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092A -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구비한 경화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구비한 경화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092A
KR20130115092A KR1020127032382A KR20127032382A KR20130115092A KR 20130115092 A KR20130115092 A KR 20130115092A KR 1020127032382 A KR1020127032382 A KR 1020127032382A KR 20127032382 A KR20127032382 A KR 20127032382A KR 20130115092 A KR20130115092 A KR 20130115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ening
link member
holding
passag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2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크란 에드워드 퍼거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니뽄 콘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니뽄 콘럭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니뽄 콘럭스
Publication of KR20130115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4Coin chutes
    • G07F1/047Coin chutes with means for temporarily storing co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구동장치로 2개 이상의 경화보류레버를 구동하는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구비한 경화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의 경화처리장치에 구비된 경화일시보류기구는 단일 구동수단(6)과, 제1경화선별통로로 안내된 경화를 보류/해방하는 제1경화보류레버(71)와, 제2경화선별통로로 안내된 경화를 보류/해방하는 제2경화보류레버(72)와, 경화가 제1경화선별통로에 보류되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기능을 갖는 링크수단(81, 82, 91)을 구비하고, 이 링크수단(81, 82, 91)은 보류가 검지되었을 때에는 구동수단(6)이 제2경화보류레버를 구동하는 일이 없이 제1경화보류레버(71)만을 구동하도록 제1경화보류레버를 보류위치로부터 해방위치로 전환하고, 보류가 검지되지 않았을 때에는 구동수단(6)이 제2경화보류레버(71)를 구동하도록 제2경화보류레버(72)를 보류위치로부터 해방위치로 전환한다.

Description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구비한 경화처리장치{COIN PROCESSING DEVICE PROVIDED WITH TEMPORARY COIN WITHHOLDING MECHANISM}
이 발명은 자동판매기, 환전기, 정산기, 매표기, 서비스기기 등(이하, '자동판매기 등'이라고 한다.)에 탑재되는 경화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경화처리장치에 설치되어 경화처리장치에 투입된 경화를 일시보류하기 위한 경화일시보류기구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 등의 내부에는 투입된 경화의 정위를 판별함과 동시에 정화로 간주된 투입경화를 금종별로 선별수납하고, 또한 선별수납된 경화를 거스름돈 등의 금액에 따라 불출하는 경화처리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도10은 이러한 경화처리장치의 개략도이다.
경화처리장치(1)는 통상적으로 투입된 경화의 정위를 판별함과 동시에 투입경화를 금종별로 분배하기 위한 경화선별장치(2)와, 이 경화선별장치(2)에 의해 분배된 투입경화를 금종별로 수납하는 경화수납장치(3)과, 이 경화수납장치(3)으로부터 거스름돈 등의 금액에 따른 경화를 선택해서 불출하기 위한 경화불출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현재, 많은 경화처리장치(1)는 그 경화선별장치(2)에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화일시보류기구는 경화선별장치(2)에 투입된 경화를 경화수납장치(3)에 수납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보류하는 것이다.
이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화처리장치(1)의 경우, 그 경화처리장치(1)에 투입된 경화는 경화선별장치(2)에서 정화로 판정되면, 그대로 경화수납장치(3)에 수납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이 경화처리장치(1)를 탑재한 자동판매기 등에 경화를 투입한 후에 상품을 구입하지 않고 경화반환레버 등에 의해 경화를 환불하면, 투입된 경화 바로 그것을 반환하는 것이 아니라 그 경화수납장치(3)에 수납되어 있는 경화 중에서 투입된 경화와 같은 금액의 경화를 불출하게 된다. 이러한 경화처리장치(1)에서는 정화로 판정될 정도로 정교한 위조경화가 투입된 후에 상품을 구입하지 않고 경화반환레버 등에 의해 경화에 대한 반환이 이루어지면, 투입된 위조경화가 아닌 그 경화수납장치(3)에 수납되어 있던 정화가 불출되게 되어, 이른바 경화 바꿔치기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구비한 경화처리장치(1)에서는 그 경화처리장치(1)에 투입된 경화는 경화선별장치(2)에서 정화로 판정된 후, 경화수납장치(3)에 수납되기 전에 경화일시보류기구에 의해 일시적으로 보류된다. 그리고, 이 경화처리장치(1)를 탑재한 자동판매기 등에 경화를 투입한 후에 상품을 구입하지 않고 경화반환레버 등에 의해 경화를 환불하면, 경화일시보류기구에 의해 일시적으로 보류된 경화, 즉, 투입된 경화 바로 그것을 반환한다. 그 때문에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구비한 경화처리장치(1)에서는 정화로 판정될 정도로 정교한 위조경화가 투입된 후에 상품을 구입하지 않고 경화반환레버 등에 의해 경화에 대한 반환이 이루어진다고 해도 경화 바꿔치기현상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특허문헌1(일본 특허공개 2002-63628호 공보)에 있어서, 종래의 경화처리장치가 구비하는 경화일시보류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하, 도11 내지 도14를 참조하면서 종래의 경화처리장치가 구비하는 경화일시보류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1은 종래의 경화처리장치(1)에 있어서의 경화선별장치(2)의 개략 정면도이다. 이 경화선별장치(2)는 A경화(500엔경화), B경화(10엔경화), C경화(100엔경화), D경화(50엔경화) 4종류에 대한 정화와 위화를 선별하는 것이다. 이 경화선별장치(2)의 투입구(21)에서 투입된 경화는 경화판별통로(22)를 따라 설치된 경화판정수단(23)에 의해 그 종류가 판정되고, 그 종류에 따라, 경화판정통로(22)의 하류에 설치된 정위화분배레버(24)와 복수의 금종분배레버(25)에 의해, 위화배출통로나 각각의 금종 경화만을 안내하는 경화선별통로로 분배되어지게 된다. 이 경화선별장치(2)에 있어서는, A경화(500엔경화)를 안내하는 A경화선별통로(261)의 하류단과 C경화(100엔경화)를 안내하는 C경화선별통로(262)의 하류단 각각에 경화일시보류기구(5)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경화처리장치(1)에 있어서는, 비교적 고액의 경화를 안내하는 2개의 경화선별통로에 경화일시보류기구(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많다.
