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0136A -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0136A
KR20130140136A KR1020137020835A KR20137020835A KR20130140136A KR 20130140136 A KR20130140136 A KR 20130140136A KR 1020137020835 A KR1020137020835 A KR 1020137020835A KR 20137020835 A KR20137020835 A KR 20137020835A KR 20130140136 A KR20130140136 A KR 20130140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or
suction
suction motor
diap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4030B1 (ko
Inventor
토쿠오 사이토
후미유키 아코시마
키이치 코마츠
노부요시 쿠로사와
Original Assignee
사이토 케이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토 케이코 filed Critical 사이토 케이코
Publication of KR20130140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venting or deodorant means, e.g. filters ; having antiseptic means, e.g. bacterial 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6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6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개호자의 배설물을 불쾌감 없이 처리할 수 있고, 또한, 개호자의 부담을 경감하며, 게다가 소형으로 소음도 작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 유닛(25)의 송수 펌프(39)로부터 보내진 세정수를 기저귀 컵 본체(10) 내에 분사하여, 비뇨기와 배설물을 세정하고, 오물을 흡인 모터(31)의 작용풍으로 흡인하여, 배설물과 세정수를 분리 수납해서 작용풍만을 정화 처리해서, 기저귀 컵 본체(10)로 흡인 순환관(50)에 의해 되돌려서 순환시키는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흡인 모터(31)의 토출 측에서 흡인 순환관(50)을 기기 수납 박스(12)의 외부에 설치한 냉각 유닛(55)에 도출하고, 이 흡인 순환관(50)을 냉각 유닛(55) 내에서 외기와 열교환해서 냉각시킨 후, 상기 리턴 박스 유닛(27)에 되돌리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PROCESSING EQUIPMENT OF EXCRETORY SUBSTANCES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요개호자(즉, 간호를 필요로 하는 자)의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혼자서 배뇨·배변을 할 수 없는 모로 누워 있는 중인 독거 노인이나 몸 움직임이 부자유스러운 중도 요개호자에게 있어서는, 배뇨·배변을 자동으로 처리해서 요개호자를 청결하게 유지하여, 불쾌감을 경감시키고, 또한, 구급기관, 간호사, 가족 등의 개호자에게 있어서는, 노동력을 경감하여, 상시 시중들 필요성을 적게 하기 위한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성 23년(서기 2011년)의 조사에서는 독거 노인은 460만명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독거 노인 모두가 자동적인 배설물 처리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간호 시설의 환자나 못일어나는 노인의 요개호자는, 배뇨·배변을 자동으로 검지해서 처리하고, 요개호자의 다리 가랑이 사이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는 배설물 처리장치가 필요해지고 있다.
간호 시설이나 병원 등의 못일어나는 환자의 소변은, 요도에 관을 통해 무의식 중에 싼 상태로 처리되고, 또한, 대변은 기저귀에 배변하여, 개호자가 그 기저귀를 갈아서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병원이나 간호 시설 등 베테랑의 개호자가 있는 시설에서의 문제는 적지만, 남에게 대소변의 시중을 들게 하는 것에 위화감을 가지는 사람도 많다.
최근, 일본이나 구미 각 국에 있어서, 저출산이나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개호자 부족, 동거인에의 가중 부담, 노인이 노인을 간호하는 노노개호(老老介護) 등, 개호자에의 육체적 정신적인 피로가 문제화하고, 때로는 비참한 사건으로 되는 케이스도 증가하고 있어, 배설물 처리장치의 개발이 급선무로 되고 있다.
종래부터 못일어나는 요개호자에 관한 본 분야의 특허출원이 다수 존재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요개호자에 있어서, 장착감, 청결유지, 욕창, 기기의 불량, 보수(maintenance)성 등의 점에서 일반의 기저귀와 비교해서 우위성을 발휘할 수 없어, 실용화에 도달하고 있지 못하는 것이 현 상황이다.
종래의 배설물 처리장치로는 특허문헌 1, 2 및 3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은, 못일어나는 노인의 자동배설물 처리장치로서, 오물 탱크, 흡인 장치, 세정 장치, 기저귀 컵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소음, 진동, 제균, 모터의 과열, 환자의 쾌적성, 장치의 보수성 등, 이 종류의 배설물 처리장치에 따른 큰 문제에 대해서 거의 다루고 있지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발명은, 기저귀의 부착 구멍의 주위를 컵에 붙이기 위해서, 부착 구멍의 주위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방법이다. 점착제는 기저귀에 바로 도포해도 되고, 양면에 점착제를 도포한 테이프를 기저귀에 붙이도록 해도 된다. 점착제면은, 박리지를 붙여서 보호해두고, 사용할 때에 박리지를 벗겨서, 점착제 도포면을 컵에 붙이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점착제 도포면을 컵에 붙이므로, 컵과 기저귀를 극히 간단히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고, 액 누설도 일어나기 어렵다는 작용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온수에 의한 세정 능력의 향상, 작용풍(仕事風)(흡인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말함)과 냉각풍을 개별 경로 송풍화에 의한 모터 브러시 마모분말의 컵 본체로의 유입 방지, 오수 탱크의 외부로의 유출 방지 방법 등이 제안되어 시제품의 판매가 행해졌다.
특허문헌 3에 나타낸 배뇨·배변 자동처리장치를 도 14, 도 15 및 도 16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장치 전체의 개략 설명도로, 도 14 및 도 15는 기저귀 컵 본체(10)와 기저귀(54)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기저귀 컵 본체(10)의 배설물 받이 오목부(77)의 대변 센서(13)와 소변 센서(14)에 의해서 배설물이 검지되면, 급수 유닛(25)의 송수 펌프(39)가 작동해서 기저귀 컵 본체(10)의 내부에 세정수 호스(20)로부터 세정용 온수가 보내지는 동시에, 흡인 모터 유닛(24)의 흡인 모터(31)의 작동에 의해서, 오물 흡인 호스(15)와 흡인 순환관(50)을 경유시켜, 오수 탱크(22)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한다. 그러면, 오물 흡인 호스(15)와 흡인 순환관(50)의 내부에 흡인력이 발생하여, 기저귀 컵 본체(10)의 배설물 받이 오목부(77)의 배설물 및 세정 후의 오수를 흡인하고, 해당 배설물 및 세정 후의 오수는, 오수 탱크(22)의 내부에 흡인되어서 수용된다. 또한, 오수 탱크(22) 내부에서는, 상기 흡인된 배설물 및 세정 후의 오수가 흡인 순환관(50)을 순환하는 작용풍에 의해 중력분리된다.
상기 흡인 모터(31)가 작동함으로써, 기저귀 컵 본체(10)의 배설물 받이 오목부(77)로부터 오물 흡인 호스(15)와, 오수 탱크 유닛(22)과, 정화 처리 유닛(23)을 경유해서 흡인 모터(31)에 도달하고, 또한 흡인 순환관(50)과 리턴 에어 호스(18)를 거쳐서, 상기 기저귀 컵 본체(10)의 내부로 되돌려져서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상기 흡인 모터(31)의 작동 시에는, 해당 흡인 모터(31)의 흡인구로부터 도입된 흡인 순환관(50)의 작용풍이 흡인 모터(31)를 통과함으로써 흡열되고, 흡인 모터(31)의 토출구로부터 리턴 에어냉각기(26), 리턴 박스 유닛(27)을 경유해서, 리턴 에어 호스(18)로부터 기저귀 컵 본체(10)의 내부에 유출된다.
또, 상기 흡인 모터(31)에 의해 흡인된 작용풍은, 10% 정도가 리턴 박스 유닛(27)으로부터 일부 배출 호스(19)를 거쳐서 배출되고, 나머지 90% 정도가 리턴 박스(27)로부터 리턴 에어 호스(18)를 경유해서, 토출구로부터 기저귀 컵 본체(10)로 되돌아간다. 즉, 요개호자에게 부착된 기저귀 컵 본체(10)의 기저귀(54)와 둔부의 간극으로부터 공기가 흡인되도록 해서, 흡인된 공기와 거의 동일량의 공기(작용풍의 10% 정도)는 리턴 박스(27)로부터 일부 배출 호스(19)로부터 외기로 방출된다.
이와 같이 해서, 상기 리턴 에어 호스(18)를 경유해서 기저귀 컵 본체(10)의 내부에는 온풍이 송풍된다.
