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203A - 체결 클립 - Google Patents

체결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203A
KR20130124203A KR1020130049207A KR20130049207A KR20130124203A KR 20130124203 A KR20130124203 A KR 20130124203A KR 1020130049207 A KR1020130049207 A KR 1020130049207A KR 20130049207 A KR20130049207 A KR 20130049207A KR 20130124203 A KR20130124203 A KR 20130124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lip
bracket
housing
latching elemen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르베 앙투안느
미쉘 쿰
엠마누엘 오우느
Original Assignee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24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2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Arrangement of seats relative to one another
    • B60N2/012The seat support being a part of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16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 B60N2/015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with the locking mechanism on the vehicle floor or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60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 B60N2/6018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6027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s, staples, clips, snap fasten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3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 F16B21/075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the socket having resilient parts on its inside and out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further molded-in or embedded component, e.g. a ring with snap-in teeth molded into 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017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specific mounting means for attaching to rigid or semirigid supporting structure or structure-to-be-secured
    • Y10T24/44026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specific mounting means for attaching to rigid or semirigid supporting structure or structure-to-be-secured for cooperating with aperture in supporting structure or structure-to-be-secu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차량에서 브라켓(20), 특히 금속 브라켓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클립(16)으로서, 상기 체결 클립(16)은 본체 부분(10)의 개구(14) 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개구 내에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체결 클립(16)은 브라켓(20)을 위한 긴 수용 공간(24) 및 삽입 개구(26)를 구비한 하우징(22)을 포함하며, 수용 공간(24)에 마련되는 래칭 요소(42)는, 래칭 요소(42)가 수용 공간(24) 내에 브라켓(20)을 유지하는 유지 위치로부터, 브라켓(20)이 수용 공간(24) 내로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수용 공간으로부터 빼내어질 수 있는 해제 위치로, 그리고 고정 위치로, 탄성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고정 위치에서 래칭 요소(42)를 고정시키는 대응하는 유지 요소(46, 48)가 수용 공간(24) 내에 그리고 래칭 요소(42)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체결 클립{FASTENING CLIP}
본 발명은 차량에서 브라켓, 특히 금속 브라켓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클립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좌석 벤치(seat benches)의 구성요소의 가역적 체결을 위해, 자동차 분야에서 차량 본체에 체결되는 체결 클립이 사용된다. 체결될 구성요소에는 돌출부가 부착되는데, 예컨대 체결 클립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래칭(latching) 연결부에 의해 체결 클립 내에서 고정될 수 있는 U자형 금속 브라켓이 부착된다. 이러한 체결 클립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브라켓 및 이에 따른 구성요소를 신뢰성 있게 유지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예컨대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한 의도치 않은 이탈이 확실하게 배제된다. 다른 한편으로, 브라켓은 적은 비용으로 구성요소를 분해하기 위해 비파괴 방식으로 체결 클립으로부터 제거되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문헌 WO 2007/105062 A1은, 2개의 탄성 래칭 탭을 구비하는 체결 클립을 개시하는데, 이 탄성 래칭 탭들은 서로를 향해 지향되고 이들 탭 사이에 브라켓이 삽입될 수 있다. 브라켓으로 인해, 이들 래칭 탭은, 브라켓이 삽입될 때 서로로부터 멀리 눌리게 되고 브라켓이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이들 탭의 초기 위치로 다시 튕기게 된다. 이러한 체결 클립의 단점은, 래칭 요소들이 서로로부터 멀리 다시 눌릴 수 없다는 것 또는 오직 많은 노력이 있어야만 브라켓 및 이에 따른 구성요소를 분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추가적인 체결 클립은 문헌 FR 2 946 925 A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체결 클립은 래칭 요소를 구비하는데, 이 래칭 요소 너머에서 브라켓이 래칭될 수 있다. 의도치 않은 개방에 대해 래칭 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이러한 체결 클립은 고정 요소를 포함하는데, 이 고정 요소는 래칭 요소를 래칭된 위치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체결 클립에 있어서, 브라켓에 대한 진동 및 특히 장력으로 인해 브라켓의 우연한 이탈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브라켓용 체결 클립으로서, 브라켓의 신뢰성 있는 체결을 보장하면서도 브라켓의 간단한 분해가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량에서 브라켓, 특히 금속 브라켓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클립이 마련되는데, 이 체결 클립은 본체 부분의 개구 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개구 내에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체결 클립은 브라켓을 위한 긴 수용 공간 및 삽입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래칭 요소는 수용 공간 내에 마련되며, 유지 요소가 수용 공간에서 브라켓을 유지하는 유지 위치로부터, 브라켓이 수용 공간 내로 도입될 수 있거나 또는 수용 공간으로부터 빼내어질 수 있는 해제 위치로, 그리고 고정 위치로,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고정 위치에서 래칭 요소를 고정시키는, 대응하는 유지 요소가, 수용 공간 내에 그리고 래칭 요소 상에 마련된다.
