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467A -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467A
KR20130127467A KR1020137014937A KR20137014937A KR20130127467A KR 20130127467 A KR20130127467 A KR 20130127467A KR 1020137014937 A KR1020137014937 A KR 1020137014937A KR 20137014937 A KR20137014937 A KR 20137014937A KR 20130127467 A KR20130127467 A KR 20130127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tate
safety device
selection switch
function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철
이춘한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30127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66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the driver, e.g. to weight or lack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7/00Controlling engines by cutting out individual cylinders;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 F02D17/04Controlling engines by cutting out individual cylinders;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e.g. caused by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14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omprising means for controlling automatic idle-start-stop
    • F02N11/0818Conditions for starting or stopping the engine or for deactivating the idle-start-stop mode
    • F02N11/0822Conditions for starting or stopping the engine or for deactivating the idle-start-stop mode related to action of the dri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14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omprising means for controlling automatic idle-start-stop
    • F02N11/0818Conditions for starting or stopping the engine or for deactivating the idle-start-stop mode
    • F02N11/0833Vehicle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신호검출부, 제2 신호검출부, 엔진의 상태와 상기 제1 신호검출부가 검출한 기능 선택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 및 상기 제2 신호검출부가 검출한 안전 장치의 조작 상태에 따라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 또는 구동시키는 엔진 공회전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엔진의 상태와 기능 선택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 및 사용자의 작업 의지가 최대한 반영이 되어 작업 의지를 알 수 있고, 편의성이 있는 안전 장치의 조작 상태에 따라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 또는 구동시킴으로써, 연료 절감 및 이산화탄소 발생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손쉽게 엔진의 Stop & Start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ENGINE IDLING CONTROL DEVICE OF EXCAVATO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상태와 기능 선택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 및 사용자의 작업 의지가 최대한 반영이 되어 작업 의지를 알 수 있고, 편의성이 있는 안전 장치의 조작 상태에 따라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 또는 구동시킴으로써, 연료 절감 및 이산화탄소 발생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손쉽게 엔진의 Stop & Start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엔진이 구동중인 상태에서 일정기간 작동 입력이 없을 때, 엔진의 회전수를 최저 회전수로 낮춤(Idle 상태)으로써 불필요한 연료의 소비를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Idle 상태일지라도 엔진이 계속하여 구동하기 때문에 연료 소모 및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특허출원 제10-2001-0052517호에서는 엑셀레이터 페달의 조작여부에 따른 시간 설정에 따라 산업용 차량의 엔진을 구동 또는 정지시키는 제어방법을 제시하였으나, 사용자의 편의성을 반영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환경 변경시 혹은 사용자의 의도 변경시 재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엔진의 상태와 기능 선택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 및 사용자의 작업 의지가 최대한 반영이 되어 작업 의지를 알 수 있고, 편의성이 있는 안전 장치의 조작 상태에 따라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 또는 구동시킴으로써, 연료 절감 및 이산화탄소 발생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손쉽게 엔진의 Stop & Start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는,
