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668A - 실링 캡 및 이를 이용한 휠 베어링 조립체 - Google Patents

실링 캡 및 이를 이용한 휠 베어링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4668A
KR20130104668A KR1020120026358A KR20120026358A KR20130104668A KR 20130104668 A KR20130104668 A KR 20130104668A KR 1020120026358 A KR1020120026358 A KR 1020120026358A KR 20120026358 A KR20120026358 A KR 20120026358A KR 20130104668 A KR20130104668 A KR 20130104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ring
hub
sealing
ring
out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1611B1 (ko
Inventor
김병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to KR1020120026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611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23Shaft end sealing means, e.g. cup-shaped cap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12Torque-transmitting axles
    • B60B35/18Arrangement of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38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 F16C19/383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with tapered rollers, i.e. rollers having essentially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 F16C19/385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with tapered rollers, i.e. rollers having essentially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with two rows, i.e. double-row tapered roller bearings
    • F16C19/38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with tapered rollers, i.e. rollers having essentially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with two rows, i.e. double-row tapered roller bearings in O-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2Wheel hubs or ca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링 캡 및 이를 이용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측에 휠을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되고 내측에 단차면이 형성된 허브, 상기 허브를 감싸는 외륜, 상기 허브의 단차면에 압입되는 내륜, 상기 허브와 상기 외륜 사이 및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에 제공되는 구름 부재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 캡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내측에서 상기 허브, 상기 내륜 및 상기 외륜을 감싸면서 상기 외륜에 결합되는 실링 바디 및 상기 실링 바디로부터 상기 내륜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내륜의 둘레를 따라 접촉되어 상기 실링 바디가 형성하는 공간을 분리시키는 실링 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링 캡 및 이를 이용한 휠 베어링 조립체{SEALING CAP AND WHEEL BEARING ASSEMBLY THEREOF}
본 발명은 실링 캡 및 이를 이용한 휠 베어링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용 휠 베어링 조립체에 설치되는 실링 캡 및 이의 휠 베어링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베어링은 회전 및 직선 운동을 하는 축을 지지하며, 슬라이딩 베어링과 구름 베어링으로 구별된다. 구름 베어링은 내륜과 외륜 사이에 구름 부재를 게재하여 구름 접촉에 의해 마찰을 경감시킨다.
이와 같은 구름 베어링은 다양한 장치에 이용된다. 특히, 차량의 주행을 위해 엔진의 동력을 휠에 전달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에 이용된다. 차량의 휠이 엔진의 동력을 손실없이 지면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휠 샤프트와 휠 사이에 휠 베어링을 설치하여 회전 마찰에 따른 동력 손실을 최소화한다.
휠 베어링 조립체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륜 휠 베어링 조립체와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종동륜 휠 베어링 조립체로 나뉘며, 구동륜 휠 베어링에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브 샤프트가 연결된다.
휠 베어링 조립체는 허브, 외륜 및 내륜이 결합되며, 허브와 외륜 사이 또는 내륜과 외륜 사이에 구름 부재가 게재된다. 일반적인 베어링과 같이, 휠 베어링도 내륜과 외륜 사이 또는 허브와 외륜 사이 즉, 내륜 궤도와 외륜 궤도 사이에 게재된 다수 개의 구름 부재는 리테이너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또한, 휠 베어링 조립체는 구름 부재에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허브와 외륜 사이 및/또는 내륜과 외륜 사이에 실링 부재를 장착한다. 실링 부재는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구름 부재의 작동을 위한 윤활유가 누유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휠 베어링 조립체 중 드라이브 샤프트가 연결되지 않는 종동륜 휠 베어링 조립체의 경우, 휠 베어링 조립체 내부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체에 가까운 측(이하, '내측'이라 함)으로 실링 캡을 장착한다.
