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552A -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552A
KR20130119552A KR1020120042422A KR20120042422A KR20130119552A KR 20130119552 A KR20130119552 A KR 20130119552A KR 1020120042422 A KR1020120042422 A KR 1020120042422A KR 20120042422 A KR20120042422 A KR 20120042422A KR 20130119552 A KR20130119552 A KR 20130119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iler
blade
wiper blade
support member
wip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호
현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프
Priority to KR1020120042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9552A/ko
Publication of KR20130119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1Spoilers mounted on the squeegee or o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81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in additional element, e.g. spo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86End caps
    • B60S1/3887Mounting of end caps
    • B60S1/3889Mounting of end caps cooperating with holes in the verteb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개시한다. 개시된 와이퍼 블레이드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탄성 스프링을 갖는 블레이드 지지부재와;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며, 차량유리에 밀착되어 상기 차량유리를 와이핑하도록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와이핑부재와;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며, 횡방향으로 불어오는 바람을 맞을 수 있도록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바람맞이벽을 갖는 스포일러와;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스포일러를 결합하도록 상측으로 연장된 상부 걸림부와 상기 상부 걸림부로부터 상기 와이핑부재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와이핑부재의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된 와이핑부재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스포일러와 상기 와이핑부재를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는 차량의 전면 및 후면 유리창의 빗물, 눈,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닦아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로는 복수의 요크를 이용하여 와이핑러버를 고정하는 일반와이퍼블레이드(conventional wiper blade)와 와이퍼암에 의해 프레싱 되기 전 상태에서 차량 유리의 곡면의 곡률보다 더 큰 곡률로 프리 로딩 되도록 탄성력이 인가된 플랫와이퍼블레이드(flat wiper blade)가 있다.
플랫와이퍼블레이드(flat wiper blade)의 경우 평평한 판 스프링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벤딩함으로써 프리 로딩된다.
일부 판 스프링 중에서 와이퍼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한 폭과 두께를 갖도록 만들어진 경우, 재료비가 불필요하게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와이퍼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한 폭과 두께를 갖도록 만들어진 경우 와이퍼암에 의해서 와이퍼블레이드의 중앙부분에 집중적으로 가압적이 인가된다는 점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와이퍼블레이드의 중앙부에서는 차량유리와 밀착되더라도 와이퍼블레이드의 단부에서는 차량유리로부터 이격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유리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탄성 스프링을 갖는 블레이드 지지부재와;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며, 차량유리에 밀착되어 상기 차량유리를 와이핑하도록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와이핑부재와;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며, 횡방향으로 불어오는 바람을 맞을 수 있도록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바람맞이벽을 갖는 스포일러와;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스포일러를 결합하도록 상측으로 연장된 상부 걸림부와 상기 상부 걸림부로부터 상기 와이핑부재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와이핑부재의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된 와이핑부재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스포일러와 상기 와이핑부재를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블레이드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프리로딩 되어 탄성력이 인가되는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복수의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프리로딩 되어 와이퍼 블레이드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블레이드 지지부재에 복수의 노치를 선택적으로 분포시킴으로써 와이퍼블레이드와 차량유리와의 접촉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셋째, 와이퍼블레이드 전체가 길이방향을 따라 차량유리에 밀착됨으로써 와이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개략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측면도 및 요부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스포일러 이탈방지부재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클립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일부 조립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3의 스포일러 이탈방지부재를 도 2b의 블레이드 지지부재에 결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8a는, 도 1의 B-B선에 따른 개략 횡단면도,
도 8b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스포일러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요부 배면도,
도 10은, 도 5 및 도 6에 의해 최종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개략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도 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버의 확대 사시도 및 클램프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배면사시도,
도 11c는, 도 10의 D-D선에 따른 개략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다수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유리에 밀착되어 차량유리에 부착된 이물질을 와이핑하는 와이핑부재(500); 와이핑부재(500)에 프리로드를 인가하기 위해 소정 곡률로 벤딩되는 블레이드 지지부재(600);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의 상측에 배치되며 횡방향으로 불어오는 바람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와이핑부재(500)가 더욱 상기 차량유리에 밀착되게 하는 스포일러(100);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와 와이핑부재(500)를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클립(300); 와이퍼블레이드(1)의 길이방향 양측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포일러(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포일러 이탈방지부재(200); 및 상기 와이퍼블레이드(1)를 와이퍼암(미도시)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800)를 지지하기 위한 커버(400)를 포함한다. 참고로, 도 1에서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에 탄성력이 인가되기 전 상태의 조립도로서 실제 와이퍼블레이드(1)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벤딩됨으로써 와이퍼블레이드(1)의 중간부분(커버부분)이 볼록한 형태가 된다. 또한, 편의상 도 1에서는 커버(400)에 연결되는 커넥터(800)는 생략하여 도시한다.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탄성 스프링(610)과 상기 탄성 스프링(610)의 길이방향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형성된 복수의 노치(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를 포함한다. 참고로,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는 중심선(C)를 중심으로 좌우대칭이므로 도 2b에서는 편의상 중심선(C)을 중심으로 일측만으로 도시하기로 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는 중심선(C)을 중심으로 다소 비대칭이 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나, 상기 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우에 복수의 노치(621-628)가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는 본원 명세서 전체 도면에 걸쳐서는 길이방향을 따라 곧게 연장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벤딩된다. 이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가 상기 와이퍼블레이드(1)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와이퍼블레이드(1)는, 와이퍼암에 의해 가압력이 부여되기 전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가 제공하는 탄성에 의해 상기 와이퍼블레이드(1)의 중앙부분이 상기 와이퍼블레이드(1)의 양단부보다 볼록한 형태가 된다.
