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7616A -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아마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아마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616A
KR20130107616A KR1020120029535A KR20120029535A KR20130107616A KR 20130107616 A KR20130107616 A KR 20130107616A KR 1020120029535 A KR1020120029535 A KR 1020120029535A KR 20120029535 A KR20120029535 A KR 20120029535A KR 20130107616 A KR20130107616 A KR 20130107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de derivative
weight
chloride
cosmetics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7817B1 (ko
Inventor
천종우
박시준
조훈
전지민
Original Assignee
(주)에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씨티 filed Critical (주)에이씨티
Priority to KR1020120029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817B1/ko
Publication of KR20130107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8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1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07C233/2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33/2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having the carbo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f a 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미백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장료용 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아마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6

식 중, R은 헥실, 사이클로헥실 또는 아다만틸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용 아마이드 유도체는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미백 화장료의 조성물로서 적용이 가능하고, 또한 티로시나제의 활성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피부 부작용과 암이 유발된 염려가 배제되어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높다.

Description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amide derivative having depigmenting activity, method for preparation the amide derivative,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amide derivative}
본 발명은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미백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화장료용 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아마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melanin)은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라고 불리는 피부 세포에서 만들어져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라는 표피 세포로 이동한다.
멜라닌 생성효소인 티로시나제(tyrosinase)는 티로신(tyrosine)을 도파(dopa)로 변화시키고 그것을 다시 도파퀴논(dopa quinone)으로 산화시키며, 도파퀴논 분자는 계속 중합하여 멜라닌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멜라닌은 핵 주변에 모자와 같은 구조를 형성하여 자외선으로부터 유전자를 보호하고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제거하여 세포 내 단백질을 보호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면에 멜라닌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게 되면 기미, 주근깨, 점 등과 같은 과색소 침착증을 유발하여 미용상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나, 생체 내에는 멜라닌을 분해하는 효소가 없으며, 단지 케라티노사이트가 표피에서 떨어져 나갈 때 이와 동반하여 피부에서 떨어져 나감으로써 제거된다.
레저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햇빛에 노출된 외부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 색소침착을 막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멜라닌의 과도한 피부 침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멜라닌 생합성 경로 중의 각 단계를 차단하는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제안들을 살펴보면, 멜라닌 색소침착을 유발하는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노출을 방지하거나, 멜라닌 생성 효소인 티로시나제의 저해제 사용, 멜라닌 세포에 특이적으로 독성을 나타내는 물질 투여 또는 생성된 멜라닌의 피부 외부로의 배출촉진 등의 방법이 있다.
또한, 피부에 과색소침착을 방지하기 위한 물질들을 작용기전 별로 분류해보면 피부로 조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자외선 흡수제와 무기안료 등의 자외선 산란제가 있으며, 비타민 C 또는 코직산(kojic acid) 등의 티로시나제 저해제,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류의 멜라닌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 물질, 토코페롤(tocopherol)과 같이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는 활성산소(active oxygen)나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는 물질 및 각질 박리를 촉진하여 생성된 멜라닌을 제거하는 AHA(alpha-hydroxy acid) 등이 있다.
그런데 피부노출방지 방법은 상황에 따라 피부가 노출될 경우가 많고, 자외선 차단제 및 산란제와 멜라닌의 피부 외부로의 배출을 유도하는 촉진제는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티로시나제의 저해제 또는 멜라닌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 물질 등의 미백제 개발에 연구가 집중되어 왔으며 어느 정도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미백제 중 하이드로퀴논과 그 유도체들은 멜라노사이트에서 멜라닌 색소의 합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티로신의 산화를 막음으로써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는데, 현재로서는 가장 강력한 탈색제로서 오래전부터 연고나 크림제제 또는 물약 형태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 물질들은 피부에 대한 자극이나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특성이 있고, 멜라닌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어 피부를 영구 탈색시키는 경우가 있을 정도로 심각한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여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코직산은 피부에 전혀 자극이 없는 장점을 가지나 하이드로퀴논 제제보다는 탈색효과가 약한 단점이 있으며, 비타민 C는 미백효과와 피부재생효과, 잔주름 제거 등에 효과가 있으나 매우 불안정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피부에 잘 흡수되어 효과를 나타내는 비타민 C 제제는 극히 드물다.
