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0887A - 측정계외 성분에 의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측정계외 성분에 의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0887A
KR20130100887A KR1020127028371A KR20127028371A KR20130100887A KR 20130100887 A KR20130100887 A KR 20130100887A KR 1020127028371 A KR1020127028371 A KR 1020127028371A KR 20127028371 A KR20127028371 A KR 20127028371A KR 20130100887 A KR20130100887 A KR 20130100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ex
reagent
silicone compound
measurement
sili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4106B1 (ko
Inventor
히로시 다까하시
유끼 다까하시
가즈노리 사이또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0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1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6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immune complex formed in liquid phase
    • G01N33/537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immune complex formed in liquid phase with separation of immune complex from unbound antigen or antibody
    • G01N33/5375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immune complex formed in liquid phase with separation of immune complex from unbound antigen or antibody by changing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the medium or immunochemicals, e.g. temperature, density, pH, partitio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1Production of immunochemical test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텍스 면역 응집 측정법에 있어서, 측정계외로부터 혼입되는 수용성 실리콘 및/또는 계면활성제의 측정계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실리콘 화합물의 존재하에 라텍스 면역 응집 반응을 행함으로써, 측정계외로부터 혼입되는 미량 채혈관 유래 성분(수용성 실리콘) 및/또는 계면활성제의 측정계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Description

측정계외 성분에 의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BY COMPONENT OUTSIDE ASSAY SYSTEM}
본 발명은, 측정 대상 물질에 대한 고친화성 물질 또는 측정 대상 물질을 담지시킨 라텍스 입자를 이용하는 라텍스 면역 응집 측정법에 있어서, 실리콘 화합물의 존재하에 라텍스 면역 응집 반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계외 성분, 특히 측정계외로부터 혼입되는 수용성 실리콘 및/또는 계면활성제의 측정계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상기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이용되는 시약 및 상기 간섭을 감소시킨 라텍스 면역 응집 측정법에 관한 것이다.
생체 시료 중의 측정 대상 물질(이하, 목적 성분이라 하는 경우가 있음)의 측정 방법으로서, 라텍스 면역 응집법(라텍스 면역 응집 비탁법)(이하, LTIA법이라 하는 경우가 있음)이 임상 검사의 분야에서 자주 이용되고 있다. LTIA법은, 예를 들면 목적 성분에 대한 항체를 담지시킨 라텍스 입자(이하, 항체 담지 라텍스 입자라 하는 경우가 있음)를 이용하여, 목적 성분인 항원과 항체 담지 라텍스 입자가 결합함으로써 발생하는 라텍스 입자의 응집(흐림)의 정도를 광학적 수단(예를 들면, 투과광을 측정하는 비탁법, 산란광을 측정하는 비룡법(比朧法) 등) 등에 의해 검출하는 측정 방법이다.
LTIA법에 한하지 않고, 면역학적 측정계에 대하여 계면활성제형의 물질이 간섭을 제공한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특정한 계면활성제가 면역학적 측정계 중에 존재하는 경우, 항원 항체 반응 그 자체를 저해하거나, 상기 항원 항체 반응에 의해 형성된 항원-항체간의 결합을 해리시킨다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LTIA법은, 항원 항체 반응이 하나의 액상 중에서 행해지는 호모지니어스 측정법이며, 항체 담지 라텍스 입자 등의 측정계를 구성하는 재료가 계면활성제에 노출되는 환경이 측정 중 계속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에 의한 측정 대상 물질 자체의 구조 변화의 야기, 측정 대상 물질과의 복합체 형성, 항체 담지 라텍스 입자에 대한 비특이적 흡착, 라텍스 입자에 담지되어 있던 항체나 블록킹용 단백질의 박리 등의 측정계에 대한 간섭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생체 시료로서 혈액(전혈, 혈청, 혈장)을 사용하는 경우 피검자로부터의 채혈이 행해지며, 이 때에 혈액(혈병)이 채혈관 내벽에 흡착되거나, 채혈관 내나 캡부에서 기포(起泡)하거나, 혈청을 얻기 위한 응고가 불충분하거나, 혈청층과 혈구층과의 분리가 불충분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채혈관의 내벽이나 캡에 각각을 방지하기 위한 성분(이하, 채혈관 처리제라 하는 경우가 있음)이 도포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어느 종류의 실리콘 화합물은, 그 자체가 채혈관 처리제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실리콘 화합물 이외의 채혈관 처리제를 내벽이나 캡에 도포하기 위한 매체로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채혈관의 내벽에 도포되어 있는 성분의 LTIA법에 대한 간섭에 대해서는, 몇 개의 보고가 있다. 비특허문헌 1은 시판 미량 채혈관에 의해 얻은 측정 시료를 LTIA법으로 측정한 경우, 측정값의 저하가 관찰된 것을 보고하고 있다. 또한, 그의 원인 물질로서 채혈관의 내벽으로부터 유리되는 수용성 실리콘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측정 시료에 수용성 실리콘을 첨가하여 복수의 LTIA 시약으로 측정한 결과를 기재하고 있다. 또한, 비특허문헌 1은 계면활성제(브리즈(Brij; 등록 상표) 35, 트윈(Tween; 등록 상표) 20, 트리톤(Triton; 등록 상표) X-100)를 측정 시료에 첨가했을 때의 간섭에 대해서도 검토하여, 수용성 실리콘과 마찬가지로 측정값의 저하가 관찰된 것을 보고하고 있다. 비특허문헌 2는 복수의 채혈관에 의해 얻은 측정 시료를 복수의 LTIA 시약으로 측정하여, 비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미량 채혈관에 의해 얻은 측정 시료를 측정한 경우, 측정값의 저하가 관찰된 것을 보고하고 있고, 여기서도 원인 물질로서 채혈관의 내벽으로부터 유리되는 수용성 실리콘을 예로 들고 있다.
