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742B1 - 공회전 제한을 위한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공회전 제한을 위한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742B1
KR101117742B1 KR1020090062877A KR20090062877A KR101117742B1 KR 101117742 B1 KR101117742 B1 KR 101117742B1 KR 1020090062877 A KR1020090062877 A KR 1020090062877A KR 20090062877 A KR20090062877 A KR 20090062877A KR 101117742 B1 KR101117742 B1 KR 101117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top
condition information
automatic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230A (ko
Inventor
이승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시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시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시언
Publication of KR20110004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7/00Controlling engines by cutting out individual cylinders;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 F02D17/02Cutting-o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stopping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8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id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14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omprising means for controlling automatic idle-start-s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 시동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차가 주행중에 바퀴가 멈춤을 감지하면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시키고, 출발시 브레이크나 클러치가 작동이되면 점화부와 연료분사부가 작동되어 시동이 걸리므로 불필요한 자동차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엔진 시동 정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는 차량의 운전상태에 따라 엔진의 자동 정지 및 자동 시동을 행하는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운전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정보와 기설정된 조건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의 운전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엔진의 자동 정지 및 시동을 제어하는 엔진 자동시동정지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회전(idle running), 자동 시동 및 정지(start-stop), 엔진시동장치 (Engine start device), 공회전제한장치 (Idle Stop Controller), ECU(Electric Control Unit), 핸드브레이크(Hand Brake), 주차 브레이크(Parking Brake)

Description

공회전 제한을 위한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 및 그 방법{Engine automatic start-stop control to optimize engine idle running}
본 발명은 정해진 조건에 따라 자동차의 엔진 아이들을 자동으로 정지 또는 유지하는 공회전 제한을 위한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가 주행 중에 멈춤을 감지하면 엔진을 자동으로 멈출 수도 있고 자동차가 천천히 움직일 경우 브레이크나 클러치조작으로 엔진의 시동이 멈추지않고 주행할 수 있는 장치로써, 이후 브레이크나 클러치가 작동되면 점화부가 작동되어 엔진이 시동되어 불필요한 자동차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공회전 제한을 위한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난화 문제 등의 환경문제가 주목되고, 이산화탄소 등의 배출량을 저감하기 위해서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차량의 개발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배출가스가 없기 때문에 환경문제를 감안한 경우에는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일회 충전으로 주행할 수 있는 거리가 짧고, 내연기관을 사용한 종래 차량의 출력 및 실용성을 충분히 대체하지 못 하는 기술적인 문제가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 및 모터를 구비하고, 엔진의 회전과 제동력의 회생에 의해 밧데리를 충전하며, 이산화탄소 등의 배출량이 비교적 많은 엔진 회전수가 낮은 영역에서는 모터 단독주행 혹은 엔진과 모터의 병용에 의한 주행을 행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종래의 차량특성(주행거리나 운전성)을 유지하면서도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이고 있어 원거리 주행도 가능하여 최근 실용성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차량의 단점으로 여전히 일반 자동차보다 구매 비용이 높다는 점과 유지/보수 비용의 높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에 대비해서 종래의 엔진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는 하이브리드 차량과 같이 대용량의 배터리를 장착하지 않고 원래의 주어진 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했기 때문에 유지/보수비용이 상승이 적다는 점과 차량 정지 상태에서 엔진 아이들 시간을 최적화하여 불필요한 이산화탄소 등의 배출가스를 없앴다는 점에서 비용 대비 배출가스 최소화에 있어 하이브리드 차량보다 우수하다.
현재 상용화된 엔진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는 풋브레이크와 클러치 등에 의한 조작만으로 아이들 정지를 판단하고 있다. 이에 대한 문제점으로는 엔진 정지이후 풋브레이크를 조작할 경우 풋브레이크 페달이 딱딱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안전상에 문제가 있다는 것과, 운전자의 작동 부주의로 엔진 재시동 중 엔진 정지 상태가 발생한 경우에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외에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엔진 아이들 정지를 실시할 경우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엔진 재시동을 실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공기 조화 장치와 부가적인 전기 부하 장치 등의 작동 조건도 운전자의 편의 증진을 위해서 고려해야 하는데 아직 이에 대한 문제점 해결 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차량이 멈추면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시키고, 이후 운전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엔진을 재시동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엔진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는 풋브레이크와 클러치 등에 의한 조작 만으로 아이들 정지를 판단할 경우 엔진 정지이후 풋브레이크 추가 조작에 의해서 풋브레이크 페달이 딱딱해지는 현상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서 추가 시동 정지 조건으로 핸드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풋브레이크를 작동 시킨 상태에서 핸드브레이크도 같이 채워진 조건에서 아이들 정지를 실시하여 안전성을 증대 시키고자 한다.
(2) 엔진 아이들 정지에서 엔진 시동으로 복귀할 때 클러치의 오조작 등으로 인하여 엔진 재시동을 실패한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통보한다. 운전자가 핸드브레이크를 풀고 풋브레이크와 클러치를 밟고 있는 상태일 경우 엔진 시동을 자동적으로 재시도 하도록 해서 오조작에 대한 안전성을 증진 시키고자 한다.
(3) 엔진 시동정지 제어기가 엔진 아이들 정지를 위한 추가 조건으로 공기조화 장치의 작동 상태와 부가 전기 장치의 사용 상태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추가로 고려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는 차량의 운전상태에 따라 엔진의 자동 정지 및 자동 시동을 행하는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운전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정보와 기설정된 조건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의 운전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엔진의 자동 정지 및 시동을 제어하는 엔진 자동시동정지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엔진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는,엔진의 시동을 판단하기 위한 시동조건정보 및 엔진의 정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지조건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DB); 및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의 시동조건정보 및 정지조건정보와 순차적으로 매칭시키고, 그 결과 시동조건정보와 매칭될 경우에는 엔진을 시동시키고 정지조건정보와 매칭될 경우에는 엔진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검출수단은,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수단; 클러치 페달의 밟은 상태를 검출하는 클러치 검출수단; 및 엔진의 자동 정지 상태를 검출하는 자동 정지 검출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엔진 자동시동정지 제어기는, 자동 정지 검출수단에 의해 엔진의 자동 정지 조건에 의하지 않은 엔진의 정지상태로 검출되고, 엔진 회전수 검출수단에 의해 엔진의 회전수가 영(제로)으로 검출되고, 또 클러치 검출수단이 클러치 페달을 밟은 것을 검출했을 때, 엔진을 자동으로 시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엔진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는 엔진 자동 시동시 운전자의 오조작에 기인하여 엔진이 정지했을 경우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고 있을 경우 엔진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는 자동적으로 재시동을 실시한다. 만일,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고 있지 않을 경우 운전자에게 이를 경고하여 클러치 페달을 밟도록 하고 엔진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는 자동적으로 재시동을 실시한다.
또, 검출수단은,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검출수단;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수단; 클러치 페달의 밟은 상태를 검출하는 클러치 검출수단; 풋 브레이크 페달의 밟은 상태를 검출하는 풋 브레이크 검출수단; 핸드 브레이크(이하, 주차브레이크 포함)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핸드 브레이크 검출수단; 및 엔진의 자동 정지 상태를 검출하는 자동 정지 검출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엔진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는, 차속 검출수단에 의해 차속이 영으로 검출되고, 풋 브레이크 페달 밟은 것을 검출하고, 클러치 검출 수단이 클러치 페달을 밟은 것을 검출했을 때, 핸드 브레이크 또는 파킹 브레이크가 체결된 것이 검출되었을 때,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시킨다.
또, 엔진 자동시동정지 제어기는, 차속 검출 수단에 의해 차속이 영으로 검출되고, 풋 브레이크 페달 밟은 것을 검출하고, 클러치 검출 수단이 클러치 페달을 밟은 것을 검출 했을 때, 핸드 브레이크 또는 파킹 브레이크가 체결된 것이 검출되었을 때,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시킨다.
