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8252Y1 - 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안전장치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안전장치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8252Y1
KR200178252Y1 KR2019990023971U KR19990023971U KR200178252Y1 KR 200178252 Y1 KR200178252 Y1 KR 200178252Y1 KR 2019990023971 U KR2019990023971 U KR 2019990023971U KR 19990023971 U KR19990023971 U KR 19990023971U KR 200178252 Y1 KR200178252 Y1 KR 200178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afety device
double safety
vehicl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명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포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포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포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9990023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82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2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03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itiating engine start or stop
    • F02N11/0807Remot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안전장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자가 탑승하여 직접 시동키이를 이용하여 엔진시동을 시동할 때와, 차량 외부로부터 사람이 탑승하지 않는 상태에서 원격시동신호를 인가받아 엔진시동을 시동하는 원격 시동기의 엔진시동에 있어서, 차량의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는 경우에만 엔진 시동 및 출발변속이 이루어지도록 제공되는 이중안전장치(100)의 설치위치를 엔진시동스위치부(130)와 원격시동수신부(140) 사이에 설치하고, 그 이중안전장치(100)의 입력단자부에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D)를 설치함으로써, 이중안전장치(100)에 원활한 전원공급과 원격시동시에는 이중안전장치(100)와 관계없이 시동이 걸리게 하고, 또한 운전자가 직접 탑승하여 시동키이에 의해 직접 시동을 시도할 때는 브레이크페달을 밟아야만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람 탑승시의 엔진시동시, 보다 안전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안전장치의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DOUBLE SAFETY APPARATUS FOR SAFETY RUNNING OF AUTOMATIC TRANSMISSION CAR}
본 고안은 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안전장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안전장치의 엔진전원 공급을 단속하는 릴레이(Relay)의 입력단자부에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Diode)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다이오드가 설치된 이중안전장치를 차량의 엔진시동스위치부(Key Box)와 원격시동수신부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엔진전원이 원활하게 공급됨과 아울러 원격시동시 이중안전장치와 관계없이 시동이 수행되도록 하는 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안전장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차량으로부터 원거리에 떨어진 장소에서 그 차량을 원격시동수단에 의해 엔진 시동의 온/오프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원격시동차량이 그 사용의 편리성으로 인하여 많이 보급되고 있는 추세에 있지만, 이러한 원격시동수단이 설치되는 자동변속차량에서는 운전자 자신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 및 급발진사고로 추정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됨으로 인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한 소정 안전장치를 차량에 설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고 있다.
이와같은 급발진 방지장치는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특허출원 99-31359호(발명의 명칭: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기재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는 경우에만 엔진시동이 실행되거나, 출발 변속이 수행되도록 하는 자동변속차량의 이중안전장치가 기 제공된 바 있고, 상기한 이중안전장치를 도 1에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안전장치는, -전원공급선, 이그니션 2 +전원공급선, 엔진 시동을 제어하는 +전원 출력선, 차량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 감지선, 브레이크 페달 작용을 감지하는 연결선 및 시동/변속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선을 구비하는 일반적인 차량배선부와, 상기 차량배선부의 각 부에 대응되어 각각 해당 신호를 인가받도록 -/+전원공급단자, +전원 출력단자, 속도센서 감지단자, 브레이크 페달 감지단자, 시동/변속위치 감지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전원공급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12V전원을 +5V로 변환하는 디지털전원부(102) 및 상기 +12V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전원출력단자로 엔진전원을 출력하는 릴레이(106)와, 상기 시동/변속위치 감지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엔진시동 및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어감지부(104)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감지단자 및 상기 속도센서 감지단자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와 상기 디지털전원부(102) 및 기어감지부(104)로부터 출력되는 +5V신호 및 엔진시동/변속레버 위치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릴레이(106)를 제어함과 아울러 소정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음성출력부(114)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8)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8)의 비정상적인 루틴 수행시 또는 낮은 전원전압 인가시에 리세트동작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8)를 재 실행시키는 제 1 오작동방지부(110) 및, 상기 제 1오작동방지부(110)의 리세트동작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108)가 비정상동작시에 상기 릴레이 구동을 제어하는 제 2오작동방지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이중안전장치에 의하면, 자동변속차량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엔진 시동시 또는 출발변속시에 브레이크페달을 동작하는 경우에만 상기 릴레이(106) 접점이 온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변속기어 조작에 따른 엔진시동동작과 변속동작이 수행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한편, 상기한 이중안전장치는 자동차 배선에 해당되는 각각의 단자를 제공하는 커넥터와의 전선 결선에 의하여 차량에 손쉽게 설치할 수가 있으나, 이러한 이중안전장치는 그 설치위치, 예컨대 상기 이중안전장치가 원격시동수단의 소정 신호를 인가받는 원격시동수신부의 선단 또는 후단의 어느곳에 설치되는냐에 따라 엔진전원용 릴레이(106)의 접점이 비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이에 따라 이중안전장치 및 엔진시동의 정상적인 구동에 영향을 주게 된다.