미량 채혈관은 성인과 비교하여 체중이 적은 신생아 등으로부터 채혈을 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것이지만, 미량 채혈관을 사용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소정량의 채혈을 행할 수 없으며, 소정량보다 적은 채혈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채혈관 처리제의 측정 시료 중에서의 농도는 증가하게 되어, 측정계에 대한 간섭이 현저해지는 것이 예상된다.
또한, 비특허문헌 1에서 검토된 계면활성제는, ELISA를 비롯한 면역학적 측정법에 있어서의 비특이 반응 방지제나 세정제로서 사용되는 한편, 임상 검사에서 이용되는 생화학 자동 분석 장치에 있어서는 측정 시료나 시약을 분주ㆍ교반하기 위한 프로브, 시약의 유로, 반복하여 사용하는 반응조의 세정제로서도 자주 이용되고 있어, 상기 자동 분석 장치에서의 사용이 전제가 되는 LTIA 시약에 있어서는 측정계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혼입에 의한 간섭에 주의를 해야 한다.
이러한 사정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이들 계면활성제에 의한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 특히 미량 채혈관으로부터 얻은 측정 시료를 LTIA법으로 측정하는 경우의 계면활성제에 의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보고는 없다.
의학 검사, 제49권 제10호(2000년), 1399페이지 내지 1403페이지 오카야마 위생 검사 제40권 제2호(2003년), 6페이지 내지 10페이지
본 발명은, 측정 대상 물질에 대한 고친화성 물질 또는 측정 대상 물질을 담지시킨 라텍스 입자를 이용하는 라텍스 면역 응집 측정법에 있어서, 측정계외로부터 혼입되는 수용성 실리콘 및/또는 계면활성제의 측정계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상기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이용되는 시약 및 상기 간섭을 감소시킨 라텍스 면역 응집 측정법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LTIA법에 있어서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시점에서 검증을 시도하고, 예의 연구를 행한 바, 전혀 의외로 비특허문헌 1, 2에 있어서 간섭의 원인으로 되는 수용성 실리콘과 분류상은 동일한 실리콘 화합물에 대응하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의 존재하에 라텍스 면역 응집 반응을 행하면, 측정계외로부터 혼입되는 미량 채혈관 유래 성분에 의한 측정계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의외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의 존재하에 라텍스 면역 응집 반응을 행하면, 수용성 실리콘류와는 그 구조가 상이한 계면활성제(브리즈(등록 상표) 35, 트윈(등록 상표) 20, 트리톤(등록 상표) X-100)에 의한 간섭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1) 라텍스 면역 응집법에 있어서, 실리콘 화합물의 존재하에 라텍스 면역 응집 반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계외로부터 혼입되는 수용성 실리콘 및/또는 계면활성제의 측정계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2) 실리콘 화합물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을 함유하는 것인 (1)에 기재된 방법.
(3) 라텍스 시액에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실리콘 화합물을 존재시키는 (1) 또는 (2)에 기재된 방법.
(4) 라텍스 시액에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시키는 방법이 블록킹 처리에 의한 것인 (1) 내지 (3)에 기재된 방법.
(5) 실리콘 화합물의 라텍스 면역 응집 반응시의 농도가 0.0001 내지 1 %인 (1) 내지 (4)에 기재된 방법.
(6)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라텍스 면역 응집법에 있어서, 혼입되는 수용성 실리콘 및/또는 계면활성제의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생체 유래의 측정 대상 물질 및 상기 혼입되는 수용성 실리콘 및/또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시료에 i) 해당 측정 대상 물질에 대한 고친화성 물질을 담지하는 라텍스 입자, 및 ii) 실리콘 화합물을 접촉시키는 공정, 및
해당 측정 대상 물질과 해당 라텍스 입자의 응집 반응을 측정하는 공정.
(7)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라텍스 면역 응집법:
생체 유래의 측정 대상 물질을 포함하는 시료에 i) 해당 측정 대상 물질에 대한 고친화성 물질을 담지하는 라텍스 입자, 및 ii) 실리콘 화합물을 접촉시키는 공정.
(8) 이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라텍스 면역 응집법을 위한 키트:
완충제를 포함하는 제1 시약, 및
측정 대상 물질에 대한 고친화성 물질을 담지하는 라텍스 입자를 포함하는 제2 시약;
여기서, 제1 시약과 제2 시약 중 적어도 하나가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한다.