레티노이드(retinoid)는 비타민 A의 합성유도체로서, 각질형성세포의 활동을 변화시켜 노화된 각질과 피부 내부의 노폐물을 없앰으로써 피부재생을 촉진하는 필링효과를 제공하여, 여드름과 얼룩제거, 주름개선, 색소침착, 피부 갈라짐 등을 개선하고 다른 탈색제의 효과를 배가시키는 작용을 하나, 멜라닌의 피부 침착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효능을 나타내지는 못하고 탈색제의 보조역할에 머무르는 정도이다.
또한, 멜라닌 생성세포인 멜라노사이트에서 생성되는 멜라닌 색소는 티로시나제, TRP-1, TRP-2의 세 가지 효소가 함께 작용하여 형성되나, 종래에 개발된 미백제 대부분은 주로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과도하게 억제하면 백피증, 백색증, 피부탈색, 피부자극 등의 부작용과 심할 경우 암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가 학계에 보고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미백화장품 원료들은 대부분 효능이 미진하거나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어서,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미백효과를 갖는 새로운 화장료에 대한 연구가 미백제 개발의 주요 관건이 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개발의 일례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34872호에는 니코티노일 도파민(N-nicotinoyl dopamine), 니코티노일 티라민(N-nicotinoyl tyramine) 또는 이들 모두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먼저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N,N'-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존재하에서 니코틴산과 N-히드록시숙신이미드를 반응시켜 니코티노일 NHS 에스터를 제조한 다음, 메탄올과 탄산칼륨 존재하에서 도파민 염산염과 상기 니코티노일 NHS 에스터를 반응시켜 니코티노일 도파민을 제조하고, 티라민과 니코티노일 NHS 에스터를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반응시켜 니코티노일 티라민을 제조한다.
상기에서 제조된 니코티노일 도파민은 항산화력이 우수하고 멜라닌 세포를 합성하고 저장하는 멜라노좀의 이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니코티노일 티라민은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하는데, 상기 니코티노일 도파민과 니코티노일 티라민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화장료에 함유시킴으로써 항산화 효과와 미백 효과를 제공한다.
그런데 피부의 과색소침착은 여러 요인의 복합적 작용에 의하여 발생하므로 항산화력의 향상, 멜라노좀의 이동억제 또는 티로시나제의 활성억제 기능이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미백 효과를 제공한다고 단정할 수 없으며, 현재 탈색제로 주로 이용되는 하이드로퀴논에 비하여 효과가 미진하므로 새로운 미백제 개발의 요구를 만족시키기에는 부족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부 부작용을 유발할 수도 있는 티로시나제의 활성억제를 유도하지 않으면서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종래의 미백제에 비하여 미백효과가 우수한 미백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미백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장료용 아마이드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식 중, R은 헥실, 사이클로헥실 또는 아다만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아마이드 유도체를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0001~30중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피부 점착타입의 화장료,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바디클렌저, 비누, 로션, 연고, 젤, 겔, 패치 또는 분무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파민을 염기 존재하에서 헥사노일클로라이드, 사이클로헥사노일클로라이드 또는 아다만탄카보닐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상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장료용 아마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화장료용 아마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디메틸포름아미드 100중량부에 도파민 염산염 3~7중량부 및 트리에틸아민 5~10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5~5℃로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헥사노일클로라이드, 사이클로헥사노일클로라이드 또는 아다만탄카보닐클로라이드 3~7중량부를 적가한 후 교반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이 완료된 반응액을 농축한 다음 이를 초산에틸 200~300중량부에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초산에틸에 용해된 반응액을 3~7중량% 농도의 염산수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면서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과정에서 석출하는 결정을 여과하여 아마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용 아마이드 유도체는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미백 화장료의 조성물로서 적용이 가능하고, 또한 티로시나제의 활성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피부 부작용과 암이 유발될 염려가 배제되어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높다.