또한, 엔진 자동시동정지 제어기는, 차속검출수단에 의해 차속이 영이 아닌 것으로 검출되고, 자동 정지 검출수단에 의해 엔진의 자동 정지 조건에 의한 엔진의 정지상태로 검출되고, 엔진 회전수 검출수단에 의해 엔진의 회전수가 영(제로)으로 검출되고, 핸드 브레이크 또는 주차 브레이크를 푼 것을 검출했을 때, 풋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것에 상관없이 엔진을 자동으로 시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방법은 차량의 운전상태에 따라 엔진의 자동 정지 및 자동 시동을 행하는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운전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 검출된 정보와 기설정된 조건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의 운전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엔진의 자동 정지 및 시동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어 단계는, 엔진의 시동을 판단하기 위한 시동조건정보 및 엔진의 정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지조건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정보를 엔진의 시동을 판단하기 위한 시동조건정보 및 엔진의 정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지조건정보와 순차적으로 매칭시키고, 그 결과 시동조건정보와 매칭될 경우에는 엔진을 시동시키고 정지조건정보와 매칭될 경우에는 엔진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검출 단계는,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제1 단계; 클러치 페달의 밟은 상태를 검출하는 제2 단계; 및 엔진의 자동 정지 상태를 검출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어 단계는, 엔진의 자동 정지 조건에 의하지 않은 엔진의 정지상태로 검출되고, 엔진의 회전수가 영(제로)으로 검출되고, 클러치 페달을 밟은 것을 검출했을 때, 엔진을 자동으로 시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단계는, 엔진 자동 시동 시 운전자의 오조작에 기인하여 엔진이 정지했을 경우 운전자가 클러치페달을 밟고 있을 경우 엔진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는 자동적으로 재시동을 실시하고, 만일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고 있지 않응 경우 운전자에게 이를 경고하여 클러치 페달을 밟도록 하고 엔진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는 자동적으로 재시동을 실시한다.
또, 검출 단계는,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고,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제1 단계; 클러치 페달의 밟은 상태를 검출하는 제2 단계; 풋 브레이크 페달의 밟은 상태를 검출하는 제3 단계; 핸드 브레이크(주차 브레이크 포함)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제4 단계; 및 엔진의 자동 정지 상태를 검출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단계는, 차속 검출 수단에 의해 차속이 영으로 검출되고, 풋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것을 검출하고, 클러치 검출 수단이 클러치 페달을 밟은 것을 검출했을 때, 핸드 브레이크 또는 파킹 브레이크가 체결된 것이 검출되었을 때,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시킨다.
또, 제어 단계는, 차속검출수단에 의해 차속이 영이 아닌 것으로 검출되고, 엔진의 자동 정지 조건에 의한 엔진의 정지상태로 검출되고, 엔진의 회전수가 영(제로)으로 검출되고, 핸드 브레이크 또는 파킹 브레이크를 푼 것을 검출했을 때, 엔진을 자동으로 시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는 다양한 기술적 특징 및 효과를 갖는다.
(1) 도로 교통에 따라서 자동차가 주행을 일시정지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시키고, 또한 간단한 조작만으로 엔진을 다시 온시키므로 유효한 공회전을 최적화할 수 있어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비 및 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2) 자동시동수단은 엔진정지상태에서 재시동을 행할지 여부를 판단하여 엔진의 재시동을 제어하고 있으나, 운전자의 오조작이 원인으로 엔진이 정지하여 엔진 회전수가 영으로 된 경우에도 수동변속기 차량의 경우 풋 브레이크 페달과 페달을 밟고 있는 상태이면 엔진의 재시동을 제어한다.
(3) 자동시동수단은 엔진정지상태에서 재시동을 행할지 여부를 판단하여 엔진의 재시동을 제어하고 있으나, 운전자의 오조작이 원인으로 엔진이 정지하여 엔진 회전수가 영으로 된 경우에도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지 않은 상태이면 엔진의 재시동을 제어한다.
(4) 운전자의 오조작에 의해 엔진이 정지한 경우에, 운전자가 엔진의 자동정지 제어를 행하여 엔진이 정지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을 때라도, 자동 정지 상태에서 엔진을 재시동하는 조작과 동일한 조작으로 엔진이 재시동되므로,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엔진 자동 시동정지 제어장치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b는 도 1의 엔진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자동 시동 정지 제어장치는 차량의 운전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정보와 기설정된 조건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의 운전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엔진의 자동 정지 및 시동을 제어하는 엔진 자동시동정지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엔진 자동시동정지 제어기는 하술된 엔진(10)에 연료와 점화 에너지 공급의 제어로 엔진의 시동이나 정지를 전체적으로 제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엔진 자동시동정지 제어기는 ECU를 채용할 수 있다. 즉, 엔진 자동 시동 정지 제어기(1)은 기본적으로 각종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2)와 각종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3)를 수신하여 엔진의 정지와 시동을 제어하게 된다.
검출수단은 차량에 설치된 각종 센서 및 각종 스위치를 포함하게 된다. 검출수단은 차량의 운전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검출수단은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검출수단,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수단, 클러치 페달의 밟은 상태를 검출하는 클러치 검출수단, 엔진의 자동 정지 상태를 검출하는 자동 정지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엔진 자동시동정지 제어기는 자동 정지 검출수단에 의해 엔진의 자동 정지 조건에 의하지 않은 엔진의 정지상태로 검출되고, 엔진 회전수 검출수단에 의해 엔진의 회전수가 영(제로)으로 검출되고, 또 클러치 검출수단이 클러치 페달을 밟은 것을 검출했을 때, 엔진을 자동으로 시동시키게 된다.
또, 검출수단은,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검출수단,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수단, 클러치 페달의 밟은 상태를 검출하는 클러치 검출수단, 브레이크 페달의 밟은 상태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검출수단, 핸드 브레이크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핸드 브레이크 검출수단, 엔진의 자동 정지 상태를 검출하는 자동 정지 검출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진의 자동정지 검출수단은 상술한 엔진 자동시동정지 제어기 내에서 판단된 엔진 자동 정지 조건의 만족 여부를 검출하여 엔진 자동시동정지 제어기에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 정지 검출수단은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엔진 자동시동정지 제어기는 자동 정지 검출수단에 의해 엔진의 자 동 정지 조건에 의하지 않은 엔진의 정지상태로 검출되고, 엔진 회전수 검출수단에 의해 엔진의 회전수가 영(제로)으로 검출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것을 검출했을 때, 엔진을 자동으로 시동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자동시동정지 제어기는 엔진의 시동을 판단하기 위한 시동조건정보 및 엔진의 정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지조건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110)(DB),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10)의 시동조건정보 및 정지조건정보와 순차적으로 매칭시키고, 그 결과 시동조건정보와 매칭될 경우에는 엔진을 시동시키고 정지조건정보와 매칭될 경우에는 엔진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 발생시키는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정해진 조건을 판단하고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어프로그램부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 제어부와 제어프로그램부는 동일한 것으로 한다.
데이터 베이스(110)(DB)는 상술한 검출신호 중 각종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2), 즉 차속을 나타내는 신호, 엔진 회전수를 나타내는 신호, 엔진 수온을 나타내는 신호, 엔진 흡기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 서보장치를 구비한 브레이크의 공기압을 나타내는 신호, 배터리의 전압과 전류를 나타내는 신호 등에 대한 시동조건정보 및 정지조건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예컨대, 엔진 자동 시동 정지 제어기(1)는 배터리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충전잔류용량 SOC(State Of Charge)를 계산하고 이 계산에 기초하여 엔진의 정지 여부를 결정한다.