도12는 종래의 경화처리장치에 있어서의 경화선별장치(2)의 개략 정면도이며, (a)는 A경화선별통로(261)에 경화가 일시 보류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C경화선별통로(262)에 경화가 일시 보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A경화선별통로(261)에는 3개의 경화를 일시 보류할 수 있고, C경화선별통로(262)에는 4개의 경화를 일시 보류할 수 있다.
도13은 A경화선별통로(261)의 하류단에 설치된 종래의 경화일시보류기구(5) 및 그 주변부의 요부 단면도이며, (a)는 경화보류레버(71)가 경화를 일시 보류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경화보류레버(71)가 경화를 해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화일시보류기구(5)는 솔레노이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미도시)과, 하부돌기(71a)와 상부돌기(71b)를 갖는 경화보류레버(71)를 갖고 있다. 그리고, 그 경화보류레버(71)가 그 옆으로 향한 축(71c)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함으로써, 그 하부돌기(71a)와 그 상부돌기(71b)가 A경화선별통로(261)의 측면에 설치된 구멍(261a)을 통해 A경화선별통로(261)로 돌출되거나 A경화선별통로(261)로부터 퇴피되거나 한다.
초기상태에서는 도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보류레버(71)가 그 축(71c)을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부세되어 정지하고, 이로 인해 그 하부돌기(71a)가 A경화선별통로(261)로 돌출되고, 그 상부돌기(71b)가 A경화선별통로(261)로부터 퇴피되어 있다(경화보류레버의 보류위치). 이 초기상태에 있어서, A경화선별통로(261)로 안내되는 경화는 A경화선별통로(261)로 돌출된 경화보류레버(71)의 하부돌기(71a)에 저지되고, 그곳에서 일시적으로 보류된다. 그 후에 A경화선별통로(261)로 안내되는 경화도 이전에 보류된 경화에 저지되고, 그곳에서 일시적으로 보류된다. 이와 같이 A경화선별통로(261)에 복수개의 경화가 연속해서 일시적으로 보류된다. 여기에서 일시적으로 보류할 수 있는 경화의 개수는 경화의 크기와 A경화선별통로(261)의 길이에 의존한다.
복수개의 경화가 A경화선별통로(261)에 일시적으로 보류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경화보류레버(71)를 그 축(71c)을 지점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돌기(71a)가 A경화선별통로(261)로부터 퇴피되고, 그 상부돌기(71b)가 A경화선별통로(261)로 돌출된다(경화보류레버의 해방위치). 그러면, 경화보류레버(71)의 하부돌기(71a)에 저지되어 있던 경화는 그 저지가 상실되므로 하류로 해방된다. 그리고, 이 경화보류레버(71)의 하부돌기(71a)에 저지되어 있던 경화의 직후의 경화는 A경화선별통로(261)로 돌출된 상부돌기(71b)에 저지되므로 A경화선별통로에 일시보류된 상태로 된다. 그 후, 경화보류레버(71)를 도13(a)에 나타낸 초기상태(경화보류레버의 보류위치)로 복귀시키면, 그 상부돌기(71b)가 A경화선별통로(261)로부터 퇴피되고, 그 하부돌기(71a)가 A경화선별통로(261)로 돌출된다. 그 때문에 그 상부돌기(71b)에 저지되어 있던 경화는 그 저지가 상실되어 낙하하고, A경화선별통로(261)로 돌출된 하부돌기(71a)에 저지되고, 그곳에서 일시적으로 보류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경화를 1개씩 간헐적으로 해방한다.
C경화선별통로(262)의 하류단에 설치되는 경화일시보류기구도 경화보류레버의 하부돌기 형상이 상이한 등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A경화선별통로의 하류단에 설치되는 경화일시보류기구와 동일한 구성이다.
도14는 경화일시보류기구(5)의 하류에 설치된 경화분배레버(281, 282)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a)는 경화가 경화반환구로 분배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b)는 경화가 경화수납장치의 코인튜브로 분배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c)는 경화가 경화수납장치의 금고로 분배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일시보류기구(5)로부터 해방된 경화는 경화일시보류기구의 하류측에 설치된 2개의 경화분배레버(281, 282)에 의해 경화반환구, 경화수납장치의 코인튜브 또는 경화수납장치의 금고 중 어느 하나로 분배된다.
