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833B1 - 전력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전력 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833B1
KR102447833B1 KR1020180016201A KR20180016201A KR102447833B1 KR 102447833 B1 KR102447833 B1 KR 102447833B1 KR 1020180016201 A KR1020180016201 A KR 1020180016201A KR 20180016201 A KR20180016201 A KR 20180016201A KR 102447833 B1 KR102447833 B1 KR 102447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connection terminal
flexible sheet
support memb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582A (ko
Inventor
김정배
금민종
윤영태
이경국
Original Assignee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80016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833B1/ko
Priority to TW108104313A priority patent/TWI825070B/zh
Priority to PCT/KR2019/001548 priority patent/WO2019156490A1/ko
Priority to US16/964,196 priority patent/US11293943B2/en
Priority to JP2020541510A priority patent/JP7236444B2/ja
Priority to CN201980012021.6A priority patent/CN111684289B/zh
Publication of KR20190096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5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arranged on a flexible frame or fil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7Cantilever be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7Circuits therefor
    • G01R31/2632Circuits therefor for testing diodes
    • G01R31/2635Testing light-emitting diodes, laser diodes or photodi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41Details
    • G01R1/0466Details concerning contact pieces or mechanical details, e.g. hinges or cams; Shielding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사체와 시험 구동 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력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1 접속 단자;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속 단자; 및 상기 탄성 부재의 변형 범위를 제한하도록 일측은 상기 탄성 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는 가요성 시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 인터페이스{ELECTRIC POWER INTERFACE}
본 발명은 전력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사체와 시험 구동 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력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발광 소자는 화합물 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적외선 또는 빛으로 변환시켜 신호를 주고 받거나 광원으로 사용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발광 소자는 조명 및 TFT-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등 다양항 응용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광 소자는 기판 상에 사진(photo), 확산(diffusion), 증착(deposition), 식각(etching) 및 이온 주입(ion implant) 등의 공정이 반복 수행되어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발광 소자의 제조 과정 중엔, 제조된 발광 소자가 제대로 구동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기 위하여 신뢰성 테스트를 위한 에이징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에이징 공정에서는 기본적인 파티클 검사가 포함되며, 에이징 챔버 내에 발광 소자를 이송 거치시킨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검사하게 된다.
발광 소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검사하기 위하여 피검사체인 발광 소자와 시험 구동 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력 인터페이스가 사용된다. 이러한 전력 인터페이스로 종래에는 스프링을 내장한 본체에 핀이 장착되는 형태를 가지는 포고 핀(pogo pin)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 발광 소자의 검사를 위하여 사용되는 포고 핀은 본체 내에서 스프링에 의하여 핀이 이동함에 따라 본체와 핀이 면대면으로 접촉하게 되고, 이와 같은 면대면 접촉에 따른 마찰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파티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제조되는 발광 소자의 접촉 불량의 발생률 및 검사 시간이 증가하고, 파티클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 공정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발광 소자의 수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05-0017759 A
본 발명은 피검사체를 탄성 지지하여 시험 구동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전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1 접속 단자;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속 단자; 및 상기 탄성 부재의 변형 범위를 제한하도록 일측은 상기 탄성 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는 가요성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시트는, 상기 탄성 부재 및 지지 부재에 각각 고정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상기 탄성 부재 및 지지 부재와 비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상기 탄성 부재의 변형에 따라 자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탄성 부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 상에서 직립되도록 길이 및 