고정 위치에서의 체결로 인해, 래칭 요소는 브라켓이 수용 공간으로부터 빼내어질 수 있는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없다. 브라켓은 이에 따라 체결 클립 내에서 신뢰성 있게 유지된다. 예를 들어 래칭 요소는, 브라켓 상의 정해진 부하, 예컨대 인장 부하의 경우에 있어서 고정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이러한 부하가 발생할 때 유지 요소에 의해 추가적인 고정이 구현된다. 브라켓에 부하가 걸리지 않으면, 래칭 요소는 유지 위치로 탄성적으로 다시 이동될 수 있는데, 브라켓을 떼어내기 위해 래칭 요소는 이 유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간단하게 시프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 클립 또는 브라켓을 떼어내기 위해, 래칭 요소는 우선 유지 위치로 다시 이동되어야만 하는데, 이 유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시프트는 가능하다.
래칭 요소는 예컨대 유지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삽입 방향과 반대로 이동 가능하며, 이에 따라 래칭 요소는 브라켓 상에 인장 부하가 작용하는 경우에 고정 위치로 이동되며, 체결 클립 또는 래칭 요소는 고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 요소들은 삽입 방향으로 서로 줄지어 배치되고, 유지 위치에서 그리고 고정 위치에서 삽입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며, 이에 따라 이들 유지 요소는 유지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에서 이동될 때 맞물리게 되고 래칭 요소를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 상에 후크가 마련되는데, 이 후크는 다른 유지 요소를 향해 돌출되며 래칭 요소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각각의 다른 유지 요소와 맞물린다. 후크는 유지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래칭 요소의 이동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그 결과로서 후크는 유지 요소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될 때 각각의 다른 유지 요소와 맞물린다. 후크는 이에 따라 각각의 다른 유지 요소와 맞물리므로, 래칭 요소는 고정되고 다만 상기 이동 방향과 반대로 유지 위치로 다시 이동될 수 있다. 해제 위치로의 래칭 요소의 이동은 이에 따라 특히 후크에 의해 배제된다. 이에 따라 후크는 유지 요소들이 이러한 후크에 의해 커플링될 수 있을 때 브라켓의 확실한 체결을 보장하므로, 래칭 요소는 하우징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대응하는 카운터 구조가 다른 유지 요소, 예컨대 후크를 위한 수용 수단 또는 개구에 마련된다.
