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424B1 - 자동차 엔진 시동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엔진 시동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424B1
KR100840424B1 KR1020070113480A KR20070113480A KR100840424B1 KR 100840424 B1 KR100840424 B1 KR 100840424B1 KR 1020070113480 A KR1020070113480 A KR 1020070113480A KR 20070113480 A KR20070113480 A KR 20070113480A KR 100840424 B1 KR100840424 B1 KR 100840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vehicle
starting
voltag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병덕
Original Assignee
손병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77216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4042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손병덕 filed Critical 손병덕
Priority to KR1020070113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 시동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차가 주행중에 바퀴가 멈춤을 감지하면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시키고, 출발시 브레이크나 클러치가 작동이되면 점화부가 온되어 시동이 걸리므로 불필요한 자동차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엔진시동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자동차의 이그니션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므로 자동차의 시동모터에 시동전압을 출력하는 릴레이스위칭부와; 상기 시동전압의 레벨을 설정하는 전압설정스위치와; 자동차의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온되면 접점되는 마그네트스위치와; 자동차의 속도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자동차가 멈추면 자동차 엔진을 정지신호를 자동차의 제어부에 출력하고, 상기 마그네트스위치로부터 접점 시동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릴레이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자동차의 엔진을 시동 시키도록 제어하는 시동제어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70113480
자동차, 시동전압, 공회전방지

Description

자동차 엔진 시동장치 및 방법{Starting apparatus and methos for an automobile engin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 시동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차가 주행중에 멈춤을 감지하면 엔진을 자동으로 멈출 수도 있고 자동차가 천천히 움직일 경우 브레이크나 클러치조작으로 엔진의 시동이 멈추지 않고 주행할 수 있는 장치로써, 이후 브레이크나 클러치가 온되면 점화부가 온되어 엔진이 온되므로 불필요한 자동차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엔진시동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식 시동장치가 설치된 자동차들은 키 스위치의 삽입구멍에 점화키를 끼워넣은 후 회전시켜 엔진을 시동 및 정지시키고 있다. 그러나 운전자가 운전중에 자동차를 운전하면서 정체 또는 신호등에 따라 일시 정지하는 경우가 많고, 일시 정지하는 시간은 신호등과 일시정지하고 있는 다른 자동차들의 수 등의 도로교통 상황에 따라 상이하게 된다. 자동차가 주행을 일시 정지하였을 경우에는 환경보호와 연료절감을 위해 그 일시 정지한 시간동안에 엔진을 정지시키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엔진을 정지시킬 경우에 차량의 운전자가 일일이 점화키를 회전시켜 야 된다.
그러나 자동차의 운전자가 일일이 점화키를 회전시켜 엔진을 정지 및 시동시키는 것은 운전자에게 많은 불편과 번거로움을 주고, 또한 자동차가 엔진을 정지시킨 후 다시 시동시켜 주행을 시작하는데 약간의 시간이 소요되고, 그 소요되는 약간의 시간이 자동차의 교통에 방해를 주게 되므로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자동차의 주행을 일시 정지시켜을 경우에 엔진을 계속 시동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차량이 멈추면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시키고, 이후 차량의 운전자가 간단한 조작만으로 엔진을 온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엔진시동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동시에 발생되는 시동전압의 전압레벨에 따라서 엔진의 시동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 모든 차량에 탑재가능한 자동차의 엔진시동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자동차의 시동모터에 인가되는 시동전압의 레벨을 설정하는 전압설정스위치와;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 또는 클러치 페달에 설치되는 마그네트와 차체에 설치되는 리드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브레이크페달 또는 클러치페달이 구동되면 상기 마그네트와 리드센서가 접점되므로 접점신호를 출력하는 마그네트스위치와; 자동차 엔진의 정지상태에서 상기 마그네트스위치로부터 접점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압설정스위치로부터 