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768A - 분사 펌프 - Google Patents

분사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3768A
KR20130103768A KR1020137014444A KR20137014444A KR20130103768A KR 20130103768 A KR20130103768 A KR 20130103768A KR 1020137014444 A KR1020137014444 A KR 1020137014444A KR 20137014444 A KR20137014444 A KR 20137014444A KR 20130103768 A KR20130103768 A KR 20130103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lunger
fluid chamber
injection pump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2231B1 (ko
Inventor
호깐 뉘네스
외스따 릴옌?뜨
Original Assignee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filed Critical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Publication of KR20130103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02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 F02M59/1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characterised by the piston-drive
    • F02M59/102Mechanical drive, e.g. tappets or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02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 F02M59/04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characterised by special arrangement of cylinders with respect to piston-driving shaft, e.g. arranged parallel to that shaft or swash-plate typ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02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 F02M59/1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characterised by the piston-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24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 F02M59/26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caused by movements of pistons relative to their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24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 F02M59/26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caused by movements of pistons relative to their cylinders
    • F02M59/265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caused by movements of pistons relative to their cylind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form of spill port of spill contour on the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24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 F02M59/26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caused by movements of pistons relative to their cylinders
    • F02M59/28Mechanis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 기관용 분사 펌프 (1) 에 관한 것으로, 분사 펌프는, 펌프 보디 (2), 펌프 보디 (2) 내측에 배치되고 상호 유체 연통하는 제 1 유체 챔버 (15) 및 제 2 유체 챔버 (16), 제 1 유체 챔버 (15) 안으로 돌출하는 제 1 왕복 플런저 (3), 제 2 유체 챔버 (16) 내측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제 2 플런저 (4), 제 1 유체 챔버 (15) 와 유체 연통하는 제 1 유체 포트 (11) 및 제 2 유체 챔버 (16) 와 유체 연통하는 제 2 유체 포트 (12) 를 포함한다. 유체 공급 채널 (10) 은 제 1 유체 포트 (11) 및/또는 제 2 유체 포트 (12) 를 통해 제 1 유체 챔버 (15) 및/또는 제 2 유체 챔버 (16) 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출구 (14) 는 제 1 유체 챔버 (15) 및/또는 제 2 유체 챔버 (16) 와 유체 연통한다. 제 1 플런저 (3) 와 제 2 플런저 (4) 는 상이한 직경을 가진다.

Description

분사 펌프{INJECTION PUMP}
본 발명은 청구항 1 의 전제부에 규정된 바와 같은, 내연 기관용 분사 펌프에 관한 것이다.
압축 점화 내연 기관의 연료 분사 펌프로서 높은 분사 압력을 생성할 수 있는 분사 펌프가 필요하다. 특히 대형 내연 기관에서, 유사한 분사 펌프가 기관의 방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물과 같은 다른 유체를 분사하도록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대형 내연 기관이라는 표현은 여기서는 예컨대 발전소에서 사용되거나 선박의 메인 또는 보조 기관으로서 사용되는 엔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EP 0715070 A1 는 압력 매체를 내연 기관의 실린더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 펌프를 개시한다. 펌프는 공통 펌프 보디 내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왕복 피스톤 부재를 포함한다. 피스톤 부재에는, 피스톤 부재들 중 하나의 피스톤 부재의 제어 엣지가 분사의 개시 순간을 결정하고 다른 피스톤 부재의 제어 엣지가 분사의 종료를 결정하도록 제어 엣지가 제공된다. 이러한 종류의 분사 펌프로 높은 분사 압력이 달성될 수 있으며, 분사 타이밍이 조절될 수 있다. 하지만, EP 0715070 A1 의 구성은 피스톤 부재가 배치되는 챔버들 간의 유체 유동에 관하여 다소 취약하다. 또한 그 구성은 효과적으로 밀봉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내연 기관용 분사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사 펌프의 특징적인 특징들은 청구항 1 의 특징부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내연 기관용 분사 펌프는 펌프 보디, 펌프 보디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유체 챔버 및 제 2 유체 챔버를 포함한다. 제 1 유체 챔버 및 제 2 유체 챔버는 상호 유체 연통한다. 제 1 왕복 플런저는 펌프 보디 내측에 배치되고 제 1 유체 챔버 안으로 돌출한다. 또한, 펌프는 제 2 유체 챔버 내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제 2 플런저를 포함하고, 제 1 유체 포트는 제 1 유체 챔버와 유체 연통하며, 제 2 유체 포트는 제 2 유체 챔버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공급 채널은 제 1 유체 포트 및/또는 제 2 유체 포트를 통해 제 1 유체 챔버 및/또는 제 2 유체 챔버와 유체 연통하며, 유체 출구는 제 1 유체 챔버 및/또는 제 2 유체 챔버와 유체 연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 1 플런저 및 제 2 플런저는 상이한 직경을 가진다.