그러나, 양 유지 요소에 후크들이 마련되는 것을 또한 창안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후크들은 특히 서로를 향해 지향되며 래칭 요소의 고정 위치에서 서로 맞물리거나 또는 각각의 다른 유지 요소와 맞물린다. 따라서, 후크의 기하학적 형상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고정 위치에서 래칭 요소의 고정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래칭 요소는 각각 유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또는 고정 위치로 탄성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하우징 내에서 래칭 요소의 가요성 지지가 필요하다. 이는, 예컨대, 래칭 요소가 탄성적으로 및/또는 피봇식으로 장착되는 웹(web)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웹은 특히 삽입 개구의 영역에 마련되게 된다. 래칭 요소는 이에 따라 삽입 개구에 체결되므로, 브라켓의 움직임으로 인한 래칭 요소의 의도치 않은 시프트가 방지된다. 상기 웹은 예를 들어, 수용 공간의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또는 종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탄성적인 방식으로 래칭 요소가 피봇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입 표면, 특히 하우징 내로의 브라켓의 더욱 용이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도입 경사부는, 래칭 요소 상에 또는 하우징 상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래칭 요소는, 툴(tool)에 의해 유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또는 고정 위치로부터 유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래칭 요소에는 바람직하게는 툴을 위한 수용 수단이 마련되는데, 상기 툴은 예컨대 래칭 요소를 시프트시키기 위해 본체 부분과 구성요소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은 둘레 방향으로 그리고 삽입 개구에 대향하는 단부에서 완전하게 폐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은 본체에 대해 완전하게 폐쇄된다. 체결 클립이 본체 개구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있어서, 체결 클립은 개구를 기밀식으로 밀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먼지 또는 액체가 개구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에서 개구의 더욱 양호한 밀봉을 달성하기 위해,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고 둘레 방향으로 둘러싸는 시일이 마련되는 둘레 플랜지는, 바람직하게는 삽입 개구 상에 마련된다. 이러한 시일은 본체 부분의 표면에 대해 또는 개구의 에지에 대해 안착하고, 본체 부분에 대해 체결 클립을 기밀식으로 밀봉시킨다.
브라켓이 안착하는 추가적인 안착 표면은 하우징의 삽입 개구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용 공간 내로의 삽입 깊이는 제한된다. 이들 안착 표면은 추가적으로, 브라켓이 래칭 요소와 안착 표면 사이에서 유극 없이 유지되고 덜거덕거릴 수 없기 때문에 소음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추가적으로, 안착 표면은 스페이서 요소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성요소와 본체 사이에는 툴을 삽입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있으며, 예컨대 이 툴에 의해 래칭 요소가 이동될 수 있다.
진동으로 인한 소음의 추가적인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연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추가적인 감쇠 요소가 하우징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들 감쇠 요소는 체결 클립과 브라켓 사이에 또는 체결 클립과 본체 사이에 위치설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각각 진동 또는 충격으로 인한 체결 클립과 브라켓 사이에서의 소음 발생 또는 체결 클립과 본체 사이에서의 소음 발생을 방지한다. 더욱이, 차량에서의 체결 클립의 유극은 탄성적으로 항복하는 이러한 감쇠 요소에 의해 감소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본체에서의 체결 클립의 더욱 양호한 안착이 가능하다.
이들 감쇠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의 벽에 통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들 감쇠 요소는 체결 클립의 외측 벽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거나 또는 단지 약간만 돌출하게 된다.
체결 클립은 예컨대 사출 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추가적인 감쇠 요소가 하우징의 벽에 부분적으로 통합되는 경우에 있어서, 체결 클립은 예컨대 2요소 사출 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이에 따라 감쇠 요소는 하우징 또는 나머지 체결 클립에 일체로 결합된다.
하우징 내에 체결 클립을 체결하기 위해, 체결 요소, 특히 본체 부분의 후방에서 래칭될 수 있는 래칭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외측 표면 상에 마련된다.
추가적인 장점 및 특성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라켓용 체결 클립으로서, 브라켓의 신뢰성 있는 체결을 보장하면서도 브라켓의 간단한 분해가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 클립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 클립을 구비하는 본체 부분 및 이 본체 부분에 체결되는 좌석 벤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좌석 벤치의 지지 프레임과 함께 도 1의 본체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좌석 벤치의 지지 구조와 함께 본체 부분의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체결 클립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의 체결 클립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체 부분(10)을 도시한 것인데, 이 본체 부분에는 구성요소(12), 여기서는 차량의 후방 좌석 벤치가 체결된다. 이를 위해, 본체 부분(10)에는 개구(14)가 마련되며, 체결 클립(16)은 각각의 개구 내로 삽입되고 이 개구에서 고정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성요소(12)는 후방 측에 금속 지지 구조(18)를 구비하는데, 이 금속 지지 구조 상에 2개의 돌출된 U자형 브라켓(20)이 마련된다. 이들 브라켓(20)은 삽입 방향(E)으로 체결 클립(16) 내에 삽입되고 이 체결 클립에서 고정되어 구성요소(12)를 체결시킨다(또한 도 3 참고).