기능 선택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제1 신호검출부, 안전 장치의 조작 상태(온, 또는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제2 신호검출부, 엔진의 상태와 상기 제1 신호검출부가 검출한 기능 선택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 및 상기 제2 신호검출부가 검출한 안전 장치의 조작 상태에 따라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 또는 구동시키는 엔진 공회전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엔진 공회전 제어부는 엔진이 구동중인 상태에서 기능 선택 스위치가 온이고 안전 장치가 오프된 경우, 자동으로 엔진을 정지시키고, 엔진이 정지한 상태에서 기능 선택 스위치가 온이고, 안전 장치가 온인 경우, 엔진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 장치는 굴삭기 운전석 내부에 설치된 콘트롤 락 디바이스(control lock device) 또는, 안전 레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방법은,
기능 선택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안전 장치의 조작 상태(온, 또는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엔진의 상태와 상기 검출한 기능 선택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 및 상기 안전 장치의 조작 상태에 따라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 또는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 또는 구동시키는 단계는 엔진이 구동중인 상태에서 기능 선택 스위치가 온이고 안전 장치가 오프된 경우, 자동으로 엔진을 정지시키고, 엔진이 정지한 상태에서 기능 선택 스위치가 온이고, 안전 장치가 온인 경우, 엔진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 장치는 굴삭기 운전석 내부에 설치된 콘트롤 락 디바이스(control lock device) 또는, 안전 레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엔진의 상태와 기능 선택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 및 사용자의 작업 의지가 최대한 반영이 되어 작업 의지를 알 수 있고, 편의성이 있는 안전 장치의 조작 상태에 따라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 또는 구동시킴으로써, 연료 절감 및 이산화탄소 발생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손쉽게 엔진의 Stop & Start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Stop & Start 제어 중, Stop시를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기능 선택 스위치 102 : 안전 장치
103 : 제1 신호검출부 104 : 제2 신호검출부
105 : 엔진 공회전 제어부 106 : 엔진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는 제1 신호검출부(103)와, 제2 신호검출부(104) 및, 엔진 공회전 제어부(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기능 선택 스위치(101)의 온,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제1 신호검출부(103)와, 안전 장치(102)의 조작 상태(온, 또는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제2 신호검출부(104), 엔진의 상태와 상기 제1 신호검출부(103)가 검출한 기능 선택 스위치(101)의 온, 오프 상태 및 상기 제2 신호검출부(104)가 검출한 안전 장치(102)의 조작 상태에 따라 엔진(106)을 자동으로 정지 또는 구동시키는 엔진 공회전 제어부(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신호검출부(103)는 기능 선택 스위치(101)와 엔진 공회전 제어부(10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가변되는 기능 선택 스위치(101)의 온, 오프 상태를 검출하여 엔진 공회전 제어부(105)로 전달하는 것이다.
제2 신호검출부(104)는 안전 장치(102)와 엔진 공회전 제어부(10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 장치(102)(예: 굴삭기 운전석 내부에 설치된 콘트롤 락 디바이스(control lock device) 또는, 안전 레버)의 조작 상태(온, 오프 상태)를 검출하여 엔진 공회전 제어부(105)로 전달하는 것이다.
엔진 공회전 제어부(105)는 엔진(106)의 상태와 상기 제1 신호검출부(103)가 검출한 기능 선택 스위치(101)의 온, 오프 상태 및 상기 제2 신호검출부(104)가 검출한 안전 장치(102)의 조작 상태에 따라 엔진(106)을 자동으로 정지 또는 구동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엔진(106)이 구동중인 상태에서 기능 선택 스위치(101)가 오프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엔진 Stop & Start 기능이 구현되지 않고, 반대로 온이 된 경우라면 사용자의 안전 장치(102) 조작 여부에 따라 엔진 Stop & Start 기능을 구현한다. 즉, 기능 선택 스위치(101)가 온이 되어 있고, 사용자가 안전 장치(102)를 오프한 경우, 바로 자동으로 엔진(106)을 정지시킨다. 반대로, 엔진(106)이 정지한 상태에서 기능 선택 스위치(101)가 온이 된 경우라면, 안전 장치(102)를 온 하였을 경우, 엔진 Stop & Start 기능을 구현하여 엔진을 구동시키게 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동작은 먼저, 제1 신호검출부가 기능 선택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를 검출한다(S201 ∼ S202, S205).
즉, 기능 선택 스위치와 엔진 공회전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신호검출부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가변되는 기능 선택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를 검출한다.
그런 다음, 엔진 공회전 제어부로 전달한다.
다음, 제2 신호검출부는 안전 장치의 조작 상태(온, 오프 상태)를 검출한다(S203, S206).
즉, 안전 장치와 엔진 공회전 제어부 사이에 설치된 제2 신호검출부가 상기 안전 장치의 조작 상태(온, 오프 상태)를 검출한다.
그런 다음, 검출한 안전 장치의 조작 상태를 엔진 공회전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안전 장치는 예를 들어, 굴삭기 운전석 내부에 설치된 콘트롤 락 디바이스(control lock device) 또는, 안전 레버일 수 있다.
