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7237A - 와이퍼 조립체 - Google Patents

와이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7237A
KR20060087237A KR1020050008174A KR20050008174A KR20060087237A KR 20060087237 A KR20060087237 A KR 20060087237A KR 1020050008174 A KR1020050008174 A KR 1020050008174A KR 20050008174 A KR20050008174 A KR 20050008174A KR 20060087237 A KR20060087237 A KR 20060087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elastic support
wiper
strip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9052B1 (ko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8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05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7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Landscapes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소위 플랫 블레이드 타입의 와이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일반적인 와이퍼 블레이드에 제공되는 프라이머리 요크와 세컨더리 요크없이 연결되는 플랫 블레이드 와이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1)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차량의 창에 대해 압착하도록 되어 있는 가요성 신장형 와이퍼 스트립과, (2)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대향하는 홈에 배치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레일 스프링과, (3)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복수 개의 개구를 포함하는 탄성 지지 부재와, (4) 상기 탄성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레일 스프링이 배치되는 쪽의 반대 쪽에 위치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고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상기 개구에 삽통(揷通)되며 상기 레일 스프링이 배치되는 쪽을 향해 연장하는 연장부와, 상기 와이퍼 스트립과 상기 레일 스프링이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공되는 클로(claw)를 포함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플랫 블레이드, 와이퍼, 탄성 지지 부재, 결합 부재, 사출 성형

Description

와이퍼 조립체{Wiper Assembly}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의 일부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의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의 일 구성 요소인 결합 부재의 제1 태양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의 일 구성 요소인 결합 부재의 제1 태양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의 일 구성 요소인 결합 부재의 제2 태양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의 제1 태양의 일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의 제2 태양의 일부 사시도.
본 발명은 와이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소위 플랫 블레이드 타입의 와이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일반적인 와이퍼 블레 이드에 제공되는 프라이머리 요크와 세컨더리 요크없이 연결되는 플랫 블레이드 와이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플랫 블레이드 와이퍼 조립체는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0454874호에 개시된 바 있으며, 상기 특허의 공개공보는 본 출원에 참조된다. 본 출원은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플랫 블레이드 타입의 와이퍼 조립체이 있어서, 결합 부재가 종래 탄성 지지체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결합되던 방식과 달리 결합 부재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결합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전술한 대한민국 특허 제0454874호에 의해 개시된 종래 플랫 타입의 와이퍼 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홈(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차량의 윈드 실드(도시되지 아니함)에 대해 압착하도록 되어 있는 가요성 신장형 와이퍼 스트립(20)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상기 대향하는 홈(25)에 배치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레일 스프링(15)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복수 개의 개구를 포함하는 탄성 지지부재(1)와,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의 개구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삽입부와, 상기 와이퍼 스트립(20)과 상기 레일 스프링(15)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클로(33)를 포함하는 결합 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30)의 삽입부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상태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개구를 통과한 다음에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에 걸려 개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상태로 탄성 복원하는 한 쌍의 탄성편(31a, 31b)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 부재(30)의 각 구성에 대해서 도 2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탄성 지지 부재(1)와 결합 부재(30)만이 도시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지지 부재(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본 한 쌍의 탄성편(31a, 31b)의 단면은 부채꼴 형상을 취한다. 결합 부재(30)는 탄성편(31a, 31b)에 인접하여 스토퍼(3)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부재(30)는 탄성 지지 부재(1)의 아래쪽에서 개구(100)에 삽입되는데, 개구(100)에 삽입되기 시작할 때에는 탄성 지지 부재(1)에 탄성편(31a, 31b)의 원호 부분이 닿고 삽입을 계속하게 되면 탄성편(31a, 31b)이 서로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탄성편(31a, 31b)은 이처럼 탄성 변형 되었을 때에 개구(100)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가 되도록 형성된다. 