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1675A - 표시 장치 및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675A
KR20130141675A KR1020137026775A KR20137026775A KR20130141675A KR 20130141675 A KR20130141675 A KR 20130141675A KR 1020137026775 A KR1020137026775 A KR 1020137026775A KR 20137026775 A KR20137026775 A KR 20137026775A KR 20130141675 A KR20130141675 A KR 20130141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line driver
driver circuit
sc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3520B1 (ko
Inventor
고지 사이토
마사키 우에하타
아사히 야마토
마사미 오자키
도시히로 야나기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41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Abstract

표시 장치(1)는, 복수의 주사 신호선을 선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4)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갖고, 주사선 구동 회로(4)가 선택한 주사 신호선(6)에 연결되는 화소에 데이터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3)와, 외부로부터 수신한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어느 주사 신호선도 선택하지 않는 비주사 기간을 규정함과 함께, 규정한 비주사 기간의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수신 회로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동작 판별 신호를, 신호선 구동 회로(3)에 송신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0)를 구비하고 있다. 신호선 구동 회로(3)와 타이밍 컨트롤러(10)는 별체로서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본 발명은,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로 대표되는 박형(薄型), 경량 및 저소비 전력의 표시 장치가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스마트폰 또는 랩탑형 퍼스널 컴퓨터에의 탑재가 현저하다. 또한, 금후에는 보다 박형의 표시 장치인 전자 페이퍼의 개발 및 보급도 급속하게 진행될 것이 기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 현재, 각종 표시 장치에 있어서 소비 전력을 저하시키는 것이 공통의 과제로 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화면을 1회 주사하는 주사 기간보다도 긴 비주사 기간이며, 전체 주사 신호선을 비주사 상태로 하는 휴지(休止) 기간을 설정함으로써, 저소비 전력을 실현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12253호 공보(공개일 : 2001년 11월 9일)」
한편, 중형 이상의 표시 장치에서는, 대형화에 수반하여, 신호선 구동 회로(소스 드라이버)와, 타이밍 컨트롤러를 각각의 칩에 탑재하고, 또한, 신호선 구동 회로를 복수 설치하는 구성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란, 주사 신호선에 연결되는 각 화소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영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회로이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란, 클럭 신호 및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 등의 각 회로가 동기하여 동작하기 위한 기준으로 되는 신호를 각 회로에 대하여 출력하는 회로이다.
신호선 구동 회로와 타이밍 컨트롤러가 각각의 칩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신호선 구동 회로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화상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은, 이와 같은 중형 이상의 표시 장치를 상정하고 있지 않아,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그대로 중형 이상의 표시 장치에 적용하여, 저소비 전력의 중형 이상의 표시 장치를 실현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타이밍 컨트롤러와 신호선 구동 회로가 별체(別體)로서 설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로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복수의 주사 신호선을 선(線)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갖고, 상기 주사선 구동 회로가 선택한 주사 신호선에 연결되는 화소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와,
외부로부터 수신한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어느 주사 신호선도 선택하지 않는 비주사 기간을 규정함과 함께, 규정한 비주사 기간의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수신 회로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휴지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에 송신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와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별체로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구동 방법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복수의 주사 신호선을 선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갖고, 상기 주사선 구동 회로가 선택한 주사 신호선에 연결되는 화소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와,
외부로부터 수신한 클럭 신호 및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어느 주사 신호선도 선택하지 않는 비주사 기간을 규정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와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별체로서 설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한 클럭 신호 및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비주사 기간을 규정하는 규정 공정과,
상기 규정 공정에서 규정한 비주사 기간의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수신 회로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휴지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타이밍 제어부가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에 송신하는 송신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신호선 구동 회로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갖고 있다. 신호선 구동 회로가 수신 회로를 갖고 있는 것은, 신호선 구동 회로가 타이밍 제어부와는 별체로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타이밍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클럭 신호 및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비주사 기간을 규정한다. 비주사 기간이란, 어느 주사 신호선도 선택하지 않는 기간이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부는, 규정한 비주사 기간의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 있어서 신호선 구동 회로가 갖는 수신 회로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휴지 구동 제어 신호를, 당해 신호선 구동 회로에 송신한다.
그 때문에,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와 상기 타이밍 제어부가 별체로서 설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비주사 기간의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 있어서 신호선 구동 회로가 갖는 수신 회로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어, 저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을 저하시킨다란, 그 회로의 기능을 제한하거나, 혹은 구동 능력을 저능력화시키거나, 혹은 정지시키는 것 등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복수의 주사 신호선을 선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갖고, 상기 주사선 구동 회로가 선택한 주사 신호선에 연결되는 화소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와,
외부로부터 수신한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어느 주사 신호선도 선택하지 않는 비주사 기간을 규정함과 함께, 규정한 비주사 기간의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수신 회로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휴지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에 송신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와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별체로서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관한 구동 방법은, 복수의 주사 신호선을 선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갖고, 상기 주사선 구동 회로가 선택한 주사 신호선에 연결되는 화소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와,
외부로부터 수신한 클럭 신호 및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어느 주사 신호선도 선택하지 않는 비주사 기간을 규정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와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별체로서 설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한 클럭 신호 및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비주사 기간을 규정하는 규정 공정과,
상기 규정 공정에서 규정한 비주사 기간의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수신 회로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휴지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타이밍 제어부가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에 송신하는 송신 공정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그 때문에, 신호선 구동 회로와 타이밍 제어부가 별체로서 설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비주사 기간의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 있어서 신호선 구동 회로가 갖는 수신 회로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어, 저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 1수직 기간 내에 비주사 기간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동작 판별 신호와 그 밖의 신호의 신호 파형을 비교한 타이밍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동작 판별 신호와 GATE_EN 신호의 신호 파형을 비교한 타이밍차트이다.
