹부가 록킹 돌기(52)이며, 그 록킹 돌기(52)에 록킹되는 캡측 록킹부가 관통공(43c)이지만, 그 이외에, 예를 들어, 제1 록킹부가 凹부, 캡측 록킹부가 캡(43)의 내면에 형성된 凸부라도 된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백킹(42a, 42b) 측에 록킹 凹부(42c, 42d)를 형성하고, 블레이드 러버(14)(장착홈(50a, 50b)) 측에 록킹 凸부(41e, 41f)를 형성하였으나, 凹凸 관계는 반대라도 된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캡(43)에 록킹되는 록킹 돌기(52)를 블레이드 러버(14)의 베이스부(41)의 상면(41b)에 설치하였으나, 그 이외에 예를 들어, 블레이드 러버(14)의 폭 방향 측부에 설치해도 된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백킹(42a)의 록킹 凹부(42c)와, 다른 하나의 백킹(42b)의 록킹 凹부(42d)로, 백킹(42a, 42b)의 길이방향 단부로부터의 거리를 달리해서 오조립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것에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록킹 凹부(42c, 42d)의 백킹(42a, 42b)의 길이방향 단부로부터의 거리는 같게 해도 된다. 또, 록킹 凸부(41e, 41f)는 블레이드 러버(14)의 장착홈(50a, 50b)의 길이방향의 어느 하나의 단부에만 설치해도 된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ㆍ 캡 장착부(55)의 상면(55a)과 베이스부(41)의 길이방향 중간부의 상면(41b)이 동일 평면에 위치해도 된다.
ㆍ 유지부(31, 32)의 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 설치해도 된다.
ㆍ 홀더 부재(13)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해도 된다.
ㆍ 홀더 부재(13)의 형상(특히 홀더 부재(13)의 와이퍼 암(11)과의 연결 부분의 형상 및 홀더 부재(13)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형상), 블레이드 러버(14), 백킹(42a, 42b) 및 캡(43)의 형상은 필요한 구성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해도 된다.
ㆍ 상기 실시형태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차량의 리어 글라스를 닦아내는 와이퍼에 적용해도 된다.

Claims (12)

  1. 베이스부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홈을 갖고 와이핑면을 닦아내는 블레이드 러버,
    소정의 강성을 가지면서 상기 와이핑면과는 반대쪽을 향해서 凸 형상으로 만곡 형성된 중앙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장착홈에 결합된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백킹, 및
    와이퍼 암의 선단부에 길이방향 중앙이 연결됨과 아울러, 길이방향 양측에 제1 단 및 제2 단과, 제1 단 및 제2 단의 사이드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유지부를 구비하며, 제1 유지부 및 제2 유지부로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베이스부를 유지하는 장척 형상의 홀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 러버가 상기 홀더 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유지부보다도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와이핑면의 만곡을 추종하는 추종 단부를 구성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홀더 부재가 상기 제1 유지부 및 상기 제2 유지부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추종 단부의 양 측면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 벽부를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 벽부가 상기 추종 단부에서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베이스부에 접촉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부 및 제2 유지부가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베이스부의 상면과 대향하는 상벽부, 그 상벽부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기 와이핑면을 향해서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 그 각 측벽부로부터 더욱 상기 와이핑면을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베이스부를 폭 방향 양측에서 협지하는 협지 벽부, 및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장착홈보다도 상기 와이핑면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유지홈 내를 향해서 상기 각 협지 벽부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유지편을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부 및 제2 유지부가 상기 각 협지 벽부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과 접촉하는 가설부를 추가로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부 및 제2 유지부의 적어도 하나의 상벽부 및 양 측벽부가 길이방향 외측을 향해서 연장되고, 그 연장 부분에 있어서, 상기 상벽부 및 양 측벽부가 한 쌍의 상기 접촉 벽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벽부가 상기 제1 유지부 및 상기 제2 유지부의 모두로부터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추종 단부의 양 측면에 각각 접촉하는 2세트의 한 쌍의 접촉 벽부로 이루어지는, 와이퍼 블레이드.
  7. 베이스부, 그 베이스부의 폭 방향 양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홈, 및 단부를 갖고 와이핑면을 닦아내는 블레이드 러버,
    소정의 강성을 가지면서 상기 와이핑면과는 반대측을 향해서 凸 형상으로 만곡 형성된 중앙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대응하는 장착홈에 각각이 결합된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며, 록킹부가 설치된 백킹,
    상기 백킹의 상기 장착홈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록킹부가 설치된 캡부, 및
    와이퍼 암의 선단부에 길이방향 중앙이 연결됨과 아울러, 길이방향으로 복수 병설되고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상기 베이스부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한 장척 형상의 홀더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블레이드 러버가 상기 홀더 부재의 상기 유지부보다도 길이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와이핑면의 만곡에 추종하는 추종 단부를 구성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상기 단부에는, 상기 캡에 설치된 록킹부에 록킹되는 제1 록킹부와, 상기 백킹에 설치된 록킹부에 길이방향으로 록킹되는 제2 록킹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록킹부는 제1 록킹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록킹부에 대해서 길이방향으로 중첩하거나, 혹은 제1 록킹부가 상기 제2 록킹부보다도 길이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록킹부가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이 한 쌍의 백킹을 구비하며, 하나의 백킹과 다른 하나의 백킹이 길이방향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위치에 각각 상기 록킹부를 갖고 있으며, 각 백킹의 록킹부는 한 쌍의 상기 백킹이 상기 장착홈에 대해서 정규로 장착된 상태에서만 상기 제2 록킹부에 록킹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장착되는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오목한 상면을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록킹부가 상기 블레이드 러버의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록킹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이며, 그 제1 록킹부에 록킹되는 상기 캡의 록킹부는 캡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인, 와이퍼 블레이드.
KR1020127022958A 2010-11-10 2011-10-27 와이퍼 블레이드 KR101736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51906A JP5638917B2 (ja) 2010-11-10 2010-11-10 ワイパブレード
JPJP-P-2010-251906 2010-11-10
JP2010271563A JP2012121367A (ja) 2010-12-06 2010-12-06 ワイパブレード
JPJP-P-2010-271563 2010-12-06
PCT/JP2011/074817 WO2012063650A1 (ja) 2010-11-10 2011-10-27 ワイパブレー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462A true KR20140002462A (ko) 2014-01-08
KR101736526B1 KR101736526B1 (ko) 2017-05-16