또 흡인 모터(31)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인 모터 유닛(24)의 냉각 팬(32)으로 냉각풍 취입구(34)로부터 필터(33)를 거쳐서 냉각을 위한 공기를 흡인하고, 흡인 모터(31)를 냉각시켜 냉각풍 배출구(35)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요개호자의 허리둔부의 주위에 온풍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쾌적한 세정을 행할 수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JP2002-113030 A
(특허문헌 2) JP2006-141590 A
(특허문헌 3)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44371호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장치는, 장치 전체를 컴팩트하게 수용하는 것을 큰 목적으로 하므로, 보수성에 약간의 문제가 있고, 또한, 모터의 소음·진동의 방지 처치를 위하여 밀폐 구조이기 때문에, 작용풍을 직접 냉각시키는 장치를 내부에 설치하고 있지만 효과가 적고, 흡인 모터의 과열로 장치가 정지되어 버릴 염려가 있었다. 일단 과열되어 버리면 재가동에는 흡인 모터의 온도를 50℃ 정도까지 내릴 필요가 있으므로, 30분 정도 걸려 실용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 요개호자용의 배설물 처리장치에는, 개호자가 거들면 변기에 앉아서 할 수 있고, 그 후에는 자동으로 배출 세정을 행할 수 있는 타입과, 못일어나는 요개호자의 둔부에 장착하여, 누운 채로 배출물의 자동 배출 세정 및 고간부를 세정 건조하는 장착 타입의 2가지 타입이 있다.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후자의 장착 타입에는, 특히 욕창방지, 남성과 여성이나 일본인과 서양인 등의 체형차나 배출물의 성상차에 따른 장착 기저귀의 형상차, 장착감이나 장착/탈착의 용이함, 장치의 안전성·내구성이나 유지 보수성, 장치 형상이나 소음문제, 장치의 이상한 냄새나 청결 유지 문제, 요개호자의 안심감 등 전부를 충족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수술 후의 환자, 독거 노인, 반신 불수자 등의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요개호자로서, 배뇨·배변의 처리를 할 수 없는 자에 대해서, 자동으로 배설물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요개호자의 불쾌감의 경감, 욕창의 방지, 개호자의 부담의 경감을 가능하게 하고, 게다가 구성 기기의 보수성이 우수하고, 소형으로 소음도 작으며, 하나의 병실에서 복수의 사람이 동거하는 병원 등에서도 사용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처리 장치는, 기기 수납 박스(12)에는, 오수 탱크 유닛(22)과 정화 처리 유닛(23)과 흡인 모터 유닛(24)과 급수 유닛(25)과 리턴 박스 유닛(27)을 구비하고, 기저귀 컵 본체(10)와 기기 수납 박스(12)를 호스 유닛(11)에 의해 연결해서, 상기 급수 유닛(25)의 송수 펌프(39)로부터 보내진 세정수를 기저귀 컵 본체(10) 내에 분사하여, 이 기저귀 컵 본체(10)에서 비뇨기와 배설물을 세정하고, 오물을 상기 흡인 모터 유닛(24)의 흡인 모터(31)의 작용풍으로 흡인하여, 상기 오수 탱크 유닛(22)에서 오물로부터 배설물과 세정수를 분리 수납해서 상기 작용풍만을 정화 처리 유닛(23)에서 정화 처리하고, 흡인 모터(31)와 리턴 박스 유닛(27)을 경유해서 상기 기저귀 컵 본체(10)로 흡인 순환관(50)을 통해 돌려서 순환시키는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인 모터(31)의 토출 측으로부터 상기 흡인 순환관(50)을 상기 기기 수납 박스(12)의 외부에 설치한 냉각 유닛(55)에 도출하고, 이 흡인 순환관(50)을 냉각 유닛(55) 내에서 외기와 열교환하여 냉각시킨 후, 상기 리턴 박스 유닛(27)에 되돌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각 유닛(55)은,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평평한 상자 형상의 냉각 박스(61)로 이루어지고, 이 냉각 박스(61) 내에 흡인 순환관(50)을 굴곡시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저귀 컵 본체(10)로부터 오수 탱크 유닛(22)과 정화 처리 유닛(23)과 냉각 유닛(55)과 리턴 박스 유닛(27)을 경유해서 기저귀 컵 본체(10)로 순환하는 흡인 순환관(50)에 가해서 미풍 순환관(51)을 설치하고, 상기 리턴 박스 유닛(27) 내의 미풍 순환관(51)에, 흡인 모터(31)의 불작동 시 작동해서 건조용 미풍을 순환시키는 미풍 모터(4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화 처리 유닛(23)과 흡인모터 유닛(24)과 급수 유닛(25)과 리턴 박스 유닛(27)은, 각각 독립적인 유닛화해서 기기 수납 박스(12) 내에 수납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순차 연결하고, 특히, 오수 탱크 유닛(22)은, 기기 수납 박스(12)와 분리해서 유닛화하고, 또한, 정화 처리 유닛(23)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평한 상자 형상의 냉각 박스(61)는, 기기 수납 박스(12)와 오수 탱크 유닛(22)을 배치하도록 하는 대좌를 겸하고, 이 냉각 박스(61)의 밑면에 캐스터(7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저귀 컵 본체(10)에 배설물 받이 오목부(77)를 설치하고, 이 배설물 받이 오목부(77)에 대변 센서(13)와 소변 센서(14)를 설치하고, 상기 대변 센서(13)는, 변 낙하부에 설치되어, 변의 경도가 높은 신호일수록 큰 흡인력 설정으로 배설물 흡인을 행하도록 제어반 유닛(56)으로 제어하기 위한 변의 경도를 검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변 센서(14)는, 소변의 유무를 판정하고, 그 신호의 정도에 따라서 배설물 흡인에 필요한 흡인력을 산출하도록 제어반 유닛(56)으로 제어하기 위한 2점의 접점을 가지고, 그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는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변 센서(13)의 감지 신호가 없고, 소변 센서(14)의 설정 시간보다 짧은 감지 신호일 때 흡인 모터(31)를 구동하는 빈뇨 모드와, 상기 대변 센서(13)의 감지 신호가 없고, 상기 소변 센서(14)의 설정 시간 이상의 감지 신호일 때 흡인 모터(31)를 구동하는 소 모드와, 상기 대변 센서(3)의 감지 신호가 있을 때 흡인 모터(31)를 구동하는 대 모드 중 어느 것인가를 선택해서 처리 운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방법이다.
빈뇨 모드는, 소변 센서의 설정 시간마다의 짧은 감지 신호가 설정 횟수 미만일 때 흡인 모터를 구동한다.
소 모드는, 소변 센서의 설정 시간마다의 짧은 감지 신호가 설정 횟수 이상일 때 흡인 모터를 단속적으로 구동해서 복수회 세정한다.
대 모드는, 대변 센서의 감지 신호가 있을 때 흡인 모터를 단속적으로 구동해서 설정 횟수 세정할 경우에 있어서, 세정수가 부족한 때에는, 설정 횟수를 감소시켜 세정한다.
흡인 모터(31)는, 연속 운전이어도 되고, 구동과 정지를 수 분 단위로 행하는 단속 운전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양상의 발명에 따르면, 기기 수납 박스에는, 오수 탱크 유닛과 정화 처리 유닛과 흡인 모터 유닛과 급수 유닛과 리턴 박스 유닛을 구비하고, 기저귀 컵 본체와 기기 수납 박스를 호스 유닛에 의해 연결하며, 상기 급수 유닛의 송수 펌프로부터 보내진 세정수를 기저귀 컵 본체 내에 분사하여, 이 기저귀 컵 본체에서 비뇨기와 배설물을 세정하고, 오물을 상기 흡인 모터 유닛의 흡인 모터의 작용풍으로 흡인하여, 상기 오수 탱크 유닛에서 오물로부터 배설물과 세정수를 분리 수납해서 상기 작용풍만을 정화 처리 유닛에서 정화 처리하고, 흡인 모터와 리턴 박스 유닛을 거쳐서 상기 기저귀 컵 본체로 흡인 순환관에 의해 되돌려서 순환시키는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인 모터의 토출 측으로부터 상기 흡인 순환관을 상기 기기 수납 박스의 외부에 설치한 냉각 유닛에 도출하고, 이 흡인 순환관을 냉각 유닛 내에서 외기와 열교환하여 냉각시킨 후, 상기 리턴 박스 유닛에 되돌리도록 했으므로, 종래의 장치의 큰 결점인 모터의 과열로 순환 공기가 정지해버리는 불량을, 본 발명은, 흡인 순환관이 냉각 유닛 내를 통과함으로써, 특별한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동력 냉각 장치로 방지할 수 있다.
제2양상의 발명에 따르면, 냉각 유닛은,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평평한 상자 형상의 냉각 박스로 이루어지고, 이 냉각 박스 내에 흡인 순환관을 굴곡시켜 배치했으므로, 장치 전체가 부피가 커지는 일이 없고 또한 큰 냉각 효과가 얻어진다.
제3양상의 발명에 따르면, 기저귀 컵 본체로부터 오수 탱크 유닛과 정화 처리 유닛과 냉각 유닛과 리턴 박스 유닛을 거쳐서 기저귀 컵 본체에 순환하는 흡인 순환관에 가해서 미풍 순환관을 설치하고, 상기 리턴 박스 유닛 내의 미풍 순환관에, 흡인 모터의 불작동 시 작동해서 건조용 미풍을 순환시키는 미풍 모터를 설치했으므로, 요개호자의 둔부를 씻는 세정액 및 둔부와 기저귀 컵 본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송풍 공기가 온도 컨트롤되어 요개호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다.
제4양상의 발명에 따르면, 냉각 박스 내에서 흡인 순환관과 미풍 순환관에 외기와 열교환하는 복수의 핀(fin)을 설치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외기와 효율적으로 열교환을 할 수 있다.
제5양상의 발명에 따르면, 흡인 순환관에, 순환하는 작용풍의 일부를 배기하는 일부 배출 호스를 연결하고, 배기한 분량의 공기를 기저귀 컵 본체에서 외부에서부터 흡인하도록 했으므로, 순환하는 공기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면서, 항상 새로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제6양상의 발명에 따르면, 정화 처리 유닛과 흡인 모터 유닛과 급수 유닛과 리턴 박스 유닛은, 각각 독립적인 유닛화해서 기기 수납 박스 내에 수납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순차 연결하며, 오수 탱크 유닛은, 기기 수납 박스와 분리해서 유닛화하고, 또한, 정화 처리 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했으므로, 예를 들어, 공지의 특허문헌 3에서는 시스템이 과열 이외로 고장난 경우, 금방 복구하는 수단은 없고, 냉각될 때까지 기다리거나 장치 전체를 교환해서 수리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각 기능으로 유닛화되어 있어, 고장 개소를 밝혀내면, 유닛을 교환함으로써 용이하게 복구할 수 있다. 또한, 기저귀 컵 본체와 장치류가 분리되어 있고, 호스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배설물 처리장치 구동부를 개호자나 간호사에게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요개호자가 장치에 접촉할 염려가 없다.
제7양상의 발명에 따르면, 평평한 상자 형상의 냉각 박스는, 기기 수납 박스와 오수 탱크 유닛을 배치하는 대좌를 겸하고, 이 냉각 박스의 밑면에 캐스터를 설치했으므로, 장치 전체가 컴팩트하게 되어, 실내의 이동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8양상의 발명에 따르면, 기저귀 컵 본체에 배설물 받이 오목부를 설치하고, 이 배설물 받이 오목부에 대변 센서와 소변 센서를 설치하며, 상기 대변 센서는 변 낙하부에 설치되어, 변의 경도가 높은 신호일수록 큰 흡인력 설정으로 배설물 흡인을 행하도록 제어반 유닛으로 제어하기 위한 변의 경도를 검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변 센서는, 소변의 유무를 판정하여, 그 신호의 정도에 따라서 배설물 흡인에 필요한 흡인력을 산출하도록 제어반 유닛으로 제어하기 위한 2점을 접점에 가지고, 그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는 센서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하였다.
오물 흡인 시 중요한 것은, 오물의 성상에 따라, 흡인력, 보급수, 분출 공기량이 미묘하게 다르다는 것이지만, 특히 대변 경도의 대소는 흡인력을 크게 좌우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대변의 무게, 충격의 강약으로 흡인 모터를 제어하고, 흡인 부족이나 과도한 흡인에 의한 요개호자의 고통을 피하도록 연구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장치의 기저귀 컵에 설치된 대소변 검지장치가 대소변을 검지한 경우, 어떤 변(소변, 무른변, 굳은변, 혼합변)인지 판단하여, 오수 흡인력을 환자에게 부담이 되지 않도록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대변 센서가 포토리플렉터, 변형 센서, 가속도 센서 등 중 1개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소변 센서는 2접점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는 접점 센서로 구성되어, 센서의 값으로부터 배뇨 배변 흡인 강도나 흡인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제9양상의 발명에 따르면, 리턴 박스 유닛의 내부에 바이메탈을 설치하고, 미풍 모터에 의해 순환하는 공기가 소정 온도를 초과하면 미풍 모터를 역회전시켜 뜨거워진 기저귀 컵 본체의 공기를 미풍 호스로부터 흡인해서 미풍 배출 호스에 의해 외기로 배출하도록 했으므로, 기저귀 컵 본체 내에 흡입되는 공기는, 항상 소정 온도로 유지될 수 있고, 요개호자에 있어서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된다.