탄성편(31a, 31b)이 개구(100)를 완전하게 통과하면 탄성편(31a, 31b)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게 되고, 이렇게 복원된 후에는 삽입된 방향으로 개구(100)를 통해 빠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한편, 결합 부재(100)에는 스토퍼(3)에 의하여 더이상 개구(100)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이와 같이 탄성편(31a, 31b)를 구비하는 결합 부재(30)를 사용하면 용접 등과 같은 복잡한 공정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탄성 지지 부재(1)의 두께도 얇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조립의 간편성과 원가 절감의 효과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플랫 타입의 와이퍼 조립체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종래 탄성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작되었던 프라이머리 요크와 세컨더리 요크를 포함하는 통상의 블레이드 조립체가 상기 각 지지체들이 활 모양의 곡선을 가진 형태로 제작되어 차량의 윈드 실드에 실질적으로 당접하는 가요성 스트립을 상기 차량의 윈드 실드에 강하게 압박할 수 있 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플랫 타입의 와이퍼 조립체에 있어서는 가요성 스트립(20)이 차량의 윈드 실드를 향해 강하게 밀착하도록 하는 별도의 구성이 없기 때문에, 상기 탄성 지지 부재(1)가 차량의 윈드 실드가 제작되는 곡률에 비해 큰 곡률을 가지도록 제작하고,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의 탄성에 의해 상기 스트립(20)이 상기 차량의 윈드 실드에 강하게 압박하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상기 스트립(20)이 상기 차량의 윈드 실드에 강하게 압박되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의 상기 스트립(20)을 밀착시키는 힘인 상기 탄성 복원력이 상기 스트립(20)에 얼마나 효율적으로 전달 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부재(30)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에 결합될 때, 상기 가요성 스트립(20)이 배치되는 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탄성편(31a, 31b)과 상기 스토퍼(3)에 의해 그 결합 상태가 해제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3)가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와 상기 스트립(20)이 배치되는 사이의 공간에 제공됨에 따라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와 상기 스트립(20)의 사이에는 스토퍼(3)가 제공되지 아니하는 위치에는 소정의 이격된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와 상기 스트립(20)이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고, 결국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의 상기 스트립(20)을 윈드 실드 쪽으로 압박하는 탄성력이 상기 스트립(20)에 충분히 전달되지 아니하였다.
결국, 상기 와이퍼 조립체가 상기 차량 윈드 실드에 완전히 압착되지 못하여 차량 윈드 실드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한 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와이퍼 조립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트립(20)의 상기 결합 부재(30)가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스토퍼(3)가 제공되는 부분에 별도의 스토퍼(3) 수용홈이 제공될 수도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와이퍼 스트립의 제작 단가 높아져 전체적으로 와이퍼 조립체의 제작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와이퍼 조립체의 탄성 지지 부재와 신장형 가요성 스트립이 완전히 밀착하도록 결합 부재를 구성하고, 이에 의해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차량 윈드 실드에 밀착되는 상기 가요성 스트립에 전달되는 상기 탄성 복원력이 손실없이 전달되도록 하여, 와이퍼 조립체에 의한 윈드 실드 이물질 제거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와이퍼 조립체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와이퍼 조립체의 제작 단가를 최저화 할 수 있는 와이퍼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결합 부재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사출 성형을 통한 결합 부재 제작시 별도의 슬라이드 코어(CORE)를 제작할 필요가 없이 사출 성형을 통해 제작 가능한 결합 부재의 구조를 제공하여, 와이퍼 조립체의 제작 단가를 저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1)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차량의 창에 대해 압착하도록 되어 있는 가요성 신장형 와이퍼 스트립과, (2)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대향하는 홈에 배치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레일 스프링과, (3)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복수 개의 개구를 포함하는 탄성 지지 부재와, (4) 상기 탄성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레일 스프링이 배치되는 쪽의 반대 쪽에 위치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고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상기 개구에 삽통(揷通)되며 상기 레일 스프링이 배치되는 쪽을 향해 연장하는 연장부와, 상기 와이퍼 스트립과 상기 레일 스프링이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공되는 클로(claw)를 포함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걸림부가 종래 기술의 스토퍼와 달리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상기 레일 스프링이 배치되는 쪽의 반대 쪽, 즉 대기를 향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가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상기 레일 스프링이 배치되는 쪽에 배치되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요성 신장형 와이퍼 스트립의 일측면과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일측면은 서로 맞닿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요성 신장형 와이퍼 스트립을 차량 윈드 실드 쪽으로 압착시키는 힘인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탄성력이 상기 와이퍼 스트립 전체에 손실없이 전달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와이퍼 스트립이 상기 차량 윈드 실드에 강하게 압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와이퍼 조립체의 차량 윈드 실드의 이물질을 제거 하는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요성 신장형 와이퍼 스트립은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클로가 위치하는 클로 배치 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클로가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상기 클로 배치 홈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퍼 스트립과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1 태양은,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상기 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상태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개구를 통과한 다음에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복원되는 