또, 데이터 베이스(110)(DB)는 각종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3) 즉, 점 화 스위치의 ON/OFF를 나타내는 신호, 풋브레이크를 밟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 핸드브레이크를 체결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 기어변속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자동변속(AT) 또는 무단변속(CVT)을 구비한 차량의 경우), 클러치를 밟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수동변속(MT)을 구비한 차량의 경우) 등에 대한 시동조건정보 및 정지조건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110)(DB)는 부가전기부하계통(4)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시동조건정보 및 정지조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반 차량에서 사용하는 부가전기부하계통(4)은 배터리로부터 직접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부분으로서 헤드램프와 열선 등이 이에 속한다. 이 부분은 특히 전력소비가 많은 부분으로서 엔진 정지 상태에서 이를 계속 사용하면 엔진 재시동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운전자가 설정한 부가전기부하계통의 가동상태에 기초해서 엔진 정지 여부를 결정한다.
또, 데이터 베이스(110)(DB)는 공기 조화계통(5, 이하 에어콘)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시동조건정보 및 정지조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반 차량에서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엔진에 의해 압축기가 구동되는 공기 조화계통(5, 이하 에어콘)이 있다. 이 경우 엔진 시동 정지를 제어하는 차량에서 엔진 정지 실행 중엔 에어콘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차속이나 엔진 회전수, 브레이크의 상태 등 차량의 기초 상태만으로 엔진의 정지를 판단하면 운전자에게 편안한 온도범위보다 높거나 낮게 되는 외기 온도 변화에 따라 쾌적한 운전 환경을 제공할 수 없다. 그러므로 운전자가 설정한 에어콘의 가동 상태를 참조하여 엔진의 정지 여부를 결정한다.
또, 본 발명에서 데이터 베이스(110)(DB)에 저장된 시동조건정보 및 정지조건정보는 검출수단에서 수신되는 다수의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에 대한 조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어부(100)는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10)의 시동조건정보 및 정지조건정보와 순차적으로 매칭시키고, 그 결과 시동조건정보와 매칭될 경우에는 차량의 엔진을 시동시키고 정지조건정보와 매칭될 경우에는 차량의 엔진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시동 정지 또는 시동 개시는 엔진의 동작을 정지 하거나 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량은 수동 변속(MT)기 차량 및 자동 변속(AT)기 차량에 모두 적용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차량에 대한 구성 및 검출센서의 구성은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자동 시동 정지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자동 시동 정지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순서도이다.
계략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00)는 검출수단으로부터 차량의 운전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한다(S10). 그리고 제어부(100)는 데이터베이스(110) 내에 저장된 기설정된 조건정보를 로딩하여(S20), 검출된 정보와 순차적으로 비교하 여 차량의 운전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엔진의 자동 정지 및 시동을 제어하는 제어하게 된다(S30~S60).
일례로, 검출수단 중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수단, 클러치 페달의 밟은 상태를 검출하는 클러치 검출수단, 엔진의 자동 정지 상태를 검출하는 자동 정지 검출수단에서 해당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S10). 그러면 제어부(100)는 수신된 각종 신호를 비교하기위한 기설정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로딩하여 순차적으로 매칭시킨다(S20). 이때, 비교결과(S30), 제어부(100)는 시동 개시 조건인 경우, 즉, 자동 정지 검출수단에 의해 엔진의 자동 정지 조건에 의하지 않은 엔진의 정지상태로 검출되고, 엔진 회전수 검출수단에 의해 엔진의 회전수가 영(제로)으로 검출되고, 또 클러치 검출수단이 클러치 페달을 밟은 것을 검출했을 때, 제어부(100)는 시동 개시인 것으로 판단하여 엔진을 자동으로 시동시키게 된다(S50).
한편, 제어부(100)는 시동 개시 조건이 아닌 경우 시동 정지 조건인 것으로 판단하여(S40),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시키게 된다(S50).
다른 예로, 검출수단 중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수단, 클러치 페달의 밟은 상태를 검출하는 클러치 검출수단, 브레이크 페달의 밟은 상태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검출수단, 핸드 브레이크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핸드 브레이크 검출수단, 엔진의 자동 정지 상태를 검출하는 자동 정지 검출수단에서 해당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S10). 그러면, 제어부(100)는 수신된 각종 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기설정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로딩하여 순차적으로 매칭시킨다(S20). 이때, 비교결과(S30), 제어부(100)는 시동 개시 조건인 경우, 즉, 자동 정지 검출수단에 의해 엔진의 자동 정지 조건에 의한 엔진의 정지상태로 검출되고, 엔진 회전수 검출수단에 의해 엔진의 회전수가 영(제로)으로 검출되고, 핸드 브레이크 또는 파킹 브레이크를 푼 것을 검출했을 때, 제어부(100)는 시동 개시인 것으로 판단하여 풋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것에 상관없이 엔진을 자동으로 시동시키게 된다.
한편, 제어부(100)는 시동 개시 조건이 아닌 경우 시동 정지 조건인 것으로 판단하여(S40),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시키게 된다(S50).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엔진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하술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위한 일례로써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엔진의 시동 및 정지는 상술한 엔진 자동 시동 제어기에 의해서 판단되어 제어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A. [제 1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엔진 자동 시동 정지 제어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엔진 자동 시동 정지 제어장치의 시스템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제1 실시예에서는 수동 변속(MT)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차량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은 엔진이며, 그 구동력은 수동 변속(21)을 거쳐 차륜(25)에 전달된다. 도면부호 15는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이며, 신호선(11)을 거쳐 엔진(10)으로부터 출력되는 수온 TENG 등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고 신호선(32,33,34)을 거쳐 클러치 페달, 풋브레이크 페달 그리고 핸드브레이크 체결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고, 이들 신호의 조합에 따라 신호선(13)을 거쳐 엔진(10)에 공급하는 연료공급 및 점화시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도면부호 4는 부가 전기부하 계통이다. 운전자의 설정 신호가 (6)을 거쳐 제어기(15)에 입력되고,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15)는 설정 신호에 따라 신호선(13)을 거쳐 엔진(10)에 공급하는 연료공급 및 점화시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부가 전기부하 계통에 대한 운전자의 설정 신호(6)에 따라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15)는는 부가 전기부하 계통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7)를 출력한다.
도면부호 5는 공기조화 계통이다. 운전자의 설정 신호(8)가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15)는에 입력되고,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15)는는 설정 신호에 따라 신호선(13)을 거쳐 엔진(10)에 공급하는 연료공급 및 점화시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공기조화 계통에 대한 운전자의 설정 신호(8)에 따라 제어기(15)는 공기 조화기(에어콘)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9)를 출력한다.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15)는 운전자 계기판 또는 기타 제어기에서 출력하는 등 차량에서 통상적으로 제공하는 차속계와 엔진회전수계(30)로부터 각각 차속과 엔진 회전수 신호(31)를 받아 들인다.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15)는 배터리(14)로부터 전압과 전류 신호(13)를 받아 들인다. 이 신호를 기초로 하여 충전잔류용량을 계산한다.
또한, 도면 부호 35는 엔진(10)이 정지상태인지 여부를 운전자에 경고하는 경고장치다. 경고장치의 예로는 체크램프 또는 알람 등이 있으며, 이는 엔진 자동 시동정지 장치의 전용 스위치 모듈 등에 같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고장치(35)는 차량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엔진 정지제어가 행해진 경우, 예를 들어, 클러치 페달로부터 발을 떼었을 때, 즉 클러치 페달이 완전히 열린 상태로 되었을 때에 램프 등을 점멸한다. 또는 운전자의 부적절한 조작에 의하여 엔진이 정지했거나 적절한 조건에 의하여 엔진 정지상태로 진입하는 초기에 알람이 작동한다.
엔진 동작의 재개는 운전자의 의지만이 아니라, 예를 들면 배터리(14)의 잔류용량이 저하한 경우에도 자동으로 행해진다. 이 경우에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으면 엔진의 재시동이 행해지지 않으므로, 클러치 밟음에 의한 엔진의 재시동 요구를 알람을 통하여 운전자에 통지한다.