제10양상의 발명에 따르면, 기저귀 컵 본체는, 수지성으로, 적어도 배설물 받이 오목부의 표면이 오물로 오염되기 어려운 도료로 보호되어 있으므로, 기저귀 컵 본체의 배설물 받이 오목부가 항상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어, 청소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줄일 수 있다.
제11양상의 발명에 따르면, 오수 탱크 유닛 내에, 고형물·수분과 고습도 공기를 중력 분리하는 칸막이판을 설치하는 동시에, 배설물이 가득 찬 것을 알리는 수위 센서를 설치했으므로, 고형물·수분과 고습도 공기를 중력 분리할 수 있고, 또한, 오수 탱크가 가득차게 되면, 원 터치로 기저귀 컵 본체와 필터 유닛으로 간극 없이 탈착할 수 있다.
제12양상의 발명에 따르면, 정화 처리 유닛에 기저귀 컵 본체와 연결되는 호스류의 기밀성이 유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부압 센서를 설치했으므로, 장치 전체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있는지의 여부, 각 탱크류에 이상이 없는지의 여부, 파이프류 접속의 기밀성이 유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표시판의 알람에 의해 개호자나 간호사에게 알릴 수 있다.
제13양상의 발명에 따르면, 급수 유닛은, 세정수 탱크와 보조 탱크와 송수 펌프와 온수 탱크와 밸브와 안전 탱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탱크에 수위 센서를 설치하며, 상기 온수 탱크에 수위 센서와 온도 센서와 온수를 만드는 히터를 설치하고, 상기 안전 탱크에 온도 센서를 설치했으므로, 세정수의 온도, 탱크의 수량 등, 세정수의 관리를 항상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14양상의 발명에 따르면, 기저귀 컵 본체 가까이에 요개호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해서 전달하는 장치를 병설 설치했으므로, 요개호자의 배뇨 배변 정보나 심박수, 호흡수 등의 생체이상정보를 수득할 수 있고, 요개호자의 배뇨 배변 의사의 정도나 병상의 진행 정도나 회복 정도를, 일반적인 중상환자에게 설치하는 대규모의 생체정보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고도, 요개호자의 갑작스런 병상을 알 수 있다. 또한, 심박수나 호흡수는 공기 센서의 미묘한 압력변화의 그래프로부터 계산 산출함으로써, 이들 값이 평상 시의 값과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함으로써, 배뇨 배변 의사 정보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다.
제15양상의 발명에 따르면, 흡인 모터 유닛 내의 흡인 모터와 냉각 팬과 필터는, 고강재의 제진재로 덮고, 방진재로 가공된 진동 방지대 상에 배치하여, 진동 방지 스프링으로 현수 유지되어 있으므로, 사용하는 모터·펌프로부터 발생하는 큰 소음과 진동을 경감할 수 있다.
제16양상의 발명에 따르면, 대변 센서의 감지 신호가 없고, 소변 센서의 설정 시간보다 짧은 감지 신호일 때 흡인 모터를 구동하는 빈뇨 모드와, 대변 센서의 감지 신호가 없고, 소변 센서의 설정 시간 이상의 감지 신호일 때 흡인 모터를 구동하는 소 모드와, 대변 센서의 감지 신호가 있을 때 흡인 모터를 구동하는 대 모드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처리 운전하도록 했으므로, 배설물의 종류나 양의 대소에 따라서 적절하고도 확실하게 처리할 수 있고, 또한, 에너지 절약으로 된다.
제17양상의 발명에 따르면, 빈뇨 모드는, 소변 센서의 설정 시간마다의 짧은 감지 신호가 설정 횟수 미만일 때 흡인 모터를 구동하도록 했으므로, 쓸데 없는 세정수의 사용을 없게 할 수 있다.
제18양상의 발명에 따르면, 소 모드는, 소변 센서의 설정 시간마다의 짧은 감지 신호가 설정 횟수 이상일 때 흡인 모터를 단속적으로 구동해서 복수회 세정하도록 했으므로, 세정이 보다 확실해진다.
제19양상의 발명에 따르면, 대 모드는, 대변 센서의 감지 신호가 있을 때 흡인 모터를 단속적으로 구동해서 설정 횟수 세정할 경우에 있어서, 세정수가 부족한 때에는, 설정 횟수를 감소시켜 세정하도록 했으므로, 세정수가 부족해도 세정을 행할 수 있다.
제20양상의 발명에 따르면, 흡인 모터는, 구동과 정지를 수 분 단위로 단속 운전하도록 했으므로, 흡인 모터의 온도를 필요 이상 상승시키는 일이 없어, 화상 등의 사고에서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에너지 절약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 1의 측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 1의 평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에 장비되는 냉각 유닛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일부를 잘라낸 평면도, (b)는 일부 잘라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에 사용되는 기저귀 컵 본체(10)의 일부 잘라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에 사용되는 기저귀 컵 본체(10)의 일부 잘라낸 세로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분해 사시도, (b)는 각 유닛의 배치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의 전체적인 처리 운전 모드의 순서도;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빈뇨 처리 운전 모드의 순서도;
도 10은 도 8에 있어서의 소변 처리 운전 모드의 순서도;
도 11은 도 8에 있어서의 대변 처리 운전모드의 순서도;
도 12(a) 내지 (e)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에 의한 각 센서의 출력 파형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의 연속 운전 시와 단속 운전 시의 온도 특성도;
도 14는 기저귀 컵 본체(10)와 기저귀(54)의 사시도;
도 15는 기저귀 컵 본체(10)의 종단면도;
도 16은 종래의 배설물 처리장치의 개략도.
본 발명은, 기기 수납 박스(12)에는, 오수 탱크 유닛(22)과 정화 처리 유닛(23)과 흡인 모터 유닛(24)과 급수 유닛(25)과 리턴 박스 유닛(27)을 구비하고, 기저귀 컵 본체(10)와 기기 수납 박스(12)를 호스 유닛(11)에 의해 연결해서, 상기 급수 유닛(25)의 송수 펌프(39)로부터 보내진 세정수를 기저귀 컵 본체(10) 내에 분사하여, 이 기저귀 컵 본체(10)에서 비뇨기와 배설물을 세정하고, 오물을 상기 흡인 모터 유닛(24)의 흡인 모터(31)의 작용풍으로 흡인하여, 상기 오수 탱크 유닛(22)에서 오물로부터 배설물과 세정수를 분리 수납해서 상기 작용풍만을 정화 처리 유닛(23)에서 정화 처리하고, 흡인 모터(31)와 리턴 박스 유닛(27)을 경유해서 상기 기저귀 컵 본체(10)로 흡인 순환관(50)에 의해 되돌려서 순환시키는 배설물 처리장치이다.
이러한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인 모터(31)의 토출 측으로부터 상기 흡인 순환관(50)을 상기 기기 수납 박스(12)의 외부에 설치한 냉각 유닛(55)에 도출하고, 이 흡인 순환관(50)을 냉각 유닛(55) 내에서 외기와 열교환하여 냉각시킨 후, 상기 리턴 박스 유닛(27)에 되돌리도록 구성한다.
냉각 유닛(55)은,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평평한 상자 형상의 냉각 박스(61)로 이루어지고, 이 냉각 박스(61) 내에 흡인 순환관(50)을 굴곡시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저귀 컵 본체(10)로부터 오수 탱크 유닛(22)과 정화 처리 유닛(23)과 냉각 유닛(55)과 리턴 박스 유닛(27)을 경유해서 기저귀 컵 본체(10)에 순환하는 흡인 순환관(50)에 첨가시켜서 미풍 순환관(51)을 설치하고, 상기 리턴 박스 유닛(27) 내의 미풍 순환관(51)에, 흡인 모터(31)의 불작동 시 작동해서 건조용 미풍을 순환시키는 미풍 모터(48)를 설치한다.
정화 처리 유닛(23)과 흡인 모터 유닛(24)과 급수 유닛(25)과 리턴 박스 유닛(27)은, 각각 독립적인 유닛화해서 기기 수납 박스(12) 내에 수납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순차 연결하며, 오수 탱크 유닛(22)은, 기기 수납 박스(12)와 분리해서 유닛화하고, 또한 정화 처리 유닛(23)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다.
평평한 상자 형상의 냉각 박스(61)는, 기기 수납 박스(12)와 오수 탱크 유닛(22)을 배치하는 대좌를 겸하고, 이 냉각 박스(61)의 밑면에 캐스터(70)를 설치한다.
기저귀 컵 본체(10)에 배설물 받이 오목부(77)를 설치하고, 이 배설물 받이 오목부(77)에 대변 센서(13), 소변 센서(14)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악취 센서(80)를 설치하고, 상기 대변 센서(13)는 변 낙하부에 설치되어, 변의 경도가 높은 신호일수록 큰 흡인력 설정으로 배설물 흡인을 행하도록 제어반 유닛(56)으로 제어하기 위한 변의 경도를 검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변 센서(14)는, 소변의 유무를 판정하고, 그 신호의 정도에 따라서 배설물 흡인에 필요한 흡인력을 산출하도록 제어반 유닛(56)으로 제어하기 위한 2점을 접점에 가지고, 그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는 센서로 이루어진다.
대변 센서(13)의 감지 신호가 없고, 소변 센서(14)의 설정 시간보다 짧은 감지 신호일 때 흡인 모터(31)를 구동하는 빈뇨 모드와, 대변 센서(13)의 감지 신호가 없고, 소변 센서(14)의 설정 시간 이상의 감지 신호일 때 흡인 모터(31)를 구동하는 소 모드와, 대변 센서(13)의 감지 신호가 있을 때 흡인 모터(31)를 구동하는 대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처리 운전한다.
빈뇨 모드는, 소변 센서(14)의 설정 시간마다의 짧은 감지 신호가 설정 횟수 미만일 때 흡인 모터(31)를 구동한다.
소 모드는, 소변 센서(14)의 설정 시간마다의 짧은 감지 신호가 설정 횟수 이상일 때 흡인 모터(31)를 단속적으로 구동해서 복수회 세정한다.
대 모드는, 대변 센서(13)의 감지 신호가 있을 때 흡인 모터(31)를 단속적으로 구동해서 설정 횟수 세정할 경우에 있어서, 세정수가 부족한 때에는, 설정 횟수를 감소시켜 세정한다.