설정된 전압레벨을 상기 시동모터에 출력하도록 상기 릴레이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자동차의 엔진을 시동제어하는 시동제어부와; 상기 시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전압설정스위치에서 설정된 전압레벨을 갖는 시동전압을 상기 시동모터에 출력하는 릴레이스위칭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상기 전압설정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압설정스위치는 0~5V, 5~15V 또는 9~24V의 레벨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레벨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자동차 엔진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자동차의 엔진시동장치는 상기 자동차 엔진의 온, 오프 상태 및 현재속도를 상기 시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표시하는 엘시디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자동차의 주행중 속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속도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속도감지단계와; 상기 속도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자동차의 속도 및 자동차 엔진상태를 감지하여 자동차의 멈춤을 판단하는 자동차멈춤판단단계와; 자동차가 멈추었을때 자동차의 브레이크라인을 감지하여 상기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지를 판단하는 제동장치작동판단단계와; 상기 제동장치작동판단단계에서 상기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작동되지 않고, 상기 속도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속도와 자동차 엔진상태를 확인하여 속도가 0인 멈춤상태가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는 타이머단계와; 상기 타이머단계에서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이그니션을 오프시켜 엔진을 오프시키는 엔진오프단계와; 상기 엔진오프단계이후, 상기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의 페달이 온되면 이그니션을 점화시키고, 시동모터를 구동시켜 엔진을 재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구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제4실시예의 상기 자동차엔진시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엔진구동단계는 자동차의 시동전압레벨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전압레벨을 갖는 구동신호를 자동차의 시동모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제5실시예의 상기 자동차엔진시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자동차엔진시동방법은 자동차의 주행속도 및 엔진의 구동여부를 엘시디모듈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 교통에 따라서 자동차가 주행을 일시정지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시키고, 또한 간단한 조작만으로 엔진을 다시 온시키므로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어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비 및 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서로 다른 시동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동전압을 설정하므로 차종이나 제조회사에 관계 없이 장착될 수 있어 시장에서의 경쟁력과 그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시동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시동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 시동장치는 온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스위치모듈(400)과,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온되면 접점되는 마그네트스위치(110)와, 자동차의 엔진구동상태 및 자동차의 속도를 표시하는 엘시디모듈(500)을 포함하며, 자동차의 멈춤이 감지되면 엔진을 오프시키고, 자동차엔진의 오프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온되면 엔진을 온시키는 시동부재(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동부재(1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800)와, 시동신호를 출력하는 자동차키박스(300)와 엔진부(600),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700)와, 엔진을 시동시키는 시동모터(200)(Start Motor),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에 연결된다.
상기 전원장치(800)는 상기 시동부재(10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전원장치(800)에서 공급된 전원은 상기 시동부재(100)에서 상기 시동모터(200)의 시동전압으로 변환되어 설정된 레벨로 출력된다.
상기 자동차키박스(300)는 자동차키가 삽입되어 회전되므로 시동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시동부재(100)가 온되면 상기 엔진부(600)와의 신호라인은 차단되어 상기 시동부재(100)를 경유하여 시동신호가 상기 엔진부(600)에 출력된다.
