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672A -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 Google Patents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672A
KR20130138672A KR1020130057615A KR20130057615A KR20130138672A KR 20130138672 A KR20130138672 A KR 20130138672A KR 1020130057615 A KR1020130057615 A KR 1020130057615A KR 20130057615 A KR20130057615 A KR 20130057615A KR 20130138672 A KR20130138672 A KR 20130138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stitch
stitches
knitted
sto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4028B1 (ko
Inventor
노부오 후나키
이사오 유미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30138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종래보다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편성포의 풀림방지를 할 수 있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편성포로부터 급사구(9)로 연장되는 편사를 절단하는 편사절단기구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트랜스퍼가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한 후에, 그 편성포의 종단스티치(10)에 풀림방지처리를 실시하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이다. 이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은, 다음의 공정α∼공정γ를 구비한다.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종단스티치(10)에 멈춤용 스티치(12)를 새롭게 편성하는 공정α. 멈춤용 스티치(12)로부터 급사구(9)를 향하여 연장되는 편사를 편사절단기구(5)에 의하여 절단하는 공정β. 멈춤용 스티치(12)를 편성 시의 위치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멈춤용 스티치(12)의 절단 끝부(12e)를 종단스티치(20)로부터 뽑아내는 공정γ.

Description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METHOD FOR PREVENTING RAVEL OF KNITTING FABRIC}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한 후에, 그 편성포의 종단스티치(終端stitch)로부터 편성포가 풀어지지 않도록 하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종료한 후에, 그 편성포를 횡편기로부터 빼내기 위하여 횡편기의 급사구(給絲口)로부터 연장되는 편사를 절단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1에는, 그 편사를 절단하는 편사절단기구(編絲切斷機構)를 구비하는 횡편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제4015980호 공보
그런데 편성포를 횡편기로부터 빼내기 위하여 편사를 절단할 때에, 편성포의 종단스티치를 편성한 후에 종단스티치로부터 급사구로 연장되는 편사를 즉시 절단하는 것은 아니다. 편사의 절단 끝부를 잡아 당겼을 때에 종단스티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스티치가 연쇄적으로 풀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종래에는, 종단스티치에 계속하여 10∼20 코스 정도 자루편성을 한 후에 편사를 절단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만약 절단 끝부가 잡아 당겨지더라도 우선 자루편성부의 스티치가 풀어지기 때문에, 제품이 되는 편성포의 스티치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절단 끝부가 강하게 잡아 당겨졌을 경우에, 자루편성부의 스티치가 풀어져 버려서 편성포의 스티치도 풀어져 버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자루편성부를 더 많이 편성하면 자루편성부가 풀어져 버릴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이 경우에 자루편성부를 많이 편성하는 만큼 편성포의 생산성이 저하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종래보다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편성포의 풀림방지를 할 수 있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와, 니들베드의 편침에 편사를 급사(給絲)하는 급사구(給絲口)와,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편성포로부터 급사구로 연장되는 편사를 절단하는 편사절단기구(編絲切斷機構)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한 후에, 그 편성포의 종단스티치(終端stitch)에 풀림방지처리를 실시하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본 발명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은, 다음의 공정α∼공정γ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정α] …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종단스티치에 멈춤용 스티치를 새롭게 편성한다.
[공정β] … 멈춤용 스티치로부터 급사구를 향하여 연장되는 편사를 편사절단기구에 의하여 절단한다.
[공정γ] … 멈춤용 스티치를 편성 시의 위치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편사의 절단 끝부를 종단스티치로부터 뽑아낸다.
