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210A - 차량용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210A
KR20130110210A KR1020137019678A KR20137019678A KR20130110210A KR 20130110210 A KR20130110210 A KR 20130110210A KR 1020137019678 A KR1020137019678 A KR 1020137019678A KR 20137019678 A KR20137019678 A KR 20137019678A KR 20130110210 A KR20130110210 A KR 20130110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e control
vehicle
control signal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3158B1 (ko
Inventor
신지 이치카와
나오미 오카무라
사토시 다나카
아츠히사 안도
히로유키 오카다
히로시 스즈키
요시노리 아이카와
소오고 이나모리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닛또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닛또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0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2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charging parameters, e.g. current, voltage or electric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4Optimising energy costs, e.g. responding to electricity 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7Controlling two or more charg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Circuit 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and dc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6Charger exchanging data with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 케이블을 통해서 충전 제어 회로를 탑재하고 있는 차량으로의 충전을 행하는 차량용 충전 장치이며,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에 대하여 충전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차량으로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 디바이스와,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송신을 제한하는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와, 충전 제어 신호의 송신 제한이 해제되었을 때, 충전 제어 신호를 강제적 리셋하는 리셋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충전 장치 {RECHARG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나 전기 자동차 등의 차량 탑재 전지를 구비한 차량 중, 모드 3의 충전 시스템에 대응한 차량에 대하여 충전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차량용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후 급속한 보급이 예상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나 전기 자동차 등의 충전 시스템에 대해서는, 미국의 SAE(소사이어티·오브·오토모티브·엔지니어즈)와 일본의 JEVA(현 JARI 일본 자동차 연구소)가 표준 시스템을 정하고 있다. 이 표준 시스템 중에도 복수의 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예를 들어 지상측의 설비로서 충전 케이블과 누전 차단 수단만이 요구되는 모드(모드 1)나, 지상측의 설비로서 또한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에 대하여 충전 제어 신호(CPLT)를 보내는 충전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 수단이 요구되는 모드(모드 3)가 있다. 이들 표준 시스템의 내용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1의 배경기술의 란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모드 중 모드 3를 채용한 차량의 경우에는,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에 의해 충전 케이블의 접속 상황이나 차량 탑재 전지의 충전 상태 등이 체크된 다음 충전이 개시된다.
도 4에는, 모드 3의 차량(30)에 대응하는 차량용 충전 장치(20)에 있어서의 충전 개시 제어에 관한 회로도를 도시하고, 도 5에는 충전 상황마다 도 4의 A점의 전위(충전 제어 신호)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회로도에 있어서, 모드 3의 차량(30)에 충전 케이블(1)을 미접속한 상태에서는, 차량용 충전 장치(20)의 A점의 전위(충전 제어 신호)가 12V가 되도록 해 둔다.
충전 케이블(1)은 충전 전로를 구성하는 전원선(1a)과, 충전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정보선(1b)과, 접지선(1c)으로 구성된다. 충전 케이블(1)을 차량(30)에 접속하면,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6)의 저항 R2가 저항 R1과 직렬로 접속되게 되므로 분압되어, A점의 전위(충전 제어 신호)는 9V가 된다. 충전 제어부(7)는 12V로부터 9V로의 전위의 변화에 의해, 모드 3의 차량(30)의 충전 케이블(1)이 접속된 것을 검지하고, 그 후, 충전 제어부(7)가 발진기(10)를 발진시켜서 9V 발진의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펄스 형상의 9V가 차량측에 들어가고, 차량측의 충전 개시 제어 회로(6)가 수전 허가 스위치(12)를 온으로 한다. 이 결과, 저항 R3의 저항 분압에 의해 A점의 전위(충전 제어 신호)는 6V 발진으로 변화하고, 수전 준비가 완료로 된다. 충전 제어부(7)는 이 상태에 있어서 릴레이(5)에 온 신호를 출력하고, 충전 전로(2)에 충전 전류가 흘러서 차량측의 충전기를 통하여 차량 탑재 전지(4)로의 충전이 개시된다.