흡인 모터(31)는 연속 운전 또는 구동과 정지를 수 분 단위로 단속 운전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는, 도 1 및 도 2에 개략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6에 전체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설물 처리장치는, 기저귀 컵 본체(10)와, 기기 수납 박스(12)와, 이들을 결합하는 호스 유닛(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저귀 컵 본체(10)는, 도 4, 도 5,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고 있고, 상기 특허문헌 1, 2 및 3에 나타낸 것과 대략 마찬가지의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대변 센서(13), 소변 센서(14) 이외에, 악취 센서(80)를 지닌다.
상기 기저귀 컵 본체(10)는, 모로 누워 있는 요개호자의 다리 가랑이 사이에 기저귀(54)을 개재해서 대는 것으로, 밑판부(71)과 앞판부(72)과 덮개부(73)로 이루어지고, 앞판부(72)의 하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순차 오물 배출구(74)와 리턴 에어 취출구(75a)와 음부 세정수 토출구(76a)와 센서 커넥터(7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밑판부(71)의 표면에는, 배설물 받이 오목부(77)가 상기 오물 배출구(74)에 연통해서 설치되고, 이 배설물 받이 오목부(77)의 대략 중앙에는 대변 센서(13)가 부착되며, 또한, 이 대변 센서(13)의 외주에 위치해서 복수개의 소변 센서(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설물 받이 오목부(77)에는, 또 악취 센서(80)를 설치한다.
이 배설물 받이 오목부(77)의 오물 배출구(74)와 반대쪽에는, 상기 음부 세정수 토출구(76a)와 연통하는 항문 세정수 토출구(76b)와 컵 세정수 토출구(76c)가 설치되고, 또한, 이들 항문 세정수 토출구(76b)와 컵 세정수 토출구(76c)의 양쪽에는, 상기 리턴 에어 취출구(75a)와 연통하는 리턴 에어 취출구(75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대변 센서(13)는, 변의 경도를 검지하기 위한 포토리플렉터, 변형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고, 변 낙하부에 설치되어, 변의 경도가 높을 때의 신호일수록 큰 흡인력 설정으로 배설물 흡인을 행하도록 제어반 유닛(56)으로 제어한다. 또, 상기 소변 센서(14)는, 2점을 접점에 가지는 2개 1쌍의 구조로, 그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여, 소변의 유무를 판정하고, 그 신호의 정도에 따라서 배설물 흡인에 필요한 흡인력을 산출하도록 제어반 유닛(56)으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반 유닛(56)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제어장치(81)와, 입력장치(82)와, 카운터(83)와, 각종 센서(84)와, RAM(85)과, ROM(86)과, 구동장치(87)로 구성되어, 도 8 내지 도 11의 순서도에 표시되어 있는 각종 처리 모드를 제어한다.
상기 입력장치(82)는, 자동운전과 수동운전의 전환, 각종 모드의 지령, 설정 온도나 세정수의 유량 등의 설정과 변경, 그 밖의 지령을 하는 것으로, 리모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각종 센서(84)는, 대변 센서(13), 소변 센서(14), 온도 센서(49), 바이메탈(57), 수위 센서(58), 부압 센서(52), 온도 센서(45), 수위 센서(42), 온도 센서(43), 수위 센서(41), 악취 센서(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카운터(83)는 빈뇨수, 세정 횟수 등을 계수하고, RAM(85)에 기억한다.
상기 RAM(85)은 입력장치(82)나 카운터(83)의 데이터 등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상기 ROM(86)은, 도 8 내지 도 11의 처리를 위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상기 구동장치(87)는, 오수 탱크 유닛(22), 정화 처리 유닛(23), 흡인 모터 유닛(24), 급수 유닛(25), 리턴 에어 냉각기(26), 리턴 박스 유닛(27), 히터(44)의 각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장치(81)로부터의 출력으로 구동한다.
기저귀 컵 본체(10)에 구비된 세정구는, 상기 밑판부(71)로부터 위쪽에 설치된 항문 세정수 토출구(76b)와, 앞판부(72)로부터 거의 수평한 음부 세정수 토출구(76a)로 이루어지고, 상기 항문 세정수 토출구(76b)은 +형상, 상기 음부 세정수 토출구(76a)는 -형상을 한 분출구로, +형상, -형상의 물분사 방향 및 위치 관계는 남자, 여자, 인종 간 등에 따라 다르고, 체격에 맞추어 개별의 기저귀 컵 본체(10)와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미저골로부터 둔부 부근의 기저귀 컵 본체(10)의 밑판부(71)는, 둔부 부근의 욕창 방지를 위하여, 요개호자의 신장방향 및 폭방향에 대해서 가요성을 지니는 재료가 이용된다.
기저귀 컵 본체(10)는, 폴리아마이드계나 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터, 알키드 수지 등 중간 정도의 고도의 수지성으로, 오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불소 수지나 실리콘 수지 도료로 보호되어, 오물의 점착을 경감하여, 오염되기 어렵게 한다.
상기 호스 유닛(11)은 오물 흡인 호스(15)와, 이 오물 흡인 호스(15)로부터 분기된 미풍 호스(16)와, 리턴 에어 취출구(75a)에 연통하는 리턴 에어 호스(18)와, 이 리턴 에어 호스(18)로부터 분기된 미풍 호스(17)와, 세정수 호스(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물 흡인 호스(15)와 미풍 호스(16)는, 상기 오물 배출구(74)에 연통하고, 오물용 호스(11a)로서 통합되어 호스 커넥터(63)에 의해 기기 수납 박스(12)의 오수 탱크 유닛(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리턴 에어 취출구(75a)에 연통한 리턴 에어 호스(18)와 미풍 호스(17)와, 음부 세정수 토출구(76a)에 연통한 세정수 호스(20)는, 물·공기용 호스(11b)로서 통합되어 호스 커넥터(64)를 개재해서 기기 수납 박스(12)의 급수 유닛(25)과 리턴 박스 유닛(27)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대변 센서(13), 소변 센서(14) 및 (180)의 리드 선은, 센서 커넥터(78)를 경유해서 호스 커넥터(64)로부터 제어반 유닛(56)에 접속된다.
호스 유닛(11)의 오물 반송 호스를 물로 자동 세정하기 위하여 오물 흡인 호스(15)나 미풍 호스(16) 등의 노즐에는, 배출된 물이 해당 호스 내에서 회전하여 호스의 내부를 세정하는 바와 같은 형상과 방향을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다음에, 기기 수납 박스(12)는, 도 16과 대략 마찬가지로, 오수탱크 유닛(22), 정화 처리 유닛(23), 흡인 모터 유닛(24), 급수 유닛(25), 리턴 박스 유닛(27)으로 이루어지지만, 순환하는 공기의 냉각기구 냉각유닛(55)과, 기기 수납 박스(12)를 컴팩트하게 조립하는 구성과, 오수 탱크 유닛(22)의 착탈을 용이하게 한 구성을 개량하고 있다.
우선, 도 16과 마찬가지 구성을 도 1 및 도 2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상기 오수 탱크 유닛(22)은, 후술하는 흡인 모터 유닛(24)의 흡인 모터(31)에 의해서 배설물 및 세정 후의 오수를 내부에 흡인 수용하는 것으로, 오물 흡인 호스(15)를 경유시켜, 오수 탱크(22)의 내부에서 흡인 모터(31)로 흡인 순환관(50)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면, 기저귀 컵 본체(10)의 배설물 받이 오목부(77)의 배설물 및 세정후의 오수를 흡인하고, 오수 탱크(22)의 내부에 흡인되어서 수용된다. 또, 오수 탱크(22) 내부에서는, 상기 흡인된 배설물 및 세정 후의 오수가 흡인 순환관(50)을 순환하는 작용풍에 의해 중력분리된다.
오수 탱크 유닛(22)에 연결된 정화 처리 유닛(23)에는, 미스트(mist) 제거 필터(28), 소취 필터(29), 살균 필터(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정화 처리 유닛(23) 내의 흡인 순환관(50)에는, 기저귀 컵 본체(10)에 연결되는 호스류의 기밀성이 유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부압 센서(52)가 설치되어 있다.
흡인 순환관(50)과 이 흡인 순환관(50)에 가해서 설치된 미풍 순환관(51)은, 정화 처리 유닛(23)으로부터 흡인 모터 유닛(24)의 하우징에 관통해서 흡인 모터(31)에 연통하고, 이 흡인 모터 유닛(24)로부터 토출구(59)를 경유해서 냉각 유닛(55)의 냉각 박스(61)에 유도되어 있다.
상기 흡인 모터(31)에는, 냉각 팬(32)이 설치되어, 냉각풍 취입구(34)로부터 도입된 공기가 필터(33)를 거쳐서 흡인 모터(31)를 냉각시키고, 냉각풍 배출구(35)로부터 배출된다. 이 오수 탱크 유닛(22)에는, 수위 센서(5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인 모터 유닛(24) 내의 흡인 모터(31)와 냉각 팬(32)과 필터(33)는, 고강재나 제진재로 덮고, 방진 고무 등의 방진재로 가공된 진동 방지 대상 또는 진동 방지 스프링(79)에 의해 현수 유지되어 있다. 또한, 송수 펌프(39)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냉각 박스(61)는, 기기 수납 박스(12)의 본체의 바닥부에 위치해서 평평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이 상자체와 내부의 칸막이판(62)은,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냉각 박스(61)의 내부에 도입된 흡인 순환관(50)과 미풍 순환관(51)은, 칸막이판(62)으로 칸막이되면서 굴곡되어, 토출구(60)로부터 외부로 도출된다. 상기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판의 재질은 구리 외에, 저렴하고 열의 흡수·방사에 적합하고, 또한 가공하기 쉬운 알루미늄 압출재나 알루미늄 압연판이 적합하며, 또 알루마이트 가공 또는 알루마이트 가공 후, 2차 전해 착색 가공으로 흑색으로 하면 열의 흡수·방열은 한층 효과적이다.
