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2265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2265A
KR20130132265A KR1020130037918A KR20130037918A KR20130132265A KR 20130132265 A KR20130132265 A KR 20130132265A KR 1020130037918 A KR1020130037918 A KR 1020130037918A KR 20130037918 A KR20130037918 A KR 20130037918A KR 20130132265 A KR20130132265 A KR 20130132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s
members
portions
pressing memb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8765B1 (ko
Inventor
다케루 고지마
다케시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2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1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conductive elasto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커넥터 (10) 는 제 1 접속 물체 (60) 와 제 2 접속 물체 (70)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이들 물체 사이에 개재되도록 되어 있다. 이 커넥터 (10) 는 다수의 접속 부재들 (20), 이 접속 부재들 (20) 을 유지하는 빔 (30), 및 이 빔 (30) 을 지지하는 지지 부분 (40) 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부재들의 각각은 그 종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전도성 부분들 (24) 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접속 물체들 (60, 70) 이 서로 접근하게 되는 제 1 방향 (X) 에 대해 수직한 제 2 방향 (Y) 으로 연장하는 종방향을 각각 갖는 접속 부재들 (20) 은, 제 1 및 제 2 방향 (X, Y) 에 수직한 제 3 방향 (Z) 으로 배치된다. 빔 (30) 은, 접속 부재들 (20) 과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빔의 종방향이 제 3 방향 (Z) 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빔 (30) 은, 이 빔 (30) 이 접속 부재들 (20) 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접속 부재들 (20) 과 맞물리는 맞물림 부분들 (32) 을 갖는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출원은 2012년 5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2-119166 호에 기초하고, 그 출원으로부터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위 출원의 개시는 참조에 의해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접속 물체들 사이에서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접속 물체들 사이에 개재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5 및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한 쌍의 접속 물체들 (160, 170)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접속 장치 (110) 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JP-A-2007-95632 (특허 문헌 1) 참조). 이 접속 장치 (110) 는 다수의 접속 부재들 (120) 을 포함하고, 각 접속 부재 (120) 는 접속 물체들 (160, 170) 이 상호 접근하게 되는 제 1 방향 (X) 에 수직한 제 2 방향 (Y) 으로 연장하는 종방향을 갖는다. 이 접속 부재들 (120) 은 제 1 및 제 2 방향 (X, Y) 에 수직한 제 3 방향 (Z) 으로 배치된다. 이 접속 장치 (110) 는 접속 부재들 (120) 을 유지하는 프레임 (140) 을 더 포함한다. 각 접속 부재 (120) 는 탄성 부재 (121), 이 탄성 부재 (121) 내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 (122), 탄성 부재 (121) 의 표면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도체들 (124), 및 제 3 방향 (Z) 으로 상호 인접하는 도체들 (124)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탄성 부재 (121) 와 일체로 형성되는 피치간 (inter-pitch) 부분 (121A) 을 포함한다.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 문헌 1의 접속 장치 (110) 에서, 지지 부재들 (122) 의 탄성 부재들 (121) 의 양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돌출 부분들 (122A) 은, 접속 부재들 (120) 이 프레임 (140) 에 유지되도록 프레임 (140) 과 맞물린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접속 장치 (110) 에서, 접속 장치 (110) 가 접속 물체들 (160, 170) 사이에 개재될 때, 접속 부재들 (120) 은 그 종방향의 양 단부에서만 유지되므로, 이 접속 부재들 (120) 은 접속 물체들 (160, 170) 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기인되어 비틀림 또는 굽힘과 같은 원하지 않는 변형을 받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접속 부재들 (120) 이 이와 같은 힘에 기인되어 아치형으로 굴곡되므로, 접속 부재들 (120) 의 종방향의 중간부는 제 3 방향 (Z) 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접속 부재들 (120) 의 이와 같은 원하지 않는 변형에 기인되어 도체들 (124) 의 위치가 올바른 위치로부터 오프셋될 가능성이 있고, 그 결과 접속 장치 (110) 의 접촉 신뢰성이 감소된다.
