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358B1 - 차량용 앞유리 와이퍼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앞유리 와이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358B1
KR100914358B1 KR1020060116228A KR20060116228A KR100914358B1 KR 100914358 B1 KR100914358 B1 KR 100914358B1 KR 1020060116228 A KR1020060116228 A KR 1020060116228A KR 20060116228 A KR20060116228 A KR 20060116228A KR 100914358 B1 KR100914358 B1 KR 100914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
stripe
wiper
shaped elastic
cov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5367A (ko
Inventor
시-흐시엔 후앙
Original Assignee
시-흐시엔 후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05025707A external-priority patent/EP1733939A3/en
Application filed by 시-흐시엔 후앙 filed Critical 시-흐시엔 후앙
Publication of KR20070055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6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 B60S1/4074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with means provided on the blade for locking the side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1Spoilers mounted on the squeegee or o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made in two h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앞유리 와이퍼 구조는 트러스 새들,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 커버 본체, 다수의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 스트립 스크레이퍼 및 프레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 상에 중공의 압력 조정 통기구들이 형성되어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의 모든 부분에서 거의 동일한 탄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로써, 전체 와이퍼의 모든 부분에서의 힘을 평형화하여 균일한 압력 분포의 조정 효과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트립 스크레이퍼 및 앞유리 사이의 접촉은 균일하고 타이트하며 밀접하게 밀봉되어 균등화됨으로써 이러한 균일한 압력 분포의 결과로 빈번한 새 제품으로의 교체를 감소시킴에 따른 비용 절감 및 사용 기간 연장 효과는 물론이고 앞유리 와이퍼의 닦아냄의 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경제성 및 환경 보호 측면에서 더욱 양호한 효과를 가진다.
와이퍼, 트러스 새들, 탄성 스트라이프, 커버 본체, 스트립 스크레이퍼, 프레임 커버, 통기구.

Description

차량용 앞유리 와이퍼 구조{WINDSHIELD WIPER STRUCTURE FOR VEHICLES}
도1은 종래의 제1 종류의 앞유리 와이퍼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종래의 제2 종류의 앞유리 와이퍼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도2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4는 종래의 제2 종류의 앞유리 와이퍼를 나타낸 평면도,
도5는 종래의 제3 종류의 앞유리 와이퍼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6은 종래의 제3 종류의 앞유리 와이퍼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종래의 제3 종류의 앞유리 와이퍼를 나타낸 개략도,
도8은 종래의 제3 종류의 앞유리 와이퍼가 작동시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
도9는 도8의 A-A선의 단면도,
도10은 종래의 제4 종류의 앞유리 와이퍼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11은 종래의 제4 종류의 앞유리 와이퍼가 작동시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
도12는 조립 과정의 종래의 제4 종류의 앞유리 와이퍼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14는 조립 시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16은 도15의 F-F선의 단면도,
도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가 작동시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 및
도18은 도17의 H-H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앞유리 와이퍼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앞유리 와이퍼의 스크레이퍼(scraper) 및 앞유리 사이의 접촉이 균일하고 타이트하며, 밀접하게 밀봉되어 균등화됨으로써, 닦아내는 작동 중에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앞유리 와이퍼의 닦아내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간단한 구조 및 더 적은 수의 부품들로 인해 조립 과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시의 프로세스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소한 부품들의 손상 및 마모를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경제성 및 환경 보호 측면에서 더욱 양호한 효과를 가진다.