다음, 엔진 공회전 제어부는 엔진의 상태와 상기 제1 신호검출부가 검출한 기능 선택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 및 상기 제2 신호검출부가 검출한 안전장치의 조작 상태에 따라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 또는 구동시킨다(S204, S207).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엔진이 구동중인 상태에서, 기능 선택 스위치가 오프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엔진 Stop & Start 기능이 구현되지 않는다.
반대로, 기능 선택 스위치가 온이 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안전장치 조작 여부에 따라 엔진 Stop & Start 기능을 구현한다.
즉, 기능 선택 스위치가 온이 되어 있고, 사용자가 안전 장치가 오프된 경우, 곧바로 자동으로 엔진을 정지시킨다.
반대로, 엔진이 정지한 상태에서 기능 선택 스위치가 온이 된 경우라면, 안전 장치가 온이 되었을 경우, 즉, 사용자가 안전 장치를 온 시켰을 경우 엔진 Stop & Start 기능을 구현하여 엔진 구동을 개시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엔진의 상태와 기능 선택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 및 사용자의 작업 의지가 최대한 반영이 되어 작업 의지를 알 수 있고, 편의성이 있는 안전 장치의 조작 상태에 따라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 또는 구동시킴으로써, 연료 절감 및 이산화탄소 발생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손쉽게 엔진의 Stop & Start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Stop & Start 제어 중, Stop시를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와 같이 일정 시간이 지난 경우 엔진의 회전수를 최저 회전수로 낮추거나, 도 3b와 같이 종전 공회전 제어 기술로 제작시 설정 및 사용자 설정 시간에 따라 일정 시간이 지난 경우 엔진을 오프시키는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은 도 3c와 같이, 운전자가 안전 장치의 정지 명령을 내리는 시점이 다르더라도 어느 시점에서도 엔진이 정지 혹은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에 사용가능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상태와 기능 선택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 및 사용자의 작업 의지가 최대한 반영이 되어 작업 의지를 알 수 있고, 편의성이 있는 안전 장치의 조작 상태에 따라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 또는 구동시킴으로써, 연료 절감 및 이산화탄소 발생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손쉽게 엔진의 Stop & Start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에 사용가능하다.

Claims (6)

  1. 기능 선택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제1 신호검출부;
    안전 장치의 조작 상태(온, 또는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제2 신호검출부;
    엔진의 상태와 상기 제1 신호검출부가 검출한 기능 선택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 및 상기 제2 신호검출부가 검출한 안전 장치의 조작 상태에 따라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 또는 구동시키는 엔진 공회전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공회전 제어부는
    엔진이 구동중인 상태에서 기능 선택 스위치가 온이고 안전 장치가 오프된 경우, 자동으로 엔진을 정지시키고, 엔진이 정지한 상태에서 기능 선택 스위치가 온이고, 안전 장치가 온인 경우, 엔진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치는
    굴삭기 운전석 내부에 설치된 콘트롤 락 디바이스(control lock device) 또는, 안전 레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
  4. 기능 선택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안전 장치의 조작 상태(온, 또는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엔진의 상태와 상기 검출한 기능 선택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 및 상기 안전 장치의 조작 상태에 따라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 또는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 또는 구동시키는 단계는
    엔진이 구동중인 상태에서 기능 선택 스위치가 온이고 안전 장치가 오프된 경우, 자동으로 엔진을 정지시키고, 엔진이 정지한 상태에서 기능 선택 스위치가 온이고, 안전 장치가 온인 경우, 엔진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치는
    굴삭기 운전석 내부에 설치된 콘트롤 락 디바이스(control lock device) 또는, 안전 레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방법.