여기에서 상기 공정γ에 있어서의 멈춤용 스티치의 이동방향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아, 편성폭방향(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의 어느 쪽으로 이동시켜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공정γ에 있어서의 멈춤용 스티치의 이동은, 멈춤용 스티치를 일방(一方)의 니들베드로부터 타방(他方)의 니들베드로 트랜스퍼 하고, 타방의 니들베드를 좌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래킹(racking)한 후에, 멈춤용 스티치를 타방의 니들베드로부터 일방의 니들베드로 되돌리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하면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편사를 손상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편사의 절단 끝부를 종단스티치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이 이외에 멈춤용 스티치를 일방의 니들베드로부터 타방의 니들베드로 트랜스퍼 한 후에, 타방의 니들베드를 좌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단숨에 래킹시킴으로써 멈춤용 스티치의 이동을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 단시간에 편사의 절단 끝부를 종단스티치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의 1형태로서, 공정α에 있어서, 멈춤용 스티치의 편성 전에, 니들베드의 공침(空針)에 걸림루프로 이루어지는 지지용 스티치를 편성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경우에 공정γ의 후에, 지지용 스티치를 니들베드로부터 빼냄으로써 편성포를 횡편기로부터 빼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의 1형태로서, 공정α에 있어서, 멈춤용 스티치의 편성 전에 다음의 [1]∼[3]을 하고, 2개의 편침에 종단스티치가 결합된 상태로 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1]종단스티치를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에 트랜스퍼 함과 아울러, 그 종단스티치가 결합되어 있었던 편침에, 그 종단스티치로부터 인출된 제1신규스티치를 편성하는 스플릿 스티치(split stitch)를 한다.
[2]제1신규스티치가 결합되는 편침에 대하여 제1신규스티치의 편성방향(제1신규스티치를 편성할 때의 급사구의 이동방향)으로 근접하는 편침에, 상기 종단스티치를 트랜스퍼 한다.
[3]종단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2신규스티치를, 제1신규스티치의 편성방향과 같은 편성방향으로 편성한다.
상기 [1]∼[3]을 하면, 편성공정에 있어서는, 서로 근접하는 일방의 편침에 제1신규스티치가, 타방의 편침에 제2신규스티치가 결합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실제에는 이들 제1신규스티치와 제2신규스티치는 니들베드 상에서 풀어져 있어, 종단스티치에 연결되어 버린다(후술하는 실시형태2의 도2에 있어서의 T3'를 참조). 그 결과 편성 시보다 한층 더 큰 종단스티치가 2개의 편침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공정α에서 상기 [1]∼[3]을 함으로써 2개의 편침에 종단스티치가 결합된 상태로 하면, 공정γ에서 종단스티치에 계속되는 멈춤용 스티치를 편성하더라도, 종단스티치는 아직 1개의 편침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공정γ의 후에 종단스티치를 니들베드로부터 빼낸다. 이렇게 함으로써 편성포를 횡편기로부터 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에 의하면, 종단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하여 편성된 멈춤용 스티치로부터 연장되는 편사의 절단 끝부를, 멈춤용 스티치의 인출방향으로 뽑아냄으로써 종단스티치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메커니즘을 도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3(A)는, 종단스티치(30)의 웨일방향으로 멈춤용 스티치(31)를 편성하고, 편사의 절단 끝부(30e)를 종단스티치(30)로부터 뽑아내지 않았을 때의 스티치 상태를 나타내는 루프도이다. 도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측의 스티치에 대하여 상측의 스티치가 지면(紙面)의 전방측으로부터 속측을 향하여 인출되어 있고, 하측에 있는 스티치의 형상이 상측에 있는 스티치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절단 끝부(30e)를 잡아 당기면, 멈춤용 스티치(31)는 그 형상을 지지할 수 없어 지면의 전방측으로 잡아 당겨져서 종단스티치(30)로부터 빠진다. 멈춤용 스티치(31)가 종단스티치(30)로부터 빠지면, 종단스티치(30)의 형상을 지지하는 멈춤용 스티치(31)가 없어지기 때문에, 종단스티치(30)는 그 하단(下段)의 스티치로부터 빠진다. 이러한 것이 반복됨으로써 편성포가 풀어져 버린다. 이에 대하여 도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에 의하여 편사의 절단 끝부(30e)를 종단스티치(30)로부터 뽑아내면, 절단 끝부(30e)를 잡아 당기더라도 검은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위치에서 편사가 얽혀 있기 때문에, 종단스티치(30)의 형상이 지지되어 종단스티치(30)가 그 하측의 스티치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이 도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단 절단 끝부(30e)를 종단스티치(30)로부터 인출방향으로 뽑아내면, 편성포가 풀어지기 쉬운 도3(A)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은 손을 사용하더라도 어렵게 되어, 따라서 도3(B)의 상태로부터 편성포가 자연스럽게 풀어지는 것은 거의 없어지게 된다.