상술한 종래의 경화일시보류기구는 경화보류레버 1개당 1개의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수단이 설치된 것이며, 각각의 경화보류레버를 별개의 구동수단을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하고 있다. 이에 대해, 1개의 솔레노이드로 2개의 경화보류레버를 구동하는 경화일시보류기구가 특허문헌2(일본 특허공개 2009-238184호 공보)에 있어서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2-6362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9-238184호 공보
종래의 경화일시보류기구는 경화보류레버 1개당 1개의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수단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 제조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 제조비용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특허문헌2 (일본 특허공개 2009-238184호 공보)에 있어서, 1개의 솔레노이드로 2개의 에스크로우 레버(경화보류레버)를 구동하는 에스크로우 장치(경화일시보류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그 초기상태에 있어서, 2개의 에스크로우 레버(경화보류레버) 중 한 쪽이 그 상부돌기로 경화를 저지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한 쪽의 경화선별통로에 일시보류되는 경화의 개수가 적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장치에서는 2종류의 경화가 번갈아 해방되기 때문에 2종류의 경화에 대한 분배처를 다르게 할 경우에, 경화일시보류기구의 하류에 있는 경화분배레버에 대한 제어가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장치에서는 에스크로우 레버(경화보류레버)가 2개인 것으로 한정되어, 에스크로우 레버(경화보류레버)가 3개 이상일 경우에 1개의 솔레노이드로 구동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복수의 경화보류레버에 대한 구동을 단일 구동수단으로 실행함으로써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구비한 경화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경화보류레버에 대한 구동을 단일 구동수단으로 실행하도록 해도 경화선별통로에 일시보류되는 경화의 개수가 적어지지 않는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구비한 경화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경화보류레버에 대한 구동을 단일 구동수단으로 실행하도록 해도 경화일시보류기구의 하류에 있는 경화분배레버에 대한 제어가 용이한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구비한 경화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이하게 단일 구동수단으로 3개 이상의 경화보류레버를 구동할 수 있는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구비한 경화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1양태의 경화처리장치는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기구가 단일 구동수단과, 제1경화선별통로로 안내된 제1경화를 소정의 위치에 보류하는 보류위치와 상기 제1경화를 해방하는 해방위치를 취할 수 있는 제1경화보류레버와, 제2경화선별통로로 안내된 제2경화를 소정의 위치에 보류하는 보류위치와 상기 제2경화를 해방하는 해방위치를 취할 수 있는 제2경화보류레버와, 상기 제1경화가 상기 제1경화선별통로에 보류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기능을 갖는 링크수단으로서, 보류가 검지되었을 때에는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제2경화보류레버를 구동하는 일이 없이 상기 제1경화보류레버만을 구동하도록 상기 제1경화보류레버를 보류위치로부터 해방위치로 전환하고, 보류가 검지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제2경화보류레버를 구동하도록 상기 제2경화보류레버를 보류위치로부터 해방위치로 전환하는 링크수단을 구비한다.
제2양태의 경화처리장치는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기구가 동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동작부를 보류동작위치와 구동동작위치로 전환 가능한 단일 구동수단과, 제1경화선별통로로 안내된 제1경화를 소정의 위치에 보류하는 보류위치와 상기 제1경화를 해방하는 해방위치를 취할 수 있는 제1경화보류레버와, 제2경화선별통로로 안내된 제2경화를 소정의 위치에 보류하는 보류위치와 상기 제2경화를 해방하는 해방위치를 취할 수 있는 제2경화보류레버와, 상기 구동수단의 상기 동작부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동작부가 상기 보류동작위치를 취할 때에 보류위치를 취하고, 상기 동작부가 상기 구동동작위치를 취할 때에 해방위치를 취하는 제1링크부재와, 보류위치와 해방위치를 취할 수 있는 제2링크부재와, 상기 제1경화가 상기 제1경화선별통로에 보류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기능을 갖고, 그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재 및 상기 제2링크부재에 계합되는 계합위치와 상기 제1링크부재 및 상기 제2링크부재의 적어도 한 쪽과의 계합이 해제된 비계합위치를 취할 수 있는 경화검지-링크부재로서, 보류가 검지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계합위치를 취함으로써, 상기 제1링크부재가 보류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2링크부재도 보류위치를 취하도록 하고, 상기 제1링크부재가 해방위치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2링크부재도 해방위치로 전환되도록 하고, 보류가 검지된 경우에는 상기 비계합위치를 취함으로써, 상기 제1링크부재의 위치와 관계없이 상기 제2링크부재가 보류위치를 취하도록 하는 경화검지-링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경화보류레버는 상기 제1링크부재에 대해서 계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링크부재가 보류위치에 있을 때에는 보류위치를 취하고, 상기 제1링크부재가 해방위치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링크부재에 의해 해방위치로 전환되고, 상기 제2경화보류레버는 상기 제2링크부재에 대해서 계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링크부재가 보류위치에 있을 때에는 보류위치를 취하고, 상기 제2링크부재가 해방위치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2링크부재에 의해 해방위치로 전환된다.
제3양태의 경화처리장치는 제2양태의 경화처리장치로서, 상기 경화검지-링크부재는 상기 제2링크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계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1링크부재에 설치된 U자형 홈과 해제 가능하게 계합되는 계합돌기와, 상기 제1경화가 상기 제1경화선별통로에 보류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제1경화에 의해 상기 제1경화선별통로로부터 퇴피되어, 상기 제1경화가 상기 제1경화선별통로에 보류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1경화선별통로로 돌출되는 경화검지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경화가 상기 제1경화선별통로에 보류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경화검지-링크부재의 상기 계합돌기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상기 U자형 홈이 계합되고, 상기 제1경화가 상기 제1경화선별통로에 보류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경화검지돌출부가 상기 제1경화선별통로로부터 퇴피됨으로써, 상기 경화검지-링크부재가 상기 제1링크부재에 대해서 회동하고, 그로 인해 상기 경화검지-링크부재의 상기 계합돌기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상기 U자형 홈과의 계합이 해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경화보류레버에 대한 구동을 단일 구동수단으로 실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경화선별통로에 일시보류된 경화가 연속적으로 해방되고, 다른 경화선별통로에 일시보류된 경화가 번갈아 해방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경화일시보류기구의 하류에 있는 경화분배레버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경화보류레버에 의한 경화의 일시보류 방법 자체는 상술한 종래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복수의 경화보류레버에 대한 구동을 하나의 구동수단으로 실행하도록 해도 경화선별통로에 일시보류되는 경화의 개수가 적어지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 구동수단으로 3개 이상의 경화보류레버를 구동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경화처리장치의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경화처리장치의 뒤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경화처리장치의 경화일시보류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경화처리장치의 경화일시보류기구 구성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제1경화선별통로 내에 경화가 일시보류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경화처리장치의 경화일시보류기구의 제1경화선별통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며, (a)는 초기상태를 나타내고, (b)는 솔레노이드를 구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5는 제1경화선별통로 내에 경화가 일시보류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경화처리장치의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경화처리장치의 뒤쪽에서 본 도면이며, (a)는 초기상태를 나타내고, (b)는 솔레노이드를 구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6은 제1경화선별통로 내에 경화가 일시보류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경화처리장치의 제1경화선별통로의 정면도이다.