(9) 이하를 포함하는 라텍스 면역 응집법을 위한 시약:
i) 완충제, ii) 실리콘 화합물 및 iii) 측정 대상 물질에 대한 고친화성 물질을 담지하는 라텍스 입자.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계외로부터 혼입되는 수용성 실리콘 및/또는 계면활성제의 LTIA 측정계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량 채혈관으로 채혈한 측정 시료를 사용하여 LTIA법에 의한 측정을 행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측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리콘 화합물)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로서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로서는, 알킬(탄소수 1 내지 3)실록산과 폴리옥시알킬렌(알킬렌기의 탄소수 2 내지 5가 바람직함)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디메틸실록산과 폴리옥시알킬렌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폴리옥시알킬렌이란,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과의 랜덤 또는 블록 중합체를 말한다. 이러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의 예로서,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식 중, M, N, a 및 b는 평균 중합도이고, R은 수소 또는 알킬기를 나타냄)
여기서, M은 10 내지 10,000, N은 1 내지 1,000이면서 M>N인 것이 바람직하고, M은 10 내지 1,000, N은 1 내지 50이면서 M>N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는 2 내지 100, b는 0 내지 50이 바람직하다. R로서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을 함유하는 시판품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닛본 유니카사 제조의 SILWET FZ-2166, 신에쓰 실리콘사 제조의 KF-618, 도레이ㆍ다우 코닝ㆍ실리콘사 제조의 SH3749, SH7090, SF8410, SH8700, GE 도시바 실리콘사 제조 또는 모멘티브ㆍ퍼포먼스ㆍ머터리얼즈ㆍ재팬사 제조의 TSA775, TSF4440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TSA775와 같이 폴리알킬실록산이나 실리카 등과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을 이용한 LTIA 시약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측정 대상 물질에 대한 고친화성 물질 또는 측정 대상 물질을 담지시킨 라텍스 입자로서 항체 담지 라텍스 입자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서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은 LTIA 시약을 구성하는 항체 담지 라텍스 입자를 함유하는 시액 또는 항체 담지 라텍스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시액 중 어느 것에 첨가할 수도 있지만, 항체 담지 라텍스 입자를 함유하는 시액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체 담지 라텍스 입자를 함유하는 시액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항체 담지 전의 라텍스 입자를 함유하는 시액에 첨가할 수도, 항체 담지 후의 라텍스 입자를 함유하는 시액에 첨가할 수도 있지만, 항체 담지 후의 라텍스 입자를 함유하는 시액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의 첨가시의 온도는, 예를 들면 담지시킨 항체의 기능(활성)을 상실시키지 않는 것을 한도로 하고,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의 용해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1 내지 65 ℃의 적당한 온도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을 항체 담지 후의 라텍스 입자를 함유하는 시액에 첨가한 후, 1 내지 65 ℃의 적당한 온도에서 적당한 시간 인큐베이션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소위 블록킹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항체 담지 라텍스 입자에 부가하는 것도 기대할 수 있다. 인큐베이션을 행하는 경우, 30 내지 65 ℃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 ℃ 미만이면 블록킹 효과가 충분히 갖춰지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65 ℃를 초과하면 항체 등에 단백질로서의 변성이 일어나 항체활성을 상실하는 경우가 있다. 바람직한 인큐베이션 온도의 일례로서, 37 ℃ 전후에서의 인큐베이션을 들 수 있다. 