도 8은 휴지 상태에 있는 영상 신호 수신 회로에 동작 판별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에서는, 차동 클럭 신호 및 차동 데이터 신호가 영상 신호 수신 회로에 입력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9는 휴지 상태에 있는 영상 신호 수신 회로에 동작 판별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에서는, 차동 클럭 신호 및 차동 데이터 신호는, Low 입력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0은 동작 판별 신호가 OFF로 되고 나서 소정 시간에는, 차동 클럭 신호가 통상 구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1은 동작 판별 신호가 OFF로 되고 나서 소정 시간에는, 차동 클럭 신호가 통상 구동되고, 동작 판별 신호가 OFF로 된 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에는, 차동 데이터 신호가 Low 입력 상태에서 입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표시 장치(1)의 구성)
우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액정 표시 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표시 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2), 3개의 신호선 구동 회로(소스 드라이버)(3), 주사선 구동 회로(게이트 드라이버)(4), 타이밍 컨트롤러(타이밍 제어부)(10), 입력 커넥터(11) 및 전원 생성 회로(1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장치(1)로서, 중형 이상(5형 내지 13형 클래스)의a-SiTFT 패널을 채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상정하고 있고, 해상도는, 예를 들어 1024RGB×768이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클래스의 표시 장치의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와 신호선 구동 회로는, 각각의 칩에 탑재되어 있다. 그 경우에, 타이밍 컨트롤러(10)를 1개, 신호선 구동 회로(3)를 3개 구비하는 구성인 경우가 많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호선 구동 회로(3)를 3개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지만, 신호선 구동 회로(3)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표시 장치(1)의 해상도도,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VGA(640×480) 내지 WXGA(1366×800)의 일반적인 해상도이어도 되고, 1920×1024 등의 고해상도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표시 장치 등 그 밖의 종류의 표시 장치이어도 된다. 유기 EL 표시 장치는, 주사 기간의 소비 전류가 매우 많기 때문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에 의한 저전력화의 효과가 크다.
(표시 패널(2))
표시 패널(2)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면과, 주사 신호선(6)(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신호선(5)(소스 라인)을 구비하고 있다. 주사 신호선(6)은, 상기 화면을 선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주사하기 위한 신호선이다. 데이터 신호선(5)은, 선택된 주사 신호선에 포함되는 1행분의 화소(7)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선이다. 주사 신호선(6)과 데이터 신호선(5)은 서로 교차하고 있다.
신호선 구동 회로(3)는, 복수의 데이터 신호선(5)을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1행분의 화소(7)에 공급한다. 또한, 복수의 신호선 구동 회로(3)의 각각에 접속되는 데이터 신호선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설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등가 회로를 대상으로 한 구동을 예로 하고 있고, 표시 패널(2) 내의 각 화소에는 TFT(thin film transistor)가 설치되어 있고, TFT의 드레인 전극은 화소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표시 장치(1)는, 화면 내의 각 화소(7)에 대하여, 공통 전극(COM : 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다. 극성 반전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공통 전압이 공통 전극에 출력됨으로써 공통 전극이 구동된다.
(주사선 구동 회로(4))
주사선 구동 회로(4)는, 타이밍 컨트롤러(10)로부터 출력된 동기 신호 및 클럭 신호에 따라서, 복수의 주사 신호선(6)을 화면 위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선순차적으로 선택한다(주사한다). 그때, 각 주사 신호선(6)에 대하여, 화소(7)에 구비되고 화소 전극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TFT)를 온 상태로 하기 위한 구형파(주사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화면 내의 1행분의 화소(7)를 선택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동기 신호 및 클럭 신호는, 표시 패널(2)에 주사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 신호로서 기능한다.
(신호선 구동 회로(3))
신호선 구동 회로(3)는, 타이밍 컨트롤러(10)로부터 출력된 동기 신호 및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주사선 구동 회로(4)가 선택한 1행분의 각 화소(7)에 출력해야 할 전압의 값을 산출하고, 그 값의 전압을 각 데이터 신호선(5)에 출력한다. 그 결과, 선택된 주사 신호선(6)에 연결되는(전기적으로 접속된) 각 화소(7)에 대하여, 타이밍 컨트롤러(1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데이터 신호)가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동기 신호 및 클럭 신호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 패널(2)에 출력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 신호로서 기능한다.
도 2는 신호선 구동 회로(3)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선 구동 회로(3)는, 영상 신호 수신 회로(영상 데이터용 I/F 수신 회로)(31), 영상 데이터 출력 타이밍 생성부(33)를 포함하는 타이밍 컨트롤부(32) 및 출력 증폭기 회로(출력 회로)(34)를 구비하고 있다.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는, 타이밍 컨트롤러(10)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데이터 신호) 및 후술하는 동작 판별 신호를 수신한다.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어 mimi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또는 RSDS(reduced swing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단, 표시 장치(1)에서 이용되는 인터페이스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는, 타이밍 컨트롤러(10)로부터 출력되는 동작 판별 신호에 의해,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의 기능이 저하되는 휴지 상태와, 당해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한 동작 상태로 전환된다.
타이밍 컨트롤부(32)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 증폭기 회로(34)로부터 표시 패널(2)에 공급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며, 영상 데이터 출력 타이밍 생성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영상 데이터 출력 타이밍 생성부(33)는,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가 수신한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동기 신호(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 및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증폭기 회로(34)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소스 스타트 펄스 신호 등)를 생성한다. 그리고, 영상 데이터 출력 타이밍 생성부(33)는, 생성한 제어 신호를,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와 함께 출력 증폭기 회로(34)에 출력한다.
출력 증폭기 회로(34)는, 각 데이터 신호선(5)에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아날로그 증폭기(34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출력 증폭기 회로(34)는, 영상 데이터 출력 타이밍 생성부(33)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영상 데이터를 주사 신호선(6)에 연결되는 각 화소(7)에 대하여, 각 아날로그 증폭기(34a)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공급한다.
이 각 아날로그 증폭기(34a)는, 1프레임 내마다 화소(7)에 인가하는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개개의 아날로그 증폭기(34a)에는, 출력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0.01㎃ 정도의 정상 전류가 항상 흐르고 있다. 그 때문에, 출력 증폭기 회로(34)는, 정상 전류가 흐르는 출력 회로라 할 수 있다. 또한, 아날로그 증폭기(34a)의 수와, 데이터 신호선(5)의 수는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타이밍 컨트롤러(10))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밍 컨트롤러(10)는, 컨트롤 기판(13)에 설치되어 있고, FPC(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4)을 통하여 신호선 구동 회로(3) 등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타이밍 컨트롤러(10)는, 신호선 구동 회로(3) 및 주사선 구동 회로(4)와는 별체로서(환언하면, 각각의 칩 상에) 설치되어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0)에는, 입력 커넥터(11)를 통하여 영상 데이터와 함께, 클럭 신호 및 입력 영상 동기 신호로서,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가 입력된다. 이들 영상 데이터, 수평ㆍ수직 동기 신호 및 클럭 신호를 포함하여 입력 영상 신호라 칭한다. 이 입력 영상 신호는, 입력 커넥터(11)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외부의 장치(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 방송 수신 장치 등)로부터 입력된다.