도 4 내지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체결 클립(16)은 하우징(22)을 구비하는데, 본 명세서에서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며 긴 수용 공간(24)을 형성하고, 이 긴 수용 공간 내로 브라켓(20)이 삽입 방향(E)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브라켓(20)의 형상 및 장착 조건에 따라, 하우징(22)은 또한 이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22)은 제1 단부(25)에 삽입 개구(26)를 구비하며, 이 삽입 개구 내로 브라켓(20)이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22)은 둘레 방향(U)으로 그리고 삽입 개구(26)에 대향하는 단부(28)에서 완전하게 폐쇄되며, 이에 따라 하우징(22)은 소위 말하는 기밀식 밀봉 포트(tightly sealing pot)를 형성한다.
둘레 시일(32)이 마련되는 수직으로 돌출된 플랜지(30)가 삽입 개구(26)에 배치된다. 본체 부분(10)의 개구(14) 내에 체결 클립(16)을 장착하기 위해 하우징(22)의 외측 표면에는 추가적인 체결 요소(34), 여기서는 래칭 요소가 마련된다.
체결 클립(16)은, 플랜지(30) 또는 시일(32)이 본체 부분(10)의 표면에 대해 안착할 때까지 그리고 체결 요소(34)가 본체 부분(10)의 후방 측에 래칭될 때까지 단부(28)를 통해 개구(14) 내로 삽입된다. 하우징(22)이 본체 부분(10)에 대해 완전하게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14)는 둘레 시일(32) 및 체결 클립(16)의 하우징(22)에 의해 완전하게 폐쇄되며, 이에 따라 먼지 또는 습기가 개구(14) 내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체결 클립(16)은 또한 삽입 개구(26)의 영역에서 도입 표면(36, 38)을 갖는데, 이 도입 표면은 수용 공간(24) 내로의 삽입 시에 브라켓(20)을 센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삽입 방향(E)으로 연장되는 웹(40)으로서, 이 웹에 대해 래칭 요소(42)가 탄성적인 방식으로 유지되는 것인 웹이, 수용 공간(24)에 마련된다(특히 도 5 참고). 래칭 요소(42)는 웹(40)을 중심으로 피봇 방향(D)으로 탄성적으로 피봇될 수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래칭 요소(42)는 삽입 방향(E)으로 수용 공간(24) 내로 연장되며, 브라켓(20)이 래칭될 수 있는 래칭 노우즈(44)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래칭 요소(42)는 각각 유지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브라켓(20)은 수용 공간(24) 내에 삽입되며 래칭 노우즈(44) 너머에서 맞물리고, 이에 따라 브라켓은 수용 공간(24) 내에서 유지된다.
브라켓(20)을 삽입하기 위해, 래칭 요소(42)는 도 5와 관련하여 피봇 방향(D)으로 시계방향으로 해제 위치(파선)로 피봇하게 되며, 이때 수용 공간(24)은 해제되고 브라켓(20)은 하우징(22)과 래칭 요소(4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브라켓(20)이 수용 공간(24) 내로 충분히 더 삽입될 때, 래칭 요소(42)는 유지 위치로 다시 튕길 수 있고, 이에 따라 브라켓(20)은 래칭 노우즈(44)의 후방 측에서 래칭되며 체결 클립(16)에서 확실하게 유지된다.