도1 내지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제1 및 제2 종류의 앞유리 와이퍼 구조는 양 단부들 상에서 각각 관절부(3)와 결합된 제1 보유 아암(4)을 가진 마스터 와이퍼(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양쪽의 제1 보유 아암(4)의 각각의 내향 단부의 관절부(5) 상에 제2 보유 아암(6)이 결합된다. 상기 양쪽의 제1 보유 아암(4)의 각각의 외향 단부 및 상기 양쪽의 제2 보유 아암(6)의 양 단부들 상에 결합 장치(7)가 배치된다. 가요성 탄성 재료로 된 스트립 스크레이퍼(8)는 상기 결합 장치에 의해 꼭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제의 탄력적인 스트라이 프(801)가 상기 스트립 스크레이퍼(8)의 양 측면들상에서 보유 지지부를 지지하도록 매립된다. 또한, 상기 스트립 스크레이퍼(8)의 양 단부들의 결합부 및 상기 양쪽의 제1 보유 아암(4)의 외향 단부 상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끼움 캡(9)이 확고하게 끼워지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앞유리 와이퍼의 스트립 스크레이퍼(8)가 가 앞유리 G 상에서 앞뒤로 닦아내고 있을 때, 상기 마스터 와이퍼 아암(2) 및 상기 양쪽의 제1 보유 아암(4)의 결합부인 관절부(3), 및 상기 양쪽의 제1 보유 아암(4) 및 양쪽의 제2 보유 아암(6)의 각각의 내향 단부의 결합부인 관절부(5)에 갭이 형성된다. 와이퍼가 더욱 자주 닦아내게 되면, 상기 갭이 점차로 확대된다. 따라서, 상기 마스터 와이퍼 아암(2), 상기 양쪽의 제1 보유 아암(4) 및 양쪽의 제2 보유 아암(6) 사이의 선형성이 결국에는 정렬되지 않게 된다(도4에 도시됨). 결과적으로, 부차적으로 구부려지는 상기 스트립 스크레이퍼(8)는 선형적인 정렬에서 동기되어 닦아내도록 작용하기에 실패하게 되고 먼지 또는 외부 불순물의 제거 효과도 잃게 된다. 따라서, 새 제품으로의 교체가 증가된다. 또한, 교체 방법도 개별적인 부품의 부분 교체가 아니라 전체 일체형 와이퍼를 교체하여야 한다. 폐기된 구형 제품도 쓰레기로 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의 시장에 제3 종류의 종래의 앞유리 와이퍼(소위 보유 아암이 없는 와이퍼)가 제안되어 있다. 도5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는 트러스 새들(10), 스트라이프 주 본체(20), 한 쌍의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22), 및 두개의 단부 끼움 캡(23)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라이프 주 본체(20)가 상기 트러스 새들(10)에 의해 확고하게 고정되며 가요성 탄성 재료로 일체 성형된다. 일체 성형된 (그의 하측 면의 스크레이퍼 에지(24))를 갖는 상기 스트라이프 주 본체(20)의 양 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스트립의 세로 홈들(21)이 제공된다. 상기 한 쌍의 탄성 스트라이프(22)는 금속으로 제조되며 얇은 스프린트(splint)로서 작용하도록 상기 세로 홈들(21) 중 가장 위쪽의 쌍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스트라이프 주 본체(20)의 양 단부 및 한 쌍의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22)의 양 단부의 결합부 상으로, 상기 단부 끼움 캡들(23)이 각각 확고하게 끼워맞춤 된다.
도7 내지 9를 참조하면, 상기 제3의 종래의 앞유리 와이퍼가 앞유리 G 상에서 타이트한 압축 접촉된 상태로 앞뒤로 닦아내는 작용을 행할 때, 상기 트러스 새들(10)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주요 힘 작용점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퍼의 앞유리 G 상에서의 닦는 압력은,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의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중앙의 트러스 새들(10)에서 (도8에 검정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단부들을 향해 점차로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스크레이퍼 에지(24)의 모든 접촉점의 압력은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고 상기 앞유리 G와 타이트하게 접촉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와이퍼의 닦는 효과는 감소된다. 또한, 상기 앞유리 G와의 마찰로 인한 소음은 차량 내부의 정숙성에 영향을 줄 만큼 증가한다.