다음에,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엔진 자동 시동 정지 제어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주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15)는 각종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및 각종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배터리, 공기조화계통, 부가 전기부하 계통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소정의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엔진의 시동을 정지시키고, 또한 소정의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엔진의 시동을 개시한다.
다음에 엔진 시동의 정지 및 개시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경우에 엔진 시동의 정지 또는 개시를 행하고, 배출 가스량의 저감을 도모함과 아울러, 운전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A1) 차량 정지시의 엔진 정지
차속이 소정치 이하에서 클러치를 밟고 풋브레이크를 밟고 핸드브레이크를 체결한 경우, 운전자가 차량을 정지시킬 것으로 판단하여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한다. 예를 들면, 차속이 0.1 ~ 5km/h 이하이고 클러치를 밟고 있고 풋브레이크를 밟고 핸드브레이크를 체결한 경우에 엔진을 정지한다.
이 조건이 성립하여 엔진을 정지한 경우에도 클러치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핸드브레이크를 풀면 엔진의 재시동을 행한다.
(A2) 재시동 후의 엔진 정지 금지
이 모드는 재시동한 후, 상술한 (A1) 차량 정지시의 엔진 정지 조건과 같이 차량 정지 후 핸드브레이크를 체결하여 시동정지 조건을 만족한 경우라도 직전 드 라이빙 사이클에서 재시동 후 차속이 소정의 차속을 넘어가지 않았을 경우 엔진 정지를 금지한다. 예를 들어, 재시동 후 차속이 15km/h를 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차량 정지하여 시동정지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이 경우 엔진 정지를 금지한다.
정체에서는 저속으로 근거리를 주행하는 서고 가는 동작을 빈번하게 반복하여 기어를 중립으로 하여 정차하나, 이 동작이 엔진 정지 상태로 계속되면, 배터리 전력 소비가 크다. 따라서, 재시동한 후에 소정의 차속에 도달하지 않아 핸드브레이크를 체결한 경우에는 아이들 정지를 금지한다.
(A3) 엔진 정지 통지
엔진 정지를 실시할 것임을 운전자에 통지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한 경고장치(35)를 설치한다. 엔진 정지 시에 경보장치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이를 통지한다.
이 경고장치(35)는 예를 들면 차량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엔진 정지 제어가 행해진 경우, 클러치 페달로부터 발을 떼었을 때에 경보장치를 작동한다. 엔진이 재시동된 경우는 운전 자의 의지만이 아니라, 예를 들어, 배터리(14)의 잔류용량의 규정치 미만으로 저하한 경우에도 행해진다. 이 경우에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으면 엔진의 재시동이 행해지지 않으므로, 클러치 밟음에 의한 엔진의 재시동 요구를 운전자에 통지한다.
또한 엔진 정지 중에 운전자가 오인하여 차량이 완전히 정지하고 있는 것으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경고장치(35)를 작동시켜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A4) 경고장치 제어
경고장치는 다음과 같은 경우 작동한다.
i) 엔진 정지: 이는 (A3)엔진 정지 통지 조건과 같이 작동한다.
ii) 엔진 재시동: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서 재시동이 결린 경우와 이외에 배터리 SOC가 소정치 이하이거나 브레이크의 공기압이 적정치 이하인 경우, 펌핑 브레이크, 엔진정지중 에어콘 사용요구가 들어온 경우, 부가 전기부하계통의 사용 요구가 들어온 경우, 엔진수온이 적정온도 이하로 떨어진 경우 등에 대해서도 자동적으로 엔진 재시동이 걸린다. 이 경우 엔진 재시동시 운전자에게 통지한다.
예컨대, 핸드브레이크를 체결하고 풋브레이크에서 발을 떼었을 때. 핸드브레이크를 풀고 클러치에서 발을 떼었을 때 엔진 재시동시 운전자에게 통지된다.
(A5) 에어콘 작동 요구에 대한 대응
에어콘의 조작 상태에 대하여 엔진정지를 행할지 여부를 제어한다. 엔진 동작 중에 에어콘이 함께 작동 중이면 차량 정지 조건에서 핸드브레이크를 체결하더라도 엔진 정지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엔진 정지 중에 운전자가 에어콘 작동을 요구하면 핸드브레이크가 체결되어 있고 클러치를 밟고 있어도 엔진은 자동적으로 재시동을 시도한다. 만일 클러치를 밟고 있지 않은 상황이면 경고장치(34)를 통하여 클러치를 밟을 것을 요구한다.
(A6) 부가 전기부하 계통 작동 요구에 대한 대응
부가 전기부하 계통의 조작 상태에 대하여 엔진정지를 행할지 여부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부가 전기부하 계통이란 뒷열선, 히터, 헤드램프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엔진 동작 중에 부가 전기부하 계통이 함께 작동 중이면 차량 정지 조건에서 핸드브레이크를 체결하더라도 엔진 정지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엔진 정지 중에 운전자가 부가 전기부하 계통 작동을 요구하면 핸드브레이크가 체결되어 있고 클러치를 밟고 있어도 엔진은 자동적으로 재시동을 시도한다. 만일 클러치를 밟고 있지 않은 상황이면 경고장치(34)를 통하여 클러치를 밟을 것을 요구한다.
(A7) 브레이크 마스터의 공압에 대한 제어
현재의 차량에는 일반적으로 서보장치가 설치되고,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는 것에 요하는 힘을 저감하고 있다. 서보장치의 작동은 공압에 의해서 작동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보통이다. 공압은 엔진이 작동된 상태에서 확보되는데, 엔진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 밟음을 계속하면 서보장치의 공압이 저하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는데 요하는 힘이 크게 된다. 이 경우, 강제로 엔진을 재시동하여 공압을 확보하도록 제어한다.
(A8) 차량을 다루는 조작성의 향상
운전자의 엔진 자동 시동정지 장치의 조작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는 다음과 같다.
I) 초기 엔진 시동 후, 소정 시간(예를 들면 3분간)이 지나 정해진 엔진온도이상이 될 때 까지는 엔진 정지를 금지한다. 예를 들어 토기 엔진 시동 후에 보통 엔진 온도가 상온이다. 이 상태에서 엔진 정지를 시도하면 다음 재시동 때 배기가스가 많이 발생하므로 엔진 정지가 오히려 불리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주차장에서는 서행 등이 많기 때문에 빈번한 엔진 정지 및 재시동의 반복은 오히려 불편하다.
또, 차량 정지 상태에서도 풋 브레이크(33)을 밟고 클러치(32)를 밟고 있지 않으면 시동정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체구간에서 빈번한 가다 서다를 반복하거나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해서 후진등으로 서행을 할 경우 차속만 고려하여 엔진을 정지시키면 불편하다. 운전자의 정차 의지를 보다 확실하게 판단하기 위해서 핸드브레이크 체결에 대한 정보를 사용한다. 또한 엔진 정지된 차량의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 핸드브레이크를 체결한 상태에서 엔진을 정지하도록 한다.
(A9) 급가속 대처
엔진 자동정지 후에 엔진 자동정지 해제조건이 발생한다. 이 경우 운전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차량이 급발진하는 경우에 대비해야 한다. 엔진 자동정지 중에 엔진 재시동을 허가하는 조건은 엔진 자동정지 후에 클러치 페달을 밟고 핸드브레이크를 풀러야 한다.
이외의 조건으로는 배터리 잔류용량이 임계치 미만으로 저하하거나, 에어콘 사용 요구가 있는 경우, 부가 전기 부하 계통 사용 요구가 있는 경우이다.
엔진 재시동 조건으로 클러치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핸드브레이크를 푸는 조건을 사용한 것은 차량의 급발진 조건을 만들지 않기 위한 것이다.