그리고 도 2는 자동변속차량에서 이중안전장치가 원격시동수신부 다음단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20)와, 상기 전원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엔진시동 및 각종 전기장치의 온/오프를 실행하는 엔진시동스위치부(130)와, 상기 엔진시동스위치부(130)의 점화 1단계시 엔진시동전원을 감지함과 아울러 브레이크페달 작동여부를 감지하여 엔진시동의 허가 여부를 판단하는 이중안전장치(100)와, 상기 전원공급부(12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으면서 차량 외부의 원격시동송신부로부터 인가되는 시동신호에 따라 엔진시동 및 상기 이중안전장치(1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원격시동수신부(1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급발진 사고예방을 위한 상기 이중안전장치(100)가 원격시동수신부(140)의 후단에 위치하는 경우, 원격시동을 위한 딥스위치(도면 미도시)에 의해 원격차량의 브레이크페달이 온 된 상태에서 원격시동수단에 의해 원격제어신호가 원격시동수신부(140)에 인가되면, 전원공급부(120)로부터 인가된 전원은 릴레이(106) 온 동작을 통해 상기 이중안전장치(100)에 공급되게 되고, 그 전원은 엔진 시동을 위한 엔진전원부로 출력된 후, 엔진시동을 위한 다음 동작 예컨대 점화 2단계(IG2) 및 시동모터(Start Motor) 구동을 위한 스타트(ST)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에 전원공급부로부터 이중안전장치의 +전원공급단자를 통해 인가받은 +12v전원은 릴레이 온 구동후 +전원출력단자를 통해 엔진시동을 위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고, 이때 디지털전원부는 상기 +12v전원을 +5v로 변환하여 상기 이중안전장치의 동작전원으로 제공하는바, 상기와 같이 이중안전장치가 원격시동수단의 온 동작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는 그 전원이 릴레이 접점 구동을 수행시켜 이중안전장치의 구동을 실행하는 반면 엔진전원부측으로도 전원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상기 릴레이를 통한 엔진전원의 공급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인 전원이 엔진전원부측으로 인가되고, 이에 따라 릴레이를 통한 엔진전원출력이 비정상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이중안전장치 및 원격시동이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이중안전장치의 전원 입력단자부에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D)를 제공함과 아울러 그 이중안전장치를 엔진시동스위치부와 원격시동수신부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원격시동수단에 의한 자동변속차량의 원격시동시 상기 이중안전장치와는 관계없이 시동이 걸리게 하거나, 또는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중안전장치로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며, 운전자가 직접 시동키이에 의해 시동시에는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해야만 시동이 수행되도록 하는 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안전장치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안전장치의 설치구조는, 소정 크기의 수납공간 케이스 내부에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차량 배선과 연결되도록 -전원공급선· +전원공급선· +전원출력선 · 속도센서감지선 · 브레이크페달작동감지선 · 시동 및 변속위치감지선을 가지는 커넥터와, 그 커넥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기어상태를 감지하는 기어감지부, 차량의 엔진 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 상기 브레이크페달작동감지선 및 속도센서감지선으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와 12V로부터 5V전원을 생성하는 디지털전원부 및 상기 기어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전원출력단자로 엔진전원을 출력하는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오동작이나 노이즈에 의한 상기 릴레이가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는 릴레이오작동방지부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이상을 진단하고 보정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오작동방지부로 이루어진 자동변속차량의 이중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중안전장치는 차량의 엔진시동시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차량의 엔진시동스위치부와 차량 외부로부터 원격시동신호를 인가받아 엔진시동을 수행하는 원격시동수신부 사이에 설치되고, 그 이중안전장치의 입력단자부에는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Diode)가 포함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안전장치의 설치구조에 적용되는 이중안전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는 자동변속차량에서 도 1의 이중안전장치가 원격시동수신부의 후단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안전장치의 설치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중안전장치, 120 : 전원공급부,
130 : 엔진시동스위치부, 140 : 원격시동수신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및 도 2에 기재된 이중안전장치 및 그 설치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중복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안전장치의 설치구조를 보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20)와, 그 전원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엔진시동 및 각종 전기장치의 온/오프를 실행하는 엔진시동스위치부(130)와, 상기 엔진시동스위치부(130)의 점화 1단계시 엔진 시동전원을 감지함과 아울러 브레이크페달 작동여부를 감지하여 엔진시동의 허가 여부를 판단하는 이중안전장치(100)와, 상기 전원공급부(120)의 전원을 제공받으면서 차량 외부의 원격시동송신부로부터 인가되는 시동신호에 따라 엔진시동 및 상기 이중안전장치(100)로 전원을 인가하는 원격시동수신부(140)로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이중안전장치(100)의 입력단자에는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가(D)가 더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이중안전장치에 의한 자동변속차량의 엔진시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격시동 딥스위치(도면에 미도시)에 의한 브레이크페달 온 상태에서만 원격시동수단에 의한 정상적인 시동동작이 수행되는바, 이때에는 이중안전장치(100)에 제공되는 엔진전원제어용 릴레이(Relay)(106)는 온(on)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이와 반대로 브레이크페달이 오프상태인 경우에는 엔진전원제어용 릴레이(106)가 오프(off)상태로서 시동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이와같은 