도7은 제1경화선별통로 내에 경화가 일시보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경화처리장치의 경화일시보류기구의 제1경화선별통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며, (a)는 초기상태를 나타내고, (b)는 솔레노이드를 구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8은 제1경화선별통로 내에 경화가 일시보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경화처리장치의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경화처리장치의 뒤쪽에서 본 도면이며, (a)는 초기상태를 나타내고, (b)는 솔레노이드를 구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경화처리장치가 구비하는 경화일시보류기구의 개략도이다.
도10은 경화처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11은 종래의 경화처리장치에 있어서의 경화선별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12는 종래의 경화처리장치에 있어서의 경화선별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며, (a)는 A경화선별통로에 경화가 일시 보류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C경화선별통로에 경화가 일시보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13은 종래의 경화처리장치의 경화일시보류기구 및 그 주변부의 요부 단면도이며, (a)는 경화보류레버가 경화를 일시 보류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경화보류레버가 경화를 해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14는 경화일시보류기구의 하류에 설치된 경화분배레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a)는 경화가 경화반환구로 분배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b)는 경화가 경화수납장치의 코인튜브로 분배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c)는 경화가 경화수납장치의 금고로 분배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 실시형태의 하나를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경화처리장치에 구비된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경화처리장치의 뒤쪽에서 본 도면이며, 초기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2는 그 종단면도이며, 도3은 그 구성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실시형태인 경화처리장치의 구조는 경화보류레버를 구동하기 위한 기구를 제외하고, 상술한 종래의 경화처리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중 상술한 종래의 경화처리장치에 있어서의 구성부재와 동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A경화선별통로(261)를 제1경화선별통로로 하였고, 상술한 C경화선별통로(262)를 제2경화선별통로로 하였다.
본 실시형태인 경화처리장치에 있어서의 경화일시보류기구(5)는 제1경화선별통로(261)로 안내된 경화를 일시적으로 보류하기 위한 제1경화보류레버(71)와, 제2경화선별통로(262)로 안내된 경화를 일시적으로 보류하기 위한 제2경화보류레버(72)와, 구동수단인 단일 솔레노이드(6)와, 구동수단으로부터 경화보류레버(71, 72)로의 링크수단인 제1링크부재(81), 제2링크부재(82) 및 경화검지-링크부재(91)를 갖고 있다.
제1경화보류레버(71)는 특히 도3에서 알 수 있듯이 대략 ㅁ자 형상이며, 2개의 대략 원기둥모양의 하부돌기(71a)와 2개의 대략 원기둥모양의 상부돌기(71b)를 갖고 있다. 이 제1경화보류레버(71)는 제1경화선별통로(261)(도11 참조)의 하단부 뒤쪽에, 그 양측면에 설치된 축(71c)을 지점으로 하는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초기상태에 있어서는, 그 하부돌기(71a)가 제1경화선별통로(261)로 돌출되고, 그 상부돌기(71b)가 제1경화선별통로(261)로부터 퇴피되어 있다(제1경화보류레버의 보류위치). 또, 이 제1경화보류레버(71)는 링크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수동돌기(71d)를 갖고 있다. 이 수동돌기(71d)는 후술하는 제1링크부재(81)의 하단부 부근에 설치된 구멍(81a)과 계합되어 있다. 이 수동돌기(71d)가 제1링크부재(81)로부터 가해지는 상방향의 힘에 의해, 초기상태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면, 제1경화보류레버(71)가 축(71c)을 지점으로 회동하고, 그 하부돌기(71a)가 제1경화선별통로(261)로부터 퇴피되고, 그 상부돌기(71b)가 제1경화선별통로(261)로 돌출되게 된다(제1경화보류레버의 해방위치).
제2경화보류레버(72)도 제1경화보류레버(71)와 마찬가지로 대략 ㅁ자 형상이며, 2개의 대략 원기둥모양의 하부돌기(72a)와 1개의 대략 원기둥모양의 상부돌기(72b)를 갖고 있다. 이 제2경화보류레버(72)는 제2경화선별통로(262)(도11 참조)의 하단부 뒤쪽에, 그 양측면에 설치된 축(72c)을 지점으로 하는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초기상태에 있어서는, 그 하부돌기(72a)가 제2경화선별통로(262)로 돌출되고, 그 상부돌기(72b)가 제2경화선별통로(262)로부터 퇴피되어 있다(제2경화보류레버의 보류위치). 또, 이 제2경화보류레버(72)도 제1경화보류레버(71)와 마찬가지로 링크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수동돌기(72d)를 갖고 있다. 이 수동돌기(72d)는 후술하는 제2링크부재(82)의 하단부 부근에 설치된 구멍(82a)과 계합되어 있다. 이 수동돌기(72d)가 제2링크부재(82)로부터 가해지는 상방향의 힘에 의해, 초기상태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면, 제2경화보류레버(72)가 축(72c)을 지점으로 회동하고, 그 하부돌기(72a)가 제2경화선별통로(262)로부터 퇴피되고, 그 상부돌기(72b)가 제2경화선별통로(262)로 돌출되게 된다(제2경화보류레버의 해방위치).
구동수단인 솔레노이드(6)의 플런저(6a)는, 초기상태에 있어서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부세되어 있다(구동수단의 보류동작위치). 그리고, 솔레노이드(6)를 구동시키면 초기상태로부터 상방으로 끌어 올려진다(구동수단의 구동동작위치).