또한, 상기한 충전 개시 제어는 차량측에서는, 구동 이외에 사용되는 보조 배터리를 사용해서 행해지지만, 차종에 따라서는 충전 케이블(1)의 접속을 검지한 후 소정 시간 내에 충전이 개시되지 않으면, 차량(30)의 보조 배터리의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6)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는 슬립 모드 기능을 구비한 것이 있다. 슬립 모드 상태의 차량에 다시 충전을 개시하고자 하는 경우, 슬립 모드를 해제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물리적인 충전 케이블(1)의 접속 해제 및 재접속할 필요가 있다.
한편, 차량용 충전 장치(20)에는 전기 요금이 싼 심야 전력을 이용해서 차량(30)을 충전하기 위해서, 충전 케이블(1)을 접속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충전을 개시할 수 있는 타이머 제어 기능을 설치하거나, 혹은, 집합 주택 등에서 복수대의 차량을 교대로 충전하기 위해서, 충전 개시나 충전 정지를 교대로 반복하는 기능을 설치하는 것이 예정된다. 그러나, 상기 슬립 모드 기능을 구비한 차량(30)을 차량용 충전 장치(20)에 접속하면, 상기와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실상, 이들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71899호 공보(배경기술의 란)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차량용 충전 장치의 제어에 의해, 충전 케이블을 차량에 접속 직후에 개시되지 않는 타이머 제어 기능이나, 일시적으로 충전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충전 장치에 슬립 모드 기능을 구비한 차량을 차량용 충전 장치에 접속한 경우에도, 작업자에 의한 물리적인 충전 케이블의 접속 해제 및 재접속하지 않고, 타이머 제어 기능이나 일시적인 충전 정지 및 재개시키는 제어 기능을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충전 장치 중 하나의 실시 형태는, 충전 케이블을 통해서 충전 제어 회로를 탑재하고 있는 차량으로의 충전을 행하는 차량용 충전 장치이며,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에 대하여 충전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차량으로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 디바이스와,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송신을 제한하는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와, 충전 제어 신호의 송신 제한이 해제되었을 때, 충전 제어 신호를 강제적으로 리셋하는 리셋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도 1은 충전 개시 제어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A점의 전위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다.
도 4는 종래의 충전 개시 제어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A점의 전위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다.
<전반적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충전 장치 중 하나의 실시 형태는, 충전 케이블을 통해서 충전 제어 회로를 탑재하고 있는 차량으로의 충전을 행하는 차량용 충전 장치이며,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에 대하여 충전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차량으로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 디바이스와,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송신을 제한하는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와, 충전 제어 신호의 송신 제한이 해제되었을 때, 충전 제어 신호를 강제적 리셋하는 리셋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충전 장치의 그 밖의 실시 형태는, 상기한 실시 형태의 차량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는, 충전 케이블을 통해서 차량과 접속한 후, 제한 디바이스에 의한 제어에 의해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에 대한 충전 제어 신호의 송신을 제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충전 장치의 그 밖의 실시 형태는, 상기한 실시 형태의 차량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 제한 디바이스가 설정 시각에 충전을 허가하는 타이머 제어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충전 장치의 그 밖의 실시 형태는, 상기한 실시 형태의 차량용 충전 장치에 있어서, 차량을 교대로 충전하기 위해서, 충전 개시나 충전 정지를 교대로 반복하는 일시적인 충전 정지 및 재개시키는 제어 기능을 구성하는 제어용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충전 장치의 그 밖의 실시 형태는, 충전 케이블을 통해서 충전 제어 회로를 탑재하고 있는 차량으로의 충전을 행하는 차량용 충전 장치이며,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에 대하여 충전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차량으로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 디바이스와,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송신을 제한하는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와, 소정 조건을 만족했을 때 충전 제어 신호를 강제적으로 리셋하는 리셋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충전 장치에서는,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에 대하여 충전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차량으로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 디바이스와,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송신을 제한하는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와, 충전 제어 신호의 송신 제한이 해제되었을 때, 충전 제어 신호를 강제적으로 리셋하는 리셋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구성에 의해, 타이머 제어 기능이나 일시적인 충전 정지 및 재개시키는 제어 기능에 의한 충전 제어 신호의 송신 제한이 해제되면, 빠르게 충전 제어 신호가 강제적으로 리셋되기 때문에, 슬립 모드 기능을 구비한 차량에 대해서도, 작업자에 의한 물리적인 충전 케이블의 접속 해제 및 재접속하지 않고, 타이머 제어나 일시적인 충전 정지 및 재개시키는 제어에 의한 충전을 가능하게 하였다.