플런저들 중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때에, 제 1 유체 챔버와 제 2 유체 챔버 사이의 유체 유동은 감소한다. 또한 펌프 보디는 보다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이점은 분사 펌프의 밀봉이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제 2 플런저의 직경은 제 1 플런저의 직경보다 더 작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제 2 플런저의 직경은 제 1 플런저의 직경의 50 퍼센트 미만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제 2 플런저의 직경은 제 1 플런저의 직경의 15 퍼센트 미만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제 1 플런저는 유체 분사의 개시점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되고, 제 2 플런저는 유체 분사의 종료점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된다. 제 2 플런저의 직경이 제 1 플런저의 직경보다 더 작은 경우, 제 2 플런저를 회전시키기 위해 더 적은 힘을 필요로 한다. 많은 경우들에 있어서, 분사의 종료점은 분사의 개시점보다 더 자주 조절되고, 따라서 유체 분사의 종료점을 제어하기 위해 제 2 플런저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제 2 플런저는 유체 분사의 개시점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되고 제 1 플런저는 유체 분사의 종료점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제 1 플런저는, 제 1 유체 포트와 유체 연통하는 때에, 제 1 유체 챔버로부터의 유출을 허용하기 위해 회전 비대칭 컷 아웃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분사 펌프는 제 1 플런저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컷 아웃부 및 회전 수단은 유체 분사의 개시점 및/또는 종료점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제 2 플런저는, 제 2 유체 포트와 유체 연통 상태에 있을 때에, 제 2 유체 챔버로부터 유출을 허용하기 위한 회전 비대칭 컷 아웃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분사 펌프는 제 2 플런저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컷 아웃부 및 회전 수단은 유체 분사의 개시점 및/또는 종료점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분사 펌프는 제 1 유체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제 3 유체 포트를 포함한다. 제 1 유체 챔버가 두 개의 별개의 유체 포트를 포함하는 경우, 유체 포트 중 하나는 유체를 유체 챔버로 도입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반면, 다른 하나는 분사의 종료 시에 챔버로부터 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분사 펌프는 제 1 유체 챔버를 제 2 유체 챔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덕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연결 덕트는 제 1 및 제 2 유체 챔버의 출구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연결 덕트의 단부들은 제 1 유체 챔버와 제 2 유체 챔버의 양 단부들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유체 출구는 제 1 유체 챔버와만 유체 연통한다.
연결 덕트가 유체 챔버의 단부들과 연결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때에, 그리고 유체 출구가 제 1 유체 챔버와만 유체 연통하는 때에, 제 2 플런저는 제 2 플런저가 유체를 가압하기 위해 이용되지 않도록 연결 덕트를 차단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펌프의 더 우수한 효율이 달성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또한 제 2 유체 챔버 내의 압력은 낮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제 1 및 제 2 유체 포트는 유체 공급 채널과 유체 연통한다. 동일한 유체 포트가 유체 입구 및 스필 (spill) 포트로서 작동하는 때에, 과잉 유체를 수집하기 위한 별개의 덕트들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분사 펌프는 제 1 플런저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러스트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제 2 플런저는 스러스트 수단에 의해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 2 플런저가 제 1 플런저와 같은 스러스트 수단에 의해 이동되면, 분사 펌프는 캠 샤프트의 단일 캠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분사 펌프는 연료 분사 펌프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분사 펌프를 도시한다.
도 2 는 압축 스트로크의 종료시의 도 1 의 분사 펌프를 도시한다.
도 3 은 제 2 플런저용의 설계 옵션을 도시한다.
도 4 는 제 2 플런저용의 다른 설계 옵션을 도시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분사 펌프를 도시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추가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분사 펌프를 도시한다.