인큐베이션을 하는 경우의 시간에 대해서도 제한은 없으며, 기대하는 블록킹 효과가 얻어지도록 온도에 맞춰서 실험적으로 선택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러한 가온ㆍ인큐베이션 조작을 블록킹 처리라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의 농도는, 예를 들면 라텍스 면역 응집 반응시의 농도로 규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농도로서는 0.0001 % 내지 1 %, 0.0002 % 내지 1 %, 0.0004 % 내지 1 %, 0.0008 % 내지 1 %, 0.002 % 내지 1 %, 0.003 % 내지 1 %, 0.006 % 내지 1 %, 0.01 % 내지 1 %, 0.03 % 내지 1 %, 0.05 % 내지 1 %, 0.0001 % 내지 0.5 %, 0.0002 % 내지 0.5 %, 0.0004 % 내지 0.5 %, 0.0008 % 내지 0.5 %, 0.002 % 내지 0.5 %, 0.003 % 내지 0.5 %, 0.006 % 내지 0.5 %, 0.01 % 내지 0.5 %, 0.03 % 내지 0.5 %, 0.05 % 내지 0.5 %, 0.0001 % 내지 0.2 %, 0.0002 % 내지 0.2 %, 0.0004 % 내지 0.2 %, 0.0008 % 내지 0.2 %, 0.002 % 내지 0.2 %, 0.003 % 내지 0.2 %, 0.006 % 내지 0.2 %, 0.01 % 내지 0.2 %, 0.03 % 내지 0.2 %, 0.05 % 내지 0.2 %, 0.0001 % 내지 0.1 %, 0.0002 % 내지 0.1 %, 0.0004 % 내지 0.1 %, 0.0008 % 내지 0.1 %, 0.002 % 내지 0.1 %, 0.003 % 내지 0.1 %, 0.006 % 내지 0.1 %, 0.01 % 내지 0.1 %, 0.03 % 내지 0.1 % 및 0.05 % 내지 0.1 %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0.0001 % 내지 1 %가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0.001 % 내지 0.5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내지 0.1 %이다. 또한, 시판된 실리콘 화합물 제품 중에는, 다른 성분(예를 들면, 폴리알킬실록산이나 실리카 등)과의 혼합물로서 유통되고 있는 것도 있지만,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농도(개개의 제품의 첨가량)를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은, LTIA법에 있어서 측정계외로부터 혼입되는 수용성 실리콘 및/또는 계면활성제에 의한 측정계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는 능력을 갖는 실리콘 화합물(실리콘 제품)군 중으로부터 측정계로서의 원하는 측정 감도, 측정 범위, 재현성 또는 시약의 안정성 등이 얻어지는 것을 감안한 후, 실용적으로 최적인 종류, 농도, LTIA 시약의 제조 방법을 선택하여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간섭을 감소시킨다」고 할 때에는, 수용성 실리콘 및/또는 계면활성제에 의한 측정값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미량 채혈관에 사용되고 있는 수용성 실리콘의 상세는 분명하지 않지만, 수용성 실리콘으로서는 시판되어 있는 것으로서 KS-538(신에쓰 실리콘(주)), KM-70(신에쓰 실리콘(주)), KM-72F(신에쓰 실리콘(주)), TSA770(코멘타팁(주)), TSA732(코멘타팁(주)), TSA7341(코멘타팁(주)), 안티폼 SI(와코 준야꾸 고교(주)), SM5571(도레이 실리콘(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용성 실리콘이 실제로 라텍스 면역 응집법의 측정계에 대한 간섭 원인이 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시험을 행하여 조사할 수 있으며, 간섭 성분인 것이 확인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을 스크리닝하는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측정 대상 물질에 대한 고친화성 물질 또는 측정 대상 물질을 담지시킨 라텍스 입자로서, 항체 담지 라텍스 입자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을 행했지만, 담지시키는 물질이 항원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이해하여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고친화성 물질로부터 보면 측정 대상 물질이 고친화성 물질이다. 또한, 항원과 항체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 성분과 상기 목적 성분에 대하여 특이적인 결합 상대가 담지된 라텍스 입자간에서 결합이 형성되어, 목적 성분의 존재량에 의존한 라텍스 입자의 응집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들의 반응도 본 발명에서 말하는 라텍스 면역 응집 반응에 포함된다.
(라텍스 입자)
본 발명에서 라텍스 입자라 하는 경우에는, 폴리스티렌 라텍스 입자 등을 말하지만, 상기한 라텍스 면역 응집 반응에 포함되는 경우이며, 목적 성분에 대하여 특이적인 결합 상대를 담지하는 방법이 소수 결합 등 물리적인 방법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금속 콜로이드, 실리카, 카본 등도 본 발명의 라텍스 입자에 포함된다. 라텍스 입자의 크기는, 사용하는 광학적 측정법(예를 들면, 투과광을 측정하는 비탁법, 산란광을 측정하는 비룡법 등)을 고려하여, 원하는 측정 감도, 측정 범위 등이 얻어지도록 0.05 내지 1 ㎛의 범위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자동 분석 장치에 있어서의 광학적 측정에 있어서는 평균 입경 0.1 내지 0.4 ㎛가 범용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2 ㎛이다. 라텍스 입자의 평균 입경은 입도 분포계나 투과형 전자 현미경상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라텍스 입자의 시액 중의 농도는, 사용하는 라텍스 입자의 입경이나 측정계 전체의 설계에 따라, 예를 들면 0.0001 mg/mL 내지 10 mg/mL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을 할 수 있다.