폭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시트는, 상기 제1 접속 단자의 이동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 단자 및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가요성 시트 상에 소정의 접촉 면적을 가지는 패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요성 시트가 고정되는 위치가 상기 탄성 부재가 고정되는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시트는, 상기 탄성 부재의 상단 외측에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 제1 접속 단자 및 제2 접속 단자는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는, 상기 복수 개의 탄성 부재 상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시트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 사이에서 각각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거되어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연결 시트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2 접속 단자에 각각 시험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에 의하면, 피검사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단자를 탄성 부재와 가요성 시트에 의하여 자유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접속 단자의 이동에 따른 마찰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이에 따라 파티클이 방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검사체와 시험 구동 기기 간의 전기적 연결이 가요성 시트에 형성되는 도전 패턴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어 전기적 연결 경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가요성 시트에 접속 단자를 형성하여 피검사체 및 시험 구동 기기와의 전기적 접촉 면적을 향상시켜 테스트 전류의 인가에 따른 내부 저항 또한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고 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가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상부" 또는 "하부"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시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상대적인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고 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1(a)는 스프링(30)이 이완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며, 도 1(b)는 스프링(30)이 수축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고 핀은, 본체로 사용되며 중공형의 내부를 가지는 배럴(10)(barrel), 상기 배럴(10) 내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접촉 팁(20)(tip)과, 상기 배럴(10) 내부에서 상기 접촉 팁(20)과 연결되어 수축 및 이완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0) 및 상기 접촉 팁(20)과 연결된 스프링(30)의 반대 편에 연결되어 피스톤 운동을 수행하는 플런저(40)(plunger)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포고 핀은 스프링(30)의 수축 및 이완에 의하여 플런저(40)와 접촉 팁(20)이 기계적인 충격을 흡수하면서 피검사체, 예를 들어 조명 소자의 연결 단자와 시험 구동 기기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기적인 기능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포고 핀은 스프링(30)의 수축 및 이완에 의하여 접촉 팁(20) 및 플런저(40)가 상하 이동하면서 배럴(10) 내부와 면대면으로 접촉(도 1의 점선 부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접촉 팁(20) 및 플런저(40)와 배럴(10) 내부의 면대면 접촉에 의하여 접촉 팁(20) 및 플런저(40)와 배럴(10)은 마모되고, 접촉 팁(20) 및 플런저(40)와 배럴(10)이 마모됨에 따라 포고 핀으로부터 지속적으로 파티클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조되는 조명 소자의 합선 및 접촉 불량의 발생률이 증가하게 되고, 기본적인 파티클 검사가 포함되는 에이징 공정에서 조명 소자의 전기적인 기능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파티클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 공정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제조되는 조명 소자의 수율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는 피검사체를 탄성 지지하여 시험 구동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탄성 운동에 따른 면대면 마찰을 방지하고, 이에 따른 파티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가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3(a)는 탄성 부재(200)가 이완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며, 도 3(b)는 탄성 부재(200)가 수축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는, 지지 부재(100); 상기 지지 부재(100)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 부재(200); 상기 탄성 부재(200) 상에 배치되는 제1 접속 단자(310); 상기 제1 접속 단자(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속 단자(320); 및 상기 탄성 부재(200)의 변형 범위를 제한하도록 일측은 상기 탄성 부재(20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 부재(100)에 고정되는 가요성 시트(300);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100)는 하부에 배치되어 탄성 부재(200) 및 가요성 시트(300)의 일부 영역을 고정한다. 지지 부재(1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100)의 상면에는 탄성 부재(200)가 고정된다. 여기서, 지지 부재(100)는 탄성 부재(200) 및 가요성 시트(300)의 일부 영역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전도성을 가지지 않는 플라스틱 등 합성 수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 부재(200)는 상기 지지 부재(100)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부를 향하여 직립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접속 단자(310)는 탄성 부재(200)의 변형에 따라 자유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 부재(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200)는 제1 접속 단자(310)를 지지하고, 수축 및 이완에 의하여 상기 제1 접속 단자(31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하므로, 탄성 부재(200)는 지지 부재(100) 상에서 직립되도록 그 길이 및 폭이 결정된다. 