특허 문헌 1의 접속 장치 (110) 에서, 접속 부재들 (120) 의 전술한 원하지 않는 변형에 기인된, 제 3 방향 (Z) 으로 상호 인접하는 도체들 (124)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도체들 (124)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피치간 부분들 (121A) 이 제공된다. 그러나, 이것은 제 3 방향 (Z) 으로 도체들 (124) 의 피치 협폭화 (pitch narrowing) 가 방해되는 문제를 유발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들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도성 부분들의 위치 오프셋을 방지하고 전도성 부분들의 피치 협폭화를 달성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제 1 접속 물체와 제 2 접속 물체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접속 물체와 상기 제 2 접속 물체 사이에 개재되도록 되어 있는 커넥터로서, 다수의 접속 부재들; 상기 접속 부재들을 유지하는 빔; 및 상기 빔을 지지하는 지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부재들의 각각은 그 종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전도성 부분들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 물체들이 서로 접근하게 되는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을 각각 갖는 상기 접속 부재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에 수직한 제 3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빔은 상기 접속 부재들과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상기 빔의 종방향이 상기 제 3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상기 빔은, 상기 빔이 상기 접속 부재들과 교차하는 위치들에서, 상기 접속 부재들과 맞물리는 맞물림 부분들을 갖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접속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빔과 교차하는 상기 접속 부재의 부분이 그 부분의 제 2 접속 물체 측으로부터 그 부분의 제 1 접속 물체 측을 향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을 갖는 빔 수용 부분을 갖고, 상기 빔은 상기 접속 부재들의 빔 수용 부분들 내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빔 수용 부분들 내에 수용된다.
상기 빔의 상기 맞물림 부분들의 각각은 상기 빔의 제 1 접속 물체 측으로부터 상기 빔의 제 2 접속 물체 측을 향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접속 부재들의 각각은 빔 맞물림 부분들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접속 부재들의 빔 맞물림 부분들은 상기 빔의 맞물림 부분들 내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빔의 맞물림 부분들과 맞물린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접속 부재들의 탈락 (coming off) 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 부분에 부착되는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접속 부재들과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상기 가압 부재의 종방향이 상기 제 3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고, 또 상기 접속 부재들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빔의 반대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접속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가압 부재와 교차하는 상기 접속 부재의 부분이 그 부분의 제 1 접속 물체 측으로부터 그 부분의 제 2 접속 물체 측을 향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을 갖는 가압 부재 수용 부분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접속 부재들의 가압 부재 수용 부분들 내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압 부재 수용 부분들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접속 부재들의 각각은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표면에 부착되는 막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막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전도성 부분들 및 절연성 부분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 부재의 내측을 통해 배치되는 캐리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캐리어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탄성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는 상기 탄성 부재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접속 부재의 제 2 접속 물체 측으로부터 상기 접속 부재의 제 1 접속 물체 측을 향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을 갖는 빔 수용 부분으로서 역할할 수 있고, 상기 빔은 상기 접속 부재들의 빔 수용 부분들 내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빔 수용 부분들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빔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빔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속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배치되는 빔들 중 적어도 2 개의 빔들 위에 놓일 수 있다.
상기 접속 부재들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접속 부재들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호 인접할 수 있다.