상기 마그네트스위치(110)는 상기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구동되면, 접점되어 상기 시동부재(100)에 접점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스위치(110)는 상기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의 각 페달에 설치되는 마그네트(111)와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마그네트(111)와 접점되는 리드센서(112)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브레이크 페달 또는 클러치 페달을 밞으면, 상기 브레이크페달 또는 클러치페달에 설치된 마그네트(111)와 차체에 설치된 리드센서(112)가 접점되어 상기 시동부재의 시동제어부에 접점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술한 구성은 작업자의 응용에 따라 다양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어방식이 수동인 자동차는 클러치, 또는 기어방식이 오토매틱인 자동차는 브레이크의 구동상태에 따라 접점 온오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동부재(100)는 상기 전원스위치모듈(400)에서 전원 온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자동차키박스(30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속도센서(700)가 자동차의 속도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자동차가 멈추면 상기 엔진부(600)를 오프시키고, 상기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의 온상태에 따라서 상기 마그네트스위치(110)가 접점되면 상기 엔진부(600)에 시동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시동부재(100)는 상기 시동모터(200)의 시동회로에 시동전압을 출 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시동모터(200)는 자동차의 제조회사별 또는 차종별로 서로 다른 시동전압레벨을 갖고 있다. 예를들면, 각 자동차의 시동전압은 0~5V 또는 5~15V, 또는 9~24V의 시동전압레벨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시동부재(100)는 각 제조사별 또는 차종별 서로 다른 시동전압레벨을 선택적으로 설정함이 가능하며 이는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시동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시동장치에서 상기 시동부재(100)는 자동차의 멈춤시에 엔진을 오프 및 온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시동제어부(120)와, 상기 시동모터(200)의 시동전압을 출력하는 전압설정스위치(130)와, 상기 시동모터의 시동전압을 출력하도록 시동신호를 출력하는 릴레이스위칭부(140)와, 상기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는 제1 및 제2컨버터(151, 152)와, 상기 마그네트스위치(110)와 엔진부(600) 및 속도센서(700), 브레이크(또는 클러치)에서 연결되는 각각의 신호라인(161a~161d)이 연결되는 제1연결단자(161)와, 상기 전원장치(80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시동부재(100)의 구동전원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전원부(170)와, 엔진의 온 또는 오프시에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180)와, 엘시디모듈(900)과 자동차의 차량제어부(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전원장치(800)와 연결되는 신호 및 전원라인이 연결되는 제2연결단자(162)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설정스위치(130)는 0~5V, 5~15V, 9~24V의 시동전압레벨을 각각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시동전압레벨에 따라서 상기 시동모터(200)가 초기 구동된다. 여기서 시동전압은 전원장치(제네레이터)(800)가 시동이 걸리면서, 예를들면, 5V-13V의 전압 또는 펄스로서 시동모터에 출력되는 전압이다. 이와 같은 상기 시동전압은 본 발명의 특징인 잠시 정차중에 엔진이 오프되었다가 다시 엔진이 재가동 되었을 때, 상기 전원장치(800)에서 시동모터(200)에 시동전압을 출력하는 시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릴레이스위칭부(140)를 통하여 시동모터(200)에 출력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각각의 자동차는 구성된 시동모터(200)의 사양에 따라서 서로 다른 시동전압에 의해 시동모터(200)가 구동되며, 예를들면 승용차는 0~5V 또는 5~15V의 전압레벨의 범위의 시동전압이 출력되며, 화물차는 9~24V의 시동전압레벨의 범위에서 구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모든 자동차에서 범용적으로 장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시동모터(200)의 전압레벨을 해당 차량의 시동전압에 따라 설정함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전압설정스위치(130)는 상기와 같은 시동전압을 설정함과 아울러 자동차내의 타코미터(Tachometer)의 전압레벨을 설정함도 가능하다.
상기 릴레이스위칭부(140)는 자동차키박스(30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시동제어부(120)에 인가하고, 상기 시동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서 자동차의 키박스에 삽입된 키박스 신호에 따라서 이그니션의 점화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릴레이스위칭부(140)의 점화신호는 이그니션 온, 오프신호와 시동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시동신호는 상기 시동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압설정스위치(130)에서 설정된 시동전압으로서 상기 시동모터(200)에 인가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시동모터(200)의 시동전압을 출력함에 있어 상기 전압설정스위치(130)에 의해 설정된 시동전압레벨에 따라서 상기 시동제어부(120)가 상기 릴레이스위칭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시동모터(200)에 상기 시동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시동모터(200)가 구동되어 엔진을 점화시킨다. 따라서 상기 시동모터(200)는 상기 전원ㅈ자장치(800)로부터 상기 시동전압과 같은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면 멈추게 되며, 이후에는 엔진만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1컨버터(151)는 상기 시동제어부(120)의 디지탈출력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릴레이스위칭부(140)에 출력하고, 상기 제2컨버터(152)는 상기 속도센서(700)의 속도감지신호, 엔진부(600)의 감지신호, 마그네트스위치(110)의 접점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시동제어부(120)에 인가한다.
