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768A - 누출 탐지 장치 및 이 누출 탐지 장치를 포함하고 유체 수송 또는 저장 부재를 피복하기 위한 피복부 - Google Patents

누출 탐지 장치 및 이 누출 탐지 장치를 포함하고 유체 수송 또는 저장 부재를 피복하기 위한 피복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768A
KR20130117768A KR1020137008824A KR20137008824A KR20130117768A KR 20130117768 A KR20130117768 A KR 20130117768A KR 1020137008824 A KR1020137008824 A KR 1020137008824A KR 20137008824 A KR20137008824 A KR 20137008824A KR 20130117768 A KR20130117768 A KR 20130117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uct
detection device
conductive
leak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르주 알바라데조
레미 자놀린
Original Assignee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토미끄 에뜨 옥스 에너지스 앨터네이티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토미끄 에뜨 옥스 에너지스 앨터네이티브즈 filed Critical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토미끄 에뜨 옥스 에너지스 앨터네이티브즈
Publication of KR20130117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7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6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by means of cables or similar elongated devices, e.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47Assembling or joining by applying separate faste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누출 탐지 장치를 갖는 유제 수송 또는 저장 도관을 피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체 누출 탐지 장치는 도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섬유 절연 재료층 및 이 절연 재료층을 따라 연장되는 전도성 재료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연 재료층은 링크를 사용해 도관의 벽을 묶어 그 벽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Description

누출 탐지 장치 및 이 누출 탐지 장치를 포함하고 유체 수송 또는 저장 부재를 피복하기 위한 피복부{LEAK DETECTION DEVICE, AND COATING INTENDED FOR A FLUID TRANSPORT OR STORAGE MEMBER AND COMPRISING SAID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누출 탐지 장치 및 유체를 수송하거나 저장하는 부재를 위한 피복부에 관한 것으로, 이 피복부는 상기 누출 탐지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체를 수송하거나 저장하고 이러한 피복부가 부착되어 있는 부재, 유체를 수송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부재를 피복하는 방법, 및 그러한 누출 탐지 장치가 적절히 작동하고 있는지를 검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액체 나트륨을 수송하기 위한 덕트를 피복하는데 적용되며, 또한 나트륨을 저장하고 원자로(nuclear reactor)의 냉각 회로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용기에 적용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다른 언급이 없으면, "덕트" 라는 용어는, 유체를 수송하는 덕트 또는 유체를 저장하는 용기 및 이러한 덕트나 용기에 부착되는 밸브와 같은 부속물도 마찬가지로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나트륨 수송 덕트의 경우, 자동으로 또는 원격으로 누출의 발생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특허 FR-A-2 155 534 및 FR-A-2 455 707 에는, 덕트의 벽과 절연 요소에 의해 그 벽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전기 전도성 요소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검출하여 덕트의 벽을 통한 나트륨의 누출을 탐지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FR-A-2 455 707 에 기재되어 있는 장치는 결합제(binder)에 매립되어 있는 섬유를 포함하는 재료로 만들어진 강성적인 절연 쉘을 포함한다. 이 쉘은 금속 테이프 또는 와이어를 수용하는 홈을 가지며, 이 홈은 그 테이프나 와이어를 덕트의 벽으로부터 떨어져 있게 유지한다.