탄성편이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상기 탄성편은 종래 기술과 같이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상측에 제공되지 아니하고,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상기 와이퍼 스트립이 배치되는 방향 쪽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와이퍼 조립체의 대기를 향하는 부분인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상측에 종래 탄성 지지 부재의 탄성편이 제공되어 소음이 발생하고 미관이 수려하지 못하였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편은 상기 연장부의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편은 상기 개구 내에 위치할 때는 상기 연장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제1 상태와, 상기 개구 밖에 위치할 때는 상기 제1 상태보다 상기 연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기 탄성편이 상기 연장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토록 하여, 상기 탄성편이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상기 와이퍼 스트립이 배치되는 방향 쪽에서 상기 제2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개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를 형상하도 구성하면, 상기 개구의 상기 탄성편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의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구성하더라도, 상기 결합 부재를 사출 성형으로 제작하는데 있어서, 슬라이드 코어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 본 발명에 의한 결합 부재의 제작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2 태양은,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상기 개구에 삽통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며, 상기 개구에 삽통된 후에 상기 탄성 지지 부재에 걸려 상기 연장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 태양과는 다른 구조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결합 부재를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더욱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결합 부재를 제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대해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지시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치 아니한 경우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염려가 있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의 일부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는 결합 부재(50)가 와이퍼 블레이드의 탄성 지지 부재(1)의 하방에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상방향에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후술할 와이퍼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 부재에 있어서도 대동 소이하게 구성된다.
도 3과, 도 1 및/또는 도2에 도시된 와이퍼 조립체의 구성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 부재(50)의 구성과 조립 방법 및/또는 조립 방향을 제외하고는 대한민국 특허 제0454874호에 의해 개시된 종래 플랫 타입의 와이퍼 조립체와 그 구성에 있어서 대동 소이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홈(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차량의 윈드 실드(도시되지 아니함)에 대해 압착하도록 되어 있는 가요성 신장형 와이퍼 스트립(20)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상기 대향하는 홈(25)에 배치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레일 스프링 (15)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복수 개의 개구(100)를 포함하는 탄성 지지부재(1)와,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의 개구(100)에 삽입되는 결합 부재(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결합 부재(50)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의 특징적 일 구성 요소인 결합 부재의 구성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도록 하고, 도 7 또는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의 특징적 일 구성 요소인 결합 부재를 적용한 경우의 와이퍼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의 일 구성 요소인 결합 부재는 와이퍼 조립체의 탄성 지지 부재에 대해 레일 스프링이 배치되는 쪽의 반대 쪽에 위치하는 걸림부(501, 601, 701)와, 상기 걸림부(501, 601. 701)와 연결되고 탄성 지지 부재의 개구에 삽통(揷通)되며 레일 스프링이 배치되는 쪽을 향해 연장하는 연장부(510, 610, 710)와, 와이퍼 조립체의 와이퍼 스트립과 와이퍼 스트립의 레일 스프링이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공되는 클로(claw; 520, 630, 7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4 및/또는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의 일 구성 요소인 결합 부재의 제1 태양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상기 결합 부재가 체결된 와이퍼 조립체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의 제1 태양의 바람직한 실시예(50)는 탄성 지지 부재의 윗면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 부재(50)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을 제 한하도록 제공되는 걸림부(501)와, 상기 결림부(501)로부터 와이퍼 조립체의 신장형 스트립(20)이 제공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510)와, 상기 연장부(510)의 일단부에 제공되며 신장형 스트립(20)의 홈에 게재되는 클로(520)와, 상기 연장부(510)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의 아랫면(12)에 일단부가 배치되어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에 대해 위쪽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제공되는 탄성편(511)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편(511, 5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510)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하도록 구성하고 하나의 연장부(510)에는 하나 이상의 탄성편(511, 511')이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편(511, 511')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연장부(510)에 한 쌍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탄성편(511)의 끝단에서 다른 하나의 탄성편(511') 까지의 폭이 탄성 지지 부재(1)에 제공되는 개구의 