상기 빔은 상기 지지 부분으로부터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 부재들과 맞물리는 맞물림 부분들을 갖는 빔이 접속 부재들과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배치되므로, 접속 부재의 양 단부 이외의 부분에서, 즉 접속 부재의 종방향으로 양 단부의 내측 부분에서 각 접속 부재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커넥터가 접속 물체들 사이에 개재되었을 때, 접속 물체들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기인되는 접속 부재들의 비틀림 또는 굽힘과 같은 원하지 않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이와 같은 접속 부재들의 원하지 않는 변형에 기인되는 전도성 부분들의 위치 오프셋을 억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커넥터의 접촉 신뢰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의 접속 장치와 같은 전도성 부분들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기 유지하기 위한 피치간 부분을 제공함이 없이 제 3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는 접속 부재들의 전도성 부분들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제 3 방향으로 전도성 부분들의 피치 협폭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사용하는 방식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커넥터의 사시도 및 그 부분 확대도이고;
도 3 은 빔과 프레임의 사시도 및 그 부분 확대도이고;
도 4 는 빔들, 프레임과 접속 부재의 사시도 및 그 부분 확대도이고;
도 5 는 접속 부재의 설명도이고;
도 6 은 커넥터 및 접속 물체들을 도시하는, 도 2 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7 은 커넥터 및 접속 물체들을 도시하는 도 2 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사용하는 방식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프레임, 빔들, 가압 부재들, 및 접속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접속 부재를 도시하는 확대 설명도이고;
도 10 은 도 9 에 도시된 커넥터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 7 에 대응하는 단면도 및 접속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내에 결합되는 접속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접속 부재들 및 빔들의 조립 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접속 부재들 및 빔들의 조립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5 는 종래 기술의 접속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6 은 종래 기술의 접속 장치 및 접속 물체들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접속 물체들이 상호 접근하게 되는 방향이 제 1 방향 (X) 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방향 (X) 에 수직한 방향이 제 2 방향 (Y) 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 (X, Y) 에 수직한 방향이 제 3 방향 (Z) 으로 정의된다.
<실시형태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10) 는 IC 팩키지로서 형성되는 제 1 접속 물체 (60) 와 하부 보드로서 형성되는 제 2 접속 물체 (70)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성되어, 이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접속 물체들 (60, 70)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형성한다. 도 1 에서, 도면 부호 80은 상부 보강재를 표시하고, 도면 부호 81은 하부 보강재를 표시하고, 도면 부호 82는 상부 및 하부 보강재 (80, 81) 를 함께 고정하기 위한 나사를 표시한다. 커넥터 (10) 는 이 실시형태에서 실제 장착 커넥터로서 설명되지만, 대안으로서 시험용 커넥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10) 는 다수의 접속 부재들 (20), 이 접속 부재들 (20) 을 유지하는 다수의 빔들 (30), 및 이 빔들 (30) 을 지지하는 프레임 (40) 을 포함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제 2 방향 (Y) 으로 연장하는 종방향을 갖는 접속 부재들 (20) 은 제 3 방향 (Z) 으로 배치된다. 각 접속 부재 (20) 는 제 2 방향 (Y) 으로 배치되는 2 개의 빔들 (30) 위에 놓이고, 이 2 개의 빔들 (30) 과 맞물리고, 또 이 2 개의 빔들 (30) 에 의해 유지된다. 접속 부재 (20) 와 맞물려서 이 접속 부재 (20) 를 유지하는 빔 (30) 의 개수는 1 개 또는 3 개와 같은 임의의 개수일 수 있으나, 접속 부재 (20) 가 2 개 이상의 빔들 (30) 과 맞물려서, 이 2 개 이상의 빔들 (30) 에 의해 유지되는 경우, 접속 부재 (20) 의 유지 상태는, 접속 부재 (20) 가 단일 빔 (30) 과 맞물려서 단일 빔 (30) 에 의해 유지되는 경우에 비해 더 안정적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제 3 방향 (Z) 으로 배치되는 접속 부재들 (20) 을 포함하는 4 개의 열 (row) 이 제 2 방향 (Y) 으로 배치된다. 접속 부재들 (20) 은 제 2 방향 (Y) 으로 접속 부재들 (20) 사이에 간격이 없는 상태 (또는 간격이 거의 없는 상태) 로 제 2 방향 (Y) 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접속 부재들 (20) 의 열의 개수는 1, 2, 또는 3 개와 같은 임의의 개수일 수 있다.
도 4 및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접속 부재 (20) 는 절연성 탄성 부재 (21), 제 2 방향 (Y) 을 따라 탄성 부재 (21) 의 내측을 통해 배치되는 캐리어 (22), 및 탄성 부재 (21) 의 표면에 접착된 막 (23) 을 포함한다.