상기 장치의 일 단점은, 특히 적용 대상인 덕트의 외부 표면의 형상이 복잡한 경우 그 외부 표면에 잘 맞는 쉘 또는 반쪽 쉘을 만드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FR-A-2 155 534 에 기재되어 있는 장치는 금속 덕트 주위에 감기는데 적합한 내화 섬유제 절연 시트 및 이 절연 시트 주위에 감겨 그 절연 시트와 밀착되는 금속 직물 또는 그리드(grid)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의 일 단점은, 상기 직물 또는 그리드의 어떤 부분이 절연 시트 안으로 침투하여 뜻하지 않게 그 직물 또는 그리드와 덕트의 벽(일반적으로 금속으로 만들어짐) 사이의 접촉을 일으킴이 없이 상기 직물 또는 그리드가 절연 시트에 잘 맞도록 이 직물 또는 그리드를 성형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직물, 그리드, 테이프 또는 와이어는 산화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이러한 전도성 금속 요소의 표면에서 산화막의 형성은, 상기 요소와 덕트 벽 사이의 단락의 검출을 방해하거나 느리게 할 수 있고 또한 그래서 누출의 탐지를 방해하거나 느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도성 금속 요소는 덕트의 온도 변동 중에 열팽창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렇게 되면 누출 탐지 시스템의 기능 장애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의 방법과 장치의 단점 또는 결점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선하고/개선하거나 해소하는, 덕트 안에서 흐르거나 용기 안에 저장되는 유체의 누출을 탐지하는 장치, 이 탐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또는 용기를 피복하기 위한 장치, 이러한 피복부가 부착되어 있고 유체를 수송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부재, 유체를 수송하거나 저장하는 부재를 피복하는 방법, 및 이러한 누출 탐지 장치의 적절한 작동을 검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약 100℃ ∼ 약 600℃ 범위의 온도에서 가압하에 있는 액체 나트륨의 누출을 탐지하는 장치, 이 탐지 장치를 포함하고 덕트를 피복하기 위한 장치, 이러한 피복부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유체를 수송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부재, 상기 유체를 수송하거나 저장하는 부재를 피복하는 방법, 및 이러한 누출 탐지 장치의 적절한 작동을 검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전기 전도성 덕트에서 저장되거나 수송되는 유체의 누출을 탐지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덕트를 둘러싸거나 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탐지 장치는 절연 섬유 재료층 및 이 절연 섬유 재료층 위에서 또는 그에 접하여 연장되어 있는 전도성 섬유(또는 필라멘트) 재료층을 포함하고, 그 전도성 섬유 재료는 본질적으로 탄소 또는 흑연 펠트(felt)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도성 재료는 특히 그의 결합성 때문에 상기 재료와 전기 전도성 덕트 사이의 시기 적절치 않은 단락을 방지하고 그러면서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누출 탐지 장치의 적절한 작동을 검사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단락을 일으키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절연 재료는 광물 섬유 모직물, 특히 본질적으로 실리카 및 마그네슘 또는 산화칼슘으로 구성된 직조 또는 꼬인 섬유의 모직물이다.
전도성 섬유 재료는 본질적으로 뭉쳐진 탄소 또는 흑연 섬유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펠트(felt)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섬유 재료층과 덕트의 벽 사이에서 측정되는 임피던스에 대한 모니터링에 의해, 유체가 덕트의 벽을 통과해 누출될 때 절연 섬유 재료층을 통과한 전도성 유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섬유 재료는 산화에 대해 비교적 둔감하며, 또한 그 섬유 재료의 전기 전도 능력은 그의 잠재적인 산화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상기 재료는 그의 가요성으로 인해, 이 재료가 둘러싸는 장비/부재의 변형, 특히 그 장비의 열팽창으로 인한 변형에 적응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재료의 가요성으로 인해, 이미 절연 재료 안에 피복되어 있는 덕트에 그 전도성 재료를 더욱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전도성 재료가 절연 재료층과 밀착되어 그에 가압되어 있는 중에 전도성 섬유 재료와 덕트 벽 사이의 우발적인 접촉이 알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섬유 재료는 덕트에 열절연을 제공하는데 기여하고, 그리하여그 덕트 안에서 흐르거나 저장되는 유체로부터의 열손실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작업자를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탐지 장치는 제 1 타이(tie), 특히 필라멘트 타이 또는 코드의 형태로 된 타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타이는 예컨대 절연 재료층 주위에 묶여 이 층을 덕트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탐지 장치는 제 2 타이, 특히 필라멘트 타이 또는 코드의 형태로 된 타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타이는 예컨대 전도성 섬유 재료층 주위에 묶여 이 층을 절연 재료 안에 피복되어 있는 덕트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 1 타이 및 제 2 타이는 본질적으로는 전기 절연 재료의 섬유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절연 피복 층을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로 인해, 타이를 적절한 길이로 자르고 루프 또는 고리의 형태로 성형된 타이로 당해 층을 둘러싸고 그런 다음에 타이의 두 자유 단부를 함께 묶거나 그 단부들을 함께 연결하기 위한 적절한 장치(예컨대, 케이블 클램프)를 사용하여 상기 루프를 닫아서, 복잡한 형상의 덕트의 외부벽을 간단하게 피복할 수 있다.
상기 탐지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 1 연결 부재 또는 단자를 포함하는데, 이는 전기 전도성 층과 임피던스 측정기와 같은 전기 또는 전자 검출 장치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연결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도성 섬유 층에 삽입되거나 매립될 수 있는 로드 또는 바아 형태의 접촉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특히 상기 접촉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흑연 또는 탄소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전도성 층의 뭉쳐진 필라멘트 구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연결 부재는 전도성 섬유 층의 일 부분을 죄는데 적합한 죠오(jaw)를 갖는 클램프의 형태로 된 접촉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단락을 검출하거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기구 외에도, 상기 탐지 장치는 일반적으로 덕트의 벽과 접촉하는 제 2 연결 부재 또는 단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덕트를 피복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 바, 이 장치는,
- 본질적으로 섬유로 구성되어 있고 덕트의 외부면에 접하여 연장되어 있는 제 1 전기 절연 층;
- 본질적으로 뭉쳐진 탄소 또는 흑연 섬유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층의 외부면에 접하여 연장되어 있는 제 2 전기 전도성 층; 및
- 본질적으로 섬유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층의 외부면에 접하여 연장되어 있는 제 3 열절연 층을 포함한다.