즉, 탄성 부재(200)는 길이가 감소하고, 폭이 증가할수록 지지 부재(100) 상에서 측 방향으로 이탈함이 없이 직립 가능한바, 탄성 부재(200)의 길이 및 폭은 제1 접속 단자(3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으로 감소된 길이와 증가된 폭을 가지도록 결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200)는 상부를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함에 있어 면대면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다양한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탄성 부재(200)로 스프링이 사용되는 일 예가 도시되었으나, 탄성 부재(200)로는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굴곡 또는 절곡 형성되어 상부를 향하여 수축 또는 이완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다양한 부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탄성 부재(200)의 하단은 지지 부재(10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단은 가요성 시트(300)의 저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탄성 부재(200)의 하단과 지지 부재(100)의 상면 사이에는 지지 부재(100)의 상면에 탄성 부재(200)를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고정 부재(21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210)는 탄성 부재(200)를 끼움 결합시키기 위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지지 부재(100)의 상면에 대응되는 접촉면을 제공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200)의 상단과 가요성 시트(300)의 저면 사이에는 가요성 시트(300)를 평탄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2 고정 부재(2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고정 부재(210) 및 제2 고정 부재(220)는 지지 부재(100) 또는 가요성 시트(3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지지 부재(100) 또는 가요성 시트(300)와 접착되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접속 단자(310)는 탄성 부재(200) 상에 배치되고, 제2 접속 단자(320)는 상기 제1 접속 단자(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접속 단자(310)는 탄성 부재(200) 상으로 연장된 가요성 시트(300)의 일측 상면에 배치되어 탄성 부재(200)의 변형에 따라 자유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 부재(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부재(200)의 변형에 따른 자유 이동이라 함은 이동시 탄성 부재(200)의 변형 외에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별도의 구조체에 의하여 직접 지지되지 않는 구조를 의미하며, 이와 같이 제1 접속 단자(310)를 탄성 부재(200)의 변형에 따라 자유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 부재(200) 상에 배치하는 경우, 제1 접속 단자(310)의 이동에 따른 마찰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파티클이 방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접속 단자(320)는 상기 제1 접속 단자(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2 접속 단자(320)는 지지 부재(100)에 고정되는 가요성 시트(300)의 타측 상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접속 단자(320)는 제1 접속 단자(310)와 가요성 시트(300)의 상면 또는 내부에 형성되는 도전 패턴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속 단자(310)와 제2 접속 단자(320) 및 가요성 시트(300)는 상기 제1 접속 단자(310)와 제2 접속 단자(3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 패턴이 내장된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접속 단자(310)와 제2 접속 단자(320) 및 가요성 시트(300)는 연성 필름에 동박으로 도전 패턴이 형성되어 가요성을 가지는 연성 회로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는 제1 접속 단자(310) 및 상기 제1 접속 단자(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속 단자(320)가 가요성 시트(300) 상에 위치하여 피검사체(50)와 시험 구동 기기를 가요성 시트(300) 상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내부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포고 핀을 전력 인터페이스으로 사용하는 경우, 피검사체(50)와 시험 구동 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로는 접촉 팁(20)과 플런저(40) 사이의 배럴(10) 및 스프링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는 배럴(10) 및 스프링을 통하여 피검사체(50)와 시험 구동 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가요성 시트(300) 상에 배치되는 제1 접속 단자(310)와 제2 접속 단자(320)에 의하여 피검사체(50)와 시험 구동 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므로 전기적인 연결 경로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내부 저항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제1 접속 단자(310) 및 제2 접속 단자(320)는 접촉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접촉 면적을 가지는 패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접속 단자(310)는 피검사체(50)의 접속 단자(55)와 접촉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패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접속 단자(320)는 피검사체(50)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기 위한 시험 구동 기기의 인쇄 회로 기판과의 접촉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패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접속 단자(310) 및 제2 접속 단자(32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피검사체(50) 및 시험 구동 기기와의 접촉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가요성 시트(300)는 탄성 부재(200)의 변형 범위를 제한하도록 일측은 상기 탄성 부재(20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 부재(100)에 고정된다. 