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616A -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 - Google Patents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616A
KR20130124616A KR1020120047837A KR20120047837A KR20130124616A KR 20130124616 A KR20130124616 A KR 20130124616A KR 1020120047837 A KR1020120047837 A KR 1020120047837A KR 20120047837 A KR20120047837 A KR 20120047837A KR 20130124616 A KR20130124616 A KR 20130124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oven chamber
sealing member
lift pin
elastic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0422B1 (ko
Inventor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우스
Priority to KR1020120047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422B1/ko
Publication of KR20130124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와 핫 플레이트의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부시와, 상기 부시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핫 플레이트 상에 놓여지는 LCD 글라스 기판을 승강시키는 리프트 핀을 포함하는 리프트 핀 유닛에 있어서, 상기 부시와 오븐챔버의 관통홀 사이 영역에 설치되어 부시와 오븐챔버 관통홀의 사이 공간을 탄성적으로 씰링하는 탄성씰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시와 오븐챔버 관통홀의 사이 공간을 탄성적으로 씰링하는 탄성씰링부재를 설치하여 핫 플레이트의 열팽창에 의해 부시의 상부가 이동되더라도 부시의 하부 또한 상부와 동일하기 이동시켜 부시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핫 플레이트의 열팽창에 따른 리프트 핀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 {LIFT PIN UNIT IN OVEN CHAMBER FOR LCD GLASS SUBSTRATE}
본 발명은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시와 오븐챔버 관통홀의 사이 공간을 탄성적으로 씰링하는 탄성씰링부재를 설치하여 핫 플레이트의 열팽창에 의해 부시의 상부가 이동되더라도 부시의 하부 또한 상부와 동일하기 이동시켜 부시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 글라스 기판 표면에 감광막을 코팅하기 전에 세정과정을 거치는데 이러한 세정과정 후에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가열건조가 행해진다. 그리고, 감광막을 LCD 글라스 기판에 코팅한 후에는 노광 및 현상공정을 거치는데 이러한 노광 및 형상공정 전에는 프리 베이킹(pre-baking)이 행해지고, 노광 및 현상공정 후에는 포스트 베이킹(post-baking)이 행해진다.
이렇게 LCD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LCD 글라스 기판을 가열하여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가열은 가열히터가 매립된 핫 플레이트에 기판을 올려 놓음으로써 이루어진다.
상술한 LCD 글라스 기판을 핫 플레이트에 안착시키거나 들어올리는 것은 리프트 핀 유닛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리프트 핀 유닛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챔버(10)의 관통홀(11)과 핫 플레이트(20)의 관통홀(21)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부시(30)와, 부시(3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핫 플레이트(20) 상에 놓여지는 LCD 글라스 기판(미도시)을 승강시키는 리프트 핀(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리프트 핀 유닛은 부시(30)의 내부를 통해 승강되는 리프트 핀(40)에 의해 LCD 글라스 기판이 핫 플레이트(20)의 상부에 안착되거나 들어올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리프트 핀 유닛은 베이킹을 하는 과정에서 핫 플레이트(20)가 열팽창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부시(30)의 상부 측은 핫 플레이트(20)의 팽창 또는 압축에 의해 이동하게 되지만, 부시(30)의 하부 측은 오븐챔버(10)의 관통홀(11)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부시(30)가 휘어지게 되고, 부시(30)가 휘어짐에 따라 부시(30)의 내부로 승강되는 리프트 핀(40)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핫 플레이트(20)의 상부에 LCD 글라스 기판을 안착시키거나 들어올리는 리프트 핀 유닛의 본연에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시와 오븐챔버 관통홀의 사이 공간을 탄성적으로 씰링하는 탄성씰링부재를 설치하여 핫 플레이트의 열팽창에 의해 부시의 상부가 이동되더라도 부시의 하부 또한 상부와 동일하기 이동시켜 부시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와 핫 플레이트의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부시와, 상기 부시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핫 플레이트 상에 놓여지는 LCD 글라스 기판을 승강시키는 리프트 핀을 포함하는 리프트 핀 유닛에 있어서, 상기 부시와 오븐챔버의 관통홀 사이 영역에 설치되어 부시와 오븐챔버 관통홀의 사이 공간을 탄성적으로 씰링하는 탄성씰링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씰링부재는 주름진 웨이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씰링부재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EPDM)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븐챔버의 관통홀은 상기 부시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씰링부재는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부시가 삽입되고, 탄성씰링부재의 