타이밍 컨트롤러(10)는, 수신한 수평ㆍ수직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1)의 각 회로가 동기하여 동작하기 위한 기준으로 되는 동기 신호 및 클럭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타이밍 컨트롤러(10)는, 이들 동기 신호 및 클럭 신호를 영상 데이터와 함께 영상 신호로서 3개의 신호선 구동 회로(3)의 각각에 동시에 출력한다. 그 때문에 타이밍 컨트롤러(10)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신호선 구동 회로(3)에 전송하는 데이터 신호 전송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10)는, 생성한 동기 신호 및 클럭 신호를 주사선 구동 회로(4)에 출력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10)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클럭 신호 및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주사 신호선(6)에 연결되는 각 화소(7)에 대하여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는 주사 기간 및 상기 데이터 신호가 어느 화소(7)에 대해서도 공급되지 않는 비주사 기간을 규정한다. 그리고, 타이밍 컨트롤러(10)는, 규정한 비주사 기간의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 있어서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동작 판별 신호(휴지 구동 제어 신호)를, 신호선 구동 회로(3)에 송신한다.
상기 동작 판별 신호는,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의 기능이 저하되는 휴지 상태와, 당해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한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신호라 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0)는, 생성한 동작 판별 신호를 3개의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의 각각에 동시에 출력한다. 이 구성에 의해, 3개의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를 동기시켜 휴지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이밍 컨트롤러(10)는, 외부로부터 입력 영상 신호로서 수평ㆍ수직 동기 신호 및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외에, 동작 판별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판별 신호 생성부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동작 판별 신호를 생성하는(ON/OFF하는) 타이밍은, 수평ㆍ수직 동기 신호 및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그 때문에, 수평ㆍ수직 동기 신호 및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0)가 동작 판별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동작 판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동작 판별 신호는,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의 동작 상태와 휴지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어, 동작 판별 신호를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에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를 휴지 상태로 해도 된다. 또한, 동작 판별 신호를,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를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는 복귀 제어 신호(동작 제어 신호)와,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를 동작 상태로부터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는 휴지 제어 신호의 2종류의 신호의 조합으로서 실현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동작 판별 신호는, H값과 L값의 2단계의 전압을 갖는 신호이며, H값의 동작 판별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가 동작하고, L값의 동작 판별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가 휴지하는 것으로 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작 판별 신호는, 상기 복귀 제어 신호와 상기 휴지 제어 신호가 1개의 신호로서 실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H값의 전압을 갖는 동작 판별 신호가 복귀 제어 신호이고, L값의 전압을 갖는 동작 판별 신호가 휴지 제어 신호이다.
또한, 동작 판별 신호가 H값으로 되어 있는 상태를 동작 판별 신호가 ON으로 되어 있다고 표현하고, 동작 판별 신호가 L값으로 되어 있는 상태를 동작 판별 신호가 OFF로 되어 있다고 표현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10)는, 복귀 제어 신호로서의 동작 판별 신호를, 복수의 신호선 구동 회로(3)가 갖는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의 각각에 개별로(타이밍을 어긋나게 하여) 송신해도 된다. 단, 주사 기간이 개시되기 전에 모든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가 기동하도록, 동작 판별 신호를 ON으로 하는(동작 판별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설정한다.
이 구성에 의해, 신호선 구동 회로(3)가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복수의 신호선 구동 회로간의 복귀 시에 발생하는 러시(rush) 전류를 분산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동작 판별 신호가 ON으로 되는 타이밍이 3개의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에서 서로 다르면, 3개의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가 기동되는 타이밍이 서로 다르게 된다. 이 경우에서도, 신호선 구동 회로(3)에 송신되는 동기 신호 및 클럭 신호에 의해 3개의 신호선 구동 회로(3)의 동기를 취할 수 있다.
(전원 생성 회로(12))
전원 생성 회로(12)는, 표시 장치(1) 내의 각 회로가 동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압을 생성하고, 표시 장치(1)의 각 회로에 출력한다.
(주사 기간 및 비주사 기간)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에서는, 표시 패널(2)을 구동할 때, 1수직 기간에 있어서, 혹은 복수의 수직 기간의 통합에 있어서 주사 기간과 비주사 기간이 규정된다. 주사 기간이란, 임의의 주사 신호선(6)에 연결되는 화소(7)에 대하여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기간이다. 또한, 비주사 기간이란, 1수직 기간 내에 있어서의, 혹은 복수의 수직 기간의 통합에 있어서의 주사 기간 이외의 기간이다. 또한, 1수직 기간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수직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규정된다.
도 3은 1수직 기간 내에 비주사 기간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선 구동 회로(4)를 제어하기 위해서 타이밍 컨트롤러(10)로부터 출력되는 GCK 신호(게이트 클럭 신호) 및 GOE 신호(게이트 아웃풋 인에이블 신호)의 발진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비주사 기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4번째의 주사 신호선(G4)에 주사 신호가 출력되고 나서, 5번째의 주사 신호선(G5)에 주사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의 동안에 소정의 시간 간격이 설정되어 있고, 이 시간 간격이 비주사 기간으로 된다. 즉, 비주사 기간은, 어느 주사 신호선도 선택되지 않는 기간이다.
도 3에 도시한 예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비주사 기간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비주사 기간의 길이 및 1수직 기간에 있어서의 비주사 기간의 위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비주사 기간은, 1수직 기간 내의 임의의 기간이다. 예를 들어, 비주사 기간의 개시 시점은, 1프레임분의 주사가 종료된 직후이어도 되고, 종료 시점의 조금 후이어도 된다. 또한, 비주사 기간 종료 시점은, 1수직 기간이 종료되는 시점에 한하지 않고, 그 전이어도 상관없다.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의 동작 기간 및 휴지 기간)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가 휴지 상태에 있는 기간을 휴지 기간이라 칭하고, 휴지 기간 이외의 기간을 동작 기간이라 칭한다. 휴지 기간은, 표시 장치(1)의 비주사 기간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기간이다. 즉, 비주사 기간과 휴지 기간을 일치시켜도 되고, 비주사 기간의 일부를 휴지 기간으로 해도 된다.