즉, 가요성 시트(300)는 일측이 탄성 부재(200)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지 부재(100)에 고정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가요성 시트(300)는 탄성 부재(200)의 수축 및 이완에 따른 제1 접속 단자(310)의 이동 및 탄성 부재(200)의 측 방향으로의 변형에 따른 제1 접속 단자(310)의 이동에 따라 변형되는 동시에 탄성 부재(200)의 변형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가요성 시트(300)는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유연하게 휘는 성질을 가지는 필름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요성 시트(300)의 소재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탄력성이 있는 다양한 합성 수지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가요성 시트(300)는 일측이 탄성 부재(200)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지 부재(100)에 고정되어, 탄성 부재(200)의 상단 및 지지 부재(100)에 각각 고정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탄성 부재(200) 및 지지 부재(100)와 비접촉되도록 배치된다. 가요성 시트(300)는 일단이 탄성 부재(200)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지지 부재(100)에 고정되도록 형성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양단이 지지 부재(100)에 각각 고정되고, 양단 사이의 일부 영역이 탄성 부재(200)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가요성 시트(300)는 일단이 탄성 부재(200)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탄성 부재(200)의 하단에서 지지 부재(100)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등 탄성 부재(200)의 변형 범위를 제한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가요성 시트(300)는 일부 영역이 지지 부재(10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지지 부재(100)에서 탄성 부재(200)가 고정되는 영역을 제1 영역이라 하고, 가요성 시트(300)가 고정되는 영역을 제2 영역이라 할 때,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각각 지지 부재(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요성 시트(300)는 탄성 부재(200)에 고정되는 영역과 지지 부재(100)에 고정되는 영역이 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탄성 부재(200)가 수축 또는 이완되는 경우에도 탄성 부재(200)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가요성 시트(300)는 탄성 부재(200)의 수축 또는 이완을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탄성 부재(200)가 측 방향으로 변형 또는 이탈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지지 부재(100)는 가요성 시트(300)가 고정되는 위치인 제2 영역이 탄성 부재(200)가 고정되는 위치인 제1 영역에 비하여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단차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110)는 지지 부재(100)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이와 같이 지지 부재(100)에 제2 영역이 제1 영역에 비하여 상부에 위치하도록 단차부(110)가 형성되는 경우, 제2 영역이 제1 영역과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탄성 부재(200) 및 지지 부재(100)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요성 시트(300)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탄성 부재(200)가 측 방향으로 변형 또는 이탈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2의 경우에서 가요성 시트(300)는 탄성 부재(200)가 좌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인장력을 제공하여 변형 또는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요성 시트(300)의 양단이 지지 부재(100)에 고정되고, 양단 사이의 일부 영역이 탄성 부재(200)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가요성 시트(300)는 탄성 부재(200)가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인장력을 제공하여 변형 또는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시트(300)는 일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탄성 부재(200)가 전면 또는 후면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가요성 시트(300)는 탄성 부재(200)의 측 방향으로의 변형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는 없으나, 파티클 발생에 의한 보다 심각한 문제가 야기되고, 피검사체(50)의 접속 단자(55)의 폭 및 피치가 비교적 크게 형성되는 조명 소자 등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탄성 부재(200)의 변형 범위를 소정 범위로 제한하는 것에 의하여 오히려 구성의 단순화 및 제조 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요성 시트(300)는 탄성 부재(200)의 상단 외측에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접속 단자(310)는 탄성 부재(200)의 상단 상에 배치되어 상부로 노출되는 바, 제1 접속 단자(310)만을 상부로 노출시키고, 제1 접속 단자(310)와 제2 접속 단자(3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패턴이 상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피검사체(50)의 접속 단자(55)와 제1 접속 단자(310)가 접속되도록 가요성 시트(300)는 탄성 부재(200)의 상단 외측, 즉 제1 접속 단자(310)의 외측에서 하향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는 탄성 부재(200)의 수축 또는 이완에 따라 가요성 시트(300) 상에 형성된 제1 접속 단자(310)가 상하로 이동함에 있어서 면대면 접촉이 생략된 구조를 가진다.