그 외에, 가요성 탄성 재료로 일체 성형된 상기 스크레이퍼 에지(24)는 자체적으로 구부려지면서 그의 양측면 상의 상기 금속제의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22)와 분리된다. 상기 와이퍼가 앞뒤로 닦아내도록 작용할 때, 상기 활 모양의 탄성 스트라이프(22)는 동작 방향으로 또는 그와 반대로의 교체로 인해 모든 곳에서 밀고 당기는 힘이 다르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전체 와이퍼가 경사지게 되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로 홈들(21) 상에서 눌려서 배출되려는 작용의 결과로 구부려져 변형된다. 상기 스트라이프 주 본체(20)의 수명이 실용적이지 않게 감소된다. 또한, 상기 단부 끼움 캡들(23)이 상기 활 모양의 탄성 스트라이프(22)의 양 단부 상의 스냅 작용 노치(221)에 끼워져 조여진다. 이는 상기한 동작이 변형되는 결과로서 예상치않게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활 모양의 탄성 스트라이프(22)의 상기 스트라이프 주 본체(20)에서의 분리가 발생되어 상기 와이퍼 기능을 쓸모없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10 내지 12에 도시된 보유 아암이 없는 제4 종류의 와이퍼가 도입되게 되었으며, 상기 와이퍼는 :
트러스 새들(30);
금속 활모양 스트라이프로 제조되어, 그의 중앙의 상부 측에서 상기 트러스 새들(30)의 기부 측과 확고하게 결합되며, 그의 표면에, 일부 정방형 구멍들(41)이 균일하게 뚫려있고, 그의 양 단부들 근처에, 스냅 작용 구멍(42)이 각각 형성된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40);
가요성 탄성 재료로 일체 성형되며, 상기 트러스 새들(30)의 양 측면들에서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40) 상에 확고하게 보유되고; 그의 하부의 두개의 측면들에 오목한 갈고리 스트라이프(51)가 대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오목한 갈고리 스트라이프(51)의 내측 상부 중앙에, 원뿔형으로 매달린 브래킷 스트라이프(52)가 제공된 두개의 스트라이프의 주 본체(50);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40)의 정방형 구멍(41)에 확고하게 끼워지며; 그의 상부에, 한 쌍의 돌출 러그들(61)이 사다리꼴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돌출 러그들(61)의 각각의 중앙에, 탄력적인 갈고리(62)가 형성되고; 그의 하부에, 한 쌍의 턱모양 갈고리(63)가 형성된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들(60);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40)의 양 단부의 스냅 작용 구멍(42)으로 확고하게 끼워져 고정되고; 그의 하부 중앙에, 내측으로 스플라인(spline) 휨 판(71)이 제공되고; 상기 판(71)의 자유단 각각에, 스냅 작용 러그(72)가 상기 스냅 작용 구멍(42)에 (도10에 도시된 B-B선의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끼워지도록형성된 두개의 단부의 끼움 캡(70); 및
가요성 탄성 재료로 일체 성형되며; 그의 상부에, 한 쌍의 스트립의 세로 홈들(81)이 상기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들(60)의 턱모양 갈고리(63)에 의해 확실하게 파지되어 삽입되도록 그의 양 측면들에 형성되고; 상기 스트립의 세로 홈들(81) 및 그의 상부 측 사이의, 양 측면들에 한 쌍의 금속 탄성 스트라이프들(82)이 장착되고; 한 쌍의 탄력적인 얇은 봉들(84)이 각각 상기 세로 홈들(81)로 삽입되고; 그의 하부에, 스크레이퍼 에지(83)가 형성된 스트립 스크레이퍼(80)를 포함한다.
상기 제4 종류의 종래의 앞유리 와이퍼는 상기 종래의 제1, 제2 및 제3 종류의 앞유리 와이퍼를 조합함에 의해 실현된다. 와이퍼 교체 시의 그의 장점은, 상기 종래의 제1, 제2 및 제3 종류의 앞유리 와이퍼는 어느 부분이 닳았을 때 전체의 일 체형 와이퍼를 교체해야 했으나, 전체의 일체형 와이퍼를 교체하는 대신에 닳은 스트립 스크레이퍼(80) 만을 교체하면 된다는 것이다. 서로 비교할 때, 상기 제4 종류의 종래의 앞유리 와이퍼는 환경 보호의 확장 및 소비자에 의한 새로운 제품의 교체의 면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수명이 연장되고 닦는 효과 면에서도 양호하다. 그러나, 여전히 다음의 결점들을 갖고 있다 :
1. 도11을 참조하면, 제3 종류의 종래의 앞유리 와이퍼와 같이, 상기 트러스 새들(30)은 앞유리 G와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40)의 압축 접촉 시의 힘 작용점으로서 작용한다. 이로써,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40)의 하부 측의, 상기 스트립 스크레이퍼(80)의 양 단부 점들에서의 압력이 모든 다른 점들에 비해 가장 강하게 된다. 따라서, 닦는 효과가 유지될 수 없고 모든 점이 균일한 압력 분포를 갖지 않게 되고 상기 앞유리 G의 표면과 긴밀하고 타이트하게 접촉되지 않는 결과로서 앞유리 G와의 마찰 소음으로 인해 차량 내부 정숙성이 지속될 수 없다.