멈춤용 스티치를 편성하기 전에 지지용 스티치를 편성하는 본 발명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에 의하면, 멈춤용 스티치를 이동할 때에 편사의 절단 끝부가 종단스티치로부터 뽑아내기 쉽게 된다. 이것은, 지지용 스티치에 의하여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종단스티치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종단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형성되는 멈춤용 스티치를 이동시켰을 때에 그 멈춤용 스티치의 이동에 종단스티치가 붙어 가지 않도록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실시형태1에서 설명한다.
멈춤용 스티치를 편성하기 전에 스플릿 스티치(split stitch)를 하여 2개의 편침에 종단스티치가 결합된 상태로 하는 본 발명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에 의하면, 멈춤용 스티치를 이동할 때에 편사의 절단 끝부가 종단스티치로부터 뽑아내기 쉽게 된다. 이것은, 2개의 편침에 결합되는 종단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하여 멈춤용 스티치를 편성하더라도 아직 1개의 편침에 종단스티치가 결합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종단스티치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2개의 편침에 결합된 종단스티치는 그 루프 지름이 보통 경우의 스티치보다 크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편사의 절단 끝부가 뽑히기 쉽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실시형태2에서 설명한다.
도1은,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의 편성공정도이다.
도2는, 실시형태2에 관한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의 편성공정도이다.
도3에 있어서, (A)는 편사의 절단 끝부를 종단스티치로부터 뽑아내지 않고 그대로 하였을 때의 스티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루프도, (B)는 절단 끝부를 종단스티치로부터 뽑아내었을 때의 스티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루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에 대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편성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앞쪽 니들베드(이하, FB)와 뒤쪽 니들베드(이하, BB) 및 FB와 BB에 편사를 급사(給絲)하는 급사구(給絲口)를 구비하고, FB와 BB의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하고 또한 BB가 좌우로 래킹(racking) 가능한 2베드 횡편기(2bed 橫編機)를 사용하였다. 이 2베드 횡편기는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편성포로부터 급사구로 연장되는 편사를 절단하는 편사절단기구(編絲切斷機構)를 구비한다. 물론 사용하는 횡편기는, 2베드 횡편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트랜스퍼 전용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이더라도 좋고, 4베드 횡편기이더라도 좋다.
<실시형태1>
실시형태1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을 도1의 편성공정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의 좌란(左欄)에 기재되는 『알파벳 + 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우란(右欄)에 기재되는 좌우방향의 화살표는 편성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도1의 중란(中欄)에는 각 편성공정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실제의 편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S0에는, BB의 편침(2)에 편성포의 종단스티치(終端stitch)(10)가 결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S0에서는, 종단스티치(10)의 편성에 사용하는 급사구(9)가 종단스티치(10)보다 지면(紙面)의 우측에 있다. 종단스티치(10)는 문자 그대로 편성포의 최후의 스티치이며, 이 종단스티치(10)가 결합되는 편침(2) 이외의 편침은 모두 공침(空針)이다.