상기 탄성 스프링(610)은 상기 복수의 노치(621-628)가 형성된 제1탄성스프링(612)와 노치가 형성되지 않은 제2탄성스프링(6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스프링(612)와 상기 제2탄성스프링(611)은 단부에서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제1탄성스프링(612)와 상기 제2탄성스프링(612)은 한 피스(one-piece)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노치(621-628)의 길이방향 일측 테두리(612a)로부터 내측으로의 깊이(d)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의 두께(t) 대비 t~3t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즉, t ≤ d ≤ 3t인 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는 구리, 철, 알루미늄 및 기타 금속 또는 그들의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그 외형을 가공한 후,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벤딩 성형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는 상기 와이퍼블레이드(1)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노치(621-628)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의 중심선(C)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복수의 노치(621-628)는 좌우 비대칭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노치(621-628)은 상기 중심선(C)에서 일측 단부를 향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그 깊이(d)가 달라질 수도 있다. 상기 중심선(C)에서 일측 단부방향을 따라 그 깊이(d)가 점점 증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노치(621-628) 중에서 중심선(C) 근처에 위치한 노치(626, 627, 628)의 깊이가 일측단부 근처에 위치한 노치(621, 622)의 깊이보다 더 작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물론,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한편, 현재 제조되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서 차량유리의 곡면은 천차만별이다. 이에, 상기 복수의 노치(621-628)의 깊이(d) 또는 각 노치(621-628)의 폭 또는 상기 복수의 노치(621-628)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각 차량유리에 적합한 최적의 곡면프로파일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에는 상기 클립(300)의 상부 걸림부(314)가 통과할 수 있는 장공(6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는 상기 스포일러 이탈방지부재(200)의 엔드캡(210, 220)과 체결구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구를 위해 형성된 체결공(6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포일러 이탈방지부재(200)는 상기 와이퍼블레이드(1)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엔드캡(210, 220)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엔드캡(210, 220)은 상기 커버(400)를 기준으로 좌우대칭이다. 이에, 타측단부에 배치된 엔드캡(220)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일측단부에 배치된 엔드캡(210)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타측 단부에 배치된 엔드캡(220)은,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포일러(100)의 일측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스포일러(100)의 외형에 대응하는 스포일러 삽입홈(221)과;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의 상기 체결공(630)을 통해 상기 체결구로 결합되는 결합부(222)와;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의 단부가 삽입되는 단부삽입부(223)와; 상기 와이핑부재(500)가 상기 와이퍼블레이드(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핑부재 이탈방지부(224)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홈(221)은,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스포일러(100)의 외면에 대응하지 않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222)에는 상기 체결구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핑부재 이탈방지부(224)는 상기 엔드캡(220)의 배면(225)에서부터 상기 와이핑부재(500)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와이핑부재 이탈방지부(224)가 상기 배면(225)으로부터 돌출 형성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핑부재(500)의 길이방향 측 단부(540)가 상기 와이핑부재 이탈방지부(224)에 걸리게 된다. 이에, 상기 와이핑부재(500)가 길이방향으로 상기 클립(3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상기 엔드캡(220)을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를 상기 엔드캡(220)의 상기 단부삽입부(223)를 향해 삽입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엔드캡(220)의 상기 결합부(222)와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의 상기 체결공(630)을 서로 얼라인시킨다. 그 다음으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S1)를 서로 얼라인된 상기 체결공(630)에 삽입하여 상기 엔드캡(220)과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를 고정한다.