2. 도12 및 10을 참조하면, 조립 과정은 다음과 같다 :
a. 상기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60)의 돌출 러그(61)를 (도12의 단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40)의 정방형 구멍(41)으로 삽입하여 고정한다.
b. 상기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60)를 턱모양 갈고리(63)의 하부로부터 밀어서 상기 탄력적인 갈고리(62)를 (도12의 단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하여 안쪽으로 구부려지게 한다. 계속해서 그것을 상기 탄력적인 갈고리(62)에 닿을 때까지 밀어서 (도12의 단면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방형 구멍(41)을 통과하여 원래 상태로 튀어나와 상기 정방형 구멍(41)에 끼워지게 한다.
c. 상기 두개의 스트라이프의 주 본체(50)를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40)로 안내하여 끼운다. 이 과정 중에, 상기 오목한 갈고리 스트라이프(51) 및 매달려 있는 브래킷 스트라이프(52)를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40)의 양 측면과 긴밀히 연결하여 유지해야 한다. 그리고, 이들을 (도12의 단면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60)의 돌출 러그(61)로 미끄럼 이동하여 끼우게 된다.
d. 상기 두개의 스트라이프의 주 본체(50)가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40)와 완전하게 끼워진 후에,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40)의 양 단부들에 상기 단부 끼움 캡(70)을 끼워 넣어서 고정시킨다. 이로써 상기 단부 끼움 캡(70)의 하부 측의 상기 스냅 작용 러그(72)가 (도12의 단면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40)의 스냅 작용 구멍(42)으로 완전하게 삽입되어 고정된다.
e. 마지막으로, 상기 스트립 스크레이퍼(80)를 상기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60)의 하부 측의, 턱모양 갈고리(63)로 넣어서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두개의 탄력적인 얇은 봉들(84)을 상기 스트립 스크레이퍼(80)로 넣어서 삽입한다. 모든 조립 과정이 (도12의 단면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다.
상기 조립 과정으로부터 상기 두개의 스트라이프의 주 본체(50)는 올바르지 않은 방향에 의해 잘못된 위치에 배치됨을 방지하기 위해 조립체에 방향성을 갖고 조심스럽게 조립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 본체(50)의 노동량이 단계 c에서의 방향성으로 인해 훨씬 더 걸리게 된다.
3. 도12의 단면 E를 참조하고 도10의 C-C선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스트라이프의 주 본체(50)의 내측 상부 중앙에 형성된 하방으로 매달려 있는 브래킷 스트라이프(52)가 스토퍼로서 작용한다. 그의 기능은, 상기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60)의 돌출 러그(61)에서, 상기 탄력적인 갈고리(62)가 안쪽으로 구부려짐을 차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트라이프의 주 본체(50)가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40)의 정방형 구멍(41)에서 떨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써, 그의 재료는 상기 스트라이프의 주 본체(50)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 같은 가요성의 탄력적인 재료 대신에 비탄력적인 경질 재료로 되어야 한다. 따라서, 금형의 압출 과정에서 여분의 비용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제조 과정에 어려움이 가중되어, 이것 또한 제조 비용의 상대적인 상승으로 귀결된다.