S1에서는, 급사구(9)를 지면의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BB의 편침(3)(공침)에 걸림루프로 이루어지는 지지용 스티치(11)를 편성한다. 또한 S1에서는, 지지용 스티치(11)의 편성에 계속하여 BB의 편침(2)에 결합되는 종단스티치(10)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멈춤용 스티치(12)를 편성한다(본 발명의 공정α에 상당). 또 S1에 있어서의 지지용 스티치(11)의 편성은 필수가 아니어서 생략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용 스티치(11)를 형성함으로써 편성포의 풀림방지처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지지용 스티치(11)를 편성하는 경우에 그 편성위치는 BB의 편침(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2에서는, 멈춤용 스티치(12)로부터 급사구(9)로 연장되는 편사를 편사절단기구(5)에 의하여 절단한다(본 발명의 공정β에 상당). 편사절단기구(5)는, 일본국 특허 제4015980호 공보 등에 기재된 공지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S3에서는, S1에 있어서 편성한 멈춤용 스티치(12)를 BB의 편침(2)의 위치(즉 S1에서 멈춤용 스티치(12)를 편성한 위치)로부터 편성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멈춤용 스티치(12)의 이동방향은, 도1에 있어서 지면의 우측방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지면의 좌측방향이더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멈춤용 스티치(12)를 FB의 편침을 경유시켜서 BB의 편침(4)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멈춤용 스티치(12)를 편성 시의 위치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S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사의 절단 끝부(12e)가 종단스티치(10)를 뚫고 나가서, 지면의 속측(즉 멈춤용 스티치(12)가 종단스티치(10)로부터 인출되는 측)으로 뽑힌다(본 발명의 공정γ에 상당). 이 때에 S1에서 지지용 스티치(11)를 형성하여 둠으로써 절단 끝부(12e)를 종단스티치(10)로부터 뽑아내기 쉽게 할 수 있다. S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용 스티치(11)로부터 멈춤용 스티치(12)로 연장되는 편사가 종단스티치(10)에 걸려서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종단스티치(10)의 위치를 고정하기 때문에, 멈춤용 스티치(12)의 이동에 종단스티치(10)가 붙어 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1회의 멈춤용 스티치(12)의 이동에 의하여 절단 끝부(12e)를 종단스티치(10)로부터 빼내지 못하면, 빠질 때까지 멈춤용 스티치(12)의 이동을 반복하면 된다. 이와 같이 멈춤용 스티치(12)를 서서히 이동시킴으로써 편사에 지나친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실 끊어짐의 걱정 없이 절단 끝부(12e)를 종단스티치(10)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또 편사의 절단 길이가 짧으면, 간단하게 멈춤용 스티치(12)를 BB로부터 FB로 트랜스퍼 하는 것만으로 절단 끝부(12e)를 종단스티치(10)로부터 빼내는 경우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편성공정에 의하여 절단 끝부(12e)를 종단스티치(10)로부터 뽑아냄으로써 도3(B)를 사용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편성포가 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횡편기로부터 편성포를 빼내는 경우에, BB의 편침(3) 상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지지용 스티치(11)를 빼내면 된다.
또 절단 끝부(12e)를 종단스티치(10)로부터 빼내는 방법으로서, 상기 멈춤용 스티치(12)를 서서히 이동시키는 방법 이외에 멈춤용 스티치(12)를 FB에 보관하고, 지면의 우측방향 또는 좌측방향으로 BB(FB가 래킹 가능하다면 FB이더라도 좋다)를 단숨에 래킹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끊어지기 어려운 튼튼한 편사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이 방법이라면 단시간에 절단 끝부(12e)를 종단스티치(10)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2에서는, 스플릿 스티치(split stitch)를 함으로써 종단스티치를 니들베드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고, 멈춤용 스티치를 이동시켰을 때에 편사의 절단 끝부가 종단스티치로부터 뽑히기 쉽게 한 본 발명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을 도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 도2의 보는 방법은 도1과 같다.
도2의 T0에는, FB의 편침(3)에 종단스티치(20)가 결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상태로부터 T1에서는, 종단스티치(20)를 대향하는 BB의 편침(3)으로 트랜스퍼 함과 아울러, 종단스티치(20)가 결합되어 있었던 FB의 편침(3)에, 그 종단스티치(20)로부터 인출된 제1신규스티치(21)를 편성하는 스플릿 스티치를 한다.
T2에서는, 스플릿 스티치에 의하여 BB의 편침(3)으로 트랜스퍼 된 종단스티치(20)를 FB의 편침(2)으로 트랜스퍼 한다. 그리고 T3에서는, 급사구(9)를 일단 지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급사구(9)를 지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종단스티치(20)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2신규스티치(22)를 편성한다. 여기에서 T2에 있어서의 종단스티치(20)의 트랜스퍼 방향 및 T3에 있어서의 제2신규스티치(22)의 편성방향을, 제1신규스티치(21)의 편성방향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편성공정에 있어서 FB의 편침(3, 2)에 결합되는 스티치(21, 22)가 니들베드 상에서 풀어져서 종단스티치(20)와 1개로 연결된다. 그 결과 T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편침(2, 3)에 1개의 큰 종단스티치(20)가 결합된 상태가 된다.