본 경우에 있어서, 래칭 요소(42)가 피봇하는 중심이 되는 피봇 축선은 각각 브라켓(20)의 삽입 방향(E)으로 또는 하우징(22)의 종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피봇 축선은 또한 하우징(22)의 형상에 따라 또는 브라켓(20)의 삽입 방향에 따라 이와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래칭 요소(42)가 안착하는 슬라이딩 표면(56)이 추가적으로 하우징(22) 상에 유지 요소(46) 위에 마련된다. 압축력이 래칭 요소(42)에 대해 삽입 방향(E)으로 가해질 때, 예컨대 브라켓이 삽입될 때, 래칭 요소(42)는 삽입 방향(E)으로 시프트되고 슬라이딩 표면(45)은 이에 대해 횡방향으로 시프트되며, 이에 따라 수용 공간(24)은 브라켓(20)에 대해 해제된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 후크(50, 52)를 구비하는 추가적인 유지 요소(46, 48)가 하우징(22) 상에 그리고 래칭 요소(42) 상에 마련된다. 도 5에 도시된 유지 위치에 있어서, 즉 브라켓(20)이 래칭 요소(42) 상에 유지되는 위치에 있어서, 유지 요소들(46, 48)은 삽입 방향(E)으로 서로 줄지어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그러나, 유지 위치에 있어서, 유지 요소들(46, 48)은 서로 맞물리지 않는다.
삽입 방향(E)과 반대로 인장력(Z)이 브라켓(20) 상에 인가되는 경우에 있어서, 래칭 요소(42)는 삽입 방향(E)과 반대로 수용 공간(24)으로부터 약간 빼내어질 수 있다. 따라서, 후크(50, 52)는 서로 맞물리게 되거나 또는 각각 다른 유지 요소(46, 48)와 맞물리게 된다.
고정 위치에 있어서, 래칭 요소(42)의 추가적인 시프트 및 이에 따른 브라켓(20)의, 삽입 방향(E)과 반대로의, 추가적인 시프트가 방지된다. 그러나, 또한 이러한 고정 위치에서, 삽입 방향(E)에 대해 횡방향으로의 시프트 또는 해제 위치에 대한 피봇 방향(D)으로의 시프트는 후크(50, 52)로 인해 방지되며, 이에 따라 래칭 요소(42)의 이탈 또는 브라켓(20)의 이탈은 신뢰성 있게 배제된다.
래칭 요소(42)의 이탈은, 래칭 요소(42)를 다시 유지 위치로 이동시켜 단지 유지 요소(46, 48)를 떼어내는 것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래칭 요소(42)는 이때 유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유지 위치로 래칭 요소(42)가 이동하는 것은, 인장력(Z)의 감소 이후에 탄성 웹(40)에 의해 마련되는 복귀력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툴에 의해 유지 위치로 래칭 요소(42)를 능동적으로 시프트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를 위해, 래칭 요소(42)에는 수용 수단(54)이 마련되는데, 이 수용 수단은 구성 요소(12)와 본체 부분(10) 사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툴(64)에 의해 맞물리게 될 수 있다. 툴(64)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또는 툴의 센터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리세스(56)가 도입 표면(36) 상에 마련되는데, 이 도입 표면 내로 툴(64)이 삽입될 수 있다.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지지 구조(18) 또는 구성요소(12)는 각각 도입 표면(36, 38) 상에 안착한다. 도입 표면(36, 38)은 본체 부분(10)으로부터 돌출되며, 이에 따라 툴(64)이 도입될 수 있는 간격(66)이 구성요소(12)와 본체 부분(10) 사이에 형성된다.
특히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22)보다 더욱 연성인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감쇠 요소(58, 60)가 하우징(22)의 외측 표면 상에 마련된다. 본 경우에 있어서, 감쇠 요소(58, 60)는 하우징(22)에 통합되지만, 하우징(22)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약간 돌출된다.
둘레 표면에 배치되는 감쇠 요소(58)는 체결 클립(16)과 본체 부분(10)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유극을 보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결 클립(16)은 유극 없이 유지되고 체결 클립(16)과 본체 부분(10) 사이에서의 소음 발생이 방지된다.