4. 통상적으로, 시판되는 앞유리 와이퍼는 실제 차량 운행 사용 시에 바람 및 비의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내부식성 악천후 테스트(erosion-resistant weather test)를 통과해야 한다. 상기 제4 종류의 종래의 앞유리 와이퍼의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60)는 어떠한 틈 마개(weather-stripping) 보호의 설계 없이 직접 악천후에 노출되므로, 실제 차량 운행 중에 다양한 정도의 바람 및 비에 의해 쉽게 피로하게 된다. 이로써, 부식방지 능력의 부족으로 인해 손상되는 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그의 수명도 간접적으로 감소되며, 교체시기가 빨라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트러스 새들,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 커버 본체, 일부의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 스트립 스크레이퍼 및 프레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 상에 중공의 압력 조정 통기구들이 형성되어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의 모든 부분에서 거의 동일한 탄력을 유지하게 되는 차량용 앞유리 와이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로써, 전체 와이퍼의 모든 부분에서의 힘을 평형화하여 균일한 압력 분포의 조정 효과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트립 스크레이퍼 및 앞유리 사이의 접촉은 균일하고 타이트하며 밀접하게 밀봉되어 균등화됨으로써 이러한 균일한 압력 분포의 결과로 빈번한 새 제품으로의 교체를 감소시킴에 따른 비용 절감 및 사용 기간 연장 효과는 물론이고 앞유리 와이퍼의 닦아냄의 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커버 본체가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와 완전 대응하게 끼워넣어져 고정되므로 방향성이 자유롭게 되는 차량용 앞유리 와이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로써, 조립 과정을 크게 간단화하고 제조 시의 노동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한 쌍의 틈 마개 띠가 상기 커버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모든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가 바람 및 비 또한 날씨에 의해 마멸됨을 방지함으로써 부식 방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결과로 수명을 연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커버 본체의 구조를 간단화하도록 어떠한 지지물의 설계 없이 상기 모든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가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 상에 직접 고정되는 차량용 앞유리 와이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조 과정을 단순화한 결과로서 전체 제조 비용이 크게 감소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의 본 발명 의 상세한 설명을 완전하게 검토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3, 14, 15, 16 및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앞유리 와이퍼는 트러스 새들(100),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200), 커버 본체(300), 다수의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들(400), 스트립 스크레이퍼(500) 및 프레임 커버(600)를 포함하고; 상기 트러스 새들(100)은 와이퍼 연결기(700)에 의해 와이퍼 아암(도면들에 도시 안됨)의 일 단부 상에 고정되며; 활모양으로 하방으로 구부려지고 금속으로 제조되는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200)는, 상기 트러스 새들(100)의 하부 면이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200)의 중앙의 상부 측에 맞대어져서 상기 트러스 새들(100)의 하부 측에 확고하게 고정된다. 도13을 참조하면,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200)의 본체 상에는 등간격으로 뚫려있는 다수의 다각형 구멍들(201)이 있고, 그리고 상기 다각형 구멍들(201) 사이에는 균일한 압력 분포에 따라 결정된 구멍 크기를 가진 다수의 중공의 압력 조정 통기구들(202)이 있다.
도13 및 14를 참조하면, 커버 본체(300)는 가요성 탄성 재료로 일체 성형되고, 상기 트러스 새들(100)보다 크지만 프레임 커버(600)보다는 작은 구멍 크기를 가진 중공의 구멍(301)이 상기 커버 본체(300)중앙에 제공된다. 도13의 E-E선의 확대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본체(300)의 상부는 상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 본체(300)의 중간부에는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200)의 양 측면들을 고정시키는 더브테일(dovetail) 홈 형상의 한 쌍의 스트립의 세로 홈들(302)이 나 있으며, 상기 커버 본체(300)의 하부에는 양 측면들에서 상기 세로 홈들(302)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틈 마개 띠들(303)이 있다.
도13을 참조하면,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400)에는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200)의 다각형 구멍(201)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400)의 상단부에서 돌출되는 다각형 돌출 링(401)이 있고, 상기 스트립 스크레이퍼(500)를 수용하도록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400)의 하단부에서 돌출된 한 쌍의 턱모양 갈고리(402)가 있다.
도13 및 14를 참조하면, 상기 스트립 스크레이퍼(500)는 가요성 탄성 재료로 일체 성형되고, 상기 스트립 스크레이퍼(500)에는, 상기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400)의 턱모양 갈고리(402)에 삽입되도록 상기 스트립 스크레이퍼(500) 상부의 양 측면들에서 오목하게 파여 있는 한 쌍의 스트립의 세로 홈들(501)이 나 있고, 상기 세로 홈들(501)에는 두 개의 금속제의 탄력적인 얇은 봉들(502)이 더 제공되며, 상기 스트립 스크레이퍼(500)의 하부에는 스크레이퍼 에지(503)가 연결되어 있다.