KR1020137014937A 2010-12-16 2010-12-16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274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9000 WO2012081745A1 (ko) 2010-12-16 2010-12-16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467A true KR20130127467A (ko) 2013-11-22

Family

ID=4624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937A KR20130127467A (ko) 2010-12-16 2010-12-16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68166A1 (ko)
EP (1) EP2653705A4 (ko)
JP (1) JP2014501346A (ko)
KR (1) KR20130127467A (ko)
CN (1) CN103261638A (ko)
WO (1) WO20120817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0002A1 (ko) * 2014-04-15 2015-10-22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Isg를 이용한 엔진 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5706B2 (ja) * 2011-11-15 2015-04-22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CN103362665A (zh) * 2013-08-01 2013-10-23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起重机、控制发动机熄火的方法及系统
DE102018112569A1 (de) * 2018-05-25 2019-11-28 Wacker Neuson Linz Gmbh Leerlaufabschaltautomatik für Arbeitsfahrzeug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2744A (ja) * 1982-03-23 1983-09-27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エンジン停止始動制御装置
US6048369A (en) 1998-06-03 2000-04-11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Method of dyeing hydrophobic textile fibers with colorant materials in supercritical fluid carbon dioxide
JP3797805B2 (ja) * 1998-09-22 2006-07-1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3825289B2 (ja) * 2001-08-27 2006-09-27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作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3737963B2 (ja) * 2001-11-16 2006-01-25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
JP4089270B2 (ja) * 2002-04-15 2008-05-2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及びそのエンジン制御方法
JP3908639B2 (ja) * 2002-09-25 2007-04-2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4339949A (ja) * 2003-05-13 2004-12-02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エンジン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装置
JPWO2005054649A1 (ja) * 2003-12-02 2007-06-2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
KR100621979B1 (ko) * 2004-03-22 2006-09-14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조작레버 오작동 방지 시스템
JP2006022701A (ja) * 2004-07-07 2006-01-26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における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4294563B2 (ja) * 2004-09-10 2009-07-15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2006200370A (ja) * 2005-01-18 2006-08-03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自動停止始動制御装置
JP4632970B2 (ja) * 2005-03-04 2011-02-16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安全装置および作業機械のサービスシステム
GB2427655B (en) * 2005-06-29 2008-01-30 Ford Global Tech Llc A motor vehicle having a stop-start system
JP2008057469A (ja) * 2006-08-31 2008-03-13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KR100840424B1 (ko) * 2007-11-08 2008-06-20 손병덕 자동차 엔진 시동장치 및 방법
KR20100015065A (ko) * 2008-08-04 2010-02-12 김현수 자동차 엔진 아이들링 스톱 장치
KR100897040B1 (ko) * 2008-08-21 2009-05-14 유영환 차량의 공회전 강제 제한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0002A1 (ko) * 2014-04-15 2015-10-22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Isg를 이용한 엔진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81745A1 (ko) 2012-06-21
CN103261638A (zh) 2013-08-21
EP2653705A4 (en) 2015-07-01
EP2653705A1 (en) 2013-10-23
US20130268166A1 (en) 2013-10-10
JP2014501346A (ja) 2014-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6133B1 (ko) 아이들 스탑 앤 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EP1803914A4 (en) MOTOR YIELD CONTROL DEVICE AND MOTOR YIELD CONTROL METHOD FOR CONSTRUCTION MACHINE
JP3841296B2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制御装置
WO2003025372A1 (fr) Controleur de moteur d'un vehicule a moteur a deceleration au moyen du ralentissement du cylindre
WO2018104314A1 (en)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2004263573A (ja) 建設機械の制御装置
CN101939523A (zh) 控制内燃机的燃料计量系统的方法和装置
WO2009096463A1 (ja) Pto制御装置
KR20130127467A (ko)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10013776A1 (ja) 省燃費運転診断装置、車載システム、駆動制御装置および省燃費運転診断プログラム
JP2003065097A (ja) 作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5348070B2 (ja) 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KR101549253B1 (ko) 건설장비의 아이들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7113397A (ja) 内燃機関の自動始動制御装置
JP2013032743A (ja) 車両の制御装置
EP2982804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struction equipment eng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7001327A (ja) 先行車追従走行制御装置
JP2013119949A (ja) 自動変速機のダンパークラッチ制御装置及び方法
JP2008057468A (ja) 作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8057469A (ja) 作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WO2015097755A1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4063097B2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7223356A (ja) 電源制御装置
KR20190081099A (ko) 산업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2011149236A (ja) 作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