본 발명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장료용 아마이드 유도체에 관한 것으로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의 미백 개선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헥실(hexyl), 사이클로헥실(cyclohexyl) 또는 아다만틸(adamantyl)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마이드 유도체 화합물은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므로 미백 화장료 및 통상적인 화장품 조성물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아마이드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0001~3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장료용 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도파민(dopamine)을 염기 존재하에서 헥사노일클로라이드(hexanoyl chloride), 사이클로헥사노일클로라이드(cyclohexanoyl chloride) 또는 아다만탄카보닐클로라이드(adamantane carbonyl chloride)와 반응시켜 카복사마이드(carboxamide) 유도체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하기 화학식 2에 도식화하였다.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헥실, 사이클로헥실 또는 아다만틸이다.
상기 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100중량부에 도파민 염산염 3~7중량부 및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5~10중량부를 혼합하고 -5~5℃로 냉각시킨다.
상기 혼합물에 헥사노일클로라이드, 사이클로헥사노일클로라이드 또는 아다만탄카보닐클로라이드 3~7중량부를 천천히 적가한 후 교반하여 반응시키며, 2~4시간 동안 반응시키면 반응이 충분히 이루어진다.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액을 농축한 다음 이를 초산에틸(CH3COOCH2CH3) 200~300중량부에 용해시키고, 3~7중량% 농도의 염산(HCl)수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하면서 농축하며, 이 과정에서 석출하는 결정을 여과하여 순수한 아마이드 유도체를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시험예 및 제형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N-(3,4-디히드록시펜에틸)헥사마이드의 합성
디메틸포름아미드 200㎖에 도파민 염산염 10.0g과 트리에틸아민 14.5g(2.5 당량)을 넣어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0℃로 냉각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헥사노일클로라이드 9.3g(1.2 당량)을 천천히 적가한 다음 3시간 동안 교반하였으며, 반응이 완료된 것을 TLC(thin-layer chromatography)로 확인하고 이를 농축하여 고형화합물을 얻었다.
상기 고형화합물을 다시 초산에틸 500㎖에 녹이고 5중량%의 염산수용액 100㎖로 2회 반복세척한 다음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으며, 절반 정도 부피로 농축하면 결정이 석출되고 이를 여과하여 N-(3,4-디히드록시펜에틸)헥사마이드 9.2g을 수득하였다(수율 70%).
수율은 최종 생성물인 N-(3,4-디히드록시펜에틸)헥사마이드의 몰수를 출발 물질인 도파민 염산염의 몰수와 비교하여 계산하였다.
1H NMR(300MHz, DMSO-d6)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된 아마이드 유도체를 확인하였으며, 측정결과 8.71 (bs, 2H), 7.76 (t, 1H, J = 5.7 Hz), 6.60 (d, 1H, J = 7.8 Hz), 6.53 (s, 1H), 6.38 (d, 1H, J = 7.8 Hz), 3.14 (m, 2H), 2.50 (m, 2H), 2.02 (m, 2H), 1.46 (m, 2H), 1.19 (m, 4H), 0.84 (t, 3H, J = 6.9 Hz)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2> N-(3,4-디히드록시펜에틸)사이클로헥사마이드의 합성
상기 실시예 1에서, 헥사노일클로라이드 대신에 사이클로헥사노일클로라이드 9.3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N-(3,4-디히드록시펜에틸)사이클로헥사마이드 10.5g을 수득하였다(수율 76%).
이때의 1H NMR(300MHz, DMSO-d6) 측정수치는 8.76 (bs, 2H), 7.75 (t, 1H, J = 5.7 Hz), 6.66 (d, 1H, J = 7.8 Hz), 6.58 (s, 1H), 6.45 (d, 1H, J = 7.8 Hz), 3.18 (m, 2H), 2.54 (m, 2H), 2.02 (m, 1H), 1.70 (m, 4H), 1.24 (m, 4H)로 나타났다.
<실시예 3> N-(3,4-디히드록시펜에틸)-1-아다만탄카복사마이드의 합성
상기 실시예 1에서, 헥사노일클로라이드 대신에 아다만탄카보닐클로라이드 9.3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N-(3,4-디히드록시펜에틸)-1-아다만탄카복사마이드 12.4g을 수득하였다(수율 75%).