링크수단을 구성하는 제1링크부재(81)는 장척형이며, 그 중앙부 부근의 연결부(81c)에 솔레노이드(6)의 플런저(6a)가 고정되고, 그 하단부 부근에 설치된 구멍(81a)에 제1경화보류레버(71)의 수동돌기(71d)가 계합되고, 그 상단부 부근에 설치된 U자형 홈(81b)에 후술하는 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상단부 부근에 설치된 계합돌기(91b)가 해제 가능하게 계합된다. 제1링크부재(81)는 솔레노이드(6)의 플런저(6a)의 움직임에 맞추어 상하로 이동한다. 솔레노이드(6)가 구동하여 플런저(6a)가 초기상태(구동수단의 보류동작위치)로부터 상방으로 끌어 올려지면(구동수단의 구동동작위치), 이 플런저(6a)에 고정된 제1링크부재(81)도 그것에 맞추어 초기상태(제1링크부재의 보류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한다(제1링크부재의 해방위치). 그러면, 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제1링크부재(81)의 구멍(81a)에 계합되어 있는 제1경화보류레버(71)의 수동돌기(71d)도 초기상태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제1경화보류레버(71)가 축(71c)을 지점으로 회동하고, 그 하부돌기(71a)가 제1경화선별통로(261)로부터 퇴피되고, 그 상부돌기(71b)가 제1경화선별통로(261)로 돌출된다(제1경화보류레버의 해방위치). 또, 제1링크부재(81)의 U자형 홈(81b)과 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계합돌기(91b)가 계합된 경우에는, 제1링크부재(81)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맞추어, 경화검지-링크부재(91)도 초기상태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한다. 한편, 이 제1링크부재(81)의 U자형 홈(81b)과 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계합돌기(91b)와의 계합이 해제된 경우에는, 제1링크부재(81)의 동력이 경화검지-링크부재(91)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경화검지-링크부재(91)는 초기상태의 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링크수단을 구성하는 제2링크부재(82)는 장척형이며, 그 하단부 부근에 설치된 구멍(82a)에 제2경화보류레버(72)의 수동돌기(72d)가 계합되고, 그 상단부 부근에 설치된 구멍(82b)에 후술하는 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중앙부 부근에 설치된 축(91a)이 회동 가능하게 계합된다. 이 제2링크부재(82)는 그 상단부 부근의 구멍(82b)이 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축(91a)과 계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경화검지-링크부재(91)가 초기상태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면, 그것에 맞추어 제2링크부재(82)도 초기상태(제2링크부재의 보류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한다(제2링크부재의 해방위치). 그리고, 제2링크부재(82)가 초기상태(제2링크부재의 보류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면(제2링크부재의 해방위치), 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제2링크부재(82)의 하단부 부근의 구멍(82a)에 계합되어 있는 제2경화보류레버(72)의 수동돌기(72d)도 상방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제2경화보류레버(72)가 축(72c)을 지점으로 회동하고, 그 하부돌기(72a)가 제2경화선별통로(262)로부터 퇴피되고, 그 상부돌기(72b)가 제2경화선별통로(262)로 돌출되게 된다(제2경화보류레버의 해방위치).
링크수단을 구성하는 경화검지-링크부재(91)는 장척형이며, 그 중앙부 부근에 설치된 축(91a)이 제2링크부재(82)의 상단부 부근에 설치된 구멍(82b)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계합되고, 그 상단부 부근에 설치된 계합돌기(91b)가 제1링크부재(81)의 상단부 부근에 설치된 U자형 홈(81b)에 해제 가능하게 계합되어 있다. 그리고, 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하단부 부근에는 제1경화선별통로(261)에 설치된 구멍(261b)을 통해서, 제1경화선별통로(261)에 출몰이 자유로운 경화검지돌출부(91c)가 설치되어 있다. 또, 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축(91a)과 제2링크부재(82)의 상단부 부근의 구멍(82b)과의 사이에는 제1경화선별통로(261)에 일시보류된 경화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하단부 부근의 경화검지돌출부(91c)를 제1경화선별통로(261)에 돌출시키고, 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계합돌기(91b)를 제1링크부재(81)의 U자형 홈(81b)에 계합시키도록 부세하기 위한 스프링(91d)이 배설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경화선별통로(261)에 일시보류된 경화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계합돌기(91b)와 제1링크부재(81)의 U자형 홈(81b)이 계합된 상태가 된다(경화검지-링크부재의 계합위치). 제1경화선별통로(261)에 일시보류된 경화가 존재하는 상태에 있어서는, 그 경화검지돌출부(91c)는 일시보류된 경화에 밀려 제1경화선별통로(261)로부터 퇴피된 상태가 되고, 그 계합돌기(91b)는 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축(91a)을 지점으로 하는 회동의 결과, 제1링크부재(81)의 U자형 홈(81b)에서 벗어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제1경화선별통로(261)에 일시보류된 경화가 존재하는 상태에 있어서는, 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계합돌기(91b)와 제1링크부재(81)의 U자형 홈(81b)과의 계합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경화검지-링크부재의 비계합위치).
도4는 제1경화선별통로(261)에 경화가 일시보류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경화처리장치의 경화일시보류기구(5)의 제1경화선별통로(261)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며, (a)는 초기상태를 나타내고, (b)는 솔레노이드(6)를 구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5는 제1경화선별통로(261)에 경화가 일시보류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경화처리장치의 경화일시보류기구(5)를 경화처리장치의 뒤쪽에서 본 도면이며, (a)는 초기상태를 나타내고, (b)는 솔레노이드(6)를 구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6은 제1경화선별통로(261)에 경화가 일시보류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경화처리장치의 제1경화선별통로(261)의 정면도이다.