(LTIA 시약으로서의 구성 등)
본 발명의 LTIA 시약(시액)은 반응의 주성분 이외에 시료의 pH, 이온 강도, 침투압 등을 완충, 조정하는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아세트산, 시트르산, 인산, 트리스, 글리신, 붕산, 탄산 및 굿 완충액(Good's buffer)이나, 이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응집 형성을 증강하는 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인지질 중합체 등의 고분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응집의 형성을 컨트롤하는 성분으로서, 단백질, 아미노산, 당류, 금속염류, 계면활성제류, 환원성 물질이나 카오트로픽(chaotropic) 물질 등 범용되는 성분을 1종 또는 복수의 성분을 조합하여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측정 시약에 있어서는, 기포성을 갖는 성분에 대해서도 문제없이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LTIA 시약은 다양한 생체 시료를 측정 대상으로 할 수 있지만, 미량 채혈관에 의해 채혈을 행하는 측정 대상 물질이 바람직하다. 측정 대상 물질로서는 단백질, 펩티드, 아미노산, 지질, 당질, 핵산, 합텐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론적으로 측정 가능한 분자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로서 CRP(C 반응성 단백질), Lp(a), MMP3(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3), 항CCP(환상 시트룰린화 펩티드) 항체, 항인지질 항체, RPR, IV형 콜라겐, PSA, BNP(뇌성 나트륨 이뇨 펩티드), NT-proBNP, 인슐린, 마이크로알부민, 시스타틴 C, RF(류마티스 인자), CA-RF, KL-6, PIVKA-II, FDP, D 이량체, SF(가용성 피브린), TAT(트롬빈-안티트롬빈 III 복합체), PIC, PAI, XIII 인자, 펩시노겐 IㆍII나, 페니토인, 페노바비탈, 카르바마제핀, 발프로산, 테오필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LTIA 시약은, 상기한 바와 같이 1 시액 이상의 복수의 시액으로 구성된다. 복수의 시액의 예로서는, 측정 대상 물질을 측정에 바람직한 농도로 조정하거나 항원 항체 반응의 환경을 조정하는 등을 목적으로 하는 완충액을 포함하는 시액, 항체 담지 라텍스 입자를 함유하는 시액 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은 시약을 구성하는 모든 시액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측정 시약을 구성하는 시액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의 효과 확인 (1)
미량 채혈관 처리 시료의 측정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 방법>
(1) 종래법 LTIA 시약
SS 타입 퓨어 오토(등록 상표) S CRP 라텍스(세키스이 메디칼사 제조)를 사용하였다.
(2) 시험용 시약
(2-1) 제1 시약
종래법 LTIA 시약의 완충액 제1액(2-아미노-2-히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완충액(pH 8.5) 20 mmol/L)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2-2) 제2 시약
(i) 대조 시액
종래법 LTIA 시약의 라텍스 시액 제2액(항인간 C 반응성 단백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 감작 라텍스 2.25 mg/mL)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ii) 실시예 1a 내지 1c 시액
실리콘 화합물로서 FZ-2166(닛본 유니카사 제조), KF-618(신에쓰 실리콘사 제조), SH3749, SH7090, SF8410, SH8700(이상, 도레이ㆍ다우 코닝 실리콘사 제조), TSA775, TSF4440(이상, GE 도시바 실리콘사 제조)을 최종 농도 0.01 %, 0.03 %, 0.10 %가 되도록 대조 시액에 첨가하여, 37 ℃에서 24시간 동안 가온한 후에 사용하였다.
(3) 미량 채혈관 처리 시료 및 대조 시료의 제조
미량 채혈관: BD 마이크로테이너 마이크로가드 튜브(카탈로그 번호: 365985, 헤파린리튬 및 혈장 분리제 함유, 닛본 벡톤-디킨슨사 제조, 채혈량 0.4 내지 0.6 mL용)에 대하여, 전혈을 소정량인 0.6 mL 또는 소정량의 1/12량인 0.05 mL 분주하여 전도 혼화한 후, 30분간 정치하고, 미량 채혈관 처리 시료(이하, 각각 0.6 mL 시료, 0.05 mL 시료라 함)를 제조하였다. 대조 시료는 베노젝트 II(코드번호: VP-HL050K, 헤파린리튬, 데루모사 제조, 채혈량 5 mL용)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4) 측정 방법
시험용 시약으로서, 제1 시약(종래법 LTIA 시약의 완충액 제1액)에 4종의 제2 시약(대조 시액 1종, 실시예 1a 내지 1c 시액 3종)을 조합하여 사용하고, 측정 시료(대조 시료 및 미량 채혈관 처리 시료(0.6 mL 시료 및 0.05 mL 시료))를 히다치 7170형 자동 분석 장치(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하이테크놀로지사 제조)를 이용하여 하기 (5)의 측정 매개 변수에 의해 측정하였다.
(5) 히다치 7170형 자동 분석 장치의 측정 매개 변수
(i) 액량: 측정 시료-제1 시약-제2 시약: 3 μL-150 μL-50 μL
(ii) 분석법: 2 포인트 엔드법(측광 포인트 19-34)
(iii) 측정 파장: 570 nm/부파장 800 nm
(iv) 캘리브레이션: 스플라인
(v) 칼리브레이터: SS 타입 퓨어 오토(등록 상표) S CRP 라텍스
칼리브레이터
<측정 결과>
4종의 제2 시약(대조 시액 1종, 실시예 1a 내지 1c 시액 3종)을 사용하여 측정한 0.6 mL 시료 및 0.05 mL 시료의 흡광도를 제2 시약에 대조 시액을 사용하여 측정한 대조 시료의 흡광도로 니누어 상대 흡광도(%)를 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은 대조 시액을 제2 시약에 이용하여 미량 채혈관 처리 시료를 측정한 경우(비교예 1), 상대 흡광도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특히 0.05 mL 시료(소정량의 1/12 용량인 0.05 mL 분주)에서는 75.6 %로 대폭적인 상대 흡광도의 변동(저하)이 확인되었다.
이에 비해, 실시예 1a 내지 1c 시액(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로서 8종, 각 3 농도를 함유함)을 제2 시약에 이용하여 미량 채혈관 처리 시료를 측정한 경우(실시예 1a 내지 1c), 0.05 mL 시료를 측정한 경우에도 상대 흡광도의 변동은 조금이거나 거의 없었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2〕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을 이용한 LTIA 시약의 제조 방법의 검토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을 이용한 LTIA 시약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검토를 행하였다.