이때의 1H NMR(300MHz, DMSO-d6) 측정수치는 8.70 (s, 1H), 8.58 (s, 1H), 7.31 (t, 1H, J = 5.7 Hz), 6.62 (d, 1H, J = 7.8 Hz), 6.54 (s, 1H), 6.41 (d, 1H, J = 7.8 Hz), 3.18 (m, 2H), 2.59 (m, 2H), 1.97 (s, 3H), 1.72 (s, 6H), 1.64 (s, 3H)로 나타났다.
<비교예 1> N-(4-히드록시펜에틸)헥사마이드의 합성
상기 실시예 1에서, 도파민 염산염 대신에 티라민 염산염 10.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N-(4-히드록시펜에틸)헥사마이드 10.1g을 수득하였다(수율 75%).
이때의 1H NMR(300MHz, DMSO-d6) 측정수치는 9.15 (s, 1H), 7.78 (t, 1H, J = 5.7 Hz), 6.98 (d, 2H, J = 7.8 Hz), 6.67 (d, 2H, J = 7.8 Hz), 3.19 (m, 2H), 2.56 (m, 2H), 2.01 (m, 2H), 1.43 (m, 2H), 1.20 (m, 4H), 0.84 (t, 3H, J = 6.9 Hz)로 나타났다.
<비교예 2> N-(4-히드록시펜에틸)사이클로헥사마이드의 합성
상기 실시예 2에서, 도파민 염산염 대신에 티라민 염산염 10.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N-(4-히드록시펜에틸)사이클로헥사마이드 10.2g을 수득하였다(수율 72%).
이때의 1H NMR(300MHz, DMSO-d6) 측정수치는 9.18 (s, 1H), 7.77 (t, 1H, J = 5.7 Hz), 6.97 (d, 2H, J = 7.8 Hz), 6.65 (d, 2H, J = 7.8 Hz), 3.14 (m, 2H), 2.55 (m, 2H), 2.01 (m, 1H), 1.65 (m, 4H), 1.16 (m, 4H)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3> N-(4-히드록시펜에틸)-1-아다만탄카복사마이드의 합성
상기 실시예 3에서, 도파민 염산염 대신에 티라민 염산염 10.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N-(4-히드록시펜에틸)-1-아다만탄카복사마이드 12.2g을 수득하였다(수율 71%).
이때의 1H NMR(300MHz, DMSO-d6) 측정수치는 9.16 (s, 1H), 7.34 (t, 1H, J = 5.7 Hz), 6.96 (d, 2H, J = 7.8 Hz), 6.66 (d, 2H, J = 7.8 Hz), 3.17 (m, 2H), 2.58 (m, 2H), 1.93 (s, 3H), 1.72 (s, 6H), 1.63 (s, 3H)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1>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효과 분석
하이드로퀴논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반응생성물들의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하기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버섯 유래의 티로시나제와 티로신은 Sigma Chemical사(미국)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으며, 티로시나제 활성은 0.1M 포스페이트 버퍼(pH 6.5) 150㎕와 버섯 티로시나제(2100unit/㎖, 0.05M 포스페이트 버퍼, pH 6.5) 8㎕, 1.5mM 농도의 L-티로신 36㎕와 함께 각 군별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티로시나제 활성은 각 군별 시료를 37℃에서 20분 동안 효소반응을 진행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Bio-Rad 3550, Richnmond사 제조, 미국)를 사용하여 49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하기의 식에 의거하여 티로시나제 저해효과를 구하였다.
티로시나제 저해율(%)=100-(각 시료의 반응 흡광도/대조군의 반응 흡광도)×100
상기 식에 의해 각 시료의 농도별 희석용액의 티로시나제 저해율로부터 티로시나제 활성을 50% 감소시키는 각 시료의 용량을 구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
물질 IC50
실시예 1 >200μM
실시예 2 >200μM
실시예 3 >200μM
비교예 1 >200μM
비교예 2 >200μM
비교예 3 >200μM
대조군 10.01μM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도파민 아마이드 유도체와 비교예의 티라민 아마이드 유도체를,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티로신의 산화를 막는 강력한 탈색제인 대조군의 하이드로퀴논과 비교한 결과, 하이드로퀴논의 경우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도파민과 티라민의 아마이드 유도체는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시험예 2> 멜라닌 색소생성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분석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반응생성물들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이드로퀴논을 대조군으로 하여 B16F10 멜라닌 형성 세포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 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시험예 2에서 사용된 멜라닌 형성세포는 마우스에서 유래한 B16F10 세포균주로서, 멜라닌이라는 흑색 색소를 분비하는 세포이며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B16F10 멜라닌 형성세포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 측정은 B16F10 세포의 인공배양 중에 시료를 처리하여 멜라닌 흑색 색소가 감소하는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으며, 좀더 자세한 측정방법은 하기와 같다.