상기 토출구(60)로부터 도출된 흡인 순환관(50)과 미풍 순환관(51)은, 기기 수납 박스(12)의 내부의 리턴 박스 유닛(27)에 인도되고, 이중, 흡인 순환관(50)의 본관은, 약 90%의 작용풍이 리턴 에어 호스(18)를 거쳐서 기저귀 컵 본체(10)에 연결되지만, 분기관이 약 10%를 배출하는 일부 배출 호스(19)로 되어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 리턴 박스 유닛(27)에는, 온도 센서(49)와 바이메탈(5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급수 유닛(25)은 세정수 탱크(36), 보조 탱크(37), 온수 탱크(38), 송수 펌프(39), 밸브(46), 안전 탱크(4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탱크(37)에는 수위 센서(41)가 설치되며, 상기 온수 탱크(38)에는 수위 센서(42), 온도 센서(43), 히터(44)가 설치되고, 상기 안전 탱크(40)에는 온도 센서(4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46)의 토출 측의 배관은, 상기 세정수 호스(20)를 개재해서 기저귀 컵 본체(10)에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밸브(46)에는 물 제거관(4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기 수납 박스에는, 제어반 유닛(56)이 설치되고, 이 제어반 유닛(56)의 입력 측에는, 각종 센서가 접속되며, 출력 측 흡인 모터(31), 냉각 팬(32), 송수 펌프(39), 밸브(46), 미풍 모터(48)에 구동 제어 신호가 전송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전체적인 개략적 작용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1의 순서도에 의거한 상세한 모드마다의 처리 운전은 후술한다.
우선, 온수 탱크(38)를 가득 채우고, 또한 오수 탱크(22)가 비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온수 탱크(38)가 비었거나, 오수 탱크(22)가 가득 찬 경우, 처리 운전 허가가 '아니오'로 되고, 수위 센서(42) 또는 수위 센서(58)로부터의 신호로 알람이 표시되어, 자동 운전 상태로 되지 않는다.
요개호자의 둔부에서부터 고간부에 걸쳐서 기저귀(54)를 개재해서 기저귀 컵 본체(10)를 장착하고, 제어반 유닛(56)의 개시 스위치를 온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센서류(수위 센서(41), 수위 센서(42), 온도 센서(43), 히터(44), 온도 센서(45), 온도 센서(49), 부압 센서(52), 바이메탈(57), 수위 센서(58)) 등은, 정상상태에서 처리 운전가능한 상태로 한다. 또, 흡인 모터(31)가 불작동 상태에서는, 미풍 모터(48)가 작동하고, 기저귀 컵 본체(10)로부터 미풍 호스(16), 미풍 순환관(51)을 통해서 미풍 모터(48)에 흡인되어, 이 미풍 모터(48)로부터 미풍 호스(17)를 개재해서 도 1 및 도 2의 점선과 같이 미풍을 보내고, 리턴 에어 취출구(75a)와 (75b)로부터 기저귀 컵 본체(10)에 보내주고 있다. 또한, 흡인 모터(31)가 불작동 상태에서는, 미풍 모터(48)는 연속 운전을 해도 되고, 내부 온도 상승의 억제와 전력 절약을 위하여 소정 시간의 단속 운전을 하도록 해도 된다. 상세는 도 13에 의거해서 후술한다.
여기서, 대변 센서(13), 소변 센서(14), 악취 센서(80) 중 어느 것인가에서 배설물이 검지되면, 일정 시간 경과 후, 세정수 유닛(25)으로부터 온수가 세정수 호스(20)를 거쳐서 기저귀 컵 본체(10)에 보내진다. 세정수 유닛(25)은, 온수가 인체에 대해서 적절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히터(44) 및 온도 센서(43)를 갖춘 온수 탱크(38)를 구비하고 있다.
기저귀 컵 본체(10)의 음부 세정수 토출구(76a)로부터 온수를 음부에 분사 세정하고, 항문 세정수 토출구(76b)로부터 항문에 온수를 분사 세정하며, 컵 세정수 토출구(76c)로부터 배설물 받이 오목부(77)에 온수를 분사해서 배설물을 세정하여, 세정 후의 오수와 배설물은 오물 배출구(74)에 인도된다.
동시에 흡인 모터(31)가 작동하고, 흡인 순환관(50)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면, 오물 배출구(74)로부터 오물 흡인 호스(15)를 개재해서 세정 후의 오수와 배설물이 오수 탱크 유닛(22)에 흡인된다. 오수 탱크(22)의 내부에서 공기를 흡인하면, 오수 탱크(22) 내부에서는, 흡인된 배설물과 오수가 흡인 순환관(50)을 순환하는 작용풍에 의해 중력분리된다.
여기에서, 흡인 모터(31)의 흡인력은, 대변 센서(13)와 소변 센서(14)가 검지한 값에 의해, 제어반 유닛(56)으로 설정한다. 흡인 모터(31)의 출력은 400W 내지 1㎾로, 대략 대, 중, 소로 조정된다.
오수 탱크(22)는, 오물량의 한도 센서인 수위 센서(58)를 지니고, 오물 탱크(22)의 한계선에 도달하면, 그 신호가 제어반 유닛(56)에 보내져, 표시판(도시 생략)에 경고 표시되는 동시에, 간호자 또는 간호사에게 전화 또는 무선전화로 연락된다. 또, 오수 탱크(22)는 고형오물과 오수와 공기를 분리한다.
오수 탱크 유닛(22)을 통과한 수분을 포함하는 작용풍(55)은, 정화 처리 유닛(23)을 통과하여 청정화된다. 이 필터 박스(23)는, 미스트 제거 필터(28), 소취 필터(29), 제균 필터(30)로 구성되어 있고, 0.3㎛ 이상의 입자가 제외되어, 본 장치로부터 간신히 배출되거나 또는 누출되는 공기로 주위의 환경을 악화시키지 않도록 연구되어 있다.
청정화된 작용풍은, 흡인 모터(31)를 거쳐서 냉각 유닛(55)의 냉각박스(61)에 보내진다.
여기에서, 흡인 모터(31)는, 오수 탱크 유닛(22)에 의해 냉각풍 취입구(34)로부터 필터(33)를 개재해서 외기를 흡인해서 냉각풍 배출구(35)로부터 배기함으로써 냉각된다. 그러나, 흡인 모터(31)가 진동 방지, 방음을 위하여 오수 탱크 유닛(22) 내에서 밀폐 격리되어 있어, 가동에 의한 열의 도피 장소가 없고, 흡인 모터(31)의 과열에 의한 고장이나 흡인 순환관(50)을 흐르는 작용풍의 과열에 의한 인체의 화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작용풍이 요개호자의 기저귀 컵 본체(10)에 되돌아갈 때에는 대략 30 내지 42℃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냉각 박스(61)의 내부에서는, 흡인 순환관(50)과 미풍 순환관(51)이 칸막이판(62)으로 칸막이된 공간을 굴곡시키고 있으므로, 냉각 박스(61)와 칸막이판(62)을 개재해서 외기와 열교환해서 냉각되어서 토출구(60)로부터 보내진다.
냉각된 흡인 순환관(50)의 작용풍은, 리턴 박스 유닛(27)의 일부 배출 호스(19)로부터 약 10%가 외기에 방출되고, 90%가 리턴 에어 호스(18)를 개재해서 기저귀 컵 본체(10)에 보내진다. 또한, 미풍 순환관(51)과 미풍 호스(17)로부터의 미풍은, 미풍 모터(48)에 의해 흡인되어서 미풍 배출 호스(21)로부터 배기된다.
일부 배출되는 공기는, 고성능 필터(HEPA 필터) 또는 자외선 살균 장치를 통해서 제균 및 살균을 한다.
다음에 각종 처리 모드에 의한 운전을 도 8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1. 자동처리 모드 전이
A-1: 입력장치(82)에 의해 제어반 유닛(56)에 개시 신호를 보낸다.
A-2: 기기 수납 박스(12) 내의 온수, 온풍 기타의 온도나 탱크의 수위 등이 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하고, 처리 운전 허가 신호가 보내지면 '예'로 되어서, A-3으로 이행한다.
A-3: 대변 센서(13)가 온이면, A-9에서 카운터(83)를 O으로 되돌려, D-1로 이행하고, 오프이면 A-4로 이행한다.
A-4: 소변 센서(14)가 온이면, A-5로 이행하고, 오프이면, A-10으로 이행한다.
A-5: 카운터(83)는 소정 시간(예를 들어, 1초)마다 계수한다.
A-6: 카운터(83)가 N1=4를 계수하면, C-1로 이행하고, 4 미만이면 A-7로 이행한다.
A-7: 카운터(83)가 4를 계수하면 A-8에서 카운터(83)를 O으로 되돌려, C-1로 이행하고, 4 미만이면 B-1로 이행한다.
A-10: 상기 A-4에서 소변 센서(14)가 오프이면, A-10로 이행하고, 이 A-10에서 악취 센서(80)가 오프이면, A-3으로 되돌아가고, 온이면, F-1로 이행한다.
F-1: 흡인 모드 처리 운전을 개시하여, 흡인 모터(31)가 구동해서, 기저귀 컵 본체(10)로부터 냄새를 흡인하고, 정화 처리 유닛(23)의 소취 필터(29)에서 소취한 공기를 순환시킨다.
2. 빈뇨 모드 처리 운전(도 9)
B-1: 빈뇨 모드 처리 운전을 개시한다.
B-2: 흡인 모터(31)를 온해서 흡인을 개시하고, B-3으로 이행한다.
B-3: 대변 센서(13)가 온이면, D-1로 이행하고, 오프이면, B-4로 이행한다.
B-4: 흡인 모터(31)는 흡인 시간 T1이 설정 시간(예를 들어, 20초) 사이에 흡인을 계속하고, 이를 경과하면, B-5로 이행한다.
B-5: 흡인 모터(31)의 흡인을 정지하고, 빈뇨 모드 처리 운전을 정지한다.
또, 빈뇨 운전은, 하기의 조건이 1개라도 맞을 때 행해진다.
(1) 전회의 소 운전 모드로부터 소정 시간 T11(예를 들어 60분) 이내에, 소변 센서(14)를 검출했을 때.
(2) 빈뇨운전 모드 운전 연속 횟수가 설정 횟수 N1(예를 들어 4회) 미만일 때.
비고
(1) 수동운전 시에는 빈뇨운전 없음.
(2) 정지로부터 개시 직후에는 통상의 소, 대 운전 모드로 된다.
(3) 빈뇨운전 횟수가 설정 횟수 N1(예를 들어, 4회)을 초과한 때, 소 운전모드로 된다.
빈뇨 모드 해제 조건
(1) 정지 모드가 되었을 때.
(2) 대 모드에서 운전한 때.
(3) 운전 종료 후, 연속 소변 센서(14)가 온하고 있었을 때.
소 모드 처리 운전(도 10)
C-1: 소 모드 처리 운전을 개시한다.
C-2: 흡인 모터(31)로 흡인을 개시한다.
C-3: T1 시간(예를 들어, 2초)만큼 온수 탱크(38)의 안전 탱크(40)를 채울 정도로 송수 펌프(39)를 구동한다.
C-4: 온도 센서(43)에 의해 T2 시간(예를 들어, 2초)에 세정수 온도를 판정한다.
C-5: 첫회만 송수 펌프(39)를 T3 시간(예를 들어, 3초) 구동한다. 송수 펌프(39)와 기저귀 컵 본체(10)까지의 세정수 호스(20) 속에 물이 없으므로, 첫회만 다소 약간 길게 구동한다.