한편, 상기 클립(300)은 도 4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포일러(100)와 결합되는 상부 걸림부(314)와; 상부 걸림부(314)로부터 상기 와이핑부재(500)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의 장공(640)을 통과하도록 마련된 넥부(313)와; 상기 넥부(31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와이핑부재(500)의 확장부(530)를 감싸도록 마련된 한 쌍의 와이핑부재 걸림부(311, 31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걸림부(314)의 폭(W1)은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의 장공(640)의 폭(W2)보다 더 작다. 이에 의해, 상기 클립(300)의 상기 상부 걸림부(314)도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의 상기 장공(640)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와이핑부재 걸림부(311, 312)의 폭(W3)은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의 장공(640)의 폭(W2)보다 더 크다. 이에 의해, 상기 클립(300)이 상기 장공(640)을 통해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로부터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걸림부(314)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절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클립(300)의 굽힘 모멘트 저항을 줄이기 위해 상기 상부 걸림부(314)부분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와이핑부재 걸림부(311, 312)의 내측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와이핑부재(500)의 넥부(520)의 폭보다 더 크게 마련된다. 이에, 상기 와이핑부재(500)의 확장부(530)가 상기 와이핑부재 걸림부(311, 31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와이핑부재(500)와 상기 클립(300)이 서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이핑부재(500)는 도 1, 도 5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유리면에 접촉하는 접촉부(510)와; 상기 접촉부(510)로부터 연장된 넥부(520)와; 상기 넥부(52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넥부(520)보다 횡방향으로 확장된 확장부(530)을 포함한다. 상기 확장부(530)는 상기 클립(300)에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기 스포일러(100)는 도 1, 도 5,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400)를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스포일러(110, 120)를 포함한다.
상기 스포일러(10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제조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례에 불과하고 상기 스포일러(100)는 천연고분자화합물 및 인조고분자화합물 중 어느 것으로 만들어지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한 쌍의 스포일러(110, 120)는 상기 커버(400)를 중심으로, 정확하게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의 중심선(도 2b의 C)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이므로 일측에 배치된 스포일러(110)에 대해서만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포일러(110)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의 노치가 형성된 제1탄성스프링(612)의 외측 테두리에 걸림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부(612)와; 상기 클립(300)의 상부 걸림부(314)와 걸림 결합되는 클립 결합부(113, 117)와; 상기 클립 결합부(113, 117)가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10)의 장공(640)을 통해 하향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115, 119)을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부(115, 119)는 좌측이탈방지부(119) 및 우측이탈방지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이탈방지부(119)는 상기 장공(640)을 기준으로 상기 제2탄성스프링(611)에 접촉되고 상기 우측이탈방지부(115)는 상기 장공(640)을 기준으로 상기 제1탄성스프링(612)에 접촉된다. 상기 좌우측이탈방지부(119,115)의 폭(W4)은 상기 장공(640)의 폭(W2)보다 더 크다.
상기 클립 결합부(117) 및 상기 우측이탈방지부(115)는 상기 스포일러(110)의 내측벽면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하방연장부(118)에 함께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클립 결합부(117) 및 상기 우측이탈방지부(115)는 상기 하방연장부(118)에서 좌우방향으로 횡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스포일러(110)는 횡방향으로 불어오는 바람을 맞을 수 있도록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바람맞이벽(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10)의 하면에서부터 상기 바람맞이벽(112) 단부까지의 바람맞이벽 높이(H2)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10)의 하면에서부터 상기 이탈방지부(119)의 상면(119a)까지의 이탈방지부 높이(H1)보다 더 크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바람맞이벽 높이(H2)는 상기 이탈방지부 높이(H1)보다 2배에서 5배 사이의 범위로 더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2H1≤H2≤5H1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상기 스포일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포일러(11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700)의 스포일러 수용부(71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19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도 8b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상기 스포일러(110)에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클램프(700)에 상기 스포일러(110)의 수용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타측에 배치되는 스포일러(120)에도 상기 클램프(700)의 상기 수용부(71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29)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클램프(700)는, 도 5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에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클램프(700)는 상기 스포일러(110, 120)의 삽입돌기(119b, 129)를 수용하는 수용부(710)와;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에 결합되도록 절곡된 절곡부(720)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절곡부(720) 대신에 상기 클램프(700)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에 체결구 또는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한 본딩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클램프(700)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와 프레싱에 의해 서로 압착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클램프(700)는 경우에 따라서, 상기 수용부(71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400)는 도 11a,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7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400)는 상기 스포일러(100)의 일측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스포일러(100)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된 스포일러 삽입부(410)와; 상기 커넥터(800)가 삽입 가능하도록 개방된 커넥터 삽입부(430)와; 상기 커넥터 삽입부(430)의 내측면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보스(42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80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스(420)와 압입 결합될 수 있도록 절개된 원형 형상의 보스 수용부(810)를 갖는다.