B16F10 멜라닌 형성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2×106 농도로 분주하여 세포를 부착시킨 후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농도로 각 군별 시료를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를 트립신-EDTA(trypsin-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로 떼어내어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세포 내 멜라닌의 정량은 로탄(Lotan: Cancer Res., 40: 3345-3350, 1980)의 방법을 변형하여 실시하였으며, 셀 펠릿을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1회 세척한 후 균질화 버퍼액(50mM 소듐 포스페이트, pH 6.8, 1% Triton X-100, 2mM PMSF) 1㎖를 첨가하여 5분간 와류시켜 세포를 파쇄하였다.
상기 파쇄된 세포를 원심분리(3,000rpm, 10분)하여 얻은 세포 여액에 1N NaOH(10% DMSO)를 첨가하여 추출된 멜라닌을 용해한 후, 상기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로 405㎚에서 멜라닌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멜라닌을 정량하였다.
B16F10 멜라닌 형성세포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은 하기 식에 의거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멜라닌 생성 저해율(%)=[(A-B)/A]×100
A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멜라닌 양
B : 시료를 첨가한 웰의 멜라닌 양
멜라닌 생성억제 효능
물질 IC50
실시예 1 0.88μM
실시예 2 0.84μM
실시예 3 0.95μM
비교예 1 18.72μM
비교예 2 18.28μM
비교예 3 16.68μM
하이드로퀴논 3.97μM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도파민 아마이드 유도체는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강력한 탈색제인 하이드로퀴논보다 더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다.
비교예의 티라민 아마이드 유도체 또한 높은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하이드로퀴논보다는 효과가 약하여 실제 화장료에 이용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 시험예 1, 2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파민 아마이드 유도체는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므로 피부 부작용을 유발할 우려가 없으며, 강력한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하이드로퀴논보다 멜라닌 색소생성 억제효과가 우수하므로 새로운 미백제의 개발요구를 만족시키기에 충분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시험예들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가장 강력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실시예 2의 도파민 아마이드 유도체인 N-(3,4-디히드록시펜에틸)사이클로헥사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예를 제시한다.
제시되는 제형예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하기의 제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피부 점착타입의 화장료,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바디클렌저, 비누, 로션, 연고, 젤, 겔, 패치 또는 분무제 등 여러 제형에 제약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
유연화장수(단위:중량%)
성분 제형예 1 비교제형예 1 비교제형예 2
실시예 2 3.0 - -
정제수 - 3.0 -
알부틴 - - 3.0
글리세린 5.1 5.1 5.1
프로필렌글리콜 4.2 4.2 4.2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3.0 3.0
유동파라핀 4.6 4.6 4.6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0
스쿠알란 3.1 3.1 3.1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 2.5 2.5
폴리솔베이트60 1.6 1.6 1.6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 1.6 1.6
프로필파라벤 0.6 0.6 0.6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 1.5 1.5
미량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제형예 2> 수렴화장수
수렴화장수(단위:중량%)
성분 함량
실시예 2 1.5
글리세린 2.0
1.3-부틸렌글리콜 2.0
알란토인 0.2
DL-판테놀 0.2
이.디.티.에이-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3.0
에탄올 15.0
폴리솔베이트 20 0.3
위치하젤 추출물 2.0
구연산 미량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영양화장수
영양화장수(단위:중량%)
성분 함량
실시예 2 1.5
스테아릴 알콜 1.5
라놀린 1.5
폴리솔베이트 60 1.3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경화식물유 1.0
광물유 5.0
스쿠알란 3.0
트리옥타노인 2.0
디메치콘 0.8
초산토코페롤 0.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2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5.0