도 7 은 전기 분사 타이밍을 이용하는 분사 펌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분사 펌프 (1) 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다. 펌프 (1) 는, 예컨대 내연 기관의 실린더로 노즐 (25) 을 통해 분사되는 유체, 예컨대 연료를 가압하기 위해 사용된다. 분사 펌프 (1) 는 펌프 보디 (2) 를 포함한다. 펌프 보디 (2) 는 하부 보디 파트 (2a) 와 상부 보디 파트 (2b) 로 형성된다. 펌프 보디 (2) 내측에는, 내부 보디 파트 (20) 가 있다. 내부 보디 파트 (20) 내측의 원통형 공간은 제 1 유체 챔버 (15) 를 형성한다. 또한, 제 2 유체 챔버 (16) 를 형성하는 내부 보디 파트 (20) 내측의 원통형 공간이 존재한다. 제 1 왕복 플런저 (3) 는 제 1 유체 챔버 (15) 로 돌출하고, 제 2 플런저 (4) 는 제 2 유체 챔버 (16) 로 돌출한다. 제 1 플런저 (3) 는 펌프 보디 (2) 내측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는 스러스트 수단 (5) 에 부착된다. 스러스트 수단 (5) 은 캠 샤프트의 캠 (6) 에 대항하여 회전할 수 있는 롤러 (5a) 를 포함한다. 제 2 플런저 (4) 는 제 1 플런저 (3) 와 동일한 스러스트 수단 (5) 에 부착된다. 또한, 분사 펌프 (1) 에는 스프링 (29) 이 제공되고, 이 스프링은 스러스트 수단 (5) 을 외측으로, 즉 캠 (6) 을 향하여 밀어내기 위해 배치된다.
제 1 플런저 (3) 및 제 2 플런저 (4) 는 상이한 직경을 가진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형태들에서, 제 2 플런저 (4) 의 직경은 제 1 플런저 (3) 의 직경 보다 작다. 직경 차이로 인해, 제 1 유체 챔버 (15) 와 제 2 유체 챔버 (16) 사이의 유체 유동은 감소된다. 또한, 펌프 보디 (2) 는 더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주변 유체 공급 채널 (10) 은 펌프 보디 (2) 와 내부 보디 파트 (20) 사이에 배치된다. 내부 보디 파트 (20) 의 천공은 제 1 유체 챔버 (15) 와 제 2 유체 챔버 (16) 를 유체 공급 채널 (10) 에 연결시키는 제 1 유체 포트 (11) 와 제 2 유체 포트 (12) 를 형성한다. 또한, 제 1 유체 챔버 (15) 를 유체 공급 채널 (10) 에 연결하는 제 3 유체 포트 (13) 가 존재한다. 유체 출구 (14) 는 제 1 및 제 2 유체 챔버 (15, 16) 에 연결된다. 스프링 (17a) 을 포함하는 체크 밸브 (17) 는 제 1 및 제 2 유체 챔버 (15, 16) 로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유체 출구 (14) 내에 배치된다.
제 1 플런저 (3) 에는 컷 아웃부 (18) 가 제공된다. 컷 아웃부 (18) 는 주변 섹션 (18c) 및 주변 섹션 (18c) 과 제 1 플런저 (3) 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길이방향 섹션 (18a) 을 포함한다. 길이방향 섹션 (18a) 은 경사진 섹션 (18b) 을 형성하는 주변 섹션 (18) 을 향하여 넓어진다.
롤러 (5a) 가 캠 (6) 의 기초원 (6a) 상에 있을 때에, 제 1 및 제 2 플런저 (3, 4) 는 그들의 최외곽 위치에 존재한다. 제 1 플런저 (3) 의 컷 아웃부 (18) 는 제 3 유체 포트 (13) 와 정렬되고, 제 2 플런저 (4) 는 제 2 유체 포트 (12) 를 커버하지 않는다. 따라서 분사될 유체는 유체 공급 채널 (10) 로부터 제 3 유체 포트 (13) 를 통해 제 1 유체 챔버 (15) 로 그리고 제 2 유체 포트 (12) 를 통해 제 2 유체 챔버 (16) 로 유동할 수 있다.