상기 커버(400)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700)의 일측 단부와 압입 시 탄성변형 되어 상기 클램프(700)와 걸림 결합 가능한 탄성변형 걸림부(450)를 더 포함한다. 클램프(700)는 상기 탄성변형 걸림부(450)와 접촉하여 상기 탄성변형 걸림부(450)를 변형시키기 위한 걸림턱(740)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결합과정을 도 5,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벤딩된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에 클램프(700)를 결합한다. 상기 클램프(700)의 상기 절곡부(720)가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절곡하고 프레싱함으로써 상기 클램프(700)를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에 결합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례에 불과하고 상기 클램프(700)는 용접, 초음파 융착, 접착제에 의한 본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클립(300)의 상기 와이핑부재 걸림부(311, 312) 내부로 상기 와이핑부재(500)의 확장부(530)가 삽입되도록 상기 와이핑부재(500)를 상기 클립(300)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그 다음에, 상기 와이핑부재(5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300)의 상기 상부 걸림부(314)를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의 장공(640)을 통해 삽입한다. 이에 의해, 상기 클립(300)의 상기 상부 걸림부(314)가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의 상면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의해, 도 6과 같이, 클램프(700), 블레이드 지지부재(600), 와이핑부재(500) 및 클립(300)이 조립된 상태가 된다.
그 다음에, 상기 스포일러(110, 120)의 상기 클립 결합부(113, 117) 내부에 상기 노출된 상부 걸림부(314)가 삽입되도록 상기 스포일러(110, 120)를 상기 클립(300)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그 다음에, 상기 스포일러(110, 120)가 상기 스포일러 삽입홈(도 3의 221)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스포일러 이탈방지부재(200)의 단부삽입부(223) 내부로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스포일러 이탈방지부재(200)를 양단에 끼워 넣는다.
그 다음에, 체결구(S1, S2)를 이용하여 상기 스포일러 이탈방지부재(200) 각각을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의 상기 체결공((630)을 통해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에 결합한다.
그 다음에, 상기 커버(400)의 상기 스포일러 삽입부(410)에 상기 스포일러(10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클램프(400)를 상기 클램프(700)에 걸림 결합한다. 상기 커버(400)의 상기 탄성변형 걸림부(450)에 의해 상기 커버(400)가 상기 클램프(700)에 탈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커넥터(800)를 상기 커버(400)의 보수(420)에 압입함으로서 상기 커넥터(800)를 상기 커버(400)에 결합한다. 이에, 상기 커넥터(800)는 상기 커버(4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800)는 상기 보스(42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커버(400)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와이퍼블레이드(1)가 조립될 수 있다. 물론, 실제 와이퍼블레이드(1)는 길이방향으로 곧게 뻗어 있는 형태가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을 갖도록 벤딩된 블레이드 지지부재(600)에 의해, 커넥터(800) 부분이 상대적으로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와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100, 110, 120: 스포일러
200: 스포일러 이탈방지부재 210, 220: 엔드캡
300: 클립 400: 커버
500: 와이핑부재 600: 블레이드 지지부재
700: 클램프 800: 커넥터

Claims (1)

  1.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탄성 스프링을 갖는 블레이드 지지부재와;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며, 차량유리에 밀착되어 상기 차량유리를 와이핑하도록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와이핑부재와;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며, 횡방향으로 불어오는 바람을 맞을 수 있도록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바람맞이벽을 갖는 스포일러와;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스포일러를 결합하도록 상측으로 연장된 상부 걸림부와 상기 상부 걸림부로부터 상기 와이핑부재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와이핑부재의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된 와이핑부재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스포일러와 상기 와이핑부재를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블레이드.
KR1020120042422A 2012-04-24 2012-04-24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20130119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422A KR20130119552A (ko) 2012-04-24 2012-04-24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422A KR20130119552A (ko) 2012-04-24 2012-04-24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552A true KR20130119552A (ko) 2013-11-01

Family

ID=4985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422A KR20130119552A (ko) 2012-04-24 2012-04-24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95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8788A1 (de) * 2014-10-16 2016-04-21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8788A1 (de) * 2014-10-16 2016-04-21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US10214186B2 (en) 2014-10-16 2019-02-26 Robert Bosch Gmbh Wiper blade device
RU2711206C2 (ru) * 2014-10-16 2020-01-15 Роберт Бош Гмбх Щетка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0975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CA2569977A1 (en) Wiper blade
US9849861B2 (en) Wiper blade
KR101052268B1 (ko) 회전형 보조빔을 이용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8499408B2 (en) Windshield wiper device
US20080060161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20030074763A1 (en) Wiper device for cleaning the glass panes of vehicles, especially automobiles
JP2011517433A (ja) 弾性力がある縦長なキャリア要素と、縦長なワイパーブレードとを備え、拭取対象であるフロントガラスに隣接して配設可能な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US9415750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MX2013011449A (es) Dispositivo limpiaparabrisas.
KR20130119553A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20130119552A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US20080028564A1 (en) Wiper blade support structure
KR20130119549A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20130119550A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EP2593340B1 (en) A windscreen wiper device
JP3124304U (ja) ワイパー構造
EP2599673B1 (en) Wiper bl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