상기 제1연결단자(161)는 상기 속도센서(700)와 엔진부(600)의 구동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예를 들면, 제너레이터 또는 타코미터와, 속도센서(700)와, 상기 마그네트스위치(110)와, 브레이크와 상기 시동제어부(120) 사이의 신호라인(161a~161d)이 연결된다. 상기 제2연결단자(162)는 전원장치(800)의 전원라인과 상기 시동제어부(120)에서 상기 엘시디모듈(500)의 출력제어신호가 전달되는 신호 라인이 연결된다.
상기 제3연결단자(163)는 상기 전원스위치모듈(400)에 설치되는 발광소자에 연결되는 신호라인이 설치된다.
상기 전원부(170)는 상기 전원장치(8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시동부재(100)의 구동전원레벨로 변환시켜 상기 시동제어부(120)등에 공급한다.
상기 음향출력부(180)는 상기 시동제어부(120)의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일정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부저를 포함한다.
상기 시동제어부(120)는 상기 속도센서(700)의 속도감지신호를 인지하여 자동차의 속도가 0이면, 상기 릴레이스위칭부(140)를 제어하므로 상기 엔진부(600)를 오프하고, 상기 마그네트(111)와 리드센서(112)의 접점신호를 인지하여 상기 릴레이스위칭부(140)를 스위칭 온하여 자동차의 이그니션을 구동시켜 상기 엔진부(600)를 구동시킨다. 아울러 상기 시동제어부(120)는 상기 엘시디모듈(500)을 제어하여 엔진의 구동상태(예를들면 출력, 제너레이터의 출력전압 및 엔진의 온오프, 현재속도)를 표시토록 한다. 또한 상기 시동제어부(120)는 상기 전원스위치모듈(400)의 온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자동차키박스(300)에서 출력되는 이그니션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엔진부(600)의 온 오프를 제어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작용설명은 하기의 도 3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엔진시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엔진시동방법은 엔진이 온되어 자동 차가 주행되는 자동차의 주행단계(S11)와,자동차의 주행중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단계(S12)와, 상기 속도감지단계(S12)에서 측정된 자동차의 속도를 통해 자동차의 멈춤을 판단하는 자동차멈춤판단단계(S13)와, 자동차가 멈추었을때 자동차의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제동장치작동판단단계(S14)와, 상기 제동장치작동판단단계(S14)에서 상기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작동되지 않고, 멈춤상태가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는 타이머단계(S15)와, 상기 타이머단계(S15)에서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엔진을 오프시키는 엔진오프단계(S16)와, 상기 엔진오프단계(S16)이후, 상기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온되면 엔진을 구동시키는 엔진구동단계(S17)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의 주행단계(S1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자동차가 시동후 거리를 주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주행단계(S11)는 사용자가 자동차키박스(300)에 키를 삽입하고 회전시켜 점화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시동모터(200)에 시동전압이 출력되므로 시동모터(200)가 구동되어 엔진이 온 된다.
상기 속도감지단계(S12)는 상기 속도센서(700)에서 감지된 주행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시동제어부(120)에 출력하면, 상기 시동제어부(120)에서 이를 수신하여 자동차의 현재속도를 인지하는 단계이다. 아울러, 상기 시동제어부(120)는 상기 속도센서(700) 및 엔진부(600)의 상태를 감지하여 현재 차량의 속도 및 엔진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엘시디모듈(500)을 제어하여 이를 표시토록 제어한다.