<시험 방법>
(1) 종래법 LTIA 시약
실시예 1과 동일한 종래법 LTIA 시약을 사용하였다.
(2) 시험용 시약
(2-1) 제1 시약
(i) 대조 시액 R1
종래법 LTIA 시약의 완충액 제1액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ii) 실시예 2a 시액
TSA775를 최종 농도 0.01 %, 0.03 %가 되도록 대조 시액 R1에 첨가하고, 37 ℃에서 24시간 동안 가온한 후에 사용하였다.
(2-2) 제2 시약
(i) 대조 시액 R2
종래법 LTIA 시약의 라텍스 시액 제2액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ii) 실시예 2b 시액
TSA775를 최종 농도 0.01 %, 0.03 %가 되도록 대조 시액 R2에 첨가하고, 10 ℃ 이하에 24시간 동안 정치한 후에 사용하였다.
(iii) 실시예 2c 시액
TSA775를 최종 농도 0.01 %, 0.03 %가 되도록 대조 시액 R2에 첨가하고, 37 ℃에서 24시간 동안 가온한 후에 사용하였다.
(3) 미량 채혈관 처리 시료 및 대조 시료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0.6 mL 시료, 0.05 mL 시료 및 대조 시료를 제조하였다.
(4) 측정 방법
시험용 시약으로서, 제1 시약-제2 시약을 하기 4 가지로 조합하여 사용하고, 측정 시료(대조 시료 및 미량 채혈관 처리 시료(0.6 mL 시료 및 0.05 mL 시료)), 히다치 7170형 자동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하기 (5)의 측정 매개 변수에 의해 측정하였다.
비교예 2: 대조 시액 R1-대조 시액 R2,
실시예 2a: 실시예 2a 시액-대조 시액 R2,
실시예 2b: 대조 시액 R1-실시예 2b 시액,
실시예 2c: 대조 시액 R1-실시예 2c 시액
(5) 히다치 7170형 자동 분석 장치의 측정 매개 변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다.
<측정 결과>
4종의 제1 시약-제2 시약의 조합(비교예 2, 실시예 2a 내지 2c)을 사용하여 측정한 0.6 mL 시료 및 0.05 mL 시료의 측정값(칼리브레이터에 의해 농도 환산한 값)을 비교예 2의 제1 시약-제2 시약의 조합을 사용하여 측정한 대조 시료의 측정값으로 나누어 상대 측정값(%)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을 전혀 함유하지 않은 대조 시액 R1-대조 시액 R2의 조합으로 미량 채혈관 처리 시료를 측정한 경우(비교예 2), 상대 측정값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2a 내지 2c 시액을 이용하여 미량 채혈관 처리 시료를 측정한 경우(실시예 2a 내지 2c), 0.05 mL 시료를 측정한 경우에도 상대 측정값의 변동은 조금이거나 거의 없었다.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시액을 사용한 실시예 2a 내지 2c에서의 2종의 실리콘 화합물 농도에서의 0.6 mL 시료 및 0.05 mL 시료의 상대 측정값(4종)의 평균값은, 각각 96.0 %(실시예 2a), 98.3 %(실시예 2b), 100.5 %(실시예 2c)였다. 이상으로부터, 검토한 3 조건간에서는 항체 담지 라텍스를 함유하는 시액에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을 첨가하고, 37 ℃에서 24시간 동안 가온한 경우가 가장 간섭 감소 효과가 높았다.
이것은, 가온 및 인큐베이트에 의해 실리콘 화합물의 시액 중에서의 용해도가 향상되거나, 또는 소위 블록킹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부가됨에 따른 가능성이 생각된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3〕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의 효과 확인 (2)
계면활성제 첨가 시료의 측정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 방법>
(1) 종래법 LTIA 시약
실시예 1과 동일한 종래법 LTIA 시약을 사용하였다.
(2) 시험용 시약
(2-1) 제1 시약
종래법 LTIA 시약의 완충액 제1액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2-2) 제2 시약
(i) 대조 시액
종래법 LTIA 시약의 라텍스 시액 제2액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ii) 실시예 3 시액
TSA775를 최종 농도 0.01 %가 되도록 대조 시액에 첨가하고, 37 ℃에서 20시간 동안 가온한 후에 사용하였다.
(3) 계면활성제 첨가 시료 및 대조 시료의 제조
유리 시험관에 전혈 분주하여 얻은 혈청에 대하여, 표 3에 기재된 첨가 농도(최종 농도)가 되도록 트리톤(등록 상표) X-100(폴리옥시에틸렌(10)옥틸페닐에테르), 트윈(등록 상표) 20(모노라우르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브리즈(등록 상표) 35(폴리옥시에틸렌(23)라우릴에테르)를 첨가하여 계면활성제 첨가 시료를 제조하였다. 대조 시료는 생리 식염수를 첨가한 혈청을 사용하였다.