또한, 휴지 기간에 있어서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를 반드시 완전히 기능 정지시킬 필요는 없고, 휴지 기간에 있어서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의 기능을 저하시키면 소비 전력의 저감 효과가 얻어진다.
타이밍 컨트롤러(10)가 생성하는 동작 판별 신호는,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의 휴지 상태와 동작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신호이다. 이 동작 판별 신호가 ON으로 되어 있는 동안은,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가 동작 상태로 된다. 타이밍 컨트롤러(10)는, 주사 기간 및 비주사 기간을 규정하기 위해서, 자신이 규정한 주사 기간 및 비주사 기간을 기준으로 하여 동작 판별 신호를 ON/OFF하는 타이밍을 결정하면 된다.
즉, 타이밍 컨트롤러(10)에 있어서의 처리에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모든 주사 신호선(6)이 선택되지 않는 비주사 기간을 규정하는 규정 공정과, 규정 공정에서 규정한 비주사 기간의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 있어서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휴지 구동 제어 신호를, 신호선 구동 회로(3)에 송신하는 송신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의 내부에,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 신호 수신부와, 수신 회로 제어부를 설치해도 된다. 상기 수신 회로 제어부는, 동작 판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동작 판별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 수신부의 동작 및 휴지를 제어한다. 이 경우, 수신 회로 제어부는, 동작 판별 신호가 ON으로 된 것을 계기로 하여, 영상 신호 수신부를 동작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수신 회로 제어부는, 동작 판별 신호가 OFF로 된 것을 계기로 하여, 영상 신호 수신부를 휴지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표시 장치(1)의 효과)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타이밍 컨트롤러(10)로부터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에 동작 판별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타이밍 컨트롤러(10)와는 다른 칩에 탑재된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의 휴지 구동을 실현할 수 있다. 그 결과, 비주사 기간의 적어도 일부의 휴지 기간 동안,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의 구동이 휴지되어, 표시 장치(1)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신호선 구동 회로측에서 휴지 기간의 길이를 카운트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신호선 구동 회로에 내장 클럭 발생 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때문에, 간이한 회로로 영상 신호 수신 회로의 휴지 구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시리얼 인터페이스 등(SPI나 I2C)의 커맨드에 의해, 영상 신호 수신 회로의 ON/OFF를 제어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시리얼 인터페이스와 영상 신호계는 비동기이기 때문에, 주사 기간 및 휴지 기간에 맞추어 커맨드의 송신이나 수신, 내부 동작에의 반영 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복잡한 구성이 필요해진다.
그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 판별 신호에 의해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부재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에서는, 타이밍 컨트롤부(32)에 휴지 구동 제어부(출력 회로 제어부)(35)가 포함되어 있다.
표시 장치(100)에서는, 타이밍 컨트롤러(10)는, 동작 판별 신호를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 외에 휴지 구동 제어부(35)에도 출력한다.
휴지 구동 제어부(35)는, 출력 증폭기 회로(34)가 구비하는 아날로그 증폭기(34a)의 휴지 상태와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AMP_Enable 신호(이하, AMP_EN 신호라 약칭함)를 출력 증폭기 회로(34)에 출력한다. 아날로그 증폭기(34a)의 휴지 상태란, 아날로그 증폭기(34a)의 능력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이며, 아날로그 증폭기(34a)의 동작 상태란, 상기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한 상태이다. 또한, 아날로그 증폭기(34a)가 휴지 상태에 있는 기간을 증폭기 휴지 기간이라 칭하고, 아날로그 증폭기(34a)가 동작 상태에 있는 기간을 증폭기 동작 기간이라 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지 구동 제어부(35)는, 동작 판별 신호를 수신한 것을 계기로 하여 AMP_EN 신호를 H값으로 전환하고, 동작 판별 신호가 OFF로 된 것을 계기로 하여 AMP_EN 신호를 L값으로 전환한다. 아날로그 증폭기(34a)는, AMP_Enable 신호가 H값일 때에는 동작하고, L값일 때에는 휴지한다. 즉, 휴지 구동 제어부(35)는, 동작 판별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증폭기 회로(34)를 동작 및 휴지시킨다.
증폭기 휴지 기간에 있어서, 출력 증폭기 회로(34)에 포함되는 모든 아날로그 증폭기(34a)의 능력을 반드시 완전히 정지시킬 필요는 없고, 일부의 아날로그 증폭기(34a)의 능력을 저하시켜도 된다. 즉, 증폭기 휴지 기간에 있어서, 출력 증폭기 회로(34)의 능력의 적어도 일부를 저하시키면 되고, 이것에 의해 소비 전력의 저감 효과가 얻어진다. 모든 아날로그 증폭기(34a)를 휴지시키면, 소비 전력을 가장 많이 삭감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AMP_EN 신호를 타이밍 컨트롤러(10)로부터 출력 증폭기 회로(34)에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10)가, 출력 증폭기 회로(34)의 능력을 저하시키는 출력 회로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동작 판별 신호로부터 AMP_EN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AMP_EN 신호를 출력 증폭기 회로(34)에 송신하는 신호선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타이밍 컨트롤러(10) 및 신호선 구동 회로(3)의 단자수를 삭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휴지 구동 제어부(35)에 있어서 동작 판별 신호로부터 AMP_EN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MP_EN 신호는, 휴지 구동 제어부(35)로부터 영상 데이터 출력 타이밍 생성부(33)에도 출력되어, 영상 데이터의 출력의 제어에 이용된다.
