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574A - 하이드록시 말단을 지니는 오가노실리콘 글리콜-기반 전해질 - Google Patents

하이드록시 말단을 지니는 오가노실리콘 글리콜-기반 전해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574A
KR20130114574A KR1020127031357A KR20127031357A KR20130114574A KR 20130114574 A KR20130114574 A KR 20130114574A KR 1020127031357 A KR1020127031357 A KR 1020127031357A KR 20127031357 A KR20127031357 A KR 20127031357A KR 20130114574 A KR20130114574 A KR 20130114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less
och
water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씨. 웨스트
조세 에이. 페나 휘소
Original Assignee
위스콘신 얼럼나이 리서어치 화운데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스콘신 얼럼나이 리서어치 화운데이션 filed Critical 위스콘신 얼럼나이 리서어치 화운데이션
Publication of KR20130114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57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0803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 C07F7/0825Preparations of compounds not comprising Si-Si or Si-cyano linkages
    • C07F7/083Syntheses without formation of a Si-C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22Electrolytes; Absorbents
    • H01G9/035Liquid electrolytes, e.g. impregn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6/16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14Alkaline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6/16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 H01M6/162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 H01M6/16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by the solv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올리고에틸렌 옥사이드 치환기를 지니는 하이드록시 말단된 알킬실란 에테르가 본원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전해질 용매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수성 환경의 전해질 커패시터에서의 사용에 특히 잘 맞는다. 이러한 화합물들을 합성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본원에 개시된다.

Description

하이드록시 말단을 지니는 오가노실리콘 글리콜-기반 전해질{ORGANOSILICON GLYCOL-BASED ELECTROLYTES WITH A HYDROXY TERMINUS}
관련 기술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0년 4월 30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 일련 번호 제12/770,183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연방 후원 연구/개발
본 발명은 NSF 0724469 위원회에 의해 허여된 미국 정부의 지원으로 만들어졌다. 미국은 본 발명에 특정 권리가 있다.
본 발명은 전해질 커패시터(electrolytic capacitor) 및 임의의 다른 에너지 저장 장치와 관련되어 유용한 이온성 전해질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수성 전해질 커패시터 환경에 특히 유용한 하이드록시 말단된 오가노실리콘 전해질에 관한 것이다.
과거 10년에 걸쳐서 본 발명자들의 실험실에서는 에너지 저장 용도를 위한 오가노실리콘 기반 전해질이 개발되고 있다. 다양한 이러한 유기 규소 화합물은 낮은 증기압과 높은 인화점을 지니고, 높은 동작 전압에 견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자들은 종래에 몇몇 알킬 말단된 트리메틸실릴 올리고에틸렌 글리콜 에테르의 합성을 개시하였다[문헌: L. Zhang et al ., Highly Conductive Trimethylsilyl Oligo(ethylene oxide) Electrolytes For Energy Storage Applications, 18 J. Mater. Chem. 3713-3717 (2008)]. 이러한 물질은 리튬-이온 전지에서 전해질 용매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높은 이온 전도성, 양호한 전기화학적 안정성, 및 양호한 사이클링 성능을 지녔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은 몇몇 조건 하에서 가수분해되기 쉬웠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07/0065728호에 분자의 트리메틸실릴 기와 잔기 사이에 그러한 알킬 말단된 화합물의 알킬 스페이서를 위치시키는 개념을 개시하였다. 이는 분자가 가수분해에 저항하는 것을 도와주었다. 그러나, 화합물은 여전히 특정 환경에서 요망되는 성능을 달성하지 못했다.
한 가지 원인은 다양한 전해질 커패시터가 알루미늄 결함을 복구하기 위해 물을 사용한다는 점이다[참조예: 일반적으로, 미국 특허 제6,058,006호의 전해질 커패시터에 대한 설명]. 통상적인 알루미늄 전해질 커패시터에는 종종 감마-부틸로락톤,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암모늄 아젤레이트와 물의 전해질 혼합물이 사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커패시터에서 본원의 알킬 말단된 오가노실리콘 화합물의 이점을 달성하기 위해서 감마-부티로락톤 및 디에틸렌 글리콜을 이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알킬 말단된 오가노실리콘 전해질은 전형적으로 이러한 환경에서 성능에 문제가 있었다.