(4) 측정 방법
시험용 시약으로서, 제1 시약(종래법 LTIA 시약의 완충액 제1액)에 2종의 제2 시약(대조 시액, 실시예 3 시액)을 조합하여 사용하고, 측정 시료(대조 시료 및 계면활성제 첨가 시료), 히다치 7170형 자동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하기 (5)의 측정 매개 변수에 의해 측정하였다.
(5) 히다치 7170형 자동 분석 장치의 측정 매개 변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다.
<측정 결과>
2종의 제1 시약-제2 시약의 조합(비교예 3, 실시예 3)을 사용하여 측정한 계면활성제 첨가 시료의 측정값(칼리브레이터에 의해 농도 환산한 값)을 비교예 3의 제1 시약-제2 시약의 조합을 사용하여 측정한 대조 시료의 측정값으로 나누어 상대 측정값(%)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시킨 실시예 3에서는, 비교예 3에 비해 상대 측정값의 변동폭이 적었다. 특히 계면활성제 고농도시에는 그 차가 현저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한 LTIA 측정계에서는,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된 계면활성제의 간섭도 회피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gure pct00004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계외로부터 혼입되는 수용성 실리콘 및/또는 계면활성제의 LTIA 측정계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량 채혈관으로 채혈한 측정 시료를 사용하여 LTIA법에 의한 측정을 행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측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9)

  1. 라텍스 면역 응집법에 있어서, 실리콘 화합물의 존재하에 라텍스 면역 응집 반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계외로부터 혼입되는 수용성 실리콘 및/또는 계면활성제의 측정계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실리콘 화합물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을 함유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라텍스 시액에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실리콘 화합물을 존재시키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텍스 시액에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시키는 방법이 블록킹 처리에 의한 것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콘 화합물의 라텍스 면역 응집 반응시의 농도가 0.0001 내지 1 %인 방법.
  6.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라텍스 면역 응집법에 있어서, 혼입되는 수용성 실리콘 및/또는 계면활성제의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생체 유래의 측정 대상 물질 및 상기 혼입되는 수용성 실리콘 및/또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시료에 i) 해당 측정 대상 물질에 대한 고친화성 물질을 담지하는 라텍스 입자, 및 ii) 실리콘 화합물을 접촉시키는 공정, 및
    해당 측정 대상 물질과 해당 라텍스 입자의 응집 반응을 측정하는 공정.
  7.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라텍스 면역 응집법:
    생체 유래의 측정 대상 물질을 포함하는 시료에 i) 해당 측정 대상 물질에 대한 고친화성 물질을 담지하는 라텍스 입자, 및 ii) 실리콘 화합물을 접촉시키는 공정.
  8. 이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라텍스 면역 응집법을 위한 키트:
    완충제를 포함하는 제1 시약, 및
    측정 대상 물질에 대한 고친화성 물질을 담지하는 라텍스 입자를 포함하는 제2 시약;
    여기서, 제1 시약과 제2 시약 중 적어도 하나가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함.
  9. 이하를 포함하는 라텍스 면역 응집법을 위한 시약:
    i) 완충제, ii) 실리콘 화합물 및 iii) 측정 대상 물질에 대한 고친화성 물질을 담지하는 라텍스 입자.
KR1020127028371A 2010-03-31 2011-03-31 측정계외 성분에 의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1894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81678 2010-03-31
JPJP-P-2010-081678 2010-03-31
PCT/JP2011/058356 WO2011125912A1 (ja) 2010-03-31 2011-03-31 測定系外成分による干渉を低減させ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887A true KR20130100887A (ko) 2013-09-12
KR101894106B1 KR101894106B1 (ko) 2018-08-31

Family

ID=4476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371A KR101894106B1 (ko) 2010-03-31 2011-03-31 측정계외 성분에 의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67789B2 (ko)
EP (1) EP2554991B1 (ko)
JP (1) JP5823377B2 (ko)
KR (1) KR101894106B1 (ko)
CN (1) CN103038641B (ko)
CA (1) CA2794652C (ko)
WO (1) WO20111259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2068B2 (ja) * 2013-04-10 2017-12-06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ラテックス免疫凝集測定試薬
JP6660934B2 (ja) * 2015-02-25 2020-03-11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免疫学的測定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られる測定試薬
CN105974105A (zh) * 2016-05-16 2016-09-28 河北艾驰生物科技有限公司 基质金属蛋白酶-3(mmp3)检测试剂盒
JP7156807B2 (ja) * 2018-02-28 2022-10-19 デンカ株式会社 検査測定値の正確性を向上させ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添加剤
CN109900887A (zh) * 2019-04-03 2019-06-18 深圳市安帝宝科技有限公司 一种尿液样本的前处理液
CN112834758B (zh) * 2021-01-07 2023-06-16 北京九强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B因子的检测试剂盒
CN113030489B (zh) * 2021-04-01 2023-07-25 捷和泰(北京)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胱抑素c兔多抗-胶乳粒子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6478A (en) * 1984-04-05 1985-08-20 Seragan Diagnostics, Inc. Method for reducing non-specific interferences in agglutination immunoassays