C-6: 세정 횟수를 계수하고, +1을 가산한다. 이 C-5와 C-6 공정은, 첫회 세정의 유무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첫회 세정의 '무'를 선택한 때에는, 실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C-7: T4 시간(예를 들어, 27초)만큼 송수 펌프(39)의 구동 대기를 한다.
C-8: T4 시간(예를 들어, 27초)의 경과 후, T5 시간(예를 들어, 2초)만큼 송수 펌프(39)를 구동한다.
C-9: 세정 횟수를 계수하고, +1을 가산한다.
C-10: 소변 센서(14)가 온한 후, 대변 센서(13)가 온하면 D-1모드로 이행한다. 대변 센서(13)가 오프이면 세정 횟수 N1=2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2를 충족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C-7로 되돌아가서 대기하고, N1=2로 되면 C-12로 이행한다.
C-11: 세정 수압이 떨어질 때까지 T6 시간(예를 들어, 2초)만큼 물 제거 시간 대기를 한다.
C-13: 물 제거 시간의 경과 후, T7 시간(예를 들어, 25초)만큼 밸브(46)를 열어서 물 제거관(47)으로부터 기저귀 컵 본체(10)까지의 세정수를 배출한다.
C-14: T8 시간(예를 들어, 5초)만큼 송풍하여 종료 대기를 한다.
C-15: T8 후, 흡인 모터(31)를 오프하고, 운전을 종료한다.
대 모드 처리 운전(도 11)
D-1: 대 모드 처리 운전을 개시한다.
D-2: 흡인 모터(31)로 흡인을 개시한다.
D-3: T1 시간(예를 들어, 2초)만큼 온수 탱크(38)의 안전 탱크(40)를 만족시킬 정도로 송수 펌프(39)를 구동한다.
D-4: 온도 센서(43)에 의해 T2시간(예를 들어, 2초)에 세정수 온도를 판정한다.
D-5: T3 시간(예를 들어, 4초)만큼 첫회의 송수 펌프(39)를 구동한다.
D-6: 세정 횟수를 계수하고, +1을 가산한다.
C-7: T4 시간(예를 들어, 26초)만큼 송수 펌프(39)의 구동 대기를 한다.
D-8: T4 시간(예를 들어, 26초)의 경과 후, T5시간(예를 들어, 4초)만큼 송수 펌프(39)를 구동한다.
D-9: 세정 횟수를 계수하고, +1을 가산한다.
D-10: 수위 센서(42)에 의해 온수 탱크(38)의 수위 부족을 검출하고, 부족(온)하면, D-11로 이행하고, 부족하지 않으면(오프이면) D-13으로 이행한다.
D-11: 나머지 세정 횟수 N이 N>2이면, D-12로 이행한다. N≤2이면, 세정 횟수가 적으므로, 더욱 세정 횟수를 늘리기 위해서 D-13으로 이행한다.
D-12: 세정 횟수 N>2이면, 이미 3회 이상 세정하고 있으므로, 온수 탱크(38)가 수위 부족이므로, 세정 횟수의 상한을 2회로 감소시키고, D-13으로 이행한다.
D-13: 온수 탱크(38)의 수위가 부족하지 않을 때에는, 세정 횟수 N1=4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4 미만이면, D-7로 되돌아가 반복하고, N1=4로 되면 D-14로 이행한다. 또한, 온수 탱크(38)가 수위 부족일 때에는, D-12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세정 횟수가 2회이더라도 D-14로 이행한다
D-14: 세정 수압이 떨어질 때까지 T6 시간(예를 들어, 2초)의 물 제거 시간 대기를 한다.
D-15: 물 제거 시간의 경과 후, T7 시간(예를 들어, 25초)만큼 밸브(46)를 열어서 물 제거관(47)으로부터 기저귀 컵 본체(10)까지의 세정수를 배출한다.
D-16: T8 시간(예를 들어, 5초)만큼 송풍하여 종료 대기를 한다.
D-17: 흡인 모터(31)를 오프하고, 운전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배설물 처리장치는, 기기 수납 박스(12), 냉각 유닛(55), 오수 탱크 유닛(22), 기저귀 컵 본체(10), 호스 유닛(11)에 분리가능하게 유닛화되어서 구성되고, 또한, 기기 수납 박스(12) 내에는, 정화 처리 유닛(23), 흡인 모터 유닛(24), 급수 유닛(25), 리턴 박스 유닛(27), 제어반 유닛(56)이 유닛화되어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저귀 컵 본체(10)와 오수 탱크 유닛(22)은, 호스 유닛(11)의 오물용 호스(11a)를 개재해서 호스 커넥터(63)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기저귀 컵 본체(10)와 기기 수납 박스(12)의 리턴 박스 유닛(27)은, 호스 유닛(11)의 물·공기용 호스(11b)를 개재해서 호스 커넥터(64)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오수 탱크 유닛(22)은, 냉각 유닛(55)의 세트대부(68)의 걸림부(69)에 걸리는 동시에, 플러그접속구(67)에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오수 탱크 유닛(22)을 세트대부(68)로부터 떼어 내는 동시에, 호스 유닛(11)의 오물용 호스(11a)를 칸막이판(62)에 의해 떼어내서 배설물을 처리상에 가지고 들어가, 손잡이(66)에 의해 덮개체(65)를 열어서 내부의 배설물 수용 용기(도시 생략)를 꺼내서 배설물을 물에 흘려보내어 세정한다.
따라서, 각 유닛 간을 연결하는 배관·배선류는 일체로 세트되어 있어, 원 터치로 탈착가능하여, 고장 등에 의해 유닛 교환 혹은 보수 시의 복구가 용이하다.
온수 탱크(38)의 물은, 사용되면 세정수 탱크(36)로부터 보조 탱크(37)를 거쳐서 송수 펌프(39)에 의해 압송되어 온수 탱크(38)를 채운다. 보조 탱크(37)는 수위 센서(41)를 구비하고 있어, 비게 되면 제어반 유닛(56)에 알람이 표시된다.
제어반 유닛(56)은, 수동으로도 요개호자 둔부를 세정할 수 있는 동시에, 세정수 호스(20)로부터의 세정수로 본 장치의 배관류의 세정에 사용할 수도 있다.
배설물을 검지하지 않는 통상의 동작 상태로서, 흡인 모터(31)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미풍 모터(48)가 가동하고 있어, 요개호자의 둔부나 고간부에 리턴 에어 호스(18)를 개재해서 리턴 에어를 보내어 건조시키는 동시에, 장치 배관류의 건조도 행한다. 즉, 미풍 모터(48)를 가동해서 미풍 호스(16), 미풍 순환관(51), 냉각 박스(61), 호스 유닛(11)의 미풍 호스(17)로 미풍을 순환시킨다. 이것에 의해, 흡인 모터(31)를 고속 가동 후, 즉시 정지했을 때 흡인 모터(31)의 내부 온도의 도피로가 없어, 흡인 모터(31)가 과열되는 일이 있어도, 그것을 방지할 목적도 있다.
리턴 박스 유닛(27)의 내부에 설치된 미풍 모터(48)의 공기는, 바이메탈(57)에 의해 인체에 대해서 적절한 온도로 되도록 설정되어, 적절한 온도를 넘으면 미풍 모터(48)를 역회전시켜 뜨거워진 기저귀 컵 본체(10)의 공기를 미풍 호스(17)로부터 흡인시켜 미풍 배출 호스(21)에서 외기로 배출한다.
흡인 모터(31)의 작동 시(오물처리 시)에는, 항상 순환하는 작용풍으로서의 공기의 10% 정도를 배출하고, 부족분은 기저귀 컵 본체(10)에 부착된 기저귀(54)와 요개호자 둔부의 간극으로부터 취입된다.
상기 냉각 유닛(55)에는, 칸막이판(62) 이외에, 핀을 설치함으로써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대변 센서(13)와 소변 센서(14)로부터의 제어반 유닛(56)으로의 신호가 없고, 수면 시간 외에 설정 시간(예를 들어, 6시간) 이상 배뇨 배변이 행해지지 않는다고 판단될 때에는, 제어반 유닛(56)에 알람 표시되어, 개호자나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의 모터 토출구, 냉각 유닛 토출구, 리턴 에어 호스 컵부의 특성 곡선으로서, 실선은 1시간의 연속 흡인 운전의 특성 곡선을 나타내고, 점선은, 5분 구동, 1분 정지의 단속 운전의 특성 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모터 토출구(59)의 온도는, 연속 운전에서는, 최대 80℃까지 상승하고, 단속 운전에서는, 58 내지 62℃를 반복하고 있다.
냉각 유닛 토출구(60)의 온도는, 연속 운전에서는, 최대 70℃까지 상승하고, 단속 운전에서는, 50℃ 정도였다.
리턴 에어 호스 컵부에 있어서의 체감 온도는, 연속 운전에서는, 최대 55도까지 상승하고, 단속 운전에서는, 31 내지 35℃를 반복하고 있다.
또, 모터 토출구(59)에 대해서는, 흡인 모터(31)를 정지하면, 연속 운전이고, 또한, 냉각 유닛(55)이 없으면 100℃ 부근까지 상승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냉각 유닛(55)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70도 정도까지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실제로는 1시간의 연속 운전을 행하는 일은 없다.
도 12(a)는, 소변 센서(14)가 소변을 검지했을 경우의 전압파형으로, 전압파형이 작고 장시간이다. 또한 소변의 경우에는 소변 센서(14)의 도통의 확인으로 재확인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신호의 경우, 제어반 유닛(56)은, 적정량까지 급수를 행하여 수준 소(小)로 흡인하도록 제어한다.
도 12(b)는, 대변 센서(13)가 무른변을 검지했을 때의 파형으로 전압 수준은 비교적 낮고, 소변 센서(14)에서는 검지되지 않으며, 이러한 신호의 경우, 제어반 유닛(56)은 적정량까지 급수를 행하여 수준 중(中)으로 흡인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대소 동시에 배설될 경우가 많고, 소변 센서(14)의 저항값과 대변 센서(13)의 전압 밸런스로 판단한다. 이러한 신호의 경우, 제어반 유닛(56)은, 적정량까지 급수를 행하여 수준 중으로 흡인하도록 제어한다.
도 12(c)는, 대변 센서(13)가 굳은변을 검지한 경우의 전압파형이다. 전압이 높고 단시간이며, 소변 센서(14)의 저항치가 높으면 소변은 없다고 판단하고, 이러한 신호의 경우, 제어반 유닛(56)은, 적정량까지 급수를 행하여 수준 대(大)로 흡인하도록 제어한다.