캠 (6) 이 회전하는 때에, 롤러 (5a) 는 캠 (6) 의 캠 레이스 (6b) 와 맞물려지고, 스러스트 수단 (5) 을 내측으로 밀어내기 시작한다. 제 3 유체 포트 (13) 및/또는 제 2 유체 포트 (12) 가 제 1 플런저 (3) 및 제 2 플런저 (4) 의 외부면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한, 제 1 및 제 2 유체 챔버 (15, 16) 의 유체는 유체 공급 채널 (10) 로 역류할 수 있고, 체크 밸브 (17) 는 폐쇄된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제 1 및 제 2 플런저 (3, 4) 가 내측으로 이동하는 때에, 그의 외부 표면은 제 3 및 제 2 유체 포트 (13, 12) 를 결국 커버하고, 유체가 유체 공급 채널 (10) 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및 제 2 유체 챔버 (15, 16) 의 압력은 증가하기 시작하고, 결국 체크 밸브 (17) 는 개방하여 유체를 유체 챔버 (15, 16) 의 밖으로 유동시킨다. 플런저 (3, 4) 가 더욱 내측으로 이동하는 때에, 제 1 플런저 (3) 는 도 2 에 도시된 위치에 결국 도달한다. 이 위치에서, 제 1 플런저 (3) 의 컷 아웃부 (18) 의 주변 섹션 (18c) 은 제 1 유체 포트 (11) 와 정렬된다. 따라서, 제 1 챔버 (15) 내의 유체는 유체 챔버 (15) 에서 유체 공급 채널 (10) 로 유동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유체 챔버 (15, 16) 의 압력은 떨어져 체크 밸브 (17) 를 폐쇄한다.
유체 분사 타이밍은 제 2 플런저 (4) 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제 2 플런저 (4) 에는 플런저 (4) 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 (9) 이 제공되고, 이 수단 (9) 은 랙 (9a) 과 피니언 (9b) 을 포함한다. 랙 (9a) 이 이동되는 때에, 랙은 제 2 플런저 (4) 의 연장부에 부착된 피니언 (9b) 을 회전시킨다. 제 2 플런저 (4) 의 내부 단부에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 아웃부 (19) 가 제공된다. 제 2 플런저 (4) 가 회전되면, 제 2 플런저는 제 2 유체 포트 (12) 가 제 2 플런저 (4) 에 의해 차단되는 때에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유체 분사의 개시점은 따라서 조절될 수 있다. 도 3 의 실시형태에서, 제 2 플런저 (4) 는 자유 단부에서, 즉 플런저 (4) 의 내부 단부에서 테이퍼진 (tapered) 컷 아웃부 (19) 를 가진다. 따라서, 제 2 플런저 (4) 를 회전시킴으로써, 플런저 (4) 가 제 2 유체 포트 (12) 를 차단하고 분사가 개시되는 때에 비단계적으로 (steplessly) 조절될 수 있다. 도 4 의 실시형태에서, 제 2 플런저 (4) 는 단차진 컷 아웃부 (19) 를 포함한다. 제 2 플런저 (4) 가 좌측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되면, 가장 늦은 가능한 분사 타이밍이 사용된다. 제 2 플런저가 우측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에, 가장 이른 가능한 타이밍이 사용된다. 중앙 위치는 중간 분사 타이밍을 위해 사용된다.
분사된 유체의 양은 제 1 플런저 (3) 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 1 플런저 (3) 에는 랙 (8a) 및 피니언 (8b) 이 제공되고, 따라서 제 1 플런저 (3) 는 제 2 플런저 (3) 와 유사한 방식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 1 플런저 (3) 가 회전되면, 제 1 플런저는, 컷 아웃부 (18) 가 제 1 유체 포트 (11) 와 정렬되는 때에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유체 챔버 (15, 16) 의 압력이 경감되고 따라서 분사는 종료된다.