상기 멈춤판단단계(S13)는 상기 시동제어부(120)에서 상기 속도센서(700)로부터 인가되는 속도감지신호를 통해 차량의 속도가 0이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시동제어부(120)는 제1연결단자(161)를 통해 연결되는 속도감지신호라인(161d)과 엔진신호라인(161c)을 통해 인가되는 상기 속도감지신호와 엔진부 감지신호를 통해 차량이 일정시간이상 멈추게 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동장치작동판단단계(S14)는 상기 시동제어부(120)가 상기 자동차의 멈춤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의 구동상태(또는 클러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브레이크(또는 클러치)가 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시동제어부(120)는 상기 마그네트(111)와 리드센서(112)의 접점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타이머단계(S15)는 상기 제동장치작동판단계(S14)에서 상기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 즉 마그네트스위치(110)의 접점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 에서의 자동차의 속도가 0이되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시동제어부(120)는 상기 브레이크라인(161a)(클러치라인)을 통해 인가되는 브레이크(또는 클러치)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신호를 통해 자동차가 멈춘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또는 클러치가)가 동작되지 않은 시간을 카운트하여 설정된 시간과 비교한다.
상기 엔진오프단계(S16)는 상기 시동제어부(120)에서 상기 타이머단계(S15)에서 자동차가 멈춤상태 중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가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엔진부(600)를 오프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시동제어부(120)는 상기 릴레이스위칭부(140)에 오프신호를 인가하므로서 상기 이그니션의 점화를 중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릴레이스위칭부(140)는 제1 내지 제3릴레이(RW~RW3)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1릴레이(RW1)는 이그니션의 온신호, 제2릴레이(RW2)는 이그니션의 오프신호, 제3릴레이(RW3)는 시동신호를 스위칭한다.
따라서 상기 시동제어부(120)는 이그니션 오프신호라인(161c)를 통해 상기 제1릴레이(RW1)와 제2릴레이(RW2)를 접점 오프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므로 상기 이그니션은 오프되므로 엔진이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시동제어부(120)는 상기 엔진부(600)의 감지신호를 통해 엔진이 오프되었음을 인지하고, 상기 엘시디모듈(500)을 제어하여 엔진이 온 되었음을 표시토록하고, 상기 음향출력부(180)를 통해 음향신호를 출력제어한다.
상기 엔진구동단계(S17)는 상기 엔진오프단계(S16)에서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구동됨을 감지하여 엔진을 다시 온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스위치(110)는 사용자가 상기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 페달을 일정시간동안 밞게 되면, 상기 마그네트(111)와 리드센서(112)가 접점온되므로 접점신호를 상기 시동제어부(12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시동제어부(120)는 상기 마그네트스위치(110)의 접점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2릴레이(RW2)를 스위칭온시켜 이그니션을 접점온시키고, 제3릴레이(RW3)를 스위칭온 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제2릴레이(RW2)가 온됨에 따라 이그니션이 온되고, 상기 이그니션이 온된 상태에서 상기 제3릴레이(RW3)가 스위칭온되므로 시동모터(200)의 시동회로에 시동전압이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릴레이(RW1~RW3)는 상기 시동제어부(120)로부터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인가되는 시간동안의 접점온됨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레벨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3릴레이(RW3)는 상기 시동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서 접점온 되는 시간으로 상기 전압설정스위치(130)에서 설정된 전압레벨을 상기 시동모터(200)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시동전압은 상기 전압설정스위치(130)에 따라서 각 제조사의 시동회로 또는 시동모터(200)에 따라 선택적으로 레벨을 설정함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전압설정스위치(130)는, 예를들면, 제1 내지 제3스위치(SW1~SW3)를 포함하며, 각각의 스위치는 일측에 연결된 제1 내지 제3저항(R1~R3)을 통해 전압강하가 되므로서 각각 서로 다른 전압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승용차는 0~5V, 5~15V, 화물차는 9~24V의 전압레벨로 선택적 