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5309A - 세포 보호제 - Google Patents

세포 보호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5309A
KR20130105309A KR1020127033436A KR20127033436A KR20130105309A KR 20130105309 A KR20130105309 A KR 20130105309A KR 1020127033436 A KR1020127033436 A KR 1020127033436A KR 20127033436 A KR20127033436 A KR 20127033436A KR 20130105309 A KR20130105309 A KR 20130105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ecular weight
protective agent
culture supernatant
cell protective
streptococcus thermophi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이자와
토모코 쿠라사와
토시로 소네
카츠요시 치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르트 혼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르트 혼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르트 혼샤
Publication of KR20130105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유산균의 배양 상청 중으로부터 신규로 유용한 성분을 발견하고, 그 성분의 유효한 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당해 방법은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에 속하는 유산균의 배양 상청 중의 저분자 획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 보호제이다. 

Description

세포 보호제 {CYTOPROTECTIVE AGENT}
본 발명은 세포 보호제로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에 속하는 유산균의 배양 상청 중의 저분자 획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 보호제로 관한다.
유산균의 배양 상청, 즉, 주로 우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얻어진 배양물 중에, 피부 외용제로서의 효과를 가지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면, 유산균의 배양 상청이 항산화 작용이나 광방어(光防御) 작용을 가지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1, 비특허문헌 1 및 2). 또한, 이것의 주름 형성 억제 작용이 알려져 있고(특허문헌 2), 더욱이 유산균 추출물 중에, 세포 증식작용을 가지는 성분이 있는 것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3).
그렇지만, 유산균은 종류도 많기 때문에, 그의 배양 상청에 포함되는 유효성분도 다방면에 걸쳐있는 것이 예상되고, 또한, 화장료나 외용제의 유효성분으로서 이용하기에는 목적에 따라, 특히 활성이 높은 부분을 선택하여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유산균 배양 상청이나 유산균 추출물에 대해서, 보다 연구를 진행시켜 더욱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성분의 검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특허공개 소58-198584 특허문헌 2: WO2008/026318 특허문헌 3: 일본국특허 제3172599호
비특허문헌 1: 일본향장품과학회 제7회 학술학회 강연요지, 59, 1982 비특허문헌 2: 일본향장품과학회 제8회 학술학회 강연요지, 210, 1983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유산균의 배양 상청 중으로부터 신규하고 유용한 성분을 발견하고, 그 성분의 유효한 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각종 유산균 배양 상청에 대하여 이것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에 대해서 검토한 바,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에 속하는 유산균의 배양 상청의 저분자 획분 중에, 우수한 세포 보호효과를 가지는 물질이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에 속하는 유산균의 배양 상청 중의 저분자 획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 보호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포 보호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에 속하는 유산균의 배양 상청 중의 저분자 획분을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피부 상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포의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포 보호제에 의하면, 피부 등의 세포가 히드록시 래디칼 등에 폭로되었을 경우에 있어서도, 이들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수 있고, 세포수의 감소와 이것에 계속 생기는 과잉의 세포 생산을 일으키지 않고, 피부의 비후(肥厚)나, 피부의 염증, 피부의 건조, 건조에 의한 주름 형성, 탄력성의 저하, 기미의 발생 및 악화를 막을 수가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얻은 투석액의 HPLC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중, a는 분자량 10,000Da의 위치를, b는 분자량 342Da의 위치를, c는 분자량 180Da의 위치를 각각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2에서 얻은 투석액의 HPLC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중, a, b 및 c는 상기와 같다.
본 발명의 세포 보호제의 유효성분인 유산균 배양 상청의 저분자 획분은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에 속하는 유산균을 배지에서 배양하고, 얻어진 배양물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함으로써 제조된 유산균 배양 상청을 다시 한외여과 등에 걸어 분자량 20,000Da이하의 획분을 채취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이용되는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에 속하는 유산균으로서는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YIT2001주(FERM BP-7538, 기탁일:평성 13년(2001년) 1월 31일),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YIT2084주(FERM BP-10879, 기탁일:2006년 8월 18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것들을 단독으로, 또는 복수로 이용할 수 있다. 또, 이것들의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에 속하는 유산균은 독립 행정법인 산업기술 종합 연구소 특허 생물 기탁 센터(일본국 이바라키현 츠쿠바시 히가시 1쵸메 1번지 1 중앙 제 6(우편 번호 305-8566))에 기탁되어 있다.