(동작 판별 신호와 그 밖의 신호의 관계)
동작 판별 신호는,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에 입력됨과 함께 휴지 구동 제어부(35)에도 입력된다. 이 동작 판별 신호에 의해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가 구동 제어됨과 함께, 동작 판별 신호에 기초하여 AMP_EN 신호가 생성된다. 도 5는 동작 판별 신호와 그 밖의 신호의 신호 파형을 비교한 타이밍차트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 판별 신호는, 주사 기간이 개시되기 조금 전에 ON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타이밍 컨트롤러(10)는, 주사 기간이 개시되는 것보다도 먼저,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를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는 동작 판별 신호(복귀 제어 신호)를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작 판별 신호를 ON으로 함으로써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를 기동시켰을 때,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의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될 때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해진다. 그 때문에, 동작 판별 신호를 ON으로 하는 타이밍과, 다음 주사 기간을 개시하는 타이밍을 동일하게 한 경우, 출력 증폭기 회로(34)로부터 데이터 신호선(5)에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가 안정되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의해, 본래는 의도하지 않은 전압을 화소(7)에 인가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에서는, 동작 판별 신호를 ON으로 하는 타이밍을, 다음 주사 기간을 개시하는 타이밍(동작 기간의 개시 시점)보다도 이르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가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하여 안정된 후에, 다음 주사 기간이 개시되고, 그 결과, 정상적인 전압을 화소(7)에 인가할 수 있다. 이것은, 표시 장치(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동작 판별 신호가 ON/OFF됨으로써, 아날로그 증폭기(34a)의 동작 상태와 휴지 상태가 전환된다. 구체적으로는, 휴지 구동 제어부(35)는, 동작 판별 신호를 수신한(ON으로 된) 것을 계기로 하여 AMP_EN 신호를 H값으로 전환하고, 동작 판별 신호가 OFF로 된 것을 계기로 하여 AMP_EN 신호를 L값으로 전환한다.
도 5에 도시한 타이밍차트에서는, 동작 판별 신호가 ON으로 되고 나서 AMP_EN 신호가 H값으로 전환될 때까지 타임 래그(time lag)가 발생하고 있다. 이 타임 래그는, 동작 판별 신호가 ON으로 되어도 바로는 AMP_EN 신호가 전환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이 의미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 판별 신호를 ON으로 하는 타이밍을, 다음 주사 기간을 개시하는 타이밍(환언하면, 증폭기 동작 기간의 개시 시점)보다도 이르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아날로그 증폭기(34a)가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하여 안정된 후에, 다음 주사 기간이 개시되고, 그 결과, 정상적인 전압을 화소(7)에 인가할 수 있다.
또한, 휴지 구동 제어부(35)는, 아날로그 증폭기(34a)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와, 아날로그 증폭기(34a)를 휴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다른 신호로서 출력해도 된다.
(표시 장치(100)의 효과)
이상과 같이, 표시 장치(100)에서는,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의 휴지 구동 외에, 출력 증폭기 회로(34)의 휴지 구동이 행해진다. 그 때문에,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만을 휴지 구동하는 경우보다도 효과적으로 표시 장치의 저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실시 형태 1ㆍ2와 마찬가지의 부재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200)에서는, 타이밍 컨트롤부(32)에 휴지 구동 제어부(주사선 구동 회로 제어부)(36) 및 주사선 구동 회로 제어 신호 생성부(주사선 구동 회로 제어부)(37)가 포함되어 있다.
휴지 구동 제어부(36)는, 휴지 구동 제어부(35)가 갖는 기능 외에, 주사선 구동 회로(4)의 휴지 상태와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GATE_Enable 신호(이하, GATE_EN 신호라 약칭함)를 생성한다. 그리고, 휴지 구동 제어부(36)는, 생성한 GATE_EN 신호를 주사선 구동 회로 제어 신호 생성부(37)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휴지 구동 제어부(36)는, 동작 판별 신호를 수신한(ON으로 된) 것을 계기로 하여 GATE_EN 신호를 L값으로부터 H값으로 전환한다. 또한, 휴지 구동 제어부(36)는, 동작 판별 신호가 OFF로 된 것을 계기로 하여 GATE_EN 신호를 L값으로 전환한다. GATE_EN 신호가 H값일 때에는 주사선 구동 회로(4)는 통상 동작을 행하고, L값일 때에는 휴지한다. 즉, 휴지 구동 제어부(36)는, 동작 판별 신호에 기초하여, 주사선 구동 회로(4)를 동작 및 휴지시킨다.
영상 데이터 출력 타이밍 생성부(33)는,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가 수신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주사선 구동 회로(4)의 타이밍 제어의 기준으로 되는 제어 신호(수평 동기 신호, 수직 동기 신호 및 클럭(도트 클럭))를 생성한다. 그리고, 영상 데이터 출력 타이밍 생성부(33)는, 생성한 제어 신호를 주사선 구동 회로 제어 신호 생성부(37)에 출력한다.
주사선 구동 회로 제어 신호 생성부(37)는, 휴지 구동 제어부(36)로부터 수신한 GATE_EN 신호 및 영상 데이터 출력 타이밍 생성부(33)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주사선 구동 회로(4)에 있어서 표시 패널(2)에 주사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 타이밍 제어 신호에는, GSP(게이트 스타트 펄스 신호), GCK(게이트 클럭 신호) 및 GOE(게이트 아웃풋 인에이블 신호)가 포함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이밍 컨트롤러(10)로부터는 주사선 구동 회로(4)의 제어는 행해지지 않는다.
주사선 구동 회로 제어 신호 생성부(37)는, 생성한 타이밍 제어 신호를 주사선 구동 회로(4)에 출력한다.
이때, 주사선 구동 회로 제어 신호 생성부(37)는, GATE_EN 신호가 H값일 때에는, 타이밍 제어 신호(GSP 등)를 통상의 주사 기간에 있어서의 발진 상태로 하고, GATE_EN 신호가 L값일 때에는, 타이밍 제어 신호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주사 기간에 대응한 고정된(일정 레벨을 갖는) 파형을 나타내는 출력 상태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GATE_EN 신호가 H값일 때에는 주사선 구동 회로(4)는 통상 동작을 행하고, L값일 때에는 휴지한다. 반대로, GATE_EN 신호가 H값일 때에 주사선 구동 회로(4)를 휴지시키고, L값일 때에 동작시켜도 된다.
또한, 보다 고기능의 주사선 구동 회로를 채용하는 경우는, GATE_EN 신호를 주사선 구동 회로(4)에 직접 송신하는 구성도 생각된다.
이와 같이, 휴지 구동 제어부(36) 및 주사선 구동 회로 제어 신호 생성부(37)는, 동작 판별 신호에 기초하여, 주사선 구동 회로(4)의 기능이 저하되는 휴지 상태와, 당해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한 동작 상태를 전환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동작 판별 신호와 GATE_EN 신호의 관계)
도 7은 동작 판별 신호와 GATE_EN 신호의 신호 파형을 비교한 타이밍차트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 판별 신호와 GATE_EN 신호의 관계는, 도 5에 도시한 동작 판별 신호와 AMP_EN 신호의 관계와 동일하다. 즉, 출력 증폭기 회로(34)의 휴지 기간과, 주사선 구동 회로(4)의 휴지 기간은 일치하고 있다.