초기상태에 있어서, 제1경화보류레버(71)의 하부돌기(71a)에 의해 제1경화선별통로(261)에 경화가 일시보류되면, 도4(a), 도5(a)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경화검지돌출부(91c)가 제1경화선별통로(261)로부터 퇴피되고, 경화검지-링크부재(91)가 그 축(91a)을 지점으로 회동하고, 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계합돌기(91b)가 제1링크부재(81)의 U자형 홈(81b)에서 벗어난다(경화검지-링크부재의 비계합위치).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6)를 구동하면, 도4(b)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부재(81)가 초기상태(제1링크부재의 보류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고(제1링크부재의 해방위치), 제1경화보류레버(71)가 축(71c)을 지점으로 회동하고, 그 하부돌기(71a)가 제1경화선별통로(261)로부터 퇴피되고, 그 상부돌기(71b)가 제1경화선별통로(261)로 돌출된다(제1경화보류레버의 해방위치). 이로 인해 일시보류되어 있던 경화가 해방되어 낙하한다. 이 때 제1링크부재(81)의 U자형 홈(81b)과 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계합돌기(91b)와의 계합이 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제2링크부재(82)는 초기상태(제2링크부재의 보류위치)인 채로 움직이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제2경화보류레버(72)도 초기상태(제2경화보류레버의 보류위치)인 채로 움직이지 않는다.
또한, 제1링크부재(81)의 U자형 홈(81b)과 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계합돌기(91b)와의 계합이 해제되면, 제1링크부재(81)의 U자형 홈(81b)에서 벗어난 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계합돌기(91b)가 경화선별장치(2)에 설치된 U자형 홈(29)에 끼워지게 된다. 그 때문에 어떠한 의도하지 않은 힘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더라도 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계합돌기(91b)가 경화선별장치(2)에 설치된 U자형 홈(29)에 걸리고, 경화검지-링크부재(91)가 그것보다 상방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 경화검지-링크부재(91)와 계합되어 있는 제2링크부재(82)도 초기상태(제2링크부재의 보류위치)로부터 이동하지 않게 되어 있으며, 이 제2링크부재(82)와 계합되어 있는 제2경화보류레버(72)도 초기상태(제2경화보류레버의 보류위치)인 채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있다.
도7은 제1경화선별통로(261)에 경화가 일시보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경화처리장치의 경화일시보류기구(5)의 제1경화선별통로(261)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며, (a)는 초기상태를 나타내고, (b)는 솔레노이드(6)를 구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8은 제1경화선별통로(261)에 경화가 일시보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경화처리장치의 경화일시보류기구(5)를 경화처리장치의 뒤쪽에서 본 도면이며, (a)는 초기상태를 나타내고, (b)는 솔레노이드(6)를 구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초기상태에 있어서 제1경화선별통로(261)에 경화가 일시보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7(a) 및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경화검지돌출부(91c)가 제1경화선별통로(261)로 돌출되고, 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계합돌기(91b)가 제1링크부재(81)의 U자형 홈(81b)에 계합되어 있다(경화검지-링크부재의 계합위치).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6)를 구동하면, 도7(b) 및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부재(81)가 초기상태(제1링크부재의 보류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고(제1링크부재의 해방위치), 제1경화보류레버(71)가 축(71c)을 지점으로 회동하고, 그 하부돌기(71a)가 제1경화선별통로(261)로부터 퇴피되고, 그 상부돌기(71b)가 제1경화선별통로(261)로 돌출된다(제1경화보류레버의 해방위치). 이 때 제1링크부재(81)에 당겨져 경화검지-링크부재(91)도 초기상태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경화검지-링크부재(91)와 계합하는 제2링크부재(82)도 초기상태(제2링크부재의 보류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한다(제2링크부재의 해방위치). 그 때문에 제2경화보류레버(72)도 축(72c)을 지점으로 회동하고, 그 하부돌기(72a)가 제2경화선별통로(262)로부터 퇴피되고, 그 상부돌기(72b)가 제2경화선별통로(262)로 돌출된다(제2경화보류레버의 해방위치). 이로 인해 제2경화보류레버(72)의 하부돌기(72a)에 의해 제2경화선별통로(262)에 경화가 일시보류되어 있던 경우, 그 일시보류되어 있던 경화가 해방되어 낙하한다.
본 실시형태인 경화처리장치에 의하면, 단일 솔레노이드(6)로 제1경화보류레버(71)와 제2경화보류레버(72) 2개의 경화보류레버를 구동할 수 있으며, 그 제조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경화처리장치에 의하면, 경화선별통로의 하단부 부근에서 경화를 일시보류하기 때문에 단일 솔레노이드로 2개의 경화보류레버를 구동하도록 해도 일시보류되는 경화의 개수가 적어지지 않는다. 또, 이 경화처리장치에 의하면, 제1경화선별통로(261)에 일시보류된 경화가 모두 해방된 후에 제2경화선별통로(262)에 일시보류된 경화를 해방하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경화가 번갈아 해방되는 일이 없어 경화일시보류기구의 하류에 있는 경화분배레버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 실시형태의 하나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경화처리장치는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수단은 솔레노이드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동작부가 보류동작위치와 구동동작위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면, 구동수단으로서 모터를 사용하고, 기어기구에 의해 제1링크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과 같은 것일 수 있다.
경화보류레버는 경화선별통로로 안내된 경화를 소정의 위치에 보류하는 보류위치와 그 보류한 경화를 해방하는 해방위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제1링크수단은 구동수단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보류위치와 해방위치를 취하고, 그것에 따라 제1경화보류레버를 보류위치와 해방위치로 전환하는 것이면 된다. 또, 제2링크수단도 보류위치와 해방위치를 취하고, 그것에 따라 제2보류레버를 보류위치와 해방위치로 전환하는 것이면 된다.