이러한 실링 캡은 허브, 내륜 및 외륜의 일면을 폐쇄시켜 외부와 차단할 뿐 구름 부재의 작동을 위한 윤활유가 외륜과 내륜 사이의 공간을 벗어나 허브 내로 유입되는 것까지 차단하지 못한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실링 캡 이외에 윤활유 차단 부재를 별도로 실링 캡 내부의 외륜에 장착하여 사용하였으며, 상기 차단 부재는 외륜에 장착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이나 스틸 재질로 성형된다. 그러나, 내륜 및 허브 또는 외륜이 회전하는 구조에서는 드래그 토크 및 차단 부재의 내구성의 문제 때문에 윤활유 차단 부재가 내륜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못하고 소정의 틈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윤활유가 외륜과 내륜 사이의 공간을 벗어나 허브 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휠 베어링 조립체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내부 윤활유가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 캡 및 이를 이용한 휠 베어링 조립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부품 수를 줄여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는 실링 캡 및 이를 이용한 휠 베어링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측에 휠을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되고 내측에 단차면이 형성된 허브, 상기 허브를 감싸는 외륜, 상기 허브의 단차면에 압입되는 내륜, 상기 허브와 상기 외륜 사이 및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에 제공되는 구름 부재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 캡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내측에서 상기 허브, 상기 내륜 및 상기 외륜을 감싸면서 상기 외륜에 결합되는 실링 바디 및 상기 실링 바디로부터 상기 내륜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내륜의 둘레를 따라 접촉되어 상기 실링 바디가 형성하는 공간을 분리시키는 실링 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링 립이 상기 내륜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 립은 상기 내륜의 외주면과 일정한 각을 이루도록 상기 실링 바디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 립은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 바디는 상기 허브와 내륜을 감싸면서 상기 내륜을 향하여 절곡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의 공간을 감싸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외륜의 내주면에 압입되면서 상기 외륜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외륜의 외주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외륜의 내주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2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외륜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 3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외륜의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 립은 상기 커버부가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절곡되는 위치에서 상기 내륜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내륜을 향하여 절곡된 후 상기 내륜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절곡된 후 상기 외륜의 내주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버부로부터 절곡된 후 상기 외륜의 내주면과 끝단면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 바디는 상기 허브와 내륜을 감싸면서 상기 내륜을 향하여 절곡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의 공간을 감싸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외륜의 외주면을 따라 절곡되어 상기 외륜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내경이 상기 외륜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내경은 상기 외륜의 외주면를 따라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 립은 상기 커버부가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절곡되는 위치에서 상기 내륜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는 바깥쪽에 휠을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되고 안쪽에 단차면이 형성된 허브와, 상기 허브를 감싸는 외륜과, 상기 허브의 단차면에 압입되는 내륜과, 상기 허브와 상기 외륜 사이 및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에 제공되는 구름 부재 및 상기 허브의 안쪽에 제공되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 캡을 포함하되, 상기 실링 캡은 상기 허브, 상기 내륜 및 상기 구름 부재가 제공되는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의 공간을 이격되게 감싸고, 상기 외륜에 결합되는 실링 바디 및 상기 실링 바디로부터 상기 내륜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내륜의 둘레를 따라 접촉되어 상기 실링 바디가 형성하는 공간을 분리시키는 실링 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링 립이 상기 내륜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 립은 상기 내륜의 외주면과 일정한 각을 이루도록 상기 실링 바디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휠 베어링 조립체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내부 윤활유가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휠 베어링 조립체에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실링 캡만으로 휠 베어링 조립체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내부 윤활유가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실링 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실링 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는 도 7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은 도 7의 실링 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실링 캡(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휠 베어링 조립체(1)는 허브(10), 내륜(20), 외륜(30), 구름 부재(50), 실링 캡(100)을 포함한다.
허브(10)는 실린더 형상으로, 차량의 휠(도시하지 않음)이 결합된다. 허브(10)의 일측(이하, '외측'이라 함)에는 반경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플랜지(12)를 형성하고 허브 축(X1) 방향으로 돌출하여 파일럿(16)을 형성한다. 플랜지(12)에는 볼트공(14)이 천공되어 있어 차량의 휠이 볼트 등의 결합 수단으로 허브(10)에 결합할 수 있으며, 파일럿(16)은 허브(10)에 휠을 장착할 시 휠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허브(10)의 타측(이하, '내측'이라 함)에는 단차부(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단차부(18)에 말단부(17)가 연장된다. 말단부(17)는 오비탈 포밍 전에는 허브 축(X1) 방향으로 평행하게 직선 형태로 연장되나, 오비탈 포밍 후에는 반경 바깥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된다. 허브(10)는 단차부(18)와 플랜지(12) 사이의 외주면에 제 1 내륜 궤도(19)가 형성된다.