<도시된 실시 형태의 설명>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모드 3(충전 시에 차량과 접속되는 충전 장치측의 제어 디바이스로서,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6)에 대하여 충전 제어 신호(CPLT)를 보내는 충전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요구되는 모드) 대응형의 차량용 충전 장치(20)와 차량(30)을 충전 케이블(1)에 의해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충전 케이블(1)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1a)과, 충전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정보선(1b)과, 접지선(1c)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선(1a)은 차량용 충전 장치(20) 내부에서 누전 차단기(ELB)를 구비한 충전 전로(2)에 접속되어 있어서, 교류 전원(3)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 케이블(1)을 경유해서 차량측의 충전기를 통하여 차량 탑재 전지(4)에 충전하는 것이다. 충전 전로(2)에는 통전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5)가 설치되어 있다.
참조 부호 7은 충전 장치의 충전 제어부이며, 교류-직류 변환 디바이스인 전원(8)을 구비하고 있다.
이 충전 제어부(7)에는, 발진기(오실레이터)(10)와 저항 R1을 통하여, 충전 제어 신호 단자(11)가 설치되어 있다. 그 전압(A점의 전압)은 충전 제어부(7)에 입력된다.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6)와의 사이에서 충전 제어 신호(CPLT)를 주고받는 발진기(10)는, 미리 정해진 듀티비(펄스 폭/펄스 주기)의 충전 제어 신호를 발진한다. 충전 제어 신호의 듀티비는 충전 제어 장치의 충전 용량이나 충전 케이블의 종류 등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다.
차량측의 충전 제어 신호 단자(11')와 접지 단자(14')의 사이에는, 저항 R3와 직렬인 수전 허가 스위치(12)와, 저항 R2와, 콘덴서(13)가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 수전 허가 스위치(12)는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6)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또한, 듀티비(펄스 폭/펄스 주기)가 클수록 큰 충전 전류를 공급 가능한 것을 의미하고 있어,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6)가 발진기(10)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제어 신호의 듀티비를 판독하고, 차량 탑재 전지(4)로의 충전 전류를 제어한다.
충전 제어부(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6)에 대하여 충전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차량(30)으로의 충전 개시 제어를 행하는 충전 제어 디바이스(71)와,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송신을 제한하는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72)와, 충전 제어 신호를 강제적으로 리셋하는 리셋 디바이스(73)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충전 장치에서는, 충전 케이블(1)을 차량(30)에 접속하고 있지 않은 경우, 충전 제어 디바이스(71)가 송신하는 충전 제어 신호는, 충전 제어 단자(11)의 전압이 12V가 되도록 조정되고 있어, 충전 케이블(1)을 모드 3 대응의 차량(30)에 접속하면,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6)에 설치한 저항 R2에 의해 분압되어, 충전 제어 단자(11)의 전압은 9V로 저하한다.