직경은 오븐챔버의 관통홀보다 크게 형성되어 외측 단부가 오븐챔버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씰링부재의 외측 단부 하부면 상에 설치되어 탄성씰링부재를 오븐챔버의 하부면에 고정시키는 홀더와, 상기 탄성씰링부재의 중심부 하부 측에서 상기 부시에 끼워져 설치되어 탄성씰링부재의 중심부를 부시에 고정시키는 와셔 및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시와 오븐챔버 관통홀의 사이 공간을 탄성적으로 씰링하는 탄성씰링부재를 설치하여 핫 플레이트의 열팽창에 의해 부시의 상부가 이동되더라도 부시의 하부 또한 상부와 동일하기 이동시켜 부시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핫 플레이트의 열팽창에 따른 리프트 핀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종래 기술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은,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챔버(10)와 핫 플레이트(20)의 관통홀(11, 21)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부시(100)와, 부시(100)의 관통라인(110)에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핫 플레이트(20) 상에 놓여지는 LCD 글라스 기판(미도시)을 승강시키는 리프트 핀(160)과, 부시(100)와 오븐챔버(10)의 관통홀(11) 사이 영역에 설치되어 부시(100)와 오븐챔버(10) 관통홀(11) 사이 공간을 탄성적으로 씰링하는 탄성씰링부재(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부시(100)와 리프트 핀(160)은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공지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부인 탄성씰링부재(120)는 중심부에 부시(100)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중공 원판 형상의 부재로서, 탄성을 갖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EPDM) 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에틸렌프로필렌고무는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혼성중합시켜 얻은 비결정성 고분자물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씰링부재(120)가 에틸렌프로필렌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탄성씰링부재(120)가 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탄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탄성씰링부재(120)의 재질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씰링부재(120)는 주름진 웨이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핫 플레이트(20)가 팽창될 때, 부시(100)의 하부가 보다 탄력적으로 이동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탄성씰링부재(120)는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부시(100)가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외측 단부는 오븐챔버(10)의 하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오븐챔버(10)의 관통홀(11)은 부시(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탄성씰링부재(120)의 직경은 오븐챔버(10)의 관통홀(11)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탄성씰링부재(120)의 외측 단부, 즉 외주 가장자리가 오븐챔버(10)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탄성씰링부재(120)가 설치됨에 따라 부시(100)와 오븐챔버(10)의 관통홀(11) 사이 공간이 탄성씰링부재(120)에 의해 씰링된다.
이때, 탄성씰링부재(120)는 홀더(130)에 의해 오븐챔버(10)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홀더(130)는 탄성씰링부재(12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링 형상의 부재로서, 탄성씰링부재(120)의 외주 가장자리 하부면에 부착되고, 볼트(미도시) 등의 별도의 결합수단이 홀더(130), 탄성씰링부재(120) 및 오븐챔버(10)를 차례로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탄성씰링부재(120)를 오븐챔버(10)의 하부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부시(100)는 와셔(140) 및 너트(150)에 의해 탄성씰링부재(120)에 고정된다. 와셔(140) 및 너트(150)는 부시(100)의 하단부 측에 끼워져 설치되어 탄성씰링부재(120)에 부시(100)를 고정한다. 즉, 부시(100)의 하부 측이 탄성씰링부재(120)의 중심부 관통홀에 삽입된 후, 부시(100)의 하부 측에서 와셔(140) 및 너트(150)가 부시(100)에 끼워지게 되고, 끼워진 와셔(140)의 상부면이 탄성씰링부재(120)의 하부면과 맞닿을 때까지 너트(150)가 조여져 부시(100)를 탄성씰링부재(12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부시(100)의 내부 관통라인(110)으로 리프트 핀(160)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핫 플레이트(20)의 상부에 놓여지는 LCD 글라스 기판을 승강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오븐챔버(10)가 작동되어 핫 플레이트(20)가 열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도 5와 같이 핫 플레이트(20)가 열팽창되어 부시(100)의 상부가 도 5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탄성씰링부재(120)에 의해 탄성적으로 오븐챔버(10)에 고정된 부시(100)의 하부 또한 도 5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부시(100)의 상부 및 하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부시(100)가 휘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핫 플레이트(20)의 열팽창과 관계없이 부시(10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 핀(160)은 정상 작동하게 된다.