T4에서는, 급사구(9)를 지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FB의 2개의 편침(2, 3)에 결합되는 종단스티치(20)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멈춤용 스티치(23)를 편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멈춤용 스티치(23)를 편침(2)에 의하여 편성하고 있기 때문에, 편침(3)에는 아직 종단스티치(20)가 결합된 상태에 있다. 또 멈춤용 스티치(23)는, 편침(3)에 의하여 편성하더라도 좋고, 그 경우에도 편침(2)에는 아직 종단스티치(20)가 결합된 상태가 된다.
또한 T4에서는, 멈춤용 스티치(23)를 편성한 후에, 편사절단기구(5)에 의하여 멈춤용 스티치(23)로부터 급사구(9)로 연장되는 편사를 절단한다. 이후에는, 실시형태1의 S2와 마찬가지로 멈춤용 스티치(23)를 편성폭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편사의 절단 끝부(23e)를 종단스티치(20)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이 때에 종단스티치(20)는 FB의 편침(3)에 결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멈춤용 스티치(23)의 이동에 따라 종단스티치(20)가 붙어 가지 않아 절단 끝부(23e)를 종단스티치(20)로부터 뽑아내기 쉽다. 또한 T3'일 때에 인접하는 2개의 편침에 종단스티치(20)가 결합됨으로써 종단스티치(20)의 루프 지름이 보통의 경우보다 커져 있기 때문에, 절단 끝부(23e)를 종단스티치(20)로부터 뽑아내기 쉽다.
이상에서 설명한 편성공정에 의해서도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편성포의 풀림방지를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편성포를 횡편기로부터 빼내는 경우에, FB의 편침(3) 상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종단스티치(20)를 빼내면 된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1, 2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을 하기 전에, 편성포의 종단스티치에 대하여 종래보다 적은 회수(예를 들면 1∼5회)의 자루편성을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자루편성부의 최후의 스티치를 종단스티치로 하여 본 발명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을 실시한다.
1∼4 : 편침
5 : 편사절단기구
9 : 급사구
10 : 종단스티치 11 : 지지용 스티치
12 : 멈춤용 스티치 12e : 절단 끝부
20 : 종단스티치 21 : 제1신규스티치 22 : 제2신규스티치
23 : 멈춤용 스티치 23e : 절단 끝부
30 : 종단스티치 31 : 멈춤용 스티치 30e : 절단 끝부

Claims (3)

  1.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와, 니들베드의 편침에 편사를 급사(給絲)하는 급사구(給絲口)와,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편성포로부터 급사구로 연장되는 편사를 절단하는 편사절단기구(編絲切斷機構)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한 후에, 그 편성포의 종단스티치(終端stitch)에 풀림방지처리를 실시하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에 있어서,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종단스티치에 멈춤용 스티치를 새롭게 편성하는 공정α와,
    상기 멈춤용 스티치로부터 급사구를 향하여 연장되는 편사를 상기 편사절단기구에 의하여 절단하는 공정β와,
    상기 멈춤용 스티치를 편성 시의 위치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편사의 절단 끝부를 상기 종단스티치로부터 뽑아내는 공정γ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α에 있어서, 상기 멈춤용 스티치의 편성 전에, 니들베드의 공침(空針)에 걸림루프로 이루어지는 지지용 스티치를 편성하고,
    상기 공정γ의 후에, 상기 지지용 스티치를 니들베드로부터 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α에 있어서, 상기 멈춤용 스티치의 편성 전에, 다음의 [1]∼[3]을 함으로써 근접하는 2개의 편침에 종단스티치가 결합된 상태로 하고,
    상기 공정γ의 후에, 상기 종단스티치를 니들베드로부터 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1]상기 종단스티치를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에 트랜스퍼 함과 아울러, 그 종단스티치가 결합되어 있었던 편침에, 상기 종단스티치로부터 인출된 제1신규스티치를 편성하는 스플릿 스티치(split stitch)를 한다.