충전 제어부(7)는 상기 12V로부터 9V로의 전위의 변화에 의해, 모드 3의 차량(30)의 충전 케이블(1)이 접속된 것을 검지하고, 그 후, 충전 제어부(7)가 발진기(10)를 발진시켜서 9V 발진의 상태로 된다. 9V로 발진한 충전 제어 신호가 차량측에 들어가면,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6)에 내장된 충전 허가 스위치(12)가 온이 된다. 그 결과, 충전 제어 신호의 전압은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6)에 내장되어 있는 다른 저항 R3에 의해 분압되어서 6V 발진으로 되어, 수전 준비 완료로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충전 제어부(7)는 충전 전로(2)를 개폐하는 릴레이(5)에 온 신호를 출력하고,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6)는 펄스 신호로부터 공급 가능한 전류값의 범위 내에서 차량 탑재 전지(4)로의 충전이 개시된다. 또한 펄스의 주파수는 스탠드에 따라 상이한데, 전압이나 듀티비는 규격화되어 있다. 또한, 차량용 충전 제어 장치는 6V 발진의 펄스 신호에 의해 충전이 개시된 취지의 표시를 행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 제어부(7)의 충전 제어 디바이스(71)에는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7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72)는, 충전 케이블 접속 후이며, 설정된 시각에 충전을 개시하는 차량용 충전 장치(20)에 내장된 타이머 제어 디바이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한 디바이스(16)로부터 발신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충전 제어 디바이스(71)에 대하여 제한 신호를 출력 또는 해제하는 제어를 행한다. 즉,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72)가 충전 제어 디바이스(71)에 대하여 제한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충전 제어 디바이스(71)에 의한 충전 제어 신호가 송신되지 않아, 차량(30)은 충전을 개시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72)는, 타이머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충전 개시 시각이 될 때까지는, 「충전 금지」의 제어 신호가 출력되고 있기 때문에, 충전 제어 디바이스(71)에 대하여 제한 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이에 의해, 충전 제어 디바이스(71)는 12V로부터 9V로의 전위의 변화에 의해, 모드 3의 차량(30)의 충전 케이블(1)이 접속된 것을 검지해도, 발진기(10)를 발진시킬 수 없다.
충전 개시 시각이 된 시점에서 타이머 제어 디바이스는 「충전 허가」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므로,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72)는 충전 제어 디바이스(71)에 대하여 제한 신호를 해제한다. 이에 의해, 충전 제어 디바이스(71)는 발진기(10)를 발진시킬 수 있어 충전이 개시된다.
또한, 제한 디바이스(16)로서는, 차량을 교대로 충전하기 위해서 충전 개시나 충전 정지를 교대로 반복하는 일시적인 충전 정지 및 재개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시스템의 제어 컴퓨터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복수의 차량용 충전 장치가 접속된 충전 시스템이며, 동시에 복수의 차량에 충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충전하는 차량의 수가 적을 때는, 연속해서 충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차량의 대수가 많아 계약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일부의 차량에 대하여 일시적으로 충전을 정지시킴으로써, 계약 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 컴퓨터에 의해 각 차량용 충전 장치의 충전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 등의 전원을 충전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발전량이 일사량에 의해 변화하기 때문에, 발전량의 변화에 따라, 제어 컴퓨터가 충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거나, 또는 재개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이 예정되어 있다.
이 제어용 컴퓨터로부터의 「충전 금지」의 제어 신호를 각 차량용 충전 장치(20)의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72)가 검지하면,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72)가 충전 제어 디바이스(71)에 대하여 제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충전 제어 디바이스(71)가 충전 제어 신호의 송신을 일시적으로 정지해서 각 차량(30)으로의 충전은 정지하도록 제어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제어를 행하는 차량용 충전 장치(20)에, 슬립 모드 기능을 구비한 차량(30)을 차량용 충전 장치(20)에 접속한 경우에는, 차량(30)이 충전 케이블(1)의 접속을 식별한 후, 일정 시간 내에 충전이 개시되지 않을 경우(예를 들어, 발진기(10)에 의해 충전 제어 신호가 발진되지 않을 경우)에는, 차량(30)의 보조 배터리의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6)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 부분은, 타이머 제어 기능이나 일시적인 충전 정지 및 재개시키는 제어 기능에 의한 제한 신호가 해제되어, 충전 제어 디바이스(71)로부터의 충전 제어 신호의 송신 제한이 해제되었을 때,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A점의 전위(충전 제어 신호)를 강제적으로 리셋하는(9V→0V→9V로 변화시킴) 제어를 행하는 리셋 디바이스(73)를 설치함으로써, 슬립 모드 기능을 구비한 차량(30)이어도 타이머 제어 기능이나 일시적인 충전 정지 및 재개시키는 제어 기능의 제어에 의한 충전을 가능하게 하였다.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72)가 제한 신호를 해제해서 충전 제어 디바이스(71)로부터의 충전 제어 신호의 송신 제한을 해제했을 경우에는, 리셋 디바이스(73)는 A점의 전위(충전 제어 신호)를 강제적으로 리셋하는(9V→0V→9V로 변화시킴) 제어를 행함으로써, 충전 케이블(1)의 접속 해제 및 재접속이라는 물리적인 작업을 모의하고 있다.