상기 피복 장치는 또한 제 3 열절연 층을 둘러싸거나 봉하도록 배치되는 강성적인 벽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성적인 벽은 두 부분 또는 반쪽 쉘 및 이들 두 부분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강성적인 벽에는, 누출 탐지 장치의 적절한 작동을 검사하기 위한 기구를 상기 덕트의 벽 및 피복부의 층들에 통과시키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가 뚫려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반응로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열전달 유체 수송 덕트 또는 열전달 유체 저장 용기가 제공되는 바, 이 덕트 또는 용기에는 열전달 유체의 누출을 탐지하는 장치가 부착되어 있고 또는 상기 덕트 또는 용기는 이러한 피복 장치 안에 피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덕트에 부착되고 전도성 섬유 재료층 안에 피복되는 절연 섬유 재료층을 포함하는 누출 탐지 장치의 적절한 작동을 검사하는 방법이 제공되는 바, 상기 덕트의 벽과 전도성 섬유 재료층 사이에 단락(short circuit)이 일어난다.
상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이러한 목적으로 전기 전도성 기구가 전도성 재료층 및 절연 재료층을 통해 삽입되며, 상기 단락을 일으키고 또한 덕트의 벽과 전도성 재료층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누출 탐지 시스템이 적절히 작동하고 있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상기 기구는 이 기구가 통과하는 전도성 재료층과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상기 덕트의 (전도성) 벽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전기 전도성 기구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한 특히 로드(rod) 또는 바늘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특징 및 이점들은 비제한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절연 섬유 재료층 안에 피복되는 덕트의 도식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절연 층 안과 전도성 섬유 재료층 안에 피복되는 덕트의 도식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탐지 장치가 부착되어 있고 강성적인 벽에 의해 들러싸여 있는 절연 재료층 안에 피복되어 있는 덕트의 도식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나타나 있는 덕트의 벽을 통한 누출을 어떻게 탐지하는지를보여주는 도식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누출 탐지 시스템의 적절한 작동을 어떻게 검사하는지를 보여주는 도식적인 종단면도이다.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다른 언급이 없으면, 구조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 또는 부재에는 여러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1 ∼ 5 를 참조하면, 가압하에 있는 액체 나트륨을 수송하기 위한 덕트(10)는 길이 방향 축선(12)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원통형 벽(11)을 갖는다. 이 벽(11)은 스테인레스 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도 1 을 참조하면, 절연 섬유 재료층(13)이 상기 벽(11) 주위에 감겨 있거나 또는 몇몇 다른 방식으로 놓여 있으며, 상기 층(13)을 둘러싸는 폐쇄형 루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재료층(13)을 둘러싸 묶여 있는 (참조 번호 "15") 코드(14)에 의해 상기 벽의 외부면과 접촉되어 유지된다.
예컨대, 상기 재료(13)는 공급업체 Thermal Ceramics (미국)에 의해 "Superwool 607 Blanket" 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광물 섬유 벽일 수 있다.
이 광물 모직물(mineral wool) 층은 예컨대 약 2 mm, 최대 약 5, 10 또는 15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재료층(13)의 두께는, 유체가 덕트에서 빠져나가 이 재료층을 함침시키고/함침시키거나 통과하여 전도성 재료층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제한하고 그래서 누출을 탐지할 수 있기 전에 경과하는 시간을 제한하기 위해 20 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층(13)을 만드는데 다른 절연 섬유 재료도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실리카 및 산화마그네슘 또는 산화칼슘의 섬유를 갖는 모직물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도 2 를 참조하면, 전도성 재료층(16)이 상기 절연 섬유 재료층(13) 주위에 감겨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 놓여 있으며, 폐쇄형 루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재료층(16)을 둘러싸 묶여 있는 (참조 번호 "18") 코드(17)에 의해 재료층(13) 의 외부면과 접촉되어 유지된다.