경화검지-링크부재는 제1경화선별통로에 경화가 일시보류되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기능을 갖고, 그 검지 결과에 따라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에 계합하는 계합위치와,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의 적어도 한 쪽과의 계합이 해제된 비계합위치를 취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보류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계합위치를 취함으로써, 제1링크부재가 보류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2링크부재도 보류위치를 취하도록 하고, 제1링크부재가 해방위치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제2링크부재도 해방위치로 전환되도록 하고, 보류가 검지된 경우에는 그 비계합위치를 취함으로써, 제1링크부재의 위치와 관계없이 제2링크부재가 보류위치를 취하도록 하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경화검지-링크부재는 제2링크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계합되고, 제1링크부재와 해제 가능하게 계합된 것이지만, 그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경화검지-링크부재는 제1링크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계합되고, 제2링크부재와 해제 가능하게 계합되도록 한 것일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경화검지-링크부재는 제2링크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계합한 것이지만, 이것과는 달리 경화검지-링크부재는 제2링크부재와 경화검지돌출부가 퇴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된 것으로 하고, 경화검지-링크부재가 슬라이드함으로써, 경화검지-링크부재와 제1링크부재와의 계합이 해제되도록 한 것일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경화처리장치가 구비하는 경화일시보류기구의 개략도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인 경화처리장치는 2개의 경화보류레버를 구비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경화처리장치는 경화보류레버가 2개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3개 이상의 경화보류레버를 구비하고, 3종류 이상의 경화를 일시보류하는 것과 같은 것일 수 있다. 도9에서도 이해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경화처리장치가 구비하는 경화일시보류기구는 경화보류레버, 링크부재 및 경화검지-링크부재를 한 조씩 추가함으로써, 용이하게 3개 이상의 경화보류레버를 구비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9는 단일 구동수단(6)에 의해 4개의 경화보류레버(71∼74)를 구동하는 경화일시보류기구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2개의 경화보류레버를 구비한 것에 제2경화검지-링크부재(92), 제3링크부재(83), 제3경화보류레버(73), 제3경화검지-링크부재(93), 제4링크부재(84) 및 제4경화보류레버(74)를 추가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화처리장치가 구비하는 경화일시보류기구에서는 3개 이상의 경화보류레버를 단일 구동수단으로 구동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1: 경화처리장치
2: 경화선별장치
21: 투입구
22: 경화판별통로
23: 경화판정수단
24: 정위화분배레버
25: 금종분배레버
261: 제1경화선별통로(A경화선별통로)
261a: 구멍(제1경화보류레버(71)의 하부돌기(71a) 및 상부돌기(71b)가 돌출·퇴피됨)
261b: 구멍(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경화검지돌출부(91c)가 돌출·퇴피됨)
262: 제2경화선별통로(C경화선별통로)
281: 경화분배레버
282: 경화분배레버
29: U자형 홈
3: 경화수납장치
4: 경화불출장치
5: 경화일시보류기구
6: 솔레노이드
6a: 솔레노이드의 플런저
71: 제1경화보류레버
71a: 하부돌기
71b: 상부돌기
71c: 축
71d: 수동돌기
72: 제2경화보류레버
72a: 하부돌기
72b: 상부돌기
72c: 축
72d: 수동돌기
81: 제1링크부재
81a: 구멍(제1경화보류레버(71)의 수동돌기(71d)와 계합됨)
81b: U자형 홈
81c: 연결부
82: 제2링크부재
82a: 구멍(제2경화보류레버(72)의 수동돌기(72d)와 계합됨)
82b: 구멍(경화검지-링크부재(91)의 축(91a)과 계합됨)
91: 경화검지-링크부재
91a: 축
91b: 계합돌기
91c: 경화검지돌출부
91d: 스프링

Claims (3)

  1. 경화처리장치로서,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기구가,
    단일 구동수단과,
    제1경화선별통로로 안내된 제1경화를 소정의 위치에 보류하는 보류위치와 상기 제1경화를 해방하는 해방위치를 취할 수 있는 제1경화보류레버와,
    제2경화선별통로로 안내된 제2경화를 소정의 위치에 보류하는 보류위치와 상기 제2경화를 해방하는 해방위치를 취할 수 있는 제2경화보류레버와,
    상기 제1경화가 상기 제1경화선별통로에 보류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기능을 갖는 링크수단으로서, 보류가 검지되었을 때에는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제2경화보류레버를 구동하는 일이 없이 상기 제1경화보류레버만을 구동하도록 상기 제1경화보류레버를 보류위치로부터 해방위치로 전환하고, 보류가 검지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제2경화보류레버를 구동하도록 상기 제2경화보류레버를 보류위치로부터 해방위치로 전환하는 링크수단
    을 구비하는 경화처리장치.
  2. 경화처리장치로서,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기구가,
    동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동작부를 보류동작위치와 구동동작위치로 전환 가능한 단일 구동수단과,
    제1경화선별통로로 안내된 제1경화를 소정의 위치에 보류하는 보류위치와 상기 제1경화를 해방하는 해방위치를 취할 수 있는 제1경화보류레버와,
    제2경화선별통로로 안내된 제2경화를 소정의 위치에 보류하는 보류위치와 상기 제2경화를 해방하는 해방위치를 취할 수 있는 제2경화보류레버와,
    상기 구동수단의 상기 동작부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동작부가 상기 보류동작위치를 취할 때에 보류위치를 취하고, 상기 동작부가 상기 구동동작위치를 취할 때에 해방위치를 취하는 제1링크부재와,
    보류위치와 해방위치를 취할 수 있는 제2링크부재와,
    상기 제1경화가 상기 제1경화선별통로에 보류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기능을 갖고, 그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재 및 상기 제2링크부재에 계합되는 계합위치와 상기 제1링크부재 및 상기 제2링크부재의 적어도 한 쪽과의 계합이 해제된 비계합위치를 취할 수 있는 경화검지-링크부재로서, 보류가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계합위치를 취함으로써, 상기 제1링크부재가 보류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2링크부재도 보류위치를 취하도록 하고, 상기 제1링크부재가 해방위치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2링크부재도 해방위치로 전환되도록 하고, 보류가 검지된 경우에는 상기 비계합위치를 취함으로써, 상기 제1링크부재의 위치와 관계없이 상기 제2링크부재가 보류위치를 취하도록 하는 경화검지-링크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제1경화보류레버는 상기 제1링크부재에 대해서 계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링크부재가 보류위치에 있을 때에는 보류위치를 취하고, 상기 제1링크부재가 해방위치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링크부재에 의해 해방위치로 전환되고,
    상기 제2경화보류레버는 상기 제2링크부재에 대해서 계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링크부재가 보류위치에 있을 때에는 보류위치를 취하고, 상기 제2링크부재가 해방위치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2링크부재에 의해 해방위치로 전환되는 경화처리장치.