표시 장치(200)에서는, 동작 판별 신호의 ON/OFF에 의해, 주사 기간 및 비주사 기간이 규정된다. 그 때문에, 타이밍 컨트롤러(10)는, 입력 영상 신호에 대응한 주사 기간 및 비주사 기간이 실현되도록 동작 판별 신호의 ON/OFF의 타이밍을 규정한다.
(표시 장치(200)의 효과)
이상과 같이, 표시 장치(200)는, 휴지 구동 제어부(36) 및 주사선 구동 회로 제어 신호 생성부(37)를 구비함으로써, 출력 증폭기 회로(34)의 휴지 구동 외에, 신호선 구동 회로(3)에 의한 주사선 구동 회로(4)의 휴지 구동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타이밍 컨트롤러(10)로부터의 제어 신호용 배선이 불필요해져, FPC 폭의 삭감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4〕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실시 형태 1 내지 3과 마찬가지의 부재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는, 표시 장치(1ㆍ100ㆍ200)에 있어서, 타이밍 컨트롤러(10)로부터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에, 동작 판별 신호 외에 차동 클럭 신호 및 차동 데이터 신호가 송신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동 클럭 신호는, 상술한 클럭 신호에 상당한다. 또한, 차동 데이터 신호는, 상술한 동기 신호 및 영상 데이터 신호에 상당한다. 즉, 상술한 영상 신호가 차동 신호로서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에 입력된다.
차동 신호는, 플러스측의 신호와 마이너스측의 신호의 1쌍의 신호로 구성되어 있고, 플러스측의 신호와 마이너스측의 신호는, 거의 180도의 위상차를 갖고 있다. 이들 2개의 신호의 전위차가 신호 레벨로 된다.
차동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싱글엔드(single-ended) 신호보다도 신호 진폭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속도를 고속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차동 신호는, 커먼 모드 잡음에 강하다는 유리한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에서는,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의 휴지 상태로부터의 복귀 시와,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의 휴지 상태로의 이행 시에 있어서의,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에의 신호 입력의 타이밍 및 신호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클럭 신호 및 데이터 신호는, 차동 신호이다라는 전제에서 설명하지만, 차동 Low 입력 상태에 상당하는 신호 상태를 실현할 수 있는 신호이면, 차동 신호 이외의 신호를 클럭 신호 및/또는 데이터 신호로서 이용해도 된다.
(휴지 상태로부터의 복귀 시)
〔제1 예〕
도 8은 휴지 상태에 있는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에 동작 판별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에서는, 차동 클럭 신호 및 차동 데이터 신호가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에 입력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지 상태에 있는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는, 동작 기간에 수신하는 특정 신호(즉, 차동 클럭 신호 및 차동 데이터 신호)의 수신을 개시하는 타이밍보다도 먼저,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를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는 동작 판별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차동 클럭 신호 및 차동 데이터 신호는, 동작 판별 신호가 ON으로 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타이밍 컨트롤러(10)로부터 송신된다. 단, 차동 클럭 신호 및 차동 데이터 신호는, 주사 기간이 시작되는 시점 또는 그 조금 전에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에 입력된다.
이 구성에 의해, 휴지 상태에 있는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에, 동작 판별 신호 외에 복수 종류의 신호가 동시에 입력됨으로써 당해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동작 판별 신호가 ON으로 되는 시점에서, 차동 클럭 신호 또는 차동 데이터 신호 중 한쪽만을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에 입력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단, 상술한 효과를 확실하게 얻기 위해서는, 차동 클럭 신호 및 차동 데이터 신호 양쪽을 동작 판별 신호와 동시에는 입력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예〕
도 9는 휴지 상태에 있는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에 동작 판별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에서는, 차동 클럭 신호 및 차동 데이터 신호는, Low 입력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여기에서는, 차동 신호(차동 클럭 신호 및 차동 데이터 신호)가 갖는 2개의 신호의 전위차가 소정 레벨 이하로 고정된 상태를 차동 Low 입력 상태라 칭한다. 즉, 차동 Low 입력 상태란, 플러스측의 신호와 마이너스측의 신호가 양쪽 모두 High 레벨 혹은 양쪽 모두 Low 레벨을 갖는 상태(Low 레벨로 고정된 상태)이다.
또한, 차동 신호가 통상 구동되고 있는 상태란, 플러스측의 신호와 마이너스측의 신호가 각각 개별로 Low 레벨로부터 High 레벨까지 변화하고, 그 전위차에 미리 정해진 의미를 갖게 할 수 있는 상태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지 상태에 있는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는, 복귀 시에 동작 판별 신호 외에 차동 클럭 신호 및 차동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들 차동 클럭 신호 및 차동 데이터 신호는, Low 입력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휴지 상태에 있는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는,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는 동작 판별 신호를 수신할 때,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가 동작 기간에 수신하는 차동 클럭 신호 및 차동 데이터 신호(특정 신호)를, 차동 Low 입력 상태에서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휴지 상태에 있는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에, 동작 판별 신호 외에, 높은 전압 레벨의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 차동 Low 입력 상태의 차동 클럭 신호 및 차동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은, 동작 판별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과 동시이어도 되고, 동작 판별 신호가 ON으로 되는 타이밍보다도 일러도 된다.
또한, 차동 클럭 신호 및 차동 데이터 신호를 Low 입력 상태에서 수신하는 시간은, 회로의 특성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면 된다. 단, 차동 클럭 신호 및 차동 데이터 신호는, 주사 기간이 시작되는 시점 또는 그 조금 전에 통상 구동 상태에서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에 입력된다.
또한, 동작 판별 신호가 ON으로 되는 시점에서, 차동 클럭 신호 또는 차동 데이터 신호의 한쪽만을 차동 Low 입력 상태에서 수신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단, 상술한 효과를 확실하게 얻기 위해서는, 차동 클럭 신호 및 차동 데이터 신호 양쪽을 차동 Low 입력 상태에서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지 상태로의 이행 시〕
〔제1 예〕
도 10은 동작 판별 신호가 OFF로 되고 나서 소정 시간에는, 차동 클럭 신호가 통상 구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 판별 신호가 OFF로 되고 나서 소정 시간에는,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는, 통상 구동 상태의 차동 클럭 신호를 계속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타이밍 컨트롤러(10)로부터의 차동 클럭 신호의 송신이 정지되는 타이밍은, 동작 판별 신호가 OFF로 되는 타이밍보다도 늦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 시간은,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의 회로 특성에 따라서 상이하지만, 예를 들어 수십 클럭 카운트 정도이다.