상기 전도성 재료(16)는 예컨대 공급업체 SGL Carbon GmbH(독일)에 의해 "Sigratherm® GFA" 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흑연 펠트(felt)일 수 있다. 이러한 흑연 펠트는 탄소 펠트를 흑연화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펠트 층의 두께는 약 5 mm 정도일 수 있고, 약 5 mm ∼ 적어도 약 10 mm, 예컨대 약 20 mm, 약 30 mm 또는 약 50 mm 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재료층(16)이 제공하는 열절연을 증가시키고 이 층과 임피던스 측정 기구 간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탐지 장치가 적절히 작동하고 있는지를 검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재료층의 두께는 5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층(16)를 만드는데 다른 전도성 섬유 재료, 특히 탄소 섬유 펠트도 사용될 수 있다.
타이(tie; 14, 17)는 예컨대 본질적으로 실리카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다.
두 섬유 재료층(13, 16) 각각의 두께와 가요성 및 이들 재료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상기 타이의 가요성으로 인해, 다양한 형상의 덕트 또는 용기가 밀착되게 피복될 수 있으며, 그리하여, 냉각 회로에 있어서 신속하고 신뢰적인 누출 탐지가 요구되는 유체를 포함하고 있는 영역의 전부를 피복할 수 있다.
특히, 도 3 을 참조하면, 열절연 재료층(19)이 상기 전도성 섬유 재료층(16)의 위에 놓여 있으며, 길이 방향 축선(12) 주위에서 연장되어 있고 재료층(19)을 둘러싸는 관형 벽(20)에 의해 재료층(16)의 외부면과 접촉되어 유지된다.
예컨대, 상기 열절연 재료(19)는 본질적으로 유리솜 또는 암면(rock wool)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재료층(19)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재료층(13, 16)의 두께 보다 크다. 예컨대, 이 두께는 약 20 ∼ 50 (또는 100) mm 일 수 있다.
특히 그리드(grid) 벽 또는 쉘(20)은 이에 의해 둘러싸이는 섬유 재료층(13, 16, 19)에 기계적 보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벽(20)에는 오리피스(21)가 뚫려 있는데, 이 오리피스는 누출 탐지 장치의 적절한 작동을 검사하기 위한 기구(도 4 및 5 에서 참조 번호 "22"로 나타나 있는 것)를 덕트(10)의 피복부의 상기 벽과 층(13, 16, 19)에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특히, 도 4 를 참조하면, 전도성 섬유 재료층(16)과 덕트(10)의 벽(11) 사이에서 측정되는 임피던스에 대한 모니터링은, 유체가 덕트의 벽(11)을 통과해 누출될 때 절연 섬유 재료층(13)을 통과하여 이를 함침시킨 전도성 유체의 존재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누출 탐지 장치는,
- 임피던스 측정으로 단락을 검출하기 위한 기구(23);
- 전기 전도성 층(16)을 상기 기구(23)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재(24);
- 덕트의 벽(11)을 기구(23)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재(25); 및
- 각기 접촉/연결 부재(24)를 상기 기구(23)의 측정 단자에 연결하는 두 전도체 와이어 부분(26)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기구(23)는 ⅰ) 측정 신호를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임피던스 측정 회로, ⅱ) 측정 신호를 받기 위해 상기 임피던스 측정 회로에 연결되어 있고 수신된 신호를 결정된 신호 또는 데이타와 비교하고 비교 신호를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비교 회로, 및 ⅲ) 비교 회로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비교 신호를 받고 또한 경보기가 수신된 비교 신호에 따라 작동하도록 해주는 경보기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도 4 및 5 에 나타나 있는 연결 부재(24)는 흑연 또는 탄소로 된 로드 또는 바아의 형태이며 전도성 필라멘트 층(16)의 두께 안에 삽입된다.
덕트의 벽과 전기적 접촉하고 있는 제 2 연결 부재(25)는 그 덕트에 용접되는 금속부일 수 있다.
덕트(10)에 부착되어 있는 누출 탐지 장치가 적절히 작동하고 있는지 검사하기 위해, 덕트의 벽(11)과 전도성 섬유 재료층(16) 사이에 단락(short circuit)이 일어난다.
도 4 및 5 를 참조하면, 이러한 목적으로 금속 바늘(22)이 벽(20)에 제공된 오리피스(21) 및 열절연 재료(19), 중첩된 전도성 재료층(16)과 절연 재료층(13) 을 통과해 삽입되어(도 5 에서 화살표(27)를 따라), 전도성 바늘(22)의 길이 방향(바닥) 단부가 덕트의 벽(11)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바늘의 길이는 절연 및 전도성 재료층(13, 16)의 전체 두께 보다 크기 때문에, 그 바늘은 그가 통과하는 전도성 재료층(16)과 전기적 접촉을 유지한다.