또한 운전자 의지 이외의 엔진 재시동 조건에 대해서도 핸드브레이크가 체결된 상태에서 재시동이 걸리므로 급발진에 대한 위험성과 엔진 재시동 중 차량이 운전자의 운전과 상관없이 동작하는 경우가 없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다음에, 도 4 및 도 6를 참조하여 엔진 자동 정지 조건 및 재시동 조건을 기술한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엔진 자동 정지 조건을, 도 6은 재시동 조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조건 400 ~ 408이 AND 연산자(AND41)에 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조건 410 ~ 416이 AND 연산자(AND42)에 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조건 418 ~ 424이 AND 연산자(AND43)에 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AND 연산자 AND41, AND42, AND43은 AND 연산자 AND40에 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AND41, AND42, AND43이 논리적으로 모두 TRUE를 만족한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 (예를 들어 3초)을 만족하면 엔진 자동 정지가 실시된다.
조건 400은 스타터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고부터 소정시간(예를 들면 2분) 경과한 것을 나타낸 조건이다. 이 조건은 (A8)로 나타낸 제어를 행하기 위한 조건 이다.
조건 402는 배터리(14)의 잔류용량(이하, 배터리 SOC(State of charge)라 함)이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의 조건이다.
배터리(14) 잔류용량에 관해서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14)의 특성으로서 일반적으로, 잔류용량이 많은(예를 들어 80% 이상) 경우, 배터리(14)의 출력전압이 잔류용량에 거의 비례하여 상승하고, 역으로 잔류용량이 작은(예를 들어 20%) 경우, 배터리의 출력전압이 잔류용량에 거의 비례하여 감소한다. 잔류량이 적당한 경우(예를 들어 20% ~ 80%) 출력전압은 거의 일정하며 실제 사용할 때에는 이 영역이 많이 사용된다.
또, 배터리의 잔류용량에 따른 엔진의 자동 정지 및 재시동 제어는 다음과 같다.
엔진 자동 정지 판단을 위한 조건으로는 배터리 잔류용량에 대한 현재 전력소비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현재 전력소비가 낮고 잔류용량이 소정치 이상이면 엔진 자동정지가 가능하다.
전력소비가 많은 상태라면 잔류용량도 이에 비례하여 충분해야 엔진 자동정지 조건을 만족한다.
엔진 자동정지 상태에서 엔진 재시동 제어 판단을 위한 조건으로는 현재 배터리 잔류용량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잔류용량이 낮을 경우 무조건 엔진 재시동을 실시한다. 즉, 잔류용량이 일정치 이상일 경우 엔진 자동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엔진 재시동을 위한 잔류용량치와 엔진 자동정지를 유지하기 위한 잔류용량치와 사이에는 히스테리시스가 있어 항상 일치하지는 않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건 404는 엔진 냉각수온이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 엔진 자동정지를 허가하는 조건이다. 통상적으로 엔진 자동정지를 하면 연소된 고온의 배출가스가 엔진으로부터 배출되지 않으므로 카탈리틱 컨버터의 온도가 내려가고 카탈리틱 컨버터의 온도가 저하하면 배출가스 유해성분의 필터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컨버터의 온도는 냉각수온을 기준으로 실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므로 냉각수온의 Threshold를 사용하여 카탈리틱 컨버터의 온도저하를 방지한다.
따라서, 조건 404는 유해 배출가스의 증가를 막기 위한 카탈리틱 컨버터의 온도저하를 방지하는 것이다.
조건 406은 운전자가 에어컨을 사용할 경우 이 신호는 엔진(10)과 연결되어 있는 압축기 구동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엔진 자동정지를 실시할 경우 에어컨 압축기의 구동이 정지하여 냉방이 안되므로 엔진 자동 정지를 실시할 수 없다. 이 조건은 전술한 (A5)의 제어를 행하는 조건의 하나이다.
조건 410는 클러치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의 스위치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이다. 이들의 스위치가 고장나면, 차량이 운전자의 의지에 반하여 동작 하게 되므로, 제어기 하드웨어 상의 회로적인 방법과 차량 운전 상황에 대한 정보로 엔진 회전수, 기어변속, 차속 등 차량 운전 상황에 대한 정보로부터 이들의 스위치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조건은 전술한 (A9)의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조건의 하나이다.
조건 412는 차속을 나타내는 펄스신호가 정상으로 출력되고 있는지 여부이다. 시스템에서 차속펄스는 차속메터(30)에 입력되는 신호와 유사한 특성의 신호를 받는다. 차속메터는 차륜에서 회전할 때마다 발생하는 일정한 펄스 출력을 받는 것으로 이와 유사한 특성의 신호를 엔진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15)가 받아 차속을 계산한다. 엔진 자동정지는 차량이 정차하고 있는 경우에만 행해진다. 이 조건은 차속 펄스기의 고장이나 배선의 단락 등에 의해 차량 주행 중에 엔진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15)가 정차중인 것으로 오판할 가능성도 있음을 의미한다. 조건 412는 차속 신호의 정상 유무를 판단하여 차량 주행 중에 차량이 엔진 자동정지 조건을 만족했다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조건 414는 차속이 소정치(예를 들면 3km/h) 이하인지 여부이다. 이는 차량이 정지하고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조건이다.
조건 416은 클러치를 밟고 있는지 여부이고, 조건 418은 풋브레이크를 밟고 있는지 여부이다. 차량을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풋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 클러치 페달을 밟고 기어를 중립으로 빼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엔진 자동정지 조건의 하나로 한다.
조건 422는 전술한 (A2) 재시동 후의 엔진 정지 금지 제어를 위한 조건의 하나로서 시동한 후 차속이 소정치에 도달하지 않고 다시 기어를 중립상태로 한다고 하는 동작이 반복하여 행해지는 경우에는 엔진 자동정지를 하지 않는다. 따라서, 엔진 자동정지를 실시함에 있어서 직전 드라이빙 사이클에서 차속이 소정치 이상으로 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이 필요로 되기 때문에 사용된다.
이하, 엔진 자동정지 상태에서 엔진을 재시동하는 경우의 조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엔진 자동정지 상태에서 엔진을 재시동하는 경우의 조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하면, 조건 602와 조건 603이 AND연산자(AND62)에 의해 논리적으로 결합된다.조건 610과 조건 612가 OR연산자(OR64)에 의해 논리적으로 결합된다. 조건 604, 조건 606, 조건 608, OR64와 AND62가 OR연산자(OR62)에 의해 논리적으로 결합된다. 조건 614, 조건 616, 조건 618과 조건 620이 AND연산자(AND64)에 의해 논리적으로 결합된다. 조건 626과 조건 628이 OR연산자(OR66)에 의해 논리적으로 결합된다. 조건 622, 조건 624와 OR66이 AND연산자(AND66)에 의해 논리적으로 결합된다. OR62, AND64그리고 AND66이 OR연산자(OR60)에 의해 논리적으로 결합된다. 조 건 600과 OR60이 AND연산자(AND60)에 의해 논리적으로 결합된다.그리고 AND연산자 (AND60)의 출력단으로부터 엔진을 재시동하라는 신호가 출력된다.
조건 600은 엔진 자동정지 중인지 여부이다. 엔진 재시동은 엔진 자동정지 후 엔진을 시동하는 동작으로서 당연한 초기 조건이 된다.
조건 602는 운전자의 차량 출발 의지를 보이기 위해서 핸드브레이크를 풀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조건 603은 엔진 재시동의 조건으로서 크러치 페달을 밟고 있는지 여부이다.
조건 602와 조건 603은 엔진 자동정지 이후 재시동을 원한다는 운전자의 의지로서 핸드브레이크 상태를 확인하고 원활한 엔진의 재시동을 위해서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고 있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MT 차량의 경우 운전자는 차량의 발진을 위해서 클러치를 밟고 기어를 변속하는 순서를 밟는다. 그러므로 클러치를 밟는다는 것은 운전자가 차량 발진을 원한다는 의지를 보이는 행위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엔진 자동정지 중 운전자가 기어를 중립위치가 아닌 위치에 넣고 핸드브레이크를 내렸을 경우 핸드브레이크를 푼 것 만으로 엔진 재시동을 시도한다면 엔진 정지가 바로 걸린 것이다. 또한 풋브레이크를 약하게 밟고 있을 경우 갑작스런 차량 발진으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엔진 재시동의 대표적인 조건으로서 핸드브레이크를 푸는 것과 클러치 페달을 밟는 것으로 한다.