도 5 의 실시형태는 제 1 및 도 2 의 실시형태와 유사하다. 도 5 의 분사 펌프 (1) 가 도 1 및 도 2 의 분사 펌프 (1) 처럼 제 3 유체 포트를 포함하지 않다는 점이 차이점이다. 이 두 개의 실시형태들 사이의 다른 차이점은, 도 5 의 실시형태에서 유체 출구 (14) 가 제 1 유체 챔버 (15) 에만 연결된다는 점이다. 제 1 유체 챔버 (15) 및 제 2 유체 챔버 (16) 는 연결 덕트 (22) 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연결 덕트 (22) 는 유체 챔버들 (15, 16) 의 출구 단부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위치된다. 도 5 의 실시형태에서, 제 2 플런저 (4) 는 스러스트 수단 (5) 에 의해 직접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스러스트 수단 (5) 에 연결되는 푸시 로드 (23) 가 제 2 플런저 (4) 를 이동시키기 위해 배치된다. 스러스트 수단 (5) 이 그의 최내측 위치, 즉 압축 스트로크의 끝에 존재하지 않을 때에 푸시 로드 (23) 와 제 2 플런저 (4) 사이에 갭 (24) 이 남겨질 수 있다. 갭 (24) 을 조절함으로써, 분사 타이밍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스러스트 수단의 롤러 (5a) 가 캠 (6) 의 기초원에 있을 때에 대형 갭 (24) 이 푸시 로드 (23) 와 제 2 플런저 (4) 사이에 남겨지면, 푸시 로드 (23) 및 플런저 (4) 가 서로 접촉 상태에 있을 때까지 제 2 플런저 (4) 가 이동되지 않으므로, 더 늦은 분사 타이밍이 달성된다. 갭 (24) 이 작거나 심지어 롤러 (5a) 가 캠 (6) 의 기초원 (6a) 에 있을 때에 푸시 로드 (23) 및 제 2 플런저 (4) 가 접촉상태에 있다면, 분사 타이밍은 더 이르게 된다. 제 2 스프링 (30) 은 제 2 플런저 (4) 를 외측 방향으로, 즉 캠 (6) 을 향하여 밀어내기 위하여 배치된다.
도 5 의 실시형태에서, 제 1 유체 챔버 (15) 는 단 하나의 유체 포트 (11) 를 포함한다. 따라서, 분사의 개시 전에, 유체는 제 1 유체 포트 (11) 를 통해 제 1 유체 챔버 (15) 로 유동할 수 있다. 분사의 종료점은, 제 1 플런저 (3) 의 컷 아웃부 (18) 가 제 1 유체 포트 (11) 와 정렬되는 순간에 의존한다.
도 6 에서는 본 발명의 추가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6 의 실시형태에서, 유체 출구 (14) 는 제 1 유체 챔버 (15) 에만 연결된다. 유체 출구 (14) 대신에, 제 1 유체 챔버 (15) 및 제 2 유체 챔버 (16) 가 도 5 의 실시형태 에서와 유사한 연결 덕트 (22) 에 의해 연결된다. 도 5 의 실시형태와 도 6 의 실시형태의 주요 차이점은, 도 6 의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덕트 (22) 가 유체 챔버들 (15, 16) 의 출구 단부들을 연결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신에, 연결 덕트 (22) 는 제 1 및 제 2 유체 챔버 (15, 16) 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 2 플런저 (4) 는 유체를 가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고, 단지 분사 타이밍을 제어한다. 분사는 제 2 플런저 (4) 가 제 1 유체 챔버 (15) 와 제 2 유체 챔버 (16) 사이의 연결 덕트 (22) 를 차단하는 때에 개시한다. 연결 덕트 (22) 가 제 2 플런저 (4) 에 의해 차단되는 때에 제 2 유체 챔버 (16) 는 제 1 유체 챔버 (15) 또는 유체 출구 (14) 와 유체 연통하지 않는다. 이 실시형태의 이점은, 제 1 플런저 (3) 만이 유체를 가압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펌프의 효율이 더 좋아진다는 것이다. 도 6 의 실시형태의 다른 이점은 제 2 유체 챔버 (16) 내의 압력이 분사 동안 더 낮아진다는 것이다.