논문[U. Yoon et al ., Efficient And Regioselective Photocyclization Reactions Of N-[(ω-Trimethylsilylmethoxy)Polyoxalkyl]Phthalimides To Azacrown Ethers, 41 Heterocycles 2665-2682 (1995)]에서 발명자들은 아자크라운 에테르의 생성에서 중간체로서 Me3Si-CH2OCH2CH2OCH2CH2 OCH2CH2-OH, Me3Si-CH2OCH2CH2OCH2CH2-OH 및 Me3Si-CH2OCH2CH2OCH2CH2OCH2CH2-OH (및 다양한 관련 화합물)의 합성을 개시하였다. 이러한 합성은 비교적 고가인 Me3Si-CH2I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 외에, 이러한 중간체를 전해질로서 사용하는 것은 상기 발명자들의 논문에 제안되지 않았다.
따라서, 에너지 저장 장치를 위한 오가노실리콘 전해질에 대한 추가 개선, 특히 물 환경과의 양립가능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한 가지 양태에서, 본 발명은,
염; 및
하기 화학식을 지니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상기 화합물에서, R1,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5개 미만의 탄소 원자의 알킬 부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R1, R2 및 R3은 CH3이다. 어떠한 경우, m 및 n 둘 모두는 10 미만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m 및 n 둘 모두는 5 미만이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n은 2, 3, 또는 4이다.
그러한 전해질 커패시터에 사용하기 위한 한 가지 바람직한 염은 트리에틸암모늄 아젤레이트, 예를 들어, 전해질의 2% 미만으로, 그러한 염이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그러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 유용한 그 밖의 통상적인 염이 포함될 수 있다[참조예 그러한 커패시터에 유용한 다양한 염에 대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10/0053847호]. 다양한 리튬 기반 염이 또한 다양한 오가노실리콘 전해질과 양립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해질은 다수 그러한 화합물의 혼합물로 생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이러한 화합물 중 하나는 다른 물질(예, 에틸렌 글리콜; 디트리메틸 실란 말단된 화합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해질은 물에 노출되거나/물과 혼합되는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전해질 커패시터는 전형적으로 몇 퍼센트의 물을 전해질 용액에 첨가하여 알루미늄 물질을 복구하는 것을 돕는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그러한 전해질을 지니는 에너지 저장 장치(예, 전해질 커패시터)를 제공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을 지니는 하이드록시 말단된 오가노실리콘 화합물을 생성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2
상기 화합물에서, m 및 n 둘 모두는 10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둘 모두는 5 미만이다. 이들을 생성시키기 위해서, HO(CH2CH2O)r-OH을 나트륨 양이온과 반응시킨 후, 생성물을 Me3Si(CH2)qCl 및 아이오다이드 음이온과 반응시킨다. 여기서, q 및 r 둘 모두는 10 미만이다.
본 발명은 전해질이 물을 함유하거나 전해질이 물에 노출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예, 특히 알루미늄 전해질 커패시터)에 매우 유용한 전해질을 제공함이 인식될 것이다. 이러한 전해질은 가수분해에 저항하고, 비교적 높은 전압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인화성 문제를 감소시킨다. n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화합물의 인화점이 또한 증가함을 유념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화합물을 합성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의 합성에서 사용되는 출발 물질인 Me3Si(CH2)I는 바람직하지 않게 고가이다. 이의 사용은 화합물을 Me3Si(CH2)Cl 및 촉매량의 아이오다이드 음이온으로 대체하고, 농도 및 반응 조건을 조절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부산물을 최소화시킴으로써 피해왔다.