한편, 도 6은 오븐챔버(10)가 작동을 멈추어 핫 플레이트(20)가 압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도 6과 같이 핫 플레이트(20)가 압축되어 부시(100)의 상부가 도 6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탄성씰링부재(120)에 의해 탄성적으로 오븐챔버(10)에 고정된 부시(100)의 하부 또한 도 6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핫 플레이트(20)가 열팽창될 때와 동일하게 부시(100)의 상부 및 하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부시(100)가 휘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리프트 핀(160)의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핫 플레이트(20)가 열팽창 시 부시(100)가 좌측으로 이동되고, 압축 시 부시(100)가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임의로 설정한 것일 뿐 부시(100)가 핫 플레이트(20) 상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변경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은 부시(100)와 오븐챔버(10) 관통홀(11)의 사이 공간을 탄성적으로 씰링하는 탄성씰링부재(120)를 설치하여 핫 플레이트(20)의 열팽창에 의해 부시(100)의 상부가 이동되더라도 부시(100)의 하부 또한 상부와 동일하기 이동시켜 부시(100)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핫 플레이트(20)의 열팽창에 따른 리프트 핀(160)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매우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0 : 오븐챔버 11 : 관통홀
20 : 핫 플레이트 21 : 관통홀
30 : 부시 40 : 리프트 핀
100 : 부시 110 : 관통라인
120 : 탄성씰링부재 130 : 홀더
140 : 와셔 150 : 볼트
160 : 리프트 핀

Claims (5)

  1.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와 핫 플레이트의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부시와, 상기 부시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핫 플레이트 상에 놓여지는 LCD 글라스 기판을 승강시키는 리프트 핀을 포함하는 리프트 핀 유닛에 있어서,
    상기 부시와 오븐챔버의 관통홀 사이 영역에 설치되어 부시와 오븐챔버 관통홀의 사이 공간을 탄성적으로 씰링하는 탄성씰링부재를 포함하는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씰링부재는 주름진 웨이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씰링부재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EPDM)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븐챔버의 관통홀은 상기 부시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씰링부재는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부시가 삽입되고, 탄성씰링부재의 직경은 오븐챔버의 관통홀보다 크게 형성되어 외측 단부가 오븐챔버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씰링부재의 외측 단부 하부면 상에 설치되어 탄성씰링부재를 오븐챔버의 하부면에 고정시키는 홀더와;
    상기 탄성씰링부재의 중심부 하부 측에서 상기 부시에 끼워져 설치되어 탄성씰링부재의 중심부를 부시에 고정시키는 와셔 및 너트를 더 포함하는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
KR1020120047837A 2012-05-07 2012-05-07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 KR101390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837A KR101390422B1 (ko) 2012-05-07 2012-05-07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837A KR101390422B1 (ko) 2012-05-07 2012-05-07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616A true KR20130124616A (ko) 2013-11-15
KR101390422B1 KR101390422B1 (ko) 2014-04-29

Family

ID=49853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837A KR101390422B1 (ko) 2012-05-07 2012-05-07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4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490A (ko) * 2017-11-21 2019-06-18 램 리써치 코포레이션 하단 링 및 중간 에지 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1535A (ja) * 2001-08-07 2003-02-21 Canon Inc 基板保持装置、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KR100694780B1 (ko) * 2005-08-16 2007-03-14 주식회사 제우스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
KR100923788B1 (ko) * 2008-06-16 2009-10-27 황용기 유체손실방지용 어셈블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490A (ko) * 2017-11-21 2019-06-18 램 리써치 코포레이션 하단 링 및 중간 에지 링
KR20200020991A (ko) * 2017-11-21 2020-02-26 램 리써치 코포레이션 하단 링 및 중간 에지 링
KR20200054330A (ko) * 2017-11-21 2020-05-19 램 리써치 코포레이션 하단 링 및 중간 에지 링
KR20210059797A (ko) * 2017-11-21 2021-05-25 램 리써치 코포레이션 하단 링 및 중간 에지 링
KR20220073858A (ko) * 2017-11-21 2022-06-03 램 리써치 코포레이션 하단 링 및 중간 에지 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422B1 (ko)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8925B2 (en) Substrate heat treatment apparatus
JP6711168B2 (ja) 基板載置装置及び基板載置方法
JP2006049867A (ja) 独立して移動する基板支持体
JP2007258441A (ja) 熱処理装置
KR20070020603A (ko) 밀폐가 개선된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
KR101390422B1 (ko)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
US7317172B2 (en) Bake system
KR20140008724A (ko) 웨이퍼 테스트 장치
JP2006339485A (ja) 基板熱処理装置
KR100910750B1 (ko) 리프트 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평판 표시소자 제조장치
JP4901323B2 (ja) 基板処理装置
KR100694780B1 (ko) 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의 리프트 핀 유닛
US20100003629A1 (en) Substrate firing device
KR102538847B1 (ko) 진공척
KR100696375B1 (ko) 베이크 장치
KR20170030182A (ko) 기판 히팅 장치
KR20060082486A (ko) 기판 냉각 장치
KR20120030646A (ko) 프록시미티 어드헤시브를 구비하는 엘씨디(lcd) 글라스 기판용 오븐챔버
KR100934770B1 (ko) 기판처리장치
KR100734781B1 (ko) 액정 디스플레이 기판용 플라즈마 식각 장치
KR20070051605A (ko) 베이킹 장치
KR20190068121A (ko) 베이크공정용 가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베이크장치
KR102081701B1 (ko) 기판 처리 장치
KR100615094B1 (ko) 베이크장치의 핀어셈블리
KR20170014443A (ko) 진공 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