트리에탄올아민 0.1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영양크림
영양크림(단위:중량%)
성분 함량
실시예 2 3.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세테아릴알콜 2.2
스테아린산 1.5
밀납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경화식물유 1.0
스쿠알란 3.0
광물유 5.0
트리옥타노인 5.0
디메치콘 1.0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글리세린 5.0
베타인 3.0
트리에타올아민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마사지크림
마사지크림(단위:중량%)
성분 함량
실시예 2 3.0
친유형 모노스케아린산 글리세린 1.5
스테아릴알콜 1.5
스테아린산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레이트 5.0
스쿠알란 5.0
광물유 5.0
디메치콘 0.5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0
트리에타올아민 0.7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6> 에센스
에센스(단위:중량%)
성분 함량
실시예 2 5.0
글리세린 10.0
베타인 5.0
피이지 1500 2.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이.디.티.에이-2Na 0.02
벤조페논-9 0.04
히드록시에칠 셀룰로오스 0.1
소듐히아루로네이트 8.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칸올 0.3
옥틸도데세스-16 0.4
에탄올 6.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7> 팩
팩(단위:중량%)
성분 함량
실시예 2 3.0
폴리비닐알콜 15.0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0
피이지1500 2.0
사이크로데스트린 0.15
DL-판테놀 0.4
알란토인 0.1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0.3
니코틴아미드 0.5
에탄올 6.0
피이지 40 경화피마자유 0.3
향, 색소,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시험예 3> 도파민 아마이드 유도체의 피부 미백 개선효과 분석
본 발명의 도파민 아마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의 미백 개선효과를 실제 사용테스트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표 3에서 제시한, 실시예 2의 도파민 아마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연화장수(제형예 1), 도파민 아마이드 유도체를 정제수로 대체한 유연화장수(비교제형예 1), 도파민 아마이드 유도체 대신 미백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알부틴(Arbutin)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비교제형예 2)를 사용하였다.
6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20명씩 상기 각각의 유연화장수를 얼굴 양쪽 면에 도포하고 6주 후에 주름 개선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여 미백 개선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0에 나타내었다.
유효율은 미백 개선효과가 우수한 경우를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유연화장수의 미백 개선효과
미백 개선효과 유효율(%)
우수 약간 없음
제형예 1 18 1 1 90
비교제형예 1 0 1 19 0
비교제형예 2 15 4 1 75
상기 표 10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도파민 아마이드 유도체를 함유한 제형예 1의 유연화장수는 도파민 아마이드 유도체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예 1의 유연 화장수에 비하여 높은 미백 개선효과를 보여주었으며, 도파민 아마이드 유도체 대신 알부틴을 함유하는 비교제형예 2의 유연화장수와 유사한 우수한 피부 미백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예 1의 유연화장수를 피부에 도포한 대부분의 피검자들에게서 피부자극을 관찰할 수 없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용 아마이드 유도체는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미백 화장료의 조성물로서 적용이 가능하고, 또한 티로시나제의 활성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피부 부작용과 암이 유발된 염려가 배제되어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높다.

Claims (5)

  1.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장료용 아마이드 유도체.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식 중, R은 헥실, 사이클로헥실 또는 아다만틸이다.
  2. 청구항 1의 아마이드 유도체를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0001~30중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피부 점착타입의 화장료,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바디클렌저, 비누, 로션, 연고, 젤, 겔, 패치 또는 분무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도파민을 염기 존재하에서 헥사노일클로라이드, 사이클로헥사노일클로라이드 또는 아다만탄카보닐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장료용 아마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식 중, R은 헥실, 사이클로헥실 또는 아다만틸이다.