즉, 제1 접속 단자(310)는 가요성 시트(300)에 의하여 이동 범위가 제한된 상태에서 지지 부재(100)가 안착되는 지그(Z) 등이 피검사체(50)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가요성 시트(300) 하부에 배치된 탄성 부재(2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고, 제1 접속 단자(310)의 이동에 따라 탄성 부재(200) 및 지지 부재(100)와 어떠한 면대면 접촉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2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접속 단자(310)가 이동함에 있어서, 마찰로 인하여 파티클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복수 개의 전력 인터페이스는 서로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즉, 피검사체(50)의 복수 개의 접속 단자(55)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전력 인터페이스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전력 인터페이스는 지지 부재(100)가 고정 삽입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별도의 구조물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인터페이스는 일부 구조가 일체로 형성되어 피검사체(50)의 복수 개의 접속 단자(55)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에서, 탄성 부재(200), 제1 접속 단자(310) 및 제2 접속 단자(320)는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312, 314, 316)는, 상기 복수 개의 탄성 부재(200) 상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접속 단자(322, 324, 326)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312, 314, 316)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과 비교할 때, 일체화된 지지 부재(100) 및 가요성 시트(300)를 가지는 점에 차이가 있다. 상기 일체화된 지지 부재(100) 및 가요성 시트(300)와 관련한 내용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지 부재(100)는 하부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탄성 부재(200) 및 상기 복수 개의 탄성 부재(200)의 상단을 고정하는 가요성 시트(300)의 일부 영역을 고정한다. 지지 부재(100)는 가요성 시트(300)의 일부 영역을 고정하기 위한 일 방향 및 복수 개의 탄성 부재(200)가 배열되는 타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탄성 부재(200)가 고정되는 영역을 제1 영역, 가요성 시트(300)가 고정되는 영역을 제2 영역이라 할 때, 제1 영역은 복수 개의 탄성 부재(200)가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 연장되고, 제2 영역은 복수 개의 제2 접속 단자(320)가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00)는 전도성을 가지지 않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탄성 부재(200)는 제1 영역에 각각 고정되고, 가요성 시트(300)는 제2 영역에 고정되는 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각각 지지 부재(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100)는 제2 영역이 제1 영역에 대하여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단차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각각 지지 부재(100)의 상면에 형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탄성 부재(200)를 고정하는 영역과 가요성 시트(300)를 고정하는 영역을 측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되어 각 탄성 부재(200)가 수축 또는 이완되는 경우에도 가요성 시트(300)가 탄성 부재(200)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영역을 제1 영역에 비하여 상부에 위치시킴으로써 가요성 시트(300)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탄성 부재(200)가 측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탄성 부재(200)는 각각 지지 부재(100)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부를 향하여 각각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 부재(200)는 수축 또는 이완함에 있어서, 면대면 접촉 구조를 제공하지 않는 스프링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굴곡 또는 절곡 형성되어 상부를 향하여 수축 또는 이완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다양한 부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4에서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200)가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지지 부재(100)에 각각 하단이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각 탄성 부재(200)는 피검사체의 접속 단자의 배열에 따라 이와 다르게 배열되어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요성 시트(300)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200)의 상단 및 지지 부재(100)에 각각 고정되도록 연장되고, 가요성 시트(300)의 상면에는 각 탄성 부재(200)의 상단 상에 배치되어 상부로 노출되는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312, 314, 316)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312, 314, 316)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 접속 단자(322, 324, 326)가 배치된다.
즉, 가요성 시트(300)는 일부 영역이 각 탄성 부재(200)의 상단을 일체로 고정하고, 다른 일부 영역이 지지 부재(100)에 고정되며, 각 탄성 부재(200)의 상단 및 지지 부재(100)에 각각 고정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탄성 부재(200) 및 지지 부재(100)와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가요성 시트(300)는 탄성 부재(200)의 수축 또는 이완을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탄성 부재(200)가 측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가요성 시트(300)는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유연하게 휘는 성질을 가지는 필름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요성 시트(300) 상에 노출되는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312, 314, 316) 및 제2 접속 단자(322, 324, 326)는 도전 패턴(332, 334, 336)에 의하여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312, 314, 3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2 접속 단자(322, 324, 326)와 각각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312, 314, 316) 중 일부가 하나의 제2 접속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도전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와 같이 가요성 시트(300) 상에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312, 314, 316), 복수 개의 제2 접속 단자(322, 324, 326) 및 각 도전 패턴(332, 334, 336)을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회로 패턴이 내장된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사용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제1 접속 단자가 각 탄성 부재(200)의 상단 상에 배치되는 경우, 가요성 시트(300)는 각 탄성 부재(200)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되는 바, 각 제1 접속 단자는 하부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200)의 수축 및 이완에 따라 다른 제1 접속 단자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상하 이동함에 있어서 제약을 받게 된다. 