내륜(20)은 허브(10)의 단차부(18)에 압입되며, 내륜(20)의 외주면에는 제 2 내륜 궤도(29)가 형성된다. 즉, 내륜(20)은 허브(1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내륜(20)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을 따라 제 2 내륜 궤도(29)가 형성된다.
외륜(30)은 허브(10)의 반경 바깥쪽을 둘러싸며 제공되는 데, 중심축을 따라 허브(10) 및 내륜(20)이 삽입되는 장착홀이 형성된다. 외륜(30)의 반경 내측면에는 제 1 내륜 궤도(19)와 제 2 내륜 궤도(29)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외륜 궤도(39a, 39b)가 형성되어 있으며, 반경 외측면의 일부는 반경 외측으로 돌출되어 플랜지(32)를 형성한다. 플랜지(32)에는 볼트공(34)이 천공되어 볼트 등의 결합 수단에 의하여 외륜(30)이 차체에 결합된다.
구름 부재(50)는 허브(10)와 외륜(30) 사이 및/또는 내륜(20)과 외륜(30) 사이에 복수 개가 제공된다. 즉, 구름 부재(50)는 제 1 내륜 궤도(19)와 제 1 외륜 궤도(39a) 사이 및/또는 제 2 내륜 궤도(29)와 제 2 외륜 궤도(39b) 사이에 각각 개재된다. 구름 부재(50)는 제 1 구름 부재(52)와 제 2 구름 부재(54)를 포함한다. 제 1 구름 부재(52)는 허브(10)와 외륜(30) 사이 즉, 제 1 내륜 궤도(19)와 제 1 외륜 궤도(39a) 사이에 제공된다. 제 2 구름 부재(54)는 내륜(20)과 외륜(30) 사이 즉, 제 2 내륜 궤도(29)와 제 2 외륜 궤도(39b) 사이에 제공된다. 구름 부재(50)는 궤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름 부재(50)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구름 부재(50)는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구름 부재(50)는 볼 형상일 수 있다. 복수 개의 구름 부재(50)는 리테이너(60)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실링 부재(40)는 허브(10)의 외측 플랜지와 외륜(30) 사이에 장착되어 차량의 외부로부터 구름부재(50)에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링 캡(100)은 허브(10)의 내측에 제공되어 차체로부터 휠 베어링 조립체(1)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링 캡(100)은 실링 바디(110)와 실링 립(120)을 포함한다.
실링 바디(110)는 허브(10)의 내측에서 허브(10), 내륜(20) 및 외륜(30)을 감싸면서 외륜(30)에 결합된다. 즉, 실링 바디(110)는 허브(10)의 내측에서 휠 베어링 조립체(1)의 일면을 덮어 폐쇄시킨다. 실링 바디(110)는 허브(10), 내륜(20)으로부터 이격된 채로 장착된다. 실링 바디(110)는 플라스틱과 같이 단단한 합성 소재 또는 금속 재질로 성형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링 바디(110)는 외륜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실링 바디(110)는 외륜(30)의 내측 내주면에 압입된다.
실링 바디(110)는 메인 바디(112), 커버부(114) 그리고 결합부(116)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112)는 허브(10)와 내륜(20)으로부터 이격된 채로 허브(10)와 내륜(20)을 감싸고 내륜(20)을 향하여 절곡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바디(112)는 허브(1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다가 내륜(20)에 인접할 때 내륜(20)을 향하여 경사지게 절곡된다.
커버부(114)는 메인 바디(112)로부터 연장되어 내륜(20)과 외륜(30) 사이의 공간을 감싼다. 구체적으로, 커버부(114)는 메인 바디(112)로부터 절곡되어 외륜(30)의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결합부(116)는 커버부(114)로부터 연장되고, 외륜(30)의 내주면에 압입되면서 상기 외륜(30)에 결합된다. 결합부(116)는 제 1 결합부(117), 제 2 결합부(118) 및 제 3 결합부(119)를 포함한다.