이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에 속하는 유산균을 배양하는 배지로서는 사람 젖, 우유, 산양유(山羊乳) 등의 수유(獸乳)나, 탈지유, 분유나 탈지분유로부터의 환원유, 크림 등의 유제품이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고, 또한, 두유 등의 대두 가공품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우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배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것들은 그대로 배지로서 사용해도 좋고, 또,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해도 좋다.
더욱이, 이것들의 배지에는 유산균의 배양에 있어서, 영양원을 보충하는 목적으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성분을 별도 배합해도 좋다. 이러한 것으로서는 효모 엑기스, 클로렐라 엑기스, 비타민 A, 비타민 B류, 비타민 C, 비타민 E 등의 비타민류나, 각종 펩티드류를 포함한 단백 분해물, 아미노산류, 칼슘, 마그네슘 등의 염류를 들 수 있다.
상기 배지를 이용한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에 속하는 유산균의 배양은 통상의 방법으로 따라서 행하면 좋고, 그 배양의 일례로서는 30℃~45℃,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37℃~42℃의 배양 온도, 1시간~48시간,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4시간~24시간의 배양 시간을 들 수 있다. 또, 이때, 다른 배양 조건으로서는 정치, 교반, 진탕, 환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로부터 배양에 적절한 방법을 적의 선택하여 행하면 좋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유산균 배양 상청은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유산균 배양물로부터, 여과, 원심분리 등의 통상의 방법으로 따라서 고형물을 제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산균 배양 상청의 저분자 획분은 유산균 배양 상청으로부터 한외여과나 겔 여과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분자량 20,000Da보다 큰 것을 제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세포 보호제는 과산화수소 등의 손상 물질의 폭로전 혹은 폭로 중에 세포에 부가함으로써, 손상 물질 폭로에 의한 세포수의 저하를 억제할 수가 있지만, 손상 물질의 폭로 전부터 부가하면 효과적으로 세포수의 저하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손상 물질의 폭로 전부터 세포에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세포 보호 효과의 메카니즘의 상세한 것은 불명하지만, 손상 물질 폭로시에 본 발명의 세포 보호제가 세포와 공존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그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세포 보호제에 의해, 세포 자체에 손상에 대한 내성이 부여되는 것도 메카니즘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상기 손상 물질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히드록시 래디칼, 과산화수소, 일중항산소, 슈퍼 옥시드 등의 활성 산소를 들 수 있다. 또한 세포수의 저하가 유발되는 자외선, 방사선 또는 변이원성 물질 등의 폭로, 스트레스, 흡연과 같은 각종 손상 요인도 손상 물질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세포 보호제의 대상이 되는 세포는 손상 물질에 폭로될 가능성이 있는 생체 세포이면 특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표피 세포,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 섬유아세포, 비만세포, 형질 세포, 랑게르한스(Langerhans) 세포, 혈관내피세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피부 세포, 특히 섬유아세포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으로 이용하는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에 속하는 유산균의 예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 YIT2001주 및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 YIT2084주는 전기 특허문헌 2에서, 주름 형성 억제작용을 가지는 배양 상청을 얻는데 사용된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서 이용하는 배양 상청은 유산균의 배양 후, 트리클로로아세트산(TCA)을 가하여 침전시키고, 다시 에탄올을 가하여 얻어진 것이다.
그리고, TCA 침전을 행하여 단백질이 제거되고, 다시 에탄올 추출로 주로 다당류가 얻어지며, 또한 저분자 성분이 제거되기 때문에, 특허문헌 2의 배양 상청은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평균 분자량이 90만 정도의 다당류이다.
이것에 대해, 본원 발명의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에 속하는 유산균의 배양 상청의 저분자 획분(이하, 「배양 상청 저분자 획분」이라고 한다)은 후기하는 바와 같이, TCA 침전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단백질도 존재하고, 또한, 분자량 20,000Da이하의 것을 채취하고 있으므로, 저분자의 것은 분명하고 , 구성 성분 및 그의 분자량의 점에서 특허문헌 2의 것과는 상위하다.
본 발명의 세포 보호제는 상기의 배양 상청 저분자 획분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사용되는 배양 상청 저분자 획분으로서는 유산균의 배양 상청으로부터 분자량 20,000Da를 넘는 부분을 제거한 것을 그대로 또는 농축 또는 희석한 액상물로서 또는 이것을 분무 건조나 동결건조 등의 수단에 의해 건조한 분말상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세포 보호제는 이것을 화장품, 의약품, 의약부외품 등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다. 이 피부 외용제조성물의 제조는 통상의 방법으로 따라서 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정제수나 화장수 기제, 크림 기제, 유액 기제 등에 본 발명의 세포 보호제를 소망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정도로 적당량 용해 혹은 분산시키면 좋다.