하우징(22)의 단부(25)에 있는 감쇠 요소(60)는 각각 지지 구조(18) 또는 브라켓(20)을 위한 안착부로서의 역할을 하며, 체결 클립(16)과 구성요소(12)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유극을 보상할 수 있다.
체결 클립(16)은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체결 클립(16)은 2요소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이에 따라 감쇠 요소(58, 60)는 하우징(22)에 일체로 결합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후크(50, 52) 대신에, 유지 요소(46, 48)는 또한 다른 구조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구조에 의해 래칭 요소(42)는 고정 위치에서 이동 불가능하게 유지된다. 예를 들면, 유지 요소들(46, 48) 중 단지 하나에만 후크(50, 52)가 마련되고 각각의 다른 유지 요소(46, 48)에는 후크(50, 52)가 맞물릴 수 있는 리세스가 마련되는 것을 또한 창안할 수 있다.
삽입 방향(E)으로 고정 위치를 향해 래칭 요소(42)를 이동시키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시프트는 예컨대 지배적인 부하 방향에 따라 상이한 방향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래칭 요소(42)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위치에서 부하의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대응하는 부하의 경우에 래칭 요소(42)의 추가적인 고정이 구현된다.
10 : 본체 부분
14 : 개구
16 : 체결 클립
20 : 브라켓
22 : 하우징
24 : 수용 공간
26 : 삽입 개구
42 : 래칭 요소
46, 48 : 유지 요소

Claims (14)

  1. 차량에서 브라켓(20), 특히 금속 브라켓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클립(16)으로서, 상기 체결 클립(16)은 본체 부분(10)의 개구(14) 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개구 내에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체결 클립(16)은 브라켓(20)을 위한 긴 수용 공간(24) 및 삽입 개구(26)를 구비한 하우징(22)을 포함하며, 수용 공간(24)에 마련되는 래칭 요소(42)는, 래칭 요소(42)가 수용 공간(24) 내에 브라켓(20)을 유지하는 유지 위치로부터, 브라켓(20)이 수용 공간(24) 내로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수용 공간으로부터 빼내어질 수 있는 해제 위치로, 그리고 고정 위치로, 탄성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고정 위치에서 래칭 요소(42)를 고정시키는 대응하는 유지 요소(46, 48)가 수용 공간(24) 내에 그리고 래칭 요소(42)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요소(42)는 유지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삽입 방향(E)과 반대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유지 요소(46, 48)는 삽입 방향(E)으로 서로 줄지어 배치되며 유지 위치에서 그리고 고정 위치에서 삽입 방향(E)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46, 48)에는 후크(50, 52)가 마련되며, 이 후크는 다른 유지 요소(46, 48)를 향해 돌출되고, 래칭 요소(42)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각각의 다른 유지 요소(46, 48)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4. 제3항에 있어서, 래칭 요소(42)의 고정 위치에서 서로 맞물리는 후크들(50, 52)이 2개의 유지 요소(46, 48)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래칭 요소(42)가 탄성적으로 및/또는 피봇식으로 장착되는 웹(40; web)이 하우징(22) 내에 마련되고, 웹(40)은 특히 삽입 개구(26)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도입 표면(36, 38), 특히 도입 경사부가 래칭 요소(42) 상에 및/또는 하우징(22)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래칭 요소(42)가 고정 위치로부터 유지 위치로 또는 유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툴(64)을 위한 수용 수단(54)이 래칭 요소(42)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하우징(26)은 둘레 방향으로 그리고 삽입 개구(26)에 대향하는 단부(28)에서 완전히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삽입 개구(26)의 영역에서, 체결 클립(16)은 둘레 플랜지(30)를 구비하며, 이 둘레 플랜지는 하우징(22)으로부터 돌출되고, 이 둘레 플랜지 상에서 둘레 방향으로 둘러싸는 시일(32)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브라켓을 위한 안착 표면이 삽입 개구(26)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하우징(22) 상에는 연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감쇠 요소(58, 6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12. 제11항에 있어서, 감쇠 요소(58, 6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22)의 벽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클립(16)은 사출 성형 방법, 특히 2요소 사출 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체결 요소(34), 특히 래칭 돌출부가 하우징(22)의 외측 표면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KR1020130049207A 2012-05-04 2013-05-02 체결 클립 KR201301242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54131A FR2990165B1 (fr) 2012-05-04 2012-05-04 Clip de fixation