본 발명의 상기 이점 및 또 다른 이점은 후술되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하기 설명은 단지 바람직한 구체예임을 인지해야 한다. 따라서, 청구된 본 발명의 더욱 포괄적인 성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특허청구범위를 숙지해야 한다.
먼저, 하기 화학식을 지니는 하이드록시 말단된 오가노실리콘 화합물을 생성시키기 위한 개선된 합성법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이하에 기술된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1 - 75%의 Me3Si-CH2OCH2CH2OCH2CH2-OH와 약 20%의 HO-CH2CH2OCH2CH2OH, 및 약 5%의 Me3Si-CH2OCH2CH2OCH2CH2OCH2CH2-SiMe3의 혼합물
700mL의 디에틸렌글리콜을 38g의 분말화된 NaOH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진공 하에 8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에서 생성된 대부분의 물을 제거하였다. 이후, NaOH를 근본적으로 완전히 용해시켰고, 액체는 더 이상 비등하지 않았다.
이후, 온도를 70℃로 저하시키고, 21g의 NaI를 첨가하였다. 20몰당량% 초과로 NaI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은 부산물 및 비용을 매우 증가시킬 수 있어서,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소듐 아이오다이드 수준을 저하시키는 것을 선택하였음을 주의해야한다.
이 때, 진공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았고, 혼합물을 모든 NaI가 용해될 때까지(약 30분) 교반하였다. 이후, 116g의 클로로메틸트리메틸실란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70℃에서 3시간, 그리고 8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200mL의 물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헥산으로 추출하고(4×300mL), 헥산을 회전증발기에서 증발시키고, 화합물을 증류하였다. 이로써 75/20/5 혼합물이 160g의 초기 수율로 생성되었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중간체 혼합물은 전해질로서 상당한 유용성을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2 - Me3Si-CH2OCH2CH2OCH2CH2-OH
더 높은 순도의 실시예 2 생성물을 얻기 위해서, 실시예 1 혼합물을 500mL의 물과 1.5L의 메탄올 중에 용해시키고, 비극성 불순물을 헥산으로 추출하였다(2×75mL). 이후,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여 화합물을 1.5L의 헥산 중에 용해시키고, 물로 추출하였다(2×100mL). 이후, 용매를 증발시켰다. 수율 115mL, 순도 98%.
실시예 3 - Me3Si-CH2OCH2CH2OCH2CH2OCH2CH2-OH
700mL의 트리에틸렌글리콜을 45g의 분말화된 NaOH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진공 하에 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에서 생성된 대부분의 물을 제거하였다. 이후, NaOH를 완전히 용해시켜야 하고, 액체는 더 이상 비등하지 않았다.
이후, 온도를 70℃로 저하시키고, 24g의 NaI를 첨가하였다. 진공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았고, 혼합물을 모든 NaI가 용해될 때까지(약 30분) 교반하였다. 이후, 135g의 클로로메틸트리메틸실란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70℃에서 3시간, 그리고 8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70mL의 물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헥산으로 추출하였다(3×300mL).
용매의 절반을 회전증발기에서 증발시키고, 50mL의 물을 첨가하여 극성 불순물을 추출하였다. 잔여의 헥산을 증발시킨 후, 실시예 3 화합물을 증류하였다. 수율 180g, 순도 95%.
실시예 4 - Me3Si-CH2OCH2CH2OCH2CH2OCH2CH2OCH2CH2-OH
400mL의 테트라에틸렌글리콜을 18.5g의 분말화된 NaOH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진공 하에 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에서 생성된 대부분의 물을 제거하였다. 이 후, NaOH를 완전히 용해시켜야 하고, 액체는 더 이상 비등하지 않았다. 온도를 70℃로 저하시키고, 10.5g의 NaI를 첨가하였다.