보다 구체적인 피부 외용제조성물의 예로서는 화장수, 유액, 각종 크림, 팩, 미용액 등의 기초 화장료,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헤어토닉, 헤어 리퀴드, 헤어 크림, 헤어 밀크 등의 두발용 제품, 입욕제 등의 목욕용 화장품, 파운데이션, 루우즈, 마스카라, 아이 세도우 등의 메이크업 화장품, 썬 블록 등을 들 수가 있다.
이것들 피부 외용제조성물에의, 세포 보호제로서의 배양 상청 저분자 획분의 배합량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하는 세포 보호제의 제형이나 용도에 따라 결정하면 좋지만, 바람직하기로는 배양 상청 저분자 획분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0.01~100 질량%이고,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0.1~90 질량%정도, 한층 더 바람직하기로는 1~20 질량%이다. 또 배양 상청 저분자 획분을 건조시켜 사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0.001~10 질량%이고,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00.1~9 질량%정도, 한층 더 바람직하기로는 0.1~2 질량%이다.
또, 상기 피부 외용제조성물에는 필수 성분인 본 발명의 세포 보호제의 그 밖에, 통상, 피부 외용별로 배합되는 임의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임의 성분으로서는 계면활성제, 오일 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향료, 색소, 자외선 흡수·산란제, 분체,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수용성 고분자, 발포제, 안료, 식물 추출물, 동물 유래 성분, 해조 추출물, 각종 약제, 첨가제, 물 등을 들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포 보호제는 오랫동안 먹은 경험이 있는 유산균의 배양 상청 저분자 획분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각종 음식품에도 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양 상청저분자 획분에, 적당한 조제를 첨가한 후, 관용의 수단을 이용하여 식용에 적절한 형태, 예를 들면, 과립상, 입상, 정제, 캅셀, 페이스트 등으로 성형하여 식용에 제공해도 좋고, 또 각종의 식품, 예를 들면, 햄, 소세지 등의 식육 가공 식품, 어묵, 생선살 꼬치구이 등의 수산 가공 식품, 빵, 과자 등에 첨가하여 사용하거나 물, 과즙, 우유, 청량 음료 등의 음료에 첨가하여 사용해도 좋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어떤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 YIT2084의-80℃보존 균주를 2㎖ 시험관 중의 MRS 배지(Difco) 안에 1 백금 루프로 식균하고, 40℃에서 밤새 정치 배양했다. 이어서, 이 배양물을, 2㎖의 10% 탈지분유 수용액(10% 스킴 밀크(Difco)) 중에 1%가 되도록 식균한 후, 40℃에서 밤새 정치 배양을 행하여 실시해, 전전배양(pre-pre-culture)했다.
다시 동일하게, 전배양을 행하고, 이 전배양물을 본배양 배지(3% 탈지분유 수용액) 100㎖에 1%로 식균하고, 40℃에서 24시간 정치 배양했다.
배양 후의 균액을, 4℃, 8,000×g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했다. 얻어진 침전물 제거액을, 센트리 컷 미니 V-20(분획 분자량 20,000Da; 쿠라시보 방적)을 이용해 4℃, 3000×g로 1시간 한외여과를 행하여 투과액 1을 10㎖ 얻었다.
얻어진 투과액 1을 동결건조하고, 이것을 50mM NaCl에 용해한 후, 하기 조건으로 HPLC를 행했다. 이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HPLC의 결과로부터, 상기 투과액 1의 평균 분자량은 300Da인 것이 밝혀졌다.
[HPLC 조건]
   장치: Waters-600E
   검출기: ISI RI-980
   컬럼: ShodexSUGAR KS-804
   컬럼 온도: 80℃
   이동상: 50mM NaCl
   플로우레이트: 1㎖/분
   주입량: 10㎕
실시예 2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 YIT2084를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 YIT2001에 대신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같게 해 투과액 2를 10㎖ 얻었다.