즉, A점의 전위(충전 제어 신호)가 9V로부터 0V가 됨으로써, 충전 케이블(1)의 접속 해제가 모의된다. 이때 물리적으로는 충전 케이블(1)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6)의 저항 R2와 접속된다. 따라서 충전 제어부(7)로부터의 충전 제어 신호는 충전 케이블(1)을 차량(30)에 접속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저항 R2가 저항 R1과 직렬로 접속되게 되므로 분압되어, A점의 전위(충전 제어 신호)는 9V로 된다.
이에 의해, 충전 제어부(7)는 A점의 0V로부터 9V로의 전위의 변화에 의해, 모드 3의 차량(30)에 충전 케이블(1)이 접속된 것을 인식한다.
또한,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72)는 충전 제어 디바이스(71)에 대하여 제한 신호를 해제해서 충전 제어 신호의 송신 제한이 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충전 제어 디바이스(71)가 발진기(10)를 발진시켜서 9V 발진의 상태로 된다.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6)에 9V의 충전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내장된 수전 허가 스위치(12)가 온이 된다. 그 결과, 충전 제어 신호의 전압은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6)에 내장되어 있는 저항 R3에 의해 분압되어서 6V 발진으로 되어, 수전 준비 완료로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충전 제어 장치는 충전 전로(2)를 개폐하는 릴레이(5)에 온 신호를 출력하고, 차량 탑재 전지(4)로의 충전이 재개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72)가 제한 신호를 해제했을 때 리셋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고 있지만, 리셋 디바이스(73)는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72)가 제한 신호를 해제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리셋 동작을 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리셋 디바이스(73)는 발진기(10)가 9V로 발진을 개시하고 소정 시간 경과한 후에 충전이 개시되지 않을 경우, 즉 A점의 전위(충전 제어 신호)가 6V로 발진하지 않을 경우에 리셋의 동작을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리셋 디바이스(73)는 차량이 슬립 모드가 된 후에 충전을 재개할 경우에 리셋 동작으로서 A점의 전위를 일단 0V로 하고, 그 후 원래의 전위까지 복귀시키는 동작을 행하고 있다.