  3. 청구항2에 있어서,
    경화검지-링크부재는,
    상기 제2링크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계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1링크부재에 설치된 U자형 홈과 해제 가능하게 계합되는 계합돌기와,
    상기 제1경화가 상기 제1경화선별통로에 보류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제1경화에 의해 상기 제1경화선별통로로부터 퇴피되고, 상기 제1경화가 상기 제1경화선별통로에 보류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1경화선별통로로 돌출되는 경화검지돌출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경화가 상기 제1경화선별통로에 보류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경화검지-링크부재의 상기 계합돌기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상기 U자형 홈이 계합되고,
    상기 제1경화가 상기 제1경화선별통로에 보류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경화검지돌출부가 상기 제1경화선별통로로부터 퇴피됨으로써, 상기 경화검지-링크부재가 상기 제1링크부재에 대해서 회동하고, 그로 인해 상기 경화검지-링크부재의 상기 계합돌기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상기 U자형 홈과의 계합이 해제되는 경화처리장치.
KR1020127032382A 2010-07-27 2010-12-20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구비한 경화처리장치 KR201301150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68369 2010-07-27
JP2010168369A JP5259654B2 (ja) 2010-07-27 2010-07-27 硬貨一時保留機構を備えた硬貨処理装置
PCT/JP2010/072853 WO2012014341A1 (ja) 2010-07-27 2010-12-20 硬貨一時保留機構を備えた硬貨処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092A true KR20130115092A (ko) 2013-10-21

Family

ID=4552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382A KR20130115092A (ko) 2010-07-27 2010-12-20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구비한 경화처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96100B2 (ko)
JP (1) JP5259654B2 (ko)
KR (1) KR20130115092A (ko)
CN (1) CN102959591B (ko)
CA (1) CA2802178A1 (ko)
WO (1) WO20120143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3274B2 (en) 2013-09-18 2017-07-18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JP6203603B2 (ja) * 2013-11-06 2017-09-27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払出装置
JP2018198010A (ja) * 2017-05-24 2018-12-13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分岐装置および硬貨処理装置
CN110956740A (zh) * 2019-11-28 2020-04-03 深圳市优必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硬币检测装置、硬币检测方法及硬币检测机器人
US11531405B2 (en) * 2021-05-19 2022-12-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xis retention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26013D0 (en) * 1986-10-30 1986-12-03 Plessey Co Plc Coin handling system
WO2002001510A2 (en) * 2000-06-28 2002-01-03 Qvex, Inc. Coin escrow and changer apparatus
JP4762413B2 (ja) * 2000-12-20 2011-08-31 マミヤ・オーピー株式会社 パチンコ玉貸出し機の硬貨選別装置
JP2003296787A (ja) * 2002-03-29 2003-10-17 Nippon Conlux Co Ltd 硬貨選別装置
JP5261655B2 (ja) * 2008-02-14 2013-08-14 旭精工株式会社 価値媒体処理装置
JP2009238184A (ja) * 2008-03-28 2009-10-15 Nippon Conlux Co Ltd 硬貨エスク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02178A1 (en) 2012-02-02
US20130090048A1 (en) 2013-04-11
WO2012014341A1 (ja) 2012-02-02
JP5259654B2 (ja) 2013-08-07
JP2012027847A (ja) 2012-02-09
CN102959591B (zh) 2015-05-27
CN102959591A (zh) 2013-03-06
US8496100B2 (en) 2013-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5349B2 (en) 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KR20130115092A (ko) 경화일시보류기구를 구비한 경화처리장치
JP6182787B2 (ja) 複数硬貨払出装置
JP2015138510A5 (ko)
KR102138791B1 (ko) 경화 불출 장치
KR100416195B1 (ko) 경화 선별 장치
JP6203603B2 (ja) 硬貨払出装置
JP2012043044A (ja) 硬貨処理装置
US6176773B1 (en) Coin dispenser
CN102074070A (zh) 硬币暂时贮留机构
JP5556390B2 (ja) 紙幣処理装置
CN105917391A (zh) 纸币处理装置
WO2016104254A1 (ja) 硬貨払出装置
JP2934981B2 (ja) 硬貨選別装置
JP5754237B2 (ja) 硬貨入出金機
JP5176122B2 (ja) 硬貨払出装置
JP3172349B2 (ja) 硬貨払い出し装置
JP5466036B2 (ja) 硬貨処理装置
JP5217798B2 (ja) 硬貨入出金装置
JP4121118B2 (ja) 硬貨選別装置
JP3866578B2 (ja) 棒金払出装置
JP2015210738A (ja) 硬貨振分装置及びそれをを備えた硬貨選別装置
JP2004256251A (ja) 紙幣収納装置および紙幣入出金機
EP1103930A2 (en) Adaptable hand operated device for selecting coins
JP2016071793A (ja) 硬貨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