탄성 부재 (21) 는 합성 고무 등으로 제작되고, 캐리어 (22) 는 탄성 부재 (21) 보다 더 큰 강도를 갖는 절연성 수지 또는 금속과 같은 재료로 제작된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 (23) 은 제 2 방향 (Y) 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전도성 부분들 (24) 및 절연성 부분들 (25) 로 형성된다. 막 (23) 을 탄성 부재 (21) 의 표면에 접착하는 대신, 전도성 부분들 (24) 은 스퍼터링 (sputtering) 등에 의해 탄성 부재 (21) 의 표면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향 (X) 에서 제 1 접속 물체 (60) 와 대면하는, 접속 부재들 (20) 의 전도성 부분들 (24) 의 각각의 부분은 제 1 접속 물체 (60) 와 접촉하게 되는 제 1 접촉 부분 (24A) 으로서 역할하는 한편, 제 1 방향 (X) 에서 제 2 접속 물체 (70) 와 대면하는, 접속 부재들 (20) 의 전도성 부분들 (24) 의 각각의 부분은 제 2 접속 물체 (70) 와 접촉하게 되는 제 2 접촉 부분 (24B) 으로서 역할한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접속 부재 (20) 에는, 그 종방향의 양단부에 인접하여, 각각 빔 (30) 과 교차하는 절결형 (cutout-like) 빔 수용 부분들 (26) 이 형성되어 있다. 각 빔 수용 부분 (26) 은 접속 부재 (20) 의 제 2 접속 물체 (70) 측으로부터 접속 부재 (20) 의 다른 측을 향해 제 1 방향 (X) 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갖는다. 각 빔 (30) 은 접속 부재들 (20) 의 빔 수용 부분들 (26) 내로 제 1 방향 (X) 으로 삽입되므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30) 의 맞물림 부분들 (32) 의 각각은 접속 부재들 (20) 의 빔 맞물림 부분들 (27) 과 제 1 방향 (X) 으로 정렬된다. 결과적으로, 커넥터 (10) 가 접속 물체들 (60, 70) 사이에 개재되었을 때, 빔들 (30) 은 접속 부재들 (20) 의 탄성 변형 또는 접속 부재들 (20) 과 접속 물체들 (60, 70) 사이의 접촉을 배제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접속 부재들 (20) 은 제 2 방향 (Y) 및 제 3 방향 (Z) 으로 위치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접속 부재 (20) 에서, 캐리어 (22) 는 빔 수용 부분들 (26) 의 저부에서 외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캐리어 (22) 의 이들 노출된 부분들은 각각 빔 (30) 의 맞물림 부분 (32) 에 끼워 맞춤되는 빔 맞물림 부분 (27) 으로서 역할한다.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제 3 방향 (Z) 으로 연장하는 종방향을 갖는 빔들 (30) 은 제 2 방향 (Y) 으로 배치되므로 각 빔 (30) 은 접속 부재들 (20) 과 십자형으로 교차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빔 (30) 은 종방향으로 그 양 단부에 인접하여 끼워 맞춤 절결 부분들 (31) 을 갖고, 이 끼워 맞춤 절결 부분들 (31) 을 각각 프레임 (40) 의 끼워 맞춤 샤프트 부분들 (44) 에 끼워 맞춤함으로써 프레임 (40) 에 고정된다. 빔들 (30) 을 프레임 (40) 에 고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전술한 끼워 맞춤 고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이한 재료로 제작된 빔들 (30) 과 프레임 (40) 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함께 일체로 고정되거나, 또는 동일한 재료로 제작된 빔들 (30) 과 프레임 (40) 이 함께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도 3 및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빔 (30) 은 빗형 (comb-like) 구조의 치형부 (teeth) 를 형성하도록 제 3 방향 (Z) 을 따라 배치되는 절결 형상의 맞물림 부분들 (32) 을 구비하고 있다. 각 맞물림 부분 (32) 은 빔 (30) 의 제 1 접속 물체 (60) 측으로부터 빔의 제 2 접속 물체 (70) 측을 향해 제 1 방향 (X) 으로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맞물림 부분들 (27) 은 맞물림 부분들 (32) 내로 제 1 방향 (X) 으로 각각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접속 부재들 (20) 은 빔들 (30) 에 부착되고, 제 2 방향 (Y) 및 제 3 방향 (Z) 에서 위치결정된다. 