진공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았고, 혼합물을 모든 NaI가 용해될 때까지(약 30분) 교반하였다. 이후, 56.4g의 클로로메틸트리메틸실란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70℃에서 3시간, 그리고 8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50mL의 물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헥산으로 추출하였다(3×200mL). 용매를 회전증발기에서 증발시키고, 화합물을 증류하였다. 이후, 50mL의 물을 첨가하고, 10mL의 헥산으로 비극성 불순물을 추출하였다. 회전증발기에서 물을 증발시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수율 80g.
본 발명자들은 통상적인 전해질 염, 바람직하게는 2% 미만으로 그러한 전해질 염을 첨가하고, 에너지 저장 장치, 예컨대, 알루미늄 전해질 커패시터에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전해질(또는 전해질 혼합물)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에 더하여, 전해질은 또한 이에 혼합된 다양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 및/또는 디트리메틸 실란 말단된 전해질을 지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전해질은 알루미늄 전해질 커패시터에서 시험되었다. 본 발명의 전해질은 가수분해에 저항하고, 수성 환경과 양립가능한 동시에, 여전히 알킬 말단된 대응물로부터 예상되는 그 밖의 바람직한 특성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여러 구체예가 상기에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단지 상기 기재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 및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변형예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m 및 n은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예시되는 것보다 더 큰 수를 지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든 범위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특허청구범위를 숙지해야 한다.
산업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개선된 전해질, 특히 수성 전해질 커패시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전해질을 제공한다. 이를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이 또한 기재된다.

Claims (11)

  1. 염; 및 하기 화학식을 지니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Figure pct00004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5개 미만의 탄소의 알킬 부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m 및 n 둘 모두는 10 미만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R1, R2 및 R3이 CH3인 전해질.
  3. 제 1항에 있어서, m이 5 미만인 전해질.
  4. 제 1항에 있어서, n이 2 또는 3 또는 4인 전해질.
  5. 제 1항에 있어서, 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해질.
  6. 제 1항에 있어서, 에틸렌 글리콜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해질.
  7. 제 1항에 있어서, 디트리메틸 실란 말단된 전해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해질.
  8. 제 1항에 있어서, 에너지 저장 장치에 위치되는 전해질.
  9. 제 8항에 있어서, 에너지 저장 장치가 알루미늄 전해질 커패시터(electrolytic capacitor)인 전해질.
  10. HO(CH2CH2O)r-OH를 나트륨 양이온과 반응시키고;
    이후, 생성물을 Me3Si(CH2)qCl 및 아이오다이드 음이온과 반응시킴(여기서, q 및 r 둘 모두는 10 미만임)을 포함하여, 하기 화학식을 지니는 화합물을 생성시키는 방법:
    Figure pct00005

    상기 식에서,
    m 및 n 둘 모두는 10 미만이다.
  11. 제 10항에 있어서, 반응 동안 아이오다이드 음이온이 Me3Si(CH2)qCl 몰농도의 20% 이하로 존재하는 방법.
KR1020127031357A 2010-04-30 2011-03-30 하이드록시 말단을 지니는 오가노실리콘 글리콜-기반 전해질 KR201301145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70,813 US8318037B2 (en) 2010-04-30 2010-04-30 Organosilicon glycol-based electrolytes with a hydroxy terminus
US12/770,813 2010-04-30
PCT/US2011/030415 WO2011136890A1 (en) 2010-04-30 2011-03-30 Organosilicon glycol-based electrolytes with a hydroxy termin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574A true KR20130114574A (ko) 2013-10-17

Family

ID=4407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357A KR20130114574A (ko) 2010-04-30 2011-03-30 하이드록시 말단을 지니는 오가노실리콘 글리콜-기반 전해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18037B2 (ko)
JP (1) JP2013526055A (ko)