조건 610은 펌핑 브레이크를 실시하는지 여부이다. 이 조건은 아이들 정지중에 펌핑 브레이크 동작이 행해지면, 브레이크 서보장치의 공압이 저하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는 힘이 크게 소요된다. 펌핑 브레이크는 엔진 자동정지 전체기간 중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반복적으로 조작한 경우로서 반복 조작으로 인하여 서보장치의 공압이 소모되어 답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브레이크 공기압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건 612에서 공기압 저하의 조건으 조건 610과 비교하여 먼저 도래한 조건에 따라 엔진 재시동이 작동한다. 이 조건 610과 조건 612는 (A7)의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조건 604는 배터리 잔류용량이 소정치 이하인지 여부이다. 배터리의 잔류용량이 적은 상태에서 엔진 자동정지 동작을 계속하면 배터리(30)의 잔류용량이 계속 줄어들어 엔진(10)을 재시동 시킬 수 없게 된다. 이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배터리 잔류용량의 저하를 엔진 재시동의 조건으로 사용한다. 이는 전술한 (A3)에 나타낸 제어를 행하는 조건의 하나이다.
조건 614는 정차후 차속이 소정치 이상으로 되었는지 여부이다. 소정의 차속은 예로서 3km/h로 정해진다. 이는 조건 616에 따라 핸드브레이크가 풀린 상태에서 조건 618에 따라 클러치 페달을 밟고있는데 조건 620에 따라 풋브레이크는 밟지 않고 있는 상태라면 차량은 제동장치가 모두 풀린 상태기 때문에 엔진 자동정지 상태 에서 차량이 굴러가기 시작한다. 이 때 엔진 시동이 없다면 차량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경고장치(35)의 작동과 함께 엔진 재시동을 작동시킨다.
조건 606은 운전자가 에어컨을 사용할 경우 이 신호는 엔진(10)과 연결되어 있는 압축기 구동으로 연결된다. 엔진 자동정지 중에 운전자가 에어컨 작동을 요구했다면 압축기 구동이 불가능하므로 실질적으로 에어컨의 구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쾌적한 승차감을 유지하기 위해서 엔진 자동정지 중에 에어컨 작동을 요구할 경우 엔진 재시동을 실시한다. 이 조건은 전술한 (A5)의 제어를 행하는 조건의 하나이다.
B. [제 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엔진 자동 시동 정지 제어장치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제2 실시예에서는 자동 변속기(AT)차량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무단변속기(CVT) 차량의 경우도 여기에 포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엔진 자동 시동 정지 제어장치의 시스템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엔진 자동시동 정지제어장치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엔진 자동 시동 정지 제어장치와 다른 점은 도 2의 수동변속(20) 대신 자동변속기 또는 무단변속기(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엔진 자동 시동정자동정지 제어기(15)가 자동변속기 기어단수 정보로서 기어 셀렉션 레버(22)와 연결되어 있는 P/N switch 출력을 추가로 받는다. 또 하나 다른 점은 수동변속기 차량에 있는 클러치 페달(32)이 자동변속기 차량과 무단변속기 차량에는 없다.
다음에 엔진 시동의 정지 및 개시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서도 제 1실시예에서 서술한 (A1) ~ (A9)까지의 제어 방법을 통하여 배출가스를 줄이고 운전성과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했다. 다음에는 제 1실시예에서 서술한 (A1) ~ (A9)까지의 제어방법 중에서 다른 점만 설명한다.
(B1) 차량 정지시의 엔진 정지
차속이 소정치 이하에서 풋브레이크를 밟고 기어 셀렉션 레버(22)를 P 또는 N 위치로 이동 시키고 핸드브레이크를 체결한 경우, 운전자가 차량을 정지시킬 것으로 판단하여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한다. 예를 들면, 차속이 3km/h 이하이고 풋브레이크를 밟고 기어 셀렉션 레버(22)를 N 위치로 이동 시키고 핸드브레이크를 체결한 경우에 엔진을 정지한다.
이 조건이 성립하여 엔진을 정지한 경우에도 풋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기어 셀렉션 레버(22)를 P 또는 N 위치로 이동 시키고 핸드브레이크를 풀면 엔 진의 재시동을 행한다.
(B2) 재시동 후의 엔진 정지 금지
상세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에서 서술한 제어방법 (A2)으로 대체한다.
(B3) 엔진 정지 통지
엔진 정지를 실시할 것임을 운전자에 통지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한 경고장치(35)를 설치한다. 엔진 정지 시에 경보장치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이를 통지한다.
이 경고장치(35)는 예를 들면 차량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엔진 정지 제어가 행해진 경우, 기어 셀렉션 레버(22)가 P/N위치에서 이동했을 때 즉, P/N switch의 ON 출력이 없을 경우 경보 장치를 작동한다. 이는 기어가 P/N단이 아닌 D단 등 차량이 움직일 수 잇는 조건이 됐다는 것으로 이 경우 엔진 시동을 걸면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잡고 있지 않은 상황이면 운전자가 원하지 않는 차량의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 엔진이 재시동된 경우는 운전자의 의지만이 아니라, 예를 들어, 배터리(14)의 잔류용량의 규정치 미만으로 저하한 경우에도 행해진다. 이 경우에 기어 셀렉션 레버가 P/N단이 아니면 엔진 재시동시 차량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기어 셀렉션 레버가 P/N 상태로 이동시킬 것을 운전자에게 통지한다.
또한 엔진 정지 중에 운전자가 오인하여 차량이 완전히 정지하고 있는 것으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경고장치(35)를 작동시켜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B4) 경고장치 제어
경고장치는 다음과 같은 경우 작동한다.
I) 엔진 정지: 이는 상술한 (A3)과 같이 작동한다.
ii) 엔진 재시동: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서 재시동이 결린 경우와 이외에 배터리 SOC가 소정치 이하이거나 브레이크의 공기압이 적정치 이하인 경우, 펌핑 브레이크, 엔진정지중 에어콘 사용요구가 들어온 경우, 부가 전기부하계통의 사용 요구가 들어온 경우, 엔진수온이 적정온도 이하로 떨어진 경우 등에 대해서도 자동적으로 엔진 재시동이 걸린다. 예컨대, 핸드브레이크를 체결하고 풋브레이크에서 발을 떼었을 경우 또는 핸드브레이크를 풀고 기어 셀렉션 레버(22)가 P단이 아닌 위치에 있을 경우, 엔진 재시동시 운전자에게 통지한다.
(B5) 에어콘 작동 요구에 대한 대응
에어콘의 조작 상태에 대하여 엔진정지를 행할지 여부를 제어한다. 엔진 동작 중에 에어콘이 함께 작동 중이면 차량 정지 조건에서 핸드브레이크를 체결하더라도 엔진 정지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엔진 정지 중에 운전자가 에어콘 작동을 요구하면 핸드브레이크가 체결되어 있고 기어 셀렉션 레버(22)가 P 또는 N위치에 있어도 엔진은 자동적으로 재시동을 시도한다. 만일 기어 셀렉션 레버(22)가 P 또는 N위치에 있지 않으면 경고장치(34)를 통하여 기어 셀렉션 레버(22)를 P/N위치로 이 동시킬 것을 요구한다.
(B6) 부가 전기부하 계통 작동 요구에 대한 대응
부가 전기부하 계통의 조작 상태에 대하여 엔진정지를 행할지 여부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부가 전기부하 계통이란 뒷열선, 히터, 헤드램프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엔진 동작 중에 부가 전기부하 계통이 함께 작동 중이면 차량 정지 조건에서 핸드브레이크를 체결하더라도 엔진 정지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엔진 정지 중에 운전자가 부가 전기부하 계통 작동을 요구하면 핸드브레이크가 체결되어 있고 클러치를 밟고 있어도 엔진은 자동적으로 재시동을 시도한다. 만일 기어 셀렉션 레버(22)가 P 또는 N위치에 있지 않으면 경고장치(34)를 통하여 기어 셀렉션 레버(22)를 P/N위치로 이동시킬 것을 요구한다.