이 투과액 2에 대해서도 실시예 1과 같이 HPLC를 행하여도 2의 결과를 얻었다. 이 투과액 2의 평균 분자량은 300Da인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 3
수소를 이용한 세포의 폭로 시험:
마우스 피부 유래 섬유아세포 3T3를 96 웰 플레이트에 1.3×104개 파종하고, 10% FBS를 함유하는 D-MEM 배지 중, 5% CO2 분위기하, 37℃에서 24시간 배양했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2회 세정한 후, D-MEM 배지(100㎕)로 교환했다. 투과액 1 및 투과액 2 그리고 이것을 각각 PBS를 이용하여 2배로 희석한 액의 각 10㎕를 플레이트 웰에 첨가하고, 5% CO2 분위기하, 37℃에서 24시간 배양했다. 상기 투과액은 유산균의 배양 상청으로부터 분자량 20,000Da를 초과하는 부분을 제거한 것을 그대로 사용했다.
다시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2회 세정한 후 H2O2 및 FeSO4를 각각의 최종 농도가 400μM 및 5μM가 되도록 첨가하고, 5% CO2 분위기하, 37℃에서 6시간 배양했다. 또, 비폭로군은 PBS만을 가한 후, 동일 조건으로 배양했다.
마지막으로, 세포를 크리스털 바이올렛을 이용해 염색하고, 590nm의 흡광도를 생세포수의 지표로 했다. 또, 대조로서 투과액을 이용하지 않고, PBS만의 것을 이용했다. 이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590nm 흡광도
과산화수소
폭로
투과액 1 원액
투과액 1 2배 희석
투과액 2 원액
투과액 2 2배 희석
대조액 (PBS)
0.053
0.035
0.043
0.036
0.023
과산화수소
없음
투과액 1 원액
투과액 2 원액
대조액 (PBS)
0.051
0.064
0.031
상기와 같이, 투과액 1 및 2는 농도 의존적으로 590nm의 흡광도가 높아지며, 세포 보호작용을 가지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 표 1에서의 과산화수소 비폭로(없음)에 대한 과산화수소 폭로의 경우의 세포 생존의 비율을 대비하면, 투과액 1에서는 10.4배이고, 과산화수소 폭로에 의해도 세포수가 감소하고 있지 않았다.
실시예 4
과산화수소 제거 작용:
50μM의 H2O2 액에, 각각 투과액 1 및 투과액 2 그리고 이것들을 PBS로 2, 4 및 8배 희석한 희석액을 가하고, 37℃에서 30분 인큐베이트한 후의 H2O2 농도를 측정했다. 이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H2O2 농도(μM)
투과액 1 투과액 2
그대로(희석 없음)
2배 희석
4배 희석
8배 희석
15.38
17.94
27.09
34.32
16.02
20.06
26.02
33.68
없음 47.30 47.30
이 결과로부터, 투과액 1 및 투과액 2의 과산화수소에 대한 작용은 거의 같았다.
이것으로부터 상기 실시예 3에서 보인 투과액 1의 효과는 과산화수소의 소거 등에 의한 것은 아니고, 다른 메커니즘에 의한 것인 것으로 시사되었다.
실시예 5
화장수의 조제:
하기 조성으로 화장수를 조제했다. 또, 조제 방법은 (7)과 (6)를 혼합하고, 이것에 (1)~(5)를 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화장수를 얻었다. 투과액 1은 배양 상청 저분자 획분을 그대로 사용했다.
원료 사용량(질량%)
(1) 에탄올 5.0
(2) 1,3-부틸렌글리콜 2.0
(3)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0.05
(4) 메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0.1
(5) 향료 0.1
(6) 투과액 1 3.0
(7) 증류수 전체를 100으로 맞춤
실시예 6
유액의 조제:
하기 조성으로, 유액을 조제했다. 또, 조제 방법은 (11)에 (7), (8) 및 (10)을 가하고, 가온한 후, 80℃에서 (1)~(6)를 가하고, 유화한 후, (9)를 가하고, 교반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유액을 얻었다. 투과액 1은 배양 상청 저분자 획분을 그대로 사용했다.
원료 사용량(질량%)
(1) 스테아린산 2.0
(2) 유동 파라핀 5.0
(3) 스쿠알렌 2.0
(4)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05
(5)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2.0
(6) 부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0.05
(7) 글리세린 2.0
(8) 메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0.1
(9) 향료 0.15
(10) 투과액 1 5.0
(11) 투과액 2 전체를 100으로 맞춤
실시예 7
크림의 조제:
하기 조성으로, 크림을 조제했다. 또, 조제 방법은 (14)에 (9), (10), (12) 및 (13)을 가하고, 가온한 후, 80℃에서 (1)~(8)를 가하여 유화하고, 그런 다음, (11)를 가해 교반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여 크림을 얻었다. 투과액 1은 배양 상청 저분자 획분을 그대로 사용했다.