도13 및 14를 참조하면, 프레임 커버(600)는 상기 트러스 새들(100)을 수용하는 외피로서 작용하고, 상기 프레임 커버(600)의 중앙에는 장방형 구멍(601)이 제공되고, 상기 장방형 구멍(601)의 양 측면들의 중앙 상부에는 두 개의 스냅 작용 돌출부들(602)이 형성되어 있다.
도14 내지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 과정은 다음과 같다 :
a. 상기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400)의 다각형 돌출 링(401)을 각각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200)의 대응하는 다각형 구멍(201)으로 삽입하여 그들을 확고하게 고정시킨다. 다음에, 상기 트러스 새들(100)의 하부 측을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200)의 중앙 상부 측에 납땜한다.
b. 상기 커버 본체(300)의 임의의 단부를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200)의 임의의 단부에 끼운다. 상기 커버 본체(300)의 하부에 있는 틈 마개 띠(303)를 벌려서 조금씩 안쪽으로 나아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200)를 완전히 덮어씌울 수 있다.
c. 상기 스트립 스크레이퍼(500)를 상기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400)의 하부에서 턱모양 갈고리(402)로 점차적으로 삽입한다. 다음, 상기 프레임 커버(600)를 상기 스냅 작용 돌출부들(602)이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200)의 양 측면의 하부에 스냅식으로 걸려서 채워질 때까지 상기 트러스 새들(100)을 통해 통과시킨다. 이에 따라, (도15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 과정이 완성된다.
상기 조립 과정으로부터, 본 발명의 조립 시의 노동량이 단계 b에서의 커버 본체(300)의 비 방향성으로 인해 매우 작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200) 상에 중공의 압력 조정 통기구들(202)이 형성되어,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200)의 탄성력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또한 와이퍼가 앞유리에 밀착될 때,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200)와 스트립 스크레이퍼(500) 사이에 있는 공기가 빠져나올 수 있어, 도 17에 검정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앞유리에 대한 와이퍼의 밀착압력이 와이퍼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따라서,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유리 G의 활모양의 표면과 상기 스트립 스크레이퍼(500)가 균일하고 타이트하게 밀접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운행중인 차량의 내부 정숙함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상기 앞유리 G와의 마찰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닦아내는 효과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

  1. 트러스 새들(truss saddle),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bow elastic stripe), 커버 본체(cover body), 다수의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들(detachable clamping devices), 스트립 스크레이퍼(strip scraper) 및 프레임 커버(frame cover)를 포함하고;
    상기 트러스 새들은 와이퍼 연결기(wiper connector)에 의해 와이퍼 아암(wiper arm)의 일 단부 상에 고정되며;
    활모양으로 하방으로 구부려지고 금속으로 제조되는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는, 상기 트러스 새들의 하부 면이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의 중앙의 상부 측에 맞대어져서, 상기 트러스 새들의 하부 측에 확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의 본체 상에는 등간격으로 뚫려있는 다수의 다각형 구멍들(polygon holes)이 있고, 그리고 상기 다각형 구멍들 사이에는 균일한 압력 분포에 따라 결정된 구멍 크기를 가진 다수의 중공의 압력 조정 통기구들(hollow pressure adjusting vents)이 있으며;
    상기 커버 본체는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 성형되고, 상기 커버 본체의 중앙에는 상기 트러스 새들보다 크지만 상기 프레임 커버보다는 작은 구멍 크기를 가진 중공의 구멍(hollow opening)이 제공되고, 상기 커버 본체의 상부는 상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 본체의 중간부에는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의 양 측면들을 고정시키는 더브테일(dovetail) 홈 형상의 한 쌍의 스트립(strip)의 세로 홈들(fluted grooves)이 나 있고, 상기 커버 본체의 하부에는 양 측면들에서 상기 세로 홈들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틈 마개 띠들(weather-stripping fasciae)이 있으며;
    상기 다수의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들 각각에는, 상기 활모양 탄성 스트라이프의 다각형 구멍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의 상단부에서 돌출되는 다각형 돌출 링(polygon protruding ring)이 있고, 그리고 상기 스트립 스크레이퍼를 수용하도록 상기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의 하단부에서 돌출된 한 쌍의 턱모양 갈고리(jaw-like paw)가 있으며;
    상기 스트립 스크레이퍼는 가요성 탄성 재료로 일체 성형되고, 상기 스트립 스크레이퍼에는 상기 분리 가능한 고정 장치의 턱모양 갈고리에 삽입되도록 상기 스트립 스크레이퍼의 상부의 양 측면들에서 오목하게 파여 있는 한 쌍의 스트립의 세로 홈들이 나 있고, 상기 세로 홈들에는 두 개의 금속제의 탄력적인 얇은 봉들이 더 제공되고, 상기 스트립 스크레이퍼의 하부에는 스크레이퍼 에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 커버는 상기 트러스 새들을 수용하는 외피(sheath)로서 작용하고, 상기 프레임 커버의 중앙에는 장방형 구멍이 제공되고, 상기 장방형 구멍의 양 측면들의 중앙 상부에는 두 개의 스냅 작용 돌출부들(snap-on noses)이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앞유리 와이퍼 구조(a windshield wiper structure for vehicle).