폭 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의 개구에 삽입될 때는 상기 탄성편(511, 511')이 상기 연장부(510)측을 향해 변형되었다가, 상기 개구에 삽입되고 난 후에는, 다시 연장부(510) 외측을 향해 변형되어,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에 대해서 상기 결합 부재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편(511)과 상기 걸림부(501)의 사이에 상기 탄성 지지 부재(1)가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에 대해서 상기 결합 부재(50)가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클로(520)는 와이퍼 조립체의 가요성 신장형 스트립(20)에 제공되는 홈(29)에 게재되는데, 상기 클로(520)와 상기 걸림부(501) 사이에는 와이퍼 조립체의 레일 스프링(15)이 배치된 가요성 스트립(20)이 제공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와 상기 가요성 스트립(20)과 상기 레일 스프링(15)이 상기 결합 부재(50)에 의해 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림부(501)에는 개구(502)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 부재(50)를 양산하기 위해 사출 성형하는 경우, 별도의 슬라이딩 코어를 제작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개구(502)가 형성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탄성편(511)의 형상 때문에 상하 또는 좌우 한쪽 방향으로의 사출 성형이 곤란하게 되어 별도의 슬라이딩 코어를 제작하여야 하지만, 상기 개구(502)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결합 부재를 사출 성형할 때 상하 방향으로의 사출이 가능하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별도의 슬라이딩 코어 제작이 필요 없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의 일 구성 요서인 결합 부재의 제1 태양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도4에 도시된 실시예의 걸림부(501)에 개구(502)가 하나 제공되는 것에 비해, 도 5에 도시된 결합 부재(70)의 실시예는 걸림부(701)에 개구(702)가 복수개 제공되며, 클로(720)의 가운데에 홈(730)이 배치된다는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코어를 제작할 필요 없이 상하 방향으로 사출하여 형성 가능하도록 걸림부(501, 701)에 개구(502, 702)를 제공하는 방법에 여러가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의 일 구성 요소인 결합 부재의 제2 태양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6에 도시된 결합 부재가 체결된 와이퍼 조립체의 일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의 일 구성 요소인 결합 부재의 제2 실시예(60)는 와이퍼 조립체의 탄성 지지 부재(1)의 윗면(11)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 부재(60)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제공되는 걸림부(601)와, 상기 결림부(601)로부터 와이퍼 조립체의 신장형 스트립(20)이 제공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610)와, 상기 연장부(610)의 일단부에 제공되며 신장형 스트립(20)의 홈(29)에 게재되는 클로(6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장부(610)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의 개구에 삽통된 후에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에 걸려 상기 결합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622)를 포함하는 경사부(6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61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의 개구에 삽입될 때는 내측으로 변형하였다가,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의 개구에 삽통된 후에는 외측으로 탄성 변형하고, 상기 경사부(620)의 상기 걸림턱(622)이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걸림부(601)와 상기 걸림턱(622) 사이에 상기 탄성 지지 부재(1)가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601)와 상기 걸림턱(622)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에 대해 실질적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클로(630)는 와이퍼 조립체의 가요성 신장형 스트립(20)에 제공 되는 홈(29)에 게재되는데, 상기 클로(630)와 상기 걸림부(601) 사이에는 와이퍼 조립체의 레일 스프링(15)이 배치된 가요성 스트립(20)이 제공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와 상기 가요성 스트립(20)과 상기 레일 스프링(15)이 상기 결합 부재에 의해 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결합 부재(60)는 사출 성형 할 때 별도의 슬라이딩 코어를 구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601)에 별도의 개구가 제공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의 구성을 취할 경우의 주된 효과를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소위 플랫 블레이드 타입의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종래 일반적인 와이퍼 블레이드가 활 모양의 형상을 가진 프라이머리 요크, 세컨더리 요크 등을 포함하는 상부 지지체와 하부 지지체의 형상에 의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차량의 윈드 실드를 향해 러버를 압박하도록 구성되었던 것에 비해, 이와 같은 복잡한 구성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탄성 지지 부재(1)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제작되어 실제 차량에 장착될 때에는 탄성 변형하여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요성 신장형 스트립(20)가 차량 윈드 실드를 향해 압박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플랫 블레이드 타입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면서 기술한 도 1 또는 도 2를 비교하여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결합 부재(30)가 탄성 지지 부재(1)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해 조립되기 때문에 스토퍼(3)가 상기 탄성 지 지 부재(1)와 가요성 신장형 스트립(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 지지 부재(1)와 상기 가요성 신장형 스트립(20)과 직접 접촉하지 못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앞서 설명한 탄성 지지 부재의 탄성 복원력이 상기 신장형 스트립(20)에 완전히 전달되지 못하여 차량 윈드 실드의 이물질을 원활히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차량 고속 주행시 떨림이나 소음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의 구성을 취하는 경우 종래 결합 부재와 조립되는 방향이 달라 상기 탄성 지지 부재가 상기 가요성 신장형 스트립과 완전히 밀착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탄성 복원력이 상기 가요성 신장형 스트립에 충분히 전달되어 차량 윈드 실드의 이물질을 원활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에 