원료 사용량(질량%)
(1) 유동 파라핀 23.0
(2) 바셀린 7.0
(3) 세탄올 1.0
(4) 스테아린산 2.0
(5) 밀랍 2.0
(6)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3.5
(7)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2.5
(8) 부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0.05
(9) 1,3-부틸렌글리콜 1.0
(10) 메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0.1
(11) 향료 0.15
(12) 유산균 배양액 5.0
(13) 투과액 1 1.0
(15) 증류수 전체를 100으로 맞춤
본 발명의 세포 보호제는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과산화수소 등의 손상 물질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세포가 보호되어 세포수가 유지되면 충분한 세포 간 지질의 형성이 일어나, 각층의 배리어 기능이 충실하기 때문에, 수분 손실이 억제되고, 수분 함량이 증가하여, 피부염 등이 개선된다. 또, 노화와 함께 세포수가 감소하므로, 본 발명의 세포 보호제에 의해 항노화 작용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세포 보호제는 과산화수소 등의 손상 물질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피부 외용제나 화장품의 유용한 배합 성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세포 보호제의 유효성분인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에 속하는 유산균의 배양 상청 중의 저분자 획분은 상기와 같이 손상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작용을 가짐으로 이것을 보호하고자 하는 피부 상, 예를 들면 각 층, 기저층 등을 포함하는 표피나 진피 등에 적용하여 피부 세포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 FERMBP-7538 20010131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 FERMBP-10879 20060818

Claims (12)

  1.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에 속하는 유산균의 배양 상청 중의 저분자 획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 보호제.
  2. 제1항에 있어서, 저분자 획분이 유산균 배양 상청을 한외여과 또는 겔 여과하여 얻어진 것인 세포 보호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저분자 획분의 분자량이, 20,000Da이하인 세포 보호제.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에 속하는 유산균이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 YIT2001주(FERM BP-7538) 또는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 YIT2084주(FERM BP-10879)인 세포 보호제.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포에의 손상 물질 폭로시의 세포수 저하를 억제하는 세포 보호제.
  6. 제5항에 있어서, 손상 물질이 활성 산소인 세포 보호제.
  7. 제5항에 있어서, 손상 물질이 히드록시 래디칼인 세포 보호제.
  8.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 기재의 세포 보호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9. 제8항 기재의 화장품이 피부 외용제.
  10.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에 속하는 유산균의 배양 상청 중의 저분자 획분을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피부 상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포의 보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손상 물질 폭로시의 세포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포의 보호 방법.
  12. 세포 보호제를 제조하기 위한 스트렙토코쿠스·써모필루스에 속하는 유산균의 배양 상청 중의 저분자 획분의 사용.
KR1020127033436A 2010-08-27 2011-08-12 세포 보호제 KR201301053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90851 2010-08-27
JP2010190851 2010-08-27
PCT/JP2011/068424 WO2012026346A1 (ja) 2010-08-27 2011-08-12 細胞保護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309A true KR20130105309A (ko) 2013-09-25

Family

ID=4572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436A KR20130105309A (ko) 2010-08-27 2011-08-12 세포 보호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591882B2 (ko)
EP (1) EP2609927A4 (ko)
JP (1) JPWO2012026346A1 (ko)
KR (1) KR20130105309A (ko)
CN (1) CN103118687B (ko)
BR (1) BR112013004785A2 (ko)
TW (1) TWI492768B (ko)
WO (1) WO20120263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751B1 (ko) * 2013-07-05 2022-01-26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르트 혼샤 펜토시딘 생성 저해제
CN105063211B (zh) * 2015-08-13 2018-10-30 黑龙江省绿色食品科学研究院 一种快速评价乳酸菌缓解细胞氧化损伤能力的方法及应用
JP7045671B2 (ja) * 2018-11-12 2022-04-01 有限会社バイオ研 皮膚塗布用の皮膚創傷治癒促進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創傷被覆材
JP2021050176A (ja) * 2019-09-26 2021-04-01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毛髪ダメージ軽減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8584A (ja) 1982-05-14 1983-11-18 Yakult Honsha Co Ltd 抗酸化剤