설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3릴레이(RW3)가 스위칭온되면, 상기 전압설정스위치(130)에서 설정된 레벨을 갖는 시동신호가 상기 시동모터에 인가되므로 시동모터(200)가 구동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시동제어부(120)는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110)의 접점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릴레이스위칭부(140)를 접점 온시키므로 상기 전압설정스위치(130)에서 설정된 전압레벨을 상기 시동모터(200)에 출력 제어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엔진구동단계(S17)는 상기와 같은 절차를 통해 상기 이그니션과 시동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엔진부(600)가 재구동되며, 상기 시동제어부(120)는 상기 음향출력부(180)와 엘시디모듈(500)을 통해 엔진의 재구동을 표시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시동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시동장치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시동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부호의 설명*
100 : 시동부재 110 : 마그네트스위치
120 : 시동제어부 130 : 전압설정스위치
140 : 릴레이스위칭부 151 : 제1컨버터
152 : 제2컨버터 161 : 제1연결단자
161a : 브레이크라인 161b : 마그네트신호라인
161c : 엔진신호라인 161d : 속도신호라인
162 : 제2연결단자 163 : 제3연결단자
170 : 전원부 180 : 음향출력부
200 : 시동모터 300 : 자동차키박스
400 : 전원스위치모듈 500 : 엘시디모듈
600 : 엔진부 700 : 속도센서
800 : 전원장치

Claims (6)

  1. 자동차의 시동모터에 인가되는 시동전압의 레벨을 설정하는 전압설정스위치와;
    한 쌍으로서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 또는 클러치 페달과, 차체에 각각 설치되므로 상기 브레이크페달 또는 클러치페달이 구동되면 접점되어 접점신호를 출력하는 마그네트스위치와;
    자동차 엔진의 정지상태에서 상기 마그네트스위치로부터 접점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압설정스위치로부터 설정된 전압레벨을 상기 시동모터에 출력하도록 상기 릴레이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자동차의 엔진을 시동제어하는 시동제어부와;
    상기 시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전압설정스위치에서 설정된 전압레벨을 갖는 시동전압을 상기 시동모터에 출력하는 릴레이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설정스위치는
    시동전압레벨을 0~5V, 5~15V 또는 9~24V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시동전압레벨에 따라서 상기 시동모터를 초기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시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엔진시동장치는
    상기 자동차 엔진의 온, 오프 상태 및 현재속도를 상기 시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표시하는 엘시디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시동장치.
  4. 자동차의 주행중 속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속도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속도감지단계와;
    상기 속도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자동차의 속도 및 자동차 엔진상태를 감지하여 자동차의 멈춤을 판단하는 자동차멈춤판단단계와;
    자동차가 멈추었을때 자동차의 브레이크라인을 감지하여 상기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지를 판단하는 제동장치작동판단단계와;
    상기 제동장치작동판단단계에서 상기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작동되지 않고, 상기 속도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속도와 자동차 엔진상태를 확인하여 속도가 0인 멈춤상태가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는 타이머단계와;
    상기 타이머단계에서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이그니션을 오프시켜 엔진을 오프시키는 엔진오프단계와;
    상기 엔진오프단계이후, 상기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의 페달이 온되면 이그니션을 점화시키고, 시동모터를 구동시켜 엔진을 재가동시키는 엔진구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엔진시동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엔진시동방법에서
    상기 엔진구동단계는 자동차의 시동전압레벨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전압레벨을 갖는 시동신호를 자동차의 시동모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시동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엔진시동방법은
    자동차의 주행속도 및 엔진의 구동여부를 엘시디모듈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엔진시동방법.