제 1 결합부(117)는 외륜(30)의 외주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 2 결합부(118)는 제 1 결합부(117)로부터 절곡되어 외륜(30)의 내주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 3 결합부(119)는 제 2 결합부(118)로부터 절곡되어 외륜(3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실링 립(120)은 실링 바디(110)에 결합되어 내륜(20)을 향하여 돌출되고, 내륜(20)의 둘레를 따라 접촉되어 실링 바디(110)가 형성하는 공간을 분리시킨다. 즉, 구름 부재의 구동을 위한 윤활유가 외륜(30)과 내륜(2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누유되지 않도록 실링 립(120)을 형성한다. 실링 립(120)은 고무 재질로 실링 바디(110)에 결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링 립(120)은 탄성력 있는 유연한 재질의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실링 립(120)은 내륜(20)에 접촉되어 있지만 내륜(20) 및 외륜(3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즉, 드래그 토그의 증가를 최소화한다.) 윤활유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다.
실링 립(120)은 그 끝단이 내륜(2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링 립(120)은 내륜(20)의 다양한 면에 접촉되어 실링 바디(110)가 형성하는 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실링 립(120)은 내륜(20)의 외주면에 접촉될 때, 내륜(20)의 외주면과 일정한 각을 이루도록 실링 바디(1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링 립(120)은 내륜(20)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지점의 실링 바디(110)로부터 돌출되어 내륜(2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링 립(120)은 커버부(114)가 메인 바디(112)로부터 절곡되는 위치에서 내륜(20)을 향하여 돌출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링 립(120)은 실링 바디(110)로부터 돌출되는 지점에 따라 내륜(20)의 외주면과 다양한 각도를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1)의 실링 캡(100)은 휠 베어링 조립체(1)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윤활유가 누유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2)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실링 캡(2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휠 베어링 조립체(2)는 허브(10), 내륜(20), 외륜(30), 구름 부재(50), 실링 캡(200)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휠 베어링 조립체(2)의 허브(10), 내륜(20), 외륜(30), 구름 부재(50), 리테이너(60), 실링 부재(40)는 도 1에 도시된 휠 베어링 조립체(1)의 허브(10), 내륜(20), 외륜(30), 구름 부재(50), 리테이너(60), 실링 부재(40)와 동일하게 제공된다. 따라서, 허브(10), 내륜(20), 외륜(30), 구름 부재(50), 리테이너(60), 실링 부재(40)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실링 캡(200)은 허브(10)의 내측에 제공되어 차체로부터 휠 베어링 조립체(2)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링 캡(200)은 실링 바디(210)와 실링 립(220)을 포함한다.
실링 바디(210)는 허브(10)의 내측에서 허브(10), 내륜(20) 및 외륜(30)을 감싸면서 외륜(30)에 결합된다. 즉, 실링 바디(210)는 허브(10)의 내측에서 휠 베어링 조립체(2)의 일면을 덮어 폐쇄시킨다. 실링 바디(210)는 허브(10), 내륜(20)으로부터 이격된 채로 장착된다. 실링 바디(210)는 플라스틱과 같이 단단한 합성 소재 또는 금속 재질로 성형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링 바디(210)는 외륜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바디(210)는 메인 바디(212), 커버부(214) 그리고 결합부(216)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212)는 허브(10)와 내륜(20)으로부터 이격된 채로 허브(10)와 내륜(20)을 감싸고 내륜(20)을 향하여 절곡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바디(212)는 허브(1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다가 내륜(20)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절곡된 후 내륜(2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된다.
커버부(214)는 메인 바디(212)로부터 연장되어 내륜(20)과 외륜(30) 사이의 공간을 감싼다. 구체적으로, 커버부(214)는 메인 바디(212)로부터 절곡된 후 외륜(30)의 내주면 방향으로 형성된다.