접속 부재들 (20) 과 빔들 (30) 사이의 접합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맞물림 부분들 (32) 과 빔 맞물림 부분들 (27) 사이의 접촉 부분들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프레임 (40) 은 절연성 수지로 제작되고, 프레임 형상을 갖는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40) 은 중앙에 장방형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프레임 저부 플레이트 부분 (41), 및 프레임 저부 플레이트 부분 (41) 과 일체이고, 프레임 저부 플레이트 부분 (41) 의 4 개의 측부를 따라 직립으로 형성되어 제 1 접속 물체 (60) 를 위한 위치결정 가이드로서 역할하는 프레임 측벽 부분 (42) 을 포함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저부 플레이트 부분 (41) 은, 제 2 방향 (Y) 으로 빔들 (30) 을 위치결정하기 위해 빔들 (30) 의 양 단부들을 수용하는 위치결정 그루브들 (43), 및 빔들 (30) 의 끼워 맞춤 절결 부분들 (31) 이 각각 끼워 맞춤되는 끼워 맞춤 샤프트 부분들 (44) 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저부 플레이트 부분 (41) 은 제 2 접속 물체 (70) 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핀들 (45) 을 구비하고 있는 하부 표면을 갖는다.
전술한 이 실시형태에서, 접속 부재들 (20) 과 맞물리는 맞물림 부분들 (32) 을 갖는 빔들 (30) 이 접속 부재들 (20) 과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배치되므로, 접속 부재들 (20) 의 양 단부 이외의 부분들에서, 즉 접속 부재들 (20) 의 종방향의 양 단부의 내측 부분들에서 접속 부재들 (20) 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커넥터 (10) 가 접속 물체들 (60, 70) 사이에 개재되었을 때, 접속 물체들 (60, 70) 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기인되는 접속 부재들 (20) 의 제 3 방향 (Z) 으로의 비틀림이나 아치형 굽힘과 같은 원하지 않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접속 부재들 (20) 의 이와 같은 원하지 않는 변형에 기인되는 전도성 부분들 (24) (특히, 제 1 접촉 부분들 (24A) 과 제 2 접촉 부분들 (24B)) 의 위치 오프셋을 억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커넥터 (10) 의 접촉 신뢰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도 15 및 도 16 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접속 장치 (110) 에서와 같이 도체들 (124)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피치간 부분 (121A) 을 제공함이 없이, 제 3 방향 (Z) 으로 상호 인접하는 접속 부재들 (20) 의 전도성 부분들 (24)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제 3 방향 (Z) 으로 전도성 부분들 (24) 의 피치 협폭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이 실시형태에서, 접속 부재들 (20) 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향 (Y) 으로 배치되었을 때, 접속 부재들 (20) 의 양 단부 이외의 부분들이 빔들 (30) 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접속 부재들 (20) 은 제 2 방향 (Y) 으로 이 접속 부재들 (20) 사이에 간격이 전혀 없는 상태로 (또는 간격이 거의 없는 상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15 및 도 16 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접속 장치 (110) 에서와 같이 접속 부재들 (120) 의 종방향의 양 단부들이 프레임 (140) 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의 경우, 접속 부재들 (120) 이 제 2 방향 (Y) 으로 배치되었을 때, 접속 부재들 (120) 은 제 2 방향 (Y) 으로 접속 부재들 (120) 사이에 간격이 없는 상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없다.