또한, 제한 디바이스(16)는 차량용 충전 장치(20)의 온도 상승에 의해 일시적으로 충전을 정지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충전 제어 디바이스(71),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72) 및 리셋 디바이스(73)는, 충전 제어부(7)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했지만, 충전 제어부(7)가 집적 회로 등으로 구성되고, 충전 제어 디바이스(71),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72) 및 리셋 디바이스(73)는 그 안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72)의 제한 신호가 해제되었을 때 리셋 디바이스(73)가 동작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충전 제어부(7)에 판정 디바이스를 설치해 두고, 이 판정 디바이스가 소정 조건을 만족했을 때, 리셋 디바이스(73)가 강제적으로 충전 제어 신호를 리셋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차량용 충전 장치(20)의 교류 전원(3)이 정전했을 경우로서, 그 후 복전(復電)했을 때에 판정 디바이스가 복전의 검출 판정을 했을 때를 소정 조건으로 한다. 이 소정 조건을 만족했을 때, 리셋 디바이스(73)에 의해 충전 제어 신호를 강제적으로 리셋하면 충전을 재개할 수 있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충전의 재개 전에는 다른 이상의 유무를 자동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충전 케이블
1a: 전원선
1b: 정보선
1c: 접지선
2: 충전 전로
3: 교류 전원
4: 차량 탑재 전지
5: 릴레이
6: 충전 제어 회로
7: 충전 제어부
71: 충전 제어 디바이스
72: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
73: 리셋 디바이스
8: 전원
9: 시작 버튼
10: 발진기
11, 11': 충전 제어 신호 단자
12: 수전 허가 스위치
13: 콘덴서
14, 14': 접지 단자
15: 스위치
16: 제한 디바이스
20: 차량용 충전 장치
30: 차량

Claims (5)

  1. 충전 케이블을 통해서 충전 제어 회로를 탑재하고 있는 차량으로의 충전을 행하는 차량용 충전 장치이며,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에 대하여 충전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차량으로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 디바이스와,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송신을 제한하는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와,
    충전 제어 신호의 송신 제한이 해제되었을 때, 충전 제어 신호를 강제적 리셋하는 리셋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는, 충전 케이블을 통해서 차량과 접속 후, 제한 디바이스에 의한 제어에 의해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에 대한 충전 제어 신호의 송신을 제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한 디바이스가 설정 시각에 충전을 허가하는 타이머 제어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제한 디바이스가 차량을 교대로 충전하기 위해서, 충전 개시나 충전 정지를 교대로 반복하는 일시적인 충전 정지 및 재개시키는 제어 기능을 구성하는 제어용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장치.
  5. 충전 케이블을 통해서 충전 제어 회로를 탑재하고 있는 차량으로의 충전을 행하는 차량용 충전 장치이며,
    차량측의 충전 제어 회로에 대하여 충전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차량으로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 디바이스와,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송신을 제한하는 충전 제어 신호 송신 제한 디바이스와,
    소정 조건을 만족할 때 충전 제어 신호를 강제적으로 리셋하는 리셋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장치.
KR1020137019678A 2010-12-28 2011-12-26 차량용 충전 장치 KR101523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92008A JP5506052B2 (ja) 2010-12-28 2010-12-28 車両用充電装置
JPJP-P-2010-292008 2010-12-28
PCT/JP2011/080055 WO2012090928A1 (ja) 2010-12-28 2011-12-26 車両用充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210A true KR20130110210A (ko) 2013-10-08
KR101523158B1 KR101523158B1 (ko) 2015-05-26

Family

ID=4638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678A KR101523158B1 (ko) 2010-12-28 2011-12-26 차량용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96305B2 (ko)
EP (1) EP2660949B1 (ko)
JP (1) JP5506052B2 (ko)
KR (1) KR101523158B1 (ko)
CN (1) CN103283112B (ko)
WO (1) WO20120909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7370B2 (ja) * 2011-12-22 2016-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車両用充電装置及び電気車両用充電システム
US9490649B2 (en) * 2012-06-13 2016-11-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WO2014111999A1 (ja) * 2013-01-17 2014-07-24 ソニー株式会社 蓄電装置および起動方法
US9376025B2 (en) 2013-02-06 2016-06-28 Lg Electronics Inc. Charging apparatus and electric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1568225B1 (ko) 2013-02-06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KR101519780B1 (ko) * 2014-03-14 2015-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배터리의 예약 충전을 위한 제어 방법
KR101575469B1 (ko) * 2014-05-08 201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예약충전 제어방법 및 제어기
US20160025779A1 (en) * 2014-07-22 2016-01-28 Richtek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circuit for confirming correctness of signal and charging system using same