결합부(216)는 커버부(214)로부터 연장되고, 외륜(30)의 내주면에 압입되면서 외륜(3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결합부(216)는 커버부(214)로부터 절곡된 후 외륜(30)의 내주면과 끝단면 접하도록 형성된다.
실링 립(220)은 실링 바디(210)로부터 내륜(20)을 향하여 돌출되고, 내륜(20)의 둘레를 따라 접촉되어 실링 바디(210)가 형성하는 공간을 분리시킨다. 즉, 구름 부재(50)의 구동을 위한 윤활유가 외륜(30)과 내륜(2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누유되지 않도록 실링립을 형성한다. 실링 립(220)은 고무 재질로 실링 바디(210)에 결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링 립(220)은 탄성력 있는 유연한 재질의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실링 립(220)은 내륜(20)에 접촉되어 있지만 내륜(20) 및 외륜(3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즉, 드래그 토그의 증가를 최소화한다.) 윤활유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다.
실링 립(220)은 그 끝단이 내륜(2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링 립(220)은 내륜(20)의 다양한 면에 접촉되어 실링 바디(210)가 형성하는 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실링 립(220)은 내륜(20)의 외주면에 접촉될 때, 내륜(20)의 외주면과 일정한 각을 이루도록 실링 바디(2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링 립(220)은 내륜(20)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지점의 실링 바디(210)로부터 돌출되어 내륜(2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링 립(220)은 커버부(214)가 메인 바디(212)로부터 절곡되는 위치에서 내륜(20)을 향하여 돌출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링 립(220)은 실링 바디(210)로부터 돌출되는 지점에 따라 내륜(20)의 외주면과 다양한 각도를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2)의 실링 캡(200)은 휠 베어링 조립체(2)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윤활유가 누유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3)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는 도 7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9은 도 7의 실링 캡(3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를 참조하면, 휠 베어링 조립체(3)는 허브(10), 내륜(20), 외륜(30), 구름 부재(50), 실링 캡(300)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휠 베어링 조립체(1)의 허브(10), 내륜(20), 외륜(30), 구름 부재(50), 리테이너(60), 실링 부재(40)는 도 1에 도시된 휠 베어링 조립체(1)의 허브(10), 내륜(20), 외륜(30), 구름 부재(50), 리테이너(60), 실링 부재(40)와 동일하게 제공된다. 따라서, 허브(10), 내륜(20), 외륜(30), 구름 부재(50), 리테이너(60), 실링 부재(40)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실링 캡(300)은 허브(10)의 내측에 제공되어 차체로부터 휠 베어링 조립체(3)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링 캡(300)은 실링 바디(310)와 실링 립(320)을 포함한다.
실링 바디(310)는 허브(10)의 내측에서 허브(10), 내륜(20) 및 외륜(30)을 감싸면서 외륜(30)에 결합된다. 즉, 실링 바디(310)는 허브(10)의 내측에서 휠 베어링 조립체(3)의 일면을 덮어 폐쇄시킨다. 실링 바디(310)는 허브(10), 내륜(20)으로부터 이격된 채로 장착된다. 실링 바디(310)는 플라스틱과 같이 단단한 합성 소재 또는 금속 재질로 성형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링 바디(310)는 외륜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바디(310)는 메인 바디(312), 커버부(314) 그리고 결합부(316)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312)는 허브(10)와 내륜(20)으로부터 이격된 채로 허브(10)와 내륜(20)을 감싸고 내륜(20)을 향하여 절곡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바디(312)는 허브(1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다가 내륜(20)에 인접할 때 내륜(20)향하여 경사지게 절곡된다.