대해서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내지 수정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조립체에 의하면 탄성 지지 부재와 신장형 가요성 스트립이 완전히 밀착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되어, 와이퍼 조립체에 의한 윈드 실드 이물질 제거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와이퍼 조립체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와이퍼 조립체의 제작 단가를 최저화 할 수 있는 와이퍼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출 성형으로 본 발명의 결합 부재를 제작할 때 별도의 슬라이드 코어(CORE)를 제작할 필요가 없이 사출 가능한 결합 부재의 구조를 제공하여, 와이퍼 조립체의 제작 단가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차량의 창에 대해 압착하도록 되어 있는 가요성 신장형 와이퍼 스트립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대향하는 홈에 배치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레일 스프링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복수 개의 개구를 포함하는 탄성 지지 부재와,
    상기 탄성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레일 스프링이 배치되는 쪽의 반대 쪽에 위치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고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상기 개구에 삽통(揷通)되며 상기 레일 스프링이 배치되는 쪽을 향해 연장하는 연장부와, 상기 와이퍼 스트립과 상기 레일 스프링이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공되는 클로(claw)를 포함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신장형 와이퍼 스트립의 일측면과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일측면은 서로 맞닿는, 차량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신장형 와이퍼 스트립은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클로가 위치하는 클로 배치 홈을 더 포함하는, 차량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상기 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상태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개구를 통과한 다음에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복원되는 탄성편이 제공되는, 차량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연장부의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하는, 차량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된, 차량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상기 개구에 삽통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며,
    상기 개구에 삽통된 후에 상기 탄성 지지 부재에 걸려 상기 연장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차량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20050008174A 2005-01-28 2005-01-28 와이퍼 조립체 KR100609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174A KR100609052B1 (ko) 2005-01-28 2005-01-28 와이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174A KR100609052B1 (ko) 2005-01-28 2005-01-28 와이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237A true KR20060087237A (ko) 2006-08-02
KR100609052B1 KR100609052B1 (ko) 2006-08-09

Family

ID=3717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174A KR100609052B1 (ko) 2005-01-28 2005-01-28 와이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0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3655B2 (en) 2012-12-04 2017-01-03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9663071B2 (en) 2014-05-29 2017-05-30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68561C (en) 2005-11-24 2010-02-02 Shih-Hsien Huang Windshield wiper structure for vehicles
KR100840000B1 (ko) 2007-04-16 2008-06-19 동양기전 주식회사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KR101222856B1 (ko) 2010-11-11 2013-01-16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가이드 클립 및 요크 일체형 플랫 블레이드 와이퍼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3655B2 (en) 2012-12-04 2017-01-03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9663071B2 (en) 2014-05-29 2017-05-30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9052B1 (ko)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6834C1 (ru) Узел щетки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US8261405B2 (en) Wiper blade assembly having rotatable auxiliary beam
KR101565825B1 (ko)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
US9533658B2 (en) Wiper connector for vehicle
KR101189981B1 (ko) 유리창용 와이퍼 장치
KR101514227B1 (ko)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
KR100970986B1 (ko) 플라스틱 파스너
US8959700B2 (en) Wiper blade
KR100609052B1 (ko) 와이퍼 조립체
JP5101612B2 (ja) ワイパブレード用の接続エレメント及びワイパブレード
US20120180246A1 (en) Windshield wiper blade assembly
KR100914358B1 (ko) 차량용 앞유리 와이퍼 구조
US20080083517A1 (en) Door shutter
JP2014506544A (ja) ワイパブレード並びにエンドキャップ
JP2011219088A (ja) フラットワイパーの組合わせ構造
US20140196241A1 (en) Flat wiper blade assembly
CA2569977A1 (en) Wiper blade
MX2008014724A (es) Dispositivo limpiador de parabrisas.
US9038318B2 (en) Dual end cap for a seal assembly
KR101691427B1 (ko)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US10328903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20110063468A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관절식 연결을 위한 연결 장치
JP2010523843A (ja) 自動車の窓開閉機構に用いられるガイドレールアレンジメントおよび駆動部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0812773B1 (ko) 차량용 와이퍼 장치
JP2007092484A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