    [2]상기 제1신규스티치가 결합되는 편침에 대하여 상기 제1신규스티치의 편성방향으로 근접하는 편침에, 상기 종단스티치를 트랜스퍼 한다.
    [3]상기 종단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2신규스티치를, 상기 제1신규스티치의 편성방향과 같은 편성방향으로 편성한다.
KR1020130057615A 2012-06-11 2013-05-22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KR101414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31509A JP5991858B2 (ja) 2012-06-11 2012-06-11 編地の解れ止め方法
JPJP-P-2012-131509 2012-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672A true KR20130138672A (ko) 2013-12-19
KR101414028B1 KR101414028B1 (ko) 2014-07-01

Family

ID=49487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615A KR101414028B1 (ko) 2012-06-11 2013-05-22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991858B2 (ko)
KR (1) KR101414028B1 (ko)
CN (1) CN103485047B (ko)
DE (1) DE102013009709A1 (ko)
IT (1) ITTO201304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1053A (ja) * 2014-02-28 2015-09-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解れ止め方法
JP6635988B2 (ja) * 2017-08-01 2020-01-2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4832A (en) * 1955-01-17 1958-10-07 Joseph L Morris Method of forming an edge and knitting swiss ribs on knitted fabrics without racking
JP2546907B2 (ja) 1990-05-09 1996-10-23 ローム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装置
EP0616064B1 (de) * 1993-03-16 1997-08-27 H. Stoll GmbH & Co. Verfahren zur Bildung eines Fadensicherungsknotens auf einer Flachstrickmaschine, Gestrick mit einem Fadensicherungsknoten und Verwendung einer Flachstrickmaschine zur Herstellung des Knotens
JP3099304B2 (ja) * 1994-09-01 2000-10-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解れ止め方法
JP3541098B2 (ja) * 1996-02-29 2004-07-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伏せ目処理方法
WO2008004345A1 (fr) * 2006-07-05 2008-01-10 Shima Seiki Mfg., Ltd. tissu tricoté, procédé pour le tricoter et métier à tricoter
JP5414538B2 (ja) * 2007-12-28 2014-02-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EP2390393A1 (en) * 2008-12-24 2011-11-30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Method for preventing ravel of knitting yarn and knitted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4028B1 (ko) 2014-07-01
CN103485047A (zh) 2014-01-01
CN103485047B (zh) 2015-06-24
JP5991858B2 (ja) 2016-09-14
DE102013009709A1 (de) 2013-12-12
JP2013256723A (ja) 2013-12-26
ITTO20130469A1 (it)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4696B2 (ja) 編糸の解れ止め方法、および編地
JP5955241B2 (ja) 編糸の解れ止め方法
JP5695862B2 (ja) 編地の編出し方法
KR20130098897A (ko)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
JP5955212B2 (ja) 編糸の解れ止め方法
KR100634388B1 (ko) 끝실을 처리하기 위한 편성방법
KR101347648B1 (ko) 편성포의 편성시작방법
KR101648748B1 (ko)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JP5479048B2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KR101414028B1 (ko)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KR101844741B1 (ko) 편사의 풀림방지방법
JP3099304B2 (ja) 解れ止め方法
KR101754144B1 (ko) 편성방법
JP2016141905A (ja) 編地の編出し方法
JP2013019062A (ja) 編目抑止杆を備える横編機およびその編成方法
WO2006104062A1 (ja) 編地の編成方法
JP6292828B2 (ja) 編糸の解れ止め方法、および編地
KR20130102000A (ko) 편사의 풀림방지방법
JP7438011B2 (ja) 横編機によるパイル編地の編成方法
CN115074897B (zh) 由横编机编织的绒头编织物的编织方法
WO2022191048A1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2024034119A (ja) 編地の編成方法
KR101521854B1 (ko) 택건의 실 공급바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