이에, 가요성 시트(300)는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312, 314, 316) 사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개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절개부(350)는 인접한 제1 접속 단자 사이에서 가요성 시트(300)를 일부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각 제1 접속 단자(312, 314, 316)는 하부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200)의 수축 및 이완에 따라 개별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 개의 절개부(350)는, 탄성 부재(200)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절개부(350)는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312, 314, 316) 사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영역에 대하여 가요성 시트(300)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요성 시트(300)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200)의 상단, 즉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312, 314, 316)의 외측에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312, 314, 316)가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지 않는 경우에도, 복수 개의 절개부(350)를 탄성 부재(200)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형성함으로써 가요성 시트(300)가 탄성 부재(200)의 상단에서 각각 하향 절곡되도록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는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310)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 시트(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절개부(350)에 의하여 가요성 시트(300)의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312, 314, 316) 사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거되는 경우 가요성 연결 시트(400)는 제거된 일부 영역 내에서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312, 314, 316) 사이를 각각 연결한다. 여기서, 가요성 연결 시트(400)는 제1 접속 단자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즉 각 제1 접속 단자가 탄성 부재(200)의 측 방향 기울어짐에 따라 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며, 이 경우, 가요성 연결 시트(400)는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312, 314, 316) 각각의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가요성 연결 시트(400)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312, 314, 316) 사이에서 각각 하향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요성 연결 시트(400)를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312, 314, 316) 사이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는 경우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312, 314, 316) 사이에 절개부(350)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와 동일하게 되며, 이 경우 각 제1 접속 단자는 개별적으로 이동하는데 제약을 받게 된다. 그러나, 가요성 연결 시트(400)를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312, 314, 316) 사이의 길이보다 각각 길게 형성함으로써 각 제1 접속 단자는 다른 제1 접속 단자와 간섭없이 개별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가요성 연결 시트(400)의 길이를 조절하여 각 제1 접속 단자가 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소정 범위에서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에 의하면 가요성 시트(300)의 일부 영역을 탄성 부재(200)의 측 방향으로 이격시켜 고정시키고,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312, 314, 316) 사이에 형성되는 절개부(350)의 일부 영역을 가요성 연결 시트(400)에 의하여 연결함으로써, 각 제1 접속 단자의 양 측면뿐만 아니라, 전면과 후면으로의 이동까지 제한할 수 있게 되어 각 제1 접속 단자가 틀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는 가요성 시트(300)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2 접속 단자(322, 324, 326)에 각각 시험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회로 패턴이 내장된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회로 기판은 시험 구동 기기로부터 인가되는 시험 전류를 복수 개의 제2 접속 단자(322, 324, 326)에 인가하기 위한 구성이며, 인쇄 회로 기판은 내장된 회로 패턴이 지지 부재(100) 상에서 가요성 시트(300)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2 접속 단자(322, 324, 3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지지 부재(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은 볼트 등에 의하여 지지 부재(100) 상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지지 부재(100)에 인쇄 회로 기판을 직접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이 제2 접속 단자(322, 324, 326)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인터페이스에 의하면, 피검사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단자를 탄성 부재(200)와 가요성 시트(300)에 의하여 자유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접속 단자의 이동에 따른 마찰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이에 따라 파티클이 방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검사체와 시험 구동 기기 간의 전기적 연결이 가요성 시트(300)에 형성되는 도전 패턴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어 전기적 연결 경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가요성 시트(300)에 접속 단자를 형성하여 피검사체 및 시험 구동 기기와의 전기적 접촉 면적을 향상시켜 테스트 전류의 인가에 따른 내부 저항 또한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배럴 20: 접촉 팁
30: 스프링 40: 플런저
100: 지지 부재 110: 단차부
200: 탄성 부재 210: 제1 고정 부재
220: 제2 고정 부재 300: 가요성 시트
310: 제1 접속 단자 320: 제2 접속 단자
350: 절개부 400: 가요성 연결 시트

Claims (12)

  1.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1 접속 단자;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속 단자; 및
    상기 탄성 부재의 변형 범위를 제한하도록 일측은 상기 탄성 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는 가요성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시트는, 상기 탄성 부재 및 지지 부재에 각각 고정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상기 탄성 부재 및 지지 부재와 비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전력 인터페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상기 탄성 부재의 변형에 따라 자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탄성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전력 인터페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 상에서 직립되도록 길이 및 폭이 결정되는 전력 인터페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시트는, 상기 제1 접속 단자의 이동에 따라 변형되는 전력 인터페이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단자 및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가요성 시트 상에 소정의 접촉 면적을 가지는 패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력 인터페이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요성 시트가 고정되는 위치가 상기 탄성 부재가 고정되는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전력 인터페이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시트는,
    상기 탄성 부재의 상단 외측에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력 인터페이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 제1 접속 단자 및 제2 접속 단자는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는, 상기 복수 개의 탄성 부재 상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인터페이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시트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 사이에서 각각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거되어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전력 인터페이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 시트;를 더 포함하는 전력 인터페이스.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결 시트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단자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전력 인터페이스.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2 접속 단자에 각각 시험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전력 인터페이스.