커버부(314)는 메인 바디(312)로부터 연장되어 내륜(20)과 외륜(30) 사이의 공간을 감싼다. 구체적으로, 커버부(314)는 메인 바디(312)로부터 메인 바디(312)로부터 절곡되어 외륜(30)의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결합부(316)는 커버부(314)로부터 연장되다가 외륜(30)의 외주면을 따라 절곡되어 외륜(3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결합부(316)는 외륜(30)의 외주면을 따라 절곡시, 결합부(316)의 내경이 외륜(30)의 외경보다 더 작도록 절곡한다. 일 예에 의하면, 결합부(316)의 끝단부(318)의 내경이 절곡부(317)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즉, 결합부(316)는 외륜(30)의 외주면을 따라 안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실링 립(320)은 실링 바디(310)에 결합되어 내륜(20)을 향하여 돌출되고, 내륜(20)의 둘레를 따라 접촉되어 실링 바디(310)가 형성하는 공간을 분리시킨다. 즉, 구름 부재의 구동을 위한 윤활유가 외륜(30)과 내륜(2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누유되지 않도록 실링 립(320)을 형성한다. 실링 립(320)은 고무 재질로 실링 바디(310)에 결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링 립(320)은 탄성력 있는 유연한 재질의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실링 립(320)은 내륜(20)에 접촉되어 있지만 내륜(20) 및 외륜(3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즉, 드래그 토그의 증가를 최소화한다.) 윤활유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다.
실링 립(320)은 그 끝단이 내륜(2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링 립(320)은 내륜(20)의 다양한 면에 접촉되어 실링 바디(310)가 형성하는 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실링 립(320)은 내륜(20)의 외주면에 접촉될 때, 내륜(20)의 외주면과 일정한 각을 이루도록 실링 바디(3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링 립(320)은 내륜(20)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지점의 실링 바디(310)로부터 돌출되어 내륜(2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링 립(320)은 커버부(314)가 메인 바디(312)로부터 절곡되는 위치에서 내륜(20)을 향하여 돌출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링 립(320)은 실링 바디(310)로부터 돌출되는 지점에 따라 내륜(20)의 외주면과 다양한 각도를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3)의 실링 캡(300)은 휠 베어링 조립체(3)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윤활유가 누유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의 실시예들에서는 허브에 제 1 내륜 궤도가 형성된 휠 베어링 조립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내륜 궤도가 형성된 내륜이 허브에 장착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휠 베어링 조립체에 상기 실링 캡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2,3 휠 베어링 조립체
10 허브 20 내륜
30 외륜 40 실링 부재
50 구름 부재 60 리테이너
100,200,300 실링 캡
110,210,310 실링 바디
112,212,312 메인 바디 114,214,314 커버부
116,216,316 결합부
120,220,320 실링 립

Claims (17)

  1. 외측에 휠을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되고 내측에 단차면이 형성된 허브, 상기 허브를 감싸는 외륜, 상기 허브의 단차면에 압입되는 내륜, 상기 허브와 상기 외륜 사이 및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에 제공되는 구름 부재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 캡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내측에서 상기 허브, 상기 내륜 및 상기 외륜을 감싸면서 상기 외륜에 결합되는 실링 바디; 및
    상기 실링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내륜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내륜의 둘레를 따라 접촉되어 상기 실링 바디가 형성하는 공간을 분리시키는 실링 립;
    을 포함하는 실링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립이 상기 내륜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실링 캡.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립은 상기 내륜의 외주면과 일정한 각을 이루도록 상기 실링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실링 캡.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립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캡.
  5.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바디는
    상기 허브와 내륜을 감싸면서 상기 내륜을 향하여 절곡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의 공간을 감싸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외륜의 내주면에 압입되면서 상기 외륜에 결합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실링 캡.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외륜의 외주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외륜의 내주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2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외륜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 3 결합부;
    를 포함하는 실링 캡.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외륜의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실링 캡.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립은 상기 커버부가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절곡되는 위치에서 상기 내륜을 향하여 돌출되는 실링 캡.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내륜을 향하여 절곡된 후 상기 내륜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절곡된 후 상기 외륜의 내주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버부로부터 절곡된 후 상기 외륜의 내주면과 끝단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실링 캡.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립은 상기 커버부가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절곡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내륜을 향하여 돌출되는 실링 캡.
  11.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바디는
    상기 허브와 내륜을 감싸면서 상기 내륜을 향하여 절곡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의 공간을 감싸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외륜의 외주면을 따라 절곡되어 상기 외륜에 결합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실링 캡.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내경이 상기 외륜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실링 캡.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내경은 상기 외륜의 외주면를 따라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실링 캡.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립은 상기 커버부가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절곡되는 위치에서 상기 내륜을 향하여 돌출되는 실링 캡.