FR1254131 2012-05-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203A true KR20130124203A (ko) 2013-11-13

Family

ID=48182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207A KR20130124203A (ko) 2012-05-04 2013-05-02 체결 클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50120B2 (ko)
EP (1) EP2660098B1 (ko)
KR (1) KR20130124203A (ko)
CN (1) CN103381760B (ko)
ES (1) ES2624199T3 (ko)
FR (1) FR29901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6687B2 (en) * 2015-01-29 2016-09-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lectable fixed and rotational seat frame assembly for a vehicle frame
JP6426836B2 (ja) * 2015-04-20 2018-11-2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部品取付具
JP6328073B2 (ja) * 2015-04-22 2018-05-2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クリップ
US20170028893A1 (en) * 2015-07-31 2017-02-02 Kustom Seating Unlimited, Inc. Apparatus for Securing a Transit Seat
US9914382B2 (en) * 2016-02-16 2018-03-13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having structural foam with intergrated frame suppor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288098B2 (en) 2016-11-04 2019-05-14 Newfrey Llc Pin and grommet fastener accommodating two directional offset and related methods
US11692570B2 (en) 2016-11-04 2023-07-04 Newfrey Llc Pin and grommet fastener accommodating two directional offset and related methods
FR3060706B1 (fr) * 2016-12-20 2019-08-16 Hellermanntyton Support de capteur
DE102019202221B4 (de) * 2018-02-23 2023-02-02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Fahrzeugsitz
US10596940B2 (en) * 2018-07-26 2020-03-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op-loaded seat cushion system
US10408248B1 (en) 2018-09-05 2019-09-10 Newfrey Llc Sealing pin and grommet fastener accommodating two directional offset
US11975644B2 (en) 2021-11-29 2024-05-07 Honda Motor Co., Ltd. Vehicle seat and method of installation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9903A (en) * 1878-11-12 Improvement in safety attachments for hoisting-cages
US2331060A (en) * 1942-06-09 1943-10-05 Robert S Turner Seat or chair securing means
DE2238950C3 (de) * 1972-08-08 1978-11-23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Haltevorrichtung für ein lösbar einem fahrzeugfesten Sitzträger zugeordnetes Fondsitzkissen von Kraftfahrzeugsitzen
US3915493A (en) * 1974-11-21 1975-10-28 Gen Motors Corp Seat cushion retainer device
US4742984A (en) * 1984-07-24 1988-05-10 Chrysler Motors Corporation Attaching arrangement for vehicle seat cushion
DE3527246C1 (de) * 1985-07-30 1986-10-23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Vorrichtung zum Ioesbaren Verbinden eines Sitzteiles mit dem Fahrzeugaufbau
US4822092A (en) * 1988-03-28 1989-04-18 Chrysler Motors Corporation Composite anchor attaching arrangement for vehicle seat
JPH0523398Y2 (ko) * 1988-08-26 1993-06-15
FR2720985B1 (fr) * 1994-06-14 1996-09-06 Faure France Bertrand Système de verrouillage d'un élément mobile d'un siège de véhicule automobile.