따라서 바늘(22)은 벽(11)과 재료층(16) 사이의 단락을 일으키며, 그리하여,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상기 기구(23)를 사용하여, 누출 탐지 시스템이 적절히 작동하고 있는지를 검사할 수 있는데, 바늘(22)이 벽(11) 및 재료층(16)과 접촉을 유지하고 있는 한 임피던스 측정 기구(23)는 단락의 존재를 나타낸다.
적절한 작동을 검사하는 이러한 작업은 설치 수명 전체에 걸쳐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때라면 언제든지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이 작업은 특히 덕트의 피복부를 구성하는 층의 섬유 구조 때문에 그 피복부에 어떠한 손상도 주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Claims (21)

  1. 전기 전도성 외부벽(11)을 갖는 덕트(10)에서 저장되거나 수송되는 유체의 누출을 탐지하기 위한 누출 탐지 장치로서,
    상기 덕트는 이 덕트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절연 섬유 재료층(13) 안에 피복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절연 재료층(13)에 접하여 연장되어 있는 전도성 섬유 재료층(16)을 포함하고, 그 전도성 섬유 재료는 본질적으로 탄소 또는 흑연 펠트(felt)로 구성되어 있는 누출 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재료(13)는 실리카 섬유를 포함하는 누출 탐지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재료층(16)을 검출 기구(23)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도성 섬유 층(16)에 삽입되거나 매립되도록 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접촉 요소(24)를 포함하는 누출 탐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2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흑연 또는 탄소로 만들어져 있는 누출 탐지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섬유 층(16)의 일 부분을 죌 수 있는 죠오(jaw)를 갖는 클램프의 형태로 된 접촉 요소를 포함하는 누출 탐지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섬유 재료층(16)의 두께는 약 5 mm 이상인 누출 탐지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섬유 재료층(16)의 두께는 약 5 mm ∼ 약 10 mm, 약 5 mm ∼ 약 20 mm, 약 5 mm ∼ 약 30 mm 또는 약 5 mm ∼ 약 50 mm 의 범위에 있는 누출 탐지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섬유 재료층(13)의 두께는 20 mm 미만이고, 특히 약 2 mm ∼ 약 5 mm, 약 2 mm ∼ 약 10 mm 또는 약 2 mm ∼ 약 5 mm 의 범위에 있는 누출 탐지 장치.
  9. 덕트를 피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누출 탐지 장치 및 본질적으로 섬유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도성 섬유 재료층(16) 에 접하여 연장되어 있는 열절연 재료층(19)을 포함하는 덕트 피복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절연 재료층(19)의 두께는 약 10 mm 이상이고, 특히 약 20 mm ∼ 약 50 mm 또는 약 20 mm ∼ 100 mm의 범위에 있는 덕트 피복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절연 층(제 3 층)을 둘러싸거나 봉하는 강성 벽(20)을 더 포함하는 덕트 피복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벽에는, 누출 탐지 장치의 적절한 작동을 검사하기 위한 기구(22)를 상기 덕트의 벽 및 피복부의 층들에 통과시키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21)가 뚫려 있는 덕트 피복 장치.
  13. 열전달 유체를 수송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덕트(10)로서, 이 덕트에는 상기 열전달 유체의 누출을 탐지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누출 탐지 장치가 부착되며, 상기 덕트는 제 1 타이(tie; 14)를 가지며, 이 타이는 예컨대 절연 재료층(13) 주위에 묶여 이 절연 재료층을 덕트의 벽(11)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덕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제 2 타이(17)를 가지며, 이 타이는 예컨대 전도성 섬유 재료층(16) 주위에 묶여 이 전도성 섬유 재료층을 절연 재료(13) 안에 피복되어 있는 덕트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덕트.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타이는 필라멘트 타이이거나 또는 코드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또한 본질적으로는 전기 절연 재료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덕트.
  16. 열전달 유체의 누출을 탐지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누출 탐지 장치에서 상기 열전달 유체를 수송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덕트(10)를 피복하는 방법으로서, 제 1 타이(14)를 절연 재료층(13) 주위에 묶어 그 절연 재료층을 덕트의 벽(11)에 고정시키는 덕트 피복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제 2 타이(17)를 전도성 섬유 재료층(16) 주위에 묶어 그 전도성 섬유 재료층(16)을 상기 절연 재료(13) 안에 피복되어 있는 덕트에 고정시키는 덕트 피복 방법.