도 7 의 실시형태에서, 제 2 유체 챔버 (16) 는 펌프 보디 (2) 의 상부 보디 파트 (2b) 에 배치된다. 제 2 플런저 (4) 는 스러스트 수단 (5) 에 의해 직접 이동되지 않는다. 대신, 제 2 플런저 (4) 는 전기 액추에이터 (26) 에 의해 이동되는 밸브 부재이다. 제 2 플런저 (4) 의 컷 아웃부 (19) 가 제 2 유체 포트 (12) 및 연결 덕트 (22) 와 정렬되는 때에, 유체는 제 1 유체 챔버 (15) 로부터 제 2 유체 챔버 (16) 로, 추가로 유체 공급 채널 (10) 로 유동할 수 있다. 선형 위치 센서 (28) 의 스핀들 (27) 은 스러스트 수단 (5) 에 부착된다. 스핀들 (27) 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는 때에, 밸브 액추에이터 (26) 는 제 1 및 제 2 유체 챔버 (15, 16) 간의 유체 연결부를 차단하기 위한 신호를 수용한다. 제 2 플런저 (4) 가 이동되어 제 2 유체 챔버 (16) 로의 유체 유동이 방지되고, 유체는 유체 출구 (14) 를 통해 분사 노즐 (25) 로 유동한다.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독립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알 것이다. 예컨대, 플런저의 컷 아웃부에 대한 다양한 가능한 설계들이 존재한다. 별개의 스러스트 수단은 제 1 플런저 및 제 2 플런저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고, 스러스트 수단은 펌프 보디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플런저가 분사의 개시점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는 반면에, 제 2 플런저는 분사가 종료되는 때를 제어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플런저들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상이한 실시형태들로부터의 특징은 또한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7)

  1. 내연 기관용 분사 펌프 (1) 로서,
    상기 분사 펌프 (1) 는
    - 펌프 보디 (2),
    - 상기 펌프 보디 (2) 내측에 배치되고 상호 유체 연통하는 제 1 유체 챔버 (15) 및 제 2 유체 챔버 (16),
    - 상기 펌프 보디 (2)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유체 챔버 (15) 안으로 돌출하는 제 1 왕복 플런저 (3),
    - 상기 제 2 유체 챔버 (16) 내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플런저 (3) 와는 상이한 직경을 갖는 제 2 플런저 (4),
    - 상기 제 1 유체 챔버 (15) 와 유체 연통하는 제 1 유체 포트 (11),
    - 상기 제 2 유체 챔버 (16) 와 유체 연통하는 제 2 유체 포트 (12),
    - 상기 제 1 유체 포트 (11) 및/또는 상기 제 2 유체 포트 (12) 를 통해 상기 제 1 유체 챔버 (15) 및/또는 상기 제 2 유체 챔버 (16) 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공급 채널 (10), 및
    - 상기 제 1 유체 챔버 (15) 및/또는 상기 제 2 유체 챔버 (16) 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출구 (14)
    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펌프 (1) 는 상기 제 1 플런저 (3) 및 상기 제 2 플런저 (4) 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러스트 수단 (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런저 (4) 의 직경은 상기 제 1 플런저 (3) 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펌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런저 (4) 의 직경은 상기 제 1 플런저 (3) 의 직경의 50 퍼센트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펌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런저 (4) 의 직경은 상기 제 1 플런저 (3) 의 직경의 15 퍼센트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펌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런저 (3) 는 유체 분사의 개시점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런저 (4) 는 상기 유체 분사의 종료점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펌프.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런저 (4) 는 유체 분사의 개시점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되고, 상기 제 1 플런저 (3) 는 유체 분사의 종료점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펌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런저 (3) 는, 상기 제 1 유체 포트 (11) 와 유체 연통하는 때에, 상기 제 1 유체 챔버 (15) 로부터의 유출을 허용하는 회전 비대칭 컷 아웃부 (1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펌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펌프 (1) 는 상기 제 1 플런저 (3) 를 회전시키는 수단 (8a, 8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펌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런저 (4) 는, 상기 제 2 유체 포트 (12) 와 유체 연통하는 때에, 상기 제 2 유체 챔버 (16) 로부터의 유출을 허용하는 회전 비대칭 컷 아웃부 (1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펌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펌프 (1) 는 상기 제 2 플런저 (4) 를 회전시키는 수단 (9a, 9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펌프.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펌프 (1) 는 상기 제 1 유체 챔버 (15) 와 유체 연통하는 제 3 유체 포트 (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펌프.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펌프 (1) 는 상기 제 1 유체 챔버 (15) 를 상기 제 2 유체 챔버 (16) 에 연결하는 연결 덕트 (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펌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덕트 (22) 는 상기 제 1 유체 챔버 및 상기 제 2 유체 챔버 (15, 16) 의 출구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펌프.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덕트 (22) 의 단부들은 상기 제 1 유체 챔버 (15) 및 상기 제 2 유체 챔버 (16) 의 양 단부들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펌프.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출구 (14) 는 상기 제 1 유체 챔버 (15) 와만 유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펌프.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체 포트 및 상기 제 2 유체 포트 (11, 12) 는 상기 유체 공급 채널 (10) 과 유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펌프.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펌프 (1) 는 연료 분사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펌프.