(B7) 브레이크 마스터의 공압에 대한 제어
상세한 설명은 제 1실시예에서 서술한 제어방법 (A7)로 대체한다.
(B8) 차량을 다루는 조작성의 향상
운전자의 엔진 자동 시동정지 장치의 조작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는 다음과 같다.
i)초기 엔진 시동 후, 소정 시간(예를 들면 3분간)이 지나 정해진 엔진온도이상이 될 때 까지는 엔진 정지를 금지한다. 예를 들어 토기 엔진 시동 후에 보통 엔진 온도가 상온이다. 이 상태에서 엔진 정지를 시도하면 다음 재시동 때 배기가스가 많이 발생하므로 엔진 정지가 오히려 불리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주차장에서는 서행 등이 많기 때문에 빈번한 엔진 정지 및 재시동의 반복은 오히려 불편하다.
ii)차량 정지 상태에서도 핸드브레이크(34)를 체결하고 기어 셀렉션 레버(22)가 P 또는 N 위치에 있지 않으면 시동정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체구간에서 빈번한 가다 서다를 반복하거나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해서 후진등으로 서행을 할 경우 차속만 고려하여 엔진을 정지시키면 불편하다. 운전자의 정차 의지를 보다 확실하게 판단하기 위해서 핸드브레이크 체결에 대한 정보를 사용한다. 또한 엔진 정지된 차량의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 핸드브레이크를 체결한 상태에서 엔진을 정지하도록 한다.
(B9) 급가속 대처
엔진 자동정지 후에 엔진 자동정지 해제조건이 발생한다. 이 경우 운전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차량이 급발진하는 경우에 대비해야 한다. 엔진 자동정지 중에 엔진 재시동을 허가하는 조건은 엔진 자동정지 후에 풋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기어 셀렉션 레버(22) P 또는 N 위치에서 핸드브레이크를 풀러야 한다.
이외의 조건으로는 배터리 잔류용량이 임계치 미만으로 저하하거나, 에어콘 사용 요구가 있는 경우, 부가 전기 부하 계통 사용 요구가 있는 경우이다.
엔진 재시동 조건으로 풋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핸드브레이크를 푸 는 조건을 사용한 것은 차량의 급발진 조건을 만들지 않기 위한 것이다.
또한 운전자 의지 이외의 엔진 재시동 조건에 대해서도 핸드브레이크가 체결된 상태에서 재시동이 걸리므로 급발진에 대한 위험성과 엔진 재시동 중 차량이 운전자의 운전과 상관없이 동작하는 경우가 없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다음에,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서 엔진 자동 정지 조건 및 재시동 조건을 기술한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엔진 자동 정지 조건을, 도 7은 재시동 조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조건 500 ~ 508이 AND 연산자(AND51)에 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조건 510 ~ 516이 AND 연산자(AND52)에 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다.조건 518 ~ 524이 AND 연산자(AND53)에 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다.AND 연산자 AND51, AND52, AND53은 AND 연산자 AND50에 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AND51, AND52, AND53이 논리적으로 모두 TRUE를 만족한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 (예를 들어 3초)을 만족하면 엔진 자동 정지가 실시된다.
조건 500에서 조건 514는 도 4의 조건 400에서 조건 414와 동일한 조건 내용이다.
조건 518에서 조건 524는 도 4의 조건 418에서 조건 424와 동일한 조건 내용 이다.
조건 522는 전술한 (B2) 재시동 후의 엔진 정지 금지 제어를 위한 조건의 하나로서 시동한 후 차속이 소정치에 도달하지 않고 다시 기어를 중립상태로 한다고 하는 동작이 반복하여
행해지는 경우에는 엔진 자동정지를 하지 않는다. 따라서, 엔진 자동정지를 실시함에 있어서 직전 드라이빙 사이클에서 차속이 소정치 이상으로 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이 필요로 되기 때문에 사용된다.
조건 516은 본 실시예의 특수 조건으로 운전 모드가 P-range(주차모드) 또는 N-range(중립모드)인지 여부이다. 통상적으로 주차모드는 차량을 주차할 때 사용하는 모드이며 중립모드는 장시간 정차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차량이 정지하여 운전자가 풋브레이크를 밟고 운전모드를 P 또는 N range에 놓고 핸드브레이크를 체결하면 차량에 대한 정차 의지를 확인한 것으로 간주하고 엔진 자동정지 모드로 진입한다.
다음, 엔진 자동정지 상태에서 엔진을 재시동하는 경우의 조건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동일한 조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의 엔진 자동정지 상태에서 엔진을 재시동하는 경우의 조건으로, 조건 702와 조건 703이 AND연산자(AND72)에 의해 논리적으로 결합된다. 조건 710과 조건 712가 OR연산자(OR74)에 의해 논리적으로 결합된다. 조건 704, 조건 706, 조건 708, OR74와 AND72가 OR연산자(OR72)에 의해 논리적으로 결합된다. 조건 714, 조건 716, 조건 718과 조건 720이 AND연산자(AND74)에 의해 논리적으로 결합된다. 조건 722, 조건 724와 조건 726이 AND연산자(AND76)에 의해 논리적으로 결합된다. OR72, AND74그리고 AND76이 OR연산자(OR70)에 의해 논리적으로 결합된다. 조건 700과 OR70이 AND연산자(AND70)에 의해 논리적으로 결합된다.그리고 AND연산자 (AND70)의 출력측에서 엔진을 재시동하라는 신호가 출력된다.
조건 700은 도6의 조건 600과 동일한 조건이다. 조건 702와 도6의 조건 702는 동일한 조건이다. 조건 704에서 조건 726은 도 6의 조건 604에서 조건 626과 동일한 조건이다.
조건 703은 본 실시예의 특수 조건으로서, 조건 702에서 운전자의 차량 출발 의지를 보이기 위해서 핸드브레이크를 풀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조건 703에서 엔진 재시동의 조건으로서 기어 셀렉션 레버의 위치가 P/N위치에 있는 지 확인한다.
조건 702와 조건 703은 엔진 자동정지 이후 재시동을 원한다는 운전자의 의지로서 핸드브레이크 상태를 확인하고 원활한 엔진의 재시동을 위해서 운전자가 기어 셀렉션 레버의 위치를 중입 도는 주차 모드로 둬야 한다.