동작 판별 신호가 OFF로 된 시점에서 차동 클럭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신호선 구동 회로(3)의 내부의 회로 기능을 갑자기 휴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기능을 휴지시키는 쪽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갑자기 차동 클럭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는 경우보다도, 휴지 상태로부터의 복귀 시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예〕
도 11은 동작 판별 신호가 OFF로 되고 나서 소정 시간에는, 차동 클럭 신호가 통상 구동되고, 동작 판별 신호가 OFF로 된 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에는, 차동 데이터 신호가 Low 입력 상태에서 입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본 예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동 클럭 신호에 대해서는 제1 예와 마찬가지로, 동작 판별 신호가 OFF로 되고 나서 소정 시간에는, 통상 구동 상태에서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에 입력된다.
이 외에, 차동 데이터 신호에 대해서는, 동작 판별 신호가 OFF로 된 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에는, 차동 데이터 신호가 차동 Low 입력 상태에서 입력된다. 상기 소정 시간은,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의 회로 특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면 된다.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가 휴지 상태로 이행하는 시점에서, 높은 전압 레벨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영상 신호 수신 회로(31)가, 다음 회의 동작 기간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복귀하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예의 구성에 의해, 이와 같은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부기 사항〕
또한,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는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휴지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신호선 구동 회로가 갖는 수신 회로의 각각에 동시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신호선 구동 회로가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복수의 신호선 구동 회로간의 동기를 취하여 휴지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는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수신 회로를, 기능이 저하된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는 복귀 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신호선 구동 회로가 갖는 수신 회로의 각각에 개별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신호선 구동 회로가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복수의 신호선 구동 회로간의 복귀 시에 발생하는 러시 전류를 분산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화소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는 주사 기간이 개시되는 것보다도 먼저, 상기 수신 회로를, 기능이 저하된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는 복귀 제어 신호를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귀 제어 신호를 수신해도, 수신 회로가 휴지 상태로부터 바로 복귀하지 않을 가능성이 생각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수신 회로가 복귀할 때까지의 타임 래그를 고려하여, 복귀 제어 신호를 주사 기간이 개시되는 것보다도 먼저 송신함으로써, 수신 회로가 복귀한 상태에서 주사 기간의 개시를 맞이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회로가 완전히 복귀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사 기간이 개시됨으로써 영상의 표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는,
상기 화소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회로와,
상기 휴지 구동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회로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출력 회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수신 회로 외에, 출력 회로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어, 보다 저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주사 기간이 개시되는 것보다도 먼저, 복귀 제어 신호를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에 송신하는 상기의 구성이면, 상기 출력 회로의 기능을 복귀시키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는, 상기 휴지 구동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주사선 구동 회로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주사선 구동 회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수신 회로 외에, 주사선 구동 회로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어, 보다 저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회로는, 기능이 저하된 휴지 상태에 있을 때, 당해 수신 회로가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한 동작 기간에 수신하는 특정 신호의 수신을 개시하는 타이밍보다도 먼저, 당해 수신 회로를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는 복귀 제어 신호를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휴지 상태에 있는 수신 회로에, 복귀 제어 신호 외에 특정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당해 수신 회로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회로는, 기능이 저하된 휴지 상태에 있을 때, 당해 수신 회로를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는 복귀 제어 신호를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수신할 때, 당해 수신 회로가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한 동작 기간에 수신하는 특정 신호를 Low 레벨 고정으로 하여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ow 레벨 고정이란, 통상의 동작 상태와는 달리, 그 신호의 전압 레벨이 소정 전압 이하로 고정된 상태이다. 차동 신호 입력의 경우에는, 차동 신호가 갖는 2개의 신호의 전위차가 소정의 레벨 이하로 고정된 상태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휴지 상태에 있는 수신 회로에, 복귀 제어 신호 외에, 특정 신호가 통상의 동작 상태로서 입력됨으로써 당해 수신 회로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신호는, 클럭 신호 또는 상기 데이터 신호, 혹은 그 양쪽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수신 회로는, 기능이 저하된 휴지 상태로 이행한 후의 소정 시간에는, 클럭 신호를 계속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신호선 구동 회로의 내부의 회로 기능을 갑자기 휴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기능을 휴지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갑자기 클럭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는 경우보다도, 휴지 상태로부터의 복귀 시에 신호선 구동 회로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회로는, 기능이 저하된 휴지 상태로 이행한 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에는, Low 레벨 고정으로 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 회로가 휴지 상태로 이행하는 시점에서, Low 레벨 고정이 아니라 통상 동작 상태 그대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당해 수신 회로가, 다음 회의 동작 기간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복귀하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이와 같은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럭 신호 또는 상기 데이터 신호는, 차동 신호로서 상기 수신 회로에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동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싱글엔드 신호보다도 신호 진폭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속도를 고속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차동 신호는, 커먼 모드 잡음에 강하다는 유리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이어도 되고,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상이한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및 전자 페이퍼 등의 각종 표시 장치로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1 : 표시 장치
3 : 신호선 구동 회로
4 : 주사선 구동 회로
7 : 화소
10 : 타이밍 컨트롤러(타이밍 제어부)
31 : 영상 신호 수신 회로
34 : 출력 증폭기 회로(출력 회로)
35 : 휴지 구동 제어부(출력 회로 제어부)
36 : 휴지 구동 제어부(주사선 구동 회로 제어부)
37 : 주사선 구동 회로 제어 신호 생성부(주사선 구동 회로 제어부)
100 : 표시 장치
200 : 표시 장치

Claims (15)

  1. 표시 장치로서,
    복수의 주사 신호선을 선(線)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갖고, 상기 주사선 구동 회로가 선택한 주사 신호선에 연결되는 화소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와,
    외부로부터 수신한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어느 주사 신호선도 선택하지 않는 비주사 기간을 규정함과 함께, 규정한 비주사 기간의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수신 회로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휴지(休止)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에 송신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와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별체(別體)로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는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휴지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신호선 구동 회로가 갖는 수신 회로의 각각에 동시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는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수신 회로를, 기능이 저하된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는 복귀 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신호선 구동 회로가 갖는 수신 회로의 각각에 개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화소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는 주사 기간이 개시되는 것보다도 먼저, 상기 수신 회로를, 기능이 저하된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는 복귀 제어 신호를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는,