  18. 덕트에 부착되는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누출 탐지 장치의 적절한 작동을 검사하는 작동 검사 방법으로서, 상기 덕트의 벽(11)과 전도성 섬유 재료층(16) 사이에 단락(short circuit)을 일으키는 작동 검사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 기구(22)가 상기 전도성 재료층(16) 및 절연 재료층(13)을 통해 삽입되며, 상기 단락을 일으키고 또한 덕트의 벽과 전도성 재료층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누출 탐지 시스템이 적절히 작동하고 있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상기 기구(22)는 이 기구(22)가 통과하는 상기 전도성 재료층과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상기 덕트의 전도성 벽(11)과 접촉하게 되는 작동 검사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기구(22)는 금속으로 로드(rod) 또는 바늘의 형태로 만들어지는 작동 검사 방법.
  21. 제 16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압하에 있는 나트륨을 수송하기 위한 덕트 또는 가압하에 있는 나트륨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에 대해 수행되는 방법.
KR1020137008824A 2010-09-08 2011-09-05 누출 탐지 장치 및 이 누출 탐지 장치를 포함하고 유체 수송 또는 저장 부재를 피복하기 위한 피복부 KR201301177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03573A FR2964456B1 (fr) 2010-09-08 2010-09-08 Dispositif de detection de fuite et revetement d'organe de transport ou de stockage de fluide comportant ce dispositif de detection
FR1003573 2010-09-08
PCT/FR2011/000488 WO2012032233A1 (fr) 2010-09-08 2011-09-05 Dispositif de détection de fuite et revêtement d'organe de transport ou de stockage de fluide comportant ce dispositif de détec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025A Division KR101650806B1 (ko) 2010-09-08 2011-09-05 누출 탐지 장치 및 이 누출 탐지 장치를 포함하고 유체 수송 또는 저장 부재를 피복하기 위한 피복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768A true KR20130117768A (ko) 2013-10-28

Family

ID=438253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824A KR20130117768A (ko) 2010-09-08 2011-09-05 누출 탐지 장치 및 이 누출 탐지 장치를 포함하고 유체 수송 또는 저장 부재를 피복하기 위한 피복부
KR1020157034025A KR101650806B1 (ko) 2010-09-08 2011-09-05 누출 탐지 장치 및 이 누출 탐지 장치를 포함하고 유체 수송 또는 저장 부재를 피복하기 위한 피복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025A KR101650806B1 (ko) 2010-09-08 2011-09-05 누출 탐지 장치 및 이 누출 탐지 장치를 포함하고 유체 수송 또는 저장 부재를 피복하기 위한 피복부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304056B2 (ko)
EP (1) EP2614347B1 (ko)
JP (2) JP2013538997A (ko)
KR (2) KR20130117768A (ko)
CN (1) CN103109170B (ko)
CY (1) CY1118833T1 (ko)
ES (1) ES2623032T3 (ko)
FR (1) FR2964456B1 (ko)
PT (1) PT2614347T (ko)
RU (1) RU2575948C2 (ko)
UA (1) UA108122C2 (ko)
WO (1) WO20120322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1182B2 (en) * 2005-07-14 2011-05-31 Zoll Circul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leak detection in external cooling pad
FR3011075A1 (fr) * 2013-09-24 2015-03-27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detection de fuite et revetement comportant ce dispositif de detection
GB201319105D0 (en) 2013-10-29 2013-12-11 Wellstream Int Ltd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9989435B2 (en) 2013-11-15 2018-06-05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s as sensing media to detect leaks in aerospace pneumatic ducts
GB2524286B (en) * 2014-03-19 2020-09-23 Glanfield Anthony Leak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s
US10222290B2 (en) * 2015-08-11 2019-03-05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Detecting moisture proximate to insulation
CN105156792A (zh) * 2015-10-08 2015-12-16 苏州市海神达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法兰连接结构
MY194929A (en) 2015-11-02 2022-12-23 Flexsteel Pipeline Tech Inc Real time integrity monitoring of on-shore pipes
CN105424293A (zh) * 2015-12-02 2016-03-23 深圳凌水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给排水管泄漏检测系统和检测方法