  5. 청구항 4 있어서,
    상기 화장료용 아마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디메틸포름아미드 100중량부에 도파민 염산염 3~7중량부 및 트리에틸아민 5~10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5~5℃로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헥사노일클로라이드, 사이클로헥사노일클로라이드 또는 아다만탄카보닐클로라이드 3~7중량부를 적가한 후 교반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이 완료된 반응액을 농축한 다음 이를 초산에틸 200~300중량부에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초산에틸에 용해된 반응액을 3~7중량% 농도의 염산수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면서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과정에서 석출하는 결정을 여과하여 아마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마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20029535A 2012-03-22 2012-03-22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아마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27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535A KR101327817B1 (ko) 2012-03-22 2012-03-22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아마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535A KR101327817B1 (ko) 2012-03-22 2012-03-22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아마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616A true KR20130107616A (ko) 2013-10-02
KR101327817B1 KR101327817B1 (ko) 2013-11-08

Family

ID=4963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535A KR101327817B1 (ko) 2012-03-22 2012-03-22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아마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8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9583A (ja) * 2011-08-05 2014-11-13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新規安息香酸アミド化合物
KR20180111350A (ko) * 2017-03-31 2018-10-11 (주)아모레퍼시픽 벤조산아마이드 화합물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보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20141927A1 (ko) * 2019-01-04 2020-07-09 ㈜아모레퍼시픽 아다만탄 카르복실산 벤질 아마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그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28329A (en) 1988-03-18 1991-12-23 Mitsui Toatsu Chemicals Catechol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US8343962B2 (en) 2006-03-06 2013-01-01 Nuvo Research Inc. Topical formulation
JP5524630B2 (ja) 2010-01-05 2014-06-18 花王株式会社 ドーパオキシダーゼ活性抑制剤及び美白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9583A (ja) * 2011-08-05 2014-11-13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新規安息香酸アミド化合物
KR20180111350A (ko) * 2017-03-31 2018-10-11 (주)아모레퍼시픽 벤조산아마이드 화합물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보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EP3610865A4 (en) * 2017-03-31 2021-03-10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CONSISTING OF A COMPOUND OF BENZOIC ACID AMIDE AND CYCLODEXTRIN SOLUBILIZING AGENT
US11654094B2 (en) 2017-03-31 2023-05-23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comprising benzoic acid amide compound and cyclodextrin solubilizing agent
WO2020141927A1 (ko) * 2019-01-04 2020-07-09 ㈜아모레퍼시픽 아다만탄 카르복실산 벤질 아마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그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113286779A (zh) * 2019-01-04 2021-08-20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金刚烷羧酸苄基酰胺衍生物化合物以及包含其的皮肤美白用组合物
US20220112156A1 (en) * 2019-01-04 2022-04-14 Amorepacific Corporation Adamantanecarboxylic acid benzyl amide derivative compound and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817B1 (ko) 201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6228E1 (en) Pigmentation-regulating compounds
BR112015022148B1 (pt) Combinações de substâncias ativas, preparações cosméticas ou dermatológicas e uso cosmético
JP2020180103A (ja) シワ改善用組成物
KR101327817B1 (ko)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아마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BR112015022154B1 (pt) Combinações de substâncias ativas, preparações cosméticas ou dermatológicas, uso cosmético, e, combinações de substâncias ativas e preparações
KR100721687B1 (ko) 항-염증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및 피부 외용제
KR101508694B1 (ko) 라파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04062635A1 (en) Compositions for skin lightening comprising bis-pantoyl-cystamine
JPH10265325A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及び美白化粧料
JP7128266B2 (ja) 美容的使用のためのレゾルシノール誘導体
EP3509566B1 (en) Compounds for reducing cellular melanin content
TWI767168B (zh) 薔薇屬植物萃取物用於提升粒線體活性之用途
AU2014223236B2 (en) Glycyrrhetinimidyl hydroxyproline alkyl esters and protected derivatives thereof
KR100732563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
JPH1121226A (ja) メラニン産生抑制皮膚外用剤
EP1945308A1 (de) Topisch anwendbare zusammensetzung für die verwendung als hautaufhellungsmittel
KR101151007B1 (ko) 루시놀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1261B1 (ko) C-자일로사이드 화합물, 조성물 및 피부의 탈색소를 위한 그의 용도
JP2019206484A (ja) 美白用組成物
JPH0977651A (ja) 美白化粧料
WO2021125418A1 (ko) 페놀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미백 화장품
KR100543954B1 (ko) 1n-벤질-4-메틸벤젠-1,2-디아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함유하는 미백 화장품 조성물
JPH0848621A (ja) 美白化粧料
KR20040060157A (ko) 트라넥사믹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22164564A (ja) 皮膚美白用組成物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皮膚美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