KR1020180016201A 2018-02-09 2018-02-09 전력 인터페이스 KR102447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201A KR102447833B1 (ko) 2018-02-09 2018-02-09 전력 인터페이스
TW108104313A TWI825070B (zh) 2018-02-09 2019-02-01 電力介面
PCT/KR2019/001548 WO2019156490A1 (ko) 2018-02-09 2019-02-07 전력 인터페이스
US16/964,196 US11293943B2 (en) 2018-02-09 2019-02-07 Power interface
JP2020541510A JP7236444B2 (ja) 2018-02-09 2019-02-07 電力インタフェース
CN201980012021.6A CN111684289B (zh) 2018-02-09 2019-02-07 电力介面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201A KR102447833B1 (ko) 2018-02-09 2018-02-09 전력 인터페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582A KR20190096582A (ko) 2019-08-20
KR102447833B1 true KR102447833B1 (ko) 2022-09-27

Family

ID=67549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201A KR102447833B1 (ko) 2018-02-09 2018-02-09 전력 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93943B2 (ko)
JP (1) JP7236444B2 (ko)
KR (1) KR102447833B1 (ko)
CN (1) CN111684289B (ko)
TW (1) TWI825070B (ko)
WO (1) WO2019156490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0595A (ja) 1998-11-09 2000-05-30 Micronics Japan Co Ltd コンタクトユニット及び電気的接続装置
US20060006887A1 (en) 2004-07-09 2006-01-12 January Kister Cantilever probe with dual plane fixture and probe apparatus therewith
JP2007278861A (ja) 2006-04-07 2007-10-25 Micronics Japan Co Ltd 電気的接続装置
JP2008051501A (ja) 2006-08-22 2008-03-06 Micronics Japan Co Ltd プローブ組立体
KR101162175B1 (ko) 2011-05-06 2012-07-04 에이케이이노텍주식회사 반도체 테스트 소켓
KR101794601B1 (ko) 2016-06-17 2017-11-07 디플러스(주) 테스트 소켓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9339A (en) * 1984-04-25 1987-03-10 Honeywell Inc. Integrated circuit interface
JPH0782033B2 (ja) * 1993-04-30 1995-09-06 フレッシュクエストコーポレーション プローブカード
JPH0797114B2 (ja) * 1993-07-30 1995-10-18 日本アビオニクス株式会社 プローブ
TW341747B (en) * 1996-05-17 1998-10-01 Formfactor Inc Techniques of fabricating interconnection elements and tip structures for same using sacrificial substrates
JP3159058B2 (ja) * 1996-06-12 2001-04-23 日本電気株式会社 基板検査装置
JPH1019991A (ja) * 1996-07-09 1998-01-23 Yokowo Co Ltd 回路基板検査装置のテストヘッド
US7137830B2 (en) * 2002-03-18 2006-11-21 Nanonexus, Inc. Miniaturized contact spring
KR100546361B1 (ko) 2003-08-08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검사장치의 포고 핀 및 그 운용방법
TWI252925B (en) * 2004-07-05 2006-04-11 Yulim Hitech Inc Probe card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US7459795B2 (en) * 2004-08-19 2008-12-02 Formfactor, Inc. Method to build a wirebond probe card in a many at a time fashion
MY152599A (en) * 2007-02-14 2014-10-31 Eles Semiconductor Equipment S P A Test of electronic devices at package level using test boards without sockets
JP5251819B2 (ja) * 2009-10-09 2013-07-31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JP2011106980A (ja) 2009-11-18 2011-06-02 Advantest Corp プローブカード
JP5325085B2 (ja) * 2009-12-24 2013-10-23 日本碍子株式会社 接続装置
TWI503553B (zh) * 2011-10-19 2015-10-11 Johnstech Int Corp 用於微電路測試器的導電開爾文接觸件
KR101698536B1 (ko) * 2012-11-07 2017-01-20 주성엔지니어링(주) 기판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처리장치