KR1020070113480A 2007-11-08 2007-11-08 자동차 엔진 시동장치 및 방법 KR100840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480A KR100840424B1 (ko) 2007-11-08 2007-11-08 자동차 엔진 시동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480A KR100840424B1 (ko) 2007-11-08 2007-11-08 자동차 엔진 시동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424B1 true KR100840424B1 (ko) 2008-06-20

Family

ID=3977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480A KR100840424B1 (ko) 2007-11-08 2007-11-08 자동차 엔진 시동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42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269B1 (ko) * 2008-11-27 2011-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텔리전트 isg 장치
KR101117742B1 (ko) * 2009-07-06 2012-03-07 주식회사 엑시언 공회전 제한을 위한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12081745A1 (ko) * 2010-12-16 2012-06-21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2808714A (zh) * 2012-07-28 2012-12-0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起动保护系统及其控制方法
CN104024821A (zh) * 2011-12-28 2014-09-0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诊断系统、车辆诊断方法和车辆
CN111301393A (zh) * 2020-03-26 2020-06-19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汽车人机共驾模式制动控制系统及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7439A (ja) 2000-05-09 2001-11-16 Denso Corp アイドルストップ時のエンジン始動方法
KR20020047558A (ko) * 2000-12-13 2002-06-22 이계안 공회전 정지 시스템용 시동모터 구동회로
JP2004224269A (ja) 2003-01-24 2004-08-12 Toyota Motor Corp 車両用の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06207447A (ja) 2005-01-27 2006-08-10 Denso Corp 常時噛合い式スタータ
JP2006342777A (ja) 2005-06-10 2006-12-21 Toyota Motor Corp 車両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7439A (ja) 2000-05-09 2001-11-16 Denso Corp アイドルストップ時のエンジン始動方法
KR20020047558A (ko) * 2000-12-13 2002-06-22 이계안 공회전 정지 시스템용 시동모터 구동회로
JP2004224269A (ja) 2003-01-24 2004-08-12 Toyota Motor Corp 車両用の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06207447A (ja) 2005-01-27 2006-08-10 Denso Corp 常時噛合い式スタータ
JP2006342777A (ja) 2005-06-10 2006-12-21 Toyota Motor Corp 車両制御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269B1 (ko) * 2008-11-27 2011-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텔리전트 isg 장치
KR101117742B1 (ko) * 2009-07-06 2012-03-07 주식회사 엑시언 공회전 제한을 위한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12081745A1 (ko) * 2010-12-16 2012-06-21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굴삭기의 엔진 공회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3261638A (zh) * 2010-12-16 2013-08-21 沃尔沃建造设备有限公司 挖掘机的发动机空转控制装置及其方法
CN104024821A (zh) * 2011-12-28 2014-09-0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诊断系统、车辆诊断方法和车辆
CN102808714A (zh) * 2012-07-28 2012-12-0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起动保护系统及其控制方法
CN102808714B (zh) * 2012-07-28 2015-07-1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起动保护系统及其控制方法
CN111301393A (zh) * 2020-03-26 2020-06-19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汽车人机共驾模式制动控制系统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424B1 (ko) 자동차 엔진 시동장치 및 방법
US6786846B2 (en) Safety device for a remotely-activated power supplying system of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KR20100065885A (ko) 차량의 공회전 강제 제한장치 및 방법
JP4473962B2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3755047B2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H11301305A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装置
KR100228988B1 (ko) 전기 자동차의 경사로 주행시 후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0137998Y1 (ko) 차속감속시 브레이크등 자동점등장치
JP2000257460A (ja) 自動車エンジンの停止方式
KR20050017642A (ko) 자동차의 주차시 바퀴 자동정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127197A (ja) 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制御装置
KR100488795B1 (ko) 차량의 제동등 작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0149102B1 (ko) 공압작동식 변속장치 장착 차량의 리어스타트 장치
KR100228987B1 (ko) 전기 자동차의 경사로 주행시 후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0314525B1 (ko) 자동차의 블랙 페이스 미터 클러스터 조명장치
KR100507083B1 (ko) 덤프 차량의 동력 인출 장치 제어 시스템
KR0133192B1 (ko) 자동차계기판 및 테일-라이트자동오프제어방법 및 장치
KR100224166B1 (ko) 연료캡 미장착시 시동불등 및 경고장치
KR200178252Y1 (ko) 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안전장치의 설치구조
KR19980037739A (ko) 댐퍼 클러치를 이용한 엔진 시동 제어장치
CN114056340A (zh) 车辆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控制设备和存储介质
KR970045344A (ko) 중량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시동제어장치
KR100443994B1 (ko) 차량의 운행속도 제한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02134A (ko) 차량주행중 자동 재시동장치 및 방법
KR970045314A (ko) 배터리 암전류 과다시 자동 시동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919

Effective date: 200811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904

Effective date: 20090618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918

Effective date: 20090618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722

Effective date: 20100714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EXTG Extinguish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00414

Effective date: 20101021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816

Effective date: 2010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