KR1020137014444A 2010-11-05 2011-09-22 분사 펌프 KR101692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06161A FI20106161A (fi) 2010-11-05 2010-11-05 Ruiskutuspumppu
FI20106161 2010-11-05
PCT/FI2011/050815 WO2012059623A2 (en) 2010-11-05 2011-09-22 Injection pu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768A true KR20130103768A (ko) 2013-09-24
KR101692231B1 KR101692231B1 (ko) 2017-01-03

Family

ID=43268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444A KR101692231B1 (ko) 2010-11-05 2011-09-22 분사 펌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35796B1 (ko)
KR (1) KR101692231B1 (ko)
CN (1) CN103228903B (ko)
FI (1) FI20106161A (ko)
WO (1) WO201205962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2767B2 (ja) * 2014-01-24 2017-03-29 株式会社デンソー 高圧燃料ポン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617Y2 (ja) * 1989-08-01 1995-12-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JPH08226362A (ja) * 1994-12-01 1996-09-03 Waertsilae Diesel Internatl Ltd:Oy 内燃機関のシリンダ内へ圧力媒体を噴射するための噴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17868C (de) * 1928-08-14 1931-02-12 Michael Sedlmeir Dipl I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oerdermengenregelung von Brennstoffpumpen
FR693493A (fr) * 1930-04-07 1930-11-20 Usines De La Chaleassiere Soc Pompe à combustible pour moteurs à combustion interne et à injection mécanique
US2001843A (en) * 1933-05-12 1935-05-21 D C E Dev Company Fuel inj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DE881887C (de) * 1941-08-29 1953-07-06 Versuchsanstalt Fuer Luftfahrt Einspritzpumpe mit zwei oder mehreren zusammenarbeitenden Zylindern
FR1380547A (fr) * 1963-09-25 1964-12-04 Procédé et dispositif d'injection d'un combustible liquide dans un moteur à combustion interne
DE3732003A1 (de) * 1987-09-23 1989-04-06 Dahlmann Gerd Uwe Einspritzvorrichtung
CN1490516A (zh) * 2003-09-08 2004-04-21 梁剑锐 双控液压增速短时喷油系统及其燃油在线乳化
JP5070193B2 (ja) * 2008-12-19 2012-11-07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高圧可変容量ポン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617Y2 (ja) * 1989-08-01 1995-12-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JPH08226362A (ja) * 1994-12-01 1996-09-03 Waertsilae Diesel Internatl Ltd:Oy 内燃機関のシリンダ内へ圧力媒体を噴射するための噴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20106161A0 (fi) 2010-11-05
FI20106161A (fi) 2012-05-06
CN103228903B (zh) 2015-12-16
WO2012059623A3 (en) 2012-10-04
EP2635796B1 (en) 2015-08-26
EP2635796A2 (en) 2013-09-11
KR101692231B1 (ko) 2017-01-03
CN103228903A (zh) 2013-07-31
WO2012059623A2 (en)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3288B2 (ja) 燃料ポンプ
US20080069712A1 (en) High-Pressure Pump for a Fuel Injection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887583B2 (ja) 燃料噴射装置
US20070200011A1 (en) Fuel injector having nozzle member with annular groove
US7415969B2 (en) Fuel injector having recessed check top
KR101692231B1 (ko) 분사 펌프
JP2005500468A (ja) 内燃機関に用いられる燃料噴射装置
JP4571771B2 (ja) 噴射装置
EP2484889B1 (en) Pressure recovery system for low leakage cam assisted common rail fuel system, fuel injec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JP4550991B2 (ja) 燃料・水噴射内燃機関
JPS6146459A (ja) 内燃機関用の燃料噴射ポンプ
EP2315930B1 (en) Pump for a fuel injection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n improved delivery valve
JP4239945B2 (ja) 燃料噴射弁
KR960013107B1 (ko) 연료분사 장치
JPH08210223A (ja) 内燃機関に用いられる燃料高圧ポンプ
JP4552991B2 (ja) 燃料噴射制御システム及び燃料噴射弁
EP0967388A2 (en) Improved injection device in diesel engines of the common-rail type
JP6948898B2 (ja) 燃料噴射装置
JP3906775B2 (ja) 分配型燃料噴射ポンプ
JPS59155570A (ja) 燃料噴射装置
WO2014171410A1 (ja) 燃料噴射ポンプ
JP2004521241A (ja) 増圧器を備えた燃料噴射装置
JP2004285912A (ja) 燃料噴射装置
JPS6185570A (ja) 内燃機関のユニツトインジェクタ
JPH08177671A (ja) インナカム式燃料噴射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