EP3126859B1 (en) * 2014-04-04 2018-06-06 Pasan Sa Testing device
KR101492242B1 (ko) * 2014-07-17 2015-02-13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검사용 접촉장치 및 전기적 검사소켓
KR20160124347A (ko) * 2015-04-17 2016-10-27 주식회사 이노글로벌 고주파 디바이스 테스트용 양방향 도전성 소켓, 고주파 디바이스 테스트용 양방향 도전성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1945B1 (ko) * 2015-09-22 2017-04-04 주식회사 이노글로벌 반도체 테스트 소켓 및 그 제조방법
KR101801524B1 (ko) * 2016-01-12 2017-11-28 주식회사 이노글로벌 반도체 테스트용 양방향 도전성 패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테스트 소켓
CN205594131U (zh) * 2016-01-23 2016-09-21 深圳加都佳电子科技有限公司 通用转接治具
KR101826663B1 (ko) * 2016-03-07 2018-03-23 주식회사 이노글로벌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양방향 도전성 소켓,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양방향 도전성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405274B (zh) * 2016-08-25 2023-12-29 深圳振华富电子有限公司 电子元件老化测试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0595A (ja) 1998-11-09 2000-05-30 Micronics Japan Co Ltd コンタクトユニット及び電気的接続装置
US20060006887A1 (en) 2004-07-09 2006-01-12 January Kister Cantilever probe with dual plane fixture and probe apparatus therewith
JP2007278861A (ja) 2006-04-07 2007-10-25 Micronics Japan Co Ltd 電気的接続装置
JP2008051501A (ja) 2006-08-22 2008-03-06 Micronics Japan Co Ltd プローブ組立体
KR101162175B1 (ko) 2011-05-06 2012-07-04 에이케이이노텍주식회사 반도체 테스트 소켓
KR101794601B1 (ko) 2016-06-17 2017-11-07 디플러스(주) 테스트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36444B2 (ja) 2023-03-09
TWI825070B (zh) 2023-12-11
KR20190096582A (ko) 2019-08-20
WO2019156490A1 (ko) 2019-08-15
TW201935779A (zh) 2019-09-01
JP2021513644A (ja) 2021-05-27
CN111684289B (zh) 2023-03-31
US11293943B2 (en) 2022-04-05
US20210033641A1 (en) 2021-02-04
CN111684289A (zh) 2020-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0859B2 (en) Testing apparatus for tes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testing the same
US7474111B2 (en) Electrical probe assembly with guard members for the probes
US7815473B2 (en) Contact and connecting apparatus
KR20190124358A (ko)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TWI632375B (zh) 電連接裝置
KR100791136B1 (ko) 도전성 접촉자용 홀더
KR101271216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를 위한 프로브 유닛
JP2007017234A (ja) 検査装置用ソケット
US20100253106A1 (en) Vacuum gripper assembly
KR102447833B1 (ko) 전력 인터페이스
JP4045687B2 (ja) Icデバイスのテスト用キャリアボード
CN111092044A (zh) 静电吸盘
KR20090124028A (ko) 확장부를 갖는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프로브 결합 구조
TWI740367B (zh) 多銷構造探針體及探針卡
JPH03218472A (ja) 表示パネル用プローブとその組み立て方法
KR20100130935A (ko) 검사용 컨택모듈
KR101592303B1 (ko) 필름형 프로브 유닛
KR102358393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148904A1 (en) Testing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vibration in a testing device
KR20100002988A (ko) 클립 소켓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검사장치
KR101921932B1 (ko) 활-타입 범프, 및 이를 포함하는 인터포저
KR101905098B1 (ko) 프로브 카드용 니들 어셈블리
JP2000147005A (ja) コンタクトユニット及び電気的接続装置
KR101397269B1 (ko) 반도체 소자 홀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
CN111687788A (zh) 用于组装光学装置的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