    상기 화소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회로와,
    상기 휴지 구동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회로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출력 회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는, 상기 휴지 구동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주사선 구동 회로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주사선 구동 회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회로는, 기능이 저하된 휴지 상태에 있을 때, 당해 수신 회로가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한 동작 기간에 수신하는 특정 신호의 수신을 개시하는 타이밍보다도 먼저, 당해 수신 회로를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는 복귀 제어 신호를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회로는, 기능이 저하된 휴지 상태에 있을 때, 당해 수신 회로를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는 복귀 제어 신호를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수신할 때, 당해 수신 회로가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한 동작 기간에 수신하는 특정 신호를 Low 레벨 고정으로 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클럭 신호 또는 상기 데이터 신호, 혹은 그 양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회로는, 기능이 저하된 휴지 상태로 이행한 후의 소정 시간에는, 클럭 신호를 계속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회로는, 기능이 저하된 휴지 상태로 이행한 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시간에는, Low 레벨 고정으로 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 또는 상기 데이터 신호는, 차동 신호로서 상기 수신 회로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복수의 주사 신호선을 선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갖고, 상기 주사선 구동 회로가 선택한 주사 신호선에 연결되는 화소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와,
    외부로부터 수신한 클럭 신호 및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어느 주사 신호선도 선택하지 않는 비주사 기간을 규정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와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별체로서 설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한 클럭 신호 및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비주사 기간을 규정하는 규정 공정과,
    상기 규정 공정에서 규정한 비주사 기간의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수신 회로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휴지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타이밍 제어부가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에 송신하는 송신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KR1020137026775A 2011-04-07 2012-04-03 표시 장치 및 구동 방법 KR101533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85817 2011-04-07
JP2011085817 2011-04-07
PCT/JP2012/059041 WO2012137761A1 (ja) 2011-04-07 2012-04-03 表示装置および駆動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675A true KR20130141675A (ko) 2013-12-26
KR101533520B1 KR101533520B1 (ko) 2015-07-02

Family

ID=4696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775A KR101533520B1 (ko) 2011-04-07 2012-04-03 표시 장치 및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424795B2 (ko)
JP (1) JPWO2012137761A1 (ko)
KR (1) KR101533520B1 (ko)
CN (1) CN103443847B (ko)
AU (1) AU2012239372A1 (ko)
MY (1) MY164834A (ko)
SG (1) SG194068A1 (ko)
WO (1) WO20121377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530B1 (ko) * 2012-12-12 2020-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685129B2 (en) 2013-04-23 2017-06-20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5094806A (ja) 2013-11-11 2015-05-18 シナプティクス・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株式会社 表示ドライバ、表示システム、及び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2016066065A (ja) * 2014-09-05 2016-04-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6099372A (ja) * 2014-11-18 2016-05-30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ドライバ、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11482185B2 (en) * 2017-08-01 2022-10-25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JP6967779B2 (ja) * 2018-01-12 2021-11-17 ザイ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映像信号受信モジュールおよび映像信号送受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495497A (zh) * 1995-02-01 2004-05-1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JP3630489B2 (ja) 1995-02-16 2005-03-16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
JPH11249626A (ja) 1998-03-04 1999-09-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駆動装置
JP2000181584A (ja) 1998-12-15 2000-06-30 Hitachi Ltd データ処理装置
JP3766926B2 (ja) 2000-04-28 2006-04-1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ならびに携帯機器
EP1296174B1 (en) 2000-04-28 2016-03-0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unit, drive method for display unit, electronic apparatus mounting display unit thereon
JP2003233351A (ja) 2002-02-07 2003-08-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
JP2004021096A (ja) * 2002-06-19 2004-01-22 Sanyo Electric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JP4638117B2 (ja) * 2002-08-22 2011-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7116306B2 (en) * 2003-05-16 2006-10-03 Winbond Elec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05062484A (ja) * 2003-08-12 2005-03-10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06133673A (ja) * 2004-11-09 2006-05-25 Casio Comput Co Ltd 表示駆動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駆動装置の駆動制御方法
JP2006227104A (ja) 2005-02-15 2006-08-31 Toshiba Corp 表示制御装置
TW200630951A (en) * 2005-02-21 2006-09-01 Au Optronics Corp Display panels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WO2007034364A1 (en) * 2005-09-19 2007-03-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s and row voltage generation circuits
JP2008298997A (ja) 2007-05-30 2008-12-11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5051776B2 (ja) * 2008-04-10 2012-10-1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の駆動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24795B2 (en) 2016-08-23
MY164834A (en) 2018-01-30
US20140022231A1 (en) 2014-01-23
AU2012239372A1 (en) 2013-10-17
SG194068A1 (en) 2013-11-29
WO2012137761A1 (ja) 2012-10-11
JPWO2012137761A1 (ja) 2014-07-28
KR101533520B1 (ko) 2015-07-02
CN103443847A (zh) 2013-12-11
CN103443847B (zh)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520B1 (ko) 표시 장치 및 구동 방법
US9153196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68387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river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
US9417683B2 (en) Driving device for driving a display unit
WO2011145360A1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ならびに表示システム
US8284179B2 (en) Timing controller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5734951B2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
TW201306008A (zh) 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電子機器
JP2012042575A (ja) 表示装置、信号線ドライバ、及び、データ転送方法
JP2017009833A (ja) タイミングコントローラ、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画像データの処理方法
WO2012165302A1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表示システム
KR102126549B1 (ko) 평판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2015102595A (ja) 表示デバイスの駆動装置
TW202223872A (zh) 積體電路、其操作方法和包括其的顯示系統
KR10201976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205413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절전 회로
US7639243B2 (en) Asymmetric display panel and image inversion method thereof
JP4997398B2 (ja) 差動信号送信回路および差動信号送受信回路
US20190340994A1 (en) Source driver and a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KR102456790B1 (ko) 게이트 드라이버,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JP2015125371A (ja) ドライバicおよびドライバic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TW201737702A (zh) 影像通訊裝置
KR20230096542A (ko) 표시장치
JP2014106429A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