브레이크페달 온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동작에 따라 차량외부의 원격시동송신부(도면 미도시)로부터 엔진시동을 위한 신호가 원격시동수신부(140)에 인가되면, 그 시점부터 원격시동수신부(140)로부터 +전원은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D)를 매개하여 이중안전장치(100)에 공급되며, 이에따라 릴레이(106)의 접점 온(CONNECT)상태로서 엔진시동을 제어하기 위한 엔진전원을 +전원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즉, 원격차량의 딥스위치에 의한 브레이크페달이 온인 경우에 릴레이(106) 접점도 온 상태로서 원격시동신호가 원격시동수신부(140)에 인가되게 되면, 상기 이중안전장치(100)와는 상관없이 엔진시동신호가 출력되어 소정 점화순서에 따른 시동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엔진시동스위치부(130)에 직접 시동키이를 이용하여 시동을 수행할 때에는, 상기 시동동작에 따른 소정 시동신호를 인가받은 이중안전장치(1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08)가 소정 제어동작에 따라 변속기어변환상태 및 브레이크페달 구동여부 등을 판단하고, 그에 따른 릴레이(106)를 단속하게 되는 바, 브레이크페달이 온 상태인 경우에만 엔진 시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브레이크페달이 오프인 경우에는 릴레이(106) 오프 상태로서 엔진시동은 수행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중안전장치가 원격시동수신부 전단에 설치됨과 아울러 그 이중안전장치의 입력단자부에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D)가 설치되는 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안전장치의 설치구조에 따르면, 자동변속차량의 브레이크페달 온 상태에서 원격시동시 이중안전장치와 관계없이 원격시동이 수행됨과 아울러 그 이중안전장치로 전원공급이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제공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엔진시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소정 크기의 수납공간 케이스 내부에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차량 배선과 연결되도록 -전원공급선· +전원공급선· +전원출력선 · 속도센서감지선 · 브레이크페달작동감지선 · 시동 및 변속위치감지선을 가지는 커넥터와, 그 커넥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기어상태를 감지하는 기어감지부, 차량의 엔진 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 상기 브레이크페달작동감지선 및 속도센서감지선으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와 12V로부터 5V전원을 생성하는 디지털전원부 및 상기 기어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전원출력단자로 엔진전원을 출력하는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오동작이나 노이즈에 의한 상기 릴레이가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는 릴레이오작동방지부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이상을 진단하고 보정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오작동방지부로 이루어진 자동변속차량의 이중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중안전장치는 차량의 엔진시동시 전원공급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차량의 엔진시동스위치부(130)와 차량 외부로부터 원격시동신호를 인가받아 엔진시동을 수행하는 원격시동수신부(140) 사이에 설치되고, 그 이중안전장치(100)의 입력단자부에는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Diode)가 포함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차량의 이중안전장치의 설치구조.
KR2019990023971U 1999-11-04 1999-11-04 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안전장치의 설치구조 KR200178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971U KR200178252Y1 (ko) 1999-11-04 1999-11-04 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안전장치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971U KR200178252Y1 (ko) 1999-11-04 1999-11-04 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안전장치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8252Y1 true KR200178252Y1 (ko) 2000-04-15

Family

ID=19594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971U KR200178252Y1 (ko) 1999-11-04 1999-11-04 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안전장치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82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6588B2 (en) Starter drive device
JP2000515955A (ja) 自動車における制御装置の作動装置
US6786846B2 (en) Safety device for a remotely-activated power supplying system of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KR100840424B1 (ko) 자동차 엔진 시동장치 및 방법
KR200178252Y1 (ko) 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안전장치의 설치구조
KR101179426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100821716B1 (ko) 비상안전기능을 가지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JP3308840B2 (ja) 定速走行装置
KR100958743B1 (ko) 비상 안전 기능을 갖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KR102238490B1 (ko) 차량의 캔신호와 휴즈를 연동한 차량제어장치 및 방법
KR0131427Y1 (ko)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KR100286526B1 (ko) 자동차의 엔진 시동 제어방법
KR0167973B1 (ko) 자동차의 브레이트 이상시 출발 방지 장치
KR100350267B1 (ko) 대형 반자동 변속기 탑재 차량의 시동시 안전장치
KR200201168Y1 (ko) 수동기어 자동차의 안전장치
JPH1026067A (ja) 遠隔エンジン始動装置
KR100781811B1 (ko) 차량용 경음기
KR960013851A (ko) 차량용 탑승자 보호장치
KR19990052093A (ko) 배터리의 자동 충전 장치
JPH11247745A (ja) 車両のスタータ制御装置
KR100224166B1 (ko) 연료캡 미장착시 시동불등 및 경고장치
KR19980053885A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JPH0544786Y2 (ko)
KR0139518B1 (ko) 엔진 제어장치
KR100423987B1 (ko) 자동변속 차량의 시동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