Family

ID=4605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958A KR101736526B1 (ko) 2010-11-10 2011-10-27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32586B2 (ko)
EP (1) EP2639120A4 (ko)
KR (1) KR101736526B1 (ko)
CN (1) CN102822017B (ko)
WO (1) WO20120636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2129A (zh) * 2016-11-21 2018-05-29 株式会社美姿把 刮水器刮片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97052A (en) * 1963-12-11 1967-12-29 Trico Folberth Ltd Improvements in windscreen wipers
DE9201307U1 (ko) * 1992-02-04 1993-05-2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e
DE19907629A1 (de) 1999-02-23 2000-08-24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Wischerarm
DE19940492A1 (de) * 1999-08-26 2001-03-01 Valeo Auto Electric Gmbh Wischblatt zum Reinigen einer insbesonderen gewölbten Scheibe an einem Fahrzeug
JP4202940B2 (ja) 2003-06-13 2008-12-24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ブレード
EP1568558A1 (en) * 2004-02-25 2005-08-31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JP2007118621A (ja) * 2004-06-18 2007-05-17 Mitsuba Corp ワイパ装置
EP1769987B1 (en) 2004-06-18 2013-08-14 Mitsuba Corporation Wiper blade
JP4482394B2 (ja) * 2004-07-29 2010-06-16 株式会社ミツバ ワイパブレード
JP2006062598A (ja) * 2004-08-30 2006-03-09 Mitsuba Corp ブレードラバーおよびその成形装置
JP4823072B2 (ja) * 2004-11-09 2011-11-24 株式会社ミツバ ワイパブレード
CN2832607Y (zh) * 2005-05-11 2006-11-01 黄椿庭 无支点软骨雨刷
JP4589864B2 (ja) 2005-12-28 2010-12-01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ブレード
JP4659635B2 (ja) * 2006-02-14 2011-03-30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ブレード
JP4605063B2 (ja) * 2006-03-24 2011-01-05 市光工業株式会社 ワイパーブレード
EP1857337B1 (en) * 2006-05-19 2009-08-05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US20080271277A1 (en) * 2007-04-27 2008-11-06 Mitsuba Corporation Rubber product for wiping, rubber for wiper blade, method for producing rubber for wiper blade, and wiper unit
KR100888013B1 (ko) * 2007-05-30 2009-03-09 동양기전 주식회사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JP2009040116A (ja) * 2007-08-06 2009-02-26 Asmo Co Ltd ワイパブレード
JP4860651B2 (ja) 2008-03-28 2012-01-25 株式会社ミツバ ブレードラバー
US8533899B2 (en) 2009-08-27 2013-09-17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39120A4 (en) 2018-02-14
CN102822017A (zh) 2012-12-12
US20130219648A1 (en) 2013-08-29
WO2012063650A1 (ja) 2012-05-18
EP2639120A1 (en) 2013-09-18
KR101736526B1 (ko) 2017-05-16
US9032586B2 (en) 2015-05-19
CN102822017B (zh)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098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9845074B2 (en) Wiper blade
US9266504B2 (en) Wiper blade and end cap
US9533658B2 (en) Wiper connector for vehicle
JP5525512B2 (ja) 弾性力がある縦長なキャリア要素と、縦長なワイパーブレードとを備え、拭取り対象であるフロントガラスに隣接して配設可能な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US20110162161A1 (en) Wiper blade
EP1769987A1 (en) Wiper blade
JP5457275B2 (ja) ワイパブレード
US20150251635A1 (en) Wiper blade
EP3416858B1 (en) A windscreen wiper device
JP2011517433A5 (ko)
EP3019373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10099657B2 (en) Wiper blade and wiper
KR101439003B1 (ko)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
WO2012065639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20140002462A (ko) 와이퍼 블레이드
JP2014019218A (ja) ワイパブレード
WO2022215405A1 (ja) ワイパブレード
JP2012121367A (ja) ワイパブレード
KR20060087237A (ko) 와이퍼 조립체
WO2004026646A1 (ja) ワイパ装置
JP4830806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JP5873713B2 (ja) ワイパブレード
JP7282706B2 (ja) ワイパブレード
EP3481681B1 (en) A windscreen wip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