더욱이, 이 실시형태에서, 각 접속 부재 (20) 는 빔 (30) 에 접근하여 빔 (30) 과 맞물리도록 제 1 방향 (X) 으로 접속 부재 (20) 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빔 (30) 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속 부재들 (20) 의 부착이 용이하게 그리고 간단하게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빔들 (30) 이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 (40) 위에 각각 고정 장착되므로, 빔들 (30) 은 프레임 (40) 의 강도가 개선될 수 있도록 보강 빔으로서 역할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의 차이만을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된 제 1 실시형태에서, 제 1 접속 물체 (60) 는 IC 패키지로서 형성된다. 반면, 도 8 에 도시된 제 2 실시형태에서, 제 1 접속 물체 (60) 는 상부 보드로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8 에 도시된 제 2 실시형태에서, 커넥터 (10) 는 IC 패키지를 위한 위치결정 가이드로서 역할하는 전술한 프레임 측벽 부분 (42) 을 갖지 않지만, 그 대신 프레임 저부 플레이트 부분 (41) 의 상부 표면 상에 형성되는 상부 보드를 위한 위치결정 핀들 (46) 을 갖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 9 및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의 차이만을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서,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들 (50) 이 접속 부재들 (20) 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더 제공된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압 부재 (50) 는, 그 종방향이 접속 부재들 (20) 과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제 3 방향 (Z) 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배치되고, 또 접속 부재들 (20) 에 대해 제 1 방향 (X) 에서 빔들 (30) 의 반대 측에 배치된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 (50) 의 종방향의 양단부는 제 1 방향 (X) 에서, 프레임 (40) 상에 형성되는 가압 부재 그루브들 (47) 내에 각각 삽입되므로, 가압 부재 (50) 의 종방향의 양 단부에 형성된 프레임 맞물림 부분들 (51) 은 프레임 (40) 과 맞물린다. 결과적으로, 가압 부재 (50) 는 프레임 (40) 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제 3 실시형태에서,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접속 부재 (20) 는 가압 부재 (50) 와 교차하는 종방향의 중간 부분에서 절결 형상의 가압 부재 수용 부분 (28) 을 갖는다. 이 가압 부재 수용 부분 (28) 은 접속 부재 (20) 의 제 1 접속 물체 (60) 측으로부터 접속 부재의 제 2 접속 물체 (70) 측을 향해 제 1 방향 (X) 으로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가압 부재 (50) 는 접속 부재들 (20) 의 가압 부재 수용 부분들 (28) 내에 제 1 방향 (X) 으로 삽입되므로, 가압 부재 (50) 는 접속 부재들 (20) 의 제 1 방향 (X) 으로 중간 부분들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커넥터 (10) 가 접속 물체들 (60, 70) 사이에 개재되었을 때, 가압 부재들 (50) 은 접속 부재들 (20) 의 탄성 변형 또는 접속 부재들 (20) 과 접속 물체들 (60, 70) 사이의 접촉을 배제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접속 부재들 (20) 은 가압 부재들 (50) 에 의해 제 2 방향 (Y) 으로 위치되므로, 접속 부재들 (20) 의 제 3 방향 (Z) 으로의 비틀림이나 아치형 굽힘과 같은 원하지 않는 변형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도 11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의 차이만을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접속 부재 (20) 는 탄성 부재 (21), 캐리어 (22), 및 막 (23) 을 포함한다. 반면, 도 11 에 도시된 제 4 실시형태에서, 각 접속 부재 (20) 는 절연성 탄성 부재 (21) 및 막 (23) 을 포함하고, 즉 캐리어 (22) 는 제공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 4 실시형태에서, 빔들 (30) 의 맞물림 부분들 (32) 내에 끼워 맞춤되는 각 접속 부재 (20) 의 빔 맞물림 부분들 (27) 은 탄성 부재 (21) 와 일체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를 도 1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의 차이만을 설명한다.