  15. 외측에 휠을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되고 내측에 단차면이 형성된 허브;
    상기 허브를 감싸는 외륜;
    상기 허브의 단차면에 압입되는 내륜;
    상기 허브와 상기 외륜 사이 및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에 제공되는 구름 부재; 및
    상기 허브의 내측에 제공되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 캡;
    을 포함하되,
    상기 실링 캡은
    상기 허브, 상기 내륜 및 상기 구름 부재가 제공되는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의 공간을 이격되게 감싸고, 상기 외륜에 결합되는 실링 바디; 및
    상기 실링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내륜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내륜의 둘레를 따라 접촉되어 상기 실링 바디가 형성하는 공간을 분리시키고, 고무 재질로 형성된 실링 립;
    을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립이 상기 내륜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실링 립은 상기 내륜의 외주면과 일정한 각을 이루도록 상기 실링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
KR1020120026358A 2012-03-15 2012-03-15 실링 캡 및 이를 이용한 휠 베어링 조립체 KR101411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358A KR101411611B1 (ko) 2012-03-15 2012-03-15 실링 캡 및 이를 이용한 휠 베어링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358A KR101411611B1 (ko) 2012-03-15 2012-03-15 실링 캡 및 이를 이용한 휠 베어링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668A true KR20130104668A (ko) 2013-09-25
KR101411611B1 KR101411611B1 (ko) 2014-06-25

Family

ID=49453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358A KR101411611B1 (ko) 2012-03-15 2012-03-15 실링 캡 및 이를 이용한 휠 베어링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6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477A (ko) 2017-07-19 2019-01-29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 휠 베어링용 실링 캡
CN110925315A (zh) * 2019-12-31 2020-03-27 江门市鑫辉密封科技有限公司 卡车轮毂密封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28261D0 (en) * 1985-11-15 1985-12-18 Burgess Eng Ltd G N Sealing device
JP2513750Y2 (ja) * 1989-07-20 1996-10-09 日本精工株式会社 ハブユニット用キャップと自動車の車軸用ハブユニット
JP5142007B2 (ja) 2006-06-02 2013-02-13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ハブユニット及びハブ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5415773B2 (ja) 2009-01-09 2014-02-12 Ntn株式会社 車輪用軸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477A (ko) 2017-07-19 2019-01-29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 휠 베어링용 실링 캡
CN110925315A (zh) * 2019-12-31 2020-03-27 江门市鑫辉密封科技有限公司 卡车轮毂密封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611B1 (ko)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1649B2 (ja) 環状密封装置
US8734022B2 (en) Sealing device for a hub and a bearing assembly including the sealing device
US11306773B2 (en) Wheel bearing device
JP2017207124A (ja) 車輪用軸受装置
CN210978234U (zh) 带密封装置的轮毂单元轴承
JP5760470B2 (ja) 車輪用転がり軸受装置
JP6730786B2 (ja) 車輪用軸受装置
JP5100056B2 (ja) 車輪用軸受装置
EP3309430B1 (en) Sealing device
US7926817B2 (en) Sealing apparatus and bea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70131974A (ko) 슬링거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차량용 휠 베어링 조립체
KR101411611B1 (ko) 실링 캡 및 이를 이용한 휠 베어링 조립체
JP6012803B2 (ja) 車輪用軸受装置
JP2017036812A (ja) 車輪用軸受装置
JP2010002009A (ja) 転動装置
JP2009074589A (ja) 密封装置
JP7119992B2 (ja) ハブユニット軸受
CN114514383A (zh) 密封装置
KR101686625B1 (ko) 실링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휠 베어링 조립체
JP2009024809A (ja) 密封装置および転がり軸受装置
KR20160000724A (ko) 엔코더 씰 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휠 베어링
US10107339B2 (en) Clutch release bearing device
KR101995198B1 (ko) 차량용 휠 베어링
EP4155564A1 (en) Sealing device
KR101454904B1 (ko) 실링 캡 및 이를 이용한 휠 베어링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