EP0679892A1 (en) * 1994-04-29 1995-11-02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Microparticle immunoassay reagents, sensitive and specific immunoassay reagents and immunoassay methods using these reagents
US5710006A (en) * 1994-11-15 1998-01-20 Chiron Diagnostics Corporation Reagents for specific binding assays
US5888824A (en) * 1994-09-19 1999-03-30 Sekisu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Blood test ware and matrix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1787A (en) * 1987-05-01 1990-05-01 Cambridge Bioscience Corporation Detection of antibodies to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by agglutination of antigen coated latex
JPH07198721A (ja) * 1993-12-28 1995-08-01 Kurabo Ind Ltd 免疫測定用緩衝液
US5486479A (en) 1994-05-02 1996-01-23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Buffer for immunoassay, kit including same and immunoassay method using said buffer
JP3071678B2 (ja) * 1995-08-31 2000-07-31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免疫反応用緩衝液
JPH09107994A (ja) 1995-10-13 1997-04-28 Toa Denpa Kogyo Kk 細胞内atpの測定方法
US5906744A (en) * 1997-04-30 1999-05-2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Tube for preparing a plasma specimen for diagnostic assay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JP3424504B2 (ja) 1997-06-24 2003-07-07 三菱化学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結合タンパク質又はヒアルロン酸の測定方法
JPWO2002079782A1 (ja) * 2001-03-30 2004-07-22 株式会社三菱化学ヤトロン エラスターゼ1の免疫分析用試薬及び免疫分析方法並びに膵疾患の検出方法
US6777246B2 (en) * 2001-12-18 2004-08-17 Roche Diagnostics Gmbh Tertiary amine compounds for use in immunoassays
CN103926402A (zh) * 2004-12-14 2014-07-16 爱科来株式会社 检体前处理方法和使用了该方法的免疫测定方法
WO2007074860A1 (ja) * 2005-12-28 2007-07-05 Sekisui Medical Co., Ltd. 凝集測定用試薬及び凝集測定方法
JP2007285968A (ja) * 2006-04-19 2007-11-01 Rohm Co Ltd マイクロ流体チップ
CA2781166C (en) * 2009-11-30 2018-07-03 Sekisui Medical Co., Ltd. Homogeneous measurement method and measuring reag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6478A (en) * 1984-04-05 1985-08-20 Seragan Diagnostics, Inc. Method for reducing non-specific interferences in agglutination immunoassays
EP0679892A1 (en) * 1994-04-29 1995-11-02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Microparticle immunoassay reagents, sensitive and specific immunoassay reagents and immunoassay methods using these reagents
US5888824A (en) * 1994-09-19 1999-03-30 Sekisu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Blood test ware and matrixes
US5710006A (en) * 1994-11-15 1998-01-20 Chiron Diagnostics Corporation Reagents for specific binding assay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he japanes journal of medical technology, 2000, Vol. 49, pp 1399-1403. *
오카야마 위생 검사 제40권 제2호(2003년), 6페이지 내지 10페이지
의학 검사, 제49권 제10호(2000년), 1399페이지 내지 1403페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54991A1 (en) 2013-02-06
WO2011125912A1 (ja) 2011-10-13
CN103038641A (zh) 2013-04-10
EP2554991A4 (en) 2013-08-14
CA2794652A1 (en) 2011-10-13
CA2794652C (en) 2017-05-30
US10267789B2 (en) 2019-04-23
JP5823377B2 (ja) 2015-11-25
JPWO2011125912A1 (ja) 2013-07-11
EP2554991B1 (en) 2015-08-26
KR101894106B1 (ko) 2018-08-31
CN103038641B (zh) 2017-05-10
US20130052658A1 (en)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5104B2 (ja) 免疫凝集測定法
KR20130100887A (ko) 측정계외 성분에 의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EP3508851A2 (en) Fluorescent particles for diagnostic agent and immunoassay reagent using same
EP2508885B1 (en) Homogenous measurement method and measuring reagent
EP2799870B1 (en) Method for reducing adsorption of bubbles
JPH04145947A (ja) 反応容器
KR101665999B1 (ko) 시스타틴 c 흡착 억제제
EP1801590A1 (en) Method of assaying antigen and reagent therefor
JP2008298505A (ja) 標的物質の検出方法、混合粒子、および標的物質の検出試薬
Holownia et al. Effect of poly (ethylene glycol),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and other surfactants on enhancing performance in a latex particle immunoassay of C-reactive protein
CN111239403B (zh) 一种β2微球蛋白胶乳增强免疫比浊试剂盒及应用
CN112505319A (zh) 一种待检标志物免疫定量检测装置、检测方法及用途
JPH04208836A (ja) 反応容器キット
WO2024038863A1 (ja) 免疫分析方法及び試薬
JP2006105910A (ja) 標的物質の測定方法および測定試薬
EP3951389A1 (en) Immunoassay reagent and immunoassay method
JPH10132819A (ja) 粒子を用いる被検物質の測定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測定器具
JP2004117068A (ja) 免疫測定試薬および免疫測定方法
JP3692055B2 (ja) 抗原抗体反応の判定方法
JPH0354465A (ja) 免疫学的測定用希釈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