제 5 실시형태에서,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절연성 탄성 부재들 (21) 은 제 2 방향 (Y) 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되도록 각 접속 부재 (20) 에서 캐리어 (22) 상에 배치된다. 전도성 부분 (24) 은 각 탄성 부재 (21) 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전도성 부분 (24) 은 탄성 부재 (21) 의 표면에 전도성 막을 접착하거나 그 표면 상에 스퍼터링함으로써 각 탄성 부재 (21) 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탄성 부재 (21) 는 전도성 입자들과 혼합된 전도성 탄성 부재일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에서, 제 2 방향 (Y) 으로 상호 인접하는 탄성 부재들 (2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들 중 2 개는 각각 빔 (30) 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빔 수용 부분들 (26) 로서 역할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를 도 13 및 도 1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 5 실시형태와의 차이만을 설명한다. 도 13 에는 단 1 개의 그룹의 탄성 부재들 (21) 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5 개의 그룹의 탄성 부재들 (21) 이 제공되며, 다른 4 개의 그룹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제 5 실시형태에서 제 2 방향 (Y) 으로 분리상태로 배치되는 캐리어들 (22) 이 제 2 방향 (Y) 으로 연장되는 단일 캐리어 (22) 에 의해 형성되므로, 빔들 (30) 사이에 배치되는 5 개의 그룹의 탄성 부재들 (21) 은 이 단일의 캐리어 (22) 에 의해 함께 일체화된다. 결과적으로, 제 6 실시형태에서, 접속 부재들 (20) 을 만족스럽게 지지하는데 요구되는 빔 (30) 의 개수는 감소될 수 있고, 그 결과 커넥터 (10) 의 조립에 요구되는 작업부하가 감소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커넥터의 6 개의 실시형태들이 설명되었으나, 전술한 제 1 내지 제 6 실시형태의 기술들은 적절히 결합되어 실행될 수 있다.

Claims (11)

  1. 제 1 접속 물체와 제 2 접속 물체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접속 물체와 상기 제 2 접속 물체 사이에 개재되도록 되어 있는 커넥터로서,
    다수의 접속 부재들; 상기 접속 부재들을 유지하는 빔; 및 상기 빔을 지지하는 지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부재들의 각각은 그 종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탄성 변형 가능한 전도성 부분들을 갖고,
    상기 제 1 접속 물체와 상기 제 2 접속 물체가 서로 접근하게 되는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을 각각 갖는 상기 접속 부재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에 수직한 제 3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빔은 상기 접속 부재들과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상기 빔의 종방향이 상기 제 3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상기 빔은, 상기 빔이 상기 접속 부재들과 교차하는 위치들에서, 상기 접속 부재들과 맞물리는 맞물림 부분들을 갖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빔과 교차하는 상기 접속 부재의 부분이 그 부분의 제 2 접속 물체 측으로부터 그 부분의 제 1 접속 물체 측을 향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을 갖는 빔 수용 부분을 갖고,
    상기 빔은 상기 접속 부재들의 빔 수용 부분들 내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빔 수용 부분들 내에 수용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빔의 상기 맞물림 부분들의 각각은 상기 빔의 제 1 접속 물체 측으로부터 상기 빔의 제 2 접속 물체 측을 향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접속 부재들의 각각은 빔 맞물림 부분들을 갖고,
    상기 접속 부재들의 빔 맞물림 부분들은 상기 빔의 맞물림 부분들 내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빔의 맞물림 부분들과 맞물리는,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접속 부재들의 탈락 (coming off) 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 부분에 부착되는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접속 부재들과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상기 가압 부재의 종방향이 상기 제 3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또 상기 접속 부재들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빔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가압 부재와 교차하는 상기 접속 부재의 부분이 그 부분의 제 1 접속 물체 측으로부터 그 부분의 제 2 접속 물체 측을 향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을 갖는 가압 부재 수용 부분을 갖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접속 부재들의 가압 부재 수용 부분들 내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압 부재 수용 부분들 내에 수용되는, 커넥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들의 각각은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표면에 부착되는 막을 포함하고,
    상기 막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전도성 부분들 및 절연성 부분들로 형성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 부재의 내측을 통해 배치되는 캐리어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캐리어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탄성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는 상기 탄성 부재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접속 부재의 제 2 접속 물체 측으로부터 상기 접속 부재의 제 1 접속 물체 측을 향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을 갖는 빔 수용 부분으로서 역할하고,
    상기 빔은 상기 접속 부재들의 빔 수용 부분들 내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빔 수용 부분들 내에 수용되는, 커넥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빔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빔들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배치되는 빔들 중 적어도 2 개의 빔들 위에 놓이는, 커넥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들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접속 부재들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는, 커넥터.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빔은 상기 지지 부분으로부터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부분에 고정되는, 커넥터.