KR (1) KR20130114574A (ko)
WO (1) WO20111368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37850B (zh) 2013-06-04 2018-09-14 塞勒创尼克斯公司 腈-取代的硅烷和电解质组合物和包含它们的电化学装置
CN103413972B (zh) * 2013-08-23 2016-03-30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含低聚乙二醇链的烷氧基硅烷电解质材料及其在锂电池碳酸丙烯酯基电解液中的应用
JP6194721B2 (ja) * 2013-09-26 2017-09-13 日油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用電解液
US10913921B2 (en) * 2014-06-18 2021-02-09 HEX Performance, LLC Performance gear, textile technology, and cleaning and protecting systems and methods
CN106795183A (zh) 2014-08-27 2017-05-31 阿科玛股份有限公司 氟硅腈化合物
US20170275307A1 (en) 2014-08-27 2017-09-28 Arkema Inc. Preparation of fluorosilicon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2496B2 (ja) * 1987-09-28 1996-08-07 日本ケミコン 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電解コンデンサ駆動用の電解液
DE4320920C1 (de) * 1993-06-24 1994-06-16 Goldschmidt Ag Th Silane mit hydrophilen Gruppen,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 Tenside in wäßrigen Medien
JP3150880B2 (ja) 1995-07-13 2001-03-2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グリコールエーテル基を有する有機けい素化合物の製造方法
KR100577618B1 (ko) 1997-10-03 2006-11-30 닛폰케미콘가부시키가이샤 전해캐패시터
US6858351B2 (en) 2001-11-07 2005-02-22 Daiso Co., Ltd. Polyethylene oxide-based electrolyte containing silicon compound
US20050106470A1 (en) * 2003-01-22 2005-05-19 Yoon Sang Y. Battery having electrolyte including one or more additives
US20070065728A1 (en) 2003-03-20 2007-03-22 Zhengcheng Zhang Battery having electrolyte with mixed solvent
US7466539B2 (en) 2005-09-30 2008-12-16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Electrochemical double-layer capacitor using organosilicon electrolytes
JP4984022B2 (ja) 2005-10-28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
JP2007158203A (ja) 2005-12-08 2007-06-21 Nichicon Corp 電解コンデンサ
US7679884B2 (en) * 2008-07-29 2010-03-16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Organosilicon phosphorus-based electroly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18037B2 (en) 2012-11-27
JP2013526055A (ja) 2013-06-20
US20110266490A1 (en) 2011-11-03
WO2011136890A1 (en) 201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4574A (ko) 하이드록시 말단을 지니는 오가노실리콘 글리콜-기반 전해질
JP6902249B2 (ja) イオン液体を含む電解液を有する電気化学セル
JP2005139100A (ja) 常温溶融塩
WO2017090346A1 (ja) ケイ素含有スルホン酸塩
JP2004331521A (ja) イオン性液体
JP4939836B2 (ja) イオン性化合物
JP7210006B2 (ja) 導電性混合液晶組成物
JP4239531B2 (ja) イオン性化合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電解質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
JP2005225843A (ja) アルコキシアルキル基含有4級アンモニウム塩の製造方法
KR20200137147A (ko) 리튬 이미다졸레이트염의 제조방법 및 그를 위한 중간체
CA2888325C (en) Ionic liquid
JPWO2019221267A1 (ja) 液晶性化合物、イオン伝導体、電解質フィルム及び二次電池
JP5738852B2 (ja) 電解質として有用な液晶特性を持つ新規のイミダゾリウム塩
JP2014091678A (ja) イオン液体
KR101162713B1 (ko) 고순도 이온성액체의 제조방법
JP4784177B2 (ja) カーボネート化合物
JP2004262896A (ja) 4級アンモニウム系常温溶融塩及び該化合物の製造法
JP5318479B2 (ja) 発光性イオン液体
JP2013047217A (ja) イオン液体
JP2004175668A (ja) オニウム塩
TWI438183B (zh) Compounds
JP5029353B2 (ja) 四フッ化ホウ素塩の製造方法、該方法により得られる四フッ化ホウ素塩、これを用いる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電解液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200889A (ja) イオン液体の製造方法及びイオン液体製造のための中間体の製造方法
JP4268435B2 (ja) 分子中にoh基を有する化合物からなる不純物の除去方法
JP2008162977A (ja) イオン性化合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