도 12(d)는, 정화 처리 유닛(23)의 내부의 부압 센서(52)가 포착한 통상의 오수를 흡인한 경우의 정상적인 전압파형으로, 흡인 동작이 정상이라고 판단되어, 요개호자의 관부의 미풍건조를 행한다.
도 7(e)는, 정화 처리 유닛(23)의 내부의 부압 센서(52)가 포착한 단단한 또는 대량의 변을 통상의 흡인력으로 흡인한 경우의 전압파형으로, 흡인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을 경우의 전압파형이다. 이러한 신호의 경우, 제어반 유닛(56)은, 알람을 표시하거나 또는 개호자나 간호사에게 연락하고, 수동 작업으로 오수를 배출한다.
의식 불명 등의 중상 요개호자의 경우, 본 발명자들이 앞서 제안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09-188505호(일본국 공개 특허 제2010-284498호 공보)의 생체정보를 수집해서 전달하는 장치를 베드 사이에, 본 발명의 배설물 처리장치와 병설 설치하고, 요개호자의 배뇨 배변 정보와 생체이상정보를 얻는 것에 의해, 요개호자의 배뇨 배변 의사의 정도나 병상의 진행 정도나 회복 정도를, 일반적인 중상환자에게 설치하는 대규모의 생체정보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고도, 요개호자의 갑작스런 병상을 알 수 있다.
10: 기저귀 컵 본체, 11: 호스 유닛, 12: 기기 수납 박스, 13: 대변 센서, 14: 소변 센서, 15: 오물 흡인 호스, 16: 미풍 호스, 17: 미풍 호스, 18: 리턴 에어 호스, 19: 일부 배출 호스, 20: 세정수 호스, 21: 미풍 배출 호스, 22: 오수 탱크 유닛, 23: 정화 처리 유닛, 24: 흡인 모터 유닛, 25: 급수 유닛, 26: 리턴 에어 냉각기, 27: 리턴 박스 유닛, 28: 미스트 제거 필터, 29: 소취 필터, 30: 살균 필터, 31: 흡인 모터, 32: 냉각 팬, 33: 필터, 34: 냉각풍 취입구, 35: 냉각풍 배출구, 36: 세정수 탱크, 37: 보조 탱크, 38: 온수 탱크, 39: 송수 펌프, 40; 안전 탱크, 41: 수위 센서, 42: 수위 센서, 43: 온도 센서, 44: 히터, 45: 온도 센서 46: 밸브, 47: 물 제거관, 48: 미풍 모터, 49: 온도 센서, 50; 흡인 순환관, 51: 미풍 순환관, 52: 부압 센서, 53: 드레인, 54: 기저귀, 55: 냉각 유닛, 56: 제어반 유닛, 57: 바이메탈, 58: 수위 센서, 59: 토출구, 60: 토출구, 61: 냉각 박스, 62: 칸막이판, 63: 호스 커넥터, 64: 호스 커넥터, 65: 덮개체, 66: 손잡이, 67: 플러그 접속구, 68: 세트대부, 69: 걸림부, 70: 캐스터, 71: 밑판부, 72: 앞판부, 73: 덮개부, 74: 오물배출구, 75a, 75b: 리턴 에어 취출구, 76a: 음부 세정수 토출구, 76b: 항문 세정수 토출구, 76c: 컵 세정수 토출구, 77: 배설물 받이 오목부, 78; 센서 커넥터, 79: 진동 방지 스프링, 80: 악취 센서, 81: 중앙제어장치(CPU), 82: 입력장치(리모컨), 83: 카운터, 84: 각종 센서, 85: RAM, 86: ROM, 87: 구동장치.

Claims (20)

  1. 기기 수납 박스에는 오수 탱크 유닛과 정화 처리 유닛과 흡인 모터 유닛과 급수 유닛과 리턴 박스 유닛을 구비하고, 기저귀 컵 본체와 기기 수납 박스를 호스 유닛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급수 유닛의 송수 펌프로부터 보내진 세정수를 기저귀 컵 본체 내에 분사하여, 이 기저귀 컵 본체에서 비뇨기와 배설물을 세정하고, 오물을 상기 흡인 모터 유닛의 흡인 모터의 작용풍(仕事風)으로 흡인하여, 상기 오수 탱크 유닛에서 오물로부터 배설물과 세정수를 분리 수납해서 상기 작용풍만을 정화 처리 유닛에서 정화 처리하고, 흡인 모터와 리턴 박스 유닛을 거쳐서 상기 기저귀 컵 본체로 흡인 순환관에 의해 되돌려 순환시키는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인 모터의 토출 측으로부터 상기 흡인 순환관을 상기 기기 수납 박스의 외부에 설치한 냉각 유닛에 도출하고, 이 흡인 순환관을 냉각 유닛 내에서 외기와 열교환해서 냉각시킨 후, 상기 리턴 박스 유닛에 되돌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냉각 유닛은, 열전도가 좋은 금속으로 평평한 상자 형상의 냉각 박스로 이루어지고, 이 냉각 박스 내에 흡인 순환관을 굴곡시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기저귀 컵 본체로부터 오수 탱크 유닛과 정화 처리 유닛과 냉각 유닛과 리턴 박스 유닛을 거쳐서 기저귀 컵 본체에 순환하는 흡인 순환관에 가해서 미풍 순환관을 설치하고, 상기 리턴 박스 유닛 내의 미풍 순환관에, 흡인 모터의 불작동 시 작동해서 건조용 미풍을 순환시키는 미풍 모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냉각 박스 내에서 흡인 순환관과 미풍 순환관에 외기와 열교환하는 복수의 핀(fin)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인 순환관에, 순환하는 작용풍의 일부를 배기하는 일부 배출 호스를 연결하고, 배기한 분량의 공기를 기저귀 컵 본체에서 외부로부터 흡인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정화 처리 유닛과 흡인 모터 유닛과 급수 유닛과 리턴 박스 유닛은 각각 독립적인 유닛화해서 기기 수납 박스 내에 수납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순차 연결하고, 오수 탱크 유닛은 기기 수납 박스와 분리해서 유닛화하고, 또한 정화 처리 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평평한 상자 형상의 냉각 박스는, 기기 수납 박스와 오수탱크 유닛을 배치하는 대좌를 겸하고, 이 냉각 박스의 밑면에 캐스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기저귀 컵 본체에 배설물 받이 오목부를 설치하고, 이 배설물 받이 오목부에 대변 센서와 소변 센서를 설치하며, 상기 대변 센서는, 변 낙하부에 설치되어, 변의 경도가 높은 신호일수록 큰 흡인력 설정으로 배설물 흡인을 행하도록 제어반 유닛으로 제어하기 위한 변의 경도를 검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변 센서는, 소변의 유무를 판정하여, 그 신호의 정도에 따라서 배설물 흡인에 필요한 흡인력을 산출하도록 제어반 유닛으로 제어하기 위한 2점을 접점에 가지고, 그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는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리턴 박스 유닛의 내부에 바이메탈을 설치하고, 미풍모터에 의해 순환하는 공기가 소정 온도를 초과하면 미풍 모터를 역회전시켜 뜨거워진 기저귀 컵 본체의 공기를 미풍 호스로부터 흡인해서 미풍 배출 호스에서 외기로 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기저귀 컵 본체는, 수지성으로, 적어도 배설물 받이 오목부의 표면이 오물로 오염되기 어려운 도료로 보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오수 탱크 유닛 내에, 고형물·수분과 고습도 공기를 중력분리하는 칸막이판을 설치하는 동시에, 배설물이 가득 찬 것을 알리는 수위 센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정화 처리 유닛에 기저귀 컵 본체와 연결되는 호스류의 기밀성이 유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부압 센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급수 유닛은, 세정수 탱크와 보조 탱크와 송수 펌프와 온수 탱크와 밸브와 안전 탱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탱크에 수위 센서를 설치하며, 상기 온수 탱크에 수위 센서와 온도 센서와 온수를 만드는 히터를 설치하고, 상기 안전 탱크에 온도 센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기저귀 컵 본체의 가까이에 요개호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해 전달하는 장치를 병설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흡인 모터 유닛 내의 흡인 모터와 냉각 팬(fan)과 필터는, 고강재의 제진재로 덮고, 방진재로 가공된 진동 방지대 위에 배치하여, 진동 방지 스프링으로 현수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16. 기기 수납 박스에는, 오수 탱크 유닛과 정화 처리 유닛과 흡인모터 유닛과 급수 유닛과 리턴 박스 유닛을 구비하고, 기저귀 컵 본체와 기기 수납 박스를 호스 유닛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기저귀 컵 본체 내의 소변 센서 및/또는 대변 센서가 감지했을 때, 상기 급수 유닛의 송수 펌프로부터 보내진 세정수를 기저귀 컵 본체 내에 분사하여, 이 기저귀 컵 본체에서 비뇨기와 배설물을 세정하고, 오물을 상기 흡인 모터 유닛의 흡인 모터의 작용풍으로 흡인하여, 상기 오수 탱크 유닛에서 오물로부터 배설물과 세정수를 분리 수납해서 상기 작용풍만을 정화 처리 유닛에서 정화 처리해서, 흡인모터와 리턴 박스 유닛을 거쳐서 상기 기저귀 컵 본체에 냉각 유닛을 통한 흡인 순환관으로 되돌려서 순환시키는 배설물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변 센서의 감지 신호가 없고, 상기 소변 센서의 설정 시간보다 짧은 감지 신호일 때 흡인 모터를 구동하는 빈뇨 모드와, 상기 대변 센서의 감지 신호가 없고, 상기 소변 센서의 설정 시간 이상의 감지 신호일 때 흡인 모터를 구동하는 소 모드와, 상기 대변 센서의 감지 신호가 있을 때 흡인 모터를 구동하는 대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처리 운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빈뇨 모드는, 소변 센서의 설정 시간마다의 짧은 감지 신호가 설정 횟수 미만일 때 흡인 모터를 구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소 모드는, 소변 센서의 설정 시간마다의 짧은 감지 신호가 설정 횟수 이상일 때 흡인 모터를 단속적으로 구동해서 복수회 세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대 모드는, 대변 센서의 감지 신호가 있을 때 흡인 모터를 단속적으로 구동해서 설정 횟수 세정할 경우에 있어서, 세정수가 부족한 때에는, 설정 횟수를 감소시켜 세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방법.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인 모터는 구동과 정지를 수 분 단위로 단속 운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방법.