CN105465614B (zh) * 2016-02-16 2019-04-19 深圳凌水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给排水管泄漏检测系统和检测方法
US9921184B2 (en) * 2016-05-20 2018-03-20 Terrapower, Llc Sodium-cesium ionization detector
DE102017118598A1 (de) 2017-08-15 2019-02-21 Franke Kaffeemaschinen Ag VORRICHTUNG ZUM ZUBEREITEN VON HEIßGETRÄNKEN
BE1025688B1 (nl) * 2017-11-08 2019-06-11 D&D Isoltechnics Nv Verbeterde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meten van condensvorming en/of corrosievoortgang
CN109887626A (zh) * 2019-01-09 2019-06-14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一种集成钠泄漏探测功能的可拆卸式保温块
JP7243270B2 (ja) * 2019-02-20 2023-03-22 横浜ゴム株式会社 マリンホースの流体漏れ検知システム
WO2020231118A1 (ko) * 2019-05-10 2020-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배관 누수 감지 시스템
CN110410592B (zh) * 2019-07-23 2022-08-05 安徽泫氏铸造有限责任公司 一种球墨管件
CN110578872A (zh) * 2019-08-28 2019-12-17 诸暨市逍遥管道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监测非金属管道泄漏的系统及方法
US11022514B1 (en) * 2020-03-13 2021-06-01 Trinity Bay Equipment Holdings, LLC Embedded return wire time domain reflectometry pipeline fault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11788918B2 (en) 2020-06-18 2023-10-17 Trevillyan Labs, Llc Fluid detection fabric
CN115523429A (zh) * 2022-09-07 2022-12-27 常州大学 管道泄漏检测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7515A (en) * 1967-07-18 1971-09-21 Allied Chem Asbestos pipeline felt
GB1311472A (en) 1969-03-18 1973-03-28 Rasmussen As E Pipe system of heat insulated pipe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moisture
US3721970A (en) * 1971-10-06 1973-03-20 Atomic Energy Commission Alkali metal leak detector
JPS5193274A (ko) * 1975-02-14 1976-08-16
FR2455707A1 (fr) * 1979-05-03 1980-11-28 Carbonisation Entr Ceram Sous-ensemble pour la detection de fuites d'un metal liquide et dispositif de detection comprenant plusieurs sous-ensembles de ce type
JPS5788050A (en) 1980-11-18 1982-06-01 Teijin Ltd Fiber reinforced cement moldings
JPS5788050U (ko) * 1980-11-19 1982-05-31
GB2120389A (en) * 1982-04-28 1983-11-30 Anthony John Maxwell Monitoring lengths of hose
JPS6124893A (ja) * 1984-07-16 1986-02-03 動力炉・核燃料開発事業団 保温材構造
JPS6175600U (ko) * 1984-10-25 1986-05-21
US4926165A (en) * 1985-10-15 1990-05-15 Raychem Corporation Devices for detecting and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n event
US4865925A (en) * 1987-12-14 1989-09-12 Hughes Aircraft Company Gas permeable electrode for electrochemical system
US4865930A (en) * 1988-10-27 1989-09-12 Hughes Aircraft Company Method for forming a gas-permeable and ion-permeable membrane
JPH02216426A (ja) 1989-02-17 1990-08-29 Junkosha Co Ltd 検知センサ
US5145732A (en) * 1989-03-01 1992-09-08 Osaka Gas Company Limited High bulk density carbon fiber felt and thermal insulator
JP2831688B2 (ja) * 1989-03-31 1998-12-02 愛知時計電機株式会社 ガスパイプと、ガス漏れ検知装置
JPH048531A (ja) * 1990-04-27 1992-01-13 Nkk Corp ライニングチューブの製造方法
RU2030044C1 (ru) 1990-06-18 1995-02-27 Московский Институт Инженеров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окопроводящих контактных элементов
JP2796903B2 (ja) * 1991-04-04 1998-09-10 鶴見曹達株式会社 金属イオンの除去装置
US5203202A (en) * 1992-02-25 1993-04-20 W. L. Gore & Associates, Inc. Apparatus for detecting leaks in circuits
US5378991A (en) 1992-05-27 1995-01-03 Anderson; Thomas F. Detecting degradation of non-conductive inert wall layers in fluid containers
JP3268010B2 (ja) * 1992-06-15 2002-03-25 博明 柳田 漏水、歪・応力検知方法および装置
US5551484A (en) * 1994-08-19 1996-09-03 Charboneau; Kenneth R. Pipe liner and monitoring system
JPH08260942A (ja) * 1995-03-28 1996-10-08 Hideo Yoshikawa 排気浄化装置
JPH109905A (ja) * 1996-06-19 1998-01-16 Hiroaki Yanagida 歪・応力および漏水検知装置