US9802495B2 (en) 2014-08-22 2017-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ff-board charger for high-voltage battery charging
JP6406074B2 (ja) * 2015-03-11 2018-10-17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方法
US20170101022A1 (en) * 2015-10-12 2017-04-13 Revitalize Charging Solu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ual automobile electric charger
US10399458B2 (en) * 2016-06-16 2019-09-03 Memes Associates, Ltd. Tethered charging/re-charging drone (TCR) assembly system
JP6520848B2 (ja) 2016-07-04 2019-05-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バッテリ充電システム
EP3501210A1 (en) * 2016-08-16 2019-06-26 Convida Wireless, LLC Keeping the ue awake
CN109733243B (zh) * 2019-02-15 2022-04-26 上海蔚来汽车有限公司 受电车辆与充电设备之间的充电控制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712A (ja) 1990-05-28 1992-02-05 Hitachi Ltd 熱間薄板圧延におけるバー材の先端曲り修正方法及び装置
JPH04332861A (ja) 1991-05-09 1992-11-19 Hitachi Ltd 塩素イオン選択性電極及び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JP3697768B2 (ja) * 1996-02-21 2005-09-21 神鋼電機株式会社 自動充電システム
JPH10290533A (ja) * 1997-04-14 1998-10-27 Honda Motor Co Ltd バッテリ充電システム
US6859012B2 (en) * 2003-02-21 2005-02-22 Thomson Licensing, S.A. Battery charging apparatus
JP2006006039A (ja) * 2004-06-18 2006-01-05 Lecip Corp 充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211715B2 (ja) * 2004-08-23 2009-01-2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電源システム
JP4544273B2 (ja) * 2007-06-20 2010-09-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および車両用電源装置における蓄電装置の充電状態推定方法
US7782021B2 (en) * 2007-07-18 2010-08-24 Tesla Motors, Inc. Battery charging based on cost and life
JP4867869B2 (ja) * 2007-09-10 2012-02-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機構の充電装置および充電方法
WO2009087799A1 (ja) 2008-01-11 2009-07-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車両の充電制御装置および車両
JP4332861B2 (ja) * 2008-01-16 2009-09-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充電制御装置
JP2010004674A (ja) * 2008-06-20 2010-01-07 Fujitsu Ten Ltd 電子制御装置
JP5185065B2 (ja) * 2008-10-23 2013-04-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0246320A (ja) * 2009-04-09 2010-10-28 Fujitsu Ten Ltd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8774997B2 (en) * 2009-04-23 2014-07-0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charging cable, and charging system for vehicle
JP2010288317A (ja) * 2009-06-09 2010-12-24 Toyota Industries Corp 電動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83112A (zh) 2013-09-04
EP2660949A1 (en) 2013-11-06
US9296305B2 (en) 2016-03-29
EP2660949A9 (en) 2015-03-18
WO2012090928A1 (ja) 2012-07-05
CN103283112B (zh) 2016-04-13
JP2012143026A (ja) 2012-07-26
KR101523158B1 (ko) 2015-05-26
EP2660949B1 (en) 2018-11-07
US20140021918A1 (en) 2014-01-23
EP2660949A4 (en) 2015-03-25
JP5506052B2 (ja)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0210A (ko) 차량용 충전 장치
KR101755894B1 (ko)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489226B1 (ko) 전기 자동차용 통합형 완속 충전기, 충전기능을 갖는 전기 자동차, 완속 충전기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9878628B2 (en) Power supply device, vehicle and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KR101873666B1 (ko) 전력 수수 제어 장치
EP2783899B1 (en)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reservation method
JP5846259B2 (ja) 車両用充電制御装置
US10377257B2 (en) Vehicle-mounted charging device and vehicle charging system
KR101299109B1 (ko)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119823A (zh) 充电控制装置以及充电系统
CN105008171A (zh) 车载器以及ev管理系统
CN104066614A (zh) 车载充电通信装置以及车辆用充电通信系统
JP2014217272A (ja) 充放電装置
CN106410879A (zh) 用于车辆的电池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JP5464693B2 (ja) 車両用充電装置
US20150224889A1 (en) Vehicle
US9108522B2 (en) Vehicle-mounted controller
CN110816317B (zh) 车载控制系统及车辆
JP7411388B2 (ja) 電動車両の充電システム、充電ケーブル及び電動車両の電源システム
JP5561834B2 (ja) 車両用充電装置
JP2016028546A (ja) 充放電装置
CN105790336A (zh) 车载终端充电系统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