KR1020060116228A 2005-11-24 2006-11-23 차량용 앞유리 와이퍼 구조 KR100914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025707.0 2005-11-24
EP05025707A EP1733939A3 (en) 2005-06-15 2005-11-24 Windshield wiper structure f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367A KR20070055367A (ko) 2007-05-30
KR100914358B1 true KR100914358B1 (ko) 2009-08-28

Family

ID=3806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228A KR100914358B1 (ko) 2005-11-24 2006-11-23 차량용 앞유리 와이퍼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14358B1 (ko)
AU (1) AU2006241297A1 (ko)
CA (1) CA256856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297B1 (ko) * 2007-12-20 2009-08-26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다중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CA2843527C (en) 2011-07-28 2018-11-27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8806700B2 (en) 2011-07-29 2014-08-19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per blade connector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CA2865292C (en) 2012-02-24 2018-03-1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USD777079S1 (en) 2014-10-03 2017-01-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ame
US11040705B2 (en) 2016-05-19 2021-06-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874B1 (ko) 2003-11-07 2004-11-03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JP2005306117A (ja) 2004-04-19 2005-11-04 Asmo Co Ltd ワイパブレード
KR100597339B1 (ko) 2004-09-22 2006-07-06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0609052B1 (ko) 2005-01-28 2006-08-09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와이퍼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874B1 (ko) 2003-11-07 2004-11-03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JP2005306117A (ja) 2004-04-19 2005-11-04 Asmo Co Ltd ワイパブレード
KR100597339B1 (ko) 2004-09-22 2006-07-06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0609052B1 (ko) 2005-01-28 2006-08-09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와이퍼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68561C (en) 2010-02-02
AU2006241297A1 (en) 2007-06-07
CA2568561A1 (en) 2007-05-24
KR20070055367A (ko)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358B1 (ko) 차량용 앞유리 와이퍼 구조
US7150066B1 (en) Windshield wiper structure for vehicles
US8959703B2 (en) Wiper blade
KR101980185B1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및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제조 방법
US9096195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8499408B2 (en) Windshield wiper device
US8261405B2 (en) Wiper blade assembly having rotatable auxiliary beam
US8402595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comprising an elastic, elongated carrier element, as well as an elongated wiper blade of a flexible material, which can be placed in abutment with the windscreen to be wiped
US10328903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20100058552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20110020001A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금속재 클램프와 바디 스프링의 조립방법
US20150375716A1 (en) Wiper blade
KR100609052B1 (ko) 와이퍼 조립체
JP4432690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EP3353018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20090013491A1 (en) Windshield Wiper Blade Having Lower Cost of Fabrication
KR20130119553A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0597339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JP2011201445A (ja) ワイパブレード
KR20130119552A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20130119549A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