KR1020137020835A 2012-04-02 2012-04-02 배설물 처리장치 KR101524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58950 WO2013150588A1 (ja) 2012-04-02 2012-04-02 排泄物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353A Division KR101639069B1 (ko) 2012-04-02 2012-04-02 배설물 처리장치
KR1020147032352A Division KR101642482B1 (ko) 2012-04-02 2012-04-02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136A true KR20130140136A (ko) 2013-12-23
KR101524030B1 KR101524030B1 (ko) 2015-05-29

Family

ID=4905290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835A KR101524030B1 (ko) 2012-04-02 2012-04-02 배설물 처리장치
KR1020147032353A KR101639069B1 (ko) 2012-04-02 2012-04-02 배설물 처리장치
KR1020147032352A KR101642482B1 (ko) 2012-04-02 2012-04-02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353A KR101639069B1 (ko) 2012-04-02 2012-04-02 배설물 처리장치
KR1020147032352A KR101642482B1 (ko) 2012-04-02 2012-04-02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585805B2 (ko)
EP (3) EP2676643B1 (ko)
JP (1) JP5254498B1 (ko)
KR (3) KR101524030B1 (ko)
CN (1) CN104334127B (ko)
HK (1) HK1205921A1 (ko)
SG (1) SG11201406219RA (ko)
TW (3) TWI558389B (ko)
WO (1) WO20131505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599A (ko) * 2014-08-18 2016-02-26 주식회사 엔젤윙즈 자동 배변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변량 측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9997B1 (ja) * 2014-01-20 2015-03-25 恵子 齋藤 装着用便座
US11806266B2 (en) 2014-03-19 2023-11-07 Purewic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eiving discharged urine
CN103989563B (zh) * 2014-04-04 2017-02-15 苏州欧圣电气工业有限公司 一种中央集成护理机
TWI551254B (zh) * 2014-08-29 2016-10-01 Jin-Tian Huang Chair
CN104398334B (zh) * 2014-09-10 2017-01-11 东莞市圆葱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大小便自动处理设备的便器
US10358807B2 (en) * 2014-11-25 2019-07-23 Shandong Crrc Huateng Environment Co., Ltd. Suction seat for intelligent nursing toilet bowl
WO2016123863A1 (zh) * 2015-02-04 2016-08-11 浙江新丰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自动护理机的排泄物收集装置
CN105708646B (zh) * 2015-12-24 2018-09-11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护理机及其的电机控制方法
CN105434128B (zh) * 2016-01-09 2018-05-04 乐清市君康智能科技有限公司 高效人体智能护理仪
US10973678B2 (en) 2016-07-27 2021-04-13 Purewic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eiving discharged urine
CN106618911A (zh) * 2017-01-17 2017-05-10 上海正邻机电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带有自动清洁的医用尿盆
KR102547934B1 (ko) 2017-01-25 2023-06-26 가부시키가이샤 프로모트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6803313B2 (ja) * 2017-09-13 2020-12-23 行雄 阿部 介護用排泄物処理装置
CA3098680A1 (en) 2018-05-01 2019-11-07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garments
WO2019212951A1 (en) 2018-05-01 2019-11-07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EP3787568B1 (en) 2018-05-01 2023-12-06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devices, related systems, and related methods
SG11202103257QA (en) * 2018-10-09 2021-04-29 Promote Corp Excrement disposal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CN109773659B (zh) * 2019-02-25 2020-07-10 华中科技大学 一种防过载智能力控磨抛装置及磨抛机器人
JP6635456B1 (ja) * 2019-06-28 2020-01-22 株式会社リバティソリューション 自動排泄処理装置及び建物
CN110575335B (zh) * 2019-09-27 2020-12-01 河南省中医院(河南中医药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临床内科护理用床侧护理装置
KR20210078091A (ko) * 2019-12-18 2021-06-28 주식회사 큐라코 와상 환자의 동작 및 상태에 대한 통합 분석 기능이 적용된 배설돌봄로봇
CN111631878B (zh) * 2020-07-06 2021-06-25 张宏岩 一种适用于骨折卧床病人的粪便检测床
USD967409S1 (en) 2020-07-15 2022-10-18 Purewick Corporation Urine collection apparatus cover
US11801186B2 (en) 2020-09-10 2023-10-31 Purewick Corporation Urine storage container handle and lid accessories
WO2022076427A2 (en) * 2020-10-07 2022-04-14 Purewick Corporation Fluid transfer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EP4110247B1 (en) 2021-01-19 2024-02-28 Purewick Corporation Variable fit fluid collection devices
JP2022117728A (ja) * 2021-02-01 2022-08-12 株式会社リバティソリューション 自動排泄処理装置用カップ及び自動排泄処理装置
JP2023553620A (ja) 2021-02-26 2023-12-25 ピュアウィ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管開口とバリアとの間に排水受けを有する流体収集装置、なら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3256A (en) 1989-08-18 1990-11-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evice under test interface board and test electronic card interconnection in semiconductor test system
JP3493244B2 (ja) * 1995-04-10 2004-02-03 株式会社東洋商社 金型の水管路用簡易洗浄システム
JPH1147180A (ja) 1997-07-29 1999-02-23 Niles Parts Co Ltd 排泄物処理装置
JP3144371B2 (ja) 1998-01-19 2001-03-12 ソニー株式会社 編集装置
JP2001112802A (ja) * 1999-10-18 2001-04-24 Niles Parts Co Ltd 排泄物処理装置
US6585709B2 (en) * 2000-06-12 2003-07-01 Baltic Trader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atient care and cleaning
JP2002113030A (ja) 2000-10-10 2002-04-16 Niles Parts Co Ltd 排泄物処理装置
JP3476803B2 (ja) 2000-11-20 2003-12-10 株式会社アルボ 排泄物処理装置
WO2003023332A1 (en) 2001-09-04 2003-03-20 Alubo Co., Ltd. Capacitance coupled sensor and substance detecting method using capacitance-coupled sensor
JP4209142B2 (ja) * 2002-06-19 2009-01-14 野村マイクロ・サイエンス株式会社 処理装置
JP2005177423A (ja) * 2003-12-19 2005-07-07 Masahiko Okuno 電動屎瓶および陰部に装着可能な集尿アタッチメント
JP4542476B2 (ja) * 2004-10-20 2010-09-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収尿装置
JPWO2006046532A1 (ja) * 2004-10-29 2008-05-22 学 伊勢 排泄物処理装置
JP2006141590A (ja) 2004-11-18 2006-06-08 Enuwikku:Kk 自動排泄処理装置および穴明きおむつ
CA2602263A1 (en) * 2005-04-11 2006-10-19 Zhenhua Liu Human waste automatic processor
JP2007312920A (ja) * 2006-05-24 2007-12-06 Care Life Japan Kk 自動排泄処理装置及び自動排泄処理方法
JP4116652B2 (ja) * 2006-07-04 2008-07-09 中村 稔 自動排便処理装置
US20080017377A1 (en) * 2006-07-19 2008-01-24 Cowan Kenneth M Well fluid formulation and method
JP4065002B2 (ja) * 2006-07-31 2008-03-19 中村 稔 自動排便処理装置
CN101396319A (zh) * 2007-09-20 2009-04-01 株式会社哈德福禄 排泄物处理装置
JP2009188505A (ja) 2008-02-04 2009-08-20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4567757B2 (ja) * 2008-02-05 2010-10-20 稔 中村 自動排尿便処理装置
JP4520510B2 (ja) * 2008-02-05 2010-08-04 稔 中村 人体仰臥用便器
JP4243643B1 (ja) * 2008-03-31 2009-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排泄物処理装置
JP3144371U (ja) 2008-05-27 2008-08-28 徳雄 齋藤 自動排泄処理装置
WO2010080907A1 (en) * 2009-01-07 2010-07-15 Spiracur Inc. Reduced pressure therapy of the sacral region
JP5356838B2 (ja) 2009-01-20 2013-1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収尿装置
EP2428191A4 (en) * 2009-05-07 2017-04-12 Curac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excreta
JP5210264B2 (ja) 2009-05-12 2013-06-12 徳雄 齋藤 生体情報を収集し伝達する装置
US8904571B2 (en) * 2009-08-06 2014-12-09 Jeffrey O. Moore Fresh flush recycling toilet
CN101836913A (zh) * 2010-04-29 2010-09-22 杭州亿脑智能科技有限公司 自动护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599A (ko) * 2014-08-18 2016-02-26 주식회사 엔젤윙즈 자동 배변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변량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50588A1 (ja) 2013-10-10
KR101524030B1 (ko) 2015-05-29
CN104334127A (zh) 2015-02-04
EP2676643A4 (en) 2015-05-06
KR101639069B1 (ko) 2016-07-13
EP2796115A1 (en) 2014-10-29
EP2676643B1 (en) 2018-03-07
US20150328072A1 (en) 2015-11-19
CN104334127B (zh) 2016-06-08
TW201446232A (zh) 2014-12-16
KR20140139633A (ko) 2014-12-05
EP2676643A1 (en) 2013-12-25
JP5254498B1 (ja) 2013-08-07
SG11201406219RA (en) 2014-11-27
JPWO2013150588A1 (ja) 2015-12-14
TWI558389B (zh) 2016-11-21
TW201350101A (zh) 2013-12-16
TW201446233A (zh) 2014-12-16
US9585805B2 (en) 2017-03-07
HK1205921A1 (en) 2015-12-31
EP2796116A1 (en) 2014-10-29
KR101642482B1 (ko) 2016-07-25
TWI558390B (zh) 2016-11-21
KR20140139632A (ko) 2014-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0136A (ko)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015717B1 (ko)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JP5368621B2 (ja) 排泄物処理装置
KR101299185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CN103610550A (zh) 卧床排便护理仪
JP5362897B2 (ja) 排泄物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CN108113828A (zh) 自动排便处理器
CN104720955B (zh) 排泄物处理装置及其方法
WO2007034774A1 (ja) オムツカバー体
KR100829524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CN104688403B (zh) 排泄物处理装置及其方法
JP2007301013A (ja) 自動排泄物処理装置
CN113081451A (zh) 一种大便失禁病人卧床用引流装置
CN215875165U (zh) 一种大便失禁病人卧床用引流装置
JP2007301012A (ja) 排泄物処理用の身体装着具
JP2005192973A (ja) 洗浄優先式排泄物吸引処理装置、並びに肛門部および陰部に装着可能な排泄物処理アタッチメント
JP4141268B2 (ja) 排泄物処理装置
JP2004321399A (ja) 排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排泄物処理装置並びにオムツ
JP2004313245A (ja) 排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排泄物処理装置
WO1997043986A1 (fr) Appareil sanitaire de soins pour l'enlevement par lavage et l'aspiration automatique d'excrements
JP2004324773A (ja) 切換弁およびそれを備えた排泄物処理システム
CN117999052A (zh) 大小便用下衣及大小便处理方法
JP2004313246A (ja) 排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排泄物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