JPH0835509A (ja) * 1994-07-26 1996-02-06 Nifco Inc シート用リテーナ
JP3342190B2 (ja) * 1994-07-28 2002-11-05 株式会社ニフコ 物品の保持具
US5533237A (en) * 1994-09-12 1996-07-09 Emhart, Inc. Grommet fastener assembly for automobiles
US5788314A (en) * 1995-10-27 1998-08-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seat retention system
JP3812975B2 (ja) * 1996-08-29 2006-08-23 株式会社ニフコ 係止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保持具
FR2772686B3 (fr) * 1997-12-22 2000-02-18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Ensemble d'assise pour vehicule comportant un siege amovible monte sur glissieres
JP4222653B2 (ja) * 1998-02-09 2009-02-12 株式会社ニフコ 物品取付具
JP3842530B2 (ja) * 2000-07-19 2006-11-08 株式会社ニフコ 物品保持具
US6375245B1 (en) * 2000-10-09 2002-04-2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seating system having chuck reducing apparatus
US6796006B2 (en) * 2002-04-25 2004-09-28 Illinois Tool Works Inc. Rib clip
WO2005076963A2 (en) * 2004-02-06 2005-08-25 Fisher Dynamics Corporation Reversible seat assembly
US7717488B2 (en) * 2005-12-19 2010-05-18 Nissan Motor Co., Ltd. Vehicle seat
ITTO20060184A1 (it) 2006-03-10 2007-09-11 Itw Automotive Italia S R L Dispositivo di fissaggio a tassello per elementi di finizione di veicoli, di tipo rilasciabile
JP4920292B2 (ja) * 2006-04-19 2012-04-18 株式会社ニフコ 物品取付具
DE202007002595U1 (de) * 2007-02-22 2007-08-30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Befestigungsvorrichtung
FR2946925B1 (fr) 2009-06-23 2011-07-1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solidarisation d'une assise au plancher d'un vehicule
FR2957561B1 (fr) * 2010-03-18 2012-10-12 Raymond A & Cie Dispositif de fixation d'une assise de banquette sur un chassis de vehicule automobile, et ensemble comprenant une assise de banquette et un chassis equipe d'au moins un tel dispositif
US8851548B2 (en) * 2011-02-10 2014-10-07 Bae Industries, Inc. Floor latch mounted to a seat bottom and compensating for vehicle striker height variation
KR101170319B1 (ko) * 2011-12-22 2012-08-01 (주)케이엠앤아이 차량용 래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50120B2 (en) 2015-10-06
US20130291351A1 (en) 2013-11-07
FR2990165B1 (fr) 2014-05-09
ES2624199T3 (es) 2017-07-13
CN103381760B (zh) 2017-05-03
EP2660098A1 (de) 2013-11-06
CN103381760A (zh) 2013-11-06
FR2990165A1 (fr) 2013-11-08
EP2660098B1 (de)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4203A (ko) 체결 클립
JP5326171B2 (ja) 長尺部材の保持具
JP4473902B2 (ja) 防振部材の取付構造
JP2007232063A (ja) パイプ等の防振保持具
JP6399383B2 (ja) 防振クランプ
JP2009184615A (ja) 車両用シートのテーブル
WO2018047845A1 (ja) 防振装置
US9453594B2 (en) Fixing device
JP2009083585A (ja) バンパ固定クリップ
JP5102507B2 (ja) 防振クランプ装置
JP4816959B2 (ja) フォグランプの取付構造、及びその取付方法
KR20140009250A (ko)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KR20140047285A (ko) 자동차용 사이드 실 몰딩
JP6583749B2 (ja) フック装置
KR20160128352A (ko) 부속품 및 이 부속품을 설치하는 방법
KR100821143B1 (ko) 물건을 적재하는 차량의 커버링 쉘프 트림의 고정 장착구조
JP6328073B2 (ja) クリップ
KR100804279B1 (ko)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KR101810132B1 (ko) 커넥터
JP2004098771A (ja) 給電用ハーネスプロテクタの取付構造
JP5838099B2 (ja) ドアミラーの取付構造
KR200147665Y1 (ko) 고정용 클립
JP2010052731A (ja) 特に、エアバッグ装置のアレスタストラップを固定するためのファスナ
JP6760136B2 (ja) 乗物用機能部品取付け構造
JP2005162046A (ja) 車載用電子制御部品の取付けブ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