US4938664A (en) 1989-11-13 1990-07-03 Carrier Corporation Oil reclaim system
JP3172599B2 (ja) 1992-10-16 2001-06-04 株式会社コーセー 細胞賦活剤
US6165982A (en) 1996-11-08 2000-12-26 Seiren Co., Ltd. Use of sericin as antioxidants and tyrosinase inhibitors
JP3610358B2 (ja) * 1996-11-08 2005-01-12 セーレン株式会社 抗酸化剤
JPH11323328A (ja) 1998-05-15 1999-11-26 Yakult Honsha Co Ltd 生体内抗酸化剤
JP4689060B2 (ja) * 2001-03-01 2011-05-25 ビオフェルミン製薬株式会社 免疫賦活組成物
JP3668722B2 (ja) 2002-06-14 2005-07-06 株式会社ラティアクリエイツ 抗酸化用組成物
US20070128303A1 (en) * 2004-02-06 2007-06-07 The University Of Chicago Anti-inflammatory, cytoprotective factor derivable from a probiotic organism
JP2006069969A (ja) 2004-09-02 2006-03-16 Yukihiro Hirose 活性酸素除去機能を有する生体機能調整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用組成物及飲食品用組成物
EP1736537A1 (en) * 2005-06-22 2006-12-27 OrganoBalance GmbH Methods and means for protecting the skin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s
KR20090043491A (ko) 2006-08-30 2009-05-06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루트 혼샤 주름 형성 억제제
BRPI0719431A2 (pt) * 2006-12-01 2013-12-03 Organobalance Gmbh Composição, kit, uso de uma combinação de microorganismo, e, método para a produção da composição ou do kit.
RU2446208C9 (ru) * 2006-12-19 2012-11-10 Басф Се Применение и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лечения кариеса, вызванного mutans streptococci, отличных от streptococcus mutans
CN101588809B (zh) * 2006-12-26 2013-04-24 株式会社明治 皮肤改善用和/或治疗用发酵奶和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64399A1 (en) 2013-06-27
EP2609927A1 (en) 2013-07-03
US8591882B2 (en) 2013-11-26
BR112013004785A2 (pt) 2017-09-19
CN103118687A (zh) 2013-05-22
CN103118687B (zh) 2015-01-07
JPWO2012026346A1 (ja) 2013-10-28
WO2012026346A1 (ja) 2012-03-01
TWI492768B (zh) 2015-07-21
TW201223559A (en) 2012-06-16
EP2609927A4 (en) 201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8369B2 (en) Anti-wrinkle agent
JP2008291004A (ja) 美肌用組成物
CN112842950B (zh) 乳酸菌发酵的桦树汁及其在具有抗环境压力功效的化妆品组合物中的应用
KR102040972B1 (ko)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 활성이 있는 신규한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 UBC-U04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JP5571280B2 (ja) 皮脂産生促進剤
JP2012036128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それを用いた美肌用組成物
KR102056916B1 (ko)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 활성이 있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UBC-U27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KR20130105309A (ko) 세포 보호제
JP2015157774A (ja) ケラチノサイト及び線維芽細胞の脂質過酸化物抑制剤、並びにこれらを使用した皮膚老化防止剤
KR100898311B1 (ko) 두유 복합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65127B1 (ko) 뱀독에서 분리한 신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2019033758A (ja) アブラナ科植物の乳酸菌発酵物、該発酵物を含有する食品、化粧品及び上皮バリア増強剤、並びに該発酵物の製造方法
KR20130089137A (ko) 생캐비어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JP6326413B2 (ja) ペントシジン生成阻害剤
JP2015156832A (ja) アブラナ科植物の乳酸菌発酵物、該発酵物を含有する食品、化粧品及び上皮バリア増強剤、並びに該発酵物の製造方法
JP2014181187A (ja) ケラチノサイト減少抑制剤
JP2014070058A (ja) 腸内フローラ改善剤
JP2010270021A (ja) Ucp遺伝子発現促進剤
JP2009107957A (ja) 保水用組成物
JP5525716B2 (ja) 色素沈着抑制剤
JP2019023203A (ja) フィラグリン及びインボルクリンの発現促進剤
JP2012067042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コラーゲン遺伝子発現促進剤
KR102194314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녹차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JP2009120517A (ja) 腸内フローラ改善剤
JP2011068619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遺伝子発現抑制剤及びセラミダーゼ遺伝子発現抑制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美肌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