KR1020130037918A 2012-05-25 2013-04-08 커넥터 KR101398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19166A JP5970237B2 (ja) 2012-05-25 2012-05-25 コネクタ
JPJP-P-2012-119166 2012-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265A true KR20130132265A (ko) 2013-12-04
KR101398765B1 KR101398765B1 (ko) 2014-05-27

Family

ID=4962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918A KR101398765B1 (ko) 2012-05-25 2013-04-08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70580B2 (ko)
JP (1) JP5970237B2 (ko)
KR (1) KR101398765B1 (ko)
CN (1) CN1034271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0252B2 (ja) * 2012-05-30 2016-03-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30300B2 (ja) * 2012-06-11 2016-06-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515401B1 (en) * 2016-01-04 2016-1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astomeric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joining two hardware planes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US10559902B2 (en) 2016-01-04 2020-02-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ion management using a card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1370A (en) * 1981-07-16 1983-12-20 Accutest Corporation Contact array
US5049084A (en) * 1989-12-05 1991-09-17 Rogers Corporation Electrical circuit board interconnect
US5259770A (en) * 1992-03-19 1993-11-09 Amp Incorporated Impedance controlled elastomeric connector
ATE277434T1 (de) * 1999-07-02 2004-10-15 Shinetsu Polymer Co Rohrförmiger schaltkreisverbinder
JP2002008810A (ja) 2000-06-19 2002-01-11 Shin Etsu Polymer Co Ltd 電気コネクタ
JP3772861B2 (ja) * 2003-07-16 2006-05-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部材
JP4107598B2 (ja) 2004-11-05 2008-06-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329130B2 (en) * 2005-09-30 2008-02-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Intervening connection apparatus capable of easily and accurately positioning a conductor
JP4222616B2 (ja) 2005-09-30 2009-02-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接続装置
JP4286266B2 (ja) * 2006-03-31 2009-06-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25355B2 (ja) * 2008-04-14 2012-04-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29301B2 (ja) * 2009-05-21 2013-10-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多芯コネクタ
JP4772892B2 (ja) 2009-07-10 2011-09-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両面接続型コネクタ
JP4763838B2 (ja) 2009-07-29 2011-08-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1086401A (ja) * 2009-10-13 2011-04-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電気接続部材及び電気接続部材の製造方法
JP5016692B2 (ja) * 2010-02-10 2012-09-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16588A1 (en) 2013-11-28
US8870580B2 (en) 2014-10-28
JP5970237B2 (ja) 2016-08-17
JP2013246951A (ja) 2013-12-09
KR101398765B1 (ko) 2014-05-27
CN103427193A (zh) 2013-12-04
CN103427193B (zh)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765B1 (ko) 커넥터
US9281594B2 (en) Connector
US7618283B1 (en) Bridge connector for connecting circuit boards
CN101609215B (zh) 显示装置
KR20180086235A (ko) 플로팅 커넥터 장치
JP5261325B2 (ja) 電気的接続体
US20120068031A1 (en) Mounting kit
EP151717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484650B (zh) 光耦合器之製造方法及光耦合器用引線框架板
KR102111942B1 (ko) 전기적 접속장치 및 접촉자
KR101610571B1 (ko) 전기 커넥터
JP6549090B2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KR101995981B1 (ko) 표시 장치
US9461406B2 (en) Connector
JP2005122995A (ja) コネクタ
JP2011014326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備える半導体試験装置
JP7054802B2 (ja) 表示基板およびled素子の実装方法
US8727792B2 (en) Semiconductior device socket including contact block
JP7485464B2 (ja) 液晶バックライト装置
KR101516869B1 (ko) 커넥터
KR101064332B1 (ko) Bga타입 패키지용 소켓
KR102447833B1 (ko) 전력 인터페이스
KR20170072399A (ko) 비디오 월 배치를 위한 가이드 핀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월
JP2014010953A (ja) コネクタ
US8911243B2 (en) Connection member, socket module, sock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nection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