US6112579A (en) 1997-08-25 2000-09-05 Tryba; Stephen A. Fluid leakage sensors
US5905194A (en) * 1997-11-21 1999-05-18 Strong; Thomas P. Pipe line with integral fault detection
DE19925508A1 (de) * 1999-06-04 2000-12-21 Freudenberg Carl Fa Einrichtung zur Erkennung von Undichtheiten an Membranen
EP1128113A1 (de) * 2000-02-21 2001-08-29 Egeplast Werner Strumann GmbH & Co. Leckageortung für mehrschichtige Rohre oder Behälter
JP4081954B2 (ja) * 2000-02-24 2008-04-30 オムロン株式会社 漏液検出器および漏液検出システム
GB0112983D0 (en) * 2001-05-30 2001-07-18 Advanced Eng Solutions Ltd Pipe condition detecting apparatus
US6865941B2 (en) * 2001-11-21 2005-03-15 Before-The-Event, Ltd. Liquid leak detector
US6814105B1 (en) * 2003-05-30 2004-11-09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Duct insulation having condensate wicking
FR2865262B1 (fr) * 2004-01-20 2006-11-24 Gaz Transport & Technigaz Conduite thermiquement isolee
JP4353926B2 (ja) * 2005-07-20 2009-10-28 株式会社ユウホウ 導電性不織布の製法
DE102005048726B4 (de) * 2005-10-12 2010-09-16 Airbus Deutschland Gmbh Lecksucher
CA2641048C (en) * 2006-02-02 2014-09-09 Elmer H. Hara Pipeline leakage-sensing device
US7770435B2 (en) * 2006-09-01 2010-08-10 Areva Np Gmbh Pipeline having a collector line and method for leakage monitoring and leakage location
GB0722534D0 (en) * 2007-11-16 2007-12-27 Advanced Eng Solutions Ltd Pipeline condition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US7960978B2 (en) * 2008-10-21 2011-06-14 Thermacor Process, Lp Method for providing leak detection in pre-insulated piping
US20110290411A1 (en) * 2010-05-27 2011-12-01 Pipestream B.V. Modular System for Fabricating a Reinforced Tubular
DE102010031610A1 (de) * 2010-07-21 2012-01-26 Areva Np Gmbh Komponente zum Führen oder Aufnehmen eines Fluids und Verfahren zum Überprüfen der Kompone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431A (ko) 2015-12-09
US20130154666A1 (en) 2013-06-20
EP2614347A1 (fr) 2013-07-17
CN103109170A (zh) 2013-05-15
JP6096354B2 (ja) 2017-03-15
US9304056B2 (en) 2016-04-05
CN103109170B (zh) 2016-06-22
PT2614347T (pt) 2017-05-02
UA108122C2 (uk) 2015-03-25
FR2964456A1 (fr) 2012-03-09
CY1118833T1 (el) 2018-01-10
JP2013538997A (ja) 2013-10-17
EP2614347B1 (fr) 2017-01-25
RU2013115293A (ru) 2014-10-20
FR2964456B1 (fr) 2013-05-10
KR101650806B1 (ko) 2016-08-24
RU2575948C2 (ru) 2016-02-27
ES2623032T3 (es) 2017-07-10
JP2016148456A (ja) 2016-08-18
WO2012032233A1 (fr)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806B1 (ko) 누출 탐지 장치 및 이 누출 탐지 장치를 포함하고 유체 수송 또는 저장 부재를 피복하기 위한 피복부
FI87832C (fi) Skyddshoelje mot yttre vaerme- och eldpaoverkan foer straengformiga varor samt saett foer framstaellning av ett skyddshoelje
US8479565B2 (en) Fluid conveying tube and fluid leakage detecting system
JP2013538997A5 (ja) 漏出検知装置、ダクト被覆装置、ダクト、漏出検知装置を用いる方法
KR910003825B1 (ko) 저항식온도계
CN108614050A (zh) 采样管束、采样分析设备及采样管束的制备方法
WO2011046463A1 (en) Fluid pipe and method for detecting a deformation on the fluid pipe
JP4788997B2 (ja) 超電導ケーブル
US3022478A (en) Resistance temperature sensing device
JPH11302936A (ja) 補強用繊維基材及び構造物の歪み検出方法
JPS6124893A (ja) 保温材構造
CN220249194U (zh) 一种可弯折柔性管路
CN107920396B (zh) 一种超细超长加热电缆及其制作方法
CN212251533U (zh) 一种柔性复合智能管道
US2912016A (en) Indicator tape
CN211978163U (zh) 一种变压器测温装置
KR101284352B1 (ko) 섬유를 이용한 축열식 난방관
CN216347102U (zh) 加热装置
JP2011232331A (ja) 導電性液体検知センサ
JP3711281B2 (ja) 導電性液状物質の漏洩センサ
CN113954452A (zh) 一种SiO2气凝胶毡复合材料、使用其的管道和管道的敷设方法
JPH0219997A (ja) 光ケーブル型熱センサ
CN85104234A (zh) 内装式温度传感器
Carpenter New Technology Enables Development of Norwegian Sea Field
JPH0334214A (ja) 漏液検知用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