이는 엔진 자동정지 중 운전자가 기어를 중립 또는 주차 모드가 아닌 위치에 넣고 핸드브레이크를 내렸을 경우 핸드브레이크를 푼 것만으로 엔진 재시동을 시도 한다면 운전자가
풋브레이크를 약하게 밟거나 안 밟고 있을 경우 갑작스런 차량 발진으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엔진 재시동의 대표적인 조건으로서 핸드브레이크를 푸는 것과 기어 셀렉션 레버를 P 또는 N위치로 두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엔진 자동 시동정지 제어장치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b는 도 1의 엔진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자동 시동 정지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엔진 자동 시동 정지 제어장치의 시스템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엔진 자동 시동 정지 제어장치의 시스템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제1 실시예의 엔진 정지조건 아이들 조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1 실시예의 엔진 재시동 조건을 각각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2 실시예의 엔진 정지 조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2 실시예의 엔진 재시동 조건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5) : 자동 시동 정지 제어기 2, 3 ; 검출 수단
4 : 부가 전기 부하 계통 5 : 공기조화 계통
10 : 엔진 14 : 배터리
100 ; 제어프로그램 110 : 데이터 베이스(DB)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차량의 운전상태에 따라 엔진의 자동 정지 및 자동 시동을 행하는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정보와 기설정된 조건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의 운전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엔진의 자동 정지 및 시동을 제어하는 엔진 자동시동정지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엔진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는,
    상기 엔진의 시동을 판단하기 위한 시동조건정보 및 상기 엔진의 정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지조건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DB); 및
    상기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시동조건정보 및 정지조건정보와 순차적으로 매칭시키고, 그 결과 시동조건정보와 매칭될 경우에는 엔진을 시동시키고 정지조건정보와 매칭될 경우에는 엔진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 발생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부가전기부하계통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시동조건정보 및 정지조건정보 및 공기 조화계통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시동조건정보 및 정지조건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검출수단은,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수단;
    클러치 페달의 밟은 상태를 검출하는 클러치 검출수단; 및
    상기 엔진의 자동 정지 상태를 검출하는 자동 정지 검출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엔진 자동시동정지 제어기는,
    상기 자동 정지 검출수단에 의해 엔진의 자동 정지 조건에 의하지 않은 엔진의 정지상태로 검출되고, 상기 엔진 회전수 검출수단에 의해 엔진의 회전수가 영(제로)으로 검출되고, 또 상기 클러치 검출수단이 클러치 페달을 밟은 것을 검출했을 때, 엔진을 자동으로 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
  5. 차량의 운전상태에 따라 엔진의 자동 정지 및 자동 시동을 행하는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정보와 기설정된 조건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의 운전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엔진의 자동 정지 및 시동을 제어하는 엔진 자동시동정지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엔진 자동 시동정지 제어기는,
    상기 엔진의 시동을 판단하기 위한 시동조건정보 및 상기 엔진의 정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지조건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DB); 및
    상기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시동조건정보 및 정지조건정보와 순차적으로 매칭시키고, 그 결과 시동조건정보와 매칭될 경우에는 엔진을 시동시키고 정지조건정보와 매칭될 경우에는 엔진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 발생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부가전기부하계통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시동조건정보 및 정지조건정보 및 공기 조화계통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시동조건정보 및 정지조건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검출수단은,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수단;
    클러치 페달의 밟은 상태를 검출하는 클러치 검출수단;
    브레이크 페달의 밟은 상태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검출수단;
    핸드 브레이크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핸드 브레이크 검출수단; 및
    상기 엔진의 자동 정지 상태를 검출하는 자동 정지 검출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엔진 자동시동정지 제어기는,
    상기 자동 정지 검출수단에 의해 엔진의 자동 정지 조건에 의하지 않은 엔진의 정지상태로 검출되고, 상기 엔진 회전수 검출수단에 의해 엔진의 회전수가 영(제로)으로 검출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것을 검출했을 때, 엔진을 자동으로 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
  7. 삭제
  8. 삭제
  9. 차량의 운전상태에 따라 엔진의 자동 정지 및 자동 시동을 행하는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정보와 기설정된 조건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의 운전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엔진의 자동 정지 및 시동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엔진의 시동을 판단하기 위한 시동조건정보 및 상기 엔진의 정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지조건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단계에서 검출된 정보를 상기 엔진의 시동을 판단하기 위한 시동조건정보 및 상기 엔진의 정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지조건정보와 순차적으로 매칭시키고, 그 결과 시동조건정보와 매칭될 경우에는 엔진을 시동시키고 정지조건정보와 매칭될 경우에는 엔진을 정지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독출하는 단계에는 부가전기부하계통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시동조건정보 및 정지조건정보 및 공기 조화계통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시동조건정보 및 정지조건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검출 단계는,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제1 단계;
    클러치 페달의 밟은 상태를 검출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엔진의 자동 정지 상태를 검출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엔진의 자동 정지 조건에 의하지 않은 엔진의 정지상태로 검출되고, 엔진의 회전수가 영(제로)으로 검출되고, 수동변속(MT) 차량의 클러치 페달을 밟은 것을 검출했을 때 또는 자동변속(AT) 차량의 기어셀렉션 레버의 위치가 P/N인 것을 검출 했을 때, 엔진을 자동으로 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방법.
  11. 차량의 운전상태에 따라 엔진의 자동 정지 및 자동 시동을 행하는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정보와 기설정된 조건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의 운전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엔진의 자동 정지 및 시동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엔진의 시동을 판단하기 위한 시동조건정보 및 상기 엔진의 정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지조건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단계에서 검출된 정보를 상기 엔진의 시동을 판단하기 위한 시동조건정보 및 상기 엔진의 정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지조건정보와 순차적으로 매칭시키고, 그 결과 시동조건정보와 매칭될 경우에는 엔진을 시동시키고 정지조건정보와 매칭될 경우에는 엔진을 정지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독출하는 단계에는 부가전기부하계통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시동조건정보 및 정지조건정보 및 공기 조화계통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시동조건정보 및 정지조건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검출 단계는,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제1 단계;
    클러치 페달의 밟은 상태를 검출하는 제2 단계;
    브레이크 페달의 밟은 상태를 검출하는 제3 단계;
    핸드 브레이크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엔진의 자동 정지 상태를 검출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엔진의 자동 정지 조건에 의하지 않은 엔진의 정지상태로 검출되고, 엔진의 회전수가 영(제로)으로 검출되고, 수동변속(MT) 차량의 클러치 페달을 밟은 것을 검출했을 때 또는 자동변속(AT) 차량의 기어셀렉션 레버의 위치가 P/N인 것을 검출했을 때, 엔진을 자동으로 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방법.
KR1020090062877A 2009-07-06 2009-07-10 공회전 제한을 위한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117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61225 2009-07-06
KR1020090061225 2009-07-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230A KR20110004230A (ko) 2011-01-13
KR101117742B1 true KR101117742B1 (ko) 2012-03-07

Family

ID=4361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877A KR101117742B1 (ko) 2009-07-06 2009-07-10 공회전 제한을 위한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7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0370A (ja) 2005-01-18 2006-08-03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自動停止始動制御装置
KR100840424B1 (ko) * 2007-11-08 2008-06-20 손병덕 자동차 엔진 시동장치 및 방법
KR100897040B1 (ko) * 2008-08-21 2009-05-14 유영환 차량의 공회전 강제 제한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0370A (ja) 2005-01-18 2006-08-03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自動停止始動制御装置
KR100840424B1 (ko) * 2007-11-08 2008-06-20 손병덕 자동차 엔진 시동장치 및 방법
KR100897040B1 (ko) * 2008-08-21 2009-05-14 유영환 차량의 공회전 강제 제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230A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8180B1 (en) Engin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9567965B2 (en) Intelligent idle stop and go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CN109591595B (zh) 车辆及其定速巡航控制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6371889B1 (en) Engine automatic start stop control apparatus
US6532926B1 (en) Engine automatic start stop control apparatus
US7823668B2 (en) Control device for a hybrid electric vehicle
JP5541132B2 (ja) 車両用制御装置
US6885113B2 (en) Engin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electric vehicle
US9714621B2 (en) Automatic engine control apparatus
US8788183B2 (en) Engine idle spee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ular gear
US2009031916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Shut-Off Process and/or Start-Up Proces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a Motor Vehicle
JP2009144833A (ja)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102586334B1 (ko) 차량의 엔진 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4306279B2 (ja) 車両状態表示装置
CN103975146B (zh) 怠速停止控制装置、车辆以及车辆控制方法
KR101664698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산소센서 진단 제어 시스템
JP4992884B2 (ja) エンジンの再始動制御装置
JP2010265903A (ja)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140075175A (ko) 자동화수동변속기 차량의 내리막구간 isg 제어방법
WO2020202202A1 (en) Automatic engine start check for hybrid vehicles
KR20180120463A (ko) 48v 스타터 제너레이터를 이용한 아이들 스톱 및 스타트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117742B1 (ko) 공회전 제한을 위한 엔진의 자동 시동 정지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3741064B2 (ja) エンジン自動停止・自動再始動装置
JPH04358729A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装置
JP4015749B2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